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5052A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5052A
KR20110065052A KR1020090121883A KR20090121883A KR20110065052A KR 20110065052 A KR20110065052 A KR 20110065052A KR 1020090121883 A KR1020090121883 A KR 1020090121883A KR 20090121883 A KR20090121883 A KR 20090121883A KR 20110065052 A KR20110065052 A KR 20110065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ignal
control unit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8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정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1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5052A/en
Publication of KR20110065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05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to offer a high quality product by making the reproduction and recoding a sound easy. CONSTITUTION: A motion sensor(20) senses a mo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The motion sensor outputs the motion as a signal. A control unit(10) receives the output of the motion sensor.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grip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If a call request signal is inputted, the control unit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a microphone or a speaker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grip direction among a plurality of microphones(41,42) and speakers(51,52).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Mobile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풀 터치패널이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a full touch panel is applied.

근래 터치 스크린을 채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출시가 급증하고 있는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은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한 점을 손가락 등으로 누르면 그 접촉점의 좌표를 출력하는 위치 감지기를 포함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화면이 터치 패드의 역할을 겸하는 장치를 터치스크린으로 정의할 수 있다. In recent years, the introdu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mploying a touch screen is rapidly increasing, the touch screen (touch screen) includes a position sensor that outputs the coordinates of the contact point when pressing a point on the display screen with a finger or the like. For example, a device in which the display screen serves as a touch pad may be defined as a touch screen.

특히,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에게 화면상에 출력되는 내용과 화면을 통하여 입력되는 내용의 대화적이고 즉시적인 대응을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다채로운 형태의 입력이 가능하여 높은 사용자 만족도와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고정적인 배열을 가지는 키-패드와 같은 정형화된 사용자 입력 장치에 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출력장치와 입력장치를 일체화시키는 개념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가능하게 한다. In particular, the touch screen can provide a user with an interactive and immediate correspondence between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contents input through the screen, and various types of inputs are possible to provide high user satisfaction and ease of use. can do. That is, as a concept of integrating the output device constituting the user interface and the input device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user input device such as a key pad having a fixed arrangement, it enables various types of input and output at the same time.

특히, 종래의 저해상도 숫자 및 문자로 구성된 텍스트 기반 인터페이스에서 고해상도의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로 변화되어 가면서, 그래픽 기반의 객체를 통한 입력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키-패드를 대체할 경우에는 키-패드 설치면적을 생략 가능하므로 동일한 체적을 가지는 단말기에서 상대적으로 대화면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해진다는 장점 또한 가진다.In particular, as a change from the conventional low-resolution text-based interface consisting of numbers and letters to a high-resolution graphic-based interface, it becomes possible to realize input through graphic-based objects, and to install a key-pad when replacing a key-pad. Since the area can be omitted, a display having a relatively large screen can be relatively possible in a terminal having the same volume.

따라서, 도 5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터치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모듈(7)과, 카메라 모듈(8), 스피커(5), 마이크(4) 만의 구성요소가 외관에 드러나게 된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5, only the display module 7 capable of touch input, the camera module 8, the speaker 5, and the microphone 4 are expos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스피커(5)와 마이크(4)의 위치를 혼동하여 위치가 바뀐채로 통화를 시도하려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중 일반 녹음 및 동영상 녹화와 같은 녹음기능이 동작할 때, 마이크(4)가 모노(Mono) 타입으로 구비되어 실제적인 녹음이 스테레오가 아닌 모노로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는 동영상 재생을 포함하는 사운드 재생 기능에 있어서도 스피커(5)가 모노 재생을 수행할 수 밖에 없는 단점과 맞물린다.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above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confuse the position of the speaker 5 and the microphone 4 and attempt to make a call while the position is changed. In addition, when a recording function such as general recording and video recording among the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perated, the microphone 4 is provided in a mono type, so that the actual recording is made of mono instead of stereo. This is coupled with the disadvantage that the speaker 5 has no choice but to perform mono playback even in a sound playback function including video playback.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복수의 마이크 및 스피커와 사용자의 파지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모션 감지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전화를 수신할 때 어떤 방향으로 파지하더라도 적절하게 음성 수신 및 음성 발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disadvantages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icrophones and speakers and a mo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gripping direction of the user appropriately receiving voice in any direction when the user receives a call And voice transmission can be made.

또한, 사운드의 재생 및 녹음시 복수의 마이크 및 스피커를 이용함으로써 스테레오 녹음 및 서라운드 재생을 지원한다.In addition, by usi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and speakers for sound playback and recording, it supports stereo recording and surround playback.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복수의 마이크와, 복수의 스피커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션을 감지하여 이를 신호로 출력하는 모션센서와, 상기 모션센서의 출력을 입력받아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지방향을 연산하고, 통화를 위한 호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마이크 및 스피커 중 연산된 파지방향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마이크 및 스피커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lurality of microphones, a plurality of speakers, a mo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mo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utputs it as a signal, and the output of the motion sensor To calculate the gripping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any one of the microphone and speaker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gripping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and speakers when a call request signal for a call is input It includes a control unit.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모션센서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통화중 상태인지 판단하여, 통화중 상태이면 동작중인 어느 하나의 마이크 및 스피커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In addi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f a signal is input from the motion sensor, and determines whether the call state,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to maintain the state of any one of the microphone and speaker in operation when the call state .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 기 제어부는, 모션센서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통화중 상태인지 판단하여, 통화중이 아니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화상의 방향을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module, the control unit, if a signal is input from the motion sensor to determine whether the call state, if not in the call direction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hange.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녹음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마이크에 온동작 신호를 출력한다.In addi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cording request signal is input from the outside, the control unit outputs an on operation signal to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사운드 재생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스피커에 온동작 신호를 출력한다.Furth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ound reproduction request signal is input from the outside, the control unit outputs an on operation signal to the plurality of speakers.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어셋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셋 인터페이스로부터 동작요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스피커에 오프동작 신호를 출력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n earset interface, and the controller outputs an off operation signal to the plurality of speakers when an operation request signal is input from the earset interfac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파지에 상관없이 음성 수신 및 발신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easy voice reception and transmission regardless of the user's grip.

특히, 사운드 녹음이나 재생시 스테레오 녹음 및 재생, 서라운드 재생이 용이하여 질 높은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supply high quality products by facilitating stereo recording and playback and surround playback during sound recording or playback.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the inventive concept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도 한다.Now,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파지방향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지방향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1 is a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cal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gripping direction when receiving a call.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gripping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llustrated in FIG. 2.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터치가 가능하도록 된 디스플레이 모듈(70)과, 제1 및 제2 스피커(51, 52)와, 제1 및 제2 마이크(41, 42)와, 카메라 모듈(80)이 외관에 드러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80)은 하나만 구비함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복수개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module 70, a first and second speakers 51 and 52, a first and second microphones 41 and 42, a camera module, 80) is installed to be visible on the exterior. In this embodiment, only one camera module 80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a plurality of camera modules 80 may be installed.

즉, 최근 출시되고 있는 풀터치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경우, 별도의 기구적인 키패드가 설치되지 않아서, 상하의 구분이 어렵고 통화 호 수신시 사용자는 무의식 중에 상하의 위치가 바뀐채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파지하여 통화를 시도하는 불편함이 있는 바, 스피커(51, 52) 및 마이크(41, 42)를 복수개 구비하여 어느 방향으로 파지하여도 자연스러운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동통 신 단말기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스피커(51, 52), 마이크(41, 42)를 복수개 설치한다. That is, in the case of the recently released full-tou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nce no separate mechanical keypad is installed,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top and bottom, and when receiving a call, the user grip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top and bottom during unconsciousness to make a call.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rying to provide a plurality of speakers (51, 52) and the microphone (41, 42) to enable a natural call even in any direction gripping. Therefore, a plurality of speakers 51 and 52 and a plurality of microphones 41 and 42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positions symmetrical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is as follows.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패드 모듈(30), 모션 감지부(20), 제어부(10), 이어셋 인터페이스(60)를 포함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keypad module 30, a motion detection unit 20, a control unit 10, and an earset interface 60.

상기 키패드 모듈(30)은 기구적인 키패드의 구성이 아닌, 터치패널상에서 사용자가 터치로 키패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모션 감지부(2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지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 G 센서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이어셋 인터페이스(60)는 이어셋 통화 및 이어폰을 통한 음악감상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그 종류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The keypad module 30 is not intended to be a mechanical keypad, but means to allow a user to perform a keypad operation by a touch on a touch panel. The motion detection unit 20 is for detecting a gripping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s usually provided including a G sensor. The earset interface 60 is an interface for listening to music through earphones and earphones,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kinds.

상기 제어부(10)는 통화 호 수신 및 통화 호 발신시에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파지방향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마이크 및 스피커를 동작시켜야 하는바, 도 3에 상기와 같은 제어부(10)의 동작이 플로우 챠트로 표시되어 있다.The control unit 10 should detect the gripping direction of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the time of receiving a call and transmitting a call, and should operate a microphone and a speaker of a position corresponding thereto, as shown in FIG. 3. The operation of is indicated by the flow chart.

통상의 통화 호를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0)는 모션 감지부(20)로부터 사용자의 파지방향을 확인하고(S13), 상기 방향에 대응되는 마이크 및 스피커를 동작하도록 한다. 즉, 사용자의 파지방향이 제1 방향일 때, 도 1의 도면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파지 방향이 동일하는 경우에는 제1 스피커(51)와, 제1 마이크(42)가 동작되도록 하며 상하가 바뀐 방향으로 파지한 경우에는 제2 스피커(52)와 제2 마이크(41)가 동작되도록 한다. 이때, 화면의 방향이 바뀌도록 제어 함도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When a signal for requesting a normal call is received, the controller 10 checks the gripping direction of the user from the motion detector 20 (S13), and operates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That is, when the gripping direction of the user is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gripping direction is the same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llustrated in the drawing of FIG. 1, the first speaker 51 and the first microphone 42 are operated to operate. When is gripped in the changed direction, the second speaker 52 and the second microphone 41 are operated. In this case, it will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direction of the screen is changed.

통화 중인 상태에서 즉,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 및 마이크 중 어느 한 스피커 및 마이크가 동작중인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자세를 변경하여도 동작중인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즉, 사용자가 기립한 상태에서 통화중에 눕는 자세를 취하여도 동작중인 어느 한 스피커 및 마이크의 동작상태는 유지되어야 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파지방향 변경이 감지되어도(S22), 통화중이면 현재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통화중이 아니면 화면의 방향이 바뀌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24).In a call state, that is,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peakers and the microphone is in operation, the user must maintain the operating state even if the user changes his posture. That is, even if the user stands up while standing in a call while standing, the operating state of any one of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in operation should be maintained, as shown in FIG. 4. If so, and maintains the current state,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screen changes if not in the call (S24).

한편, 사용자가 이어셋을 통해 음악 감상등 중에 통화 호 수신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는 이어셋을 통해 음성 수신 및 발신을 수행 하므로, 제어부(10)는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51,52)에 오프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이어셋 인터페이스(60)을 통해 음성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 user receives a call call request signal while listening to music through an earset, the user performs voice reception and transmission through the earset, so that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speakers 51 and 52. ) Outputs an off-control signal and enables voice transmission and reception via the earset interface 60.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80)을 이용한 동영상 촬영등과 같은 사운드 녹음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제1 및 제2 마이크(41,42)에 온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사운드의 스테레오 녹음이 가능하도록 하며, 사운드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의 재생시 제1 및 제2 스피커(51,52)에 온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스테레오 재생은 물론, 서라운드 재생도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a sound recording request signal such as video recording using the camera module 80 is input, the controller 10 outputs an on-op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first and second microphones 41 and 42. Stereo recording of the sound is possible, and on playback control signals are output to the first and second speakers 51 and 52 when the multimedia including the sound is reproduced, thereby enabling stereo reproduction as well as surround reproduction.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 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hange and modif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Therefore,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이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파지방향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 gripping direction when a call is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llustrated in FIG. 2.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지방향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 gripping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llustrated in FIG. 2.

도 5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laims (6)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복수의 마이크와,Multiple microphones, 복수의 스피커와,With a plurality of speakers,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션을 감지하여 이를 신호로 출력하는 모션센서와,A motion sensor that detects the mo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utputs it as a signal; 상기 모션센서의 출력을 입력받아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지방향을 연산하고, 통화를 위한 호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마이크 및 스피커 중 연산된 파지방향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마이크 및 스피커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Calculate the gripping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receiving the output of the motion sensor, and when a call request signal for a call is input, operate any one of the microphones and speakers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gripping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and speakers.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모션센서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통화중 상태인지 판단하여, 통화중 상태이면 동작중인 어느 하나의 마이크 및 스피커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utputs a control signal to maintain the state of any one of the microphones and speakers in operation when the signal is input from the motion sensor to determine whether it is in a call st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display module,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모션센서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통화중 상태인지 판단하여, 통화중이 아니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화상의 방향을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signal input from a motion sensor to determine whether a call is in a busy state, and output a control signal for changing a direction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if not in a cal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외부로부터 녹음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경우,When a recording request signal is input from the outside, 상기 복수의 마이크에 온동작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outputting an on operation signal to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외부로부터 사운드 재생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경우,When a sound reproduction request signal is input from the outside, 상기 복수의 스피커에 온동작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outputting an on operation signal to the plurality of speaker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이어셋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Further includes an earset interface,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이어셋 인터페이스로부터 동작요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스피커에 오프동작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utputs an off operation signal to the plurality of speakers when an operation request signal is input from the earset interface.
KR1020090121883A 2009-12-09 2009-12-0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1006505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883A KR20110065052A (en) 2009-12-09 2009-12-0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883A KR20110065052A (en) 2009-12-09 2009-12-0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052A true KR20110065052A (en) 2011-06-15

Family

ID=44398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883A KR20110065052A (en) 2009-12-09 2009-12-0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5052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5939A (en) * 2012-08-23 2014-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as and method for selecting a mic of detecting a voice signal intensity in an electronic device
US9112982B2 (en) 2013-02-19 2015-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sound input and outpu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20027364A1 (en) * 2018-07-31 2020-02-06 (주)아이언디바이스 Audio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WO2020133226A1 (en) * 2018-12-28 2020-07-02 深圳市欢太科技有限公司 Conversation quality adjustment method, readabl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WO2021157891A1 (en) * 2020-02-05 2021-08-12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sound path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5939A (en) * 2012-08-23 2014-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as and method for selecting a mic of detecting a voice signal intensity in an electronic device
US9113239B2 (en) 2012-08-23 2015-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microphone by detecting voice signal strength
US9112982B2 (en) 2013-02-19 2015-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sound input and outpu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20027364A1 (en) * 2018-07-31 2020-02-06 (주)아이언디바이스 Audio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WO2020133226A1 (en) * 2018-12-28 2020-07-02 深圳市欢太科技有限公司 Conversation quality adjustment method, readabl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WO2021157891A1 (en) * 2020-02-05 2021-08-12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sound path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3882B2 (en) Techniques for acoustic management of entertainment devices and systems
US9077796B2 (en) System contain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ssociated docking station
CN107071648B (en) Sound playing adjusting system, device and method
CN108319445B (en) Audio play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2011005460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controlling of bluetooth device
WO2019201271A1 (en) Call process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20110044478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udio output and input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9739465B (en) Audio output method and mobile terminal
WO2021129529A1 (en) Device switch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WO2021037074A1 (en) Audio output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10065052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21136141A1 (en) Playback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10809226A (en) Audio play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WO2021129835A1 (en) Volume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09194827B (en) Terminal device, audio signal output method and system
CN111432071B (en) Call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WO2021031715A1 (en) Incoming call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23521882A (en) Audio output method switch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JP2007096742A (en) Input device, it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voice communication
CN108804071B (en) Receiver driv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JP2010263559A (en) Portable telephone, and method and program for selecting loudspeaker to reproduce stereo sound
CN109218922B (en) Control method for outputting audio signal, terminal and audio signal output device
JP2012191611A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hangeover method
CN107124677B (en) Sound output control system, device and method
US2012030012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tv phon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