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9603A - Device for measuring physiological signals,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service method for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management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evice for measuring physiological signals,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service method for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management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9603A
KR20110109603A KR1020100029398A KR20100029398A KR20110109603A KR 20110109603 A KR20110109603 A KR 20110109603A KR 1020100029398 A KR1020100029398 A KR 1020100029398A KR 20100029398 A KR20100029398 A KR 20100029398A KR 20110109603 A KR20110109603 A KR 20110109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rvice
information
biosignal
safety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93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혜정
허탁
Original Assignee
(주)유카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카이트 filed Critical (주)유카이트
Priority to KR1020100029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9603A/en
Publication of KR20110109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60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6Measuring bloo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2Global tracking of patients, e.g. by using G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emat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ritical Care (AREA)
  • Fina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신호 측정기기, 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생체신호 측정기기는 사용자 신체에 착용하여 여러 가지 생체신호를 실시간 측정하여, 위험구간별로 자체 경고음을 출력하고 무선통신을 통해 응급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은 통합관리센터와 서비스관리자등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서비스를 관리하고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나 안전상의 위험을 감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는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정보 등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 및 안전 상태를 파악하고 응급상황일 경우 응급구호를 요청하여 갑작스런 사고나 신체이상으로 인한 위험에 조기 대처할 수 있도록 하며, 측정된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해주며 지속적인 평소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해 준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signal measuring device, a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a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care service method.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various biosignals in real time by wearing them on a user's body, outputs a warning sound for each danger section, and transmits an emergency sig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safety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n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and a service manager to manage the user's services and monitor the user's body or safety risks through real-time monitoring. In addition, the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car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termine the health and safety status of the user through the measured data such as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in the case of an emergency to request emergency relief to cope with the risk of sudden accidents or physical problems early By storing and managing the measured data, it provides information to continuously manage the user's health and provides continuous health care services.

Description

생체신호 측정기기, 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DEVICE FOR MEASURING PHYSIOLOGICAL SIGNALS,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SERVICE METHOD FOR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MANAGEMENT USING THE SAME}Bio-signal measuring device,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care service method using same {DEVICE FOR MEASURING PHYSIOLOGICAL SIGNALS,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SERVICE METHOD FOR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MANAGEM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생체신호 측정기기, 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여러 가지 생체신호를 동시에 측정하여 위험구간별로 자체 경보할 수 있는 생체신호 측정기기와 이를 이용해 일상생활이나 야외활동 중에 건강 및 안전상의 위험을 모니터링해주는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과 이를 통해 건강관리를 제공해주는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signal measuring device, a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a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care service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a biosignal measuring device capable of self-alarming each danger section by measuring various biosignals simultaneous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monitoring health and safety risks during daily life or outdoor activities, and a service method for providing health care.

본 발명은 생체신호 측정기기, 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맥박, 혈중산소포화도, 혈류속도 및 활동량, 낙상여부, 위치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였거나 위험에 처한 것으로 판단될 때, 설정된 위험구간별로 측정기기 자체적으로 경보를 제공하며,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위험상황을 조기에 파악하여 이에 적합한 응급조치를 제공하는 서비스와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건강관리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signal measuring device, a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a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care service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to measure a pulse rate, blood oxygen saturation, blood flow rate and activity amount, fall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in real time.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body 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person is in danger, the measuring device itself provides an alarm for each set danger period, and the service and measurement that provides a first aid measure appropriate to the danger situation through a monitoring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ce method for providing health care to a user by using biosignal data.

최근 근무시간 단축이나 인구 고령화 등의 사회적 변화에 따른 여가의 증가로 중장년 이상 연령대의 등산 등 야외 레저 활동이 증가하고 있다. 고령화와 생활습관 요인 등으로 인해 만성질환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중장년 및 노령인구의 상당수가 여가를 활용하여 등산 등의 레저 활동을 통해 건강을 관리하고 있다. Recently, outdoor leisure activities such as mountain climbing for the elderly and older are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leisure time caused by social changes such as shortening working hours and aging population. Chronic diseases continue to increase due to aging and lifestyle factors, and a large proportion of the elderly and the elderly are using leisure time to manage their health through leisure activities such as mountain climbing.

이렇게 건강을 유지하거나 증진하기 위해 산이나 야외에서 등산 등의 레저 활동을 하는 중에 갑작스런 신체의 변화로 인해 위험에 처하거나, 추락 및 낙오, 조난 등으로 인해 위험에 처하거나 사고를 당하는 경우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In order to maintain or promote health, there is a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who are in danger of sudden physical change during mountain climbing or outdoor climbing, or are in danger of accident or fall due to falling, falling, or distress. Doing.

또한 경제적으로 독립된 고령자가 증가하면서, 실버관광이 활성화되어 노령 층을 중심으로 구성된 관광 상품의 비중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으며, 외국의 환자나 노령인구가 국내에 입국하여 치료나 요양, 관광을 함께 즐기는 의료관광 분야 또한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이처럼 고령자나 만성질환자, 신체허약자등이 야외에서 레저를 즐기거나 관광, 여행을 목적으로 활동할 때 신체상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사고의 위험은 항상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number of economically independent senior citizens increases, the proportion of tourism products centered on elderly people is increasing due to the activation of silver tourism, and medical tourism where foreign patients and elderly population enter the country and enjoy treatment, medical treatment and tourism together. The field is also growing rapidly. As such, the elderly, chronically ill, and physically handicapped are always at risk of accidents due to rapid changes in physical activity when they are enjoying leisure, sightseeing, or traveling outdoors.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중에도 주위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장소나 홀로 사는 만성질환자 및 노령자에게 갑작스런 신체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신속히 조치를 받지 못하여 사망에 이르거나, 조기에 발견하여 조치하지 못해 합병증으로 악화되는 사례가 빈번하다. In addition, if a sudden physical abnormality occurs in a place where you cannot get help from your surroundings or in a chronically ill or elderly person living alone in your daily life, you may not be able to take action promptly, leading to death or worsening of complications due to early detection and failure. There are frequent cases.

현재의 기술수준 발달로 맥박 등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기술과 무선 이동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유무선 통신을 통해 신체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신체상의 위험에 처했을 경우 신속하게 적절한 조치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With the development of current technology level, it is possible to check the physical condition through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by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by using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technology such as pulse and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ppropriate measures can be provided.

이와 함께 GPS 기술을 통해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야외에서 고립이나 조난, 이탈 등을 감지할 수 있게 되었다.In addition,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GPS technology can be used to detect isolation, distress and departures outdoors.

이러한 점에서 신체에 착용하는 생체신호 측정 장치는 생체센서를 통해 착용자의 생체신호를 검출하여 의료인에게 전달하여 진료에 도움을 주거나, 위험상황을 알려 신속한 대응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In this regard,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worn on a body detects a biosignal of a wearer through a biosensor and delivers the medical signal to a medical person to help a medical practitioner or provide a quick response by informing a dangerous situation.

이렇게 측정된 생체신호는 위험상황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건강관리를 제공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bio-signals measured in this way can be effectively used to continuously provide health care to the user based on the stored data even if a risk situation does not occur.

2001. 4. 6.자 공고된 한국특허공고 제2001-0028953호에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하여 맥박 정보를 측정하여 위급상황 발생신호를 발생하는 맥박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구급통보시스템으로, 위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빨리 알 수 있어서 귀중한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1-0028953 issued on April 6, 2001, which is a pulse detection device that attaches to a user's body to measure pulse information and generates an emergency signal, and an automatic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It is disclosed that it can be known quickly when this occurs and protects valuable lives.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맥박이라는 단편적인 생체신호만을 측정하여 이용자의 건강상태를 파악하여, 맥박만으로 감지되지 않는 신체 위급상황이 발생할 경우의 대응이 불가능하고, 고주파 통신을 통해 위험을 통보하여 전화선으로 위급상황을 알린다는 점에서 야외 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This conventional technology measures only a fractional bio-signal called pulse to grasp the state of the user's health, and it is impossible to respond in case of an emergency that is not detected only by the pulse. There was a drawback in that it is impossible to use outdoors in reporting the situation.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 이동통신을 이용하여 실내외 공간 어디서나 신체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측정되는 생체신호의 종류가 다양해진다면, 보다 상세한 신체상황을 파악하여 위험을 조기에 대응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위치정보 확인을 통해 야외에서의 고립이나 조난 등을 확인한다면, 보다 안전하게 야외활동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helpful to monitor the physical situation in the indoor and outdoor spaces using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and if the types of biological signals to be measured are diversified, the detailed physical situation can be identified to respond to the risk early. Checking location information to identify outdoor isolation or distress can help you to stay safe.

또한 측정된 생체정보를 저장하여 향후 사용자의 건강을 관리함으로써,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storing the measured biometric information to manage the health of the user in the futur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nd promote health.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여러 종류의 생체신호를 실시간 측정하고 안전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위험상태 해당 여부를 판단하고, 위험상태일 경우 위험단계별로 경보를 자체 출력하고 응급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생체신호 측정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which is to measure the various types of bio-signals in real time and collect information related to the safety to determine whether the dangerous state, and if there is a dangerous state alarm by risk leve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capable of outputting its ow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emergency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생체신호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신체 이상이나 조난, 고립 등의 위험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for real-time monitoring of the risk of abnormalities, distress, isolation, etc. using the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모니터링 서비스의 방법과 이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lth care service using the method and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monitoring ser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생체신호 측정기기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센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GPS, 생체신호 정보를 정상구간과 위험구간으로 나누어 설정값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B), 상기 측정된 생체신호를 처리하는 정보처리부, 상기 처리된 생체신호 정보가 DB의 정상구간인지 위험구간인지를 판단하는 이상판단부, 상기 생체신호를 측정하도록 하고, 무선통신부, 출력장치 및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 위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비상호출버튼, 상기 측정된 생체신호, 위치정보, 비상호출정보를 무선통신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경보 신호음을 출력하는 출력장치, 및 정보와 경보내용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by dividing the biosignal sensor worn on the user's body and measuring the biosignal, the GPS providing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biosignal information into normal and dangerous sections. A database (DB) for storing a value,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measured biosignal, an abnormality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rocessed biosignal information is a normal section or a dangerous section of the DB, and measuring the biosignal,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utput device and a display, an emergency call button for notifying an emergency situa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measured bio signal, location information, and emergency call informa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an alarm signal sound, And a display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alarm contents on a screen.

생체센서는 맥박, 혈중산소포화도(SPO2), 혈류속도, 활동량 측정, 낙상여부 감지 등의 생체신호를 측정한다.The biosensor measures biosignals such as pulse rate, blood oxygen saturation (SPO2), blood flow rate, activity measurement, and fall detection.

상기 위험구간은 두 단계 이상으로 구분되어 DB에 저장되고 상기 측정된 생체신호가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를 이상판단부에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anger section is divided into two or more steps and stored in a DB, characterized in that the abnormal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which section the measured bio-signals correspond to.

상기 무선 통신에는 지그비, 적외선통신, UWB, 블루투스, 이동통신(CDMA/WCDMA), Wibro 등이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s Zigbee, infrared communication, UWB, Bluetooth, mobile communication (CDMA / WCDMA), Wibro and the like.

상기 무선 통신 중 지그비, 적외선통신, UWB, 블루투스 중 하나일 경우에는 별도의 이동통신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one of the Zigbee, infrared communication, UWB, Bluetoo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eparat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전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정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정상이 아닐 경우, 상세하게 구분된 위험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되는 지를 판단하여 자체적으로 경보를 출력하고 응급신호와 측정 데이터를 무선통신으로 전송할 수 있는 생체신호 측정기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위험상황에 처해 있는 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생체신호정보 및 서비스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통합관리센터; 및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신청을 받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관리하며, 서비스를 개시하고 수행하는 과정을 관리하는 서비스관리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afety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ttached to the user's body to measure the bio-signal in real time, determine whether it is normal or not, if not normal, which section of the detailed dangerous section A biosignal measuring device capable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to the alarm signal and outputting an alarm and transmitting emergency signals and measurement data to wireless communication; An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that receives the transmitted data to determine what danger situation the user is in, and stores the user's biosignal information and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service; And a service manager that receives and receives a service request from a user, inputs and manages various user information necessary to provide a service, and manages a process of starting and performing a service.

본 발명의 안전모니터링 시스템은 서비스를 단체로 이용하는 사용자 그룹을 관리하는 그룹관리자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safety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group manager for managing a user group using the service as a group.

상기 서비스관리자는 사용자 정보 관리; 개인별 생체신호 측정데이터 초기값 입력 관리, 결재처리관리, 기기정보입력관리, 사용기간입력관리 등을 수행한다.The service manager is a user information management; Personal data measurement data initial value input management, payment processing management, device information input management, usage period input management, etc. are performed.

상기 통합관리센터는 측정된 생체정보와 서비스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DB, 응급구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니터링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B for storing the measured biometric information and various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service, a monitoring center for providing an emergency relief service.

상기 통합관리센터의 DB는 생체신호정보, 건강관리정보, 사용자정보, 관리자정보, 기기정보 및 결재정보 등을 포함한다.The DB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includes biosignal information, health care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administrator information, device information and payment information.

상기 생체신호정보는 사용자별 생체신호 측정기기를 통해 전송된 개인별 생체신호 데이터; 및 생체신호 위험구간별 예상 가능한 신체상의 위급상황이나 질환과 같은 원인을 분류하여 저장한 생체신호 구간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iosignal information may include personal biosignal data transmitted through a biosignal measuring device for each user; And data for each biosignal section classified and stored for causes such as predictable physical emergencies or diseases for each biosignal risk section.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전모니터링과 건강관리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 서비스를 요청하는 사용자 등록 단계; 생체신호 측정기기를 통해 생체신호와 위치정보 신호를 수집하는 신호 측정 단계; 생체신호 측정기기에서 위험구간으로 판단하여 통합관리센터로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전송단계; 전송된 신호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인지를 파악하는 사용자 안전여부 판단 단계; 사용자가 위험한 판단일 경우 관계기관에 구호를 요청하는 응급구호 요청 단계; 및 사용자정보와 서비스처리 내역을 통합관리센터에 저장하는 처리결과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care servic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user registration step of requesting a service by inputting user information; A signal measuring step of collecting a biosignal and a location information signal through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data information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by determining that 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is a danger section;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safe by analyzing the transmitted signal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in a dangerous situation; Emergency relief request step of requesting relief from the authorities when the user is in danger; And a processing result storage step of storing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service processing history in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또한, 본 발명의 안전모니터링과 건강관리서비스 방법은 사용자에게 개인별 서비스처리 결과와 생체신호 측정 결과를 출력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내역 출력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care servic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rvice history output step of outputting and providing the individual service processing results and bio-signal measurement results to the user.

사용자 등록 단계는 사용자 신상정보, 병력정보, 주치병원, 비상연락처와 같은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정보입력단계; 신용카드나 현금지급을 통해 결재를 처리하는 결재처리단계; 및 사용할 생체신호 측정기기의 고유번호를 입력하는 기기정보입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ser registration step may include a user information input step of inputting information such as user profile information, medical history information, a primary care hospital, and emergency contact information; A payment processing step of processing a payment by credit card or cash payment; And a device information input step of inputting a unique number of a biosignal measuring device to be used.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관리자가 사용자 본인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입력하여 통합관리센터 DB에 저장할 수 있도록,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통합관리센터에 직접 연결되는 전용 관리프로그램을 통해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rvice manager is input through a dedicated management program directly connected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user himself to input and store in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DB.

결재처리단계에서 신용카드 결재 승인, 혹은 현금 수령이 완료되면, 기기정보입력단계를 통해 등록한 생체신호 측정기기를 제공하여 서비스를 개시하는 서비스 개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credit card payment approval or cash receipt is completed in the payment processing step, the service opening step of providing a bio-signal measuring device registered through the device information input step to start the service further comprises.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관리자가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개통하기 위하여, 생체신호 측정기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생체 신호 측정기기 비용 전체를 일시불이나 할부로 결재하고 기기를 제공하고 서비스를 개통하는 기기 판매형태;와 입력된 사용기간에만 생체신호 측정기기를 대여하고, 종료일시 이전에 기기를 회수하여 사용기간에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 임대형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for the service administrator to open the service to the user, in the form of a device sales form for providing the device and paying the device to pay the entire cost of 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as a lump sum or installment; And renting 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only during the input period of use, and collecting the device before the end date to provide a service only for the period of us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one of.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관리자가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개통하기 위하여, 생체신호 측정기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있어서, 서비스를 접수하고 기기를 전달하는 장소는, 등산로 등을 포함하는 야외 공간, 공항, 터미널 등의 운송서비스 장소, 이동통신 매장, 스포츠 레저 용품매장, 아웃도어 스포츠 의류매장, 여행사, 병원 등의 의료기관, 편의점, 커피전문점 등 테이크아웃 매장 또는 공원 관리 사무소 등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to the user in order to open the service to the user, the service receiving place, the place for receiving the service and deliver the device, the outdoor space including hiking trails, airports, terminals, etc. Transportation service places, mobile communication stores, sports leisure goods stores, outdoor sports clothing stores, travel agencies, medical institutions such as hospitals, convenience stores, coffee shops, take-out stores or park management offices.

사용자 정보입력단계에, 사용자의 혈압, 혈당, 맥박, 혈중산소포화도(SPO2), 혈류량 등 주요 생체신호를 서비스 개시 전에 측정하여 입력하는 개인별 측정데이터 초기값 입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user information input step, the personal measurement data initial value input step of measuring and inputting the key bio-signals such as blood pressure, blood sugar, pulse rate, blood oxygen saturation (SPO2), blood flow of the user before the service is further included.

또한, 사용자 정보입력단계에, 사용자가 개인으로 사용하는지, 단체가 함께 사용하는지 입력하는 개인/그룹 여부 입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ser information input step,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ersonal / group input whether the user is used as an individual, the group is used together.

또한, 본 발명은 단체가 함께 사용할 경우, 사용자 그룹을 관리하는 그룹관리자 정보 입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group manager information input for managing a user group, when the group is used together.

사용자 등록 단계는 서비스 종료일시를 입력하는 사용기간 입력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user registration step further includes a usage period input step of inputting a service end date and time.

본 발명의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의 정보전송단계는 생체신호 측정기기에서 위험구간으로 판단하여 응급신호를 전송하거나, 설정된 시간에 정기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실내외 어디서나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을 통해 통합관리센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of the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care servic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it is determined that the danger zone is to transmit an emergency signal, or periodically transmit data at a set time, wireless communication that can be communicated anywhere in the indoor and outdo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본 발명의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의 사용자 안전여부 판단 단계는 생체신호 측정기기를 통해 위험구간으로 판단되어 전송된 생체신호 측정값을 통합관리센터 DB의 생체신호 구간별데이터와 비교하여, 측정된 생체신호별로 정상구간인지 아닌지, 정상구간이 아닐 경우 어느 단계의 위험구간인지를 판단하여, 결과값을 도출하고 그 결과값으로 예측 가능한 신체상황 결과값을 고려하여 응급구호 요청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care servic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safe is measured by comparing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determined and determined by 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with the biosignal section data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DB.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emergency section is requested by deciding whether or not it is a normal section for each biosignal, or if the normal section is not a dangerous section, and deriving a result value and considering the predictable body condition result value. It features.

상기 사용자 안전여부 판단 단계에, 개인/그룹여부를 확인하여 그룹 사용자일 경우, GPS를 통해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동일 그룹 내 다른 사용자 위치와 비교하고, 사용자와 그룹 내 다른 사용자와의 거리가 설정된 일정거리 이상일 경우, 위급상황으로 판단하는 낙오/이탈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safe, in the case of the group user by checking whether the individual / group is present, the location information is confirmed through GPS, compared with other user locations in the same group,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other users in the group is set. If more than a certain dist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all / drop determination step to determine the emergency situation.

사용자와 그룹 내 다른 사용자와의 거리가 설정된 일정거리 이상일 경우에는 등록된 그룹관리자를 통해 사용자가 처해있는 상황을 파악하여 현장 조치를 요청하거나, 응급구호 요청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other users in the group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characterized by the registered group manager to determine the situation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and to request on-site action or to determine the emergency relief request.

또한, 본 발명의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현재시간을 확인하여 종료일시를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여, 경과하였을 경우 연장여부를 확인하고 연장처리하여 서비스를 지속하거나, 연장하지 않을 경우,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서비스를 종료하도록 하는 사용기간 확인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care servic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the current time that the service is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it has passed the end date and time, and if it has elapsed, the service is continued or not extended by checking whether it is extended. In this case,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usage period checking step of transmitting the measured data and terminating the service.

또한, 본 발명의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은 서비스 사용기간 내에 서비스를 종료하기 원하거나, 등록한 종료일시에 기기를 반납하고 서비스를 종료할 경우,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하여 통합관리센터의 DB에 생체신호정보를 저장하고, 기기를 회수함으로써 서비스를 종료 처리하여, 해당 기기에 모니터링서비스가 계속되지 않게 관리하는 서비스 종료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care servic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measured data to the DB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when the user wants to terminate the service within the service period or returns the device at the registered termination date and terminates the service. And a service termination step of terminating the service by storing the biosignal information and retrieving the device, and managing the service so that the monitoring service does not continue on the corresponding device.

상기 서비스 종료단계에, 개인별 측정데이터 초기값으로 측정한 생체신호 항목인 혈압, 혈당, 맥박, 혈중산소포화도(SPO2), 혈류량 등을 재측정하여, 초기값과 비교한 자료를 통합관리센터 DB의 생체신호정보에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전후 비교 데이터 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e end of the service, blood pressure, blood sugar, pulse rate, blood oxygen saturation level (SPO2), blood flow rate, and the like, which are measured by individual measurement data initial values, are re-measured, and the data compared with the initial values are stored in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DB.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roviding before and after comparison service data stored in the biosignal information, the output to the user provided.

서비스 종료단계에서, 사용자가 서비스를 종료하여 서비스 이용기간 동안 측정된 데이터가 통합관리센터의 DB에 개인별 생체신호 데이터로 저장되면, 생체신호 구간별 데이터와 비교하여 생체신호의 데이터 구간을 오차범위 이상 벗어날 경우, 의료인등 전문가 확인을 통해 사용자의 개인별 생체신호 데이터에 위험구간 데이터범위를 변경하는 개인별 데이터 범위 보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ervice termination step, when the user terminates the service and the data measured during the service usage period are stored as individual biosignal data in the DB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the data section of the biosignal is greater than the error range by comparing with the biosignal section data. In case of deviation, the medical personnel may further include an individual data range correction step of changing the danger interval data range in the individual biosignal data of the user through expert confi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은 통합관리센터 DB의 개인별 생체신호 데이터를 기준으로 사용자 개인별 특성에 적합한 건강관리정보를 통합관리센터의 DB에 있는 건강관리정보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요청하였을 때 제공하거나, 정기적으로 SMS등의 메시지서비스나 이메일, 웹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개인에게 제공해주는 건강관리 정보 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care servic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health management information data in the DB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the health management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 based on the individual bio-signal data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DB, When provided by the request, or periodically providing a health car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a message service such as SMS or email, Web service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또한, 본 발명의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은 생체신호 측정기기를 통해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저장하여, 장기간 저장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평소 건강관리 방법을 대면 상담이나 인터넷 웹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개인별로 제공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care servic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bio-signal data measured by 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based on the long-term stored bio-signal data, continuous consultation with the usual health care method or Internet web service It is characterized by the provision of individual users through.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르면 일상생활 장소나 야외에서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생체신호 측정기기를 통해 실시간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위험정도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위험에 처했을 경우, 즉시 응급구호를 요청하여 상황에 적절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안심하고 일상생활과 야외활동을 영위할 수 있게 하며,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저장하여 지속적인 건강관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건강을 유지하고 관리하거나 병원 등에서 진료 시에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determine the degree of risk based on the data measured in real time through a bio-signal measuring device attached to the user's body in a place or everyday life, if the user is in danger, immediately request emergency relief situation By taking appropriate measures, we can ensure daily life and outdoor activities with peace of mind, and store the measured biosignal data to provide information for continuous health management to maintain and manage our health or to provide data for medical treatment in hospitals. It can be usefully used.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기기의 생체신호 측정 및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모니터링 서비스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모니터링 서비스의 신호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모니터링 서비스에서 생체신호 측정결과가 정상이 아닐 경우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모니터링 서비스에서 낙오, 이탈로 판단될 경우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에서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개인별로 반영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1a and 1b is a block diagram of a safet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iological signa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iosignal measurement and processing process of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flow of a safety monito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safety monito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gnal processing process of a safety monito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process when a biosignal measurement result is not normal in a safety monito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processing process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ropout or departure is caused by a safety monito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and 9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process of reflecting and processing a biosignal measurement result for each individual in a health care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기기, 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Hereinafter, a biosignal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a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care service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foll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안전 safety 모니터링monitoring 시스템 system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1A and 1B are configuration diagrams of a safet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정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정상이 아닐 경우, 상세하게 구분된 위험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되는 지를 판단하여 자체적으로 경보를 출력하고 응급신호와 측정 데이터를 무선통신으로 전송할 수 있는 생체신호 측정기기(100)와,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위험상황에 처해있는 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생체신호정보 및 서비스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통합관리센터(200) 및,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신청을 받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관리하며, 서비스를 개시하고 수행하는 과정을 관리하는 서비스관리자(300)를 포함한다.The safet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s to the user's body and measures the bio-signal in real time to determine whether it is normal or not. A biosignal measuring device 100 capable of outputting an alarm and transmitting emergency signals and measurement data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ceiving the transmitted data to determine what dangerous situation the user is in, and the user's biosignal information and servic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200) for storing a variety of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service, and a service manager (300) to input and manage various user information required to provide a service by receiving a service application from the user, and to start and perform the service ).

사용자가 실버관광 등의 단체여행이나 등산, 외국인들로 구성된 의료관광 등 단체로 야외활동을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안전모니터링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요양원, 노인병원 등의 한정된 공간에서 단체로 사용할 경우에는 단체사용자를 관리하기 위한 그룹관리자(400)를 더 포함한다. If the user uses the safety monitoring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outdoor activities such as group tours such as silver tourism, mountain climbing, medical tourism composed of foreigners, or uses them as a group in a limited space such as a nursing home or an elderly hospital, It further includes a group manager 400 for managing users.

그룹관리자(400)는 단체여행일 경우 여행가이드, 등산일 경우 등산클럽 등의 운영자, 요양원이나 노인병원의 관리자 등이 이에 해당된다. 그룹관리자(400)는 그룹관리자 단말을 갖고 있다.The group manager 400 corresponds to a travel guide in case of a group trip, an operator of a climbing club in the case of mountain climbing, a manager of a nursing home or an elderly hospital, and the like. The group manager 400 has a group manager terminal.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생체신호 측정기기(100)를 신체에 착용하고 일상생활이나, 등산 등 다양한 야외 레저 활동 및 관광, 여행 활동 중에 자신의 생체신호를 주기적으로 실시간 측정하게 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wears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100 on his / her body and periodically measures his / her biosignal in real time during various outdoor leisure activities such as daily life, mountain climbing, tourism and travel activities.

생체신호 측정기기(100)는 여러 가지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정상구간과 위험구간으로 나누어 판단할 수 있다. 또 위험구간은 다시 여러 구간으로 나누어져 위험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처럼 생체신호별로, 위험구간별로 구분되어 측정된 생체신호 정보가 위급하다고 판단되면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통합관리센터(200)로 전송한다.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100 may measure various biosignals, and determine the biosignal 100 by dividing it into a normal section and a danger section. In addition, the risk interval can be divided into several sections to understand the degree of risk. As such,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easured biosignal information divided by the biosignal and the danger section is in an emergency,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2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통합관리센터(200)는 병원이나 응급의료를 전담하는 기관, 혹은 통신서비스나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등에 구비되어, 자체의 의료인력 등을 중심으로 한 전문가 시스템을 통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하게 된다. 통합관리센터(200)는 정보를 저장하는 DB(210)와 의료인 등 전문가가 참여하여 응급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모니터링센터(220)를 포함한다.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200 is provided to a hospital, an institution dedicated to emergency medical care, or a company that provides communication or welfare services, and determines the user's situation through an expert system centering on its own medical personnel. .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200 includes a DB 210 for storing information and a monitoring center 220 for determining whether an emergency is involved by a specialist such as a medical person.

통합관리센터(200)의 DB(210)에는 생체신호정보(211), 건강관리정보(212), 사용자정보(213), 관리자정보(214), 기기정보(215) 등이 저장되며, 서비스 이용을 위한 요금을 온라인으로 결재하기 위한 결재정보(216)를 더 포함한다. 이 결재정보는 사용자가 제공한 결재데이터를 외부의 결재 승인 기관 단말(800)을 통해 제공받아 처리하고 그 결과를 서비스관리자(300)에게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The DB 210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200 stores biosignal information 211, health care information 212, user information 213, administrator information 214, device information 215, and the like. The payment information 216 for the payment for the online payment further includes. The payment information is received and processed through the payment data provided by the user through the external payment approval authority terminal 800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service manager 300 to provide the service to the user.

생체신호정보(211)는 사용자별로 실시간 측정된 생체신호를 저장하는 개인별생체신호데이터(2111)와 각 생체신호별 정상구간과 위험구간을 구분하고, 위험구간을 보다 상세하게 여러 단계로 구분하여 비교 기준값으로 저장하는 생체신호 구간별데이터(2112)를 포함한다.The biosignal information 211 classifies the biosignal data 2111 for storing the real-time measured biosignal for each user and the normal section and the danger section for each biosignal, and compares the risk section in several steps in more detail. The biosignal section data 2112 may be stored as a reference valu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생체신호 측정기기(100)를 통해 측정된 생체신호가 위험구간으로 판단되어 전송된 데이터를 통합관리센터(200)의 모니터링센터(220)에서 수신하여 응급구호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유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된 구조 관계 기관 단말(600)과 의료 관계 기관 단말(700)에 응급신호와 함께 응급구호를 요청하고, 구호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위험상황에 처한 사용자를 신속히 구호하도록 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if the bio-signal measured by 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100 is determined to be a danger section and receives data transmitted from the monitoring center 220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200 to determine that emergency relief is necessary. The rescue related organization terminal 600 and the medical related organization terminal 700 connected to the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requests an emergency relief with an emergency signal, and provides information necessary for relief to promptly assist the user in danger.

서비스관리자(300)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안전모니터링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이를 제공해주기 위해 서비스에 필요한 실재적인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When the service manager 300 wants to use the safety monitoring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manager 300 performs the actual work required for the service to provide the same.

서비스관리자(300)는 본 발명의 서비스를 개통하고 유지, 관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은 기관이나 회사, 개인으로 이동통신사나 그 영업점, 여행사나 관광업 종사자, 등산용품이나 의류, 레저장비 등을 취급하는 회사나 그 영업점, 공항이나 터미널 등 교통, 운송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나 그 영업점 및 기타 기관, 단체, 개인이 이에 해당된다. The service manager 300 handles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or its sales office, a travel agency or a tourism worker, mountaineering goods, clothing, leisure equipment, etc. as an agency, a company, or an individual authorized to open, maintain, and manage th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ncludes a company that provides transportation, transportation services, such as a company, its branch office, an airport or a terminal, or its branch office and other organizations,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서비스관리자(300)는 서비스관리를 위한 관리프로그램(301)을 통해 유무선통신망으로 통합관리센터(200)에 연결되어 본 발명의 서비스와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서비스를 신청하면 서비스관리자(300)는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기기(31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시작하기 전에 초기값으로 입력한다. 이 초기값은 서비스를 사용한 후에 다시 측정하여 서비스 사용 전후의 생체신호를 비교하고 향후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사용할 경우 건강관리정보에 활용된다. 본 측정기기(310)는 일반적인 생체신호 측정장비로 혈압, 혈당, 맥박, 혈중산소포화도(SPO2), 혈류량 등을 측정하게 된다. 생체정보 초기값을 입력한 후, 서비스 이용요금 결재처리가 완료되면, 사용자가 사용하게 될 생체신호 측정기기(100)의 기기정보를 입력하고, 신청한 사용기간을 입력하여 서비스를 개시한다. The service manager 300 is connected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200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management program 301 for service management to perform a task related to th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applies for th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manager 300 inputs the initial value before starting the service using the measuring device 310 capable of measuring the biosignal. This initial value is measured again after using the service to compare the bio-signals before and after using the service, and is used for health care information when the service is used continuously in the future. The measuring device 310 is a general bio-signal measuring equipment to measure blood pressure, blood sugar, pulse, blood oxygen saturation (SPO2), blood flow and the like. After inputting the initial value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when the service fee payment processing is completed,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100 to be used by the user is input, and the requested period of use is input to start the service.

사용자가 본 발명의 서비스를 종료하면, 서비스관리자(300)는 통합관리센터(200)의 DB(210)로부터 생체신호정보(211)와 건강관리정보(212)를 제공받아, 서비스관리자 관리프로그램(301)을 통해 서비스내역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서비스내역은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한 내용과 생체신호관련 데이터, 본인에게 적합한 평소 건강관리 방법 등이 포함되어 사용자의 건강관리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When the user terminates th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manager 300 receives the biosignal information 211 and the health care information 212 from the DB 210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200, the service manager management program ( 301) outputs the service history and provides it to the user. This service history is useful for the user's health care, including the contents using th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io-signal related data, the usual health care methods suitable for the user.

생체신호 측정기기Bio signal measuring devic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기기(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기기(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여 여러 가지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센서(111~11n),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GPS(120), 생체신호 정보를 정상구간과 위험구간으로 나누어 설정값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30), 측정된 생체신호를 처리하는 정보처리부(140), 측정된 생체신호와 설정값을 비교하여 어느 구간에 해당되는 지 판단하는 이상판단부(131), 데이터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처리부(140), 생체신호를 측정하도록 하고, 무선통신부(170), 출력장치(180) 및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150), 사용자가 조작하여 위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비상호출버튼(160), 측정된 생체신호, 위치정보, 비상호출정보를 무선통신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170), 경보 신호음을 출력하는 출력장치(180), 정보와 경보내용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90)를 포함한다.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worn on a user's body to measure various biosignals, and may include biosensors 111 to 11n, GPS 120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normal sections of biosignal information. And the database 130 storing the setting value divided into the risk interval,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40 processing the measured biosignal, and the abnormal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which section corresponds to the measured biosignal and the setting value ( 131),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40 for processing data information, to measure the bio-signa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the output device 180 and the control unit 150 for controlling the display, the user operation to notify the emergency situation Emergency call button 16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for transmitting the measured bio-signal, location information, emergency call information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output device 180 for outputting the alarm signal sound, information and alarm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And a chin (190).

생체센서(111~11n)는 맥박, 혈중산소포화도(SPO2), 혈류속도 등의 생체신호와 활동량 측정, 낙상여부 감지 등 활동정보들을 측정하며 두 가지 이상의 생체신호를 측정함으로써 보다 상세하고 면밀한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살필 수 있도록 한다. The biometric sensors 111 to 11n measure biosignals such as pulse rate, blood oxygen saturation (SPO2), blood flow rate, and activity information such as activity measurement and fall detection, and measure two or more biosignals to provide a more detailed and detailed Make sure you look at your physical condition.

GPS(120)는 위치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게 한다. 주로 사용자의 위치정보는 개인 이용보다는 단체를 통한 이용의 경우에 활용되는데, 단체로 이용하는 그룹 사용자들의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특정 사용자의 위치가 설정된 임계치를 벗어날 경우, 길을 잃었거나 추락, 낙오된 것으로 파악하게 된다. 그룹 사용자가 아닌 개인의 경우에도 길을 잃어서 생체신호 측정기기(100)를 이용하여 비상호출버튼(160)을 눌러 도움을 요청할 경우, 신속히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구호를 제공하거나 위험을 벗어날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The GPS 120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user.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is mainly used in the case of group use rather than individual use. When the location of a specific user is out of the set threshold compared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group users used as a group, they are lost, fallen, or fallen. Figure out. Even if the individual is not a group user, if you get lost and ask for help by pressing the emergency call button 160 using 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100, the user may quickly find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provide relief or escape the danger. You can provide help.

데이터베이스(130)에는 사용자에게서 실시간 측정한 생체정보가 정상인지 아닌지 판단하기 위한 생체신호 데이터 설정값이 저장된다. 생체신호가 정상이 아닐 경우를 위험구간으로 분류하고, 이 위험구간은 두 단계 이상으로 구분되어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이를 통해 정상구간에서 벗어난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어느 정도의 위험수준인지를 생체신호 측정기기(100) 자체에서 판단하게 된다. The database 130 stores biosignal data setting value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d by the user in real time is normal. When the biosignal is not normal, it is classified as a danger section, and the danger section is divided into two or more steps and stored in the database 130. Through this,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100 itself determines how dangerous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deviates from the normal section.

이상판단부(131)는 측정된 생체신호를 데이터베이스(130)의 설정값과 비교하여 어느 구간에 해당되는 지를 판단한다. 여러 가지 종류의 생체신호별로 여러 단계로 나누어진 위험구간의 어느 단계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한다.The abnormality determining unit 131 compares the measured biological signal with a setting value of the database 130 and determines which section. Determining which stage corresponds to the risk section divided into several stages for different biosignals.

정보처리부(140)는 생체신호나 위치정보를 처리하여 이상판단부(131)를 통해 판단된 결과값이 정상이 아닐 경우 제어부(150)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고,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한다. The information processor 140 processes the biosignal or the location information, outputs a warning sound through the controller 150 when the result value determined by the abnormal determination unit 131 is not normal, and transmits the measured biosignal data. do.

제어부(150)는 기능을 제어하여 생체센서(111~11n)에서 생체신호를 측정하게 하고, 위험구간으로 판단되었을 때 출력장치(180)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고,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위험구간 화면을 표시하고, 생체신호 측정 데이터를 무선통신부(170)를 통해 전송하도록 한다.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function to measure the bio signals from the bio sensors 111 to 11 n, outputs a warning sound through the output device 180 when it is determined as a danger section, and outputs a danger through the display 190. The interval screen is displayed, and the biosignal measurement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비상호출버튼(160)은 측정된 생체신호의 이상여부와 관계없이 사용자가 조작하여 눌렀을 때, 응급신호를 무선통신부(170)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생체신호 측정기기(100)가 감지하지 못하는 신체이상을 자각하였거나, 길을 잃거나, 사고를 당했거나, 도둑, 강도 등의 침입을 받는 등 사용자가 위험상태에 처했을 때 스스로 조작하여 응급신호를 전송하도록 한다.The emergency call button 160 is to transmit an emergency sig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regardless of whether the measured biological signal is abnormal or not, and the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100 does not detect it. When the user is in a dangerous state, such as being aware of a physical abnormality, getting lost, having an accident, or being invaded by a thief or a robber, he or she may operate an emergency signal to transmit an emergency signal.

무선통신부(170)는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통합관리센터(200)의 DB(210)로 전송하며, 지그비, 적외선통신, UWB, 블루투스, 이동통신(CDMA/WCDMA), Wibro 중 하나이다. 이 중 장거리 무선통신이 아닌 지그비, 적외선통신, UWB, 블루투스 중 하나일 경우에는 별도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추가하여, 무선통신부(170)부터 전송받은 생체신호 데이터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통합관리센터(200)의 DB(210)로 전송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transmits the measured biological signal data to the DB 210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200, and is one of Zigbee, infrared communication, UWB, Bluetooth, mobile communication (CDMA / WCDMA), and Wibro. Among them, in the case of Zigbee, infrared communication, UWB, or Bluetooth, which is not long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n addi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dded, and the biosignal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is integra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sent to the DB 210 of.

출력장치(180)는 경고음을 출력하여, 사용자 본인이나 주변에 있는 사람에게 위험 상황을 알린다. 통상 소형스피커나 부저로 구성된다.The output device 180 outputs a warning sound to notify the user or a person in the vicinity of a dangerous situation. Usually composed of small speakers or buzzers.

디스플레이부(190)는 측정된 생체신호 정보나 위험상황 등을 화면으로 표시한다. LED나 LCD등의 화면 표시 장치로 구성된다.
The display 190 displays the measured biosignal information or the dangerous situation on the screen. Consists of a display device such as an LED or LC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기기의 생체신호 측정 및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생체신호 측정기기(100)를 통해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처리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iosignal measurement and processing process of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measuring, processing, and transmitting a biosignal through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100 is illustrated.

본 생체신호 측정기기(100)는 배터리를 사용하여 작동된다. 작동이 시작되면, 배터리 잔량을 확인(S101)하여 잔량이 부족할 경우, 화면에 배터리 경보화면 (예:‘잠시후OFF')을 표시(S111)하고 경고음을 출력(S112)하여 사용자에게 배터리 부족 사실을 알려 충전하거나 교체하여 기기를 사용하도록 한다.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100 is operated using a battery. When the operation starts, check the battery level (S101), if the remaining charge is low, displays a battery alarm screen (for example 'OFF after a moment') on the screen (S111) and outputs a warning sound (S112) to the user that the battery is low Inform the user to charge or replace the device to use it.

배터리 잔량에 이상이 없을 경우 생체신호 측정을 시작((S102)한다. If there is no abnormality in the battery level, the biosignal measurement starts (S102).

도 2의 생체센서(111~11n)들을 통해 생체신호를 측정함에 있어서, 측정된 생체신호값이 유효한 값이 아니거나, 측정값이 없을 경우 측정이 양호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S103)하여 측정불량 화면(예:‘다시착용하세요’)을 표시(S121)하고 이를 알리는 경고음을 출력(S122)하여 사용자가 생체신호 측정기기(100)를 다시 착용하여 정상적으로 생체신호를 측정하도록 한다.In measuring the biosignal through the biometric sensors 111 to 11n of FIG. 2, if the measured biosignal value is not a valid value or there is no measure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measurement is not good (S103). (Eg, 'Please wear it again') is displayed (S121) and a warning sound indicating this (S122) so that the user wears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100 again to measure the biosignal normally.

생체신호 측정기기(100)는 여러 가지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이상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각각의 생체신호가 정상인지 확인(S104~10n)하여 정상이 아닐 경우, 측정된 생체신호 값이 어느 단계의 위험구간에 해당하는지 판단((S131~13n)하여 해당되는 위험구간의 화면(예:‘조심하세요’, ‘야외활동삼가’, ‘응급구호요청’등)을 표시(S141~14n)하고 해당 경고음을 출력한 후 응급을 알리는 신호와 함께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전송한다.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100 determines various abnormalities by measuring various biosignals. If each of the bio-signals is normal (S104-10n), and if it is not normal, it is determined in which stage of the dangerous section the measured bio-signal value corresponds (S131-13n) to display the screen of the corresponding dangerous section (e.g., 'Caution', 'Refuse outdoor activities', 'emergency relief request', etc. (S141 ~ 14n) is displayed and outputs the corresponding warning sound and transmits the measured biological signal data along with the signal to inform the emergency.

측정된 생체신호가 정상일 경우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에 초기 설정된 정기 전송 주기 및 시간에 따라 정기 데이터를 전송할 시간인지를 확인(S105)하여, 전송할 시간이면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전송한다.If the measured biosignal is normal,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100 checks whether it is time to transmit the periodic data according to the periodic transmission cycle and time set initially (S105), and transmits the measured biosignal data if it is the transmission time.

본 발명 실시예처럼 생체신호의 위험구간을 세분화함으로써 사용자 본인에게 자신의 신체상황이 변동되고 있음을 주지시켜, 신체활동이나 자신이 놓인 상황에서 보다 안정을 취하거나 회복하도록 알려주는 데 효과가 있다. 또한 생체신호가 위험구간별로 변동되는 추이를 관찰함으로써 사용자 본인뿐만 아니라 통합관리센터(200)의 모니터링센터(220)에서 사용자의 신체상황이 어떻게 변화하는 지를 상세하게 알 수 있어 위험정도와 신체상황 변화속도를 파악하여 보다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
By subdividing the danger section of the bio-signal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ffective to inform the user that his or her physical situation is changing, so that the user can be more stable or recover in the physical activity or the situation in which he or she is placed. In addition, by observing the change in the bio-signal by danger section, not only the user but also the monitoring center 220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200 can know in detail how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changes, thereby changing the degree of risk and physical condition. Know your speed and react faster.

안전 safety 모니터링과Monitoring 건강관리 서비스 Health care service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모니터링 서비스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low of a safety monito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모니터링 서비스방법은 서비스관리자(300)가 사용자에게 안전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관리프로그램(301)을 통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등록(S01)단계, 생체신호 측정기기(100)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신호측정(S02)단계, 측정된 생체신호가 위험구간으로 판단될 경우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의 무선통신부(170)를 통해 통합관리센터(200)로 응급신호 및 측정된 생체신호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는 정보전송(S03)단계, 전송된 신호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인지를 파악하는 사용자 안전여부 판단(S04)단계, 사용자가 위험한 판단일 경우 관계기관에 구호를 요청하는 응급구호 요청 단계(S05), 사용자정보와 서비스처리 내역을 통합관리센터(200)의 DB(210)에 저장하는 처리결과 저장(S06)단계를 포함한다.Safety monitoring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manager 300, the user registration (S01) step of inputting information through the management program 301 to provide a safety monitoring service to the user, 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100 Signal measurement (S02) step of measuring the user's bio-signal in real time, if the measured bio-signal is determined to be a dangerous section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2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of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100 Information transmission (S03) step of transmitting the emergency signal and the measured bio-signal measurement data, user safety status determination (S04) step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a dangerous situation by analyzing the transmitted signal information, the relationship if the user is a dangerous judgment Emergency relief request step of requesting relief to the institution (S05), including the processing result storage (S06) step of storing the user information and service processing details in the DB 210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200).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본 발명의 서비스 내용을 출력하는 서비스내역출력(S07)단계를 더 포함한다.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rvice history output (S07) step of outputting the servic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to the user.

사용자에게 서비스내역을 출력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생체신호 데이터가 어떻게 변동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서, 향후 본인의 활동시 보다 유의하여 평소 자신의 건강을 유지하고 관리할 수 있다.
By outputting and providing the service history to the user, the user can check how his or her biosignal data has changed, and thus can maintain and manage his / her own health more seriously in future activitie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safety monito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본 발명의 안전 모니터링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서비스관리자(300)가 관리프로그램(301)에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본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safety monitoring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manager 300 uses the service by inputting the user's information into the management program 30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서비스 신청을 시작하면, 사용자가 본 서비스를 처음 사용하는 지 확인(S10)하여, 처음 사용하는 경우 상용자정보를 입력(S11)하고, 처음 사용하는 것이 아닐 경우, 통합관리센터(200)의 DB(210)에 저장된 사용자정보(213)를 확인(S101)하여, 변동사항이 있는지 확인(S102)한다. 변동사항이 있을 경우 사용자 정보를 수정하여 입력(S11)한다.When the service application is started in order to use th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hecks whether the user uses the service for the first time (S10), and inputs the commercial information when using the service for the first time (S11). The user information 213 stored in the DB 210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200 is checked (S101) to check whether there is a change (S102). If there is a change, the user information is corrected and input (S11).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개인의 인적사항을 포함하는 신상정보, 이전에 발병하였거나 치료받은 내용에 관한 병력정보, 주로 방문하는 주치병원정보, 본인 연락처나 비상 연락처 등을 포함하며, 단체이용인 그룹사용자일 경우 해당 사용자 그룹을 관리하는 그룹 관리자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입력된 정보는 통합관리센터(200)의 DB(210)에 사용자정보(213)로 저장된다.The user information includes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medical history information about previously incurred or treated contents, visited main hospital information, personal contact information or emergency contact information. And entering group manager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user group. The input information is stored as the user information 213 in the DB 210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200.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서비스관리자(300)는 측정기기(310)를 이용하여 혈압, 혈당, 맥박, 혈중산소포화도(SPO2), 혈류량 등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개인별 측정 데이터 초기값을 입력(S12)한다. 입력된 개인별 측정데이터는 통합관리센터(200)의 DB(210)에 생체신호정보(211)로 저장된다. 개인별 측정 데이터 초기값은 서비스를 개시하기 전 사용자의 신체상태를 확인하고, 서비스 사용 후와 비교하기 위한 자료로 사용되며, 향후 서비스 사용시 지속적으로 자료가 업그레이드된다.The user enters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service manager 300 measures the blood pressure, blood sugar, pulse rate, blood oxygen saturation level (SPO2), blood flow rate, etc. using the measuring device 310 and inputs the user's personal measurement data initial value (S12). do. The input personalized measurement data is stored as the biosignal information 211 in the DB 210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200. The initial value of individual measurement data is used to check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before starting service and to compare it with after using the service.

개인별 측정데이터를 입력(S12)하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요금을 지불하기 위해 결재방식을 선택(S13)한다. 카드결재인지 확인(S14)하여 카드결재일 경우 신용카드 정보를 입력(S15)하여 결재승인(S16)을 받고, 현금으로 결재하는 경우(S17)에는 현금을 수령(S17-1)한다. 결재가 완료되면 서비스를 위한 측정 장치인 생체신호 측정기기(100)를 제공받는 형태로 기기를 구입하는 기기판매형태인지 서비스 사용기간 동안만 빌려 쓰는 기기 임대 형태인지를 선택하여 등록한다. Input the individual measurement data (S12) and select a payment method (S13) to pay a fee for using the service. If the card payment is confirmed (S14), the credit card information is entered (S15) to receive the payment approval (S16), and when the payment is made in cash (S17), the cash is received (S17-1). When the payment is completed, it is registered by selecting whether the device sales form of purchasing the device in the form of receiving 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100, which is a measurement device for the service, or the device renting form for the service use period.

기기판매 형태일 경우, 사용자는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기기임대 형태일 경우, 서비스 사용기간 동안 서비스를 이용하고 기기를 반납한다. 이처럼 사용자가 기기를 꼭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만이 아니라, 사용기간만 임대할 수도 있도록 하여, 등산이나 다양한 레저 활동을 하는 야외나 관광, 여행지에서만 일시적으로 사용하거나, 외국에서 입국한 사용자가 국내에서 단기간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방법을 다양화할 수 있다. 기기정보를 입력(S18)한 후 사용자가 사용하게 될 생체신호 측정기기(100)의 고유번호를 입력(S18)하고, 서비스를 이용할 기간을 입력(S19)하여 종료일시를 입력한다. In the case of device sales, the user can continue to use the service. In the case of device rental, the user uses the service and returns the device during the service usage period. In this way, the user can not only purchase and use the device, but also rent it for a limited period of time, so that the user can temporarily use it in outdoor, tourism, or travel destinations for hiking or various leisure activities, or for a short time in Korea. You can diversify how you use it. After inputting device information (S18), a unique number of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100 to be used by the user is input (S18), a period for using the service is input (S19), and an end date and time is input.

사용기간 입력(S19)을 완료하면, 사용자에게 생체신호 측정기기(100)를 제공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한 안전 모니터링 서비스를 개시(S20)한다. 안전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 생체신호 측정기기(100)를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생체신호 데이터가 정상인지 아닌지, 정상이 아닐 경우 위험구간의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안전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사용자 안전여부 판단단계(S04)가 진행된다. Upon completion of the input period of use (S19),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100 is provided to the user to start the safety monitoring service measuring the biosignal (S20). While providing the safety monitoring service, the biosignal data measured in real time through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100 is normal or not, and if it is not normal, it is determined whether it corresponds to a dangerous section and whether the user is safe or not. The user safety status determination step (S04) is performed.

안전 모니터링 서비스(S20)를 제공하면서 현재의 시간이 종료시간이 되었는지를 확인(S30)하여, 종료시간이 아직 안되었으면, 서비스를 계속한다. 종료시간이 되지 않았더라도, 사용자가 기기를 반납(S50)하여 더 이상 서비스를 지속할 필요가 없을 경우는 종료한 것으로 간주한다. 서비스가 종료되면 서비스 사용기간을 연장할 것인지 확인(S40)하여, 연장 후 서비스를 지속할 경우, 결재단계를 다시 진행하여 서비스를 지속한다. While providing the safety monitoring service (S20), it is checked whether the current time has reached the end time (S30), and if the end time has not yet reached, the service continues. Even if the end time has not reached, it is regarded as the end when the user returns the device (S50) and no longer needs to continue the service. When the service is terminated, it is confirmed whether to extend the service use period (S40). If the service is continued after the extension, the payment process is continued again to continue the service.

서비스를 연장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처음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측정했던 방법과 동일하게 서비스관리자(300)가 측정기기(210)를 이용하여 혈압, 혈당, 맥박, 혈중산소포화도(SPO2), 혈류량 등의 개인별 측정 데이터를 다시 측정하여 입력(S60)한다. 입력된 데이터를 서비스 이용전의 데이터와 비교(S70)하여, 통합관리 센터(200)의 DB(210)에 전송(S80)하여 저장한다. 이렇게 저장된 서비스 이용 전후의 측정 데이터와 서비스 사용 기간에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 및 서비스 이용내역을 출력(S90)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출력된 정보는 사용자에게 평소 건강관리 및 병원 진료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If the service is not extended, the service manager 300 uses the measuring device 210 in the same manner as the user measured for using the service for the first time, blood pressure, blood sugar, pulse rate, blood oxygen saturation (SPO2), blood flow rate, etc. Re-measure the individual measurement data of the input (S60). The input data is compared with the data before using the service (S70), transmitted to the DB 210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200 (S80) and stored. The stored measurement data before and after using the service and the bio-signal data and the service usage history measured in the service use period are output (S90) and provided to the user. The output information can be useful to the user in the usual health care and hospital car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safety monito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사용자에게 안전모니터링서비스(S20)가 시작되면, 초기 생체신호 측정기기(100)의 DB(130)에 저장되어 있는 생체신호 구간을 설정(S201)할 수 있다.In FIG. 5, when the safety monitoring service S20 is started to the user, the biosignal interval stored in the DB 130 of the initial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100 may be set (S201).

생체신호 구간 설정은 서비스관리자(300)가 개인별 측정 데이터 초기값 입력(S12)시에 설정할 수 있으며, 별도의 생체신호 구간을 설정하지 않을 경우, 생체신호 측정기기(100)에 초기 설정되어있는 생체신호 구간을 기준으로 삼는다. 생체신호 구간을 설정(S201)하면,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개인인지, 단체로 사용하는 그룹 사용자인지를 확인(S202)하여 개인일 경우 생체신호 단계로 진행되며, 그룹사용자일 경우 위치 정보를 확인(S245)하여 그룹 내의 다른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비교(S246)한 후, 사용자의 위치정보가 동일 그룹 내의 다른 이용자들의 위치정보 평균치를 임계치 이상 벗어나는지를 확인(S247)하여 임계치 이상 벗어날 경우, 생체신호 측정기기(100)에 신호를 전송하여, 낙오/이탈 화면을 표시(S248)하고, 이탈 신호음을 출력(S249)하여, 사용자가 동일 그룹 내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음을 알리고, 위치정보 및 위급신호를 통합관리센터(200)로 전송(S250)하여 단순한 이탈인지, 조난이나 추락 등의 사고인지를 판단하게 하고, 필요시 응급구호 요청을 한다.The biosignal section setting may be set by the service manager 300 at the time of inputting individual measurement data initial value (S12). When the biosignal section is not set, the biosignal initially set in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100 may be set. Use the signal interval as a reference. When the biosignal section is set (S20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who uses the service is an individual or a group user who uses the group (S202), and if the individual is a biosignal step, the group user checks the location information ( S245) and compa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users in the group (S246), and checks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s out of the threshold value of the average valu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other users in the same group (S247), if the devi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bio-signal measurement Sending a signal to the device 100, to display a dropout / departure screen (S248), and outputs a departure signal sound (S249), indicating that the user is far from other users in the same group, location information and emergency signal It is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200) (S250)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simple departure, distress or crash, and if necessary, emergency relief requests.

그룹 사용자로 위치정보에 이상이 없거나, 개인 사용자일 경우, 생체신호 측정값을 확인(S204)한다. 생체신호 측정값은 생체신호 측정기기(100)를 통해 위험구간으로 판단될 경우, 응급신호와 함께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되어, 생체신호 측정값 확인(S204)단계를 거치게 되며, 위험구간으로 판단되지 않는 경우라도 생체신호 측정기기(100)에 설정된 정기 데이터 송신 주기에 따라 일정시간에 사용자의 생체신호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여, 생체신호 측정값을 확인(S204)하게 되고 사용자가 비상호출버튼(160)을 눌러 자신의 위험상황을 알려올 경우 응급신호와 함께 생체신호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여, 생체신호 측정값을 확인(S204)하게 된다. If there is no abnormality in the location information as the group user or the individual user,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is checked (S204). When the biological signal measurement value is determined as the danger section through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100, the emergency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mergency signal, and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is checked (S204). Even if not, the biosignal measurement data of the user is transmitted at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periodic data transmission cycle set in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100 to confirm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S204) and the user may call the emergency call button 160. Press to notify his or her danger situation by transmitting the bio-signal measurement data with the emergency signal, to confirm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S204).

전송된 생체신호 측정값을 통합관리센터(200)의 DB(210)에 저장된 생체신호정보(211)의 생체신호 구간별 데이터(2112)와 비교(S205)하여 측정된 생체신호가 정상구간인지 아닌지를 확인(S206)한다. 측정된 생체신호가 정상구간이 아닌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생체신호 측정기기(100)에 신호를 전송하여 응급 신호음을 출력(S219)하고, 사용자정보와 측정된 생체신호값을 응급신호와 함께 전송(S220)한다. 전송된 정보는 사용자 안전여부 판단(S04)단계를 통해, 어떠한 생체신호가 어떠한 위험구간에 해당되는지, 이를 통해 예상되는 신체상의 위험은 어떤 종류일 수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The transmitted biosignal measurement value is compared with the biosignal section data 2112 of the biosignal information 211 stored in the DB 210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200 (S205) to determine whether the measured biosignal is a normal section. Check (S206).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easured biosignal is not the normal section,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100 to output an emergency beep (S219), and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measured biosignal value are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emergency signal ( S220). The transmitted information is determined through the user safety determination step (S04), which biosignal corresponds to which danger section, and what kind of expected physical risk may be determined.

측정된 생체신호가 정상구간일 경우, 사용자 등록(S19)단계에 입력된 사용기간의 종료시간(S19)과 현재의 시간을 비교(S207)하여 종료시간 이내이면, 정기 데이터 전송시간 여부(S209)를 확인하여 사용자정보와 정기데이터를 통합관리센터(200)의 개인별 생체신호데이터(2111)로 전송하여 저장(S210)하고, 설정된 데이터 정기 전송시간이 아니면, 생체신호 측정을 계속한다. If the measured bio-signal is in the normal section, comparing the end time (S19) of the usage period inputted in the user registration step (S19) with the current time (S207), if it is within the end time, whether the regular data transmission time (S209) Check and transmit the user information and periodic data to the individual biosignal data 2111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200 and store it (S210), and if the set data transmission time is not regular, the biosignal measurement is continued.

현재의 시간이 설정된 종료시간일 경우 사용자정보와 생체신호 측정값을 통합관리센터(200)의 개인별 생체신호데이터(2111)로 전송하여 저장(S208)하고 서비스를 종료한다.
When the current time is the set end time,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are transmitted to the individual biosignal data 2111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200 and stored (S208) and the service ends.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모니터링 서비스에서 생체신호 측정결과가 정상이 아닐 경우와 사용자가 비상호출버튼(160)을 눌러 위험을 알려왔을 때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7A and 7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processing process when a biosignal measurement result is not normal in a safety monito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hen a user presses an emergency call button 160 to inform a danger. .

본 단계는 도 4의 사용자 안전여부 판단(S04)단계에서 생체신호 이상에 의한 안전여부 판단단계에 해당된다. This step corresponds to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safety due to the abnormal biological signal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user safety (S04) of FIG.

도 6의 안전 모니터링 서비스에서 생체신호 측정값과 정상구간을 비교(S205)하여, 정상구간이 아닌 경우, 사용자 정보와 생체신호 측정값을 응급신호와 함께 전송(S22)하면, 전송된 상용자 생체신호 측정 정보를 확인(S221)하여, 생체신호별로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 확인하는 단계(S221-10~S221-nn)를 진행한다. In the safety monitoring service of FIG. 6, when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is compared with the normal section (S205), and when it is not the normal section,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are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emergency signal (S22). The signal measurement information is checked (S221), and the step (S221-10 to S221-nn) of checking which section corresponds to each biosignal is performed.

생체신호는 그 종류별로 고유한 생체신호 코드(예를 들어 맥박:1, 혈중산소포화도:2, 혈류속도:3 ... 등)를 갖으며, 위험구간도 경미한 단계의 위험구간(1)부터 가장 위험한 단계의 위험구간(n)까지 세분하게 구분되어 저장된다. The biosignal has a unique biosignal code (for example, pulse rate: 1, blood oxygen saturation: 2, blood flow rate: 3 ..., etc.) for each type. The hazard sections (n) of the most dangerous stages are divided and stored in detail.

측정된 여러 종류의 생체신호 중 첫 번째 생체신호(예:1, 맥박)가 정상인지 아닌지를 확인(S221-10)하여, 정상이면 다음의 생체신호(예:2, 혈중산소포화도)가 정상인지 아닌지를 확인(S221-20)한다. Check whether the first biosignal (e.g. 1, pulse) is normal or not (S221-10) among the various types of biosignals measured, and if it is normal, the next biosignal (e.g. 2, blood oxygen saturation) is normal. Check whether or not (S221-20).

첫 번째 생체신호(예:1, 맥박)가 정상이 아닌 경우, 여러 단계로 구분되어 저장된 위험구간 중 첫 번째 위험구간에 해당하는지를 확인(S221-11)하고, 첫 번째 위험구간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두 번째 위험구간에 해당하는지를 확인(S221-12)한다. If the first biosignal (eg, pulse rate) is not normal, it is divided into several stages and checks whether it corresponds to the first danger section of the stored danger section (S221-11), and if it does not correspond to the first danger section. , Check whether it corresponds to the second danger section (S221-12).

이처럼 첫 번째 생체신호(예:1, 맥박)에 있어서, 여러 구간으로 설정된 위험구간별로 사용자 생체신호 측정값과 비교하여, 위험구간1부터... 위험구간n까지 확인(S221-11~S221-1n)하는 단계에서, 사용자 생체신호 측정값이 어느 위험구간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면, 이 경우에 해당되는 예상 신체 이상이나 질환 등의 결과값을 도출하게 된다. 이 결과값을 토대로 신체상황을 판단(S230)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응급구호를 제공할 것인지 결정(S224)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biosignal (eg, pulse), the danger section 1 to the danger section n are compared to the user biosignal measurement value for each danger section set in several sections (S221-11 to S221-). In step 1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bio signal measurement value corresponds to a certain danger section, a result value such as an expected physical abnormality or disease corresponding to this case is derived. The physical situa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resultant value (S230),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o provide emergency relief to the user (S224).

본 실시예처럼 여러 종류의 생체정보별로 세분화한 위험구간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 생체신호 측정값을 단계별로 비교하여 해당 위험구간을 판단하고 그 위험구간의 결과값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상황에 대해 보다 면밀하고 신중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By setting the risk intervals broken down by various types of biometric information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s bio-signal measurement values are compared step by step to determine the corresponding risk intervals and to closely examine the user's physical situation through the result of the danger intervals. You can judge carefully.

사용자의 생체신호 측정값이 모두 정상으로 판단될 경우, 생체신호측정값을 다시확인(S221)하고, 생체신호 측정값이 정상은 아니지만, 어떠한 위험구간에 해당되지도 않을 경우, 사용자에게 전화통화를 시도(S222)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S223)하고 구호결정(S224)을 한다. 사용자와 통화가 불가능할 경우, 그때까지 측정되었던 개인별 생체신호 데이터(2111)를 확인하여 신체상황을 판단(S230)하여 응급구호를 요청할 것인지 결정(S224)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all of the user's biosignal measurements are normal, the biosignal measurement is reconfirmed (S221), and if the biosignal measurement is not normal, but does not fall into any danger zone, call the user. At step S222, the user's status is checked at step S223, and a relief decision is made at step S224. When it is impossible to talk with the user, the individual bio-signal data 2111 measured up to that time is checked to determine the physical condition (S230) and determine whether to request emergency relief (S224).

사용자에게 응급구호를 제공하기로 결정하면, GPS(120)를 통한 위치정보를 확인(S225)하여 구호기관에 응급구호 출동요청을 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제공(S226)함으로써 조속히 응급구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의료관계기관에 사용자정보 및 생체신호 측정값을 통해 도출된 결과값으로 예상되는 상황에 관한 정보를 제공(S227)하여 보다 신속히 효과적으로 의료조치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If it is determined to provide emergency relief to the user, by check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GPS 120 (S225) to make an emergency relief dispatch request to the relief agency to provide the user's information (S226) as soon as possible to provide emergency relief. Also, b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expected situation as a result value derived from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to the medical institution (S227) to be able to receive medical measures more quickly and effectively.

이와 같은 응급구호 요청단계 후에 사용자가 지정한 가족 등 외부 관계인에게 처리결과를 SMS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전송(S228)하고 처리내역을 DB에 저장(S240)한 후 사용자 안전여부 판단(S04)단계 중 신체정보 이상에 의한 안전여부 판단단계를 종료한다. After such an emergency relief request step, the processing result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person such as a family designated by the user through an SMS text message (S228), the processing history is stored in a DB (S240), and the user is checked for safety (S04). The safety judgment due to the information abnormality ends.

응급구호 결정단계(S224)에서 응급구호가 불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경우 사용자 본인과 사용자가 지정한 가족 등의 외부 관계인에게 상황을 설명하는 SMS등의 메시지를 전송(S228)하고 처리내역을 DB에 저장(S240)한 후 사용자 안전여부 판단(S04)단계 중 신체정보 이상에 의한 안전여부 판단단계를 종료한다.
If it is determined in the emergency relief decision step (S224) that the emergency relief is unnecessary, send a message such as SMS to the user and external persons such as the family designated by the user (S228) and store the details of the processing in the DB. After (S240) the end of the user safety status determination (S04) step of determining whether safety due to abnormal body information.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모니터링 서비스에서 낙오, 이탈로 판단될 경우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8A and 8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processing process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ropout or departure is a safety monito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단계는 도 4의 사용자 안전여부 판단(S04)단계에서 위치정보 이상에 의한 안전여부 판단단계에 해당된다. This step corresponds to the safety status determination step by the position information abnormality in the user safety status determination (S04) step of FIG.

도 6에서 사용자의 위치정보가 그룹 내 다른 사용자의 위치정보 평균치를 임계치 이상 벗어날 경우 응급신호를 전송하고 위치정보 데이터를 전송(S250)한다.In FIG. 6,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deviates from the averag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average value of other users in the group or more, the emergency signal is transmitte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data is transmitted (S250).

위치정보를 통해 응급신호가 전송되면 사용자와 통화를 시도(S251)하여, 사용자와 통화가 되면, 사용자에게 자신의 위치가 그룹 내 다른 사용자들과 멀리 떨어져 있다는 사실을 알리고, 어떤 이유때문인지 문답을 통해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S252)하여 위급하다고 판단할 경우, 구호결정(S253)을 한다. When an emergency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an attempt is made to make a call with the user (S251). When the call is made with the user, the user is informed that his or her location is far from other users in the group, and the question and answer is for some reas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the user through the emergency (S252), and determines the relief (S253).

사용자와 통화를 시도(S251)하여 통화가 되지 않을 경우, 측정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확인(S261)하여, 사용자 정보 입력단계(S11)에 저장된 그룹관리자 연락처를 확인하여 전화통화를 하여 상황을 알리거나 비상 메시지를 전송(S262)하여, 사용자 그룹을 통해 현지에서 필요한 조치를 요청하고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제공(S263)하여 조치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If the call is not made by the user (S251),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is measured (S261), and the group manager contact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input step (S11) is checked to make a phone call to notify the situation. Or by sending an emergency message (S262), to request the necessary action locally through the user group and to provide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S263) to help the action.

그룹관리자를 통해 상황을 파악하여, 사용자가 처해있는 상황이 길을 잃은 것인지, 낙오나 이탈인지, 추락에 의한 사고인지를 판단(S264)하여 구호를 결정(S253)한다. Determine the situation through the group manager, determine whether the situation in which the user is lost, whether it is falling or falling away, accidents caused by falling (S264) to determine the relief (S253).

사용자에게 응급구호를 제공하기로 결정하면, 생체신호 이상에 의한 응급구호 단계와 동일하게 진행된다. If the user decides to provide emergency relief, the procedure proceeds in the same manner as the emergency relief due to abnormal biological signals.

GPS(120)를 통한 위치정보를 확인(S254)하여 구호기관에 응급구호 출동요청을 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제공(S255)함으로써 조속히 응급구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의료관계기관에 사용자 정보 및 상황에 관한 정보를 제공(S256)하여 보다 신속히 효과적으로 의료조치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Check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GPS 120 (S254) to provide emergency information to the relief agency to provide emergency user information (S255) to provide emergency relief as soon as possible, the user information and situation to medical institutions Provide information about (S256) to receive medical care more quickly and effectively.

이와 같은 응급구호 요청단계 후에 사용자가 지정한 가족 등 외부 관계인에게 처리결과를 SMS등의 메시지를 통해 전송(S257)하고 처리내역을 DB에 저장(S258)한 후 사용자 안전여부 판단(S04)단계 중 위치정보 이상에 의한 안전여부 판단단계를 종료한다. After such an emergency relief request step, the result of the processing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person such as a family designated by the user through a message such as SMS (S257), and the processing history is stored in a DB (S258), and then the position of the user's safety judgment (S04) is determined. The safety judgment due to the information abnormality ends.

응급구호 결정단계(S253)에서 응급구호가 불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경우 사용자 본인과 사용자가 지정한 가족 등의 외부 관계인에게 상황을 설명하는 SMS등의 메시지를 전송(S259)하고 처리내역을 DB에 저장(S258)한 후 사용자 안전여부 판단(S04)단계 중 신체정보 이상에 의한 안전여부 판단단계를 종료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emergency relief is unnecessary in the emergency relief determination step (S253), a message such as an SMS explaining the situ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and an external person such as a family designated by the user (S259) and the processing history is stored in the DB. After (S258) and the user safety status determination (S04) step of safety status determination due to abnormal body information ends.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에서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개인별로 반영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9A and 9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process of reflecting and processing a biosignal measurement result for each individual in a health care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안전 모니터링 서비스를 종료하면서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 측정된 생체신호데이터를 전송(S80)하면, 설정된 데이터 범위인 통합관리센터(200)의 DB(210)의 생체신호정보(211)에 저장된 생체신호 구간별 데이터(2112)와 비교하여, 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날 경우, 개인별 데이터범위를 보정하는 단계(S811)를 진행한다. In FIG. 5, if the user transmits the biosignal data measured while the user uses the service while terminating the safety monitoring service (S80), the biosignal information 211 of the DB 210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200, which is the set data range, is transmitted to the user. In comparison with the stored biosignal section-specific data 2112, when the set error range is out of range, the step of correcting the individual data range is performed (S811).

데이터 범위를 보정하는 단계(S811)는 생체신호 구간별 데이터(211)와 달리, 사용자의 생체신호 측정값이 위험구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신체상 아무런 이상이 없었거나, 정상구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신체상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에 해당 사용자의 측정 생체신호 데이터를 분석하여 보정값을 구해서 전문가의 확인(S812)을 통해 개인별 데이터범위를 변경(S814)하여 통합관리센터(200)의 DB(210)의 사용자정보(213)에 저장하여, 향후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사용자 자신에게 맞는 개인별 데이터 범위를 기준으로 안전상태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In the step of correcting the data range (S811), unlike the biosignal-specific data 211, there is no physical abnormality in spite of the user's biosignal measurement value being a danger section or an emergency situation in spite of the normal section. When it occurs, the user's information 213 of the DB 210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200 is changed by analyzing the measured biosignal data of the corresponding user, obtaining a correction value, and changing the individual data range through the expert's confirmation (S812). In the case of using th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uture, the safety status monitoring service is provided based on the individual data range suitable for the user.

통합관리센터(200)의 DB(210)의 생체신호정보(211)에 저장된 개인별 생체신호 데이터(2111)과 생체신호 구간별데이터(2112), 건강관리정보(212)를 통해 사용자 개인의 생체신호 데이터 구간별 건강관리정보를 수집(S803)하여, 사용자의 개인별 건강관리정보를 제공(S804)한다. The biosignal of the individual user through the biosignal data 2111 for each individual, the biosignal section data 2112, and the health care information 212 stored in the biosignal information 211 of the DB 210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200. Collecting health management information for each data section (S803), and provides the individual health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user (S804).

이 건강관리정보는 사용자의 동의를 구한 후, 정기적으로 SMS나 이메일 메시지 등을 통하여 사용자 본인에게 전달되거나 웹서비스 등을 통해 사용자 본인이 열람하거나 출력할 수 있어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개인의 건강관리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평소 건강관리를 위한 건강관리 서비스를 받게 된다. This health care information can be delivered to the user through SMS or e-mail messages on a regular basis after obtaining the user's consent, or can be viewed or printed by the user through a web service, etc. for continuous and consistent personal health care. You will receive this information or receive health care services for your usual health care.

이러한 사용자 개인별 데이터 범위 보정을 통한 개인별 데이터 범위 변경(S814)이나 개인별 건강관리정보(S804)는 통합관리센터(200)의 DB(210)의 사용자정보(213)에 저장되어, 향후의 서비스 이용시에, 혹은 사용자 본인의 건강관리에 사용된다. The personal data range change (S814) or the personal health care information (S804) through the user's personal data range correction is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213 of the DB 210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200, and when the service is used in the future. Or for your own health care.

이처럼 생체신호와 위치정보를 실시간 측정할 수 있는 생체신호 측정기기(100)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상, 신체상, 위치상 안전 여부를 수시로 확인함으로써, 일상생활 중이나 등산, 여행, 관광 등의 야외활동 중 갑작스런 위험에 처할 경우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상세하고 면밀한 판단단계를 신속히 진행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위험에 처했는지를 판단하여 조속히 응급구호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100 capable of real-time measurement of biosignals and location information checks the health, physical and location safety of the user at any time, during daily activities or during outdoor activities such as hiking, travel, and tourism. In case of sudden danger, it is automatically detected, and detailed and detailed judgment steps can be carried out quickly to determine what kind of danger the user is in, so that emergency relief can be promptly taken.

이와 더불어 사용자에게서 지속적으로 측정된 생체신호와 운동량 등의 정보를 활용하여, 향후 사용자의 평소 건강관리에 적극 활용이 가능하며, 건강상의 이상으로 인해 의료기관에 방문하였을 경우, 본 생체신호 측정 데이터를 활용하면 진료시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어 사용자의 평소 건강상태를 충분히 파악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information such as the vital signal and exercise amount continuously measured from the user, it is possible to actively use in the future health management of the user, if the visit to the medical institution due to health problems, this bio-signal measurement data is used This can be used as a useful data in the treatment can be a great help in understanding the user's usual health status.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기기(100), 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Althoug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a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care service method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possible to perform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lso belong to the invention.

100: 생체신호 측정기기
111 ~ 11n: 생체센서
120: GPS
130: DB
131: 이상판단부
140: 정보처리부
150: 제어부
160: 비상호출버튼
170: 무선통신부
180: 출력장치
190: 디스플레이
200: 통합관리센터
210: DB
220: 모니터링센터
300: 서비스관리자
301: 관리프로그램
310: 측정기기
400: 그룹관리자
500: 유무선통신망
600: 구조 관계 기관 단말
700: 의료 관계 기관 단말
800: 결재 승인 기관 단말
100: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111 ~ 11n: biosensor
120: GPS
130: DB
131: abnormal judgment
140: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50: control unit
160: emergency call button
17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80: output device
190: display
200: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210: DB
220: monitoring center
300: service manager
301: management program
310: measuring instrument
400: group manager
500: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600: rescue related organization terminal
700: medical institution
800: payment approval authority terminal

Claims (34)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센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GPS;
생체신호 정보를 정상구간과 위험구간으로 나누어 설정값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B);
상기 측정된 생체신호를 처리하는 정보처리부;
상기 처리된 생체신호 정보가 DB의 정상구간인지 위험구간인지를 판단하는 이상판단부;
상기 생체신호를 측정하도록 하고, 무선통신부, 출력장치 및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
위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비상호출버튼;
상기 측정된 생체신호, 위치정보, 비상호출정보를 무선통신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
경보 신호음을 출력하는 출력장치; 및
정보와 경보내용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측정기기.
A biosensor worn on a user's body to measure a bio signal;
GPS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 database (DB) storing the set value by dividing the biosignal information into a normal section and a danger section;
An information processor configured to process the measured biosignal;
An abnormality determining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processed biosignal information is a normal section or a dangerous section of the DB;
A controller configured to measure the bio-signal and control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 output device, and a display;
Emergency call button to inform the emergency situa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measured biological signal, location information, and emergency call informa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an alarm tone; And
And a display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alarm contents on a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생체센서는 맥박, 혈중산소포화도(SPO2), 혈류속도 중 두 가지 이상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측정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biosensor measures a biosignal of at least two of pulse rate, blood oxygen saturation level (SPO2), and blood flow rate.
제2항에 있어서,
생체센서는 활동량 측정, 낙상여부 감지를 더 포함하는 생체신호 측정기기.
The method of claim 2,
Biological sensor is a bio-signal measur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ctivity measurement, fall detection.
제1항에 있어서,
위험구간은 두 단계 이상으로 구분되어 DB에 저장되고 상기 측정된 생체신호가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를 이상판단부에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측정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anger zone is divided into two or more steps, and stored in a DB, and the abnormality determining unit determines which section the measured biosignal corresponds to.
제1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은 지그비, 적외선통신, UWB, 블루투스, 이동통신(CDMA/WCDMA), Wibro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측정기기.
The method of claim 1,
Wireless communication is a ZigBee, infrared communication, UWB, Bluetooth, mobile communication (CDMA / WCDMA), a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the Wibro.
제5항에 있어서,
지그비, 적외선통신, UWB, 블루투스 중 하나일 경우 별도의 이동통신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생체신호 측정기기.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case of Zigbee, infrared communication, UWB, Bluetooth, a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eparat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정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정상이 아닐 경우, 상세하게 구분된 위험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되는 지를 판단하여 자체적으로 경보를 출력하고 응급신호와 측정 데이터를 무선통신으로 전송할 수 있는 생체신호 측정기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위험상황에 처해 있는 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생체신호정보 및 서비스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통합관리센터; 및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신청을 받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관리하며, 서비스를 개시하고 수행하는 과정을 관리하는 서비스관리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니터링 시스템.
It attaches to the user's body and measures the bio-signal in real time, and judges whether it is normal or not. If it is not normal, it judges which section of the dangerous section classified in detail and outputs the alarm itself and measures the emergency signal and measurement. A biosignal measuring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that receives the transmitted data to determine what danger situation the user is in, and stores the user's biosignal information and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service; And
Safety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 service manager for receiving a service request from the user to input and manage a variety of user information necessary to provide a service, and manages the process of starting and performing the service.
제7항에 있어서,
서비스를 단체로 이용하는 사용자 그룹을 관리하는 그룹관리자를 더 포함하는 안전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Safety monitoring system further comprises a group manager for managing a group of users using the service as a group.
제7항에 있어서,
서비스관리자는
사용자 정보 관리;
개인별 생체신호 측정데이터 초기값 입력 관리;
결재처리관리;
기기정보입력관리;
사용기간입력관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Service Manager
User information management;
Input management of individual biosignal measurement data initial values;
Payment processing management;
Device information input management;
Term input management;
Safety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통합관리센터는
측정된 생체정보와 서비스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DB;
응급구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니터링센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DB for storing the measured biometric information and various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service;
Monitoring centers providing emergency services;
Safety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통합관리센터의 DB는 생체신호정보, 건강관리정보, 사용자정보, 관리자정보 및 기기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DB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safety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biosignal information, health care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administrator information and device information.
제11항에 있어서,
통합관리센터의 DB는 결재정보를 더 포함하는 안전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DB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is a safety monitoring system that further includes payment information.
제11항에 있어서,
생체신호정보는
사용자별 생체신호 측정기기를 통해 전송된 개인별 생체신호 데이터; 및
생체신호 위험구간별 예상 가능한 신체상의 위급상황이나 질환과 같은 원인을 분류하여 저장한 생체신호 구간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The biosignal information
Personal biosignal data transmitted through a biosignal measuring device for each user; And
Safety signal system comprising a; bio-signal interval data stored by classifying the causes, such as foreseeable physical emergencies or diseases for each bio-signal danger section.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 서비스를 요청하는 사용자 등록 단계;
생체신호 측정기기를 통해 생체신호와 위치정보 신호를 수집하는 신호 측정 단계;
생체신호 측정기기에서 위험구간으로 판단하여 통합관리센터로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전송단계;
전송된 신호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인지를 파악하는 사용자 안전여부 판단 단계;
사용자가 위험한 판단일 경우 관계기관에 구호를 요청하는 응급구호 요청 단계; 및
사용자정보와 서비스처리 내역을 통합관리센터에 저장하는 처리결과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A user registration step of requesting a service by inputting user information;
A signal measuring step of collecting a biosignal and a location information signal through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data information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by determining that 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is a danger section;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safe by analyzing the transmitted signal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in a dangerous situation;
Emergency relief request step of requesting relief from the authorities when the user is in danger; And
And a processing result storage step of storing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service processing history in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제14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개인별 서비스처리 결과와 생체신호 측정 결과를 출력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내역 출력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care service method further comprising a service history output step of outputting and providing the individual service processing results and bio-signal measurement results to the user.
제14항에 있어서,
사용자 등록 단계는
사용자 신상정보, 병력정보, 주치병원, 비상연락처와 같은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정보입력단계;
신용카드나 현금지급을 통해 결재를 처리하는 결재처리단계; 및
사용할 생체신호 측정기기의 고유번호를 입력하는 기기정보입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user registration step is
A user information input step of inputting information such as user profile information, medical history information, a primary care hospital, and emergency contact information;
A payment processing step of processing a payment by credit card or cash payment; And
Device information input step of inputting a unique number of the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to be used;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care service method comprising a.
제16항에 있어서,
서비스관리자가 사용자 본인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입력하여 통합관리센터 DB에 저장할 수 있도록,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통합관리센터에 직접 연결되는 전용 관리프로그램을 통해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care servic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through the management program directly connected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o that the service manager receives the information from the user himself can be stored in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DB .
제16항에 있어서,
결재처리단계에서 신용카드 결재 승인, 혹은 현금 수령이 완료되면, 기기정보입력단계를 통해 등록한 생체신호 측정기기를 제공하여 서비스를 개시하는 서비스 개통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When the credit card payment approval or cash receipt is completed in the payment processing step,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a service opening step of starting a service by providing a biosignal measuring device registered through the device information input step.
제18항에 있어서,
서비스관리자가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개통하기 위하여, 생체신호 측정기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생체 신호 측정기기 비용 전체를 일시불이나 할부로 결재하고 기기를 제공하고 서비스를 개통하는 기기 판매형태;와
입력된 사용기간에만 생체신호 측정기기를 대여하고, 종료일시 이전에 기기를 회수하여 사용기간에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 임대형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8,
In providing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in order for a service manager to open a service to a user,
Device sales form that pays the entire cost of 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as a lump sum or installment, and provides the device and opens the service; and
A device rental form that rents a biosignal measuring device only for an input period of use, collects the device before the end date, and provides a service only for the period of use; medium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care servic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one.
제19항에 있어서,
서비스관리자가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개통하기 위하여, 생체신호 측정기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있어서, 서비스를 접수하고 기기를 전달하는 장소는,
등산로 등을 포함하는 야외 공간, 공항, 터미널 등의 운송서비스 장소, 이동통신 매장, 스포츠 레저 용품매장, 아웃도어 스포츠 의류매장, 여행사, 병원 등의 의료기관, 편의점, 커피전문점 등 테이크아웃 매장 또는 공원 관리 사무소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In providing 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to the user in order to open the service to the user, the service manager receives the service and delivers the device to the user.
Takeaway shops or park management such as outdoor spaces including hiking trails, transportation service places such as airports and terminals, mobile communication stores, sports leisure goods stores, outdoor sports clothing stores, travel agencies, medical institutions such as hospitals, convenience stores, coffee shops, etc. Method of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care services,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the offices.
제16항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입력단계에
사용자의 혈압, 혈당, 맥박, 혈중산소포화도(SPO2), 혈류량 등 주요 생체신호를 서비스 개시 전에 측정하여 입력하는 개인별 측정데이터 초기값 입력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In the user information input step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car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entering the initial measurement data for the individual personal data, such as blood pressure, blood sugar, pulse rate, blood oxygen saturation (SPO2), blood flow before the start of the service.
제16항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입력단계에
사용자가 개인으로 사용하는지, 단체가 함께 사용하는지 입력하는 개인/그룹 여부 입력을 더 포함하는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In the user information input step
The method of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care further comprising inputting whether the user is used as an individual or with a group.
제22항에 있어서,
단체가 함께 사용할 경우, 사용자 그룹을 관리하는 그룹관리자 정보 입력을 더 포함하는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22,
The method of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care further comprising the input of group manager information to manage the user group when the group is used together.
제16항에 있어서,
서비스 종료일시를 입력하는 사용기간 입력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care service method further comprising a period of use input step of entering the service end date.
제14항에 있어서,
정보전송단계는
생체신호 측정기기에서 위험구간으로 판단하여 응급신호를 전송하거나, 설정된 시간에 정기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실내외 어디서나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을 통해 통합관리센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Information transfer stage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characterized in that 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transmits an emergency signal by judging as a danger zone, or regularly transmitting data at a set time,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at can be communicated anywhere, indoors and outdoors. Management service method.
제14항에 있어서,
사용자 안전여부 판단 단계는
생체신호 측정기기를 통해 위험구간으로 판단되어 전송된 생체신호 측정값을 통합관리센터 DB의 생체신호 구간별데이터와 비교하여, 측정된 생체신호별로 정상구간인지 아닌지, 정상구간이 아닐 경우 어느 단계의 위험구간인지를 판단하여, 결과값을 도출하고 그 결과값으로 예측 가능한 신체상황 결과값을 고려하여 응급구호 요청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User safety judgment step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determined and judged as a danger section by 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is compared with the biosignal section data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DB to determine whether the measured biosignal is a normal section or not. A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care service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an emergency relief request is made by determining whether it is a danger section, deriving a result value, and considering the predictable physical situation result value.
제26항에 있어서,
사용자 안전여부 판단 단계에
개인/그룹여부를 확인하여 그룹 사용자일 경우, GPS를 통해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동일 그룹 내 다른 사용자 위치와 비교하고, 사용자와 그룹 내 다른 사용자와의 거리가 설정된 일정거리 이상일 경우, 위급상황으로 판단하는 낙오/이탈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26,
At the user safety level
If you are a group user by checking the individual / group status, check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GPS, compare it with other user's location in the same group, and if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other users in the group is more than the set distance, The method of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care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judging outfall / deviation.
제27항에 있어서,
사용자와 그룹 내 다른 사용자와의 거리가 설정된 일정거리 이상일 경우에는 등록된 그룹관리자를 통해 사용자가 처해있는 상황을 파악하여 현장 조치를 요청하거나, 응급구호 요청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27,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other users in the group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afety monitoring system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in a situation through the registered group manager or request an on-site action or determine whether an emergency relief request is made. How to Care.
제14항에 있어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현재시간을 확인하여 종료일시를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여, 경과하였을 경우 연장여부를 확인하고 연장처리하여 서비스를 지속하거나, 연장하지 않을 경우,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서비스를 종료하도록 하는 사용기간 확인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Check the current time that the service is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the end date and time has passed, and if it has elapsed, check whether it is extended and continue the service by extending the service or, if not, transmit the measured data and terminate the service. A method of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care services further comprising a period of use verification.
제14항에 있어서,
서비스 사용기간 내에 서비스를 종료하기 원하거나, 등록한 종료일시에 기기를 반납하고 서비스를 종료할 경우,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하여 통합관리센터의 DB에 생체신호정보를 저장하고, 기기를 회수함으로써 서비스를 종료 처리하여, 해당 기기에 모니터링서비스가 계속되지 않게 관리하는 서비스 종료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If you want to terminate the service within the service period, or return the device at the registered end date and terminate the service, send the measured data to save the biosignal information in the DB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and retrieve the device. The process of termination, the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care service method further comprising a service termination step of managing the monitoring service does not continue on the device.
제30항에 있어서,
서비스 종료단계에
개인별 측정데이터 초기값으로 측정한 생체신호 항목인 혈압, 혈당, 맥박, 혈중산소포화도(SPO2), 혈류량 등을 재측정하여, 초기값과 비교한 자료를 통합관리센터 DB의 생체신호정보에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전후 비교 데이터 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30,
At the end of the service
Re-measure blood pressure, blood sugar, pulse rate, blood oxygen saturation (SPO2), and blood flow, which are the biological signal items measured by the initial value of individual measurement data, and store the data compared with the initial value in the bio signal information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DB. Safety and health care servic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a comparison data before and after the service to output to the user.
제30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서비스를 종료하여 서비스 이용기간동안 측정된 데이터가 통합관리센터의 DB에 개인별 생체신호 데이터로 저장되면, 생체신호 구간별 데이터와 비교하여 생체신호의 데이터 구간을 오차범위 이상 벗어날 경우, 의료인등 전문가 확인을 통해 사용자의 개인별 생체신호 데이터에 위험구간 데이터범위를 변경하는 개인별 데이터 범위 보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30,
When the user terminates the service and the data measured during the service usage period are stored as personal biosignal data in the DB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when the data section of the biosignal is out of the error range by comparing with the data of the biosignal section, the medical personnel, etc. The method of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care service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rrecting the individual data range to change the danger interval data range to the user's personal biosignal data through expert identification.
제14항에 있어서,
통합관리센터 DB의 개인별 생체신호 데이터를 기준으로 사용자 개인별 특성에 적합한 건강관리정보를 통합관리센터의 DB에 있는 건강관리정보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요청하였을 때 제공하거나, 정기적으로 SMS등의 메시지서비스나 이메일, 웹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개인에게 제공해주는 건강관리 정보 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Based on the bio-signal data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DB, the health management information suitable for each user's personal characteristics is provided when the user requests it by using the health management information data in the DB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or a message such as SMS is regularly A method of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care service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health care information to a user through a service, email or web service.
제14항에 있어서,
생체신호 측정기기를 통해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저장하여, 장기간 저장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평소 건강관리 방법을 대면 상담이나 인터넷 웹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개인별로 제공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Safety monitoring, characterized in that by storing the bio-signal data measured by 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based on the bio-signal data stored for a long time, provides a continuous health care method for each user through face-to-face consultation or Internet web service How to Care.
KR1020100029398A 2010-03-31 2010-03-31 Device for measuring physiological signals,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service method for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management using the same KR2011010960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398A KR20110109603A (en) 2010-03-31 2010-03-31 Device for measuring physiological signals,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service method for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management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398A KR20110109603A (en) 2010-03-31 2010-03-31 Device for measuring physiological signals,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service method for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management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603A true KR20110109603A (en) 2011-10-06

Family

ID=45391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9398A KR20110109603A (en) 2010-03-31 2010-03-31 Device for measuring physiological signals,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service method for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management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9603A (en)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506B1 (en) * 2011-12-06 2013-07-22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One pass system usng activitiy information and method therof
KR20140005527A (en) * 2012-07-04 2014-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user lifestyle based on model
KR20140123305A (en) * 2013-04-12 2014-10-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System for providing comtext awareness based outdoor activity suppporting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utdoor activity suppporting service in the system
KR20150105783A (en) 2014-03-10 2015-09-18 이찬석 Wrist terminal for prevention of sudden death and system for prevention of sudden death using the same
KR20160080005A (en) 2014-12-29 2016-07-07 오창호 Human health state measurement unit
KR101691142B1 (en) * 2015-07-22 2017-01-09 주식회사 이피텍 Wearable smartband
KR20180025498A (en) * 2016-08-31 2018-03-0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medical providing service method set by user based on big-data
KR20180042894A (en) * 2016-10-18 2018-04-2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walking activity prediction service for exercise motive
KR101897236B1 (en) * 2017-11-17 2018-09-10 (주)아이오티뉴테크 Monitoring system for preventing accident using smart band and smart band therefor
KR101978836B1 (en) * 2019-03-29 2019-05-15 (주) 더파워브레인스 Method for monitoring biological data using wearable sens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WO2019134013A1 (en) * 2018-01-08 2019-07-11 Imran Bonser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an emergency response notification
WO2019231233A1 (en) * 2018-05-30 2019-12-05 주식회사 아모텍 Position track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low power geofence service
CN111640502A (en) * 2020-05-29 2020-09-08 口碑(上海)信息技术有限公司 Distribution object health state detection method and device
CN111868796A (en) * 2018-05-30 2020-10-30 阿莫技术有限公司 Location trac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w power geofencing services
KR102216060B1 (en) * 2020-11-25 2021-02-16 주식회사 리앙커뮤니케이션즈 Monitoring verification system for suspected infectious diseases using virtual data
US10956956B2 (en) 2012-08-17 2021-03-23 Ebay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recommendations based on wearable sensors
KR20210041954A (en) * 2019-10-08 2021-04-16 (주)이지정보기술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rmful environment notification service through collection and analysis of work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biometrics information of workers
KR20220084624A (en) * 2020-12-14 2022-06-21 주식회사 아이센스 Sensor unit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WO2022215852A1 (en) * 2021-04-08 2022-10-13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rrecting fall detection in electronic device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506B1 (en) * 2011-12-06 2013-07-22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One pass system usng activitiy information and method therof
KR20140005527A (en) * 2012-07-04 2014-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user lifestyle based on model
US10956956B2 (en) 2012-08-17 2021-03-23 Ebay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recommendations based on wearable sensors
US11869061B2 (en) 2012-08-17 2024-01-09 Ebay Inc. System and methods for recommendations based on wearable sensors
KR20140123305A (en) * 2013-04-12 2014-10-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System for providing comtext awareness based outdoor activity suppporting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utdoor activity suppporting service in the system
KR20150105783A (en) 2014-03-10 2015-09-18 이찬석 Wrist terminal for prevention of sudden death and system for prevention of sudden death using the same
KR20160080005A (en) 2014-12-29 2016-07-07 오창호 Human health state measurement unit
KR101691142B1 (en) * 2015-07-22 2017-01-09 주식회사 이피텍 Wearable smartband
KR20180025498A (en) * 2016-08-31 2018-03-0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medical providing service method set by user based on big-data
KR20180042894A (en) * 2016-10-18 2018-04-2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walking activity prediction service for exercise motive
KR101897236B1 (en) * 2017-11-17 2018-09-10 (주)아이오티뉴테크 Monitoring system for preventing accident using smart band and smart band therefor
WO2019134013A1 (en) * 2018-01-08 2019-07-11 Imran Bonser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an emergency response notification
US11310630B2 (en) 2018-05-30 2022-04-19 Amotech Co., Ltd. Position track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low power geofence service
CN111868796A (en) * 2018-05-30 2020-10-30 阿莫技术有限公司 Location trac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w power geofencing services
WO2019231233A1 (en) * 2018-05-30 2019-12-05 주식회사 아모텍 Position track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low power geofence service
KR101978836B1 (en) * 2019-03-29 2019-05-15 (주) 더파워브레인스 Method for monitoring biological data using wearable sens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KR20210041954A (en) * 2019-10-08 2021-04-16 (주)이지정보기술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rmful environment notification service through collection and analysis of work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biometrics information of workers
CN111640502A (en) * 2020-05-29 2020-09-08 口碑(上海)信息技术有限公司 Distribution object health state detection method and device
CN111640502B (en) * 2020-05-29 2023-08-22 口碑(上海)信息技术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health state of delivery object
KR102216060B1 (en) * 2020-11-25 2021-02-16 주식회사 리앙커뮤니케이션즈 Monitoring verification system for suspected infectious diseases using virtual data
KR20220084624A (en) * 2020-12-14 2022-06-21 주식회사 아이센스 Sensor unit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WO2022131472A1 (en) * 2020-12-14 2022-06-23 주식회사 아이센스 Body-attachable device for continuously measuring biometric data
WO2022215852A1 (en) * 2021-04-08 2022-10-13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rrecting fall detection in electron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9603A (en) Device for measuring physiological signals,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service method for safety monitoring and health management using the same
US10820069B2 (en) Computer-aided dispatch systems and methods utilizing biometrics to assess responder condition and suitability
US91473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hospital workflow compliance with a hand hygiene network
JP2007020971A (en)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nd program for administering physical condition
US20180008169A1 (en) Analysis of fall severity of fall detection system and wearing apparatus
CN103605911A (en) Intelligent community health care system control metho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JP2010530784A (en) Personal virtual assistant
JP2002073990A (en) System for adjusting content of insurance
US20200279654A1 (en) Software, health status determination device and health status determination method
EP2914161B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of a body function and/or a body property
KR101634738B1 (en) Wrist terminal for prevention of sudden death and system for prevention of sudden death using the same
KR101192848B1 (en) Power saving type bio-signal monitering system
WO2020038471A1 (en) Intelligent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for physiological data
KR100693861B1 (en) System and metod for physical measurement of measuring device for integration healthcare and physical measuring device
KR20020005888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mote health care service
CN106777869A (en) A kind of intelligent cloud doctor based on intelligent medical bed supports system
KR20200030360A (en) Worker healthcare system based on smart care band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896293B1 (en)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insurance
KR102079924B1 (en) A platform system for monitoring regional senior safety and a method using the same
JP2000166881A (en) Medical management system for individuals
AU20222013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iding an operator in an emergency situation involving a patient
KR102482152B1 (en) Personalized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user classification
KR101708727B1 (en) System for the early detection of life-threatening conditions of persons
CN115295141A (en) Chronic disease management service system
KR101576500B1 (en) Health care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bjective in emotional safety culture of work fie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