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8015A - Method for providing screen remote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screen remote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8015A
KR20110108015A KR1020100027270A KR20100027270A KR20110108015A KR 20110108015 A KR20110108015 A KR 20110108015A KR 1020100027270 A KR1020100027270 A KR 1020100027270A KR 20100027270 A KR20100027270 A KR 20100027270A KR 20110108015 A KR20110108015 A KR 20110108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ler
screen remote
content
screen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2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56528B1 (en
Inventor
배혜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7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528B1/en
Publication of KR20110108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0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5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은 수신되는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일 측에 키 입력을 스크린 리모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 리모컨 상에서 입력된 키에 대응되는 동작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 리모컨은 상기 콘텐츠의 종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screen remote controller of a display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received content; Displaying a screen remote control with a key input on one side of the displayed content; And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on the screen remote controller, wherein the displayed screen remote controller corresponds to the type of the content.

Description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장치{Method for providing screen remote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Method for providing a screen remote control and a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방송에 적용되는 포인터 기반의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viding a pointer-based screen remote controller applied to data broadcasting and a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디스플레이장치는 방송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대표적인 것이 텔레비전이다.The display device is a device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a broadcast, and a representative of the display device is a television.

상기 텔레비전의 사용자는 리모트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방송채널 등을 입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리모트컨트롤러에 마련되어 있는 숫자-버튼들을 누르는 조작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방송채널 등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The user of the television inputs a desired broadcasting channel or the like using a remote controller. More specifically, by pressing the number buttons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ler, the user can input a desired broadcasting channel or the like.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송채널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마련된 숫자-버튼들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크기는 비교적 크다. 하지만, 사용자는 크기가 작은 리모트 컨트롤러를 선호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숫자-버튼들이 없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서도 자신이 원하는 방송채널 등을 입력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모색이 요청된다.However, due to the number-buttons provided as a means for inputting such a broadcast channel, the size of the remote controller generally provided is relatively large.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user prefers a small remote controller, a user is required to search for a method for inputting a desired broadcasting channel through a remote controller without a number-button.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숫자-버튼들이 없이도 자신이 원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방안으로, 포인터를 이용하여 조작 가능한 UI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I interface operable by using a pointer in a way to input a desired command without the number buttons.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oposed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are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oposed embodiments belong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Can be understoo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은 수신되는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일 측에 키 입력을 스크린 리모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 리모컨 상에서 입력된 키에 대응되는 동작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 리모컨은 상기 콘텐츠의 종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screen remote controller of a display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received content; Displaying a screen remote control with a key input on one side of the displayed content; And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on the screen remote controller, wherein the displayed screen remote controller corresponds to the type of the cont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콘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처리하는 처리부; 상기 처리된 콘텐츠에 키 입력을 위한 스크린 리모컨을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수신되는 콘텐츠를 토대로 방송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방송 모드에 대응되는 스크린 리모컨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content; A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received content; A display unit which adds and displays a screen remote controller for key input to the processed conten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a broadcast mode based on the received content, and to control a screen remote controller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broadcast mod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일반 방송 및 데이터 방송 시청시 공간 리모컨 및 일반 리모컨을 번갈아 이용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 리모컨의 사용성을 높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alternately using the space remote control and the general remote control when watching a general broadcast and data broadcast, thereby increasing the usability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 thereby improving user satisfa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동작 인식 리모컨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 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스크린 리모컨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스크린 리모컨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형성되는 제 3 스크린 리모컨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리모컨의 디스플레이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illustrate embodiments of a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display apparatus.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of a mo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screen remote controller formed b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llustrates a second screen remote controller formed b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third screen remote control form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display form of the screen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by-step method for providing a screen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by-step method for providing a screen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by-step method for providing a screen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안되는 실시 예에 대해서 기술하여 본다.The propos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 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other inventions which are further deteriorated by addition, change, deletion, etc. of other components, or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ade. I can suggest.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 두고자 한다.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as selected as a general term widely used as possible, but in some cases, the term i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name of a simple term It should be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nderstood as a meaning of terms.

즉,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In other word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word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f other elements or steps than those lis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수신부(110), 처리부(120), GUI 생성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저장부(150), 조작 신호 수신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er 110, a processor 120, a GUI generator 130, a display 140, a storage 150, and an operation signal receiver 160. ) And the control unit 170.

수신부(110)는 외부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단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receiver 110 is a means for receiving broadcast data from the outside, and performs a function of receiving a broadcast program through at least one or more means.

즉, 상기 수신부(110)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튜너, 아날로그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아날로그 튜너,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디지털 외부 신호 입력 단자 및 아날로그 외부 신호 입력 단자와, PVR(Personal Video Recorder) 및 DVR(Digital Video Recorder) 같은 디지털 녹화기로 구현될 수 있다.That is, the receiver 110 includes a digital tuner for receiving a digital broadcast signal, an analog tuner for receiving an analog broadcast signal, a digital external signal input terminal and an analog external signal input terminal to which an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and a personal video recorder (PVR). And a digital recorder such as a digital video recorder (DVR).

여기에서, 상기 디지털 신호 입력 단자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신호용 입력 단자 또는 DVD 같은 디지털 외부 재생기가 연결될 수 있는 단자이며, 상기 아날로그 외부 신호 입력 단자는 VCR 신호 입력 단자 또는 아날로그 케이블 방송 신호 입력 단자일 수 있다.Here, the digital signal input terminal may be a terminal for connecting a digital cable broadcast signal input terminal or a digital external player such as a DVD, and the analog external signal input terminal may be a VCR signal input terminal or an analog cable broadcast signal input terminal.

또한, 상기 디지털 튜너는 디지털 방송용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인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들 중 사용자 선택에 의해 원하는 채널의 전송 스트림을 동조한다. 상기 아날로그 튜너는 아날로그 방송용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방송신호들인 영상 프로그램들 중 사용자 선택에 의해 원하는 채널의 영상 프로그램을 동조한다.The digital tuner tunes a transport stream of a desired channel by user selection among transport streams, which are digital broadcast signals input through a digital broadcast antenna. The analog tuner tunes a video program of a desired channel by user selection among video programs, which are analog broadcast signals input through an analog broadcast antenna.

이에 따라, 상기 방송 데이터는 실시간 방송중인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외부 재생기로부터 입력된 재생 프로그램, 녹화 프로그램 및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인 경우, 영상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모두 포함하여,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에는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만을 포함한다.Accordingly, the broadcast data may include an analog television broadcast program, a digital broadcast program, a playback program input from an external player, a recording program, and a cable broadcast program in real time. In addition, the broadcast data includes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and a data signal in the case of a digital signal, and includes only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in the case of an analog signal.

또한, 상기 수신부(1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로 구현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로부터 콘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콘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도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iving unit 110 may be implemented as a network interface unit, and may receive content or data from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operator through a network. That is, content such as broadcasts, games, VODs, broadcast signals, and the like, which are provided from a content provider, may be received through a network. In addition, the network interface unit may receive the update information and the update file of the firmware provided by the network operator.

상기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방송 데이터는 처리부(120)를 통해 신호처리된 후,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The broadcast data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110 is signal-processed through the processor 120 and the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140.

이때, 처리부(120)는 상기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MPEG-2 디코더와, 상기 디코딩된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40)의 출력규격에 맞는 수직주파수, 해상도, 화면비율 등에 맞도록 변환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or 120 is a MPEG-2 decoder for decoding the received broadcast data, and the scaler for converting the decoded broadcast data to match the vertical frequency, resolution, aspect ratio, etc. according to the output standard of the display 140 It may include.

디스플레이부(140)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LED(Light Emitting Diode lamp)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용 가능하다.The display unit 140 is applied to various types of display modules such as digital light processing (DLP), liquid crystal display (LCD), plasma display panel (PDP), light emitting diode lamp (LE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t is possible.

GUI 생성부(13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 조건 등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부가한다. 여기에서, 상기 GUI 생성부(130)는 상기 메뉴 화면을 OSD(On Screen Display) 형태로 생성하며, 상기 OSD 형태로 생성된 데이터는 문자 데이터 또는 그래픽 데이터일 수 있다.The GUI generator 130 generates a menu screen for setting the use condi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and adds the menu screen to the image data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110. Here, the GUI generator 130 generates the menu screen in the form of an OSD (On Screen Display), and the data generated in the OSD form may be text data or graphic data.

상기 문자 데이터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영상 프로그램의 수신이 가능하지 않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그래픽 데이터는 사용자 요청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포인터 및 상기 포인터를 이용하여 특정 메뉴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 리모컨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GUI 생성부(130)를 통해 생성된 포인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크린 리모컨에 존재하는 특정 메뉴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The text data may be a notification message indicating that it is not possible to receive the requested image program from the user. In addition, the graphic data may be a pointer of the remote controller 200 for inputting a user request condition and a screen remote controller for selecting a specific menu item using the pointer. A user may input a desired command by selecting a specific menu item present in the screen remote controller by using the pointer generated by the GUI generator 130.

저장부(150)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디스플레이장치(100) 동작 중에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The storage unit 150 stores software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and various data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상기 저장부(150)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으로 구현되고, I2C방식에 따라 후술할 제어부(17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torage unit 150 is implemented as an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and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70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the I2C method.

조작 신호 수신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요구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써, 일반적으로 상기 리모트컨트롤러(200)를 통해 입력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나 패널 일측에 구비된 로컬 키 입력부가 이에 포함된다. 이에 따라, 조작 신호 수신부(16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조작을 위해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한다.The operation signal receiver 160 is a means for receiving a request command from a user, and generally includes an infrared receiver for receiving an infrared signal input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200 or a local key inpu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anel. . Accordingly, the operation signal receiver 160 receives a signal input for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and transmits the received signal to the controller 170.

제어부(17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특히,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콘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종류 또는 방송 모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40) 일측에 키 입력을 위한 스크린 리모컨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content received through the receiving unit 110 to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and the display unit 140 has one side according to the type or broadcast mode of the displayed content. Controls the screen remote control for key input on the display.

여기에서, 상기 콘텐츠의 종류에는 크게 일반 방송 콘텐츠와, 데이터 방송 콘텐츠가 존재한다. 상기 일반 방송 콘텐츠에는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TV 방송 프로그램이 포함되며, 상기 데이터 방송 콘텐츠는 MHEG(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s Group) 규격 등의 데이터 방송이나,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되는 네트워크 서비스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re are largely general broadcast content and data broadcast content in the type of the content. The general broadcast content may include a TV broadcast program provided in real time, and the data broadcast content may include data broadcast such as a 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 group (MHEG) standard or network service content serviced through a network. have.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수신되는 콘텐츠가 일반 방송 콘텐츠인 경우, 상기 방송 모드를 일반 방송 모드로 판단하고, 그에 따라 상기 일반 방송 모드에 대응되는 제 1 스크린 리모컨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Accordingly, when the received content is general broadcast content, the controller 170 determines the broadcast mode as the general broadcast mode, and accordingly displays the first screen remote controller corresponding to the general broadcast mode.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수신되는 콘텐츠가 데이터 방송 콘텐츠인 경우, 상기 방송 모드를 데이터 방송 모드로 판단하고, 그에 따라 상기 데이터 방송 모드에 대응되는 제 2 스크린 리모컨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received content is data broadcast content, the controller 170 determines the broadcast mode as the data broadcast mode, and accordingly displays a second screen remote controller corresponding to the data broadcast mode.

여기에서, 상기 제 1 스크린 리모컨에는 일반 방송 콘텐츠 이용시 사용할 수 있는 필수 키 항목이 포함된다. 상기 필수 키 항목에는 숫자키, 확인키, 입력모드 전환키, 선호 채널키, 프로그램 정보 확인 키, 퀵 메뉴 키 등이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first screen remote controller includes an essential key item that can be used when using general broadcast content. The essential key item may include a numeric key, a confirmation key, an input mode switch key, a favorite channel key, a program information confirmation key, and a quick menu key.

또한, 상기 제 2 스크린 리모컨에는 데이터 방송 콘텐츠 이용시 사용할 수 있는 필수 키 항목이 포함된다. 상기 필수 키 항목에는 방향 키(좌, 우, 상, 하), 확인 키, 컬러 키, 이전 키 및 텍스트 키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creen remote control includes an essential key item that can be used when using data broadcasting content. The essential key items may include direction keys (left, right, up, down), confirmation keys, color keys, previous keys, text keys, and the like.

상기 제어부(170)의 동작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7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도 2 및 도 3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2 and 3 illustrate an embodiment of a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display apparatus, and show an example of a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100.

상기 리모컨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조작 신호 수신부(160)에 포함될 수 있는 RF 신호, 적외선 신호 등의 무선 신호 수신부를 통해 제어부(170)로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리모컨은 사용자의 버튼 입력뿐 아니라 사용자의 제스쳐에 반응하는 리모컨으로서 이하 동작인식 리모콘(200)일 수 있다.The remote controller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ler 170 through a wireless signal receiver such as an RF signal or an infrared signal which may be included in the manipulation signal receiver 16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For example, the remote controll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may be a remote controller 200 that recognizes a motion as a remote controller responding to a user's gesture as well as a user's button input.

본 실시 예에서, 동작인식 리모컨(200)은 디스플레이장치(100)와 RF 통신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는 동작인식 리모컨(200)이 포인팅하는 지점에 포인터(300)가 표시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ra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may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with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RF communication standard. As illustrated in FIG. 2,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display a pointer 300 at a point where the mo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points.

사용자는 동작인식 리모컨(200)을 상하, 좌우, 앞뒤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된 포인터(300)는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도 3은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움직이는 바를 도시하고 있다.The user may move or rotate the mo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up, down, left, and right. The pointer 300 displayed on the display apparatus 100 corresponds to the movement of the mo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FIG. 3 illustrates a bar in which a pointer displayed on the display apparatus 100 moves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mo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동작인식 리모컨(200)을 왼쪽으로 이동시키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된 포인터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 예에서 동작인식 리모컨(200)은 움직임을 판별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동작을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는 포인터(300)의 좌표값을 산출한다. As shown in FIG. 2, when the user moves the mo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to the left side, the pointer displayed on the display apparatus 100 also moves to the left side correspon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may include a sensor capable of determining a movement. Information regarding the movement of the mo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sensed by the sensor of the mo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apparatus 100. The display apparatus 100 determines the operation of the mo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from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movement of the mo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and calculates a coordinate value of the pointer 300 corresponding thereto.

움직임을 판별할 수 있는 센서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Accelerometers, gyro sensors, or geomagnetic sensors may be used as sensors that can determine movement.

도 2 및 도 3은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상하, 좌우 또는 회전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포인터(300)가 이동하는 예를 도시한다. 포인터(3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2 and 3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the pointer 300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moves in response to up, down, left, or right rotation of the mo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The moving speed or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ointer 300 may correspond to the moving speed or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본 실시 예에서는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이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다른 예로,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소정 명령이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앞뒤로 움직일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가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inter displayed on the display apparatus 100 is set to move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mo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As another example, a predetermined command may be input to the display apparatus 100 in response to an operation of the opera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That is, when moving back and forth of the mo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the siz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enlarged or reduced.

도 4는 동작 인식 리모컨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 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조작 신호 수신부(160)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nfiguration of a mo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and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n opera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that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with the operation signal receiver 16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of FIG. 1. will be.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포함된 조작신호 수신부(160)는 좌표값 산출부(164) 및 무선 통신부(161)를 포함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164)는 전술한 제어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61)는 RF 모듈(162) 또는 IR 모듈(163)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manipulation signal receiver 160 included in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include a coordinate value calculator 164 and a wireless communicator 161. The coordinate value calculator 164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ler 170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1 may include an RF module 162 or an IR module 163.

한편, 동작인식 리모컨(200)은, 무선 통신부(210), 사용자 입력부(220), 센서부(230), 출력부(240), 전원공급부(250), 메모리(260),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o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 20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the user input unit 220, sensor unit 230, output unit 240, power supply unit 250, memory 260, the control unit 270 It may include.

무선 통신부(21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 예에서, 동작인식 리모컨(100)은 RF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조작신호 수신부(16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1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동작인식 리모컨(200)은 IR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조작신호 수신부(16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13)을 구비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with the display apparatus 10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ra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100 may include an RF module 211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operation signal receiver 16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RF communication standard. In addition, the opera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may include an IR module 213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operation signal receiver 16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IR communication standard.

본 실시 예에서, 동작인식 리모컨(200)은 디스플레이장치(100)로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1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동작인식 리모컨(200)은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1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동작인식 리모컨(200)은 필요에 따라 IR 모듈(21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 200 transmits a signal contain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mo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 200 to the display apparatus 100 through the RF module 211. In addition, the mo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may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isplay apparatus 100 through the RF module 211. Also, the opera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may transmit a command regarding power on / off, channel change, volume change, etc. to the display apparatus 100 through the IR module 213 as necessary.

사용자 입력부(220)는 키패드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20)를 조작하여 동작인식 리모컨(200)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20)가 하드 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 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동작인식 리모컨(200)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2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동작인식 리모컨(200)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2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The user input unit 220 may be configured as a keypad or a button.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display apparatus 100 to the mo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by manipulating the user input unit 220. When the user input unit 220 includes a hard key button,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display apparatus 100 to the mo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through a push operation of the hard key button. When the user input unit 220 includes a touch screen,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display apparatus 100 to the mo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by touching a soft key of the touch screen. In addition, the user input unit 220 may include various kinds of input means that a user can operate, such as a scroll key or a jog key, and the embodiment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센서부(230)는 움직임 센서로서 자이로 센서(231) 또는 가속도 센서(233)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31)는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자이로 센서(231)는 동작인식 리모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33)는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230 may include a gyro sensor 231 or an acceleration sensor 233 as a motion sensor. The gyro sensor 231 may detect the movement of the mo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As an example, the gyro sensor 231 may sense information about an operation of the mo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based on the x, y, and z axes. The acceleration sensor 233 may sense information about a moving speed of the mo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출력부(240)는 사용자 입력부(220)에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4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2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240 may output an image or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r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isplay apparatus 100 to the user input unit 220. The user may recognize whether the user input unit 220 is manipulated or whether the display apparatus 100 is controlled through the output unit 240.

일 예로, 출력부(240)는 사용자 입력부(22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1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4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43),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 모듈(24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47)을 구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utput unit 240 is an LED module 241 that is turned on when the user input unit 220 is manipulated or a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display apparatus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the vibr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vibration 243, an audio output module 245 for outputting audio, or a display module 247 for outputting an image.

전원 공급부(250)는 동작인식 리모컨(20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50)는 동작인식 리모컨(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50)는 동작인식 리모컨(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50 supplies power to the opera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The power supply unit 250 may reduce power waste by stopping power supply when the mo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does not mov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power supply unit 250 may resume power supply when a predetermined key provided in the opera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is operated.

메모리(260)는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동작인식 리모컨(200)이 디스플레이장치(100)와 RF 모듈(21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동작인식 리모컨(200)과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The memory 260 may store various types of application data required for controlling or operating the opera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If the mo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 200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wirelessly through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RF module 211, the mo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 200 and the display device 100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through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제어부(270)는 동작인식 리모컨(200)과 페어링(pairing)된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26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70 of the opera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 200 stores information on a frequency ban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relessly with the display apparatus 100 paired with the opera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 200 in the memory 260. And reference.

제어부(270)는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70)는 사용자 입력부(22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30)에서 센싱한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1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조작신호 수신부(16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70 controls various matter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mo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The control unit 270 displays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key manipulation of the user input unit 220 or a signal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f the mo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sensed by the sensor unit 23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100 may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ignal receiver 160.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동작인식 리모컨(200)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161)와,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164)를 구비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apparatus 100 calculates coordinate values of a pointer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1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relessly with the opera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A coordinate value calculator 164 can be provided.

무선 통신부(161)는 RF 모듈(211)을 통하여 동작인식 리모컨(200)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RF 모듈(211)을 통하여 동작인식 리모컨(200)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1 may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with the opera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through the RF module 211. In addition, the opera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may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IR communication standard through the RF module 211.

좌표값 산출부(164)는 무선 통신부(161)를 통하여 수신된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포인터(300)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The coordinate value calculator 164 corrects a hand shake or an error from a signal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f the opera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1, and coordinates of the pointer 300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The value (x, y) can be calculated.

또한, 조작신호 수신부(16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입력된 동작인식 리모컨(200) 전송 신호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부(170)로 전송된다. 제어부(170)는 동작인식 리모컨(2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 200 transmission signal input to the display apparatus 100 through the operation signal receiving unit 16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7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The controller 170 may determine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and the key operation of the opera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 200 from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 200, and control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ly.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리모컨은 상기 동작인식 리모컨(200)을 이용하여 사용자 요구에 따른 특정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메뉴화면이며, 상기 스크린 리모컨 내에는 다수의 키 항목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키 항목 중 특정 키 항목이 존재하는 위치에 상기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포인터가 위치한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키 항목에 대응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The screen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nu screen for inputting a specific command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using the mo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and the screen remote controller includes a plurality of key items. When the pointer of the opera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200 is located at a position where a specific key item exists among the key items, the controller 170 may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item where the pointer is located.

이때, 상기 수신되는 콘텐츠의 종류에 따른 방송 모드에 따라 상기 스크린 리모컨에 포함되는 키 항목들이 다를 수 있다.In this case, key items included in the screen remote controller may vary according to a broadcast mod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received content.

즉, 일반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는 경우, 사용자는 에너지 세이빙 키, 모드 전환 키, 선호 채널 키, 프로그램 가이드 키, 퀵 메뉴 키, 확인 키, 닫기 키, 최근 시청 채널 키 및 숫자 키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일반 방송 콘텐츠 시청시에는 스크린 리모컨에 상기와 같은 키 항목들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That is, when watching general broadcast content, a user can input an energy saving key, a mode switch key, a favorite channel key, a program guide key, a quick menu key, a confirmation key, a close key, a recently watched channel key and a numeric key. have. Accordingly, when viewing the general broadcast content, the above key items should be included in the screen remote controller.

또한, 데이터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는 경우, 사용자는 방향 키, 확인 키,컬러 키, 숫자 키, 이전 키 및 텍스트 키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방송 콘텐츠 시청시에는 스크린 리모컨에 상기와 같은 키 항목들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In addition, when viewing data broadcasting content, a user may input a direction key, a confirmation key, a color key, a numeric key, a previous key, a text key, and the like. Accordingly, when viewing data broadcasting content, the above key items should be included in the screen remote controller.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상기 수신되는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키 항목들이 포함된 스크린 리모컨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1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o display a screen remote controller including key items corresponding thereto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received conten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스크린 리모컨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screen remote controller formed b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수신되는 콘텐츠가 일반 방송 콘텐츠인 경우, 상기 일반 방송 콘텐츠 시청시 사용할 수 있는 키 항목들이 포함된 제 1 스크린 리모컨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received content is general broadcast content,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o display a first screen remote controller including key items that can be used when viewing the general broadcast content.

즉, 디스플레이 화면의 전체 영역을 통해서는 상기 수신되는 콘텐츠(500)가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영역에는 상기 일반 방송 콘텐츠에 대응되는 제 1 스크린 리모컨(510)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측에는 상기 공간인식 리모컨(200)의 포인터(300)가 디스플레이된다.That is, the received content 500 is displayed through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screen, and the first screen remote controller 510 corresponding to the general broadcast content is displayed in one area of the display screen. In addition, the pointer 300 of the space recognition remote control 200 is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screen.

상기 제 1 스크린 리모컨(510)에는 상기 일반 방송 콘텐츠 시청시 입력할 수 있는 다수의 키 항목들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키 항목들에는 에너지 세이빙 키, 모드 전환 키, 선호 채널 키, 프로그램 가이드 키, 퀵 메뉴 키, 확인 키, 닫기 키, 최근 시청 채널 키 및 숫자 키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first screen remote controller 510 includes a plurality of key items that can be input when viewing the general broadcast content. The plurality of key items may include an energy saving key, a mode switch key, a favorite channel key, a program guide key, a quick menu key, a confirmation key, a close key, a recently watched channel key and a numeric key.

또한, 상기 제 1 스크린 리모컨(510)에는 제 1 변경 키(520)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제 1 스크린 리모컨(51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 2 스크린 리모컨으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irst screen remote control 510 includes a first change key 520, so that the first screen remote control 510 can be easily entered into the second screen remote control while the first screen remote control 510 is displayed. do.

한편, 상기 일반 방송 콘텐츠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방송 콘텐츠에 대응되는 제 2 스크린 리모컨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제 2 스크린 리모컨 내에 포함된 제 2 변경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스크린 리모컨으로 진입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general broadcast content is received, the second screen remote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data broadcast content may be displayed, and accordingly, using the second change key included in the second screen remote control, the first You might be able to enter the screen remot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스크린 리모컨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screen remote controller formed b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수신되는 콘텐츠가 데이터 방송 콘텐츠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상기 데이터 방송 콘텐츠 시청시 사용할 수 있는 키 항목들이 포함된 제 2 스크린 리모컨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As shown in FIG. 6, when the received content is data broadcast content, the controller 170 includes a second screen including key items that can be used when viewing the data broadcast content through the display 140. Control the remote control to be displayed.

즉, 디스플레이 화면의 전체 영역을 통해서는 상기 수신되는 콘텐츠(600)가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영역에는 상기 데이터 방송 콘텐츠에 대응되는 제 2 스크린 리모컨(610)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측에는 상기 공간인식 리모컨(200)의 포인터(300)가 디스플레이된다.That is, the received content 600 is displayed through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screen, and the second screen remote controller 610 corresponding to the data broadcast content is displayed in one area of the display screen. In addition, the pointer 300 of the space recognition remote control 200 is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screen.

상기 제 2 스크린 리모컨(610)에는 상기 데이터 방송 콘텐츠 시청시 입력할 수 있는 다수의 키 항목들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키 항목들에는 방향 키, 확인 키,컬러 키, 숫자 키, 이전 키 및 텍스트 키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econd screen remote controller 610 includes a plurality of key items that can be input when viewing the data broadcasting content. The plurality of key items may include direction keys, confirmation keys, color keys, numeric keys, previous keys and text keys.

또한, 상기 제 2 스크린 리모컨(610)에는 제 2 변경 키(620)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제 2 스크린 리모컨(61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 1 스크린 리모컨(510)으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screen remote control 610 includes a second change key 620, so that the second screen remote control 610 is easily displayed, the entry into the first screen remote control 510. Do it.

한편, 상기 데이터 방송 콘텐츠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방송 콘텐츠에 대응되는 제 1 스크린 리모컨(51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스크린 리모컨(510) 내에 포함된 제 1 변경 키(520)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스크린 리모컨(610)으로 진입할 수도 있을 것이다.Meanwhile, when the data broadcast content is received, the first screen remote control 510 corresponding to the data broadcast content may be displayed, and accordingly, a first change key included in the first screen remote control 510 may be displayed. Using 520, the second screen remote controller 610 may be entere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형성되는 제 3 스크린 리모컨을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hird screen remote controller form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제 2 스크린 리모컨(610)에 포함되어야 하는 키 항목의 수가 많기 때문에, 상기 제 2 스크린(610) 내에 상기 다수의 키 항목을 포함시킬 공간이 부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number of key items to be included in the second screen remote controller 610 is large, there may not be enough space to include the plurality of key items in the second screen 610.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데이터 방송 콘텐츠에 대응되는 제 3 스크린 리모컨(71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7, the third screen remote controller 710 corresponding to the data broadcasting content is displayed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즉, 상기 제 2 스크린 리모컨(610)에는 제 3 스크린 리모컨(710)으로 진입할 수 있는 제 1 진입 키(630)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스크린 리모컨(61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진입 키(630)가 입력되면, 상기 제 2 스크린 리모컨(610) 대신 제 3 스크린 리모컨(71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That is, the second screen remote controller 610 includes a first entry key 630 for entering the third screen remote controller 710, and the second screen remote controller 610 is displayed 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screen remote controller 610 is displayed. When the first entry key 630 is input, the third screen remote control 710 is displayed instead of the second screen remote control 610.

또한, 상기 제 3 스크린 리모컨(710)에는 상기 제 1 스크린 리모컨(510)으로 진입할 수 있는 제 3 변경 키(720)가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3 스크린 리모컨(71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제 3 변경 키(720)가 입력되면, 상기 제 3 스크린 리모컨(710) 대신 상기 제 1 스크린 리모컨(51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hird screen remote control 710 includes a third change key 720 for entering the first screen remote control 510. Accordingly, when the third change key 720 is input while the third screen remote controller 710 is displayed, the first screen remote controller 510 is displayed instead of the third screen remote controller 710.

또한, 상기 제 3 스크린 리모컨(710)에는 제 2 진입 키(730)가 존재하며, 상기 제 3 스크린 리모컨(71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진입 키(730)가 입력되면, 상기 제 3 스크린 리모컨(710) 대신 상기 제 2 스크린 리모컨(61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In addition, if the second entry key 730 is present in the third screen remote control 710 and the third screen remote control 710 is displayed, the third entry key 730 is inputted. The second screen remote control 610 is displayed instead of the screen remote control 710.

일반적으로, 데이터 방송 콘텐츠는 다수의 부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제 2 및 3 스크린 리모컨으로 인해 상기 데이터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부가정보가 정상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In general, data broadcast cont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additional information. Accordingly,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ata broadcasting content may not be normally provided to the user due to the displayed second and third screen remote controllers.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2 및 3 스크린 리모컨의 사용 의도가 있을 경우에만 상기 스크린 리모컨을 디스플레이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상기 스크린 리모컨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자동으로 숨길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remote controller is displayed only when the second and third screen remote controllers are intended to be used, and otherwise, the screen remote controller can be automatically hidden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screen remote controller.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리모컨의 디스플레이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form of a screen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화면의 전체 영역에는 데이터 방송 콘텐츠(800)가 디스플레이되며, 일 영역에는 제 2 스크린 리모컨 또는 제 3 스크린 리모컨(810)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영역에는 포인터(300)가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상기 스크린 리모컨의 사용 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영역(820)이 존재한다.Referring to FIG. 8, the data broadcasting content 800 is displayed in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screen, and the second screen remote control or the third screen remote control 810 is displayed in one area. In addition, a pointer 300 is displayed on one area of the display screen. In addition, an area 820 is provided on the display screen to determine the intention of using the screen remote controller.

상기 영역(820)은 상기 스크린 리모컨이 디스플레이된 영역을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크린 리모컨의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크게 설정되도록 한다.The area 820 includes an area where the screen remote control is displayed, and more preferably is set larger than a display area of the screen remote control.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상기 포인터(300)가 상기 설정된 영역(820)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스크린 리모컨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상기 포인터(300)가 상기 설정된 영역(820)을 벗어난 영역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스크린 리모컨의 숨김 기능을 수행한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170 causes the screen remote controller to be displayed when the pointer 300 is located in the set area 820, and when the pointer 300 is located in an area outside the set area 820. There is a hidden function of the screen remote control.

또한, 상기 스크린 리모컨에 포함되는 키 항목들의 배열 상태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In addition, an arrangement state of key items included in the screen remote controller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user selection.

즉, 상기 공간 리모컨(200)의 드래그 앤 드랍(drag&drop)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스크린 리모컨에 포함된 특정 키 항목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drag and drop function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0 may be used to change the position of a specific key item included in the screen remote controller.

예를 들어, 상기 제 2 스크린 리모컨(610) 상에서 사용자가 OK 키 항목을 드래그 한 다음 제 2 변경 키(620)의 우측에 드랍할 경우, 상기 OK 키 항목의 위치는 상기 제 2 변경 키(620)의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전에 상기 제 2 변경 키(620)의 우측에 위치했던 키 항목들은 상기 OK 키 항목의 이동에 따라 우측으로 일 영역씩 이동하게 된다.For example, if a user drags an OK key item on the second screen remote control 610 and then drops it to the right of the second change key 620, the position of the OK key item is the second change key 620. To the right of). In addition, key items previously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change key 620 are moved one area to the righ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K key item.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하면, 일반 방송 및 데이터 방송 시청시 공간 리모컨 및 일반 리모컨을 번갈아 이용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 리모컨의 사용성을 높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us, 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alternately using the space remote control and the general remote control when watching a general broadcast and data broadcast,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 to improve user satisfac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by-step method for providing a screen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수신부(110)는 사용자 요청에 따른 콘텐츠를 수신한다(100단계). 이때, 상기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는 실시간 방송 콘텐츠, 데이터 방송 콘텐츠, 저장 방송 콘텐츠 등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receiver 110 receives content according to a user request (step 100). In this case, the content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110 may be any one of real time broadcast content, data broadcast content, and stored broadcast content.

처리부(120)는 상기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하고, 상기 신호 처리된 콘텐츠는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110단계).The processor 120 signals the content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110 to display the content, and the signal processed cont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40 (step 110).

제어부(170)는 특정 키 입력이 요청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20단계). 이때, 상기 특정 키 입력은 스크린 리모컨의 디스플레이 요청에 대응되며, 상기 공간 인식 리모컨(200)에 포함된 특정 키를 입력하거나, 특정 제스쳐를 취하였을 경우에 상기 스크린 리모컨의 디스플레이 요청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70 determines whether a specific key input is requested (step 120). In this case, the specific key input corresponds to a display request of the screen remote controller, and when a specific key included in the space-aware remote controller 200 is input or a specific gesture is taken, it is determined that a display request of the screen remote controller has occurred. Can be.

제어부(170)는 상기 스크린 리모컨의 디스플레이 요청이 발생하였다면, 상기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의 종류를 판단한다(130단계). 다시 말해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의 종류를 파악한다. 즉, 상기 수신되는 콘텐츠에는 일반 방송 콘텐츠와 데이터 방송 콘텐츠가 혼합되어 있을 경우도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수신된 콘텐츠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의 종류를 파악한다.If a display request of the screen remote controller occurs, the controller 170 determines the type of content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110 (step 130). In other words, the controller 170 determines the type of content being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140. That is, the received content may be a mixture of general broadcast content and data broadcast content, and accordingly, the controller 170 of the received content is the content of the content that is substantially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Identify the type.

제어부(170)는 상기 확인된 콘텐츠가 일반 방송 콘텐츠인 경우, 제 1 스크린 리모컨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140단계). 다시 말해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일반 방송 콘텐츠 시청시 사용할 수 있는 키 항목들로 이루어진 제 1 스크린 리모컨(51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If the checked content is general broadcast content, the controller 170 causes the first screen remote controller to be displayed (step 140). In other words, the controller 170 causes the first screen remote controller 510 including key items to be used when viewing the general broadcast content to be displayed.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확인된 콘텐츠가 데이터 방송 콘텐츠인 경우, 제 2 스크린 리모컨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150단계). 다시 말해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데이터 방송 콘텐츠 시청시 사용할 수 있는 키 항목들로 이루어진 제 2 스크린 리모컨(61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In addition, if the checked content is data broadcasting content, the controller 170 causes the second screen remote controller to be displayed (step 150). In other words, the controller 170 causes the second screen remote controller 610 including key items to be used when viewing the data broadcasting content to be displayed.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by-step method for providing a screen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수신부(110)는 사용자 요청에 따른 콘텐츠를 수신한다(200단계). 이때, 상기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는 실시간 방송 콘텐츠, 데이터 방송 콘텐츠, 저장 방송 콘텐츠 등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receiver 110 receives content according to a user request (step 200). In this case, the content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110 may be any one of real time broadcast content, data broadcast content, and stored broadcast content.

처리부(120)는 상기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하고, 상기 신호 처리된 콘텐츠는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210단계).The processor 120 signals the content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110 to display the content, and the signal processed cont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40 (step 210).

제어부(170)는 특정 키 입력이 요청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20단계). 이때, 상기 특정 키 입력은 스크린 리모컨의 디스플레이 요청에 대응되며, 상기 공간 인식 리모컨(200)에 포함된 특정 키를 입력하거나, 특정 제스쳐를 취하였을 경우에 상기 스크린 리모컨의 디스플레이 요청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70 determines whether a specific key input is requested (step 220). In this case, the specific key input corresponds to a display request of the screen remote controller, and when a specific key included in the space-aware remote controller 200 is input or a specific gesture is taken, it is determined that a display request of the screen remote controller has occurred. Can be.

제어부(170)는 상기 스크린 리모컨의 디스플레이 요청이 발생하였다면, 특정 스크린 리모컨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230단계).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 리모컨은 일반 방송 콘텐츠에 대응되는 제 1 스크린 리모컨일 수 있고, 데이터 방송 콘텐츠에 대응되는 제 2 스크린 리모컨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디폴트로 설정된 스크린 리모컨을 우선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If a display request of the screen remote controller occurs, the controller 170 causes a specific screen remote controller to be displayed (step 230). In this case, the displayed screen remote controller may be a first screen remote controller corresponding to general broadcast content or a second screen remote controller corresponding to data broadcast content. That is, the controller 170 preferentially displays the screen remote controller set by default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request.

이후, 제어부(170)는 변경 키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40단계). 즉,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린 리모컨이 제 1 스크린 리모컨(510)인 경우, 제 1 변경 키(520)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린 리모컨이 제 2 스크린 리모컨(610)인 경우, 제 2 변경 키(620)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린 리모컨이 제 3 스크린 리모컨(710)인 경우, 제 3 변경 키(720)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In operation 240, the controller 170 determines whether a change key is input. That is, when the displayed screen remote controller is the first screen remote controller 51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irst change key 520 is input. In addition, when the displayed screen remote controller is the second screen remote controller 61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cond change key 620 is input. In addition, when the displayed screen remote controller is the third screen remote controller 71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hird change key 720 is input.

제어부(170)는 상기 변경 키가 입력되었다면, 상기 우선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스크린 리모컨이 제 1 스크린 리모컨인지 여부를 판단한다(250단계).If the change key is input, the controller 170 determines whether the preferentially displayed screen remote control is the first screen remote control (step 250).

제어부(170)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린 리모컨이 제 1 스크린 리모컨이면, 상기 제 1 스크린 리모컨의 디스플레이를 해제하고, 제 2 스크린 리모컨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260단계).If the displayed screen remote controller is the first screen remote controller, the controller 170 releases the display of the first screen remote controller and causes the second screen remote controller to be displayed (step 260).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린 리모컨이 제 2 또는 3 스크린 리모컨인 경우, 상기 제 2 또는 3 스크린 리모컨의 디스플레이를 해제하고, 제 1 스크린 리모컨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270단계).In addition, when the displayed screen remote controller is the second or third screen remote controller, the controller 170 releases the display of the second or third screen remote controller and causes the first screen remote controller to be displayed (step 270).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by-step method of providing a screen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스크린 리모컨 디스플레이 요청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에 대응되는 스크린 리모컨을 디스플레이한다(300단계).Referring to FIG. 11,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displaying a screen remote controller, a screen remote controller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content is displayed (step 300).

상기 스크린 리모컨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 리모컨에 존재하는 특정 키 항목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310단계). 즉, 상기 스크린 리모컨의 특정 키 항목이 존재하는 위치에서 포인터의 선택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In a state in which the screen remote controller is displayed, it is determined whether a specific key item existing in the screen remote controller is selected (step 310).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a selection command of a pointer is input at a location where a specific key item of the screen remote controller exists.

제어부(170)는 상기 특정 키 항목이 선택되었다면, 상기 선택된 키 항목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키 항목에 대응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320단계).If the specific key item is selected, the controller 170 output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key item and controls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item to be performed (step 320).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특정 키 항목이 선택되지 않았다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포인터의 위치를 확인한다(330단계). 즉,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좌표값을 확인한다.In addition, if the specific key item is not selected, the controller 170 checks the position of the pointer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step 330). That is, the coordinate value at which the pointer is located is checked.

제어부(170)는 상기 확인된 포인터의 좌표값을 기준으로, 상기 포인터가 기설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340단계). 다시 말해서, 디스플레이 화면의 전체 영역 중 특정 영역은 스크린 리모컨의 사용 의도를 판단할 수 있는 영역으로 설정되며, 상기 포인터의 위치가 상기 설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The controller 170 determines whether the pointer exists in a predetermined area based on the identified coordinate value of the pointer (step 340). In other words, a specific area of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screen is set as an area for determining the intention of using the screen remote controller, and determines whether the location of the pointer exists in the set area.

이어서, 상기 포인터가 상기 설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면, 상기 단계(300단계)로 복귀하여, 상기 포인터의 이동 위치를 추적한다.Subsequently, if the pointer is in the set area, the process returns to step 300 to track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pointer.

또한, 상기 포인터가 상기 설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 리모컨의 숨김 기능을 실행한다(350단계). 즉, 상기 디스플레이화면상에 스크린 리모컨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이때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계속적으로 감시하여 상기 포인터가 상기 기 설정된 영역 내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숨김 기능을 해제하여 상기 스크린 리모컨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 다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In addition, if the pointer does not exist within the set area, the hiding function of the displayed screen remote controller is executed (step 350). That is, the screen remote control is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In addition, if the pointer is continuously moved within the preset area by continuously monitoring the position of the pointer, the screen remote controller is displayed again on the display screen by releasing the hiding function.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일반 방송 및 데이터 방송 시청시 공간 리모컨 및 일반 리모컨을 번갈아 이용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 리모컨의 사용성을 높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alternately using the space remote control and the general remote control when watching a general broadcast and data broadcast, thereby increasing the usability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 thereby improving user satisfaction.

110: 수신부 120: 처리부
130: GUI 생성부 140: 디스플레이부
150: 저장부 160: 조작신호 수신부
170: 제어부
110: receiver 120: processor
130: GUI generation unit 140: Display unit
150: storage unit 160: operation signal receiving unit
170: control unit

Claims (10)

수신되는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일 측에 키 입력을 스크린 리모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 리모컨 상에서 입력된 키에 대응되는 동작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 리모컨은 상기 콘텐츠의 종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
Displaying the received content;
Displaying a screen remote control with a key input on one side of the displayed content; And,
And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on the screen remote controller,
The on-screen remote control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cont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리모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가 일반 방송 콘텐츠인 경우, 제 1 스크린 리모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가 데이터 방송 콘텐츠인 경우, 제 2 스크린 리모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Displaying the screen remote control
If the content is general broadcast content, displaying a first screen remote controller;
And displaying the second screen remote control if the content is data broadcasting conten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크린 리모컨에는 상기 제 2 스크린 리모컨으로의 진입을 위한 제 1 변경 키가 포함되고,
상기 제 2 스크린 리모컨에는 상기 제 1 스크린 리모컨으로의 진입을 위한 제 2 변경 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screen remote controller includes a first change key for entering the second screen remote controller,
And providing a second change key for accessing the first screen remote controll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리모컨에 포함된 키 항목의 배열을 변경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changing an arrangement of key items included in the screen remote control.
제 1항에 있어서,
키 입력을 위한 포인터의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 리모컨의 숨김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executing a hiding function of the displayed screen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ointer for key input.
콘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처리하는 처리부;
상기 처리된 콘텐츠에 키 입력을 위한 스크린 리모컨을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수신되는 콘텐츠를 토대로 방송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방송 모드에 대응되는 스크린 리모컨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content;
A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received content;
A display unit which adds and displays a screen remote controller for key input to the processed content;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a broadcast mode based on the received content, and to control a screen remote controller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broadcast mod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모드는 일반 방송 모드 및 데이터 방송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모드에 따라 제 1 스크린 리모컨 또는 제 2 스크린 리모컨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broadcast mode includes a normal broadcast mode and a data broadcast mode,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irst screen remote controller or the second screen remote controller to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broadcasting mod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2 스크린 리모컨에는 다른 스크린 리모컨으로의 진입을 위한 변경 키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 키의 입력 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린 리모콘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creen remote controllers include a change key for entering another screen remote controller,
And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displayed screen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whether the change key is inpu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제 1 및 2 스크린 리모컨에 존재하는 키 항목의 배열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arrangement of key items existing in the first and second screen remote controllers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키 입력을 위한 포인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스크린 리모컨의 디스플레이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the controller releases the display of the screen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ointer for key input.
KR1020100027270A 2010-03-26 2010-03-26 Method for providing screen remote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KR1016565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270A KR101656528B1 (en) 2010-03-26 2010-03-26 Method for providing screen remote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270A KR101656528B1 (en) 2010-03-26 2010-03-26 Method for providing screen remote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015A true KR20110108015A (en) 2011-10-05
KR101656528B1 KR101656528B1 (en) 2016-09-09

Family

ID=45219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270A KR101656528B1 (en) 2010-03-26 2010-03-26 Method for providing screen remote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52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6145A (en) * 2012-03-19 2013-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964122B2 (en) 2012-05-10 2015-0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function of display device using remote controll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9110A (en) * 2003-03-06 2004-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mote control of the same
KR20050056393A (en) * 2003-12-10 2005-06-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A method for selecting key arrangement of a remote controller
KR20060117483A (en) * 2005-05-11 2006-11-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Method for selecting broadcasting channel by using composite remote controller
KR20060134851A (en) * 2005-06-22 2006-12-2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9110A (en) * 2003-03-06 2004-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mote control of the same
KR20050056393A (en) * 2003-12-10 2005-06-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A method for selecting key arrangement of a remote controller
KR20060117483A (en) * 2005-05-11 2006-11-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Method for selecting broadcasting channel by using composite remote controller
KR20060134851A (en) * 2005-06-22 2006-12-2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6145A (en) * 2012-03-19 2013-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964122B2 (en) 2012-05-10 2015-0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function of display device using remote con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528B1 (en) 2016-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6358B1 (e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US879373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channel recall on a television receiver
US8832769B2 (en) Remote control based output selection
US943273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30179795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electronic apparatus
WO2010026717A1 (en) Control system, video display device, and remote control device
US2015020811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bidirectional remote controller and bidirectional remote controller implementing the method
US20100302151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US20140160353A1 (en) Control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tv interface
JP2007525115A (en) On-screen control of video playback equipment
US20130057465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40366061A1 (en) Method for operating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250091B1 (en) A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method
US20160044382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656528B1 (en) Method for providing screen remote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KR101595573B1 (en) Space remote controller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060290668A1 (en) Simplified user control and associated user interface
US20130176506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162533A1 (en) Method for operating image display apparatus
KR101599530B1 (en) Broadcast receiver controlled by screen remote controller and space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30083111A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2008217322A (en) Display device and remote control device
KR101663833B1 (en) Display device using space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393803B1 (en) Remote controller,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799315B1 (en) Method for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