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5159A - 다중 서버를 이용하여 다계층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의 콘텐츠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서버를 이용하여 다계층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의 콘텐츠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5159A
KR20110065159A KR1020090122032A KR20090122032A KR20110065159A KR 20110065159 A KR20110065159 A KR 20110065159A KR 1020090122032 A KR1020090122032 A KR 1020090122032A KR 20090122032 A KR20090122032 A KR 20090122032A KR 20110065159 A KR20110065159 A KR 20110065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erver
groups
transmission
transmission grou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성준
강정원
유정주
류원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22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5159A/ko
Priority to US12/964,076 priority patent/US20110138019A1/en
Publication of KR20110065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1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04N21/2310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using load balancing strategies, e.g. by placing or distributing content on different disks, different memories or different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04N21/2225Local VOD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2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decomposing into layers, e.g. base layer and one or more enhancement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5Gathering content from different sources, e.g. Internet and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1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content stream or additional data, e.g. lower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for a mobile client with a small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1Multimode Transmission, e.g. transmitting basic layers and enhancement layers of the content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or transmitting with different error corrections, different keys or with different transmission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다계층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의 콘텐츠 서비스 방법이 개시된다. 계층적 부호화 기법으로 부호화된 콘텐츠를 서로 다른 품질 레벨을 갖는 복수의 전송 그룹들로 분할하고, 분할된 복수의 전송 그룹들 각각에 해당하는 서버를 할당하여 전송 그룹들을 전송함으로써 전송 세션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계층 콘텐츠, 계층적 부호화, 다중 서버

Description

다중 서버를 이용하여 다계층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의 콘텐츠 서비스 방법{SYSTEM FOR TRANSMITTING CONTENTS WHICH COMPRISE OF MULTIPLE SUBSETS UNSING MULTIPLE SERVERS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계층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의 콘텐츠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서버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8-S-006-02, 과제명: 유무선 환경의 개방형 IPTV(IPTV 2.0) 기술개발].
VOD(Video On Demand), 또는 AOD(Audio On Demand)와 같이 On Demand 형태의 콘텐츠(Contents) 서비스는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서버에서 콘텐츠 수신을 원하는 단말장치로 해당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해서 서버와 단말 장치 사이에 독립적인 콘텐츠 전송 세션을 생성한다. 그러면, 해당 콘텐츠는 생성된 독립적인 전송 세션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단말 장치 각각으로 자유로운 콘텐츠 제어가 가능한 콘텐츠 서비스가 제공된다. 일예로, 콘텐츠 제어는 재생, 정지, 및 콘텐츠 재생 위치의 자유로운 변환(Random Access)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On Demand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복수의 콘텐츠 각각에 대해 전송을 요구하는 단말 장치의 개수만큼 전송 세션을 별도로 구성한다. 이때, 서버 리소스에 따라 하나의 서버가 동시에 서비스할 수 있는 세션의 수가 제한된다. 여기서, 서버 리소스는, 콘텐츠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버에서 필요한 모든 종류의 자원을 나타낼 수 있다. 일예로, 서버 리소스는, 서버의 처리용량 및 서버의 출력측 대역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 리소스와 콘텐츠의 부호화율은 서로 비례한다. 이에 따라, 서버에서 동시에 서비스 가능한 세션의 수는 서비스 대상 콘텐츠의 부호화율이 낮을수록 증가한다. 마찬가지로, 서버에서 동시에 서비스 가능한 세션의 수는 서비스 대상 콘텐츠의 부호화율이 높을수록 감소한다. 이에 따라. 단일 서버는 부호화율이 낮은 콘텐츠를 전송할수록 더 많은 서비스 세션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고품질의 콘텐츠는 저품질의 콘텐츠보다 부호화율이 높으므로, 콘텐츠의 화질 또는 음질이 높아질수록 단일 서버에서 동시에 서비스 가능한 세션의 수가 줄어든다. 여기서, 고품질은, 고화질 또는 고음질을 포함한다.
따라서, 고품질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서비스 가능한 전송 세션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콘텐츠 제공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계층 콘텐츠 제공 방법은, 계층적 부호화 기법으로 콘텐츠를 부호화하는 단계, 및 부호화된 콘텐츠를 서로 다른 품질 레벨을 갖는 복수의 전송 그룹들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하는 단계는, 콘텐츠를 복수의 품질 레벨들로 이루어진 계층구조로 부호화할 수 있다. 그러면, 분할하는 단계는, 복수의 품질 레벨들을 그룹핑하여 콘텐츠를 계층구조를 갖는 복수의 전송 그룹들로 분할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전송 그룹들 각각은, 해당되는 복수의 서버 각각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송 그룹들을 각각 전송하기 위해 계층구조를 갖는 복수의 서버 그룹들을 할당하는 단계, 및 복수의 서버 그룹 각각에서 서비스 중인 단말 장치의 개수 및 복수의 서버 그룹 각각의 자원 소모량에 기초하여 복수의 비할당 서버들을 포함하는 비할당 서버 그룹의 이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계층 콘텐츠 수신 방법은 서로 다른 품질 레벨을 갖는 복수의 전송 그룹들 각각에 해당하는 복수의 서버와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및 세션이 설정된 복수의 서버 각각에 해당하는 복수의 전송 그룹들을 각각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전송 그룹들은 계층적 부호화 기법으로 부호화된 콘텐츠에 포 함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는, 서로 다른 품질 레벨을 갖는 복수의 전송 그룹들 각각에 해당하는 복수의 서버를 통해 복수의 전송 그룹들을 수신하는 서브 계층 수신부, 수신된 복수의 전송 그룹들을 조합하여 계층구조의 콘텐츠로 재구성하는 서브 계층 동기화부, 및 재구성된 계층구조의 콘텐츠를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복호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콘텐츠를 서로 다른 품질을 갖는 복수의 전송그룹으로 분할하여 전송함으로써 동일한 서버 개수로도 보다 많은 전송 세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기 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계층적 부호화 기법으로 부호화된 콘텐츠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계층적 부호화 기법으로 부호화된 콘텐츠는, 서로 다른 품질 레벨로 이루어진 계층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품질은, 콘텐츠의 음질 또는 화질을 나타낼 수 있다.
일예로, 부호화된 콘텐츠는, 도 1과 같이, 1 내지 m개의 화질 레벨로 구분된 계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부호화된 콘텐츠는 제1 비디오 계층 내지 제m 비디오 계층(L1 ~ Lm)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위 계층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하위 계층을 필요로 한다. 여기서, 상위 계층은 하위 계층보다 화질 또는 음질이 좋을 수 있다. 일예로, 제i 번째 계층(Li)의 품질 레벨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제1 내지 제i-1 계층(L1~Li -1)이 모두 이용될 수 있다. 그러면, 서로 다른 품질 레벨들로 이루어진 계층들을 그룹핑하여 콘텐츠를 복수의 전송 그룹들로 분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과 같이, 0 내지 m 개의 품질 레벨들로 이루어진 부호화된 콘텐츠는 n개의 전송그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부호화된 콘텐츠는 m개의 품질 레벨들을 그룹핑하여 n개의 품질 레벨로 이루어진 제1 내지 제n 전송 그룹(p1~pn)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n개의 화질 또는 음질 레벨의 콘텐츠를 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송 그룹에서 제n 전송 그룹으로 갈수록 좋은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가장 낮은 첫 번째 품질 레벨은 제1 전송 그룹(p1)을 수신하는 경우의 품질 레벨을 나타내고, 두 번째 품질 레벨은 제1 전송 그룹(p1) 및 제2 전송 그룹(p2)을 모두 수신하는 경우의 품질 레벨을 나타낼 수 있다. 가장 높은 마지막 품질 레벨은 제1 전송 그룹(p1)부터 제n 전송 그룹(pn)까지 모두 수신하는 경우의 품질 레벨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위 전송 그룹에서 상위 전송 그룹으로 갈수록 높은 품질을 제공하고, 상위 전송 그룹으로 갈수록 하위 전송 그룹의 품질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계층구조의 콘텐츠를 다중 서버를 통해 분산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고, 도 3은 계층구조의 콘텐츠를 다중 서버를 통해 분산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계층적 부호화 기법으로 부호화된 콘텐츠는 서로 다른 품질 레벨을 갖는 복수의 전송 그룹들로 분할될 수 있다(S210). 즉, 도 3을 참조하면, 부호화된 콘텐츠는 품질 레벨에 따라 제1 내지 제n 전송 그룹(p1~pn)으로 구성된 계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분할된 복수의 전송 그룹들 각각에 해당하는 복수의 서버 그룹들을 할당할 수 있다(S230). 즉, 제1 내지 제n 전송 그룹 각각을 전송하기 위해 제1 내지 제n 전송 그룹 각각에 해당하는 제1 내지 제n 서버 그룹들(L1~Ln)이 할당될 수 있다.
그러면, 제1 내지 제n 서버 그룹들은 각각에 해당하는 제1 내지 제n 전송 그룹을 각각 단말 장치(A,B,C)로 전송할 수 있다(S250). 이때, 단말장치들(A,B,C)은 서로 다른 품질 레벨의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일예로,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전송 그룹을 전송하기 위해 복수의 제1 서버들로 구성된 제1 서버 그룹(L1)이 할당되고, 가입자 단말 장치 A의 서비스 레벨이 가장 낮은 경우, 가입자 단말 장치 A는 가장 낮은 품질 레벨에 해당하는 제1 전송 그룹(P1)을 제1 서버 그룹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송 그룹을 전송하기 위해 복수의 제2 서버들로 구성된 제2 서버 그룹(L2)이 할당되고, 가입자 단말 장치 B의 서비스 레벨이 가입자 단말 장치 A 다음으로 높은 경우, 가입자 단말 장치 B는 두 번째 품질 레벨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해 제1 및 제2 전송 그룹(P1, P2)을 각각 제1 및 제2 서버 그룹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가입자 단말 장치 C는 가장 높은 품질 레벨의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해 제1 내지 제n 전송 그룹(P1~Pn)을 각각 제1 내지 제n 서버 그룹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전송 그룹들을 계층 별로 수신하는 가입자 단말 장치의 수에 기초하여 서버 그룹에 포함된 서버의 개수를 최적으로 조절하여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n 전송 그룹들은 각각 서로 다른 비트율을 가질 수 있다.
일예로, 높은 품질 레벨을 갖는 상위 전송 그룹일수록 하위 전송 그룹보다 높은 비트율을 가질 수 있다. 즉, Pn에 가까워질수록 보다 높은 비트율을 가질 수 있다. 그러면, 품질 레벨에 따라 계층화된 복수의 전송 그룹들을 각각 해당하는 서버 그룹을 통해 전송함으로써 높은 리소스를 요구하는 전송 그룹에 해당하는 서버의 개수만 증가시키고, 낮은 리소스를 요구하는 전송 그룹에 해당하는 서버의 개수는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즉, 단일 서버가 처리할 수 있는 세션의 수가 적은 상위 전송 그룹에 해당하는 서버 그룹에 포함된 서버의 개수를 증가시키고, 하위 전송 그룹에 해당하는 서버 그룹에 포함된 서버의 개수는 증가없이 유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적은 개수의 서버로도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계층구조의 서버 그룹들에서 비할당 서버 그룹을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고, 도 5는 계층구조의 서버 그룹을 운영하기 위한 전체 서버 그룹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서버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들 중 어느 하나의 서버는 단말 장치의 개수 및 서버 그룹의 자원 소모량에 기초하여 서버 그룹의 잔여 용량을 계산할 수 있다(S410).
보다 상세하게는, 도 5를 참조하면, 전체 서버 그룹은 콘텐츠가 할당되지 않은 비할당 서버 그룹과 품질 레벨에 따라 제1 내지 제n 전송 그룹 각각에 대해 할당된 제1 내지 제n 서버 그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비할당 서버 그룹은 복수의 비할당 서버들을 포함하고, 할당된 제1 내지 제 n 서버 그룹은 각각 복수의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서버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들 중 어느 하나의 서버는 현재 자신의 서버 그룹에서 서비스 중인 단말 장치의 수와 자신의 서버 그룹에서 사용되고 있는 서버 자원 소모량을 이용하여 잔여용량을 계산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버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들 중 어느 하나의 서버는 서버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들에서 사용되고 있는 자원 소모량을 복수의 서버 들로부터 각각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서버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들 중 어느 하나의 서버는 수신된 복수의 서버들 각각의 자원 소모량을 이용하여 서버 그룹의 잔여용량을 계산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내제 제 n 서버 그룹(L1~Ln) 각각에 대한 잔여용량이 계산될 수 있다.
이때, 계산된 잔여용량이 제1 기준값 이하인 경우(S420:YES), 서버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들 중 어느 하나의 서버는, 비할당 서버 그룹에 포함된 비할당 서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자신이 속하는 서버 그룹으로 추가할 수 있다(S430). 여기서, 제1 기준값은 비할당 서버를 서버 그룹에 추가하기 위한 실수값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이때, 계산된 잔여용량 또는 잔여용량과 제1 기준값 간의 차에 기초하여 비할당 서버들 중 하나 이상이 서버 그룹으로 추가될 수 있으며, 이는 구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계산된 잔여용량이 기설정된 제1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S420:NO), 서버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들 중 어느 하나의 서버는, 잔여용량과 제2 기준값을 비교한다(S440). 여기서, 제2 기준값은 서버 그룹에 포함된 서버 들을 비할당 서버 그룹으로 반환하기 위한 실수값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잔여용량이 제2 기준값 이상인 경우(S440:YES), 서버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들 중 어느 하나의 서버는 자신이 속하는 서버 그룹에 포함된 서버들 중 적어도 하나를 비할당 서버 그룹으로 반환할 수 있다(S450).
이때, 서버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들 중 어느 하나의 서버는 서버 그룹에 포함된 서버 각각의 잔여용량을 계산하여, 여유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를 비할당 서버 그룹으로 반환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의 잔여용량은 S430 단계와 동일한 방법을 통해 계산될 수 있다. 또한, 계산된 잔여용량 또는 잔여용량과 제2 기준값의 차에 기초하여 서버 그룹에 포함된 서버들 중 하나 이상이 비할당 서버 그룹으로 반환될 수 있으며, 이는 구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이와 같이, S430 및 S450 단계를 통해, 현재 서비스 중인 단말 장치들과의 전송 세션 및 전송 세션의 콘텐츠 품질 레벨에 대해 항상 최적인 서버 그룹의 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 서버 그룹에서 동시에 제공 가능한 단말 장치와의 전송 세션의 수가 증가될 수 있다.
한편, S440 단계에서, 잔여용량이 제2 기준값 미만인 경우(S440:NO), 서버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들 중 어느 하나의 서버는 자신이 속하는 서버 그룹의 현재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S460). 즉, 서버 그룹에 포함된 서버 개수가 변경 없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도 6은 서로 다른 품질 레벨을 갖는 계층구조의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600)는 서브 계층 수신부(610), 서브 계층 동기화부(630), 및 복호화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계층 수신부(610)는 서로 다른 품질 레벨을 갖는 복수의 전송 그룹들 각각에 해당하는 복수의 서버 그룹들(L1~Ln)로부터 각각 전송된 복수의 전송 그룹들(P1~Pn)을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또한, 서브 계층 수신부(610)는 복수의 전송 그룹들(P1~Pn)을 각각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서버 그룹들(L1~Ln) 각각에 해당하는 제1 내지 제n 서브 계층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 이때, 서브 계층 수신부(610)는 복수의 전송 그룹들을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서버 그룹들 각각과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브 계층 수신부(610)는 복수의 전송 그룹들 중 하위 전송 그룹에 해당하는 서버 그룹(L1)부터 상위 전송 그룹에 해당하는 서브 그룹(Ln) 순서로 서버 그룹들과의 세션을 각각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서브 계층 수신부(610)는 세션이 설정된 하위 전송 그룹에 해당하는 서버 그룹부터 상위 전송 그룹에 해당하는 서버 그룹 순서로 복수의 전송 그룹들을 각각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을 참조하면, 하위 전송 그룹은 품질 레벨이 낮은 전송 그룹(p1)이고, 상위 전송 그룹은 품질 레벨일 높은 전송 그룹(pn)을 나타낼 수 있다.
서브 계층 동기화부(630)는 제1 내지 제n 서브 계층 수신부를 통해 품질 레벨 별로 수신된 복수의 전송 그룹들 각각을 조합하여 하나의 콘텐츠로 재구성할 수 있다.
이때, 서브 계층 동기화부(630)는 제1 내지 제n 서브 계층 수신부를 통해 비동기 상태로 각각 수신한 전송 그룹들을 복호화부(650)에서 해석 가능한 순서로 조합하여 콘텐츠를 재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재구성되는 콘텐츠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계층적 부호화 기법으로 부호화된 콘텐츠일 수 있다.
그러면, 복호화부(650)는 재구성된 계층구조의 콘텐츠를 복호화하여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600)는 서브 계층 수신부(610) 및 서브 계층 동기화부(630)를 통해 서로 다른 서버가 독립적으로 콘텐츠를 전송하더라도 하나의 콘텐츠로 재구성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600)와 복수의 서버 간에 전송 세션이 설정된 경우, 하나의 단말 장치(600)는 설정된 복수의 전송 세션을 한꺼번에 관리하므로, 품질 레벨에 따라 수신된 전송 그룹들로부터 계층구조의 콘텐츠를 재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잔여용량과 제1 및 제2 기준값을 비교함에 있어서, "이하" 또는 "이상"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미만" 또는 "초과"를 사용하여 잔여용량과 제1 및 제2 기준값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기준값을 이용하여 비할당 서버를 서버 그룹에 추가하거나 혹은 서버 그룹에 포함된 서버를 비할당 서버로 반환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비할당 서버를 서버 그룹에 추가하거나 혹은 서버 그룹에 포함된 서버를 비할당 서버로 반환함에 있어서 하나의 기준 값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기준값이 동일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계층적 부호화 기법으로 부호화된 콘텐츠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계층구조의 콘텐츠를 다중 서버를 통해 분산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계층구조의 콘텐츠를 다중 서버를 통해 분산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4는 계층구조의 서버 그룹들에서 비할당 서버 그룹을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계층구조의 서버 그룹을 운영하기 위한 전체 서버 그룹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서로 다른 품질 레벨을 갖는 계층구조의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10: 서브 계층 수신부
630: 서브 계층 동기화부
650: 복호화부

Claims (17)

  1. 계층적 부호화 기법으로 콘텐츠를 부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부호화된 콘텐츠를 서로 다른 품질 레벨을 갖는 복수의 전송 그룹들로 분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계층 콘텐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를 복수의 품질 레벨들로 이루어진 계층구조로 부호화하고,
    상기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품질 레벨들을 그룹핑하여 상기 콘텐츠를 계층구조를 갖는 상기 복수의 전송 그룹들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층 콘텐츠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송 그룹들 각각은, 해당되는 복수의 서버 각각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층 콘텐츠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송 그룹들을 각각 전송하기 위해 계층구조를 갖는 복수의 서 버 그룹들을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서버 그룹 각각에서 서비스 중인 단말 장치의 개수 및 상기 복수의 서버 그룹 각각의 자원 소모량에 기초하여 복수의 비할당 서버들을 포함하는 비할당 서버 그룹의 이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계층 콘텐츠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의 개수 및 상기 자원 소모량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버 그룹 각각의 잔여용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잔여용량이 기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비할당 서버를 상기 할당된 복수의 서버 그룹들 중 적어도 하나에 추가하거나, 또는 상기 할당된 복수의 서버 그룹들에 포함된 복수의 할당 서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비할당 서버 그룹으로 반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계층 콘텐츠 제공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전송 그룹들 각각에 해당하는 품질 레벨들로 이루어진 계층구조를 갖도록 복수의 서브 그룹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층 콘텐츠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송 그룹들은 각각 상기 서로 다른 품질 레벨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비트율을 제공하도록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층 콘텐츠 제공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은, 상기 콘텐츠의 화질 또는 음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층 콘텐츠 제공 방법.
  9. 서로 다른 품질 레벨을 갖는 복수의 전송 그룹들 각각에 해당하는 복수의 서버와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세션이 설정된 복수의 서버 각각에 해당하는 상기 복수의 전송 그룹들을 각각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송 그룹들은 계층적 부호화 기법으로 부호화된 콘텐츠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층 콘텐츠 수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전송 그룹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복수의 서버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층 콘텐츠 수신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복수의 전송 그룹들을 조합하여 상기 계층적 부호화 기법으로 부호화된 콘텐츠를 재구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계층 콘텐츠 수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된 콘텐츠를 복호화하여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계층 콘텐츠 수신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전송 그룹들 중 상기 품질 레벨이 낮은 하위 전송 그룹에 해당하는 서버 그룹부터 상기 품질 레벨이 높은 상위 전송 그룹에 해당하는 서버 그룹 순으로 세션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층 콘텐츠 수신 방법.
  14. 서로 다른 품질 레벨을 갖는 복수의 전송 그룹들 각각에 해당하는 복수의 서버를 통해 상기 복수의 전송 그룹들을 수신하는 서브 계층 수신부;
    상기 수신된 복수의 전송 그룹들을 조합하여 계층구조의 콘텐츠로 재구성하는 서브 계층 동기화부; 및
    상기 재구성된 계층구조의 콘텐츠를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복호화부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계층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전송 그룹들을 각각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서버에 해당하는 복수의 서브 계층 수신부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계층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전송 그룹들의 품질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버들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복수의 전송 그룹들을 각각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계층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전송 그룹들 중 품질 레벨이 낮은 하위 전송 그룹에 해당하는 서버로부터 상기 품질 레벨이 높은 상위 전송 그룹에 해당하는 서버 순서로 상기 복수의 전송 그룹들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KR1020090122032A 2009-12-09 2009-12-09 다중 서버를 이용하여 다계층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의 콘텐츠 서비스 방법 KR2011006515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032A KR20110065159A (ko) 2009-12-09 2009-12-09 다중 서버를 이용하여 다계층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의 콘텐츠 서비스 방법
US12/964,076 US20110138019A1 (en) 2009-12-09 2010-12-09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layered content using plurality of serv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032A KR20110065159A (ko) 2009-12-09 2009-12-09 다중 서버를 이용하여 다계층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의 콘텐츠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159A true KR20110065159A (ko) 2011-06-15

Family

ID=44083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032A KR20110065159A (ko) 2009-12-09 2009-12-09 다중 서버를 이용하여 다계층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의 콘텐츠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138019A1 (ko)
KR (1) KR201100651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4744B2 (en) 2010-02-03 2014-10-28 Vm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optimizing capacity between server clusters
US8660057B2 (en) * 2010-08-26 2014-02-25 Golba, Llc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ed communication
US20150271541A1 (en) * 2014-03-19 2015-09-24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recording a media stream
US10375452B2 (en) 2015-04-14 2019-08-06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thumbnail generation
US10652594B2 (en) 2016-07-07 2020-05-12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presentation of key frames in encrypted content
CN109857518B (zh) * 2019-01-08 2022-10-14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网络资源的分配方法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56266A2 (en) * 2000-01-28 2001-08-02 Ibeam Broadcastin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er-based distribution of live video and other streaming content
US7421489B2 (en) * 2000-12-29 2008-09-02 Nortel Network Limited Network protocols for distributing functions within a network
JP4230673B2 (ja) * 2001-02-22 2009-02-25 富士通株式会社 サービス管理装置
US20020144276A1 (en) * 2001-03-30 2002-10-03 Jim Radford Method for streamed data delivery over a communications network
US7426560B2 (en) * 2002-06-27 2008-09-16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quality of service in a network
US8773494B2 (en) * 2006-08-29 2014-07-08 Microsoft Corporation Techniques for managing visual compositions for a multimedia conference call
US7979570B2 (en) * 2008-05-12 2011-07-12 Swarmcast, Inc. Live media delivery over a packet-based computer network
US8265140B2 (en) * 2008-09-30 2012-09-11 Microsoft Corporation Fine-grained client-side control of scalable media delivery
US9197677B2 (en) * 2009-03-09 2015-11-24 Arris Canada, Inc. Multi-tiered scalable media streaming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38019A1 (en)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rangi et al. Energy-efficient multicasting of scalable video streams over WiMAX networks
CN105392068B (zh) 分布式多传输信道网络直播视频并行分发方法及系统
CN101512948B (zh) 内容自适应多媒体编码及物理层调制
CN102090061B (zh) 使用多个通道的视频流传输
CN101690078B (zh) 多视频流传输中的带宽分配控制
US7970932B2 (en) View-upload decoupled peer-to-peer video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Eltobgy et al. Mobile streaming of live 360-degree videos
KR20110065159A (ko) 다중 서버를 이용하여 다계층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의 콘텐츠 서비스 방법
CN102469072A (zh) 流媒体服务方法、系统及客户端
CN101395865A (zh) 用于发送媒体数据的装置和方法以及用于接收媒体数据的装置和方法
US8296812B1 (en) Streaming video using erasure encoding
US11201833B2 (en) Aggregated adaptive bit rate streaming
CN108063911B (zh) 一种视频会议扩容方法
TW201204042A (en) Logical channel mapping for increased utilization of transmission resources
KR20100111834A (ko) 멀티캐스트 전송과 유니캐스트 전송을 동시에 활용한 계층적 콘텐츠의 적응적 전송 장치 및 방법
US201102168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streaming using scalable video coding scheme
US201202401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ireless service using scalable video coding
Omer et al. Window‐based adaptive technique for real‐time streaming of scalable video over cognitive radio networks
CN103701827A (zh) 基于自适应流媒体服务网关系统实现流媒体播放的方法
Kao et al. I2CC: Interleaving two-level cache with network coding in peer-to-peer VoD system
Sharangi et al. Streaming scalable video over WiMAX networks
Chowdhury et al. Quality-aware popularity based bandwidth allocation for scalable video broadcast over wireless access networks
Ostovari et al. Robust wireless delivery of scalable videos using inter-layer network coding
Lin et al. Video multicast with heterogeneous user interests in multi-rate wireless networks
Chang et al. A Novel Bandwidth Management System for Live Video Streaming on a Public-Shared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