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5693A -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device that receive broadcasting service in local area,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device that receive broadcasting service in local area,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5693A
KR20110045693A KR1020090102367A KR20090102367A KR20110045693A KR 20110045693 A KR20110045693 A KR 20110045693A KR 1020090102367 A KR1020090102367 A KR 1020090102367A KR 20090102367 A KR20090102367 A KR 20090102367A KR 20110045693 A KR20110045693 A KR 20110045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broadcast service
broadcast
type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3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33032B1 (en
Inventor
최근환
김문기
임철호
한경식
노재연
유재황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2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032B1/en
Publication of KR20110045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6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0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device that receives a broadcasting service in a local area, and an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are provided to efficiently implement the driving of a device which receives a broadcasting service. CONSTITUTION: A device(200) discriminates the service information on a broadcasting service including a beacon signal through the operation of a medium program for receiving a service entry event, and applies the discrimination result to a preset service reception environment of a user. The device displays the guidance information for initiating the broadcasting service, and executes an application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broadcasting service.

Description

근거리 영역 내에서 방송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DEVICE THAT RECEIVE BROADCASTING SERVICE IN LOCAL AREA,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FIELD AND METHOD FOR DRIVING DEVICE THAT RECEIVE BROADCASTING SERVICE IN LOCAL AREA,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근거리 영역 내에서 방송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근거리 영역에 대해 방송하기 위한 컨텐츠를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근거리 영역과 대응되는 무선송출 장치로 전달한 후 근거리 무선방식으로 근거리 영역에 컨텐츠를 방송함에 있어서, 근거리 영역에 위치하여 방송되는 서비스를 수신하는 디바이스의 구동을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근거리 영역 내에서 방송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a device for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in a local area, and an apparatus applied thereto.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for broadcasting a predetermined local area through a wired network. In broadcasting content to a short range area by transmitting to a wireless transmission apparatus corresponding to the area, a broadcast service within a short range area for efficiently implementing a device for receiving a service broadcasted in the short range area. A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a device for reception, and an apparatus applied thereto.

최근에 들어, WPAN/WL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Wireless LAN)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Recently, various types of services have been provided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PAN / WL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 Wireless LAN).

예를 들어, 주차장에서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여 주유중인 차량의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하거나 쿠폰 등을 전송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 다.For example, a service for transmitting multimedia contents or a coupon is provided to a terminal of a vehicle in charge by using Bluetooth in a parking lot.

이러한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송신측 장비(Access Point)와 전송받는 수신측 장비(End Device) 간의 무선 전송기술이 사용되며, 송신측 장비(Access Point)에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특정 서버에서 송신측 장비(Access Point)로까지의 유선전송 기술이 사용된다.In order to provide such a wireless service, a wireless transmission technology is used between an access point providing content and an end device receiving a transmission, and the content is provided to an access point. For this purpose, wired transmission technology from a specific server to an access point is used.

여기서, 무선 전송기술이 사용되는 송신측 장비(Access Point) 및 수신측 장비(End Device) 간의 데이터 통신 구간은 슈퍼프레임(Superframe)이라는 시간개념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Here, the data communication section between the access point (Access Point) and the receiving end device (End Device) using the wireless transmission technology performs data communication using the concept of time superframe (Superframe).

이와 같은 종래의 WPAN/WLAN 기반 서비스에서는, 사용자가 특정 지역이 방송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지역인지를 인지한 후, 사용자의 방송 서비스 등의 서비스 수신을 위한 설정을 거쳐 서비스를 수신하는 풀(Pull)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받는다.In such a conventional WPAN / WLAN-based service, a user receives a service through a setting for receiving a service, such as a broadcast service, after a user recognizes whether a specific area is a service area such as a broadcast service. The service is provided in the form of

한편, 다른 방식으로는 사용자의 인식 없이 푸시(Push) 형태로 근거리 영역과 관련된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는 방식이 있다.On the other hand, another method is to download the content related to the local area in the form of a push (Push) without the user's recognition.

이러한 방식들은 획일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임에 따라, 사용자의 입장에서 효율적이고 개별적인 형태로 근거리 영역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 등의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As these methods are performed uniformly, there is a limit in that the user does not satisfy the desire to receive a service such as a broadcast service provided in the near field in an efficient and individual form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A way to compensate for this is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근거리 영역에 대해 방송하기 위한 컨텐츠를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근거리 영역과 대응되는 무선송출 장치로 전달한 후 근거리 무선방식으로 근거리 영역에 컨텐츠를 방송함에 있어서, 근거리 영역에 위치하여 방송되는 서비스를 수신하는 디바이스의 구동을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근거리 영역 내에서 방송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ansmit a content for broadcasting on a predetermined short range area to a wireless transmission apparatus corresponding to the short range area through a wired network, and then to a short range wireless method. A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a device for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in a local area to efficiently implement driving of a device receiving a service broadcasted in the local area in broadcasting the content in the local area, and It is to provide a device that is appli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근거리 영역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를 사용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활성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근거리 영역 내에서 방송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a device for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in a short-range area to support various activation of a broadcast service provided in a short-range area from a user's point of view, and its application To provide a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근거리 영역 내에서 방송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시스템은, 근거리 영역에 기 설정된 주기로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송출 장치 및 상기 근거리 영역에 진입함에 따라 수신되는 상기 비콘 신호를 통해 상기 근거리 영역에 대응되는 서비스 커버리지로의 진입을 알리기 위한 서비스 진입 이벤트를 발생하고, 상기 서비스 진입 이벤트를 수신하는 매개 프로그램의 동작으로 상기 비콘 신호에 포함된 방송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판별한 후 판별 결과를 기 설정된 사용자의 서비스 수신환경에 적용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의 개시를 위한 안내 화면을 단말 화면에 나타내거 나, 상기 방송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기동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ystem for driving a device for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in a short range area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transmitting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beacon signal at a predetermined period in the short range area and a short range area. Broadcasting included in the beacon signal by generating a service entry event for notifying entry into service coverage corresponding to the local area through the beacon signal received as an entry, and receiving the service entry event. After determining the service information on the service, the determination result is applied to the preset service reception environment of the user to display a guide screen for starting the broadcast service on the terminal screen, or to start an application program for executing the broadcast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vice to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근거리 영역에 진입한 후, 상기 무선송출 장치의 활성화 모드 동작에 따라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 진입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fter the device enters the local area, the device receives the beacon signal according to an activation mode operation of the radio transmitting apparatus, and generates the service entry event.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근거리 영역에서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를 이루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는, 상기 근거리 영역에 진입함에 따라 수신되는 비콘 신호를 통해 상기 근거리 영역에 대응되는 서비스 커버리지로의 진입을 알리기 위한 서비스 진입 이벤트를 발생하는 근거리 무선 칩 부, 활성화 중인 매개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서비스 진입 이벤트를 수신한 후 상기 비콘 신호에 포함된 방송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를 기 설정된 사용자의 서비스 수신환경에 적용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제어정보를 형성하는 매개 프로그램 실행부 및 상기 제어정보를 토대로 기동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의 개시를 위한 안내화면을 단말 화면에 나타내거나, 상기 방송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기동하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device for forming a short-range wireless network in the short-range area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eacon signal received as entering the short-range area to the near-area area; After receiving the service entry event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hip unit for generating a service entry event to inform the entry into the corresponding service coverage, the active program to determine the service information for the broadcast service included in the beacon signal and A terminal screen for starting the broadcast service by starting the program execution unit for forming the control information for executing the broadcast service by applying the determination result to a preset service reception environment of the user and the control information. Indicated to or on the broadcast servi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pplication program execution unit for starting the application program for the execution of the swap.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안내 화면 또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한 방송 화면을 상기 단말 화면에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device further comprises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broadcast screen through the execution of the guide screen or the application program on the terminal screen.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개 프로그램 실행부는 상기 매개 프로그램을 활성화 상태로 지속하여 상기 서비스 진입 이벤트의 수신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rogram execu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monitoring the reception of the service entry event by continuing the program in the active state.

바람직하게는, 서비스 정보는 상기 방송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상기 디바이스의 활성화 타입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지정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ervic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specifying at least one activation type of the device for executing the broadcast ser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개 프로그램 실행부는 상기 비콘 신호의 서비스 정보 필드를 이루는 서브 필드들 중에서 서비스 명세 필드 내의 활성화 신호타입 서브 필드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디바이스의 활성화 타입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지정한 정보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intermediate program executing unit determines information for designating at least one activation type of the device stored in an activation signal type subfield in a service specification field among subfields constituting the service information field of the beacon signal. It is characterized by.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바이스의 활성화 타입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지정한 정보는 상기 안내 화면을 팝 업(Pop-Up)으로 활성화하기 위한 제 1 타입, 상기 방송 서비스가 다수인 경우에 서비스 리스트화면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 2 타입, 상기 방송 서비스가 1개인 경우에 상기 방송 서비스와 대응되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자동 실행하기 위한 제 3 타입, 및 상기 방송 서비스가 없는 경우에 서비스 불가에 대한 안내 멘트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 4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information designating at least one activation type of the device is a first type for activating the guide screen as a pop-up and activating a service list scree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broadcast services. A second type for the second type, a third type for automatically executing the applica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broadcast service when the broadcast service is one, and a second item for activating the announcement about the service unavailable in the absence of the broadcast servi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four types.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수신환경은 상기 제 1 타입 내지 상기 제 4 타입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ervice reception environment is set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ype to the fourth type according to a user input.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개 프로그램 실행부는 상기 제 2 타입의 경우,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방송 채널이 있으면 상기 방송 채널과 대응되는 상기 응용 프로 그램을 자동 실행하도록 상기 제어 정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n the case of the second type, the intermediate program executing unit forms the control information to automatically execute the applica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broadcasting channel if there is a broadcasting channel preset by the user.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개 프로그램 실행부는 상기 서비스 정보 및 상기 서비스 수신환경 간에 매칭되는 타입 정보가 없는 경우, 디폴트(Default)로 기 설정된 타입으로 상기 방송 서비스를 실행하도록 상기 제어 정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when there is no type information matching between the service information and the service receiving environment, the intermediate program execution unit forms the control information to execute the broadcast service in a type preset to default. do.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개 프로그램 실행부는 상기 서비스 진입 이벤트의 수신 시에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소리음, 진동, 팝 업(Pop-Up), 및 서비스 활성화를 나타내는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하여 서비스 진입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rogram execution unit outputs at least one of an icon representing sound, vibration, pop-up, and service activation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upon receiving the service entry event to perform service entry. It is characterized by informing.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근거리 영역에서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를 이루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가 상기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구동하는 방법은, 상기 근거리 영역에 진입함에 따라 수신되는 비콘 신호를 통해 상기 근거리 영역에 대응되는 서비스 커버리지로의 진입을 알리기 위한 서비스 진입 이벤트를 발생하는 이벤트 발생 단계, 활성화 중인 매개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서비스 진입 이벤트를 수신한 후 상기 비콘 신호에 포함된 방송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판별하는 비콘 프레임 판별 단계, 상기 서비스 정보에 대한 판별결과를 기 설정된 사용자의 서비스 수신환경에 적용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제어정보를 형성하는 방송수신 제어 단계 및 상기 제어정보를 토대로 기동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의 개시를 위한 안내 화면을 단말화면에 나타내거나, 상기 방송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응용 프 로그램을 기동하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method of driving at least one device for forming a short-range wireless network in a short-range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ceiving the broadcast service in the short-range region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vent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service entry event for notifying entry into service coverage corresponding to the short range area through a beacon signal received as the user enters an area, and after receiving the service entry event through an active program Beacon frame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e service information for the broadcast service included in the beacon signal, broadcast to form the control information for the execution of the broadcast service by applying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ervice information to the service receiving environment of the user preset Reception control phase 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rt-up period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includes the steps to run the application to indicate a guidance screen for the start of the broadcast service to the terminal screen, or start the application for executing the broadcast ser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근거리 영역 내에서 방송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방법은 상기 안내 화면 또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한 방송 화면을 상기 단말 화면에 출력하기 위한 화면출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ethod of driving a device for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in the short range region further includes a screen output step of outputting a broadcast screen through execution of the guide screen or the application program to the terminal screen. It feature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근거리 영역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를 사용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활성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 구조로 구현됨으로써, 근거리 영역에 위치하여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사용자의 디바이스별로 방송 서비스를 개시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상이하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입장에서 때와 장소에 따라 방송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절차를 효율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 system structure that supports various activations of a broadcast service provided in a near area from a user's point of view, thereby starting a broadcast service for each device of a user located in the near area and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Since different processes can be provid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procedure for executing a broadcast service can be efficiently set up according to a time and a place from a user's point of view.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영역 내에서 방송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디바이스(200)를 구동하는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ystem for driving the device 200 for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in a short range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영역 내에서 방송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디바이스(200)를 구동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영역 내에서 방송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디바이스(200)를 구동하는 시스템은, 소정의 지역에 위치하는 근거리 영역에서의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를 이루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200) 및 이러한 디바이스(200)에 대한 리소스를 처리하기 위한 무선송출 장치(100)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driving a device 200 for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in a short range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by way of example only in FIG. 1, a system for driving a device 200 for reception of a broadcast service in a short range area includes at least a network for at least a short range wireless network in a short range area located in a predetermined area. One or more devices 200 and a radio transmitting apparatus 100 for processing the resources for such a device 200.

여기서, 무선송출 장치(100)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로부터 근거리 영역에 방송하기 위한 컨텐츠를 제공받은 후, 근거리 영역에 제공받은 컨텐츠를 방송 방식으로 송출함에 따라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Here, the wireless transmission apparatus 100 serves to provide a broadcast service in the short-range area by receiving the content for broadcasting in the short-range area from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d then transmitting the content provided in the short-range area in a broadcast manner. do.

이러한 방송 서비스를 위해, 무선송출 장치(100) 및 디바이스(200)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는 비콘 프레임, 엑티브 구간, 인엑티브 구간으로 크게 구분된다.For such a broadcast service, a superframe structure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transmission apparatus 100 and the device 200 is largely divided into a beacon frame, an active section, and an inactive section.

이와 같은 기본 구조의 슈퍼프레임은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채널의 시간을 제한하고 프레임의 각 구간을 구분하여 근거리 영역에 방송 방식으로 해당 컨텐츠를 송출하기 위한 전용 구간을 정의함에 따라, 실시간성의 방송 데이터도 전송속도의 지연없이 근거리 영역 내의 각 디바이스(200)에 전달할 수 있다.The superframe of such a basic structure is limited to limiting the time of the channel and classifying each section of the frame so as to provide a broadcast service based on the short range wireless network,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short range by broadcasting. As the interval is defined, the broadcast data of real time may be transmitted to each device 200 in the short range without delay in transmission speed.

무선송출 장치(100)는 상기와 같이 정의되는 슈퍼프레임 구조를 통해 슈퍼프레임의 엑티브 구간에 기 설정된 방송 서비스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용 구간을 통해 해당 컨텐츠를 근거리 영역에 방송하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The wireless transmission apparatus 100 provides a broadcast service that broadcasts a corresponding content to a short range region through a dedicated section for data transmission of a broadcast service preset in an active section of the superframe through the superframe structure defined as described above.

이에 앞서, 무선송출 장치(100)는 근거리 영역의 디바이스(200)로 하여금 슈퍼프레임 구조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비콘 프레임 구간을 통해 주기적으로 비콘 신호를 근거리 영역에 송출한다.Prior to this, the wireless transmission apparatus 100 periodically transmits a beacon signal to the short range region through the beacon frame period in order to enable the device 200 of the short range region to identify the superframe structure.

근거리 영역에 위치함에 따라, 근거리 영역으로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 한 디바이스(200)는 수신한 비콘 신호를 통해 근거리 영역에 대응되는 서비스 커버리지로의 진입을 인식하게 되고, 이러한 인식을 나타내는 서비스 진입 이벤트를 발생한다.As the local area is located, the device 200 that receives the beacon signal transmitted to the local area recognizes the entry into the service coverage corresponding to the local area through the received beacon signal, and the service entry event indicating the recognition. Occurs.

디바이스(200) 내에서 지속적으로 활성화 중인 매개 프로그램이 서비스 진입 이벤트를 수신하고, 이에 따른 이후의 프로세스로 비콘 신호에 포함된 방송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판별한다.Each program continuously activated in the device 200 receives a service entry event and accordingly determines service information on a broadcast service included in a beacon signal.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송출 장치(100) 및 디바이스(200) 간에 송수신하는 비콘 신호의 프레임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비콘 신호는 프리앰블 시퀀스(Preamble Sequence), 프레임 시작 딜리미터(Start of Frame Delimiter), 프레임 길이(Frame Length), 프레임 제어(Frame Control), 순서 번호(Sequence Number), 주소 필드(Addressing Fields), 슈퍼프레임 명세(Superframe Specification), 그랜티드 타임 슬롯 필드(GTS(Granted Time Slot) 필드), 펜딩 주소 필드(Pending Address Fields), 비콘 페이로드(Beacon Payload), 및 프레임 체크 시퀸스(FCS; Frame Check Sequence)를 포함한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format of a beacon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wireless transmitting apparatus 100 and the device 200 shown in FIG. 1. As shown by way of example only in FIG. 2, the beacon signal may include a preamble sequence, a start of frame delimiter, a frame length, a frame control, a sequence number. Number, Addressing Fields, Superframe Specification, Granted Time Slot Field (GTS), Pending Address Fields, Beacon Payload, And a frame check sequence (FCS).

이때, 비콘 페이로드(Beacon Payload)는 비콘 간격을 결정하는 BO(Beacon Order), 슈퍼프레임 길이를 나타내는 SO(Superframe Order), 슈퍼프레임의 전송 시점을 나타내는 비콘 전송 슬롯 번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beacon payload (Beacon Payload) includes a beacon (BO) to determine the beacon interval, the SO (Superframe Order) indicating the superframe length, the beacon transmission slot number indicating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superframe.

이러한 비콘 페이로드(Beacon Payload)에는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여 실행하기 위한 디바이스(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정보, 즉 방송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더 포함한다.The beacon payload further includes information for driving the device 200 for receiving and executing a broadcast service, that is, service information for the broadcast service.

서비스 정보가 저장되는 서비스 정보 필드는 다수의 서브 필드들로 구성되며, 이러한 서브 필드들 중에서도 서비스 명세 필드 내의 활성화 신호타입 서브 필드에 상기 서비스 정보가 저장된다.The service information field in which service information is store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bfields. Among these subfields, the service information is stored in an activation signal type subfield in a service specification field.

여기서, 서비스 정보는 디바이스(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정보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디바이스(200)를 구동하여 활성화되는 타입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지정한 정보이다.Here, the service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driving the device 200, and more specifically, information indicating at least one or more types that are activated by driving the device 200.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포맷 중 활성화 신호타입 서브 필드에 대한 입력 값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화 타입의 종류는 방송 서비스의 개시를 위한 안내 화면을 팝 업(Pop-Up)으로 활성화하기 위한 제 1 타입(예컨대, Pop-UP 타입), 방송 서비스가 다수인 경우에 서비스 리스트화면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 2 타입(예컨대,Normal 타입), 방송 서비스가 1개인 경우에 방송 서비스와 대응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자동 실행하기 위한 제 3 타입(예컨대, Auto-Execute 타입), 및 방송 서비스가 없는 경우에 서비스 불가에 대한 안내 멘트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 4 타입 등이 있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value for an activation signal type subfield in the format shown in FIG. 2. As shown by way of example only in FIG. 3, the type of activation type is a first type (eg, Pop-UP type) for activating a guidance screen for the initiation of a broadcast service as a pop-up, a broadcast service. Is the second type (eg, Normal type) for activating the service list screen when there are a large number, and the third type (eg, Auto-Execute) for automatically executing the applica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broadcast service when there is one broadcast service. Type), and the fourth type for activating the announcement about service unavailable when there is no broadcast service.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디바이스(200)의 구성도이다. 도 4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200)는 근거리 영역에 진입함에 따라 무선송출 장치(100)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한 후, 비콘 신호의 수신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 커버리지로의 진입을 알리기 위한 서비스 진입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근거리 무선 칩 부(210), 지속적으로 활성화중인 매개 프로그램을 통해 근거리 무선 칩 부(210)로부터 발생된 서비스 진입 이벤트를 수신한 후 비 콘 신호에 포함된 방송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판별하고, 판별한 결과를 기 설정된 사용자의 서비스 수신환경에 적용하여 형성된 서비스 실행루트를 토대로 방송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제어정보를 형성하는 매개 프로그램 실행부(220), 및 매개 프로그램 실행부(220)로부터 제어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통해 방송 서비스의 개시를 위한 안내 화면을 단말 화면에 나타내거나, 방송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기동하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부(230)를 포함한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evice 200 shown in FIG. 1. As shown only as an example in FIG. 4, the device 200 may receive a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ransmission apparatus 100 as it enters a short range area, and then may receive a broadcast service through reception of a beacon signal. The short-range wireless chip unit 210 for generating a service entry event for notifying the entry into the service coverage, which is a beacon after receiving the service entry event generated from the short-range wireless chip unit 210 through the continuously active program. An intermediary program execution unit for determining service information on a broadcast service included in a signal and forming control information for executing the broadcast service on the basis of a service execution route formed by applying the determined result to a preset service reception environment of a user ( 220,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program execution unit 220 to start the broadcast service through this Or an application program execution unit 230 for displaying a guide screen on the terminal screen or starting an application program for execution of a broadcast service.

이에 더하여, 디바이스(200)는 안내 화면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한 방송 화면을 단말 화면에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24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evice 200 further includes an output unit 240 for outputting a broadcast screen through execution of a guide screen or an application program to the terminal screen.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서비스 수신환경은 상기에서 언급된바 있는 제 1 타입 내지 제 4 타입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ervice reception environment set by the user is preferably set to any one or more of the first to fourth types mentioned above.

매개 프로그램 실행부(220)는 서비스 정보 및 서비스 수신환경 간을 상호 비교한 후, 그 비교 결과로 상호 매칭되는 타입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한 타입에 따라 방송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이후 프로세스를 진행한다.The intermediary program execution unit 220 compares the service information and the service receiving environment with each other, and then proceeds with a subsequent process for executing the broadcast service according to the extracted type information by extracting the type information matching each other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만일, 매개 프로그램 실행부(220)는 서비스 정보 및 서비스 수신환경 간을 상호 비교하였으나, 매칭되는 타입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디폴트(Default)로 기 설정된 타입으로 방송 서비스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program execution unit 220 compares the service information and the service reception environment with each other, but there is no matching type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o execute the broadcast service in a preset type as a default.

디폴트(Default)로 설정되는 타입은 다양한 타입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하부터는 제 2 타입으로 설정된 것을 예로 들어 상술한다.The type set to default may be set to any one of various types, and hereinafter, the type set to the second typ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근거리 영역 내에서 방송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디바이스(200)를 구동하는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에 단지 예 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영역 내에서 방송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디바이스(200)를 구동하는 방법은 디바이스(200)가 근거리 영역에 진입하거나, 근거리 영역에 진입한 후 무선송출 장치(100)가 재활성화됨에 따라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진행된다(S1 및 S3).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ystem for driving the device 200 for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in the short range region illustrated in FIG. 1. As shown only as an example in FIG. 5, the method of driving the device 200 for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in the short range area includes a wireless transmission apparatus after the device 200 enters the short range area or after entering the short range area. As the 100 is reactivated, the process proceeds to receiving the beacon signal transmitted (S1 and S3).

이후로, 디바이스(200)는 비콘 신호의 수신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 커버리지로의 진입을 인식하고, 이러한 인식으로 인한 서비스 진입 이벤트를 발생시킨다(S5 및 S7).Thereafter, the device 200 recognizes an entry into a service coverage that can receive a broadcast service through reception of a beacon signal, and generates a service entry event due to the recognition (S5 and S7).

디바이스(200) 내의 매개 프로그램 실행부(220)는 서비스 진입 이벤트를 수신한 후, 이후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비콘 신호에 포함된 방송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판별하고(S9), 판별한 정보를 기 설정된 사용자의 서비스 수신환경에 적용하여 상호 비교한다(S11).After receiving the service entry event, the program execution unit 220 in the device 200 executes a subsequent process to determine service information on the broadcast service included in the beacon signal (S9), and sets the determined information in advance. The comparison is made by applying the service reception environment of the user (S11).

이후로, 매개 프로그램 실행부(220)는 비교 결과에 따라 방송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디바이스(200)의 활성화 타입을 설정하게 된다(S13).Thereafter, the intermediate program execution unit 220 sets an activation type of the device 200 for executing the broadcast servic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S13).

S13 단계에서, 서비스 정보 및 서비스 수신환경 간에 매칭되는 타입이 있는 경우에는 존재하는 타입을 디바이스(200)의 활성화를 위한 타입으로 설정한다(S15).In step S13, when there is a type matching between the service information and the service receiving environment, the existing type is set as a type for activating the device 200 (S15).

활성화하기 위한 타입이 제 1 타입(즉, Pop-Up 타입)인 경우에는 방송 서비스의 개시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화면을 팝업하여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방송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입력을 하면 해당 방송 서비스를 실행한다(S17 및 S19).When the type for activating is the first type (that is, the pop-up type), a guide screen for guiding the start of the broadcast service is popped up and displayed on the terminal screen, and when the user additionally receives an input for receiving the broadcast service. The broadcast service is executed (S17 and S19).

S15 단계에서, 활성화하기 위한 타입이 제 1 타입(즉, Pop-Up 타입)이 아닌 그외의 타입인 경우, 방송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거쳐 실행하는 것인지 아니면 자동으로 해당 방송 서비스가 실행되는 것인지를 판별한다(S21).In step S15, if the type to be activated is a type other than the first type (that is, the pop-up type), is it executed by the user's selection of the broadcast service or is the broadcast service automatically executed? It is determined (S21).

S21 단계에서, 사용자의 선택으로 방송 서비스를 실행하는 타입이면 제공되는 방송서비스의 개수가 0개를 넘는지 여부를 추가 판별한다(S23).In step S21, if the type of executing the broadcast service is selected by the user, it is additionally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of broadcast services provided is more than zero (S23).

판별한 결과,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가 없는 경우에는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로 검색된 것이 없다는 안내 멘트를 단말화면에 출력하여 안내한다(S25).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re is no broadcast service provided, a guide line indicating that no search service is provided by the provided broadcast service is output to the terminal screen (S25).

S23 단계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2개 이상으로 제공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27).In step S23, if there is a broadcast service provided, it is determined whether two or more are provided (S27).

S27 단계에서, 2개 이상으로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어느 한 방송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서비스 리스트 화면을 단말화면에 출력한다(S29).In step S27, when two or more broadcast services are provided, a service list screen for allowing a user to select any one broadcast service is output to the terminal screen (S29).

이후로, 사용자는 서비스 리스트 화면을 통해 서비스받고자 하는 어느 한 방송 서비스를 선택하여 이를 실행하도록 한다(S31 및 S33).Thereafter, the user selects and executes one broadcast service to be serviced through the service list screen (S31 and S33).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은 후, 방송 서비스의 수신을 종료하는 사용자 설정을 거쳐 상기 프로세스가 종료된다(S35).After receiving the broadcast service, the process is terminated through user setting for ending reception of the broadcast service (S35).

S13 단계에서, 디바이스(200)를 활성화하기 위한 타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디폴트(Default)로 설정된 일반 타입인 제 2 타입을 통해 방송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과정을 진행한다(S37).In step S13, when there is no type for activating the device 200, a process for executing a broadcast service is performed through a second type which is a general type set as a default (S37).

또한, S21 단계에서, 방송 서비스가 자동 실행되도록 설정된 타입인 경우에 는 대응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곧바로 실행하여 해당 방송 서비스의 방송 화면을 단말 화면에 출력한다(S39).In addition, in step S21, when the type of broadcast service is set to be automatically executed,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program is immediately executed to output the broadcast screen of the corresponding broadcast service to the terminal screen (S39).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또한, 본 발명은 근거리 영역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를 사용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활성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임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ort a variety of activation of the broadcasting service provided in the short-range area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it is not only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or sales, but also the degree that can be clearly implemented in reality, industrial availability This is an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영역 내에서 방송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시스템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driving a device for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in a short range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송출 장치 및 디바이스 간에 송수신하는 비콘 신호의 프레임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format of a beacon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a radio transmitting apparatus and a device shown in FIG. 1;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포맷 중 활성화 신호타입 서브 필드에 대한 입력 값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value for an activation signal type subfield in the format shown in FIG. 2;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디바이스의 구성도, 및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evice shown in FIG. 1, and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근거리 영역 내에서 방송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ystem for driving a device for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in the short range region shown in FIG. 1.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 무선송출 장치 200 : 디바이스100: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200: device

210 : 근거리 무선 칩 부 220 : 매개 프로그램 실행부210: Near field wireless chip part 220: Parameter execution unit

230 : 응용 프로그램 실행부 240 : 출력부230: application execution unit 240: output unit

Claims (13)

근거리 영역에 기 설정된 주기로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송출 장치; 및A wireless transmitting device transmitting a beacon signal at a predetermined period in a short range region; And 상기 근거리 영역에 진입함에 따라 수신되는 상기 비콘 신호를 통해 상기 근거리 영역에 대응되는 서비스 커버리지로의 진입을 알리기 위한 서비스 진입 이벤트를 발생하고, 상기 서비스 진입 이벤트를 수신하는 매개 프로그램의 동작으로 상기 비콘 신호에 포함된 방송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판별한 후 판별 결과를 기 설정된 사용자의 서비스 수신환경에 적용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의 개시를 위한 안내 화면을 단말 화면에 나타내거나, 상기 방송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기동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영역 내에서 방송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시스템.A beacon signal is generated by an operation of a program that generates a service entry event for notifying entry into service coverage corresponding to the short range area through the beacon signal received as the local area is entered, and receives the service entry event. After determining the service information for the broadcast service included in the application of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preset service reception environment of the user to display a guide screen for starting the broadcast service on the terminal screen, or an application for the execution of the broadcast service And a device for activating a program. The system for driving a device for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in a short range reg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The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device is 상기 근거리 영역에 진입한 후, 상기 무선송출 장치의 활성화 모드 동작에 따라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 진입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영역 내에서 방송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시스템.After entering the short-range area, the system for driving a device for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in the short-range area, characterized in that receiving the beacon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activation mode operation of the radio transmitting device to generate the service entry event. . 근거리 영역에서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를 이루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로서,At least one device for forming a short-range wireless network in the local area, 상기 근거리 영역에 진입함에 따라 수신되는 비콘 신호를 통해 상기 근거리 영역에 대응되는 서비스 커버리지로의 진입을 알리기 위한 서비스 진입 이벤트를 발생하는 근거리 무선 칩 부;A short-range wireless chip unit generating a service entry event for notifying entry into service coverage corresponding to the short-range area through a beacon signal received as the short-range area is received; 활성화 중인 매개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서비스 진입 이벤트를 수신한 후 상기 비콘 신호에 포함된 방송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를 기 설정된 사용자의 서비스 수신환경에 적용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제어정보를 형성하는 매개 프로그램 실행부; After receiving the service entry event through the active program to determine the service information for the broadcast service included in the beacon signal, and applying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service receiving environment of the preset user for the execution of the broadcast service An intermediate program execution unit for forming control information; 상기 제어정보를 토대로 기동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의 개시를 위한 안내화면을 단말 화면에 나타내거나, 상기 방송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기동하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부; 및An application program execution unit for starting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to display a guide screen for starting the broadcast service on a terminal screen, or to start an application program for executing the broadcast service; And 상기 안내 화면 또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한 방송 화면을 상기 단말 화면에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And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 broadcast screen through execution of the guide screen or the application program to the terminal scree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 프로그램 실행부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rogram execution unit 상기 매개 프로그램을 활성화 상태로 지속하여 상기 서비스 진입 이벤트의 수신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And monitoring the reception of the service entry event by continuing the intermediate program in an active state. 제 3 항에 있어서, 서비스 정보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rvice information 상기 방송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상기 디바이스의 활성화 타입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지정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And at least one information indicating an activation type of the device for executing the broadcast ser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 프로그램 실행부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rogram execution unit 상기 비콘 신호의 서비스 정보 필드를 이루는 서브 필드들 중에서 서비스 명세 필드 내의 활성화 신호타입 서브 필드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디바이스의 활성화 타입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지정한 정보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And identifying at least one information indicating an activation type of the device stored in an activation signal type subfield in a service specification field among subfields constituting the service information field of the beacon signa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활성화 타입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지정한 정보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information designating at least one activation type of the device is 상기 안내 화면을 팝 업(Pop-Up)으로 활성화하기 위한 제 1 타입, 상기 방송 서비스가 다수인 경우에 서비스 리스트화면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 2 타입, 상기 방송 서비스가 1개인 경우에 상기 방송 서비스와 대응되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자동 실행하기 위한 제 3 타입, 및 상기 방송 서비스가 없는 경우에 서비스 불가에 대한 안내 멘트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 4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A first type for activating the guide screen as a pop-up, a second type for activating a service list screen when the broadcast service is plural, and the broadcast service when the broadcast service is one; And at least one of a third type for automatically executing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program and a fourth type for activating an announcement for service unavailable in the absence of the broadcast ser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수신환경은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rvice receiving environment is 상기 제 1 타입 내지 상기 제 4 타입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type to the fourth type according to a user inpu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 프로그램 실행부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ogram execution unit 상기 제 2 타입의 경우,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방송 채널이 있으면 상기 방송 채널과 대응되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자동 실행하도록 상기 제어 정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In the case of the second type, the control information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execute the applica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broadcast channel if there is a broadcast channel preset by a us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 프로그램 실행부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rogram execution unit 상기 서비스 정보 및 상기 서비스 수신환경 간에 매칭되는 타입 정보가 없는 경우, 디폴트(Default)로 기 설정된 타입으로 상기 방송 서비스를 실행하도록 상기 제어 정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비이스.And if there is no type information matching between the service information and the service reception environment, the control information is configured to execute the broadcast service in a preset type as a defaul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 프로그램 실행부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rogram execution unit 상기 서비스 진입 이벤트의 수신 시에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소리음, 진동, 팝 업(Pop-Up), 및 서비스 활성화를 나타내는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하여 서비스 진입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And receiving at least one of an icon representing sound, vibration, pop-up, and service activation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when the service entry event is received. 근거리 영역에서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를 이루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가 상기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구동하는 방법으로서,A method of driving at least one device for forming a short-range wireless network in a short-range area to receive a broadcast service in the short-range area, 상기 근거리 영역에 진입함에 따라 수신되는 비콘 신호를 통해 상기 근거리 영역에 대응되는 서비스 커버리지로의 진입을 알리기 위한 서비스 진입 이벤트를 발생하는 이벤트 발생 단계;An event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service entry event for notifying entry of a service coverage corresponding to the near area through a beacon signal received as the near area enters; 활성화 중인 매개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서비스 진입 이벤트를 수신한 후 상기 비콘 신호에 포함된 방송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판별하는 비콘 프레임 판별 단계;Beacon frame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e service information for the broadcast service included in the beacon signal after receiving the service entry event through the active program; 상기 서비스 정보에 대한 판별결과를 기 설정된 사용자의 서비스 수신환경에 적용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제어정보를 형성하는 방송수신 제어 단계; 및A broadcast reception control step of forming control information for executing the broadcast service by applying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ervice information to a preset service reception environment of a user; And 상기 제어정보를 토대로 기동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의 개시를 위한 안내 화면을 단말화면에 나타내거나, 상기 방송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기동하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영역 내에서 방송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방법.An application program execution step of starting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to display a guide screen for starting the broadcast service on a terminal screen or starting an application program for execution of the broadcast service; A method of driving a device for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in a network.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영역 내에서 방송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method of driving a device for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in the short range region comprises: 상기 안내 화면 또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한 방송 화면을 상기 단말 화면에 출력하기 위한 화면출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영역 내에서 방송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방법.And a screen output step of outputting a broadcast screen through execution of the guide screen or the application program to the terminal screen.
KR1020090102367A 2009-10-27 2009-10-27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device that receive broadcasting service in local area,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KR1016330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367A KR101633032B1 (en) 2009-10-27 2009-10-27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device that receive broadcasting service in local area,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367A KR101633032B1 (en) 2009-10-27 2009-10-27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device that receive broadcasting service in local area,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693A true KR20110045693A (en) 2011-05-04
KR101633032B1 KR101633032B1 (en) 2016-07-11

Family

ID=44240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367A KR101633032B1 (en) 2009-10-27 2009-10-27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device that receive broadcasting service in local area,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03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396A (en) * 2015-05-28 2016-12-09 주식회사 이노피아테크 Hybrid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Supplementary Service to Second Scre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320A (en) * 2003-03-07 2004-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alue added data service of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therefor
KR20050061250A (en) * 2003-12-16 2005-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notifying interworking information of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therefor system
JP2006191613A (en) * 2004-12-31 2006-07-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ccess point for ensuring quality of service of broadcasting servic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KR20080097775A (en) * 2007-05-03 2008-11-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by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320A (en) * 2003-03-07 2004-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alue added data service of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therefor
KR20050061250A (en) * 2003-12-16 2005-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notifying interworking information of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therefor system
JP2006191613A (en) * 2004-12-31 2006-07-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ccess point for ensuring quality of service of broadcasting servic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KR20080097775A (en) * 2007-05-03 2008-11-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by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396A (en) * 2015-05-28 2016-12-09 주식회사 이노피아테크 Hybrid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Supplementary Service to Second Scre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3032B1 (en) 2016-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64469B (en) Wireless connection method and device
EP3334061A1 (en) Tethering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ing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KR101162222B1 (en) Mobile station assisted location based service
EP3634020A1 (en) Method of executing application and terminal using the method
CN101682910B (en) Secondary strap configured in WLAN 802.11 system to extend capacity of main strap
CN104284114A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CN113590067A (en) Screen projection control method, system,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2915221A (en) Information prompt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mpting method
WO2018018789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vehicle-mounted equipment
CN111107531B (e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Bluetooth equipment
KR102114777B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11405125A (en) Video color ring issuing method, server and readable storage medium
JP2017015684A (en) Navigation method, smart terminal device and wearable device
US9668111B2 (en) Terminal for contents sharing,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a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US2013014855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s via bluetooth network
KR20110045693A (en)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device that receive broadcasting service in local area,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EP2820558B1 (en) Remote user interfa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5156269A (en) Advertisement information output device
JP6701749B2 (en) Vend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language output switching of vending machine
CN107743116B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5698864B2 (en) Navigation device, server, navigation method and program
EP2618543A1 (en) Information sending method, device and system
KR20110096951A (en) General information system
JP2013201653A (en) Mobile terminal controller
US87879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