KR20110112715A - Method for personal health care using mobile phone,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for the same, and server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ersonal health care using mobile phone,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for the same, and server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2715A
KR20110112715A KR1020100031997A KR20100031997A KR20110112715A KR 20110112715 A KR20110112715 A KR 20110112715A KR 1020100031997 A KR1020100031997 A KR 1020100031997A KR 20100031997 A KR20100031997 A KR 20100031997A KR 20110112715 A KR20110112715 A KR 20110112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mobile terminal
personal
personal heal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9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주홍택
김성호
홍동권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31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2715A/en
Publication of KR20110112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71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 그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개인정보와 알람 정보를 설정하는 정보설정 단계, 상기 알람 정보의 설정시간에 알람을 울려 사용자의 의약복용을 돕는 복용지도 단계 및 개인 의료정보 또는 의약품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상기 개인 의료정보 또는 의약품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PHR(Personal Health Record)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 그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따르면, 모든 사람들이 가지고 다니는 휴대폰을 기반으로 하여 서버가 없어도 사용이 가능한 stand-alone형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속하지 않더라도 의약 복용 시간, 의약 복용 결과, 개인의 의료 정보를 신속하게 조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 그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서버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연동하는 기존의 서비스들과는 달리 스케줄러에 의해서 서버와 최소한의 데이터만을 연동되도록 구성된 스마트폰용 건강관리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통신망 사용으로 인한 패킷 사용을 최소화하고 서비스를 단순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 그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개인의 건강 및 의료관련 정보들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적 관리 애플리케이션으로, 개인 건강 및 의료, 검진 관련 데이터(PHR)를 통합하여 관리함으로써 병원이나 클리닉에서의 통합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건강 및 의료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and more specifically, an information setting step of setting personal information and alarm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 input, the alarm Taking guidance step to help user take medicine by alarm at setting time of information and storing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or medicine information, and storing personal health record (PHR) to allow user to search the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or medicine information It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the mobile terminal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th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a stand-alone application that can be used even without a server based on a mobile phone carried by everyone As a result, even when the user is not connected to the network, the medication taking time, the medication taking result, and the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can be inquired quickly.
In addition, the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th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unlike the existing services that interlocks the data with the server in real time only the minimum data with the server by the scheduler It is a health care application for smartphones that is configured to work together, minimizing packet usage due to mobile network use and simplifying service.
In addition, the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th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is an integrated management application that can continuously manage personal health and medical information, personal health And by integrating and managing medical and examination-related data (PHR) can provide a variety of functions for health and medical management without using an integrated database in a hospital or clinic.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METHOD FOR PERSONAL HEALTH CARE USING MOBILE PHONE,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FOR THE SAME, AND SERVER FOR THE SAME}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and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TECHNICAL FOR PERSONAL HEALTH CARE USING MOBILE PHONE,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FOR THE SAME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버에 연결하지 않고도 동작할 수 있으며 설정에 의해 필요할 경우에만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and a service providing server.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without connecting to a server and transmit data to the server only when necessary by setting. It relates to a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and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의 2008년 건강보험 통계에 따르면, 약 700만 명이 고혈압(495만 명), 당뇨(195만 명)로 인하여 약을 주기적으로 복용해야 하며, 이로 인한 사회적 부담이 점차 커지고 있다고 한다.
According to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Research Institute's 2008 Health Insurance Statistics, about 7 million people should take their medicines periodically due to hypertension (4.95 million) and diabetes (1.95 million), and the social burden is gradually increasing. It is growing.

또한 통계청 ‘한국의 사회동향 2009’ 자료에 따르면, 2001~2007년 노인인구는 1.4배 증가했지만,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노인급여비는 3배나 증가하여 노인인구의 증가보다 사회적 부담이 훨씬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노인인구는 2000년 이후 급상승하면서 2010년 11.0%, 2030년 24.3%, 2050년에는 38.2%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어 이로 인한 국민의 부담은 엄청나게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만성질환자나 특정 수술 혹은 병으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많은 종류의 약을 복용해야 하는 환자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Korea's Social Trend 2009, the elderly population increased 1.4 times from 2001 to 2007, but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s elderly salary increased three times, indicating that the social burden is much greater than the elderly population. Can be. In addition, the elderly population has risen sharply since 2000, and is expected to increase to 11.0% in 2010, 24.3% in 2030, and 38.2% in 2050.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number of patients who need to take many kinds of medicine continuously due to chronic disease or certain surgery or disease is expected to increase exponentially.

종래에는, 약을 주기적으로 먹는 사람들을 위해 홈 헬스케어 서비스의 한 형태로 자동 의약품 공급 장치가 개발되었다. 이와 관련된 제품은 약을 쉽게 먹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디스펜서’와 약을 먹을 것을 자동으로 알려주는 ‘알람 장치’의 2가지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는 ‘다기능 제품’과 네트워크가 가능한 ‘융합제품’으로 나눌 수 있으며, 현재는 단순 기능보다는 다기능 제품이나 네트워크가 가능한 제품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요즘에는 정기적으로 비타민, 영양제 등을 먹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특정 병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품을 복용하는 경우가 아닌 때에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In the past, automatic drug delivery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s a form of home healthcare service for those who regularly take medicine. Products related to this can be divided into 'multifunctional products' which have both functions of 'dispenser' which makes it easy to take medicine and 'alarm device' which automatically informs medicine to be eaten and 'fused products' that can be networked. Currently, many products capable of multifunctional products or networks are being developed rather than simple functions. In particular, these days, because many people eat vitamins, nutrition, and the like regularly, even when not taking a medicine for treating a particular disease.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 의약품 공급 장치는 의약 복용 시간을 알려주고 의약을 제공하는 것에 그칠 뿐 사용자가 복용한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알려 주거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분석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automatic medicine supply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analyze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residential user to inform the medicine taking time and only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medicine taken by the user.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환자와 의사, 의사와 의사들 사이를 인터넷과 같은 통신에 의해서 연결하고 진단, 진찰에 관련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인 telemedicine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telemedicine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구간의 네트워크 안전성과 신뢰성이 문제되며, 서버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이 상당히 고가가 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conventionally, a telemedicine system has been developed for connecting a patient and a doctor, a doctor and a doctor to each other by communication such as the Internet,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diagnosis and examination. However, such a conventional telemedicine has a problem that the network safety and reliability of the data transmission interval is a problem, and the system must be quite expensive because a server must be used.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모든 사람들이 가지고 다니는 휴대폰을 기반으로 하여 서버가 없어도 사용이 가능한 stand-alone형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속하지 않더라도 의약 복용 시간, 의약 복용 결과, 개인의 의료 정보를 신속하게 조회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ly proposed methods, and is a stand-alone application that can be used even without a server based on a mobile phone carried by everyone, and the user does not connect to the network. If no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quickly retrieving medication taking time, medication taking result, and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and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또한, 서버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연동하는 기존의 서비스들과는 달리 스케줄러에 의해서 서버와 최소한의 데이터만을 연동되도록 구성된 스마트폰용 건강관리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통신망 사용으로 인한 패킷 사용을 최소화하고 서비스를 단순화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unlike existing services that interoperate data with the server in real time, a health care application for smartphones configured to interwork only the minimum data with the server by the scheduler. It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and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뿐만 아니라, 개인의 건강 및 의료관련 정보들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적 관리 애플리케이션으로, 개인 건강 및 의료, 검진 관련 데이터(PHR)를 통합하여 관리함으로써 병원이나 클리닉에서의 통합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건강 및 의료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 integrated management application that can continuously manage personal health and medical information, and integrates and manages personal health, medical and examination-related data (PHR) even if you do not use an integrated database in a hospital or clinic.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that provides various functions necessary for health and medical management,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and a service providing serv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은,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개인정보와 알람 정보를 설정하는 정보설정 단계;An information setting step of setting personal information and alarm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 input;

상기 알람 정보의 설정시간에 알람을 울려 사용자의 의약복용 또는 병원 방문을 돕는 복용지도 단계; 및Taking an instruction step of ringing an alarm at a set time of the alarm information to help the user take medicine or visit a hospital; And

개인 의료정보 또는 의약품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개인 의료정보 또는 의약품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PHR(Personal Health Record)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And a Personal Health Record (PHR) storing step of storing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or drug information and allowing the user to inquire the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or drug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설정 단계는,Preferably, the information setting step,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설정하는 개인정보 설정 단계;A personal information setting step of setting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상기 사용자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의 입력에 따라 알람을 설정하거나 또는 병원 예약을 등록하는 알람 설정 단계;An alarm setting step of setting an alarm or registering a hospital reservation according to an input of the user or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의약복용 확인방법을 설정하는 복용확인 설정 단계; 및A dose confirmation setting step of setting a medicine dose checking method according to the user input; And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의약복용결과 전송방법을 설정하는 복용결과전송 설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dose result transmission setting step of setting a drug delivery result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may be includ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용지도 단계는,Preferably, the taking guidance step,

의약복용 시간 또는 병원 방문일정을 알려주는 알람 단계; 및An alarm step notifying the medication time or the hospital visit schedule; And

상기 사용자가 의약복용 결과 또는 방문할 병원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조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t may include an inquiry step for allowing the user to query the medication result or the hospital to visit.

바람직하게는, 상기 PHR 저장 단계는,Preferably, the PHR storage step,

개인 의료정보를 저장하여 분석하는 개인 의료정보 분석 단계; 및Personal medical information analysis step of storing and analyzing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And

상기 사용자가 복용하는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의약품을 비교 분석하는 의약품정보 분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Medication information analysis step of storing the information on the medicine taken by the user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cine may include.

바람직하게는, Preferably,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와 운동 정보를 토대로 생활을 분석하는 생활 분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life analysis step of analyzing life based on the user's physical information and exercise information.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활 분석 단계는,More preferably, the life analysis step,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와 체질 정보를 저장하여 분석하는 체질 분석 단계; 및A constitution analysis step of storing and analyzing the user's body information and constitution information; And

상기 사용자의 운동 종류와 운동량을 저장하여 분석하는 운동 분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t may include an exercise analysis step of storing and analyzing the type of exercise and the amount of exercise of the user.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스케줄러에 의하여 모바일 단말기와 서비스 제공 서버를 연동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버싱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server sync step of transmitting data by interworking the mobile terminal and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by the schedul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implementing a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는,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implementing a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의 의약품 복용결과를 전송받거나, 병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처방 데이터를 전송받는 수신부;A receiving unit receiv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or the user's medicines taking result from the user's mobile terminal, or receiving prescription data of the user from a hospital terminal;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 상기 사용자의 처방 데이터 또는 상기 사용자의 의약품 복용결과를 등록하는 저장부; 및A storage unit that registers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the user's prescription data, or the user's medicines taking result; And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복용 알람 또는 병원 예약 일정을 송신하여 설정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And a transmitter configured to transmit and set a dose alarm or a hospital appointment schedule to the mobile terminal of the user.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적어도 사용자의 이름, 연락처, 나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user's name, contact information, age,

상기 사용자의 처방 데이터는, 적어도 병원의 이름, 연락처, 처방일자, 처방한 의약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cription data of the us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ospital name, a contact number, a prescription date, and a prescribed medicine.

바람직하게는, 상기 의약품 복용결과는,Preferably, the result of taking the medicine,

사용자별 복용 기록과 의약품별 복용 기록을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user's taking record and a medicine's taking record.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에 따르면, 모든 사람들이 가지고 다니는 휴대폰을 기반으로 하여 서버가 없어도 사용이 가능한 stand-alone형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속하지 않더라도 의약 복용 시간, 의약 복용 결과, 개인의 의료 정보를 신속하게 조회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the mobile terminal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and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a stand-alone type application that can be used without a server based on a mobile phone carried by everyone As a result, even when the user is not connected to the network, the medication taking time, the medication taking result, and the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can be inquired quick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서버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연동하는 기존의 서비스들과는 달리 스케줄러에 의해서 서버와 최소한의 데이터만을 연동되도록 구성된 스마트폰용 건강관리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통신망 사용으로 인한 패킷 사용을 최소화하고 서비스를 단순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and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unlike the existing services that interlock the data with the server in real time, only the minimum data with the server by the scheduler It is a health care application for smartphones that is configured to work together, minimizing packet usage due to mobile network use and simplifying servic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는, 개인의 건강 및 의료관련 정보들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적 관리 애플리케이션으로, 개인 건강 및 의료, 검진 관련 데이터(PHR)를 통합하여 관리함으로써 병원이나 클리닉에서의 통합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건강 및 의료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and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is an integrated management application that can continuously manage personal health and medical information, personal health And by integrating and managing medical and examination-related data (PHR) can provide a variety of functions for health and medical management without using an integrated database in a hospital or clinic.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의 개인정보 설정 단계에 의한 사용자관리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의 알람 설정 단계에 의한 알람설정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의 알람 단계에 의한 복용알람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의 알람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의 서버싱크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personal health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user management screen by the personal information setting step of the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alarm setting screen by the alarm setting step of the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taking alarm screen by the alarm step of the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alarm flow diagram of a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erver sink flow chart of a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of a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implementing a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nclude. In addition, the term 'comprising' of an element means that the elemen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not to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시스템(10)은, 모바일 단말기(100), 병원 단말기(200),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ersonal health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personal health management system 10 using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terminal 100, a hospital terminal 200, and a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an be configured.

모바일 단말기(100)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이동통신에 가입된 휴대폰이면 피처폰이나 스마트폰도 포함한다. 다만 E-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해주는 WIPI, Window Mobile, Symbian, Android를 포함하는 플랫폼이 기반 되어야 한다.
The mobile terminal 100 is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ersonal health management program using the mobile terminal, and includes a feature phone or a smart phone as long as it is a mobile phone subscribed to mobile communication. It should be based on platforms including WIPI, Window Mobile, Symbian, and Android that allow E-mobile healthcare applications to run.

병원 단말기(200)는, 병 혹은 질환으로 인하여 주기적으로 관리가 필요한 환자가 다니는 병원에 설치된 단말기를 의미한다. 환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100)를 통해 획득한 결과를 활용하여 더욱 정확한 진단을 통해 병을 신속히 치료할 수 있도록 한다.
The hospital terminal 200 refers to a terminal installed in a hospital to which a patient who needs to be periodically managed due to a disease or a disease. By using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00 possessed by the patient to be able to quickly cure the disease through a more accurate diagnosis.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병원 혹은 사용자들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서버로, 개인정보와 병원에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대해서는 추후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s a server of an operator that develops and provides an application required by a hospital or users, and manages and protects personal information and information related to a hospital.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8.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20)은, 기본정보 설정 단계(S100), 복용지도 단계(S200), 생활 분석 단계(S300), PHR 저장 단계(S400) 및 서버싱크 단계(S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20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 information setting step (S100), taking guidance step (S200), life analysis step (S30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HR storage step (S400) and a server sink step (S500).

기본정보 설정 단계(S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개인정보와 알람 정보를 설정한다. 기본정보 설정 단계(S100)는 개인정보 설정 단계(S110), 알람 설정 단계(S130), 복용확인 설정 단계(S150) 및 복용결과전송 설정 단계(S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the basic information setting step (S100), personal information and alarm information are set according to a user's input. Basic information setting step (S1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ersonal information setting step (S110), an alarm setting step (S130), a dose confirmation setting step (S150) and a dose result transmission setting step (S170).

개인정보 설정 단계(S1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설정한다. 개인정보 설정 단계(S110)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In the personal information setting step (S110),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is set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The personal information setting step S1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의 개인정보 설정 단계에 의한 사용자관리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정보 설정단계(S1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의 이름, 연락처, 나이를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개인정보는 사용자가 위급한 상황에 처했을 경우 연락할 수 있는 비상 연락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 is a view showing a user management screen by the personal information setting step of the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personal information setting step S110 may set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a user's name, contact information, and age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In addition, the personal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an emergency contact to contact the user in case of emergency.

알람 설정 단계(S130)는, 사용자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입력에 따라 알람을 설정하거나 또는 병원 예약을 등록한다. 알람 설정 단계(S130)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Alarm setting step (S130),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sets an alarm or registers a hospital reservation. The alarm setting step S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의 알람 설정 단계에 의한 알람설정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람 설정 단계(S130)는, 알람 시간 및 알람 종류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약을 동시에 복용해야 할 경우 중복 알람 설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주, 요일별의 반복 알람을 설정하거나 분 단위로 지정하는 알람 경보 시간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방문할 병원의 예약을 등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설정한 알람 또는 병원 예약을 사용자가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0)가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자동으로 알람 설정 또는 병원 예약이 등록되도록 할 수 있다.
4 is a view showing an alarm setting screen by the alarm setting step of the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alarm setting step (S130), it is possible to set the alarm time and the alarm type, it may be possible to set a duplicate alarm if you need to take several drugs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t a recurring alarm for each day, week, or day of the week or to set an alarm alarm time that is specified in minutes. In addition, the user can register the reservation of the hospital to be visited periodically, so that the user can look up the alarm or hospital reservation set up in this way. However,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user interworks with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e service setting server 300 may automatically register the alarm setting or the hospital reservation.

복용확인 설정 단계(S15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의약복용 확인방법을 설정한다. 의약복용 확인방법은, 사용자가 일정 시간에 의약품을 복용하였는지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알람을 울린 후 자동으로 복용을 확인하는 방법 또는 사용자가 의약품을 복용한 후 직접 복용완료 버튼을 눌러 복용을 확인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dose confirmation setting step (S150), a medicine dose checking method is set according to a user's input. The medication check method is to check the result of whether the user took the medicine at a certain time, and to check the dose automatically after the alarm is sounded or to take the medicine by pressing the completed dose button directly after taking the medicine. It may include a method of confirming.

복용결과전송 설정 단계(S17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의약복용결과 전송방법을 설정한다. 의약복용결과 전송방법은, 사용자가 의약품을 복용하는 경우 지체 없이 복용결과를 서버에 자동 전송하는 방법과, 1일이나 1주 또는 1달과 같이 주기적으로 복용결과를 서버에 전송하는 방법 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복용결과를 서버에 전송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용결과전송 설정 단계(S17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서버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의 연동이 설정된 경우 스케줄러에 의하여 최소한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특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기본정보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특정하기 위한 기본정보, 버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기본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불편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 단말기(100)마다 할당된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기본정보를 미리 설정해둘 수 있다.
In the taking result transmission setting step (S170), a method of transmitting a medicine taking result is set according to a user input. The method of transmitting the medication use result is a method of automatically transmitting the dose result to the server when the user takes the medicine, and a method of periodically transmitting the dose result to the server such as 1 day, 1 week or 1 month or the user It may include a method of manually sending a dose result to the server. In addition, the taking result transmission setting step (S170) may set the serv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When interworking with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s set,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o transmit the minimum data by the scheduler. Therefore,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include basic information and version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However, since it may be inconvenient for a user to input basic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llocated to each mobile terminal 100 may be set in advance.

복용지도 단계(S200)는, 알람 정보의 설정시간에 알람을 울려 사용자의 의약복용 또는 병원 방문을 돕는다. 복용지도 단계(S200)는 알람 단계(S210)와 조회 단계(S230)를 포함할 수 있다.
Taking guidance step (S200), the alarm at the set time of the alarm information to help the user to take medication or visit the hospital. Taking guidance step (S200) may include an alarm step (S210) and inquiry step (S230).

알람 단계(S210)는, 의약복용 시간과 병원 방문일정을 알려준다. 알람 단계(S210)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The alarm step S210 informs the medication time and the hospital visit schedule. The alarm step S2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의 알람 단계에 의한 복용 알람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람 단계(S210)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통하여, 사용자가 복용하여야 하는 의약품을 표시하고 진동 또는 소리를 사용하여 복용시간을 알릴 수 있다. 복용확인 설정 단계(S150)에서 사용자가 의약품을 복용한 후 직접 복용완료 버튼을 눌러 복용을 확인하는 방법을 설정하였을 경우, 알람이 종료된 후 복용완료 또는 복용대기 버튼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직접 복용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복용대기 버튼을 눌렀을 경우 또는 사용자가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버튼을 누르지 않는 경우에는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복용을 다시 알릴 수 있다.
5 is a view showing a taking alarm screen by the alarm step of the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 the alarm step (S210),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ersonal health care application using a mobile terminal, by using the vibration or sound to display the medicine to be taken You can tell when you are taking it. If the user checks the dose by pressing the take-done button directly after taking the medicine in the step of confirming setting (S150), the user can take the medicine directly by displaying the dose-completed or waiting-to-take button after the alarm ends. You can check. However, when the user presses the standby button or if the user does not press the button even after a certain time elapses, the user may automatically notify the user of the dose again after the set time.

또한 알람 단계(S210)는, 복용결과전송 설정 단계(S170)에서 설정한 복용결과전송 방법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등록된 병원 예약을 기반으로 병원 방문을 알람 할 수 있다. 의약품 복용을 알람 하는 방식과 마찬가지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통하여, 방문해야 하는 병원의 이름과 위치, 연락처를 표시하고 진동 또는 소리를 사용하여 병원 방문을 알릴 수 있다.
In addition, the alarm step (S210),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dose result transmission method set in the dose result transmission setting step (S170), it may alarm the hospital visit based on the registered hospital reservation in accordance with the user input. In the same way as alarming medicines,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ersonal health care application using a mobile terminal. You can inform.

조회 단계(S230)는, 사용자가 의약복용 결과 또는 방문할 병원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날짜별 조회, 복용하지 않은 약 리스트, 복용한 약 리스트, 복용 결과 전송 조회를 포함하는 복용 결과를 조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등록하거나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해 등록된 병원 예약 내용을 조회할 수 있다.
Inquiry step (S230), so that the user can query the medication results or hospital to visit. You can view the results of your dose, including a date-based query, a list of drugs you haven't taken, a list of drugs you've taken, and a list of your results. In addition, the user can directly register or look up the registered hospital reservation content through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생활 분석 단계(S300)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와 운동 정보를 토대로 생활을 분석한다. 생활 분석 단계(S300)는 체질 분석 단계(S310)와 운동 분석 단계(S330)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life analysis step (S300), the life is analyzed based on the user's body information and exercise information. Life analysis step (S300) may include a constitution analysis step (S310) and exercise analysis step (S330).

체질 분석 단계(S310)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와 체질 정보를 저장하여 분석한다. 사용자의 신체 정보는 몸무게, 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체질 정보는 사용자의 체질 및 기호 음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신체 정보를 바탕으로 비만도를 포함하는 신체 상태를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체질 정보를 바탕으로 적합한 식단표를 분석하여 제공할 수 있다.
Constitution analysis step (S310), the body information and constitu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s stored and analyzed. The user's body information may include weight and height, and the user's constitu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constitution and preference food. Based on the body information, the body state including the obesity is calculated and provided to the user, based on the constitution information can be provided by analyzing the appropriate diet table.

운동 분석 단계(S330)는, 사용자의 운동 종류와 운동량을 저장하여 분석한다. 조깅, 걷기와 같은 운동 종류에 따른 운동량을 저장하고 이를 계산하여 운동량에 따른 에너지 소모량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In the exercise analysis step S330, the type and amount of exercise of the user are stored and analyzed. The amount of exercise according to the type of exercise such as jogging and walking can be stored and calculated to analyze the energy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exercise and provide it to the user.

PHR 저장 단계(S400)는, 개인 의료정보 또는 의약품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개인 의료정보 또는 의약품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PHR 저장 단계(S400)는 개인 의료정보 분석 단계(S410) 및 의약품정보 분석 단계(S4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HR storage step (S400) stores the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or drug information and allows the user to inquire the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or drug information. PHR storage step (S400) may include a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analysis step (S410) and drug information analysis step (S430).

개인 의료정보 분석 단계(S410)는, 개인 의료정보를 저장하여 분석한다. 사용자의 혈압, 당뇨수치와 같은 만성질환 수치 정보와 사용자의 건강검진 결과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기준치와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건강검진 결과는 사용자가 일일이 입력하기 불편하므로,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병원 단말기(200)로부터 건강검진 결과를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analysis step (S410), stores and analyzes the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Chronic disease number information such as blood pressure and diabetes value of the user and the result of the user's health examination results are stored and compared with the reference value so that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can be inquired. Since the medical examination results are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input, the medical examination results may be received and stored from the hospital terminal 200 through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의약품정보 분석 단계(S430)는, 사용자가 복용하는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의약품을 비교 분석한다. 또한 분석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의약품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비교 분석을 위한 각종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병원 단말기(200)로부터 의약품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Drug information analysis step (S430), and stores the information about the medicine that the user takes and compares the medicine. In addition, by providing analyzed data, users can easily check drug information. Drug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hospital terminal 200 through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o store information about various medicines for comparative analysis.

서버싱크 단계(S500)는, 스케줄러에 의하여 모바일 단말기(100)와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연동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프로그램은 그 자체로 모든 기능이 동작하는 stand-alone형이므로, 필요한 경우에만 스케줄러에 의해서 모바일 단말기(100)와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연동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서 불필요한 이동통신 데이터 패킷을 줄여서 통신요금을 절약할 수 있다.
In the server syncing step (S500),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re linked by a scheduler to transmit data. Since the personal health management program using the mobile terminal itself is a stand-alone type that operates all functions,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by the scheduler only when necessary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this, communication costs can be saved by reducing unnecessary mobile communication data packets.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의 알람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20)의 알람은, 사용자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입력에 따라 의약품과 복용시간을 설정한 뒤, 설정된 복용시간에 사용자에게 알람을 통보한다. 사용자는 의약품을 복용한 경우에는 복용완료 버튼을 누르며, 의약품을 복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복용대기 버튼 또는 미복용 확인 버튼을 누를 수 있다. 복용대기 버튼을 누른 경우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복용을 다시 알릴 수 있으며, 미복용 확인 버튼을 누른 경우 미복용 원인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복용 결과를 등록함으로써 알람을 끝낼 수 있다.
6 is an alarm flowchart of a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the alarm of the personal health care method 20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dicine or taking tim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fter that, the user is notified of the alarm at the set dose time. When the user has taken the medicine, the user may press the completion button, and when the medicine is not taken, the user may press the waiting button or the non-dosing confirmation button. If you press the standby button, you can automatically notify the user after the set time has elapsed. If you press the unconfirmed confirmation button, you can select the reason for the unused. Finally, you can end the alarm by registering your dos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의 서버싱크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20)의 서버싱크는, 스케줄러를 설정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의 연동이 필요한 시점에 스케줄러를 ON 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조회할 수 있다. 다만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의 연동이 필요한 시점이 아닐 경우 대기한 후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의 연동이 필요한 시점에 스케줄러를 ON 할 수 있다. 이후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사용자의 개인정보 또는 사용자의 의약품 복용결과는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전송하며, 복용 알람 또는 병원 예약 일정은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모바일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전송이 완료되면 결과를 저장하고 서버싱크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스케줄러를 통한 한정된 서버싱크를 사용함으로써 이동통신 데이터 패킷을 줄여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7 is a server sink flow chart of a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server sink of the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20 using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ts a scheduler and sets the scheduler at a time point when an interworking with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s required. By turning O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inquired. However, when it is not necessary to interwork with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e scheduler may be turned on at the time when the interworking with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s required after waiting. After extracting the data to be transmitted and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or the user's medication taking result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e taking alarm or hospital appointment schedule is mobile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Send to terminal 100. When the transfer is complete, save the result and complete the server sync. Thus, by using a limited server sink through the scheduler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ost by reducing the mobile communication data pack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모바일 단말기(100) 또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삽입되어 판독이 가능한 메모리 카드를 포함하며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판독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기록매체도 사용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은 모바일 단말기(100)를 통해 실행되어 복용 알림, 텍스트 설정 및 복용 결과 확인 기능과, 복용 결과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거나 비상연락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Th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implementing a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100 or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memory card that can be read and the mobile terminal Any recording medium can be used if it can be read at 100. The program for implementing a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is execut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00, the notification of taking, text setting and checking the results of the results, and the result of the transfer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or emergency contact is possible. It can be don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부(310), 저장부(330), 송신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8 is a block diagram of a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implementing a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mplementing the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er 310, a storage unit 330, and a transmitter 35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수신부(310)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의 개인정보 또는 사용자의 의약품 복용결과를 전송받거나, 병원 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의 처방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개인정보 또는 의약품 복용결과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0)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된 경우에만 수신할 수 있다. 다만 병원 단말기(200)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처방 데이터의 전송은 제한이 없다. 수신한 개인정보, 의약품 복용결과 또는 처방 데이터는 저장부(330)에 저장할 수 있다.
The receiver 310 receives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or the user's medicines taking result from the user's mobile terminal 100, or receives the user's prescription data from the hospital terminal 200. The personal information or medicines taking result can be received only when the user's mobile terminal 100 is linked with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mplementing the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the mobile terminal. However, since the hospital terminal 200 may maintain the linkage with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mplementing the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the mobile terminal, the prescription data transmission is not limited. Received personal information, drug results or prescription data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330.

저장부(330)는, 사용자의 개인정보, 사용자의 처방 데이터 또는 사용자의 의약품 복용결과를 등록한다. 개인정보 또는 의약품 복용결과는 수신부(310)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처방 데이터는 수신부(310)가 병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개인정보는 회원 정보로 저장되며 사용자의 이름, 연락처, 나이를 포함할 수 있다. 처방 데이터는 병원의 이름, 연락처, 처방일자, 처방한 의약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의약품 복용결과는 사용자별 복용 기록과 의약품별 복용 기록으로 나누어 확인 및 조회가 가능하도록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복용결과를 토대로 복용 통계자료를 작성하여 사용자 또는 병원에 제공할 수 있다. 개인의 의료 기록은 철저한 보안이 요구되므로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회원 등급별로 권한을 다르게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되는 정보에는 회원별 가입 내역 및 지불 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330 registers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the user's prescription data or the user's medicines taking result. The personal information or medicines taking result may be received and stored by the receiver 310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user, and the prescription data may be received and stored from the hospital terminal 200 by the receiver 310. Personal information is stored as member information and may include the user's name, contact information, and age. Prescription data may include hospital name, contact information, prescription date, and prescription medication. Medication results can be divided into user's taking record and user's taking record so that they can be checked and inquired. In addition, taking statistics based on the results of taking can be provided to the user or hospital. Since individual medical records are required to be thoroughly secured, they can be encrypted and stored to prevent leakage, and permissions can be set differently for each membership level. The stored information may include subscription details and payment details for each member.

송신부(350)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0)에 복용 알람 또는 병원 예약 일정을 송신하여 설정한다. 이동통신 데이터 패킷의 최소화를 위하여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0)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된 경우에만 한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송신하는 정보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20)에서의 알람 설정 단계(S130)에 사용될 수 있다.
The transmitter 350 transmits and sets a taking alarm or a hospital appointment schedule to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user. In order to minimize the mobile communication data packet,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user may be limitedly connected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mplementing the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the mobile terminal.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may be used in the alarm setting step (S130) in the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20 using a mobile terminal.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variously modified or appl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시스템
20: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
100: 모바일 단말기 200: 병원 단말기
300: 서비스 제공 서버 310: 수신부
330: 저장부 350: 송신부
10: personal health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20: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100: mobile terminal 200: hospital terminal
300: service providing server 310: receiving unit
330: storage unit 350: transmission unit

Claims (11)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개인정보와 알람 정보를 설정하는 정보설정 단계;
상기 알람 정보의 설정시간에 알람을 울려 사용자의 의약복용 또는 병원 방문을 돕는 복용지도 단계; 및
개인 의료정보 또는 의약품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개인 의료정보 또는 의약품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PHR(Personal Health Record)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
In the personal health care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n information setting step of setting personal information and alarm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 input;
Taking an instruction step of ringing an alarm at a set time of the alarm information to help the user take medicine or visit a hospital; And
And a personal health record (PHR) storing step of storing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or drug information and allowing the user to query the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or drug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설정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설정하는 개인정보 설정 단계;
상기 사용자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의 입력에 따라 알람을 설정하거나 또는 병원 예약을 등록하는 알람 설정 단계;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의약복용 확인방법을 설정하는 복용확인 설정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의약복용결과 전송방법을 설정하는 복용결과전송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formation setting step comprises:
A personal information setting step of setting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An alarm setting step of setting an alarm or registering a hospital reservation according to an input of the user or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A dose confirmation setting step of setting a medicine dose checking method according to the user input; And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setting the transmission of the result of the medication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용지도 단계는,
의약복용 시간 또는 병원 방문일정을 알려주는 알람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의약복용 결과 또는 방문할 병원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조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aking instruction step,
An alarm step notifying the medication time or the hospital visit schedule; And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query step for allowing the user to query the results or the hospital to vis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R 저장 단계는,
개인 의료정보를 저장하여 분석하는 개인 의료정보 분석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복용하는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의약품을 비교 분석하는 의약품정보 분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HR storage step,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analysis step of storing and analyzing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the information on the medicine taken by the user and the drug information analysis step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medic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와 운동 정보를 토대로 생활을 분석하는 생활 분석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life analysis step of analyzing the life based on the user's body information and exercise inform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 분석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와 체질 정보를 저장하여 분석하는 체질 분석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운동 종류와 운동량을 저장하여 분석하는 운동 분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ife analysis step,
A constitution analysis step of storing and analyzing the user's body information and constitution information; And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xercise analysis step of storing and analyzing the exercise type and exercise amount of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스케줄러에 의하여 모바일 단말기와 서비스 제공 서버를 연동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버싱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rver sink step of transmitting data by linking the mobile terminal and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by the scheduler.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서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laim 1 to claim 7, wherein th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implementing a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서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의 의약품 복용결과를 전송받거나, 병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처방 데이터를 전송받는 수신부;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 상기 사용자의 처방 데이터 또는 상기 사용자의 의약품 복용결과를 등록하는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복용 알람 또는 병원 예약 일정을 송신하여 설정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I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implementing a personal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 receiving unit receiv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or the user's medicines taking result from the user's mobile terminal, or receiving prescription data of the user from a hospital terminal;
A storage unit that registers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the user's prescription data, or the user's medicines taking result; And
Personal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nd setting the taking alarm or hospital appointment schedule to the mobile terminal of the us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적어도 사용자의 이름, 연락처, 나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처방 데이터는, 적어도 병원의 이름, 연락처, 처방일자, 처방한 의약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user's name, contact information, age,
The user's prescription data, at least one of the name of the hospital, contact information, prescription date, prescription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y on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 복용결과는,
사용자별 복용 기록과 의약품별 복용 기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Personal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user's taking record and the medication record.
KR1020100031997A 2010-04-07 2010-04-07 Method for personal health care using mobile phone,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for the same, and server for the same KR2011011271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997A KR20110112715A (en) 2010-04-07 2010-04-07 Method for personal health care using mobile phone,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for the same, and server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997A KR20110112715A (en) 2010-04-07 2010-04-07 Method for personal health care using mobile phone,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for the same, and server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715A true KR20110112715A (en) 2011-10-13

Family

ID=45028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997A KR20110112715A (en) 2010-04-07 2010-04-07 Method for personal health care using mobile phone,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for the same, and server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271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482B1 (en) * 2012-12-10 2014-07-04 주식회사 헤셀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ersonal medical records using mobile device
WO2023229096A1 (en) * 2022-05-25 2023-11-30 주식회사 케이바이오헬스케어 System for providing health management service on basis of personal medical data management platfor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482B1 (en) * 2012-12-10 2014-07-04 주식회사 헤셀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ersonal medical records using mobile device
WO2023229096A1 (en) * 2022-05-25 2023-11-30 주식회사 케이바이오헬스케어 System for providing health management service on basis of personal medical data management platfor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0792B2 (en) Prescription compliance monitoring system
Chang et al. A context-aware, interactive M-health system for diabetics
RU2336906C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information medical data transfer
US9872087B2 (en) Platform for patient monitoring
US9864842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medical product or service delivery
Qudah et al. Using mobile phones to improve medication compliance and awareness for cardiac patients
CN102655516B (en) Generic access network-based tele-medicine method and system
US201002864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mobile device as a portable personal terminal for medical information
KR20170013276A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improving health condition
US11087873B2 (en) Context-aware healthcare notification system
US20060009684A1 (en) System for monitoring compliance to a healthcare regiment of testing
US20150134107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medical product or service delivery
US200802558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clinical notifications
US20080312966A1 (en) Rx SCAN SOFTWARE COMPONENT SUCH AS FOR INCORPORATION INTO A MEDICAL COMPLIANCE SOFTWARE BASED SYSTEM & COMPUTER WRITEABLE MEDIUM
Kim et al. Integration of IEEE 1451 and HL7 exchanging information for patients’ sensor data
EP3069314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medical product or service delivery
US20170255758A1 (en) Pharmaceutical Monitoring and Dose Optimization System
KR20110112715A (en) Method for personal health care using mobile phone,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for the same, and server for the same
KR100787947B1 (en) Method and system to provide a medical treatment service using rfid tag and mobile phone
US11017894B1 (en) Infusion monitoring device and patient compliance system
KR20140018754A (en) Patient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application and method thereof
US20210295975A1 (en) Medical adherence system and method
KR20070047049A (en) Method and system for alerting the time of taking medicine (with meal time), and the next date and time of attending hospital by mobile phone or like
US20130079925A1 (en) Medication Management Device
Pais et al. A framework of evaluation of mobile wellness apps for use in a clinical se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507

Effective date: 2012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