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8035A -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handover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handover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8035A
KR20110108035A KR1020100027305A KR20100027305A KR20110108035A KR 20110108035 A KR20110108035 A KR 20110108035A KR 1020100027305 A KR1020100027305 A KR 1020100027305A KR 20100027305 A KR20100027305 A KR 20100027305A KR 20110108035 A KR20110108035 A KR 20110108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terminal
internet network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3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7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8035A/en
Publication of KR20110108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03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58Transmission of hand-off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 핸드오버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무선인터넷망으로의 접속 요청 신호에 따라 무선인터넷망으로의 접속을 수행하는 무선인터넷망 접속부, 이동통신망 및 접속된 상기 무선인터넷망의 신호 세기를 비교하는 신호 비교부, 및 상기 신호 비교부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무선인터넷망의 신호 세기가 상기 이동통신망의 신호 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연결중인 음성 통화를 상기 무선인터넷망으로 전환하는 핸드오버 제어부를 포함한다.Disclosed ar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handover method there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ignal for compar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connection unit for performing a connection to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ording to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nnected wireless Internet network. A comparison unit and a handover control unit for converting a voice call connec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when the signal strength of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is greater than the signal strengt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includes.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 핸드오버 방법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handover method thereof}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handover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이종망간 핸드오버 방법과 관련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handover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일반적으로, 이동통신이라 하면 셀룰러 네트워크 등을 이용한 음성 통화만을 의미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에는 이와 같은 전통적인 의미의 이동통신 이외에 VoIP 등을 이용한 다양한 이동통신 방법이 등장하고 있다.In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generally means only a voice call using a cellular network. Recently,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using VoIP and the like have appeared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무선인터넷망을 이용한 VoIP 음성 통화의 경우 셀룰러망 등을 이용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음질의 열화가 거의 없으면서도 저렴한 가격에 통화가 가능하므로, 최근 들어 무선인터넷망이 연결되는 구간에서는 무선인터넷망을 통하여 음성통화를 수행하려는 사용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 사업자의 입장에서도 무선인터넷망으로 음성 통화를 전환할 경우 이동통신망의 과부하 등을 일정 정도 줄일 수 있으므로 이동통신망 및 무선인터넷망을 동시에 사용 가능한 단말기의 보급을 확대하고 있는 상황이다.In the case of VoIP voice call using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the call can be made at a low price without any deterioration in sound quality compared to the method using the cellular network. More and more users are trying to make calls.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when the voice call is switched to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the overlo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reduced to some extent, and thus, the spread of terminals that can simultaneously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is being expanded.

그러나 종래의 이동 단말기의 경우 셀룰러망 등의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통화 도중 무선인터넷망으로 이를 핸드오버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사용자는 무선인터넷망으로 통화를 하고 싶은 경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음성 통화를 종료하고 다시 무선인터넷망을 통하여 음성 통화를 연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it is impossible to hand over it to a wireless internet network during a voice call in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cellular network. Again,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onnect the voice call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필요에 따라 이동통신망 및 무선인터넷망 간의 끊김없는 핸드오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amless handover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s necessar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무선인터넷망으로의 접속 요청 신호에 따라 무선인터넷망으로의 접속을 수행하는 무선인터넷망 접속부; 이동통신망 및 접속된 상기 무선인터넷망의 신호 세기를 비교하는 신호 비교부; 및 상기 신호 비교부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무선인터넷망의 신호 세기가 상기 이동통신망의 신호 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연결중인 음성 통화를 상기 무선인터넷망으로 전환하는 핸드오버 제어부;를 포함한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connection unit for performing a connection to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in accordance with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A signal comparison unit comparing signal strength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nnected wireless Internet network; And a handover controller for converting a voice call connec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when the signal strength of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is greater than the signal strengt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o.

이때, 상기 무선인터넷망 접속부는, 상기 무선인터넷망 접속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턴-온(Turn-On)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인터넷망 접속 해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턴-오프(Turn-Off)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unit may be configured to turn on when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request signal is received, and turn-on when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be Turn-Off.

그리고 상기 신호 비교부는, 상기 이동통신망 및 접속된 상기 무선인터넷망의 신호대 잡음비를 서로 비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ignal comparison unit may be configured to compare signal-to-noise ratio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nnected wireless Internet network with each other.

한편 상기 핸드오버 제어부는, 상기 신호 비교부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이동통신망의 신호 세기가 상기 무선인터넷망의 신호 세기보다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무선인터넷망을 통하여 연결중인 음성 통화를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환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strengt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greater than the signal strength of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the handover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voice call being connected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You can switch.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제어 서버는, 무선인터넷망 접속 가능 지역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 획득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무선인터넷 가능 지역 내로 진입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무선인터넷망 접속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인터넷망 접속 제어부;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access control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database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area; A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controller for transmitting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a wireless internet available area stored in the database.

이때 상기 위치정보 획득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주변에 위치한 기지국에서 수신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may obtai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d from a base station located arou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는 상기 위치정보 획득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obtai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리고 상기 무선인터넷망 접속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무선인터넷 가능 지역 밖으로 벗어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무선인터넷망 접속 해제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controller may transmit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release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aves the wireless internet available area stored in the database.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무선인터넷망으로의 접속 요청 신호에 따라 무선인터넷망으로의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 및 접속된 상기 무선인터넷망의 신호 세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무선인터넷망의 신호 세기가 상기 이동통신망의 신호 세기보다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연결중인 음성 통화를 상기 무선인터넷망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handover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nection to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Performing; Comparing, by the mobile terminal, signal strengths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nnected wireless Internet network; An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verting a voice call being connec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to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strength of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is greater than the signal strengt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이때 상기 무선인터넷망으로의 접속 수행 단계는, 상기 접속 요청 신호에 따라 무선인터넷망 접속부를 턴-온(Turn-On)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erforming of the connection to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may further include turning on a wireless Internet network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the access request signal.

또한 상기 신호 세기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망 및 접속된 상기 무선인터넷망의 신호대 잡음비를 서로 비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mparing of the signal strength may be configured to compare the signal-to-noise ratio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nnected wireless Internet network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연결중인 음성 통화를 상기 무선인터넷망으로 전환하는 단계의 수행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이동통신망의 신호 세기가 상기 무선인터넷망의 신호 세기보다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무선인터넷망을 통하여 연결중인 음성 통화를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fter the step of switching the voice call being connec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when the signal strengt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determined to be greater than the signal strength of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nverting a voice call being connected through a wireless Internet network in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상기 무선인터넷망을 통하여 연결중인 음성 통화를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환하는 단계의 수행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무선인터넷망 접속 해제 요청 신호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무선인터넷망 접속 해제 요청에 따라 접속된 무선인터넷망으로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무선인터넷망 접속부를 턴-오프(Turn-Off)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the step of converting the voice call being connected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request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leasing a connection to a connected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ording to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connection release request; And turning off the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방법은, 접속 제어 서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제어 서버에서, 획득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무선인터넷 가능 지역 내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무선인터넷망 접속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step of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connection control server; And transmitting, by the access control server,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obtained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within a wireless internet enabled area stored in the database.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주변에 위치한 기지국에서 수신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the obtaining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obtained by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d from a base station located nea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lternatively, in the obtaining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obtained by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한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무선인터넷망 접속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의 수행 이후, 상기 접속 제어 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제어 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무선인터넷 가능 지역 밖으로 벗어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무선인터넷망 접속 해제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step of transmitting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pd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access control server; And transmitting, by the access control server,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release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ut of a wireless internet available area stored in the database.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가 연결중인 상태에서 끊김 없이 무선인터넷망으로의 핸드오버가 가능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효과적으로 통화료를 절감할 수 있고, 이동통신 사업자 또한 이동통신망의 부하를 분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andover to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can be seamlessly performed while the cal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effectively reduce the call charges,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can also reduce the lo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re is a dispersible effect.

또한, 본 발명은 접속 제어 서버의 지시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가 무선인터넷 접속 모듈을 구동하여 무선인터넷망에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바, 이동통신 단말기가 불필요하게 무선인터넷망을 검색하는 데 드는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by driving the wireless Internet access module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access control server, thereby reducing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necessarily searching for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It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100)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6)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제어 서버(108)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제어 서버(108)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106)의 접속 제어 방법(400)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6)에서의 핸드오버 방법(500)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방법(400)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5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nnection control server 10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nection control method 4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in the access control server 10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dover method 500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control method 400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handover method 500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llustrated in FIGS. 4 and 5.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only an exemplary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As a resul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one means for efficiently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100)의 전체 구성도이다.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100)은 이동통신망(102), 무선인터넷망(104), 이동통신 단말기(106) 및 접속 제어 서버(108)를 포함한다.As show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2, a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and a connection control server 108. .

이동통신망(102)은 이동통신 단말기(106)에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망으로서, 셀룰러망, 3G망, GSM망, WiMAX, LTE 등의 통신망을 무선 통칭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특정한 형태의 이동통신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이동통신망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됨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동통신망(102)은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기지국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동통신 단말기(106)과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 도중 현재 접속된 기지국을 이탈하는 경우 인접한 다른 기지국으로 핸드오버(handover)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2 is a network for providing a voice or data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and collectively refers to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cellular network, a 3G network, a GSM network, WiMAX, and LTE. That is,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type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t should be noted that any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providing a voice or data service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lso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2 generally includes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2 leaves the base station current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during voice or data communic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2 enables handover to another adjacent base station. It is composed.

무선인터넷망(104)은 일반적으로 와이파이(WiFi)망으로 지칭되는 통신망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106)에 포함된 별도의 무선랜 모듈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6)에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VoIP 등을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무선인터넷망(104)은 일반적으로 무선 AP(Access Point)를 포함하여 구성되나, 무선 AP간의 핸드오버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지원되지 않는다.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is a communication network generally referred to as a Wi-Fi network, and provides a data servi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through a separate wireless LAN module inclu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Provides voice call service.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is generally configured to include a wireless access point (AP), but handover between wireless APs is generally not supported except in special cases.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동통신망(102)과 무선인터넷망(104)이 동일한 사업자에 의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이동통신망(102)과 무선인터넷망(104)이 각기 다른 사업자에 의하여 제공되더라도 양자의 업무제휴 관계 등에 의하여 이동통신망(102)에서 무선인터넷망(104)으로, 또는 무선인터넷망(104)에서 이동통신망(102)으로의 핸드오버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2 and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is provided by the same operato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even i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2 and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are provided by different operators,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2 to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or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by the business co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May be configured to enable handov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2.

이동통신 단말기(106)는 이동통신망(102) 또는 무선인터넷망(104)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음성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기기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6)는 이동통신망(102)으로의 접속 모듈과 함께 별도의 무선인터넷망(104)으로의 접속 모듈(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6)가 음성 통화 도중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은 음성 통화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성에 영상이 포함된 영상 통화의 핸드오버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is a device that receives a voice call or data communication service by wirelessly connect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2 or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To this e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ion module (for example, a wireless LAN module) to a separate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together with a connection modu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2. It is configured to have. Meanwhil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is described as performing a handover during a voice cal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voice call. Also applicable.

접속 제어 서버(108)는 이동통신망(102) 및 무선인터넷망(104)과 연결되며, 이동통신 단말기(106)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6)가 무선인터넷망(104)의 서비스 가능 지역에 진입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6)로 무선인터넷망 접속 요청 신호를 송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6)가 필요에 따라 무선인터넷망(104)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접속 제어 서버(108)는 무선인터넷망(104)의 서비스 가능 지역 정보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두었다가 이를 이동통신 단말기(106)의 위치 정보와 비교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6)가 무선인터넷망(104)의 서비스 가능 지역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접속 제어 서버(108)는 이동통신 단말기(106)의 현재 위치가 무선인터넷망(104)의 서비스 가능 지역을 벗어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6)로 무선인터넷망 접속 해제 요청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106)가 무선인터넷 접속을 종료하고 무선인터넷 접속 모듈을 턴-오프(Turn-Off)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무선인터넷망 접속 요청 신호 및 접속 요청 해제 신호는 이동통신망(102)의 기지국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6)로 전송된다.The access control server 108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2 and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and grasp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of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When entering the serviceable are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transmits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request signal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can access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as necessary. To this end, the access control server 108 stores the serviceable area information of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in a separate database and compa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located in the serviceable area of the network (104). In addition, the access control server 108 transmits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release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wh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is out of the serviceable area of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The terminal 106 terminates the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and allows the wireless Internet access module to turn off.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request signal and the access request release signal ar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through the base st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2.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망(102)의 경우 전파가 닿지 않는 음영지역이 거의 없으나 무선인터넷망(104)의 경우 그 특성상 무선인터넷 서비스 가능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이 구분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동통신 단말기(106)는 주변의 무선 AP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탐색하기 위하여 많은 에너지(배터리)를 소모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접속 제어 서버(108)에서 무선인터넷망 접속 요청 신호를 받은 경우에만 무선인터넷 접속 모듈을 턴-온 하고 무선인터넷망 접속 해제 요청 신호를 받은 경우에는 무선인터넷 접속 모듈을 턴-오프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106)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In general, in the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2, there are almost no shaded areas where radio waves do not reach. However, in the case of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a region in which a wireless Internet service is possible and a region that is not in general are distinguished. ) Consumes a lot of energy (battery) to detect whether there is a nearby wireless AP. However,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Internet access module is turned on only when the access control server 108 receives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request signal, and the wireless internet access module is turned on when the access control server 108 receives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request signal. By turning off,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can be reduc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6)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6)는 무선인터넷망 접속부(200), 신호 비교부(202) 및 핸드오버 제어부(2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Internet network connection unit 200, a signal comparison unit 202 and a handover control unit 204.

무선인터넷망 접속부(200)는 이동통신망(102)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무선인터넷망으로의 접속 요청 신호에 따라 무선인터넷망(104)으로의 접속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무선인터넷망 접속부(2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6)에서 항상 턴-온 되어있는 것이 아니라, 평상시에는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무선인터넷망 접속 요청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만 턴-온 되며, 상기 무선인터넷망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인터넷망(104)에 접속한다. 필요한 경우, 무선인터넷망 접속부(200)는 무선인터넷망(104)으로의 접속 시 필요한 경우 사용자 인증 또는 단말기 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무선인터넷망 접속부(200)는 기지국으로부터 무선인터넷망 접속 해제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무선인터넷망(104)으로의 접속을 종료하고 다시 턴-오프된다.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unit 200 performs a connection to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according to a connection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2 to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connection unit 200 is not always turned 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but is normally turned off, but only when a wireless internet network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It is turned on and accesses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using the acces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request signal. If necessary,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unit 20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user authentication or terminal authentication if necessary when connecting to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In addition, when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unit 200 terminates the connection to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and is turned off again.

신호 비교부(202)는 이동통신망(102) 및 접속된 무선인터넷망(104)의 신호 세기를 비교한다. 구체적으로, 신호 비교부(202)는 이동통신망(102) 및 접속된 무선인터넷망(104) 각각의 신호대 잡음비(SNR)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신호 세기를 비교하게 된다.The signal comparison unit 202 compares the signal strength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2 and the connected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Specifically, the signal comparison unit 202 compares the signal strength by comparing the signal-to-noise ratio (SNR) of eac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2 and the connected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with each other.

핸드오버 제어부(204)는 신호 비교부(202)에서의 판단 결과 무선인터넷망(104)의 신호 세기가 이동통신망(102)의 신호 세기보다 큰 경우, 이동통신망(102)을 통하여 연결중인 음성 통화를 무선인터넷망(104)으로 전환(handover)한다. 즉, 핸드오버 제어부(204)는 이동통신망(102)을 통하여 음성 통화가 진행중인 상태에서 이동통신망(102)의 신호대 잡음비보다 무선인터넷망(104)의 신호대 잡음비가 더 좋을 경우, 상기 음성 통화를 무선인터넷망(104)을 이용한 VoIP 방식으로 핸드오버하게 되며,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106)로 음성 통화를 하고 있는 사용자는 통화의 끊김이 없이 무선인터넷망(104)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계속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signal strength of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is greater than the signal strengt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2, the handover control unit 204 determines that the voice call is being connec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2. To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handover). That is, the handover control unit 204 wirelessly performs the voice call when the signal-to-noise ratio of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is better than the signal-to-noise ratio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2 while the voice call is in progress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2. Handover is performed by the VoIP method using the Internet network 104. Therefore, a user making a voice cal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can continue the voice call using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without interruption of the call. do.

또한, 핸드오버 제어부(204)는 신호 비교부(202)에서의 판단 결과 이동통신망(102)의 신호 세기가 상기 무선인터넷망(104)의 신호 세기보다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 무선인터넷망(104)을 통하여 연결중인 음성 통화를 이동통신망(102)으로 재차 전환한다.
In addition, the handover controller 204 determines that the signal strengt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2 is greater than the signal strength of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signal comparing unit 202. The voice call being connec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2 is switched agai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제어 서버(108)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nnection control server 10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제어 서버(108)는 데이터베이스(300), 위치정보 획득부(302) 및 무선인터넷망 접속 제어부(3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the access control server 10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base 300, a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02 and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control unit 304.

데이터베이스(300)는 이동통신망(102)의 서비스 지역 내의 무선인터넷망(104) 접속 가능 지역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The database 300 stores information on an area where a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can be accessed within a service are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2.

위치정보 획득부(302)는 이동통신 단말기(106)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위치정보 획득부(302)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106)의 위치 정보 획득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6) 주변에 위치한 기지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6)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기지국 간의 삼각 측량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6)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06)가 별도의 GPS 모듈 등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기지국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6)로부터 위치 정보를 전송받을 수도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02 obtain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The pos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by the pos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02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a base station located nea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may measure the strength of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and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through triangul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s. . In addi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includes a separate GPS module, etc., location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through the base station.

무선인터넷망 접속 제어부(304)는 위치정보 획득부(302)로부터 획득된 이동통신 단말(106)의 현재 위치와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무선인터넷망 서비스 가능 지역을 서로 비교하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무선인터넷망 접속 가능 지역 내로 진입한 경우, 기지국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6)로 무선인터넷망 접속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control unit 304 compare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obtain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02 with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serviceable area stored in the database 300, When entering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area stored in the database 300,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through the base station.

또한, 무선인터넷망 접속 제어부(304)는 이동통신 단말기(106)가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무선인터넷 접속 가능 지역 밖으로 벗어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6)로 무선인터넷망 접속 해제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
In addition,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control unit 304 transmits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release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is out of the wireless internet access area stored in the database 300.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제어 서버(108)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106)의 접속 제어 방법(400)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6)에서의 핸드오버 방법(500)을 도시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nection control method 4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in the access control server 10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mobil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dover method 500 at the terminal 106.

도 4 및 후술할 도 5의 설명에 있어,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황을 가정하기로 한다. 즉, 복수의 기지국으로 구성된 이동통신망(102) 및 무선 AP가 포함된 무선인터넷망(104)이 도 6과 같이 구비된 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6)가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도중 A, B, C, D, 및 E 지역을 경유하여 이동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도 6에서 실선으로 구성된 영역은 이동통신망(102)의 서비스 범위를, 점선으로 구성된 영역은 무선인터넷망(104)의 서비스 범위를, 화살표는 이동통신 단말기(106)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In FIG. 4 and the description of FIG. 5 to be described later, assume a situation as shown in FIG. 6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at is, 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performs a voice call in an area wher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2 including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and a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including a wireless AP are provided as shown in FIG. 6, A, B, Assume that you are traveling via regions C, D, and E. In FIG. 6, an area composed of a solid line represents a service ran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2, an area formed of a dotted line represents a service range of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and an arrow represents a moving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도 4에 개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제어 서버(108)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106)의 접속 제어 방법(400)을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nection control method 4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in the access control server 108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FIG. 4 will be described first.

먼저, 접속 제어 서버(108)는 이동통신 단말기(106)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402). 상기 위치 정보의 획득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인접 기지국을 이용한 삼각 측량 방법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106)에 내장된 GPS를 이용한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First, the access control server 108 obtain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402).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may use a triangulation method using a neighboring base station or a method using a GPS embed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다음으로, 획득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6)의 위치가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무선인터넷 가능 지역 내인 경우(예를 들어, 도 6에서 B지점에 도달한 경우), 접속 제어 서버(108)는 이동통신 단말기(106)가 무선인터넷망으로 접속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404), 이동통신 단말기(106)로 무선인터넷망 접속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406).Next, when the acquired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is within a wireless Internet-capable area stored in the database 300 (for example, when reaching point B in FIG. 6), the access control server 108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determines that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can be connected (404), and transmits a wireless internet network connection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406).

이후, 접속 제어 서버(108)는 계속해서 이동통신 단말기(106)의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고(408), 이동통신 단말기(106)가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무선인터넷 가능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예를 들어, 도 6에서 E 지점에 도달한 경우), 더 이상 이동통신 단말기(106)가 무선인터넷망으로 접속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410), 이동통신 단말기(106)로 무선인터넷망 접속 해제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412).
Thereafter, the access control server 108 continuously updat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408),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is out of the wireless Internet-capable area stored in the database 300 (e.g., For example, when the point E is reached in FIG. 6),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is no longer able to access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41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transmits a request for disconnecting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Transmit (412).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6)에서의 핸드오버 방법(500)을 도시한 순서도이다.Next,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dover method 500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is shown.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06)가 이동통신망(102)을 통하여 음성통화중에 도 6에 도시된 B 지점으로 진입할 경우,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을 경유하여 접속 제어 서버(108)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6)로 무선인터넷망 접속 요청 신호가 전송된다. First,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enters the point B shown in FIG. 6 during a voice cal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moves from the access control server 108 via the base station as described in FIG. 4.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6.

그러면 이동통신 단말기(106)는 무선인터넷망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502), 수신된 상기 무선인터넷망 접속 요청 신호에 따라 무선인터넷망 접속부(200)를 턴-온 한뒤(504), 무선인터넷망으로의 접속을 수행한다(506).T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receives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request signal (502), turns on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unit 200 according to the received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request signal (504), and then wireless internet. A connection to the network is performed (506).

이후, 이동통신망(102) 및 접속된 무선인터넷망(104)의 신호 세기를 비교한다. 상기 신호 세기 비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망(102) 및 무선인터넷망(104)의 신호대 잡음비를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Thereafter, the signal strength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2 and the connected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are compared. The signal strength comparison may be performed by comparing the signal-to-noise ratio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2 and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as described above.

이동통신 단말기(106)가 도 6의 C 지점에 진입한 시점에서 무선인터넷망(104)의 신호 세기가 이동통신망(102)의 신호 세기보다 강해졌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6)는 이를 감지하고 이동통신망(102)을 통하여 현재 연결 중인 음성 통화를 접속된 무선인터넷망(104)으로 핸드오버한다(508, 510).Assume that the signal strength of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is stronger than the signal strengt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2 at the tim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enters point C of FIG. 6. 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detects this and hands over the voice call currently being connec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2 to the connected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508 and 510).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106)가 이동을 계속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6)는 이동통신망(102) 및 접속된 무선인터넷망(104)의 신호 세기를 계속해서 추적하여 비교하게 되며(512), 만약 이동통신망(102)의 신호 세기가 무선인터넷망(104)의 신호 세기보다 더 강해지는 시점(도 6에서 D 지점)이 되면, 이를 감지하여 무선인터넷망(104)을 통하여 연결된 음성 통화를 이동통신망(102)으로 재차 핸드오버하게 된다(516, 518).Thereafter,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continues to m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continuously tracks and compares the signal strength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2 and the connected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512). If the signal strengt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2 becomes stronger than the signal strength of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point D in FIG. 6), the mobile terminal 102 detects this and moves the voice call connected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104. Handover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102 is made again (516, 518).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106)가 도 6의 E 지점에 진입하면 접속 제어 서버(108)로부터 기지국을 경유하여 무선인터넷망 접속 해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며(520), 이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인터넷망(104)으로의 접속을 해제하고(522), 무선인터넷망 접속부를 턴-오프하게 된다(524).
Subsequently,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enters the point E of FIG. 6,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access control server 108 via the base station (520). The connection to the Internet network 104 is released (522), and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connection is turned off (524).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understand.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02 : 이동통신망 104 : 무선인터넷망
106 : 이동통신 단말기 108 : 접속 제어 서버
200 : 무선인터넷망 접속부 202 : 신호 비교부
204 : 핸드오버 제어부 300 : 데이터베이스
302 : 위치정보 획득부 304 : 무선인터넷망 접속 제어부
102: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4: wireless Internet network
106: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8: access control server
200: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unit 202: signal comparison unit
204: handover control unit 300: database
302: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04: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control unit

Claims (18)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무선인터넷망으로의 접속 요청 신호에 따라 무선인터넷망으로의 접속을 수행하는 무선인터넷망 접속부;
이동통신망 및 접속된 상기 무선인터넷망의 신호 세기를 비교하는 신호 비교부; 및
상기 신호 비교부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무선인터넷망의 신호 세기가 상기 이동통신망의 신호 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연결중인 음성 통화를 상기 무선인터넷망으로 전환하는 핸드오버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unit configured to access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ording to a connection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a base station;
A signal comparison unit comparing signal strength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nnected wireless Internet network; And
A handover control unit for converting a voice call connec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when the signal strength of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is greater than the signal strengt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signal comparing uni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터넷망 접속부는,
상기 무선인터넷망 접속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턴-온(Turn-On)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connection uni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urned on when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request signal is receiv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터넷망 접속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인터넷망 접속 해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턴-오프(Turn-Off)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connection unit,
And turn off when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connection release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비교부는,
상기 이동통신망 및 접속된 상기 무선인터넷망의 신호대 잡음비를 서로 비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ignal comparison unit,
And a signal-to-noise ratio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nnected wireless Internet networ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제어부는, 상기 신호 비교부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이동통신망의 신호 세기가 상기 무선인터넷망의 신호 세기보다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무선인터넷망을 통하여 연결중인 음성 통화를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If the signal comparison unit determines that the signal strengt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greater than the signal strength of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the handover control unit switches the voice call being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obile terminal.
무선인터넷망 접속 가능 지역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 획득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무선인터넷 가능 지역 내로 진입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무선인터넷망 접속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인터넷망 접속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접속 제어 서버.
A database storing information on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ible area;
A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a wireless internet available area stored in the database;
Access control server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획득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주변에 위치한 기지국에서 수신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접속 제어 서버.
The method of claim 6,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And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measuring signal strengt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d at a base station located nea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획득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접속 제어 서버.
The method of claim 6,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And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터넷망 접속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무선인터넷 가능 지역 밖으로 벗어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무선인터넷망 접속 해제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접속 제어 서버.
The method of claim 6,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connection control unit,
And transmitting a wireless internet network connection release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ut of a wireless internet available area stored in the database.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무선인터넷망으로의 접속 요청 신호에 따라 무선인터넷망으로의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 및 접속된 상기 무선인터넷망의 신호 세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무선인터넷망의 신호 세기가 상기 이동통신망의 신호 세기보다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연결중인 음성 통화를 상기 무선인터넷망으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ing a connection to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ording to a connection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a base station;
Comparing, by the mobile terminal, signal strengths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nnected wireless Internet network; An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strength of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is greater than the signal strengt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verting a voice call connec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Handover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터넷망으로의 접속 수행 단계는,
상기 접속 요청 신호에 따라 무선인터넷망 접속부를 턴-온(Turn-On)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performing of the connection to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And turning on a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in response to the access request signa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세기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망 및 접속된 상기 무선인터넷망의 신호대 잡음비를 서로 비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Comparing the signal strength,
And a signal-to-noise ratio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nnected wireless Internet network.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연결중인 음성 통화를 상기 무선인터넷망으로 전환하는 단계의 수행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이동통신망의 신호 세기가 상기 무선인터넷망의 신호 세기보다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무선인터넷망을 통하여 연결중인 음성 통화를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After the step of converting the voice call being connec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strengt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greater than the signal strength of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converting a voice call being connected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ndover method of communication termina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터넷망을 통하여 연결중인 음성 통화를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환하는 단계의 수행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무선인터넷망 접속 해제 요청 신호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무선인터넷망 접속 해제 요청에 따라 접속된 무선인터넷망으로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무선인터넷망 접속부를 턴-오프(Turn-Off)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After the step of converting the voice call being connected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Receiving, 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wireless internet network connection release request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leasing a connection to a connected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ording to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connection release request; And
And turning off the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접속 제어 서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제어 서버에서, 획득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무선인터넷 가능 지역 내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무선인터넷망 접속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방법.
Obtaining, at the access control serve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at the access control server,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obtained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within a wireless internet enabled area stored in the database;
Access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주변에 위치한 기지국에서 수신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measuring signal strengt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d from a base station located nea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무선인터넷망 접속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의 수행 이후,
상기 접속 제어 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제어 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무선인터넷 가능 지역 밖으로 벗어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무선인터넷망 접속 해제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After the step of transmitting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pdating, by the access control serve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at the access control server,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 release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ut of a wireless internet available area stored in the database;
Connection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KR1020100027305A 2010-03-26 2010-03-26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handover method thereof KR2011010803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305A KR20110108035A (en) 2010-03-26 2010-03-26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handover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305A KR20110108035A (en) 2010-03-26 2010-03-26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handover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035A true KR20110108035A (en) 2011-10-05

Family

ID=45219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305A KR20110108035A (en) 2010-03-26 2010-03-26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handover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803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77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fficient vertical handoff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083542B1 (en) Small sized base-st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KR101719509B1 (en) Communication method of vehicular access point, vehicular user equipment and macro base station for user in the vehicle
US9906991B1 (en) Cellular telephone network to narrow band—internet of things network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27851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rving voice in a wireless network
US201301435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over Within Heterogeneous Networks
US8219093B2 (en) Handover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for multi-mode mobile station
KR100741376B1 (en) Method for performing handoff from wibro (wimax) service to wireless lan service and terminal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40355566A1 (en) Cross Radio Access Technology Access with Handoff and Interference Management Using Communication Performance Data
KR20110112757A (en) Method for controlling connection at femto base station and connection method at terminal
US20140011498A1 (en) Mobile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30106325A (en) Handoff determination in a heterogeneous network
KR20120054787A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handover between macro base station and open moving relay
US9686737B2 (en)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device
US20150327125A1 (en) Radio Access Technology Selection
JP6077141B2 (en) Wireless ru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JP7171657B2 (en) wireless terminal
US10271255B2 (en) Base station
EP3243309B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oint tcp i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and devices for use therein
JP582836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1347537B1 (en) Management method of scanning period based on speed of mobile node in wireless networks
JP2014187499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10108035A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handover method thereof
WO201415614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130068252A (en) Wireless terminal and method for context-aware handoff between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