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8456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측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측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8456A
KR20110048456A KR1020100099228A KR20100099228A KR20110048456A KR 20110048456 A KR20110048456 A KR 20110048456A KR 1020100099228 A KR1020100099228 A KR 1020100099228A KR 20100099228 A KR20100099228 A KR 20100099228A KR 20110048456 A KR20110048456 A KR 20110048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easurement
cell
frequencies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희
이경준
이승준
정성훈
천성덕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9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8456A/ko
Priority to US12/917,075 priority patent/US8724491B2/en
Publication of KR20110048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4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58Transmission of hand-off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측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복수의 주파수들을 사용하는 단말에서 셀 측정 방법에 있어서, 단말은 상기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에 전용 연결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주파수들을 위한 측정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주파수들의 셀들을 측정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측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MEASURING CE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측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망구조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UMTS의 망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MTS 시스템은 단말(user equipment, UE), UTMS 무선접속망(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UTRAN) 및 핵심망(core network, CN)을 포함한다. UTRAN은 한 개 이상의 무선망부시스템(radio network sub-systems, RNS)으로 구성되며, RNS 각각은 하나의 무선망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 및 RNC에 의해서 관리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Node B)을 포함한다. 하나의 기지국에는 하나 이상의 셀(Cell)이 존재한다.
다음으로, UMTS에서 사용하는 무선 프로토콜의 구조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UMTS에서 사용하는 무선 프로토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무선 프로토콜 계층들은 단말과 UTRAN에 쌍(pair)으로 존재하여, 무선 구간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한다. 각각의 무선 프로토콜 계층들에 대해 설명하면, 제1 계층인 물리 계층(physical layer, PHY 계층)은 다양한 무선전송기술을 이용해 데이터를 무선 구간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PHY 계층은 상위 계층인 MAC 계층과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전송채널은 크게 채널의 공유 여부에 따라 전용(dedicated) 전송 채널과 공용(common) 전송 채널로 나뉜다.
제2 계층에는 MAC, RLC, PDCP, 및 BMC 계층이 존재한다. MAC 계층은 다양한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을 다양한 전송 채널에 맵핑시키고, 복수의 논리 채널을 하나의 전송 채널에 맵핑시키는 논리 채널 다중화(Multiplexing)도 수행한다.
MAC 계층은 상위계층인 RLC 계층과는 논리 채널로 연결되어 있으며, 논리 채널은 전송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제어 평면(control plane)의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 채널(control channel)과 사용자 평면(user plane)의 정보를 전송하는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로 나뉜다. 제어 채널에는 공용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CCCH(Common Control Channel) 논리 채널, 특정 단말에게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DCCH(Dedicated Control Channel) 논리 채널, 셀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논리 채널,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PCCH(Paging Control Channel) 논리 채널 등이 있다. 트래픽 채널에는 특정 단말에게 사용자 평면의 데이터를 전달하는 DTCH(Dedicated Traffic Channel)가 존재한다.
또한, MAC 계층은 세부적으로 관리하는 전송 채널의 종류에 따라 MAC-b 부계층(Sublayer), MAC-d 부계층, MAC-c/sh 부계층, MAC-hs/ehs 부계층 및 MAC-e/es 또는 MAC-i/is 부계층으로 구분된다. MAC-b 부계층은 시스템 정보의 방송을 담당하는 전송 채널인 BCH(Broadcast Channel)의 관리를 담당하고, MAC-c/sh 부계층은 다른 단말들과 공유되는 FACH(Forward Access Channel) 공용 전송 채널을 관리하며, MAC-d 부계층은 특정 단말에 대한 전용 전송 채널인 DCH(Dedicated Channel)의 관리를 담당한다. 또한, MAC-hs/ehs 부계층은 고속 하향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송 채널인 HS-DSCH(High Speed Downlink Shared Channel)를 관리하며, MAC-e/es 또는 MAC-i/is 부계층은 고속 상향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송 채널인 E-DCH(Enhanced Dedicated Channel)를 관리한다.
RLC 계층은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RB)의 QoS에 대한 보장과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한다. RLC는 RB 고유의 QoS를 보장하기 위해 RB 마다 한 개 또는 두 개의 독립된 RLC 개체(Entity)를 두고 있으며, 다양한 QoS를 지원하기 위해 투명모드 (Transparent Mode, TM), 무응답모드(Unacknowledged Mode, UM) 및 응답모드 (Acknowledged Mode, AM)의 세가지 RLC 모드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RLC는 하위계층이 무선 구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적합하도록 데이터 크기를 조절하는 역할도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상위계층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분할 및 연결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PDCP 계층은 RLC 계층의 상위에 위치하며, IPv4나 IPv6와 같은 IP 패킷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가 상대적으로 대역폭이 작은 무선 구간에서 효율적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PDCP 계층은 헤더압축(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는 데이터의 헤더(Header) 부분에서 반드시 필요한 정보만을 전송하도록 하여, 무선 구간의 전송 효율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PDCP 계층은 헤더 압축이 기본 기능이기 때문에 주로 패킷망(packet switched, PS) 영역에 존재하며, 각 PS 서비스에 대해 효과적인 헤더 압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RB 당 한 개의 PDCP 개체가 존재한다. 그러나, PDCP 계층이 서킷망(circuit switched, CS)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헤더 압축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그 외에도 제 2계층에는 BMC (Broadcast/Multicast Control) 계층이 RLC 계층의 상위에 존재하여, 셀 방송 메시지(Cell Broadcast Message)를 스케줄링하고, 특정 셀에 위치한 단말들에게 방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3 계층의 가장 하부에 위치한 무선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은 제어 평면에서만 정의되며, RB들의 설정, 재설정 및 해제와 관련되어 제1 계층 및 제2 계층의 파라미터들을 제어하고,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이때, RB는 단말과 UTRAN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무선 프로토콜의 제1 계층 및 제2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논리적 경로(path)를 의미하고, 일반적으로 RB가 설정된다는 것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무선 프로토콜 계층 및 채널의 특성을 규정하고, 각각의 구체적인 파라미터 및 동작 방법을 설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UMTS의 듀얼 셀 HSPA(Dual Cell High Speed Packet Access) 및 LTE-A 시스템의 캐리어 집합(Carrier Aggregation, CA)에 대하여 살펴본다.
듀얼 셀 HSPA는 단말이 기존에 하나의 주파수만을 이용해 E-DCH 전송을 하던 것을 하나의 단말이 동시에 두 개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여 기존 E-DCH 보다 데이터 전송 량을 두 배로 늘리는 기술이다. 단말이 두 개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듀얼 셀 E-DCH 동작(Dual Cell E-DCH Operation) 이라 한다. 또한, 하향링크에 대하여 종래에는 단말이 하나의 주파수을 이용하여 HS-DSCH를 수신하였는데, 두 개의 주파수를 동시에 이용하여 HS-DSCH를 수신하여 데이터 수신 량을 두 배로 늘리는 기술을 듀얼 셀 HSDPA 동작(Dual Cell HSDPA Operation)이라 한다.
LTE-A 시스템에서는 대역폭을 확장하기 위하여 기존 LTE 시스템에서 가질 수 있는 캐리어(Carrier)를 콤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라고 정의하고, CC를 최대 5개까지 묶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즉, 복수의 CC를 묶어서 사용하는 기술은 캐리어 집합이라고 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듀얼 셀 HSPA 및 캐리어 집합과 같이 단말이 복수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유휴 모드(idle mode)의 단말이 셀에 접속한 후 네트워크는 일단 하나의 주파수에 대해 단말과 RRC 연결을 설정한다. 그리고, 단말이 RRC 연결 상태일 때, 네트워크는 복수의 주파수를 위한 측정 설정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 그러면, 단말은 수신된 측정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주파수에 대한 셀 측정을 수행하여, 셀 측정 결과를 네트워크에게 알려준다. 그러면, 기지국은 수신된 셀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단말에게 복수의 주파수를 설정해 준다. 즉, 유휴 모드의 단말이 셀에 접속한 후 네트워크가 바로 복수의 주파수를 설정하지 않으므로, 유휴 모드의 단말이 셀에 접속한 후 일정 시간이 지연된 이후부터 복수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높은 데이터 레이트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은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에 복수의 주파수가 설정되는데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에 복수의 주파수가 설정되는데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에 복수의 주파수가 빠르게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셀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복수의 주파수들을 사용하는 단말에서 셀 측정 방법에 있어서, 단말은 상기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에 전용 연결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주파수들을 위한 측정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주파수들의 셀들을 측정한다.
이때, 상기 단말은 상기 특정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주파수들의 셀들의 측정 결과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 결과는 RRC 연결 설정 중에 전송되는 RRC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 결과는 RRC 연결 설정이 완료된 후, 전용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 설정 정보는 상기 단말이 측정해야 할 셀들의 리스트인 셀 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셀 리스트는 상기 단말이 캠핑온한 셀의 주파수 및 상기 단말이 캠핑온한 셀의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 설정 정보는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복수의 주파수들을 사용하는 단말의 셀 측정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은 상기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에 전용 연결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단말에게 상기 복수의 주파수들을 위한 측정 설정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측정 설정 정보에 따라 측정한 상기 복수의 주파수들의 셀들의 측정 결과를 수신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주파수들을 사용하는 단말은 상기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에 전용 연결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주파수들을 위한 측정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및 상기 측정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주파수들의 셀들을 측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은 상기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에 전용 연결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복수의주파수들을 사용하는 단말에게 상기 복수의 주파수들을 위한 측정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 모듈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측정 설정 정보에 따라 측정한 상기 복수의 주파수들의 셀들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네트워크와 전용 연결이 존재하지 않는 단말이 네트워크에 연결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단말이 복수의 주파수에 대한 셀들의 측정 결과를 한번에 기지국에게 알려줌으로써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에 복수의 주파수가 빠르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UMTS의 망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UMTS에서 사용하는 무선 프로토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셀 측정 결과에 따른 채널 설정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듀얼 셀 HSP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LTE-A 시스템의 캐리어 집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복수의 주파수를 위한 채널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측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RRC 연결 설정 과정에서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RRC 연결 모드에서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송신기 및 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예를 들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이 UMTS 시스템인 경우를 가정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UMTS 시스템의 특유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다른 임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등 이동 또는 고정형의 사용자단 기기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기지국은 Node B, eNode B, Base Station 등 단말과 통신하는 네트워크 단의 임의의 노드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먼저, 셀 측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이동성 지원은 필수적이다. 이동성 지원을 위해서 단말은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빙 셀(serving cell)의 품질 및 서빙 셀 주변의 이웃셀에 대한 품질을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그리고, 단말은 측정한 결과를 적절한 시간에 네트워크에게 전송하고, 네트워크는 단말이 보고한 측정 결과값을 바탕으로 단말에게 핸드오버 명령 등을 하여 단말에게 최적의 이동성을 제공한다.
주파수 재사용 인자(Frequency reuse factor)가 1인 이동 통신 시스템 운영 형태에서는 이동성이 대부분 같은 주파수에 있는 서로 다른 셀 간에 이루어진다. 따라서, 단말의 이동성을 잘 보장하기 위해서는 단말은 서빙 셀과 같은 중심 주파수에 있는 셀들을 찾을 수 있어야 하고, 이렇게 찾은 주변 셀들의 품질 및 셀 정보를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서빙 셀의 중심 주파수와 같은 중심 주파수를 사용하는 셀에 대한 측정을 인트라 주파수 측정(intra-frequency measurement)이라고 부른다. 단말은 인트라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여 측정 결과를 네트워크에게 적절한 시간에 보고한다.
그런데, 이동 통신 사업자는 복수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주파수를 통해 이동 통신 시스템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단말에게 최적의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단말이 서빙 셀의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에 있는 셀들도 찾을 수 있어야 하고, 이렇게 찾은 주변 셀들의 품질 및 셀 정보를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서빙 셀의 중심 주파수와 다른 중심 주파수를 사용하는 셀에 대한 측정을 인터 주파수 측정(inter-frequency measurement)이라고 부른다. 단말은 인터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여 측정 결과를 네트워크에게 적절한 시간에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이 이종 통신망에 대한 측정을 지원할 경우, 기지국 설정에 의해 단말은이종 통신망의 셀에 대한 측정을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기종망에 대한 측정을 인터 랫 측정(inter-RAT measurement)라고 부른다. UMTS 단말 입장에서 3GPP 표준 규격을 따르는 LTE, GERAN 또는 3GPP2 표준 규격을 따르는 CDMA 2000 시스템은 인터 랫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은 하나의 전송(transmission, Tx) 및 수신(receiption, Rx) 회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단말이 인트라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때는 측정해야 할 이웃셀과 서빙 셀이 같은 주파수를 사용하므로 단말은 서빙 셀과 데이터 송수신을 하면서 이웃셀을 측정할 수 있다. 반면, 단말이 인터 주파수 측정 또는 인터 랫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서빙 셀과 잠시 동안 데이터 송수신을 중단하고 측정할 이웃셀이 사용하는 주파수를 튜닝하여 이웃셀을 측정해야 한다. 이때, 데이터 송수신을 중단하는 시간 구간은 단말과 네트워크가 동일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단말이 다른 주파수에서 셀 측정을 수행하는 동안 기지국이 단말에게 데이터를 서빙 셀의 주파수에서 송신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으므로, 무선 자원의 낭비가 발생한다.
이렇게, 기지국과 RRC 연결 상태의 단말이 다른 주파수 대역이나 다른 시스템의 셀을 측정하기 위해서, 잠시 동안 서빙셀의 주파수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중단하는 시간 구간을 UMTS에서는 압축 모드(compressed mode)라 하고 LTE 시스템에서 측정갭(Measurement gap)이라고 한다.
RRC 연결상태의 단말과 달리 CELL_FACH 상태의 단말은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에 정해진 FACH 측정 기회(FACH measurement occasion) 시간에 인터 주파수 측정 또는 인터 랫 측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CELL_PCH, URA_PCH 또는 IDLE 모드 단말은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배터리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하여 DRX 구간에만 데이터를 수신한다. 따라서 데이터 수신을 수행하지 않는 구간에 인터 주파수 측정 또는 인터 랫 측정을 수행한다.
기지국은 단말이 무엇을 어떻게 측정하여, 무엇을 어떻게 보고할 것인지에 관한 측정 설정 정보(measurement configuration information)를 단말에게 알려준다. 즉, 측정 정보는 측정 타입(Measurement Type), 측정 객체(Measurement Object), 측정 수량(Measurement Quantity), 보고 수량(Reporting Quantity), 보고 기준(Reporting Criteria)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 타입은 단말이 어떤 측정을 할 것인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측정 타입에는 인트라 주파수 측정, 인터 주파수 측정, 인터 랫 주파수 측정 등이 있다.
측정 객체는 단말이 어떤 셀을 측정할지를 나타낸다. 즉, 기지국은 단말이 측정할 셀 리스트(Cell List)를 알려준다. 인트라 주파수 측정의 경우에는 단말이 캠핑온한 셀의 주파수와 같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셀들을 알려주고, 인터 주파수 측정 또는 인터 랫 측정의 경우에는 단말이 측정할 시스템, 단말이 측정할 주파수 및 단말이 측정할 주파수에 해당하는 셀들을 알려준다.
측정 수량은 단말이 무엇을 측정할 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및 기준 신호 수신 품질(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 등을 알려준다.
보고 수량은 단말이 무엇을 보고할 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인트라 주파수 측정의 경우에 액티브 셋(Active Set) 내의 셀을 보고할 지, 모니터드 셋(Monitored Set) 내의 셀을 보고할 지 또는 검출된 셀을 보고할지 등을 알려준다.
보고 기준은 단말이 언제 측정 결과를 보고할지를 나타낸다. 단말은 주기적으로 또는 어떤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웃셀이 서빙셀보다 수신 신호의 품질이 좋을 때, 서빙셀이나 이웃셀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임계값보다 낮거나 높을 때 등이 보고 조건이 될 수 있다.
다음은 CELL_PCH, URA_PCH, CELL_FACH 상태 또는 IDLE 모드의 단말의 셀 측정 과정을 설명한다. 단말은 네트워크의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을 통해 셀 선택 및 재 선택을 위한 정보를 수신한다. SIB는 Sintrasearch 와 Sintersearch 값을 포함한다. 단말은 서빙셀의 품질이 어떤 임계값보다 나쁘면 셀 측정을 수행한다. 즉, 서빙셀의 품질이 Sintrasearch보다 낮으면 인트라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고, 서빙셀의 품질이 Sintersearch보다 낮으면 인터 주파수 측정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Sintrasearch 값이 Sintersearch 값보다 더 높다.
다음으로, 단말의 셀 측정 결과에 따라 기지국이 채널 설정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셀 측정 결과에 따른 채널 설정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는 단말에게 측정 설정 정보를 전송하고, 단말은 측정 설정 정보에 따라 셀 측정을 수행한다. 즉, 측정 설정 정보에 따라 단말은 인트라 주파수 측정 또는/및 인터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수 있고, 측정 설정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셀들의 신호 전력 또는 신호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보고 조건이 만족되면, 단말은 측정 결과 보고를 네트워크에게 전송한다. 네트워크는 단말의 서빙셀 및 이웃셀의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단말에게 채널 설정을 수행한다.
UMTS에서는 기지국이 측정 설정 정보를 SIB으로 모든 셀 내에 동일하게 전송하는 경우와 특정 단말에게 알려주는 경우가 있다. LTE 시스템에서는 특정 단말에게 알려주는 경우만 존재한다.
UMTS에서는 단말이 SIB을 통하여 측정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이 측정한 셀 정보를 RRC 연결 요청(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 또는 다른 RRC 메시지 전송 시 네트워크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는, 단말이 CELL_DCH 상태가 되었을 때,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 메시지를 통하여 알려줄 수도 있다.
단말이 측정한 셀 정보를 RRC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해서 전송할 때, 네트워크는 어떤 셀을 보고하라는 정보를 포함하여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트라 주파수 측정을 위해서는 네트워크가 서빙 셀 또는 서빙셀 및 모니터드 셀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라고 지시할 수도 있고, 측정 결과를 보고할 모니터드 셀의 개수도 알려주어 최대 측정 보고 셀의 개수를 알려줄 수도 있다. 또한, 인터 주파수 측정을 위해서는 네트워크가 단말에게 기준 임계치(threshold)를 알려주어, 셀 측정 결과가 기준 임계치를 넘는 경우에 측정 결과를 보고하라고 지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듀얼 셀 HSPA(Dual Cell High Speed Packet Access)에 대해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듀얼 셀 HSP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단말이 하나의 주파수를 이용해 E-DCH(Enhanced Dedicated Channel)를 전송했으나, 듀얼 셀 HSPA에서는 단말이 동시에 두 주파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여 종래보다 데이터 전송 량이 두 배로 늘어난다. 듀얼 셀 HSPA에는 단말은 최대 20Mbps까지 전송할 수 있으며, 단말이 동시에 두 주파수를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듀얼 셀 E-DCH 동작(Dual Cell E-DCH Operation)이라 한다.
또한, 하향 링크에 대하여도 종래에는 단말이 하나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HS-DSCH(High Speed Downlink Shared Channel)를 수신했으나, 듀얼 셀 HSPA에서는 하나의 단말이 두 개의 주파수를 이용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수신량이 두 배로 늘어난다. 듀얼 셀 HSPA에서 단말은 최대 80Mbps까지 수신할 수 있으며, 단말이 동시에 두 주파수를 이용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듀얼 셀 HSDPA 동작(Dual Cell HSDPA Operation)이라 한다. 그리고, 하나의 단말이 네 개의 주파수를 동시에 수신하여 기본 HS-DSCH보다 데이터 수신 량을 네 배로 늘릴 수 있다. 그러면, 단말은 최대 160Mbps까지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포 캐리어 HSDPA 동작(Four Carrier HSDPA Operation)이라 한다.
듀얼 셀 HSPA에서 단말의 기본 상향 주파수(Primary Uplink Frequency)를 통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필요한 하향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셀을 서빙 HS-DSCH 셀(Serving HS-DSCH Cell) 혹은 주 서빙 HS-DSCH 셀(Primary Serving HS-DSCH Cell)이라 한다. 그리고, 단말이 데이터를 수신하는 셀 중 서빙 HS-DSCH 셀이 아닌 셀을 부 서빙 HS-DSCH 셀(Secondary Serving HS-DSCH Cell)이라 한다. 이때, 기본 상향 주파수는 수신된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확인 응답(acknowledgement /non-acknowledgement, ACK/NACK)을 전송하는 HS-DPCCH 채널이 존재하는 상향 주파수이다.
다음으로, LTE-A 시스템의 캐리어 집합(Carrier Aggregation, CA)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LTE-A 시스템의 캐리어 집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LTE-A 기술 표준은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의 IMT-Advanced 후보 기술로써, ITU의 IMT-Advanced 기술 요구사항에 부합되도록 설계되고 있다. 이에 따라, LTE-A에서는 ITU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기존 LTE 시스템에 대비하여 대역폭을 확장하는 논의가 진행 중이다. LTE-A 시스템에서는 대역폭을 확장하기 위하여 기존 LTE 시스템에서 가질 수 있는 캐리어(Carrier)를 콤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라고 정의하고, CC를 최대 5개까지 묶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CC는 LTE 시스템과 같이 최대 20MHz의 대역폭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최대 100MHz까지 대역폭을 확장할 수 있는 개념이다. 이처럼 복수의 CC를 묶어서 사용하는 기술은 캐리어 집합이라고 한다.
캐리어 집합 기술이 적용될 때, 단말은 주 서빙 셀(Primary Serving Cell, Pcell)과 부 서빙 셀(Secondary Serving Cell, Scell)들을 가진다. 이때, 주 서빙 셀은 단말이 캠핑온(Camping On) 과정을 수행한 셀이다. 혹은, 네트워크가 셀 공통으로 SIB을 통하여 알려준 셀이다. 부 서빙 셀은 단말이 데이터 수신이 가능한 셀 중 주 서빙 셀이 아닌 셀을 말한다.
다음으로, 네트워크가 복수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단말에게 단말의 셀 측정 결과에 따라 복수의 주파수를 위한 채널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복수의 주파수를 위한 채널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IDLE 모드의 단말이 네트워크로부터 SIB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단말은 가장 좋은 적절한 셀을 찾아 그 셀에 캠핑온을 하여야 한다. 따라서, 단말은 적절한 셀 선택/재선택을 하기 위하여 셀 측정을 수행한다. 이 때에 SIB 에 존재하는 측정 설정 정보는 단말이 캠핑온한 셀에 대한 측정 설정 정보이다. 이 후, 단말과 네트워크는 캠핑온을 수행한 셀에 대하여 RRC 연결 설정 과정을 수행하여 RRC 연결 모드로 들어간다.
이후, 단말은 네트워크로부터 캐리어 집합 또는 듀얼 셀 HSPA 설정을 위하여 복수의 주파수를 위한 측정 설정 정보를 수신하면, 단말은 수신된 측정 설정 정보에 따라 셀 측정을 수행한다. 이 때, 네트워크는 단말의 능력에 따라 측정 설정 정보를 전송한다. 즉, 복수의 주파수를 지원하는 단말에게만 복수의 주파수를 위한 측정 설정 정보를 전송한다. 기지국이 단말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측정할 수 있는 주파수에 대하여 각 주파수마다 인트라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라고 알려주면, 단말은 각 주파수에 대하여 인트라 주파수 측정을 수행한다. 만약 네트워크가 알려준 측정 결과 보고 조건이 만족되면, 단말은 네트워크에게 측정 결과를 알려주고, 네트워크는 이를 바탕으로 복수의 주파수를 위한 채절 설정을 수행한다.
복수의 주파수를 위한 채널 설정 과정은 LTE 와 UMTS 시스템에서 모두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측정 방법에 대해 도 7내지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와 전용 연결이 존재하지 않는 단말이 네트워크에 연결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단말이 듀얼 셀 HSPA 또는 캐리어 집합으로 연결 접속이 가능한 복수의 주파수들에 대한 셀들을 측정한 뒤 한꺼번에 복수의 주파수들에 대한 셀들의 정보를 네트워크에게 알려주어, 상기 네트워크가 수신된 셀들의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이 듀얼 셀 HSPA 또는 캐리어 집합을 사용하도록 단말을 빠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와 전용 연결이 존재하지 않는 단말은 LTE 시스템에서는 RRC 유휴 모드의 단말이고, UMTS에서는 RRC 유휴 모드의 단말, Cell_PCH 상태의 단말, URA_PCH 상태의 단말 및 Cell_FACH 상태의 단말이다.
LTE의 경우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네트워크가 특정 단말을 핸드오버시킬 때, 네트워크는 단말이 핸드오버할 타겟 셀(target cell)을 단말에게 알려준다. 이 후, 단말은 MAC 계층 및 PHY 계층을 리셋한 이후, RACH 프로시져를 수행한다. 타겟 셀로의 RACH 프로시져를 수행 중 혹은 수행이 성공하면, 단말은 타겟 셀의 SIB를 읽는다. 단말이 타겟 셀로의 RACH 프로시져 중 단말이 타겟 셀의 SIB를 읽는 것은 자세하게, 단말이 서빙 셀과의 연결이 없고, 타겟 셀과의 연결 접속 역시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명확하게 이 경우 단말과 네트워크가 전용 연결이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일반적으로 LTE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 단말은 RRC 연결(RRC_Connected) 상태에 있다고 한다.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와 전용 연결이 존재하지 않는 단말이 네트워크에 연결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하는 LTE 단말이 RACH 프로시져 수행 중에 타겟 셀로부터 SIB를 읽는 경우에도 단말이 듀얼 셀 HSPA 또는 캐리어 집합으로 연결 접속이 가능한 복수의 주파수들에 대한 셀들을 측정한 뒤 한꺼번에 복수의 주파수들에 대한 셀들의 정보를 네트워크에게 알려주어, 상기 네트워크가 수신된 셀들의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이 듀얼 셀 HSPA 또는 캐리어 집합을 사용하도록 단말을 빠르게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측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네트워크와 전용 연결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복수의 주파수를 위한 측정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S710). 이때, UMTS에서는 기지국이 SIB을 통해 복수의 주파수를 위한 측정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측정 설정 정보는 측정 대상, 측정 결과 보고 내용 선택 방법, 측정 결과 보고 방법, 측정 보고를 수행해야 할 셀의 개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 대상은 측정할 셀의 리스트, 측정할 주파수의 리스트, 측정할 셀과 측정할 주파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셀 리스트는 단말이 캠핑온한 셀의 주파수 및 단말이 캠핑온한 셀의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 결과 보고 내용 선택 방법은 RSRP 임계치 또는 RSRQ 임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은 주변 셀의 RSRP를 측정한 경우에는 측정한 RSRP가 RSRP 임계치보다 높으면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 있고, 주변 셀의 RSRQ를 측정한 경우에는 측정한 RSRQ가 RSRQ 임계치보다 높으면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 있다.
측정 결과 보고 방법은 단말이 측정 결과를 언제 어떤 메시지를 통해 전송할지에 관한 내용이다. 단말은 RRC 연결 설정 절차 중에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도 있고, RRC 연결 절차 완료 이후 셀 업데이트 절차 때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도 있고, RRC 연결 절차 완료 이후 측정 결과가 보고 이벤트를 만족하면 측정 결과 보고할 수도 있다. 이때, 측정 설정 정보는 측정 결과 보고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종래에 측정 결과 보고의 트리거로 사용되는 측정 관련 이벤트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도 측정 결과 보고 이벤트로 사용될 수 있다.
단말은 수신된 측정 설정 정보에 따라 셀 측정을 수행한다(S720).
수신된 측정 설정 정보에 포함된 셀 리스트에 단말이 캠핑온한 셀의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셀들이 존재하면, 단말은 단말의 능력에 따라 단말이 캠핑온한 셀의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를 측정 보고할 필요가 있는지 판단한다. 즉, 단말이 캐리어 집합 또는 듀얼 셀 HSPA와 같이 다중 주파수 또는 다중 셀을 통한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단말은 캠핑온한 셀의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를 측정 보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고, 수신된 측정 설정 정보에 포함된 셀 리스트의 복수의 주파수의 셀들을 측정한다.
단말이 캐리어 집합 또는 듀얼 셀 HSPA와 같이 다중 주파수 또는 다중 셀을 통한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은 캠핑온한 셀의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를 측정 보고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고, 수신된 측정 설정 정보의 셀 리스트에 캠핑온한 셀의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들의 셀들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은 캠핑온한 셀의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들의 셀들을 측정하지 않고, 캠핑온한 셀의 주파수의 셀들만 측정한다.
단말은 셀 측정 결과를 기지국에게 보고한다(S730).
단말은 수신된 측정 설정 정보에 포함된 측정 결과 보고 내용 선택 방법에 따라 측정 결과 중 보고할 내용을 선택하고, 수신된 측정 설정 정보에 포함된 측정 결과 보고 방법에 따라 측정 결과를 보고한다.
단말은 RRC 연결 설정 시 또는 셀 업데이트 등의 메시지 전송 시 측정 결과를 RRC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도 있고, RRC 연결이 이루어진 후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 메시지와 같은 전용 메시지를 통해 측정 결과를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도 있다.
도 8은 RRC 연결 설정 과정에서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RRC 연결 설정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의 RACH에 대한 측정 결과(Measured Results on RACH) IE(information element) 내에 셀 측정 결과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캠핑온한 셀의 주파수 및 캠핑온한 셀의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셀들을 측정한 경우에는 복수의 주파수에 대하여 측정한 셀들의 측정 결과를 Measured Results on RACH IE에 포함시켜 한번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이 캠핑온한 셀의 주파수 및 캠핑온한 셀의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셀들을 측정하는 경우, 단말은 단말이 캠핑온 한 셀의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셀의 측정 결과가 수신된 측정 설정 정보에 포함된 임계값을 넘을 때만 기지국에게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 있다.
수신된 측정 설정 정보에 측정 보고를 수행해야 할 셀의 개수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말은 측정 보고를 수행해야 할 셀의 개수만큼 셀들을 측정하여 보고 한다. 이 때, 측정한 셀들의 개수가 측정 보고를 수행해야 할 셀의 개수보다 많으면 무선 품질이 좋은 셀부터 순서대로 측정 보고를 수행해야 할 셀의 개수만큼 보고한다.
도 9는 RRC 연결 모드에서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RRC 연결 모드(RRC connected mode)에서 측정 보고 메시지와 같은 전용 메시지를 통해 측정 결과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캠핑온한 셀의 주파수 및 캠핑온한 셀의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셀들을 측정한 경우에는 복수의 주파수에 대하여 측정한 셀들의 측정 결과를 측정 보고 메시지를 통해 한번에 전송할 수 있다.
도 9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측정 설정 정보에 포함된 셀 리스트의 셀들을 모두 측정한다. 단말은 RRC 연결 모드가 되어도 유휴 모드에서 수신한 측정 설정 정보를 지우지 않고 유지한다.
그리고, 측정 설정 정보에 포함된 측정 결과 보고 이벤트가 만족되면, 단말은 복수의 주파수에 대하여 측정한 셀들의 측정 결과를 측정 보고 메시지를 통해 한꺼번에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측정 결과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고, 이웃셀의 수신 신호 품질이 서빙셀보다 좋을 때에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도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복수의 주파수에 대한 채널을 설정받는다(S740). 즉, 기지국은 단말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단말에게 캐리어 집합 또는 듀얼 셀 HSPA를 위한 채널을 설정해 준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송신기 및 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송신기 및 수신기은 정보, 데이터, 신호 및/또는 메시지 등을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1000, 1010), 안테나를 제어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송신 모듈(Tx module, 1040, 1050), 안테나를 제어하여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Rx module, 1060, 1070), 기지국과의 통신과 관련된 정보 들을 저장하는 메모리(1080, 1090) 및 송신모듈, 수신모듈 및 메모리를 제어하는 프로세서(1020, 1030)를 각각 포함한다.
안테나(1000, 1010)는 전송모듈(1040, 1050)에서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모듈(1060, 107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중 안테나(MIMO) 기능이 지원되는 경우에는 2개 이상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0, 1030)는 통상적으로 송신기 또는 수신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프로세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기능, 서비스 특성 및 전파 환경에 따른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레임 가변 제어 기능, 핸드오버(Hand Over) 기능, 인증 및 암호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0, 1030)는 다양한 메시지들의 암호화를 제어할 수 있는 암호화 모듈 및 다양한 메시지들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타이머 모듈을 각각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의 프로세서(102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측정 설정 정보에 따라 복수의 주파수들의 셀들을 측정한다.
전송모듈(1040, 1050)은 프로세서로부터 스케쥴링되어 외부로 전송될 신호 및/또는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부호화(coding) 및 변조(modulation)를 수행한 후 안테나(1000, 1010)에 전달할 수 있다.
단말의 전송 모듈(1050)은 측정 설정 정보에 따라 복수의 주파수들의 셀들의 측정 결과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기지국의 전송 모듈(1040)은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에 전용 연결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복수의 주파수들을 사용하는 단말에게 복수의 주파수들을 위한 측정 설정 정보를 전송한다.
수신모듈(1060, 1070)은 외부에서 안테나(1000, 1010)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한 복호(decoding) 및 복조(demodulation)을 수행하여 원본 데이터의 형태로 복원하여 프로세서(1020, 1030)로 전달할 수 있다.
단말의 수신 모듈(1070)은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에 전용 연결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복수의 주파수들을 위한 측정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
기지국의 수신 모듈(1060)은 단말로부터 상기 측정 설정 정보에 따라 단말이측정한 복수의 주파수들의 셀들의 측정 결과를 수신한다.
메모리(1080, 1090)는 프로세서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이동국의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은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 시스템 정보, 스테이션 식별자(STID), 플로우 식별자(FID), 동작 시간(Action Time), 영역할당정보 및 프레임 오프셋 정보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Claims (18)

  1. 무선 통신 시스템의 복수의 주파수들을 사용하는 단말에서 셀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에 전용 연결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주파수들을 위한 측정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측정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주파수들의 셀들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셀 측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주파수들의 셀들의 측정 결과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셀 측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설정 중에 전송되는 RRC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셀 측정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는 RRC 연결 설정이 완료된 후, 전용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셀 측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설정 정보는 상기 단말이 측정해야 할 셀들의 리스트인 셀 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셀 리스트는 상기 단말이 캠핑온한 셀의 주파수 및 상기 단말이 캠핑온한 셀의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셀들을 포함하는 셀 측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설정 정보는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을 통해 전송되는 셀 측정 방법.
  7.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복수의 주파수들을 사용하는 단말의 셀 측정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에 전용 연결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단말에게 상기 복수의 주파수들을 위한 측정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측정 설정 정보에 따라 측정한 상기 복수의 주파수들의 셀들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셀 측정 지원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설정 중에 전송되는 RRC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셀 측정 지원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는 RRC 연결 설정이 완료된 후, 전용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셀 측정 지원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설정 정보는 상기 단말이 측정해야 할 셀들의 리스트인 셀 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셀 리스트는 상기 단말이 캠핑온한 셀의 주파수 및 상기 단말이 캠핑온한 셀의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셀들을 포함하는 셀 측정 지원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설정 정보는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을 통해 전송되는 셀 측정 지원 방법.
  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주파수들을 사용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에 전용 연결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주파수들을 위한 측정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및
    상기 측정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주파수들의 셀들을 측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주파수들의 셀들의 측정 결과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 모듈을 더 포함하는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설정 중에 전송되는 RRC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단말.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는 RRC 연결 설정이 완료된 후, 전용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단말.
  16.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에 전용 연결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복수의주파수들을 사용하는 단말에게 상기 복수의 주파수들을 위한 측정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 모듈;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측정 설정 정보에 따라 측정한 상기 복수의 주파수들의 셀들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기지국.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설정 중에 전송되는 RRC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기지국.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는 RRC 연결 설정이 완료된 후, 전용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기지국.
KR1020100099228A 2009-11-02 2010-10-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측정 방법 및 장치 KR2011004845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228A KR20110048456A (ko) 2009-11-02 2010-10-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측정 방법 및 장치
US12/917,075 US8724491B2 (en) 2009-11-02 2010-11-01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ce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1/257,427 2009-11-02
US61/258,183 2009-11-04
KR1020100099228A KR20110048456A (ko) 2009-11-02 2010-10-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측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456A true KR20110048456A (ko) 2011-05-11

Family

ID=43925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228A KR20110048456A (ko) 2009-11-02 2010-10-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측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24491B2 (ko)
KR (1) KR201100484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5106A1 (ko) * 2013-10-31 2015-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셀 재선택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KR20210051933A (ko) * 2019-10-31 2021-05-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장치 및 스케줄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8456A (ko) * 2009-11-02 201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측정 방법 및 장치
CN102014424B (zh) * 2009-12-08 2014-08-2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载波聚合系统的测量上报方法和设备
EP2524538A1 (en) * 2010-01-11 2012-11-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asurement handling with carrier aggregation
US20130022026A1 (en) * 2010-02-15 2013-01-24 Ntt Docomo, Inc. Radio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N102271360B (zh) * 2010-06-04 2015-08-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载波聚合系统中测量任务处理方法及系统
KR101845049B1 (ko) * 2010-11-08 2018-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캐리어 환경에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30208601A1 (en) * 2010-11-08 2013-08-15 Tao Cui Measurement requesting and reporting
CN102026264B (zh) * 2010-12-17 2013-10-1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终端测量上报和系统间互操作方法及设备
US8849215B2 (en) * 2011-03-30 2014-09-30 Amazon Technologies, Inc. Reducing rate of detection cycles and measurement cycles in a discontinuous reception (DRX) mode
JP5420587B2 (ja) * 2011-05-06 2014-02-19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移動通信方法
GB2494108A (en) * 2011-08-22 2013-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termining trigger events for sending measurement reports in a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843139B2 (en) 2011-09-26 2014-09-23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small cell discovery in heterogeneous cellular networks
US20130210421A1 (en) * 2012-02-10 2013-08-15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of communicating over multiple subscriptions
US9326281B2 (en) * 2012-02-28 2016-04-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by using different types of carriers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ES2440170B1 (es) * 2012-07-27 2015-03-11 Telefonica Sa Metodo para implementar un mecanismo de equilibrado de carga de celula en redes inalambricas
US9503241B2 (en) * 2012-12-13 2016-11-22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hannel measurements and reporting
WO2015064974A1 (en) * 2013-10-31 2015-05-0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measurement and wireless equipment thereof
US9661657B2 (en) * 2013-11-27 2017-05-23 Intel Corporation TCP traffic adaptation in wireless systems
US9392536B2 (en) * 2014-05-30 2016-07-12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ell selection and reselection by improving system information reading procedure
CN105472667B (zh) * 2014-06-23 2020-04-28 索尼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电子设备及其方法
TWI672052B (zh) 2014-11-13 2019-09-11 日商新力股份有限公司 電信裝置及方法
US10462684B2 (en) 2014-11-13 2019-10-29 Sony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EP3219135B1 (en) 2014-11-13 2020-06-17 Sony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EP3346751B1 (en) 2015-09-04 2021-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easurement using permission list by terminal in which multiple carriers are set
EP4247045A3 (en) * 2016-10-05 2023-11-22 Sony Group Corporation Connection state-dependent channel measurement
US11184785B2 (en) * 2017-03-17 2021-11-23 Qualcomm Incorporated Radio measurement and configuration
CN110915254B (zh) * 2017-06-23 2023-09-12 Lg电子株式会社 执行测量的方法以及支持该方法的装置
CN109309969B (zh) * 2017-07-26 2022-07-29 株式会社Kt 在rrc空闲模式下控制测量处理的方法及其装置
US11109438B2 (en) * 2017-07-28 2021-08-3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to optimize SCell configuration and activation through UE idle mode SCell measurements and quick reporting
CN109803278B (zh) 2017-11-16 2022-04-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非连接态测量方法、终端及基站
CN110896555B (zh) * 2018-09-13 2023-06-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消息处理方法和装置
KR20210056177A (ko) * 2019-11-08 2021-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커넥티비티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690612B2 (en) 2019-12-24 2023-07-04 Arthrex, Inc. Self-locking surgical constructs and methods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42632C (zh) * 1999-02-16 2006-02-15 Ntt移动通信网株式会社 在移动通信系统中无线电信道分配判断方法和无线电信道控制装置
GB9922217D0 (en) * 1999-09-20 1999-11-17 Nokia Telecommunications Oy Reporting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8270365B2 (en) * 2005-05-04 2012-09-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inter-frequency measurement using RACH mess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895180B1 (ko) * 2006-04-14 2009-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Rrc 연결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085805B2 (en) * 2008-10-17 2011-12-27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Adaptive channel selection by wireless nodes for improved operating range
KR20110048456A (ko) * 2009-11-02 201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측정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5106A1 (ko) * 2013-10-31 2015-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셀 재선택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KR20210051933A (ko) * 2019-10-31 2021-05-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장치 및 스케줄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24491B2 (en) 2014-05-13
US20110103249A1 (en) 2011-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44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ce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42517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중에 상향 링크 동기 타이머를 조작하는 방법
JP4903227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及びダウンリンク帯域幅の選択及び信号方法
KR10149358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로그된 측정 보고 방법 및 장치
JP493366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セル再選択過程を遂行する方法
KR10178185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셀의 구성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562421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ログされた測定報告方法及び装置
US104332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network and distributing traffic in heterogeneous communication environment
CN110999390A (zh) 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切换过程的方法及其装置
US84986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barred 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431206B2 (ja) ページングシグナリングを減少させ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110081868A1 (en) Method of reporting measurement resul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731356B1 (ko)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
KR20110047128A (ko) 복수의 상향링크 주파수들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
KR2011008247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단말의 전력 증감 요청 방법 및 장치
US20190306740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logged measurement entry and device supporting the same
JPWO2018143413A1 (ja) 無線端末、プロセッサ、及び方法
KR20090111434A (ko) 핸드오버 실패 처리 방법
WO20130206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exible inter-frequency or inter-system measurements
US202303372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Occupancy Measurement
KR10163736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금지셀 취급 방법 및 장치
KR20090016291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측정 결과를 전송하는 방법
KR20090016175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측정결과를 전송하는 방법
KR20160056098A (ko) 이종 망 간 핸드 오버를 위한 셀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