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7297A - 단말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말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7297A
KR20110037297A KR1020090094683A KR20090094683A KR20110037297A KR 20110037297 A KR20110037297 A KR 20110037297A KR 1020090094683 A KR1020090094683 A KR 1020090094683A KR 20090094683 A KR20090094683 A KR 20090094683A KR 20110037297 A KR20110037297 A KR 20110037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oggle
key
area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경재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4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7297A/ko
Priority to US12/894,687 priority patent/US20110080345A1/en
Publication of KR20110037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2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5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chord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서 문자 입력 시간 및 문자 입력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문자 입력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문자 입력 모드에서 토글모드를 활성화하는 과정과, 상기 토글모드 활성화 후 특정 키 영역의 입력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키 영역의 다수개의 문자들 중 상기 토글모드의 순번에 대응하는 특정 문자 입력을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휴대단말, 문자, 터치스크린, 토글모드, 토글영역, 토글 키, 멀티터치

Description

단말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ENTERING LETTERS IN A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에서 하나의 키에 할당된 다수개의 문자들 중 특정 문자 입력을 위한 반복적인 입력 동작 및 시간을 최소화할 수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휴대단말에서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맞추어 보다 다양한 사용자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및 그를 이용한 다양한 기능들이 제공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휴대단말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와 데이터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을 구비하는 휴대단말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이러한 휴대단말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능 외에도 다양한 기능들을 구비한다. 상기 다양한 기능들 중 메시지 송수신 기능은 시간, 장소 등에 구애받지 않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어 그 기능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증가하 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휴대단말의 경우 소형화 경량화 추세에 따라 문자 입력을 위한 키 배당이 한정적인 공간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휴대단말에서는 하나의 키에 다수개의 문자들을 배당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휴대단말 제조사별로 키에 배당되는 문자의 배열 방식에 차이를 가질 뿐, 대부분의 휴대단말에서는 하나의 키에 다수개의 문자들이 배당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시지 등의 문자 입력 시 하나의 키에서 첫 번째 순번을 제외한 다음 순번들 문자들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그 순번에 대응하는 만큼 동일한 키 영역을 반복해서 입력해야 함에 따라 문자 입력에 따른 소요 시간 및 입력 횟수가 증가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의 문자 입력에 대한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문자 입력 방법 및 그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에서 문자 입력 시 그의 입력 횟수를 줄여 사용자가 희망하는 내용을 간편하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문자 입력 방법 및 그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의 특정 키마다 할당된 다수개의 문자들에 대한 문자 입력 시 최상위 순번에서 최하위 순번의 문자들에 대한 반복적인 문자 입력 절차를 개선할 수 있는 문자 입력 방법 및 그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및 그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단말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및 그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에서 문자 입력 시 여러 번의 터치 입력을 하지 않고 간편하게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및 그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에서 문자를 입력할 때, 하나의 키 영역에 할당된 다수개의 문자들 간의 토글을 통해 문자들의 순번에 관계없이 문자의 입력을 간편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그의 시스템을 제공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문자 입력 모드에서 토글모드를 활성화하는 과정과; 상기 토글모드 활성화 후 특정 키 영역의 입력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키 영역의 다수개의 문자들 중 상기 토글모드의 순번에 대응하는 특정 문자 입력을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단말의 문자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문자의 입력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영역과; 다수개의 키 영역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키 영역들은 하나 또는 다수개의 문자들이 할당되며, 토글모드에 대응하는 문자 입력을 제공하는 입력영역과; 적어도 하나의 토글 키에 의한 토글모드를 제공하며, 상기 키 영역들의 다수개의 문자들 중 특정 순번의 문자에 대한 바로 입력 기능의 토글모드를 제공하는 토글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토글모드에서 상기 특정 키 영역에 연속적인 입력이 발생할 시 상기 특정 키 영역의 다수개의 문자들 중 상기 토글모드에 대응하는 순번의 상기 특정 문자를 상기 연속적인 입력의 입력 횟수에 대응하는 수만큼 입력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토글영역을 구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글 키의 수는 상기 입력영역의 키 영역들에 할당되는 문자들의 최대 수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토글영역 및 입력영역은 상기 표시영역과 함께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 상에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휴대단말의 입력부 상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단말에서 문자 입력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문자 입력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키에 할당된 특정 문자의 반복 입력 시 그의 입력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특정 문자의 반복 입력 시 반복적인 추가 키 입력 및 설정된 일정시간을 대기하는 절차를 생략함으로써 문자 입력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키에 할당된 하위 순번의 문자들을 입력할 시 최상위 순번부터 해당 순번까지 일일이 입력하지 않고, 토글 키에 의해 입력할 문자의 순번을 결정한 후 해당 순번의 문자를 바로 입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 횟수를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입력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최상위 순번부터 해당 순번의 문자 입력 시 해당 순번의 문자를 지나치는 것과 같은 입력 오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단말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단말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구성을 토글영역과 입력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토글영역과 입력영역을 이용하여 문자 입력 횟수, 문자 입력 소요 시간 및 문자 입력 오류를 줄일 수 있다.
특히, 휴대단말의 입력영역을 구성하는 각각의 키들에 할당되는 문자들은 다수개가 할당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각 키들에 할당된 다수개의 문자들 중 최상위 순번의 문자부터 최하위 순번의 문자들을 입력함에 있어서, 상기 토글영역을 이용하여 특정 순번의 문자를 바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토글영역과 입력영역을 활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토글모드와 상기 입력영역만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문자 입력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일반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토글모드와 입력모드의 조합에 따라 보다 간편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을 위한 시스템에 대하여 하기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문자 입력을 위한 시스템 및 그의 동작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휴대단말 구성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 1의 휴대단말들의 예시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을 구비하는 풀 터치스크린(full touchscreen) 타입의 휴대단말과, 키패드(keypad)를 구비하는 슬라이드(slide) 타입의 휴대단말 예시를 각각 나타낸 것이며, 이러한 휴대단말의 타입 및 각 키들에 대한 키 배열은 휴대단말의 제조사마다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참조부호 100은 휴대단말에서 터치스크린 타입의 표시부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100'는 터치스크린 타입, 액정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타입, 유기전계발광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타입 등의 표시부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170은 바 타입, 폴더 타입 및 슬라이드 타입 등의 휴대단말에 구비되는 입력부를 나타낸다.
그리고 참조부호 110은 상기 휴대단말에서 다양한 화면데이터 특히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문자의 입력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영역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130은 다양한 배열 방식에 따른 키 배열을 가지며 토글모드에 대응하는 문자 입력을 제공하는 입력영역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150은 상기 입력영역의 각 키들에 할당되는 다수개의 문자들 간의 토글 기능을 가지는 토글영역을 나타낸다. 상기 입력영역(130)은 다수개의 키 영역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키 영역들은 하나 이상의 문자가 할당될 수 있다. 상기 토글영역(150)은 적어도 하나의 토글 키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영역(130)의 각 키들에 할당되는 문자들의 최대 수에 따라 상기 토글 키의 수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에서는 상기 토글영역(150)에 의하여 상기 입력영역(130)의 키 영역들에 할당되는 다수개의 문자들 중 특정 순번의 문자에 대한 바로 입력 기능의 토글모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도 1에서는 상기 입력영역(130)과 토글영역(150) 배치가 상기 토글영역(150)이 상기 입력영역(130) 상단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상기 토글영역(150)이 상기 입력영역(130)의 하단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토글영역(150)이 상기 입력영역(130)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는 등 휴대단말 제조 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식은 상기 입력영역(130)을 이용하여 휴대단말에 제공되는 문자 입력 방식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일반모드와, 상기 입력영역(130) 및 상기 토글영역(150)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토글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일반모드는 특정 키 영역에 할당된 다수개의 문자들 중 희망하는 문자 입력을 위해 해당 문자가 상기 표시영역(110)에 나타날 때까지 반복해서 입력하는 방식일 수 있다. 상기 토글모드는 희망하는 문자가 할당된 특정 키 영역에서, 상기 문자가 위치하는 순번에 대응하는 토글 키 입력에 의해 해당 순번의 상기 문자를 바로 입력하는 방식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토글영역(150)과 입력영역(130) 간의 관계 및 그에 의한 문자 입력 절차에 대하여 하기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토글영역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동작 설명을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2에서는 토글영역(150)의 토글 키에 의한 토글모드 전환 및 상기 토글모드에 따라 변경되는 토글영역(150)과 입력영역(130)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참조부호 S201은 상기 휴대단말이 일반모드에 존재하는 상태의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토글영역(150)의 모든 토글 키들이 비활성화 상태이다. 즉, 상기 참조부호 S201은 어떠한 토글 키에도 입력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상기 입력영역(130)은 참조부호 2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키들에 할당된 다양한 문자들에 대한 입력이 가능하다. 이때, 특정 키에 할당된 하위 순번들의 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문자가 상기 표시영역(110)에 나타날 때가지 해당 키 영역을 반복해서 입력함으로써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자 "c"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a b c"가 할당된 해당 키 영역을 "a->b->c"와 같이 3회 입력함으로써 상기 문자 "c"를 상기 표시영역(110)에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참조부호 S203은 상기 휴대단말이 토글모드에 존재하는 상태의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 특히 토글영역(150)의 첫 번째 토글 키(151)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즉, 상기 참조부호 S203은 첫 번째 토글 키(151)에 사용자 입력이 발생된 경우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상기 입력영역(130)은 참조부호 2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키들에 할당된 다양한 문자들 중 첫 번째 순번(최상위 순번)에 위치하는 문자들이 활성화되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활성화되는 문자들에 대해서만 문자 입력을 처리하게 된다.
이때, 특정 키에 할당된 하위 순번의 문자들은 입력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참조부호 2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첫 번째 토글 키(151)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문자 "a b c"가 할당된 키 영역에서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문자 "a"만이 입력되며, 문자 "p q r s"가 할당된 키 영역에서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문자 "p"만이 입력되는 것과 같이 각 키의 할당된 문자들 중 첫 번째 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토글영역(150)의 첫 번째 토글 키(151)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문자 "a b c"가 할당된 키 영역을 3회 입력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토글 키(151)에 대응하여 상기 "a b c" 문자가 할당된 키 영역에서 첫 번째 순번의 문자 "a"에 대한 입력을 처리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총 4회의 빠른 입력을 통해 상기 표시영역(110)에는 3개의 문자 "aaa"가 나타날 수 있다.
이를 일반모드에서와 비교하면, 일반모드에서 3개의 문자 "a"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문자 "a b c"가 할당된 해당 키 영역을 최소 3회에서 최대 5회를 입력해야 한다. 상기 최소 3회 입력의 경우 첫 번째 문자 "a" 입력을 위해 상기 키 영역의 1회 입력을 통해 문자 "a"를 나타낸 후 일정시간 대기하여 상기 첫 번째 입력 문자 "a"가 입력 완료된 상태에서, 두 번째 문자 "a" 입력을 위해 상기 키 영역의 1회 입력을 통해 상기 두 번째 문자 "a"를 입력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경우 해당 문자의 입력 완료 시까지 일정시간 대기해야 하므로 문자 입력의 소요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최대 5회 입력의 경우 첫 번째 입력되는 문자 "a"를 나타낸 후 방향키 등을 이용하여 문자가 입력될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나타내는 커서의 위치를 이동함으로써 상기 첫 번째 입력 문자 "a"를 입력 완료한 후 두 번째 입력 문자 "a"의 입력 단계에서 1회의 입력을 통해 상기 두 번째 문자 "a"를 입력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경우 해당 문자의 입력 완료를 위한 추가 키 입력으로 인하여 문자 입력 횟수 증가 및 문자 입력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토글모드에 따른 토글 키에 의하여 희망하는 순번의 문자를 최소한의 입력으로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참조부호 S205는 상기 휴대단말이 토글모드에 존재하는 상태의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 특히 상기 토글영역(150)의 두 번째 토글 키(153)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즉, 상기 참조부호 S205는 두 번째 토글 키(153)에 사용자 입력이 발생된 경우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상기 입력영역(130)은 참조부호 2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키들에 할당된 다양한 문자들 중 두 번째 순번(차상위 순번)에 위치하는 문자들이 입력 완료되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입력 완료되는 문자들에 대해서만 문자 입력을 처리하게 된다.
이때, 특정 키에 할당된 첫 번째 순번의 문자들과 상기 차상위 순번의 문자보다 하위 순번의 문자들은 입력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참조부호 2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두 번째 토글 키(153)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문자 "a b c"가 할당된 키 영역에서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문자 "b"만이 입력되며, 문자 "p q r s"가 할당된 키 영역에서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문자 "q"만이 입력되는 것과 같이 각 키의 할당된 문자들 중 두 번째 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참조부호 2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입력영역(130)의 키 영역들 중 특정 문자가 할당된 키 영역들(131, 133)에 대해서는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토글모드에서도 항상 입력 가능하도록 하거나, 또는 다른 문자들의 입력 방식과 같이 해당 토글 키에 의한 토글모드 활성화 시에만 활성화 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토글영역(150)의 두 번째 토글 키(153)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문자 "a b c"가 할당된 키 영역을 3회 입력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토글 키(153)에 대응하여 상기 "a b c" 문자가 할당된 키 영역에서 두 번째 순번의 문자 "b"에 대한 입력을 처리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총 4회의 빠른 입력을 통해 상기 표시영역(110)에는 3개의 문자 "bbb"가 나타날 수 있다.
이를 일반모드에서와 비교하면, 일반모드에서 3개의 문자 "b"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문자 "a b c"가 할당된 해당 키 영역을 최소 6회에서 최대 8회를 입력해야 한다. 상기 최소 6회 입력의 경우 첫 번째 문자 "b" 입력을 위해 상기 키 영역의 2회 반복 입력을 통해 문자 "b"를 나타낸 후 일정시간 대기하여 상기 첫 번째 입력 문자 "b"가 입력 완료된 상태에서, 두 번째 문자 "b" 입력을 위해 상기 키 영역의 2회 반복 입력을 통해 상기 두 번째 문자 "b"를 입력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경우 해당 문자가 할당된 키 영역의 반복 입력 및 해당 문자의 입력 완료 시까지 일정시간 대기해야 하므로 문자 입력의 소요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최대 8회 입력의 경우 첫 번째 문자 "b"의 입력 단계에서 2회의 반복 입력을 통해 문자 "b"를 나타낸 후 방향키 등을 이용하여 커서의 위치를 이동함으로써 상기 첫 번째 입력 문자 "b"를 입력 완료한 후 두 번째 입력 문자 "b"의 입력 단계에서 2회의 반복 입력을 통해 상기 두 번째 문자 "b"를 입력하는 방식이다. 이 러한 경우 해당 문자가 할당된 키 영역의 반복 입력 및 해당 문자의 입력 완료를 위한 추가 키 입력으로 인하여 문자 입력 횟수 증가 및 문자 입력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토글모드에 따른 토글 키에 의하여 희망하는 순번의 문자를 최소한의 입력으로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참조부호 S201 내지 참조부호 S205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에 대응하여 참조부호 S207 및 참조부호 270에 따른 세 번째 토글 키(155)를 이용한 문자 입력과 참조부호 S209 및 참조부호 290에 따른 네 번째 토글 키(157)를 이용한 문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네 개의 토글 키들(151 내지 157)을 이용하는 경우를 예시로 나타내었으나, 토글 키의 수는 휴대단말에서 제공되는 입력영역(130)의 각 키들에 대한 문자들의 할당 및 배열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키들에서 최대 할당되는 문자의 수가 3개인 경우 상기 토글영역(150)의 토글 키 역시도 3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문자 입력 모드에서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토글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토글모드 활성화 후 특정 키 영역의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시 상기 입력 이벤트에 따른 상기 특정 키 영역의 다수개의 문자들 중 상기 토글모드의 순번에 대응하는 특정 문자 입력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면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단말에서 일반모드 및 토글모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 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에서 문자 입력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처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휴대단말은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문자 입력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301단계). 상기 문자 입력 모드는 문자메시지, 전자메일, 메모 등과 같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하여 문자 입력이 가능한 모든 형태의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문자 입력 모드 활성화 후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303단계).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시 상기 입력 이벤트가 토글 키 영역에 이루어지는 입력인지 여부를 판별한다(305단계).
다음으로 상기 305단계의 판별결과, 상기 토글 키 영역에 이루어지는 입력인 경우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입력 이벤트가 입력되는 해당 토글 키에 의한 토글모드를 전환한다(307단계). 여기서 상기 토글모드 전환은 일반모드에서 토글모드로의 전환이거나, 이전의 다른 토글 키에 의한 토글모드에서 상기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해당 토글 키에 의한 토글모드 전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307단계의 토글모드 전환 후 입력영역의 특정 키 영역에 입력 이벤트가 발생할 시 상기 휴대단말은 후술하는 311단계로 바로 진행하여 그에 따른 절차를 처리할 수 있 다.
다음으로 상기 305단계의 판별결과, 입력영역의 특정 키 영역에 이루어지는 입력인 경우 상기 휴대단말은 토글모드가 활성화 상태인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309단계).
만약, 상기 309단계의 체크결과, 토글모드가 활성화 상태일 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토글모드에 대응하는 토글 키를 판별한다(311단계).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입력 이벤트가 발생된 해당 키 영역을 체크한다(313단계).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토글모드의 해당 토글 키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이벤트가 발생된 키 영역의 문자를 입력 처리한다(315단계). 즉,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체크하는 키 영역에 할당된 문자들 중 상기 판별하는 토글 키에 대응하는 순번의 문자를 입력 처리하여 표시영역(110)에 나타낼 수 있다.
반면, 상기 309단계의 체크결과, 토글모드가 비활성화 상태일 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입력 이벤트가 발생된 키 영역을 체크한다(317단계).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해당 키 영역을 통해 이루어지는 상기 입력 이벤트의 입력 횟수를 체크할 수 있다(319단계).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입력 이벤트의 입력 횟수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이벤트가 발생된 키 영역의 문자를 입력 처리한다(321단계). 즉,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체크하는 키 영역에 할당된 문자들 중 상기 입력 이벤트의 입력 횟수에 대응하는 순번의 문자를 입력 처리하여 표시영역(110)에 나타낼 수 있다(321단계).
다음으로 도 4에서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문자 입력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문자 입력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문자 입력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4에서는 "ccczzz"라는 문자를 입력하는 동작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S401은 본 발명의 토글영역이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설정에 따라 상기 토글영역을 비활성화 상태로 숨김 처리하여 입력영역(430)만을 나타내거나, 또는 토글영역을 활성화 상태로 처리하여 입력영역(430)과 함께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글영역이 비활성화 상태일 시 표시영역(410)의 화면 크기가 확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표시영역(410)을 통해 입력될 문자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커서(49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S401과 같은 상태, 즉 일반모드에 의한 문자 입력 방식에 따라 상기 문자 "ccczzz"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일반모드에서 기존의 입력 방식에 따라 상기 문자 "ccczzz"를 입력할 경우 사용자는 적어도 21번의 입력 횟수를 통해 "ccczzz"라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의 문자 "c" 입력을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문자 "c"가 할당된 "a b c" 키 영역에서 "a->b->c"와 같이 3회의 입력을 통해 문자 "c"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문자 "c" 입력 절차를 3번 반복, 즉 총 9회의 입력을 통해 문자 "ccc"의 입력 을 완성할 수 있다. 그리고 문자 "z" 입력을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문자 "z"가 할당된 "w x y z" 키 영역에서 "w->x->y->z"과 같이 4회의 입력을 통해 문자 "z"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문자 "z" 입력 절차를 3번 반복, 즉 총 12회의 입력을 통해 문자 "zzz"의 입력을 완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문자 "ccczzz"를 완성하기 위해서 상기 문자 "ccc"의 9회와 상기 문자 "zzz"의 12회와 같이 총 21회의 입력 횟수에 의해 상기 문자 "ccczzz"를 입력 완성할 수 있다.
다시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S403은 상기 참조부호 S401과 같이 토글영역의 비활성화 상태에서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토글영역(450)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즉, 사용자는 설정된 특정 입력에 의하여 상기 토글영역(450)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토글영역(450)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문자 "ccczzz" 중 문자 "c"가 해당 키 영역에서 가지는 순번(세 번째 순번)에 따라 상기 토글영역(450)에서 세 번째 토글 키(455)의 활성화를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가 상기 참조부호 S403에 나타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세 번째 토글 키(455)의 활성화 요청에 응답하여 참조부호 S4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토글 키(455)의 영역을 활성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 4에서 상기 토글 키(455)의 활성화 요청은 터치, 탭, 더블 탭 등과 같이 터치스크린을 활용하는 설정된 입력 방식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휴대단말이 전술한 도 1의 예시와 같은 입력부를 가지는 경우 토글 키(455)의 활성화 요청은 해당 키 영역에 발생하는 입력에 의하여 활성화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토글 키(455)에 설정된 입력(예컨대, 해당 토글 키의 활성화를 위한 입력 방식에 대응하는 입력)이 이루어질 시 상기 활성화하는 토글 키(455)를 다시 비활성화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S405와 같은 상태(세 번째 토글 키(455)에 의한 토글모드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문자 "ccczzz" 중 첫 번째 문자 "c"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참조부호 S405에서와 같이 문자 "c"가 할당된 "a b c" 키 영역(431)에 1회의 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키 영역(431)에 발생하는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시 상기 키 영역(431)에 할당된 문자들(a, b, c) 중 상기 토글 키(455)에 대응하는 순번(세 번째 순번)의 문자 "c"를 입력 처리하여 상기 참조부호 S4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자 "c"를 상기 표시영역(410)에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커서(490)는 상기 문자 입력에 대응하여 다음 위치로 쉬프트 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커서(490)는 입력되는 문자들의 수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쉬프트 되어 제공 될 수 있으며, 또한 설정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S405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문자 "ccczzz" 중 두 번째 문자 "c"의 입력을 위하여 참조부호 S40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문자 "c"가 할당된 상기 키 영역(431)에 1회의 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키 영역(431)에 발생하는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시 상기 키 영역(431)에 할당된 문자들(a, b, c) 중 상기 토글 키(455)에 대응하는 순번(세 번째 순번)의 문자 "c"를 입력 처리하여 상기 참조부호 S40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자 "cc"를 상기 표시영역(410)에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S405 및 참조부호 S407과 같은 절차에 따라 상기 문자 "ccczzz" 중 세 번째 문자 "c"에 대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은 참조부호 S40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표시영역(410)에 상기 세 번째 문자 "c"를 포함하여 문자 "ccc"를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S409와 같이 상기 문자 "ccc"에 대한 입력을 완료하고, 이어서 문자 "z"의 입력을 위해 상기 문자 "z"가 해당 키 영역에서 가지는 순번(네 번째 순번)에 따라 상기 토글영역(450)에서 네 번째 토글 키(457)의 활성화를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가 참조부호 S411에 나타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네 번째 토글 키(457)의 활성화 요청에 응답하여 참조부호 S4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세 번째 토글 키(455)의 활성화 상태를 상기 네 번째 토글 키(457)의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S413과 같은 상태에(네 번째 토글 키(457)에 의한 토글모드 활성화 상태)서 상기 문자 "ccczzz" 중 네 번째 문자 "z"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참조부호 S413에서와 같이 문자 "z"가 할당된 "w x y z" 키 영역(433)에 1회의 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키 영역(433)에 발생하는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시 상기 키 영역(433)에 할당된 문자들(w, x, y, z) 중 상기 토글 키(457)에 대응하는 순번(네 번째 순번)의 문자 "z"를 입력 처리하여 상기 참조부호 S4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자 "cccz"를 상기 표시영역(410)에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S413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문자 "ccczzz" 중 다섯 번째 문자 "z"의 입력을 위하여 참조부호 S4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문자 "z"가 할당된 상기 키 영역(433)에 1회의 입력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키 영역(433)에 발생하는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시 상기 키 영역(433)에 할당된 문자들(w, x, y, z) 중 상기 토글 키(455)에 대응하는 순번(네 번째 순번)의 문자 "z"를 입력 처리하여 상기 참조부호 S4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자 "ccczz"를 상기 표시영역(410)에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S413 및 참조부호 S415와 같은 절차에 따라 상기 문자 "ccczzz" 중 여섯 번째 문자 "z"에 대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은 참조부호 S4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표시영역(410)에 상기 여섯 번째 문자 "z"를 포함하여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표시영역(410)에는 상기 참조부호 S4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자 "ccczzz"가 표시되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도 4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문자 "ccczzz"를 입력할 경우 사용자는 총 8번의 입력 횟수를 통해 "ccczzz"라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최초의 문자 "c" 입력을 위해서 상기 문자 "c"가 가지는 순번(세 번째 순번)에 대응하는 토글 키(455)에 의한 토글모드를 활성화 하고, 상기 문자 "c"가 할당된 "a b c" 키 영역(431)에서 연속된 3회의 입력을 통해 문자 "ccc"를 완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문자 "z" 입력을 위해서 상기 문자 "z"가 가지는 순번(네 번째 순번)에 대응하는 토글 키(457)에 의한 토글모드를 활성화 하고, 상기 문자 "z"가 할당된 "w x y z" 키 영역(433)에서 연속된 3회의 입력을 통해 문자 "zzz"를 완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총 8회의 입력 횟수에 의해 상기 문자 "ccczzz"를 입력 완성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21번의 입력에 비해 13회의 입력 횟수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동일한 순번을 가지는 문자들의 입력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도 1 내지 도 4에서는 토글모드 전환 요청 또는 토글모드 비활성화 요청 전까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특정 토글 키에 의한 토글모드가 계속하여 활성화 상태에 존재하는 것을 대표적인 예시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멀티터치(multi touch)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희망하는 토글 키에 제1터치를 발생함으로써 토글모드를 활성화 하고, 상기 토글 키에 제1터치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입력영역의 특정 키 영역에 제2터치를 발생함으로써 희망하는 문자를 하나 이상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제2터치가 발생하는 키 영역의 문자들 중 상기 제1터치가 유지되는 토글 키에 대응하는 순번의 해당 문자를 상기 제2터치의 입력 횟수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영역에 하나 이상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희망하는 순번의 문자 입력을 완료하면 상기 제1터치를 해제함으로써 토글모드를 비활성화 할 수 있으며, 이후 일반모드에서 문자 입력을 처리하거나, 다른 토글 키에 의한 토글모드 전환 후 문자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가 하기 도 5에 나타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문자 입력 방법의 다른 예시 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5에서는 멀티터치 입력 방식에 의해 "ccppzz"라는 문자를 입력하는 동작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S501에서 사용자는 상기 문자 "ccppzz" 중 문자 "c"가 해당 키 영역에서 가지는 순번(세 번째 순번)에 따라 상기 토글영역(550)에서 세 번째 토글 키(555)의 활성화를 위한 제1터치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세 번째 토글 키(555)의 활성화 요청, 즉 상기 제1터치에 응답하여 상기 토글 키(555)에 의한 토글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표시영역(510)을 통해 입력될 문자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커서(590)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S501과 같은 상태(세 번째 토글 키(555)에 의한 토글모드 활성화 상태, 즉 상기 토글 키(555)의 상기 제1터치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문자 "ccppzz" 중 첫 번째 문자 "c"의 입력을 위하여 참조부호 S5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문자 "c"가 할당된 "a b c" 키 영역(531)에 1회의 제2터치를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제1터치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2터치의 발생을 감지할 시 상기 키 영역(531)에 할당된 문자들(w, x, y, z) 중 상기 제1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상기 토글 키(555)에 대응하는 순번(세 번째 순번)의 문자 "c"를 입력 처리하여 상기 참조부호 S5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자 "c"를 상기 표시영역(510)에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서(590)는 상기 문자 입력에 대응하여 다음 위치로 쉬프트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커서(590)는 입력되는 문자들의 수에 대응하여 순차적 으로 쉬프트 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설정 방식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S503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문자 "ccppzz" 중 두 번째 문자 "c"의 입력을 위하여 참조부호 S5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토글 키(555)의 상기 제1터치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키 영역(531)에 1회의 새로운 제2터치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제1터치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새로운 제2터치의 발생을 감지할 시 상기 키 영역(531)에 할당된 문자들(w, x, y, z) 중 상기 제1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상기 토글 키(555)에 대응하는 순번(세 번째 순번)의 문자 "c"를 입력 처리하여 상기 참조부호 S5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자 "cc"를 상기 표시영역(510)에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S505와 같은 상태에서 다음 문자 입력, 즉 상기 문자 "ccppzz" 중 세 번째 문자 "p"의 입력을 위해 전술한 입력 동작을 초기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터치 및 새로운 제2터치를 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가 참조부호 S507에 나타나 있다. 상기 참조부호 S50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토글영역(550)에 발생되는 제1터치가 해제될 시 토글모드 역시 비활성화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S507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문자 "ccppzz" 중 세 번째 문자 "p"의 입력을 위하여 참조부호 S50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문자 "p"가 할당된 "p q r s" 키 영역(533)에 1회의 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입력을 감지할 시 상기 키 영역(533)에 할당된 문자들(w, x, y, z) 중 상기 1회의 입력에 대응하는 순번(첫 번째 순번)의 문자 "p"를 입력 처리하여 상기 참조부호 S50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자 "ccp"를 상기 표시영역(510)에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S509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문자 "ccppzz" 중 네 번째 문자 "p"의 입력을 위하여 전술한 참조부호 S507과 같은 입력 절차에 의하여 문자 "p"를 추가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문자 "p"를 입력 처리하여 상기 표시영역(510)에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예시가 참조부호 S511에 나타나 있다. 상기 표시영역(510)에는 상기 참조부호 S5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자 "ccpp"가 표시되어 나타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참조부호 S509 및 참조부호 S511에서는 일반모드에서의 입력 방식에 대응하여 문자 "p"를 입력하는 동작을 예시로 나타내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빠른 연속적인 입력을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토글영역(550)에서 첫 번째 순번의 문자 입력을 위한 토글 키에 제1터치 입력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키 영역(533)을 연속하여 2회 입력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토글 키에 의한 토글모드 활성화에 따라 상기 연속 입력을 문자 입력을 위한 각각의 입력으로 처리하고, 그에 따라 문자 "pp"와 같은 문자 입력을 처리하게 된다. 이러한 입력 방식의 예시는 전술한 참조부호 S501 내지 참조부호 S507의 입력 방식에 대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문자 "ccpp"의 입력을 완료한 후 상기 문자 "ccppzz" 중 다섯 번째 문자 "z"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z"가 해당 키 영역에서 가지는 순번(네 번째 순번)에 따라 상기 토글영역(550)에서 네 번째 토글 키(557)의 활성화를 위한 제1터치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가 참조부호 S513에 나타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네 번째 토글 키(557)의 활성화 요청, 즉 상기 제1터치에 응답하여 상기 토글 키(557)에 의한 토글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S513과 같은 상태(세 번째 토글 키(555)에 의한 토글모드 활성화 상태, 즉 상기 토글 키(555)의 상기 제1터치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문자 "ccppzz" 중 다섯 번째 문자 "z"의 입력을 위하여 참조부호 S5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문자 "z"가 할당된 "w x y z" 키 영역(535)에 1회의 제2터치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제1터치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2터치의 발생을 감지할 시 상기 키 영역(535)에 할당된 문자들(w, x, y, z) 중 상기 제1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상기 토글 키(557)에 대응하는 순번(네 번째 순번)의 문자 "z"를 입력 처리하여 상기 참조부호 S5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자 "ccppz"를 상기 표시영역(510)에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S515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문자 "ccppzz" 중 여섯 번째 문자 "z"의 입력을 위하여 참조부호 S5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토글 키(557)의 상기 제1터치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키 영역(535)에 1회의 새로운 제2터치를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제1터치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새로운 제2터치의 발생을 감지할 시 상기 키 영역(535)에 할당된 문자들(w, x, y, z) 중 상기 제1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상기 토글 키(557)에 대응하는 순번(네 번째 순번)의 문자 "z"를 입력 처리하여 상기 참조부호 S517에 나타낸 바 와 같이 문자 "ccppzz"를 상기 표시영역(510)에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문자 "ccppzz"를 일반모드에서 입력하는 경우 문자 "c"가 할당된 키 영역에서 "a->b->c"와 같이 해당 키 영역에서 3회의 입력을 통해 문자 "c"를 생성하고, 다시 상기한 절차에 따라 3회의 추가 입력을 통해 문자 "cc"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문자 "p"가 할당된 키 영역에서 "p"와 같이 해당 키 영역에서 1회의 입력을 통해 문자 "p"를 생성하고, 다시 상기한 절차에 따라 1회의 추가 입력을 통해 문자 "zz"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문자 "z"가 할당된 키 영역에서 "w->x->y->z"와 같이 해당 키 영역에서 4회의 입력을 통해 문자 "z"를 생성하고, 다시 상기한 절차에 따라 4회의 추가 입력을 통해 문자 "zz"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모드에 의한 입력 방식에 따라 상기 문자 "ccppzz"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 횟수는 문자 "cc"의 6회, 문자 "pp"의 2회, 문자 "zz"의 8회와 같이 최소 16회의 입력을 통해 완성할 수 있다. 이때, 해당 문자의 입력 완성을 위한 방향키 등에 의한 커서 이동 입력이 발생할 경우 상기의 문자 입력 횟수는 더욱 증가한다. 또한, 입력 횟수를 줄이기 위해 설정된 일정시간 대기에 의한 문자 입력 완성 시 문자 입력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반면, 상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멀티터치 입력 방식에 의해 문자 "ccppzz"를 입력하는 경우 문자 "c"가 할당된 키 영역에서 상기 문자 "c"가 위치하는 순번의 토글 키에 대한 제1터치를 1회 입력한 상태에서, 상기 문자 "c"가 할당된 키 영역에 2회의 연속된 제2터치 입력을 통해 문자 "cc"를 빠르게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문자 "p"가 할당된 키 영역에서 상기 문자 "p"가 위치하는 순번의 토글 키에 대한 제1터치를 1회 입력한 상태에서, 상기 문자 "p"가 할당된 키 영역에 2회의 연속된 제2터치의 입력을 통해 문자 "pp"를 빠르게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문자 "z"가 할당된 키 영역에서 상기 문자 "z"가 위치하는 순번의 토글 키에 대한 제1터치를 1회 입력한 상태에서, 상기 문자 "z"가 할당된 키 영역에 2회의 연속된 제2터치의 입력을 통해 문자 "z"를 빠르게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문자 "ccppzz"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 횟수는 문자 "cc"의 3회, 문자 "pp"의 3회, 문자 "zz"의 3회와 같이 총 9회의 입력을 통해 완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문자 "pp"의 경우 토글 키를 이용한 입력을 생략할 시 총 8회의 입력을 통해 완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문자 입력 횟수를 줄이거나, 또는 문자 입력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의 구성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입력부(610)와, 오디오처리부(620)와, 표시부(630)와, 저장부(640) 및 제어부(650)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처리부(620)는 스피커(SPK, Speaker) 및 마이크(MIC, Microphone)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이하, 상기 휴대단말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입력부(610)는 다양한 숫자 및 문자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 신호와, 상기 휴대단말의 각 기능들의 설정 및 각 기능들의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부(65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610)는 상기 휴대단말의 입력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610)는 상기 휴대단말의 제공 형태에 따라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일반적인 키 배열의 키패드 및 쿼티 방식의 키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입력부(610)는 토글모드 실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토글 키를 포함하는 토글영역과 다양한 배열 방식에 따른 키 배열을 가지며 토글모드에 대응하는 문자 입력을 제공하는 입력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이 풀 터치스크린 타입으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입력부(610)는 상기 휴대단말의 구성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620)는 상기 휴대단말의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SPK)와, 사용자의 음성 등의 오디오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620)는 상기 마이크(MIC) 및 상기 스피커(SPK)와 접속되며,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제어부(650)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65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즉, 상기 오디오처리부(620)는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거나, 상기 제어부(650) 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처리부(620)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신호(예컨대, 토글모드 전환을 알람하기 위한 오디오신호 등)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토글모드 전환을 알람하는 것과 같은 오디오신호 출력은 사용자 설정 또는 설계 의도에 따라 생략되거나, 설정된 특정 진동 패턴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630)는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수행에 따라 활성화되는 화면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630)는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통화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630)는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 및 동작에 관련된 각종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표시부(150)로는 액정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나 유기전계발광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630)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표시부(630)는 입력과 출력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표시부(630)가 상기 터치스크린 타입으로 제공될 시 상기 표시부(630)는 표시영역, 토글영역, 입력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토글영역과 입력영역에 의해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630)는 본 발명의 토글모드가 활성화될 시, 이를 알람하기 위한 아이콘이나 이미지 등을 화면 일 측에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640)는 ROM(Read Only Memory)과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640)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생성 및 활용되는 다 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는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예컨대, 메시지 데이터, 폰북 데이터 등), 상기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외부(예컨대, 기지국, 상대방 휴대단말, 개인용 컴퓨터 등)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가능한 모든 형태의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640)는 상기 휴대단말 이용에 따른 여러 설정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640)는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저장부(640)는 문자 입력 모드 운용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들에 대하여 지정된 크기만큼 버퍼링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640)는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에 구성되거나 스마트카드(Smart card) 등과 같이 외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저장부(640)는 내부/외부의 모든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저장부(640)는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RAM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저장부(640)는 롬, 램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각각 구성되거나 통합된 하나의 메모리 또는 두 개의 메모리 예를 들면, MCP(Multi Chip Package)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50)는 상기 휴대단말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휴대단말 내의 상기 각 구성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650)는 상기 입력부(610)와, 상기 오디오처리부(620)와, 상기 표시부(630) 및 상기 저장부(640) 등과 같은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650)는 문자 입력 모드에서 본 발명의 토글모드 운용에 의한 문자 입력과 관련된 일련의 처리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650)는 문자 입력 모드에서 토글영역에 발생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토글모드를 활성화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토글모드에서 입력영역의 특정 키 영역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할 시 상기 특정 키 영역의 다수개의 문자들 중 상기 토글모드의 순번에 대응하는 해당 문자 입력을 처리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50)는 문자 입력 모드에서 토글영역이 아닌 입력영역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을 먼저 감지할 시 토글모드의 활성화 상태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토글모드의 활성화 여부에 대응하는 문자 입력을 처리한다. 상기 제어부(650)는 상기 토글모드가 활성화 상태일 시 상기 토글모드에 대응하는 순번의 문자 입력을 처리하고, 상기 토글모드가 비활성화 상태일 시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의 입력 횟수에 대응하여 문자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50)의 일련의 동작 제어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휴대단말의 하드웨어 변경 없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어부(650)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이 반드시 상기한 구성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50)는 상기 휴대단말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베이스밴드(baseband)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휴대단말은 무선주파 수(RF, Radio Frequency)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밴드 모듈은 상기 제어부(650) 및 상기 무선주파수부(110)에 각각 구비되거나, 상기 제어부(650) 및 상기 무선주파수부(110)와 분리되어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6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피사체 촬영을 통해 그에 따른 영상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휴대단말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상에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휴대단말이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로 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 및 그의 동작이 반드시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것에 것은 아니다. 따라서 LCD 또는 OLED로 구성된 표시부와, 키패드 또는/및 터치패드의 조합에 의해 동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휴대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들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문자 입력을 위한 제어는 터치패드 및/또는 키패드(토글 키 및 입력 키)의 조작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패드의 문자 입력 키와 토글 키 등의 조작에 의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단말은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문자 입력 방식에 따른 문자 입력을 상기 키패드, 터치패드 등을 이용하여 조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마이크(MIC) 및 모션센서 등에 의해 문자 입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음성 인식 기능, 모션 인식 기능에 의해 토글모드의 활성화 및/또는 전환을 제어하고 문자 입력을 처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를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노트북,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휴대단말이 풀 터치스크린(Full touchscreen) 타입의 휴대단말인 경우를 예시로 나타내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반드시 상기 풀 터치스크린 타입의 휴대단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폴더 타입, 바 타입, 슬라이드 타입 등의 모든 타입의 휴대단말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을 이용한 문자 입력을 위한 토글모드 운 용 동작은 중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응용하여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휴대단말 구성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토글영역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동작 설명을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처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문자 입력 방법을 도시한 도면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Claims (15)

  1.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문자 입력 모드에서 토글모드를 활성화하는 과정과,
    상기 토글모드 활성화 후 특정 키 영역의 입력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키 영역의 다수개의 문자들 중 상기 토글모드의 순번에 대응하는 특정 문자 입력을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단말의 토글영역에 할당된 어느 하나의 토글 키에 입력이 발생할 시 상기 토글 키에 대응하는 토글모드를 활성화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모드에서 상기 특정 키 영역에 연속적인 입력이 발생할 시 상기 특정 키 영역의 다수개의 문자들 중 상기 토글모드에 대응하는 순번의 상기 특정 문자를 상기 연속적인 입력의 입력 횟수에 대응하는 수만큼 입력 처리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모드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토글 키에 사용자 입력이 발생할 시 상기 토글 키에 의한 토글모드를 비활성화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하는 과정은,
    상기 토글 키에 사용자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에 상기 토글모드 활성화를 유지하고, 상기 토글 키에 상기 사용자 입력이 해제될 시 토글모드를 비활성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 키에 상기 사용자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시 상기 특정 키 영역의 다수개의 문자들 중 상기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토글 키의 순번에 대응하는 특정 문자 입력을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모드에서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시 상기 입력 이벤트가 토글영역의 특정 토글 키에 발생하는 입력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토글영역의 특정 토글 키에 발생하는 입력 이벤트인 경우 상기 토글 키에 대응하는 토글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모드 전환은 일반모드에서 상기 토글 키에 대응하는 토글모드로의 전환 및 이전의 다른 토글 키에 대응하는 토글모드에서 상기 토글 키에 대응하는 토글모드로 전환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모드 전환 후 입력영역의 특정 키 영역에서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시 상기 특정 키 영역에서 상기 토글모드에 대응하는 순번의 해당 문자를 입력 처 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이벤트가 입력영역의 특정 키 영역에 발생하는 입력 이벤트인 경우 토글모드의 활성화 상태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토글모드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토글모드를 활성화 하는 해당 토글 키를 판별한 후 상기 토글 키의 순번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이벤트 발생 키 영역의 문자 입력을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토글모드가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이벤트 발생 키 영역의 문자 입력을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11. 단말의 문자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문자의 입력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영역과,
    다수개의 키 영역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키 영역들은 하나 또는 다수개의 문자들이 할당되며, 토글모드에 대응하는 문자 입력을 제공하는 입력영역과,
    적어도 하나의 토글 키에 의한 토글모드를 제공하며, 상기 키 영역들의 다수개의 문자들 중 특정 순번의 문자에 대한 바로 입력 기능의 토글모드를 제공하는 토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 입력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영역을 구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글 키의 수는 상기 입력영역의 키 영역들에 할당되는 문자들의 최대 수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 입력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영역의 토글 키에 발생하는 입력에 의하여 상기 토글모드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 입력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모드의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입력영역의 특정 키 영역에 연속적인 입력이 발생할 시 상기 특정 키 영역의 다수개의 문자들 중 상기 토글모드에 대응하는 순번의 해당 문자를 상기 연속적인 입력의 입력 횟수에 대응하는 수만큼 입력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 입력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영역 및 입력영역은 상기 표시영역과 함께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 상에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휴대단말의 입력부 상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 입력 시스템.
KR1020090094683A 2009-10-06 2009-10-06 단말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3729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683A KR20110037297A (ko) 2009-10-06 2009-10-06 단말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시스템
US12/894,687 US20110080345A1 (en) 2009-10-06 2010-09-30 Letter input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683A KR20110037297A (ko) 2009-10-06 2009-10-06 단말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297A true KR20110037297A (ko) 2011-04-13

Family

ID=43822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683A KR20110037297A (ko) 2009-10-06 2009-10-06 단말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080345A1 (ko)
KR (1) KR201100372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597B1 (ko) * 2011-09-20 2018-06-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올바른 기기사용자세 유도 장치 및 방법
KR101284771B1 (ko) * 2011-09-21 2013-07-17 김호성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202542608U (zh) * 2011-11-10 2012-11-21 李明 通用型电梯操纵盘
KR101921203B1 (ko) * 2012-03-02 2018-11-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녹음 기능이 연동된 메모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915522B1 (ko) * 2012-04-13 2018-11-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키패드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US9612664B2 (en) * 2014-12-01 2017-04-04 Logitech Europe S.A. Keyboard with touch sensitive element
CN104898889A (zh) * 2015-06-26 2015-09-0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字符确定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3748A (en) * 1973-11-14 1975-02-04 Singer Co Shift lock mechanism
JP4342492B2 (ja) * 2005-09-16 2009-10-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携帯端末、及び、この携帯端末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
US7652660B2 (en) * 2005-10-11 2010-01-26 Fish & Richardson P.C. Mobile device customizer
US20080043991A1 (en) * 2006-07-28 2008-02-21 Poulton Kenneth D Instrument uses augmented keypad for text entry
KR101379247B1 (ko) * 2007-08-16 2014-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장치,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메시지입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80345A1 (en) 201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23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locking electronic appliance
US201800118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arch function in touch-sensitive device
KR20110037297A (ko) 단말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시스템
US20110319136A1 (en) Method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Managing Status Components for Global Call Control
US9703418B2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2010009095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using large keyboard targets and an electronic device which uses large keyboard targets
KR101250888B1 (ko) 구성가능한 키패드들을 제공하기 위한 표준화된 방법 및 시스템들
US20110115722A1 (en) System and method of entering symbols in a touch input device
US20080136784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vely activating a function thereof
US8195123B2 (en) Call origination method for full-touch screen portable terminal
KR20110135010A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9298364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scree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rong screen control program
KR20110084411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US7715804B2 (en) Keypad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of portable device
JPWO2011093230A1 (ja) 携帯情報端末及びそのキー配置変更方法
KR10075698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모드 변경 장치 및 방법
JP2008521096A (ja) データを入力する機構および方法
JP2018005531A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47393B2 (ja) 表示機器および表示方法
EP2632125B1 (en) Method and apparatus pertaining to depicting a plurality of contact addresses
KR20100063889A (ko) 이동단말기의 기능실행 방법 및 장치
KR100650124B1 (ko) 소프트 키패드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JP6615706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779047B2 (ja) 入力端末
JP4939773B2 (ja) 入力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