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4725A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4725A
KR20110054725A KR1020090111480A KR20090111480A KR20110054725A KR 20110054725 A KR20110054725 A KR 20110054725A KR 1020090111480 A KR1020090111480 A KR 1020090111480A KR 20090111480 A KR20090111480 A KR 20090111480A KR 20110054725 A KR20110054725 A KR 20110054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ayer
liquid crystal
transparent electrode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인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1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4725A/ko
Priority to EP10165404.4A priority patent/EP2325690B1/en
Priority to PL10165404T priority patent/PL2325690T3/pl
Priority to CN2010102121977A priority patent/CN102062964A/zh
Priority to US12/827,996 priority patent/US20110115739A1/en
Publication of KR20110054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7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4Electromagnetic shiel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18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having a patterned common electr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6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for applying an electric field parallel to the substrate, i.e. in-plane switching [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ome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대향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 및 상기 제2 기판과 마주하지 않는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어 정전기를 방지함과 더불어 터치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소정의 형상으로 패턴 형성된 투명전극 패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제1 기판의 일면에 투명전극 패턴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정전기를 방지함과 더불어 투명전극 패턴층을 제1 기판의 일면 전체에 형성하지 않고 소정 형상으로 패턴화함으로써 전극의 저항이 증가되어 사용자의 터치 감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정전기 방지, 터치 감도, ITO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터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동작 전압이 낮아 소비 전력이 적고 휴대용으로 쓰일 수 있는 등의 이점으로 노트북 컴퓨터, 모니터, 우주선, 항공기 등에 이르기까지 응용분야가 넓고 다양하다.
액정표시장치는 하부기판, 상부기판, 및 상기 양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전계 인가 유무에 따라 액정층의 배열이 조절되고 그에 따라 광의 투과도가 조절되어 화상이 표시되는 장치이다.
한편,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이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되는 액정표시장치가 개발되었고, 그와 같은 액정표시장치에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서 센싱 전극과 같은 위치감지소자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위치감지소자가 구비된 액정표시장치는 위치감지방식에 따라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자계 방식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저항막 방식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압력으로 발생하는 전류량 변화를 감지하는 방식이고, 상기 정전용량 방식은 사용자의 터치시 발생하는 커패시턴스 변화를 감지하는 방식이고, 상기 자계 방식은 자계를 인가한 상태에서 선택된 위치를 전압의 변화로써 감지하는 방식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종래의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상부기판(10), 하부기판(20), 및 상기 상부기판(10)과 하부기판(20)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기판(10)의 일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부기판(20)과 대향하는 상기 상부기판(10)의 일면에는 빛샘을 방지하기 위한 차광층(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광층(12) 사이의 영역에는 색상 구현을 위한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컬러필터층(14)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컬러필터층(14) 상에는 기판 평탄화를 위한 오버 코트층(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기판(20) 일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상부기판(10)과 대향하는 상기 하부기판(20)의 일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스위칭 소자로서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화소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화소전극과 함께 평행한 전계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화소전극과 평행하게 배열된 공통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기판(10)의 타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부기판(20)과 대향하지 않는 상기 상부기판(10)의 타면에는 ITO(Indium Tin Oxide)층(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ITO층(40)은 제조공정 중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즉,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기판이 다수의 공정장비 및 운송장비와의 접촉하게 되는데 그때에 기판에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상부기판(10)의 타면에 도전성 물질층인 ITO층(40)을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ITO층(40)을 형성함으로써 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위치감지소자가 구비된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상기 ITO층(40)으로 인해서 사용자의 터치 감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액정표시장치에 터치를 할 때 액정표시장치의 상부쪽에 위치하는 상기 ITO층(40)이 사용자의 터치 감도를 방해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결국 위치감지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특히, 사용자의 터치시 발생하는 커패시턴스 변화를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서 그와 같은 문제가 두드러지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정전기를 방지함과 더불어 사용자의 터치 감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서로 대향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 및 상기 제2 기판과 마주하지 않는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어 정전기를 방지함과 더불어 터치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소정의 형상으로 패턴 형성된 투명전극 패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투명전극 패턴층은 제1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패턴들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 패턴들은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제2 패턴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패턴들은 제1 폭을 구비한 영역과 상기 제1 폭과 상이한 제2 폭을 구비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전극 패턴층의 패턴 폭은 5 ~ 100 ㎛ 범위일 수 있다.
상기 투명전극 패턴층은 상기 제2 기판에 구비된 접지패드와 연결되어 접지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투명전극 패턴층은 도전성 테이프에 의해서 상기 접지패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 상에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전극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센싱 전극은 상기 제2 기판 상에 형성된 공통전극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제1 기판 상에 형성된 차광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 기판의 일면에 투명전극 패턴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정전기를 방지함과 더불어 투명전극 패턴층을 제1 기판의 일면 전체에 형성하지 않고 소정 형상으로 패턴화함으로써 전극의 저항이 증가되어 사용자의 터치 감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의 터치시 발생하는 커패시턴스 변화를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서 센싱 전극의 터치 감도 향상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서로 대향하는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및 상기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기판(100)의 일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기판(200)과 마주 하지 않는 상기 제1 기판(100)의 일면에는 투명전극 패턴층(40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명전극 패턴층(400)은 기본적으로 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정전기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상기 제1 기판(100)의 일면 전체에 형성되지 않고 소정 형상으로 패턴화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 감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기판(100)의 일면에 소정 형상으로 상기 투명전극 패턴(400)을 형성하게 되면, 종래와 같이 상기 제1 기판(100)의 일면 전체에 ITO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전극의 저항이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액정표시장치의 센싱 전극에서의 터치감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사용자의 터치시 발생하는 커패시턴스 변화를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경우 전극의 저항이 증가됨으로 인해서 센싱 전극의 터치 감도 향상효과가 두드러진다.
상기 투명전극 패턴층(400)의 구체적인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그 예를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였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투명전극 패턴층(400)의 형상이 도 3a 및 도 3b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투명전극 패턴층(400)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투명전극 패턴층(400)은 제1 방향(y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패턴들(400a) 및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x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패턴들(40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들(400a)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열되어 있고, 각각의 제1 패턴들(400a)은 상기 제2 패턴들(400b)과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제1 패턴들(400a) 과 상기 제2 패턴들(400b)은 전체적으로 연결된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도 3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 패턴들(400a)은 제1 폭(W1)을 구비한 영역과 상기 제1 폭(W1)과 상이한 제2 폭(W2)을 구비한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제1 패턴들(400a) 및 제2 패턴들(400b)로 이루어진 투명전극 패턴층(400)은 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정전기를 방지함과 더불어 터치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그 패턴들의 폭을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극의 저항이 작은 것이 유리하고 터치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극의 저항이 큰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양자를 적절히 조절하여 전극의 저항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전극의 저항은 전극의 폭에 반비례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결국, 설정된 전극의 저항에 맞도록 전극의 폭을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할 때, 상기 투명전극 패턴층(400),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패턴들(400a) 및 제2 패턴들(400b)의 패턴 폭은 5 ~ 100 ㎛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투명전극 패턴층(400)의 패턴 폭이 5 ㎛ 미만일 경우에는 전극이 저항이 너무 커져 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정전기 방지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상기 투명전극 패턴층(400)의 패턴 폭이 100 ㎛를 초과할 경우에는 전극이 저항이 너무 작아져 터치 감도 향상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투명전극 패턴층(400)을 구성하는 패턴들 사이의 이격 거리, 예로서 상기 제1 패턴들(400a) 사이의 이격 거리는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데, 시인성 측면을 고려할 때 그 이격 거리가 너무 큰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투명전극 패턴층(400)을 구성하는 패턴들 영역을 투과하는 광과 상기 투명전극 패턴층(400)을 구성하는 패턴들 사이의 영역을 투과하는 광 사이에는 투과율이 상이하게 되는데, 상기 투명전극 패턴층(400)을 구성하는 패턴들 사이의 이격 거리가 너무 크게 되면, 투과율 차이가 커져서 시인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상기 이격 거리를 소정 거리 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투명전극 패턴층(400)은 ITO 등과 같은 투명도전물을 쉐도우 마스크(shadow mask)를 이용하여 증착함으로써 패턴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기판(100)의 일면에 형성된 투명전극 패턴층(400)은 상기 제2 기판(200)을 통해 접지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투명전극 패턴층(400)이 제2 기판(200)을 통해 접지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 기판(100)의 일면에는 투명전극 패턴층(4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기판(200)의 일면에는 접지패드(20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투명전극 패턴층(400)은 도전성 테이프와 같은 도전체(500)를 통해 상기 접지패드(201)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투명전극 패턴층(400)이 상기 제2 기판(200)을 통해 접지되어 있기 때문에 공정 중에 기판에 정전기가 발생 하는 것이 방지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기판(100)의 타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기판(200)과 마주하는 상기 제1 기판(100)의 타면에는 차광층(1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광층(120)은 화소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광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매트릭스(matrix)구조로 패턴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광층(120)은 센싱 전극으로 기능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는 상기 차광층(120)이 도전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또한 터치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신호인가부가 상기 차광층(120)에 연결된다.
상기 차광층(120) 사이에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컬러필터층(1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컬러필터층(1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필터층 이외에 황색(Y), 백색(W) 또는 시안(CYAN)색의 필터층이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컬러필터층(140) 상에는 기판 평탄화를 위한 오버코트층(16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기판(200) 상에는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이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에 스위칭 소자로서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화소영역에는 화소전극과 공통전극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제2 기판(2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2 기판(200)의 구성은 일 예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2 기판(200)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기판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I-I라인에 해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액정표시장치의 하나의 화소만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에서 알 수 있듯이, 제2 기판(200) 상에는 게이트 라인(210) 및 데이터 라인(230)이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라인(210)과 데이터 라인(230)이 교차하는 영역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는 게이트 전극(212), 반도체층(220), 소스 전극(232), 드레인 전극(2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게이트 전극(212)은 상기 게이트 라인(210)에서 분지되어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스 전극(232)은 상기 데이터 라인(230)에서 분지되어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드레인 전극(234)은 상기 소스 전극(232)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박막 트랜지스터(T)에는 화소 전극(240)이 연결되어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화소 전극(240)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의 드레인 전극(234)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화소 전극(240)과 함께 수평 전계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화소 전극(240)과 평행하게 공통 전극(250)이 배열되어 있다. 상기 공통전극(250)은 공통라인(252)에서 분지되어 있다. 상기 공통전극(250)은 센싱 전극으로 기능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는 터치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신호인가부가 상기 공통전극(250)과 연결된다.
도 5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2 기판(200) 상에는 게이트 전극(2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게이트 전극(212)을 포함한 제2 기판(200)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2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215) 상에는 반도체층(2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반도체층(220) 상에는 소스/드레인 전극(232, 234)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반도체층(220)은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232, 234)과 접촉하는 영역에 불순물이 도핑된 오믹 콘택층(22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232, 234) 상에는 보호막(24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화소영역에는 화소전극(240)과 공통전극(2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화소전극(240)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215) 상에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화소전극(240)은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232, 234)과 동일층에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드레인 전극(234)에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통전극(250)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215) 하부의 제2 기판(20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공통전극(250)은 상기 게이트 전극(212)과 동일층에 형성되어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기판의 평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I-I라인에 해당하는 단면도로서, 이는 공통전극(250) 및 공통라인(252)의 형성 위치만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5a 및 도 5b에 따른 제2 기판과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 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a 및 도 6b에 따르면, 상기 공통전극(250) 및 공통라인(252)이 보호막(245)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제2 기판(200)의 구조에서는 상기 화소전극(240)과 상기 공통전극(250)이 서로 상이한 층에 형성되면서 수평 전계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화소전극(240)과 상기 공통전극(250)이 서로 동일한 층에 형성되면서 수평 전계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소전극(240)과 상기 공통전극(250)는 상기 보호막(245) 상부에 함께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215) 상에 함께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기판(100) 및 상기 제2 기판(200) 상에는 배향막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향막은 상기 액정층(300)의 초기 배향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의 최상층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기판(100) 및 상기 제2 기판(200)은 기판의 외곽에 형성된 씰런트(sealant)에 의해 합착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기판(100) 및 상기 제2 기판(200) 사이의 셀갭을 유지하기 위해서 스페이서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투명전극 패턴층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투명전극 패턴층이 제2 기판을 통해 접지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기판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I-I라인에 해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기판의 평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I-I라인에 해당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 구성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1 기판 120: 차광층
140: 컬러필터층 160: 오버 코트층
200: 제2 기판 201: 접지패드
300: 액정층 400: 투명전극 패턴층

Claims (10)

  1. 서로 대향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 및
    상기 제2 기판과 마주하지 않는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어 정전기를 방지함과 더불어 터치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소정의 형상으로 패턴 형성된 투명전극 패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 패턴층은 제1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패턴들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열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들은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제2 패턴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들은 제1 폭을 구비한 영역과 상기 제1 폭과 상이한 제2 폭을 구비한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 패턴층의 패턴 폭은 5 ~ 100 ㎛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 패턴층은 상기 제2 기판에 구비된 접지패드와 연결되어 접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 패턴층은 도전성 테이프에 의해서 상기 접지패드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 상에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전극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 상에는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고, 상기 센싱 전극은 상기 제2 기판 상에 형성된 공통전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상에는 차광층 및 컬러필터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센싱 전극은 상기 제1 기판 상에 형성된 차광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90111480A 2009-11-18 2009-11-18 액정표시장치 KR2011005472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480A KR20110054725A (ko) 2009-11-18 2009-11-18 액정표시장치
EP10165404.4A EP2325690B1 (en) 2009-11-18 2010-06-09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L10165404T PL2325690T3 (pl) 2009-11-18 2010-06-09 Urządzenie wyświetlacza ciekłokrystalicznego
CN2010102121977A CN102062964A (zh) 2009-11-18 2010-06-22 液晶显示设备
US12/827,996 US20110115739A1 (en) 2009-11-18 2010-06-30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480A KR20110054725A (ko) 2009-11-18 2009-11-18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725A true KR20110054725A (ko) 2011-05-25

Family

ID=43499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480A KR20110054725A (ko) 2009-11-18 2009-11-18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115739A1 (ko)
EP (1) EP2325690B1 (ko)
KR (1) KR20110054725A (ko)
CN (1) CN102062964A (ko)
PL (1) PL2325690T3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9373A (ko) * 2011-06-17 2012-12-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KR20130142057A (ko) * 2012-06-18 2013-1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50075604A (ko) * 2013-12-26 2015-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1379172B2 (en) 2018-10-17 2022-07-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inspection pa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1829A (ja) * 2012-04-18 2015-07-02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ー一体型タッチパネル
US9001280B2 (en) * 2012-06-08 2015-04-07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shielding displays from electrostatic discharge
KR20140024149A (ko) * 2012-08-20 2014-02-28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102955303B (zh) * 2012-10-26 2016-04-06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屏及触控显示装置
FR2998682B1 (fr) * 2012-11-26 2016-01-15 Volfoni R&D Modulateur de polarisation optique a cristaux liquides
TWI584028B (zh) * 2012-12-28 2017-05-2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液晶顯示面板及薄膜電晶體基板
EP2887185B1 (en) * 2013-12-20 2016-11-09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tegrated with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2016206322A (ja) * 2015-04-20 2016-12-08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CN105425443A (zh) * 2015-12-04 2016-03-23 江西沃格光电股份有限公司 具有高阻膜的内嵌式触摸屏及显示装置
CN105425455A (zh) * 2015-12-31 2016-03-23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内嵌式触控显示面板及其制备工艺
CN110088715B (zh) * 2016-12-15 2022-07-12 夏普株式会社 带触摸面板的显示装置
CN107229164B (zh) * 2017-07-20 2020-10-09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彩膜基板及液晶面板制作设备
KR102555984B1 (ko) * 2018-07-27 2023-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압력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8864B2 (ja) * 1995-10-12 1998-05-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US6086979A (en) * 1997-11-11 2000-07-11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Electromagnetically shielding bonding film, and shielding assembly and display device using such film
JP3107078B2 (ja) * 1999-02-26 2000-11-06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WO2002071824A1 (fr) * 2001-03-02 2002-09-12 Hitachi Chemical Co., Ltd. Film de protection electromagnetique, unite de protection electromagnetique et affichage
TW526706B (en) * 2002-06-28 2003-04-01 Ponwei Hou Materials for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ilm
EP3264240A1 (en) * 2006-06-09 2018-01-03 Apple Inc. Touch screen liquid crystal display
US8243027B2 (en) * 2006-06-09 2012-08-14 Apple Inc. Touch screen liquid crystal display
CN101131618A (zh) * 2006-08-20 2008-02-27 陈其良 象素复用触控式平板显示器
US7796224B2 (en) * 2006-12-26 2010-09-14 Sony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501933B2 (ja) * 2006-12-26 2010-07-14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8281616A (ja) * 2007-05-08 2008-11-20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TWM343210U (en) * 2008-05-30 2008-10-21 Tpk Touch Solutions Inc Display panel integrating the touch-control structure
US8508495B2 (en) * 2008-07-03 2013-08-13 Apple Inc. Display with dual-function capacitive element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9373A (ko) * 2011-06-17 2012-12-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KR20130142057A (ko) * 2012-06-18 2013-1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50075604A (ko) * 2013-12-26 2015-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1379172B2 (en) 2018-10-17 2022-07-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inspection pa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25690B1 (en) 2016-07-20
CN102062964A (zh) 2011-05-18
PL2325690T3 (pl) 2017-01-31
EP2325690A3 (en) 2011-12-14
US20110115739A1 (en) 2011-05-19
EP2325690A2 (en)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54725A (ko) 액정표시장치
US997121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692948B2 (en) Electric field shielding for in-cell touch type thin-film-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s
KR101538934B1 (ko)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US828945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ouch sensor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385190B1 (ko) 액정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25916B1 (ko) 액정표시장치
CN109117016B (zh) 显示面板与其制造方法
US879206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571683B1 (ko)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7117966A1 (zh) 彩膜基板、内嵌式触控显示装置
KR20090075369A (ko) 표시 패널
KR20140070119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90100639A (ko)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90026576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30076996A1 (en) Integrated touch panel with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70015821A (ko) 터치 스크린 패널
CN214586297U (zh) 显示装置及检测装置
US2011031711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1150502B2 (en)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TWI755028B (zh) 內建式觸控顯示面板
CN103985714A (zh) 阵列基板及其制造方法
KR102670409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820661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950434B1 (ko) 액정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529

Effective date: 2014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