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5996A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power on base st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power on base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5996A
KR20110065996A KR1020090122716A KR20090122716A KR20110065996A KR 20110065996 A KR20110065996 A KR 20110065996A KR 1020090122716 A KR1020090122716 A KR 1020090122716A KR 20090122716 A KR20090122716 A KR 20090122716A KR 20110065996 A KR20110065996 A KR 20110065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information
terminal
signal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7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규진
Original Assignee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2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5996A/en
Publication of KR20110065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99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power on a base station are provided to analyze the strength of signal transmission around a base station and automatically control the transmission power of corresponding base st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CONSTITUTION: A measurement report message extracting unit(201) extracts a measurement report including the wireless signal strength information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from the signal received from a terminal in which a call is connected. An adjacent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information receiving unit(202) receives transmission power information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which is included in the adjacent base station list. The base station surrounding signal transmission environmental analysis part(203) analyzes the signal transmission environment of a base station with reference to the signal strength.

Description

기지국 송출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POWER ON BASE STATION}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POWER ON BASE STA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송출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최근에 통신 및 컴퓨터 네트워크, 반도체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요자들의 요구 사항은 날이 갈수록 수준이 높아지고 있으며, 전세계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장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로 발전해 가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computer network, and semiconductor technology, various service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re being provided, and demands of consumers are increasing day by day, and the global market for wireless internet services is exploding. It is a trend. Accordingly, a service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developing not only a voice service but also a multimedia communication service for transmitting various data.

현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EV-DO(Evolution Data Only), WCDMA(Wideband CDMA),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가 상용화되어, 최근 가정 내에서 휴대전화 이용과 모바일 데이터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추세에 따라 옥내 브로드밴드 망을 통해 이동통신 핵심망에 접속하도록 소형 이동통신 기지국을 옥내에 설치하여 이동통신 서비 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차세대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높은 데이터 전송률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고 다양한 서비스의 안정적인 제공을 위하여 그 대안으로서 여러 개의 작은 크기의 다중 셀(소형 이동통신 기지국)들을 배치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소형 이동통신 기지국을 옥내용 기지국 또는 펨토(Femto) 기지국이라고 부른다. 이처럼 셀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높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차세대 네트워크 시스템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작은 크기의 셀을 여러 개 사용하는 것은 주파수 재사용 횟수를 늘릴 수 있는 측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기존에 하나의 기지국이 전체 셀 영역을 커버할 때 발생하였던 전파 감쇄로 인한 채널 상황 악화 문제, 음영지역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불능 문제 등을 개선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작은 크기의 다중 셀들을 통한 서비스 방법이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이점들을 바탕으로 기존의 매크로셀(옥외용 기지국이 관장하는 셀 영역)(Macro-cell)과 펨토셀(옥내용 기지국 또는 펨토 기지국이 관장하는 셀 영역)(Femto-cell)들을 결합한 방식이 대두되고 있다. Currently, wireless data services such a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2000, Evolution Data Only (EV-DO), Wideband CDMA (WCDMA),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re commercially available. Demand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and according to this trend, a method of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y installing a small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indoors to access a mobile communication core network through an indoor broadband network has been proposed. Particularly, in the next generation network system, a method of arranging multiple small multi-cells (small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s) has been proposed as an alternative to meet the demand for high data rates and to provide a variety of services. Such a small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is called an indoor base station or a femto base station. By reducing the size of the cell, the efficiency of the next-generation network system using a high frequency band can be improved, and the use of multiple small cells can be advantageous in terms of increasing the frequency reuse frequency.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channel deterioration problem due to the attenuation of radio waves, which is caused when a single base station covers the entire cell area, and the inability to service shadow users. Has this advantage. Based on these advantages, a method of combining existing macrocells (cell areas managed by outdoor base stations) and femtocells (cell areas managed by indoor base stations or femto base stations) are emerging. .

하지만 이러한 혼합 셀 구성 방식은 서비스 제공 측면에 있어서 장점이 있는 반면에 동일한 지역에 양질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서는 더 많은 기지국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설치와 운영을 위한 비용이 크다는 약점을 지닌다. 특히 유무선 관련 파라미터를 결정하는데 많은 인원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단순히 중앙집중식의 관리만으로는 각 셀에서 시시각각으로 발생하는 환경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변경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전체 시스템에 대한 재정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기지국의 가변적인 위치(옥내용 기지국은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지정된 최적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임의로 설치함)와 변화하는 무선 환경에 대한 최적의 조건을 찾기는 쉽지 않기 때문에 기지국과 네트워크가 자동적으로 설치되고 변화하는 무선환경 및 데이터 트래픽 환경에 적응하는 SON(Self Organization Network)이 필요하게 되었다. SON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무선 정보의 측정과 주변 네트워크 정보가 필요하며, 정확하고 풍부한 입력 정보로부터 효과적인 SON 알고리즘이 구현된다. SON은 증설되는 기지국이 현재 주변의 셀 상황을 측정 및 판단하여 스스로 최적의 송출전력을 결정하는 '자동 적응형 송출전력 설정/갱신 기능'이 그 핵심이다. However, this mixed cell configuration has advantages in terms of service provision, but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st of installation and operation is high in that more base stations are required for high quality data service in the same area. In particular, it requires a lot of people and time to determine the relevant parameters.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cope with environmental changes occurring in each cell by simply managing the centralized system. In addition, if changes occur, the entire system needs to be overridden. As a result, it is not easy to find the optimal location for the variabl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indoor base station is installed by the user rather than the optimal location specified by the service provider) and the changing wireless environment. There is a need for a self organization network (SON) that is automatically installed and adapts to changing wireless and data traffic environments. In order to implement SON, wireless information measurement and surrounding network information are required, and an effective SON algorithm is implemented from accurate and rich input information. The core of SON is 'automatic adaptive transmission power setting / update function', where the base station to be added determines the optimal transmission power by measuring and judging the current surrounding cell conditions.

통상 기지국 설치시에는 기지국의 위치를 획득하고 무선 전파 환경을 예측하여 단말이 핸드오버할 수 있는 인접 셀을 예상하여 기지국의 인접 셀 리스트(NCL: Neighbor Cell List)을 구성한다. 기지국이 방송하는 NCL은 현 기지국에서 서비스받던 단말이 인접 셀로 핸드오버할 때 인접 셀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알려주는 정보이다. NCL은 기지국을 통하여 방송되고 다른 셀로 핸드오버하려고 하는 단말은 이 정보를 이용하여 인접 셀을 탐색(searching)한다.In general, when a base station is installed, a neighbor cell list (NCL) of a base station is configured by estimating a location of a base station, predicting a radio wave environment, and estimating a neighbor cell to which a terminal can be handed over. The NCL broadcasted by the base st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how the neighbor cell is configured when the terminal serviced by the current base station hands over to the neighbor cell. The NCL is broadcasted through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that intends to handover to another cell searches for an adjacent cell using this information.

전술한 바와 같이 작은 셀 커버리지(coverage)를 요구하는 이동통신 시장의 흐름에 따라 동일한 지역에서 양질의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기지국이 필요하게 되었고, 다수의 기지국을 설치 및 유지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설치 및 유지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된다. 더욱이 옥내용 기지국 또는 펨토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의 경우에는 더 많은 기지국이 설치될 것이 예상되고, 기지국의 On/Off가 자유로워지며 기지국의 이동성을 보장해야 한다. 이에 따라 기지국을 옥내 및 옥외 에 설치할 때 기지국 스스로가 망에 접속/설정하고 주변 무선환경에 따라 적절히 셀 최적화 및 운영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SON의 기능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SON을 통해 네트워크 사업자는 수동적으로 제어되는 망을 자동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low of mobile communication market requiring small cell coverage, more base stations are needed to provide high quality service in the same area, and network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is required to install and maintain multiple base stations. The cost is excessive. Moreover, in the case of small base stations such as indoor base stations or femto base stations, more base stations are expected to be installed, and base stations can be freely turned on and off and base station mobility must be guaranteed. Accordingly, when the base station is installed indoors and outdoors, the function of the SON having a function of allowing the base station itself to access / set the network and perform cell optimiz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wireless environment is urgently required. SON allows network operators to automatically operate passively controlled networks.

SON은 기지국의 설치 및 최적화를 위해 모든 기지국에 필요한 기능이지만, 옥내용 기지국과 같이 사용자가 직접 설치해야 하는 경우에는 더욱 필요한 기능이다. 즉, 펨토 기지국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구매하여 댁내에 설치하거나 이사 등의 이유로 인하여 다른 곳으로 옮겨야 하는 경우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SON 기능의 강화가 필요하다. 이로 인하여 옥내용 기지국에서는 인접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인 스니퍼(Sniffer) 기능이 필요하게 된다. Sniffer 기능은 기지국이 단말과 같은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TDD인 경우에는 기지국 송신 시간에 수신을 하고 FDD인 경우에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주파수로 수신하게 된다. 옥내용 기지국의 전원이 들어 오고 유선망이 연결되면, 옥내용 기지국은 Sniffer 장치를 통하여 인접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환경을 측정(인접 기지국의 수신강도 등)하고 방송 정보를 수신한다. 이를 토대로 SON은 자체의 알고리즘을 통하여 기지국 장치의 파라미터(예컨대 기지국 전송 전력)를 설정한다. 모든 파라미터가 설정되면 단말과의 통신을 개시한다. 옥내용 기지국은 단말과 통신을 하는 중간에도 Sniffer 기능을 통하여 인접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여 SON을 통하여 자신의 파라미터를 최적화할 수 있다.The SON is a necessary feature for all base stations for the installation and optimization of the base station, but it is more necessary if the user needs to install it manually, such as an indoor base station. That is, in the case of a femto base station,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SON function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install it when the user purchases it and installs it in the house or moves to another place due to moving or the like. As a result, the indoor base station needs a sniffer function, which is a function of receiving a signal from an adjacent base station. The sniffer function allows the base station to perform the same operation as the terminal. In the case of TDD, the Sniffer function is received at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time. When the indoor base station is powered on and the wired network is connected, the indoor base station receives the signal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through the Sniffer device to measure the wireless environment (receive strength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etc.) and receive broadcast information. Based on this, the SON sets parameters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for exampl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through its algorithm. When all parameters are set,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is started. Indoor base station can receive the signal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through the Sniffer function in the middle of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to optimize its parameters through the SON.

옥내용 기지국에서 SON 기능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Sniffer 기능 이 필요하다. Sniffer 기능이 정확하고 다양한 정보를 얻을수록 SON의 결과는 정확해 진다. 하지만 Sniffer 기능은 단말 수신 기능을 기지국에 구현하는 것이므로 기지국의 복잡도를 증대시킬 수 밖에 없고 옥내용 기지국의 가격이 높아질 수 밖에 없다. 더욱이 Sniffer 장치를 통하여 인접 기지국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무선 물리 계층의 기능 뿐만 아니라 데이터 링크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이 필요하므로 옥내용 기지국의 복잡도와 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 즉 옥내용 기지국은 하향링크용 송신기 모듈과 상향링크용 수신기 모듈과는 별도로, 기지국의 송출전력을 계산하기 위해서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신호세기를 수신하기 위한 하향링크용 수신기 모듈이 별도로 필요하다. 또한 Sniffer 기능을 기지국에서 구현하게 되면 측정에 있어서 모호성이 존재하게 된다. 예컨대 이웃한 옥외용 기지국의 간섭량을 단말 위치에서 수신하지 않고 옥내용 기지국에서 수신하게 되므로 단말이 겪게 되는 간섭의 정도를 정확히 예측하기가 어렵다.In order to effectively implement the SON function in an indoor base station, a Sniffer function is required. The more accurate and versatile the Sniffer feature is, the more accurate the SON's results will be. However, since the Sniffer function implements the terminal reception function in the base station, it has no choice but to increase the complexity of the base station and increase the price of the indoor base station. Furthermore, in order to acquire information of the neighbor base station through the Sniffer device, not only the function of the radio physical layer but also the protocol of the data link layer and the network layer is required, which increases the complexity and price of the indoor base station. That is, the indoor base station requires a separate downlink receiver module for receiv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from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to calculate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base station, separately from the downlink transmitter module and the uplink receiver module. Implementing the Sniffer function at the base station also introduces ambiguity in measurement. For example, since the interference amount of the neighboring outdoor base station is received at the indoor base station rather than at the terminal location,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predict the degree of interference experienced by the terminal.

본 발명의 목적은 기지국 주변의 전파 상황을 분석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기지국의 송출전력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송출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mission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the radio wave situation around the base station and automatically control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base station based on the result.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기지국 주변의 전파 상황을 분석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기지국의 송출전력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송출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이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호가 연결된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서 인접 기지국의 수신신호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보고 메시지를 추출하고, 인접 기지국 목록에 포함된 인접 기지국들의 송출전력 정보를 수신받아, 수신신호세기 정보와 송출전력 정보를 참조하여 기지국 주변 전파환경을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따라 기지국 송출전력을 결정한다. 이때 수신세기정보와 송출전력 정보로부터 각 인접 기지국과 단말간 무선경로손실 정보를 확인하고, 무선경로손실 정보와 수신신호세기 정보를 참조하여 기지국 송출전력을 결정하는데, 일실시예에 있어서 인접 기지국들 중 수신신호세기가 최대인 기지국과 무선경로손실이 최소인 기지국을 선별한 후 이중 송출전력이 낮은 기지국의 송출전력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 송출전력을 결정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mission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the radio wave situation around the base station and automatically control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base station based on the results are disclosed. According to the apparatus and method, a measurement report message including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of a neighboring base station is extracted from a signal received from a terminal to which a call is connected, and received power transmission information of neighboring base stations included in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list is received. The radio wave environment around the base station is analyzed with reference to the strength information and the power transmission information, and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At this time, the radio path loss information between each neighboring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is checked from the reception strength information and the transmission power information, and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is determined by referring to the radio path loss information and the reception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fter selecting the base station with the maximum received signal strength and the base station with the least radio path loss, the base station transmit power is determined by using the transmit power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with low double transmit power.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 음영지역을 해소하기 위해 추가로 증설되는 옥내용 기지국의 송출전력이 별도의 측정 모듈의 도움 없이도 인접 단말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인접 셀의 환경에 맞게 자동적으로 적응하여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셀 최적화 비용 및 소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indoor base station, which is additionally expanded to solve the service shadow area, uses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neighboring terminal without the help of a separate measurement module to fit the environment of the neighboring cell. By automatically adapting and determining, there is an advantage of minimizing cell optimization cost and time requir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if the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예시적인 이동통신망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xemplary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동통신망은, 예컨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와 같은 2G 이동통신망, LTE망, WiFi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및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휴대인터넷 또는 패킷 전송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망(예컨대, WCDMA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같은 3.5G 이동통신망, 또는 향후 개발될 4G 등) 및 옥외용 기지국(Macro-eNB), 옥내용 기지국(Home-eNB) 및 단말(UE)을 구성 요소로 포함하는 임의의 기타 이동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LTE의 무선접속망인 E-UTRAN을 위주로 설명한다. In one embodiment,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for example,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2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CDMA, LTE networks, wireless Internet such as WiFi,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and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e.g., 3G mobile networks such as WCDMA or CDMA2000, 3.5G mobile networks such a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or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4G, etc.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and an outdoor base station (Macro-eNB), an indoor base station (Home-eNB), and any othe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UE as a compon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E-UTRAN, which is a wireless access network of LTE.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망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셀로 구성될 수 있고, 이동통신망에 서로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 셀이 혼재할 수 있다. 이동통신망은 옥내에서 좁은 범위의 네트워크 셀(이하, '펨토셀'이라 함)을 관리하는 옥내용 기지국(Home-eNB)(11~15, 21~23, 31~33), 옥외에서 넓은 범위의 셀(이하, '매크로셀'이라 함)을 관리하는 옥외용 기지국(Macro-eNB)(10,20,30), 단말(UE)(40), SON(Self Organizing&optimizing Networks) 서버(50) 및 MME(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의 개수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이동통신망의 각 구성요소의 개수가 도면에 도시된 개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s shown in FIG. 1,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network cells, and different types of network cells may be mix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an indoor base station (home-eNB) (11-15, 21-23, 31-33) that manages a narrow range of network cel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emtocells') indoors and a wide range of cells outdoo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macro cell'), an outdoor base station (Macro-eNB) 10, 20, 30, a terminal (UE) 40, a self organizing & optimizing network (SON) server 50 and the MME (60) ) May be included. The number of each component shown in FIG. 1 is exemplary, and the number of each compon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shown in the drawings.

옥외용 기지국(Macro-eNB)(10,20,30)은, 예컨대 LTE망, WiFi망, WiBro망, WiMax망, WCDMA망, CDMA망, UMTS망, GSM망 등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를 들어 1km 내외의 반경을 갖는 셀을 관리하는 매크로셀 기지국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옥외용 기지국(10,20,30)은 도심지에서 섹터(Sector) 방식의 다중 FA(Multi FA)를 사용하거나, 산간지역 등에서 단일 FA(1FA)를 사용한다. 다중 FA의 일예로서, WCDMA에서 옥외용 기지국(10,20,30)은 4FA를 사용한다. The outdoor base station (Macro-eNB) 10, 20, 30 may be used in, for example, LTE network, WiFi network, WiBro network, WiMax network, WCDMA network, CDMA network, UMTS network, GSM network, etc. It may include a feature of the macro cell base station for managing a cell having a radius 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outdoor base stations 10, 20, and 30 use a sector type Multi FA (Multi FA) in a downtown area, or a single FA (1FA) in a mountainous area. As an example of multiple FAs, the outdoor base stations 10, 20, and 30 use 4FA in WCDMA.

옥내용 기지국(Home-eNB)(11~15,21~23,31~33)은, 예컨대 LTE망, WiFi망, WiBro망, WiMax망, WCDMA망, CDMA망, UMTS망, GSM망 등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를 들어 수십 m 내외의 반경을 갖는 셀을 관리하는 펨토셀 기지국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door base stations (Home-eNB) 11 to 15, 21 to 23, 31 to 33 may be used in, for example, LTE networks, WiFi networks, WiBro networks, WiMax networks, WCDMA networks, CDMA networks, UMTS networks, GSM networks, and the like. Which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for example, features of a femtocell base station managing a cell having a radius of about several tens of meters.

이동통신망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셀은 옥외용 기지국 셀(매크로셀) 및 옥내 용 기지국 셀(펨토셀)을 포함할 수 있다. 매크로셀은 옥외용 기지국(10,20,30)에 의해 관리될 수 있고, 펨토셀은 옥내용 기지국(11~15,21~23,31~33)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The network cell constitu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n outdoor base station cell (macrocell) and an indoor base station cell (femtocell). The macrocell may be managed by the outdoor base stations 10, 20, 30, and the femtocell may be managed by indoor base stations 11-15, 21-23, 31-33.

옥내용 기지국(11~15,21~23,31~33)이나 옥외용 기지국(10,20,30)은 각각 독자적으로 코어망의 접속성을 가질 수 있다. The indoor base stations 11 to 15, 21 to 23, 31 to 33 and the outdoor base stations 10, 20 and 30 may each independently have connectivity to the core network.

단말(UE)(40)은 GSM망, CDMA망와 같은 2G 이동통신망, LTE망, WiFi망과 같은 무선인터넷망, WiBro망 및 WiMax망과 같은 휴대인터넷망 또는 패킷 전송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사용되는 무선 이동 단말기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말(40)은 매크로셀 가입자 단말 또는/및 펨토셀 가입자 단말일 수 있다. The UE 40 is used in 2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GSM networks, CDMA networks, wireless Internet networks such as LTE networks, WiFi networks, mobile Internet networks such as WiBro networks and WiMax networks, 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supporting packet transmission. It may include features of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one embodiment, terminal 40 may be a macrocell subscriber station and / or a femtocell subscriber station.

SON 서버(50)는 옥외용/옥내용 기지국 설치 및 최적화를 수행하고 각 기지국에 필요한 기본 파라미터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능을 하는 임의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ON server 50 may include any server that functions to perform installation and optimization of outdoor / indoor base stations and to provide basic parameters or data required for each base station.

MME(60)는 단말(40)의 호 처리 등을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임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ME 60 may include any entity used to manage call processing and the like of the terminal 40.

일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네트워크 관리 장치가 SON 서버(50)와 MME(60)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고, SON 서버(50) 및 MME(60)는 하나 이상의 옥외용 기지국(10,20,30)과 하나 이상의 옥내용 기지국(11~15,21~23,31~33)을 관리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ne network management device may perform both the functions of the SON server 50 and the MME 60, the SON server 50 and the MME 60 is one or more outdoor base stations (10, 20) 30 and one or more indoor base stations 11-15, 21-23, 31-33.

상기 이동통신망에서 매크로셀 및 펨토셀이 혼재된 네트워크 셀을 가정하였지만, 네트워크 셀은 매크로셀 또는 펨토셀만으로도 구성 가능하다.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macro cell and a femto cell are assumed to be mixed, but the network cell may be configured only by the macro cell or the femto cell.

상기의 이동통신망을 LTE망으로 가정하는 경우, LTE망은 inter-RAT망(WiFi망, WiBro망, WiMax망, WCDMA망, CDMA망, UMTS망, GSM망 등)에 연동된다. inter-RAT망 중 하나(예컨대, WiBro망)가 상기 이동통신망인 경우 역시, 타 망(LTE망, WiFI망, WiMax망, WCDMA망, CDMA망, UMTS망, GSM망 등)에 연동된다. 도면에는 일 망(예컨대, LTE망)과 타 망(WiFi망, WiBro망, WiMax망, WCDMA망, CDMA망, UMTS망, GSM망 등)이 이격되어 도시되어 있지만, 일 망과 타 망은 오버랩(Overlay)되어 있음을 전제로 한다. I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assumed to be an LTE network, the LTE network is interworked with an inter-RAT network (WiFi network, WiBro network, WiMax network, WCDMA network, CDMA network, UMTS network, GSM network, etc.). If one of the inter-RAT networks (for example, WiBro network) is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is also linked to other networks (LTE network, WiFI network, WiMax network, WCDMA network, CDMA network, UMTS network, GSM network, etc.). In the drawing, one network (for example, LTE network) and another network (WiFi network, WiBro network, WiMax network, WCDMA network, CDMA network, UMTS network, GSM network, etc.) are show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ut one network and the other network overlap. It is assumed that it is (Overlay).

옥외용 기지국(10,20,30) 및 옥내용 기지국(11~15,21~23,31~33)이 방송하는 NCL은 현 기지국에서 서비스받던 단말(40)이 인접 셀(매크로셀 또는 펨토셀)로 핸드오버할 때 인접 셀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알려준다. 일예로, LTE망에서는 504개의 PCI(Physical Cell ID) 중 인접 셀이 사용하는 PCI를 알려 주어 단말(40)이 핸드오버를 위한 효율적인 셀 탐색(cell searching)을 할 수 있도록 한다. NCL 정보는 인접 셀 구성에 따라 Intra-frequency NCL(인접 셀이 동일한 주파수로 이루어진 경우), Inter-frequency NCL(인접 셀이 다른 주파수로 이루어진 경우), Inter-RAT NCL(인접 셀이 다른 통신 규격인 경우)로 나뉘어진다. 단말(40)은 NCL 정보를 바탕으로 인접 셀을 검색하여 주변의 매크로셀 또는 펨토셀로 핸드오버한다. The NCL broadcasted by the outdoor base stations 10, 20, 30 and indoor base stations 11-15, 21-23, 31-33 is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neighboring cell (macro cell or femtocell). When handing over, it informs how the neighboring cell is configured. For example, in the LTE network, the PCI used by the neighbor cell among the 504 physical cell IDs (PCIs) is informed so that the terminal 40 can perform efficient cell searching for handover. The NCL information includes Intra-frequency NCL (when adjacent cells are of the same frequency), Inter-frequency NCL (when adjacent cells are of different frequencies), and Inter-RAT NCL (when adjacent cells are different communication standards) Case). The terminal 40 searches for an adjacent cell based on the NCL information and hands over to a neighboring macro cell or femtocell.

LTE망에서, 매크로셀로의 액세스는 모든 단말에게 허용되지만, 펨토셀로의 액세스는 특정 단말(가입자)에게로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옥내용 기지국(11~15,21~23,31~33)은 자신이 관리하는 펨토셀에 대한 정보인 SIB 1(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1)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는데, 이 SIB 1에는 해당 펨토셀로의 액세스가 제한되어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CSG 지시자(Closed Subscriber Group indicator)가 포함되어 있다. 옥내용 기지국(11~15,21~23,31~33)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SIB 1내의 CSG 지시자가 '참(True)'의 값을 가지면 특정 가입자만이 해당 펨토셀에 액세스할 수 있는 폐쇄형 방식으로 통신이 이루어지고(CSG: Closed Subscriber Group), '거짓'의 값을 가지면 모든 가입자가 해당 펨토셀에 액세스할 수 있는 개방형 방식으로 통신이 이루어진다(OSG: Opened Subscriber Group). CSG 지시자가 '참'의 값을 가지면, 단말(40)은 자신이 액세스 가능한 펨토셀의 목록인 화이트 리스트(White List) 내에 해당 펨토셀이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해당 펨토셀에 액세스할 수 있다.In the LTE network, access to a macrocell is allowed to all terminals, but access to a femtocell may be restricted to a specific terminal (subscriber). Specifically, indoor base stations 11 to 15, 21 to 23, 31 to 33 may broadcast 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1 (SIB 1), which is information about a femtocell managed by the indoor base station (11 to 15, 21 to 23, 31 to 33). A Closed Subscriber Group indicator is included to indicate whether access to the femtocell is restricted. If the CSG indicator in SIB 1 broadcast by the indoor base stations 11-15, 21-23, 31-33 has a value of 'true', a closed type can be accessed only by a particular subscriber to that femtocell. Communication is performed in a closed subscriber group (CSG), and a value of 'false' is used in an open manner in which all subscribers have access to the femtocell (OSG: Opened Subscriber Group). If the CSG indicator has a value of 'true', the terminal 40 may access the femtocell only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emtocell is included in the white list, which is a list of femtocells accessible by the CSG indicator.

일예로, 단말(40)이 옥내용 기지국(예컨대, 21)에 접속하는 절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말(40)은 옥내용 기지국(11~15,21~23,31~33)이 브로드캐스팅하는 SIB 1의 CSG 지시자를 바탕으로 해당 펨토셀로의 접속이 제한되어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또한, 단말(40)이 펨토셀을 식별하는 식별자로는 물리계층에서의 셀 구분 인자인 물리계층 셀 식별자(PCI: Physical Cell Identity)와 이동통신망 내에서 고유한 셀 구분 인자인 전역 셀 식별자(GCI: Global Cell Identity)가 있다. 셀 식별자는 옥내용 기지국(11~15,21~23,31~33)이 브로드캐스팅하는 SIB 1에 포함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말(40)이 접속 기지국(21)임을 탐지하면 옥외용 기지국(20)으로 보고하고, 단말(40)로부터 옥내용 기지국(21)의 탐지를 보고받은 옥외용 기지국(20)은 해당 단말(40)에게 탐지된 옥내용 기지국(21)로부터 수신한 SIB 1 을 판독하여 해당 옥내용 기지국(21)의 셀 식별자(PCI or CGI)를 보고할 것을 명령하고, 단말(40)이 판독하여 알아낸 셀 식별자와 화이트 리스트에 기초하여 탐지된 옥내용 기지국(21)에 해당 단말(40)이 접속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탐지된 옥내용 기지국(21)에 해당 단말(40)이 접속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옥내용 기지국(21)으로 핸드오버를 허용한다.For example, the procedure of the terminal 40 accessing an indoor base station (eg, 21) is as follows. The terminal 40 may know whether access to the femtocell is restricted based on the CSG indicator of the SIB 1 broadcast by the indoor base stations 11 to 15, 21 to 23, 31 to 33. In addition,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e femtocell by the terminal 40 includes a physical layer cell identifier (PCI), which is a cell division factor in the physical layer, and a global cell identifier (GCI), which is a unique cell division factor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Global Cell Identity. The cell identifier is included in SIB 1 broadcast by the indoor base stations 11-15, 21-23, 31-33. In an embodiment, when the terminal 40 detects that the access base station 21 is the outdoor base station 20, the outdoor base station 20 received the detection of the detection of the indoor base station 21 from the terminal 40 is The terminal 40 is instructed to read the SIB 1 received from the detected indoor base station 21 to report the cell identifier (PCI or CGI) of the indoor base station 21, and the terminal 40 reads i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erminal 40 is accessible to the detected indoor base station 21 based on the found cell identifier and the white lis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40 is accessible to the detected indoor base station 21, the mobile station permits handover to the indoor base station 21.

이하에서는 옥외용 기지국(10,20,30) 및 옥내용 기지국(11~15,21~23,31~33)를 통칭하여 기지국 장치(200)로 명명한다. Hereinafter, the outdoor base stations 10, 20, 30 and indoor base stations 11-15, 21-23, 31-33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 송출전력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기지국 송출전력 제어 장치는 기지국 장치(특히 옥내용 기지국)(200)에 구비 또는 연동되어, 상향링크용 수신기 모듈을 통해 단말(100)에서 보고되는 측정보고 메시지를 수신한다. 기지국 장치(200)에 매우 가깝게 위치(예컨대 5m 정도)한 단말(100)로부터 보고되는 측정보고 메시지에는 단말 주변 전파환경 정보가 실리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기지국 주변 전파환경 정보로 사용한다.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r interlocked with the base station apparatus (especially indoor base station) 200, and receives the measurement report message reported from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uplink receiver module. The measurement report message reported from the terminal 100 located very close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for example, about 5 m) includes information on surrounding radio wave environment, which i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urrounding radio wave environment informa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200)의 송출전력 제어 장치는, 호가 연결된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서 인접 기지국의 수신신호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보고 메시지를 추출하는 측정보고 메시지 추출부(201)와, 운용 및 관리 서버(300)로부터 인접 기지국 목록에 포함된 인접 기지국들의 송출전력 정보를 수신받는 인접 기지국 송출전력 정보 수신부(202)와, 수신신호세기 정보와 송출전력 정보를 참조하여 기지국 주변 전파환경을 분석하는 기지국 주변 전파환경 분석 부(203)와, 기지국 주변 전파환경 분석부(203)의 분석결과에 따라 기지국 송출전력을 결정하는 기지국 송출전력 결정부(204)를 포함한다. 이때 기지국 주변 전파환경 분석부(203)는 수신세기정보와 송출전력 정보로부터 각 인접 기지국과 단말(100)간 무선경로손실 정보를 확인하고, 기지국 송출전력 결정부(204)는 무선경로손실 정보와 수신신호세기 정보를 참조하여 기지국 송출전력을 결정하는데, 인접 기지국들 중 수신신호세기가 최대인 기지국과 무선경로손실이 최소인 기지국을 선별한 후 이중 송출전력이 낮은 기지국의 송출전력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transmission power control device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the measurement report message extraction to extract the measurement report message includ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from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call Reference unit 201, neighboring base station transmitting power information receiving unit 202 for receiving transmission power information of neighboring base stations included in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list from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server 300,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power information The base station surrounding radio environment analysis unit 203 for analyzing the radio wave environment around the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determining unit 204 for determining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base station surrounding radio environment analysis unit 203. . At this time, the radio wave environment analysis unit 203 around the base station checks the radio path loss information between each neighboring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100 from the reception strength information and the power transmission information, and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determining unit 204 is connected to the radio path loss information. The base station transmit power is determined by referring to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The base station having the maximum received signal strength and the base station having the smallest radio path loss are selected from the adjacent base stations, and then the transmit power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with low double transmit power is used. Decide

여기서 기지국 송출전력은 인접 기지국과 원활한 핸드오버가 수행될 수 있는 해당 기지국의 최적의 송출전력이며, 송출전력 변동폭은 운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줄어든다. Here,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is the optimal transmission power of the base station that can perform a smooth handover with the adjacent base station, the transmission power fluctuation range is reduced as the operating time elapses.

초기 기지국 송출전력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기지국 장치(200)는 호 연결중인 단말(100)로부터만 측정보고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초기 기지국 송출전력을 최소값(설정 가능한 최소치)으로 설정하고, 호 설정 메시지의 변조계수와 부호화율을 최대로 설정한다. 만약 단말(100)로부터 측정보고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기지국 송출전력을 최소값으로 유지한다. When the initial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is not set,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sets the initial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to a minimum value (the minimum value that can be set) in order to receive the measurement report message only from the terminal 100 that is connected to the call, and sets the call. Set the modulation coefficient and encoding rate of the message to the maximum. If the measurement report message is not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0, the base station transmit power is kept to a minimum value.

단말(100)로부터 보고되는 측정보고 메시지에 자신의 수신신호세기를 제외한 인접 기지국의 수신신호세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기지국 장치(200)는 기지국 송출전력을 최대값(설정 가능한 최대치)으로 설정한다. I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except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does not exist in the measurement report message reported from the terminal 100,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sets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to a maximum value (the maximum value that can be set). .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기지국 장치(200)의 송출전력 제어 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power control device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as follows.

임의의 기지국 장치(200)가 최초 기동할 경우 해당 기지국 장치(200)는 우선 기지국 데이터베이스내에 기 설정된 송출전력 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S301) 송출전력 정보의 이용이 가능하면 저장된 값으로 기지국 송출전력을 설정한다(S302). 이후 기지국 장치(200)는 송출전력 자동 적응형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단말(100)로부터 측정보고 메시지를 수신하고 운용 및 관리 서버(300)로부터 인접 기지국들의 송출전력 정보를 수신받아, 이를 바탕으로 기지국 송출전력을 결정한다(S309~S313).When any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is initially started,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first checks whether there is preset transmission power information in the base station database (S301), and when the transmission power information is available,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is stored as a stored value. Set (S302). Then, when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is set to the automatic transmission power adaptive mode,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receives the measurement report message from the terminal 100 and receives the transmission power information of neighboring base stations from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server 300, based on this. Determine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S309 ~ S313).

만약 저장된 송출전력 정보가 없으면, 기지국 장치(200)는 송출전력 자동 적응형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S304), 자동 적응형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기지국 송출전력을 매우 낮은 값인 임계값1로 설정하여(S305) 서비스를 시작한다. 확인 결과(S304), 송출전력 자동 적응형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기지국 송출전력을 임계값1로 설정하여(S306) 기지국 근처에서만 호가 가능하도록 한 후, 기지국 근처에서 임의의 단말(100)로부터 호 설정 시도가 오기를 기다린다. 이때 기지국 장치(200)는 기지국 근처 임의의 단말(100)로 호 설정을 시도한다(S307).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기지국 장치(200)가 갑자기 기지국 송출전력을 최소값으로 낮추는 등의 방법으로 해당 단말 주변의 전파 환경에 인위적인 변동을 가하면(S308), 해당 단말(100)은 단말 주변 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변화가 생겼다는 사실을 감지하고 수신신호세기 정보가 포함된 측정보고 메시지(Measurement Report Message)를 현재 호가 연결된 해당 기지국 장치(200)에 보고하게 된다(S309). 이때 단말(100)로부터 보고되는 측정보고 메시지에는, 현재 호 가 연결된 기지국 장치(200)로부터의 하향링크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에 대한 수신신호세기 정보뿐만 아니라, 인접 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되는 하향링크 참조 신호에 대한 수신신호세기 정보도 모두 포함된다. If there is no stored transmission power information,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checks whether the automatic transmission mode is set to the automatic transmission power mode (S304), and if the automatic transmission mode is not set to the threshold value 1 which is a very low value of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Set to (S305) to start the service. As a result of the check (S304), if the transmission power automatic adaptive mode is set,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is set to the threshold value 1 (S306) so that the call is possible only near the base station, and then the call is received from any terminal 100 near the base station. Wait for the setup attempt. 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attempts to set up a call to an arbitrary terminal 100 near the base station (S307). When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suddenly makes artificial fluctuations in the radio wave environment around the terminal by a method such as suddenly lowering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while the call is connected (S308), the terminal 100 i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s around the terminal. It detects the fact that the change in the signal strength has occurred and reports a measurement report message (Measurement Report Message) includ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to which the current call is connected (S309). At this time, the measurement report message reported from the terminal 100, as well as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on the downlink reference signal (Reference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to which the current call is connected, as well as the downlink received from neighboring base stations All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for the signal is also included.

여기서 기지국 초기 기동시의 임계값1은 기지국 장치(200)와 매우 가까운 거리(예를 들어 5m 이내)에 있는 단말들(100)이 해당 기지국 장치(200)와 간신히 호가 가능한 수준을 의미한다(설정 가능한 기지국 송출전력의 최소치임). Herein, the threshold value 1 at the initial start-up of the base station means a level at which terminals 100 that are very close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for example, within 5 m) can barely call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set). Minimum of possible base station transmit power).

일반적으로 단말은 서비스를 받는 기지국과 주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정보간 일정 수준 이상의 변동이 발생할 경우 측정보고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서비스를 받는 기지국 장치(200)의 송출전력을 갑자기 급격히 떨어뜨려 해당 단말(100)이 주변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단말(100)은 핸드오버를 시작하기 위해 현재 서비스받는 기지국 장치(200)와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정보(수신신호세기 정보)를 측정하여 측정보고 메시지에 실어 기지국 장치(200)로 보고하게 된다. In general, the terminal transmits a measurement report message when a change of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occurs between the base station receiving the service and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neighboring base stations. It drops sharply to induce the terminal 100 to attempt a handover to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the terminal 100 is the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and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currently being serviced to start the handover The information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is measured and reported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in a measurement report message.

따라서 기지국 장치(200)는 초기 기동시 기지국에서 아주 가깝게 위치한 단말(100)로부터만 호 설정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기지국 송출전력을 매우 낮은 값(임계값1)로 설정하고, 또한 호설정(Connection Setup) 메시지 전송에 가장 높은 변조계수와 부호화율을 적용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기지국 장치(200) 주변에 위치하지 않은 단말이 호 설정에 성공하지 못하게 한다. 부언하면, 단말(100)은 해당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참조신호의 세기가 일정 수준이 되지 않으면 호 설정 시도를 하지 않기 때문에, 기지국 장치(200)에 가깝게 위치한 단말만 호 설정 시도를 할 수 있게 기지국 송출전력을 매우 낮은 값(임계값1)으로 설정하고, 간혹 수신 감도가 뛰어난 일부 단말이 해당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적당히 떨어진 상황에서도 해당 기지국 장치(200)로부터의 참조신호를 수신하여 호 시도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막기 위해 매우 높은 변조계수와 부호화율로 호설정 메시지를 변조/부호화한다. 높은 변조계수 및 부호화율로 변조/부호화된 호설정 메시지는 정상적으로 복조/복호화되지 못할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 이는 결국 측정보고 메시지를 보고하는 단말(100) 주변의 전파 환경이 해당 기지국 장치(200) 주변의 전파환경과 크게 다르지 않도록 한다는 본 발명의 기본 가정을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refore,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sets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to a very low value (threshold value 1) so that call setup can be made only from the terminal 100 located very close to the base station at the initial startup, and also call setup (Connection Setup). By using the method of applying the highest modulation coefficient and coding rate to the message transmission to the terminal that is not located around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does not succeed in call setup. In other words, since the terminal 100 does not attempt to establish a call when the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does not reach a predetermined level, only the terminal located close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may attempt to establish a call. Set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to a very low value (threshold value 1) so that some terminals having excellent reception sensitivity sometimes receive a reference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is appropriately separated from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Since a call attempt may occur, a call setup message is modulated / encoded with a very high modulation coefficient and a coding rate to prevent this. This is because a call setup message that is modulated / encoded with a high modulation coefficient and a coding rate may not be normally demodulated / decoded. This can meet the basic assum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radio wave environment around the terminal 100 reporting the measurement report message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radio wave environment around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as follows.

일반적으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참조신호를 이용하여 하향링크 채널품질을 측정한 후 기지국에게 보고하며, 기지국은 단말이 보고하는 채널품질정보를 참조하여 하향링크 데이터 신호의 변조계수와 부호화율을 결정한다. 하지만 호설정 메시지의 경우는 단말로부터 하향링크 채널품질정보를 받기전에 단말에 내려줘야 하므로 해당 메시지 전송에 사용되는 변조계수와 부호화율은 기지국이 임의로 결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 초기 기동시 최적의 송출전력을 결정하기 위해 해당 기지국 장치(200)에 매우 가깝게 위치한 단말(100)로부터만 측정보고 메시지를 받을 필요가 있으므로, 1차적으로는 기지국 송출전력을 비교적 낮게 설정하여 기지국 장치(200)에 가까이 위치한 단말(100)들만 해당 기지국 장치(200)에 호 설정을 시도하도록 유도하고, 2차적으로는 해당 단말(100)로의 호설정 메시지의 변조지수와 부호화율을 해당 무선규격이 정의하는 가장 높은 값으로 설정하여(예컨 대 LTE의 경우는 64QAM(변조) & 5/6(부호화율)), 실제로 기지국 장치(200)에 매우 가깝게 위치한 단말(100)만 호 설정에 성공하도록 유도한다. In general, the UE measures downlink channel quality using a downlink reference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and reports the downlink channel quality to the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refers to the channel quality information reported by the terminal to determine the modulation coefficient and the coding rate of the downlink data signal. Decide However, in case of a call setup message, the downlink channel quality information must be lowered to the terminal before receiving the downlink channel quality information. Therefore, the modulation coefficient and the coding rate used for transmission of the corresponding message are determined by the base st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necessary to receive the measurement report message only from the terminal 100 located very close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al transmission power at the initial startup of the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is relatively low. Set to induce the terminal 100 to be located near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to attempt to set up the call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and secondly, to modulate the modulation index and the coding rate of the call setup message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100. Set to the highest value defined by the relevant radio standard (for example, in case of LTE, 64QAM (modulation) & 5/6 (coding rate)), only the terminal 100 which is located very close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is actually set up a call. Induce to succeed.

다시 도3을 참조하면, 기지국 장치(200)는 단말(100)로부터 받은 측정보고 메시지 내에 기지국 장치(200)의 수신신호세기를 제외한 인접 기지국의 수신신호세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S310), 기지국 송출전력을 설정 가능한 최대치(임계값2)으로 설정한다(S311). 임계값2는 기지국 장치(200)의 최대 출력보다 작거나 같은 무선사업자의 권장치가 된다. 일정 시간 운용후의 임계값1,2는 해당 기지국 장치(200)가 송신출력 자동 적응형 모드로 운용되는 중 임의의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측정보고 메시지로부터 해당 기지국 장치(200)의 송출전력을 계산하여 갱신하려고 할 때 갱신범위에 제한을 가하기 위한 갱신범위의 최소/최대값에 해당된다. Referring to FIG. 3 again,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does not have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except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in the measurement report message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0 (S310). The transmission power is set to the maximum value (threshold value 2) that can be set (S311). Threshold 2 is a recommended value of a wireless operator tha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maximum output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The threshold values 1 and 2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operation are updated by calculat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from the measurement report message received from any terminal while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is operated in the transmission output automatic adaptive mode. This is the minimum / maximum value of the update range to limit the update range when trying to do so.

기지국 장치(200)는 단말(100)로부터 받은 측정보고 메시지 내에 기지국 장치(200)의 수신신호세기 뿐만 아니라 인접 기지국의 수신신호세기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S310), 시스템 운용 및 관리 서버(300)로부터 인접 기지국 송출전력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받고(S312), 단말(100)로부터 수신받은 수신신호세기 정보와 운용 및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받은 인접 기지국의 송출전력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기지국의 최적의 송출전력을 계산하여 설정하게 된다(S313). 이렇게 최적의 송출전력으로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부터는, 기지국 장치(200)가 송출전력 자동 적응형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기지국 장치(200)와 매우 가까운 위치에서 호가 연결되어 있는 단말(100)이 보고하는 측정보고 메시지를 이용하여 해당 기지국 장치(200)의 송출전력을 적응형으로 갱신하는 방식으로 기지국 장치(200)가 운영된다. If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includes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as well as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in the measurement report message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0 (S310), the system operation and management server 300 Request the neighbor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information from the reception (S312),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0 and the transmission power information of the neighbor base station received from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server 300 is optimal Calculate and set the transmission power of (S313). After starting the service with the optimal transmission power, when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operates in the automatic transmission power adaptive mode, the terminal 100 which the call is connected to at a location very close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reports.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is operated by adaptively updat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using the measurement report message.

최적의 송출전력을 계산하는 과정(S313)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process (S313) for calculating the optimal power output in detail as follows.

기지국 장치(편의상 '기지국A'라 함)와 세 개의 주변 기지국(예컨대 기지국B, 기지국C, 기지국D)이 있는 상황을 가정해 보자. 각 기지국A,B,C,D가 송출한 전력이 각각 Pa, Pb, Pc, Pd이고, 각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가 RSSIa, RSSIb, RSSIc, RSSId일 때, 각 기지국과 단말간 무선경로 손실은 Pa - RSSIa, Pb - RSSIb, Pc - RSSIc, Pd - RSSId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A 위치에 주요 영향력을 행사하는 인접 기지국을 선정하는 요소로 수신신호의 세기, 기지국과 단말간 무선경로손실 등을 고려한다. 따라서 인접 기지국 중 수신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기지국의 송출전력과 무선경로손실이 최소가 되는 기지국의 송출전력 중 낮은 값을 이용하여 기지국A의 송출전력을 결정한다. 예컨대 RSSIb > RSSIc > RSSId 이고 (Pc - RSSIc) < (Pb - RSSIb) < (Pd - RSSId) 인 경우를 가정하면, 기지국A 위치에 주요 영향을 주는 인접 기지국은 RSSI로부터 기지국B가, 무선경로손실로부터 기지국C가 선정되며, 기지국A의 송출전력은 다음 수학식1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Assume a situation where there is a base station apparatus (called 'base station A' for convenience) and three neighboring base stations (for example, base station B, base station C, and base station D). When the powers transmitted by each of the base stations A, B, C, and D are P a , P b , P c , and P d , respectively, and the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from each base station is RSSI a , RSSI b , RSSI c , RSSI d The radio path loss between each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becomes P a -RSSI a , P b -RSSI b , P c -RSSI c , and P d -RSSI d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the radio path loss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etc.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as a factor for selecting an adjacent base station that has a major influence on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A. Therefore,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base station A is determined by using a lower value of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base station having the largest received signal strength among the neighboring base stations and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base station where the radio path loss is minimal. For example, assuming that RSSI b > RSSI c > RSSI d and (P c -RSSI c ) <(P b -RSSI b ) <(P d -RSSI d ), an adjacent base station that has a major influence on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A Base station B is selected from RSSI, base station C is selected from radio path loss, and transmission power of base station A may be determined from Equation 1 below.

Pa_new = α * min(Pb, Pc) + βP a _new = α * min (P b , P c ) + β

여기서, α는 0과 1 사이의 비례상수이며, β는 Offset이며, 기본 설정값은 α는 1, β는 0이 되지만, 셀의 상황에 따라 운용자가 다른 값으로 설정할 수 있 다. Here, α is a proportionality constant between 0 and 1, β is Offset, and the default setting value is α is 1 and β is 0, but the operator can set it to a different value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the cell.

도4는 본 발명을 적용했을 때 기지국 장치(200)의 서비스 영역이 변경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기지국 장치(기지국A)(200)가 최초 기동시 송출전력이 설정되어 있지 않고 송출전력 자동 적응형 모드로 동작할 경우, 해당 기지국A(200)는 매우 낮은 송출전력인 임계값1로 송출전력을 설정하여 서비스를 시작한다. 그렇게 되면 기지국A의 서비스 반경은 "a"가 된다. 이 상황에서 기지국A(200)에 매우 가깝게 위치하여 기지국A(200)와 주변 전파환경이 거의 유사한 단말(100)로부터 측정보고 메시지를 수신하고 인접 기지국(기지국B,C,D)들의 송출전력 정보를 운용 및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수신신호세기 정보와 인접 기지국의 송출전력 정보를 바탕으로 최적의 송출전력을 산출한 후 해당 기지국A(200)의 송출전력을 새롭게 계산된 값으로 변경한다. 이와 같이 하면 해당 기지국A(200)의 서비스 반경은 "b"가 되어, 기지국A,B,C,D 간에 유연한 핸드오버가 가능하게 된다. 4 illustrates a process of changing the service area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hen the base station apparatus (base station A) 200 is operated in the automatic power adaptation mode with the outgoing power not set at the first start-up, the base station A 200 transmits the outgoing power to the threshold value 1 which is a very low outgoing power. Set to start the service. Then, the service radius of the base station A becomes "a". In this situation, it is located very close to the base station A (200) and receives a measurement report message from the terminal 100 almost similar to the base station A (200) and the surrounding radio environment, and transmit power information of the adjacent base stations (base stations B, C, D) Is received from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server 300, calculates the optimal transmission power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nd the transmission power information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and then changes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base station A (200) to a newly calculated value do. In this case, the service radius of the base station A 200 becomes "b", thereby enabling flexible handover between the base stations A, B, C, and D.

만약 단말(100)이 보고하는 측정보고 메시지에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참조신호에 대한 수신신호세기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이는 단말(100) 주변에 다른 기지국B,C,D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되며, 이 경우는 기지국 송출전력을 송출전력 자동 적응형 모드에서 허용되는 최대 송출전력(임계값2)으로 설정하여 서비스를 진행한다. 즉, 기지국A(200)이 송출전력 자동 적응형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기지국 송출전력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계값1과 임계값2 사이의 값을 갖는다. If the measurement report message reported by the terminal 100 does not include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on the reference signal received from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this means that there are no other base stations B, C, and D around the terminal 100. 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is set to the maximum transmission power (threshold value 2) allowed in the automatic transmission power adaptive mode to proceed with the service. That is, when the base station A 200 operates in the automatic transmission power adaptive mode,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has a value between the threshold value 1 and the threshold value 2 as shown in FIG.

기지국 송출전력의 설정폭을 결정하는 임계값1과 임계값2는 기지국 최초 기 동시에는 미리 설정된 비교적 넓은 범위를 가지게 되지만, 기지국 운용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현재 설정값 기준으로 ±ΔP_min 까지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즉 적어도 1회 이상 기지국 송출전력이 정상적으로 설정된 후 송출전력 자동 적응형 모드로 동작시, 송출전력 갱신 허용 범위는 이전에 설정된 송출전력 ±ΔP가 되며, 기지국 서비스 시간이 경과될수록 ΔP가 ΔP_min에 수렴하도록 운영한다. 여기서 ΔP는 ΔP_min보다 항상 크거나 같은 값이다. ΔP, ±ΔP, ΔP_min는 모두 송출전력 자동 적응형 모드에서 송출전력 갱신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다. ΔP는 송출전력 자동 적응형 모드에서 측정보고 메시지 기반으로 계산된 송출전력 적용시 이전 송출전력 대비 변동폭을 얼마로 제한할지를 나타낸다. 이전의 송출전력을 Pprev 이라고 하면 이번에 수신한 측정보고 메시지 기반 송출전력을 (Pprev - ΔP)와 (Pprev + ΔP) 사이의 값으로 제한한다. 기지국 운용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동폭 ±ΔP 또한 측정보고 메시지 기반으로 송출전력을 갱신할 때마다 허용변동폭 최소값 ΔP_min 까지 지속적으로 줄여나가 최적의 송출전력에 통계적으로 수렴할 수 있도록 한다. Threshold 1 and threshold 2, which determine the set width of the base station's transmission power, have a relatively wide range that is preset at the same time as the base station, but gradually decreases to ± ΔP_min based on the current set value as the base station operating time increases. . That is, when operating in the automatic power adaptation mode after the base station transmit power is normally set at least one time, the allowable power update range becomes the previously set outgoing power ± ΔP, so that ΔP converges to ΔP_min as the base station service time elapses. Operate. Where ΔP is always greater than or equal to ΔP_min. [Delta] P, [Delta] P, and [Delta] P_min are all used to limit the output power update range in the power automatic adaptive mode. ΔP indicates how much fluctuation of the previous transmission power is limited when applying the transmission power calculated based on the measurement report message in the automatic transmission power adaptive mode. If the previous transmission power is called P prev , the received measurement report message-based transmission power is limited to a value between (P prev -ΔP) and (P prev + ΔP). As the base station operation time elapses, the fluctuation range ± ΔP also continuously decreases to the minimum allowable variation range ΔP_min whenever the transmission power is updated based on the measurement report message so as to statistically converge to the optimal transmission power.

여기서 기지국 최초 기동시의 송출전력 설정폭이 운용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줄어드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기지국 최초 기동시는 단말(100)로부터 측정보고 메시지를 보고받기 위해 단말(100)을 인위적으로 기지국 장치(200) 주변에 위치시키므로 해당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측정보고 메시지 내용을 기반으로 결정된 해당 기지국 송출전력이 충분히 신뢰할 만한 수준이 되겠지만, 송출전력 자동 적응 형 모드는 기지국 운용 중 하향링크 채널 상황이 매우 우수한 임의의 단말이 전송하는 측정보고 메시지의 내용을 이용하여 기지국 송출전력을 조절하는 방식인데, 해당 단말(100)이 확률적으로 기지국 장치(100) 근처에 있을 것이라는 가정에 기반하므로, 이렇게 결정된 송출전력값의 신뢰도는 기지국 장치(200) 최초 기동시에 계산된 송출전력값에 비해 다소 떨어질 수밖에 없게 되고, 따라서 이를 보완하고 기지국 장치(200)를 안정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운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송출전력 설정 가능폭을 줄여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reason why the transmission power setting width at the initial start-up of the base station gradually decreases as the operation time increases is as follows. When the base station is initially activated, the terminal 100 is artificially positioned around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in order to receive a measurement report message from the terminal 100, and thus the corresponding determination determined based on the content of the measurement report message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0. Although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will be sufficiently reliable, the automatic transmission power adaptive mode adjusts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by using the contents of a measurement report message transmitted by an arbitrary terminal having excellent downlink channel condition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terminal 100 is probable near the base station apparatus 100, the reliability of the determined transmission power value may be somewhat lower than the transmission power value calculated at the initial start-up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Therefore, the operation time is required to compensate for this and to stably operate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As time passes, it is desirable to reduce the available power setting range.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이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om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omething to do. It is also contemplated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ppended hereto.

도1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예시적인 이동통신망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1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n exemplary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 송출전력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 송출전력 제어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control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 송출전력 제어를 통해 서비스 영역을 변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hanging a service area through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 송출전력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1: 측정보고 메시지 추출부 202: 인접기지국 송출전력 수신부201: measurement report message extractor 202: neighboring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receiver

203: 기지국 주변 전파환경 분석부 204: 기지국 송출전력 결정부203: Radio environment analysis unit around the base station 204: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unit

Claims (17)

기지국의 송출전력 제어 장치로서, As a transmission power control device of a base station, 호가 연결된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서 인접 기지국의 수신신호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보고 메시지를 추출하는 측정보고 메시지 추출부; A measurement report message extracting unit extracting a measurement report message including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of a neighboring base station from a signal received from a terminal to which a call is connected; 인접 기지국 목록에 포함된 인접 기지국들의 송출전력 정보를 수신받는 인접 기지국 송출전력 정보 수신부;A neighbor base station transmit power information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transmission power information of neighbor base stations included in the neighbor base station list; 상기 수신신호세기 정보와 상기 송출전력 정보를 참조하여 기지국 주변 전파환경을 분석하는 기지국 주변 전파환경 분석부; 및 A propagation environment analysis unit surrounding the base station analyzing the radio wave environment around the base station with reference to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nd the power transmission power information; And 상기 기지국 주변 전파환경 분석부의 분석결과에 따라 기지국 송출전력을 결정하는 기지국 송출전력 결정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송출전력 제어 장치.  And a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according to an analysis result of the radio environment analysis unit around the base station.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지국 주변 전파환경 분석부는, 상기 수신세기정보와 상기 송출전력 정보로부터 각 인접 기지국과 상기 단말간 무선경로손실 정보를 확인하고, The radio environment analysis unit around the base station checks the radio path loss information between each neighboring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from the reception strength information and the transmission power information, 상기 기지국 송출전력 결정부는, 상기 무선경로손실 정보와 상기 수신신호세기 정보를 참조하여 기지국 송출전력을 결정하는, 기지국 송출전력 제어 장치. And the base station transmitting power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e base station transmitting power with reference to the radio path loss information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기지국 송출전력 결정부는, 기지국 송출전력을 결정함에 있어서, 인접 기지국들 중 수신신호세기가 최대인 기지국과 무선경로손실이 최소인 기지국을 선별한 후 이중 송출전력이 낮은 기지국의 송출전력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기지국 송출전력 제어 장치.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determining unit, in determining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selects the base station with the maximum reception signal strength and the base station with the smallest radio path loss among the adjacent base stations, and uses the transmission power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with low double transmission power. Determined by,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control devic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결정된 기지국 송출전력은, 인접 기지국과 원활한 핸드오버가 수행될 수 있는 해당 기지국의 최적의 송출전력인, 기지국 송출전력 제어 장치. The determined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control apparatus is the optimal transmission power of the base station that can perform a smooth handover with the adjacent base station. 제4항에 있어서, 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기지국은, 초기 기지국 송출전력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호 연결중인 상기 단말로부터만 상기 측정보고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초기 기지국 송출전력을 최소값으로 설정하여 출력하는, 기지국 송출전력 제어 장치. The base station, when the initial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is not set,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control apparatus for setting and outputting the initial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to the minimum value in order to receive the measurement report message only from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call. 제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기지국은, 호 설정 메시지의 변조계수와 부호화율을 최대로 설정하는, 기지국 송출전력 제어 장치. And the base station sets the modulation coefficient and the coding rate of the call setup message to the maximum. 제4항에 있어서, 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기지국 송출전력 결정부는, 상기 측정보고 메시지에 상기 기지국의 수신신호세기를 제외한 인접 기지국의 수신신호세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기지국 송출전력을 최대값으로 설정하는, 기지국 송출전력 제어 장치.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control unit,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control apparatus for setting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to the maximum value, when there is no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except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base station in the measurement report message. 제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측정보고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기지국 송출전력을 최소값으로 유지하는, 기지국 송출전력 제어 장치. The base station, if the measurement report message is not received from the terminal,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control apparatus for maintaining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to a minimum value. 제4항에 있어서, 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기지국 송출전력 결정부는, 운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송출전력 변동폭을 줄이는, 기지국 송출전력 제어 장치.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control unit,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control apparatus for reducing the variation in the transmission power as the operation time elapse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기지국 송출전력 제어 장치를 구비하여 상향링크용 수신기 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에서 보고되는 상기 측정보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옥내용 기지국. An indoor base station having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o receive the measurement report message reported from the terminal through an uplink receiver module. 기지국의 송출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base station, a) 호가 연결된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서 인접 기지국의 수신신호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보고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 a) extracting a measurement report message including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of a neighboring base station from a signal received from a terminal to which a call is connected; b) 외부로부터 인접 기지국 목록에 포함된 인접 기지국들의 송출전력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및b) receiving transmission power information of neighbor base stations included in the neighbor base station list from the outside; And c) 상기 수신신호세기 정보와 상기 송출전력 정보를 참조하여 기지국 주변 전파환경을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따라 기지국 송출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 송출전력 제어 방법. c) analyzing the radio wave environment around the base station with reference to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nd the transmitted power information, and determining the base station transmit power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제1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수신세기정보와 상기 송출전력 정보로부터 각 인접 기지국과 상기 단말간 무선경로손실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경로손실 정보와 상기 수신신호세기 정보를 참조하여 기지국 송출전력을 결정하는, 기지국 송출전력 제어 방법. In step c), the radio path loss information between each neighboring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is checked from the reception strength information and the transmission power information, and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is determined by referring to the radio path loss information and the reception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제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기지국 송출전력을 결정함에 있어서, 인접 기지국들 중 수신신호세기가 최대인 기지국과 무선경로손실이 최소인 기지국을 선별한 후 이중 송출전력이 낮은 기지국의 송출전력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기지국 송출전력 제어 방법. In determining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to determine the base station with the maximum received signal strength and the base station with the smallest radio path loss among the adjacent base stations and then to determine the base station by using the transmission power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with low double transmission power, Power control method.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3, 상기 결정된 기지국 송출전력은, 인접 기지국과 원활한 핸드오버가 수행될 수 있는 해당 기지국의 최적의 송출전력인, 기지국 송출전력 제어 방법. The determined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is a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of the optimal transmission power of the base station that can be performed smooth handover with the adjacent base station. 제1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기지국은, 초기 기지국 송출전력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기 지국이 호 연결중인 상기 단말로부터만 상기 측정보고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초기 기지국 송출전력을 최소값으로 설정하여 출력하고, 호 설정 메시지의 변조계수와 부호화율을 최대로 설정하는, 기지국 송출전력 제어 방법. The base station, when the initial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is not set, and outputs the initial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to the minimum value to receive the measurement report message only from the terminal to which the base station is connected to the call, the output of the call setup message A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for setting a modulation coefficient and a coding rate to the maximum. 제1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측정보고 메시지에 자신의 수신신호세기를 제외한 인접 기지국의 수신신호세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기지국 송출전력을 최대값으로 설정하는, 기지국 송출전력 제어 방법. In step c), if there is no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except its received signal strength in the measurement report message,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for setting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to the maximum value. 제1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측정보고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기지국 송출전력을 최소값으로 유지하는, 기지국 송출전력 제어 방법. The base station, if the measurement report message is not received from the terminal,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for maintaining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to a minimum value.
KR1020090122716A 2009-12-10 2009-12-10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power on base station KR2011006599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716A KR20110065996A (en) 2009-12-10 2009-12-10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power on base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716A KR20110065996A (en) 2009-12-10 2009-12-10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power on base st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996A true KR20110065996A (en) 2011-06-16

Family

ID=44399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716A KR20110065996A (en) 2009-12-10 2009-12-10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power on base s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5996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1309A1 (en) * 2011-11-30 2013-06-06 주식회사 케이티 Access point having multiple channels and multiple transmission powers, and cell forming method
KR20130067757A (en) * 2011-12-14 2013-06-25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system parameter of base station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the same
US9253718B2 (en) 2012-11-04 2016-02-02 Kt Corporation Establishing wireless connection based on network status
US9462551B2 (en) 2011-09-06 2016-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entral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energy efficiency of a bas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635606B2 (en) 2012-11-04 2017-04-25 Kt Corporation Access point selection and management
KR102215461B1 (en) * 2019-12-24 2021-02-15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Transmission Power for a Base Statio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62551B2 (en) 2011-09-06 2016-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entral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energy efficiency of a bas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3081309A1 (en) * 2011-11-30 2013-06-06 주식회사 케이티 Access point having multiple channels and multiple transmission powers, and cell forming method
KR20130060739A (en) * 2011-11-30 2013-06-10 주식회사 케이티 Access point having multi channel and multi transmission power, cell formation method
US9344978B2 (en) 2011-11-30 2016-05-17 Kt Corporation Access point having multichannel and multi transmission power, cell formation method
US9918236B2 (en) 2011-11-30 2018-03-13 Kt Corporation Access point having multichannel and multi transmission power, cell formation method
US10555186B2 (en) 2011-11-30 2020-02-04 Kt Corporation Access point having multichannel and multi transmission power, cell formation method
KR20130067757A (en) * 2011-12-14 2013-06-25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system parameter of base station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the same
US9253718B2 (en) 2012-11-04 2016-02-02 Kt Corporation Establishing wireless connection based on network status
US9635606B2 (en) 2012-11-04 2017-04-25 Kt Corporation Access point selection and management
US10219213B2 (en) 2012-11-04 2019-02-26 Kt Corporation Access point selection and management
KR102215461B1 (en) * 2019-12-24 2021-02-15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Transmission Power for a Base St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3397B2 (en) Neighbor cell list automatic configu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f-organizing network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the same
CN102498732B (en) Rence control method, macro terminal, macro base station, and femtocell base station
CN101459957B (en) A picocell base station and method of adjusting transmission power of pilot signals therefrom
JP5449367B2 (en) Interference control method and femto base station
EP2654335B1 (en) Wireless parameter control device, base station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wireless parameter,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1609997B1 (en) Configuring unscheduled periods to enable interference reduction in heterogeneous networks
KR101471676B1 (en) Cell management method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the same
CN101267675B (en) Device for telecom network with one or multiple base station
CN102461281B (en) By determining to reside in the activity of community and the quantity of free subscriber and save power in radio base station
US2011009804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riving Idle Mode Parameters for Cell Selection/Reselection
KR20110119578A (en) Small base station and uplink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JP5770832B2 (en) Managing the KPI impact of macro networks on large scale femtocell deployments
KR201300334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transmit power capp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KR2011006599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power on base station
US2013026080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ell transmit power to reduce interference of cell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base station for the same
KR2012000991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neighbor cells of femto cell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the same
EP248554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arge cell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101574801B1 (en) Neighbor cell list automatic configu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f-organizing network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the same
KR20120069065A (en) Method for controlling handover according to mobile velocity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the same
US9100881B2 (en) Dynamically populating media independent handover (MIH) information service database
KR101449768B1 (en) Method for configurating indoor base station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the same
KR201300781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00114345A (en) Method for controlling signaling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the same
JP2012060432A (en) Neighboring cell processing apparatus and neighboring cell processing method
KR1014497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ower controlling of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