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7143A - 멀티 입력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입력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7143A
KR20110107143A KR1020100026342A KR20100026342A KR20110107143A KR 20110107143 A KR20110107143 A KR 20110107143A KR 1020100026342 A KR1020100026342 A KR 1020100026342A KR 20100026342 A KR20100026342 A KR 20100026342A KR 20110107143 A KR20110107143 A KR 20110107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function
touch signal
signal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6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7143A/ko
Priority to EP11159532.8A priority patent/EP2369447B1/en
Priority to US13/070,860 priority patent/US8832605B2/en
Publication of KR20110107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1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1Multimodal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enabling the user to issue commands by simultaneous use of input devices of different nature, e.g. voice plus gesture on digitiz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디바이스들에 의한 각각의 싱글 입력들을 조합하여 싱글 입력과 멀티 입력에 따른 입력 종류별로 휴대단말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센싱모듈에 의한 근접신호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근접신호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터치스크린의 터치신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신호의 입력 방식에 따라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 입력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UNCTION OF A PORTABLE TERMINAL USING MULTI-INPUT}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어도 두 개의 센싱 디바이스들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입력 종류에 따라 휴대단말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각종 휴대단말들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록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단말들은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대표적으로 이동통신단말의 경우에는 음성통화나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 외에도 TV 시청 기능(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 음악재생기능(예컨대, MP3(MPEG Audio Layer-3), 사진촬영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다.
그런데, 휴대단말은 이동성이나 휴대성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표시부나 입력부(예컨대, 키패드 등) 등의 공간 할당에 제약이 존재하며, 사용자는 복잡한 구조의 메뉴 방식을 이용하여 기능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휴대단말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복잡한 구조의 메뉴 방식을 이용하는 대신 새로운 입력 방식을 통해 휴대단말의 동작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디바이스들을 이용하는 입력 방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른 종류의 입력 디바이스들을 가지는 휴대단말과, 그 휴대단말에서 다른 종류의 디바이스들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입력 종류에 따라 휴대단말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치스크린과 센싱모듈의 조합으로 입력되는 싱글 입력 또는 멀티 입력에 따라 휴대단말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입력 환경을 구현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센싱모듈에 의한 근접신호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근접신호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터치스크린의 터치신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신호의 입력 방식에 따라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입력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이벤트가 싱글 입력의 터치신호일 시 상기 터치신호에 매핑된 제1기능 실행을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이벤트가 멀티 입력의 터치신호일 시 상기 터치신호의 입력방식에 따라 제2기능 또는 제3기능 실행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에 있어서,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과, 제1디바이스의 입력을 감지할 시 제2디바이스의 입력이 있는지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제2디바이스의 입력이 없으면 상기 제1디바이스에 의한 싱글 입력에 따른 제1기능을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2디바이스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1디바이스와 제2디바이스에 의한 멀티 입력에 따른 제2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화면데이터를 표시하고 터치신호를 입력받는 표시부와, 근접신호를 입력받는 센싱모듈과, 싱글 입력 시의 터치신호에 따른 기능 실행을 제어하고, 상기 표시부와 상기 센싱모듈에 의한 멀티 입력 시의 터치신호의 입력 방식에 따라 설정된 제1기능 또는 제2기능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멀티 입력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서로 다른 디바이스들을 이용하여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를 위한 새로운 입력 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른 디바이스들을 이용한 입력 방식에 따라 휴대단말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스크린과 센싱모듈의 조합을 이용하는 싱글 입력 또는 멀티 입력에 따라 복잡한 메뉴 진입 절차 없이 간편하고 빠르게 휴대단말의 다양한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종의 디바이스들을 이용한 새로운 기능 구현에 의해 휴대단말의 접근성, 편의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른 기능 실행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싱글 입력 및 멀티 입력에 따라 수행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디바이스들을 이용한 멀티 입력을 지원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디바이스들에 의한 각각의 싱글 입력들을 조합하여 싱글 입력과 멀티 입력의 입력 종류별로 휴대단말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디바이스들은 터치스크린과 센싱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센싱모듈은 조도센서, 근접센서, 카메라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에 대하여 하기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 및 그의 제어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히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 1은 풀 터치스크린(Full Touch-screen)을 전면으로 가지는 바 타입(bar type)의 휴대단말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휴대단말 기능 수행에 따른 다양한 화면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부(400)와,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신호 생성을 위한 입력부(100)와, 휴대단말의 기능 수행에 따른 다양한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SPK, Speaker)와, 사용자 음성 등의 외부 오디오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MIC, Microphone) 및 사용자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센싱모듈(3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표시부(400)는 터치스크린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센싱모듈(300)은 휴대단말에 근접하는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고 그에 따른 입력신호를 제공하는 조도센서(또는 근접센서)(310)와, 카메라 기능 동작 시 특정 피사체를 촬영하며 사용자 입력 검출 기능 동작 시 그에 따른 입력신호를 제공하는 카메라모듈(350)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싱모듈(300)은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여 그에 따른 결과 값의 생성이 가능한 모든 형태의 검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싱모듈(300)에 따른 조도센서(또는 근접센서)(310)와 카메라모듈(350)의 위치는 반드시 상기 도 1에 나타낸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단말의 타입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의 예시에서는 상기 휴대단말이 조도센서(또는 근접센서)(310)와 카메라모듈(350)과 같은 센싱모듈(300)을 모두 구비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반드시 이러한 구성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조도센서, 근접센서, 카메라모듈 등과 같은 센싱모듈(300)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멀티 입력을 위한 센싱모듈(300)이 조도센서(또는 근접센서)(310)에 의해 운용될 시 상기 도 1의 구성에서 카메라모듈(350)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멀티 입력을 위한 센싱모듈(300)이 카메라모듈에 의해 운용될 시 상기 도 1의 구성에서 상기 조도센서(또는 근접센서)(310)는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센싱모듈(300)에 의한 싱글 입력과 상기 표시부(400)의 터치스크린에 의한 싱글 입력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센싱모듈(300)의 싱글 입력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싱글 입력이 함께 입력되는 멀티 입력이 가능하다. 그리고 각 싱글 입력들에 따른 기능 제어와 상기 멀티 입력에 따른 기능 제어를 각각 수행할 수 있다. 즉, 싱글 입력과 멀티 입력의 입력 종류에 따라 구분된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한 싱글 입력이 스크롤과 같은 기능으로 운용되는 것을 가정한다. 따라서 터치스크린에 의한 싱글 입력 시에는 상기 스크롤 기능을 제어한다. 그리고 센싱모듈과 터치스크린에 의한 멀티 입력 시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싱글 입력에 따라 새로운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싱글 입력과 멀티 입력 시의 제어 기능은 하기 <표 1>의 예시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싱모듈(300)에 의한 싱글 입력 시 표시부(40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기능이 설정되고, 터치스크린에 의한 싱글 입력 시 스크롤 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싱글 입력들에 대한 설정 상태에서 센싱모듈(300)과 터치스크린에 의한 멀티 입력 시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싱글 입력에 대해 새로운 제1기능 및 제2기능이 추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싱모듈(300)에 의한 근접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한 터치신호가 입력될 시 즉, 멀티 입력이 이루어질 시 상기 터치신호의 입력 방식에 따라 상기 제1기능 및 제2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 입력 시의 터치신호가 단일 오브젝트에 발생하는 경우 스크롤 기능을 제외한 삭제, 복사, 이동, 선택 등과 같은 기능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멀티 입력 시의 터치신호가 복수 오브젝트들에 발생하는 경우 연속된 상기 복수 오브젝트들을 선택하는 멀티 선택 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센싱모듈300)에 의한 싱글 입력 시 잠금모드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기능이 설정되고, 터치스크린에 의한 싱글 입력 시 싱글 입력에 대응하는 선택 오브젝트를 이동하는 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싱글 입력들에 대한 설정 상태에서 멀티 입력 시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싱글 입력에 대해 새로운 제1기능 및 제2기능이 추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멀티 입력이 이루어질 시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신호의 입력 방식에 따라 상기 제1기능 및 제2기능이 추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 입력 시의 터치신호가 단일 오브젝트에 발생하는 경우 선택 오브젝트의 이동 기능을 제외한 삭제, 복사, 선택 등과 같은 기능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멀티 입력 시의 터치신호가 복수 오브젝트들에 발생하는 경우 연속된 상기 복수 오브젝트들을 선택하는 멀티 선택 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멀티 입력 시의 제1기능 및 제2기능은 휴대단말 제조 시 미리 정의되어 제공되거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표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에 따른 일 예시를 살펴보면, 사용자는 센싱모듈(300)을 이용한 싱글 입력으로 표시부(40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싱글 입력으로 화면데이터의 스크롤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센싱모듈(300)을 이용한 싱글 입력과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싱글 입력을 함께 입력하는 멀티 입력 시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신호 입력 방식에 따라 삭제, 복사, 이동, 선택 등과 같은 제1기능을 실행하거나, 멀티 선택과 같은 제2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멀티 입력 시의 터치스크린의 터치신호에 매핑되는 기능은 터치스크린의 싱글 입력 시의 터치신호에 매핑된 기능과 다른 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신호는 싱글 입력 및 멀티 입력과 같은 입력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기능들이 설정되며, 아울러 멀티 입력 시 터치신호의 입력 방식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1기능 및 제2기능으로 세분화되어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동일한 형태의 입력 행위를 하더라도, 그 입력 방식이 싱글 입력 방식인지 또는 멀티 입력 방식인지에 따라 다른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멀티 입력 방식에서 터치신호의 입력 방식에 따라 보다 구분된 기능 실행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은 입력부(100), 저장부(200), 센싱모듈(300), 표시부(400), 그리고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밖에도 상기 휴대단말은 이동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 마이크(MIC)와 스피커(SPK)를 구비하는 오디오처리부, 디지털 방송(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의 수신과 재생을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방송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모듈, 인터넷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넷 통신모듈 등의 통상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들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입력부(100)는 사용자의 조작 행위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50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100)는 여러 개의 버튼들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입력부(100)는 센싱모듈(300)의 활성화 또는 매핑된 특정 기능의 실행 등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00)는 휴대단말에서 실행되고 처리되는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200)는 휴대단말의 운영체제, 센싱모듈(300)의 운용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터치스크린(미도시)의 운용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센싱모듈(300)과 터치스크린(미도시)에 의한 멀티 입력에 따른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표시부(400)의 표시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등을 지속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00)는 센싱모듈(300)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싱글 입력, 표시부(400)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싱글 입력, 센신모듈(300)과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멀티 입력에 각각 대응하는 실행 기능이 매핑된 매핑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매핑테이블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표 1>의 예시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싱모듈(300)은 상기 휴대단말에 근접하는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고 그에 따른 입력신호(예컨대, 근접신호)를 상기 제어부(500)로 전달한다. 즉, 상기 센싱모듈(300)은 휴대단말에 특정 물체(예컨대, 사용자 신체(손, 손가락 등) 등)가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싱모듈(300)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구동되거나, 미리 정의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구동되거나, 휴대단말에 전원이 공급될 시 함께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센싱모듈(3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도센서, 근접센서 및 카메라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조도센서 또는 근접센서는 특정 물체가 상기 휴대단말에 근접하는 상태를 검출하고 그에 따른 입력신호(예컨대, 근접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500)로 전달한다. 상기 조도센서 또는 근접센서는 상기 휴대단말과 인접된 공간상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입력 또는 직접 접촉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임의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된 데이터를 표시부(400) 및 제어부(500)로 전달한다. 상기 카메라모듈은 카메라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빛(광)을 센서(sensor)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러한 상기 카메라모듈은 입력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센서(미도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센서는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등의 방식을 이용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휴대단말과 인접된 공간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검출한다. 상기 카메라모듈은 특정 물체(예컨대, 사용자 신체 등)가 촬영범위에서 검출될 시 그에 따른 입력신호(예컨대, 근접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500)로 전달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카메라모듈이 사용자 입력 검출을 위한 기능 동작 시 상기 카메라모듈이 인식하는 데이터는 백그라운드 처리되어 표시부(400)에 의한 표시는 생략되고 사용자 입력을 위한 정보로만 활용된다.
한편, 상기 도 2의 구성에서는 상기 센싱모듈(300)을 기반으로 휴대단말의 멀티 입력을 위한 입력신호(예컨대, 근접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을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멀티 입력을 위한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터치패드, 마이크 등의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서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패드의 입력신호와 터치스크린의 입력신호 조합에 의하여 멀티 입력에 따른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의 입력신호와 터치스크린의 입력신호 조합에 의하여 멀티 입력에 따른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400)는 휴대단말에서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화면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메시지 기능, 전자메일 기능, 인터넷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검색 기능, 통신 기능, 전자책읽기 기능(예컨대, e-book), 동영상 기능, 사진촬영 기능, 사진보기 기능, TV시청 기능(예컨대, DMB나 DVB와 같은 이동방송), 음악재생 기능(예컨대, MP3), 위젯 기능 등의 실행화면을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40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등과 같은 다른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400)는 화면데이터를 표시할 때 가로 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세로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00)는 터치입력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40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00)는 터치스크린 구성에 의해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신호(예컨대, 터치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5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400)는 센싱모듈(300) 및 터치스크린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의한 사용자 입력(예컨대, 싱글 입력)에 따라 운용되는 화면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센싱모듈(300) 및 터치스크린의 조합에 의한 사용자 입력들(예컨대, 멀티 입력)에 따라 운용되는 화면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휴대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센싱모듈(300)에 의한 싱글 입력에 따른 기능, 표시부(400)의 터치스크린에 의한 싱글 입력에 따른 기능, 센싱모듈(300)과 터치스크린의 조합에 의한 멀티 입력에 따른 기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00)는 센싱모듈(300) 또는 터치스크린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할 시 이를 싱글 입력으로 판단하고, 싱글 입력에 따라 생성된 입력신호(예컨대, 근접신호 또는 터치신호)에 따른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센싱모듈(300)과 터치스크린의 디바이스들에서 각각 사용자 입력을 검출할 시 즉, 각 디바이스들에 의해 다른 두 개의 싱글 입력들을 검출할 시 이를 멀티 입력으로 판단하고, 멀티 입력에 따라 생성된 입력신호(예컨대, 근접신호 및 터치신호)에 따른 기능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멀티 입력에 따라 생성된 입력신호 중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생성된 터치신호의 입력 방식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1기능 및 제2기능을 구분하여 제어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상기 제어부(500)는 휴대단말의 통상적인 기능과 관련된 각종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는 센싱모듈(300)의 본래의 기능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센싱모듈(300)에 의한 검출신호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어부(500)에 대해 후술하는 동작 제어 방법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한편,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바 타입, 폴더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플립 타입 등 모든 타입의 휴대단말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각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뮤직 플레이어(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의 소형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센싱모듈(300)과 터치스크린에 의한 멀티 입력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은 TV(Television), LFD(Large Format Display), DS(Digital Signage), 미디어 폴(media pole), 퍼스널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및 노트북(Notebook) 등의 중대형 디바이스에 적용되어 운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멀티 입력을 이용한 기능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임의의 화면데이터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30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정렬된 리스트(예컨대, 메시지 리스트, 통화 리스트 등) 화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예컨대, 아이콘, 위젯, 메뉴 등)으로 구성된 화면 등을 선택하는 입력을 발생하면 그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입력신호에 따른 화면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500)는 사용자가 선택하여 실행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화면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화면데이터 표시 중에 제1디바이스에 의한 입력을 감지한다(303단계). 그리고 제어부(500)는 제1디바이스에 의한 입력을 감지할 시 제2디바이스에 의한 입력이 있는지 판별한다(305단계).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1디바이스와 제2디바이스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센싱모듈(300) 또는 표시부(400)의 터치스크린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1디바이스가 센싱모듈(300)에 해당할 시 제2디바이스는 터치스크린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제1디바이스가 터치스크린에 해당할 시 제2디바이스는 센싱모듈(300)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제1디바이스에 의한 입력이 있는 상태에서 제2디바이스에 의한 입력이 없으면(305단계의 No) 제1디바이스에 의한 싱글 입력에 따른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307단계). 또한, 제어부(500)는 제1디바이스에 의한 입력이 있는 상태에서 제2디바이스에 의한 입력이 감지되면(305단계의 Yes) 제1디바이스 및 제2디바이스에 의한 멀티 입력에 따른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309단계).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500)는 제1디바이스에 의한 싱글 입력에 따라 휴대단말의 기능을 제어하거나, 또는 제1디바이스와 제2디바이스에 의한 멀티 입력에 따라 휴대단말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제1디바이스가 센싱모듈(300)이고 제2디바이스가 터치스크린인 경우와, 제1디바이스가 터치스크린이고 제2디바이스가 센싱모듈(300)인 경우로 구분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일 예시로 제1디바이스가 센싱모듈(300)에 해당하고 제2디바이스가 표시부(400)의 터치스크린에 해당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상기 도 3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어부(500)가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특정 화면데이터를 표시(301단계)하는 상태에서 센싱모듈(300)에 의한 근접신호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303단계). 이때, 제어부(500)는 상기 센싱모듈(300)에 의한 상기 근접신호를 싱글 입력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상기 싱글 입력이 발생된 후 터치스크린에 의한 터치신호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305단계).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한 터치신호 입력이 없으면(305단계의 No), 센싱모듈(300)의 싱글 입력에 따라 생성된 상기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을 제어한다(307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근접신호에 따라 표시부(300)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근접신호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한 터치신호 입력을 감지하면(305단계의 Yes), 서로 다른 디바이스들의 조합으로 입력되는 멀티 입력으로 판단한다. 즉, 제어부(500)는 센싱모듈(300)의 싱글 입력에 따라 생성된 근접신호와 터치스크린의 싱글 입력에 따라 생성된 터치신호를 멀티 입력에 따라 생성된 멀티 신호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멀티 입력에 대응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을 제어한다(309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근접신호와 터치신호가 함께 입력되는 멀티 입력 시, 싱글 입력 시의 터치신호에 매핑된 기능이 아닌, 멀티 입력 시의 터치신호에 매핑된 기능 실행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500)는 센싱모듈(300)의 근접신호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터치스크린의 터치신호를 감지할 시 터치신호의 입력 방식에 따라 설정된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신호가 단일 오브젝트에 입력될 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1기능 실행을 제어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복수 오브젝트들에 입력될 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2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터치신호는 표시부(400)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생성되는 입력신호로 드래그신호, 플릭신호, 스윕신호, 무브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터치신호가 드래그신호인 경우를 가정하면, 제어부(500)는 싱글 입력에 따른 드래그신호를 검출하면 상기 싱글 입력 시의 드래그신호에 매핑된 해당 기능(예컨대, 스크롤 기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500)는 멀티 입력에 따른 드래그신호를 검출하면 상기 드래그신호가 단일 오브젝트에 발생하는지 복수의 오브젝트들에 발생하는지에 따라 제1기능 또는 제2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드래그신호에 따라 특정 하나의 오브젝트가 선택될 시 선택된 오브젝트를 삭제, 복사, 선택, 이동 중 설정된 제1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드래그신호에 따라 복수의 오브젝트들이 선택될 시 선택된 복수 오브젝트들을 멀티 선택하는 제2기능을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상기 멀티 입력 시 상기 드래그신호가 어떠한 오브젝트도 선택되지 않는 영역에 발생할 시 화면 전환과 같은 다른 기능을 제어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다른 예시로 제1디바이스가 표시부(400)의 터치스크린에 해당하고 제2디바이스가 센싱모듈(300)에 해당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상기 도 3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어부(500)가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특정 화면데이터를 표시(301단계)하는 상태에서 터치스크린에 의한 터치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303단계). 이때,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한 상기 터치신호를 싱글 입력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상기 싱글 입력이 발생된 후 센싱모듈(300)에 의한 근접신호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305단계).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센싱모듈(300)에 의한 근접신호 입력이 없으면(305단계의 No), 터치스크린의 싱글 입력에 따라 생성된 상기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을 제어한다(307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터치신호에 따라 화면데이터의 스크롤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신호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센싱모듈(300)에 의한 근접신호 입력을 감지하면(305단계의 Yes), 서로 다른 디바이스들의 조합으로 입력되는 멀티 입력으로 판단한다. 즉, 제어부(500)는 센싱모듈(300)의 싱글 입력에 따라 생성된 근접신호와 터치스크린의 싱글 입력에 따라 생성된 터치신호를 멀티 입력에 따라 생성된 멀티 신호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멀티 입력에 대응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을 제어한다(309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근접신호와 터치신호가 함께 입력되는 멀티 입력 시, 싱글 입력 시의 터치신호에 매핑된 기능이 아닌, 멀티 입력 시의 터치신호에 매핑된 기능 실행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500)는 터치스크린의 터치신호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센싱모듈(300)의 근접신호를 감지할 시 터치신호의 입력 방식에 따라 설정된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신호가 단일 오브젝트에 입력될 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1기능 실행을 제어하고, 상기 터치신호가 복수 오브젝트들에 입력될 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2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싱글 입력 및 멀티 입력에 따른 기능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임의의 화면데이터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40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정렬된 리스트(예컨대, 메시지 리스트, 통화 리스트 등) 화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예컨대, 아이콘, 위젯, 메뉴 등)으로 구성된 화면 등을 선택하는 입력을 발생하면 그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입력신호에 따른 화면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500)는 사용자가 선택하여 실행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화면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화면데이터 표시 중에 입력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403단계). 그리고 제어부(500)는 입력이벤트를 감지할 시 상기 입력이벤트의 타입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상기 입력이벤트가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입력이벤트인지(405단계) 또는 상기 입력이벤트가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입력이벤트인지 판별한다(421단계). 본 명세서에서 상기 근접신호는 센싱모듈(300)에 의해 생성되는 싱글 입력을 나타내고, 상기 터치신호는 터치스크린에 의해 생성되는 싱글 입력을 나타낸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상기 근접신호와 상기 터치신호가 함께 입력될 시 멀티 입력으로 동작한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참조번호 405에서 상기 입력이벤트가 근접신호이면(405단계의 Yes), 상기 근접신호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터치신호 입력이 있는지 판별한다(407단계). 만약, 터치신호 입력이 없으면(407단계의 No) 제어부(500)는 상기 근접신호에 따른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한다(409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일반모드에서 싱글 입력에 따른 상기 근접신호에 따라 표시부(40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터치신호 입력이 있으면(407단계의 Yes) 제어부(500)는 상기 입력된 터치신호의 입력 방식을 체크하여(411단계), 상기 터치신호의 입력 방식이 단일 오브젝트에 입력되는 방식인지 또는 복수 오브젝트들에 입력되는 방식인지 판별한다(413단계).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신호의 입력 방식이 단일 오브젝트에 입력되는 방식인 경우(413단계의 Yes)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설정된 제1기능 실행을 제어한다(41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멀티 입력에 따른 상기 터치신호가 특정 하나의 오브젝트에 입력(예컨대, 탭 입력 등)될 시 복사, 삭제, 이동, 선택 등과 같은 설정된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또는 아이템 등)를 삭제하거나,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또는 아이템)를 복사하거나,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또는 아이템)를 이동하거나,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또는 아이템)를 선택하는 등과 같이 멀티 입력 시 터치신호에 매핑된 제1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신호의 입력 방식이 복수 오브젝트들에 입력되는 방식인 경우(413단계의 No)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설정된 제2기능 실행을 제어한다(417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멀티 입력에 따른 상기 터치신호가 다수개의 오브젝트들에 입력(예컨대, 드래그 입력 등)될 시 멀티 선택 등과 같은 설정된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터치신호의 진행 방향에 대응하여 리스트 내의 아이템들을 블록 지정하여 멀티 선택하는 등과 같이 멀티 입력 시 터치신호에 매핑된 제2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신호는 싱글 입력 시의 기능과 멀티 입력 시의 기능을 따로 가질 수 있다.
한편, 제어부(500)는 참조번호 405에서 상기 입력이벤트가 근접신호가 아니면(405단계의 No), 상기 입력이벤트가 터치신호인지 판별한다(421단계). 만약 상기 입력이벤트가 터치신호가 아니면(421단계의 No) 제어부(500)는 상기 입력이벤트에 따른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한다(423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상기 입력이벤트가 메뉴 선택을 위한 입력인 경우 선택된 메뉴를 활성화하거나, 상기 입력이벤트가 특정 기능(예컨대, 카메라 기능)의 실행을 위한 입력인 경우 해당 기능 실행을 제어한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참조번호 421에서 상기 입력이벤트가 터치신호이면(421단계의 Yes), 상기 터치신호에 따른 기능 실행을 제어한다(42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일반모드에서 싱글 입력에 따른 상기 터치신호에 따라 화면데이터의 스크롤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신호에 따른 기능 실행 중에(즉, 상기 터치신호 입력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근접신호 입력이 있는지 판별한다(427단계). 만약, 근접신호 입력이 없으면(427단계의 No) 제어부(500)는 상기 입력된 터치신호의 해제 여부를 판별한다(429단계). 이때, 상기 터치신호가 해제되지 않으면 상기 425단계로 진행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신호의 해제를 감지하면 전술한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반면, 근접신호 입력이 있으면(427단계의 Yes) 제어부(500)는 전술한 411단계로 진행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신호의 입력 방식에 따라 설정된 제1기능 또는 제2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터치신호에 따라 동작 수행 중에 사용자가 특정 물체(예컨대, 사용자 신체 등)를 센싱모듈(300)에 근접하면 그 입력신호(예컨대, 근접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터치스크린에 의한 터치신호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근접신호를 수신하면 멀티 입력으로 판단하고 상기 터치신호의 입력 방식을 체크한다. 이때, 제어부(500)는 싱글 입력 시의 터치신호에 따른 기능 실행을 중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멀티 입력 시의 상기 터치신호의 입력 방식에 따라 새로운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싱글 입력 시의 터치신호에 따른 스크롤 기능 제어 중에 근접신호를 감지할 시 상기 스크롤 기능 제어를 중지하고 멀티 입력 시의 상기 터치신호의 입력 방식에 대응하는 제1기능 또는 제2기능을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글 입력 및 멀티 입력에 따라 수행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501 및 참조번호 5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요청에 따라 특정 화면데이터가 표시되는 상태를 가정한다. 도 5에서 상기 화면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정렬된 리스트의 화면데이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메시지리스트 또는 통화리스트 등의 화면데이터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참조번호 501 및 참조번호 503과 같이 화면데이터가 표시된 상태에서 싱글 입력 또는 멀티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5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400) 상에 사용자 손가락을 터치하고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는 싱글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서 상기 싱글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은 화면데이터의 스크롤을 제어하는 기능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스크롤 제어를 위한 싱글 입력은 드래그 방식의 입력, 플릭 방식의 입력, 스윕 방식의 입력, 무브 방식의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싱글 입력에 의해 참조번호 501의 화살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데이터가 아래로 이동하는 스크롤 기능이 수행된다.
또한 참조번호 5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손가락을 센싱모듈(310 또는 350)에 근접하는 공간상에 싱글 입력을 입력하거나, 또는 사용자 손가락을 센싱모듈(310 또는 350)에 접촉하는 싱글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400) 상에 사용자 손가락을 터치하여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는 싱글 입력의 터치신호를 함께 입력할 수 있다. 즉, 센싱모듈(310 또는 350)과 표시부(400)에 의한 멀티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서 상기 멀티 입력 시의 상기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2기능 즉, 멀티 선택하는 기능인 것을 가정한다. 예를 들어, 화면데이터가 포함하는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블록 지정하는 기능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블록 지정하기 위한 상기 터치신호 입력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드래그 방식의 입력, 플릭 방식의 입력, 스윕 방식의 입력, 무브 방식의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참조번호 5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입력에 따른 터치신호의 입력 방식이 복수 오브젝트들에 대한 입력인 경우 터치신호가 발생되는 해당 오브젝트들(예컨대, 'BBB' 오브젝트 내지 'EEE' 오브젝트)이 선택되어지는 상태로 나타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글 입력 및 멀티 입력에 따라 수행되는 다른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6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요청에 따라 특정 화면데이터가 표시되는 상태를 가정한다. 도 6에서 상기 화면데이터는 상기 도 5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도 6에서 싱글 입력에 따른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은 참조번호 6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기능인 것을 가정한다. 그리고 멀티 입력에 따른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1기능 중 삭제하는 기능인 것을 가정한다.
참조번호 6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모듈(310 도는 350)에 의한 싱글 입력 및 표시부(400)에 의한 싱글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즉, 다른 디바이스들을 이용한 멀티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참조번호 603과 같이 멀티 입력에 따른 터치신호의 입력 방식이 단일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인 경우 참조번호 6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신호가 발생된 해당 오브젝트(예컨대, 'BBB' 오브젝트)가 삭제되어 나타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글 입력 및 멀티 입력에 따라 수행되는 다른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701 및 참조번호 7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요청에 따라 특정 화면데이터가 표시되는 상태를 가정한다. 도 7에서 상기 화면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화면데이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위젯 아이템, 메뉴 아이템, 기능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화면데이터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참조번호 701 및 참조번호 703과 같이 화면데이터가 표시된 상태에서 싱글 입력 또는 멀티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7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400) 상에 사용자 손가락을 터치하고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싱글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싱글 입력은 참조번호 650과 같은 특정 아이템 상에 터치되어 이동되는 것을 가정한다. 도 6에서 상기 싱글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은 화면데이터의 스크롤을 제어하는 기능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스크롤 제어를 위한 싱글 입력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드래그 방식의 입력, 플릭 방식의 입력, 스윕 방식의 입력, 무브 방식의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싱글 입력에 의해 참조번호 601의 화살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데이터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스크롤 기능이 수행된다.
또한 참조번호 7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손가락을 센싱모듈(310 또는 350)에 근접하는 공간상에 싱글 입력을 입력하거나, 또는 사용자 손가락을 센싱모듈(310 또는 350)에 접촉하는 싱글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400) 상에 사용자 손가락을 터치하여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싱글 입력의 터치신호를 함께 입력할 수 있다. 즉, 센싱모듈(310 또는 350)과 표시부(400)에 의한 멀티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에서 상기 멀티 입력 시의 상기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1기능 중 이동하는 기능인 것을 가정한다. 예를 들어, 화면데이터가 포함하는 오브젝트들 중 특정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이동하는 기능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이동하기 위한 상기 터치신호 입력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드래그 방식의 입력, 플릭 방식의 입력, 스윕 방식의 입력, 무브 방식의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참조번호 7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입력에 따른 터치신호의 입력 방식이 단일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인 경우 터치신호가 발생되는 해당 오브젝트(예컨대, 참조번호 650의 오브젝트)가 이동되어 나타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글 입력 및 멀티 입력에 따라 수행되는 다른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801 내지 참조번호 8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요청에 따라 특정 화면데이터가 표시되는 상태를 가정한다. 도 8에서 상기 화면데이터는 상기 도 7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도 8에서 싱글 입력에 따른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은 참조번호 8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오브젝트는 이동하는 기능인 것을 가정한다. 그리고 멀티 입력에 따른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1기능 중 삭제하는 기능인 것을 가정한다.
참조번호 8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모듈(310 또는 350)에 의한 싱글 입력 및 표시부(400)에 의한 싱글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즉, 다른 디바이스들을 이용한 멀티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참조번호 803과 같이 멀티 입력에 따른 터치신호의 입력 방식이 단일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인 경우 참조번호 8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신호가 발생된 해당 오브젝트(예컨대, 참조번호 650의 오브젝트)가 삭제되어 나타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서로 다른 디바이스의 조합으로 입력되는 멀티 입력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로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입력부 200: 저장부
300: 센싱모듈 310: 조도센서 또는 근접센서
350: 카메라모듈 400: 표시부
500: 제어부

Claims (13)

  1.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센싱모듈에 의한 근접신호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근접신호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터치스크린의 터치신호를 감지할 시 멀티 입력으로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 입력 시 상기 터치신호의 입력 방식에 따라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과정은
    상기 터치신호가 단일 오브젝트에 입력될 시 설정된 제1기능을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신호가 복수 오브젝트들에 입력될 시 설정된 제2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은
    상기 단일 오브젝트의 복사, 삭제, 이동, 선택 중 설정된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 오브젝트들을 멀티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싱글 입력에 따른 터치신호에 따라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신호에 따른 기능 실행 중 멀티 입력에 의한 근접신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근접신호 감지 시 상기 싱글 입력에 따른 터치신호의 기능 실행을 중지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 입력 시의 상기 터치신호에 따라 설정된 제1기능 또는 제2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6.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입력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이벤트가 싱글 입력의 터치신호일 시 상기 터치신호에 매핑된 제1기능 실행을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이벤트가 멀티 입력의 터치신호일 시 상기 터치신호의 입력방식에 따라 제2기능 또는 제3기능 실행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능 또는 제3기능 실행은
    상기 멀티 입력의 터치신호가 단일 오브젝트에 입력될 시 설정된 상기 제2기능을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 입력의 터치신호가 복수 오브젝트들에 입력될 시 설정된 상기 제3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8. 휴대단말에 있어서,
    화면데이터를 표시하고 터치신호를 입력받는 표시부와,
    근접신호를 입력받는 센싱모듈과,
    싱글 입력 시의 터치신호에 따른 기능 실행을 제어하고, 상기 표시부와 상기 센싱모듈에 의한 멀티 입력 시의 터치신호의 입력 방식에 따라 설정된 제1기능 또는 제2기능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 입력 시의 상기 터치신호가 단일 오브젝트에 입력될 시 설정된 상기 제1기능 실행을 제어하고, 상기 멀티 입력 시의 상기 터치신호가 복수 오브젝트들에 입력될 시 설정된 상기 제2기능 실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능은 상기 단일 오브젝트의 복사, 삭제, 이동, 선택 중 설정된 어느 하나의 기능을 나타내고, 상기 제2기능은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들을 멀티 선택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싱글 입력의 터치신호에 따른 기능 실행 중 근접신호를 감지할 시 상기 싱글 입력의 터치신호에 따른 기능 실행을 중지하고, 멀티 입력의 터치신호에 따라 상기 제1기능 또는 제2기능 실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센싱모듈은 조도센서, 근접센서 및 카메라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생성되는 터치신호는 싱글 입력 시의 기능과 멀티 입력 시의 기능으로 구분되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KR1020100026342A 2010-03-24 2010-03-24 멀티 입력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1010714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342A KR20110107143A (ko) 2010-03-24 2010-03-24 멀티 입력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EP11159532.8A EP2369447B1 (en) 2010-03-24 2011-03-24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functions in a mobile device by multi-inputs
US13/070,860 US8832605B2 (en) 2010-03-24 2011-03-24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functions in a mobile device by multi-inpu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342A KR20110107143A (ko) 2010-03-24 2010-03-24 멀티 입력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143A true KR20110107143A (ko) 2011-09-30

Family

ID=44201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342A KR20110107143A (ko) 2010-03-24 2010-03-24 멀티 입력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32605B2 (ko)
EP (1) EP2369447B1 (ko)
KR (1) KR201101071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7809A (ko) * 2016-05-12 2017-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정보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183B1 (ko) * 2008-10-15 2015-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
KR101351162B1 (ko) * 2011-08-30 2014-01-14 주식회사 팬택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 및 방법
US9152223B2 (en) 2011-11-04 2015-10-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bile device with multiple security domains
US20130227490A1 (en) * 2012-02-24 2013-08-29 Simon Martin THORSANDER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Option to Enable Multiple Selections
US8539375B1 (en) 2012-02-24 2013-09-17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on a device enabling selection of operations to be performed in relation to content
US9223483B2 (en) 2012-02-24 2015-12-29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on a device that indicates content operators
JP2014010777A (ja) * 2012-07-02 2014-01-20 Fujitsu Ltd 表示プログラム、表示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101390090B1 (ko) * 2012-09-18 2014-05-27 한국과학기술원 카메라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센싱장치, 이를 이용한 센싱방법 및 제어방법
US9176539B2 (en) * 2012-11-10 2015-11-03 Ebay Inc. Key input using an active pixel camera
USD718268S1 (en) * 2013-01-14 2014-11-25 Huawei Device Co., Ltd. Mobile phone
JP5736005B2 (ja) * 2013-06-11 2015-06-17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入力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入力処理方法、情報処理方法、入力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D736204S1 (en) * 2013-12-05 2015-08-11 Matsunichi Communication Holdings R&D (Shenzhen) Co., Ltd. Tablet PC
USD818980S1 (en) * 2014-10-01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768105S1 (en) * 2014-10-01 2016-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778270S1 (en) * 2014-10-01 2017-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EP3727195A4 (en) 2017-12-22 2021-03-10 Free Flow Medical, Inc. DEVICES, TREATMENTS AND METHODS FOR RESTORING ELASTIC TISSUE RECOIL
DK180359B1 (en) 2019-04-15 2021-02-03 Apple Inc Accelerated scrolling and select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3471B1 (en) * 1996-12-13 2002-09-17 Starsight Telecast, Inc.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with movie preview
US20070177804A1 (en) * 2006-01-30 2007-08-02 Apple Computer, Inc. Multi-touch gesture dictionary
JP2002149308A (ja) * 2000-11-10 2002-05-24 Nec Corp 情報入力方法及び入力装置
US7653883B2 (en) * 2004-07-30 2010-01-26 Apple Inc. Proximity detector in handheld device
US20090278806A1 (en) * 2008-05-06 2009-11-12 Matias Gonzalo Duarte Extended touch-sensitive control area for electronic device
US8947364B2 (en) * 2007-08-20 2015-02-03 Synaptics Incorporated Proximity sensor device and method with activation confirmation
EP2227732A2 (en) * 2007-12-05 2010-09-15 Eui Jin Oh Character input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7809A (ko) * 2016-05-12 2017-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정보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69447A3 (en) 2016-07-20
US8832605B2 (en) 2014-09-09
EP2369447B1 (en) 2019-07-24
US20110239166A1 (en) 2011-09-29
EP2369447A2 (en)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7143A (ko) 멀티 입력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760693B1 (ko) 터치 디바이스에서 홈스크린 편집 방법 및 장치
JP5805588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10067643B2 (en) Application menu for video system
JP5982369B2 (ja) タッチ感応式デバイスにおけるフォルダー運用方法および装置
US10606469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multiple display windows
KR101601049B1 (ko)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및 그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CN108334264B (zh) 在便携式终端中用于提供多点触摸交互的方法和设备
KR102052424B1 (ko)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윈도우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US1118819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side menus
KR102251834B1 (ko)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JP2013084233A (ja)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69526A (ko)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50007760A (ko) 수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전자 장치
CN103809904A (zh) 显示方法和使用显示方法的电子装置
KR20110131909A (ko) 터치 단말에서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 시 입력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
JP2013084237A (ja)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42045B2 (ja)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123794A (ko) 메모용 어플리케이션
KR20170027634A (ko) 이동 단말기
KR101874898B1 (ko) 휴대 단말기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354234B1 (ko) 터치 입력 장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JP2014067297A (ja)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04002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