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9352A - 하나 이상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 및 스케줄 제어기를 갖는 네트워크 서버 - Google Patents

하나 이상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 및 스케줄 제어기를 갖는 네트워크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9352A
KR20110039352A KR1020117003543A KR20117003543A KR20110039352A KR 20110039352 A KR20110039352 A KR 20110039352A KR 1020117003543 A KR1020117003543 A KR 1020117003543A KR 20117003543 A KR20117003543 A KR 20117003543A KR 20110039352 A KR20110039352 A KR 20110039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device
duty cycle
low duty
information
cycl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3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5796B1 (ko
Inventor
알레한드로 알 홀크만
바박 아리안
커크 앨런 버로우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39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예를 들어, 정보 또는 스케줄 제어기를 갖는, 또는 정보 또는 스케줄 제어기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네트워크가 제공된다.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가 저 전력 모드의 동작에 있을 때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송신을 위한 메시지를 저장하고 이 메시지를 스케줄링된 어웨이크 시간 동안 송신하는 능력을 네트워크 서버에 제공하기 위해, 정보 또는 스케줄 제어기에는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스케줄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하나 이상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 및 스케줄 제어기를 갖는 네트워크 서버{NETWORK SERVER HAVING AN INFORMATION AND SCHEDULING CONTROLLER TO SUPPORT ONE OR MORE LOW DUTY CYCLE WIRELESS DEVICES}
관련 출원
본 특허출원은, 발명이 명칭이 "NETWORK SERVER HAVING AN INFORMATION AND SCHEDULING CONTROLLER TO SUPPORT ONE OR MORE LOW DUTY CYCLE WIRELESS DEVICES" 로 2008 년 7 월 16 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 61/081,330 호에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는 그 전체가 본원에서 참조로서 통합된다.
공동 계류중인 특허출원에 대한 참조
본 특허출원은 다음의 공동 계류중인 미국 특허출원에 관련된다:
미국 특허출원 제 12/020,389 호에 의해 식별되고, 대리인 도켓번호 제 060011 호로, 2008 년 1 월 25 일자로 출원된,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며, 본원에서 참조로서 명백하게 통합된, 종 리 등에 의한 "LOW DUTY CYCLE DEVICE PROTOCOL"; 및
미국 특허출원 제 11/766,068 호에 의해 식별되고, 대리인 도켓번호 제 050968 호로, 2007 년 6 월 20 일자로 출원된,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며, 본원에서 참조로서 명백하게 통합된, 종 리 등에 의한 "LOW DUTY CYCLE NETWORK CONTROLLER".
배경
기술 분야
본 출원의 기술은 일반적으로 연장된 하이버네이션 또는 로우 듀티 사이클 (low duty cycle) 을 갖는 무선 디바이스 또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장된 하이버네이션 또는 로우 듀티 사이클을 갖는 무선 디바이스 또는 단말기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 또는 스케줄 제어기를 갖는 모바일 위치확인 (positioning) 센터 또는 네트워크 서버에 관한 것이다.
로케이션 및/또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액세스 및 이용하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또는 단말기의 능력이 아주 흔해지고 있다. 사실 몇몇 애플리케이션은 무선 디바이스 또는 단말기의 로케이션 또는 위치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북아프리카의 강화된 911 서비스의 채택은, 긴급 응답 콜 (call) (즉, 911 콜) 이 이루어질 때 PSAP (Public Safety Answering Point) 에 제공될 무선 디바이스의 위치 또는 로케이션을 필요로 한다.
멀리 위치한 몇몇 경우에서, 배터리 동작형 무선 디바이스 또는 단말기는 장비의 동작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이 정보를 더 중심에 위치한 정보 프로세싱 디바이스 또는 센터로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이들 디바이스의 장기 (long term)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많은 시간 동안 배터리 전력을 보존하고, 무선 디바이스가 실제로 기능할 필요가 있는 기간 동안에만 충분한 배터리 전력을 제공하도록 배터리 동작형 무선 디바이스를 "휴면 (sleep)" 또는 저 전력 동작 모드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선상 화물 컨테이너에 대한 무선 주파수 식별 유닛은 단지 한 시간에 한번, 하루에 한번 등 로케이션을 송신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다른 이용들은 상이한 동작적 필요성 및 시간 프레임을 가질 수도 있다.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상기의 참조된 공동 소유의 특허 출원은 다른 것들 중에서 로우 듀티 사이클 제어기 및 로우 듀티 사이클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로우 듀티 사이클 제어기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동작하는 로우 듀티 사이클 제어기와 하나 이상의 로우 듀티 사이클 디바이스들 간의 동기화를 유지한다. 동기화는 통신 네트워크의 타이밍 및 프로토콜로부터 분리되어 유지된다. 로우 듀티 사이클 디바이스는 신호의 송신, 수신, 및 프로세싱을 억제하는 연장된 하이버네이션 모드 (hibernation mode) 를 이용하여 동작한다.
로우 듀티 사이클 제어기 및 디바이스가 유용하지만, 많은 위치 및/또는 로케이션 기지국은 모바일 위치확인 센터 및 위치 결정 장비를 이용하여 디바이스의 실제 위치 또는 로케이션을 생성한다. 또한, 다른 네트워크 기반 서버들은 디바이스로부터의 메시지 및 송신을 전송 또는 수신하도록 요구받을 수도 있다. 현재, 모바일 위치확인 센터, 연관된 위치 결정 장비, 또는 다양한 다른 연관된 네트워크 서버 및 애플리케이션은 로우 듀티 사이클 디바이스와 효과적으로 통신하기 위한 능력을 현재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로우 듀티 사이클 디바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능력을 갖는 모바일 위치확인 센터, 다른 네트워트 서버 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된 본 출원의 기술의 실시형태는 정보 또는 스케줄 제어기를 갖거나 이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네트워크 서버를 제공함으로써 전술된 필요성을 어드레싱한다. 네트워크 서버는 네트워크 서버를 기지국에 커플링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커플링된 프로세서는 기지국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로 신호를 송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adapted). 정보 또는 스케줄 제어기는,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가 어웨이크될 때에 관한 정보를 프로세서에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네트워크 서버는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가 하이버네이션 모드로부터 어웨이크될 때 기지국을 경유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원에 개시된 본 출원의 기술의 다른 실시형태는 네트워크 서버에서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로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전술된 필요성을 어드레싱한다.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어웨이크 시간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서버는 어웨이크 시간 동안의 송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로 송신될 메시지를 저장한다.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는 스케줄링된 어웨이크 시간 동안 웨이크되고, 네트워크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에 대해 저장된 메시지를 송신한다.
본원에 개시된 본 출원의 기술의 다른 실시형태는, 컴퓨터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어웨이크 시간을 스케줄링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전술된 필요성을 어드레싱한다. 실행가능 코드는 또한, 컴퓨터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가 연장된 하이버네이션 모드를 가질 수도 있도록, 어웨이크 시간 동안의 송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메시지를 저장하고 스케줄링된 어웨이크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에 대해 저장된 메시지를 송신하게 한다.
본원에 개시된 본 출원의 기술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네트워크 서버를 기지국에 접속시키기 위한 수단 및 기지국을 통해 로우 듀이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로 신호를 송신하고 로우 듀이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네트워크 서버를 제공함으로써 전술된 필요성을 어드레싱한다. 네트워크 서버는 또한,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가 어웨이크되는 시간과 신호의 송신을 동기화하도록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송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여기서 네트워크 서버는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가 하이버네이션 모드로부터 어웨이크될 때 기지국을 경유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1 은 본 출원의 기술의 예시적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 기지국, 모바일 위치확인 센터, 및 위치 결정 장비를 상호접속시키는 무선 네트워크의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출원의 기술의 일 양태에 따른 콜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출원의 기술의 일 양태에서 무선 디바이스 및 모바일 위치확인 센터의 어웨이크 및 하이버네이션 모드의 스케줄링의 동기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출원의 기술에 관련되는 모바일 위치확인 센터의 일 부분을 나타내는 기능적 블록도이다.
본 출원의 기술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출원의 기술은 특히 로케이션 또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모바일, 무선 디바이스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개시물을 읽는 당업자는 본 기술이 다른 상이한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이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따라서, 본원에 설명된 예시의 실시형태들은 로케이션 또는 위치 기반 정보와 연관되지만, 본 개시물을 읽는 당업자는 로케이션 또는 위치 정보와 연관된 메시지가 예를 들어 흐름 정보, 온도 정보, 배터리 충전 등과 같은 비 로케이션 또는 위치 정보에 관한 메시지일 수도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또한, 로케이션 또는 위치 정보는, 예를 들어 사유 및 공용 네트워크, WLAN, WWAN, WiFi, WiMax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상이한 무선 네트워크들 상의 다수의 기술들을 이용하여 생성 또는 추정될 수도 있다. 통신 프로토콜은, 예를 들어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DMA) 네트워크 프로토콜, 모바일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 (GSM)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간 분할 다중 액세스 (TDMA) 네트워크 프로토콜,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SC-FDMA) 네트워크 프로토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로케이션 또는 위치 정보는 일반적으로 종래기술에 알려진 바와 같은 위성 기반 위치확인 시스템, 지상파 기반 위치확인 시스템, 또는 하이브리드 위치확인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위성 기반 위치확인 시스템 (SPS) 은 글로벌 위치확인 시스템 (GPS-본래 군대에 의해 개발되었을 때 NAVSTAR GPS 로 명명됨) 을 이용할 수도 있다. 물론, GPS 는 간단히 SPS 의 일 예이며, 다른 SPS 들, 예를 들어 다른 글로벌 네비게이션 위성 시스템 (GNSS), 갈릴레오 위치확인 시스템 (유럽), 글로나스 (러시아), 컴파스/바이도우 (Compass/Beidou) (중국), QZSS (일본), 이들의 조합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종래 기술의 몇몇 애플리케이션은 로케이션 기반 서비스를 지칭하고 종래 기술의 몇몇 애플리케이션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칭하기 때문에, 본원에서 로케이션 또는 위치에 대한 참조는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하고, 다른 구성들에 제공된다.
본 출원의 기술은 연장된 로우 듀티, 하이버네이션, 휴면 또는 저 전력 모드 또는 사이클을 갖는 무선 디바이스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 용어는 상호교환적으로 이용되고, 무선 디바이스의 비본질적 기능들이 배터리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차단되거나 파워 다운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일 예시의 실시형태에서, 하이버네이션 모드에 있는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된 신호를 송신, 수신 및/또는 프로세싱할 수 없을 수도 있다. 다른 예시의 실시형태에서, 저 전력 모드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미리스케줄링된 시간에서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단지 클록 또는 타이머에만 전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본 출원의 기술은 보다 낮은 전력 동작을 위한 하이버네이션 및 보다 높은 전력 동작을 위한 어웨이크에 대하여 설명된다. 고 전력 동작은 저 전력 모드의 정반대로서 제공되고, 신호의 송신, 수신, 및 프로세싱을 가능하게 하도록 충분히 디바이스를 파워업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기술은 또한 특정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용어 "예시적인" 은 본원에서 "예, 실례, 또는 예증으로서 기능하는" 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용된다. "예시적인" 으로서 본원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형태는 다른 실시형태들에 비해 바람직하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반드시 해석될 필요는 없다. 또한, 예시적인 것으로서 특별히 식별되지 않는다면, 설명된 임의의 실시형태는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먼저 도 1 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시스템 (100) 을 나타내는 간략화된 블록도가 제공된다. 시스템 (100) 은 무선 네트워크 (106) 를 통해 기지국 (104) 에 상호접속된 무선 디바이스 (102) 를 포함한다. 모바일 위치확인 센터 (MPC; 108) 는 기지국 (104) 에 접속되고, 위치 결정 장비 (PDE; 110) 는 모바일 위치확인 센터 (108) 에 접속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MPC (108) 에 관련되어 설명되었으나, MPC (108) 는 기지국 (104) 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 (102) 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무선 디바이스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네트워크일 수도 있고, MPC (108) 는 이러한 네트워크 서버의 하나의 공통 예일 뿐이다. 종종 사용자 장비 (UE) 등으로서 지칭되는 무선 디바이스 (102) 는, 예를 들어 셀룰러 전화기, 무선 주파수 식별 유닛,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핸드헬드 컴퓨터, 랩톱 컴퓨터, 또는 위치 또는 로케이션 기반 서비스를 구동하거나 서비스를 위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무선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무선 주파수 식별 유닛은 셀룰러 전화기, MP3 플레이어, 및 다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도 있다. 기지국 (104) 은, 예를 들어 편의성 및 단순화를 위해 도시되지 않은 시스템 (100) 의 다른 컴포넌트를 전통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다른 컴포넌트는 기지국 타워 (BST), 기지국 제어기 (BSC), 모바일 스위칭 센터 (MSC), 및 일반적으로 종래에 알려진 바와 같은 것을 포함한다. 정보 또는 스케줄링 lnposelstartcontrollerlnposel end (IC)(112) 가 도시된 바와 같이 MPC (108) 와 함께 위치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정보 또는 스케줄링 제어기 (112) 가 PDE (110) 와 함께 위치하거나 (분리형 정보 또는 스케줄링 제어기 (114) 에 의해 팬텀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MPC (108) 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별개의 애플리케이션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단지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 (102) 가 기지국 (104) 에 접속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시스템 (100) 은 복수의 기지국 등에 접속된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 것으로 당업자는 본 개시물을 통해 인지할 것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 (102) 는 SPS 와 연관된 위성들 (116) 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 위치 또는 로케이션을 추정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 (102) 는 그 로케이션에 관한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 (106) 의 업링크 부분을 통해 연관된 기지국 (104) 을 통해 MPC (108) 및 PDE (110) 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MPC (108) 및 PDE (110) 는 요청된 정보를 기지국 (104) 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 (106) 의 다운 링크를 통해 무선 디바이스 (102) 로 송신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이러한 다운링크 부분은 초기 시스템 포착을 위한 비콘 기능성을 제공하는 파일롯 채널, 시스템 포착에 필요한 시스템 파라미터를 반송하기 위한 동기화 채널, 오버헤드 메시지, 페이지, 셋업 메시지 및 순서를 반송하는데 이용된 페이징 채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운 링크 부분에서 무선 디바이스 (102) 로 송신된 정보는 또한,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 (102) 등을 제어 및/또는 구성하기 위한 커맨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다른 정보는 현재 보이는 위성들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이로부터 무선 디바이스 (102) 는 보이는 위성들의 로케이션에 관한 정보, 보정 팩터, 예상되는 도플러 시프트에 관한 정보, 종래 기술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 등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 (102) 는, 무선 디바이스 (102) 가 MPC (108), PDE (110) 및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연장된 하이버네이션 사이클을 가질 수도 있다.
시스템 (100) 의 다운링크 부분을 통한 MPC (108) 로부터의 송신은 무선 디바이스 (102) 에 대한 커맨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커맨드는 무선 디바이스 (102) 의 하이버네이션 및 어웨이크 스케줄을 변경하는 것에 관련된 커맨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이버네이션 및 어웨이크 스케줄을 변경하는 것은 하이버네이션 스케줄을 단축시키는 것, 하이버네이션 스케줄을 연장시키는 것, 또는 시작 및 종료 시간 등을 변경하는 것, 등등, 또는 이들의 몇몇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시의 실시형태에서, 하이버네이션 및 어웨이크 스케줄을 변경하기 위한 커맨드는, 예를 들어 배터리 충전 등에 관련될 수도 있다. 본 예시의 실시형태에서, 하이버네이션 스케줄은 미리결정된 임계값 미만의 배터리 충전으로 인해 연장될 수도 있고, 미리결정된 임계값 초과의 배터리 충전으로 인해 단축될 수도 있다. 다른 잠재적 예시의 실시형태는, 디바이스가 미리결정된 양의 시간 동안 정지되어 있기 때문에 하이버네이션 스케줄을 연장할 수도 있다. 다른 잠재적 예시의 실시형태는 모니터닝된 정보에서의 지각된 변화로 인해 하이버네이션 스케줄을 단축시킬 수도 있다. 하이버네이션 스케줄에서의 변화는 무선 디바이스 (102), MPC (108),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개시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 (102) 의 일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무선 디바이스 (102) 와 연관된 사용자 장비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술을 이용하는 디바이스에서 예를 들어 위성들 (116) 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의사거리 측정치를 획득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 (102) 및/또는 연관된 사용자 장비는 MPC (108) 및 PDE (110) 와 통신하여, 위성들 (116) 로부터 신호를 포착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 (102) 및/또는 연관된 사용자 장비를 보조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 (102) 및/또는 연관된 사용자 장비의 로케이션은 포착된 위성들 (116) 로부터 획득된 의사거리 측정치에 기초하여 추정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그 로케이션을 추정하기 위해서, 무선 디바이스 (102) 및/또는 연관된 사용자 장비는 무선 네트워크 (106) 및 기지국 (104) 을 통해 업링크를 통해 의사거리 측정치를 PDE (110) 또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로 송신할 수도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로케이션 요청을 위한 데이터 흐름의 예시적인 도면이 제공된다. 로케이션 요청에 대하여 설명되었으나, 당업자는 무선 디바이스 (102) 에 대한 다른 요청, 방송, 및 송신이 유사한 콜 흐름을 따를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은 로케이션 정보 대신에 하나의 다른 정보 요청을 대자면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온도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다. 먼저,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애플리케이션 (120) 은 이벤트 204 에서 종래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 (102) 에 대한 로케이션 요청 (LR; 202) 을 개시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LR 은 본원에서 정보 또는 데이터 요청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LR (202) 은 이벤트 208 에서 무선 디바이스 (102) 에 대한 위치 요청 콜 (206) 을 생성하는 MPC (108)/PDE (110) 에서 수신된다. 위치 요청 콜 (206) 은, 이하에서 추가로 설명될 MPC (108) 가 무선 디바이스 (102) 가 송신을 수신 또는 프로세싱할 수 없다고 결정하는 경우, 캐시, 버퍼, 영구 또는 임시 메모리와 같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 (102) 가 송신을 수신 및/또는 프로세싱할 수 있을 때, 이벤트 208 에서 위치 요청 콜 (206) 이 무선 디바이스 (102) 로 행해진다. 무선 디바이스 (102) 는 위치 요청 콜 (206) 을 수신하고, 이벤트 212 에서 로케이션 메시지 (210) 를 리턴한다. 로케이션 메시지 (210) 는 무선 디바이스 (102) 의 로케이션 (또는 로케이션의 근사치) 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로케이션 메시지 (210) 는 무선 디바이스 (102) 의 로케이션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벤트 214 에서 무선 디바이스 (102) 의 로케이션이 애플리케이션 (120) 에 제공된다.
로케이션 메시지 (210) 가 무선 디바이스 (102) 의 로케이션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면, 이벤트 216 에서 MPC (108) 는 PDE (110) 를 콜 할 수도 있고, 무선 디바이스 (102) 의 로케이션을 연산하기 위해 로케이션 메시지 및 요청을 송신할 수도 있다. PDE (110) 는 로케이션을 계산하고, 이벤트 218 에서 이 로케이션을 MPC (108) 로 리턴한다. 로케이션은 이벤트 214 에서 애플리케이션 (120) 으로 송신된다.
상기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 (102) 는 연장된 하이버네이션 주기 및 제한된 어웨이크 주기 또는 사이클을 갖는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하이버네이션 및 어웨이크 스케줄은 고정, 가변,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도 있다. 가변인 경우, 스케줄링 다음의 어웨이크 시간은 무선 디바이스 (102) 가 송신을 수신할 때 현재 어웨이크 시간 동안 구성 정보와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디바이스 (102) 가 어웨이크되는 동안, 디바이스는 종래의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CDMA 네트워크에서, 무선 디바이스 (102) 는 페이징 채널, 수신 메시지, 및 전송 메시지에 대한 리스닝 (listening) 과 같은 슬롯 모드 (slotted mode)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 (102) 는 시스템 (100) 의 업링크 부분을 이용하여 MPC (108) 로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무선 디바이스 (102) 는 시스템 (100) 의 다운링크 부분을 이용하여 MPC (108) 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연장된 하이버네이션 주기를 갖는 무선 디바이스 (102) 는 이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MPC (108) 와 통합된 IC (112)(또는 IC (114) 와 같은 MPC (108) 로부터 분리된 애플리케이션에 상주함) 와의 동기화에서 어웨이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 (102) 와 MPC (108)/IC (112) 간의 동기화는, 예를 들어 연속적인 웨이크 업 (wake up) 들 사이의 시간, 어웨이크 주기의 지속기간 등을 포함할 수도 있는, 하이버네이션 사이클을 송신 및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 (102) 또는 IC (112) 는 무선 디바이스 (102) 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하이버네이션 사이클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 (102) 의 배터리 전력이 하나 이상의 미리결정된 임계값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 하이버네이션 시간 (hibernation time) 은 대응하는 양으로 연장될 수도 있고, 이러한 양은 미리결정된 공식 등에 기초하여 미리결정되거나 계산될 수도 있다.
어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무선 디바이스 (102) 는, 무선 디바이스 (102) 가 MPC (108) 에 의해 지원된 영역에 있을 때 MPC (108) 의 IC (112) (또는 별개의 애플리케이션 (114)) 을 갖는 레지스터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어웨이크 주기 동안 무선 디바이스 (102) 는 기지국 (104) 으로부터의 신호를 포착하고, 예를 들어 CDMA 네트워크의 셀과 같은 셀을 조인하는 디바이스들을 등록하는데 이용된 것과 유사한 기술을 이용하여 MPC (108) 와 정보를 교환한다. 이러한 등록의 일 부분으로서, 무선 디바이스 (102) 는, 예를 들어 식별 정보, 무선 디바이스 (102) 의 특정 능력을 나타내는 정보, 하이버네이션 모드 스케줄을 지정하는 정보와 같은 속성들을 나타낼 수도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MPC (108) 는 이 정보를 이용하여 전달을 위해 펜딩중인 무선 디바이스 (102) 로 메시지를 트리거 (trigger) 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어 MPC (108) 는 모든 펜딩 메시지들 또는 요청들의 송신을 허용하도록 어웨이크 기간 또는 스케줄을 연장할 수도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MPC (108) 는, 무선 디바이스 (102) 가 스케줄링되지 않은 어웨이크 주기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무선 디바이스 (102) 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스케줄링되지 않은 어웨이크 주기 동안, MPC (108) 는 무선 디바이스 (102) 에 대한 펜딩 메시지 송신을 다운링크를 통해 무선 디바이스 (102) 로 송신할 수도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스케줄을 위한 일 예시적인 타이밍도 (300) 가 제공된다. 시간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 (102) 및 MPC (108)/IC (112) 동작이 디바이스들로부터 연장되는 라인들에 의해 표현된 시간을 이용하여 제공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로우 듀티 사이클 디바이스들 그룹은 MPC (108)/IC (112) 와 동기화될 수도 있다. 따라서, 송신을 안정되게 하기 위해서, 로우 듀티 사이클 디바이스는 시작 시간 (302) 에서 스케줄링된 가장 빠른 어웨이크 시간을 갖는다. 각각의 특정 무선 디바이스는 시작 시간 (302), 또는 일반적으로 해싱된 웨이크업 시간 (304) 으로서 지칭된 시작 시간 (302) 후의 소정 주기에서 어웨이크하도록 스케줄링된다. 시작 시간 (302) 과 해싱된 웨이크업 (304) 사이의 오프셋 (306) 후에 메시지 (308) 가 MPC (108) 로부터 무선 디바이스 (102) 로 방송되도록, 해싱된 웨이크업 (304) 은 무선 디바이스 (102) 및 MPC (108)/IC (112) 양자 모두에 알려진다. 시작 시간 (302) 과 종료 시간 (312) 사이에서 어웨이크되도록 스케줄링된 각각의 무선 디바이스 (102) 에 대해 상이할 수도 있는 오프셋 (306) 은 시작 (302) 과 종료 (312) 에 의해 정의된 간격에 걸쳐 각각의 디바이스의 실제 웨이크업을 실질적으로 균등하게 분배하도록 포뮬레이팅 (formulate) 될 수도 있다. 일 구현에서, 해싱된 웨이크업 시간 (304) 및 오프셋 (306) 은 무선 디바이스 (102) 에 의해 결정된다. 다른 구현에서, 해싱된 웨이크업 시간 (304) 및 오프셋 (306) 은 IC (112) 에 의해 결정된다. 또 다른 구현에서, 해싱된 웨이크업 시간 (304) 과 오프셋 (306) 은 무선 디바이스 (102) 및 IC (112) 의 조합에 의해 결정된다. 무선 디바이스 (102) 는 MPC (108) 에 메시지를 유사하게 방송할 수도 있다. MPC (108) 가 무선 디바이스 (102) 에 먼저 방송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몇몇 실시형태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MPC (108) 가 무선 디바이스 (102) 로 송신하기 이전에 MPC (108) 로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경우에서, MPC (108) 및 무선 디바이스 (102) 는 전이중 (full duplex) 네트워크에 걸쳐 실질적으로 동시에 송신할 수도 있다. 메시지들 (308 및 310) 은 전송될 메시지가 더 이상 없을 때까지 방송될 것이고, 이 때 무선 디바이스 (102) 는 하이버네이션 모드 (314) 로 진입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소정 시간 동안 임의의 추가의 메시지를 수신 또는 송신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하이버네이션 모드 (314) 로 이미 진입하지 않았다면, 종료 시간 (312) 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스케줄링된 하이버네이션 모드로 진입한다. 메시지 (308) 또는 메시지 (310) 는 특정 다른 메시지에 응답하여 또는 모든 메시지를 방송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허용하기 위해서 무선 디바이스 (102) 의 어웨이크 시간을 연장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이버네이션으로 진입하지 말라는 메시지는 또한 얼라이브 (alive) 메시지 또는 KA 메시지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3 은 연장된 하이버네이션 스케줄을 포함하는 송신에 대한 타이밍도의 일 예만을 도시하였으나, 다른 스케줄들도 가능하다. MPC (108) 는 결정 선택상 송신 선택 프로세스의 일부와 같은 하이버네이션 모드 주기 동안 무선 디바이스 (102) 로 전송될 메시지를 우선순위화할 수도 있다. 또한, 메시지들 중 어느 하나 (308 또는 310) 는, 메시지가 하나의 어웨이크 주기에서부터 다음 주기까지 메모리에서 유지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현재의 어웨이크 기간 동안 모든 펜딩 멤시지들의 송신을 허용하기 위해 어웨이크 기간을 연장하도록 연장 시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수신되고 있는 킵얼라이브 (keep alive) 메시지 (310) 또는 메시지 (308) 없이 하이버네이션 (314) 또는 종료 시간 (312) 에 도달할 때, 무선 디바이스 (102) 는 하이버네이션 모드 (316) 로 진입할 것이다. 하이버네이션 모드 (316) 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스케줄링된 어웨이크 주기까지 계속된다. 그러나, 몇몇 실시형태에서, 하이버네이션 모드 (316) 동안, 무선 디바이스 (102) 는 스케줄링되지 않은 어웨이크 신호 (318) 를 MPC (108)/IC (112) 로 송신할 수도 있다. 스케줄링되지 않은 어웨이크 신호 (318) 는, MPC (108) 로 하여금 임의의 펜딩 메시지 (308) 를 송신하게 할 수도 있고, 무선 디바이스가 임의의 펜딩 메시지 (310) 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다. 스케줄링되지 않은 어웨이크 신호 (318) 의 수신이 프로그래밍되어 활성화 또는 어웨이크되는 것과 연관된 특정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르게는, 무선 디바이스 (102) 및/또는 MPC (108) 는 스케줄링되지 않은 어웨이크 시간의 지속기간의 인디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해서 구성 컴포넌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이제 도 4 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기술에 관련된 MPC (108) 의 일 부분의 예시의 기능적 블록도가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MPC (108) 의 구성은 종래에 알려져 있으며, 실질적으로 본원에서 재설명되지 않는다. 일 예시의 실시형태에서, MPC (108) 는 프로세서 (402) 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402) 는 MPC (108) 의 컴퓨팅 기능성을 제어하여, MPC (108) 의 동작을 위해 필요할 수도 있는 많은 입력 및/또는 데이터를 프로세싱한다. 프로세서 (402) 는, 예를 들어 종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칩세트,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로직, 서버, 랩톱 또는 데스크톱과 같은 종래의 컴퓨터 등과 같은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일 수도 있다. MPC (108) 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404) 를 갖는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404) 는 MPC (108) 를 기지국 (104) 및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워크 (406) 에 커플링한다. 단일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404) 가 도시되었으나, MPC (108) 는 설계 선택의 문제 상 상이한 유형의 네트워크들에 접속하도록 여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도 있다. 기지국 (104), 음성/데이터 네트워크 (406) 와 MPC (108) 사이의 접속은 설계 선택의 문제 상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일 수도 있다. MPC (108) 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UI; 408) 를 포함할 수도 있다. Ul (408) 는, 예를 들어 비주얼 디스플레이, 키보드, 트랙볼, 마우스, 라이트 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마이크로폰, 스피커,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임의의 종래의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Ul (408) 는 무선 디바이스 (102) 와 연관된 듀티 사이클의 스케줄 및 구성에 대한 수동의 업데이트를 허용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402) 는 또한, 메모리 (410) 와 상호접속된다. 메모리 (410) 는 프로세서 (402) 에 의해 실행될 프로세싱 명령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 (410) 는 또한, IC (112) 와 연관된 로우 듀티 사이클 스케줄을 저장할 수도 있다. IC (112) 는 프로세서 (402), MPC (108) 안에 통합된 독립형 프로세서 (미도시),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404) 를 통해 액세스 가능한 (도 1 에서 팬텀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원격 애플리케이션 (114) 과 통합될 수도 있다. IC (112) 는 도 3 과 연관되어 설명된 바와 같이 스케줄을 액세스하여, MPC (108) 가 무선 디바이스 (102) 와 같은 하나 이상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로 메시지 (308) 를 송신하고, 하나 이상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로 메시지 (310) 를 수신할 수 있을 때를 위해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원에 설명된 방법론들은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각종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들 방법론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서, 프로세싱 유닛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 (DSPD),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FPGA),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자 디바이스,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서, 방법론들은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 (예를 들어, 절차, 기능 등) 로 구현될 수도 있다. 명령들을 유형적으로 구현하는 임의의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본원에 설명된 방법론들을 구현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가 메모리 내에 저장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 유닛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유닛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 유닛 외부에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메모리" 는 임의의 유형의 장기, 단기, 휘발성, 비휘발성, 또는 다른 메모리를 지칭하고, 임의의 특정 유형의 메모리 또는 메모리들 수, 또는 메모리에 저장되는 매체의 유형에 제한되지 않는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되는 경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의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될 수도 있다. 예들은 데이터 구조로 인코딩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인코딩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물리적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비제한의 예시의 방식에 의해,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스토리지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에 의해 엑세스될 수 있고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이용된 바와 같은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컴팩트 디스크 (CD),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고, 여기서 디스크 (disk) 는 보통 자기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하는 반면, 디스크 (disc) 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의 조합은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의 스토리지에 추가하여,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는 통신 장치에 포함된 송신 매체 상의 신호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명령들 및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들을 갖는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명령들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청구범위 내에 서술된 기능들을 구현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즉, 통신 장치는 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갖는 송신 매체를 포함한다. 제 1 시간에서 통신 장치에 포함된 송신 매체는 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의 제 1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는 한편, 제 2 시간에서 통신 장치에 포함된 송신 매체는 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의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개시된 실시형태의 상기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조 또는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들 실시형태들에 대한 각종 변형은 당업자에게 자명하고, 본원에 정의된 일반적 원리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형태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원에 도시된 실시형태들에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원에 개시된 원리 및 신규한 특성들에 부합하는 최광의 범위를 따르려는 것이다.

Claims (40)

  1. 네트워크 서버로서,
    기지국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커플링되고 상기 기지국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로 신호들을 송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상기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가 어웨이크 (awake) 되어 있는 때에 관한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정보 또는 스케줄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서버는 상기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가 하이버네이션 모드로부터 어웨이크될 때 상기 기지국을 경유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버는 모바일 위치확인 센터인, 네트워크 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또는 스케줄 제어기는 상기 프로세서와 통합되는, 네트워크 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또는 스케줄 제어기는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멀리 있는, 네트워크 서버.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로 송신된 상기 신호들은 로케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션 정보는 의사거리 측정치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서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션 정보는 위성 위치확인 시스템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서버.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위치확인 센터는 위치 결정 장비에 커플링되는, 네트워크 서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버는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로 정보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서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버는 모바일 통신 프로토콜용 글로벌 시스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로 정보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서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가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에 어웨이크 (awake) 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스케줄링되지 않은 신호들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네트워크 서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하이버네이션 및 어웨이크 스케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서버.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또는 스케줄 제어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어웨이크 모드의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결정하는, 네트워크 서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또는 스케줄 제어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어웨이크 모드가 상기 시작 시간으로부터의 오프셋에서 시작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오프셋을 결정하는, 네트워크 서버.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버는 펜딩 (pending) 메시지들을 송신하기 위해 상기 종료 시간 이상으로 상기 어웨이크 시간을 연장하는, 네트워크 서버.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또는 스케줄 제어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어웨이크 모드에 대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서버.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또는 스케줄 제어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어웨이크 모드가 상기 시작 시간으로부터의 오프셋에서 시작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오프셋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서버.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어웨이크 모드에 대한 상기 시작 시간 및 상기 종료 시간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는, 네트워크 서버.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정보는 배터리 충전에 관련되는, 네트워크 서버.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어웨이크 모드에 대한 상기 시작 시간 및 상기 종료 시간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는, 네트워크 서버.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정보는 배터리 충전에 관련되는, 네트워크 서버.
  22. 네트워크 서버에서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및 상기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로 메시지들을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어웨이크 (awake) 시간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상기 어웨이크 시간 동안의 송신을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메시지들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링된 어웨이크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를 웨이크시키는 (wake)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에 대해 저장된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세지들을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버는 모바일 위치확인 센터인, 메세지들을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어웨이크 시간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 및 모바일 위치확인 센터의 어웨이크 시간을 동기화하도록 정보 또는 스케줄 제어기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세지들을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세지들을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하이버네이션 시간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세지들을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의 상기 어웨이크 시간을 상기 스케줄링된 하이버네이션 시간 이상으로 연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세지들을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
  28.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스케줄링되지 않은 송신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세지들을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
  29.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의 정보 또는 스케줄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세지들을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의 상기 정보 또는 스케줄은 어웨이크 시작 시간, 오프셋, 또는 어웨이크 종료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세지들을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의 상기 정보 또는 스케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는, 메세지들을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정보는 배터리 충전에 관련되는, 메세지들을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
  3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가 송신들을 수신할 상기 어웨이크 시간으로부터의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세지들을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
  34.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상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는, 컴퓨터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어웨이크 (awake) 시간을 스케줄링하게 하고;
    상기 어웨이크 시간 동안의 송신을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메시지들을 저장하게 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가 연장된 하이버네이션 모드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스케줄링된 어웨이크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저장된 메시지들을 송신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상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 및 모바일 위치확인 센터의 어웨이크 (awake) 시간을 동기화하기 위한 실행가능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상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들을 수신하기 위한 실행가능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상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7.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의 어웨이크 주기를 연장하기 위한 실행가능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상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8.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들을 수신하기 위한 실행가능 코드는, 스케줄링되지 않은 어웨이크 시간들 동안 메시지들을 수신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상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9. 제 34 항에 있어서,
    어웨이크 시작 시간, 어웨이크 종료 시간, 및 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실행가능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상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40. 기지국에 모바일 위치확인 센터를 접속시키기 위한 수단;
    상기 기지국을 통해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가 어웨이크 (awake) 되어 있는 시간과 상기 신호들의 송신을 동기화하도록 상기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송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위치확인 센터는, 상기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가 하이버네이션 모드로부터 어웨이크될 때 상기 기지국을 경유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서버.
KR1020117003543A 2008-07-16 2009-07-16 하나 이상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 및 스케줄 제어기를 갖는 네트워크 서버 KR1011957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133008P 2008-07-16 2008-07-16
US61/081,330 2008-07-16
US12/463,208 US9185654B2 (en) 2008-07-16 2009-05-08 Network server having an information and scheduling controller to support one or more low duty cycle wireless devices
US12/463,208 2009-05-08
PCT/US2009/050874 WO2010009331A1 (en) 2008-07-16 2009-07-16 Network server having an information and scheduling controller to support one or more low duty cycle wireless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352A true KR20110039352A (ko) 2011-04-15
KR101195796B1 KR101195796B1 (ko) 2012-11-05

Family

ID=41530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3543A KR101195796B1 (ko) 2008-07-16 2009-07-16 하나 이상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 및 스케줄 제어기를 갖는 네트워크 서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185654B2 (ko)
EP (2) EP2327258B1 (ko)
JP (1) JP5296206B2 (ko)
KR (1) KR101195796B1 (ko)
CN (1) CN102084698B (ko)
ES (1) ES2727722T3 (ko)
HU (1) HUE042365T2 (ko)
TW (1) TW201012265A (ko)
WO (1) WO20100093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8884B2 (en) 2006-06-21 2011-09-13 Qualcomm Incorporated Low duty cycle network controller
US8700105B2 (en) * 2006-06-22 2014-04-15 Qualcomm Incorporated Low duty cycle device protocol
US9185654B2 (en) * 2008-07-16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server having an information and scheduling controller to support one or more low duty cycle wireless devices
US20100081458A1 (en) * 2008-10-01 2010-04-01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Terminal Motion Detection Methods and Systems
CN102202377B (zh) * 2010-03-26 2015-08-19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信息发送方法、系统及装置
US8862693B2 (en) 2011-03-11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Remote access and administration of device content and configuration using HTTP protocol
US8924556B2 (en) 2011-03-11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device having an assigned network address
US8799470B2 (en) 2011-03-11 2014-08-0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using a client-local proxy-server to access a device having an assigned network address
US8819233B2 (en) 2011-03-11 2014-08-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using a web proxy-server to access a device having an assigned network address
US9052898B2 (en) 2011-03-11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Remote access and administration of device content, with device power optimization, using HTTP protocol
TWI505081B (zh) * 2011-11-03 2015-10-21 Sget Corp Method and Method of Electric Energy Saving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US9066295B2 (en) 2011-12-16 2015-06-23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servation techniques for use in devices with selectable power modes
US8649755B2 (en) 2011-12-16 2014-02-11 Qualcomm Incorporated Timing circuit calibration in devices with selectable power modes
CA2902689C (en) * 2014-03-20 2017-12-05 Yoshikazu Naito Carbon dioxide ground leakage monitoring system
JP6561433B2 (ja) 2014-05-15 2019-08-21 ソニー株式会社 複数のハードウェアのエレメントを連係動作させることによって機能を実現させ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サーバ
JP7123036B2 (ja) 2016-08-16 2022-08-22 アイピーエルエ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Ueのアウェイク状態の維持
CN110031713A (zh) * 2019-05-14 2019-07-19 西安神电电器有限公司 一种避雷器在线监测装置及方法
WO2021126072A1 (en) * 2019-12-19 2021-06-24 Rutledge Omni Services Pte. Ltd. System, base station and wireless device for location tracking

Family Cites Families (10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00A (en) * 1870-02-22 Improved sun-bonnet for horses
US2038908A (en) 1933-09-29 1936-04-28 Scholl Joseph Rolling of rectangular bars
US6919803B2 (en) 2002-06-11 2005-07-19 Intelligent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Low power remote asset monitoring
JP2732584B2 (ja) 1988-05-12 1998-03-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信出力製方法および送信出力制御装置
US5276703A (en) 1992-01-13 1994-01-04 Windata, Inc.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s system
US5745860A (en) 1994-12-16 1998-04-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system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 mobile station within a radio telecommunications system
AU5848896A (en) 1995-05-23 1996-12-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delivery of short messag e service messages to sleeping mobile stations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US5767791A (en) 1995-11-13 1998-06-16 Vitalcom Low-power circuit and method for providing rapid frequency lock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7590083B2 (en) 1995-12-07 2009-09-15 Transcore Link Logistics Corp. Wireless packet data distributed communications system
US5748104A (en) 1996-07-11 1998-05-05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remote telemetry system
JPH1063979A (ja) 1996-08-21 1998-03-06 Aichi Tokei Denki Co Ltd 無線伝送装置
JPH1094053A (ja) 1996-09-17 1998-04-10 Fujitsu Ltd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待ち受け方法
US6160992A (en) 1996-10-31 2000-12-12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remote unit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60280140A9 (en) 1997-02-06 2006-12-14 Mahany Ronald L LOWER POWER WIRELESS BEACONING NETWORK SUPPORTING PROXIMAL FORMATION, SEPARATION AND REFORMATION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s), AS TERMINALS MOVE IN AND OUT RANGE OF ONE ANOTHER
JPH10290193A (ja) 1997-04-11 1998-10-27 Nissan Motor Co Ltd 車両情報通信装置
US6725068B2 (en) 1997-08-05 2004-04-20 Tokyo Digital Phone Co., Ltd. Digital wireless telephone system
JPH1175261A (ja) 1997-08-29 1999-03-16 N T T Electron Kk Phsコードレス電話情報転送方法
US6038491A (en) 1997-11-26 2000-03-14 Mars, Incorporated Monitoring and reporting system using cellular carriers
CA2433111C (en) 1998-03-09 2009-01-06 Broadcom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dissipation reduc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JPH11313370A (ja) 1998-04-28 1999-11-09 Toshiba Corp 移動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とそのデータ通信装置、基地局装置及び移動端末装置
US6154500A (en) 1998-05-20 2000-11-2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adding a second channel that overlaps a guard band used by a first channel
US6463307B1 (en) 1998-08-14 2002-10-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 in a mobile terminal with established connections
JP2000078305A (ja) 1998-08-28 2000-03-14 Tokyo Gas Co Ltd 通信システム
US6480476B1 (en) * 1998-10-15 2002-11-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Variable sleep mode for mobile stations in a mobile communications
US6490446B1 (en) 1999-04-09 2002-12-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ncoordinated frequency hopping cellular system
US6449491B1 (en) 1999-05-10 2002-09-10 Ericsson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ducting group calls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S6901066B1 (en) 1999-05-13 2005-05-3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Wireless control network with scheduled time slots
FI19992184A (fi) 1999-10-11 2001-04-12 Sonera Oyj Menetelmä paikkatiedon välittämiseksi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DE19958777B4 (de) 1999-12-07 2007-08-16 Robert Bosch Gmbh Mobiles Telekommunikationsendgerät
US6397053B1 (en) 1999-12-30 2002-05-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Kpenv)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with increased standby time i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7027425B1 (en) 2000-02-11 2006-04-11 Alereon, Inc. Impulse radio virtual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and method
AU2001239823A1 (en) 2000-02-23 2001-09-03 Steve C. Lampe Synchronized global positioning system solution
US6427120B1 (en) 2000-08-14 2002-07-30 Sirf Technology, Inc. Information transfer in a multi-mode global positioning system used with wireless networks
US6477361B1 (en) 2000-05-23 2002-11-05 Lucent Technologies Inc. Remote power-down control of wireless terminal
JP2001357483A (ja) 2000-06-12 2001-12-26 Omron Corp 無線装置および無線検針システム
US6687501B2 (en) 2000-10-10 2004-02-0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dynamically calibrating based station timing using location information
US6512927B2 (en) 2000-11-14 2003-01-28 Denso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 rescue of multiple connections in telecommunication systems
JP4716644B2 (ja) 2001-03-02 2011-07-06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を構成する装置
US6883037B2 (en) * 2001-03-21 2005-04-19 Microsoft Corporation Fast data decoder that operates with reduced output buffer bounds checking
CA2704041C (en) 2001-03-30 2013-09-03 M&Fc Holding, Llc Enhanced wireless packet data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wide area networks and local area networks
US7027796B1 (en) 2001-06-22 2006-04-11 Rfmd Wpa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fast locking power conserving synthesizer
RU2181229C1 (ru) 2001-10-04 2002-04-10 Оао "Персональные Коммуникации" Способ динамического перераспределения загрузки базовых станций сотовой сети связ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US7047051B2 (en) 2001-10-25 2006-05-16 Symbol Technologies, Inc. Method of and arrangement for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and data latency of an electro-optical reader in a wireless network
US7975016B2 (en) 2001-10-29 2011-07-05 Oracle America, Inc. Method to manage high availability equipments
US6993351B2 (en) 2001-12-07 2006-01-31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a quiescent mobile vehicle
KR20030062524A (ko) 2002-01-17 2003-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롯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 감소방법 및 장치
JP3901539B2 (ja) 2002-02-15 2007-04-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多重通信装置の起動方法
CN1199485C (zh) 2002-06-19 2005-04-27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通信系统中具有定位功能的直放站及其上报定位检测信息的方法
US6876636B2 (en) 2002-07-09 2005-04-05 Qualcomm Inc. Method and system for a multicast service initi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641128B1 (ko) 2002-07-12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원격 검침장치 및 제어방법
US9497168B2 (en) 2002-07-30 2016-11-15 Avay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s between a computing device within a network and an external computing device
US8301375B2 (en) 2002-08-15 2012-10-30 Csr Technology Inc. Interface for a GPS system
US20040038645A1 (en) 2002-08-20 2004-02-26 Jukka Rcunamaki Carrier sensing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CSMA/CA) scheme optimized for a priori known carrier usage for low duty cycle systems
US7191228B1 (en) 2002-09-30 2007-03-13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 Health checker for EMS CORBA notification listener
JP2004185459A (ja) 2002-12-05 2004-07-02 Furuno Electric Co Ltd 観測データ回収システムおよび観測データの回収方法
CA2514012C (en) 2003-01-23 2010-06-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establishing communica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fter a communication lo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7340615B2 (en) 2003-01-31 2008-03-04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in network interface modules
US7508781B2 (en) 2003-03-25 2009-03-2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ower saving mechanism for wireless LANs via schedule information vector
KR100665457B1 (ko) * 2003-04-30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슬립 모드 및 어웨이크 모드에서의 상태 천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7424740B2 (en) * 2003-05-05 2008-09-09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ctivating a computer system
US7412265B2 (en) 2003-06-12 2008-08-1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system for power-saving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7457973B2 (en) 2003-06-20 2008-11-2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prioritizing data transmission and transmitting scheduled wake-up times to network stations based on downlink transmission duration
US7466665B2 (en) 2003-06-25 2008-12-1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e discovery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US7430421B2 (en) 2003-09-01 2008-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sleep mode in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830164B1 (ko) 2003-09-04 2008-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슬립 모드와 어웨이크 모드간 천이 방법
US7319867B2 (en) 2003-09-15 2008-01-15 Atheros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ake on wireless systems
KR20050030755A (ko) 2003-09-26 2005-03-31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이동통신 망을 이용한 대인/대물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
JP4367090B2 (ja) 2003-10-31 2009-11-18 日本電気株式会社 観測結果通信端末および情報収集システム
KR100657507B1 (ko) 2003-12-16 2006-12-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전력절약모드 제어 방법 및장치
US7085595B2 (en) 2003-12-16 2006-08-01 Intel Corporation Power saving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7933620B2 (en) 2004-02-27 2011-04-26 Research In Motion Limited Transmit channel request messaging for half-duplex voice communications systems
EP2439990B1 (en) 2004-03-04 2021-0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al mode of a MAC layer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EP1724939A4 (en) 2004-04-02 2011-11-02 Panasonic Corp RECEIVER DEVICE
JP2005316855A (ja) 2004-04-30 2005-11-10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その起動方法およびその起動プログラム
JP2005328230A (ja) 2004-05-13 2005-11-24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センサノード、センサネットワーク及び監視サーバ
US7764981B2 (en) * 2004-07-30 2010-07-27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wireless connection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a mobile terminal
KR100885158B1 (ko) 2004-08-09 2009-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수면모드 단말의 주기적인레인징방법
US8180291B2 (en) 2004-09-30 2012-05-15 Intel Corporation Power-scavenging receiver to generate a signal to be used to control operational state
JP4735145B2 (ja) 2004-10-18 2011-07-27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142994A (ja) 2004-11-19 2006-06-08 Denso Corp 車両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電子制御装置
US7596152B2 (en) 2004-12-07 2009-09-29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low duty cycle hierarchical AD HOC networks
JP2006174328A (ja) 2004-12-20 2006-06-29 Hitachi Ltd 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端末同期方法
US20060248197A1 (en) 2005-04-27 2006-11-02 Evans Scott C Adaptive connectionless scheduling protocol
US7747258B2 (en) * 2005-02-04 2010-06-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osition determination with pre-session action
EP1849241B1 (en) 2005-02-16 2016-01-20 Qualcomm Incorporated Low duty cycle half-duplex mode operation with communication device
TW201006280A (en) 2005-03-11 2010-02-01 Interdigital Tech Corp Method and system for conserving battery power of mesh points in a mesh network
US8509859B2 (en) 2005-03-11 2013-08-13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 of sleep modes in a transceiver
JP4561986B2 (ja) 2005-03-14 2010-10-13 サクサ株式会社 無線端末機
JP2006270296A (ja) 2005-03-23 2006-10-05 Hitachi Ltd 移動端末および制御局
US7421251B2 (en) 2005-03-31 2008-09-02 Silicon Laboratories Inc. Precise frequency generation for low duty cycle transceivers using a single crystal oscillator
US8443083B2 (en) 2005-05-04 2013-05-14 Qualcomm Incorporated Arbitration of resources at a wireless device among contending applications
US7394782B2 (en) * 2005-07-14 2008-07-0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Reduced power time synchroniz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US7583984B2 (en) * 2005-08-12 2009-09-01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viding notification for battery power conservation in a wireless system
US8060119B2 (en) 2005-08-15 2011-11-15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wake-up period of roaming wireless terminals
JP2007067829A (ja) 2005-08-31 2007-03-15 Saxa Inc 電池駆動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20090207790A1 (en) 2005-10-27 2009-08-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tuneawaystatus in an open stat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717346B2 (en) 2005-12-13 2014-05-06 Nc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with a low duty cycle wireless device
US20070150599A1 (en) 2005-12-22 2007-06-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eneration of resource-usage profiles for application sessions of a number of client computing devices
EP1989864A1 (en) 2005-12-30 2008-11-12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addressing and signalling using sequences with predetermined correlation properties
US8094628B2 (en) * 2006-04-21 2012-01-10 Qualcomm Incorporated Half-duplex terminal operation in a full-duplex network
US7760676B2 (en) 2006-06-20 2010-07-20 Intel Corporation Adaptive DRX cycle length based on available battery power
US8018884B2 (en) * 2006-06-21 2011-09-13 Qualcomm Incorporated Low duty cycle network controller
US8700105B2 (en) 2006-06-22 2014-04-15 Qualcomm Incorporated Low duty cycle device protocol
US20080049700A1 (en) 2006-08-25 2008-02-28 Shah Rahul C Reduced power network association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CN1933672A (zh) 2006-10-30 2007-03-21 孟详粤 混合定位方法和混合定位终端
US9185654B2 (en) * 2008-07-16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server having an information and scheduling controller to support one or more low duty cycle wireless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27258B1 (en) 2015-09-30
WO2010009331A1 (en) 2010-01-21
ES2727722T3 (es) 2019-10-18
JP5296206B2 (ja) 2013-09-25
EP2327258A1 (en) 2011-06-01
EP2975887A1 (en) 2016-01-20
JP2011528544A (ja) 2011-11-17
TW201012265A (en) 2010-03-16
HUE042365T2 (hu) 2019-06-28
CN102084698B (zh) 2013-12-11
KR101195796B1 (ko) 2012-11-05
US20100015916A1 (en) 2010-01-21
CN102084698A (zh) 2011-06-01
EP2975887B1 (en) 2019-03-27
US9185654B2 (en) 201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796B1 (ko) 하나 이상의 로우 듀티 사이클 무선 디바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 및 스케줄 제어기를 갖는 네트워크 서버
KR101185758B1 (ko) 낮은 듀티 싸이클 디바이스 프로토콜
US7496060B2 (en) Extending battery life in communication devices having a plurality of receivers
US8160045B1 (en) Beacon miss prevention in power save modes using timing synchronization function
WO2015054122A1 (en) Global time synchronization server for wireless devices
US20180295581A1 (en) Power savings during positioning measurements
CN107959966B (zh) 降低定位类蜂窝物联网终端功耗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8289295B (zh) 一种蓝牙设备及其广播周期调节方法、计算机存储介质
KR20150111708A (ko) 이동체의 위치 확인 장치 및 방법
US20240107624A1 (en) Receipt of satellite assistance information at a user equipment configured for discontinuous operation
EP24135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