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2532A - 다단계 가상 키보드를 가진 통신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다단계 가상 키보드를 가진 통신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2532A
KR20110082532A KR1020117009612A KR20117009612A KR20110082532A KR 20110082532 A KR20110082532 A KR 20110082532A KR 1020117009612 A KR1020117009612 A KR 1020117009612A KR 20117009612 A KR20117009612 A KR 20117009612A KR 20110082532 A KR20110082532 A KR 20110082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ointer
predetermined distance
control signa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9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부르스트로엠
헨릭 벵트슨
앤더스 오에스트스조에
Original Assignee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filed Critical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10082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25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릭터 입력 및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위한 조합된 입력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캐릭터 입력 및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디바이스는, 근접성 센서(proximity sensor)가 입력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제1 선정된 거리 내에 포인터가 들어올 때를 검출할 수 있으며, 제어 유닛이 포인터 검출 시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부터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디스플레이 모드들을 변경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구성된 제어 유닛 및 근접성 센서를 포함한다. 제어 유닛이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 디스플레이 모드들을 변경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에 포인터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제2 선정된 거리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을 때까지 제2 디스플레이 모드가 유지된다.

Description

다단계 가상 키보드를 가진 통신 디바이스{COMMUNICATION DEVICE WITH MULTILEVEL VIRTUAL KEYBOARD}
본 발명은 통신 디바이스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릭터 입력 및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위한 조합된 입력 및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디바이스에서 캐릭터 입력 및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호하게, 본 발명은 제한된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 통신 디바이스들과 협력해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셀룰러 폰 등의 통신 디바이스들은 물리적 키보드 또는 키패드 및 일종의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종래의 TFT 디스플레이, 조합된 TFT 가상 키보드/디스플레이, 또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입력 및 디스플레이 조합물 등의 MMI(Man-Machine-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알파벳 키보드 레이아웃은 QWERTY 레이아웃이지만, 다수의 다른 레이아웃들, 예를 들어, AZERTY 또는 DVORAC 레이아웃들이 존재한다. 알파벳 키보드 레이아웃들은 상술된 바와 같이 종종 숫자 키패드 레이아웃과 결합되어 제공된다.
일반적인 레이아웃에서, 숫자들 1 내지 9 및 0은 알파벳 키들 위에 위치한다. 조합된 알파벳 키보드 및 숫자 키패드를 포함하는 휴대형 통신 디바이스들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일부 통신 디바이스들은 다수의 알파벳 캐릭터들을 특정 키들에 할당함으로써 숫자 키들의 수가 감소된 감소된 알파벳 키보드를 통합한다. 이러한 디바이스에서, 제1 키스트로크는 적합한 캐릭터들을 디스플레이하고, 다음 키스트로크들은 리스트를 스크롤해서 선택한다. 이로써, 각각의 키는 더 크게 될 수 있지만, 입력, 예를 들어, 텍스트에 통상 필요한 키스트로크들의 수는 전형적인 레이아웃들을 갖는 디바이스들을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수에 비해 증가된다.
다른 통신 디바이스들은 키스트로크 시퀀스를 분석하고 캐릭터 스트링들 또는 단어들을 제안하는 명확화 엔진(disambiguation engine)을 포함할 수 있다. 명확화 엔진은 일부 배정된 소사전을 기반으로 가능성(probabilities)을 계산하고, 목적 단어가 배정된 소사전에 리스트되어 있는 한, 오퍼레이션은 유효하다. 그러나, 외국어, 무역 용어, 고유 명사, 이름 또는 속어의 입력은, 캐릭터들의 적합한 제안된 조합들을 브라우즈하기 위해 다중 키스트로크들을 요구할 수도 있고, 또는 심지어 명확화 엔진의 디스에이블링을 필요로 한다.
QWERTY 키보드 등의 전형적인 알파벳 키보드를, 동일한 통신 디바이스의 전형적인 숫자 키패드와 조합해서, 통상 바람직하지 않은 인간 환경 공학의 직관적이지 않은 MMI 절충물을 수반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QWERTY 레이아웃을 사용하고 선호하지만, 셀룰러 폰과 같은 소형 디바이스에 적합한 레이아웃을 위해, 손가락으로 동작시킬 수 없을 정도로, 또는, 눈으로 구별하기조차 어려울 정도로, 개별 키들은 소형화되어야만 한다. 스타일러스(stylus)는 입력 유닛의 파트로서 종종 포함된다. 스타일러스는 오퍼레이션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지만, 구별 가능성(distinguishability)을 증가시키지는 않는다. 또한, 스타일러스는 필요할 때 사라지게되는 성가신 경향을 갖는다.
따라서, 정보를 디바이스에 입력할 때 필요한 키스트로크들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입력 캐릭터들을 구별하기 쉬운 통신 디바이스 및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한 목적은, 구별 가능성을 향상시키고, 필요한 키스트로크들의 양을 감소시키며 캐릭터 선택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정보 입력과 관련해서 발생하는 낮은 정확성, 유용성 및 인간 공학성(ergonomics)을 갖는 문제점들을 해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라, 상기 목적은 캐릭터 입력 및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위한 조합된 입력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유닛 및 근접성 센서(proximity sensor)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달성되며, 근접성 센서가 입력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제1 선정된 거리 내에 포인터가 들어올 때를 검출할 수 있으며, 제어 유닛이 포인터 검출 시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부터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디스플레이 모드들을 변경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근접성 센서 및 제어 유닛이 구성된다.
다른 양상에 따라,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검출시 포인터에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 좌표들을 저장하기 위한 기억 수단을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 따라, 제어 유닛 및 근접성 센서는, 또한, 근접성 센서가 포인터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제2 선정된 거리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을 때를 검출할 수 있으며, 제어 유닛이 포인터의 멀리 떨어져 있음을 검출할 때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 디스플레이 모드들을 변경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양호하게, 제2 선정된 거리는 제1 선정된 거리보다 더 크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센서가 입력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제3 선정된 거리 내에 포인터가 들어올 때를 검출할 수 있으며, 제어 유닛이 포인터 검출 시 통신 디바이스에 값을 입력하기 위한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근접성 센서 및 제어 유닛이 구성된다.
양호하게, 제3 선정된 거리는 제1 선정된 거리보다 더 작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조합된 입력 및 디스플레이는 터치 감응식(touch sensitive)이며, 포인터가 디스플레이를 터치할 때 제3 제어 신호가 생성된다.
양호하게, 제1 디스플레이 모드는 다선택 키들(multi-choice-keys)을 갖는 레이아웃이고, 제2 디스플레이 모드는 단일 선택 키들(single-choice-keys)을 갖는 레이아웃이며, 단일 선택 키들의 각각의 집합은 하나의 특정 다선택 키와 연관된다. 또한, 각각의 모드의 개별 싱글- 또는 멀티-모드 키들은 개별 집합의 디스플레이 좌표들과 연관된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라, 조합된 입력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유닛 및 근접성 센서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에서 캐릭터 입력 및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상기 방법은
포인터가 디스플레이로부터 제1 선정된 거리 내에 있을 때를 검출하는 단계와,
포인터가 제1 선정된 거리 내에 있음을 검출할 때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부터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디스플레이 모드들을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방법은 검출시 포인터에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 좌표들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포인터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제2 선정된 거리보다 더 떨어져 있을 때를 검출하는 단계와,
포인터의 멀리 떨어져 있음을 검출할 때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제2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 디스플레이 모드들을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제2 선정된 거리는 제1 선정된 거리보다 더 크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포인터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제3 선정된 거리 내에 있을 때를 검출하는 단계와,
포인터가 제3 선정된 거리 내에 있음을 검출할 때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제3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통신 디바이스에 값을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3 선정된 거리는 제1 선정된 거리보다 더 작다.
조합된 입력 및 디스플레이는 터치 감응식이며, 포인터가 디스플레이를 터치할 때 제3 제어 신호가 생성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드는 다선택 키들을 갖는 레이아웃을 도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모드는 단일 선택 키들을 갖는 레이아웃을 도시한다. 단일 선택 키들의 각각의 집합은 하나의 특정 다선택 키와 연관되고, 각각의 모드의 개별 싱글- 또는 멀티-모드 키들은 개별 집합의 디스플레이 좌표들과 연관된다.
제3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들 중 임의의 한 방법의 단계들을 실행하기 위한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제어 유닛에서 실행된다.
제4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은 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품은 제어 유닛에서 실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입력 키들의 구별 가능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입력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입력 효율성 및 인간 공학성은 본 발명에 의해 강화된다.
본 발명은 포함된 도면들과 관련해서 보다 더 상세히 이제부터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성 센서를 갖는 셀룰러 폰 형태의 휴대형 통신 디바이스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다선택 키 레이아웃을 갖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단일 선택 키 레이아웃을 갖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편의상, 단어 "포인터"는 이제부터 스타일러스, 손가락, 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객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는 이제부터 본 발명의 양호한 변형물인 셀룰러 폰과 관련해서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전화, 통신 모듈, PDA 또는 랩탑 또는 스크린이 제공된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입력 및 디스플레이 유닛들에서 유용한 제한된 공간을 갖는 디바이스들과 조합해서 최상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폰(2)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셀룰러 폰(2)은 조합된 입력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 근접성 센서(6), 조합된 입력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 아래에 제공된 키패드 상의 다수의 키들(8), 확성기(10) 및 마이크로폰(12)을 포함한다. 이들은 모두 휴대형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공통 피처들이며,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것으로 상세히 기술되지 않는다.
입력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는 양호하게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며,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입력 디바이스로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사용되는 스크린 타입은 본 발명에 결정적인 것은 아니며, 스크린은 시판중인 임의의 스크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또한 키들 또는 키패드(8)를 생략할 수 있으며, 대신 조합된 입력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만을 통신 디바이스(2)의 입력 유닛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근접성 센서(6)는 3D 근접 센싱이 가능하다. 따라서, 주변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디스플레이(4)의 정면에 나타나고 있는 포인터를 추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근접성 센서는 0-10㎝ 거리에서 디스플레이(4)를 맴도는 임의의 객체를 추적할 수 있다.
근접성 센서는 시장에서 입수 가능한 임의의 적합한 센서일 수 있으며, 중요한 것은, 3D 센싱이 가능해서 포인터로부터 디스플레이 상의 임의의 소정의 포인트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근접성 센서는 옵트로닉 센서(optronic sensor), 열센서 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어 센서를 사용할 때, 싱글 센서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센서"가 근접성을 감지하기 위한 수개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셀룰러 폰(2)은 또한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제어 유닛 및 기억 수단을 포함함을 이해해야만 한다. 제어 유닛은 예를 들어,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수신 및 액션을 위해 근접성 센서(6)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드일 때의 조합된 입력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를 도시하며, 도 3은 제2 디스플레이 모드일 때의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모드들은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레이아웃은 2 × 3 키들의 키패드를 포함한다. 각각의 키는 수개의 캐릭터들이 하나의 키와 연관된 다선택 키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캐릭터들 1, 2, 3, 4, Q, W, E, R은 상부 좌측 키와 연관되고, 캐릭터들 4, 5, 6, 7, T, Y, U는 상부 중간 키와 연관되는 등등이다. 캐릭터들 또는 심볼들이 어떤 키들에 있는지는 중요하지 않지만,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된 키들은 다선택 키들임을 이해해야만 한다.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의 연관된 다선택 키 및 도시된 영숫자 캐릭터들의 수에 대응하는 수의 단일 선택 키들을 포함한다. 도 3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드의 상부 좌측 키와 연관된 7개의 단일 선택 키들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물리적 소자들이 기술되었으며, 이제 통신 디바이스의 캐릭터 입력 및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이 기술된다.
본 방법은, 통신이 정상 모드일 때, 즉, 조합된 입력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가 다선택 키들을 나타내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드일 때로부터 시작된다. 이제, 사용자가 상부 좌측 키로부터 제1 선정된 거리보다 더 가깝게 포인터를 이동할 때, 근접성 센서(6)는 이를 검출할 것이며, 제어 유닛은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1 제어 신호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부터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디스플레이 모드를 변경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모드는 다선택 키들 대신 단일 선택 키들을 나타낸다. 이는, 사용자가 더 쉽게 오른쪽 하부를 누를 수 있게 해주며, 캐릭터 입력에 필요한 키스트로크들의 수가 종래 기술에 비해 상당히 감소된다.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 디스플레이된 단일 선택 키들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부터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의 디스플레이 모드들의 변경을 야기하는 다선택 키와 연관된다.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드 레이아웃은 모두 양호하게 크기가 동일하며, 이들 중 임의의 레이아웃이 전체 스크린을 채운다.
제1 선정된 거리는 양호하게 2㎝이지만, 물론 임의의 적합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바와 같이, 근접성 센서(6)는 입력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로부터 2㎝ 내에 포인터가 있음을 제어 유닛이 알게 한다. 그 후, 제어 유닛이 개시해서, 포인터에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 좌표들 및 디스플레이 모드들의 변경의 야기가 기억 수단에 저장된다. 그 후 제어 유닛은 상기 좌표들을 사용해서 다선택 키들 중에서 어떤 키가 포인터에 가장 가까운지를 결정한다. 상부 좌측 다선택 키가 가장 가까운 것으로 결정되면, 이와 연관된 단일 선택 키들이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포인터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제2 선정된 거리보다 더 크게 입력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지 않는 한 제2 디스플레이 모드는 유지된다. 제2 선정된 거리는 양호하게 제1 선정된 거리보다 더 크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2 선정된 거리는 예를 들어, 3㎝이다. 포인터가 제2 선정된 거리를 넘어 멀리 떨어져 있을 때, 근접성 센서(6)는 이를 검출할 것이며, 제어 유닛은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2 제어 신호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 디스플레이 모드를 변경한다.
제1 선정된 거리보다 더 큰 제2 선정된 거리를 갖는 이점은, 불규칙 진동(flutter)이 방지된다는 점이며, 이 불규칙 진동은, 예를 들어, 제1 선정된 거리 및 제2 선정된 거리가 동일하고 포인터가 해당 거리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는 스크린에서 포인터를 앞 뒤로, 또한 스크린으로부터 각종 거리들 내에서, 디스플레이 모드들의 변경을 야기하지 않고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선정된 거리는 반드시 3㎝이어야만 하는 것이 아니며, 제1 선정된 거리보다 더 큰 임의의 거리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터치 스크린이 아닌 보통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입력 디바이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근접성 센서(6)는 포인터가 제2 디스플레이 모드의 단일 선택 키들로부터 제3 선정된 거리 내에 있는 경우를 검출할 것이다. 포인터가 이에 가깝게 도달하면, 제어 유닛은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포인터의 검출을 야기한 단일 선택 키들에 대응하는 값의 입력을 개시한다.
양호하게, 제3 선정된 거리는 1㎜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보통의 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여전히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으로 느끼게 할 수 있다.
제3 선정된 거리는 반드시 1㎜이어야만 하는 것이 아니며, 제1 선정된 거리보다 더 작은 임의의 거리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만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제3 선정된 거리에서 대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드를 터치할 때 제3 제어 신호가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통신 디바이스는 상술된 바와 다른 다수의 방법들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선택 키들을 갖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드 대신, 단일 선택 키들을 갖는 제3 디스플레이 모드와 함께 다선택 키들을 갖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특정 피처들을 갖는 양호한 실시예들로 기술되었지만, 일 실시예의 개별 피처들은 다른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의 다른 개별 피처들과 조합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함을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4)

  1. 캐릭터 입력 및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위한 조합된 입력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유닛 및 근접성 센서(proximity sensor)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근접성 센서가 상기 입력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제1 선정된 거리 내에 포인터가 들어올 때를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유닛이 포인터 검출 시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부터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디스플레이 모드들을 변경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근접성 센서 및 상기 제어 유닛이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검출시 상기 포인터에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 좌표들을 저장하기 위한 기억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 및 근접성 센서는, 상기 센서가 포인터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제2 선정된 거리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을 때를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유닛이 포인터의 멀리 떨어져 있음을 검출할 때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 디스플레이 모드들을 변경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선정된 거리는 상기 제1 선정된 거리보다 더 큰 통신 디바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성 센서가 상기 입력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제3 선정된 거리 내에 포인터가 들어올 때를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유닛이 포인터 검출 시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값을 입력하기 위한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근접성 센서 및 상기 제어 유닛이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선정된 거리는 상기 제1 선정된 거리보다 더 작은 통신 디바이스.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된 입력 및 디스플레이는 터치 감응식(touch sensitive)이며, 상기 포인터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터치할 때 상기 제3 제어 신호가 생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는 다선택 키들(multi-choice-keys)을 갖는 레이아웃인 통신 디바이스.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는 단일 선택 키들(single-choice-keys)을 갖는 레이아웃인 통신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단일 선택 키들의 각각의 집합은 하나의 특정 다선택 키와 연관되는 통신 디바이스.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모드의 개별 싱글- 또는 멀티-모드 키들은 개별 집합의 디스플레이 좌표들과 연관되는 통신 디바이스.
  12. 조합된 입력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유닛 및 근접성 센서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에서 캐릭터 입력 및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포인터가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제1 선정된 거리 내에 있을 때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포인터가 상기 제1 선정된 거리 내에 있음을 검출할 때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부터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디스플레이 모드들을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검출시 상기 포인터에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 좌표들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포인터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제2 선정된 거리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을 때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포인터의 멀리 떨어져 있음을 검출할 때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 디스플레이 모드들을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선정된 거리는 상기 제1 선정된 거리보다 더 큰 방법.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인터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제3 선정된 거리 내에 있을 때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포인터가 상기 제3 선정된 거리 내에 있음을 검출할 때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3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값을 입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선정된 거리는 상기 제1 선정된 거리보다 더 작은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된 입력 및 디스플레이는 터치 감응식이며, 상기 포인터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터치할 때 상기 제3 제어 신호가 생성되는 방법.
  19. 제12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는 다선택 키들을 갖는 레이아웃을 도시하는 방법.
  20.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는 단일 선택 키들을 갖는 레이아웃을 도시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단일 선택 키들의 각각의 집합은 하나의 특정 다선택 키와 연관되는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각각의 모드의 개별 싱글- 또는 멀티-모드 키들은 개별 집합의 디스플레이 좌표들과 연관되는 방법.
  23. 제12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의 단계들을 실행하기 위한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제어 유닛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24. 제12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제어 유닛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117009612A 2008-11-06 2009-05-11 다단계 가상 키보드를 가진 통신 디바이스 KR201100825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65,994 2008-11-06
US12/265,994 US20100110002A1 (en) 2008-11-06 2008-11-06 Communication device with combined input and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532A true KR20110082532A (ko) 2011-07-19

Family

ID=41528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9612A KR20110082532A (ko) 2008-11-06 2009-05-11 다단계 가상 키보드를 가진 통신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110002A1 (ko)
EP (1) EP2342617A1 (ko)
JP (1) JP2012507764A (ko)
KR (1) KR20110082532A (ko)
CN (1) CN102177486A (ko)
WO (1) WO20100520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3410B2 (en) * 2008-10-13 2016-04-2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User input displays for mobile devices
US8890818B2 (en) * 2010-09-22 2014-11-18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imity based input
US8514190B2 (en) * 2010-10-06 2013-08-20 Sony Corporation Displays for electronic devices that detect and respond to the contour and/or height profile of user input objects
CN102508550B (zh) * 2011-11-15 2015-03-11 深圳市中兴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利用传感器虚拟输入设备的方法
CN104765478A (zh) * 2014-01-02 2015-07-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方法、装置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8204A (en) * 1992-06-08 1996-01-30 Synaptics, Incorporated Paintbrush stylus for capacitive touch sensor pad
US7424683B2 (en) * 2002-05-21 2008-09-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Object entry into an electronic device
DE10310794B4 (de) * 2003-03-12 2012-10-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Bedieneinrichtung und Kommunikationsgerät
JP2004302958A (ja) * 2003-03-31 2004-10-28 Kyocera Mita Corp 情報入力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072489A (ja) * 2004-08-31 2006-03-16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07074537A (ja) * 2005-09-08 2007-03-22 Canon Inc ビデオカメラ装置
US20080098331A1 (en) * 2005-09-16 2008-04-24 Gregory Novick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with Soft Keyboards
US7694231B2 (en) * 2006-01-05 2010-04-06 Apple Inc. Keyboard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10521022B2 (en) * 2006-03-17 2019-12-31 Conversant Wireless Licensing S.a.r.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US8432365B2 (en) * 2007-08-30 2013-04-30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for three-dimensional touchscreen
US8085242B2 (en) * 2007-09-10 2011-12-27 Ricoh Company, Ltd. Input control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90251422A1 (en) * 2008-04-08 2009-10-0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interaction of a virtual keyboard provided through a small touch screen
US20100053089A1 (en) * 2008-08-27 2010-03-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cree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10040199A1 (en) * 2008-10-07 2010-04-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Dynamic alteration of input mode on touch scree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77486A (zh) 2011-09-07
EP2342617A1 (en) 2011-07-13
US20100110002A1 (en) 2010-05-06
WO2010052036A1 (en) 2010-05-14
JP2012507764A (ja) 201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0583B2 (en) Pressure sensitive user interface for mobile devices
JP4797104B2 (ja) 電子装置および記号入力のための方法
US20140078065A1 (en) Predictive Keyboard With Suppressed Keys
KR20120006503A (ko) 개선된 텍스트 입력
KR20050119112A (ko) 터치 스크린용 명료 텍스트 입력 방법 및 감소된 키보드시스템
JP2004534425A6 (ja) 迅速テキストタイピングをサポートするハンドヘルド装置
KR20110014891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JP5495702B2 (ja) 入力装置
KR20110082532A (ko) 다단계 가상 키보드를 가진 통신 디바이스
KR10128477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3200614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文字入力方法
JP5623053B2 (ja) 入力装置
CA2541580C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ggle of a selected data source, and associated method
US20060202965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improved display of disambiguation choices, and associated method
US20120146910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EP1701241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of disambiguation choices, and associated method
WO2011158064A1 (en) Mixed ambiguity text entry
KR101255801B1 (ko) 한글 입력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것의 키패드 표시 방법
CN108733227B (zh) 输入装置及其输入方法
JP5627212B2 (ja) 入力装置
JP2011227586A (ja) 入力装置
US2014036199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viewing characters based on finger position on keyboard
EP2466435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board and touch-sensitive display for second plurality of characters.
CN102955677A (zh) 手持装置和数据输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