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3012A -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a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a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3012A
KR20110043012A KR1020090099922A KR20090099922A KR20110043012A KR 20110043012 A KR20110043012 A KR 20110043012A KR 1020090099922 A KR1020090099922 A KR 1020090099922A KR 20090099922 A KR20090099922 A KR 20090099922A KR 20110043012 A KR20110043012 A KR 20110043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uminance value
user
value
lock
il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9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석기
조순익
최순경
Original Assignee
실리콤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리콤텍(주) filed Critical 실리콤텍(주)
Priority to KR1020090099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3012A/en
Publication of KR20110043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01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a mis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are provided to automatically convert a mode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a brightness sensor to detect the face of a user. CONSTITUTION: A sensor unit(40) creates illumination value by measuring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s. A hold key locks or unlocks the mobile terminal by the manual input of the user. A controller(20) compares the current brightness value with the preset brightness valu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locking state of the user interface unit. The controller unlocks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hold key.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A MOBILE TERMINAL}Device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mobile terminal and its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키패드를 자동으로 잠금상태로 변경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별도로 잠금키를 사용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할 때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통화 중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키패드에 사용자의 안면 접촉으로 인한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a malfunction of a mobile terminal which automatically changes a touch screen or a touch keypad of a mobile terminal to a locked state, and more particularly, a user can make a call using the mobile terminal even if a user does not use a lock ke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and a method for preventing a malfunction of a portable terminal due to a user's face contact with a touch screen or a touch keypad during a call using an illuminance sensor.

휴대 단말기는 터치스크린 혹은 터치키패드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를 입력장치로 갖고 통화 기능을 가지고 있는 예를 들어 휴대폰, PDA 등을 일컫는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점차 다양한 기능들을 포함하면서도 소형화되고 있는 추세로, 그 사용대상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소형화 경향과 함께 최근에는 편리함을 위해 터치스크린 혹은 터치키패드를 구비하는 장치가 스마트 폰의 시장확대에 따라 널리 사용되고 있다.The portable terminal refers to, for example, a mobile phone, a PDA, etc., which has a user's touch as an input device such as a touch screen or a touch keypad and has a call function. Such portable terminals are increasingly miniaturized, including various functions, and their use is rapidly increasing. In addition to the trend toward miniaturization, in recent years, a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or a touch keypad has been widely used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he smart phone for convenience.

그런데 이러한 터치스크린 혹은 터치키패드는 통화 중에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통화 중 안면접촉을 통해 오동작이 빈번히 발생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느끼게 하였으며, 휴대 중 충격에 의해 호 연결이 시도되거나 임의의 기능이 동작하기도 하여 많은 불편함을 야기하고 있다.However, such a touch screen or a touch keypad makes a user feel uncomfortable due to frequent malfunctions through face contact during a call in a situation where the user does not intend to make a call. This operation also causes a lot of inconvenience.

이 같은 문제점 해결을 위한 종래 기술로는 잠금 키를 이용하여 휴대폰의 키 입력을 제한하는 방법이 있다. 잠금키를 이용한 방법에는, 수 초간 계속해서 누르면 잠금 상태가 설정되는 롱 키를 이용하는 방법, 슬라이드 형태로 생긴 홀드 키를 이용하여 잠금 상태를 설정하는 방법, 그리고 동시에 2개 이상의 키 입력이 있을 때에 잠금 상태가 설정되는 방법 등이 있다.Conventional technology for solving this problem is a method of limiting the key input of the mobile phone using the lock key. The method of using the lock key can be used by using a long key that is pressed for a few seconds, setting a lock state using a slide-type hold key, and locking when there are two or more key inputs simultaneously. And how the state is set.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가 항상 수동으로 동작시켜야 하므로 번거로우며,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사용을 위해 입력장치가 켜져 있는 동안에는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어 효율성이 낮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통화중일 때에는 입력장치가 켜져 있는 상태이므로 안면접촉으로 인한 오동작은 잠금키를 통해 해결되지 않는다.This method is cumbersome because the user has to operate manually at all times, and malfunctions may occur while the input device is turned on for the user to use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since the input device is turned on when the user is talking through the terminal, malfunction due to face contact is not solved through the lock key.

또한, 일정 거리 내에서 물체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근접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검출된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중이라고 판단되면 키 입력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고, 사용중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키 입력을 무시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근접센서가 단말기에 추가될 뿐만 아니라 전력소모 또한 증가시키기 때문에 그 사용이 어렵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result detected using a proximity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f an object within a certain distanc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in use,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key input is execu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not in use, the key input is ignored. However, this method is difficult to use because the proximity sensor is not only added to the terminal but also increases power consumption.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통화를 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를 얼굴 가까이 가져가면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키패드를 잠금시켜 통화 중에 사용자의 안면으로 화면을 터치하여 생기는 오동작을 방지하고 소모전력을 감소시키는데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locks the touch screen or touch keypad when the user brings the mobile terminal close to his face to make a call using the illumination sensor of the mobile terminal,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s caused by touching the screen with the user's face during the call. The purpose is to reduce power.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기존에 장착된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별도의 센싱수단의 추가없이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that can improve the utilization without the addition of a separate sensing means by using the existing illumination sensor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입력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는 상기 터치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주변 환경의 밝기나 광량을 측정하여 조도값을 생성하는 센서부와, 사용자의 수동입력에 따라 잠금을 해제 및 설정하는 홀드키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작상황에서 상기 센서부가 제공하는 조도값을 근거로 현재 조도값과 기설정된 일정 조도값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입력의 잠금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홀드키에 의해서만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pparatus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touch in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interface unit receiving a user's touch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and an illuminance value by measuring the brightness or the amount of light in a surrounding environment. A sensor unit for generating a sensor, a hold key for releasing and setting a lock according to a user's manual input, and a current illuminance value and a predetermined constant illuminance value based on an illuminance value provided by the sensor unit in an opera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In compariso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o lock the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and includes a control unit to release the lock only by the hold key.

이때, 상기 센서부는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수광소자를 이용하여 주변의 광량을 측정하는 조도센서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sensor unit includes an illuminance senso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ambient light using a light receiving element including a photodiod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조도값이 상기 일정 조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잠금으로 설정하고, 상기 현재 조도값이 상기 일정 조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잠금 해제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일정 조도값은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와 휴대 단말기의 접촉에 따른 것으로 설정된 고정 또는 범위의 조도값일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set a lock to a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when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and perform a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when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is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may be a fixed or range illuminance value set according to the contact between the user's body and the portable terminal for the user to make a call using the portable terminal.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는 외부 신호를 수신하여 통화 수신을 상기 제어부에 알리는 무선회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평소에는 슬립모드로 대기하고, 상기 무선회로부를 통한 통화 발신이나 수신을 근거로 상기 제어부가 생성하는 출력 신호값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조도값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further includes a wireless circuit unit for receiving an external signal to notify the control unit of the call reception, the sensor unit is usually in the sleep mode, and the call or reception through the wireless circuit unit Based on the output signal value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may be activated on the basis of measuring the illuminance value.

이때, 상기 출력 신호값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가 제공하는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입력을 근거로 생성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여부 결정 이후 상기 제어부가 제공하는 기능이 로드된 상태가 아니며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출력 신호값이 없는 경우 상기 센서부를 슬립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utput signal value may further include being generated based on an input for using a function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and the control unit may provide a function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after determining whether to lock the lock. When the sensor is not loaded and there is no output signal value for a preset time, the sensor unit may be converted into a sleep mod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여부에 대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와, 기설정된 시간동안에만 상기 잠금여부에 대한 기능을 사용하도록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여, 상기 메뉴를 통한 선택에 따라 상 기 잠금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provides a menu for setting the function of the lock or not, and a menu for setting the function for the lock or not to be used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through the user interface to select through the menu. According to the lock can be determin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키패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는, 상기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키패드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주변 환경의 밝기나 광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조도값을 생성하는 센서부와, 사용자의 수동입력에 따라 잠금을 해제 및 설정하는 홀드키와, 상기 센서부가 측정하는 주기적인 조도값을 근거로 현재 조도값과 이전 조도값의 차이를 연산하여 생성된 조도값 차이를 기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입력의 잠금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홀드키에 의해서만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alfunction prevention apparatus of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touch screen or a touch key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a user's touch through the touch screen or touch keypad and surroundings. A sensor unit that generates an illuminance value by periodically measuring the brightness or light of an environment, a hold key that releases and sets a lock according to a user's manual input, and a current illuminance value based on a periodic illuminance value measured by the sensor unit.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o lock the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by comparing the difference in the illuminance value generated by 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previous illuminance value and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to release the lock only by the hold key.

이때, 상기 기준치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접촉에 따른 것으로 설정된 고정 또는 범위의 조도값 차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값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입력을 잠금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값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현재 조도값을 기설정된 일정 조도값과 비교하여 상기 일정 조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입력을 잠금으로 설정하고, 상기 일정 조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입력을 잠금 해제로 설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ference value may be a difference between a fixed or range illuminance value set by the user to make a call using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contact of the user's body and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ontrol unit may have the illuminance value. When the differe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may be set as a lock. The controller may compare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with a predetermined constant illuminance value when the difference in the illuminance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set the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as a lock if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is greater than the preset illuminance value. In the following case, the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may be set to unlock.

이때, 상기 일정 조도값은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를 가방이나 주머니에 수납한 경우에 따른 것으로 설정된 고정 또는 범위의 조도값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stant illuminance value may be a fixed or range illuminance value set according to a case in which the user stores the portable terminal in a bag or a pocket.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하기 위해 사용자의 귀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접촉시 상기 조도값 차이가 가장 크게 변하는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may be positioned at a position where the difference in illuminance value changes most greatly when the user's ear contacts the portable terminal to make a call using the portable termina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조도의 변화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의 잠금 설정을 변경하는 오동작 방지 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이나 휴대 단말기를 통한 통화 수신 또는 발신 신호에 따라 생성되는 출력 신호값을 감지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출력 신호값에 따라 조도 센서를 활성화시키는 제 2단계와, 상기 조도 센서가 조도를 측정하여 조도값을 생성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조도값 중 현재 조도값을 기설정된 일정 조도값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잠금여부를 결정하는 제 4단계와, 상기 제 4단계를 통해 잠금으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의 홀드키 입력에 따라 상기 잠금을 해제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한다.Malfunction prevention method of the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for changing the lock setting of the input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change of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all through the input or the mobile terminal for the user interface A first step of detecting an output signal value generated according to a received or an outgoing signal, a second step of activating an illuminance sensor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value, and a third step of measuring the illuminance to generate an illuminance value And a fourth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lock the user interface by comparing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among the illuminance values with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and when the lock is set through the fourth step, Accordingly, a fifth step of releasing the lock.

이때, 상기 일정 조도값은 상기 기준치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와 휴대 단말기의 접촉에 따른 것으로 설정된 고정 또는 범위의 조도값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may be a fixed or range illuminance value set according to the contact of the user's body and the portable terminal in order for the user to make a call using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상기 오동작 방지 방법은 상기 제 3단계 이후 제 4단계 이전 상기 현재 조도값과 이전 조도값의 차이를 연산하여 조도값 차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조도값 차이를 기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상기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을 잠금으로 설정하고, 상기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 4단계를 거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 difference in illuminance value by 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and a previous illuminance value after the third step and before the fourth step, and comparing the illuminance value difference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tting an input to the user interface as a lock when the reference valu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and passing the fourth step when the input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더하여, 상기 기준치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와 전자기기의 접촉에 따른 것으로 설정된 고정 또는 범위의 조도값 차이이며, 상기 일정 조도값은 상기 휴대 단말기가 가방이나 주머니에 수납될 경우에 따른 것으로 설정된 고정 또는 범위의 조도값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erence value is a fixed or range illuminance value set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contact between the user's body and the electronic device to make a call us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onstant illuminance value is determined by the portable terminal in a bag or pocket.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fixed or range illuminance value set according to the storage case.

또한, 상기 제 5단계 이후 상기 출력 신호값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조도 센서를 슬립모드로 변환하는 제 6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ixth step of converting the illuminance sensor into a sleep mode if the output signal value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fifth step.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는 사용자의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중 상태일 때 키 입력을 잠금상태로 변환시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키 입력을 막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잠금키를 수동으로 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key input unintentional by the user by converting a key input into a locked state when the user is in a call state us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user manually sets the lock ke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liminate the hass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는 의도하지 않은 키 입력으로 인한 배터리 소모를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통화 수신 또는 발신에 대한 신호에 반응하여 조도 센서를 동작시킴으로써 불필요한 동작을 방지하여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prevents battery consumption due to unintentional key input, but also prevents unnecessary operation by operating an illuminance sensor in response to a signal for receiving or making a call. The battery can be used efficiently.

더하여, 기존 휴대 단말기에는 조도 센서가 자체적으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부가수단에 대한 추가 없이 본 발명에 따른 오동작 방지를 구현할 수 있 어 저비용으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llumination sensor is attached to the existing portable terminal itself,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malfunction pre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adding an additional means, thereby increasing the utilization at low cost.

이외에도, 본 발명은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을 잠금으로 설정하는데 있어서, 통화여부와 상관없는 외부의 조도 변화 뿐 아니라 어두운 장소에서도 외부의 조도변화에 관계없이 통화 여부에 따른 조도 변화에만 반응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을 잠금으로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setting the key input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lock using the illuminance sensor, not only changes in the illuminance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call, but also in the dark place irrespective of changes in the illuminance regardless of the external illuminance change In respons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key input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set as a lock.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는 조도의 변화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잠금설정을 자동으로 변경하여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중일 경우 사용자의 안면과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키패드와의 접촉으로 인한 의도하지 않은 키패드 입력을 통해 통화가 중단되거나 불필요한 기능이 통화중에 로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The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changes the lock setting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change of illumination, and when the user is busy using the portable terminal, the user's face and the touch screen or the touch keypad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Unintentional keypad input that prevents calls from being interrupted or unnecessary features loaded during the call.

또한, 상기 불필요한 키패드 입력으로 인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백라이트의 밝기를 증가시켜 불필요한 소모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by increasing the brightness of the backlight of the display of the portable terminal due to the unnecessary keypad input.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는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키패드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를 입력장치로 갖고 통화기능을 가지고 있는 휴대폰, PD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키패드 기반의 입력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갖추고 있다.Meanwhile, the portable terminal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PDA, etc., which has a user's touch as an input device, such as a touch screen or a touch keypad, and has a call function, and receives user input from the touch screen or touch keypad based input device. It has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상술한 내용을 바탕으로, 도 1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 의 상세한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와, 안테나와 연결되어 통화 수신 또는 발신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무선회로부(30)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메뉴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20)와, 외부 밝기나 광량을 측정하는 센서부(40)를 포함할 수 있다.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referr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alfunction prevention apparatus of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FIG. 1, the malfunction prevention apparatus of the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user interface unit 10 and an antenna as shown in the call. It may include a wireless circuit unit 30 for determining whether the reception or transmission occurs, a control unit 20 for controlling the menu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sensor unit 40 for measuring the external brightness or the amount of light.

상기 센서부(40)는 포토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주변의 광량에 따라 전류를 발생시켜 생성되는 값을 상기 조도값으로 출력하는 조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도센서(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수화기 부분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설치하는 이유는 사용자의 통화 상태를 상기 조도센서(200)가 외부 밝기나 광량을 측정하여 생성된 조도값으로부터 판단하기 위함이다.The sensor unit 40 may include an illuminance sensor that outputs a value generated by generating a current according to the amount of ambient light using a photodiode as the illuminance value, and the illuminance sensor 200 is illustrated in FIG. 2.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handset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reason for the installation is based on a call state of the user from the illuminance value generated by the illuminance sensor 200 by measuring external brightness or light quantity. To judge.

즉, 사용자는 통화 중일때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영역에 해당하는 수화기 부분이 사용자의 귀로 인해 가리게 되므로 상기 수화기 부분 일측에 설치된 상기 조도센서(200)의 조도값이 낮아지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통화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40)는 주기적으로 상기 조도값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20)에 전달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is in a call, the receiver part corresponding to the area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covered by the user's ear, so that the illuminance value of the illumination sensor 20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receiver is lower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call state of the user. Therefore, the sensor unit 40 may periodically measure the illuminance value and transmit the measured illuminance value to the control unit 20.

한편, 상기 센서부(40)의 조도값 측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발생되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20)는 수신 또는 발신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센서부(40)의 상기 조도값 측정 동작에 대한 활성화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is generated when the illumination value measurement of the sensor unit 40 is continuously performed, the control unit 20 detects the received or transmitted signal to measure the illumination value of the sensor unit 40. By determining whether to activate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prevented.

즉, 상기 무선회로부(30)는 상기 제어부(20)에 상기 수신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수신신호를 근거로 출력신호값을 생성하여 상기 센서부(40)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센서부(4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무선회로부(30)를 통해 발신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발신 신호를 근거로 상기 출력신호값을 생성하여 상기 센서부(4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That is, the wireless circuit unit 30 may transmit the received signal to the controller 20, and the controller 20 generates an output signal value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and transmits the output signal value to the sensor unit 40. The sensor unit 40 may be activated. In addition, the controller 20 generates the output signal value based on the outgoing signal when the outgoing signal is generated through the radio circuit unit 30 according to a user input received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10. The sensor unit 40 may be activated.

더하여, 상기 제어부(20)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에 포함된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근거로 상기 출력신호값을 생성하여 상기 센서부(40)를 활성화 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 generates the output signal value based on a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0 for a user to use a function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to activate the sensor unit 40. You can also

상기 센서부(40)는 상기 출력신호값을 근거로 슬립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변경하여 주기적으로 외부의 밝기 또는 광량을 측정하여 조도값을 생성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40 may generate an illuminance value by periodically changing an external brightness or light amount by changing from a sleep mode to an active mode based on the output signal value.

상기 센서부(40)의 활성화 이후,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센서부(40)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조도값을 레지스터에 저장하고, 현재 저장되는 현재 조도값을 기설정된 일정 조도값과 비교하여, 상기 현재 조도값이 상기 일정 조도값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After activation of the sensor unit 40, the controller 20 stores the illuminance value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40 in a register, and compares the currently stored illuminance value with a predetermined constant illuminance valu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판단을 통해 현재 조도값이 상기 일정 조도값보다 낮으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잠금 설정으로 전환 또는 유지시킬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휴대 단말기와 접촉하여 통화중인 상태이거나 주머니나 가방에 상기 휴대 단말기를 수납한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의 접촉으로 인하여 상기 센서부(40)가 활성화된 것으로서, 상기한 상태에서는 조도값이 일정 수준보다 낮으므로 상기 센서부(40)의 조도값을 통해 상술 한 상태들을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현재 조도값이 상기 일정 조도값보다 낮은 경우 의도하지 않은 입력 후 연속되는 추가 입력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잠금 설정함으로써 불필요한 입력과 그에 따른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If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through the determination, the controller 20 may switch or maintain the user interface unit 10 as a lock setting. This is because the sensor unit 40 is activated due to unintentional contact of the user interface unit 10 while a part of the user's body is in contact with the mobile terminal or in a state where the mobile terminal is stored in a pocket or bag. As the illuminance valu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in the above state, the above-described states can be easily distinguished through the illuminance value of the sensor unit 40. In addition, when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the controller 20 locks the user interface unit 10 so as to prevent continuous further input after an unintended input, thereby unnecessary input and corresponding power. It can prevent consumption.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현재 조도값이 상기 일정 조도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잠금해제 설정으로 전환 또는 유지시킬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하여 외부광에 노출시킨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의도적으로 입력을 가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현재 조도값이 일정 조도값보다 높은 경우에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잠금해제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0 may switch or maintain the user interface 10 in the unlock setting when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This may be regarded as the user exposed to external light in order to use the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intentionally inputs the func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0 to use the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Because there is. Therefore, when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the controller 20 may unlock the user interface unit 10 so that the user can continuously use the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이때, 상기 현재 조도값과 일정 조도값의 비교를 통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가 잠금 설정이 된 경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한 사용자의 수동 입력을 근거로 상기 잠금해제에 대한 설정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수동 입력으로서 상기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키패드를 통한 잠금해제 설정 뿐 아니라 상기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별도의 Hold 버튼 입력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인식함으로써 상기 잠금해제 설정으로 변경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interface 10 is locked by comparing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with a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the controller 20 is based on a manual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10. The control unit 20 may be changed to a setting for unlocking, wherein the control unit 20 inputs a separate hold button input attached to the portable terminal as well as setting unlocking through the touch screen or touch keypad as the manual input. Recognition through the unit 10 can be changed to the unlock setting.

한편, 현재 조도값과 일정 조도값의 비교를 통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 스(10)가 잠금 설정이 된 경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수동 입력이 발생되기 전까지 상기 무선회로부(30)가 생성하는 출력신호 또는 상기 제어부(20)가 생성하는 제어신호를 근거로 통화모드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통화중일 경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조도센서를 활성화시켜 상기 현재 조도값과 일정 조도값의 비교를 지속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며, 통화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조도센서를 슬립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interface 10 is locked by comparing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with a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the control unit 20 outputs the signal generated by the wireless circuit unit 30 until the manual input is generated.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20 may determine whether the communication mode is based on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20, and when the call is in progress, the controller 20 activates the illuminance sensor to continuously compare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with the constant illuminance value. By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 if not in the call mode can switch the light sensor to the sleep mode.

이때, 상술한 조도값 비교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의 잠금 및 잠금 해제에 있어서, 상기 현재 조도값과 비교하는 기준이 되는 일정 조도값은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접촉시 측정되는 조도값일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user interface unit 10 by comparing the above-described illuminance values, the constant illuminance value, which is a reference value compared with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is used by the user to make a call using the portable terminal. It may be an illuminance value measured when the body contacts the portable terminal.

그러나, 상기 일정 조도값은 외부광의 변화에 따라 민감하게 변화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외부광에 직접적으로 노출된 지역에 위치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와 상기 휴대 단말기가 완전 밀착하지 않는 이상 어느정도의 외부광에 상기 센서부가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통화 중인 상태에서 상기 현재 조도값이 상기 일정 조도값보다 높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가 잠금 해제 설정으로 유지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광이 강한 지역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가 자동으로 잠금 설정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상기 조도값 비교를 통해 자동으로 잠금 설정 하기 위하여 상기 조도센서를 사용자의 신체와 완벽히 밀착하여 조도값을 기설정된 일정 조도값 이하로 낮추기 위한 수고를 겸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the constant illuminance value is sensitively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external light. In other words, when the user is located in an area directly exposed to external light and uses the portable terminal, the sensor part is exposed to some external light unless the user's body and the portable terminal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is state,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may be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so that the user interface unit 10 may be maintained in the unlock setting. Therefore, when the user interface 10 is not automatically locked in an area where external light is strong, the user may set the illumination sensor to automatically lock the user interface 10 by comparing the illumination value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there may occur a case in which the effort for lowering the illuminance value to be lower than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must be combined.

더불어, 상기 외부광에 노출된 지역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일정 조도값을 상기 외부광 노출 지역에 맞도록 설정하게 되면, 사용자가 외부광이 전혀 없는 어두운 장소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통화 중이 아닌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센서부(40)를 노출하더라도 이때의 조도값이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를 신체에 밀착하여 통화중인 상태의 조도값과 별반 차이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한 입력을 근거로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이용하는 도중에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잠금으로 설정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is set to match the external light exposure area in order to prevent the case described above in the area exposed to the external light, the user may operate the portable terminal in a dark place where no external light exists. When using, even if the user exposes the sensor unit 40 of the portable terminal to use the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not being in a call, the illuminance value at this time is the illuminance value of the state where the us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and is in a call. Since there is no difference, the control unit 20 locks the user interface unit 10 while the user continuously uses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0. May occur.

따라서, 상기 일정 조도값을 기준을 맞추기가 상당히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상술한 현재 조도값과 일정 조도값의 비교 과정 이전에 상기 레지스터에 현재 저장되는 조도값과 이전 조도값의 차이를 연산하는 과정을 더 추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도값의 변화를 통해 사용상태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조도값 비교와 더불어 사용자의 통화중 상태와 주머니나 가방에 수납된 상태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일반 기능을 이용하고 있는 상태로 더욱 세분화하여 구별할 수 있다.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meet the constant illuminance value,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illuminance value currently stored in the register and the previous illuminance value before comparing the present illuminance value and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You can add more. By changing the illuminance value, it is possible to clearly understand the state of use, and further compare the illuminance value with the user's busy state, the state accommodated in the pocket or bag, and the state using the general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stinguished.

즉,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레지스터에 저장되는 현재 조도값과 이전 조도값의 차이를 연산하여 조도값 차이를 생성하고, 상기 조도값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에 포함된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키패드의 입력에 대한 설정을 잠금으로 설정하고, 상기 조도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의 입력에 대한 설정을 잠금해제로 설정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ler 20 calculates a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and the previous illuminance value stored in the register to generate a difference in the illuminance value, and if the difference in the illuminanc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user interface unit 10. The setting of the input of the included touch screen or touch keypad may be set to lock, and the setting of the input of the user interface unit 10 may be set to unlock if the difference in the illuminance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다시 말해,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개시할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수화기부분에 부착된 조도 센서가 사용자의 귀에 의해 가려져 조도가 크게 변화되는 부분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통화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값 차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통화중 일 때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잠금으로 설정하여 사용자의 안면부위나 귀를 포함하는 특정 부위에 의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한 의도되지 않은 입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의 불필요한 입력 및 그에 따른 오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user initiates a call using the portable terminal, the illumination sensor attached to the receive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blocked by the user's ear to detect a portion where the illumination intensity is greatly chang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a call. have.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sets the user interface unit 10 to the lock when the user is busy by using the difference in the illuminance value, so that the user interface unit 10 by a specific part including the user's face or ear.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unintended input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nnecessary inpu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resulting malfunction.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잠금인 경우 사용자가 통화중인 상태이며, 잠금 해제인 경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가방이나 주머니에 수납한 상태이거나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일반 기능을 이용하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In more detail, in the case of the lock, the user is in a call state, and in the case of the unlocking, the user can be classified into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is stored in a bag or a pocket, or in a state of using a general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이때, 상기 잠금 해제 설정으로 전환된 경우에서 상기 가방이나 주머니에 수납한 상태는 잠금 설정이 필요한 상태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상술한 조도값 비교 과정을 상기 조도값 차이 비교 과정 이후에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납한 상태와 휴대 단말기의 일반 기능을 사용하고 있는 상태를 구별하여, 상기 수납한 상태에서는 잠금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tate stored in the bag or pocket in the case of switching to the lock release setting corresponds to a state requiring lock setting. Therefore, to compensate for this, the above-described illuminance value comparison process is performed after the illuminance value difference comparison process to distinguish the stored state from the state in which the general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used, and the lock setting is performed in the stored state. This can be done.

즉, 상기 조도값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조도값 차이의 연산에 사용된 상기 현재 조도값을 상기 일정 조도값과 비교하여 상기 현재 조도값이 상기 일정 조도값 이하인지를 판단하고, 일정 조도값 이하 이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에 대한 입력을 잠금으로 설정하고, 일정 조도값 이상이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에 대한 입력을 잠금해제로 설정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difference in the illuminance value is small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20 compares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used for the calculation of the illuminance value difference with the constant illuminance value and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is the constant illuminance valu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and the input to the user interface unit 10 may be set to a lock, and if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or more, the input to the user interface unit 10 may be set to an unlock.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도값 차이에 대한 연산과정을 거치게 되면 일정 조도값의 설정 기준에 관계없이, 어두운 장소나 밝은 장소 어디에서 통화를 하든지 통화 여부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으며, 상기 일정 조도값은 수납된 상태와 휴대 단말기의 사용 상태를 구분하는데 이용함으로써 더욱 세분화된 상태를 구별하고 그에 적절한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설정으로 자동으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regardless of the setting criteria of the constant illuminance value, whether the call is made in a dark place or a bright place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call, regardless of the setting criteria of the illuminance value, and the constant illuminance value is stored. By using it to distinguish between the used state and the use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a more subdivided state and to automatically switch to the appropriate lock or unlock setting,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 and increasing user convenience.

이때, 상기 조도값 차이를 이용하여 외부광의 변화에 상관없이 사용자의 통화상태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데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4를 통해 부가 설명하도록 한다.At this time, a detailed description of how the user's call state can be easily detected regardless of the change in external light by using the difference in illuminance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4.

한편, 상기 잠금 설정 이후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한 상기 수동 입력을 근거로 상기 잠금 설정을 잠금 해제 설정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 해제 설정인 경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의 입력을 근거로 통화기능을 제외한 다른 기능을 로드하는 것을 인식하는 것으로서 상기 센서부(40)를 활성화모드에서 다시 슬립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기능을 로드하는 것 이외에 상기 통화 종료 이후 기설정된 시간안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한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센서부(40)를 활성화 모드에서 슬립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lock setting, the control unit 20 may switch the lock setting to the unlock setting based on the manual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0.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unlocking setting, the control unit 20 recognizes the loading of the other functions except for the call function based on the input of the user interface unit 10, and reactivates the sensor unit 40 in the activation mode. You can change to sleep mode. In addition, in addition to loading the function, the controller 20 changes the sensor unit 40 from an active mode to a sleep mode when there is no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0 within a preset time after the call ends. Can be.

이외에도,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잠금여부에 대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와, 기설정된 시간동안에만 상기 잠금여부에 대한 기능을 사용하도록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제공하여, 상기 메뉴를 통한 선택에 따라 상기 잠금여부를 판단하도록 할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 provides a menu for setting the function of the lock or not, and a menu for setting the function for the lock or not to be used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0.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lock according to the selection through the menu.

더하여, 상기 제어부(20)는 어두운 환경에서 휴대 단말기를 사용중인 경우 휴대 단말기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에 대한 출력방식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시력보호 및 영화관과 같은 장소에서의 매너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used in a dark environment, the controller 20 may adjust a display method of the display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to perform a user's vision protection and manner at a place such as a movie theater.

즉,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의 입력을 근거로 상기 조도센서를 활성화한 이후 상기 조도센서가 측정한 조도값이 너무 작을 경우 사용자가 어두운 환경에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0)는 어두운 환경에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출력을 기설정된 값 이하로 낮추거나, 상기 디스플레이의 출력 모드가 흑백반전 또는 채도조절로 출력되도록 조정하여 사용자의 시력 보호 및 매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ler 20 activates the illuminance sensor based on the input of the user interface unit 10, and when the illuminance value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is too small, the user uses the portable terminal in a dark environment. You can judge. Therefor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used in a dark environment, the controller 20 lowers the backlight output of the display to a predetermined value or less, or adjusts the output mode of the display to be output by black and white reversal or saturation control. Can perform protection and manner functions.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상기 조도값 차이를 이용한 외부광의 변화에 사용자의 통화 여부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는데 대하여 부가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3 to 4, an additional description may be made to easily distinguish whether a user talks with a change in external light using the difference in illuminance value.

도 3은 통화여부에 따라 센서부가 측정하는 조도값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밝기는 외부에 노출될 수록 지수적으로 밝기가 증가하는 반면에,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밝기 증가에 따라 측정되는 조도값을 로그로 환산하여 산출함으로써 용이하게 민감한 밝기 변화에 대해서도 판단할 수 있다.3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illuminance value measured by a sensor according to whether a call is made. As shown in FIG. 2, the brightness is increased exponentially as the brightness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reas the sensor is measured as the brightness is increased. By converting the illuminance value into a log,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the sensitive brightness change.

즉,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밝기가 상대적으로 낮은 범위에서의 변화(B와 B' 사이)는 조도값 변화(b)가 크게 나타나는데 반해, 밝기가 큰 범위에서의 변화(A와 A' 사이)는 밝기가 낮은 범위에서보다 변화 정도가 크더라도 조도값의 변화(a)는 작게 나타난다.That is, as shown in the graph, the change in the range where brightness is relatively low (between B and B ') shows a large change in illuminance value (b), whereas the change in the range where brightness is large (between A and A'). The change (a) of the illuminance value is small even though the degree of change is larger than that in the low brightness range.

따라서, 사용자가 외부광에 노출된 지역에서 통화하는 경우와 외부광이 노출되지 않은 지역에서 통화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한 조도값의 변화가 외부광의 변화에 따른 것인지 사용자가 통화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를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센서부를 가리는 것인지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the user makes a call in an area exposed to external light and when making a call in an area where external light is not expose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change in the illuminance value by the sensor unit is due to the change in external light. In order to clearly cover the sensor unit by touch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user's body.

상기한 내용을 뒷받침 하기 위하여 상기 도 3의 그래프를 참고로 상기 도 4에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우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외부광(300)에 노출된 지역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통화를 할 경우 외부광(300)에 상기 센서부가 노출되는 면적이 넓으며 이에 따른 밝기가 지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에서 멀어질수록 밝기의 변화는 크다. 이에 반해, 상기 밝기의 변화에 따른 조도값의 변화는 로그로 환산하여 산출되기 때문에 상기 조도값의 변화 정도가 크지 않다.Referring to the diagram of FIG. 4 with reference to the graph of FIG. 3 to support the above contents, first, as shown in FIG. 4 (a), the user is carried in an area exposed to the external light 300. When making a call using the terminal 100, the area exposed by the sensor unit to the external light 300 is wide and the brightness thereof increases exponentially, so that the change in brightness increases as the user moves away from the user's body. On the contrary, since the change in the illuminance value according to the change in brightness is calculated in terms of a logarithmic scale, the degree of change in the illuminance value is not large.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와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인접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어두운 영역이고, 상기 도 3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밝기가 상대적으로 어두운 영역에서의 변화일수록 변화정도가 밝은 영역에 비해 조도값의 변화 정도가 크므로, ①~②의 조도값 차이보다 ②~③의 조도값 차이가 더 크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기준치를 ①~②의 조도값 차이보다는 크게 하고, ②~③의 조도값 차이보다 작게 설정하여 외부광의 변화인지 사용자가 통화를 개시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상기 센서부가 가려지는 것에 의한 조도의 변화인지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다.Therefore, a portion where the body of the user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are adjacent to each other is a relatively dark area, and as shown in the graph of FIG. 3, the change in the relatively dark area is greater than the bright area. Since the degree of change in the illuminance value is large, the difference in the illuminance values of ② to ③ is greater than the difference in the illuminance values of ① to ②.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sets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o be larger than the difference in the illumination values of ① to ②, and sets it smaller than the difference in the illumination values of ② to ③ to determine whether the external light is changed or not, so that the sensor unit starts the call by the user's body. It is possible to clearly distinguish whether the illumination is changed by being obscured.

그러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①~②의 조도값 변화에 따른 조도값 차이에만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잠금 설정으로 변경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ntroller may change the user interface to the lock setting only in response to the difference in the illuminance valu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illuminance value of the ① to ②.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외부광에 노출되지 않은 장소에서 통화를 개시하는 경우에는 낮은 밝기값을 가지는 영역에서 사용자의 신체와 휴대 단말기의 접촉에 의한 광량 변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도 3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밝기가 낮을수록 조금만 광량변화가 일어나더라도 이에 따른 조도값 변화는 밝기가 높은 곳에서의 광량변화에 따른 조도값 변화보다 크다. 따라서, 외부광의 노출이 없는 장소에서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기가 인접한 부분에서의 밝기 차이(④~⑤)가 상기 외부 광량이 변화에 따른 밝기 차이(⑤~⑥)보다 크며, 이에 따른 조도값의 차이는 ④~⑤가 훨씬 크게 나타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B, when the user starts a call in a place where the user is not exposed to external light, a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due to the contact of the user's body with the portable terminal occurs in an area having a low brightness value. Therefore, as shown in the graph of FIG. 3, the lower the brightness, the smaller the amount of light changes, and thus the change in illuminance value is larger than the change in the illuminance value according to the change in light amount at a high brightness. Therefore, the brightness difference (④ to ⑤) at the portion adjacent to the portable terminal by the user's body in a place where no external light is exposed is greater than the brightness difference (⑤ to ⑥)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external light quantity, and thus the illuminance The difference in value is much larger in ④ ~ ⑤.

따라서, 도 3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두운 장소에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밝기의 변화 정도가 미미하여도 상기 센서부가 측정하는 조도값을 근거로 상기 제어부는 용이하게 사용자의 통화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the graph of FIG. 3, even when the user changes the brightness using a portable terminal in a dark place, the controller can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in a call based on the illumination value measured by the sensor. Can be.

상기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바를 참고해 볼때, 외부광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통화를 할 경우에도 상기 외부광에 영향을 받는 장소 뿐만 아니라 외부광이 전 혀 없는 어두운 장소에서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할 경우라도,상기 센서부가 가려지는데 따른 조도값 차이(n)가 상기 외부광의 변화에 따른 조도값 차이(m)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외부광의 존재여부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통화여부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4(a)는 밝기가 높은 값을 나타내는 범위의 조도값 변화이고 도 4(b)는 밝기가 낮은 값을 나타내는 범위의 조도값 변화이므로, 도 4(a)가 도 4(b)에 비해 밝기의 변화량이 크더라도, 조도값의 변화는 도 4(b)가 더 크기 때문에, 도 4(a) 및 도 4(b) 각각에 대하여 측정되는 상기 센서부가 가려지는데 따라 생성된 조도값 차이(n)는 상호 차이가 거의 없다. 따라서, 용이하게 상기 기설정된 기준치를 설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bar shown in the drawings, the user may use the mobile terminal in a dark place where no external light is exposed as well as a place where the external light is affected even when the user makes a call when exposed to external light. Even when making a call, since the difference in illuminance value n due to the sensor unit is much greater than the difference in illuminance value m due to the change in the external light, the user's call status can be easily made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external light. I can figure it out. In addition, as shown in the graph of Fig. 3 (a) is a change in the illuminance value of the range indicating a high brightness value and (b) is a change in the illuminance value of a range indicating a low brightness value, Even though 4 (a) has a large change in brightness compared to FIG. 4 (b), the change in illuminance value is measured for each of FIGS. 4 (a) and 4 (b) because FIG. 4 (b) is larger. The illuminance value difference n generated as the sensor part is hidden has almost no mutual difference. Therefore,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can be easily set.

따라서, 도 4(a)와 도 4(b)를 통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 인접했을 때의 현재 조도값과 이전 조도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것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잠금으로 설정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user satisfi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and the previous illuminance value when the user is adjacent to use the portable terminal,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at the differe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through FIGS. 4A and 4B. The user interface can be locked.

상술한 과정을 통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값 차이를 기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외부광의 노출 정도에 상관없이 사용자의 통화 여부를 먼저 구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조도값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하여서 통화 상태가 아니라면 우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잠금해제 설정으로 전환한 상태에서, 이후 상기 제어부는 조도값 차이의 연산에 사용된 현재 조도값과 기설정된 일정 조도값을 비교하여 상기 일정 조도값보다 작으면 주머니나 가방에 수납된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잠금으로 설정으로 전환하고, 상기 일정 조도값보다 크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잠금 해제로 설정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통화 여부 판단 이후 휴대 단말기의 수납 또는 이용상태까지도 명확하게 구분하여 상기 센서부의 활성화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의도하지 않은 입력에 의한 것인지를 구별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controller compares the difference in illuminance value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to first distinguish whether or not the user talks regardless of the exposure level of external light, and accordingly, the difference in illuminance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set reference value. If not, first, the user interface unit is switched to the unlocking setting, and then the controller compares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used for the calculation of the illuminance value and a predetermined constant illuminance value, and if it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the bag or bag. The user interface may be determined to be locked, and the user interface may be set to lock. If the user interface is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the user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s using the portable terminal to maintain the user interface. That is, even afte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call is made, the storage or use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to distinguish whether the activation of the sensor unit is due to an unintended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한편, 상기 조도값 차이에 대한 연산 과정과 조도값 비교 과정을 모두 거치는 경우, 상기 일정 조도값은 상기 주머니나 가방에 수납된 상태의 조도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both the calculation process and the comparison of the illuminance value for the illuminance value difference,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may be set to the illuminance value stored in the pocket or ba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방법에 대한 순서도로서, 상기 제어부는 대기모드로 무선회로부를 통해 통화요청이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사용자 입력을 통한 통화 발신이나 상기 무선회로부를 통해 외부신호의 수신이 감지되는 통화수신이 있는 경우 통화수신 또는 발신을 알려주는 출력신호값을 생성한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eventing a malfunc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controller continuously monitors whether there is a call request through a wireless circuit unit in a standby mode, and transmits a call through a user input of a user interface unit or wirelessly. When there is a call reception in which the reception of an external signal is detected through the circuit unit, an output signal value indicating the call reception or origination is generat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통화수신 또는 발신을 알려주는 출력신호값을 상기 센서부에 입력하며, 상기 센서부는 슬립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변경되어 외부광량에 대한 측정을 주기적으로 수행한다. The controller inputs the generated signal output signal indicating the incoming or outgoing call to the sensor unit, the sensor unit is changed from the sleep mode to the active mode to periodically measure the amount of external light.

이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조도값을 레지스터에 저장하며, 주기적으로 측정되는 조도값에서 이전의 조도값과 현재의 조도값의 차이를 계산하여 조도값 차이를 생성하고, 상기 조도값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stores the illuminance value periodically measured by the sensor unit in a register, calculates a difference between the previous illuminance value and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from the illuminance value periodically measured, and generates a illuminance value differenc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ffere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상기 판단을 근거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잠금 설정으로 전환 또는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지스터에 저장된 연속된 조도값 중 이전 조도값과 현재 조도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수치보다 작을 경우 기설정된 일정 조도값과 상기 현재 조도값을 비교하여 상기 현재 조도값이 상기 일정 조도값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입력 가능한 잠금해제 설정으로 전환 또는 유지시키며, 상기 현재 조도값이 일정 조도값보다 작으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잠금 설정으로 전환시킨다.Based on the determination, when the difference in the illuminanc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controller switches or maintains the user interface to lock setting. The controller may compare the preset constant illuminance value with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vious illuminance value and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among the consecutive illuminance values stored in the register is smaller than a preset value, and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is set to the constant value. If it is larger than the illuminance value, the user interface is switched to or maintained as a lockable setting that can be input. If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the user interface is switched to the lock setting.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잠금으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가 수동으로 Hold버튼을 이용한 잠금해제 입력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발생시킨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근거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잠금해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잠금 해제 설정 이후 상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When the user interface unit is set to lock, when the user manually generates an unlock input using the Hold butt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the controller may unlock the user interface unit based on the user input and release the lock. After the sett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 may be repeated.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술한 과정 중 상기 조도값 차이를 기설정된 수치와 비교하는 과정을 제외하고, 상기 센서부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현재 조도값을 기설정된 일정 조도값과 비교하여 상기 현재 조도값이 상기 일정 조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잠금 설정으로 전환 또는 유지하고, 상기 현재 조도값이 일정 조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잠금해제 설정으로 전환 또는 유지시킬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periodically transmitted by the sensor unit with a predetermined constant illuminance value except for comparing the difference in the illuminance value with a predetermined value 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and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is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When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lock setting, the user interface may be switched or maintained. If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the user interface may be switched or maintained by the unlock setting.

상술한 과정 중, 상기 센서부의 조도값을 근거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입력에 대한 설정을 잠금으로 설정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Hold 버튼을 이용한 잠금 해제 입력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에만 상기 센서부를 근거로 설정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잠금 설정을 잠금해제 설정으로 변환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when the control unit sets the setting for the input of the user interface unit to the lock based on the illuminance value of the sensor unit, the control unit manually inputs the lock release using the Hold button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Only when the reception is receiv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the lock setting of the user interface unit set based on the sensor unit may be converted into an unlock setting.

또한, 상기 센서부의 조도값을 근거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입력에 대한 설정이 잠금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통화모드인지를 판단하여 통화중일 경우 상술한 과정과 마찬가지로 주기적인 조도값 측정을 통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과정을 반복하며, 통화중이 아닐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슬립모드로 전환하여 전력소모를 방지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setting of the input of the user interface unit is set to the lock based on the illuminance value of the sensor unit,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communication mode is in a call mode and performs the periodic illuminance value measurement as 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when the call is in progress. The process of locking or unlocking the unit is repeated, and when not in a call, the controller switches the sensor unit to a sleep mode to prevent power consumption.

한편, 상기 센서부가 활성화된 이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잠금 해제 설정으로 지속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가 통화 이외의 기능을 로드하지 않거나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센서부를 슬립모드로 변경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즉, 통화에 관련된 통화 수신이나 발신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슬립모드로 변경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interface unit continues to unlock setting after the sensor unit is activated, the control unit does not load a function other than a call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or there is no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In this case, power consumption may be reduced by changing the sensor unit to a sleep mode. That is, when a call reception or an outgoing signal related to a call is not detected, the controller may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by changing the sensor unit to a sleep mo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malfunction preventing apparatus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조도 센서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illumination sensor attached to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가 밝기 변화에 따라 생성하는 조도값에 대한 그래프.Figure 3 is a graph of the illuminance value generated by the sensor unit according to the change in bright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동작 방지 장치의 외부 광량 변화와 사용자 통화시의 광량변화에 대한 구분을 나타낸 예시도.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hange in the amount of external light changes and the amount of light during a user call of the malfunction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동작 방지 방법에 대한 순서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lfunction preven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0: 제어부10: user interface 20: control unit

30: 무선회로부 40: 센서부30: wireless circuit portion 40: sensor portion

100: 휴대 단말기 200: 조도 센서100: portable terminal 200: illuminance sensor

300: 외부광300: external light

Claims (22)

터치입력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에 있어서,In the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touch input unit, 상기 터치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A user interface unit receiving a user's touch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주변 환경의 밝기나 광량을 측정하여 조도값을 생성하는 센서부;A sensor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n illuminance value by measuring brightness or amount of light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사용자의 수동입력에 따라 잠금을 해제 및 설정하는 홀드키; 및Hold key for releasing and setting the lock according to the user's manual input; And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작상황에서 상기 센서부가 제공하는 조도값을 근거로 현재 조도값과 기설정된 일정 조도값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입력의 잠금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홀드키에 의해서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제어부Based on the illuminance value provided by the sensor unit in the opera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put to the user interface unit is locked by comparing the present illuminance value with a predetermined constant illuminance value, and the lock is performed by the hold key. Control to release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of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센서부는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수광소자를 이용하여 주변의 광량을 측정하는 조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The sensor unit is a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lluminance senso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light in the surroundings by using a light receiving element including a photodiod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조도값이 상기 일정 조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잠금으로 설정하고, 상기 현재 조도값이 상기 일정 조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잠금 해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The controller sets the user input to the user interface unit as a lock when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and sets a user input to the user interface unit when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is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Device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tting to unlock.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일정 조도값은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와 휴대 단말기의 접촉에 따른 것으로 설정된 고정 또는 범위의 조도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And wherein the constant illuminance value is a fixed or range illuminance value set according to the contact of the user's body with the user's body to make a call using the portable terminal.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외부 신호를 수신하여 통화 수신을 상기 제어부에 알리는 무선회로부를 더 포함하며,It further comprises a wireless circuit unit for receiving an external signal to inform the control unit of the call reception, 상기 센서부는 평소에는 슬립모드로 대기하고, 상기 무선회로부를 통한 통화 발신이나 수신을 근거로 상기 제어부가 생성하는 출력 신호값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조도값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The sensor unit normally waits in a sleep mode and is activated according to an output signal value generated by the controller based on a call transmission or reception through the wireless circuit unit to measure the illuminance value. Device. 청구항 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상기 출력 신호값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가 제공하는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입력을 근거로 생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And the output signal value is generated based on an input for using a function provided by the controll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청구항 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여부 결정 이후 상기 제어부가 제공하는 기능이 로드된 상태가 아니며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출력 신호값이 없는 경우 상기 센서부를 슬립모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And the controller converts the sensor unit into a sleep mode when the function provided by the controller is not loaded after the lock is determined and there is no output signal value for a preset tim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여부에 대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와, 기설정된 시간동안에만 상기 잠금여부에 대한 기능을 사용하도록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여,The control unit provides a menu for setting a function for locking or not, and a menu for setting the function for locking for a predetermined time only through the user interface. 상기 메뉴를 통한 선택에 따라 상기 잠금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Device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lock according to the selection through the menu.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잠금으로 설정된 후 상기 홀드키 입력이 수신될때까지 통화모드인지를 판단하여 통화모드일 경우 상기 센서부로부터 주기적으로 상기 현재 조도값을 제공받아 상기 잠금여부에 대한 결정과정을 반복하며, 통화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센서부를 슬립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phone is in the call mode until the hold key input is received after the user interface is set to lock, and receives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periodically from the sensor unit in the call mode to determine whether to lock the lock. Repeatedly, the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switching the sensor unit to the sleep mode when not in the call mode.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키패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에 있어서,In the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touch screen or a touch keypad, 상기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키패드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A user interface configured to receive a user's touch through the touch screen or touch keypad; 주변 환경의 밝기나 광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조도값을 생성하는 센서부;A sensor unit configured to periodically measure the brightness or the amount of light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generate an illuminance value; 사용자의 수동입력에 따라 잠금을 해제 및 설정하는 홀드키; 및Hold key for releasing and setting the lock according to the user's manual input; And 상기 센서부가 측정하는 주기적인 조도값을 근거로 현재 조도값과 이전 조도값의 차이를 연산하여 생성된 조도값 차이를 기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입력의 잠금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홀드키에 의해서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제어부The difference of the illuminance value generated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and the previous illuminance value based on the periodic illuminance value measured by the sensor unit is compared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to lock the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Control to release the lock by hold key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of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청구항 10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상기 기준치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접촉에 따른 것으로 설정된 고정 또는 범위의 조도값 차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The reference value is a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 fixed or range illuminance value is set according to the contact of the user's body and the mobile terminal for the user to make a call using the mobile terminal. 청구항 10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값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입력을 잠금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And the control unit sets the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as a lock when the difference in illuminanc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청구항 10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값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현재 조도값을 기설정된 일정 조도값과 비교하여 상기 일정 조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입력을 잠금으로 설정하고, 상기 일정 조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입력을 잠금 해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When the difference in the illuminance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compares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with a predetermined constant illuminance value and sets the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as a lock if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illuminance value. When the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to prevent the mal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setting the lock. 청구항 13에 있어서,14.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일정 조도값은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를 가방이나 주머니에 수납한 경우에 따른 것으로 설정된 고정 또는 범위의 조도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is a fixed or range illuminance value set according to a case in which the user stores the portable terminal in a bag or a pocket. 청구항 10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상기 센서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하기 위해 사용자의 귀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접촉시 상기 조도값 차이가 가장 크게 변하는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The sensor unit is a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where the user's ear and the mobile terminal in contact with the user's ear in the mobile terminal to change the greatest difference in the position. 청구항 10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잠금으로 설정된 후 상기 홀드키 입력이 수신될때까지 상기 센서부로부터 주기적으로 상기 현재 조도값을 제공받아 상기 잠금여부에 대한 결정과정을 반복하며, 통화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센서부를 슬립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current illuminance value periodically from the sensor unit until the hold key input is received after the user interface unit is set to lock, and repeats the determination process on whether to lock the lock. A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unit is switched to a sleep mode. 조도의 변화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의 잠금 설정을 변경하는 오동작 방지 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에 있어서,In the malfunction preventing method of the malfunction preventing apparatus for changing the lock setting of the input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illuminance,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이나 휴대 단말기를 통한 통화 수신 또는 발신 신호에 따라 생성되는 출력 신호값을 감지하는 제 1단계;A first step of detecting an output signal value generated according to an input to the user interface or a call reception or transmission signal through a mobile terminal; 상기 출력 신호값에 따라 조도 센서를 활성화시키는 제 2단계;A second step of activating an illuminance sensor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value; 상기 조도 센서가 조도를 측정하여 조도값을 생성하는 제 3단계;A third step of generating an illuminance value by measuring the illuminance of the illuminance sensor; 상기 조도값 중 현재 조도값을 기설정된 일정 조도값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잠금여부를 결정하는 제 4단계; 및A fourth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lock the user interface by comparing a current illuminance value among the illuminance values with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And 상기 제 4단계를 통해 잠금으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의 홀드키 입력에 따라 상기 잠금을 해제하는 제 5단계A fifth step of releasing the lock according to a user's hold key input when the lock is set through the fourth step;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방법.Method of preventing malfunction of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청구항 1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7, 상기 일정 조도값은 상기 기준치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와 휴대 단말기의 접촉에 따른 것으로 설정된 고정 또는 범위의 조도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방법.And wherein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is a fixed or range illuminance value that is set according to the contact of the user's body with the user's body to make a call using the portable terminal. 청구항 1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7, 상기 제 3단계 이후 제 4단계 이전After step 3 and before step 4 상기 현재 조도값과 이전 조도값의 차이를 연산하여 조도값 차이를 생성하는 단계; 및Generating a difference in illuminance value by 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t illuminance value and a previous illuminance value; And 상기 조도값 차이를 기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상기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을 잠금으로 설정하고, 상기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 4단계를 거치도록 하는 단계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illuminance values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setting the input to the user interface as a lock when the reference valu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and performing the fourth step when the input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방법.Method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청구항 19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기준치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와 전자기기의 접촉에 따른 것으로 설정된 고정 또는 범위의 조도값 차이이며, 상기 일정 조도값은 상기 휴대 단말기가 가방이나 주머니에 수납될 경우에 따른 것으로 설정된 고정 또는 범위의 조도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방법.The reference value is a fixed or ranged illuminance value that is set according to a contact between the user's body and the electronic device for the user to make a call us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onstant illuminance value may be stored in the bag or pocket. A method of preventing malfunction of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fixed or range illuminance value set as the case. 청구항 1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7, 상기 제 5단계 이후 상기 출력 신호값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조도 센서를 슬립모드로 전환하는 제 6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방법.And a sixth step of switching the illuminance sensor to a sleep mode if the output signal value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fifth step. 청구항 1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7, 상기 제 5단계 이후 상기 홀드키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통화모드인지를 판단하여 통화모드인 경우 상기 홀드키 입력이 감지될때까지 제 2 내지 제 5 단계를 반복하며, 통화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조도 센서를 슬립모드로 전환하는 제 7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방법.If the hold key input is not detected after the fifth step,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all mode is in the call mode. In the case of the call mode, the second to fifth steps are repeated until the hold key input is detected. And a seventh step of switching to the sleep mode.
KR1020090099922A 2009-10-20 2009-10-20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a mobile terminal KR2011004301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922A KR20110043012A (en) 2009-10-20 2009-10-20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a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922A KR20110043012A (en) 2009-10-20 2009-10-20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a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012A true KR20110043012A (en) 2011-04-27

Family

ID=44048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922A KR20110043012A (en) 2009-10-20 2009-10-20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a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3012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6451A1 (en) * 2012-10-26 2014-05-01 Facebook, Inc. Contextual device locking/unlocking
KR101490509B1 (en) * 2013-09-12 2015-02-10 조인제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display of portable device, and portable device
WO2016015351A1 (en) * 2014-08-01 2016-02-04 Abb Technology Ltd Automation control device
US9400893B2 (en) 2011-12-15 2016-07-26 Facebook, Inc. Multi-user login for shared mobile devices
US9736265B2 (en) 2012-08-09 2017-08-15 Facebook, Inc. Handling notification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0893B2 (en) 2011-12-15 2016-07-26 Facebook, Inc. Multi-user login for shared mobile devices
US9736265B2 (en) 2012-08-09 2017-08-15 Facebook, Inc. Handling notifications
WO2014066451A1 (en) * 2012-10-26 2014-05-01 Facebook, Inc. Contextual device locking/unlocking
US8914875B2 (en) 2012-10-26 2014-12-16 Facebook, Inc. Contextual device locking/unlocking
KR101490509B1 (en) * 2013-09-12 2015-02-10 조인제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display of portable device, and portable device
WO2015037948A1 (en) * 2013-09-12 2015-03-19 Cho In Je Display controlling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display controll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WO2016015351A1 (en) * 2014-08-01 2016-02-04 Abb Technology Ltd Automation control device
CN106233411A (en) * 2014-08-01 2016-12-14 Abb瑞士股份有限公司 Automation control appliance
US10529507B2 (en) 2014-08-01 2020-01-07 Abb Schweiz Ag Automation control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96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a mobile terminal by using sensor
US20070099574A1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Operating According to Detection of Environmental Light
EP1303113B1 (en) Portable terminal
US9467552B2 (en) Mobile phone terminal
US201401105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sensing threshold of infrared proximity sensor
KR100776839B1 (en) Energy-saving circuit based on control of a display device of a terminal for mobile communication in dependence on the operating state
JP2009518919A (en) Electronic device having key lock during call and program thereof
KR2011004301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a mobile terminal
JP2011171894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power saving control method
US8509757B2 (en) Cell phone with automatic dialing lockout
CA2296987C (en) Adaptive paging signal in cordless telephone
KR2012000512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on according to movement in portable terminal
KR2012001110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on according to squeezing in portable terminal
JP2007288296A (en) Mobile terminal
WO2011049371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erroneous operation of portable terminal using sensor
JP6022950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EP2530915B1 (en) Method for locking mobile telephone keyboard and mobile telephone
KR100749437B1 (en) Key lockabl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terminal
KR10134929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key lock in portable terminal
KR100703209B1 (en) Cellular phone having bluetooth mouse function
KR100914663B1 (en) Videophone using the magnetic force
KR100649605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naging auto keylock setting and method for the same
JPH11168769A (en) Automatic call termination function selection type portable telephone set
KR100388973B1 (en) Control Device Displaying State of Electric Charge for Cordless Telephone System
KR101360210B1 (en) Portable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