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5303A -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5303A
KR20110055303A KR1020090112260A KR20090112260A KR20110055303A KR 20110055303 A KR20110055303 A KR 20110055303A KR 1020090112260 A KR1020090112260 A KR 1020090112260A KR 20090112260 A KR20090112260 A KR 20090112260A KR 20110055303 A KR20110055303 A KR 20110055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driver
driving
luminanc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2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재성
김진형
이현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2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5303A/en
Publication of KR20110055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30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1Direct backlight including means for improving the brightness uniform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2Digital function generators
    • G06F1/03Digital function generators working, at least partly, by table look-u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09G5/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using colour palettes, e.g. look-up t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PURPOSE: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provided to improve and reduce power consumption by forming a power driving part varying driving power according to brightness information. CONSTITUTION: A data driving part(DDRV) supplies a data signal to a display panel. A power driving part supplies driving power to the display panel. A feedback part varies the driving power outputted according to the brightness information. The power driving part changes a reference voltage according to the brightness information. The brightness information is supplied from a timing driving part(TCN) supplying the data signal to the data driving part.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Light Emitting Display Device}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유기전계발광소자는 기판 상에 위치하는 두 개의 전극 사이에 발광층이 형성된 자발광소자이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빛이 방출되는 방향에 따라 전면발광(Top-Emission) 방식, 배면발광(Bottom-Emission) 방식 또는 양면발광(Dual-Emission) 방식 등이 있다. 그리고, 구동방식에 따라 수동매트릭스형(Passive Matrix)과 능동매트릭스형(Active Matrix) 등으로 나누어져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a self-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light emitting layer formed between two electrodes positioned on a substrat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cludes a top emission type, a bottom emission type, or a dual emission type according to a direction in which light is emitted. According to the driving method, it is divided into a passive matrix type and an active matrix type.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배치된 서브 픽셀은 스위칭 트랜지스터, 구동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부와 트랜지스터부에 포함된 구동 트랜지스터에 연견된 하부전극, 유기 발광층 및 상부전극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한다.The subpixels dispos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e a transistor unit including a switching transistor, a driving transistor, and a capacito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ncluding a lower electrode,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n upper electrode connected to the driving transistor included in the transistor unit. d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서브 픽셀에 스캔 신호, 데이터 신호 및 전원 등이 공급되면, 선택된 서브 픽셀이 발광을 하게 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scan signal, the data signal, and the power are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subpixels arranged in a matrix for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may display an image by emitting light of the selected subpixel.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서브 픽셀에 포함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 전압이 필요하다. 그런데, 종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전원 전압을 하나의 값으로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종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전원의 전압이 항상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영상 출력에 사용되는 전류에 의해서만 소비전력이 결정된다. 그러므로, 종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requires a power supply voltage for driving an element included in a subpixel. However, the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es a method of fixing the power supply voltage to one value. In the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since the voltage of the power source is always fixed, the power consumption is determined only by the current used for the image output.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ere should be a way to use the power efficiently.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휘도 정보에 따라 구동 전원을 가변하여 소비전력을 개선 및 저감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of the background art is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hich can improve and reduce power consumption by varying driving power according to luminance information.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은, 표시패널; 표시패널에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구동부; 및 표시패널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며 휘도 정보에 따라 구동 전원을 가변하는 전원구동부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 a problem solving mean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panel; A data driver supplying a data signal to the display panel; And a power driver for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display panel and varying the driving power according to the luminance information.

전원구동부는, 휘도 정보에 따라 출력되는 구동 전원을 가변하는 되먹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driver may include a feedback unit that varies the driving power output according to the luminance information.

전원구동부의 출력전압은 하기 수학식과 같고,The output voltage of the power driver is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9071196142-PAT00001
Figure 112009071196142-PAT00001

Vout은 전원구동부의 출력전압이고, Vref는 전원구동부의 기준전압이며, RFB1은 전원구동부에 포함된 되먹임무의 제1저항값이고, RFB2는 전원구동부에 포함된 되먹임부의 제2저항값일 수 있다.V out is the output voltage of the power driver, V ref is the reference voltage of the power driver, R FB1 is the first resistance value of the feedback duty included in the power driver, and R FB2 is the second resistance of the feedback part included in the power driver. Can be a value.

전원구동부는, 휘도 정보에 따라 기준전압을 변경시킬 수 있다.The power driver may change the reference voltage according to the luminance information.

전원구동부 되먹임부를 포함하며, 되먹임부는 휘도 정보에 따라 N개의 저항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전원구동부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전원을 가변할 수 있다.The power driver may include a feedback unit, and the feedback unit may select at least one of N resistance values according to luminance information to vary the driving power output from the power driver.

전원구동부 되먹임부를 포함하며, 되먹임부는 휘도 정보에 따라 N개의 저항기를 직렬 및 병렬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하여 전원구동부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전원을 가변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driving unit includes a feedback unit, and the feedback unit may configure the N resistors in one or more of series and parallel according to the luminance information to vary the driving power output from the power driving unit.

전원구동부 되먹임부를 포함하며, 되먹임부는 N개의 저항기와, N개의 저항기의 적어도 일단에 접속되며 휘도 정보에 따라 N개의 저항기를 직렬 및 병렬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하는 스위치군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driving unit feedback unit may include an N resistor and a switch group connected to at least one end of the N resistors and configuring the N resistors in one or more of series and parallel according to the luminance information.

휘도 정보는, 데이터구동부에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타이밍구동부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The luminance information may be supplied from a timing driver which supplies a data signal to the data driver.

타이밍구동부는, 휘도 정보를 펄스폭변조 방식 또는 디지털통신 방식으로 전원구동부에 공급할 수 있다.The timing driver may supply the luminance information to the power driver in a pulse width modulation method or a digital communication method.

타이밍구동부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의 휘도를 분석하는 휘도 분석부와, 휘도 분석부를 통해 분석된 휘도에 따라 휘도 정보를 생성하는 룩업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The timing driver may include a luminance analyzer that analyzes the luminance of the data signal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a lookup table that generates lumina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uminance analyzed by the luminance analyzer.

본 발명은, 휘도 정보에 따라 구동 전원을 가변할 수 있도록 전원구동부를 구성하여 소비전력을 개선 및 저감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효 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의 구동 중 휘도 정보에 대응하여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configuring a power source driving unit to vary the driving power source according to luminanc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at can efficiently use power in response to luminance information during driving of the device.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pecific content for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의 회로 구성 예시도 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emplary circuit diagram of a subpixel shown in FIG.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표시패널(PNL), 타이밍구동부(TCN), 스캔구동부(SDRV), 데이터구동부(DDRV) 및 전원구동부(PWR)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PNL, a timing driver TCN, a scan driver SDRV, a data driver DDRV, and a power driver. PWR).

타이밍구동부(TCN)는 외부 예컨대 시스템보드로부터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DE), 클럭신호(CLK), 데이터신호(DDATA) 등을 공급받는다. 타이밍구동부(TCN)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DE), 클럭신호(CLK) 등의 타이밍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구동부(DDRV)와 스캔구동부(SDRV)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타이밍구동부(TCN)는 1 수평기간의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를 카운트하여 프레임기간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수직 동기신호(Vsync)와 수평 동기신호(Hsync)는 생략될 수 있다. 타이밍구동부(TCN)에서 생성되는 제어신호들에는 스캔구동부(SDRV)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 이밍 제어신호와 데이터구동부(DDRV)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에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GSP), 게이트 시프트 클럭(Gate Shift Clock, GSC),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ate Output Enable, GOE) 등이 포함된다.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는 첫 번째 게이트신호가 발생하는 게이트 드라이브 IC(Integrated Circuit)에 공급된다. 게이트 시프트 클럭(GSC)은 게이트 드라이브 IC들에 공통으로 입력되는 클럭신호로써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를 시프트시키기 위한 클럭신호이다.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OE)는 게이트 드라이브 IC들의 출력을 제어한다.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에는 소스 스타트 펄스(Source, Start Pulse, SSP), 소스 샘플링 클럭(Source Sampling Clock, SSC),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urce Output Enable, SOE) 등이 포함된다. 소스 스타트 펄스(SSP)는 데이터구동부(DDRV)의 데이터 샘플링 시작 시점을 제어한다. 소스 샘플링 클럭(SSC)은 라이징 또는 폴링 에지에 기준하여 데이터구동부(DDRV) 내에서 데이터의 샘플링 동작을 제어하는 클럭신호이다.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E)는 데이터구동부(DDRV)의 출력을 제어한다. 한편, 데이터구동부(DDRV)에 공급되는 소스 스타트 펄스(SSP)는 데이터전송 방식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The timing driver TCN supplies a vertical sync signal Vsync, a horizontal sync signal Hsync, a data enable signal Data Enable (DE), a clock signal CLK, and a data signal DDATA from an external system board, for example. Receive. The timing driver TCN scans the data driver DDRV using timing signals such as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the data enable signal Data Enable, and the clock signal CLK. The operation timing of the driver SDRV is controlled. Since the timing driver TCN may determine the frame period by counting the data enable signal DE of one horizontal period,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and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supplied from the outside may be omitted. The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timing driver TCN may include a gate tim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scan driver SDRV and a data tim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data driver DVB. . The gate timing control signal includes a gate start pulse (GSP), a gate shift clock (GSC), a gate output enable signal (Gate Output Enable, GOE), and the like. The gate start pulse GSP is supplied to a gate drive integrated circuit (IC) where the first gate signal is generated. The gate shift clock GSC is a clock signal commonly input to the gate drive ICs and is a clock signal for shifting the gate start pulse GSP. The gate output enable signal GOE controls the output of the gate drive ICs. The data timing control signal includes a source start pulse (Source, Start Pulse, SSP), a source sampling clock (SSC), a source output enable signal (Source Output Enable, SOE), and the like. The source start pulse SSP controls the data sampling start time of the data driver DDRV. The source sampling clock SSC is a clock signal that controls the sampling operation of data in the data driver DDRV based on the rising or falling edge. The source output enable signal SOE controls the output of the data driver DDRV. Meanwhile, the source start pulse SSP supplied to the data driver DVV may be omitted 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데이터구동부(DDRV)는 타이밍구동부(TCN)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SSP, SSC, SOE)에 응답하여 타이밍구동부(TCN)로부터 공급되는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DDATA)를 샘플링하고 래치하여 병렬 체계의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신호(ADATA)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구동부(DDRV)는 시프트 레지스터와, 시프 트 레지스터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참조하여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DDATA)를 저장하는 래치와, 래치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신호(DDATA)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신호(ADATA)로 변환하는 변환기와, 변환기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신호(ADATA)를 출력하는 출력 버퍼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데이터구동부(DDRV)는 데이터라인들(DL1~DLn)을 통해 변환된 데이터신호(ADATA)를 표시패널(PNL)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SP)에 공급한다.The data driver DDRV samples and latches the digital data signal DDATA supplied from the timing driver TCN in parallel in response to the data timing control signals SSP, SSC, and SOE supplied from the timing driver TCN. Converts to analog data signal ADATA. To this end, the data driver DDRV may store a digital data signal DDATA in reference to a shift register, a signal received from the shift register, and a data signal DDATA received from the latch in an analog form. The converter may include a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data signal ADATA, and an output buffer for outputting the data signal ADATA output from the converter. The data driver DDRV supplies the data signal ADATA converted through the data lines DL1 to DLn to the subpixels SP included in the display panel PNL.

스캔구동부(SDRV)는 타이밍구동부(TCN)로부터 공급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SP, GSC, SOE)에 응답하여 게이트 구동전압을 순차적으로 생성한다. 이를 위해, 스캔구동부(SDRV)는 시프트 레지스터와, 시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의 레벨을 조정하는 레벨 시프터와, 레벨 시프터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버퍼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캔구동부(SDRV)는 게이트라인들(SL1~SLm) 통해 생성된 스캔신호를 표시패널(PNL)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SP)에 공급한다.The scan driver SDRV sequentially generates the gate driving voltage in response to the gate timing control signals GSP, GSC, and SOE supplied from the timing driver TCN. To this end, the scan driver SDRV may include a shift register, a level shifter for adjusting a level of a signal received from the shift register, and an output buffer for outputt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level shif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can driver SDRV supplies the scan signals generated through the gate lines SL1 to SLm to the subpixels SP included in the display panel PNL.

전원구동부(PWR)는 표시패널(PNL)에 구동 전원(Vdd)을 공급하며 휘도 정보에 따라 구동 전원(Vdd)을 가변한다. 이를 위해, 전원구동부(PWR)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제1차직류 전원을 제2차직류 전원으로 전환하는 DC(direct current)/DC 변환기와 DC/DC 변환기와 연동하는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원구동부(PWR)는 표시패널(PNL)뿐만 아니라 데이터구동부(DDRV), 스캔구동부(SDRV) 등에도 구동 전원(Vdd)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driver PWR supplies the driving power supply Vdd to the display panel PNL and varies the driving power supply Vdd according to the luminance information. To this end, the power driver PWR may include a DC (direct current) / DC converter and a circuit unit interoperating with the DC / DC converter to convert the first DC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nto the second DC power. It is not limited. The power driver PWR may supply the driving power Vdd not only to the display panel PNL but also to the data driver DDRV, the scan driver SDRV, and the like.

표시패널(PNL)은 매트릭스형태로 배치된 서브 픽셀들(SP)을 포함하는 유기전 계발광표시패널로 형성된다. 서브 픽셀들(SP)은 수동매트릭스형(Passive Matrix) 또는 능동매트릭스형(Active Matrix)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브 픽셀들(SP)이 능동매트릭스형으로 형성된 경우, 이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구동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및 유기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2T(Transistor)1C(Capacitor) 구조로 구성되거나 3T1C, 4T1C, 5T2C 등과 같이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가 더 추가된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서브 픽셀들(SP)은 구조에 따라 전면발광(Top-Emission) 방식, 배면발광(Bottom-Emission) 방식 또는 양면발광(Dual-Emission)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PNL is formed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including sub pixels SP arranged in a matrix. The subpixels SP may be formed in a passive matrix type or an active matrix type. When the subpixels SP are formed in an active matrix type, they are composed of a 2T (Capacitor) structure including a switching transistor, a driving transistor, a capacito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r a transistor such as 3T1C, 4T1C, 5T2C, or the like. It may also be of a structure in which a capacitor is further added. The subpixels SP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may be formed in a top-emission method, a bottom-emission method, or dual-emission according to a structure.

한편, 2T1C 구조의 경우 서브 픽셀들(SP)에 포함된 소자들은 다음의 도 2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1)는 스캔신호가 공급되는 스캔배선(SL1)에 게이트가 연결되고 데이터신호가 공급되는 데이터배선(DL1)에 일단이 연결되며 제1노드(n1)에 타단이 연결된다. 구동 트랜지스터(T2)는 제1노드(n1)에 게이트가 연결되고 고 전위의 구동 전원(Vdd)이 공급되는 제1전원 배선(VDD)에 연결된 제2노드(n2)에 일단이 연결되며 제3노드(n3)에 타단이 연결된다. 커패시터(Cst)는 제1노드(n1)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2노드(n2)에 타단이 연결된다. 유기 발광다이오드(D)는 구동 트랜지스터(T2)의 타단에 연결된 제3노드(n3)에 애노드가 연결되고 저 전위의 구동 전원(Vss)이 공급되는 제2전원 배선(VSS)에 캐소드가 연결된다.Meanwhile, in the 2T1C structure, elements included in the subpixels SP may have a structure as shown in FIG. 2. The switching transistor T1 has a gate connected to the scan line SL1 to which the scan signal is supplied, and one end thereof to the data line DL1 to which the data signal is supplied, and the other end thereof to the first node n1. The driving transistor T2 has a gate connected to the first node n1 and one end of the driving transistor T2 connected to the second node n2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line VDD supplied with the driving power supply Vdd having a high potential.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node n3. One end of the capacitor Cst is connected to the first node n1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second node n2.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 an anode is connected to the third node n3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transistor T2, and a catho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line VSS to which the driving power Vss of low potential is supplied. .

위의 설명에서는 서브 픽셀(SP)에 포함된 트랜지스터들(T1, T2)이 N-Type으로 구성된 것을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1전원 배선(VDD)을 통해 공급되는 고 전위의 구동 전원(Vdd)은 제2전원 배선(VSS)을 통해 공급되는 저 전위의 구동 전원(Vss)보다 높을 수 있으며, 제1전원 배선(VDD) 및 제2전원 배선(VSS)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의 레벨은 구동방법에 따라 스위칭이 가능하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ransistors T1 and T2 included in the sub-pixel SP are configured as N-types as an example, bu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high potential driving power Vdd supplied through the first power wiring VDD may be higher than the low power driving power Vss supplied through the second power wiring VSS. The level of power supplied through the VDD) and the second power line VSS may be switched according to the driving method.

앞서 설명한 서브 픽셀(SP)은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스캔배선(SL1)을 통해 스캔신호가 공급되면 스위칭 트랜지스터(T1)가 턴온된다. 다음, 데이터배선(DL1)을 통해 공급된 데이터신호가 턴온된 스위칭 트랜지스터(T1)를 거쳐 제1노드(A)에 공급되면 데이터신호는 커패시터(Cst)에 데이터전압으로 저장된다. 다음, 스캔신호가 차단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T1)가 턴오프되면 구동 트랜지스터(T2)는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데이터전압에 대응하여 구동된다. 다음, 제1전원 배선(VDD)을 통해 공급된 고 전위의 구동 전원(Vdd)이 제2전원 배선(VSS)을 통해 흐르게 되면 유기 발광다이오드(D)는 빛을 발광하게 된다. 그러나 이는 구동방법의 일례에 따른 것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ubpixel SP described above may operate as follows. When the scan signal is supplied through the scan line SL1, the switching transistor T1 is turned on. Next, when the data signal supplied through the data line DL1 is supplied to the first node A through the turned-on switching transistor T1, the data signal is stored as a data voltage in the capacitor Cst. Next, when the scan signal is blocked and the switching transistor T1 is turned off, the driving transistor T2 is driven in response to the data voltage stored in the capacitor Cst. Next, when the high potential driving power Vdd supplied through the first power line VDD flows through the second power line VS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 emits light.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of the driving metho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원구동부 블록도 이고, 도 4는 타이밍구동부와 전원구동부의 블록도 이며, 도 5는 되먹임부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되먹임부의 동작 예시도 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소비전력 개선 정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power driver for explain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timing driver and a power driver, and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eedback unit. 7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feedback unit, and FIGS. 7 and 8 are graphs for describing a degree of power consumption improvement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전원구동부(PWR)가 휘도 정보(Linfo)에 따라 구동 전원(Vdd)을 가변한다. 전원구동부(PWR)는 휘도 정보(Linfo)에 따라 출력되는 구동 전원(Vdd)을 가변하는 되먹임부(FBP)를 포함한다. 되먹임부(FBP)를 포함하는 전원구동부(PWR)의 출력전압은 하기 수학식 1과 같다.As shown in FIG. 3,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power source driving unit PWR varies the driving power source Vdd according to the luminance information Linfo. The power driver PWR includes a feedback unit FBP that varies the driving power Vdd output according to the luminance information Linfo. The output voltage of the power driver PWR including the feedback unit FBP is represented by Equation 1 below.

Figure 112009071196142-PAT00002
Figure 112009071196142-PAT00002

여기서, Vout은 전원구동부(PWR)의 출력전압이고, Vref는 전원구동부(PWR)의 기준전압이며, RFB1은 전원구동부(PWR)에 포함된 되먹임무(FBP)의 제1저항값이고, RFB2는 전원구동부(PWR)에 포함된 되먹임부(FBP)의 제2저항값일 수 있다.Here, V out is the output voltage of the power driver PWR, V ref is the reference voltage of the power driver PWR, R FB1 is the first resistance value of the feedback FBP included in the power driver PWR. , R FB2 may be a second resistance value of the feedback unit FBP included in the power driver PWR.

전원구동부(PWR)는 출력전압을 가변시키기 위해 휘도 정보(Linfo)에 따라 되먹임부(FBP)의 저항값을 변경시킴과 더불어 기준전압을 변경시키거나 듀티 비율(Duty ratio)을 변경시킬 수도 있다.The power driver PWR may chang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eedback unit FBP according to the luminance information Linfo, change the reference voltage, or change the duty ratio in order to change the output voltage.

휘도 정보(Linfo)의 경우, 외부 즉 시스템보드로부터 펄스폭변조 방식 또는 디지털통신 예컨대, I2C나 SMBus(System Management Bus; SMBus 또는 SMB) 등과 같은 방식으로 전원구동부(PWR)에 공급될 수도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서는 도 1의 타이밍구동부(TCN)가 시스템보드로부터 공급된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DDATA)를 분석하여 휘도 정보(Linfo)를 생성하고 이를 전원구동부(PWR)에 공급하는 것을 일 례로 한다.In the case of the luminance information Linfo, it may be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PWR from the external, ie, system board, in a pulse width modulation scheme or digital communication, such as I2C or SMBus (SMBus or SMB). However, in the embodiment, the timing driver TCN of FIG. 1 analyzes the digital data signal DDATA supplied from the system board to generate the luminance information Linfo and supply it to the power driver PWR. .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타이밍구동부와 전원구동부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iming driver and the power driv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구동부(TCN)는 외부 즉, 시스템보드로부터 공급된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DDATA)의 휘도를 분석하는 휘도 분석부(LAP)와, 휘도 분석부(LAP)를 통해 분석된 휘도에 따라 휘도 정보(Linfo)를 생성하는 룩업 테이블(LUT)을 포함한다. 타이밍구동부(TCN)의 휘도 분석부(LAP)는 데이터신호(DDATA)의 휘도에 따라 전원구동부(PWR)를 제어할 휘도 정보(Linfo)를 룩업테이블(LUT)을 통해 결정한다. 예컨대, 타이밍구동부(TCN)는 데이터신호(DDATA)의 휘도가 높을 경우 전원구동부(PWR)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전원(Vdd)을 이전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타이밍구동부(TCN)는 데이터신호(DDATA)의 휘도가 낮을 경우 전원구동부(PWR)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전원(Vdd)을 이전보다 낮출 수 있다. 타이밍구동부(TCN)는 단계별로 또는 다수의 단계로 구동 전원(Vdd)을 가변할 수 있도록 룩업테이블(LUT)에 저장된 휘도 정보(Linfo)를 세분화할 수도 있다. 그리고 타이밍구동부(TCN)는 데이터신호의 평균 휘도 레벨을 기준으로 룩업테이블(LUT)에 저장된 휘도 정보(Linfo)를 구성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4, the timing driver TCN includes a luminance analyzer LAP and a luminance analyzer LAP for analyzing the luminance of the data signal DDATA in a digital form supplied from the outside, that is, the system board. It includes a lookup table (LUT) for generating the luminance information (Linfo) according to the luminance analyzed through. The luminance analyzer LAP of the timing driver TCN determines luminance information Linfo to control the power driver PWR based on the luminance of the data signal DDATA through the lookup table LUT. For example, when the luminance of the data signal DDATA is high, the timing driver TCN may maintain the driving power Vdd output from the power driver PWR as before. In contrast, when the luminance of the data signal DDATA is low, the timing driver TCN may lower the driving power Vdd output from the power driver PWR than before. The timing driver TCN may subdivide the luminance information Linfo stored in the lookup table LUT so that the driving power source Vdd may be varied in stages or in a plurality of stages. The timing driver TCN may configure luminance information Linfo stored in the lookup table LUT based on the average luminance level of the data signal.

한편, 타이밍구동부(TCN)는 휘도 정보(Linfo)를 펄스폭변조 방식(PWM)의 펄스 형태나 디지털통신 방식(예컨대 I2C나 SMBus 등)의 이진코드 방식으로 전원구동부(PWR)에 공급한다. 예컨대, 휘도 정보(Linfo)가 펄스폭변조 방식(PWM)의 펄스 형태로 전송될 경우, 휘도 정보(Linfo)는 하이(High)와 로우(Low)가 조합된 펄스 형 태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휘도 정보(Linfo)가 디지털통신 방식(예컨대 I2C나 SMBus 등)의 이진코드 형태로 전송될 경우, 휘도 정보(Linfo)는 0과 1이 조합된 코드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휘도 정보(Linfo)가 전송되면, 전원구동부(PWR)는 타이밍구동부(TCN)으로부터 공급된 휘도 정보(Linfo)를 참조하여 되먹임부(FBP)를 제어하여 출력되는 구동 전원(Vdd)을 가변하게 된다. 되먹임부(FBP)는 휘도 정보(Linfo)에 따라 N개의 저항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전원구동부(PWR)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전원(Vdd)을 가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iming driver TCN supplies the luminance information Linfo to the power source driver PWR in the form of a pulse of the pulse width modulation method PWM or a binary code method of a digital communication method (for example, I2C or SMBus). For example, when the luminance information Linfo is transmitted in the pulse form of the pulse width modulation scheme PWM, the luminance information Linfo may be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high and low. On the contrary, when the luminance information Linfo is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binary code of a digital communication method (eg, I2C or SMBus, etc.), the luminance information Linfo may be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code in which 0 and 1 are combined. When the luminance information Linfo is transmitted in such a manner, the power driver PWR controls the feedback unit FBP with reference to the luminance information Linfo supplied from the timing driver TCN to output the driving power Vdd. Will be variable. The feedback unit FBP may vary the driving power Vdd output from the power driver PWR by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N resistance values according to the luminance information Linfo.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먹임부(FBP)는 N개의 저항기(R1~Rn)와, N개의 저항기(R1~Rn)의 적어도 일단에 접속되며 휘도 정보(Linfo)에 따라 N개의 저항기(R1~Rn)를 직렬 및 병렬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하는 스위치군(SW1, SW2)을 포함한다. N개의 저항기(R1~Rn)는 스위치군(SW1, SW2)에 포함된 스위치들(SW01~SW04, SW21~SW24)의 동작에 따라 직렬 및 병렬 중 하나 이상으로 접속관계를 구성할 수 있다. 제1스위치군(SW1)은 되먹임부(FBP)의 제1저항값(RFB1)을 설정하는 스위치에 대응되고, 제2스위치군(SW2)은 되먹임부(FBP)의 제2저항값(RFB2)을 설정하는 스위치에 대응된다. 전원구동부(PWR)는 되먹임부(FBP)의 스위치군(SW1, SW2)의 동작에 따라 수학식 1과 같은 출력전압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5, the feedback unit FBP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N resistors R1 to Rn and the N resistors R1 to Rn and according to the luminance information Linfo, the N resistors R1. Switch groups SW1 and SW2 that constitute ~ Rn) in one or more of series and parallel. The N resistors R1 to Rn may form a connection relationship in one or more of series and paralle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witches SW01 to SW04 and SW21 to SW24 included in the switch groups SW1 and SW2. The first switch group SW1 corresponds to a switch for setting the first resistance value R FB1 of the feedback part FBP, and the second switch group SW2 corresponds to the second resistance value R of the feedback part FBP. FB2 ) corresponds to the switch for setting. The power driver PWR may generate an output voltage as shown in Equation 1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witch groups SW1 and SW2 of the feedback unit FBP.

한편, 실시예에서는 되먹임부(FBP)에 포함된 N개의 저항기(R1~Rn)와 이의 접속관계를 구성하는 소자로 스위치군(SW1, SW2)을 이용하는 것을 일례로 하였지만 이는 로직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1스위치군(SW1)에 포함된 제2스위 치(SW02)와 제2스위치군(SW2)에 포함된 제24스위치(SW24)가 턴온 된 경우, 되먹임부(FBP)의 제1저항값(RFB1)과 제2저항값(RFB2)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Meanwhil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switch groups SW1 and SW2 are used as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N resistors R1 to Rn included in the feedback unit FBP, but this may be implemented in a logic form. Can be.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switch SW02 included in the first switch group SW1 and the 24th switch SW24 included in the second switch group SW2 are turned on, the first resistance of the feedback part FBP is turned on. The value R FB1 and the second resistance value R FB2 are configured as follows.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먹임부(FBP)의 제2저항기(R2) 및 제3저항기(R3)는 제1저항기값(RFB1)을 구성하게 되며 이는 전원구동부(PWR)의 출력전압인 구동 전원(Vdd)이 출력되는 단자(Vout)와의 접속관계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되먹임부(FBP)의 제n저항기(Rn)은 제2저항기값(RFB2)을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제1저항기값(RFB1)과 제2저항기값(RFB2) 간의 노드(n1)는 전원구동부(PWR)의 되먹임 단자(FB)와의 접속관계를 구성하게 된다.As shown in FIG. 6,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third resistor R3 of the feedback unit FBP constitute the first resistor value R FB1 , which is an output voltage of the power driver PWR. The connection relationship with the terminal V out which the drive power supply Vdd is output is comprised. The n-th resistor Rn of the feedback unit FBP constitutes the second resistor value R FB2 . The node n1 between the first resistor value R FB1 and the second resistor value R FB2 forms a connection relationship with the feedback terminal FB of the power supply driver PWR.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하나의 픽셀 당 출력 전류를 0.85㎂에서 0.45㎂로 변경시 구동 트랜지스터의 전압은 2.0V,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전압은 0.5V 감소 된다. 이때, 데이터배선의 개수가 1366이고, 스캔배선의 개수가 768개이며, 하나의 픽셀 당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경우 소비전력 개선 정도는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대략 3.5W 가 된다.As shown in FIG. 7 and FIG. 8,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tage of the driving transistor is 2.0V when the output current of one pixel is changed from 0.85 kW to 0.45 kW. The voltage of the diode is reduced by 0.5V. In this case, when the number of data wirings is 1366, the number of scanning wirings is 768, and the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are included per pixel, the power consumption improvement is approximately 3.5 W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Becomes

1366 * 3(R/G/B) * 768 * 0.45㎂ * 2.5V = 3.5W1366 * 3 (R / G / B) * 768 * 0.45㎂ * 2.5V = 3.5W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소비전력공식 P = 전압(V)전류(I)에서 전압(V)를 감소할 수 있도록 휘도 정보에 따라 구동 전 원을 가변할 수 있게 되므로 소비전력을 개선 및 저감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vary the driving power according to the luminance information so as to reduce the voltage V at the power consumption formula P = voltage V current I. Therefore,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improved and reduced.

이상 본 발명은 휘도 정보에 따라 구동 전원을 가변할 수 있도록 전원구동부를 구성하여 소비전력을 개선 및 저감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의 구동 중 휘도 정보에 대응하여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at can improve and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by configuring the power source driving unit to vary the driving power in accordance with the luminanc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at can efficiently use power in response to luminance information during driving of the devic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aspects. In addi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claims below,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lso, it is to be construed that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의 회로 구성 예시도.FIG. 2 is an exemplary circuit diagram of a subpixel illustrated in FIG. 1.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원구동부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driver for explain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타이밍구동부와 전원구동부의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of a timing driver and a power driver.

도 5는 되먹임부의 구성도.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eedback unit.

도 6은 되먹임부의 동작 예시도.6 is an exemplary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feedback unit.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소비전력 개선 정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7 and 8 are graphs for explaining the degree of power consumption improvement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TCN: 타이밍구동부 SDRV: 스캔구동부TCN: Timing driver SDRV: Scan driver

DDRV: 데이터구동부 PWR: 전원구동부DDRV: Data driver PWR: Power driver

PNL: 표시패널 SP: 서브 픽셀들PNL: Display panel SP: Sub pixels

FBP: 되먹임부 LAP: 휘도 분석부FBP: feedback section LAP: luminance analysis section

LUT: 룩업테이블 Linfo: 휘도 정보LUT: Lookup Table Linfo: Luminance Information

Claims (10)

표시패널;Display panel; 상기 표시패널에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구동부; 및A data driver supplying a data signal to the display panel; And 상기 표시패널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며 휘도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 전원을 가변하는 전원구동부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And a power driver configured to supply driving power to the display panel and to vary the driving power according to luminance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원구동부는,The power drive unit, 상기 휘도 정보에 따라 출력되는 구동 전원을 가변하는 되먹임부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eedback unit configured to vary a driving power output according to the luminance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원구동부의 출력전압은 하기 수학식과 같고,The output voltage of the power driver is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9071196142-PAT00003
Figure 112009071196142-PAT00003
상기 Vout은 상기 전원구동부의 출력전압이고, 상기 Vref는 상기 전원구동부의 기준전압이며, 상기 RFB1은 상기 전원구동부에 포함된 되먹임무의 제1저항값이고, 상기 RFB2는 상기 전원구동부에 포함된 되먹임부의 제2저항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V out is an output voltage of the power driver, V ref is a reference voltage of the power driver, R FB1 is a first resistance value of the feedback duty included in the power driver, and R FB2 is the power drive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resistance value of the feedback portion included in.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전원구동부는,The power drive unit, 상기 휘도 정보에 따라 상기 기준전압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And the reference voltag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luminance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원구동부 되먹임부를 포함하며,It includes the power drive feedback unit, 상기 되먹임부는 상기 휘도 정보에 따라 N개의 저항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전원구동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구동 전원을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The feedback unit selects at least one of N resistance values according to the luminance information to vary the driving power output from the power driv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원구동부 되먹임부를 포함하며,It includes the power drive feedback unit, 상기 되먹임부는 상기 휘도 정보에 따라 N개의 저항기를 직렬 및 병렬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하여 상기 전원구동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구동 전원을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And the feedback unit configures the N resistors in one or more of series and parallel according to the brightness information to vary the driving power output from the power driv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원구동부 되먹임부를 포함하며,It includes the power drive feedback unit, 상기 되먹임부는 N개의 저항기와, 상기 N개의 저항기의 적어도 일단에 접속되며 상기 휘도 정보에 따라 상기 N개의 저항기를 직렬 및 병렬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하는 스위치군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And the feedback unit includes a group of N resistors and a switch group connected to at least one end of the N resistors and configured to configure one or more of the N resistors in series and in parallel according to the brightness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휘도 정보는,The brightness information, 상기 데이터구동부에 상기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타이밍구동부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And a timing driver for supplying the data signal to the data driver.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타이밍구동부는,The timing driving unit, 상기 휘도 정보를 펄스폭변조 방식 또는 디지털통신 방식으로 상기 전원구동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And the luminance information is supplied to the power driver by a pulse width modulation method or a digital communication method.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타이밍구동부는,The timing driving unit, 외부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의 휘도를 분석하는 휘도 분석부와,A luminance analyzer for analyzing the luminance of the data signal supplied from the outside; 상기 휘도 분석부를 통해 분석된 휘도에 따라 상기 휘도 정보를 생성하는 룩업 테이블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And a look-up table for generating the lumina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uminance analyzed by the luminance analyzer.
KR1020090112260A 2009-11-19 2009-11-19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1005530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260A KR20110055303A (en) 2009-11-19 2009-11-19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260A KR20110055303A (en) 2009-11-19 2009-11-19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303A true KR20110055303A (en) 2011-05-25

Family

ID=44364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260A KR20110055303A (en) 2009-11-19 2009-11-19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530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83620A (en) * 2015-11-11 2017-05-17 三星显示有限公司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0373542B2 (en) 2015-12-11 2019-08-06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83620A (en) * 2015-11-11 2017-05-17 三星显示有限公司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N106683620B (en) * 2015-11-11 2021-08-27 三星显示有限公司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0373542B2 (en) 2015-12-11 2019-08-06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0268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9595228B2 (en) Pixel array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EP1939848B1 (en) Pixel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8681186B2 (en) Data driv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having the same
US864357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comprising a sink current generator that generates an initialization current corresponding to bit values of initialization data
KR101034690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535286B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ithod thereof
KR20150025953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JP2009175652A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30123218A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circuit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KR10247866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EP3843074A1 (en) Drd type display pane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same
US11694621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577835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20200265773A1 (en) Display device
KR20200073419A (en) Gate driv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ing the gate driver and operation method therof
KR101941442B1 (en)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2444314B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luminance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110055303A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20040867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140300591A1 (en) Data driver and display apparatus
KR102475506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JP5064696B2 (en) Display panel drive device
KR20120037663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210085502A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