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2207A - Calender-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Calender-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2207A
KR20110032207A KR1020090089594A KR20090089594A KR20110032207A KR 20110032207 A KR20110032207 A KR 20110032207A KR 1020090089594 A KR1020090089594 A KR 1020090089594A KR 20090089594 A KR20090089594 A KR 20090089594A KR 20110032207 A KR20110032207 A KR 20110032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ture
user
management unit
menu
calend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5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건형
임선주
서근택
정진섭
감비성
백선용
이상엽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89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2207A/en
Publication of KR20110032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20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5Supply or demand aggre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calendar-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is provided to automatically record or reproduce lecture contents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schedule of a lecture. CONSTITUTION: A log-in management unit(20) stores log-in information for users(15a-15d). A lecture management unit(30) displays a lecture schedule in calendar format, and provides a screen and a use-available menu differently according to each user. According to the lecture schedule, the lecture management unit provides the users with the automatically-recorded lecture contents. A cooperative purchasing management unit(40) provides a cooperative purchasing function for purchasing a basic learning material and a product.

Description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스템{Calender-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Calendar-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Calender-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의 내용을 자동으로 녹음 또는 녹화하여 서버에 저장하며, 강의 일정을 캘린더형의 강의 시간표로 제공하기 위한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endar-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lendar-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for automatically recording or recording lecture contents and storing them in a server, and providing a lecture schedule as a calendar lecture schedule. .

일반적으로 대학생들은 강의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강의 내용을 재생하거나 다운로드 받아서 강의 내용을 예습, 복습하기를 원한다. 그리고 교수들은 강의를 효율적으로 개설하고 강의 내용을 시스템에 업로드하여 학생들에게 제공하기를 원한다. 또한, 관리자는 학사 일정을 실시간으로 전달하고 강의에 대한 평가가 빠지지 않고 이루어져 강의를 정확하게 평가하고 통계하여 결과를 산출하기를 원한다. In general, college students want to manage lecture time effectively and to read or replay the contents of the lectures by downloading or downloading them. In addition, professors want to create lectures efficiently and upload the contents of the lectures to the system and provide them to students. In addition, the manager wants to deliver the academic calendar in real time, and the evaluation of the lecture is made without fail.

이에 기존에 개발된 학습관리 시스템은 단지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단순하게 결합하는 정도에 불과하여 서로 다른 요구 사항을 갖는 대학생, 교수, 관리자를 모두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Therefore, the existing learning management system is merely a simple combination of functions desired by the user, and thus does not satisfy all university students, professors, and administrators with different requirements.

이는 통합 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교육 과정에서는 기존의 학습관리시스템이 효율적이지 못하다. 특히, 한 과목 내에서 수명 내지는 수십 명의 교수진이 참여하 는 통합 교육 시스템인 의과대학에서는 기존의 학습관리 시스템이 강의 일정 등을 전혀 효율적으로 관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This is because the existing learning management system is not efficient in the curriculum that implements integrated education. In particular, in the medical school, which is an integrated education system involving life span or dozens of faculty members within a subject, the existing learning management system does not manage the lecture schedule at all efficiently.

특히 의과대학에서는 강의 일정이 복잡하고 다양하고, 강의 일정이 일정하지 않으며, 강의 일정도 수시로 변경된다. 또한, 한 강의(과목)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강사가 담당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강의에 대한 강사, 강의 자료도 서로 다르다. 아울러, 의과대학에서는 각 강의에 대하여 매주 시험이 치러져서 시험 범위 및 자료를 파악하는 것도 어렵다. Especially in the medical school, the lecture schedule is complicated and diverse, the lecture schedule is not constant, and the lecture schedule changes from time to time. In addition, different lecturers may be in charge of one lecture (subject), and accordingly, the lecturers and lecture materials for each lecture are also different. In addition, medical schools have weekly exams for each class, making it difficult to determine the scope and data.

이에 의과대학에서는 방대한 양의 강의 내용을 전부 공부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정리된 강의록, 필기 노트, 특히 족보를 서로 공유하려는 노력이 있지만 이에 대하여 시스템 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Therefore,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study a huge amount of lectures in medical schools, but there is an effort to share organized lecture notes, handwritten notes, and especially genealogies.

즉, 강의록 및 강의 내용을 서로 공유하고, 강의 자료를 효과적으로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할 수 있으며, 강의 일정 이외에 학사 일정, 강의에 필요한 물품의 구매, 커뮤니티를 위한 게시판 등의 기능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학습 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In other words,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can share lecture notes and lecture contents with each other, upload or download lecture materials effectively, and provide functions such as academic schedules, purchase of items for lectures, and bulletin boards for the community. Has been require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강의 일정에 따라 강의 내용을 자동으로 녹음 또는 녹화하여 서버에 저장하고 이를 캘린더형의 강의 시간표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는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lendar 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that can automatically record or record lecture contents according to a lecture schedule and store them in a server, and provide them through a calendar-type lecture timetable. will be.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스템은 로그인 관리부, 강의 관리부 및 공동 구매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로그인 관리부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로그인하는 사용자의 등록 여부를 판별하며, 상기 로그인하는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강의 관리부는 강의 일정을 캘린더(calender)형으로 표시하고, 상기 로그인하는 사용자에 따라 강의 일정이 표시되는 화면 및 사용 가능한 메뉴를 다르게 제공하며, 상기 강의 일정에 따라 자동으로 녹음 또는 녹화된 강의 내용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공동 구매 관리부는 상기 강의에 필요한 교재 및 물품을 공동으로 구매하는 공동 구매 기능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endar 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gin manager, a lecture manager, and a joint purchase manager. The login manager determines whether a user who logs in using a user terminal is registered and stores login information of the user who logs in. The lecture manager displays a lecture schedule in a calendar type, provides a screen in which the lecture schedule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user who logs in, and an available menu, and automatically records or records recorded lectures according to the lecture schedule. To the user. The joint purchase management unit provides a joint purchase function for jointly purchasing textbooks and articles required for the lectu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암호화하여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후 로그인을 자동으로 인증하며, 상기 저장된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 횟수를 통계하여 산출한다.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gin manager encrypts and provides the user's logi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o automatically authenticate the user's subsequent login, and uses the user's login information for the stored user. It is calculated by counting the number of login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강의 관리부는 상기 로그인하는 사용자를 학생, 학번, 교수 및 관리자로 구분하여, 상기 로그인하는 사용자에 따라 다른 화면을 제공하거나 서로 다른 메뉴를 제공한다.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cture manager divides the logged-in user into a student, student number, professor, and administrator, and provides different screens or different menus according to the logged-in us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강의 관리부는 상기 강의 일정이 표시된 강의 시간표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바탕 화면에 표시되고, 상기 강의 시간표를 통하여 상기 강의 내용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저장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다운로드 링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의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강의 시간표의 변경 사항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cture management unit displays the lecture timetable on which the lecture schedule is displayed on the desktop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contents of the lecture ar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lecture timetable. Can provide a download link function. The lecture manager may transmit the change of the lecture schedule to the user terminal in real ti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강의 관리부는 모든 사용자들을 트리 구조로 관리함으로써 특정 학번의 강의 시간표를 다른 학번의 표시 화면으로 링크시키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강의 관리부는 상기 다른 학번으로 상기 강의 시간표를 링크시키는 경우에 열람 기능, 재생 기능, 다운로드 기능, 업로드 기능, 편집 기능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한할 수 있다.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cture manager may provide a function of linking lecture schedules of a particular class number to a display screen of another class number by managing all users in a tree structure. In addition, the lecture management unit may limit at least one of a reading function, a playback function, a download function, an upload function, and an editing function when linking the lecture timetable to the another student numb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강의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녹음 또는 녹화된 강의 내용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저장하기 위한 다운로드 기능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강의 내용을 강의 관리부가 연결된 사이트에서 직접 재생하기 위한 스트리밍 기능을 제공한다.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cture management unit is a download function for the user to store the recorded or recorded lecture content in the user's terminal and the user directly plays the lecture content on a site connected to the lecture management unit Provides a streaming function 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강의 관리부는 상기 강의 일정을 복수개의 셀들로 이루어진 캘린더형의 강의 시간표로 표시하며, 상기 강의 시간표 각각의 셀에 강의록 다운로드 메뉴, 녹음 다운로드 메뉴, 녹화 다운로드 메뉴, 필기노트 다운로드 메뉴, 필기노트 업로드 메뉴, 족보 다운로드 메뉴, 족보 업로드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한다.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cture management unit displays the lecture schedule as a calendar-type lecture timetabl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ells, and the lecture list download menu, the recording download menu, the recording download menu, At least one of a writing note download menu, a writing note upload menu, a genealogy download menu, and a genealogy upload menu is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강의 관리부는 상기 강의 일정을 복수개의 셀들로 이루어진 캘린더형의 강의 시간표로 표시하고, 상기 강의 시간표 각각의 셀을 시험범위 별로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강의 관리부는 각 강의에 대한 시험 일정 및 범위가 교수별, 분과별로 자동 정렬된 시험 범위표를 제공할 수 있다.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cture manager displays the schedule of the lecture in a calendar-type lecture schedul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ells, and displays each cell of the lecture schedule in a different color for each test range. In addition, the lecture management unit may provide a test range table in which the test schedules and ranges for each lecture are automatically arranged by professors and division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강의 관리부는 상기 강의 일정을 복수개의 셀들로 이루어진 캘린더형의 강의 시간표로 표시하며, 상기 강의 시간을 변경하기 위한 강의시간 변경 메뉴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강의 시간이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강의 시간표의 셀에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표식을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cture management unit displays the schedule of the lecture as a calendar lecture schedul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ells, and provides a menu for changing the lecture time for changing the lecture time. At this time, when the time of the lecture is changed,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provide a marker indicating that the cell of the changed time schedule of the chang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강의 관리부는 강의 자료를 학기별, 분과별, 교수별로 자동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강의 자료 관리부를 더 포함한다. 이 때, 상기 강의 자료 관리부는 관리자 또는 교수가 지정한 검색어 또는 강의 파일명을 통한 검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cture management unit further includes a lecture data management unit that can automatically provide lecture users by semester, department, professor by class. In this case, the lecture data management unit may provide a search function for providing the user with a search result through a search word or a lecture file name designated by an administrator or professor.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스템은 각 강의실에 배치되어 상기 강의 일정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하여 강의 내용을 녹음 또는 녹화하며, 상기 강의 관리부에 상기 녹음 또는 녹화된 강의 내용을 전송하는 강의 내 용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강의 관리부는 교수의 허용 수준에 따라 상기 강의 내용 전송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endar 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is disposed in each classroom and automatically operates according to the lecture schedule to record or record lecture contents, and the lecture management unit records the recorded or recorded lecture contents. The lecture contents transmiss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ssion unit. At this time, the lecture management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ecture content transmission unit according to the level of permission of the professor.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강의 관리부는 일정 시간 단위로 이루어진 강의 시간표를 학기별로 취합하여 제공하기 위한 시간표 모아보기 메뉴, 학사 일정을 표시하기 위한 학사 일정 메뉴, 시험 시간, 시험 장소, 시험 범위와 같은 시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시험 정보 메뉴, 숙제를 시간 순서대로 표시하기 위한 숙제 정보 메뉴, 간단한 공지 사항 및 알림 사항을 표시하기 위한 간단 메모 메뉴, 강의에 대한 평가를 하기 위한 강의 평가 메뉴들을 제공할 수 있다.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cture management unit collects a timetable consisting of a fixed time unit for each semester to provide a timetable collection menu, the academic calendar menu for displaying the academic calendar, test time, test location, test Exam information menus to display exam information such as ranges, homework information menus to display homework in chronological order, quick memo menus to display brief announcements and reminders, and lecture evaluation menus to evaluate lectures. Can provid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공동 구매 관리부는 상기 로그인한 사용자가 권한에 상관없이 공동 구매를 신청하여 공동 구매 화면을 개설하기 위한 공동 구매 개설 메뉴, 및 신청한 공동 구매 교재 또는 물품에 대한 구매 의사 및 입금 현황을 관리하기 위한 공동 구매 관리 메뉴를 제공한다.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oint purchase management unit for the joint purchase establishment menu for opening a joint purchase screen by applying for a joint purchase by the logged-in user regardless of the authority, and for the joint purchase teaching materials or goods It provides a joint purchase management menu for managing purchase intention and deposit st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들 간의 공유 사항 또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공지 사항을 제공하는 게시판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endar-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bulletin board management unit that provides a shared information between the user or announcements for the us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alendar-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강의 일정에 따라 강의 내용을 자동으로 녹음하거나 녹화하여 서버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강의 내용을 재생하거나 다운로드 받을 수 있 다.First, by automatically recording or recording the lecture contents according to the lecture schedule and storing them on the server, users can play or download the lecture contents in real time.

둘째, 강의 일정을 캘린더형의 강의 시간표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강의 일정을 효율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Second, by providing a lecture schedule as a calendar-type lecture timetable, a user can efficiently check and manage the lecture schedule.

셋째, 강의 일정이 표시된 강의 시간표를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를 링크시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시스템에 로그인하여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Third, by using the lecture timetable in which the lecture schedule is displayed by linking the server and the user terminal,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that the user must log in to the system to check.

넷째, 사용자를 트리 구조로 관리함으로써, 서로 다른 사용자가 보유한 정보를 서로 링크시킬 수 있으며 권한을 효율적으로 제한하거나 관리 할 수 있다. Fourth, by managing users in a tree structure, information held by different users can be linked to each other, and authority can be efficiently restricted or managed.

다섯째, 학습 관리 시스템이 강의 일정 이외에 강의에 필요한 교재, 물품 등을 공동 구매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공동 구매 개설 및 현황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Fifth, since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has a function to jointly purchase textbooks, articles, and the like necessary for lectures in addition to the lecture schedule, the joint purchase establishment and status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A calendar 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the inventive concept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modification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 is shown to be larger than the actual size for clarity of the invention, or to reduce the actual size to understand the schematic configuration.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On the other han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alendar 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스템(10)은 대학(의과 대학)의 강의 일정을 캘린더형의 강의 시간표로 구성하여 학생, 교수, 관리자가 효율적으로 학습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calendar 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a lecture schedule of a college (medical college) as a calendar type lecture timetable so that students, professors, and administrators can efficiently manage learning. To help.

이에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기들(15a, 15b, 15c, 15d)과 연결된 하나의 서버로 구성되거나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서버 들로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alendar 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10 may be configured as one server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s 15a, 15b, 15c, and 15d, 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rvers that perform different function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스템(10)은 로그인 관리부(20), 강의 관리부(30), 공동 구매 관리부(40) 및 게시판 관리부(50)로 구성된다.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endar 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10 includes a login manager 20, a lecture manager 30, a joint purchase manager 40, and a bulletin board manager 50.

로그인 관리부(20)는 사용자 단말기들(15a, 15b, 15c, 15d)을 이용하여 로그인하는 사용자의 등록 여부를 판별한다. 이에 로그인 관리부(20)는 사용자의 등록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인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login manager 20 determines whether a user who logs in using the user terminals 15a, 15b, 15c, and 15d is registered. In this case, the login manager 20 performs an authentication function to determine whether a user is registered.

또한, 로그인 관리부(20)는 로그인하는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 정보를 저장한다. 이에 관리자가 로그인 관리부(20)에 저장된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로그인 횟수를 통계하는 등 다양한 통계 자료를 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gin manager 20 stores login information about a user who logs in. Accordingly, the administrator may calculate various statistical data such as statistics on the number of logins of the user by using the login information of the user stored in the login manager 20.

한편, 로그인 관리부(20)는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들(15a, 15b, 15c, 15d)에 암호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이후에 로그인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로그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login manager 20 may encrypt the user's logi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s 15a, 15b, 15c, and 15d so that the user can automatically log in when the user later logs in.

강의 관리부(30)는 강의 일정, 강의와 관련된 모든 일정들을 관리하고, 강의 일정을 복수개의 셀들로 이루어진 캘린더형의 강의 시간표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셀은 시간 단위 또는 강의 단위에 따라 나누어 질 수 있다.The lecture manager 30 may manage a lecture schedule, all schedules related to the lecture, and provide a calendar-type lecture timetable including a plurality of cells for the lecture schedule. Here, each cell may be divided according to time units or lecture unit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강의 관리부(30)는 로그인하는 사용자에 따라 강의 일정이 표시되는 화면 및 사용 가능한 메뉴, 기능 등을 다르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의 관리부(30)는 학생, 교수, 관리자에 따라 서로 다른 화면을 제공하거나, 동일한 화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메뉴 및 기능을 서로 다르게 하여 제 공할 수 있다. 나아가, 강의 관리부(30)는 학생들 중에서도 학번에 따라 화면, 메뉴,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제공할 수 있다.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cture management unit 30 may provide a different screen and the available menus, functions,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user logging in. For example, the lecture manager 30 may provide different screens according to students, professors, and administrators, or provide different menus and functions that can be used in the same screen. In addition, the lecture manager 30 may provide at least one of a screen, a menu, and functions differently according to student numbers among students.

강의 관리부(30)는 강의 내용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강의 관리부(30)는 강의 일정에 따라 자동으로 녹음 또는 녹화된 강의 내용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강의 관리부(30)는 강의 내용 전송부(31)를 포함한다. The lecture management unit 30 provides the contents of the lecture to the user.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cture management unit 30 includes a lecture content transmission unit 31, in order to provide the user with the lecture content recorded or recorded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lecture schedule. do.

강의 내용 전송부(31)는 각 강의실에 배치되며, 강의 일정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하여 강의 내용을 녹음하거나 녹화한다. 예를 들어, 강의 내용 전송부(31)는 마이크(32)와 카메라(33) 등을 이용하여 강의 내용을 녹음하거나 녹화한다. The lecture content transmitter 31 is disposed in each lecture room, and automatically operates according to the lecture schedule to record or record the lecture contents. For example, the lecture content transmitter 31 records or records lecture contents using a microphone 32, a camera 33, or the like.

한편, 강의 관리부(30)는 교수의 허용 수준에 따라 강의 내용 전송부(3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의 관리부(30)는 교수가 자신의 강의 내용을 녹음만 허락하거나, 발표 자료의 공개만 허락하거나, 녹화까지 모두 허락하는 등 교수의 허용 수준에 따라 강의 관리부(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ecture management unit 3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ecture content transmission unit 31 according to the level of permission of the professor. For example, the lecture management unit 30 operates the lecture management unit 30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professor's permission, such as allowing the professor to record only the contents of his lecture, permit only the publication of the presentation materials, or even permit recording. Can be controlled.

강의 내용 전송부(31)는 녹음 또는 녹화된 강의 내용을 강의 관리부(30)에 전송한다. The lecture content transmitting unit 31 transmits the recorded or recorded lecture contents to the lecture managing unit 30.

강의 관리부(30)는 강의 내용 전송부(31)로부터 전송받은 강의 내용을 저장한다. 이에 강의 관리부(30)는 강의 내용, 즉 강의 자료를 관리하는 강의 자료 관리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ecture manager 30 stores lecture contents received from the lecture contents transmitter 31. The lecture manager 30 may include a lecture data manager 34 that manages lecture contents, that is, lecture data.

강의 자료 관리부(34)는 강의 내용, 즉 강의 자료를 학기별, 분과별, 교수별로 자동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강의 자료 관리부(34)는 사용자의 검색에 응답하여 강의 자료를 제공하는 경우, 강의 자료를 학기별, 분과별, 교수별로 분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강의 자료는 강의 동영상, 강의록, 족보, 강의노트 등 강의 또는 수강에 필요한 모든 자료를 포함한다. The lecture data management unit 34 may automatically classify and store lecture contents, that is, lecture data by semester, division, and professor. In addition, when the lecture data management unit 34 provides lecture data in response to a user's search, the lecture data manager 34 may classify and provide lecture data by semester, department, and professor. Here, the lecture data includes all the data necessary for lectures or lectures, such as lecture videos, lecture notes, genealogy, lecture notes.

또한, 사용자가 검색어 또는 강의 파일명을 통하여 검색하는 경우, 강의 자료 관리부(34)는 해당 검색어 또는 강의 파일명에 대응하는 강의 자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검색어 및 강의 파일명은 교수 또는 관리자가 강의 자료를 저장하기 전에 또는 강의 자료를 저장한 후에 지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user searches through a search word or a lecture file name, the lecture data manager 34 may provide lecture material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search word or lecture file name to the user. In this case, the search word and the lecture file name may be designated before the professor or the administrator stores the lecture data or after the lecture data is stor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강의 관리부(30)는 사용자가 녹음 또는 녹화된 강의 내용을 사용자 단말기(15a, 15b, 15c, 15d)에 저장하기 위한 다운로드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강의 관리부(30)는 사용자가 강의 내용을 강의 관리부(30)가 제공하는 사이트에서 직접 재생하기 위한 스트리밍 기능을 제공한다.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cture management unit 30 provides a download function for storing the recorded or recorded lecture content in the user terminal (15a, 15b, 15c, 15d). In addition, the lecture management unit 30 provides a streaming function for the user to directly play the lecture content on the site provided by the lecture management unit 30.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강의 관리부(30)는 강의 시간표가 사용자 단말기(15d)의 바탕 화면에 표시되고, 강의 시간표를 통하여 강의 내용이 사용자 단말기(15d)에 저장되도록 사용자 단말기(15d)에 다운로드 링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15d)에서 강의 시간표를 확인하고 강의 내용을 직접 다운 받을 수 있다. 이 때, 강의 관리부(30)는 강의 시간표 등의 변경 사항을 사용자 단말기(15d)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스템(10)에 접속할 필요 없이, 자신의 단말기(15d)에서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된 강의 시간표를 확인하고 필요한 강의 자료를 다운로드함으로써, 학습 일정 및 강의 일정 등을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cture manager 30 displays the lecture timetable on the desktop of the user terminal 15d and the lecture contents ar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15d via the lecture timetable. Can provide a download link function. The user can check the lecture timetable from his terminal 15d and directly download the lecture contents. At this time, the lecture management unit 30 may perform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change, such as a lecture timetable, to the user terminal 15d in real time. Therefore, a user can more efficiently manage a learning schedule, lecture schedule, and the like by checking a lecture timetable updated in real time and downloading necessary lecture data from his terminal 15d without having to access the system 10.

공동 구매 관리부(40)는 강의에 필요한 교재 및 물품을 공동으로 구매하는 공동 구매 기능을 제공한다. 이에 공동 구매 관리부(40)는 공동 구매 개설 메뉴 및 공동 구매 관리 메뉴를 제공한다.The joint purchase management unit 40 provides a joint purchase function for jointly purchasing textbooks and articles required for lectures. The joint purchase management unit 40 provides a joint purchase opening menu and a joint purchase management menu.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로그인한 사용자는 필요한 교재, 물품 등에 공동 구매를 신청하기 위하여, 공동 구매 개설 메뉴를 이용하여 공동 구매 화면을 개설할 수 있다. 한편, 로그인 관리부(20)에 의하여 인증된 사용자는 그 권한에 상관없이 공동 구매를 신청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공동 구매 관리부(40)는 공동 구매를 신청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은 사용자에 한하여 공동 구매 개설 메뉴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gged-in user may open a joint purchase screen using a joint purchase establishment menu in order to apply for a joint purchase of necessary textbooks, articles, and the like. Meanwhile, a user authenticated by the login manager 20 may apply for a joint purchase regardless of its authority. In contrast, the joint purchase management unit 40 may provide a joint purchase establishment menu only to a user who is authorized to apply for a joint purchase.

공동 구매 관리부(40)는 사용자에게 공동 구매 물품에 대한 구매 의사 및 입금 현황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 메뉴 및 기능을 제공한다. 이에 사용자는 공동 구매 관리 메뉴를 이용하여 공동 구매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공동 구매 관리부(40)로부터 구매 현황 등을 다운로드 받아서, 자신의 단말기에서 공동 구매 현황을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다. The joint purchase management unit 40 provides a user with a menu and a function for checking and managing purchase intention and deposit status for a joint purchase item. Accordingly, the user can grasp the status of the joint purchase by using the joint purchase management menu. In addition, the user can download the purchase status and the like from the joint purchase management unit 40, it is possible to identify and manage the joint purchase status on their terminals.

게시판 관리부(50)는 사용자들 간의 공유 사항 또는 사용자에 대한 공지 사항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게시판 관리부(50)는 모든 사용자들에 대하여 게시판을 만들 권한을 부여할 수 있으며, 사용자별, 목적별, 시간별로 게시판을 분류하여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들은 게시판 관리부(50)를 통하여 서로간의 공유 및 공지 사항을 전달함으로써,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다.The bulletin board management unit 50 provides the user with the shared matters or notices about the user. The bulletin board management unit 50 may authorize all users to create a bulletin board, and may categorize the bulletin board by user, purpose, and time and provide the bulletin board to users. In this regard, users can form a community by sharing and sharing notices with each other through the bulletin board manager 50.

이와 같이,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스템(10)은 강의 일정을 캘린더형으로 관 리하기 위한 강의 관리부(30)와 강의에 필요한 물품 등을 구매하기 위한 공동 구매 관리부(4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들이 강의 일정을 효율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 As such, the calendar 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10 includes a lecture management unit 30 for managing a lecture schedule in a calendar type and a joint purchase management unit 40 for purchasing goods required for the lecture, thereby allowing users to lecture. You can check and manage your schedule efficiently.

도 2 내지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스템의 기능 및 메뉴를 설명하기 위한 실제 화면들이다.2 to 14 are actual screens for explaining the functions and menus of the calendar 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shown in FIG. 1.

도 2는 사용자가 로그인을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2 is a screen for explaining a process of a user logging in.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하여 본 시스템에 로그인 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이름은 학번이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하면, 로그인 관리부가 해당 사용자의 등록 여부를 판별하여 시스템의 접속을 인증한다. Referring to FIG. 2, a user may log in to the system by inputting a user name and password. At this time, the user name may be a student number. When a user enters a user name and password, the login manager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registered and authenticates access to the system.

한편, 로그인 관리부가 사용자의 최초 로그인이 아닌 경우에는 자동 로그인 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로그인 화면의 하단에 위치한 자동 로그인 여부 메뉴를 선택하면, 로그인 관리부가 사용자 단말기와 암호화 작업을 수행하여 이후 로그인에 대해서는 자동으로 인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login management unit is not the first login of the user may be to automatically log in. Therefore, when the user selects the automatic login or not menu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login screen, the login manager may perform an encryption operation with the user terminal to automatically authenticate the subsequent login.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로그인 관리부가 사용자의 로그인 기록을 저장하여 로그인 횟수를 통계 내는 등의 통계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login manager may be used as statistical data, such as storing the user's login history and counting the number of logins.

도 3 및 도 4는 로그인한 사용자에게 최초로 제공하는 메인 화면과 그 일부 도면이다. 3 and 4 are some views of the main screen initially provided to the logged-in user.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시스템은 대학(의과대학)의 한 주에 해당하는 강의 일정을 캘린더형의 강의 시간표로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강의 시간표는 강의 일정이 요일별, 시간별로 정리되어 시간 단위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셀로 구성된다. 또한, 강의 시간표의 상단에는 해당 학기, 해당 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지난주와 다음 주의 강의 시간표를 확인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한다.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system provides a calendar schedule of lectures corresponding to a week of a university (medical college). Specifically, the lecture timetabl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ells arranged in units of time, the schedule of the lecture is organized by day and time. In addition, the top of the course schedule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semester, the week, and a menu for checking the schedule of the last week and next week.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본 시스템의 강의 관리부는 하나의 셀에 강의 제목, 해당 교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강의 관리부는 셀에 강의록 다운로드 메뉴, 녹음 다운로드 메뉴, 녹화 다운로드 메뉴, 필기노트 다운로드 메뉴, 필기노트 업로드 메뉴, 족보 다운로드 메뉴, 족보 업로드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상기 메뉴들 중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여 정보를 열람하거나 업로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cture management unit of the present system provides a lecture title and information about the professor in one cell. In addition, the lecture manager may provide at least one of a lecture list download menu, a recording download menu, a recording download menu, a writing notes download menu, a writing notes upload menu, a genealogical download menu, and a family tree upload menu to a cell. Accordingly,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menu from among the menus to browse, upload, or download information.

강의 관리부는 메인 화면의 우측에 시험 시간, 시험 장소, 시험 범위와 같은 시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시험 정보 메뉴, 숙제를 시간 순서대로 표시하기 위한 숙제 정보 메뉴, 간단한 공지 사항 및 알림 사항을 표시하기 위한 간단 메모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lecture management unit displays a test information menu for displaying test information such as test time, test location, and test range on the right side of the main screen, a homework information menu for displaying homework in chronological order, and simple announcements and reminders. A simple memo menu can be provided.

도 5 및 도 6은 사용자가 시험에 관한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들이다. 5 and 6 are screens illustrating a method of easily obtaining information about a test by a user.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은 의과대학의 특성 상 각 강의에 대한 시험 범위 등의 시험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강의 관리부가 강의 시간표를 시험 범위 별로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강의 관리부는 시험 범위의 양에 따라 각 강의를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강의 관리부는 시험에 임박하는 순서에 따라 각 강의를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강의 관리부는 학점이 상대적으로 많이 배정된 순서대로 각 강의를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5 and 6, the system provides a time schedule for lectures by different colors for each test range in order to effectively provide a user with information about a test such as a test range for each lecture due to the nature of a medical school. Indicated by. For example, the lecture management unit may display each lecture in a different color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test range, whereas the lecture management unit may display each lecture in a different color in the order of impending examination. In addition, the lecture management unit may display each lecture in a different color in the order in which the credits are relatively assign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강의 관리부는 해당 학기의 전체 강의에 대한 시험 일정 및 시험 범위가 도시된 시험 범위표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 때, 강의 관리부는 교수별, 분과별로 자동 정렬된 시험 범위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강의 관리부는 교수별, 분과별로 시험범위에 해당하는 강의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류하여 정렬한다.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cture management unit provides the user with a test range table showing the test schedule and the test range for the entire lecture of the semester. At this time, the lecture management unit may provide the user with a test range table automatically arranged by professor and division. In other words, the lecture management department collects lecture data corresponding to the test range by professor and division and sorts them.

또한, 강의 관리부는 사용자가 강의 시간표를 워드 파일이나 엑셀 파일 등으로 다운 받을 수 있는 다운로드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lecture management unit provides a download function that allows the user to download the lecture timetable as a word file or an Excel file.

이에 사용자는 강의 관리부가 정렬한 강의 시간표로부터 해당 학기 전체의 시험에 관한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information about the exam for the entire semester from the lecture timetable arranged by the lecture manager.

도 7은 사용자에게 해당 학기 전체의 강의 시간표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FIG. 7 is a screen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oviding a user with a schedule of lectures for the entire semester.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메인 화면의 좌측의 '시간표 모아보기'를 선택하면, 강의 관리부는 해당 학기 전체의 강의 시간표를 일정 규칙에 따라 배열하여 제공한다. 강의 관리부가 한 학기 전체 강의 시간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학기의 시험 일정이나 강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when the user selects 'gather timetable' on the left side of the main screen, the lecture management unit arranges and provides lecture schedules of the entire semest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The lecture management department provides the entire timetable for a semester so that the user can get a comprehensive view of the exam schedule or the flow of the semester.

도 8은 사용자가 강의 시간표를 변경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8 is a screen for explaining that a user changes a lecture schedule.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교수)가 강의 시간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강의 관리부는 해당 강의 시간을 강의 시간표의 빈 공간으로 쉽게 변경할 수 있는 메 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강의 시간표 변경 메뉴는 상하 화살표로 제공되며, 사용자가 화살표를 선택하여 원하는 시간대로 강의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when a user (professor) needs to change a lecture time, the lecture manager provides a menu for easily changing the lecture time into an empty space of the lecture schedule. For example, the lecture timetable change menu may be provided with up and down arrows, and the user may change the lecture time to a desired time zone by selecting the arrow.

강의 시간이 변경된 경우, 강의 관리부는 해당 변경된 강의 시간에 대응하는 셀에 자동으로 일정한 표식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강의 관리부는 해당 셀에 붉은색으로 체크 표시를 제공하거나 기타 표식을 제공할 수 있다. If the lecture time changes, the lecture management unit automatically provides a constant mark to the cell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lecture time. For example, the Lecture Manager may provide a check mark or other marker in red for the cell.

도 9는 사용자가 강의록 등 강의 자료를 검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9 is a screen for explaining that a user searches for lecture materials such as lecture notes.

도 9를 참조하면, 강의 관리부는 강의 내용, 강의 자료를 학기별, 분과별, 교수별로 자동 분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가 검색어 또는 강의명을 통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강의 관리부는 강의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이 때, 검색어는 관리자 또는 교수가 사전에 지정, 입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lecture management unit automatically classifies lecture contents and lecture materials by semester, department, and professor, and provides them to the user. In addition, the lecture management unit provides a lecture search function so that a user can search through a search word or a lecture name. In this case, the search word may be designated or input in advance by an administrator or professor.

한편, 강의 관리부는 사용자가 검색된 강의의 강의 자료를 다운받을 수 있도록 다운로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ecture management unit may provide a download menu for the user to download the retrieved lecture material.

도 10은 사용자가 강의 평가하는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10 is a screen for explaining that a user evaluates a lecture.

도 10을 참조하면, 강의 관리부는 사용자가 종료된 강의 또는 진행되는 강의에 대해서 평가하도록 강의 평가 입력 기능(메뉴)을 제공한다. 이 때, 강의 관리부는 상기 강의 평가 입력 메뉴를 강의 평가 사이트로 링크시켜, 사용자가 쉽게 강의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강의 관리부는 강의 관리부는 로그인하는 사용자에게 아직 평가하지 않은 건수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강의 평가를 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lecture management unit provides a lecture evaluation input function (menu) to allow a user to evaluate a finished lecture or a lecture in progress. At this time, the lecture management unit links the lecture evaluation input menu to the lecture evaluation sit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evaluate the lecture. In addition, the lecture management unit may provide the number of cases that the lecture management unit has not yet evaluated to the user logging in, and may induce the user to evaluate the lecture.

도 11은 사용자가 시험 정보를 입력하고 확인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11 is a screen for explaining a user inputting and confirming test information.

도 11을 참조하면, 강의 관리부는 사용자가 시험 정보를 입력하고 확인할 수 있는 시험 정보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학생)는 시험 정보 메뉴를 통하여 해당 강의의 시험 장소, 시험 시간 및 시험 범위 등의 시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교수)는 시험 정보 메뉴를 통하여 상기 시험 정보 이외에 시험 결과를 입력하여 사용자(학생)에게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lecture manager may provide a test information menu in which a user may input and check test information. For example, the user (student) can check the test information, such as test location, test time and test range of the lecture through the test information menu, other users (professor) through the test information menu in addition to the test information The results can be entered and provided to the user (student).

또한, 한 강의에 담당 교수, 분과, 강의 내용이 다양하게 구성되어 시험 정보가 다양한 경우, 강의 관리부는 한 강의의 전체적인 시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해당 강의의 시험 정보를 전체적으로 파악하여, 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lecture, department, and lecture contents are variously configured in one lecture, and the examination information is various, the lecture management unit may provide the user with the entire examination information of the lecture. The user can grasp the test information of the lecture as a whole, and can efficiently manage the schedule.

도 12는 한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에게 강의 시간표를 전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12 is a screen for explaining that one user delivers a lecture schedule to another user.

도 12를 참조하면, 강의 관리부는 모든 사용자들을 트리 구조로 관리함으로써 특정 학번의 강의 시간표를 다른 학번의 표시 화면으로 링크시키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의 관리부는 사용자별, 그룹별, 조직별 등에 따라 사용자들을 트리 구조로 관리한다. Referring to FIG. 12, the lecture manager may provide a function of linking lecture schedules of a particular class number to a display screen of another class number by managing all users in a tree structure. For example, the lecture management unit manages users in a tree structure according to users, groups, and organizations.

이에 특정 학번의 사용자(학생)에게 제공하는 강의 시간표를 다른 학번의 사용자(학생)로 링크시켜, 다른 학번의 사용자가 특정 학번의 강의 시간표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학번의 사용자가 특정 학번의 강의 시간표를 통하여 해당 특 정 학번의 족보, 강의 자료 등을 다운로드 받아서 활용할 수 있다.Thus, by linking the lecture timetable provided to the user (student) of a specific class number to the user (student) of another class number, the user of another student number can check the lecture timetable of the specific class number. Therefore, users of different student numbers can download and utilize genealogy, lecture materials, etc. of the specific student number through the lecture schedule of the specific student number.

특히, 의과대학 특성 상 전체 강의 과목을 공부하거나 강의 내용 전체를 공부하는 것이 힘들 경우, 특정 학번(선배)의 사용자로부터 족보를 효율적으로 물려받을 필요가 있다. 이 때, 강의 관리부는 사용자들을 트리 구조로 관리하므로, 특정 학번의 강의 시간표를 다른 학번으로 링크시켜주기만 하면, 다른 학번의 사용자가 특정 학번의 사용자가 사용했던 강의 시간표를 열람 또는 저장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it is difficult to study the entire lecture subjects or the entire contents of the lecture due to the nature of the medical school, it is necessary to efficiently inherit the genealogy from the user of a specific student number (predecessor). At this time, the lecture management unit manages users in a tree structure, so that users of different student numbers can view or save the lecture timetables used by users of a specific student number, as long as the lecture timetable of a particular student number is linked to another student number.

한편, 다른 사용자에게 강의 시간표를 전달 또는 링크시키는 경우, 강의 관리부는 열람 기능, 재생 기능, 다운로드 기능, 업로드 기능, 편집 기능들 중에서 원하는 기능을 사용자별로 제한할 수 있다. 이에 특정 학번의 강의 시간표를 물려받은 사용자는 상기 특정 학번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모든 기능을 사용하지 못 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delivering or linking lecture schedules to other users, the lecture manager may limit a desired function among the reading function, the playback function, the download function, the upload function, and the editing functions for each user. Accordingly, a user who inherits a lecture schedule of a specific student number may not use all the functions used by the user of the specific student number.

도 13은 사용자가 학사 일정을 확인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13 is a screen for explaining that the user confirms the school calendar.

도 13을 참조하면, 강의 관리부는 메인 화면의 일부 공간에 학사 일정을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강의 관리부는 메인 화면의 좌측 하단에 캘린더형으로 학사 일정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캘린더의 특정 날짜를 선택하면, 강의 관리부는 자세한 학사 일정 내용을 화면에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가 '학사 일정(크게 보기)'을 선택하면, 강의 관리부는 학사 일정이 표시된 큰 캘린더를 메인 화면에 제공한다. Referring to FIG. 13, the lecture management unit provides a function of displaying the academic calendar in a part of the main screen. For example, the lecture manager may display the school calendar in a calendar form on the lower left side of the main screen.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date of the calendar, the lecture management unit provides a detailed academic calendar content on the screen. 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academic schedule (larger view)', the lecture management unit provides a large calendar displaying the academic calendar on the main screen.

이와 같이, 강의 관리부가 학사 일정을 강의 시간표와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학사 일정을 효율적으로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다. As such, the lecture management unit provides the academic calendar with the lecture schedule so that the user can efficiently identify and manage the academic calendar.

도 14 내지 도 16은 사용자가 강의에 필요한 물품을 공동 구매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들이다. 14 to 16 are screens for explaining that a user jointly purchases an article required for a lecture.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메인 화면의 상단에 있는 '사고팔기' 메뉴를 선택하면, 공동 구매 관리부는 사용자에게 공동 구매와 관련된 화면 및 메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공동 구매 관리부는 진행 종료된 공동 구매, 진행 중인 공동 구매, 진행 예정인 공동 구매 메뉴를 각각 제공하고, 각 공동 구매 교재 또는 물품의 가격 정보 등 공동 구매 정보를 표시한다. 14 to 16, when the user selects the 'buy and sell' menu at the top of the main screen, the joint purchase management unit provides the user with the screen and menu related to the joint purchase. For example, the joint purchase management unit provides a joint purchase, a joint purchase in progress, a joint purchase menu in progress, and displays joint purchase information such as price information of each joint purchase textbook or artic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사용자는 공동 구매 개설 메뉴를 이용하여 공동 구매 화면을 개설할 수 있다. 한편, 로그인한 사용자는 그 권한에 상관없이 공동 구매를 신청할 수 있다.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may open a joint purchase screen using a joint purchase establishment menu. Meanwhile, the logged in user can apply for a joint purchase regardless of the authority.

공동 구매 관리부는 사용자에게 공동 구매 물품에 대한 구매 의사 및 입금 현황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 메뉴 및 기능을 제공한다. 이에 사용자는 공동 구매 관리 메뉴를 이용하여 공동 구매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공동 구매 관리부로부터 공동 구매 현황에 관한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서, 자신의 단말기에서 공동 구매 현황을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다. The joint purchase management unit provides a user with menus and functions for checking and managing purchase intention and deposit status for joint purchases. Accordingly, the user can grasp the status of the joint purchase by using the joint purchase management menu. In addition, the user can download the information on the joint purchase status from the joint purchase management unit, it is possible to identify and manage the joint purchase status on their terminal.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be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alendar 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스템의 기능 및 메뉴를 설명하기 위한 실제 화면들이다. 2 to 16 are actual screens for explaining the functions and menus of the calendar 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shown in FIG. 1.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스템 15a, 15b, 15c, 15d : 사용자 단말기10: calendar 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15a, 15b, 15c, 15d: user terminal

20 : 로그인 관리부 30 : 강의 관리부20: login management unit 30: lecture management unit

31 : 강의 내용 전송부 34 : 강의 자료 관리부31: lecture content transmission unit 34: lecture data management unit

40 : 공동 구매 관리부 50 : 게시판 관리부40: joint purchase management unit 50: bulletin board management unit

Claims (15)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로그인하는 사용자의 등록 여부를 판별하며, 상기 로그인하는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는 로그인 관리부;A login manager that determines whether a user who logs in using a user terminal is registered and stores login information of the user who logs in; 강의 일정을 캘린더(calender)형으로 표시하고, 상기 로그인하는 사용자에 따라 강의 일정이 표시되는 화면 및 사용 가능한 메뉴를 다르게 제공하며, 상기 강의 일정에 따라 자동으로 녹음 또는 녹화된 강의 내용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강의 관리부; 및The class schedule is displayed in a calendar type, and a screen in which the class schedule is displayed and an available menu are displayed according to the user who logs in, and the recorded contents of the class are automatically recorded or recorded according to the class schedule. Lecture management unit provided; And 상기 강의에 필요한 교재 및 물품을 공동으로 구매하는 공동 구매 기능을 제공하는 공동 구매 관리부를 포함하는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스템.Calendar-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joint purchase management unit that provides a joint purchase function to jointly purchase textbooks and goods required for the le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 관리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ogin management unit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암호화하여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후 로그인을 자동으로 인증하며, 상기 저장된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 횟수를 통계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스템. And encrypting the user's logi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o automatically authenticate the subsequent login of the user, and calculating and counting the number of logins of the user using the stored login information of the user. Learning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관리부는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cture management unit 상기 로그인하는 사용자를 학생, 학번, 교수 및 관리자로 구분하여, 상기 로그인하는 사용자에 따라 다른 화면을 제공하거나 서로 다른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스템. The log-in 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is divided into a student, student number, professor, and administrator to provide a different screen or a different menu according to the user to log 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관리부는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cture management unit 상기 강의 일정이 표시된 강의 시간표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바탕 화면에 표시되고, 상기 강의 시간표를 통하여 상기 강의 내용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저장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다운로드 링크 기능을 제공하고, A lecture timetable displaying the lecture schedule is displayed on the desktop of the user terminal, and a download link function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lecture contents ar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lecture timetable,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강의 시간표의 변경 사항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스템. Calendar 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changes in the lecture timetable in real time to the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관리부는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cture management unit 모든 사용자들을 트리 구조로 관리함으로써 특정 학번의 강의 시간표를 다른 학번의 표시 화면으로 링크시키는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다른 학번으로 상기 강의 시간표를 링크시키는 경우에 열람 기능, 재생 기능, 다운로드 기능, 업로드 기능, 편집 기능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스템. By managing all users in a tree structure, it provides the function to link the class schedule of a specific class number to the display screen of another class number, and to read, play, download, and upload a function when linking the class schedule to another class. And limiting at least one of the editing fun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관리부는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cture management unit 상기 사용자가 상기 녹음 또는 녹화된 강의 내용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저장하기 위한 다운로드 기능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강의 내용을 강의 관리부가 연결된 사이트에서 직접 재생하기 위한 스트리밍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스템.A calendar type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provides a download function for storing the recorded or recorded lecture content in the user's terminal and the streaming function for the user to directly play the lecture content in a site connected to the lecture management unit. Learning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관리부는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cture management unit 상기 강의 일정을 복수개의 셀들로 이루어진 캘린더형의 강의 시간표로 표시하며, 상기 강의 시간표 각각의 셀에 강의록 다운로드 메뉴, 녹음 다운로드 메뉴, 녹화 다운로드 메뉴, 필기노트 다운로드 메뉴, 필기노트 업로드 메뉴, 족보 다운로드 메뉴, 족보 업로드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스템.The lecture schedule is displayed as a calendar-type lecture timetabl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ells, and the lecture notes download menu, the recording download menu, the recording download menu, the writing notes download menu, the writing notes upload menu, and the genealogy download menu are displayed in each cell of the lecture timetable. And at least one of a genealogical upload menu.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관리부는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cture management unit 상기 강의 일정을 복수개의 셀들로 이루어진 캘린더형의 강의 시간표로 표시하고, 상기 강의 시간표 각각의 셀을 시험범위 별로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하며, The schedule of the lecture is displayed as a calendar-type lecture timetabl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ells, and each cell of the lecture timetable is displayed in a different color for each test range. 각 강의에 대한 시험 일정 및 범위가 교수별, 분과별로 자동 정렬된 시험 범위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스템.Calendar-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test schedule and range for each lecture provides a table of exams automatically sorted by professor and divi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관리부는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cture management unit 상기 강의 일정을 복수개의 셀들로 이루어진 캘린더형의 강의 시간표로 표시하며, 상기 강의 시간을 변경하기 위한 강의시간 변경 메뉴를 제공하고, Displaying the lecture schedule as a calendar lecture schedul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ells, providing a menu for changing the lecture time for changing the lecture time, 상기 강의 시간이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강의 시간표의 셀에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표식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 스템.If the lecture time is changed, the calendar 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automatically provide a marker indicating that the cell of the changed lecture time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관리부는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cture management unit 강의 자료를 학기별, 분과별, 교수별로 자동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관리자 또는 교수가 지정한 검색어 또는 강의 파일명을 통한 검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강의 자료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스템. The lecture data management unit for automatically classifying lecture data by semester, department, and professor, and providing the user with a search word or lecture file name specified by an administrator or professor, further comprising a lecture data management unit. Calendar 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각 강의실에 배치되어 상기 강의 일정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하여 강의 내용을 녹음 또는 녹화하며, 상기 강의 관리부에 상기 녹음 또는 녹화된 강의 내용을 전송하는 강의 내용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스템. It is arranged in each lecture room is automatically operated according to the schedule of the lecture to record or record the contents of the lecture, calendar-type learn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ecture content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recorded or recorded lecture content to the lecture management unit Management syste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관리부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lecture management unit 교수의 허용 수준에 따라 상기 강의 내용 전송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스템.Calendar 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ecture content transmission unit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permission of the profes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관리부는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cture management unit 일정 시간 단위로 이루어진 강의 시간표를 학기별로 취합하여 제공하기 위한 시간표 모아보기 메뉴, 학사 일정을 표시하기 위한 학사 일정 메뉴, 시험 시간, 시험 장소, 시험 범위와 같은 시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시험 정보 메뉴, 숙제를 시간 순서대로 표시하기 위한 숙제 정보 메뉴, 간단한 공지 사항 및 알림 사항을 표시하기 위한 간단 메모 메뉴, 강의에 대한 평가를 하기 위한 강의 평가 메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스템. A timetable collection menu for semester-by-semester lecture timetables, an academic calendar menu for displaying academic calendars, an exam information menu for displaying exam information such as exam time, exam location, and exam coverage, At least one of a homework information menu for displaying homework in a chronological order, a simple memo menu for displaying brief announcements and reminders, and a lecture evaluation menu for evaluating a lecture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 구매 관리부는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joint purchase management unit 상기 로그인한 사용자가 권한에 상관없이 공동 구매를 신청하여 공동 구매 화면을 개설하기 위한 공동 구매 개설 메뉴를 제공하며, 상기 신청한 공동 구매 교재 또는 물품에 대한 구매 의사 및 입금 현황을 관리하기 위한 공동 구매 관리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스템.The logged-in user provides a joint purchase opening menu for opening a joint purchase screen by applying for joint purchase regardless of authority, and joint purchase for managing purchase intention and deposit status for the requested joint purchase textbook or goods. Calendar 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a management menu.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들 간의 공유 사항 또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공지 사항을 제공하기 위한 게시판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린더형 학습 관리 시스템. Calendar-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ulletin board management unit for providing a shared information or announcements for the user.
KR1020090089594A 2009-09-22 2009-09-22 Calender-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KR2011003220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594A KR20110032207A (en) 2009-09-22 2009-09-22 Calender-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594A KR20110032207A (en) 2009-09-22 2009-09-22 Calender-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207A true KR20110032207A (en) 2011-03-30

Family

ID=43936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594A KR20110032207A (en) 2009-09-22 2009-09-22 Calender-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2207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9804A (en) * 2012-08-30 2014-03-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curriculum schedule
KR20190109025A (en) * 2018-03-16 2019-09-25 강인희 Method for providing multi-mode scheduling service integrating time table with calendar
KR20200105348A (en) * 2019-02-28 2020-09-07 서문은지 Method for processing schedule application data and system thereof
KR20220031457A (en) 2020-09-04 2022-03-11 주식회사 아이티엘 Learning contents generation device and learning contents generation system comprising it
WO2022139356A1 (en) * 2020-12-21 2022-06-30 주식회사 펍플 Method for providing instructional material using timetable, and computer program therefo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9804A (en) * 2012-08-30 2014-03-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curriculum schedule
KR20190109025A (en) * 2018-03-16 2019-09-25 강인희 Method for providing multi-mode scheduling service integrating time table with calendar
KR20200105348A (en) * 2019-02-28 2020-09-07 서문은지 Method for processing schedule application data and system thereof
KR20220031457A (en) 2020-09-04 2022-03-11 주식회사 아이티엘 Learning contents generation device and learning contents generation system comprising it
WO2022139356A1 (en) * 2020-12-21 2022-06-30 주식회사 펍플 Method for providing instructional material using timetable, and computer program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rclay et al. Investigating critical success factors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in higher education systems in the Caribbean
Gordon Flexible pedagogies: Technology-enhanced learning
Falconer et al. Designing for blended learning, sharing and reuse
US9342990B2 (en) Learning system and method that prevents communication of unauthorized content during a learning session
Berking et al. Choosing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US8503924B2 (en) Method and system for education compliance and competency management
US20090291426A1 (en) Educational system for presenting one or more learning units to students in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US10192455B2 (en) User device, server,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eparing and reproducing contents for digital less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Deakin Intelligent cities as smart providers: CoPs as organizations for developing integrated models of eGovernment Services
KR20110032207A (en) Calender-type learning management system
Vergés Bausili From piloting e‐submission to electronic management of assessment (EMA): Mapping grading journeys
Rice Blackboard essentials for teachers
Padayachee Educator perceptions of virtual learning system quality characteristics
Oakleaf et al. Choosing and using assessment management systems: What librarians need to know
Dunne et al. Report of the Independent Review Group (IRG) on the use of tablet devices in Ratoath College (RC)
Haglund et al. International trends in health science librarianship: part 3‐the Nordic countries
Milakovich et al. Technological challenges of online learning
WO2015017364A2 (en) Interactive learning and communication system
Fulkerson Remote Access Technologies for Library Collections: Tools for Library Users and Managers: Tools for Library Users and Managers
CA28506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a resource with a course
Štofková et al. Use of e-learning support for education at university
Daniel E-learning@ Divine Word University: Use of Moodle
CN107423956A (en) A kind of laboratory mixing system
Kovtoniuk et al. Virtual educational environments: major trends in the use of modern digital technologie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Yaskin et al. Blackboard Learning System™(Release 6)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