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8119A -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지원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지원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8119A
KR20110068119A KR1020090124962A KR20090124962A KR20110068119A KR 20110068119 A KR20110068119 A KR 20110068119A KR 1020090124962 A KR1020090124962 A KR 1020090124962A KR 20090124962 A KR20090124962 A KR 20090124962A KR 20110068119 A KR20110068119 A KR 20110068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handover
femto
ccc
mac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4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8119A/ko
Priority to US13/516,470 priority patent/US8843140B2/en
Priority to PCT/KR2010/008938 priority patent/WO2011074856A2/ko
Publication of KR20110068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1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6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4Reselecting a cell layer in multi-layered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0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optimising the interference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광대역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매크로 기지국이 복수 개의 펨토 기지국이 사용하는 기지국 아이디(BS-ID), 전송 전력, DCD(Downlink Channel Descriptor) CCC, UCD(Uplink Channel Descriptor) CCC에 대한 매핑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하는 과정과, 단말로부터 핸드오버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매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펨토 기지국 중 하나를 타겟 기지국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시스템, 펨토 기지국, 매크로 기지국, 이웃 목록

Description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지원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HAND OVER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통신 시스템인 4세대(4th Generation, 이하 '4G'라 칭함) 통신 시스템에서는 약 100Mbps의 전송 속도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이하 'QoS' 칭함)을 가지는 서비스들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현재 4G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선 도시 지역 네트워크 시스템과 같은 광대역 무선 접속(BWA : Broadband Wireless Access) 통신 시스템에 이동성과 QoS를 보장하는 형태로 고속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통신 시스템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시스템이 다.
도 1은 IEEE 802.16 시스템에서 다수 개의 펨토셀이 설치된 매크로 셀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1 매크로 기지국(10)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매크로 셀(C-10)과 제2 매크로 기지국(20)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매크로 셀(C-20) 내에 복수 개의 펨토셀이 도시되어 있다.
빠른 핸드오버(handover)를 지원하기 위하여 제1 macro BS(10)는 주변의 제2 macro BS(20) 및 그 외의 매크로 기지국을 이웃 목록(neighbor list)에 등록한다.
상기 제1 macro BS(10)는 상기 이웃 목록에 인접 기지국들의 목록 뿐만 아니라 상기 인접 기지국들 각각의 무선 구성(radio configuration) 정보를 포함시키며, MOB_NBR-ADV(MOBile_NEighBor-ADVertisement)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메시지에 해당 인접 기지국들의 BS ID(Base Station IDentifier)와 함께 실어 상기 이웃 목록을 셀 내에 위치한 단말들에게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들은 주변 기지국들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며, 이를 활용함으로써 빠른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접속하고 있는 서빙(Serving)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MOB_NBR-ADV를 통하여 획득한 인접 기지국의 center frequency, bandwidth, FFT size, preamble index, frame duration, BS_EIRP(Base Station Equivalent Isotropically Radiated Power)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각 인접 기지국에 대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CINR(Carrier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를 측정한다. 인접 기지국의 RSSI, CINR은 서빙 기지국의 RSSI, CINR와 비교되며, 비교 결과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 상의 인접 기지국이 핸드오버 수행의 대상 기지국으로 선정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따라서 이웃 목록에 있는 기지국의 전송 전력(TX power)은 단말의 정상적인 핸드오버 결정을 위해 필요한 인자이다. 그런데 와이맥스(WiMAX) 표준에서는 하나의 기지국에서 사용 가능한 이웃 목록의 수를 255 개로 제한하고 있으며, 모든 기지국은 고유(unique) BS-ID를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하나의 macro BS 영역에 다수의 Pico 또는 Femto BS가 존재할 경우 이웃 목록 구성 제약으로 단말에 정상적인 핸드오버를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웃 목록(neighbor list)에 포함 가능한 BSID(Base Station IDentifier)의 개수 제한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기지국들이 동일한 BSID를 사용하는 상황에서 Femto/Pico BS 파라미터(TX power level 등) 제어를 통해서 단말의 핸드오버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Femto/Pico BS가 SON(Self Organization Network) 방식으로 자동 초기화시 macro BS가 Femto/Pico BS의 에어(air)/MAC(Medium Access Control, 이하 "MAC"이라 칭함) 구성(configuration) 정보를 효율적으로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광대역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매크로 기지국이 복수 개의 펨토 기지국이 사용하는 기지국 아이디(BS-ID), 전송 전력, DCD(Downlink Channel Descriptor) CCC, UCD(Uplink Channel Descriptor) CCC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매핑 정보를 구성하는 과정과, 단말로부터 핸드오버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매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펨토 기지국 중 하나를 타겟 기지국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기지국들이 동일한 BSID를 사용하는 상황에서 Femto/Pico BS 파라미터(TX power level 등) 제어를 통해서 단말은 다수의 기지국들이 밀집되어 있는 지역에서 원활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Macro BS가 service 하는 영역에 다수의 Femto/Pico BS가 존재하는 경우 효율적인 핸드오버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Femto/Pico BS가 SON 방식으로 자동 초기화시 macro BS가 Femto/Pico BS의 에어/MAC 구성 정보를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펨토 시나리오에서, 매크로 망의 표준 인터페이스는 물론 펨토 기지국과 기존 단말기간의 무선 인터페이스 변경 없이, BS가 밀집되는 지역에서도 원활한 핸드오버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기지국들이 BSID를 공유하는 상황에서 Femto/Pico BS 파라미터(TX power level 등) 제어를 통해서 단말은 다수 의 기지국들이 밀집되어 있는 지역에서 원활한 핸드오버(handover)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Femto/Pico BS 파라미터를 제어하기 위해서 Femto/Pico BS가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frequency band), 전송 전력(TX power), DCD(Downlink Channel Descriptor) CCC, UCD(Uplink Channel Descriptor) CCC 값을 BS-ID와 매핑(mapping)하여 관리한다. 이하 본 발명은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칭함)/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OFDMA'이라 칭함) 방식의 무선통신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다른 방식의 무선통신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기재되는 Femto/Pico BS는 Femto BS 과 Pico B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의미한다.
도 2는 일반적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macro BS가 가지고 있는 이웃 목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femto/pico BS가 사용하는 BS-ID는 고유(unique)해야 한다.
Macro BS는 Femto BS에 대한 핸드오버 지원을 위해서는 Femto BS의 에어/MAC 구성 파라미터를 알아야 한다. 그러나 Femto BS의 경우 보통 SON(Self Organization Network) 기반으로 시스템(system)을 초기화한다. 그리고 Femto BS는 Macro 망과 분리된 네트워크, 분리된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체계, 분리된 SON 서버(server)를 사용한다. 따라서 Macro BS는 상기 Femto BS에 대한 이웃 목록을 구성할 경우 필요한 에어/MAC 구성 파라미터 정보 획 득이 어렵다.
도 3은 BS가 초기화할 때 SON 서버 또는 관리 서버(management server)로부터 획득된 SON을 위한 기본 구성 파라미터(basic configuration parameter)에 대한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다. 상기 획득된 정보에는 BS-ID(optional), 주파수 대역(또는 중앙 주파수(center frequency)), 채널 대역폭(channel BW), 전송 가능 전력 범위(TX 가능 power range) 등이 될 수 있다. BS는 획득된 정보를 기준으로 SON 알고리즘에 따라 BS-ID, 최적의 주파수, 전송 전력 등을 결정한다. 이때 BS-ID는 SON/관리 서버가 지정할 수도 있고, 내부에 저장된 값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macro BS가 가지고 있는 이웃 목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지국(BS: Base Station)(310)은 ASN-GW(320)와 단말 간에 위치하는 시스템으로써, IEEE 802.16 규격에 따른 무선 접속으로 인터페이스하여 가입자에게 무선구간의 연결(connection)을 제공하며, 무선 구간의 트래픽 암호화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의 종류는 macro BS, Pico BS, Femto BS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지국 제어기(ASN-GW : Access Service Network Gateway)(320)는 각각 아이피 네트워크(Internet Protocol Network)(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와, 기지국에 연결되고, 가입자의 연결(connection) 및 이동성(mobility)을 관리하며, 상하향(UL/DL) 연결 별로 고유한 서비스 플로우(Service Flow)를 할당한다.
상기 ASN-GW(320)는 macro ASN-GW, Femto ASN-GW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SON 서버(server)(330)는 Femto/Pico BS의 에어 파라미터 자동 설정(auto-configuration) 및 자동 최적화(auto-optimization)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장비이다. 일반적으로 SON 기능은 Pico BS와 Femto BS에서 주로 사용되나, 일반 macro BS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SON 기술이란, 신규 기지국을 설치할 때 기지국 구성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운영 중에 기지국 및 단말과 무선 환경에 관련된 데이터를 교환하여 운용 정보를 자동으로 최적화함으로써 기지국의 용량 증대 및 커버리지 확대를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기지국들이 BSID를 공유하는 상황에서 Femto/Pico BS 파라미터(TX power level 등) 제어를 통해서 단말은 다수의 기지국들이 밀집되어 있는 지역에서 원활한 핸드오버(handover)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음 3 가지 방안을 제안한다.
BS - ID 재 사용을 통한 macro BS 이웃 목록 최소화 방법
도 2에서와 같이 모든 BS는 서로 다른 BS-ID를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복수의 BS가 에어 구간에서 BS-ID를 공유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복수의 BS가 에어 구간에서 BS-ID를 공유함으로써 macro BS가 가지는 이웃 목록의 수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 에어 구간에서 BS-ID 공유를 위해서는 BS-ID를 공유하는 BS에서 송신하는 전송 신호의 커버리지(coverage)가 서로 겹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공유하는 BS-ID를 복수 개로 정의하고, 각 BS는 SON 기능을 이용하여, 서로 커버리지를 겹치지 않도록 BS-ID를 선택한다.
이때, Femto BS/Pico BS의 전송 전력은 상대적으로 낮고, Femto BS/Pico BS는 실내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Femto BS 및 Pico BS의 전파 통달 거리는 아주 짧다. 따라서 다수의 Femto/pico BS는 에어 구간에서 사용하는 BS-ID 재 사용이 가능하다.
 
Femto / Pico BS 의 구성 파라미터(예컨대, TX power level 등) 제어를 통한 핸드오버 성능 향상 방법
Femto BS/pico BS의 단순 BS-ID 공유만으로는 단말이 macro BS에서 pico/Femto BS 영역으로 핸드오버 시 정상적인 서비스를 보장할 수 없다. 이유는 각 BS가 전송 전력, DCD CCC, UCD CCC 값을 임의로 선택할 경우, 단말이 macro BS 영역에서 femto/pico BS 영역으로 핸드오버 이후 정상적인 전송 전력을 선택을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Femto/Pico BS가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frequency band), 전송 전력(TX power), DCD CCC, UCD CCC 값을 BS-ID와 매핑하여 관리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때 전송 전력은 특정 값이 아니라 범위(range)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동일한 BS-ID를 가지는 BS는 모두 동일한 전송 전력 레벨(level), DCD CCC, UCD CCC 값을 가지므로 단말이 핸드오버 이후에도 정상적인 전송 전력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acro BS 가 관리하는 Femto/Pico BS에서 의 BS-ID 및 구성 파라미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macro BS가 무선 채널을 통해 망 운용을 위한 제어 신호를 자신이 관리하는 단말기 및 복수 개의 Femto BS로 전송하게 되고, 복수 개의 Femto BS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 상태를 결정하고, 망 운용을 위한 제어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상기 매크로 기지국 및 자신이 관리하는 단말기로 제공한다. 이때, macro BS가 상기 복수 개의 Femto BS에서 사용하는 BS-ID, 전송 전력, DCD CCC, UCD CCC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매핑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복수 개의 펨토 기지국과 공유한다. 이후, 단말로부터 핸드오버 요청을 수신하게 되면, 상기 매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펨토 셀중 하나를 타겟 기지국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BS-ID, 전송 전력, DCD CCC, UCD CCC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BS가 초기화할 때 SON 서버 또는 관리 서버(management server)로부터 획득된 SON을 위한 기본 구성 파라미터(basic configuration parameter)에 대한 정보이다.
macro BS 이 상기 매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펨토 셀 중 하나를 타겟 기지국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macro BS 에서 복수 개의 Femto/Pico BS 중 하나를 타겟 기지국으로 하는 핸드오버시, 도 5의 (a), (b)에서와 같이, BS-ID가 다르지만, 주파수 영역, 전송 전력, DCD CCC, UCD CCC가 같으면, BS-ID x1에서 BS-ID x 2로 핸드오버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5의 (c), (d)에서와 같이, BS-ID가 다르지만, 주파수 영역, 전송 전력, DCD CCC, UCD CCC가 같으면, BS-ID x 3에서 BS-ID x 4로 핸드오버 할 수 있다. 도 5의 (e), (f)에서와 같이, BS-ID가 다르지만, 주파수 영역, 전송 전 력, DCD CCC, UCD CCC가 같으면, BS-ID x 5에서 BS-ID x 6로 핸드오버 할 수 있다.
두 개의 기지국이 서로 떨어져 있거나, 간섭이 없거나, 핸드오버가 없는 환경에서 BS-ID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 5에서 동일 BS-ID를 사용한다. 그러나 두 개의 기지국이 서로 근접해 있거나, 간섭이 있거나, 핸드오버가 발생할 경우, 도 5에서 두 개의 BS-ID를 사용하거나, 동일 전력을 사용하지 않거나,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이 BS의 전송 전력을 정확히 모를 경우 핸드오버 시 동작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단말은 자신의 전송 전력 선택시 경로 손실(path loss)에 대한 추정(estimation)이 필요하다. 이때 경로 손실 계산을 위해서는 BS의 전송 전력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만약 단말이 BS의 전송 전력을 잘못 알고 있을 경우, 경로 손실 계산이 잘못되어, 단말이 전송하는 전력 값이 잘못 결정된다. 이 경우 단말에 대한 정상적인 서비스 제공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Femto/Pico BS가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frequency band), 전송 전력(TX power), DCD CCC, UCD CCC 값을 BS-ID와 매핑하여 관리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Macro BS 의 이웃 정보 효율적 획득 방식
본 발명에서 Macro BS는 Femto BS/pico BS가 사용하는 BS-ID와 전송 전력, DCD CCC, UCD CCC 등의 값을 매핑하여 관리한다. Macro BS는 해당 지역에서 Femto/Pico BS에서 사용하는 BS-ID와 전송 전력, DCD CCC, UCD CCC 등의 값에 대한 매핑 정보만 관리하면, Femto/pico BS 또는 Femto 관리 서버(management server)와 연동 없이 이웃 목록을 간단히 구축할 수 있다. 또한 해당 BS가 SON 기능에 의해 BS의 에어 configuration parameter(예컨대, 주파수, 전송 전력 등) 등을 변경하였을 경우에도 Macro BS는 Femto/pico BS와 별도의 통신 없이 핸드오버를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IEEE 802.16 시스템에서 다수 개의 펨토셀이 설치된 매크로 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macro BS가 가지고 있는 이웃 목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BS가 초기화할 때 SON 서버 또는 관리 서버(management server)로부터 획득된 SON을 위한 기본 구성 파라미터(basic configuration parameter)에 대한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macro BS가 가지고 있는 이웃 목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acro BS 가 관리하는 Femto/Pico BS에서의 BS-ID 및 구성 파라미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Claims (10)

  1. 광대역 통신 시스템의 매크로 기지국에서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 기지국이 복수 개의 펨토 기지국이 사용하는 기지국 아이디(BS-ID), 전송 전력, DCD(Downlink Channel Descriptor) CCC, UCD(Uplink Channel Descriptor) CC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대한 매핑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복수 개의 펨토 기지국과 공유하는 과정과,
    단말로부터 핸드오버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매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펨토 기지국 중 하나를 타겟 기지국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BS-ID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SON(Self Organization Network) 기능을 이용하여, 서로 커버리지를 겹치지 않도록 BS-ID를 선택하는 핸드오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정보는, 상기 펨토 기지국이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frequency band), 전송 전력(TX power), DCD CCC, UCD CCC 값 중 적어도 하나와 BS-ID를 매핑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
  5. 광대역 통신 시스템의 매크로 기지국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매크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펨토 기지국이 사용하는 기지국 아이디(BS-ID), 전송 전력, DCD(Downlink Channel Descriptor) CCC, UCD(Uplink Channel Descriptor) CC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대한 매핑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복수 개의 펨토 기지국과 공유하고, 단말로부터 핸드오버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매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펨토 기지국 중 하나를 타겟 기지국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매크로 기지국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BS-ID를 포함하는 매크로 기지국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각 기지국은 SON(Self Organization Network) 기능을 이용하여, 서로 커버리지를 겹치지 않도록 BS-ID를 선택하는 매크로 기지국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정보는, 상기 펨토 기지국이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frequency band), 전송 전력(TX power), DCD CCC, UCD CCC 값 중 적어도 하나와 BS-ID를 매핑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매크로 기지국 장치.
  9. 광대역 통신 시스템의 펨토 기지국에서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상기 펨토 기지국이 상기 펨토 기지국을 관리하는 매크로 기지국의 기지국 아이디(BS-ID), 전송 전력, DCD(Downlink Channel Descriptor) CCC, UCD(Uplink Channel Descriptor) CC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대한 매핑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매크로 기지국과 공유하는 과정과,
    단말로부터 핸드오버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매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서 상기 펨토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
  10. 광대역 통신 시스템의 펨토 기지국에서 핸드오버 장치에 있어서,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펨토 기지국을 관리하는 매크로 기지국의 기지국 아이디(BS-ID), 전송 전력, DCD(Downlink Channel Descriptor) CCC, UCD(Uplink Channel Descriptor) CC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대한 매핑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매크로 기지국과 공유하고, 단말로부터 핸드오버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매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서 상기 펨토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핸드오버 장치.
KR1020090124962A 2009-12-15 2009-12-15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지원 방법 및 장치 KR2011006811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962A KR20110068119A (ko) 2009-12-15 2009-12-15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지원 방법 및 장치
US13/516,470 US8843140B2 (en) 2009-12-15 2010-12-14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handover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0/008938 WO2011074856A2 (ko) 2009-12-15 2010-12-14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지원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962A KR20110068119A (ko) 2009-12-15 2009-12-15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지원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119A true KR20110068119A (ko) 2011-06-22

Family

ID=44167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962A KR20110068119A (ko) 2009-12-15 2009-12-15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지원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43140B2 (ko)
KR (1) KR20110068119A (ko)
WO (1) WO201107485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82146A (zh) * 2012-08-02 2014-02-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户调度方法、主基站、用户设备及异构网络
CN109890055B (zh) * 2012-10-10 2021-09-14 安华高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管理切换的方法和设备
EP3367746A1 (en) * 2012-12-26 2018-08-2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information on access poi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84165B2 (en) * 2013-10-02 2015-07-14 Public Wireles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ployment operations for small cells in self-organizing networks
WO2018021008A1 (ja) * 2016-07-29 2018-02-01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装置、方法、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427B1 (ko) * 2007-06-29 2010-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홈 셀과 매크로 셀간 핸드오버 지원장치 및 방법
KR101451860B1 (ko) * 2008-01-22 2014-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시스템 간 단말의 핸드오버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8442069B2 (en) * 2008-04-14 2013-05-1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to enable uplink control for restricted association networks
KR100963184B1 (ko) 2008-04-24 2010-06-10 (주) 콘텔라 복수 개의 펨토셀로의 핸드오버 방법
US8280387B2 (en) * 2008-05-22 2012-10-02 Ntt Docomo, Inc. Femtocell channel assignment and power control for improved femtocell coverage and efficient cell search
KR101155628B1 (ko) * 2008-12-10 2012-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의 펨토셀 기지국의 전력제어 방법 및 자원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74856A2 (ko) 2011-06-23
US8843140B2 (en) 2014-09-23
WO2011074856A3 (ko) 2011-11-10
US20130029670A1 (en) 201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49993B1 (en) Devices and method for retrieving and utilizing neighboring wlan information for lte laa operation
US8619706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wireless service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663529B1 (ko)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시스템 및방법
JP5379912B2 (ja) マルチキャリアofdmシステムのキャリア割り当ての方法及び装置
US8437753B2 (en) Method for managing neighbor base station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system thereof
US11751110B2 (en)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EP289374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operative communication service between macro base station and small cell base st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169967B2 (en)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by considering quality of service in broadb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system for providing the same
US20100111013A1 (en) Frequency selection for femto access point
US8897775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femtocell access points
US20130295926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O2011028509A2 (en) Mac/phy identification of base station types and their preferred and restricted access
JP2014526195A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での高速ハンドオーバ
EP3232704B1 (en) Network perception based service policy configuration method and network device
US20160381615A1 (en) Advanced handover preparation for a mobile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3133867B1 (en) Base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88431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handover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Qutqut et al. Mobility management in wireless broadband femtocells
WO2009108723A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wireless service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ines Cognitive pilot channels for femto-cell deployment
KR20150030589A (ko) 무선랜 정보 전송 방법 및 네트워크 시스템
KR20080082774A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이동 중계국의 프리앰블 변경을 처리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