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2794A -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icon using terminal, and terminal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icon using terminal, and terminal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2794A
KR20110032794A KR1020090090466A KR20090090466A KR20110032794A KR 20110032794 A KR20110032794 A KR 20110032794A KR 1020090090466 A KR1020090090466 A KR 1020090090466A KR 20090090466 A KR20090090466 A KR 20090090466A KR 20110032794 A KR20110032794 A KR 20110032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icons
specific
edi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4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12297B1 (en
Inventor
최시영
양옥렬
윤종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0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2297B1/en
Publication of KR20110032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7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2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URPOSE: An icon changing system using a terminal and method thereof, and a terminal are provided to change a displayed icon to a content of an edited form and to generate a desired icon of form. CONSTITUTION: A terminal(100) receives a plurality of icons from a content server(110). The terminal displays one or more icons of a specific style among a plurality of icons. If the selection input about the specific icon is received among the displayed icon, the terminal receives editing input through an editing menu. The terminal changes a plurality of icons into a specific editing icon.

Description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콘 변경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 단말기{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icon using terminal, and terminal thereof}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icon using terminal, and terminal thereof

본 발명은 아이콘 변경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 사용자가 특정 아이콘을 선택하고 사용자가 편집한 컨텐츠로 선택된 아이콘을 변경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콘 변경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on change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con change system and method using a terminal that allows a terminal user to select a specific icon and change the selected icon with the user edited content, and a terminal thereof. will be.

사용자가 사용하는 컴퓨터 등의 단말기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현하여 사용자가 간단하게 원하는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한다.A terminal such as a computer used by a user expresses an icon for executing a program on a display device so that the user can simply execute a desired operation.

이와 별개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과거 통화를 위한 주류적 단말이었던 유선전화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기능의 부가 및 컨텐츠의 다양화를 통해 컴퓨터 등의 장비와 시장경쟁을 벌이는 수준에 이르렀다. 이는 휴대전화의 메모리, 프로세서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을 뿐 아니라 그 디스플레이방법에 있어서도 수많은 기술발전과 이에 따른 상용화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Apart from thi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not only rapidly replacing wired telephones, which have been mainstream terminals for telephone calls in the past, but also have competed with equipment such as computers by adding various functions and diversifying contents. This is because not only the memory and the processor of the mobile phone are rapidly developing, but also a number of technological advances and commercialization thereof have been made in the display method thereof.

이러한 추세에 맞게 컴퓨터 등의 단말기 제조사 및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사 또는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단말기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을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단말기는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공하기 위한 편집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terminal manufacturers such as computer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nufacturers or mobile communication companies are developing display methods of various terminals to meet the needs of terminal users. In this regard, the terminal provides an editing function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UI) according to a user's preference.

그러나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편집 기능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현되는 아이콘의 배열을 바꾸거나, 단말기의 화면에 표현되는 아이콘을 지정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However, the user interface editing function is limited to changing the arrangement of the icon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of the terminal or designating the icon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이에, 단말기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에 맞게 아이콘을 변경하고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in which a terminal user can change and use an icon according to his or her tast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단말기 사용자가 변경 대상인 아이콘을 선택하고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편집하여 특정 스타일로 마스킹(masking)한 후, 선택한 아이콘을 마스킹한 컨텐츠로 변경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콘 변경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fter the terminal user selects an icon to be changed and edits the content stored in the terminal to mask a specific style, the selected icon is changed to the masked content.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icon change system and method using a terminal, and the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콘 변경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복수의 아이콘을 제공하는 컨텐츠서버, 상기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복수의 아이콘을 제공받아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복수의 아이콘 중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 중 변경 대상인 특정 아이콘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하면 기 저장한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메뉴를 제공하며, 상기 편집메뉴를 이용하여 편집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편집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를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컨텐츠에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상기 복수의 스타일로 마스킹하여 상기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복수의 편집아이콘을 생성하고 저장하며, 상기 선택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아이콘을 상기 복수의 편집아이콘 중 상기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특정 편집아이콘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를 포함한다.Icon change system using a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content server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icons represented in a plurality of styles over a network, a plurality of expressed in the plurality of styles from the content server Receiving and storing an icon, displaying one or more icons expressed in a specific style among the plurality of stored icons, and editing pre-stored contents upo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or a specific icon to be changed among the displayed one or more icons And an editing menu for editing, when the editing input is received using the editing menu, editing the content in response to the editing input, and masking the plurality of styles to partially overlap the edited content. Create a plurality of edit icons represented by And a terminal for changing and displaying the specific ic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put into a specific edit icon expressed in the specific style among the plurality of edit icon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기는, 컨텐츠 및 임의의 아이콘 저장을 위한 저장부,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부, 시각적 표현을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스타일 중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된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 중 변경 대상인 특정 아이콘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편집메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부를 통해 편집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편집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컨텐츠를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컨텐츠에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상기 복수의 스타일로 마스킹하여 상기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복수의 편집아이콘을 생성하고 저장하며, 상기 선택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아이콘을 상기 복수의 편집아이콘 중 상기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특정 편집아이콘으로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content and any icon, the input unit for the user input, the display unit for the visual representation, a specific style of a plurality of styl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displaying an edited menu for editing the content on the display unit when receiving one or more displayed icons on the display unit and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or a specific icon to be changed from among the displayed one or more icons through the input unit. And when the editing input is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using the editing menu, edits the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 response to the editing input, and masks the plurality of styles to partially overlap the edited content. Clothing expressed in plural styles And generating the edit icon and stored, to change the particular ic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put at a specified edit icon represented in the specific style of the plurality of edit icon, and a controller for displaying on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중 일부분을 블록설정하는 상기 편집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블록에 해당하는 부분을 잘라내는 방식으로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diting by cutting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lock when receiving the edit input for setting a block of the content.

본 발명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스킹한 부분을 투명하게 처리하여 상기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상기 복수의 편집아이콘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is characterized by generating the plurality of edit icons represented in the plurality of styles by transparently processing the masked portion.

본 발명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편집아이콘을 생성한 후,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을 받아 상기 복수의 편집아이콘의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아이콘을 상기 복수의 편집아이콘과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배치하여 상기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복수의 특성편집아이콘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선택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아이콘을 상기 복수의 특성편집아이콘 중 상기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특정 특성편집아이콘으로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after generating the plurality of edit icons, receives the input from the input unit arranged to partially overlap the characteristic icon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urality of edit icons with the plurality of edit icons Generating and storing a plurality of characteristic editing icons represented by the plurality of styles, and changing the specific ic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put to a specific characteristic editing icon represented by the specific style among the plurality of characteristic editing icons. It is characterized by displaying on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단말기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복수의 아이콘을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상기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herein the controller receives a plurality of icons represented by the plurality of styles from a content server connected to a network through the transceiver, and stores the plurality of icons in the storage unit. And displaying the one or more icons represented by the specific style among the plurality of icons stored in the storage unit on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편집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스타일 중 다른 특정 스타일로의 스타일변경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 중 상기 특정 편집아이콘으로 변경된 특정 아이콘을 제외한 나머지 아이콘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스타일 중 상기 다른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특정 편집아이콘을 상기 복수의 편집아이콘 중 상기 다른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다른 편집아이콘으로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specific editing icon on the display unit, and then receives a style change input to another specific style among the plurality of styles through the input unit, and displays the display unit on the display unit. The display unit by changing an icon other than the specific icon changed to the specific editing icon among the one or more icons represented by the specific style into an icon represented by the other specific style among the plurality of styl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change the specific edit icon into another edit icon expressed in the other specific style among the plurality of edit icons and display the edited icon on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특성편집아이콘을 상 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스타일 중 다른 특정 스타일로의 스타일변경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 중 상기 특정 특성편집아이콘으로 변경된 특정 아이콘을 제외한 나머지 아이콘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상기 다른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특정 특성편집아이콘을 상기 복수의 특성편집아이콘 중 상기 다른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다른 특성편집아이콘으로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after displaying the specific characteristic editing icon on the display unit, and receives a style change input to another specific style of the plurality of styles through the input unit, the display unit The other specific style among the one or more icons displayed in the specific style, except for the specific icon changed to the specific characteristic editing icon, in the plurality of styl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Change to an icon expressed in the display unit and display the display unit on the display unit, and change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display unit on the display unit by changing the display unit to the display unit by changing the display unit to the display unit in the form of the display unit. do.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콘 변경방법은, 단말기가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복수의 아이콘 중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디스플레이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 중 변경 대상인 특정 아이콘을 선택하는 선택입력을 수신하면 기 저장된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선택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편집메뉴를 이용하여 편집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편집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를 편집하는 편집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편집된 컨텐츠에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상기 복수의 스타일로 마스킹하여 상기 복수의 스타일로 각각 표현된 복수의 편집아이콘을 생성하고 내부에 저장하는 생성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특정 아이콘을 상기 복수의 편집아이콘 중 상기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특정 편집아이콘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2디스플레이단계를 포함한다.Icon change method using a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display step of the terminal to display at least one icon expressed in a specific style of a plurality of icons represented in a plurality of styles, the terminal A selection step of displaying an editing menu for editing previously stored contents upo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or selecting a specific icon to be changed among the one or more icons displayed; and when the terminal receives an editing input using the editing menu, the editing An editing step of editing the content in response to an input, wherein the terminal masks the plurality of styles so as to partially overlap the edited content, and generates and stores a plurality of edit icons respectively represented in the plurality of styles; Generating step, the terminal specifying the Of the icons of the plurality of edit icon and a second display step of displaying by changing in a specific edit icon represented by the particular style.

본 발명의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콘 변경방법은, 상기 제1디스플레이단계 전에 상기 단말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복수의 아이콘을 수신하여 내부에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단계는 상기 저장단계에서 저장한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상기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of changing an icon using a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oring step of receiving a plurality of icons expressed in the plurality of styles from a content server connected to a network before the first display step and storing the icons therein. The first display step may include displaying the one or more icons expressed in the specific style among the plurality of icons stored in the storing step.

본 발명의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콘 변경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단계는 상기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상기 단말기에 포함된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선택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특정 아이콘에 대한 일정시간 이상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방식으로 상기 선택입력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changing an icon using a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isplay step displays one or more icons represented by the specific style on a touch screen included in the terminal, and the selecting step includes the terminal on the touch scree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the selection input in a manner of receiving a touch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for the specific icon displayed.

본 발명의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콘 변경방법에 있어서, 상기 편집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컨텐츠 중 일부분을 블록설정하는 상기 편집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블록에 해당하는 부분을 잘라내는 방식으로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changing an icon using a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diting step, when the terminal receives the edit input for setting a block of the content, the editing is performed by cutting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lock. do.

본 발명의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콘 변경방법에 있어서, 상기 생성단계는, 상기 마스킹한 부분을 투명하게 처리하여 상기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상기 복수의 편집아이콘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changing an icon using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ting step may be characterized by generating the plurality of editing icons represented by the plurality of styles by transparently processing the masked portion.

본 발명의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콘 변경방법에 있어서, 상기 생성단계는, 상기 복수의 편집아이콘을 생성한 후, 상기 단말기가 상기 복수의 편집아이콘의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아이콘을 상기 복수의 편집아이콘과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배치하여 상기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복수의 특성편집아이콘을 생성하여 내부에 저장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changing an icon using a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ting step may include generating a plurality of edit icons, and then displaying, by the terminal, a characteristic icon representing characteristics of the plurality of edit icons and the plurality of edit icons. Arranged so as to overlap to create a plurality of property editing icons represented in the plurality of styles and to store the internally.

본 발명의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콘 변경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단계는, 상기 선택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아이콘을 상기 복수의 특성편집아이콘 중 상기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특정 특성편집아이콘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changing an icon using a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isplay step may be performed by changing the specific ic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put into a specific characteristic editing icon expressed in the specific style among the plurality of characteristic editing icons.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의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콘 변경방법은, 상기 제2디스플레이단계 후에, 상기 단말기가 상기 복수의 스타일 중 다른 특정 스타일로의 스타일변경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디스플레이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상기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 중 상기 제2디스플레이단계에서 상기 특정 편집아이콘으로 변경된 특정 아이콘을 제외한 나머지 아이콘을, 상기 복수의 스타일 중 상기 다른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특정 편집아이콘을 상기 복수의 편집아이콘 중 상기 다른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다른 편집아이콘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changing an icon using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econd display step, when the terminal receives a style change input from the plurality of styles to another specific style, the icon is changed to the specific style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step. Among the one or more icons expressed, the remaining icons except for the specific icon changed to the specific editing icon in the second display step are changed to an icon represented by the other specific style among the plurality of styles, and the specific editing icon is display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nging to another editing icon expressed in the other specific style of the plurality of editing icons to display.

본 발명의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콘 변경방법은, 상기 제2디스플레이단계 후에, 상기 단말기가 상기 복수의 스타일 중 다른 특정 스타일로의 스타일변경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디스플레이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상기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 중 상기 제2디스플레이단계에서 상기 특정 특성편집아이콘으로 변경된 특정 아이콘을 제외한 나머지 아이콘을, 상기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상기 다른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특정 특성편집아이콘을 상기 복수의 특성편집아이콘 중 상기 다른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다른 특성편집아이콘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changing an icon using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econd display step, when the terminal receives a style change input from the plurality of styles to another specific style, the icon is changed to the specific style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step. Change the remaining icons except for the specific icon changed to the specific property editing icon in the second display step among the one or more icons represented by the other specific style icon among the plurality of icons represented by the plurality of styles. And display the specific property editing icon by changing the specific property editing icon into another property editing icon expressed in the other specific style among the plurality of property editing icons.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을 사용자가 편집한 형태의 컨텐츠로 변경할 수 있고, 해당 아이콘의 특성을 나타내는 별도의 소형 아이콘을 부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아이콘을 만들어 기존의 아이콘을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con displayed on the terminal can be changed into content edited by the user, and by adding a separate small icon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con, the user can change the existing icon by creating an icon of a desired shape. There is enhanced user convenience.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아이콘을 새로 편집한 아이콘으로 변경한 후, 전체적인 아이콘의 스타일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기존의 아이콘의 새로운 스타일 형태 및 편집한 아이콘의 새로운 스타일 형태를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하여, 단말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체 아이콘의 스타일을 통일화하여 변경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changing an existing icon to a newly edited icon, if the style of the overall icon is to be changed, a new style form of the existing icon and a new style form of the edited icon are automatically displayed. You can change the style of all icons displayed on the screen by unifying them.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in detail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콘 변경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아이콘 변경시스템은 단말기(100), 컨 텐츠서버(110), 및 네트워크(120)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icon change system us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icon chan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terminal 100, a content server 110, and a network 120.

네트워크(120)는 단말기(100) 및 컨텐츠서버(110) 간의 데이터 전송, 정보 교환을 위한 데이터 통신망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120)는 인터넷, 인트라넷, 익스트라넷 또는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유선, 무선 또는 이들의 결합망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네트워크(120)는 이동통신이 가능한 무선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을 포함한다.The network 120 refers to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for data transmission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content server 110. The network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Internet, an intranet, an extranet, or other well-known or future developments of wired, wireless, or combinations thereof. In particular, the network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to a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mobile communication.

컨텐츠서버(110)는 컨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 CP)가 운용 및 관리하는 서버이다. 본 발명의 컨텐츠서버(110)는 네트워크(120)를 통해 단말기(100)로 복수의 스타일(style)로 표현된 복수의 아이콘을 제공한다.The content server 110 is a server operated and managed by a content provider (CP). The content server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icons expressed in a plurality of styles to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network 120.

단말기(100)는 네트워크(120)를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컴퓨터, 노트북, 가전기기, PDA, 휴대폰, 스마트폰 등의 유선 또는 무선단말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아이콘을 포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The terminal 100 may be a wired or wireless terminal such as a computer, a laptop, a home appliance, a PDA, a mobile phone, a smartphone, and the like, which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using the network 120. Th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device for visually delivering a user interface (UI) including an icon to a user.

단말기(100)는 내부에 저장된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복수의 아이콘 중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복수의 아이콘은 단말기(100)에 디폴트(default)로 포함된 아이콘일 수 있고, 단말기(100)가 컨텐츠서버(110)로부터 수신하여 내부에 저장한 아이콘일 수도 있다.The terminal 100 displays one or more icons represented by a specific style among a plurality of icons represented by a plurality of styles stored therein on the display device.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icons represented by the plurality of styles may be icons included in the terminal 100 as a default, or may be icons received by the terminal 100 from the content server 110 and stored therein. .

단말기(100)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고 난 후, 입력장치를 통해 해당 하나 이상의 아이콘 중 특정 아이 콘을 변경하기 위한 선택입력을 수신하면, 내부에 저장된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메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편집 대상이 되는 컨텐츠를 선택받고, 선택받은 컨텐츠와 편집을 위한 편집메뉴를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현할 수 있다.After the terminal 100 displays one or more icons represented in a specific style on the display device, and receives a selection input for changing a specific icon among the one or more icons through the input device, the terminal 100 edits the content stored therein. Display an editing menu for display on the display device. In this case, the terminal 100 may select the content to be edited by the user and express the selected content and an editing menu for editing on the display device.

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된 편집메뉴를 인식한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여 입력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입력을 하면, 단말기(100)는 이에 따라 컨텐츠를 편집한다. 이때, 편집메뉴는 일반적인 컨텐츠 편집기와 마찬가지로 비율확대, 비율축소, 회전, 잘라내기, 복사, 붙이기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When a user who recognizes an editing menu displayed on the terminal 100 makes an edit input for editing content through the input device using the same, the terminal 100 edits the content accordingly. In this case, the edit menu may provide a function such as enlargement, reduction, rotation, cut, copy, paste, etc. like a general content editor.

본 발명에서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편집메뉴는 컨텐츠의 일정 부분을 블록처리하기 위한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단말기(100)가 입력장치를 통해 컨텐츠의 일부를 블록처리하는 편집입력을 수신하면 해당 부분을 잘라내는 방식으로 편집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diting menu provided by the terminal 100 may provide an editing function for processing a certain portion of the content, and the terminal 100 receives an editing input for processing a part of the content through the input device. You can then edit it by cropping it.

단말기(100)가 편집입력에 따라 컨텐츠를 편집하고 나면, 편집된 컨텐츠를 마스킹(masking)한다. 본 발명에서 마스킹이란, 단말기(100)가 편집된 컨텐츠를 기 설정된 스타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편집된 컨텐츠에 특정 스타일의 마스크(mask)를 덮어 사용자가 해당 스타일로 디스플레이된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을 의미한다.After the terminal 100 edits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edit input, the terminal 100 masks the edited content. In the present invention, masking means that the terminal 100 applies a mask of a specific style to the edited content to display the edited content in a preset style, so that the user visually displays the icon displayed in the style. It means the work to be recognized.

본 발명의 마스크는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삼각형 등의 모양으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내부가 비어있고, 해당 도형 모양의 외부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없도록 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 가 사용자의 편집입력에 따라 컨텐츠의 일부분을 사각형으로 블록처리하여 잘라낸 후, 단말기(100)는 원형의 마스크를 편집된 컨텐츠에 덮는 방식으로 마스킹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원형의 모양을 가지는 컨텐츠를 시각적으로 인식하게 되며, 단말기(100)는 이를 위해, 편집된 컨텐츠에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마스크를 덮는 방식으로 마스킹할 수 있을 것이다.The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pty so that the content is displayed in the shape of a circle, oval, rectangle, square, triangle, etc., and the outside of the figure may not be visually recognized by the user. For example, after the terminal 100 cuts and cuts a part of the content into a quadrangle according to an edit input of the user, the terminal 100 masks the circular mask to cover the edited content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device. Can be. In this case, the user visually recognizes the content having a circular shape, and the terminal 100 may mask it by covering the mask so as to partially overlap the edited content.

이때, 단말기(100)는 편집된 컨텐츠와 마스크가 겹치도록 마스킹한 부분을 투명하게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였을 때 사용자가 투명하게 겹친부분을 통해 대응하는 바탕화면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편집된 컨텐츠와 겹치도록 마스킹되는 부분에 특정 색상이나 이미지 등이 존재하여, 사용자가 해당 색상이나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불투명하게 처리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terminal 100 transparently processes the masked portion so that the edited content and the mask overlap, so that when the display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corresponding desktop through the transparent overlap portion. Can b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color or image exists in a portion masked to overlap the edited content, and may be opaquely processed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color or image.

본 발명에서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편집입력에 대응하여 편집한 컨텐츠를, 단말기에 기 설정된 개수의 마스크로 마스킹하여 복수의 편집아이콘을 생성하고 저장한다. 즉, 단말기(100)에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복수의 아이콘이 저장되어 있다면, 단말기(100)는 해당 복수의 스타일에 대응하는 마스크를 저장하여 보유하고 있으며, 단말기(100)가 컨텐츠를 편집하면 복수의 스타일에 대응하는 각각의 마스크를 편집된 컨텐츠에 마스킹하여, 해당 복수의 스타일 개수만큼의 편집아이콘을 생성하고 저장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100 generates and stores a plurality of edit icons by masking content edited in response to an edit input of a user with a mask of a predetermined number. That is, if a plurality of icons represented by a plurality of styles are stored in the terminal 100, the terminal 100 stores and holds a mask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tyles, and when the terminal 100 edits content Each mask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tyles is masked on the edited content to generate and store as many edit icons a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styles.

이후, 단말기(100)는 특정 스타일로 표현되어 기 디스플레이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과 동일한 특정 스타일의 특정 편집아이콘을, 변경 대상으로 선택받은 특정 아이콘을 대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아이콘을 변경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terminal 100 changes the icon by displaying a specific edit icon of a specific style that is the same as one or more icons previously displayed and displayed in a specific style, in place of the specific icon selected as the change targ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말기(100)가 복수의 편집아이콘을 생성한 후,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해당 편집아이콘의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아이콘을 복수의 편집아이콘과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배치하여, 해당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복수의 특성편집아이콘을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terminal 100 generates a plurality of edit icons, the terminal 100 receives input from the user, and arranges the characteristic icons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it icons to partially overlap the plurality of edit icons. A plurality of property editing icons represented by a plurality of styles can be created and saved.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변경하려고 하는 특정 아이콘이 문자메시지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아이콘인 경우, 단말기(100)는 컨텐츠를 편집하여 마스킹한 후, 사용자입력에 따라 편지봉투 모양의 소형 특성아이콘을 기 생성된 편집아이콘에 부가하여 특성편집아이콘을 생성하고, 변경 대상인 특정 아이콘을 특성편집아이콘으로 변경한다. 이때, 특정 스타일로 기 디스플레이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과 동일한 특정 스타일의 특정 특성편집아이콘을, 변경 대상으로 선택받은 특정 아이콘을 대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아이콘을 변경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a specific icon to be changed by the user is an icon for using the text message function, the terminal 100 edits and masks the content, and then generates a small characteristic icon having an envelope shape according to a user input. In addition to the edited icon, the property edit icon is created, and the specific icon to be changed is changed to the property edit icon. In this case, the icon is changed in such a manner that a specific characteristic editing icon of a specific style identical to one or more icons previously displayed in a specific style is displayed in place of a specific icon selected as a change target.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특정 아이콘을 대신하여 변경된 특성편집아이콘이 문자메시지 기능을 위한 아이콘임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복수의 편집아이콘에 특정 아이콘을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배치하여 생성한 특성편집아이콘은, 편집아이콘의 스타일 개수에 맞도록 복수의 특성편집아이콘으로 생성되어 저장된다.In this manner,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at the changed property editing icon in place of a specific icon is an icon for text message function. At this time, the characteristic editing icon generated by arranging a specific icon partially overlapping the plurality of editing icons is generated and stored as a plurality of characteristic editing icons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styles of the editing icons.

단말기(100)가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특정 아이콘을 해당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편집아이콘 또는 특성편집아이콘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고 난 후, 입력장치를 통해 복수의 스타일 중 다른 특정 스타일로 변경하기 위한 스타일변경입력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 디스플레이된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모든 아이콘을 해당 다른 특정 스타일의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한다.The terminal 100 changes and displays a specific icon represented by a specific style as an edit icon or a property editing icon represented by the specific style, and then changes the style to change to another specific style among a plurality of styles through the input device. When the input is received, all the icons represented by the specific style previously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re changed to the icon of the other specific style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이때,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 디스플레이된,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 중, 특정 편집아이콘 또는 특정 특성편집아이콘으로 변경된 특정 아이콘을 제외한 나머지 아이콘은, 내부에 기 저장된 다른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한다.In this case, among the one or more icons previously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of the terminal 100, the remaining icons except for the specific icon changed to the specific editing icon or the specific characteristic editing icon may be stored in another specific style. Change to display one or more icons represented.

그리고 단말기(100)는, 특정 아이콘을 대신하여 디스플레이된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특정 편집아이콘 또는 특정 특성편집아이콘을, 다른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다른 편집아이콘 또는 다른 특성편집아이콘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한다.In addition, the terminal 100 changes and displays a specific edit icon or a specific characteristic edit icon represented by a specific style displayed in place of a specific icon, into another edit icon or another characteristic edit icon represented by another specific style.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의 기능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function and operation of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단말기(100)는 송수신부(210), 입력부(220), 저장부(230), 디스플레이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2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transceiver 210, an inputter 220, a storage 230, a display 240, and a controller 250.

송수신부(210)는 네트워크(120)를 매개로 컨텐츠서버(11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The transceiver 210 provides an interface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ntent server 110 via the network 120.

입력부(220)는 단말기(100)의 조작을 위한 복수의 키를 제공하며, 단말기(100) 사용자의 키선택에 따른 선택신호를 발생한다. 본 발명의 입력부(220)는 변경 대상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입력, 특정 아이콘을 대신할 컨텐츠를 편집 하기 위한 편집입력, 디스플레이부(240)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의 스타일을 변경하기 위한 스타일 변경입력을 수신하면, 대응하는 각각의 선택신호를 제어부(250)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입력부(220)는 키패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220 provides a plurality of keys for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100 and generates a sel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key selection of the user of the terminal 100. The input unit 22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lection input for selecting a change target icon, an edit input for editing content to replace a specific icon, and a style change input for changing a style of an icon displayed on the display 240. Upon reception, each corresponding sel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50. To this end, the input unit 220 may include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pad,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저장부(23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휴대단말(100)의 동작 제어시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저장부(230)는,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복수의 아이콘을 저장하며, 제어부(250)가 컨텐츠를 편집하고 마스킹하여 생성한 편집아이콘 또는 편집아이콘에 특성아이콘을 부가하여 생성한 특성편집아이콘을 더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230 stores an application program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50, and data generated during execution of the program, and includes one or more volatile memory devices and nonvolatile memory devices. Is done. The storage unit 230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 plurality of icons represented in a plurality of styles, and a property generated by adding a characteristic icon to an edit icon or an edit icon generated by the controller 250 by editing and masking content. Save more edit icons.

디스플레이부(24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아이콘을 표현하는 기능을 한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하는데 이용되는 브라운관 화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액정과 같은 표현장치를 포함한다.The display unit 240 functions to represent an ic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50. The display unit 240 includes a display device such as a CRT screen,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a light emitting diode (LED) liquid crystal used to display content.

제어부(250)는 송수신부(210), 입력부(220), 저장부(230) 및 디스플레이부(240)를 포함한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50)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복수의 아이콘 중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240)에 디스플레이한다. The controller 25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100 including the transceiver 210, the inputter 220, the storage 230, and the display 240. The controller 250 displays one or more icons represented by a specific style among the plurality of icons represented by the plurality of styles stored in the storage 230 on the display 240.

이때, 저장부(230)에 저장된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복수의 아이콘은 단말기(100) 제조시에 디폴트(default)로 포함된 아이콘일 수 있고, 제어부(250)가 네 트워크(120)를 거쳐 송수신부(210)를 통해 컨텐츠서버(11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부(230)에 저장한 아이콘일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icons represented by a plurality of styles stored in the storage 230 may be icons included as a default when the terminal 100 is manufactured, and the controller 250 passes through the network 120. It may be an icon received from the content server 110 through the transceiver 210 and stored in the storage 230.

제어부(250)가 디스플레이부(240)에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고 난 후, 입력부(220)를 통해 해당 하나 이상의 아이콘 중 특정 아이콘을 변경하기 위한 선택입력을 수신하면, 저장부(230)에 저장된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메뉴를 디스플레이부(24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제어부(250)는 입력부(220)를 통해 편집 대상이 되는 컨텐츠를 선택받고, 선택받은 컨텐츠와 편집을 위한 편집메뉴를 함께 디스플레이부(240)에 표현할 수 있다.After the control unit 250 displays one or more icons represented in a specific style on the display unit 240, and receives a selection input for changing a specific icon among the one or more icons through the input unit 220, the storage unit A menu for editing the content stored in the 23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24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50 may select content to be edited through the input unit 220, and display the selected content and an editing menu for editing together on the display unit 240.

단말기(100)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40)에 디스플레이된 편집메뉴를 이용하여 입력부(220)를 통해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입력을 하면, 제어부(250)는 입력부(220)로부터 발생한 편집입력 신호를 인식하고 이에 따라 컨텐츠를 편집한다. 이때, 제어부(250)는 편집되는 과정을 디스플레이부(240)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250)가 디스플레이부(240)에 디스플레이하는 편집메뉴가 비율확대, 비율축소, 회전, 잘라내기, 복사, 붙이기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은 상기와 같다.When a user of the terminal 100 makes an edit input for editing content through the input unit 220 using the edit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the controller 250 receives an edit input signal generated from the input unit 220. Recognize and edit the content accordingly.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50 displays the edited process on the display 240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it. As described above, the editing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by the controller 250 may provide a function such as enlargement, reduction, rotation, cutting, copying, and pasting.

제어부(250)가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편집메뉴는 블록설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편집메뉴에서 블록설정을 위한 기능을 선택하고 입력부(220)를 통해 컨텐츠 중 아이콘으로 만들려고 하는 부분을 블록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블록설정은, 예를 들어, 입력부(220)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해서 블록을 설정하려고 하는 부분의 좌측상단을 터치한 상태로 우측하단으 로 미끄러지듯이 이동하여 블록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블록설정하려고 하는 부분의 중앙을 터치하고 별도의 입력으로 상하좌우로 블록을 확장하여 컨텐츠에 블록설정을 할 수도 있으며,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컨텐츠의 일부분을 특정하여 블록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250)는 입력부(220)를 통해 컨텐츠의 일부분을 블록처리하는 블록설정 편집입력을 수신하면 해당 부분을 잘라내는 방식으로 편집할 수 있다.The edit menu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240 by the controller 250 may provide a block setting function. That is, the user may select a function for setting a block in the edit menu and set a block to be made into an icon among contents through the input unit 220. Block setting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by using the touch screen of the input unit 220, while touching the upper left of the portion to set the block can be set to move the slide to the lower right. In addition, the block setting may be performed on the content by touching the center of the part to be set and extending blocks up, down, left, and right with a separate input, or may block and set a part of the content by using a stylus pen. In this case, when the controller 250 receives a block setting edit input for processing a part of the content through the input unit 220, the controller 250 may edit the corresponding part by cutting the corresponding part.

제어부(250)가 편집입력에 따라 컨텐츠의 일부분을 잘라내는 방식으로 컨텐츠를 편집하고 나면, 편집된 컨텐츠에 마스크를 덮어 마스킹한다. 이때, 마스크는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삼각형 등의 도형 모양으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내부가 비어있고, 해당 도형 모양의 외부에 해당하는 컨텐츠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없도록 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After the controller 250 edits the content by cutting a part of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editing input, the controller 250 masks the edited content by covering the mask. In this case, the mask may be empty so that the content is displayed in a shape of a circle, oval, rectangle, square, triangle, etc., a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shape may not be visually recognized by the user. have.

예를 들어, 제어부(250)가 사용자의 편집입력에 따라 컨텐츠의 일부분을 사각형으로 블록처리하여 잘라내었다면, 제어부(250)는 특정 모양의 마스크를 편집된 컨텐츠에 덮는 방식으로 마스킹하여 디스플레이부(24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50)는 편집된 컨텐츠에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마스크를 덮어 마스킹하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40)에 디스플레이된 마스크의 내부 모양을 통해 편집된 컨텐츠를 시각적으로 인식하게 된다.For example, if the control unit 250 cuts and cuts a part of the content into a rectangle according to the user's edit input, the control unit 250 masks a specific shape mask on the edited content in a manner to cover the display unit 240. ) Can be displayed.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50 masks the mask so as to partially overlap the edited content, and the user visually recognizes the edited content through the internal shape of the mask displayed on the display 240.

이때, 제어부(250)가 편집된 컨텐츠와 마스크가 겹치는 부분을 투명하게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240)의 화면에서 해당 겹치는 부분을 통해 바탕화면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음은 상기와 같다. 또한, 불투명한 색상 또는 특정 이미지를 가지 는 마스크를 통해 편집된 컨텐츠와 겹치는 부분을 불투명하게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250 may transparently process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edited content and the mask so that the background screen may be recognized through the overlapping portio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240. In addition, the part overlapping the edited content may be opaquely processed through a mask having an opaque color or a specific image.

제어부(250)가 편집된 컨텐츠를 마스킹할 때에는 복수의 스타일 각각에 따라 기 편집된 컨텐츠를 마스킹하여 복수의 편집아이콘을 생성하고 저장부(230)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230)에 3개의 스타일로 표현된 복수의 아이콘이 저장되어 있다면, 제어부(250)는 3개 스타일에 대응하는 마스크를 기 편집된 컨텐츠에 마스킹하여 3개의 편집아이콘을 생성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저장부(230)는 복수의 스타일에 대응하는 마스크를 더 저장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ler 250 masks the edited content, the controller 250 masks the previously edited content accor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tyles to generate a plurality of edit icons and stores the edited icons in the storage 230. For example, if a plurality of icons represented by three styles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30, the controller 250 generates three edit icons by masking masks corresponding to the three styles to previously edited content. Done. To this end, the storage unit 230 may further store mask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tyles.

이후, 제어부(250)는 이렇게 생성된 복수의 편집아이콘 중 특정 스타일에 대응하는 특정 편집아이콘을, 변경 대상인 특정 아이콘을 대신하여 디스플레이부(240)에 디스플레이한다.Thereafter, the controller 250 displays a specific edit ic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tyle among the plurality of edit icons generated on the display unit 240 instead of the specific icon to be chang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250)가 상기와 같이 생성된 복수의 편집아이콘을 저장하기 전에, 해당 복수의 아이콘의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아이콘을 편집아이콘에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배치하여 복수의 특성편집아이콘을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음은 상기와 같다. 이때, 제어부(250)는 생성된 복수의 특성편집아이콘 중, 디스플레이부(240)에 기 디스플레이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이 표현된 스타일에 대응하는 특정 스타일의 특정 특성편집아이콘을, 변경 대상인 특정 아이콘을 대신하여 디스플레이부(240)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control unit 250 stores the plurality of edit icons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characteristics are arranged by partially placing a characteristic icon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urality of icons so as to partially overlap the edit icon. Editing icons can be created and saved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50 replaces a specific icon to be changed with a specific property editing icon of a specific style corresponding to a style in which one or more icons previous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are displayed among the plurality of generated property editing icons.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부(250)가 특정 아이콘을 편집아이콘 또는 특성편집아이콘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부(240)에 디스플레이한 후, 입력부(220)를 통해 디 스플레이부(240)에 기 디스플레이된 스타일에서 다른 특정 스타일로 변경하기 위한 스타일변경입력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부(240)에 기 디스플레이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 중, 특정 편집아이콘 또는 특정 특성편집아이콘으로 변경된 특정 아이콘을 제외한 나머지 아이콘을, 저장부(230)에 기 저장된 다른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특정 편집아이콘 또는 특정 특성편집아이콘은 저장부(230)에 기 저장된 다른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다른 편집아이콘 또는 다른 특성편집아이콘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한다.In this manner, the control unit 250 changes the specific icon into an edit icon or a property editing icon and displays the same on the display unit 240, and then, based on the style previous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through the input unit 220. When receiving a style change input for changing to a specific style, the storage unit 230 stores one or more icons except for a specific icon changed to a specific edit icon or a specific property edit icon among the one or more icons previously displayed on the display 240. Changes to one or more icons represented by other specific styles previously stored in the display. In addition, the specific editing icon or the specific characteristic editing icon is displayed by changing to another editing icon or another characteristic editing icon expressed in another specific style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230.

본 발명의 단말기(100)가 아이콘을 변경하는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A detailed example of changing the icon by th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9.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 변경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단말기(100)가 컨텐츠를 편집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100)는 이동통신이 가능한 휴대단말로 표현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사용자에게 아이콘을 포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는 모든 유무선 단말기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는 다른 도면의 실시예에서도 모두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한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con change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 process of editing content by the terminal 10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rminal 100 is represented as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mobile communication, bu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interface (UI) including an icon to a user. It may be one of all wired and wireless terminals provided. This should be equally applied to the embodiments of the other drawings.

도 3의 좌측 화면은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네 개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도 3의 좌측 화면에서 단말기(100) 사용자가, 도 3 좌측 화면 우측 하단의 문자 메시지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310)을 변경 대상으로 선택하는 선택입력을 하면, 도 3의 중앙과 같이 하단에 아이콘 변경을 위한 메뉴(320)가 디스플레이된다.3 shows that four icon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terminal 100. When the user of the terminal 100 selects and selects an icon 310 for executing the text message function on the lower right of the left screen of FIG. The menu 320 for changing the icon is displayed.

이때, 아이콘(310)을 선택하는 선택입력은,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단말기(100)의 화면에서, 아이콘(310)이 디스플레이된 부분을 일정시간이상 터치하는 입력을 단말기(100)가 수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lection input for selecting the icon 310 is, for example, the terminal 100 inputs an input for touching a portion where the icon 310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0 including a touch screen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t can be done by receiving.

이후, 단말기(100)가 도 3의 중앙과 같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아이콘 변경을 위한 메뉴(320)를 터치하면, 도 3의 우측과 같이 컨텐츠 및 해당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Thereafter, when the terminal 100 touches the menu 320 for changing an icon on the screen displayed as shown in the center of FIG. 3, a menu for displaying the content and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displayed as shown in the right side of FIG. 3.

도 3 우측 디스플레이 화면의 중앙에는 컨텐츠(340)가 디스플레이되고 있고, 도 3 우측 디스플레이 화면의 하단에는 컨텐츠(340) 편집을 위한 편집메뉴(350)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도 3 우측의 디스플레이 화면은, 단말기(100)가 도 3의 중앙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아이콘 변경 메뉴(320)를 터치하는 입력을 수신한 후,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해 편집 대상이 되는 컨텐츠(340)를 선택받아 디스플레이한 화면일 수 있다.The content 340 is displayed at the center of the right display screen of FIG. 3, and the edit menu 350 for editing the content 340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right display screen of FIG. 3. 3, after the terminal 100 receives an input for touching the icon change menu 320 on the center display screen of FIG. 3, the content to be edited through a separate user interface (UI) ( The screen may be selected and displayed.

이후, 단말기(100)는 입력장치를 통해 편집입력을 받아 컨텐츠(340)의 일부분에 블록(330)을 설정한다. 이때에는, 예를 들어, 단말기(100)가 블록(330) 설정을 위한 일정 크기의 사각형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여 원하는 컨텐츠(340)의 부분으로 해당 사각형을 이동시킨 후, 사용자가 편집메뉴(350)의 좌측 '+', '-' 메뉴를 이용하여 해당 사각형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블록(330)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340) 자체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블록(330)을 설정하는데 이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reafter, the terminal 100 receives the edit input through the input device and sets the block 330 to a part of the content 340. In this case, for example, the terminal 100 provides a rectangl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for setting the block 330, and after the user touches the screen to move the rectangle to a portion of the desired content 340, the user Block 330 may be set by enlarging or reducing the corresponding rectangle by using the left '+' and '-' menus of the edit menu 350. In addition, the terminal 100 may provide a function of enlarging or reducing the content 340 itself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so that the user may use it to set the block 330.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아이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좌측은 도 3 우측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340)를 나타낸다. 도 4의 좌측에서 컨텐츠(340)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블록(330)이 설정되어 있다. 4 illustrates an icon crea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3. The left side of FIG. 4 shows the content 340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right side of FIG. 3. On the left side of FIG. 4, a block 330 is set in the content 340 according to a user input.

도 4의 좌측과 같이 블록(330)이 설정되는 입력을 수신한 단말기(100)는 블록(330)에 해당하는 컨텐츠 부분을 잘라내어 편집하고, 도 4의 우측과 같이 마스킹한다.As shown in the left side of FIG. 4, the terminal 100 receiving the input for setting the block 330 cuts and edits the conten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lock 330 and masks it as shown in the right side of FIG. 4.

도 4의 우측에는, 원형 및 삼각형 스타일의 마스크(410, 430)로 마스킹된 편집아이콘이 도시되고 있다. 도 4의 우측에서 마스크(410, 430)는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투명하게 처리되어, 사용자가 마스크(410, 430)에 해당하는 부분의 바탕화면을 시각적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410, 430)가 불투명한 특성 색상이나 이미지로 표현되어, 단말기(100) 사용자가 해당 색상이나 이미지를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음은 상기와 같다.On the right side of Fig. 4, an edit icon masked with masks 410 and 430 in circular and triangular styles is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4, the masks 410 and 430 may be transparently process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terminal 100 so that the user may visually recognize the background screens corresponding to the masks 410 and 430. In addition, as the masks 410 and 430 are expressed as opaque characteristic colors or images, the user of the terminal 100 may visually recognize the corresponding colors or images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terminal 100.

단말기(100) 사용자는 원형 또는 삼각형의 편집아이콘(420, 440)을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단말기(100)는, 컨텐츠(340)에 블록(330)을 설정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내부에 기 저장된 마스크(410, 430)의 개수에 따라 2개의 편집아이콘(420, 440)을 생성하여 내부에 저장한다.The user of the terminal 100 visually recognizes the edit icons 420 and 440 of a circle or a triangle through a display screen. As such, when the terminal 100 receives an input for setting the block 330 to the content 340, the terminal 100 generates two edit icons 420 and 440 according to the number of masks 410 and 430 previously stored therein. Save it internally.

상기에서는, 편집아이콘(420, 440)을 마스크(410, 430)을 제외한 부분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단말기(100)는 편집아이콘(420, 440) 및 마스크(410, 430)를 포함한 전체를 편집아이콘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이때, 단말기(100)가 사용자 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편집아이콘의 형태만 마스크(410, 440)의 투명 또는 불투명 특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editing icons 420 and 440 are limited to parts except for the masks 410 and 430, but the terminal 100 edits the entirety including the editing icons 420 and 440 and the masks 410 and 430. It may be recognized as an icon. In this case, only the shape of the edit icon that the terminal 100 provides to the user visually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ransparent or opaque characteristics of the masks 410 and 440.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라 아이콘이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된 단말기(100)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3 좌측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문자 메시지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310)이, 원형 스타일의 편집아이콘(420)으로 변경되어 단말기(100)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나타낸다.5 is an exemplary view of a display screen of the terminal 100 in which an icon is chang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4. Referring to FIG. 5, an icon 310 for executing a text message function displayed on the screen on the left side of FIG. 3 is changed to an edit icon 420 of a circular style an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terminal 100. .

단말기(100)는 컨텐츠(340)를 편집하고 마스킹하면, 내부에 설정된 스타일의 마스크 개수에 따라 별도로 복수의 편집아이콘(420, 440)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 화면에 기 디스플레이한 하나 이상의 아이콘의 표현 스타일이 원형 스타일임을 확인한 후, 원형 스타일의 편집아이콘(420)을 아이콘(310) 대신에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한다.When the terminal 100 edits and masks the content 340, the terminal 100 generates a plurality of edit icons 420 and 440 separately according to the number of masks of the style set therein, and the expression style of one or more icons previously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After confirming that the circular style, the circular style edit icon 420 is changed and displayed instead of the icon 310.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서 변화된 단말기(100)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의 실시예와 같이 단말기(100)가 원형 스타일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던 도중, 단말기(100)가 입력장치를 통해 세모 스타일로의 스타일변경입력을 수신하면, 도 5의 디스플레이화면에서 편집아이콘(420)을 제외한 나머지 세 개의 아이콘을 세모 스타일의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도 6과 같이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세모 스타일의 아이콘은 단말기(100) 내부에 기 저장된 아이콘이다.FIG. 6 is an exemplary view of a changed display screen of the terminal 100 in the embodiment of FIG. 5. As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 5, when the terminal 100 receives a style change input to a triangular style through an input device while the terminal 100 displays an icon of a circular style, an edit icon ( The remaining three icons except for 420 are changed to a triangular style icon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as shown in FIG. 6. At this time, the triangular style icon is an icon previously stored in the terminal 100.

그리고 원형 스타일의 편집아이콘(420)은 해당 편집아이콘(420)과 같이 생성하여 단말기(100) 내부에 기 저장된 세모 스타일의 편집아이콘(440)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한다.In addition, the circular style edit icon 420 is generated as the corresponding edit icon 420 and is changed to the tri-style edit icon 440 previously stored in the terminal 100 to be displayed.

도 7은 도 4의 실시예에서 생성된 편집아이콘(420, 440)이 변화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단말기(100)는 도 4와 같이 편집아이콘(420, 440)을 생성한 후, 사용자로부터 편집아이콘(420, 440)에 특성아이콘(710, 730)을 겹치도록 배치하는 입력을 수신하여 특성편집아이콘(720, 740)을 생성하고 저장한다.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how the edit icons 420 and 440 generated in the embodiment of FIG. 4 are changed. After the terminal 100 generates the edit icons 420 and 440 as shown in FIG. 4, the terminal 100 receives an input for arranging the feature icons 710 and 730 to overlap the edit icons 420 and 440 from the user. Create and store 720, 740.

사용자가 도 3의 실시예에 표현된 문자메시지 기능을 실행하는 아이콘(310)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도 7과 같이 문자메시지 특성을 나타내는 편지봉투 모양의 특성아이콘(710, 730)을, 편집아이콘(420, 440)에 부가하여 특성편집아이콘(720, 740)을 생성한다.When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icon 310 for executing the text message function represented in the embodiment of FIG. 3, the terminal 100 has an envelope-shaped characteristic icon 710 representing the text message characteristic as shown in FIG. 7. 730 is added to the edit icons 420 and 440 to generate the property edit icons 720 and 740.

이때, 특성아이콘(710, 730)은, 단말기(100)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편집아이콘(420, 440)에 부가할 여러 종류의 특성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편집아이콘(420, 440)에 특성아이콘을 배치할 위치를 입력받아 생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haracteristic icons 710 and 730 display various kinds of characteristic icons to be added to the edit icons 420 and 440 by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display the edit icons 420 from the user. , 440 may be generated by receiving a position to place the characteristic icon.

즉, 단말기(100)가 컨텐츠(340)가 블록(330)을 설정하는 편집입력을 수신한 후, 단말기(100)가 특성아이콘(710, 730) 부가를 위한 입력을 수신하면, 단말기(100)는 여러 종류의 특성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부터 특성아이콘(710, 730)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블록(330)에 특성아이콘(710, 730)을 배치하는 입력을 수신하여, 특성편집아이콘(720, 740)을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That is, after the terminal 100 receives an edit input for setting the block 330 to the content 340, the terminal 100 receives an input for adding characteristic icons 710 and 730. May display various kinds of characteristic icons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and receive input for selecting the characteristic icons 710 and 730 from the user. In addition, the terminal 100 may receive an input for placing the characteristic icons 710 and 730 in the block 330, and generate and store the characteristic editing icons 720 and 740.

이때, 단말기(100) 사용자는 컨텐츠(340)에 블록을 설정한 후 특성아이 콘(710, 730)을 부가하여 특성편집아이콘(720, 740)을 생성하는 것처럼 시각적으로 인식할 것이나, 단말기(100)는 컨텐츠(340)에 설정된 블록(330) 부분에 마스크(410, 430)를 덮어 마스킹하고, 그 위에 특성아이콘(710, 730)을 상위 계층으로 덮어 특성편집아이콘(720, 740)을 생성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user of the terminal 100 may visually recognize the content 340 by setting the block and then adding the characteristic icons 710 and 730 to generate the characteristic editing icons 720 and 740. ) Masks the masks 410 and 430 on the block 330 set in the content 340, and creates the feature editing icons 720 and 740 by covering the feature icons 710 and 730 with the upper layer. do.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단말기(100)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실시예에서 편집아이콘(420, 440)을 생성하고, 도 7의 실시예에서 편집아이콘(420, 440)에 특성아이콘(710, 730)을 부가하여 특성편집아이콘(720, 740)을 생성한 후, 도 3의 아이콘(310)을 특성편집아이콘(720)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한 실시예를 나타낸다.8 is an exemplary view of a display screen of the terminal 100 display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FIG. 8 generates the edit icons 420 and 440 in the embodiment of FIG. 4, and adds the feature icons 710 and 730 to the edit icons 420 and 440 in the embodiment of FIG. 7. After generating 740, the icon 310 shown in FIG. 3 is changed to the property editing icon 720 and displayed.

도 8의 실시예에서는 도 5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단말기(100)가, 기 디스플레이한 하나 이상의 아이콘의 표현 스타일이 원형 스타일임을 확인한 후, 원형 스타일의 특성편집아이콘(720)을 아이콘(310) 대신에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8, as in the embodiment of FIG. 5, the terminal 100 confirms that the representation style of one or more icons previously displayed is a circular style, and then replaces the circular style characteristic editing icon 720 with the icon 310. Is displayed on the screen.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서 변화된 단말기(100)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8의 실시예와 같이 단말기(100)가 원형 스타일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던 도중, 입력장치를 통해 세모 스타일로의 스타일변경입력을 수신하면, 도 8의 디스플레이화면에서 특성편집아이콘(720)을 제외한 나머지 세 개의 아이콘을 세모 스타일의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도 9과 같이 디스플레이한다. FIG. 9 is an exemplary view of a display screen of the terminal 100 changed in the embodiment of FIG. 8. As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 8, when the terminal 100 receives a style change input to a triangular style through an input device while the terminal 100 displays an icon of a circular style, except for the feature editing icon 720 on the display screen of FIG. 8. The remaining three icons are changed to a triangular style icon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as shown in FIG. 9.

그리고 원형 스타일의 특성편집아이콘(720)은 해당 특성편집아이콘(720)과 같이 생성하여 단말기(100) 내부에 기 저장된 세모 스타일의 특성편집아이콘(740)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한다.The characteristic style editing icon 720 of the circular style is generated as the corresponding characteristic editing icon 720 and is changed to the characteristic style editing icon 740 of the tri-style previously stored in the terminal 100 and displayed.

본 발명에 따라 아이콘을 변경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A process of changing an ic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0.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를 이용한 아이콘 변경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기(100)가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복수의 아이콘 중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한다(S10). 단계(S10)에서 디스플레이하는 하나 이상의 아이콘은 단말기(100) 내부에 기 저장된 아이콘으로, 단말기(100) 제조사가 디폴트로 제공하는 아이콘이거나, 단말기(100)가 네트워크(120)를 통해 컨텐츠서버(110)로부터 수신하여 내부에 저장한 아이콘일 수 있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con change process using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0, the terminal 100 displays one or more icons represented by a specific style among a plurality of icons represented by a plurality of styles on the display apparatus (S10). At least one icon displayed in step S10 is an icon pre-stored in the terminal 100 and is an icon provided by a manufacturer of the terminal 100 by default, or th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content server 110 through the network 120. It may be an icon received from and stored therein.

이후, 단말기(100)가 입력장치를 통해, 단계(S10)에서 디스플레이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 중 변경 대상인 특정 아이콘을 선택하는 선택입력을 수신한다(S15). 예를 들어, 단계(S10)에서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한 단말기(100)가 해당 터치스크린에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고, 단계(S15)에서는 단말기(100)가 해당 터치스크린을 통해 변경 대상인 특정 아이콘을 일정시간 이상 터치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방식으로 선택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reafter, the terminal 100 receives a selection input for selecting a specific icon to be changed from one or more icons displayed in step S10 through the input device (S15). For example, in step S10, the terminal 100 including the touch screen displays one or more icons expressed in a specific style on the touch screen, and in step S15, the terminal 100 uses the corresponding touch screen. The selection input may be received by receiving an input of touching a specific icon to be chang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단계(S15)에서 선택입력을 수신한 단말기(100)는 내부에 기 저장된 컨텐츠를 편집하는데 이용되는 메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한다(S20). 단계(S20)에서는 단말기(100)가 입력장치를 통해 편집 대상이 되는 컨텐츠를 선택받고, 선택된 컨텐츠와 함께 해당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 계(S2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편집메뉴가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비율확대, 비율축소, 회전, 잘라내기, 복사, 붙이기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은 상기와 같다.Upon receiving the selection input in step S15, the terminal 100 displays a menu used for editing content previously stored therein on the display device (S20). In operation S20, the terminal 100 may select content to be edited through an input device and display an editing menu for edit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along with the selected content. As described above, the editing menu displayed in step S20 may provide functions such as enlargement, reduction, rotation, cut, copy, and paste for editing content.

단계(S20)에서 편집메뉴를 디스플레이한 단말기(100)는 편집메뉴를 이용하여 입력장치를 통해 편집입력을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컨텐츠를 편집한다(S25). 단계(S25)에서는, 예를 들어, 단말기(100)가 컨텐츠 중 일부분을 블록설정하는 편집입력을 수신하면, 블록에 해당하는 부분을 잘라내는 방식으로 컨텐츠를 편집할 수 있다.The terminal 100 displaying the edit menu in step S20 receives an edit input through the input device using the edit menu, and edits the content corresponding thereto (S25). In step S25,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100 receives an edit input for setting a part of the content, the terminal 100 may edit the content by cutting a part corresponding to the block.

단계(S25)에서 컨텐츠를 편집한 단말기(100)는 편집된 컨텐츠에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복수의 스타일로 마스킹하여(S30), 해당 복수의 스타일로 각각 표현된 복수의 편집아이콘을 생성한다(S35).In step S25, the terminal 100 edits the content in a plurality of styles so as to partially overlap the edited content (S30), and generates a plurality of edit icons respectively expressed in the plurality of styles (S35). .

단계(S30)에서는,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삼각형 등의 도형 모양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마스크를, 기 편집된 컨텐츠에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덮어 마스킹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는 편집된 컨텐츠와 마스크가 겹치는 부분을 투명하게 처리할 수 있고, 불투명한 색상 또는 특정 이미지로 처리할 수도 있다.In operation S30, for example, a mask having an empty interior in a shape of a circle, an ellipse, a rectangle, a square, or a triangle may be masked so as to partially overlap the already edited content. In this case, the terminal 100 may transparently process a portion where the edited content overlaps with a mask, or may process an opaque color or a specific image.

만일, 단말기(100)가 단계(S35)에서 복수의 편집아이콘을 생성한 후 해당 편집아이콘을 저장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단계(S35)에서 생성한 복수의 편집아이콘을 저장하고, 단계(S10)에서 디스플레이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의 스타일에 맞는 특정 편집아이콘을, 변경 대상인 특정 아이콘 대신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f the terminal 100 generates a plurality of edit icons in step S35 and receives an input for storing the corresponding edit icons, the terminal 100 stores the plurality of edit icons generated in step S35, and step S10. A specific edit icon that matches the style of one or more icons displayed at can be displayed instead of the specific icon to be changed.

반대로, 단계(S35)에서 편집아이콘을 생성한 후 단말기(100)가 편집아이콘의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아이콘 부가를 위한 입력을 수신하면, 단계(S35)에서 생성된 복수의 편집아이콘에 특성아이콘을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배치하여 복수인 별개의 특성편집아이콘을 생성하고 저장한다(S40).On the contrary, when the terminal 100 receives an input for adding a characteristic icon indicat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editing icon after generating the editing icon in step S35, the characteristic icon is partially added to the plurality of editing icons generated in step S35. Arranged so as to overlap with each other to create and store a plurality of distinct characteristic editing icons (S40).

단계(S40)에서 복수의 특성편집아이콘을 생성하고 저장한 단말기(100)는, 단계(S10)에서 디스플레이한 하나 이상의 아이콘의 스타일과 동일한 스타일의 특성편집아이콘을, 단계(S15)에서 선택된 특정 아이콘 대신에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변경한다(S45).In step S40, the terminal 100 generates and stores a plurality of property editing icons, and the property editing icon having the same style as the style of the one or more icons displayed in step S10 is selected by the specific icon selected in step S15. Instead, the method is changed to display (S45).

단계(S45)에서 특정 아이콘을 특정 특성편집아이콘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한 후, 단말기(100)가 입력장치를 통해 다른 특정 스타일로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스타일을 변경하기 위한 스타일변경입력을 수신하면(S50), 해당 다른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한다(S55).After changing and displaying a specific icon as a specific characteristic editing icon in step S45, when the terminal 100 receives a style change input for changing the display style of the icon to another specific style through the input device (S50), The display is changed to an icon represented by another specific style (S55).

단계(S55)에서는, 단계(S10)에서 디스플레이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 중, 단계(S45)에서 특정 특성편집아이콘으로 변경된 특정 아이콘을 제외한 나머지 아이콘을, 내부에 기 저장된 다른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단계(S45)에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한 특정 특성편집아이콘을, 단계(S40)에서 저장된 다른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다른 특성편집아이콘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한다.In step S55, one or more icons represented by other specific styles prestored therein are stored among the one or more icons displayed in step S10 except for the specific icon changed to the specific property editing icon in step S45. Change to display. In addition, the terminal 100 changes and displays the specific characteristic editing icon displayed by changing in step S45 to another characteristic editing icon expressed in another specific style stored in step S40.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for illustra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as such,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many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And all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refore to be regarde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편집하고 편집아이콘을 생성하여 기존의 아이콘 대신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아이콘으로 사용하기 원하는 어떠한 시각적 컨텐츠라도 기존의 아이콘 대신에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사용자는 단말기의 아이콘 스타일을 마음대로 변경할 수 있고, 스타일 변경시 컨텐츠로 변경한 아이콘도 자동으로 스타일이 바뀌기 때문에, 단말기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dit the content using the terminal and create an edit icon to be used in place of the existing icon. This means that any visual content that the user wants to use as an icon can be used in place of the existing icon. In addition, the user can change the icon style of the terminal at will, and the icon changed to the content is automatically changed in style when the style is changed,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terminal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콘 변경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icon change system us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 변경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con change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아이콘을 나타낸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icon crea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3.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단말기 화면의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of a terminal screen display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서 변화된 단말기 화면의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view of a terminal screen changed in the embodiment of FIG.

도 7은 도 4의 실시예에서 생성된 편집아이콘의 변화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7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changed state of an edit icon generated in the embodiment of FIG. 4.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단말기 화면의 예시도이다.8 is an exemplary view of a terminal screen display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서 변화된 단말기 화면의 예시도이다.9 is an exemplary view of a terminal screen changed in the embodiment of FIG. 8.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콘 변경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hanging an icon us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단말기 110: 컨텐츠서버100: terminal 110: content server

120: 네트워크 210: 송수신부120: network 210: transceiver

220: 입력부 230: 저장부220: input unit 230: storage unit

240: 디스플레이부 250: 제어부240: display unit 250: control unit

Claims (17)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복수의 아이콘을 제공하는 컨텐츠서버;A content server providing a plurality of icons represented in a plurality of styles through a network; 상기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복수의 아이콘을 제공받아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복수의 아이콘 중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 중 변경 대상인 특정 아이콘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하면 기 저장한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메뉴를 제공하며, 상기 편집메뉴를 이용하여 편집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편집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를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컨텐츠에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상기 복수의 스타일로 마스킹(masking)하여 상기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복수의 편집아이콘을 생성하여 저장하며, 상기 선택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아이콘을 상기 복수의 편집아이콘 중 상기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특정 편집아이콘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Receives and stores a plurality of icons expressed in the plurality of styles from the content server, displays one or more icons represented by a specific style among the plurality of stored icons, and displays a specific icon to be changed among the displayed one or more icons. When the selection input is received, an edit menu for editing the pre-stored content is provided, and when the edit input is received using the edit menu, the content is edited in response to the edit input, and the edited content is partially edited. Masking the plurality of styles so as to overlap each other to generate and store a plurality of edit icons represented by the plurality of styles, and expressing the specific ic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put in the specific style among the plurality of edit icons. To display a specific edit icon End; 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콘 변경시스템.Icon change system using a terminal comprising a. 컨텐츠 및 임의의 아이콘 저장을 위한 저장부;A storage unit for storing content and any icon;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부;An input unit for user input; 시각적 표현을 위한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for visual expression;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복수의 아이콘 중 특정 스타 일로 표현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된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 중 변경 대상인 특정 아이콘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편집메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부를 통해 편집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편집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컨텐츠를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컨텐츠에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상기 복수의 스타일로 마스킹하여 상기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복수의 편집아이콘을 생성하고 저장하며, 상기 선택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아이콘을 상기 복수의 편집아이콘 중 상기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특정 편집아이콘으로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One or more icons represented by a specific style among a plurality of icons represented by a plurality of styl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a selection input for a specific icon which is a change target among the displayed one or more icons is displayed through the input unit. Receives an editing menu for editing the content on the display unit, and if receiving an edit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using the edit menu, and edits the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in response to the edit input Masking the plurality of styles to partially overlap the edited content to generate and store a plurality of edit icons represented by the plurality of styles, wherein the specific ic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put is stored among the plurality of edit icons. Represented in the above specific style A control unit for changing to a specific editing icon and displaying the same on the display unit; 를 포함하는 단말기.Terminal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컨텐츠 중 일부분을 블록설정하는 상기 편집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블록에 해당하는 부분을 잘라내는 방식으로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And receiving the edit input for block setting a part of the content, and editing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block by cutt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마스킹한 부분을 투명하게 처리하여 상기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상기 복수의 편집아이콘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And transparently processing the masked portion to generate the plurality of edit icons represented in the plurality of styl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복수의 편집아이콘을 생성한 후,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을 받아 상기 복수의 편집아이콘의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아이콘을 상기 복수의 편집아이콘과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배치하여 상기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복수의 특성편집아이콘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선택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아이콘을 상기 복수의 특성편집아이콘 중 상기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특정 특성편집아이콘으로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After generating the plurality of edit icons, a plurality of properties expressed in the plurality of styles by receiving the input from the input unit to arrange a feature icon representing the properties of the plurality of edit icons to partially overlap the plurality of edit icons And generating and storing an editing icon, and changing the specific ic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put into a specific characteristic editing icon expressed in the specific style among the plurality of characteristic editing icons and displaying the same on the display uni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복수의 아이콘을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상기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control unit receives a plurality of icons represented by the plurality of styles from a content server connected through a network through the transceiver, and stores the plurality of icons in the storage unit. And displaying the at least one icon on the display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특정 편집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스타일 중 다른 특정 스타일로의 스타일변경입력을 수신하면, After displaying the specific editing icon on the display unit, and receiving a style change input to another specific style among the plurality of styles through the input unit,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상기 하나 이 상의 아이콘 중 상기 특정 편집아이콘으로 변경된 특정 아이콘을 제외한 나머지 아이콘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상기 다른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특정 편집아이콘을 상기 복수의 편집아이콘 중 상기 다른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다른 편집아이콘으로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remaining icons, except for the specific icon changed to the specific editing icon, among the one or more icons represented by the specific styl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may be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icons represented by the plurality of styl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Change to an icon represented by another specific style and display the display on the display unit, and change the specific edit icon to another edit icon represented by the other specific style among the plurality of edit icons and display the display on the display unit. Termin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특정 특성편집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스타일 중 다른 특정 스타일로의 스타일변경입력을 수신하면, After displaying the specific characteristic editing icon on the display unit and receiving a style change input to another specific style among the plurality of styles through the input unit,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 중 상기 특정 특성편집아이콘으로 변경된 특정 아이콘을 제외한 나머지 아이콘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상기 다른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특정 특성편집아이콘을 상기 복수의 특성편집아이콘 중 상기 다른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다른 특성편집아이콘으로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remaining icons except for the specific icon changed to the specific property editing icon among the one or more icons represented by the specific styl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may be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icons represented by the plurality of styl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Change to an icon represented by another specific style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unit, and change the specific characteristic edit icon to another characteristic edit icon represented by the other specific style among the plurality of characteristic edit icons to display on the display uni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단말기가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복수의 아이콘 중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디스플레이단계;A first display step of displaying, by the terminal, one or more icons represented by a specific style among a plurality of icons represented by a plurality of styles; 상기 단말기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 중 변경 대상인 특정 아이콘을 선택하는 선택입력을 수신하면 기 저장된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선택단계;A selection step of displaying an editing menu for editing previously stored contents when the terminal receives a selection input for selecting a specific icon to be changed from among the one or more displayed icons; 상기 단말기가 상기 편집메뉴를 이용하여 편집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편집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를 편집하는 편집단계;An editing step of editing the content in response to the editing input when the terminal receives an editing input using the editing menu; 상기 단말기가 상기 편집된 컨텐츠에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상기 복수의 스타일로 마스킹하여 상기 복수의 스타일로 각각 표현된 복수의 편집아이콘을 생성하고 내부에 저장하는 생성단계;Generating a plurality of editing icons respectively expressed in the plurality of styles by masking the plurality of styles so that the terminal partially overlaps the edited content, and storing the edited icons in the plurality of styles; 상기 단말기가 상기 특정 아이콘을 상기 복수의 편집아이콘 중 상기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특정 편집아이콘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2디스플레이단계;A second display step of changing, by the terminal, the specific icon into a specific edit icon expressed in the specific style among the plurality of edit icons; 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콘 변경방법.Icon change method using a terminal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 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1디스플레이단계 전에 상기 단말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복수의 아이콘을 수신하여 내부에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더 포함하고,And a storage step of receiving, by the terminal, a plurality of icons represented by the plurality of styles from a content server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storing the icons therein before the first display step. 상기 제1디스플레이단계는 상기 저장단계에서 저장한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상기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콘 변경방법.And the first display step displays the one or more icons expressed in the specific style among the plurality of icons stored in the storing step.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1디스플레이단계는 상기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상기 단말기에 포함된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고,The first display step displays one or more icons represented by the specific style on a touch screen included in the terminal, 상기 선택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특정 아이콘에 대한 일정시간 이상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방식으로 상기 선택입력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콘 변경방법.In the selecting step, the terminal receives the selection input in a manner of receiving a touch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for the specific ic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단계는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editing step 상기 단말기가 상기 컨텐츠 중 일부분을 블록설정하는 상기 편집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블록에 해당하는 부분을 잘라내는 방식으로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콘 변경방법.And when the terminal receives the edit input for block setting a part of the content, edits the icon by cutting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block.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단계는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generating step 상기 마스킹한 부분을 투명하게 처리하여 상기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상기 복수의 편집아이콘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콘 변경방법.Transparently processing the masked portion to generate the plurality of edit icons represented in the plurality of styl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단계는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generating step 상기 복수의 편집아이콘을 생성한 후, 상기 단말기가 상기 복수의 편집아이 콘의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아이콘을 상기 복수의 편집아이콘과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배치하여 상기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복수의 특성편집아이콘을 생성하여 내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콘 변경방법.After generating the plurality of edit icons, the terminal arranges the property icons representing the properties of the plurality of edit icons to partially overlap the plurality of edit icons, thereby expressing the plurality of property edit icons represented in the plurality of styles. Method for changing the icon using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nd storing the insid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단계는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econd display step 상기 선택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아이콘을 상기 복수의 특성편집아이콘 중 상기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특정 특성편집아이콘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콘 변경방법.And changing and displaying the specific ic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put into a specific characteristic editing icon expressed in the specific style among the plurality of characteristic editing icon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단계 후에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fter the second display step 상기 단말기가 상기 복수의 스타일 중 다른 특정 스타일로의 스타일변경입력을 수신하면,When the terminal receives a style change input to another specific style among the plurality of styles, 상기 제1디스플레이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상기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 중 상기 제2디스플레이단계에서 상기 특정 편집아이콘으로 변경된 특정 아이콘을 제외한 나머지 아이콘을, 상기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상기 다른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특정 편집아이콘을 상기 복수의 편집아이콘 중 상기 다른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다른 편집아이콘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콘 변경방법.The plurality of icons represented by the plurality of styles, among the one or more icons displayed in the specific display style,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stage, except for the specific icon changed to the specific editing icon in the second display stage; Change and display the specific edited icon as another edited icon represented by the other specific style among the plurality of edited icons, and display the changed one of the plurality of edited icons. Way.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단계 후에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after the second display step 상기 단말기가 상기 복수의 스타일 중 다른 특정 스타일로의 스타일변경입력을 수신하면,When the terminal receives a style change input to another specific style among the plurality of styles, 상기 제1디스플레이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상기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콘 중 상기 제2디스플레이단계에서 상기 특정 특성편집아이콘으로 변경된 특정 아이콘을 제외한 나머지 아이콘을, 상기 복수의 스타일로 표현된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상기 다른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특정 특성편집아이콘을 상기 복수의 특성편집아이콘 중 상기 다른 특정 스타일로 표현된 다른 특성편집아이콘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콘 변경방법.The plurality of icons represented by the plurality of styles of the one or more icons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step except for the specific icon changed to the specific property editing icon in the second display step; And changing and displaying the specific property editing icon into another property editing icon expressed in the other specific style among the plurality of property editing icons. How to change icon using.
KR1020090090466A 2009-09-24 2009-09-24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icon using terminal, and terminal thereof KR1013122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466A KR101312297B1 (en) 2009-09-24 2009-09-24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icon using terminal, and terminal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466A KR101312297B1 (en) 2009-09-24 2009-09-24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icon using terminal, and terminal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794A true KR20110032794A (en) 2011-03-30
KR101312297B1 KR101312297B1 (en) 2013-09-30

Family

ID=43937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466A KR101312297B1 (en) 2009-09-24 2009-09-24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icon using terminal, and terminal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2297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5908A (en) * 2012-05-10 2013-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3677611A (en) * 2012-09-24 2014-03-26 联想(北京)有限公司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6569669A (en) * 2016-11-04 2017-04-19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Methods and devices for creating shortcut and displaying application icon in desktop
US10387014B2 (en) 2013-02-22 2019-08-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icons displayed on touch screen and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73487B1 (en) * 2003-12-19 2009-08-11 Adobe Systems Incorporated Dynamically transformable user interface icon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5908A (en) * 2012-05-10 2013-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3677611A (en) * 2012-09-24 2014-03-26 联想(北京)有限公司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US10387014B2 (en) 2013-02-22 2019-08-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icons displayed on touch screen and method therefor
CN106569669A (en) * 2016-11-04 2017-04-19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Methods and devices for creating shortcut and displaying application icon in deskto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2297B1 (en) 2013-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7385B1 (en) Mobile terminal able to control widget type wallpaper and method for wallpaper control using the same
JP5784944B2 (en) Electronics
KR10079007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st access to application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10684760B2 (e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hanging a configuration of a screen displaying function items
JP2005108041A (en) Method for displaying menu screen on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JP5904704B2 (en) Control widget providing method and device using the same
KR20100114945A (en) User interface generation device
KR20100021007A (en) Unlocking a touch screen device
US20150082211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editing user interface
JP2008217640A (en) Item selection device by tree menu, and computer program
KR101312297B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icon using terminal, and terminal thereof
JP5846751B2 (en) Electronics
KR20070107892A (en) Method for contents of folder management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JP6041939B2 (en) Electronics
JP2008084323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001706B2 (en) Function setting device for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7274275A (en) Menu item display method i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55145B1 (en) Help message display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icon menu selection
JP2002229705A (en)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KR100783111B1 (en) Method for displaying Menu using hiding function of portable Terminal
JP2014134950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140142488A (en) An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developing responsive widget
JP2003050698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picture
JP2010170410A (en) Operating system setting system, operating system providing server, operating system setting method and operating system setting program
KR20080097021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letter inpu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