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1341A -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message including sound emotico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message including sound emotic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1341A
KR20110101341A KR1020100020283A KR20100020283A KR20110101341A KR 20110101341 A KR20110101341 A KR 20110101341A KR 1020100020283 A KR1020100020283 A KR 1020100020283A KR 20100020283 A KR20100020283 A KR 20100020283A KR 20110101341 A KR20110101341 A KR 20110101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message
emoticon
text message
synchroniz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2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명구
Original Assignee
(주)테일러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일러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테일러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00020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1341A/en
Publication of KR20110101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34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9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synthe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소리 이모티콘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송신 방법은 미리 저장된 복수의 소리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콘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문자메시지가 표시될 때 함께 재생될 소리에 대응되는 소리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소리 이모티콘에 대응하는 소리가 재생되는 시기를 지시하는 재생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메시지, 상기 소리 이모티콘, 및 상기 재생 동기 신호를 메시지로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장치는 문자로 이루어지는 메시지에 소리 이모티콘을 포함시켜 함께 전송함으로써 효율적이면서도 흥미롭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including a sound emoticon are disclosed.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electing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icons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previously stored sounds, to generate a sound emoticon corresponding to the sound to be played together when the text message is displayed Generating a playback synchronization signal indicating when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und emoticon is played; and transmitting the text message, the sound emoticon, and the playback synchronization signal as a message.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transmitted efficiently and interestingly by including a sound emoticon in a message consisting of a text.

Description

소리 이모티콘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message including sound emoticon}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message including sound emoticon}

본 발명은 소리 이모티콘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문자로 이루어지는 메시지에 소리 이모티콘을 포함시켜 함께 전송함으로써 효율적이면서도 흥미롭게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including a sound emotic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efficiently and interestingly by including a sound emoticon in a text message.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전화통화 기능 이외에 단문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기능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문메시지 서비스 기능은 비교적 짧은 텍스트 문장을 단말기 간에(또는 컴퓨터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로서 상대방 단말기의 통화 상태에 관계없이 원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음성 통화에 비하여 비교적 저렴하다는 장점 때문에 전화통화 기능을 대신할 정도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perform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a short message service (SMS) function in addition to a simple telephone call function. The short message service is a service that allows a relatively short text sentence to be transferred between terminals (or to a computer). The short message service can transmit a desired message regardless of the call status of the other terminal and is relatively inexpensive compared to a voice call. It is widely used instead.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때 사용자는 키를 조작하여 전송할 문장을 작성하고 문장의 작성이 완료되면 작성된 문장을 전송한다. 단문메시지 기능은 한글 40자 정도의 문자만을 송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많은 내용을 입력하여 전송할 수 없다.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a short message, the user manipulates a key to create a sentence to be transmitted and transmits the prepared sentence when the sentence is completed. The short message function can send and receive only 40 characters of Korean characters, so the user cannot input a lot of content.

게다가 문자를 입력하여 내용을 전달함에 있어서 크기가 작고 극히 한정된 키들만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많은 문자를 입력하고 전송하는 것이 매우 복잡하였다. 따라서 많은 내용이 정리된 짧은 글을 입력하는 데에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비되었으며 내용이 건조하고 무의미해질 수밖에 없었다. 즉, 단문메시지는 텍스트를 위주로 하는 의사소통을 하게 되므로, 일상어 전달 시 필요한 화자의 표정 등을 표현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이모티콘(emoticon)의 사용이 활성화되었다. In addition, it was very complicated to input and transmit many characters because only small and extremely limited keys were used to input the contents. Therefore, it took a lot of time and effort to input a short article with a lot of contents, and the contents became dry and meaningless. In other words, the short message is to communicate mainly on the text, it was unreasonable to express the expression of the speaker, etc. necessary for the transmission of everyday words.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the use of emoticons has been activated.

한편,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과 확산에 힘입어 많은 정보를 보다 손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정보화 기기들 간의 상호 접속 기술이나 그에 따른 통신 방법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근래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통신 방법 중 하나는 메신저라고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시간 대화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Meanwhile, thanks to the rapid spread and spread of the Internet, not only a lot of information can be easily accessed, but also interconnection technologies and communication methods thereof are being developed one after another. Among them, one of the most widely used communication methods is a real-time conversation program using a network called a messenger.

최근, 이러한 메신저를 이용한 대화 이른바, 채팅이 일반화되면서 '아바타'라고 하는 자신만의 캐릭터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채팅의 흥미를 배가시키기 위해서 메신저 대화에서도 대화자의 감정을 재미있게 형상화한 이모티콘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Recently, a conversation using such a messenger, so-called chats have become common, and many of them use their own characters called 'avatars.' have.

이모티콘은 이모션(emotion) + 아이콘(icon)에서 나온 신조어로 감정이 들어간 아이콘 역할을 하게 되고, 유닉스(UNIX) 시스템의 네트워크 사용자들이 사용했던 스마일리(smiley)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Emoticons are synonymous with emotion + icon, which can be an emotional icon, and can be found in the smiley used by network users of UNIX systems.

이모티콘은 사용자의 감정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일반문자 또는 특수문자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상형성 그림문자로 정의한다. 이모티콘은 컴퓨터 자판의 문자와 기호 및 숫자 등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람의 미세한 감정과 상징이나 특정인물, 직업, 사물 등의 의미를 전달하는 사이버 공간 특유의 언어라고 할 수 있다. Emoticons are defined as pictogram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general characters or special characters in order to display the emotion of the user. Emoticons can be said to be a language unique to cyberspace that conveys the minute emotions, symbols, meanings of specific people, jobs, objects, etc. by combining letters, symbols, and numbers of computer keyboards.

이러한 이모티콘은 누구나 보면 이해할 수 있고 사용자의 미묘한 감정을 표현하기에 용이하다는 점에서 사이버 공간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고, 채팅 사용자를 중심으로 다양한 표정이 개발되어 채팅이나 이메일, 문자메시지와 같이 단지 글로서만 상대방과 대화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발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이모티콘(emoticon) 표현에 따라 현재 약 90여 개 정도의 이모티콘이 저장되어 있다. 이모티콘의 예로, ^_^은 일반적인 웃음을, ^^;은 멋쩍은 웃음을, T.T는 눈물을 흘리는 모습을 나타낸다. These emoticons are widely used in cyberspace because they can be understood by anyone and express subtle emotions of users, and various expressions have been developed around chat users. It is often used when talking with the other party. About 90 emoticons are currently stored in the develop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oticon expressions of the user. An example of an emoticon is ^ _ ^ for a general laugh, ^^; for a nice laugh, and T.T for tears.

이와 같이 이모티콘은 기호를 이용하여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고 있으나, CDMA 단말기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기능이 뛰어난 PDA와 같은 부가단말이나 점차 진화하고 있는 핸드셋에 있어서도, 간략한 소리의 출력으로 효과적인 감정을 전달할 수 있는 소리 이모티콘은 없는 상태이다. Like this, emoticons convey their emotions by using symbols, but not only CDMA terminals but also additional terminals such as PDAs with excellent multimedia functions or evolving handsets, sounds that can effectively convey emotions with a simple sound output. There is no emoticon.

즉, 채팅이나 이메일은 직접 상대방의 얼굴을 보면서 대화를 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라는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글자로서 대화하기 때문에 상대방의 감정을 제대로 파악할 수가 없고, 이러한 이유로 현실감은 떨어지더라도 어느 정도의 감정 표현이 가능한 이모티콘를 사용하는 네티즌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In other words, chatting or e-mails do not talk directly to each other's faces, but instead communicate by text using a communication means called a network. Therefore, the emotions of the other party cannot be grasped properly. An increasing number of netizens use emoticons as much as possible.

물론, 인터넷 채팅에서는 아바타나 그래픽 등 감정을 표현하는 수단이 있지만, 이모티콘은 미묘하고 다양한 감정 표현이 가능하고, 무엇보다 자신의 감정을 간단하게나마 상대방에게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여전히 네트즌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Of course, in Internet chat, there are means to express emotions such as avatars and graphics, but emoticons can be subtle and diverse, and most of all, they can be conveyed to the other person simply and visually. It is used.

그러나 이모티콘을 이용할 경우 단순히 글자만을 이용하여 대화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방의 감정을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고는 하나, 이러한 이모티콘에 의한 감정 표현은 단순히 시각적인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상대방의 감정을 보다 현실감 있게는 전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although emoticons can be used to visually convey the emotions of the other party, compared to the case of simply using letters, the emotions expressed by these emoticons are merely visual, so they convey the emotions of the other party more realistically. I can't do it.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문자로 이루어지는 메시지에 소리 이모티콘을 포함시켜 함께 전송함으로써 효율적이면서도 흥미롭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delivering a message efficiently and interestingly by including a sound emoticon in a text messag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송신 방법은 미리 저장된 복수의 소리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콘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문자메시지가 표시될 때 함께 재생될 소리에 대응되는 소리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소리 이모티콘에 대응하는 소리가 재생되는 시기를 지시하는 재생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메시지, 상기 소리 이모티콘, 및 상기 재생 동기 신호를 메시지로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transmitting a message, by selecting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icon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re-stored sounds, and selecting a sound to be played together when a text message is displayed. Generating a corresponding sound emoticon, generating a reproduction synchronous signal indicating when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und emoticon is played, and transmitting the text message, the sound emoticon, and the reproduction synchronous signal as a message; Steps.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송신 방법은 미리 저장된 복수의 아이콘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선택하여 상기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소리에 대응시켜, 문자메시지가 표시될 때 함께 재생될 소리에 대응되는 소리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소리 이모티콘에 대응하는 소리가 재생되는 시기를 지시하는 재생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메시지, 상기 소리 이모티콘, 상기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소리, 및 상기 재생 동기 신호를 메시지로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transmitting a message, by selecting one or more icons from among a plurality of pre-stored icons to correspond to a sound corresponding to a part or all of the text message, Generating a sound emoticon corresponding to a sound to be played together when displayed, generating a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indicating when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und emoticon is played, and the text message, the sound emoticon, and the text Transmitting a sound corresponding to part or all of the message and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as a message.

또한, 상기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소리는, 문자-소리 변환기에 의해 상기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변환되어 생성된 소리, 또는 소리 입력기로부터 입력되어 생성된 소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sound corresponding to part or all of the text message may be a sound generated by converting part or all of the text message by a text-to-sound converter, or a sound generated by being input from a sound input devic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수신 방법은 문자메시지, 소리 이모티콘, 및 상기 소리 이모티콘에 대응하는 소리가 재생되는 시기를 지시하는 재생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상기 문자메시지, 상기 소리 이모티콘, 및 상기 재생 동기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메시지를 표시하며, 상기 재생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소리 이모티콘에 대응하는 소리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ssage receiving method, wherein a message including a text message, a sound emoticon, and a playback synchronization signal indicating when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und emoticon is played is received. Extracting the text message, the sound emoticon, and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from the received message, and displaying the text message and outputting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und emoticon in response to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It includes a step.

또한, 상기 소리 이모티콘은 미리 저장된 복수의 소리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콘들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일 수 있다. The sound emoticon may be at least one icon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icon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reviously stored sounds.

한편, 상기 소리 이모티콘은 미리 저장된 복수의 아이콘들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으로서, 상기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소리에 대응될 수도 있으며, 상기 메시지는 상기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소리를 더 포함한다. Meanwhile, the sound emoticon is one or more icons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pre-stored icons, and may correspond to a sound corresponding to part or all of the text message, and the message corresponds to a part or all of the text message. It further includes.

또한, 상기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소리는, 문자-소리 변환기에 의해 상기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변환되어 생성된 소리, 또는 소리 입력기로부터 입력되어 생성된 소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sound corresponding to part or all of the text message may be a sound generated by converting part or all of the text message by a text-to-sound converter, or a sound generated by being input from a sound input devic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송수신 방법은 문자메시지가 표시될 때 함께 재생될 소리에 대응되는 소리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소리 이모티콘에 대응하는 소리가 재생되는 시기를 지시하는 재생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문자메시지, 상기 소리 이모티콘, 상기 재생 동기 신호를 메시지로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문자메시지, 상기 소리 이모티콘, 및 상기 제생 동기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메시지를 표시하며, 상기 재생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소리 이모티콘에 대응하는 소리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by generating a sound emoticon corresponding to a sound to be played together when a text message is displayed, wherein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und emoticon is played. Generating a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indicating a timing; transmitting the text message, the sound emoticon, and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as a message; receiving the message to receive the text message, the sound emoticon, and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Extracting, and displaying the text message and outputting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und emoticon in response to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소리 출력부, 표시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메시지 송수신부, 및 통합 제어부를 포함한다. 통합 제어부는 문자메시지, 상기 문자메시지가 표시될 때 함께 재생될 소리에 대응되는 소리 이모티콘, 및 상기 소리 이모티콘에 대응하는 소리가 재생되는 시기를 지시하는 재생 동기 신호를 생성하여 메시지로서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문자메시지, 음성 이모티콘, 및 재생 동기 신호를 추출한 후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문자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재생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소리 이모티콘에 대응하는 소리를 상기 소리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한다.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n interface for input from the user, a sound output unit, a display unit, a messag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and an integrated control unit. The integrated control unit generates a text message, a sound emoticon corresponding to a sound to be played together when the text message is displayed, and a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indicating a time when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und emoticon is played. Extracts a text message, a voice emoticon, and a playback synchronization signal from the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and then displays the text message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responds to the sound emoticon in response to the playback synchronization signal. To output the sound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소리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콘들을 저장하는 이모티콘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소리 이모티콘은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이다. In addition,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moticon storage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icon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re-stored sounds, the sound emoticon is selected one of the plurality of icons The above icon.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아이콘들을 저장하는 이모티콘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소리 이모티콘은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으로서, 상기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소리에 대응되고,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소리를 상기 메시지에 더 포함시킨다. In addition,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moticon storage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pre-stored icons, the sound emoticon is one or more icons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icons, Corresponding to some or all of the sounds, the integrated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sound corresponding to some or all of the text message in the messag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문자를 소리로 자동으로 변환해주는 문자-소리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소리는 문자-소리 변환기에 의해 상기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변환되어 생성된 소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haracter-to-sound conversion unit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the characters into sounds, the sound corresponding to some or all of the text message to the text-to-sound conver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ound generated by converting part or all of the text messag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소리를 입력하기 위한 소리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소리는 상기 소리 입력기로부터 입력되어 생성된 소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ound input unit for inputting a sound, and the sound corresponding to part or all of the text message is a sound generated by being input from the sound input device. desirab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장치는 문자로 이루어지는 메시지에 소리 이모티콘을 포함시켜 함께 전송함으로써 효율적이면서도 흥미롭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advantage in that a message can be efficiently and interestingly transmitted by including a sound emoticon in a message composed of a text.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통신 네트워크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통합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the integrated control unit of FIG. 2.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ssage receiv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DETAILED DESCRIPTION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통신 네트워크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 장치들(100) 간에 적용된다. 네트워크는 유선, 무선 등 어느 것일 수도 있고, 유선과 무선이 융합된 형태와 같은 융합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들(100)은 인터넷에 연결된 PC들일 수도 있고,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이동 단말들일 수도 있다. 또한, 인터넷과 무선 네트워크의 융합 네트워크에 연결된 PC들과 이동 단말들일 수도 있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between terminal devices 100 connected to a network. The network may be any of wired and wireless, or may be a converged network such as a wired and wireless fused form. For example, the terminal devices 100 may be PCs connected to the Internet or mobile terminals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may also be PCs and mobile terminals connected to a converged network of the Internet and a wireless network.

한편, 도 1의 통신 네트워크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는 포털 사이트들 등에서 제공하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이용한 메시지일 수도 있고, 이동통신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단문메시지, 장문메시지와 같은 문자메시지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문자메시지가 단문메시지, 장문메시지와 같이 문자로 이루어지는 메시지인 것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문자로만 이루어지는 메시지뿐만 아니라 그림, 동영상 등이 포함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FIG. 1, the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may be a message using a messenger program provided by portal sites, or the like, such as a short message or a long message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t can also be a text message. Hereinafter,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text message is described as a message consisting of text such as a short message and a long message, bu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nd receives a multimedia message including a picture, a video, and the like as well as a message consisting only of text. This may also apply.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도이다. 단말 장치(100)는 표시부(110), 소리 출력부(120), 인터페이스부(130), 송수신부(140), 통합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a display unit 110, a sound output unit 120, an interface unit 130, a transceiver 140, and an integrated controller 150.

인터페이스부(13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단말 장치(100)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인터페이스부(130)는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30)는 키보드, 마우스, 키패드 등과 같은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고, 단말 장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선택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30 is for transmitting an input from the user to the terminal device 100. The interface unit 130 may include various input means not shown.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30 may include an input means such as a keyboard, a mouse, a keypad, and the like. The user may input characters using the input means and select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the terminal device. Can be performed.

표시부(110)와 소리 출력부(120)는 통합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문자메시지 등의 이미지와 소리를 출력한다. 송수신부(140)는 메시지를 포함한 신호를 송수신한다. 입력 수단 및 인터페이스부(130), 표시부(110), 소리 출력부(120), 송수신부(140)의 동작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동작들이므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sound output unit 120 output images and sounds such as text messages under the control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150. The transceiver 140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including a message. Since the operations of the input means and the interface unit 130, the display unit 110, the sound output unit 120, and the transceiver unit 140 are generally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except for special cases,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문자메시지, 상기 문자메시지가 표시될 때 함께 재생될 소리에 대응되는 소리 이모티콘, 및 재생 동기 신호를 생성하여 메시지로서 A text message, a sound emoticon corresponding to a sound to be played together when the text message is displayed, and a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are generated as a message.

통합 제어부(150)는 메시지 송수신부(140)를 통해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시지는 문자메시지, 문자메시지가 표시될 때 함께 재생될 소리에 대응되는 소리 이모티콘, 및 재생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데, 통합 제어부(150)는 메시지에 포함되는 문자메시지, 소리 이모티콘, 및 재생 동기신호를 생성한다. The integrated control unit 150 transmits or receives the message through the messag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4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ssage includes a text message, a sound emoticon corresponding to a sound to be played together when the text message is displayed, and a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The integrated control unit 150 includes a text message and a sound emoticon included in the message. And a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또한, 통합 제어부(150)는 송수신부(140)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문자메시지, 음성 이모티콘, 및 재생 동기 신호를 추출한다. 신호들을 추출한 후 통합 제어부(150)는 표시부를 통해 문자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하고 재생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소리 이모티콘에 대응하는 소리를 상기 소리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control unit 150 extracts a text message, a voice emoticon, and a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from the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40. After extracting the signals, the integrated control unit 150 displays a text message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outputs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und emoticon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in response to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재생 동기 신호는 소리 이모티콘에 대응하는 소리가 재생되는 시기를 지시한다. 소리가 재생되는 시기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가 도착했음을 알릴 때, 사용자가 키패드, 마우스 등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확인할 때, 표시되는 메시지를 스크롤할 때, 표시되는 메시지를 스크롤하는 도중에 해당 소리 이모티콘이 포함된 화면이 표시될 때, 등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indicates when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und emoticon is played. The time at which the sound is played may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a screen containing a corresponding sound emoticon when a message is received, when a user checks the message using an input means such as a keypad or a mouse, when a scrolling message is displayed, and while scrolling a displayed message. When is displayed, it can be set in various ways.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재생 동기 신호는 메시지 확인 동기 신호 또는 메시지 스크롤 동기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시지 확인 동기 신호는 메시지를 확인할 때 소리가 재생되도록 하는 신호이고, 메시지 스크롤 동기 신호는 표시되는 메시지를 스크롤할 때 소리가 재생되도록 하는 신호이다. 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is preferably a message confirmation synchronization signal or a message scroll synchronization signal. The message acknowledgment synchronization signal is a signal for reproducing a sound when the message is acknowledged, and the message scroll synchronizing signal is a signal for reproducing a sound when a displayed message is scrolled.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단말 장치(100)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소리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콘들을 저장하는 이모티콘 저장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소리 이모티콘은 복수의 아이콘들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는 입력 수단을 통해 이모티콘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아이콘들이 표시되도록 한 후, 입력 수단을 통해 이들 중 소리 이모티콘으로 사용할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소리 이모티콘이 생성된다.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n emoticon storage unit 160 for storing a plurality of icon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re-stored sounds. In this case, the sound emoticon is preferably one or more icons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icons. That is, the user displays a plurality of icons stored in the emoticon storage unit through the input unit, and then selects one or more icons to be used as the sound emoticon through the input unit, thereby generating a sound emoticon.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단말 장치(100)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아이콘들을 저장하는 이모티콘 저장부(1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소리 이모티콘은 복수의 아이콘들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으로서,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소리에 대응된다. 또한, 메시지는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소리를 더 포함할 것이다.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n emoticon storage unit 160 for storing a plurality of pre-stored icons. In this case, the sound emoticon is one or more icons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icons, and corresponds to a sound corresponding to part or all of the text message. In addition, the message may further include a sound corresponding to part or all of the text message.

한편,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소리를 생성하기 위해서, 단말 장치(100)는 문자를 소리로 자동으로 변환해주는 문자-소리 변환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문자-소리 변환부(170)는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변환하여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소리를 생성한다. Meanwhile, in order to generate a sound corresponding to part or all of the text message, the terminal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text-to-sound converter 170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a text into a sound. In this case, the text-to-sound conversion unit 170 converts some or all of the text messages to generate sounds corresponding to some or all of the text messages.

다른 일실시예로서, 단말 장치(100) 소리를 입력하기 위한 소리 입력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소리 입력부(180)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소리는 입력함으로써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소리가 생성된다. 한편,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소리를 입력하는 대신, 사용자는 선택된 소리 이모티콘에 대응하는 다양한 소리를 입력함으로써, 문자메시지와 함께 다양한 소리들이 재생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As another embodiment, the terminal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sound input unit 180 for inputting a sound. In this case, the user inputs a sound corresponding to part or all of the text message using the sound input unit 180 to generate a sound corresponding to part or all of the text message. Meanwhile, instead of inputting a sound corresponding to a part or all of the text message, the user may input various sound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ound emoticon so that various sounds can be played together with the text message.

도 3은 도 2의 통합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통합 제어부(15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통합 제어부(150)는 문자메시지 생성부(151), 동기 제어 신호 생성부(153), 이모티콘 생성부(155), 및 신호 추출부(157)를 포함한다. 문자메시지 생성부(151)는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문자메시지를 생성한다. 3 is a block diagram of the integrated control unit of FIG. 2. 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150 fo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operation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The integrated controller 150 includes a text message generator 151, a synchronization control signal generator 153, an emoticon generator 155, and a signal extractor 157. The text message generator 151 generates a text message according to an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terface.

동기 신호 생성부(153)는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또는 미리 결정된 규칙에 따라 동기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사용자는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소리가 재생될 시기를 입력할 수도 있다. 입력은 미리 결정된 시기(예를 들어, 메시지 확인 시, 메시지 스크롤 시, 해당 소리 이모티콘 표시 시 등)에서 선택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임의의 시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ync signal generator 153 generates a sync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n input from a user through a interface or a predetermined rule. The user may also input when the sound is to be reproduced using the input means. The input may be implemented to select at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when checking a message, scrolling a message, displaying a corresponding sound emoticon, etc.), or may be implemented to allow a user to select an arbitrary time. Could be.

이모티콘 생성부(155)는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소리 이모티콘을 생성한다. 사용자는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이모티콘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아이콘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거나, 문자메시지 중 소리 이모티콘으로 사용될 문자열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moticon generator 155 generates a sound emoticon according to an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terface. The user may be implemented by selecting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icons stored in the emoticon storage unit by using an input means, or selecting a part or all of a string to be used as a sound emoticon among text messages.

신호 추출부(157)는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문자메시지, 동기 제어 신호, 및 소리 이모티콘을 추출한다.
The signal extractor 157 extracts a text message, a synchronization control signal, and a sound emoticon from the received messag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단말 장치(100)에서 이루어지는 메시지 송수신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Hereinafter, 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operation performed by the terminal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메시지를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먼저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문자메시지를 작성한다. 문자메시지 생성부(151)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작성된 문자메시지를 생성한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you want to send a message, the user first writes a text message using the input means. The text message generator 151 generates a text message prepared according to a user's input.

문자메시지가 생성된 후, 소리 이모티콘을 생성한다(S401). 소리 이모티콘은 문자 메시지가 표시될 때 함께 재생될 소리에 대응되며,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After the text message is generated, a sound emoticon is generated (S401). The sound emoticon corresponds to a sound to be played together when the text message is displayed, and may be generated in various ways.

일실시예로서, 소리 이모티콘은 미리 저장된 복수의 소리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콘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소리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콘들은 이모티콘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으며, 이모티콘 생성부(155)는 이모티콘 저장부(160)로부터 복수의 아이콘들을 표시부(11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sound emoticon may be performed by selecting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icon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reviously stored sounds. In this case, a plurality of icon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ounds are stored in the emoticon storage unit 160, and the emoticon generating unit 155 displays the plurality of icons on the display unit 110 from the emoticon storage unit 160. Allow the user to choose.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부(130)에 포함된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표시된 아이콘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모티콘 생성부(155)는 선택된 아이콘을 이용하여 소리 이모티콘을 생성한다. The user may select one or more of the displayed icons by using the input means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130, and the emoticon generator 155 generates a sound emoticon using the selected icon.

다른 일실시예로서, 미리 저장된 복수의 아이콘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선택하여 상기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소리에 대응시킴으로써 소리 이모티콘이 생성될 수도 있으며,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소리는 당연히 메시지에 포함되어 함께 전송되어야 할 것이다. In another embodiment, a sound emoticon may be generated by selecting one or more icons among a plurality of pre-stored icons to correspond to sounds corresponding to some or all of the text messages, and corresponding to some or all of the text messages. The sound will of course be included in the message and transmitted together.

이 경우에도 복수의 아이콘들은 이모티콘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으며, 이모티콘 생성부(155)는 이모티콘 저장부(160)로부터 복수의 아이콘들을 표시부(11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icons are stored in the emoticon storage unit 160, and the emoticon generating unit 155 displays a plurality of icons from the emoticon storage unit 160 on the display unit 110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m.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부(130)에 포함된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표시된 아이콘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아이콘이 선택된 후, 사용자는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응하는 소리가 생성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자동변환방식, 직접입력방식의 2가지 방식으로 소리가 생성될 수 있다. The user may select one or more of the displayed icons by using the input means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130. After the icon is selected, the user should generate a sound corresponding to some or all of the text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c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may be generated in two ways: an automatic conversion method and a direct input method. have.

자동변환방식은 문자-소리 변환부(170)를 통해 수행된다. 사용자가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문자메시지 중 소리로 생성될 부분을 선택하면, 문자-소리 변환부(17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부분을 소리로 변환한다. 그 후 이모티콘 생성부(155)는 선택된 아이콘들을 소리 이모티콘으로 생성하고, 변환되어 생성된 소리를 저장한다. 다른 방법으로 이모티콘 생성부(155)는 선택된 아이콘들과 변환되어 생성된 소리를 함께 소리 이모티콘으로서 생성할 수도 있다. The automatic conversion method is performed through the text-to-sound conversion unit 170. When the user selects a portion of the text message to be generated using the input means, the text-to-sound converting unit 170 converts the portion selected by the user into the sound. Thereafter, the emoticon generator 155 generates the selected icons as sound emoticons and stores the converted sound. Alternatively, the emoticon generator 155 may generate a sound emoticon converted with the selected icons together.

한편,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리로 변환될 부분(문자열 등)이 이모티콘 저장부(160)에 저장된 아이콘들 대신 사용될 수도 있다. Meanwhile, a part (string, etc.) to be converted into a sound selected by the user may be used instead of the icons stored in the emoticon storage unit 160.

직접입력방식은 사용자가 재생될 소리를 직접 입력하는 방식으로, 소리 입력부(180)를 통해 수행된다. 사용자는 아이콘을 선택하거나 소리로 변환될 부분을 선택한 후, 인터페이스부(130)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소리를 직접 입력하는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소리 입력부(180)를 통해 재생될 소리를 입력하면, 이모티콘 생성부(155)는 선택된 아이콘들(또는 선택된 부분)을 소리 이모티콘으로 생성하고, 입력된 소리를 저장한다. 다른 방법으로 이모티콘 생성부(155)는 선택된 아이콘들(또는 선택된 부분)과 변환되어 생성된 소리를 함께 소리 이모티콘으로서 생성할 수도 있다. The direct input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user directly inputs a sound to be played, and is performed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80. After the user selects an icon or selects a part to be converted into a sound, the user may select an option of directly inputting a corresponding sound using the interface unit 130. After that, when the user inputs a sound to be played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80, the emoticon generator 155 generates the selected icons (or selected portions) as sound emoticons and stores the input sound. Alternatively, the emoticon generator 155 may generate the sound generated by being converted with the selected icons (or the selected portion) as the sound emoticon.

소리 이모티콘이 생성된 후에는 동기 제어 신호가 생성된다(S403).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재생 동기 신호는 소리 이모티콘에 대응하는 소리가 재생되는 시기를 지시하는 신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재생 동기 신호는 사용자의 선택이나 입력, 또는 미리 결정된 사항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의 선택이나 입력에 따라 생성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After the sound emoticon is generated, a synchronization control signal is generated (S403). As described above,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is a signal indicating when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und emoticon is reproduc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r input, or a predetermined matter. First, the case of generating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r input will be described.

소리 이모티콘이 생성된 후, 재생 동기 신호 생성부(153)는 사용자가 소리가 재생될 시기를 선택하거나 입력할 수 있도록 표시부(110)에 이와 관련된 사항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표시부(110)에 표시된 사항을 선택하거나 직접 입력하는 방식으로 재생될 시기를 선택하거나 입력할 수 있다. After the sound emoticon is generated,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or 153 displays the related information on the display 110 so that the user can select or input a time when the sound is to be played. The user may select or input a time to be played by selecting item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or directly inputting using the input means.

재생 동기 신호 생성부(153)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재생 동기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메시지를 확인할 때 소리가 재생되도록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재생 동기 신호 생성부(153)는 재생 동기 신호로서 메시지 확인 동기 신호를 생성하며, 메시지를 스크롤할 때 소리가 재생되도록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재생 동기 신호 생성부(153)는 재생 동기 신호로서 메시지 스크롤 동기신호를 생성한다.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or 153 generates a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according to a user input. For example, when a user selects to play a sound when checking a message, the play sync signal generator 153 generates a message check sync signal as a play sync signal, and the user selects to play a sound when the message is scrolled. In this case,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or 153 generates a message scroll synchronization signal as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소리가 재생되는 시기가 미리 결정된 경우, 재생 동기 신호 생성부(153)는 결정된 시기에 대응하도록 하는 재생 동기 신호를 생성한다. 만약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단말 장치(100, 도 1 참조)에서 소리 이모티콘에 대응하는 소리가 재생되는 시기가 미리 결정된 경우라면, 재생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소리 이모티콘이 먼저 생성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소리 이모티콘이 생성되는 동작과 재생 동기 신호가 생성되는 동작은 순서에 관계없이 수행될 수도 있으며,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When it is determined in advance that the sound is to be reproduced,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on unit 153 generates a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to correspond to the determined period. If it is determined in advance that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und emoticon is reproduced in all terminal devices 100 (refer to FIG. 1) connected to the network, the generating of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omitted.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ase in which the sound emoticon is first generated is described. However, the operation of generating the sound emoticon and the operation of generating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performed regardless of the order or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문자메시지, 소리 이모티콘, 재생 동기 신호가 생성된 후, 통합 제어부(150)는 생성된 문자메시지, 소리 이모티콘, 재생 동기 신호를 메시지로서 전송한다(S405). After the text message, the sound emoticon, and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are generated, the integrated control unit 150 transmits the generated text message, the sound emoticon, and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as a message (S405).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송수신부(140)는 메시지를 수신하며(S501), 수신된 메시지는 통합 제어부(150)의 신호 추출부(157)로 전달된다. 수신된 메시지는 문자메시지, 소리 이모티콘, 및 재생 동기 신호를 포함하며, 변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된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응하는 소리가 생성된 경우에는 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ssage receiv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ceiver 140 receives a message (S501), and the received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signal extractor 157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150. The received message includes a text message, a sound emoticon, and a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and may further include a sound when a sound corresponding to part or all of the converted or directly inputted text message is generated.

통합 제어부(150)의 신호 추출부(157)는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문자메시지, 소리 이모티콘, 및 재생 동기 신호를 추출하며, 메시지에 변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된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응하는 소리가 포함된 경우에는 이를 더 추출한다(S503). The signal extractor 157 of the integrated control unit 150 extracts a text message, a sound emoticon, and a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from the received message, and corresponds to a part or all of the text message converted into the message or directly input by the user. If sound is included, it is extracted further (S503).

필요한 신호들을 추출한 후, 통합 제어부(150)는 표시부(110)를 통해 문자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하며, 재생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소리 출력부(120)를 통해 소리 이모티콘에 대응하는 소리를 출력하도록 한다(S505). After extracting the necessary signals, the integrated control unit 150 displays the text message through the display unit 110, and outputs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und emoticon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120 in response to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 S505).

예를 들어, 재생 동기 신호가 메시지 확인 동기 신호인 경우, 통합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메시지를 확인할 때 소리 이모티콘에 대응하는 소리가 출력되도록 한다. 한편, 재생 동기 신호가 메시지 스크롤 동기 신호인 경우, 통합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메시지를 스크롤할 때 소리 이모티콘에 대응하는 소리가 출력되도록 한다.
For example, when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is the message confirmation synchronization signal, the integrated control unit 150 outputs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und emoticon when the user confirms the message. Meanwhile, when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is the message scroll synchronization signal, the integrated control unit 150 outputs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und emoticon when the user scrolls the message.

이상에서는 메시지 송신 방법과 메시지 수신 방법을 따로 설명하였으나, 메시지의 송신과 수신은 일련의 연속적인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와 같은 메시지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In the above, the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nd the message reception method have been described separately, but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message are performed in a series of continuous processes.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말 장치에서는, 상술한 방법 또는 이미 알려진 방법으로 문자메시지가 생성하고, 문자메시지가 표시될 때 함께 재생될 소리에 대응되는 소리 이모티콘을 생성한다. 그 후 소리 이모티콘에 대응하는 소리가 재생되는 시기를 지시하는 재생 동기 신호를 생성한다. 문자메시지, 소리 이모티콘, 재생 동기 신호가 모두 생성된 후에는, 이들 신호들을 메시지로서 전송한다. In the terminal device transmitting the message, a text message is generat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or a known method, and a sound emoticon corresponding to a sound to be played together when the text message is displayed. Thereafter, a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indicating when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und emoticon is played is generated. After the text message, the sound emoticon, and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are all generated, these signals are transmitted as a message.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말 장치에서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문자메시지, 소리 이모티콘, 및 상기 재생 동기 신호를 추출한다. 그 후 표시부(110)를 통해 문자메시지를 표시하며, 재생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소리 출력부(120)를 통해 소리 이모티콘에 대응하는 소리를 출력한다.
The terminal device receiving the message receives the message and extracts a text message, a sound emoticon, and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Thereafter, the display 110 displays a text message, and outputs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und emoticon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120 in response to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ritten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in a computer, and can be implemented in a general-purpose digital computer that operates the program using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data us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rough various means.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a magnetic storage medium (for example, a ROM, a floppy disk, a hard disk, etc.), an optical reading medium (for example, a CD-ROM, DVD, etc.) and a carrier wave (for example, the Internet). Storage medium).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optimal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3)

미리 저장된 복수의 소리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콘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문자메시지가 표시될 때 함께 재생될 소리에 대응되는 소리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소리 이모티콘에 대응하는 소리가 재생되는 시기를 지시하는 재생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메시지, 상기 소리 이모티콘, 및 상기 재생 동기 신호를 메시지로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송신 방법.
Selecting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icon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re-stored sounds, and generating a sound emoticon corresponding to a sound to be played together when a text message is displayed;
Generating a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indicating when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und emoticon is played; And
Transmitting the text message, the sound emoticon, and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as a message.
미리 저장된 복수의 아이콘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선택하여 상기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소리에 대응시켜, 문자메시지가 표시될 때 함께 재생될 소리에 대응되는 소리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소리 이모티콘에 대응하는 소리가 재생되는 시기를 지시하는 재생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메시지, 상기 소리 이모티콘, 상기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소리, 및 상기 재생 동기 신호를 메시지로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송신 방법.
Selecting one or more icons from among a plurality of pre-stored icons to correspond to sounds corresponding to a part or all of the text message, and generating a sound emoticon corresponding to a sound to be played together when the text message is displayed;
Generating a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indicating when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und emoticon is played; And
And transmitting the text message, the sound emoticon, a sound corresponding to part or all of the text message, and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as a messag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소리는,
문자-소리 변환기에 의해 상기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변환되어 생성된 소리, 또는 소리 입력기로부터 입력되어 생성된 소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송신 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sound corresponding to part or all of the text message,
And a sound generated by converting a part or all of the text message by a text-to-sound converter, or a sound input by a sound input device.
문자메시지, 소리 이모티콘, 및 상기 소리 이모티콘에 대응하는 소리가 재생되는 시기를 지시하는 재생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상기 문자메시지, 상기 소리 이모티콘, 및 상기 재생 동기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메시지를 표시하며, 상기 재생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소리 이모티콘에 대응하는 소리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수신 방법.
Receiving a message including a text message, a sound emoticon, and a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indicating when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und emoticon is played;
Extracting the text message, the sound emoticon, and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from the received message; And
Displaying the text message, and outputting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und emoticon in response to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이모티콘은,
미리 저장된 복수의 소리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콘들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수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ound emoticon,
And at least one icon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icon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reviously stored sound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이모티콘은,
미리 저장된 복수의 아이콘들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으로서, 상기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소리에 대응되며,
상기 메시지는 상기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소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수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ound emoticon,
One or more icons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pre-stored icons, corresponding to a sound corresponding to a part or all of the text message,
The message further comprises a sound corresponding to part or all of the text messag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소리는,
문자-소리 변환기에 의해 상기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변환되어 생성된 소리, 또는 소리 입력기로부터 입력되어 생성된 소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수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ound corresponding to a part or all of the text message,
And a sound generated by converting a part or all of the text message by a text-to-sound converter, or a sound generated by being input from a sound input device.
문자메시지가 표시될 때 함께 재생될 소리에 대응되는 소리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소리 이모티콘에 대응하는 소리가 재생되는 시기를 지시하는 재생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문자메시지, 상기 소리 이모티콘, 상기 재생 동기 신호를 메시지로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문자메시지, 상기 소리 이모티콘, 및 상기 제생 동기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메시지를 표시하며, 상기 재생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소리 이모티콘에 대응하는 소리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송수신 방법.
Generating a sound emoticon corresponding to a sound to be played together when the text message is displayed;
Generating a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indicating when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und emoticon is played;
Transmitting the text message, the sound emoticon, and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as a message;
Receiving the message and extracting the text message, the sound emoticon, and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And
And displaying a text message and outputting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und emoticon in response to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소리 출력부, 표시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메시지 송수신부;
문자메시지, 상기 문자메시지가 표시될 때 함께 재생될 소리에 대응되는 소리 이모티콘, 및 상기 소리 이모티콘에 대응하는 소리가 재생되는 시기를 지시하는 재생 동기 신호를 생성하여 메시지로서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문자메시지, 음성 이모티콘, 및 재생 동기 신호를 추출한 후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문자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재생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소리 이모티콘에 대응하는 소리를 상기 소리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In the terminal device including an interface unit for input from the user, a sound output unit, a display unit,
Messag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To generate a text message, a sound emoticon corresponding to a sound to be played together when the text message is displayed, and a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indicating when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und emoticon is played and to transmit the message through the messag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as a message; And extracting a text message, a voice emoticon, and a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from the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and then displaying the text message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generating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und emoticon in response to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signal. And an integrated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제 9 항에 있어서,
미리 저장된 복수의 소리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콘들을 저장하는 이모티콘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리 이모티콘은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emoticon storage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icon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re-stored sounds,
The sound emoticon is a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icon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icons.
제 9 항에 있어서,
미리 저장된 복수의 아이콘들을 저장하는 이모티콘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리 이모티콘은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으로서, 상기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소리에 대응되고,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소리를 상기 메시지에 더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emoticon storage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pre-stored icons,
The sound emoticon is one or more icons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icons, and corresponds to a sound corresponding to a part or all of the text messag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a sound corresponding to a part or all of the text message in the message.
제 11 항에 있어서,
문자를 소리로 자동으로 변환해주는 문자-소리 변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소리는 문자-소리 변환기에 의해 상기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변환되어 생성된 소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It further includes a text-to-sound converter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characters into sounds.
And a sound corresponding to part or all of the text message is a sound generated by converting part or all of the text message by a text-to-sound converter.
제 11 항에 있어서,
소리를 입력하기 위한 소리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문자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소리는 상기 소리 입력기로부터 입력되어 생성된 소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sound input unit for inputting a sound,
And a sound corresponding to a part or all of the text message is a sound input and generated from the sound input unit.
KR1020100020283A 2010-03-08 2010-03-08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message including sound emoticon KR2011010134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283A KR20110101341A (en) 2010-03-08 2010-03-08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message including sound emotic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283A KR20110101341A (en) 2010-03-08 2010-03-08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message including sound emotic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341A true KR20110101341A (en) 2011-09-16

Family

ID=44953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283A KR20110101341A (en) 2010-03-08 2010-03-08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message including sound emotic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134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60166A (en) * 2022-09-06 2022-12-09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Instant voice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60166A (en) * 2022-09-06 2022-12-09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Instant voice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308B1 (en) Method for providing message func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US8373799B2 (en) Visual effects for video calls
US20120162350A1 (en) Audiocons
KR101394515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storing video chatting lo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060145943A1 (en) Avatar control using a communication device
US8594290B2 (en) Descriptive audio channel for use with multimedia conferencing
CN102404251A (en) Realization method, client and system for instant messaging with remarking function
KR20090065212A (en) Robot chatting system and method
KR20070009880A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flashcon in a instant messenger of a mobile device
KR102078209B1 (en) Avatar visual conversion apparatus expressing text message into V-moji and message conversion method
CN105282621A (en) Method and device for achieving voice message visualized service
KR101080244B1 (en) Termianl having Message service function based on touch screen and message service system based on touch screen
KR20070008477A (en) Motion operable robot chatting system capable of emotion transmission
US90550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media files with messages
KR20090054609A (en) Voip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s with telephone communication service comprising emotional contents effect
KR2011010134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message including sound emoticon
JP2004023225A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signal generating method therefor,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
JP2002207671A (en) Handset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producing electronic mail sentence
KR101403226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message
KR2007011719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character message with message sender's feelings in the handy terminal
KR100572475B1 (en) How to display incoming short message o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JP2016091195A (en)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program and system
TWI575439B (en) An interface for voice communications
JP4530016B2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KR100487446B1 (en) Method for expression of emotion using audio apparatu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