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0046A - Method for power saving of display device with a graded brightnes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ower saving of display device with a graded brightnes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0046A
KR20110070046A KR1020090126692A KR20090126692A KR20110070046A KR 20110070046 A KR20110070046 A KR 20110070046A KR 1020090126692 A KR1020090126692 A KR 1020090126692A KR 20090126692 A KR20090126692 A KR 20090126692A KR 20110070046 A KR20110070046 A KR 20110070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ghtness
area
power saving
program
are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6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37443B1 (en
Inventor
박재현
황준하
Original Assignee
박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현 filed Critical 박재현
Priority to KR1020090126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443B1/en
Priority to PCT/KR2010/008991 priority patent/WO2011074879A2/en
Publication of KR20110070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00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4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18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power saving of a display device with a graded brightness and a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improve power saving efficiency by separately and differentially controlling brightness according to the feature of a screen. CONSTITUTION: A brightness value around an active area, an inactive area, a program window and a pointer is set up(S201). If a gradation energy saving function is executed, the initiation of gradation power saving control is determined(S203). If the activity or inactive area is set up, the gradation brightness control for each set up area is operated(S205). If a program is executed, the gradation brightness control for each program window is operated(S207). If the pointer moves, the gradation brightness control for each pointer location is operated(S209).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장치{Method for power saving of display device with a graded brightnes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of display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Method for power saving of display device with a graded brightnes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영역별 특성에 따라 밝기를 서로 다르게 차등 제어하여 절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of a display device and a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Particularly, a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of a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power saving efficiency by differentially controlling brightness differently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regions on a display screen and the same It relates to a terminal device used.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력소모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화면상의 밝기를 제어하는 절전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배터리로 구동되어야 하는 휴대용 단말의 경우에는 이러한 절전 방법이 필수 기능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a display device uses a power saving method for controlling brightness on a screen in order to reduce power consumpt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portable terminal that needs to be driven by a battery, the power saving method is used as an essential function.

이와 같은 절전방법은 화면의 미사용인 경우, 즉, 설정된 시간동안 입력이 없는 경우 화면의 밝기가 최소화되도록 제어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한다. Such a power saving method prevents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by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to be minimized when the screen is not used, that is, when there is no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절전 방법은 화면의 전체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적용되므로, 사용자가 사용중인 경우의 부분 절전을 수행하지 못하며, 더욱이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 수행되므로, 절전 방식이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power saving method is applied to the entire screen at once, the user cannot perform partial power saving when the user is in use, and moreover, since the power saving method is performed while the user is not using i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wer saving method is not efficient. .

최근 광원으로 LED 또는 OLED 등과 같이 부분별로 광원제어가 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고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는 픽셀 또는 일정 영역별로 밝기 제어가 가능하지만, 이는 해상도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성능의 장점을 활용한 절전 방식은 전무한 실정이다. The next generation display device that uses a light source control display such as LED or OLED as a light source can control brightness by pixel or a certain area, but this is mainly used to improve the resolution and the advantage of such performance. There is no power saving method used.

더욱이,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점점 대형화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다수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하여 사용함으로써, 화면상에 복수 프로그램 창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사용자가 현재 사용중이지 않은 프로그램 창은 불필요하게 전력이 소모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Moreover, the above-described display apparatus is becoming larger and larger, and accordingly, a user can execute a plurality of programs at the same time, thereby displaying a plurality of program windows on the screen. In this case, a program window that is not currently being used by the user may caus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따라서, 종래의 절전 방법은 부분별 밝기 제어가 가능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선된 성능과 다양한 멀티미디어에 따른 많은 프로그램 창의 사용에 따른 절전 방식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the conventional power saving method is requir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next generation display device that can control the brightness of each part and the efficiency of the power saving method according to the use of many program windows according to various multimedia.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설정된 다수의 영역에 따라 각 밝기를 개별적으로 차등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of a display device capable of differentially controlling each brightness according to a plurality of areas set on the display screen and a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절전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크기를 갖는 다수의 영역, 임의의 실행중인 프로그램 창, 포인터의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영역별로 밝기를 차등화하여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saving method of a display device. It is characterized by.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영역이 활성영역인 경우, 상기 활성영역 이외의 영역의 밝기를 상기 다수의 영역의 밝기보다 작게 되도록 감소시킬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plurality of areas is the active area, the brightness of areas other than the active area may be reduced to be smaller than the brightness of the plurality of areas.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영역이 비활성 영역인 경우, 상기 비활성 영역의 밝기를 그외의 영역의 밝기보다 작게 되도록 감소시킬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plurality of areas are inactive areas, the brightness of the inactive areas can be reduced to be smaller than the brightness of other areas.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활성 영역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전체 화면을 상기 비활성 영역을 제외한 화면 영역으로 맵핑하여 화면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inactive area is set not to be used, the screen size may be reduced by mapping the entire screen to a screen area except the inactive area.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행중인 프로그램 실행 순서, 프로그램 사이의 연관성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 창의 밝기를 차등 조정하되, 그외 영역의 밝기를 상기 프로그램 창의 밝기보다 작게 되도록 감소시킬 수 있다.Preferably, the brightness of the program window may be differenti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execution order of the executing program a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rograms, but the brightness of the other area may be reduced to be smaller than the brightness of the program window.

바람직하게는 현재 사용중인 프로그램과 연관이 없는 프로그램 창 및 상기 실행중인 프로그램 창 이외의 영역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Preferably, the brightness of a program window not associated with a program currently being used and an area other than the running program window may be reduced.

바람직하게는 상기 현재 사용중인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창의 밝기를 상기 현재 사용중인 프로그램 창의 밝기와 그외 영역의 밝기의 사이값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Preferably, the brightness of the program window executed in conjunction with the currently used program may be reduced to a value between the brightness of the currently used program window and the brightness of the other area.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영역의 설정은 사용자에 의해 위치 및 크기가 조정 가능한 설정 창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etting of the plurality of areas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etting window whose position and size are adjustable by the user.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인터의 이동 궤적에 따라 포인터 위치의 인근 영역의 밝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Preferably, the brightness of the area near the pointer location may be increased according to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pointer.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인터가 위치된 영역이 상기 프로그램 창 내이면, 해당 프로그램 창의 밝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Preferably, if the area where the pointer is located is within the program window, the brightness of the program window may be increased.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인터가 위치된 영역이 상기 프로그램 창 이외의 영역이면, 상기 포인터 부근 영역의 밝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If the area where the pointer is located is an area other than the program window, the brightness of the area near the pointer may be increas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중인 프로그램이 검색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검색된 대상에 대응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program being used performs a search function, the brightness of an area other tha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searched object may be reduced.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면상의 각 영역들에 대한 밝기를 사용자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Preferably, the brightness of each area of the screen may be adjusted by the user.

바람직하게는 상기 밝기 조정은 상기 프로그램 창의 타이틀바, 상태바, 및 임의의 영역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조정가능한 버턴 또는 조절바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Preferably the brightness adjustment may be performed by an adjustable button or adjustment bar formed in any one of the title bar, status bar, and any area of the program window.

바람직하게는 상기 밝기의 조정은 입력수단의 특정 버튼에 대한 일정시간 입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Preferably, the adjustment of the brightness may be performed by a predetermined time input for a specific button of the input means.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영역, 상기 프로그램 창 이외의 영역을 일정시간 선택한 경우 차등 절전이 종료될 수 있다.Preferably, the differential power saving may be terminated when a plurality of areas and areas other than the program window are sel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면상의 각 영역들에 대한 밝기를 감소시키는 경우, 미리 설정된 밝기 또는 최소 밝기로 감소시킬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brightness of each area on the screen is reduced, the brightness may be reduced to a preset brightness or a minimum brightness.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원이 개별 제어가 가능한 경우, 상기 최소밝기는 해당 영역에 대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원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light source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individually controlled, the minimum brightness can cut off the power of the light source of the display device for the corresponding area.

바람직하게는 상기 밝기는 상기 화면의 휘도(brightness) 및 대비(contrast)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brightness may include brightness and contrast of the screen.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영역의 차등제어가 상기 프로그램 창 및 상기 포인터 위치에 따른 차등제어에 우선하여 수행될 수 있다.Preferably, the differential control of the plurality of areas may be performed in preference to the differential control according to the program window and the pointer position.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차등 절전 단말은 상기한 방법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Differential power saving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one of the above methods.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은 노트북, PC, 이동통신 단말기, PDA, 휴대 단말기, TV 수상기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Preferably, the terminal may be any one of a notebook computer, a PC,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DA, a mobile terminal, and a TV receiver.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LCD, PDP, OLE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Preferably, the display device may be any one of LCD, PDP and OLED.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장치는 각 프로그램 창, 활성 영역, 비활성 영역, 포인트 위치 등의 화면상 특징에 따라 해당 밝기를 개별적으로 차등 제어하여 절전 기능을 다양하고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의 절전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the power saving function can be variously and easily by differentially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brightness according to the screen characteristics such as each program window, active area, inactive area, point position, etc. It can be set to provide user convenience and improve the power saving efficiency of the display, thereby extending the life of the display.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 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법이 적용되는 단말을 설명한다.First, a terminal to which a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법이 적용되는 단말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erminal to which a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각종 설정이 입력되는 입력부(110), 영역별 밝기 차등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20), 밝기 차등 제어 관련 설정값이 저장된 저장부(130),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0)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140), 및 BLU(Back Light Unit)(152)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한다. The terminal 10 controls the input unit 110 for inputting various settings from the user, the controller 120 for performing brightness differential control for each region, the storage unit 130 storing brightness differential control related settings, and the controller 120. The display unit 140 includes a display driver 140 for driving the display unit 150, and a display unit 150 including a back light unit (BLU) 152.

이러한 단말(10)은 노트북, PC, 이동통신 단말기, PDA, 휴대 단말기, TV 수상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e terminal 10 may be any one of a notebook computer, a PC,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DA, a mobile terminal, and a TV receiver.

입력부(110)는 키패드, 리모컨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용프로그램 또는 특정 버튼 등에 의해 밝기 제어를 위한 설정값이 입력된다. The input unit 110 may be configured as a keypad, a remote controller, or the like, and a setting value for brightness control is input by a dedicated program or a specific button.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설정되는 영역중 활성영역에 대해서는 해당 영역을 정상 밝기로 하고, 주변의 영역을 밝기를 감소시켜 어둡게 되도록 제어하고, 비활성 영역에 대해서는 해당 영역을 최소 밝기 또는 미리 설정된 밝기로 감소시켜 어둡게 하고 주변의 영역은 원래의 밝기로 유지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active area to be the normal brightness among the areas set on the display screen, and controls the surrounding area to be darkened by decreasing the brightness, and for the inactive area, the area is set to the minimum brightness or the preset brightness. The brightness is reduced to darken and the surrounding area is kept at its original brightness.

또한 제어부(120)는 실행중인 다수의 프로그램 창의 밝기를 제어하며, 연관된 프로그램들에 대한 창의 밝기를 단계적으로 차등 제어한다. 이때, 현재의 사용 중인 프로그램과 연관된 프로그램 창의 밝기는 현재 사용중인 프로그램 창의 밝기와 무관한 프로그램 창 또는 그외의 영역의 밝기의 중간 정도가 되도록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brightness of the plurality of program windows being executed, and differentially controls the brightness of the windows for the associated programs. At this time, the brightness of the program window associated with the current program being used is controlled to be about the middle of the brightness of the program window or other area irrelevant to the brightness of the program window currently being used.

또한, 제어부(120)는 포인터의 이동궤적에 따라 그 부근의 영역에 대한 밝기를 증가시키는데, 포인터가 현재 사용중인 프로그램 창 또는 활성 영역 및 비활성 영역의 외부에 위치한 경우, 즉, 포인터가 위치된 영역이 차등제어에 의해 밝기가 감소된 경우, 포인터 부근의 영역의 밝기를 증가시켜 밝게 하고, 현재 사용중이지 않은 프로그램 창에 위치한 경우, 해당 프로그램 창의 밝기를 증가시켜 밝게 되도록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20 increases the brightness of the area near the moving path of the pointer. When the pointer is located outside the active program window or the active area and the inactive area, that is, the area where the pointer is located. When the brightness is decreased by the differential control, the brightness of the area near the pointer is increased to make it brighter, and when the brightness is located in a program window that is not currently being used, the brightness of the corresponding program window is increased to make it brighter.

저장부(130)는 디스플레이 차등 밝기에 각종 설정값, 예를 들면, 활성영역, 비활성영역, 각 프로그램 창, 그외의 주변 영역, 포인터 주변에 대한 밝기의 설정값과 연관된 프로그램 창 사이의 단계별 밝기의 설정값이 저장된다. The storage unit 130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brightness level of the step by step between the program window associated with various setting values, for example, active areas, inactive areas, respective program windows, other peripheral areas, and setting values of the brightness of the pointer periphery. The set value is saved.

디스플레이 구동부(140)는 제어부(120)의 영상출력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0)의 BLU(152)을 구동하며, 예를 들면, 비디오 카드의 시스템 드라이버일 수 있다. The display driver 140 drives the BLU 152 of the display unit 150 according to the imag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ler 120. For example, the display driver 140 may be a system driver of a video card.

디스플레이부(150)는 LCD, PDP, OLED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S/W인 펌웨어(Firmware)가 탑재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0 is made of any one of LCD, PDP, and OLED, and may have a firmware (S / W) installed therein.

이하, 도 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6.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차등 절전 방법은 디스플레이 차등 절전 기능을 설정하고(단계 S201), 차등 절전 모드가 실행중인지를 판단하여(단계 S202), 차등 제어 조건에 의해 디스플레이 창의 변경될 것으로 판단하면(단계 S203), 차등 제어 조건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영역별로 밝기를 차등화하여 제어한다(단계 S204~S209).The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display differential power saving function (step S201), determines whether the differential power saving mode is being executed (step S202),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play window is to be changed by the differential control condition (step S203), The brightness is differentiated and controlled for each area on the display screen according to the differential control condition (steps S204 to S209).

보다 상세하게는, 먼저, 디스플레이 차등 밝기 제어를 위한 설정이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면, 활성영역, 비활성 영역, 각 프로그램 창, 포인터 주변의 밝기값이 설정된다(단계 S201). 여기서, 밝기는 화면상의 휘도(brightness) 및 대비(contrast)를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first, a setting for display differential brightness control is made. For example, brightness values around the active area, the inactive area, each program window, and the pointer are set (step S201). Here, the brightness includes brightness and contrast on the screen.

설정된 차등 절전 기능이 실행되는지를 감지하여(단계 S202), 차등 절전 기능이 실행되면, 미리 설정된 크기를 갖는 다수의 활성영역 또는 비활성영역, 임의의 실행중인 프로그램 창, 포인터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밝기 변경이 필요하지, 즉, 차등 절전 제어가 개시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203). Detecting whether the set differential power saving function is executed (step S202), and when the differential power saving function is executed,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a plurality of active or inactive area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y running program window, and the pointer. It is determined whether no change is necessary, i.e., differential power saving control is started (step S203).

단계 S203의 판단결과(CASE 1), 활성영역 또는 비활성 영역이 설정된 경우(단계 S204), 설정 영역별로 차등 밝기 제어를 수행한다(단계 S205).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03 (CASE 1), when the active area or the inactive area is set (step S204), differential brightness control is performed for each set area (step S205).

단계 S203의 판단결과(CASE 2), 프로그램이 실행된 경우(단계 S206), 각 프로그램 창별 차등 밝기 제어를 수행한다(단계 S207).When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03 (CASE 2) is executed (step S206), differential brightness control for each program window is performed (step S207).

단계 S203의 판단결과(CASE 3), 포인터가 이동하는 경우(단계 S208), 포인터 위치별 차등 밝기 제어가 수행된다(단계 S209).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03 (CASE 3), when the pointer is moved (step S208), differential brightness control for each pointer position is performed (step S209).

여기서, 각 절전 모드(CASE 1~3)는 독립적으로 동시에 수행 가능하며, 이때, 다수의 영역의 차등제어(CASE 1)는 프로그램 창(CASE 2) 및 포인터 위치(CASE 3)에 따른 차등제어에 우선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each power saving mode (CASE 1 to 3) can be performed independently and simultaneously, in this case, the differential control (CASE 1) of the plurality of areas to the differential control according to the program window (CASE 2) and the pointer position (CASE 3). It is preferably carried out first.

각 절전 모드별 차등 밝기 제어가 수행된 후 단계 S203으로 복귀하여 다른 차등 제어 조건이 실행되는지를 지속적으로 감지한다. After the differential brightness control for each power saving mode is perform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203 to continuously detect whether another differential control condition is executed.

이러한 디스플레이 차등 밝기 제어는 일반적인 응용프로그램, 비디오 카드의 시스템 드라이버, 운영체제(OS), 디스플레이부에 탑재된 펌웨어 등을 통해 단독 또는 상호 유기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display differential brightness control may be configured to be performed alone or mutually organically through general applications, system drivers of video cards, operating systems (OSs), firmware mount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like.

이하, 절전 모드(CASE 1~3) 별 밝기 차등제어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brightness differential control for each power saving mode (CASE 1 to 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CASECASE 1 One

도 3은 활성/비활성 영역에 따른 차등 절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비활성영역에 따른 차등 절전 방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활성영역에 따른 차등 절전 방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according to an active / inactive region, and FIGS. 4 and 5 are examples of a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according to an inactive area, and FIG. 6 illustrates an example of a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according to an active area. The figure shown.

활성/비활성 영역에 따른 차등 절전 방법은 다수의 영역이 설정된 경우(단계 S204), 설정된 영역이 비활성 영역인지를 판단하여(단계 S301), 비활성 영역인 경우, 비활성 영역의 밝기를 그외의 영역의 밝기보다 작게 되도록 감소시킨다.In the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according to the active / inactive region, when a plurality of regions are set (step S204),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t region is an inactive region (step S301). Reduce to be smaller.

이때, 비활성 영역을 사용하지 않을지를 판단하여(단계 S302), 비활성 영역을 사용하지 않을 것으로 설정된 경우, 전체 화면을 비활성 영역을 제외한 화면 영역으로 맵핑하여 화면 크기를 축소시킨다(단계 S303). At this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use the inactive area (step S302), and if it is set not to use the inactive area, the entire screen is mapped to the screen area except the inactive area to reduce the screen size (step S30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전체 크기가 비활성 영역을 제외한 크기로 축소되어 디스플레이되는데, 이는 운영체제에 의해 해상도의 맵핑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entire size of the screen is reduced to a size excluding an inactive area, which can be achieved by mapping the resolution by the operating system.

이런 방법에 의해 사용자가 언제든지 자유롭게 사용하지 않은 비활성 영역을 설정하여 절전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이는 기존의 절전 방법보다 용이하고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고, 운영체제나 디스플레이의 하드웨어적인 방법을 병행할 수도 있으나, 하드웨어에 대한 기술 종속도가 훨씬 적게 되도록 운영체제에 의해서만 구현 가능한 방식이다. In this way, the user can set the inactive area not freely used at any time to obtain the power saving effect, which is easier and simpler than the conventional power saving method, and may be performed in parallel with the operating system or the hardware method of the display. In other words, it can only be implemented by the operating system so that the technical dependency on hardware is much smaller.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원이 개별 제어가 가능한 경우에는, 비활성 영역에 대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원의 전원을 차단하여 절전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light source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individually controlled, power saving of the light source of the display device with respect to the inactive area may be further improved.

한편, 비활성 영역을 사용하도록 설정한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활성 영역의 밝기를 최소밝기 또는 미리 설정된 밝기로 감소시킨다(단계 S304). 여기서, 비활성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위치 및 크기가 조정 가능한 설정 창의 형태로 제공되는데,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비활성 영역의 크기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active area is set to be used, the brightness of the inactive area is reduced to the minimum brightness or the predetermined brightness as shown in FIG. 5 (step S304). Here, the inactive area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etting window in which the position and size can be adjusted by the user. By using this, the user can set the size or position of the inactive area.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비활성영역 설정 창을 배치하고, 주로 사용하지 않거나 중요하지 않은 프로그램 창을 비활성 설정 창에 위치시키면 비활성 설정 창의 밝기를 최소화하거나 미리 설정된 밝기로 어둡게 제어하여 실제 사용화면 영역이 감소함으로써, 절전 효과를 얻는다. As shown in FIG. 5, when the user arranges the inactive area setting window at a desired position and places a program window which is not mainly used or not important in the inactive setting window, the brightness of the inactive setting window is minimized or darkened by the preset brightness. Thus, the actual use screen area is reduced, thereby achieving a power saving effect.

단계 S301의 판단결과, 설정 영역이 비활성 영역이 아닌 경우, 즉 활성영역인 경우, 활성영역 이외의 영역의 밝기를 활성영역의 밝기보다 작게 되도록 감소시킨다(단계 S305). 이때, 활성영역은 절전 모드 이전의 밝기(이하, 정상 밝기) 또는 미리 설정된 밝기가 되고, 활성영역 이외의 영역은 최소밝기 또는 미리 설정된 밝기가 된다. 여기서, 활성 영역은 비활성 영역과 유사하게 사용자에 의해 위치 및 크기가 조정 가능한 설정 창의 형태로 제공되는데,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활성 영역의 크기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301, when the setting area is not the inactive area, that is, the active area, the brightness of areas other than the active area is reduced to be smaller than the brightness of the active area (step S305). In this case, the active area becomes the brightness before the power saving m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normal brightness) or the preset brightness, and the areas other than the active area become the minimum brightness or the preset brightness. Here, the active area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etting window in which the position and size can be adjusted by the user similarly to the inactive area. Using this, the user can set the size or position of the active area.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활성영역 설정 창을 배치하고,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거나 중요한 프로그램 창을 활성 설정 창에 위치시켜 정상 밝기로 제어하여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사용한다. As shown in FIG. 6, the active area setting window is placed at a desired position of the user, and a user's mainly used or important program window is placed in the active setting window so as to be easily recognized by controlling to normal brightness.

활성영역 및 비활성 영역에 따른 차등 밝기 제어가 수행된 후 단계 S203으로 복귀하여 다른 차등 제어 조건이 실행되는지를 지속적으로 감지한다. After the differential brightness control according to the active area and the inactive area is perform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203 to continuously detect whether another differential control condition is executed.

이와 같이 활성/비활성 영역에 따른 차등 밝기 제어(CASE 1)는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다양하면서도 보다 용이하게 영역별 밝기를 설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디스플레이의 절전을 달성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화면을 부분적으로만 사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에 대한 수명 연장도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differential brightness control according to the active / inactive region (CASE 1) enables the user to set the brightness of each region in real time more easily, thereby achieving more efficient power saving of the display and partially displaying the display screen. It can also be used to extend the life of the display.

CASECASE 2 2

도 7은 각 프로그램 창에 따른 차등 절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차등 절전 방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according to each program window, and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of FIG. 7.

각 프로그램 창에 따른 차등 절전 방법은 프로그램이 실행된 경우(단계 S206) 실행중인 프로그램 실행 순서, 프로그램 사이의 연관성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 창의 밝기를 단계별로 차등 조정하는데, 먼저, 해당 실행 프로그램 창이 생성되고(단계 S701), 현재 실행된 프로그램과 연관된 프로그램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 여(단계 S702) 연관된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경우, 현재 사용중인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창의 밝기를 현재 사용중인 프로그램 창의 밝기와 그외 영역의 밝기의 사이값으로 감소시킨다(단계 S703).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according to each program window, if the program is executed (step S206), the brightness of the program window is adjusted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execution order of the program being executed a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rograms, first, the corresponding program window is generated ( In step S70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program associated with the currently executed program (step S702). If there is an associated program, the brightness of a program window executed in association with the currently used program is determined by the brightness of the currently used program window and other areas. It decreases to the value between the brightness of (step S703).

여기서, 현재 사용 중인 프로그램과 연관된 프로그램은 현재 사용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파일을 포함한 프로그램, 현재 사용 프로그램의 결과물 파일이 포함된 프로그램, 현재 사용 프로그램과 같이 설치되어 사용되는 패키지(Package)형태의 유사 프로그램, 특정 파일이 현재 사용 프로그램에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파일을 포함한 프로그램, 또는 이전에 마지막으로 사용한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Here, the program associated with the program currently in use may include a program including a file used by the currently used program, a program including a result file of the currently used program, a similar program in a package form that is installed and used together with the currently used program, A program that contains an important file that a specific file must not be in the current program, or the program that was last used.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사용중인 프로그램과 연관이 없는 프로그램 창 및 실행중인 프로그램 창 이외의 영역의 밝기를 감소시킨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8, the brightness of areas other than the program window and the running program window which are not related to the program currently being used is reduced.

예를 들면, 현재 워드 프로세서를 사용 중인 경우, 워드 프로세서 파일이 표시되는 탐색기(explorer)창의 밝기는 워드 프로세서의 프로그램 창의 밝기보다 어둡지만, 비사용 프로그램을 포함한 연관성이 없는 프로그램 또는 그외 영역 보다는 밝게 되도록 제어한다. For example, if you are currently using a word processor, the brightness of the explorer window in which the word processor file is displayed will be darker than the brightness of the word processor's program window, but brighter than unrelated programs or other areas, including unused programs. To control.

여기서, 단계별 차등 제어는 예를 들면, 3단계로 밝기를 제어할 경우, 연관이 있는 프로그램 창들은 1등급으로 현재 사용중인 프로그램 창 밝기의 1/2 밝기로, 연관이 적은 프로그램 창은 현재 사용중인 프로그램 창 밝기의 1/4 밝기로, 상관이 없는 프로그램 창과 그외의 배경화면의 밝기는 최소 밝기 또는 미리 설정된 밝기로 제어한다. Here, the step-by-step differential control, for example, if the brightness is controlled in three steps, the associated program windows are 1st class and the brightness is half the brightness of the currently used program window, and the less relevant program windows are currently in use. The brightness of the program window is 1/4 of the brightness. The irrelevant brightness of the program window and other backgrounds is controlled by the minimum or preset brightness.

이와 유사하게, 대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다양한 영상 소스에 대하여 PIP(Picture in Picture)로 영상을 나타낼 경우, 각각의 영상 소스에 따라 밝기를 각각 차등 제어하여 중요한 영상은 정상 밝기로 나타내고 중요하지 않은 영상은 조금 어둡게 나타내거나 미리 설정된 밝기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Similarly, in the case of a large display, when an image is displayed in a picture in picture (PIP) for various image sources, the brightness is differentially controlled according to each image source so that the important image is displayed as normal brightness and the non-important image is displayed. It can be a little darker or display at a preset brightness.

단계 S702의 판단결과, 연관된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프로그램 이외의 영역의 밝기를 현재 실행프로그램 창의 밝기보다 어둡게 되도록 감소시킨다(단계 S704). 이때,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실행된 프로그램이 없는 경우에는 해당 프로그램 창 외부의 영역의 밝기를 감소시키고, 실행된 프로그램이 있는 경우에는 각 프로그램 별로 미리 설정된 값에 따라 단계적으로 밝기를 차등 제어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702, when there is no associated program, the brightness of an area other than the corresponding program is reduced to be darker than the brightness of the current execution program window (step S704). In this case, when there is no program executed on the display screen, the brightness of an area outside the corresponding program window is reduced, and when there is an executed program, the brightness is gradually controlled gradually according to a preset value for each program.

각 프로그램 별 차등 밝기 제어가 수행된 후 후술하는 바와 같은 단계 S1201로 진행하거나, 단계 S203으로 복귀하여 다른 차등 제어 조건이 실행되는지를 지속적으로 감지한다. After the differential brightness control for each program is perform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201 as described later, or returns to step S203 to continuously detect whether other differential control conditions are executed.

이와 같이 다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사용하는 경우, 각 프로그램의 성격에 따라 각 프로그램 창의 밝기를 단계별로 서로 다른 밝기로 설정하여 현재 사용중인 프로그램은 정상 밝기로 제어하고 그와 연관된 프로그램 창은 정상 밝기보다 적은 밝기로 제어함으로써, 사용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화면 전체의 밝기가 자동으로 결정 되도록 하여 절전 효율을 향상시킨다. If you run and use a large number of programs like this, the brightness of each program window is set to a different brightness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nature of each program. By controlling the brightness to a small degree, the brightness of the entire screen is automatical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ogram used to improve the power saving efficiency.

CASECASE 3 3

도 9는 포인터 위치별 차등 절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차등 절전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for each pointer position, and FIGS. 10 and 11 ar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differential power saving of FIG. 9.

포인터 위치별 차등 절전 방법은 포인터가 이동한 경우(단계 S208), 포인터 의 이동 궤적에 따라 포인터 위치의 인근 영역의 밝기를 증가시킨다. The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for each pointer position increases the brightness of an area near the pointer posi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pointer when the pointer is moved (step S208).

구체적으로는, 현재 포인터의 위치가 특정 프로그램 창 내인지를 판단하여(단계 S901), 특정 프로그램 창 내에 위치한 경우, 해당 프로그램 창의 밝기를 증가한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프로그램 창이 절전 기능에 의해 정상 밝기보다 어두운 상태인 경우, 예를 들면, 현재 사용중이지 않은 연관된 프로그램 창 등에 위치된 경우에만, 해당 영역의 밝기를 미리 설정된 밝기로 증가시킨다. 즉, 해당 프로그램 창이 활성영역 또는 비활성 영역에 위치하거나 사용중인 프로그램으로서 정상 밝기인 경우에는 해당 영역의 밝기는 증가하지 않는다.Specifical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osition of the current pointer is within a specific program window (step S901), and when located within the specific program window, the brightness of the corresponding program window is increased.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0, when the corresponding program window is darker than the normal brightness by the power saving function, for example, only the brightness of the corresponding area is located in the associated program window which is not currently being used. To increase. That is, when the program window is in the active area or the inactive area or is in use and has the normal brightness, the brightness of the area does not increase.

단계 S901의 판단결과, 포인터의 위치가 특정 프로그램 창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포인터 부근 영역의 밝기를 미리 설정된 밝기로 증가시킨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901, when the position of the pointer is not located in the specific program window, the brightness of the area near the pointer is increased to the preset brightness.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영역이 절전 기능에 의해 정상 밝기보다 어두운 상태인 경우에만 밝기가 증가한다. 즉, 포인터가 위치한 영역이 활성영역 또는 비활성 영역에 위치한 경우에는 해당 영역의 밝기가 증가하지 않는다.Similar to the above, as shown in Fig. 11, the brightness is increased only when the corresponding area is darker than the normal brightness by the power saving function. That is, when the area where the pointer is located is located in the active area or the inactive area, the brightness of the area does not increase.

포인터 위치별 차등 밝기 제어가 수행된 후 후술하는 바와 같은 단계 S1401 또는 단계 S1601로 진행하거나, 단계 S203으로 복귀하여 다른 차등 제어 조건이 실행되는지를 지속적으로 감지한다. After the differential brightness control for each pointer position is perform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401 or S1601 as described later, or returns to step S203 to continuously detect whether another differential control condition is executed.

도 12는 검색 대상에 따른 차등 절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차등 절전 방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according to a search target, and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of FIG. 12.

검색 대상에 따른 차등 절전 방법은 사용중인 프로그램이 있는 경우(단계 S703, S704), 해당 프로그램이 검색 프로그램인지를 판단하여(단계 S1201), 검색 대상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1202).In the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according to the search target, if there are programs in use (steps S703 and S704),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rresponding program is a search program (step S1201),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a search target exists (step S1202).

판단결과, 검색 대상이 존재하는 경우, 검색된 대상에 대응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의 밝기를 감소시킨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대상의 영역의 밝기는 정상밝기로 유지하고, 그외의 영역의 밝기는 최소 밝기 또는 미리 설정된 밝기로 감소시켜 검색 대상 영역보다 어둡게 되도록 제어한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search target exists, the brightness of an area other tha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search target is reduced. As shown in FIG. 13, the brightness of the region to be searched is maintained at a normal brightness, and the brightness of the other regions is reduced to a minimum brightness or a predetermined brightness so as to be darker than the region to be searched.

단계 S1202의 판단결과, 검색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또는 검색 대상의 차등 밝기 제어가 수행된 다음 검색 기능 프로그램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1204), 종료되지 않은 경우, 즉, 검색 기능 프로그램 창이 지속적으로 실행중인 경우에는 단계 S1202로 복귀하여 검색대상이 존재하는지를 지속적으로 감지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20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arch function program has ended after the search target does not exist or after the differential brightness control of the search object is performed (step S1204). If it is being execut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202 to continuously detect whether a search target exists.

검색 기능 프로그램이 종료된 경우 또는 단계 S1201의 판단결과, 사용중인 프로그램이 검색 프로그램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S203으로 복귀하여 다른 차등 제어 조건이 실행되는지를 지속적으로 감지한다. When the search function program is terminated o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201, if the program being used is not a search program,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203 to continuously detect whether another differential control condition is executed.

이와 같이 현재 사용중인 프로그램 창 내에서 사용자가 검색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텍스트 또는 콘텐츠(이미지, 동영상)의 밝기는 정상밝기로 제어하고, 해당 프로그램 창의 나머지 영역, 즉, 검색 대상 이외의 영역의 밝기를 어둡게 감소시켜 검색 대상이 용이하게 식별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절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such, the brightness of the text or content (image and video) including the content searched by the user in the currently used program window is controlled to normal brightness, and the brightness of the remaining area of the program window, that is, the area other than the search target, is controlled. It can be dimmed to make the search target easily identifiable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the power saving efficiency.

도 14는 각 영역의 밝기를 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차등 절전 방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brightness of each region, and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of FIG. 14.

각 영역의 밝기 조정 방법은 포인터가 임의의 프로그램 창에 존재하는 경우(단계 S902) 또는 활성영역이나 비활성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밝기 조정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1401), 밝기 조정 입력이 있는 경우 화면상의 각 영역들에 대한 밝기를 사용자에 의해 조정한다.The brightness adjustment method of each area is determined by the presence of a brightness adjustment input when the pointer is present in an arbitrary program window (step S902) or when the pointer is located in an active area or an inactive area (step S1401). In this case, the brightness of each area on the screen is adjusted by the user.

이때, 밝기 조정 대상이 해당 프로그램 창인지를 판단하여(단계 S1402), 밝기 조정 대상이 해당 프로그램 창인 경우 해당 프로그램 창의 밝기를 밝기 조정 입력에 따라 조정한다(단계 S1403). At this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rightness adjustment target is the corresponding program window (step S1402), and when the brightness adjustment target is the corresponding program window, the brightness of the corresponding program window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brightness adjustment input (step S1403).

여기서 밝기 조정 입력은 입력수단의 특정 버튼에 대한 일정시간 입력에 의해 수행되며, 예를 들면, 마우스의 특정 버튼에 대한 일정시간 누르는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일정시간 입력에 의해 밝기 조정이 개시되면, 시간에 따라 단계적으로 밝기가 감소하거나 증가하여 해당 영역이 밝아지거나 어두워진다. The brightness adjustment input may be performed by a predetermined time input for a specific button of the input means. For example, the brightness adjustment input may be performed by pressing a predetermined time for a specific button of a mouse. At this time, when the brightness adjustment is started by a predetermined time input, the brightness decreases or increases in stages according to time so that the corresponding area becomes bright or dark.

또한, 밝기 조정 입력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 창의 상단의 타이틀바(a), 하단의 상태바(b), 및 프로그램 창의 임의의 영역(c)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조정가능한 버턴 또는 조절바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 15, the brightness adjustment input may include an adjustable button formed at any one of the title bar (a) at the top of the program window, the status bar (b) at the bottom, and any area (c) of the program window. It can be performed by a control bar.

단계 S1402의 판단 결과, 밝기 조정 대상이 해당 프로그램 창이 아닌 경우, 해당 프로그램 이외의 영역의 밝기를 밝기 조정 입력에 따라 조정한다(단계 S1404).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402, when the brightness adjustment target is not the program window, the brightness of the area other than the program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brightness adjustment input (step S1404).

밝기의 조정이 수행된 후 또는 단계 S1401의 판단결과 밝기 조정 입력이 없는 경우, 단계 S203으로 복귀하여 다른 차등 제어 조건이 실행되는지를 지속적으로 감지한다. After the adjustment of the brightness is performed or if there is no brightness adjustment inpu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401,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203 to continuously detect whether another differential control condition is executed.

도 16은 차등 절전 모드의 정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topping a differential power saving mode.

차등 절전 모드의 정지 방법은 포인터가 프로그램 창 외부에 위치한 경우(단계 S903) 또는 포인터를 프로그램 창 외부로 이동한 경우, 차등 절전 모드가 정지되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1501), 차등 절전 모드가 정지된 경우, 예를 들면, 비활성 영역, 활성영역, 또는 실행중인 프로그램 창 이외의 영역을 마우스 포인터에 의해 일정시간 선택한 경우 차등 절전 모드가 종료된다.(단계 S1502).In the method of stopping the differential power saving mod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fferential power saving mode is stopped when the pointer is located outside the program window (step S903) or when the pointer is moved outside the program window (step S1501). In this case, for example, when a region other than the inactive region, the active region, or the program window being executed is selected by the mouse pointer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differential power saving mode ends (step S1502).

차등 절전 모드가 종료되면 단계 S202로 복귀하여 차등 절전 모드가 실행되는지를 지속적으로 감지한다. When the differential power saving mode ends,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202 to continuously detect whether the differential power saving mode is executed.

단계 S1501의 판단결과, 차등 절전 모드가 정지되지 않은 경우, 단계 S203으로 복귀하여 다른 차등 제어 조건이 실행되는지 지속적으로 감지한다.If the differential power saving mode is not stopp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501,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203 to continuously detect whether another differential control condition is execut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appended claims. Do.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법이 적용되는 단말의 구성도이고,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erminal to which a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활성/비활성 영역에 따른 차등 절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according to an active / inactive region,

도 4 및 도 5는 비활성영역에 따른 차등 절전 방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4 and 5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according to an inactive area,

도 6은 활성영역에 따른 차등 절전 방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according to an active region,

도 7은 각 프로그램 창에 따른 차등 절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according to each program window.

도 8은 도 7의 차등 절전 방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of FIG. 7;

도 9는 포인터 위치별 차등 절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for each pointer position.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차등 절전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10 and 11 illustrate examples of differential power saving of FIG. 9;

도 12는 검색 대상에 따른 차등 절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according to a search target.

도 13은 도 12의 차등 절전 방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of FIG. 12.

도 14는 각 영역의 밝기를 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brightness of each region.

도 15는 도 14의 차등 절전 방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of FIG. 14.

도 16은 차등 절전 모드의 정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topping a differential power saving mod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차등 절전 단말 110 : 입력부10: differential power saving terminal 110: input unit

120 : 제어부 150 : 디스플레이부120: control unit 150: display unit

Claims (23)

디스플레이 장치의 절전 방법에 있어서,In the power sav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미리 설정된 크기를 갖는 다수의 영역, 임의의 실행중인 프로그램 창, 포인터의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영역별로 밝기를 차등화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법.A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for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rightness is controlled by differenti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area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 arbitrary running program window, and areas on the display scree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oint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다수의 영역이 활성영역인 경우, 상기 활성영역 이외의 영역의 밝기를 상기 다수의 영역의 밝기보다 작게 되도록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법.And when the plurality of areas is an active area, reducing brightness of areas other than the active area to be smaller than brightness of the plurality of area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다수의 영역이 비활성 영역인 경우, 상기 비활성 영역의 밝기를 그외의 영역의 밝기보다 작게 되도록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법.And when the plurality of areas are inactive areas, reducing the brightness of the inactive areas to be smaller than the brightness of other areas.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비활성 영역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전체 화면을 상기 비활성 영역을 제외한 화면 영역으로 맵핑하여 화면 크기를 축소시키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법.And when the inactive area is set not to be used, reducing the screen size by mapping the entire screen to a screen area except the inactive are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실행중인 프로그램 실행 순서, 프로그램 사이의 연관성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 창의 밝기를 차등 조정하되, 그외 영역의 밝기를 상기 프로그램 창의 밝기보다 작게 되도록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법.And differentially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program window according to the execution order of the program being executed a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rograms, and reducing the brightness of the other area to be smaller than the brightness of the program window.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현재 사용중인 프로그램과 연관이 없는 프로그램 창 및 상기 실행중인 프로그램 창 이외의 영역의 밝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법.A method of differential power saving of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by reducing the brightness of a program window not associated with a program currently being used and an area other than the running program window.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현재 사용중인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창의 밝기를 상기 현재 사용중인 프로그램 창의 밝기와 그외 영역의 밝기의 사이값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법.And reducing the brightness of a program window executed in association with the currently used program to a value between the brightness of the currently used program window and the brightness of the other are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다수의 영역의 설정은 사용자에 의해 위치 및 크기가 조정 가능한 설정 창의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법.And setting the plurality of areas in the form of a setting window whose position and size can be adjusted by a us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포인터의 이동 궤적에 따라 포인터 위치의 인근 영역의 밝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법.And increasing brightness of a region adjacent to the pointer posi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pointer.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포인터가 위치된 영역이 상기 프로그램 창 내이면, 해당 프로그램 창의 밝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법.And if the area where the pointer is located is within the program window, increasing brightness of the program window.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포인터가 위치된 영역이 상기 프로그램 창 이외의 영역이면, 상기 포인터 부근 영역의 밝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법.And if the area where the pointer is located is an area other than the program window, increasing brightness of the area near the point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중인 프로그램이 검색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검색된 대상에 대응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의 밝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법.And when the program being used performs a search function, brightness of an area other tha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arched object is reduc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화면상의 각 영역들에 대한 밝기를 사용자에 의해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법.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respective areas on the screen by the user.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밝기 조정은 상기 프로그램 창의 타이틀바, 상태바, 및 임의의 영역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조정가능한 버턴 또는 조절바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법.And the brightness adjustment is performed by an adjustable button or an adjustment bar formed in any one of a title bar, a status bar, and an arbitrary area of the program window.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밝기의 조정은 입력수단의 특정 버튼에 대한 일정시간 입력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법.The adjustment of the brightness is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by a predetermined time input to a specific button of the input mean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다수의 영역, 상기 프로그램 창 이외의 영역을 일정시간 선택한 경우 차등 절전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법.The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erential power saving is terminated when a plurality of areas, other than the program window is sel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상기 화면상의 각 영역들에 대한 밝기를 감소시키는 경우, 미리 설정된 밝기 또는 최소 밝기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 법.When the brightness of each area on the screen is reduced, the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reducing to a predetermined brightness or the minimum brightness. 제 1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원이 개별 제어가 가능한 경우, 상기 최소밝기는 해당 영역에 대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원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법.And when the light sources of the display device are individually controlled, the minimum brightness cuts off the power of the light source of the display device for the corresponding area.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상기 밝기는 상기 화면의 휘도(brightness) 및 대비(contras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법.And wherein the brightness includes brightness and contrast of the screen.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상기 다수의 영역의 차등제어가 상기 프로그램 창 및 상기 포인터 위치에 따른 차등제어에 우선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법.And differential control of the plurality of areas is performed in preference to differential control according to the program window and the pointer position.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등 절전 단말.Differential power saving terminal comprising a display device us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20.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단말은 노트북, PC, 이동통신 단말기, PDA, 휴대 단말기, TV 수상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등 절전 단말.The terminal is a differential power saving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 laptop, P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DA, portable terminal, TV receiver.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LCD, PDP, OLE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등 절전 단말.The display device is a differential power saving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LCD, PDP, OLED.
KR1020090126692A 2009-12-18 2009-12-18 Method for power saving of display device with a graded brightnes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2374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692A KR101237443B1 (en) 2009-12-18 2009-12-18 Method for power saving of display device with a graded brightnes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PCT/KR2010/008991 WO2011074879A2 (en) 2009-12-18 2010-12-15 Differential power saving method of display device and terminal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692A KR101237443B1 (en) 2009-12-18 2009-12-18 Method for power saving of display device with a graded brightnes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046A true KR20110070046A (en) 2011-06-24
KR101237443B1 KR101237443B1 (en) 2013-02-26

Family

ID=44167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692A KR101237443B1 (en) 2009-12-18 2009-12-18 Method for power saving of display device with a graded brightnes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37443B1 (en)
WO (1) WO2011074879A2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0385A1 (en) * 2013-08-29 2015-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and method therefor
KR20150026786A (en) * 2013-08-29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olling power
US9285936B2 (en) 2012-12-21 2016-03-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9990901B2 (en) 2014-11-07 2018-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creen
US10304409B2 (en) 2015-03-05 2019-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burn-in
KR102410855B1 (en) * 2021-08-04 2022-06-22 주식회사 리퓨터 Energy saving monitor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08324B2 (en) 2014-05-22 2018-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100951A (en) * 2016-02-26 201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A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ing Method
WO2023245334A1 (en) * 2022-06-20 2023-12-2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Screen brightness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6253B1 (en) * 1999-10-26 2003-04-29 Thomson Licensing S.A. Multi-window picture adjustment arrangement for a video display
JP2002341843A (en) * 2001-05-11 2002-11-29 Nanao Corp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system
TWI271692B (en) * 2003-07-26 2007-01-21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ightness level of display
KR101001049B1 (en) * 2003-07-26 2010-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Display brightness level
KR20060004233A (en) * 2004-07-09 2006-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Adjustment method for highlight zone by video bios
KR20060114165A (en) * 2005-04-29 2006-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ifferential controlling screen brightness
KR20090040673A (en) * 2007-10-22 2009-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picture quality of lcd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5936B2 (en) 2012-12-21 2016-03-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WO2015030385A1 (en) * 2013-08-29 2015-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and method therefor
KR20150026786A (en) * 2013-08-29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olling power
US10203739B2 (en) 2013-08-29 2019-0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and method therefor
US9990901B2 (en) 2014-11-07 2018-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creen
US10304409B2 (en) 2015-03-05 2019-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burn-in
KR102410855B1 (en) * 2021-08-04 2022-06-22 주식회사 리퓨터 Energy saving monito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7443B1 (en) 2013-02-26
WO2011074879A2 (en) 2011-06-23
WO2011074879A3 (en) 201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443B1 (en) Method for power saving of display device with a graded brightnes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210327328A1 (en) Display apparatus and brightness adjustment method for display apparatus
JP6142072B2 (en) Automatic adjustment of the display area to reduce power consumption
JP6158345B2 (en) Adjusting the display area
US9502001B2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
CN106293479B (en) Screen backlight brightness control method and mobile terminal
JP5335830B2 (en) Display information conversion system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 and context display
US2014017646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m state
KR20150049045A (en) Method and apparautus for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in portable device
CN105446449A (en) Electronic device with multi-window display function
US201401980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 brightness and color optimization
CN106484354B (en) Display brightness adjust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8803863B2 (en) Display power saving method and electronic system
CN104460940A (en) Energy-saving display method and system of screen of smart phone or tablet personal computer
US20210405861A1 (en) Application identifier display method and terminal device
KR102589356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30156127A (en) Screen capture methods, devices, electronic devices and readable storage media
KR102334211B1 (en) A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method
US10720111B2 (en) Display screen backligh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KR1017469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keypad of mobile terminal
WO2019201137A1 (en) Processing method for split-screen exiting,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KR201200536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terminal using self-emitting type display
US10269327B2 (en) Display control
EP3066640B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2011009941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