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0387A - On-line education system considering user learning state - Google Patents

On-line education system considering user learning st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0387A
KR20110090387A KR1020100010125A KR20100010125A KR20110090387A KR 20110090387 A KR20110090387 A KR 20110090387A KR 1020100010125 A KR1020100010125 A KR 1020100010125A KR 20100010125 A KR20100010125 A KR 20100010125A KR 20110090387 A KR20110090387 A KR 20110090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ent
terminal
learn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1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차재혁
도현오
이윤수
Original Assignee
테크빌닷컴 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크빌닷컴 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테크빌닷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0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0387A/en
Publication of KR20110090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38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97Ball rebound 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2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n online education system considering learning process state of a user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offer educ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learning process state of a user even a terminal of the user is changed. CONSTITUTION: An education server(100) receives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terminal of a user and provides education contents to the user. A learner information database(102) stores the learning process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A terminal profile database(104) stores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A contents management apparatus(106) stores a plurality of contents about one unit learning. The education server selects the unit learning in which the user has to process through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contents which are suitable to the user using the contents profile and the terminal unit profile.

Description

사용자 학습 진행 상태를 고려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방법{On-line Education System Considering User Learning State}Online Education System Considering User Learning State {On-line Education System Considering User Learning State}

본 발명은 온라인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다양한 환경에서 학습 진도를 유지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edu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nline education system that enables a user to maintain learning progress in various environments.

인터넷의 발전과 더불어 온라인을 통한 교육 서비스는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서비스의 형태 역시 다양화되고 있다. 기존에는 학습 내용 또는 강의 내용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온라인 교육의 주된 형태였으나 근래에는 체계적인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 서비스의 형태가 많이 등장하고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educational services through online are continuously increasing, and the types of services are also diversifying. In the past, unilateral delivery of learning contents or lecture contents was the main form of online education, but in recent years, many forms of learning services using a systematic system have appeared.

근래에는 사용자의 학습 진도를 관리하고, 학습 진도에 맞게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교육 시스템이 등장하였으며, 사용자는 이와 같은 교육 시스템을 통해 이전에 했었던 학습 내용으로부터 차후 필요한 학습 내용을 이어서 계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Recently, an education system that manages the learning progress of users and provides educational contents according to the learning progress has emerged, and the user can continuously receive the necessary learning contents from the previous learning contents through such an education system. have.

이와 같이, 학습자의 학습 진행 상황을 체크하고 진행 상황에 맞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식은 사용자의 학습 상황을 관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많은 사용자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As such, a method of checking a learner's learning progress and provid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ogress has gained popularity from many users in terms of managing the learning situation of the user.

한편, 근래의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PC로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앞으로 네트워크 환경은 유비쿼터스 환경으로 변해갈 것으로 예측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recent online education system, it is common to provide educational contents to a user's PC through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but the network environment is expected to change into a ubiquitous environment in the future.

유비쿼터스 환경은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 접속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환경으로서, 차량 이동 중이나 보행 중에도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업무 처리 및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는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예를 들어, 집이나 사무실과 같은 환경에서는 PC를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 이동 중에는 PDA,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것으로 예측된다. The ubiquitous environment is an environment where data service can be performed using a network and a network anytime, anywhere. The ubiquitous environment can be connected to a network while a vehicle is moving or walking to receive work processing and various data services. In such a ubiquitous environment, it is expected that a user can use various types of terminals. For example, in an environment such as a home or an office, it is expected to use a data service using a PC, and to use a data service using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PDA or a mobile phone while traveling.

즉,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가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이용되고, 이와 같이 다양한 단말기가 이용되는 환경에서는 종래의 학습 진도에 따른 온라인 교육 시스템이 이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That is,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various types of terminals are used according to the user's environment, and in such an environment in which various terminals are u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nline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learning progress cannot be used.

기존의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사용자가 PC를 이용할 것으로 보고 만들어진 시스템이 대부분이며, 사용자의 단말기가 변화될 경우 기존에 하던 학습을 이어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을 구비하지는 못했다.
Existing online education systems are mostly made of a system that a user expects to use a PC, and does not have a technical means for continuing the existing learning when a user's terminal is changed.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가 이전에 하던 학습을 이어서 할 수 있는 사용자 학습 진행 상태를 고려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online education system and method in consideration of a user learning progress state that can continue a user's previous learning in a ubiquitous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단말기가 변화되더라도 학습 진행 상태에 따른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사용자 학습 진행 상태를 고려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online education system and method considering the user learning progress state that can be provided with the educ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learning progress state even if the user terminal changes.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단말기가 변화되더라도 각 단말기에 상응하는 최적의 교육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사용자 학습 진행 상태를 고려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online education system and metho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 learning progress state that can be provided with the optimal education content corresponding to each terminal even if the user terminal changes.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Oth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단말기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교육 서버; 사용자의 학습 진행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학습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단말기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기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의 단말기를 고려하여 하나의 단위 학습에 대해 다수의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 관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교육 서버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학습 진행 상태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할 단위 학습을 선택하고, 상기 단말기 프로파일 및 상기 다수의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컨텐츠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사용자 학습 진행 상태를 고려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ducation server for receiv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and providing education content to a user; A learner information database that stores learning progress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A terminal profile database for storing the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And a content management device storing a plurality of contents for one unit learning in consideration of a user's terminal, wherein the education server is a unit learning to be progressed by a user corresponding to a learning progress state of the user through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nline education system considering a user learning progress state of selecting and transmitting content suitable for a user by using the terminal profile and the content profile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상기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상기 컨텐츠 관리 장치와 결합되며 상기 다수의 컨텐츠에 대한 상기 컨텐츠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컨텐츠 메타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online educa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content meta database coupled with the content management device and storing the content profile for the plurality of contents.

상기 단위 학습은 다수의 코스를 포함하며, 상기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상기 교육 서버와 결합되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해 사용자가 단위 학습에 대한 모든 코스를 이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스킵된 코스 정보를 확인하는 코스 매니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nit learning includes a plurality of courses, and the online education system is combined with the education server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completes all courses on unit learning for the selected content and to check skipped course information. It may include.

상기 코스 매니저에 의해 확인되는 스킵된 코스 정보는 상기 학습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며, 상기 교육 서버는 사용자의 학습 진행 상태 판단 시 상기 스킵된 코스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코스를 제공한다. The skipped course information identified by the course manager is recorded in the learner information database, and the education server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kipped course exists when the learning progress state of the user is provided and provides the corresponding course.

상기 단말기 프로파일 및 상기 컨텐츠 프로파일은 속성 및 속성에 상응하는 속성값을 포함한다. The terminal profile and the content profile include attributes and attribut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attributes.

상기 교육 서버는 컨텐츠 선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선택부는, 사용자의 학습 진행 상태 및 단말기 프로파일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사용자의 학습 진행 상태에 상응하는 단위 학습에 대한 복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컨텐츠 집합 선택부; 상기 단말기 프로파일의 속성값 및 상기 컨텐츠 프로파일의 속성값을 이용하여 컨텐츠 적합도를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컨텐츠 적합도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 집합 중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ducation server includes a content selection unit, wherein the content selection unit comprises: an analysis unit analyzing a user's learning progress state and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A content set selector configured to select a plurality of contents for unit learning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progress state of the user; A calculator configured to calculate a content suitability using the attribute value of the terminal profile and the attribute value of the content profile; And a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content to be provided to a user terminal from the selected content set based on the content suitability.

상기 단말기 프로파일에 대한 속성은 복수개이고, 상기 선택부는 상기 복수의 속성의 속성값에 대한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적합도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한다. There are a plurality of attributes for the terminal profile, and the selecting unit selects contents to be provided to the terminal based on an average value of the goodness of fit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with respect to the attribute values of the plurality of attributes.

상기 선택부는 상기 적합도의 평균값이 최대인 컨텐츠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할 컨텐츠로 선택한다. The selector selects content having the maximum average value of goodness of fit as the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terminal.

상기 단말기 프로파일에 대한 속성은 복수개이고, 상기 선택부는 상기 복수의 속성의 속성값에 대한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적합도와 상기 복수의 속성과 대응되는 기설정된 가중치를 각각 곱한 값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한다. The terminal has a plurality of attributes for the terminal profile, and the selector is based on an average value of a product of multiplying the suitability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with respect to the attribute values of the plurality of attributes and a predetermined weight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attributes, respectively. Select the content to provide to.

상기 선택부는 상기 곱한 값의 평균값이 최대인 컨텐츠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할 컨텐츠로 선택한다. The selector selects content having a maximum average value of the multiplied value as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terminal.

상기 속성은 상기 속성값이 연속적인 연속 속성, 및 상기 속성값이 이산적인 이산 속성으로 구분되고, 상기 연속 속성은 상기 속성을 표현하는 변수가 하나인 1차원 연속 속성, 및 상기 속성을 표현하는 변수가 2개인 2차원 연속 속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e attribute is divided into a continuous attribute in which the attribute value is continuous, and a discrete attribute in which the attribute value is discrete, wherein the continuous attribute is a one-dimensional continuous attribute having one variable representing the attribute and a variable representing the attribute. It may be any one of two two-dimensional continuous attributes.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단말기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a);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학습 진행 상태를 확인하고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할 단위 학습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b); 상기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할 단위 학습에 상응하는 다수의 컨텐츠 집합을 선택하는 단계(c); 상기 단말기 프로파일과 상기 컨텐츠 집합에 속한 컨텐츠들의 컨텐츠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컨텐츠 적합도를 연산하는 단계(d); 및 상기 컨텐츠 적합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e)를 포함하는 사용자 학습 진행 상태를 고려한 온라인 교육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tep of receiv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 Confirming a learning progress state of the user us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etermining unit learning information to be progressed by the user (b); (C) selecting a plurality of content sets corresponding to unit learning to be progressed by the user; Calculating content suitability using the terminal profile and the content profile of the contents belonging to the content set; And selecting (e)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content suitability and providing the same to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가 이전에 하던 학습을 이어서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단말기가 변화되더라도 학습 진행 상태에 따른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continue learning previously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and even if the user's terminal is chang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ducation service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learning progress stat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단말기가 변화되더라도 각 단말기에 상응하는 최적의 교육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s terminal is chang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ovided with the optimal training content corresponding to each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학습 진행 상태를 고려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서버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선택부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학습 진행 상태를 고려한 온라인 교육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학습 컨텐츠의 크기(FileSize)에 대한 적합도 정보 그래프.
도 6은 디스플레이의 크기(ScreenSize)에 대한 적합도 정보 그래프.
도 7은 단말기(150)의 소리출력 지원여부(SoundOutputCapable)에 대한 적합도 정보 그래프.
도 8은 오디오 채널의 종류(AudioChannel)에 대한 적합도 정보 그래프.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online education system in consideration of a user learning progress st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odule configuration of the train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dule configuration of a content selection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verall flow of the online training metho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 learning progress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graph of goodness-of-fit information for the size (FileSize) of the learning content.
FIG. 6 is a graph of goodness-of-fit information for the size of a display (ScreenSize). FIG.
FIG. 7 is a graph of a goodness-of-fit information on whether sound output support of the terminal 150 is supported (SoundOutputCapable).
8 is a graph of goodness-of-fit information for a type of audio channel (AudioChannel).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학습 진행 상태를 고려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online education system in consideration of a user learning progress st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학습 진행 상태를 고려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교육 서버(100),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102), 단말기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104), 컨텐츠 관리 장치(106), 컨테츠 메타 데이터 데이터베이스(108) 및 코스 매니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50)와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 1, an online education system considering a user learning progress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raining server 100, a learning information database 102, a terminal profile database 104, and a content management device 106. , Content metadata database 108 and course manager 110. In addition, the online edu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50 through a network.

여기서 네트워크는 인터넷망, 사설 IP망, 전력선 통신망 및 유선 전화망(PSTN)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는 물론 이동통신망, 무선 인터넷망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The network may include a wired network such as an internet network, a private IP network, a power lin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wired telephone network (PSTN) as well as a wireless network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wireless internet network.

사용자 단말기(15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이 가능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한 어떠한 종류의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클라이언트(110)는 PC, 노트북과 같은 컴퓨터 장치, PDA, 이동통신 단말기, PMP. MP3 플레이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50 may include any kind of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 application program and communicating through a network. For example, the user client 110 may be a PC, a computer device such as a laptop, a PDA,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PMP. It can include all portable terminals such as MP3 players.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가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는 환경을 고려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다양한 단말기를 통해 본 발명의 온라인 교육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집에서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을 때는 PC를 사용하여 온라인 교육 시스템에 접속하고, 이동 중에는 이동통신 단말기, PMP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온라인 교육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onsiders an environment in which a user is provided with an education service in a ubiquitous environment, and the user can access the online edu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various terminals. For example, a user may access an online education system using a PC when the education service is provided at home, and us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PMP while on the mo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50) 온라인 교육 시스템에 접속 시 단말기 프로파일 정보를 온라인 교육 시스템에 전송한다. 여기서 단말기 프로파일은 단말기의 특성 정보로 정의할 수 있으며, 온라인 교육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정보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terminal 150 accesses the online education system, the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online education system. Here, the terminal profile may be defined as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is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terminal in the online education system.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프로파일은 단말기의 속성 및 속성에 대한 속성값([속성, 속성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속성의 일례로, 지원 가능한 언어 리스트, Push를 위해 단말기가 지원하는 컨텐츠 타입들의 리스트(Push-Accept), 오디오 채널의 종류, 학습 컨텐츠의 크기, 디스플레이의 크기, 소리 출력 지연 여부, 프로세서 처리 속도, 메모리 사이즈 등이 있다. 속성값들은 상술한 속성들에 해당하는 값으로 메모리 사이즈와 같은 속성의 속성값은 메모리 사이즈에 해당하는 수치일 수 있으며, 소리 출력 지원 여부와 같은 속성의 속성값은 “yes" 또는 "No"일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채널의 종류와 같은 속성의 속성값은 채널명일 수도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profile may include an attribute of the terminal and an attribute value ([attribute, attribute value]) for the attribute. Examples of terminal attributes include a list of languages that can be supported, a list of content types supported by the terminal for push (Push-Accept), the type of audio channel, the size of the learning content, the size of the display, the delay of sound output, the processor processing speed. , Memory size, and so on. The property values correspond to the above-mentioned properties. The property value of the property such as memory size may be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memory size, and the property value of the property such as whether sound output is supported is “yes” or “No”. In addition, an attribute value of an attribute such as the type of an audio channel may be a channel name.

교육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50)와 통신하며, 사용자 단말기(150)에 교육 컨텐츠를 전송한다. 교육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150)로부터 단말기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The education server 100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150 through a network and transmits the education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150. The education server 100 receives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50 and also receive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user.

교육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학습 진행 상태를 판단한다. The education server 100 determines the learning progress state of the user by us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학습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02)에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사용자의 학습 진행 상태 정보가 저장된다. 사용자의 개인 정보는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 이름, 주소 등과 같은 신상 정보와 기타의 사용자 선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학습 진행 상태 정보는 사용자가 어느 정도 학습을 진행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이다. The learner information database 102 stores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user's learning progress information.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may include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er name, address, and the like and other user preference information. The learning progress state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has progressed the learning.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게 특정 차수에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교육 컨텐츠를 단위 학습이라고 정의한다. 예를 들어, 단위 학습1을 이수한 사용자에게는 단위 학습2를 제공하고, 단위 학습2를 이수한 사용자에게는 단위 학습3을 제공한다. 사용자 학습 진행 상태 정보는 사용자가 몇 번째 단위학습까지 이수를 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the educational content provided to the user in a specific order as unit learning. For example, the unit learning 2 is provided to the user who has completed the unit learning 1, and the unit learning 3 is provided to the user who has completed the unit learning 2. The user learning progress state information stores information on how many units the user has completed.

또한, 하나의 단위 학습은 다수의 코스를 포함한다. 즉, 하나의 단위 학습은 N개의 코스로 이루어진다. In addition, one unit of learning includes a plurality of courses. In other words, one unit of learning consists of N courses.

교육 서버(100)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학습 진행 상태를 확인하고 사용자가 어떠한 단위 학습까지 이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The education server 100 checks the learning progress state of the user by us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the unit has completed the unit learning.

단말기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104)에는 단말기 프로파일 정보가 저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는 단말기 헤더 정보 및 단말기 프로파일에 해당되는 속성 및 속성값을 rdf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The terminal profile database 104 stores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profile database may store terminal header information and attributes and attribut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profile in the form of an rdf file.

단말기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104)는 사용자 단말기(150)로부터 전송된 단말기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한다. 단말기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104)의 단말기 프로파일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50) 단말기가 교육 서버(100)에 접속할 때마다 단말기 프로파일 정보를 전송하여 불필요한 정보가 계속적으로 전송되어 트래픽을 증가시키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사용된다. 사용자 단말기의 프로파일 정보가 전송되어 단말기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104)에 저장되면, 사용자 단말기의 헤더 정보만으로 단말기 프로파일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The terminal profile database 104 stores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50. The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profile database 104 is used to transmit the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every time the user terminal 150 connects to the education server 100 so that unnecessary information is continuously transmitted to avoid increasing traffic. . When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transmitted and stored in the terminal profile database 104, the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only by the header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컨텐츠 관리 장치(106)에는 특정 단말기 환경에 맞도록 제작된 다수의 컨텐츠 데이터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단위 학습1에 대한 컨텐츠 데이터가 다수의 단말기 한경에 맞도록 복수개가 저장된다. The content management device 106 stores a plurality of content data produced for a specific terminal environment. For example, a plurality of pieces of content data for unit learning 1 are stored so as to fit a plurality of terminal scenes.

컨텐츠 메타 데이터 데이터베이스(108)에는 컨텐츠 관리 장치(106)에 저장된 각 컨텐츠 데이터의 컨텐츠 프로파일 정보가 저장된다. 컨텐츠 프로파일 정보는 컨텐츠를 재생 가능한 환경 정보를 의미한다. 컨텐츠 프로파일 정보는 단말기 프로파일 정보와 같이 속성 및 속성값을 가지고 있으며, 예를 들어, 컨텐츠 재생이 가능한 메모리 사이즈, 디스플레이 사이즈, 동영상 재생이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ent metadata database 108 stores content profile information of each content data stored in the content management device 106. The content profile information means environment information capable of playing content. The content profile information has attributes and attribute values like the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memory size capable of playing content, a display size, and information on whether video playback is required.

도 1에는 컨텐츠 관리 장치(106)와 컨텐츠 메타 데이터 데이터베이스(108)가 별개로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단일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Although FIG. 1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content management device 106 and the content metadata database 108 are separately implemented as device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tent management device 106 and the content metadata database 108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device.

교육 서버(100)는 컨텐츠 메타 데이터 데이터베이스(108)의 컨텐츠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에 적합한 컨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기(150)에 전송한다. The education server 100 selects content suitable for a terminal used by the user using the content profile information of the content metadata database 108 and transmits the select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150.

즉, 교육 서버(100)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학습 진행 상태를 확인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여야 할 학습 컨텐츠를 판단하며, 사용자 단말기(150)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컨텐츠를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기(150)에 제공한다. That is, the education server 100 checks the learning progress state of the user us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termines the learning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user, and selects the content currently available to the user using the user terminal 150 profile. To the user terminal 150.

코스 매니저(110)는 하나의 단위 학습에 포함된 다수의 코스들을 사용자가 이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사용자는 단말기에 따라 단말기에 맞는 컨텐츠를 제공받게 되며 단말기가 특정 기능을 지원하지 않을 경우 해당 단말기에 맞는 컨텐츠는 특정 코스를 스킵하도록 제작된 컨텐츠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동영상 재생을 지원할 수 없는 단말기일 경우 그 단말기에 맞는 단위 학습 컨텐츠는 동영상 재생 코스가 생략되어 있다. 코스 매니저(110)는 단위 학습 컨텐츠에 포함된 모든 코스들을 이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단말기 상태로 인해 특정 코스가 스킵되었을 경우 스킵된 코스 정보를 기록한다. The course manager 110 checks whether the user completes a plurality of courses included in one unit learning.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terminal, and if the terminal does not support a specific function,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may be a content produced to skip a specific course.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is a terminal that cannot support video playback, the unit learning content suitable for the terminal is omitted from the video playback course. The course manager 110 checks whether all courses included in the unit learning content are completed and records skipped course information when a specific course is skipped due to the terminal state.

교육 서버(110)는 코스 매니저를 통해 사용자가 이수한 단위 학습에서 스킵된 코스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기가 스킵된 코스를 지원할 수 있을 경우 스킵된 코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The education server 110 checks whether there is a skipped course in the unit learning that the user has completed through the course manager, and provides the skipped course to the user if the user terminal can support the skipped cours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서버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odule configuration of the train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서버는 단말기 통신부(200), 학습 정보 관리부(202), 단말기 프로파일 판단부(204) 및 컨텐츠 선택부(206)를 포함할 수 있다. 2, the education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00, a learn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2, a terminal profile determination unit 204, and a content selection unit 206.

단말기 통신부(200)는 사용자 단말기(15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단말기 통신부(20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와 단말기 헤더 정보 및 단말기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단말기 통신부(200)는 사용자의 학습 진해 상태와 단말기 프로파일을 고려한 컨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50)에 전송한다. 단말기 통신부(200)는 사용자 단말기(150)가 지원 가능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와 통신한다.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00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150.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00 receive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erminal header information, and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In addition,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00 transmits the content data considering the learning progress state and the terminal profile of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150.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00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200 using a communication protocol supported by the user terminal 150.

교육 서버가 인터넷과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기(200)가 인터넷과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경우 단말기 통신부(200)는 직접 사용자 단말기(200)와 통신하며, 사용자 단말기(200)가 다른 통신망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 단말기 통신부(200)는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기(150)와 통신할 수 있다. When the education server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the user terminal 20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Internet When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00 directly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200, when the user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another communication network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00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150 via a gateway.

학습 정보 관리부(202)는 사용자의 학습 진행 상태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학습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의 학습 진행 상태를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갱신하는 기능을 한다. 학습 정보 관리부(202)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확인하고 해당 사용자에 상응하는 학습 진행 상태를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확인한다. 이때, 학습 정보 관리부(202)는 특정 단위 학습을 완료하였으나 스킵한 코스가 있는지 여부를 함께 확인한다. The learning information manager 202 determines a learning progress state of the user and updates the learning progress state of the user in the learning information database when the learning of the user is completed. The learning information manager 202 confirms the user by us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hecks the learning progress database corresponding to the user by checking the learning information database. At this time, the learn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2 checks whether there is a skipped course after completing the specific unit learning.

또한, 학습 정보 관리부(202)는 코스 매니저와 연동하여 사용자가 온라인을 통해 진행하는 학습 상태를 관리하고, 학습이 완료된 경우 완료된 단위 학습 정보 및 스킵된 코스 정보를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 In addition, the learn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2 manages the learning state that the user progresses online through in conjunction with the course manager, and records the completed unit learning information and the skipped course information in the learning information database when the learning is completed.

단말기 프로파일 판단부(204)는 사용자 단말기(150)로부터 수신되는 단말기 식별 정보 및 단말기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 프로파일을 파악한다. The terminal profile determiner 204 determines the user terminal profile by us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50.

사용자 단말기(150)로부터 단말기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할 경우, 단말기 프로파일 판단부(204)는 수신된 단말기의 프로파일을 판단하고 단말기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의 단말기 정보로 해당 프로파일을 등록한다. When receiving the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50, the terminal profile determination unit 204 determines the profile of the received terminal and registers the profile as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user in the terminal profile database.

단말기 프로파일 판단부(204)는 사용자의 특정 단말기의 프로파일 정보가 단말기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단말기 헤더 정보만을 수신하며 헤더 정보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사용자의 단말기 프로파일을 판단한다. The terminal profile determining unit 204 receives only terminal header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when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of the user is stored in the terminal profile database, and receives the terminal profile of the user without receiving profile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header information. Judge.

학습 정보 관리부(202) 및 단말기 프로파일 판단부는 사용자의 학습 진행 상태 정보 및 단말기 프로파일 정보를 컨텐츠 선택부(206)에 제공하며, 컨텐츠 선택부(206)는 사용자의 학습 진행 상태 및 단말기 프로파일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선택한다. The learn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2 and the terminal profile determination unit provide the learning progress state information and the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content selection unit 206, and the content selection unit 206 corresponds to the learning progress state and the terminal profile of the user. Select the content.

컨텐츠 선택부(206)는 제공된 학습 진행 상태에 상응하는 컨텐츠 집합을 우선 선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관리 장치는 특정 단위 학습에 대해 다양한 컨텐츠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는 다수의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으며, 컨텐츠 선택부(206)는 사용자가 학습하여야 할 단위 학습에 상응하는 다수의 컨텐츠 집합을 선택한다. The content selection unit 206 first selects a content set corresponding to the provided learning progress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management apparatus stores a plurality of contents having various content profiles for a specific unit learning, and the content selection unit 206 generates a plurality of content sets corresponding to the unit learning to be learned by the user. Choose.

컨텐츠 선택부(206)는 특정 단위학습에 상응하는 다수의 컨텐츠 중 사용자 단말기 프로파일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선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컨텐츠에는 컨텐츠 프로파일이 설정되어 있으며, 단말기 프로파일 및 컨텐츠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적합한 컨텐츠를 선택한다. The content selection unit 206 selects a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profile among a plurality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unit learning. As described above, a content profile is set for each content, and the content suitable for the user terminal is selected using the terminal profile and the content profile informa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선택부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dule configuration of a content selection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선택부는 분석부(300), 컨텐츠 집합 선택부(302), 연산부(304) 및 선택부(308)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content sel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nalysis unit 300, a content set selection unit 302, an operation unit 304, and a selection unit 308.

분석부(300)는 학습 진행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학습하여야 할 단위 학습을 판단하고, 단말기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속성 및 속성 값을 확인한다. The analysis unit 300 determines the unit learning to be learned by the user using the learning progress state information, and checks the attributes and attribute values of the terminal using the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컨텐츠 집합 선택부(302)는 사용자의 학습 진행 상태에 상응하는 컨텐츠 집합을 선택한다. 컨텐츠 집합 선택부(302)는 분석부(300)로부터 학습 진행 상태를 확인하고 사용자가 진행할 단위 학습에 상응하는 컨텐츠 집합을 선택한다. The content set selector 302 selects a content set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progress state of the user. The content set selector 302 checks the learning progress state from the analyzer 300 and selects a content set corresponding to the unit learning to be progressed by the user.

연산부(304)는 단말기 프로파일과 컨텐츠 집합 선택부(302)에서 선택된 컨텐츠 집합에 포함된 컨텐츠들의 컨텐츠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컨텐츠 적합도를 연산한다. The calculator 304 calculates the content suitability using the terminal profile and the content profile of the contents included in the content set selected by the content set selector 302.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프로파일의 속성은 크게 2가지 종류로 분류될 수 있는데, 하나는 속성값이 연속적인 연속 속성이고, 다른 하나는 속성값이 이산적인 이산 속성이다. 이 때, 연속 속성은 0 이상 1 이하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고, 이산 속성은 0 또는 1의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ributes of the terminal profile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two types, one of which is a continuous attribute of which attribute values are continuous, and the other of which is a discrete attribute whose attribute values are discrete. In this case, the continuous attribute may have an arbitrary value of 0 or more and 1 or less, and the discrete attribute may have a value of either 0 or 1.

상기에서 언급한 속성 중에서, 학습 컨텐츠의 크기(FileSize) 및 디스플레이의 크기(ScreenSize)는 연속 속성의 일례이고, 오디오 채널의 종류(AudioChannel) 및 단말기의 소리출력 지원 여부(SoundOutputCapable)는 이산 속성의 일례이다. Among the above-mentioned attributes, the size of the learning content (FileSize) and the size of the display (ScreenSize) are examples of continuous attributes, and the type of audio channel (AudioChannel) and whether the terminal supports sound output (SoundOutputCapable) are examples of discrete attributes. to be.

또한, 연속 속성 및 이산 속성은 각각 2가지 종류의 서브 속성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즉, 연속 속성은 속성을 표현하는 변수가 하나인 1차원 연속 속성 및 속성을 표현하는 변수가 2개인 2차원 연속 속성으로 세분화되고, 이산 속성은 학습 컨텐츠가 하나의 속성값에 대해 적합도를 가질 수 있는 단일 이산 속성, 및 학습 컨텐츠가 2 이상의 속성값에 대해 적합도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inuous attribute and the discrete attribute may each be subdivided into two kinds of sub-attributes. That is, the continuous attribute is subdivided into a one-dimensional continuous attribute with one variable representing the attribute and a two-dimensional continuous attribute with two variables representing the attribute, and the discrete attribute may have a goodness of fit for the learning content with one attribute value. A single discrete attribute, and the learning content may have goodness of fit for two or more attribute values.

상기에서 언급한 속성 중에서, 학습 컨텐츠의 크기(FileSize)는 하나의 변수로 표현되므로, 1차원 연속 속성에 해당하고, 디스플레이의 크기는 2개의 변수(가로 크기 및 세로 크기)로 표현되므로, 2차원 연속 속성에 해당한다. 또한, 단말기의 소리출력 지원 여부(SoundOutputCapable)는 가능(Yes, 적합도=1) 또는 불가능(No, 적합도=0) 중에서 하나만 적용될 수 있으므로, 단일 이산 속성에 해당하고, 오디오 채널의 종류(AudioChannel)는 학습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하나의 채널만 지원 가능한 경우(일례로, mono만 지원 가능)도 있고, 여러 가지 채널을 모두 지원할 수 있는 경우(일례로, mono, stereo, 2.1 채널, 5.1 채널)도 있으므로, 다중 이산 속성에 해당한다. 연산부(123)는 단말기의 속성의 속성값에 대한 복수의 학습 컨텐츠의 적합도를 연산한다. 여기서, 복수의 학습 컨텐츠는 단말기(150)로 제공될 수 있는 후보 학습 컨텐츠를 의미하고, 적합도는 복수의 학습 컨텐츠 각각이 단말기(150)의 속성의 속성값들에 대해 해당 학습 컨텐츠가 얼마나 적합한지를 나타내는 척도를 의미한다. 이 때, 적합도는 0과 1 사이의 임의의 실수값을 갖는다. Among the above-mentioned attributes, since the size of the learning content (FileSize) is represented by one variable, it corresponds to a one-dimensional continuous attribute, and the size of the display is represented by two variables (horizontal size and vertical size). Corresponds to a continuous attribute. In addition, whether the terminal supports sound output (SoundOutputCapable) can be applied to only one of Yes (Fitness = 1) or Disable (No, Goodness = 0), so that the terminal corresponds to a single discrete property, and the type of the audio channel (AudioChannel) is Depending on the type of learning content, only one channel can be supported (for example, only mono), and some channels can be supported (for example, mono, stereo, 2.1 channel, and 5.1 channel). This corresponds to multiple discrete attributes. The calculator 123 calculates a goodness of fit of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with respect to the attribute value of the attribute of the terminal. Here,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refers to candidate learning contents that can be provided to the terminal 150, and the suitability indicates how appropriate the learning contents ar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with respect to the attribute values of the attributes of the terminal 150. Means a measure to indicate. At this time, the goodness of fit has any real value between 0 and 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산부(302)는 컨텐츠 프로파일의 속성 및 속성값과 단말기 프로파일의 속성 및 속성값에 대한 적합도를 연산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culating unit 302 may calculate a goodness of fit of the attributes and attribute values of the content profile and the attributes and attribute values of the terminal profile.

일례로, 학습 컨텐츠의 적합도에 대한 정보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표현되고, 연산부(302)는 그래프에서 단말기(150)의 속성의 속성값(가로축 값)과 대응되는 적합도(세로축 값)를 찾음으로써 단말기(150)의 속성의 속성값에 대한 복수의 컨텐츠의 적합도를 연산할 수 있다. 이 때, 도 5에 도시된 그래프는 학습 컨텐츠의 크기(FileSize)에 대한 적합도 정보 그래프이고, 도 6에 도시된 그래프는 디스플레이의 크기(ScreenSize)에 대한 적합도 정보 그래프이고, 도 7은 단말기(150)의 소리출력 지원여부(SoundOutputCapable)에 대한 적합도 정보 그래프이고, 도 8은 오디오 채널의 종류(AudioChannel)에 대한 적합도 정보 그래프이다.For example, the information on the goodness of fit of the learning content is expressed as shown in the graph shown in FIGS. 5 to 8, and the calculation unit 302 corresponds to the goodness of fit (attribute value) of the attribute value (horizontal axis value) of the attribute of the terminal 150 in the graph. By finding the vertical axis value, the fitness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with respect to the attribute value of the attribute of the terminal 150 can be calculated. In this case, the graph shown in FIG. 5 is a goodness-of-fit graph for the size of the learning content (FileSize), the graph shown in FIG. 6 is a goodness-of-fit graph for the size of the display (ScreenSize), and FIG. 7 is a terminal 150. Goodness information information graph for whether or not the sound output support (SoundOutputCapable), Figure 8 is a fitness information graph for the type (AudioChannel) of the audio channel.

선택부(304)는 단말기(150)의 속성의 속성값에 대해 연산된 복수의 학습 컨텐츠의 적합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단말기(150)로 제공할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한다. The selector 304 selects one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terminal 150 from among the plurality of contents based on the goodness of fit of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calculated on the attribute value of the attribute of the terminal 150.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합도 값이 클수록 학습 컨텐츠가 단말기(150)에 적합하게 되므로, 선택부(304)는 이를 이용하여 단말기(150)로 제공할 하나의 학습 컨텐츠를 선택한다. That i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earning content becomes more suitable for the terminal 150 as the fitness value is larger, the selector 304 selects one learning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terminal 150 using the learning conten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150)의 속성 및 속성값이 복수개인 경우, 선택부(124)는 복수의 속성의 속성값에 대한 복수의 학습 컨텐츠의 적합도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단말기(150)에 제공할 학습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이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attributes and attribute values of the terminal 150, the selecting unit 124 may select a terminal (based on an average value of the goodness of fit of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with respect to the attribute values of the plurality of attributes). 150 may select learning content to be provided. This may be expressed as Equation 1 below.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는 적합도의 평균값, x는 학습 컨텐츠, n은 속성의 개수이고,
Figure pat00003
는 I번째 속성의 속성값에 대한 적합도를 각각 의미한다. here,
Figure pat00002
Is the mean value of goodness of fit, x is the learning content, n is the number of attributes,
Figure pat00003
Denotes goodness of fit for the attribute value of the I-th attribute.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부(304)는 적합도의 평균값이 최대인 학습 컨텐츠를 단말기(150)에 제공할 학습 컨텐츠로 선택할 수 있다. In thi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ector 304 may select the learning content having the maximum average value of fitness as the learning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terminal 150.

이 때, 만약 적합도의 평균값이 최대인 학습 컨텐츠가 2 이상 존재한다면, 선택부(304)는 단말기(150)의 사용자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2 이상의 학습 컨텐츠 중에서 단말기(150)에 제공할 학습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At this time, if there are two or more learning contents having a maximum average value of fitness, the selection unit 304 learns to be provided to the terminal 150 among the two or more learning conten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of the terminal 150. You can select content.

일례로, 적합도의 평균값이 최대인 학습 컨텐츠가 2개이고(이미지 컨텐츠 및 동영상 컨텐츠), 사용자가 이미지 컨텐츠 보다 동영상 컨텐츠를 더 선호한다는 정보를 선택부(304)가 알고 있다면, 선택부(304)는 동영상 컨텐츠를 단말기(150)에 제공할 학습 컨텐츠로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특성 정보는 사용자의 컨텐츠 선호도가 된다. For example, if there are two learning contents (image content and video content) having an average value of goodness of fit, and the selection unit 304 knows that the user prefers the video content to the image content, the selection unit 304 may The video content may be selected as learning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terminal 150. At this time,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becomes the content preference of the user.

다른 일례로, 적합도의 평균값이 최대인 학습 컨텐츠가 2개이고(흰색 바탕에 검은색 텍스트가 쓰여진 텍스트 컨텐츠 1 및 푸른색 바탕에 붉은색 텍스트가 쓰여진 텍스트 컨텐츠 2), 사용자가 간질 병력이 있다는 정보를 선택부(304)가 알고 있다면, 텍스트 컨텐츠 2가 발작의 확률이 높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선택부(304)는 텍스트 컨텐츠 2를 단말기(150)에 제공할 학습 컨텐츠로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특성 정보는 사용자의 accessibility가 된다. In another example, two learning content items with a maximum mean value of goodness of fit (text content 1 with black text written on a white background and text content 2 written with red text on a blue background) indicate that the user has a history of epilepsy. If the selection unit 304 knows, due to the fact that the text content 2 has a high probability of seizure, the selection unit 304 may select the text content 2 as the learning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terminal 150. At this time,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becomes the accessibility of the user.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150)의 속성 및 속성값이 복수개인 경우, 선택부(304)는 복수의 속성의 속성값에 대한 복수의 학습 컨텐츠의 적합도와 복수의 속성과 대응되는 기설정된 가중치(weight)를 각각 곱한 값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단말기(150)에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이는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attributes and attribute values of the terminal 150, the selector 304 suitability and a plurality of attributes of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 for the attribute values of the plurality of attributes The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terminal 150 may be selected based on the average value of the product of multiplying the predetermined weights corresponding to. This may be expressed as Equation 2 below.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여기서,

Figure pat00005
는 복수의 속성 및 이와 대응되는 가증치를 각각 곱한 값의 평균값을 의미하고,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와 대응되는 가중치를 의미한다. 이 경우, 선택부(304)는 복수의 속성 및 이와 대응되는 가중치를 각각 곱한 값의 평균값이 최대인 학습 컨텐츠를 단말기(150)에 제공할 학습 컨텐츠로 선택할 수 있다.here,
Figure pat00005
Means an average value of a product of a plurality of attributes and their corresponding increments,
Figure pat00006
Is
Figure pat00007
Means a weight corresponding to. In this case, the selector 304 may select, as the learning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terminal 150, the learning content having the maximum average value of the product of the plurality of attributes and the weight corresponding thereto.

가중치는 단말기(150)에 최적의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가중치의 값은 0보다 크고 1보다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만약 단말기(150)의 속성과 학습 컨텐츠의 속성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다면 단말기(150)에서 학습 컨텐츠의 재생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선택부(304)는 가중치 값을

Figure pat00008
로 설정하여 해당 학습 컨텐츠를 선택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일례로, 학습 컨텐츠가 플래시(flash) 컨텐츠인 경우, 단말기(150)에 플래시 플레이어(flash player)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플래시 컨텐츠 자체가 재생될 수 없으므로, 이러한 경우, 선택부(124)는 단말기(150)의 속성에 대응되는 가중치 값을
Figure pat00009
로 설정할 수 있다. The weight is for providing optimal learning content to the terminal 150. In general, the weight may be determined experimentally within a range of greater than 0 and greater than 1. At this time, if the attributes of the terminal 150 and the attributes of the learning content do not exactly match, there may be a case in which the reproduction of the learning content is impossible in the terminal 150. In this case, the selection unit 304 may determine a weight value.
Figure pat00008
Set to to exclude the learning content from the selection. For example, when the learning content is flash content, if a flash player does not exist in the terminal 150, the flash content itself cannot be played. In this case, the selection unit 124 may use the terminal ( Weight value corresponding to the property of 150).
Figure pat00009
Can be set to

또한, 만약 복수의 속성 및 이와 대응되는 가중치를 각각 곱한 값의 평균값이 최대인 학습 컨텐츠가 2 이상 존재한다면, 선택부(30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기(150)의 사용자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2 이상의 학습 컨텐츠 중에서 단말기(150)에 제공할 학습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re are two or more learning contents whose average value of the product of multiplying the plurality of attributes and their corresponding weights is the maximum, as described above, the selector 304 is based o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of the terminal 150. By selecting the learning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terminal 150 from the two or more learning content.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학습 진행 상태를 고려한 온라인 교육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Figure 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verall flow of the online training metho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 learning progress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 단말기는 본 발명의 교육 시스템에 접속한다(단계 400). Referring to Fig. 4, first, the user terminal accesses the educationa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400).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되면,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의 프로파일 및 사용자 식별 정보를 판단한다(단계 402). When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he profile 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nected user terminal are determined (step 402).

사용자 단말기가 이미 등록된 단말기일 경우, 단말기의 헤더 정보만으로 단말기 프로파일을 판단할 수 있으며, 등록된 단말기가 아닐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단말기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한다. If the user terminal is a registered terminal, the terminal profile may be determined only by the head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f the user terminal is not a registered terminal, the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가 이미 진행한 단위학습에서 스킵된 코스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404). 전술한 바와 같이, 코스 매니저는 사용자의 학습 진행 시 사용자가 진행하는 코스 정보를 관리하며, 스킵된 코스가 있을 경우 이는 학습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다. Us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skipped course in the unit learning that the user has already performed (step 404). As described above, the course manager manages course information progressed by the user when the user progresses learning, and if there is a skipped course, it is recorded in the learner information database.

학습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통해 스킵된 코스가 있을 경우, 스킵되 코스를 포함하는 단위 학습 컨텐츠를 확인한다(단계 406). 이때 스킵 코스를 포함하는 단위 학습 컨텐츠는 복수개일 수 있다. If there is a skipped course through the information in the learner information database, the unit learning content including the skipped course is checked (step 406). In this case, the unit learning content including the skip course may be plural.

스킵된 코스를 포함하는 단위 학습 컨텐츠가 확인하면, 사용자 단말기가 해당 컨텐츠를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408). 스킵 코스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단위 학습 컨텐츠 중 사용자 단말기가 지원할 수 있는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If the unit learning content including the skipped course is confirm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terminal can support the content (step 408).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content that can be supported by the user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unit learning contents including a skip course.

스킵 코스를 포함하는 단위 학습 컨텐츠 중 하나를 사용자 단말기가 지원할 수 있을 경우, 해당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한다(단계 410). 이때, 단위 학습 컨텐츠 중 스킵된 코스만을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f the user terminal can support one of the unit learning contents including the skip course,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step 410).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only skipped courses among the unit learning contents to the user terminal.

스킵된 코스가 존재하지 않거나, 스킵된 코스가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면, 사용자의 학습 진행 상태를 확인한다(단계 412). 학습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할 단위 학습 정보를 확인한다. If the skipped course does not exist or the skipped course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the learning progress state of the user is checked (step 412).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learner information database, the unit learning information to be progressed by the user is identified.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할 단위 학습 정보가 확인되면 단위 학습에 상응하는 컨텐츠들 중 사용자 단말기에 가장 적합한 컨텐츠를 선택한다(단계 414).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 프로파일의 속성 및 속성값과 컨텐츠 프로파일의 속성 및 속성값을 이용하여 적합도를 연산하게 되며, 적합도 연산 시 이산 속성과 연속 속성이 구분되어 연산된다. 또한, 절대적으로 지원되어야 될 속성의 경우 가중치를

Figure pat00010
로 설정하여 적합도를 연산한다. When the unit learning information to be progressed by the user is identified, the most suitable content for the user terminal is selected among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unit learning (step 414). As described above, the fitness is calculated by using the attributes and attribute values of the terminal profile and the attributes and attribute values of the content profile, and discrete and continuous attributes are divided and calculated during the fitness calculation. In addition, for attributes that must be absolutely supported,
Figure pat00010
Set to to calculate the goodness of fit.

사용자 단말기에 적합한 컨텐츠가 선택되면, 해당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전송한다(단계 416). 컨텐츠의 전송 시 사용자가 학습하는 코스가 코스 매니저에 의해 관리되며, 컨텐츠의 특성상 스킵되는 코스가 있을 경우, 코스 매니저는 스킵된 코스 정보를 관리한다. When the content suitable for the user terminal is selected, the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user (step 416). The course that the user learns when the content is transmitted is managed by the course manager, and if there is a course that is skipp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the course manager manages the skipped course information.

사용자의 학습이 종료되면,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자의 학습 진행 상태를 갱신한다(단계 418). When the learning of the user is finished, the learning progress state of the user of the learning information database is updated (step 418).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And can be changed.

Claims (14)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단말기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교육 서버;
사용자의 학습 진행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학습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단말기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기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의 단말기를 고려하여 하나의 단위 학습에 대해 다수의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 관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교육 서버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학습 진행 상태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할 단위 학습을 선택하고, 상기 단말기 프로파일 및 상기 다수의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컨텐츠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학습 진행 상태를 고려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An education server that receive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and provides education contents to a user;
A learner information database that stores learning progress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A terminal profile database for storing the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Including a content management device that stores a plurality of content for one unit learning in consider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education server selects unit learning to be progressed by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progress state of the user through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elects content suitable for the user by using the terminal profile and the content profile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Online education system considering the user learning progr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리 장치와 결합되며 상기 다수의 컨텐츠에 대한 상기 컨텐츠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컨텐츠 메타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학습 진행 상태를 고려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a content meta database coupled to the content management device and storing the content profile for the plurality of conten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학습은 다수의 코스를 포함하며, 상기 교육 서버와 결합되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해 사용자가 단위 학습에 대한 모든 코스를 이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스킵된 코스 정보를 확인하는 코스 매니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학습 진행 상태를 고려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unit learning includes a plurality of courses, and further includes a course manager coupled with the education server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completes all courses for unit learning for the selected content and to check skipped course information. Online education system considering the user learning progress characterized b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스 매니저에 의해 확인되는 스킵된 코스 정보는 상기 학습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며, 상기 교육 서버는 사용자의 학습 진행 상태 판단 시 상기 스킵된 코스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코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학습 진행 상태를 고려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skipped course information identified by the course manager is recorded in the learner information database, and the education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skipped course is present and provides the corresponding course when determining the learning progress state of the user. Online training system considering user learning progr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프로파일 및 상기 컨텐츠 프로파일은 속성 및 속성에 상응하는 속성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학습 진행 상태를 고려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terminal profile and the content profile include attributes and attribut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attribut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서버는 컨텐츠 선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선택부는,
사용자의 학습 진행 상태 및 단말기 프로파일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사용자의 학습 진행 상태에 상응하는 단위 학습에 대한 복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컨텐츠 집합 선택부;
상기 단말기 프로파일의 속성값 및 상기 컨텐츠 프로파일의 속성값을 이용하여 컨텐츠 적합도를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컨텐츠 적합도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 집합 중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학습 진행 상태를 고려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education server includes a content selection unit,
The content selection unit,
An analyzer for analyzing a learning progress state and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of the user;
A content set selector configured to select a plurality of contents for unit learning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progress state of the user;
A calculator configured to calculate a content suitability using the attribute value of the terminal profile and the attribute value of the content profile; And
And a selection unit that selects content to be provided to a user terminal from among the selected content set based on the content suitabilit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프로파일에 대한 속성은 복수개이고,
상기 선택부는 상기 복수의 속성의 속성값에 대한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적합도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학습 진행 상태를 고려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re are a plurality of attributes for the terminal profile,
And the selecting unit selects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terminal based on an average value of goodness-of-fit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with respect to the attribute values of the plurality of attribut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적합도의 평균값이 최대인 컨텐츠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할 컨텐츠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학습 진행 상태를 고려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the selecting unit selects a content having a maximum average value of fitness as the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프로파일에 대한 속성은 복수개이고,
상기 선택부는 상기 복수의 속성의 속성값에 대한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적합도와 상기 복수의 속성과 대응되는 기설정된 가중치를 각각 곱한 값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학습 진행 상태를 고려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re are a plurality of attributes for the terminal profile,
The selecting unit selects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terminal based on an average value of a product of multiplicity of a predetermined weight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ntents and the suitability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with respect to the attribute values of the plurality of attributes. Online education system considering the user learning progres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곱한 값의 평균값이 최대인 컨텐츠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할 컨텐츠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학습 진행 상태를 고려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selecting unit selects content whose average value of the multiplied value is the maximum as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은 상기 속성값이 연속적인 연속 속성, 및 상기 속성값이 이산적인 이산 속성으로 구분되고, 상기 연속 속성은 상기 속성을 표현하는 변수가 하나인 1차원 연속 속성, 및 상기 속성을 표현하는 변수가 2개인 2차원 연속 속성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학습 진행 상태를 고려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attribute is divided into a continuous attribute in which the attribute value is continuous, and a discrete attribute in which the attribute value is discrete, wherein the continuous attribute is a one-dimensional continuous attribute having one variable representing the attribute and a variable representing the attribute. Online education system considering the user learning progres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two-dimensional continuous attribute of two.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단말기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a);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학습 진행 상태를 확인하고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할 단위 학습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b);
상기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할 단위 학습에 상응하는 다수의 컨텐츠 집합을 선택하는 단계(c);
상기 단말기 프로파일과 상기 컨텐츠 집합에 속한 컨텐츠들의 컨텐츠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컨텐츠 적합도를 연산하는 단계(d); 및
상기 컨텐츠 적합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학습 진행 상태를 고려한 온라인 교육 방법.
(A) receiv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Confirming a learning progress state of the user us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etermining unit learning information to be progressed by the user (b);
(C) selecting a plurality of content sets corresponding to unit learning to be progressed by the user;
Calculating content suitability using the terminal profile and the content profile of the contents belonging to the content set; And
(E) selecting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content suitability and providing the same to the user terminal (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학습은 다수의 코스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컨텐츠가 단위 학습에 대한 모든 코스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스킵된 코스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학습 진행 상태를 고려한 온라인 교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unit learning includes a plurality of courses, and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the content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includes all courses for unit learning and checking skipped course information. Online training method considering progres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킵된 코스 정보는 학습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며, 상기 단계(b)에서, 스킵된 코스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스킵된 코스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학습 진행 상태를 고려한 온라인 교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The skipped course information is recorded in a learner information database. In step (b), the skipped course information is check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skipped course information to provide content including a skipped course. Online training method.
KR1020100010125A 2010-02-03 2010-02-03 On-line education system considering user learning state KR2011009038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125A KR20110090387A (en) 2010-02-03 2010-02-03 On-line education system considering user learning st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125A KR20110090387A (en) 2010-02-03 2010-02-03 On-line education system considering user learning st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387A true KR20110090387A (en) 2011-08-10

Family

ID=44928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125A KR20110090387A (en) 2010-02-03 2010-02-03 On-line education system considering user learning st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0387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5966A1 (en) * 2011-10-12 2013-04-18 Apollo Group, Inc. Course skeleton for adaptive learning
US9576494B2 (en) 2014-01-29 2017-02-21 Apollo Education Group, Inc. Resource resolv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5966A1 (en) * 2011-10-12 2013-04-18 Apollo Group, Inc. Course skeleton for adaptive learning
US10360809B2 (en) 2011-10-12 2019-07-23 Apollo Education Group, Inc. Course skeleton for adaptive learning
US9576494B2 (en) 2014-01-29 2017-02-21 Apollo Education Group, Inc. Resource resolv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iachetti et al. Red queen competitive imitation in the UK mobile phone industry
US201901470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news
US9078036B2 (en) Mechanism to evaluate the geographic popularity of geographically-located user-generated content items
US8027954B2 (en) Portable media player recommendation system
CN110268717A (en) The bit rate of more presentation codes is optimized using statistical information is played
US11301534B2 (en) Mediating method and device
CN106126524B (en) Information pushing method and device
CN109862100B (en) Method and device for pushing information
CN108322317A (en) A kind of account identification correlating method and server
CN109035930B (en) Recorded broadcast data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Internet
KR20110057264A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ranking media sharing channels
CN109923497A (en) Based on the battery that is shown in equipment when content using managing content
WO2023116219A1 (en) Cdn node distribution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medium and program product
CN108959450B (en) Popular comment determination system, method, device and readable medium
US1155682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content using a multiple objective, multi-arm bandit model
KR10197681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ASH-UP SERVICE OF SaaS APPLICATIONS
US11693897B2 (en) Using a hierarchical machine learning algorithm for providing personalized media content
KR20110090387A (en) On-line education system considering user learning state
CN109804349B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download requirements
KR102167690B1 (en) Mediating method and device
US1154431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hierarchical ordered weighted averaging for providing personalized media content
CN116561735B (en) Mutual trust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multiple authentication sources and electronic equipment
US11540017B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models representing users of a media providing service
US202301114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quencing a playlist of media items
KR101654766B1 (en) Method for curating using external search engine and repository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