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5600A - Dual mode trailer with horizontal transfer unit capable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and method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 Google Patents

Dual mode trailer with horizontal transfer unit capable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and method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5600A
KR20110105600A KR1020100024828A KR20100024828A KR20110105600A KR 20110105600 A KR20110105600 A KR 20110105600A KR 1020100024828 A KR1020100024828 A KR 1020100024828A KR 20100024828 A KR20100024828 A KR 20100024828A KR 20110105600 A KR20110105600 A KR 20110105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oading
trailer
horizontal transfer
load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8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창호
최근
이덕균
김윤환
장재철
최병철
정영재
김준호
이재홍
Original Assignee
(주)범창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범창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범창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100024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5600A/en
Priority to PCT/KR2010/005096 priority patent/WO2011016666A2/en
Publication of KR20110105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60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60P1/641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 B60P1/6427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shifted horizontally in a fore and aft direction, combined or not with a vertical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Securing freight containers or forwarding contain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견인차량에 일체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결착되며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적재면이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트레일러에 있어서, 컨테이너가 이/적재되는 트레일러의 적재면에 구비되어 컨테이너를 로딩한 상태로 트레일러와 화차 사이를 이동하여 컨테이너를 언로딩하는 수평이송장치; 상기 컨테이너가 이/적재되는 트레일러의 적재면에 구비되어 컨테이너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수평이송장치의 로딩 높이에 컨테이너의 로딩 높이가 대응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컨테이너고정장치; 및 상기 구성부들을 제어하여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이송장치는, 상기 트레일러의 적재면에 구비되어 트레일러의 적재면으로부터 화차의 적재면까지 신장 또는 신축되는 한 쌍의 가이드붐; 상기 가이드붐의 내부에 위치되어 가이드붐을 신장 또는 신축시키는 이동용 액츄에이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붐들 사이에 고정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적재면에 접촉되는 상태로 구비되어 가이드붐의 신장 또는 신축시 적재면을 따라 회전되어 본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개의 회전휠; 상기 복수개의 회전휠 사이에 구비되어 승강 동작하는 복수개의 리프트용 액츄에이터; 및 상기 본체의 상측부에 위치되어 리프트용 액츄에이터의 승강시 컨테이너의 하부를 지지하거나 지지 해제하는 지지판넬을 포함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trailer integrally or detachably attached to a tow vehicle and having a loading surface on which a container is loa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the container is provided on a loading surface of a trailer on which the container is loaded and loaded with a container. A horizontal transportation device for unloading the container by moving between the trailer and the wagon; A plurality of container fixing devices provided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o which the container is loaded / loaded to stably support the container and to correspond to the loading height of the container corresponding to the loading height of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loading / unloading operation of the container by controlling the components, wherein the horizontal conveying device is provided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and extends or expands from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o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uck. A pair of guide booms; A moving actuator positioned inside the guide boom to extend or expand the guide boom; A main body fixed between the pair of guide booms; A plurality of rotary wheels provided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a loading surface inside the main body to rotate along the loading surface when the guide boom is extended or expanded; A plurality of lift actuators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rotation wheels to move up and down; And it is provided with a dual-mode trailer having a horizontal transfer device capable of loading / unloading the container including a support panel which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for supporting or releas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during the lifting of the lift actuator.

Description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및 컨테이너 이/적재 방법{Dual mode trailer with horizontal transfer unit capable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and method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Dual mode trailer with horizontal transfer unit capable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and method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본 발명은 트레일러와 화차 사이에서 컨테이너를 상호 이/적재 할 수 있는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Dual Mode Trailer(DMT)) 및 컨테이너의 이/적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레일러에 구비된 수평이송장치가 트레일러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화차에 이동 적재시키거나 화차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트레일러에 이동 적재시키도록 할 수 있는 컨테이너의 이/적재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및 컨테이너의 이/적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mode trailer (DMT) having a horizontal transfer device capable of mutually loading / loading a container between a trailer and a wagon and a loading / loading method of a container. A dual mode trailer having a horizontal transfer device capable of moving and loading a container loaded on a trailer into a wagon or moving and loading a container loaded on a trailer into a trailer; It relates to the loading and unloading method of the container.

현재 국가 간의 교역 또는 지역 간의 화물의 운송으로 인해 해상물동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운송 또는 교역에 의해 컨테이너를 이용한 물류수송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Currently, maritime traffic is increasing due to trade between countries or freight between regions, and logistics transportation using containers continues to increase due to such transportation or trade.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를 수송하는 방식은 육상수송과 해상수송으로 대별되며, 육상수송은 공로를 통한 수송과 철도를 통한 수송으로 분류된다. 현재, 공로는 포화상태에 있으며, 트레일러의 장시간 운전으로 인한 사고발생 및 매연으로 인한 환경오염 등으로 인해 철도를 통한 수송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철도를 통한 수송은 비용이 저렴하고 안정적인 수송이 가능하지만 공로와의 연결지역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철도를 사용하여 컨테이너를 수송하기 위해서는 하역장 또는 장치장에 컨테이너를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직배송(DTD(Door to door)) 및 실시간 배송(JIT(Just in time))이 곤란하거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containers are classified into land transport and sea transport, and land transport is classified into air transport and rail transport. At present, the air is in saturation and efforts and researche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to increase the amount of transportation through the railway due to accidents caused by long-time operation of trailer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soot. As described above, the rail transport is inexpensive and stable, but the connection area with the airway is limited. In addition, in order to transport a container using a railroad, the container must be stored in a loading dock or a storage facility, and thus, direct delivery (DTD (Door to door)) and real time delivery (JIT (Just in time)) are difficult or impossible.

한편, 현재 철송장에서는 대부분 크레인을 사용하여 트레일러와 화차 간 컨테이너를 이/적재 하고 있으나, 기관차의 전차화로 인하여 작업장에 전선이 공중 가설되기 때문에 크레인의 사용이 제한되거나 불가하게 되므로 새로운 형태의 컨테이너 이송방식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iron invoices are loaded / loaded containers between trailers and wagons by using cranes, but since the electric wires are laid in the workplace due to the tramization of locomotives, the use of cranes is restricted or impossible, and thus new containers are transferred. The development of methods is urgently need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크레인을 이용하지 않고 컨테이너를 트레일러와 화차 사이에 이/적재 시키는 컨테이너의 이/적재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가 대한민국 특허 제774015호와 제797200호 등에 개시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dual mode trailer capable of loading / loading a container between a trailer and a wagon without using a cran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s. 774015 and 797200.

상기 특허들 중 제774015호는 화물의 레일/도로 조합 수송 및 하역용 레일카에 관한 것으로, 레일차 구조체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분리 가능한 연결부에 의하여 단부 플랫폼에 연결되어 강성 조립체를 형성하고 운송을 위한 결합상태에서는 견인, 운송 및 하역에 의해 일어나는 모든 정적 또는 동적 힘을 전달하며, 하역을 위해 분리되는 경우에는 단부 플랫폼의 단부가 완전히 해제될 수 있고, 단부 플랫폼 사이에는 하역 작업 중 단부 플랫폼의 위치를 유지시켜주는 유지수단이 제공되며, 유지수단은 견인, 운송 및 하역 작업과 관련된 정적 또는 동적 힘을 전달하지 않고, 레일 캐리어 구조체에는 상승력 및 회동력을 받는 위치에 배치되고 레일카에는 길이방향 중심선 중에 회동지점을 갖는 특징이 있다. No. 774015 of the above patents relates to rail / road combination transport and unloading railcars of cargo, wherein at least one end of the railcar structure is connected to the end platform by a detachable connection to form a rigid assembly and transport. For the purpose of transmitting all static or dynamic forces generated by towing, transport and unloading, where the end platform of the end platform can be completely released if it is separated for unloading, and between end platforms the position of the end platform during unloading operation. A retaining means is provided for retaining the retaining means, the retaining means do not transmit static or dynamic forces associated with towing, transport and unloading operations, and are disposed in a position subject to lift and rotational forces on the rail carrier structure and a longitudinal centerline on the railcar. It has a feature of having a pivot point.

또한, 상기 특허 제797200호는 특허 제774015호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캐리어 구조체를 상승시킨 후 회동시켜 컨테이너를 화차에서 트레일러로 또는 트레일러에서 화차로 이/적재 시키는 방법적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Patent No. 797200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unloading a container using Patent No. 774015, and the carrier structure is raised and rotated to transfer the container from the wagon to the trailer or from the trailer to the wagon There are methodological features.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특허에서는 각각의 하역장의 플랫폼에는 캐리어 구조체를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수단의 설치가 필수적이므로 유효공간 및 작업공간을 과도하게 필요로 함은 물론 비용이 현저하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patent, since the installation of the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carrier structure is essential to the platform of each loading dock,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of the effective space and the work space are excessively increased and the cost is significantly increased.

또한, 상기 컨테이너를 회동방식으로 이/적재 시키기 때문에 작업공간이 많이 소요되어 시스템 및 하역작업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tainer is loaded / loaded in a rotating manner, a lot of work space is required, and the system and unloading work are complicated.

또한, 반드시 구동수단 또는 회동수단이 구비된 플랫폼에서만 이/적재 작업이 가능하므로 적용성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pplicability is limited because this / loading operation is possible only on the platform provided with a driving means or a rotating mean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역장의 플랫폼에 별도의 구동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트레일러에 구비되어 트레일러와 화차 상호간을 수평 이동하고 컨테이너의 하부를 로딩하거나 언로딩할 수 있는 수평이송장치를 통하여 트레일러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화차에 이재하거나 화차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트레일러에 이재할 수 있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및 컨테이너의 이/적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trailer is provided on the trailer through a horizontal transport device which is provided on the trailer without horizontally moving the platform and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without having a separate drive means on the platform of the loading dock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al mode trailer and a container loading / loading method having a horizontal transfer device capable of loading / loading a container to transfer a container to a wagon or a container loaded on a wagon.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의하면, 견인차량에 일체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결착되며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적재면이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트레일러에 있어서, 컨테이너가 이/적재되는 트레일러의 적재면에 구비되어 컨테이너를 로딩한 상태로 트레일러와 화차 사이를 이동하여 컨테이너를 언로딩하는 수평이송장치; 상기 컨테이너가 이/적재되는 트레일러의 적재면에 구비되어 컨테이너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수평이송장치의 로딩 높이에 컨테이너의 로딩 높이가 대응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컨테이너고정장치; 및 상기 구성부들을 제어하여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이송장치는, 상기 트레일러의 적재면에 구비되어 트레일러의 적재면으로부터 화차의 적재면까지 신장 또는 신축되는 한 쌍의 가이드붐; 상기 가이드붐의 내부에 위치되어 가이드붐을 신장 또는 신축시키는 이동용 액츄에이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붐들 사이에 고정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적재면에 접촉되는 상태로 구비되어 가이드붐의 신장 또는 신축시 적재면을 따라 회전되어 본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개의 회전휠; 상기 복수개의 회전휠 사이에 구비되어 승강 동작하는 복수개의 리프트용 액츄에이터; 및 상기 본체의 상측부에 위치되어 리프트용 액츄에이터의 승강시 컨테이너의 하부를 지지하거나 지지 해제하는 지지판넬을 포함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trailer integrally or detachably attached to a tow vehicle and having a loading surface on which a container is loa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the container is provided on a loading surface of a trailer on which the container is loaded and loaded with a container. A horizontal transportation device for unloading the container by moving between the trailer and the wagon; A plurality of container fixing devices provided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o which the container is loaded / loaded to stably support the container and to correspond to the loading height of the container corresponding to the loading height of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loading / unloading operation of the container by controlling the components, wherein the horizontal conveying device is provided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and extends or expands from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o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uck. A pair of guide booms; A moving actuator positioned inside the guide boom to extend or expand the guide boom; A main body fixed between the pair of guide booms; A plurality of rotary wheels provided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a loading surface inside the main body to rotate along the loading surface when the guide boom is extended or expanded; A plurality of lift actuators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rotation wheels to move up and down; And it is provided with a dual-mode trailer having a horizontal transfer device capable of loading / unloading the container including a support panel which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for supporting or releas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during the lifting of the lift actuato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이송장치의 이동용 액츄에이터와 리프트용 액츄에이터 및 컨테이터고정장치 승강수단의 승강용 액츄에이터에 유압공급장치로부터 유압이 공급되는 제1단계; 상기 수평이송장치의 리프트용 액츄에이터가 상승 동작되어 컨테이너가 수평이송장치 본체에 로딩되는 제2단계; 상기 수평이송장치의 이동용 액츄에이터가 신장 동작되어 수평이송장치 본체가 컨테이너를 로딩한 상태로 트레일러로부터 화차의 적재면까지 수평이동하게 되는 제3단계; 상기 수평이송장치의 리프트용 액츄에이터가 하강 동작되어 수평이송장치 본체의 컨테이너가 화차의 콘소켓에 안착되도록 언로딩되는 제4단계; 및 상기 수평이송장치의 이동용 액츄에이터가 신축 동작되어 수평이송장치 본체가 화차로부터 트레일러의 적재면까지 수평이동하게 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의 컨테이너 이/적재 방법이 제공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ep of supplying the hydraulic pressure from the hydraulic supply device to the lifting actuator of the moving actuator of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the actuator for the lift and the container fixing device lifting means; A second step in which the lift actuator of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is lifted to load the container into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main body; A third step in which the actuator for movement of the horizontal conveying apparatus is extended and moved horizontally from the trailer to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uck with the horizontal conveying apparatus main body loading the container; A fourth step in which the lift actuator of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is lowered to unload the container of the main body of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to be seated on the con- ceptor of the wagon; And a fifth step in which the actuator for movement of the horizontal conveying device is stretched and operated so that the horizontal conveying body main body moves horizontally from the wagon to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Container loading / loading methods are provided.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역장의 플랫폼에 별도의 구동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트레일러에 구비되어 트레일러와 화차 상호간을 수평 이동하고 컨테이너의 하부를 로딩하거나 언로딩할 수 있는 수평이송장치를 통하여 트레일러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화차에 이재하거나 화차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트레일러에 이재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iler is loaded on the trailer through a horizontal transport device which is provided on the trailer without horizontally moving the platform and is provided with a trailer that can horizontally move between the trailer and the wagon and load or unload the bottom of the container. The container may be transferred to the wagon or the container loaded on the wagon may be transferred to the trailer.

또한, 상기 수평이송장치에 의하면 트레일러의 컨테이너를 리프트용 액츄에이터를 통해 지지판넬이 로딩한 상태에서 이동용 액츄에이터의 신장 동작에 따라 가이드붐이 화차의 적재면까지 신장된 후 다시 리프트용 액츄에이터의 동작을 통해 컨테이너를 화차의 적재면에 언로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붐의 신장 또는 신축 거리 만큼 본체가 트레일러의 적재면으로부터 화차의 적재면을 수평 왕복 이동하여 상기 본체가 항상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어 별도의 위치센서가 불필요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horizontal conveying apparatus, the guide boom is extended to the loading surface of the wagon according to the extension operation of the moving actuator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of the trailer is loaded through the lift actuator, and then again the operation of the lift actuator. By unloading the container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wagon, the main body is horizontally reciprocated from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by the extending or stretching distance of the guide boom so that the main body is always in the right position. Position sensor is unnecessary.

또한, 상기 트레일러와 화차 간의 이격 거리만 정확하게 위치되면 상기 가이드붐의 신장 또는 신축 거리 만큼 본체가 트레일러의 적재면으로부터 화차의 적재면을 수평 왕복 이동함으로써, 상기 트레일러와 화차의 정확한 위치에 컨테이너가 이/적재되도록 할 수 있고 본체의 위치 계산을 위한 별도의 위치센서가 불필요하다.In addition, when only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trailer and the wagon is accurately positioned, the main body horizontally reciprocates the loading surface of the wagon from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by the elongation or expansion distance of the guide boom, so that the container is located at the correct position of the trailer and the wagon. / Can be loaded and a separate position sensor for position calculation of the body is unnecessary.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3은 도 1의 2중 모드 트레일러를 나타낸 측면도;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도 1의 2중 모드 트레일러에 있어서 수평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 7과 도 8은 각각 도 1의 2중 모드 트레일러에 있어서 수평이송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 내지 11은 각각 도 1의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에 있어서 컨테이너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측단면도 및 컨테이너고정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도;
도 12는 도 1의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에 의해 컨테이너가 트레일러로부터 화차로 로딩/언로딩 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및
도 13은 도 1의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에 의해 컨테이너가 트레일러로부터 화차로 로딩/언로딩 되는 과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al mode trailer having a horizontal transfer apparatus capable of loading / loading a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ual mode trailer having a horizontal transport apparatus capable of loading / loading the container of Figure 1;
3 is a side view of the dual mode trailer of FIG. 1;
4 to 6 are a perspective view, a plan view and a side view, respectively, of the horizontal transport apparatus in the dual mode trailer of FIG. 1;
7 and 8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in the dual mode trailer of Figure 1, respectively;
9 to 11 are perspective views, side cross-sectional views, and operation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tainer fixing device in the dual mode trailer each having a horizontal transfer device capable of loading / loading the container of FIG. 1;
FIG. 12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loading / unloading a container from a trailer into a wagon by a dual mode trailer having a horizontal transport apparatus capable of loading / loading the container of FIG. 1; FIG. And
FIG. 13 is a control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loading / unloading a container from a trailer into a wagon by a dual mode trailer having a horizontal transport apparatus capable of loading / loading the container of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2중 모드 트레일러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도 1의 2중 모드 트레일러에 있어서 수평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7과 도 8은 각각 도 1의 2중 모드 트레일러에 있어서 수평이송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al mode trailer having a horizontal transfer device capable of loading / loading the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horizontal transfer device capable of loading / loading the container of Figure 1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ual mode trailer. 3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dual mode trailer of FIG. 1, and FIGS. 4 to 6 are a perspective view, a plan view, and a side view illustrating a horizontal transfer apparatus in the dual mode trailer of FIG. 1, respectively. FIGS. 7 and 8 1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in the dual mode trailer of FIG.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100)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T)는, 컨테이너(C)가 이/적재되는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구비되어 트레일러(T)로부터 화차(F)에 컨테이너(C)를 이/적재시키거나 화차(F)로부터 트레일러(T)에 컨테이너(C)를 이/적재시키기 위하여 컨테이너(C)를 로딩한 상태로 트레일러(T)와 화차(F) 사이를 이동하여 컨테이너(C)를 언로딩하는 수평이송장치(100), 상기 컨테이너(C)가 이/적재되는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구비되어 컨테이너(C)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수평이송장치(100)의 로딩 높이에 컨테이너(C)의 로딩 높이가 대응되도록 하여 상기 수평이송장치(100)의 컨테이너(C) 로딩/언로딩 동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컨테이너고정장치(200) 및 상기 구성부들을 제어하여 컨테이너(C)의 로딩/언로딩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1 to 8, a dual mode trailer (T) having a horizontal transfer device 100 capable of loading / loading the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C) It is provided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 to be loaded to load / load the container (C) from the trailer (T) to the wagon (F), or to load / load the container (C) from the wagon (F) to the trailer (T). In order to make the container (C) loaded to move the trailer (T) and the wagon (F) between the horizontal transport apparatus 100 for unloading the container (C), the trailer to which the container (C) is loaded It is provided on the loading surface of (T) to stably support the container (C) and to match the loading height of the container (C) to the loading height of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00) container (C) of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00) A plurality of container fixing device 200 to facilitate the loading / unloading operation and the sphere Control units by a control device 300 for controlling the loading / unloading operation of the container (C).

여기서, 상기 트레일러(T)는, 견인차량(미도시)에 본체가 일체로 구비되거나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결착되어 도로를 운행하며, 컨테이너(C)가 이/적재되는 적재면이 트레일러(T)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적재면에 컨테이너(C)의 이/적재시 상기 견인차량(미도시) 또는 트레일러(T)의 일측의 콘트롤박스(미도시)에 구비된 제어장치(300)에 의해 상기 수평이송장치(100)와 컨테이너고정장치(200)가 제어된다.Here, the trailer (T), the main body is integrally provided to the tow vehicle (not shown) or detachably attached to the road to run the road, the loading surface on which the container (C) is loaded / loaded the trailer (T) body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control device 300 provided in the control box (not shown) on one side of the tow vehicle (not shown) or the trailer (T) when the loading / loading of the container (C) on the loading surface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00 and the container fixing device 200 is controlled.

또한, 상기 트레일러(T)의 측부에는 상기 트레일러(T)를 하역장의 바닥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트리거장치(40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컨테이너(C)의 이/적재시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트레일러(T)의 적재면이 화차(F)의 적재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지 못하는 경우 트레일러(T)의 적재면 높이가 가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ide of the trailer (T) is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rigger devices 400 for stably supporting the trailer (T) on the bottom of the loading dock is not shaken when loading / loading of the container (C). Or if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 does not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uck (F), it is preferable that the loading surface height of the trailer (T) is variable.

여기서, 상기 트리거장치(400)에 공급되는 유압은 하역장 또는 터미널에 구비된 유압공급원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거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트레일러(T)에 설치되는 후술된 유압공급장치(500)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Here,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o the trigger device 400 may be supplied from the hydraulic supply source provided in the loading dock or the terminal, or more preferably, may be supplied from the hydraulic supply device 500 described later installed in the trailer (T). have.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평이송장치(100)는, 상기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구비되어 트레일러(T)로부터 화차(F)에 컨테이너를 이/적재시키거나 화차(F)로부터 트레일러(T)에 컨테이너(C)를 이/적재하기 위하여 컨테이너(C)를 로딩한 상태로 트레일러(T)와 화차(F) 사이를 이동하여 컨테이너(C)를 언로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구비되어 트레일러(T)의 적재면으로부터 화차(F)의 적재면까지 신장 또는 신축되는 한 쌍의 가이드붐(110), 상기 가이드붐(110)의 내부에 위치되어 가이드붐(110)을 신장 또는 신축시키는 이동용 액츄에이터(120),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붐(110)들 사이에 고정되는 본체(130), 상기 본체(130)의 내부에 적재면에 접촉되는 상태로 구비되어 가이드붐(110)의 신장 또는 신축시 적재면을 따라 회전되어 본체(110)의 용이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개의 회전휠(140), 상기 복수개의 회전휠(140) 사이에 구비되어 승강 동작하는 복수개의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 및 상기 본체(130)의 상측부에 위치되어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의 승강시 컨테이너(C)의 하부를 지지하거나 지지 해제하는 지지판넬(160)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horizontal conve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 to load / load the container from the trailer (T) to the truck (F) or the truck (F) For unloading the container C by moving between the trailer T and the wagon F with the container C loaded in order to load / load the container C to the trailer T from the above. Is provided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 is located in the guide boom 110, a pair of guide boom 110, which extends or expands from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 to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uck (F) A moving actuator 120 for extending or stretching the guide boom 110, a main body 130 fixed between the pair of guide booms 110, and in contact with a loading surface inside the main body 130. The main body 110 is rotated along the loading surface when the guide boom 110 is extended or expanded. Is located between the plurality of rotary wheels 140, the plurality of lift actuators 150 for lifting and moving between the plurality of rotary wheels 140 to facilitate easy movement and the main body 130 It includes a support panel 160 for supporting or releas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C) during the lifting of the lift actuator 150.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붐(110)은, 상기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구비되어 트레일러(T)의 적재면으로부터 화차(F)의 적재면까지 신장 또는 신축되는 것으로, 상기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적재면의 넓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적재면의 넓이에 대응된 길이를 가지는 제1단붐(111)과, 상기 제1단붐(111)으로부터 신장 또는 신축되는 제2단붐(112)을 포함한다.The pair of guide booms 110 are provided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 to extend or expand from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 to the loading surface of the wagon F. A first end boom 111 is formed on the loading surfac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ading surface and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loading surface, and a second end boom 112 extending or expanding from the first end boom 111. .

여기서, 상기 제1단붐(111)의 길이는 트레일러(T)의 적재면의 넓이 방향의 길이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단붐(112)의 길이는 상기 제1단붐(111)의 길이 보다 소정 길이 더 길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트레일러(T)와 화차(F)가 소정 간격 이격되더라도 후술된 본체(130)가 트레일러(T)와 화차(F)의 적재면에 컨테이너(C)의 로딩/언로딩을 위한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Here, the length of the first stage boom 111 preferably corresponds to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 the length of the second stage boom 112 is the length of the first stage boom 111.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determined length is longer than that. The main body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have the container C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 and the truck F, even if the trailer T and the truck F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t is intended to be positioned in place for loading / unloading.

상기 이동용 액츄에이터(120)는, 상기 가이드붐(110)의 내부에 위치되어 가이드붐(110)을 신장 또는 신축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1단붐(111)의 단부에 일단이 연결되며 유압이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실린더(121), 상기 실린더(121) 내부의 유압에 따라 실린더(121) 내부를 왕복 이동하는 피스톤(미도시) 및 상기 피스톤(미도시)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단붐(112)의 단부에 타단이 연결되어 피스톤(미도시)의 실린더(121) 내부 왕복 이동시 제1단붐(111)으로부터 제2단붐(112)이 신장되거나 신축되도록 하는 연결로드(123)를 포함한다.The movable actuator 120 is located inside the guide boom 110 to extend or expand the guide boom 110, and has one end connected to an end of the first end boom 111, and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or discharged. Th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121 and the piston (not shown) and the piston (not shown) to reciprocate the inside of the cylinder 121 according to the hydraulic pressure inside the cylinder 121 and the second stage boom 112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end and includes a connecting rod 123 for extending or contracting the second end boom 112 from the first end boom 111 dur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in the cylinder 121 of the piston (not shown).

여기서, 상기 이동용 액츄에이터(120)는, 상기 제1단붐과 제2단붐(112)의 내측 즉, 실린더(121)의 연결로드(123) 측에 상기 실린더(121)에 의한 연결로드(123)의 동작시 상기 연결로드(123)의 신장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실린더(121)는 카운터발란스를 통하여 상기 컨테이너(C)의 로딩을 위한 실린더(121)의 신장 동작시 연결로드(123)가 급격히 후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movable actuator 120, the inner side of the first stage boom and the second stage boom 112, that is, of the connecting rod 123 by the cylinder 121 on the connection rod 123 side of the cylinder 121 In opera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topper (not shown) for limiting the extension distance of the connecting rod 123. In addition, the cylinder 121 preferably prevents the connecting rod 123 from suddenly retreating during the stretching operation of the cylinder 121 for loading the container C through a counterbalance.

따라서 상기 이동용 액츄에이터(120)에 의하면, 상기 실린더(121)의 구동시 신장 수축되는 연결로드(123)에 따라 상기 제1단붐(111)으로부터 제2단붐(112)이 신장되거나 신축되도록 하여 후술된 본체(130)가 트레일러(T)로부터 화차(F)의 적재면까지 수평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moving actuator 120, the second end boom 112 is extended or stretched from the first end boom 111 according to the connecting rod 123 is elongated and contracted when the cylinder 121 is driven to be described later. The main body 130 may enable horizontal movement from the trailer T to the loading surface of the wagon F.

한편, 상기 이동용 액츄에이터(120)는, 상기 제1단붐(111)의 단부에 일단이 연결되며 유압이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 내부의 유압에 따라 제1실린더 내부를 왕복 이동하는 제1피스톤, 상기 제1실린더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피스톤의 왕복 이동시 제1실린더의 내부를 왕복 이동하는 제2실린더, 상기 제2실린더 내부의 유압에 따라 제2실린더 내부를 왕복 이동하는 제2피스톤 및 상기 제2피스톤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단붐의 단부에 타단이 연결되어 제1/2피스톤의 제1/2실린더의 왕복 이동시 제1단붐(111)으로부터 제2단붐(112)이 신장되거나 신축되도록 하는 연결로드를 포함하여, 상기 트레일러(T)와 화차(F)가 소정 간격 이격되더라도 후술된 본체(130)가 트레일러(T)와 화차(F)의 적재면에 컨테이너(C)의 로딩/언로딩을 위한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movable actuator 120, the first cylinder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end boom 111, the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or discharged,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first cylinder in accordance with the hydraulic pressure in the interior of the first cylinder The first piston is located inside the first cylinder and the second cylinder reciprocating the inside of the first cylinder dur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first piston, the reciprocating movement inside the second cylinder according to the hydraulic pressure inside the second cylinder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piston and the second piston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end boom, so that when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s of the first and second pistons, Including a connecting rod for extending or contracting the 112, even if the trailer (T) and the wagon (F) is spaced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body 130 described later is a container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 and the wagon (F) Position for loading / unloading of (C) To that location it is preferred.

상기 본체(130)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붐(110)들 중 제2단붐(112)의 사이에 고정되어 제2단붐(112)의 신장 또는 신축시 트레일러(T)와 화차(F)의 적재면을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제2단붐(112)의 내측면에 고정부재(미도시)를 통해 각각 고정되며 상호간 평형을 이루며 대향하는 한 쌍의 평형프레임(131)과, 상기 한 쌍의 평형프레임(131)의 하측부와 전후측부를 연결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32)을 포함한다. The main body 130 is fixed between the second stage boom 112 of the pair of guide booms 110, when the extension or expansion of the second stage boom 112 of the trailer (T) and the wagon (F) By moving the stacking surface, a pair of balance frame 131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air of second end boom 112 through a fixing member (not shown) and form a balance between each other, and the one It includes a support frame 132 for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lower and front and rear sides of the pair of balance frame 131.

여기서, 지지프레임(132)은 후술된 복수개의 회전휠(140)이 적재면과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관통구(미부호)가 형성된다. Here, the support frame 132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not shown) to allow the plurality of rotary wheels 140 to be contacted with the loading surface.

한편, 상기 본체(130)의 평형프레임(131)이 고정부재(미도시)를 통해 상기 제2단붐(112)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제1단붐(111)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단붐(111)으로부터 제2단붐(112)의 신장 또는 신축에 상기 고정부재(미도시)가 장애가 되지 않도록 고정부재(미도시)가 가이드되는 가이드홈(11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alance frame 131 of the main body 130 is fixed to the second stage boom 112 through a fixing member (not shown), the inner surface of the pair of first stage booms 111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groove 111a to which the fixing member (not shown) is guided is formed in the extension or expansion of the second stage boom 112 from the first stage boom 111 so that the fixing member (not shown) is not obstructed.

상기 복수개의 회전휠(140)은, 상기 본체(130)의 내부에 적재면에 접촉되는 상태로 구비되어 가이드붐(110)의 신장 또는 신축시 적재면을 따라 회전되어 본체(110)의 용이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30)의 지지프레임(132)에 형성된 관통구(미부호)를 통하여 적재면에 접촉되는 롤러(141)와, 상기 롤러(141)의 양측을 상기 평형프레임(131) 사이에 공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시키는 회전축(142)을 포함한다.The plurality of rotary wheels 140 are provided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loading surface inside the main body 130 and rotated along the loading surface when the guide boom 110 is extended or expanded to facilitate the main body 110. It is possible to move, the roller 141 in contact with the loading surface through the through hole (unsigned) formed in the support frame 132 of the main body 130, and both sides of the roller 141 to the balance frame It includes a rotating shaft 142 for fixing in a state capable of idling between the (131).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회전휠(140)에 의하면, 상기 제1단붐(111)으로부터 제2단붐(112)의 신장 또는 신축시 복수개의 롤러(141)가 제2단붐(112)과 본체(130)를 지지하면서 적재면을 따라 회전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붐(110)의 신장 또는 신축 동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rotary wheels 140, the plurality of rollers 141 may extend the second stage boom 112 and the main body 130 when the second stage boom 112 extends or contracts from the first stage boom 111. By being rotated along the loading surface while supporting, the guide boom 110 can be easily stretched or stretched.

상기 복수개의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는, 상기 본체(130)의 내부 지지프레임(132)에 상기 회전휠(140) 사이에 지지 구비되어 승강 동작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32)의 바닥면에 일단이 연결되며 유압이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실린더(151), 상기 실린더(151) 내부의 유압에 따라 실린더(151) 내부를 왕복 이동하는 피스톤(미도시) 및 상기 피스톤(미도시)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지지판넬(160)의 저면에 타단이 연결되어 피스톤(미도시)의 실린더(151) 내부 왕복 이동시 상기 지지판넬(160)이 본체(130)의 상측으로 신장되거나 신축되도록 하는 연결로드(153)를 포함한다.The plurality of lift actuators 150 are supported by the rotary wheel 140 on the inner support frame 132 of the main body 130 to move up and down, and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32.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151, the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or discharge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piston (not shown) and the piston (not shown) to reciprocate the inside of the cylinder 151 according to the hydraulic pressure inside the cylinder 15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anel 160, the connecting rod 153 for extending or contracting the support panel 160 to the upper side of the body 130 dur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cylinder (151) of the piston (not shown) ).

여기서, 상기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는, 상기 지지프레임(132)의 내측 즉, 실린더(151)의 연결로드(153) 측에 상기 실린더(151)에 의한 연결로드(153)의 동작시 상기 연결로드(153)의 신장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실린더(151)는 카운터발란스를 통하여 상기 컨테이너(C)의 로딩을 위한 실린더(151)의 신장 동작시 연결로드(153)가 급격히 후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lift actuator 150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frame 132, that is, the connection rod 153 by the cylinder 151 on the connection rod 153 side of the cylinder 151.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topper (not shown) for limiting the extension distance of the rod 153. In addition, the cylinder 151 preferably prevents the connecting rod 153 from suddenly retreating during the stretching operation of the cylinder 151 for loading the container C through a counterbalance.

따라서 상기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에 의하면, 상기 실린더(151)의 구동시 신장 수축되는 연결로드(153)에 의해 지지판넬(160)이 컨테이터(C)의 하단부를 로딩/언로딩하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lift actuator 150, the support panel 160 loads / unloads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C by the connecting rod 153 which is extended and contracted when the cylinder 151 is driven.

상기 지지판넬(160)은, 상기 본체(130)의 상측부에 위치되어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의 승강시 컨테이너(C)의 하부를 지지하거나 지지 해제하는 버킷 등과 같은 지지수단으로, 상기 연결로드(153)의 단부에 하단부가 고정되는 지지버킷(161)을 포함한다. The support panel 160 is a support means such as a bucket positioned at an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30 and supporting or releasing a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C when the lift actuator 150 is elevated. The support bucket 161 is fixed to the lower end portion at the end of 153.

여기서, 상기 지지버킷(161)의 전방 및 후방에는 컨테이너(C)의 양측방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편(미도시)이나 컨테이너고정수단(200) 등과 같은 콘소켓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ront and rear of the support bucket 161, it is preferable that a cone socket such as a support piece (not shown) or the container fixing means 200 for stably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container (C).

따라서 상기 지지판넬(160)에 의하면, 상기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에 의한 승강 동작을 통하여 컨테이너(C)의 하측부를 로딩하거나 상기 로딩된 컨테이너(C)를 해당 위치에 언로딩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support panel 160, it is possible to load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C) or unload the loaded container (C)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rough the lifting operation by the lift actuator 150.

한편, 여기서, 상기 이동용 액츄에이터(120)와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의 실린더(121,151)에 공급되는 유압은, 하역장 또는 터미널에 구비된 유압공급원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거나 또는 트레일러(T)에 설치되는 유압공급장치(500)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유압공급장치(500)는, 오일이 저장된 오일탱크(510), 상기 오일탱크(510)로부터 오일을 상기 실린더(121,151)들에 각각 공급시키거나 배출시키는 유압펌프(520) 및 상기 유압펌프(520)의 동작을 제어하는 PTO클러치(5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실린더(121,151)들과 유압공급장치(500ㅇ)의 연결 구성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 바, 이 기술적 사상은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o the cylinders 121 and 151 of the movable actuator 120 and the lift actuator 150 may be supplied from a hydraulic supply source provided in a loading dock or a terminal, or installed in a trailer T. Supply from the supply device 500, in this case, the hydraulic supply device 500, the oil tank 510, the oil is stored, the oil supply from the oil tank 510 to the cylinder (121, 151), respectively It may include a hydraulic pump 520 to make or discharge and the PTO clutch 53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pump 520,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of the cylinder (121, 151) and the hydraulic supply device (500) Since the technical idea is known in the art,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may be omitted in various ways.

따라서 상기와 같은 수평이송장치(100)에 의하면, 상기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적재된 컨테이너(C)를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의 상승 동작을 통해 지지판넬(160)이 로딩한 상태에서 이동용 액츄에이터(120)의 신장 동작에 따라 가이드붐(110)이 화차(F)의 적재면까지 신장되어 지지판넬(160)이 위치된 본체(130)가 복수개의 회전휠(140)의 회전에 의해 화차(F)의 적재면에 위치된 후 다시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의 하강 동작을 통해 지지판넬(160)이 로딩한 컨테이너(C)를 화차(F)의 적재면에 언로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붐(110)의 신축 동작을 통해 상기 본체(130)가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원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00 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 panel 160 is loaded through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 actuator 150, the container C loaded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 As the moving actuator 120 extends, the guide boom 110 extends to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uck F so that the main body 130 on which the support panel 160 is positioned is rotated by the plurality of rotary wheels 140. After being positioned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uck F, the container C loaded by the support panel 160 may be unloaded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uck F through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lift actuator 150 again. In this state, the main body 130 may be returned to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 through the stretching operation of the guide boom 110.

또한, 상기와 같은 수평이송장치(100)에 의하면, 화차(F)에 적재된 컨테이너(C)가 트레일러(T)에 이재되는 방법은 상기와 유사한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00 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C loaded on the truck (F) is transferred to the trailer (T) can be easily made by a similar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do.

또한, 상기 가이드붐(110)의 신장 또는 신축 거리 만큼 본체(130)가 트레일러(T)의 적재면으로부터 화차(F)의 적재면을 수평 왕복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본체(130)가 항상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어 별도의 위치센서가 불필요하다.In addition, since the main body 130 horizontally reciprocates the loading surface of the wagon F from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 by the extension or expansion distance of the guide boom 110, the main body 130 is always in the correct position. It can be placed in the position, so a separate position sensor is unnecessary.

또한, 상기 트레일러(T)와 화차(F) 간의 이격 거리만 정확하게 위치되면 상기 가이드붐(110)의 신장 또는 신축 거리 만큼 본체(130)가 트레일러(T)의 적재면으로부터 화차(F)의 적재면을 수평 왕복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트레일러(T)와 화차(F)의 정확한 위치에 컨테이너(C)가 이/적재되도록 할 수 있고 본체(130)의 위치 계산을 위한 별도의 위치센서가 불필요하다. In addition, when only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trailer (T) and the wagon (F) is accurately positioned, the body 130 is loaded with the wagon (F) from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 by the extension or expansion distance of the guide boom 110 Since the surface reciprocates horizontally, the container C can be loaded / loaded at the correct position of the trailer T and the truck F and a separate position sensor for position calculation of the body 130 is unnecessary. .

도 9 내지 11은 각각 도 1의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에 있어서 컨테이너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측단면도 및 컨테이너고정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도이다. 9 to 11 are perspective views, side cross-sectional views, and operation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tainer fixing device in the dual mode trailer having a horizontal transfer device capable of loading / loading the container of FIG. 1, respectively.

상기 컨테이너고정장치(20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C)가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적재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 않으면 트레일러(T)의 이동시 관성에 의하여 컨테이너(C)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형성된 고정프레임(201)에 구비되어 컨테이너(C)의 이/적재시 컨테이너(C)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고정수단(210)과, 상기 고정수단(210)의 하부와 적재면 사이에 구비되어 컨테이너(C)의 이/적재시 고정수단(210)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220)을 포함한다.The container fixing device 200, as shown in Figures 9 to 11, if the container (C) does not maintain a fixed state when loading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 to the inertia during the movement of the trailer (T) It is to prevent the container (C) from falling over, it is provided in the fixed frame 201 formed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 to stably lower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C) during loading / loading of the container (C) It includes a fixing means for supporting 210 and the lifting means 220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portion and the loading surface of the fixing means 210 to elevate the fixing means 210 at the time of loading / loading of the container (C).

상기 고정수단(210)은, 상기 트레일러(T)의 적재면, 즉 상부프레임에 구비되어 컨테이너(C)의 로딩시 컨테이너(C)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홈(I)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재로써, 원통형 또는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211) 내부에 설치되어 탄성스프링(212a)의 탄력과 외부의 하중에 의해 상향으로 돌출되는 중공부(213a)를 가지는 작동구(213), 상기 작동구(213)의 중공부(213a)에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컨테이너(C)에 삽입 체결되는 헤드(214)를 가지며 상기 작동구(213)의 출몰 동작시 접촉되어 연동되는 걸림턱(215a)을 가지는 록커(215), 상기 록커(215)의 내부에 그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소정의 깊이 만큼 형성된 관형홈(215b)에 형성되어 상기 록커(215)의 하강 동작시 일정범위의 회전을 유도하는 곡면을 가지는 슬릿홈(216), 상기 관형홈(215b)의 내부에 탄성스프링(212b)을 매개로 자유로이 슬라이딩되게 하우징(211)의 저면에 결합된 덮개(217)에 고정설치되는 지지축(218) 및 상기 지지축(218)의 상단 외주연에 형성되어 슬릿홈(216)에 삽입된 지점을 고정축으로 슬릿홈(216)을 따라 승강되는 록커(215)의 방향을 변위되게 하는 핀(219)을 포함한다.The fixing means 210 is provided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 that is, the upper frame is a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to the fastening groove (I)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C) when loading the container (C) , An operation tool 213 installed in a cylindrical or hexahedral housing 211 and having a hollow portion 213a protruding upward by an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 212a and an external load, and the operation tool 213. The locker 215 is installed coaxially to the hollow portion 213a of the locker 215 having a head 214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container C and having a locking jaw 215a which is in contact with and interlocked during the inlet / out operation of the operating tool 213. ), A slit groove having a curved surface formed in the tubular groove 215b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bottom toward the top of the locker 215 to induce a certain range of rotation during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locker 215. 216, mediating the elastic spring 212b inside the tubular groove 215b. A support shaft 218 fixed to the cover 217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211 and freely slid to the upper periphery of the support shaft 218 and inserted into the slit groove 216. And a pin 219 for displacing the direction of the rocker 215 which is elevated along the slit groove 216 to the fixed shaft.

상기와 같은 고정수단(2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xing means 210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하우징(211)의 내부에 설치된 작동구(213)는 하부의 덮개(217)에 의해 구속되는 외경이 큰 탄성스프링(212a)의 장력에 의해 하우징의 최상부로 밀려진 상태에서 정지되고, 록커(215)는 하우징(211)의 하부 덮개(217)에 기립 고정된 지지축(218)과 상기 지지축(218)이 삽입된 관형홈(215b)에 개입되어 있는 탄성스프링(212b)의 장력에 의해 상향으로 밀려진 상태에서 관형홈(215b)에 형성된 슬릿홈(216)과 이에 삽입된 지지축(218)의 핀(219)에 의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First, the operating tool 213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211 is stopped in the state pushed to the top of the housing by the tension of the elastic spring 212a having a large outer diameter constrained by the lower cover 217, the locker 215 is applied to the tension of the elastic spring (212b) intervening in the support shaft 218 standing up and fixed to the lower cover 217 of the housing 211 and the tubular groove (215b) in which the support shaft 218 is inserted. In the state pushed upward by the slit groove 216 formed in the tubular groove 215b and the pin 219 of the support shaft 218 inserted thereto is maintained.

이때, 컨테이너(C)의 체결홈(I)이 록커(215)의 헤드(214)에 일치되도록 로딩되는 경우, 컨테이너(C)의 하중이 가해지는 작동구(213)가 록커(215)에 구비된 걸림턱(215a)에 이르는 거리만큼 하강되는 동안 록커(215)는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컨테이너(C)의 로딩 초기에는 상기 체결홈(I)에 록커(215)의 헤드(214)가 완전 삽입되어 체결을 위한 준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준비상태를 지나 컨테이너(C)의 로딩이 더욱 진행되면, 작동구(213)의 하단에 접촉된 걸림턱(215a)에 의해 록커(215)가 동시에 하강되며, 상기 하강동작과 더불어 록커(215)의 관형홈(215b)에 형성된 슬릿홈(216)의 곡면부가 지지축(218)의 핀(219)에 의해 유도되면서 하강동작과 더불어 록커(215)를 록킹하기에 적합한 범위만큼 회전된 후 하강이 완료되어 컨테이너(C)가 안정적으로 체결되게 된다. At this time, when the fastening groove I of the container C is loaded to coincide with the head 214 of the locker 215, the operation tool 213 to which the load of the container C is applied is provided in the locker 215. The locker 215 is kept stationary while being lowered by the distance up to the latching jaw 215a so that the head 214 of the locker 215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I at the initial loading of the container C. It is inserted and kept ready for fastening. Subsequently, when the loading of the container C further proceeds through the preparation state, the locker 215 is simultaneously lowered by the locking step 215a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tool 213, and the locker is accompanied by the lowering operation. The curved portion of the slit groove 216 formed in the tubular groove 215b of 215 is guided by the pin 219 of the support shaft 218 and rotated by a range suitable for locking the rocker 215 with the lowering motion. After the descent is completed, the container (C) is to be securely fastened.

한편, 상기와 같이 컨테이너(C)의 체결홈(I)에 상기 고정수단(210)의 헤드(214)가 체결된 상태에서 컨테이너(C)를 언로딩하기 위하여, 수평이송장치(100)의 지지판넬(160)이 상승하여 컨테이너(C)의 하부를 지지한 상태로 더 상승하게 되면, 상기 작동구(213)에 가해지던 압력이 제거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스프링(212a,212b)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록킹과정과 반대과정을 거쳐 자동으로 록킹이 해제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unload the container (C) in the state in which the head 214 of the fixing means 210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I) of the container (C), the support of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00) When the panel 160 rises and rises further in a state of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C, the pressure applied to the actuating tool 213 is removed and at the same time,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springs 212a and 212b increases. Locking is automatically released through the reverse process of the locking process.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고정수단(210)에 의하면, 컨테이너(C)를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과정에서 컨테이너(C)의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록킹 또는 록킹해제가 가능하여 중량이 큰 컨테이너(C)를 안전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운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이 록킹해제를 위한 수단 등을 조작하지 않아도 되어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fixing means 210 as described above, in the process of loading or unloading the container (C) can be automatically locked or unlocked by the weight of the container (C) to secure a large container (C) safely Transportation can be made possible in a fixed stat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inconvenience by not operating a means for unlocking or the like as in the prior art.

상기 승강수단(220)은, 상기 고정수단(210)을 트레일러(T)의 적재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상승시키기 위한 승강부재로써, 트레일러(T)의 적재면, 즉 상부프레임에 구비되며 유압이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원통형상의 실린더(221)와, 상기 실린더(221)의 내부에 유압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일단부가 고정수단(210)의 덮개(217) 하부에 고정된 승강로더(222)를 가지는 승강용 액츄에이터(223)를 포함한다. The elevating means 220 is an elevating member for elevating the fixing means 210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 The lifting means (220) is provided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 that is, the upper frame and is supplied with hydraulic pressure.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ylindrical cylinder 221 and the lifting loader 222 which is provided to be liftable by hydraulic pressure inside the cylinder 221 and has one end fixed to the bottom of the cover 217 of the fixing means 210. And a actuator 223.

여기서, 상기 승강용 액츄에이터(223)의 실린더(221)로 공급되는 유압은 하역장 또는 터미널에 구비된 유압공급원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거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트레일러(T)에 설치된 유압공급장치(500)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Here,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o the cylinder 221 of the elevating actuator 223 may be supplied from the hydraulic supply source provided in the loading dock or terminal, or more preferably from the hydraulic supply device 500 installed in the trailer (T). Can be supplied.

또한, 상기 승강수단(220)은, 상기와 같이 컨테이너(C)의 적재면 상부에 구비되지 않고 적재면에 별도로 형성된 승강부구비홈(미도시)의 내부에 구비되어 적재면으로부터 고정수단(210)에 지지되는 컨테이너(C)의 하부까지 높이를 최소화 하여 보다 안정적인 컨테이너(C)의 지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vating means 220 is not provided in the upper loading surface of the container (C) as described above, but is provided in the lifting portion recessed groove (not shown) formed separately on the loading surface and fixing means 210 from the loading surface. By minimizing the height to the bottom of the container (C) supported in the) it can be possible to support a more stable container (C).

따라서 상기와 같은 승강수단(220)에 의하면, 트레일러(T)로부터 화차(F)에 컨테이너(C)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구비된 수평이송장치(100)의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에 의해 지지판넬(160)이 상승 동작하여 컨테이너(C)의 하부를 로딩해야 하는데, 이 경우 상기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에 구비된 실린더(151)만을 이용하여 컨테이너(C)의 로딩을 위한 상승 동작시 상기 실린더(151)에 컨테이너(C)의 무게에 대응된 부하가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판넬(160)의 상승 전에 상기 승강수단(220)에 의해 컨테이너(C)가 일정 높이(예를 들면, 지지판넬(160)의 상승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상승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넬(160)이 상승되도록 하여 컨테이너(C)의 로딩시 수평이송장치(100)의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에 큰 부하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무리한 부하 전달로 인한 수평이송장치(100)의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lifting means 220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move the container (C) from the trailer (T) to the truck (F), the actuator for the lift of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00 provided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 The support panel 160 is lifted by 150 to load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C. In this case, the container C is loaded using only the cylinder 151 provided in the lift actuator 150. Since the load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the container C is transferred to the cylinder 151 during the ascending operation for the container C, the container C is lifted by a predetermined height before the support panel 160 rises. (For example, the height corresponding to the rising height of the support panel 160) to the support panel 160 in the state to be raised to lift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00 for lifting the container (C) The large load is transmitted to the actuator 150 It can prevent, through which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ilure of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00 due to excessive load transfer.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의 수평이송장치(100)는, 본체(130)의 내부에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가 구성되고 상기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의 승강 동작에 따라 지지판넬(160)이 승강되면서 컨테이너(C)의 하부가 로딩/언로딩 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이 컨테이너고정장치(200)가 고정수단(210)과 승강수단(220)을 가지는 경우 상기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의 구성을 생략하고 본체(130)의 상측에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만을 구비하여 상기 승강수단(220)의 하강동작에 따라 수평이송장치(100)의 지지판넬(160)에 컨테이너(C)가 로딩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컨테이너(C)가 언로딩되어 로딩될 화차(F)의 적재면에 구성되는 콘소켓(S)은 상기 컨테이너고정장치(200)의 승강수단(220)에 대응된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transfer apparatus 100 of the dual mode trailer having a horizontal transfer apparatus capable of loading / loading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uator for the lift 150 is configured in the body 13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C is loaded / unloaded as the support panel 160 is elevated according to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 actuator 150, but the container fixing device 200 is fixed to the container 210 as described above. ) And the elevating means 220, the configuration of the lift actuator 150 is omitted, and only the lift actuator 15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30 so that the elevating means 220 moves horizontally. The container C may be loaded on the support panel 160 of the transfer apparatus 100. In this case, the container (S) is configured to be loaded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wagon (F) to be unloaded loaded has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lifting means 220 of the container fixing device 200. desirable.

상기 제어장치(300)는, 상기 수평이송장치(100)의 트레일러(T)와 화차(F) 간의 수평 이동과 컨테이너(C)의 로딩이나 언로딩 상태의 정상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써, 상기 수평이송장치(100)의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에 의해 승강되는 지지판넬(160)의 승강 여부를 판단하는 리프트용 리니어스위치(311), 상기 고정수단(210)으로부터 컨테이너(C)가 분리되는 것을 감지하는 분리용 리니어스위치(312) 등을 포함하는 센서수단(310), 상기 수평이송장치(100)와 컨테이너고정장치(200)에 접속되어 상기 센서수단(310)으로부터 판단 결과를 토대로 상기 컨테이너(C)의 로딩이나 언로딩을 안정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320) 및 상기 구성부들의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리모트콘트롤러 등과 같은 입력수단(330) 등을 포함한다.The control device 300 is a control means for enabling the horizontal movement between the trailer (T) and the wagon (F) of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00 and the normal operation of the loading or unloading state of the container (C). The linear switch 311 for determining whether to lift the support panel 160, which is lifted by the lift actuator 150 of the horizontal transfer apparatus 100, the container C from the fixing means 210 It is connected to the sensor means 310,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00 and the container fixing device 200, including a separating linear switch 312, etc. for detecting the separ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from the sensor means 310 Control means 320 for stably controlling the loading or unloading of the container (C) and an input means 330 such as a remote controller for inputting a control signal for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여기서, 상기 제어장치(300)는, 트레일러(T)에 일측에 구비된 콘트롤박스 등과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동작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트레일러(T)의 콘트롤박스에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Here, the control device 300, the control box and the lik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ailer (T) can be operated through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ore preferably, is integrally formed in the control box of the trailer (T) It is good.

따라서 상기 제어장치(300)에 의하면, 상기 수평이송장치(100)가 컨테이너(C)를 로딩한 상태에서 트레일러(T)로부터 화차(F)의 적재면 상호간을 안정적으로 수평 이동한 후 해당 위치에 컨테이너(C)를 언로딩 하도록 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trol device 300, the horizontal transfer apparatus 100 stably horizontally moved between the loading surfaces of the wagon F from the trailer T while the container C is loaded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It is possible to unload the container (C).

또한, 상기 제어장치(300)는, 상기 수평이송장치(100)와 컨테이너고정장치(200) 뿐만 아니라 상기 트리거장치(400)와 유압공급장치(500)의 해당 구성부들도 상기 구성들을 통하여 제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300, as well as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00 and the container fixing device 200 can control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of the trigger device 400 and the hydraulic supply device 500 through the configuration.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에 의해 컨테이너가 이/적재 되는 방법에 대해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loading / loading a container by a dual mode trailer having a horizontal transfer device capable of loading / loading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2는 도 1의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에 의해 컨테이너가 트레일러로부터 화차로 로딩/언로딩 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도 1의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에 의해 컨테이너가 트레일러로부터 화차로 로딩/언로딩 되는 과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이다. FIG. 12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loading / unloading a container from a trailer into a wagon by a dual mode trailer having a horizontal transport apparatus capable of loading / loading the container of FIG. 1, and FIG. 13 is a container of FIG. 1. This is a control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 of loading / unloading a container from a trailer into a wagon by a dual mode trailer having a horizontal transfer device capable of loading / loading.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T)에 적재된 컨테이너(C)를 화차(F)로 이/적재 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트레일러(T)의 적재면과 컨테이너(C)의 하부 즉, 상기 컨테이너(C)의 체결홈(I)에 체결된 컨테이너고정장치(200)의 고정수단(210) 사이에 수평이송장치(100)가 설치되어야 한다. 물론, 화차(F)의 적재면에도 컨테이너(C)의 체결홈(I)에 체결될 콘소켓(S)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트레일러(T)는 트리거장치(400)에 의해 안정적으로 하역스테이션의 바닥에 위치하게 되며, 하역스테이션으로 입장한 화차(F)도 트리거장치(미부호)에 의해 화차(F)의 적재면이 안정적으로 트레일러(T)의 적재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12 and 13, in order to load / load the container C loaded on the trailer T into the wagon F, first,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C are loaded. That is,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00 should be installed between the fixing means 210 of the container fixing device 200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I of the container C. Of course, the loading surface of the wagon (F)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cone socket (S) to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I) of the container (C), the trailer (T) is stably by the trigger device 400 It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unloading station, and the loading truck F entering the unloading station also has the same height as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 stably by the trigger device (unsigned). desirabl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트레일러(T)에 적재된 컨테이너(C)를 화차(F)로 이재시키는 방법은, 먼저, 제어장치(300)에 의해 수평이송장치(100)의 이동용 액츄에이터(120)의 실린더(121)와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의 실린더(151) 및 컨테이터고정장치(200) 승강수단(220)의 승강용 액츄에이터(223)에 유압공급장치(500)로부터 유압이 공급된다(S100).In such a state, the method of transferring the container C loaded on the trailer T to the freight car F is first performed by the control device 300 of the actuator 120 for movement of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00.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to the cylinder 151 of the cylinder 121 and the lift actuator 150 and the lifting actuator 223 of the lifting device 220 of the container fixing device 200 from the hydraulic supply device 500 (S100). ).

이후, 수평이송장치(100)의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의 실린더(151)에 유압의 출입이 제어되어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실린더(151)로부터 연결로드(153)가 신장되면서 지지판넬(160)이 상승하게 된다. 이후, 상기 지지판넬(160)이 상승하게 되면서, 컨테이너(C)의 체결홈(I)에 체결된 컨테이너고정장치(200)의 고정수단(210)의 록킹이 해제되면서 상기 지지판넬(160)에 컨테이너(C)가 로딩되게 된다(S110).Subsequently, when the hydraulic actuator is controlled in the cylinder 151 of the lift actuator 150 of the horizontal transfer apparatus 100 to operate the lift actuator 150, the connecting rod 153 is removed from the cylinder 151. As it extends, the support panel 160 rises. Subsequently, as the support panel 160 is raised, the locking means 210 of the container fixing device 200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I of the container C is released and the support panel 160 is released to the support panel 160. Container C is to be loaded (S110).

여기서, 상기와 같이 컨테이너(C)의 체결홈(I)에 상기 고정수단(210)의 헤드(214)가 체결된 상태에서 컨테이너(C)를 언로딩하기 위하여, 수평이송장치(100)의 지지판넬(160)이 상승하여 컨테이너(C)의 하부를 지지한 상태로 더 상승하게 되면, 컨테이너(C)의 하중에 의해 탄성스프링(212a,212b)을 가압하면서 하우징(211)의 내부로 삽입된 작동구(213)와 록커(215)의 압력이 제거되어 작동구(213)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가지게 되고, 이때, 작동구(213)의 하단에 접촉된 걸림턱(215a)에 의해 록커(215)가 동시에 상승되며, 상기 상승 동작과 더불어 록커(215)의 관형홈(215b)에 형성된 슬릿홈(216)의 곡면부가 지지축(218)의 핀(219)에 의해 유도되면서 록커(215)가 록킹 해제하기에 적합한 범위만큼 회전된 후 상승이 완료되어 컨테이너(C)의 체결홈(I)으로부터 헤드(214)의 록킹이 완전히 해제된다. Here, in order to unload the container C in the state in which the head 214 of the fixing means 210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I of the container C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of the horizontal transfer apparatus 100 is supported. When the panel 160 is raised to further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C, the panel 16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211 while pressing the elastic springs 212a and 212b by the load of the container C. The pressure of the actuating tool 213 and the locker 215 is removed so that the actuating tool 213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t this time, the locking jaw 215a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actuating tool 213. The rocker 215 is simultaneously raised by the rocker 215 and the curved surface portion of the slit groove 216 formed in the tubular groove 215b of the rocker 215 is guided by the pin 219 of the support shaft 218 together with the lifting operation. After 215 is rotated by a range suitable for unlocking, the ascent is completed to lock the head 214 from the fastening groove I of the container C. This is completely off.

한편, 상기와 같이 지지판넬(160)에 컨테이너(C)가 로딩되는 과정은, 컨테이너고정장치(200)가 승강수단(220)을 가지는 경우, 상기 수평이송장치(100)의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승강수단(220)의 승강용 액츄에이터(223)에 유압을 공급하거나 또는 제어하여 승강로드(222)가 실린더(221) 내부로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컨테이너(C)의 체결홈(I)이 고정수단(210)으로부터 록킹 해제되도록 하강됨과 동시에 지지판넬(160)에 로딩되도록 하여도 좋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of loading the container (C) to the support panel 16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tainer fixing device 200 has the lifting means 220, the actuator for the lift 150 of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00 By using or supplying or controlling the hydraulic pressure to the lifting actuator 223 of the lifting means 220 without using a) so that the lifting rod 222 is lowered into the cylinder 221, the fastening groove of the container (C) ( I) may be lowered to be unlocked from the fixing means 210 and loaded to the support panel 160 at the same time.

상기와 같이, 수평이송장치(100)의 지지판넬(160)에 컨테이너(C)가 로딩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용 액츄에이터(120)의 실린더(121)에 유압의 출입이 제어되어 이동용 액츄에이터(120)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실린더(121)의 구동시 신장되는 연결로드(123)에 따라 가이드붐(110)의 제1단붐(111)으로부터 제2단붐(112)이 신장되어 컨테이터(C)를 로딩한 지지판넬(160)을 지지하는 본체(130)가 복수개의 회전휠(140)의 회전에 의해 트레일러(T)로부터 화차(F)의 적재면까지 수평이동하게 된다(S120).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C) is loaded on the support panel 160 of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00, the access of the hydraulic pressure to the cylinder 121 of the actuator 120 for movement is controlled to move the actuator 120 When the operation is performed, the second end boom 112 is extended from the first end boom 111 of the guide boom 110 along the connection rod 123 that is extended when the cylinder 121 is driven to form a container (C). The main body 130 supporting the loaded support panel 160 is horizontally moved from the trailer T to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uck F by the rotation of the plurality of rotating wheels 140 (S120).

이후, 상기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의 실린더(151)에 유압의 출입이 제어되어 상기 지지판넬(160)이 하강하게 되면, 컨테이너(C)의 체결홈(I)이 화차(F)의 콘소켓(S)에 체결되어 안착되게 되고, 수평이송장치(100)는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가 원위치, 즉, 지지판넬(160)이 완전 하강된 상태로 지지판넬(160)이 컨테이너(C)와 완전 분리되어 자유 이동상태를 가지게 된다(S130).Subsequently, when the hydraulic access is controlled to the cylinder 151 of the lift actuator 150 so that the support panel 160 descends, the fastening groove I of the container C is connected to the cone of the freight car F. (S) is fastened to be seated,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00, the lifting actuator 150 is in the original position, that is, the support panel 160 is in a state that the support panel 160 is completely lowered with the container (C) It is completely separated to have a free movement state (S130).

여기서, 상기와 같이 지지판넬(160)로부터 화차(F)의 콘소켓(S)에 컨테이너(C)가 적재되는 과정은, 상기 콘소켓(S)이 승강부재를 가지는 경우, 상기 콘소켓(S)이 승강부재에 의해 하강된 상태에서 수평이송장치(100)가 화차(F)의 적재면에 이동되면,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콘소켓(S)이 다시 상승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컨테이너(C)의 체결홈(I)이 체결 적재되도록 하여도 좋다.Here, the process of loading the container (C) from the support panel 160 to the cone socket (S) of the wagon (F)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e socket (S) has a lifting member, the cone socket (S) ) Is moved by the lifting member when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00 is moved to the loading surface of the wagon (F), the container (C) of the container (C) in the process of allowing the lifting member to be raised again The fastening groove I may be fastened and loaded.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수평이송장치(100)를 다시 트레일러(T)로 복귀시키기 위해, 이동용 액츄에이터(120)의 실린더(121)에 유압의 출입이 제어되어 이동용 액츄에이터(120)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실린더(121)의 구동시 신축되는 연결로드(123)에 따라 가이드붐(110)의 제1단붐(111)에 제2단붐(112)이 신축되어 본체(130)가 복수개의 회전휠(140)의 회전에 의해 화차(F)로부터 트레일러(T)의 적재면까지 수평이동하게 되어, 트레일러(T)로부터 화차(F)로 컨테이너(C)의 이/적재가 완료된다(S140).In the above state, in order to return the horizontal transfer apparatus 100 back to the trailer T, when the hydraulic entry and exit is controlled to the cylinder 121 of the moving actuator 120 to operate the moving actuator 120, The second end boom 112 is stretched and contracted to the first end boom 111 of the guide boom 110 according to the connecting rod 123 that is stretched when the cylinder 121 is driven, so that the main body 130 has a plurality of rotating wheels 140.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vehicle F from the truck F to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 is completed, and the loading / loading of the container C from the trailer T to the truck F is completed (S140).

역으로, 화차(F)로부터 트레일러(T)에 컨테이너(C)를 이/적재시키는 경우는 상기 트레일러(T)로부터 화차(F)에 컨테이너(C)를 이/적재시키는 과정과 유사하게 진행된다.Conversely, the case of loading / loading the container C from the wagon F to the trailer T proceeds similarly to the process of loading / loading the container C from the trailer T into the wagon F. .

먼저, 화차(F)의 콘소켓(S)에 컨테이너(C)의 체결홈(I)이 체결 고정된 상태에서, 수평이송장치(100)의 이동용 액츄에이터(120)와 가이드붐(110)의 신장 동작을 통하여 트레일러(T)의 적재면으로부터 수평이송장치(100)가 화차(F)의 적재면으로 이동된다.First, in the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groove I of the container C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cone socket S of the wagon F, the extension of the actuator 120 and the guide boom 110 for movement of the horizontal transfer apparatus 100 is extended. Through the operation,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00 is moved from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 to the loading surface of the wagon (F).

이후, 수평이송장치(100)의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에 의해 지지판넬(160)이 상승 동작 하게 됨과 동시에 컨테이너(C)의 하부가 로딩된다.Thereafter, the support panel 160 is lifted up by the lift actuator 150 of the horizontal transfer apparatus 100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C is loaded.

이후, 수평이송장치(100)의 이동용 액츄에이터(120)와 가이드붐(110)의 신축 동작을 통하여 화차(F)의 적재면으로부터 트레일러(T)의 적재면으로 수평이송장치(100)가 이동된다.Thereafter, the horizontal conveying apparatus 100 is moved from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uck F to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 through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actuator 120 and the guide boom 110 of the horizontal transportation apparatus 100. .

이후, 수평이송장치(100)의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에 의해 지지판넬(160)이 하강동작 하게 됨과 동시에 컨테이너(C)의 체결홈(I)이 컨테이너고정장치(200)의 고정수단(210)에 체결 고정되어 화차(F)로부터 트레일러(T) 사이의 컨테이너(C) 이/적재가 완료된다.Subsequently, the support panel 160 is lowered by the lift actuator 150 of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00, and the fastening groove I of the container C is fixed to the container fixing device 200. The container C between the wagon F and the trailer T is completed and loaded.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210)의 작동구(213)와 록커(215)가 탄성스프링(212a,212b)의 장력에 의해 하우징(211)의 최상부로 밀려진 상태에서 컨테이너(C)의 체결홈(I)이 록커(215)의 헤드(214)에 일치되도록 로딩되는 경우, 로딩 초기에는 컨테이너(C)의 하중이 가해지는 작동구(213)가 록커(215)에 구비된 걸림턱(215a)에 이르는 거리만큼 하강되는 동안 록커(215)는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체결홈(I)에 록커(215)의 헤드(214)가 완전 삽입되어 체결을 위한 준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준비상태를 지나 컨테이너(C)의 로딩이 더욱 진행되면, 작동구(213)의 하단에 접촉된 걸림턱(215a)에 의해 록커(215)가 동시에 하강되며, 상기 하강동작과 더불어 록커(215)의 관형홈(215b)에 형성된 슬릿홈(216)의 곡면부가 지지축(218)의 핀(219)에 의해 유도되면서 하강동작과 더불어 록커(215)를 록킹하기에 적합한 범위만큼 회전된 후 하강이 완료되어 컨테이너(C)의 삽입홈(I)이 헤드(214)에 의해 안정적으로 체결된다. Here, the fastening groove of the container C in the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port 213 and the locker 215 of the fixing means 210 is pushed to the top of the housing 211 by the tension of the elastic springs (212a, 212b) ( When I) is loaded to coincide with the head 214 of the locker 215, an operation opening 213 to which the load of the container C is applied at the beginning of loading is applied to the locking step 215a provided in the locker 215. While the locker 215 is lowered by the distance to reach the stop state, the lock 215 of the head 214 of the locker 215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I) to maintain the ready state for the fastening. Subsequently, when the loading of the container C further proceeds through the preparation state, the locker 215 is simultaneously lowered by the locking step 215a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tool 213, and the locker is accompanied by the lowering operation. The curved portion of the slit groove 216 formed in the tubular groove 215b of 215 is guided by the pin 219 of the support shaft 218 and rotated by a range suitable for locking the rocker 215 with the lowering motion. After the lowering is completed, the insertion groove I of the container C is stably fastened by the head 214.

한편, 상기 화차(F)로부터 수평이송장치(100)에 컨테이너(C)가 로딩되는 동작과, 상기 수평이송장치(100)로부터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컨테이너(C)가 언로딩되는 동작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장치(100)의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의 동작과 컨테이너고정장치(200)의 고정수단(210)과 승강수단(220) 및 화차(F)의 콘소켓(S)에 구비된 승강부재의 선택적인 동작 제어는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of loading the container (C) from the wagon (F) to the horizontal transport device 100, the operation of unloading the container (C)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 from the horizontal transport device (100) In the above, the operation of the lift actuator 150 of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00 and the fixing means 210 and the lifting means 220 of the container fixing device 200 and the cone socket (S) of the truck (F) Selective operation control of the provided lifting member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fully understood,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컨테이너(C)의 로딩/언로딩시, 상기 제어장치(300)의 센서수단(310)으로부터 수평이송장치(100)의 컨테이너(C)의 정상적인 로딩/언로딩 상태 및 컨테이너(C)의 로딩/언로딩 이전에 상기 트레일러(T)와 화차(F) 상호간의 안정적인 작업을 위한 정위치 정렬 등이 판단되고 이에 대응된 입력수단(3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수단(320)이 안정적인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during loading / unloading of the container C, the normal loading / unloading state of the container C of the horizontal transfer apparatus 100 and the container C from the sensor means 310 of the control device 300. Before the loading / unloading of the trailer (T) and the wagon (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alignment for the stable operation between each other and the control means 320 is stabl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input means 330 corresponding thereto. It is desirable to enable control.

따라서 상술한 바에 따르면, 트레일러에 컨테이너를 로딩한 상태로 트레일러와 화차 사이를 수평 왕복 이동하는 수평이송장치가 구비됨으로써,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복잡한 구성의 컨테이너 이송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트레일러와 화차 상호간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을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above, by the horizontal transport device for horizontal reciprocating movement between the trailer and the wagon with the container loaded on the trailer, the container between the trailer and the wagon without the need for a container transport means of a complicated configuration installed outside The loading / unloading of the device can be performed simply and stably.

또한, 상기 트레일러에 컨테이너를 고정시키는 컨테이너고정장치에 의해 컨테이너의 하부가 수평이송장치의 동작 높이에 대응됨으로써, 상기 수평이송장치의 컨테이너 로딩시 상기 수평이송장치에 전달되는 컨테이너의 하중에 따른 부하를 최소화하여 상기 수평이송장치가 용이하게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by the container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container to the trailer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height of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the load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container delivered to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when loading the container of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By minimizing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can be easily operated.

또한, 상기 트레일러에 컨테이너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에 의해 컨테이너의 하부가 수평이송장치의 동작 높이에 대응되도록 승강됨으로써, 상기 수평이송장치의 컨테이너 로딩시 상기 수평이송장치에 전달되는 컨테이너의 하중에 따른 부하를 최소화하여 상기 수평이송장치가 용이하게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is lifted by the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container to the trailer to correspond to the operation height of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the load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container delivered to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when loading the container of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By minimizing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can be easily operated.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to be determin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of the claims and the claims.

Claims (16)

견인차량에 일체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결착되며 컨테이너(C)가 적재되는 적재면이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트레일러(T)에 있어서,
컨테이너(C)가 이/적재되는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구비되어 컨테이너(C)를 로딩한 상태로 트레일러(T)와 화차(F) 사이를 이동하여 컨테이너(C)를 언로딩하는 수평이송장치(100);
상기 컨테이너(C)가 이/적재되는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구비되어 컨테이너(C)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수평이송장치(100)의 로딩 높이에 컨테이너(C)의 로딩 높이가 대응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컨테이너고정장치(200); 및
상기 구성부들을 제어하여 컨테이너(C)의 로딩/언로딩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300)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이송장치(100)는,
상기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구비되어 트레일러(T)의 적재면으로부터 화차(F)의 적재면까지 신장 또는 신축되는 한 쌍의 가이드붐(110);
상기 가이드붐(110)의 내부에 위치되어 가이드붐(110)을 신장 또는 신축시키는 이동용 액츄에이터(120);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붐(110)들 사이에 고정되는 본체(130);
상기 본체(130)의 내부에 적재면에 접촉되는 상태로 구비되어 가이드붐(110)의 신장 또는 신축시 적재면을 따라 회전되어 본체(11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개의 회전휠(140);
상기 복수개의 회전휠(140) 사이에 구비되어 승강 동작하는 복수개의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 및
상기 본체(130)의 상측부에 위치되어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의 승강시 컨테이너(C)의 하부를 지지하거나 지지 해제하는 지지판넬(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In the trailer (T) formed integrally or detachably attached to the tow vehicle and the loading surface on which the container (C) is loaded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The container C is provided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 to which the container C is loaded, and moves horizontally between the trailer T and the wagon F to unload the container C while the container C is loaded. Transfer device 100;
The container (C) is provided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 to be loaded / loaded to stably support the container (C) and to correspond to the loading height of the container (C) to the loading height of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00) A plurality of container fixing device 200; And
It includes a control device 300 for controlling the loading and unloading operation of the container (C) by controlling the components,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00,
A pair of guide booms 110 provided on a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 to extend or expand from a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 to a loading surface of the wagon F;
A moving actuator 120 positioned inside the guide boom 110 to extend or expand the guide boom 110;
A main body 130 fixed between the pair of guide booms 110;
A plurality of rotary wheels 140 are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loading surface inside the main body 130 and rotated along the loading surface when the guide boom 110 is extended or stretched to enable movement of the main body 110. ;
A plurality of lift actuators 150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rotation wheels 140 to move up and down; And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130, the loading and loading of th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panel 160 for supporting or releas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C) when the lifting actuator 150 Dual mode trailer with horizontal feeder possi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붐(110)은,
상기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적재면의 넓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적재면의 넓이에 대응된 길이를 가지는 제1단붐(111)과;
상기 제1단붐(111)으로부터 신장 또는 신축되는 제2단붐(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air of guide booms 110,
A first end boom 111 formed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 in a width direction of the loading surface and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loading surface;
And a second stage boom (112) extending or contracting from the first stage boom (1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액츄에이터(120)는,
상기 제1단붐(111)의 단부에 일단이 연결되며 유압이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실린더(121);
상기 실린더(121) 내부의 유압에 따라 실린더(121) 내부를 왕복 이동하는 피스톤(미도시); 및
상기 피스톤(미도시)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단붐(112)의 단부에 타단이 연결되어 피스톤(미도시)의 실린더(121) 내부 왕복 이동시 제1단붐(111)으로부터 제2단붐(112)이 신장되거나 신축되도록 하는 연결로드(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ctuator for movement 120,
A cylinder 121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n end of the first end boom 111 and having hydraulic pressure supplied or discharged;
A piston (not shown) for reciprocating the cylinder 121 in accordance with the hydraulic pressure in the cylinder 121;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piston (not shown),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end boom 112, so that the reciprocating movement inside the cylinder 121 of the piston (not shown) from the first end boom 111 to the second end boom 112. Dual mode trailer having a horizontal transfer device capable of loading / loading th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rod (123) to be extended or stretch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액츄에이터(120)는,
상기 제1단붐(111)의 단부에 일단이 연결되며 유압이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 내부의 유압에 따라 제1실린더 내부를 왕복 이동하는 제1피스톤;
상기 제1실린더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피스톤의 왕복 이동시 제1실린더의 내부를 왕복 이동하는 제2실린더;
상기 제2실린더 내부의 유압에 따라 제2실린더 내부를 왕복 이동하는 제2피스톤; 및
상기 제2피스톤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단붐의 단부에 타단이 연결되어 제1/2피스톤의 제1/2실린더의 왕복 이동시 제1단붐(111)으로부터 제2단붐(112)이 신장되거나 신축되도록 하는 연결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ctuator for movement 120,
A first cylind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n end of the first end boom 111 and having hydraulic pressure supplied or discharged;
A first piston for reciprocating the inside of the first cylinder according to the hydraulic pressure in the first cylinder;
A second cylinder positioned inside the first cylinder to reciprocate the inside of the first cylinder when the first piston reciprocates;
A second piston for reciprocating the inside of the second cylinder according to the hydraulic pressure in the second cylinder;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piston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stage boom, so that the second stage boom 112 is extended from the first stage boom 111 dur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1/2 cylinder of the 1/2 piston. A two-mode trailer having a horizontal feeder capable of loading / loading a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rod for stretch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30)는,
상기 한 쌍의 제2단붐(112)의 내측면에 고정부재(미도시)를 통해 각각 고정되며 상호간 평형을 이루며 대향하는 한 쌍의 평형프레임(131)과;
상기 한 쌍의 평형프레임(131)의 하측부와 전후측부를 연결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ain body 130,
A pair of balance frames 131 which are respectively fixed to inner surfaces of the pair of second end booms 112 through a fixing member (not shown) and face each other in balance with each other;
And a support frame (132) for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lower and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pair of balance frames (13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32)은,
상기 복수개의 회전휠(140)이 적재면과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관통구(미부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upport frame 132,
A two-mode trailer having a horizontal transfer device capable of loading / loading th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unsigned) is formed so that the plurality of rotating wheels 140 in contact with the loading surfa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단붐(111)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단붐(111)으로부터 제2단붐(112)의 신장 또는 신축에 상기 고정부재(미도시)가 장애가 되지 않도록 고정부재(미도시)가 가이드되는 가이드홈(11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xing member (not show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ir of first end boom 111 from extending or stretching the second end boom 112 from the first end boom 111. A double mode trailer having a horizontal transfer device capable of loading / loading th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groove (111a) is guided by the fixing member (not show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회전휠(140)은,
상기 본체(130)의 지지프레임(132)에 형성된 관통구(미부호)를 통하여 적재면에 접촉되는 롤러(141)와;
상기 롤러(141)의 양측을 상기 평형프레임(131) 사이에 공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시키는 회전축(1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plurality of rotary wheels 140,
A roller 141 contacting the loading surface through a through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support frame 132 of the main body 130;
And a rotating shaft (142) for fixing both sides of the roller (141) in a state capable of idling between the balance frame (13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는,
상기 지지프레임(132)의 바닥면에 일단이 연결되며 유압이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실린더(151);
상기 실린더(151) 내부의 유압에 따라 실린더(151) 내부를 왕복 이동하는 피스톤(미도시); 및
상기 피스톤(미도시)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지지판넬(160)의 저면에 타단이 연결되어 피스톤(미도시)의 실린더(151) 내부 왕복 이동시 상기 지지판넬(160)이 본체(130)의 상측으로 신장되거나 신축되도록 하는 연결로드(1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plurality of lift actuators 150,
A cylinder 151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32 and having hydraulic pressure supplied or discharged;
A piston (not shown) for reciprocating the inside of the cylinder 151 according to the hydraulic pressure inside the cylinder 151;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piston (not shown)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anel 160 so that the support panel 160 is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30 when the piston (not shown) reciprocates in the cylinder 151. A dual mode trailer having a horizontal feeder capable of loading / loading a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rod (153) for extending or contract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액츄에이터(120)와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장치(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압공급장치(500)는,
오일이 저장된 오일탱크(510);
상기 오일탱크(510)로부터 오일을 상기 이동용 액츄에이터(120)와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들에 각각 공급시키거나 배출시키는 유압펌프(520); 및
상기 유압펌프(520)의 동작을 제어하는 PTO클러치(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ydraulic pressure supply unit 500 for supplying hydraulic pressure to the movable actuator 120 and the lift actuator 150,
The hydraulic supply device 500,
An oil tank 510 in which oil is stored;
A hydraulic pump (520) for supplying or discharging oil from the oil tank (510) to the moving actuator (120) and the lift actuator (150), respectively; And
Double mode trailer having a horizontal transfer device capable of loading / loading th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TO clutch (53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pump (5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고정장치(200)는,
상기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형성된 고정프레임(201)에 구비되어 컨테이너(C)의 이/적재시 컨테이너(C)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고정수단(210)과;
상기 고정수단(210)의 하부와 적재면 사이에 구비되어 컨테이너(C)의 이/적재시 고정수단(210)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ainer fixing device 200,
Fixing means (210) provided on the fixed frame (201) formed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 to stably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C) when loading / loading of the container (C);
2 / loading of th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fting means 220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and the loading surface of the fixing means 210 to lift the fixing means 210 when loading / loading of the container (C) Dual mode trailer with horizontal feeder possi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300)는,
상기 수평이송장치(100)의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에 의해 승강되는 지지판넬(160)의 승강 여부를 판단하는 리프트용 리니어스위치(311)와 상기 고정수단(210)으로부터 컨테이너(C)가 분리되는 것을 감지하는 분리용 리니어스위치(312)를 가지는 센서수단(310);
상기 수평이송장치(100)와 컨테이너고정장치(200)에 접속되어 상기 센서수단(310)으로부터 판단 결과를 토대로 상기 컨테이너(C)의 로딩이나 언로딩을 안정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320); 및
상기 구성부들의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수단(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device 300,
The container C is separated from the lift linear switch 311 and the fixing means 210 to determine whether the support panel 160 is elevated by the lift actuator 150 of the horizontal transfer apparatus 100. Sensor means (310) having a separate linear switch (312) for detecting that it is;
Control means (320) connected to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00) and the container fixing device (200) for stably controlling the loading or unloading of the container (C)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from the sensor means (310); And
A dual mode trailer having a horizontal transfer apparatus capable of loading / loading a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put means (330) for inputting a control signal for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수평이송장치(100)의 이동용 액츄에이터(120)와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 및 컨테이터고정장치(200) 승강수단(220)의 승강용 액츄에이터(223)에 유압공급장치(500)로부터 유압이 공급되는 제1단계;
상기 수평이송장치(100)의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가 상승 동작되어 컨테이너(C)가 수평이송장치(100) 본체(130)에 로딩되는 제2단계;
상기 수평이송장치(100)의 이동용 액츄에이터(120)가 신장 동작되어 수평이송장치(100) 본체(130)가 컨테이너(C)를 로딩한 상태로 트레일러(T)로부터 화차(F)의 적재면까지 수평이동하게 되는 제3단계;
상기 수평이송장치(100)의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가 하강 동작되어 수평이송장치(100) 본체(130)의 컨테이너(C)가 화차(F)의 콘소켓(S)에 안착되도록 언로딩되는 제4단계; 및
상기 수평이송장치(100)의 이동용 액츄에이터(120)가 신축 동작되어 수평이송장치(100) 본체(130)가 화차(F)로부터 트레일러(T)의 적재면까지 수평이동하게 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의 컨테이너 이/적재 방법.
The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from the hydraulic pressure supply device 500 to the movable actuator 120 of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00, the lift actuator 150, and the lifting actuator 223 of the container fixing device 200. A first step of becoming;
A second step in which the lift actuator 150 of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00 is lifted up so that the container C is loaded into the main body 130 of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00;
The moving actuator 120 of the horizontal conveying apparatus 100 is extended to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F from the trailer T while the main body 130 of the horizontal conveying apparatus 100 is loaded with the container C. A third step of moving horizontally;
The lift actuator 150 of the horizontal transfer apparatus 100 is moved downward to unload the container C of the main body 130 of the horizontal transfer apparatus 100 so as to be seated on the cone socket S of the wagon F. The fourth step; And
And a fifth step in which the moving actuator 120 of the horizontal transfer apparatus 100 is stretched and moved so that the main body 130 of the horizontal transfer apparatus 100 moves horizontally from the freight car F to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ailer T. Container loading / loading method of a dual mode trailer having a horizontal transport capable of loading / loading of th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이전에,
상기 트레일러(T)는 트리거장치(400)에 의해 안정적으로 하역스테이션의 바닥에 위치하게 되고, 화차(F)도 트리거장치(미부호)에 의해 화차(F)의 적재면이 안정적으로 트레일러(T)의 적재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의 컨테이너 이/적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before the first step,
The trailer (T) is stably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unloading station by the trigger device 400, the truck F also by the trigger device (unsigned) the loading surface of the truck F is stably the trailer (T) The container loading / loading method of the dual mode trailer having a horizontal transfer apparatus capable of loading / loading the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loading surfa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수평이송장치(100)의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 상승 동작 이전에, 상기 컨테이터고정장치(200) 승강수단(220)의 승강용 액츄에이터(223)의 상승 동작에 의해 컨테이너(C)가 일정 높이 상승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의 컨테이너 이/적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econd step,
Prior to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 actuator 150 of the horizontal transfer apparatus 100, the container C is fixed by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ing actuator 223 of the lifting device 220 of the container fixing device 200. A container loading / loading method of a dual mode trailer having a horizontal feeder capable of loading / loading a container,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step of raising the heigh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수평이송장치(100)의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 하강 동작 이전에, 상기 화차(F)의 콘소켓(S)이 승강부재에 의해 일정 높이 상승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의 컨테이너 이/적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ourth step,
Prior to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lift actuator 150 of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00, the container (S) of the wagon (F) comprises a step of raising the predetermined height by the elevating member Container loading / loading method of a dual mode trailer with horizontal feeder capable of loading.
KR1020100024828A 2009-08-07 2010-03-19 Dual mode trailer with horizontal transfer unit capable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and method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KR20110105600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828A KR20110105600A (en) 2010-03-19 2010-03-19 Dual mode trailer with horizontal transfer unit capable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and method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PCT/KR2010/005096 WO2011016666A2 (en) 2009-08-07 2010-08-03 Dual mode trailer having a horizontal transport apparatus capable of loading/unloading a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828A KR20110105600A (en) 2010-03-19 2010-03-19 Dual mode trailer with horizontal transfer unit capable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and method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600A true KR20110105600A (en) 2011-09-27

Family

ID=44955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828A KR20110105600A (en) 2009-08-07 2010-03-19 Dual mode trailer with horizontal transfer unit capable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and method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560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233B1 (en) * 2013-11-25 2015-04-07 주식회사 신성테크 Lifting apparatus for upper layer plate of trailer
KR20190027618A (en) * 2017-09-07 2019-03-15 서호전기주식회사 Container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233B1 (en) * 2013-11-25 2015-04-07 주식회사 신성테크 Lifting apparatus for upper layer plate of trailer
KR20190027618A (en) * 2017-09-07 2019-03-15 서호전기주식회사 Container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70492B1 (en) Railway wagon for transportation of semitrailers and the like
KR101085546B1 (en) Horizontal transfer unit capable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JP2008221963A (en)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of load of wing type truck
US10351149B2 (en) Rail car lifting device
KR200429036Y1 (en) Structure of slide load frame
KR20110105600A (en) Dual mode trailer with horizontal transfer unit capable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and method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KR20170097982A (en) Dual mode trailer capable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CN108367698A (en) Haulage vehicle for container
KR101202461B1 (en) System capable of Loading and unloading a container
FI70390C (en) TRANSPORT FOER ENHETSLASTER
KR101085550B1 (en) Unit capable of Loading and unloading a container and method thereof
KR100993281B1 (en) Container Horizontal Translation Type Dual Mode TrailerDMT Transportation System
KR101085545B1 (en) Freight car capable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KR20120006853A (en) Dual mode trailer with horizontal transfer system capable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WO2011016666A2 (en) Dual mode trailer having a horizontal transport apparatus capable of loading/unloading a container
KR20120006854A (en) Dual mode trailer with horizontal transfer system capable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KR101085552B1 (en) Dual mode trailer capable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KR20110015129A (en) Dual mode trailer capable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WO2011016663A2 (en) Horizontal transport apparatus capable of loading/unloading a container
KR20110015135A (en) Freight car capable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EP3441277B1 (en) Mechanism for lifting of car-carrying wagon boarding plates
KR101068453B1 (en) Dual mode trailer capable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WO2011016667A9 (en) Freight car capable of loading/unloading container
KR20120006855A (en) Dual mode trailer with horizontal transfer system capable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KR20110015131A (en) Dual mode trailer capable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