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4684A - Data sharing method during movile terminals using network, and web-server used therein - Google Patents

Data sharing method during movile terminals using network, and web-server used there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4684A
KR20110054684A KR1020090111429A KR20090111429A KR20110054684A KR 20110054684 A KR20110054684 A KR 20110054684A KR 1020090111429 A KR1020090111429 A KR 1020090111429A KR 20090111429 A KR20090111429 A KR 20090111429A KR 20110054684 A KR20110054684 A KR 20110054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hange information
mobile terminal
fixed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4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아프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아프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아프로텍
Priority to KR1020090111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4684A/en
Publication of KR20110054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68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of sharing data between mobile terminals using a network and web server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automatically share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between acquaintances through a network. CONSTITUTION: A storing unit(330) stores first data which is stored in a first mobile terminal and second data stored in a second mobile terminal. A receiving unit(310) receives data shared request including a change information transmitting request of the second data from a first fixed terminal as the first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terminal. A determining unit(350) determines whether change information of the second data exists on the storing unit. if the change information of second data exists in the storing unit, a transmitting unit(370) transmits change information of the second data to the first fixed terminal.

Description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간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웹서버{Data Sharing Method during Movile Terminals Using Network, and Web-Server Used Therein}Data Sharing Method during Movile Terminals Using Network, and Web-Server Used Therein}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간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웹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인들간의 이동 단말기의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적으로 공유하여 상호저장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간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웹서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sharing method between mobile terminals using a network and a web server used therei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using a network that enables mutual storage by automatically sharing information of mobile terminals between friends through a networ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sharing method between terminals and a web server used therefor.

최근의 이통 통신 기술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휴대폰은 현대인의 생활에서 뗄 수 없는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였다. 한편, 이동 통신사들 간의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휴대폰 사용자들은 새로운 이동 통신사에 가입을 권유받고서, 자신이 사용해오던 휴대폰 전화번호를 변경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러한 경우에 해당 사용자는 자신의 지인들에게 일일히 문자 메시지를 통해 변경된 전화번호를 통보해주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With the recent rapid spread of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mobile phones have become an indispensable necessity in modern life. Meanwhile, as competition among mobile operators intensifies, mobile phone users are frequently encouraged to join new mobile carriers and change their mobile phone numbers. It is common to notify a user of a changed phone number through a text message.

한편, 이동 통신사에서도 번호가 변경된 가입자에게 문자메시지나 통화요청이 변경되기 전의 번호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에, 해당 가입자의 변경된 전화번호를 알려주는 문자 메시지를 직접 발송하여 주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even if a mobile service provider receives a text message or a call request before the number is changed to a subscriber whose number is changed, the mobile carrier may also directly send a text message indicating the changed telephone number of the subscriber.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든 변경된 전화번호를 문자메시지를 통해 알게 된 지인들은 변경된 전화번호를 각자 자신의 휴대폰 단말기에 직접 입력저장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However, in any case, the acquaintances who have learned the changed phone number through a text message are inconvenient to input and store the changed phone number directly in their mobile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인들간의 이동 단말기의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적으로 공유하여 상호저장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간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웹서버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sharing data between mobile terminals using a network that automatically shares information of mobile terminals among acquaintances via a network and enables mutual storage, and a web server used therei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간의 데이터 공유 방법은, 제1 이동 단말기와 제2 이동 단말기 간의 데이터의 상호 공유를 위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가 접속되는 제1 고정 단말기, 및 상기 제2 이동 단말기가 접속되는 제2 고정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웹서버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가, 상기 제1 고정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고정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제2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제1 고정 단말기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제1 고정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의 변경정보 송신 요청을 포함하는 데이터 공유 요청을 상기 웹서버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웹서버가, 상기 제2 데이터의 변경정보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웹서버가, 상기 제2 데이터의 변경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상기 웹서버는 상기 제2 데이터의 변경정보를 상기 제1 고정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data sharing method between mobile terminals using a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fixed terminal to which the first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for mutual sharing of data between 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mobile terminal; And a web server connected to a second fixed terminal to which the second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wherein the web server is connected to the first mobile termi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fixed terminal. A storage unit storing first data stored therein and second data stored in the second mobile termi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fixed terminal; As the first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terminal, receiving, by the web server, a data sharing request including a request for transmitting change information of the second data from the first fixed terminal; Determining, by the web server, whether change information of the second data exists; And when the web server determines that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second data exists, the web server transmitting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second data to the first fixed termi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제1 고정 단말기에 접속됨에 따 라, 상기 제1 고정 단말기가 상기 제1 데이터의 변경 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에는 상기 제1 데이터의 변경정보 등록 요청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as the first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terminal, when the first fixed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first data exists, the data sharing request includes the first data. The change information registration request of th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에 상기 제1 데이터의 변경정보 등록 요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웹서버는 상기 제1 데이터의 변경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eb server may store change information of the first data when the data sharing request includes a change information registration request of the first data.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웹서버는, 제1 이동 단말기와 제2 이동 단말기 간의 데이터의 상호 공유를 위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가 접속되는 제1 고정 단말기, 및 상기 제2 이동 단말기가 접속되는 제2 고정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웹서버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고정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제2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제1 고정 단말기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제1 고정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의 변경정보 송신 요청을 포함하는 데이터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가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저장부에 상기 제2 데이터의 변경정보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저장부에 상기 제2 데이터의 변경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상기 제2 데이터의 변경정보를 상기 제1 고정 단말기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web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ixed terminal to which the first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and a second mobile terminal to which the second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for mutual sharing of data between 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mobile terminal. 2. A web server connected to a fixed terminal through a network, the web server comprising: first data stored in the first mobile termi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fixed terminal and the second movement received through the second fixed terminal; A storage unit which stores second data stored in the terminal; A receiving unit which receives a data sharing request including a request for transmitting change information of the second data from the first fixed terminal as the first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terminal; A determining unit determining whether change information of the second data exists in the storage unit when the receiving unit receives the data sharing request;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second data to the first fixed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second data exists in the storage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제1 고정 단말기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제1 고정 단말기가 상기 제1 데이터의 변경 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 한 경우에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에는 상기 제1 데이터의 변경정보 등록 요청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as the first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terminal, when the first fixed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first data exists, the data sharing request includes the first data. The change information registration request of th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에 상기 제1 데이터의 변경정보 등록 요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1 데이터의 변경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torage unit may store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first data when the request to register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first data is included in the data sharing request.

본 발명에 따르면, 지인들간의 이동 단말기의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적으로 공유하여 상호저장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between acquaintances can be automatically shared through a network and mutually stor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figure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간의 데이터 공유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data sharing system between mobile terminals using a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간의 데이터 공유 시스템은 제1 이동 단말기(150), 제1 고정 단말기(100), 제2 이동 단말기(250), 제2 고정 단말기(200), 및 웹서버(3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data sharing system between mobile terminals using a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obile terminal 150, a first fixed terminal 100, a second mobile terminal 250, and a second fixed terminal 200. And a web server 300.

제1 이동 단말기(150)는 제1 고정 단말기(100)와, 제2 이동 단말기(250)는 제2 고정 단말기(200)와 각각 USB 케이블 등을 통해 접속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각의 고정 단말기(100,200)는 자신에게 접속된 이동 단말기(150,250) 내부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이후의 재접속이 있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150,250) 내부의 데이터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데이터가 변경된 경우에는 데이터의 변경정보를 별도로 저장하여 보관한다. The first mobile terminal 15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terminal 100, and the second mobile terminal 25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ixed terminal 200 through a USB cable, respectively. The terminal 100 or 200 receives and stores data in the mobile terminals 150 and 250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determines whether data in the mobile terminals 150 and 250 has changed when there is a subsequent reconnection, and when the data is changed. In this case, data change information is stored separately.

한편, 웹서버(300)는 제1 고정 단말기(100), 및 제2 고정 단말기(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Meanwhile, the web server 300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terminal 100 and the second fixed terminal 200 through a network.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간의 데이터 공유 시스템 상의 웹서버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웹서 버(300)는 수신부(310), 저장부(330), 송신부(370), 및 판단부(350)를 포함하고 있다.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web server on a data sharing system between mobile terminals using a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web serv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er 310, a storage 330, a transmitter 370, and a determiner 350.

먼저, 수신부(310)는 제1 고정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이동 단말기(150)의 내부 데이터인 제1 데이터를 제1 고정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제1 데이터는 저장부(330)에 저장된다. 또한, 수신부(310)는 제2 고정 단말기(200)에 저장되어 있는 제2 이동 단말기(250)의 내부 데이터인 제2 데이터를 제2 고정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제2 데이터는 저장부(330)에 저장된다.First, the receiver 310 receives first data, which is internal data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150 stored in the first fixed terminal 100, from the first fixed terminal 100, and the received first data is The storage unit 330 is stored. In addition, the receiver 310 receives second data, which is internal data of the second mobile terminal 250 stored in the second fixed terminal 200, from the second fixed terminal 200, and the received second data is The storage unit 330 is stored.

한편, 웹서버(300)의 판단부(350)는 수신부(310)가 제1 고정 단말기(100) 및 제2 고정 단말기(200)로부터 데이터 공유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에 저장부(33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변경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웹서버(300)의 송신부(370)는 판단부(350)가 데이터의 변경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데이터 공유요청을 송신한 고정 단말기에 데이터의 변경정보를 송신한다.Meanwhile, the determination unit 350 of the web server 300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330 when the receiver 310 receives a data sharing request from the first fixed terminal 100 and the second fixed terminal 20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existing data exists, and the transmitting unit 370 of the web server 300 transmits the data sharing request when the determination unit 350 determines that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data exists. The data change information is sent to.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간의 데이터 공유 방법의 실행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간의 데이터 공유 방법의 실행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ecution process of a data sharing method between mobile terminals using a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xecution process of a data sharing method between mobile terminals using a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한편,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제1 이동 단말기(150) 및 제1 고정 단말기(100)를 중심으로 기술하기로 하며, 제2 이동 단말기(250) 및 제2 고정 단말기(200)는 제1 이동 단말기(150) 및 제1 고정 단말기(100)와 각각 대응되는 구성으로서 이들은 제1 이동 단말기(150) 및 제1 고정 단말기(100)과 동일한 원리와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Meanwhile, in describing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obile terminal 150 and the first fixed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250 and the second fixed terminal 200. As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150 and the first fixed terminal 100,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y operate in the same principle and manner as the first mobile terminal 150 and the first fixed terminal 100.

먼저, 제1 이동 단말기(150)의 사용자는 제1 이동 단말기(150)를 제1 고정 단말기(100)에 접속한다(S400). 한편, 제1 고정 단말기(100)에는 이미 이전에 접속되었을 때 저장해 놓은 제1 이동 단말기(150)의 내부의 데이터인 제1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제1 이동 단말기(150)는 휴대폰 단말기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제1 데이터에는 사용자의 정보로서, 휴대폰 단말기 정보, 휴대폰 단말기 번호, 사용자의 이메일 정보, 사용자의 프로필 사진 등이 포함되며, 타인의 정보로서 타인의 전화번호, 타인의 이메일 정보, 타인의 프로필 사진 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First, a user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150 connects the first mobile terminal 150 to the first fixed terminal 100 (S400). Meanwhile, the first fixed terminal 100 stores first data, which is data inside the first mobile terminal 150, which is stored when previously connected.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obile terminal 150 may be a mobile phone terminal, and the first data includes the user's information, such as mobile phone information, mobile phone number, user's e-mail information, user's profile picture, etc. This may include other people's phone number, another person's email information, another person's profile picture, and the like.

한편, 전술한 S400 단계에서, 제1 고정 단말기(100)에 제1 이동 단말기(150)가 다시 접속되는 경우에 제1 고정 단말기(100)는 제1 이동 단말기(150)에 저장되어 있는 제1 데이터를 구성하는 정보 중에서 수정되거나 추가된 정보인 변경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410).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step S400, when the first mobile terminal 150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terminal 100 again, the first fixed terminal 100 is the first stored in the first mobile terminal 150.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change information which is modified or added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constituting the data (S410).

그 결과, 제1 데이터를 구성하는 정보 중에서 변경정보가 없는 경우에 제1 고정 단말기(100)는 제2 이동 단말기(25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인 제2 데이터의 변경정보에 대한 송신 요청을 포함하는 데이터 공유 요청을 웹서버(300)에 송신한다(S430). 구체적으로, 제1 고정 단말기(100)가 송신하는 데이터 공유 요청에는 제1 이동 단말기(150)의 사용자가 특정한 단말기로서, 데이터 공유를 원하는 상대방 단말기인 제2 이동 단말기(250)의 고유정보가 포함될 것이다. As a result, when there is no change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constituting the first data, the first fixed terminal 100 includes a request for transmission of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second data, which is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mobile terminal 250. The data sharing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web server 300 (S430). In detail, the data sharing request transmitted by the first fixed terminal 100 may include unique information of the second mobile terminal 250, which is a terminal of which the user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150 is a counterpart terminal that wants to share data. will be.

또한, 제1 이동 단말기(150)의 사용자는 데이터 공유 요청의 대상이 되는 제 2 이동 단말기(250)를 복수개로 지정하고, 복수개의 제2 이동 단말기(250)의 고유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복수개의 제2 데이터의 공유를 요청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a user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150 designates a plurality of second mobile terminals 250 to which data sharing requests are applied, and includes a plurality of uniqu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econd mobile terminals 250, thereby providing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It may also request sharing of the second data.

한편, 제1 데이터를 구성하는 정보 중에서 변경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제1 고정 단말기(100)는 제1 데이터의 변경정보를 반영하여 제1 데이터를 갱신하여 저장한 후에, 제1 데이터의 변경정보와 함께 제1 데이터의 변경정보에 대한 등록 요청 및 제2 데이터의 변경정보에 대한 송신 요청을 포함하는 데이터 공유 요청을 웹서버(300)에 송신한다(S440).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change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constituting the first data, the first fixed terminal 100 updates and stores the first data to reflect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first data, and then changes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first data. Together, the data sharing request including a registration request for change information of the first data and a request for transmission of change information of the second data is transmitted to the web server 300 (S440).

이에 웹서버(300)의 수신부(310)는 제1 고정 단말기(100)로부터 데이터 공유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따라 웹서버(300)의 저장부(330)는 제1 데이터의 변경정보를 저장하고 제1 데이터의 변경정보에 따라 저장부(330)에 기저장되어 있는 제1 데이터를 갱신하여 저장한다(S450). Accordingly, the reception unit 310 of the web server 300 receives a data sharing request from the first fixed terminal 100, and accordingly, the storage unit 330 of the web server 300 stores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first data. According to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first data, the first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330 is updated and stored (S450).

그 다음, 웹서버(300)의 판단부(350)는 저장부(330)에 제2 데이터의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60). 구체적으로, 웹서버(300)의 판단부(350)는 제1 고정 단말기(100)가 이전에 접속한 시점 이후에 제2 고정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된 제2 데이터의 변경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Next, the determination unit 350 of the web server 300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data exists in the storage unit 330 (S460). In detail, the determination unit 350 of the web server 30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change information of the second data received and stored from the second fixed terminal 200 after the first connection of the first fixed terminal 100. Determine whether or not.

웹서버(300)의 판단부(350)가 제2 데이터의 변경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웹서버(300)의 송신부(370)는 제1 고정 단말기(100)에 제2 데이터의 변경 정보를 제1 고정 단말기(100)에 송신하며(S470), 이에 제1 고정 단말기(100)는 제2 데이터의 변경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한 후에(S480), 제2 데이터의 변경 정보를 제1 이동 단말기(150)에 송신하게 된다(S490).When the determination unit 350 of the web server 300 determines that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second data exists, the transmitter 370 of the web server 300 changes the second data in the first fixed terminal 100.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first fixed terminal 100 (S470), and thus, the first fixed terminal 100 receives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second data and stores it (S480). 1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50 (S490).

이에 제1 이동 단말기(150)는 제1 고정 단말기(100)에 접속된 상태에서 제2 데이터의 변경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 제2 데이터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게 된다(S495). In response to the first mobile terminal 150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terminal 100, the first mobile terminal 150 receives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second data, thereby updating and storing the second data information (S495).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above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and appl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applications described above,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간의 데이터 공유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1 is a view illustrating a data sharing system between mobile terminals using a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간의 데이터 공유 시스템 상의 웹서버의 기능 블록도, 및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web server on a data sharing system between mobile terminals using a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간의 데이터 공유 방법의 실행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ecution process of a data sharing method between mobile terminals using a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제1 이동 단말기와 제2 이동 단말기 간의 데이터의 상호 공유를 위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가 접속되는 제1 고정 단말기, 및 상기 제2 이동 단말기가 접속되는 제2 고정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웹서버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에 있어서, In order to share data between a first mobile terminal and a second mobile terminal, a web connected through a network with a first fixed terminal to which the first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and a second fixed terminal to which the second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In the data sharing method using a server, 상기 웹서버가, 상기 제1 고정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고정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제2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단계;The web server stores first data stored in the first mobile termi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fixed terminal and second data stored in the second mobile termi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fixed terminal. Provid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상기 제1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제1 고정 단말기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제1 고정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의 변경정보 송신 요청을 포함하는 데이터 공유 요청을 상기 웹서버가 수신하는 단계;As the first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terminal, receiving, by the web server, a data sharing request including a request for transmitting change information of the second data from the first fixed terminal; 상기 웹서버가, 상기 제2 데이터의 변경정보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Determining, by the web server, whether change information of the second data exists; And 상기 웹서버가, 상기 제2 데이터의 변경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상기 웹서버는 상기 제2 데이터의 변경정보를 상기 제1 고정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When the web server determines that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second data exists, the web server transmitting change information of the second data to the first fixed terminal.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간의 데이터 공유 방법.Data sharing method between mobile terminals using a network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제1 고정 단말기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제1 고정 단말기가 상기 제1 데이터의 변경 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에는 상기 제1 데이터의 변경정보 등록 요청이 더 포함되는 것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간의 데이터 공유 방법.As the first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terminal, when the first fixed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first data exists, the data sharing request is requested to register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first data. The data sharing metho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using a network that is further included.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에 상기 제1 데이터의 변경정보 등록 요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웹서버는 상기 제1 데이터의 변경정보를 저장하는 것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간의 데이터 공유 방법.The web server stores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first data when the data sharing request includes the change information registration request of the first data. 제1 이동 단말기와 제2 이동 단말기 간의 데이터의 상호 공유를 위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가 접속되는 제1 고정 단말기, 및 상기 제2 이동 단말기가 접속되는 제2 고정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웹서버에 있어서, In order to share data between a first mobile terminal and a second mobile terminal, a web connected through a network with a first fixed terminal to which the first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and a second fixed terminal to which the second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In the server, 상기 제1 고정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고정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제2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A storage unit which stores first data stored in the first mobile termi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fixed terminal and second data stored in the second mobile termi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fixed terminal; 상기 제1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제1 고정 단말기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제1 고정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의 변경정보 송신 요청을 포함하는 데이터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A receiving unit which receives a data sharing request including a request for transmitting change information of the second data from the first fixed terminal as the first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terminal; 상기 수신부가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저장부에 상기 제2 데이터의 변경정보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A determining unit determining whether change information of the second data exists in the storage unit when the receiving unit receives the data sharing request; And 상기 저장부에 상기 제2 데이터의 변경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상기 제2 데이터의 변경정보를 상기 제1 고정 단말기에 송신하는 송신부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second data to the first fixed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second data exists in the storage unit; 를 포함하는 웹서버.Web server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1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제1 고정 단말기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제1 고정 단말기가 상기 제1 데이터의 변경 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에는 상기 제1 데이터의 변경정보 등록 요청이 더 포함되는 것인 웹서버.As the first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terminal, when the first fixed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first data exists, the data sharing request is requested to register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first data. The web server that is further included.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에 상기 제1 데이터의 변경정보 등록 요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1 데이터의 변경정보를 저장하는 것인 웹서버.And when the change information registration request of the first data is included in the data sharing request, the storage unit to store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first data.
KR1020090111429A 2009-11-18 2009-11-18 Data sharing method during movile terminals using network, and web-server used therein KR2011005468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429A KR20110054684A (en) 2009-11-18 2009-11-18 Data sharing method during movile terminals using network, and web-server used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429A KR20110054684A (en) 2009-11-18 2009-11-18 Data sharing method during movile terminals using network, and web-server used there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684A true KR20110054684A (en) 2011-05-25

Family

ID=44363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429A KR20110054684A (en) 2009-11-18 2009-11-18 Data sharing method during movile terminals using network, and web-server used there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468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75743B1 (en) Communic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terminal
KR10157658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notification and handling
CN104967557A (en) Communication message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CN103856324A (en) Identity confirmation method, communication reques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1459885B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customer state automatic playing
CN106465072B (en) Call forwarding method and terminal
JP5503821B2 (en) Display system, display method and program
JP56611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nding electronic short messages to multiple receivers
KR2012003263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pdating of data in portable terminal
CN105704106B (en) A kind of visualization IVR implementa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20070010007A (en) Call processing system, communication serv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ll processing method
US11159675B2 (en) Method for telephonic linking of a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ultiple numbers
JP5442409B2 (en) Call connection control device,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and program
KR100979393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er and receiver's information display service
KR101028487B1 (en) Method for connecting internet telephone
JP6546373B2 (en) Communication server
KR20110054684A (en) Data sharing method during movile terminals using network, and web-server used therein
CN107465827B (en) Information reply method,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06331270B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numbers of contact persons
KR101041386B1 (en) Internet telephone system for connecting to internet phone on the smartphone using push server
US8843176B2 (en) Private branch exchange and telephone system
CN107005554B (en) Voice service sharing method, device and system
JP6602919B2 (en) Communication server
KR100884648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and E-mail Reply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1429855B1 (en) Communication relaying server,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