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6807A - A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 Google Patents

A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6807A
KR20110026807A KR1020090084604A KR20090084604A KR20110026807A KR 20110026807 A KR20110026807 A KR 20110026807A KR 1020090084604 A KR1020090084604 A KR 1020090084604A KR 20090084604 A KR20090084604 A KR 20090084604A KR 20110026807 A KR20110026807 A KR 20110026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wave
amplifier
microwaves
feeder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6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심성훈
허진열
문현욱
최흥식
김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4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6807A/en
Priority to US13/393,424 priority patent/US20120241445A1/en
Priority to PCT/KR2010/003981 priority patent/WO2011027963A2/en
Publication of KR20110026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80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0Feed lines
    • H05B6/705Feed lines using microwave tu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High-Frequency Heating Circuits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Abstract

PURPOSE: A cooker using microwave is provided to produce high power microwave without a separate frequency oscillator using a microwave generating unit with an amplifier. CONSTITUTION: A cooker using microwave comprises an amplifier(530), a microwave generating unit(510), and a feeder. The amplifier performs frequency oscillation and amplification. The microwave generating unit produces and outputs microwave. The microwave generating unit comprises a phase shifter(540), a circulator(550), and a controller. The phase shifter transits the phase of the outputted microwave. The circulator supplies the phase-shifted microwave to the amplifier. The controller supplies phase transition signals to the microwave generating unit. The feeder outputs the outputted microwave to the inside of the cavity.

Description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A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s {A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주파수 발진부 없이 간단하게 고출력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할 수 있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aratus using a microwa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ing apparatus using a microwave capable of simply generating a high-power microwave without a separate frequency oscillator.

일반적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수납하여 밀폐한 후, 동작 버튼을 누르게 되면 고압발생기에 전압이 인가되고 고압발생기에 인가된 상용전압은 승압되어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에 전원이 인가되고 마그네트론에 의해 발생된 마이크로웨이브는 도파관 등을 통해 캐비티로 전달된다.In general, when a microwave oven uses a microwave oven to store food and seals the food, and then presses an operation butto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high pressure generator, and a commercial voltage applied to the high pressure generator is boosted to apply power to the magnetron that generates the microwave. The microwave generated by the magnetron is transmitted to the cavity through a wave guide or the like.

이때,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는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음식물에 조사하여 음식물을 구성하고 있는 분자들을 1초에 24억 5천만번 진동시킴으로써 발생되는 마찰열로 음식물을 가열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cooking apparatus using the microwave is to heat the food with friction heat generated by irradiating the microwaves generated from the magnetron to the food and vibrating the molecules constituting the food 245 million times per second.

이러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는 온도 제어가 용이하고, 요리 시간의 절약, 조작의 편의성 등 다양한 이점으로 인하여 일반가정에 많이 보급되어 있는 실정이다.Cooking apparatus using such a microwave is a situation that is widely spread in the general home due to various advantages such as easy temperature control, saving of cooking time, ease of operation.

본 발명은, 별도의 주파수 발진부 없이 간단하게 고출력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할 수 있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s that can easily generate high power microwaves without a separate frequency oscillator.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는, 주파수 발진 및 증폭을 수행하는 증폭기를 구비하며,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와, 출력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캐비티 내부로 출력하는 피더를 포함한다.Microwav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microwave generator having an amplifier for performing frequency oscillation and amplification, and generates and outputs a microwave, and the output micro It includes a feeder that outputs a wave into the cavity.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는, 복수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와, 마이크로웨이브의 전송 경로를 분리하는 RF 스위치와, RF 스위치로부터 출력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캐비티 내부로 출력하는 피더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 cooking apparatus using a microwa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microwav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plurality of microwave, RF switch for separating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microwave and It includes a feeder for outputting the microwave output from the RF switch into the cavity.

본 발명에 따르면, 주파수 발진 및 증폭을 함꼐 수행하는 증폭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를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주파수 발진부 없이 간단하게 고출력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microwave generator having an amplifier for performing the frequency oscillation and amplification, it is possible to simply generate a high power microwave without a separate frequency oscillator.

또한, 증폭기의 출력단에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 혼합으로 다수의 증폭기를 접속시킴으로써, 고출력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안정적으로 생성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amplifiers in series, parallel or series-parallel mixing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it is possible to stably generate high-power microwaves.

한편, 마이크로웨이브의 전송 경로를 분리하는 RF 스위치를 사용하고, 이에 따라 복수의 피더를 사용함으로써, 캐비티 내의 가열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by using the RF switch for separating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microwave, and by using a plurality of feeder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heating efficiency in the cavity.

또한, 전체 조리 구간 중 스캔 구간과 가열 구간의 전송 경로를 RF 스위치를 사용하여 분리함으로써, 조리기기를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저출력의 스캔 구간에 따른 전송 경로와 고출력의 가열 구간에 따른 전송 경로를 달리 구성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separating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scan section and the heating section of the entire cooking section using the RF switch,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onfigure the cooking appliance.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transmission path according to the scan section of the low power and a transmission path according to the heating section of the high power.

또한, 캐비티 내로 출력되는 마이크로웨이브와, 반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가열효율을 산출함으로써, 가열효율에 따라 캐비티 내의 대상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by calculating the heating efficiency using the microwave output into the cavity and the reflected microwav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heat the object in the cavity according to the heating efficiency.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리기기의 단면도이다.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liance using a microwa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oking appliance of FIG.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100)는, 본체(102)의 전면부에 조리창(104)이 부착된 도어(106)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고, 본체(102)의 전면 일측부에는 조작패널(108)이 결합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oking appliance 100 using the microwa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106 is attached to the cooking window 104 in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102 is coupled to open and close. The operation panel 108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2.

도어(106)는, 캐비티(134)를 개폐하며,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어(106) 내부에는, 마이크로웨이브의 차폐를 위한 필터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The door 106 opens and closes the cavity 134,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filter part (not shown) for shielding the microwave may be provided inside the door 106.

조작패널(108)은, 조리기기의 운전을 조작하는 조작부(107)와, 조리기기의 동작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05)를 포함한다.The operation panel 108 includes an operation unit 107 for operating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a display unit 105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the like.

본체(102)의 내부에는 가열 대상(140), 예를 들어 음식물이 수용되어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에 의해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캐비티(134)가 구비된다.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2 is provided with a cavity 134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the heating target 140, for example, food is accommodated and cooked by a microwave.

그리고, 캐비티(134)의 외측면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가 설치되고,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의 출력부측에는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캐비티(134)의 내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마이크로웨이브 전송부(112)가 배치된다. In addition, a microwave generating unit 110 for generating a microwave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vity 134, and a microwave generated by the microwave generating unit 110 on the output side of the microwave generating unit 110. The microwave transmission unit 112 for guiding the inside of the cavity 134 is disposed.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는, 반도체를 이용한 고체 전력 증폭기(Solid State Power Amplifier; SSPA)를 구비할 수 있다. 고체 전력 증폭기(SSPA)는 마그네트론 보다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장점이 있다.The microwave generator 110 may include a solid state power amplifier (SSPA) using a semiconductor. Solid-state power amplifiers (SSPAs) have the advantage of taking up less space than magnetrons.

한편, 고체 전력 증폭기(SSPA)는, 증폭을 위해 수동 소자(커패시터와 인덕터 등) 및 능동 소자(트랜지스터 등)를 별도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고주파 집적회로(Hybrid Microwave Integrated Circuits;HMIC), 또는 수동 소자 및 능동 소자가 하나의 기판으로 구현된 단일 고주파 집적회로(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s;MMIC)로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olid state power amplifier (SSPA), a hybrid high-frequency integrated circuit (HMIC), or a passive element (passive and passive elements (capacitors and inductors, etc.) and active elements (transistors, etc.) are separately provided for amplification; The active device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high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MMIC) implemented as a single substrat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는 복수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마이크로웨이브의 주파수 범위는 대략 900MHz ~ 2500Hz 부근일 수 있다. 특히, 915MHz 를 중심으로 소정 범위 내이거나 2450MHz 를 중심으로 소정 범위 내일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생성 부(1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의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wave generator 110 may generate and output a plurality of microwaves. The frequency range of such microwaves may be around 900 MHz to 2500 Hz. In particular, it may b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round 915 MHz or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round 2450 MHz.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icrowave generation unit 11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마이크로웨이브 전송부(112)는,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에서 생성되어 출력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캐비티(134)로 전송한다. 이러한 마이크로웨이브 전송부(112)는, 도파관(waveguide), 또는 동축 선로를 구비할 수 있다. The microwave transmitter 112 transmits the microwave generated and output by the microwave generator 110 to the cavity 134. The microwave transmitter 112 may include a waveguide or a coaxial line.

한편, 마이크로웨이브 전송부(112)의 단부는, 마이크로웨이브가 캐비티(134)로 방출되도록, 피더(feeder)와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피더의 일예로, 개구부(145)를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안테나(antenna), 증폭기 등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개구부(145)는 슬롯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피더를 통해, 마이크로웨이브는 캐비티(134)로 방출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end of the microwave transmission unit 112 may be connected to the feeder (feeder) so that the microwave is discharged to the cavity 134. In the drawings, an opening 145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of a feed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 antenna, an amplifier, or the like may be combined. 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145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slot form. Through this feeder, microwaves are released to the cavity 134.

한편, 도면에서는 개구부(145)가 캐비티(134) 상측에 하나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나, 개구부(145)가 캐비티(134)의 하측, 또는 측부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복수의 개구부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개구부(145) 대신에 안테나를 통해 결합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Meanwhile, although one opening 145 is illustrated above the cavity 134 in the drawing, the opening 145 may be disposed below or on the side of the cavity 134, and a plurality of openings may be disposed. It is also possible. The same applies to the case where the coupling is performed through the antenna instead of the opening 145.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의 하측에는,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14)가 구비된다. Below the microwave generator 110, a power supply 114 for supplying power to the microwave generator 110 is provided.

전원 공급부(114)는, 조리기기(100)에 입력되는 전원을 고압으로 승압하여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에 공급하는 고압 트랜스를 구비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 소자가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생성한 약 3500V이상의 고출력 전압을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에 공급하는 인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14 may include a high voltage transformer for supplying power to the microwave generator 110 by boosting the power input to the cooking apparatus 100 to a high pressure, or generated by one or more switching elements performing a switching operation. An inverter for supplying a high output voltage of about 3500V or more to the microwave generator 110 may be provided.

한편,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의 주변에는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 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팬(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a cooling fan (not shown) for cooling the microwave generator 110 may be installed around the microwave generator 110.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캐비티(134) 내부에는 가열 대상(140)을 회전시키기 위한 턴테이블(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캐비티(134) 내부에는, 마이크로웨이브의 분산을 위한 스터러팬(stirrer fan)(미도시)이 생성될 수 있으며, 스터러팬(미도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스터러팬(미도시)은 상술한 안테나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turntable (not shown) for rotating the heating target 140 may be installed in the cavity 134. Also, a cavity for dispersing microwaves may be installed in the cavity 134. A stirr fan (not shown) may be generated, and a cover (not shown) may be installed to prevent damage of the stirrer fan (not shown). Such a stirrer fan (not shown) may be regarded as a kind of antenna described above.

상술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100)는, 사용자가, 도어(106)를 열고, 가열 대상(140)을 캐비티(134) 내에 넣은 후, 도어(106)를 닫은 상태에서, 조작패널(108), 특히 조작부(107)를 조작하여 조리 선택 버튼(미도시)과 시작 버튼(미도시)을 누르면, 동작하게 된다. In the cooking apparatus 100 using the microwaves described above, the user opens the door 106, puts the heating object 140 into the cavity 134, and then closes the door 106, and then the operation panel 108. ), In particular, by pressing the cooking selection button (not shown) and the start button (not shown) by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107, it is operated.

즉, 조리기기(100) 내의 전원 공급부(114)는 입력된 교류 전원을 고압의 직류 전원으로 승압하여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에 공급하고,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는 해당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마이크로웨이브 전송부(112)는 생성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전송하여 캐비티(134)로 방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캐비티(134) 내부에 있는 가열 대상(140), 예를 들어, 조리물을 가열하게 된다. 조리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에 대한 설명은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at is, the power supply unit 114 in the cooking apparatus 100 boosts the input AC power to a high-pressure DC power supply to supply the microwave generator 110, and the microwave generator 110 supplies the corresponding microwave. It generates and outputs, the microwave transmitter 112 transmits the generated microwave to be emitted to the cavity 134. Accordingly, the heating target 140, for example, the food inside the cavity 134 is heated. Overall operations of the cooking appliance 100 may be performed by a controller (not shown). Description of the control unit (not show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도 3은 도 1의 조리기기의 내부를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스캔 구간의 주파수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in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of FIG. 1, and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in frequency of a scan section.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00)는, 마이 크로웨이브 생성부(110)를 포함한다. 또한, 조리기기(100)는, 제어부(310), 마이크로웨이브 전송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100)는, 방향성 결합부(338), 및 전원 공급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ok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crowave generator 110. In addition, the cooking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310 and a microwave transmitter 112. In addition, the cooking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directional coupler 338 and a power supply 114.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는, 증폭기(미도시)를 포함한다. 증폭기(미도시)는, 주파수 발진 및 증폭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폭기(미도시)는, 자체적으로 주파수 발진을 수행하며, 또한 이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또한, 증폭기(미도시)는, 주파수 발진 및 증폭 동작을 수행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복수의 마이크로 웨이브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복수의 마이크로 웨이브는 순차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The microwave generator 110 includes an amplifier (not shown). An amplifier (not shown) performs frequency oscillation and amplification operations. An amplifier (not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oscillation on its own, and amplifies and outputs the same. In addition, the amplifier (not shown) may perform frequency oscillation and amplification operations to output a plurality of microwaves having different frequencies. Such a plurality of microwaves may be sequentially output.

증폭기(미도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반도체 소자를 사용한 고체 전력 증폭기(SSPA)일 수 수 있으며, 특히 단일 기판을 사용한 단일 고주파 집적회로(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s;MMIC)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증폭기(미도시)는, 제어부(310)에 의해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으며, 또한 그 크기가 작게 되어 소자의 집적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mplifier may be a solid state power amplifier (SSPA) using a semiconductor device, and may be provided in a single high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MMIC) using a single substrate. As a result, the amplifier (not shown) can be easily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310, and the size of the amplifier can be reduced to achieve device integration.

증폭기(미도시)에 대해서는, 도 5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An amplifier (not show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or below.

방향성 결합부(directional coupler; DC)(338)는,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 특히 증폭기(미도시)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마이크로웨이브 전송부(112)로 전달한다. 마이크로웨이브 전송부(112)에서 전송되어 피더(feeder)에서 출력되는 마이크로웨이브는 캐비티(134)내의 대상을 가열하게 된다. 피더(feeder)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부(145)가 예시될 수 있으며, 또는 안테나, 증폭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directional coupler (DC) 338 transmits the microwaves amplified and output from the microwave generator 110, in particular, an amplifier (not shown), to the microwave transmitter 112. The microwave transmitted from the microwave transmitter 112 and output from the feeder heats the object in the cavity 134. As the feeder, the opening 145 may be exemplified as described above, or an antenna, an amplifier, or the like may be used.

한편, 대상에서 흡수되지 못하고 반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는 다시 피더(fedder) 및 마이크로웨이브 전송부(112)를 통해 방향성 결합부(338)에 입력될 수 있다. 방향성 결합부(338)는 반사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제어부(310)로 전달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microwaves that are not absorbed by the object and reflected may be input to the directional coupler 338 through the feeder and the microwave transmitter 112 again. The directional coupler 338 transmits the reflected microwaves to the controller 310.

한편, 조리기기(100)는, 방향성 결합부(338)에서 제어부(310) 사이에 배치되며, 반사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DC 변환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DC 변환부(미도시)는 다이오드 소자로 구현이 가능하다. The cooking appliance 100 may further include a DC converter (not shown) disposed between the controller 310 in the directional coupler 338 and converting the reflected microwave into a control signal. The DC converter (not shown) may be implemented as a diode device.

한편, 조리기기(100)는,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와 방향성 결합부(338) 사이에 배치되며, 증폭기(미도시)에서 증폭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캐비티(134)로 전달하는 경우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통과시키고, 캐비티(134)로부터 반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는 차단시키는 격리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격리부(미도시)는 아이솔레이터(Isolator)로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oking apparatus 100 is disposed between the microwave generating unit 110 and the directional coupling unit 338, when the microwave amplified by the amplifier (not shown) to the cavity 134, the microwave Passing through, and the microwave reflected from the cavity 134 may further include an isolation (not shown) for blocking. Here, the isolation unit (not shown) may be implemented as an isolator.

한편, 상술한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 내의 증폭기(미도시), 및 방향성 결합부(338) 등은 하나의 모듈(module)로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하나의 기판 상에 모두 배치되어, 하나의 모듈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소자의 집적화에 의해,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는 제어부(310)에 의해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amplifier (not shown), the directional coupler 338, etc. in the microwave generator 110 may be implemented as a module (module). That is, it is possible to be all disposed on one substrate, to be implemented as one module. By the integration of the device, the microwave generator 110 can be easily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310.

복수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열 효율을 산출하고, 그 효율에 따라 가열 시간을 가변하여, 대상을 균일 가열하도록 한다. As described below, the microwave generator 110 generating a plurality of microwaves calculates heating efficiency, and varies the heating time according to the efficiency, thereby uniformly heating the object.

제어부(310)는,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조작부(107)를 통해, 조리기기의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310)는,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를 제어하여, 광대역 주파수 범위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도록 한다. The controller 3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When the operation signal of the cooking appliance is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107, the controller 310 controls the microwave generator 110 to sequentially output microwaves in a wide frequency range.

이를 위해, 제어부(310)는,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 내의 위상 천이기(미도시)에 위상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위상 제어 신호에 따라 위상 천이기(미도시)는 증폭기(미도시)에서 출력되는 마이크로웨이브의 위상을 가변하고, 이를 다시 피드백하여 증폭기(증폭기)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주파수의 복수의 마이크로웨이브가 출력되도록 한다. 증폭기(미도시)의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5를 참조하여 수행한다. To this end, the controller 310 may output a phase control signal to a phase shifter (not shown) in the microwave generator 110. According to the phase control signal, the phase shifter (not shown) varies the phase of the microwave output from the amplifier (not shown) and feeds it back to the amplifier (amplifier), whereby a plurality of microwaves of various frequencies are supplied. To be printed. Operation of the amplifier (not shown) is performed with reference to FIG. 5 below.

또한, 제어부(310)는, 출력되는 마이크로웨이브의 파워와 기준 파워를 비교하고, 그 차이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되는 마이크로웨이브의 파워를 일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가 복수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경우, 제어부(310)는, 복수의 마이크로웨이브 파워와 기준 파워를 각각 비교하고, 그 차이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되는 복수의 마이크로웨이브의 파워를 모두 일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310 may compare the power of the output microwave with the reference power, and control the power of the output microwave to be constant based on the difference signal. For example, when the microwave generator 110 generates and outputs a plurality of microwaves, the controller 310 compares the plurality of microwave powers and the reference power, respectively, and outputs the signals based on the difference signal. The power of the plurality of microwaves may be controlled to be constant.

또한, 제어부(310)는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에 의해 출력된 마이크로웨이브 중 캐비티 내부로부터 반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에 기초하여, 복수의 마이크로웨이브 각각에 대한 가열 효율을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10 may calculate heating efficiency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microwaves based on the microwaves reflected from the inside of the cavity among the microwaves output by the microwave generator 110.

Figure 112009055287246-PAT00001
Figure 112009055287246-PAT00001

여기서, Pt는 캐비티(134) 내로 방출되는 마이크로웨이브의 파워(power)를 나타내며, Pt는 캐비티(134)에서 반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의 파워를 나타내며, he는 마이크로웨이브의 가열효율을 나타낸다. Here, Pt represents the power of the microwave emitted into the cavity 134, Pt represents the power of the microwave reflected from the cavity 134, he represents the heating efficiency of the microwave.

상술한 수학식 1에 따르면, 가열효율(he)은, 반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의 파워가 클수록, 작아지게 된다. According to Equation 1, the heating efficiency he becomes smaller as the power of the microwave to be reflected increases.

이러한 가열효율 산출은, 전체 조리 구간 중에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전체 조리 구간이 스캔 구간과 가열 구간을 포함하는 경우, 가열효율 산출은 스캔 구간에서 수행될 수 있다. Such heating efficiency calculation can be performed during the entire cooking section. In particular, when the entire cooking section includes the scan section and the heating section, the heating efficiency may be calculated in the scan section.

도 4에서는 스캔 구간(Ts)에서 순차적으로 주파수가 증가하는 복수의 마이크로웨이브가 캐비티(134) 내로 방출되는 것을 도시한다. 이에 따라, 가열효율 산출이 스캔 구간(Ts) 동안 수행될 수 있다. In FIG. 4, a plurality of microwaves whose frequencies increase in sequence in the scan period Ts are emitted into the cavity 134. Accordingly, the heating efficiency calculation may be performed during the scan period Ts.

한편, 스캔 구간은, 전체 조리 구간 중 가열 구간에 앞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열 구간과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주파수 별로 스캔 및 가열을 동시헤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scan section may be performed before the heating section of the entire cooking s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heating section.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perform simultaneous scanning and heating for each frequency.

한편, 제어부(310)는, 주파수 별로 산출된 가열효율에 따라, 가열 구간에서, 상기 캐비티(134) 내로 방출되는 복수의 마이크로웨이브의 주파수 별 출력 기간 또 는 주파수 별 파워 레벨이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어부(310)는, 주파수 별 출력 기간 또는 주파수 별 파워 레벨이 가변하도록 하는 위상 제어 신호를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 내의 증폭기(미도시)에 출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310, according to the heating efficiency calculated for each frequency, in the heating section, to control the output period for each frequency or the power level for each frequency of the plurality of microwaves emitted into the cavity 134 vary. It is possible. That is, the controller 310 may output a phase control signal to the amplifier (not shown) in the microwave generator 110 to change the output period for each frequency or the power level for each frequency.

예를 들어, 소정 주파수에서 산출된 가열효율(he)이 높은 경우, 해당 마이크로웨이브의 출력 기간이 짧아지거나 또는 출력 파워 레벨이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소정 주파수에서 산출된 가열효율(he)이 낮은 경우, 해당 마이크로웨이브의 출력 기간이 길어지거나 또는 출력 파워 레벨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heating efficiency he calculated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is high, the output period of the microwave may be shortened or the output power level may be reduced. In addition, when the heating efficiency he calculated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is low, it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output period of the microwave becomes longer or the output power level becomes larger.

즉, 복수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순차적으로 스윕(sweep)하는 동안에, 각각의 마이크로웨이브의 출력 기간 또는 출력 파워 레벨을 산출된 가열효율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That is, while sequentially sweeping a plurality of microwaves, the output period or output power level of each microwave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heating efficiency.

이에 따라, 캐비티(134) 내의 가열대상(140)에, 주파수 별로, 균일하게 마이크로웨이브를 흡수시킬 수 있게 되어, 가열대상(140)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microwaves can be uniformly absorbed by the heating target 140 in the cavity 134 for each frequency, and the heating target 140 can be uniformly heated.

한편, 제어부(310)는, 주파수 별로 산출된 가열효율(he)이 설정치 이상인 경우에만, 해당하는 주파수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가열효율(he)이 현저히 낮은 주파수의 마이크로웨이브는 실제 가열 구간에서 제외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가열대상(140)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310,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o output the microwave of the corresponding frequency only when the heating efficiency (he) calculated for each frequency is more than the set value. That is, the microwave having a significantly lower heating efficiency (he) is excluded from the actual heating section, thereby efficiently heating the heating object 140 uniformly.

한편, 상술한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 내의 증폭기(미도시) 및 방향성 결합부(338) 등은 하나의 모듈(module)로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하나의 기판 상에 모두 배치되어, 하나의 모듈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amplifier (not shown) and the directional coupler 338 in the microwave generator 110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module. That is, it is possible to be all disposed on one substrate, to be implemented as one module.

한편, 제어부(310)는, 표시부(105)를 통해, 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체 조리 구간 중, 현재 스캔 구간인 경우, 이를 표시부(105)를 통해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실제 가열 구간인 경우, 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외, 전체 조리 구간의 남은 시간 등을 표시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표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1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05 to display an operation state of the cooking appliance.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current scan section of the entire cooking section, it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05, and in the case of the actual heating section, it may be displayed.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display functions may be performed, such as displaying remaining time of the entire cooking section.

전원 공급부(114)는, 조리기기(100)에 입력되는 전원을 고압으로 승압하여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에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114)는, 고압 트랜스 또는 인버터로 구현이 가능하다. The power supply unit 114 boosts the power input to the cooking appliance 100 to a high pressure and outputs the power to the microwave generator 110. The power supply unit 114 may be implemented as a high voltage transformer or an inverter.

도 5는 도 3의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의 내부의 일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side of the microwave generation unit of FIG. 3.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5의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510)는, 증폭기(530), 위상 천이기(540), 및 순환기(5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microwave generator 510 of FIG. 5 includes an amplifier 530, a phase shifter 540, and a circulator 550.

증폭기(530)는, 전원 공급부(114)로부터의 dc 전원을 입력받아, 자체 주파수 발진 및 증폭을 수행한다. 즉, 주파수 발진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별도의 주파수 발진부 없이, dc 전원의 입력에 따라 자체적으로 주파수 발진을 수행하고, 증폭 동작을 수행한다. The amplifier 530 receives the dc power from the power supply 114 and performs its own frequency oscillation and amplification. That is, without a separate frequency oscillato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frequency oscillation signal, it performs frequency oscillation by itself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dc power supply, and performs an amplification operation.

증폭기(530)는, 적어도 하나의 RF 파워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RF 파워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경우, 직렬, 병렬 또는 직, 병렬 혼합으로 구성하여 다단 증폭이 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증폭기(530)는, 예를 들어, RF 파워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한편, 증폭기(530)의 출력은 대략, 100 내지 1000W일 수 있다.The amplifier 530 may include at least one RF power transistor, and when a plurality of RF power transistors are used, the amplifier 530 may be implemented in series, parallel, serial, or parallel mixing to implement multistage amplification. The amplifier 530 may be, for example, an RF power transistor. On the other hand, the output of the amplifier 530 may be approximately, 100 to 1000W.

다음, 위상 천이기(540)는, 증폭기(530)의 출력을 피드백하여, 위상을 천이(shift)할 수 있다. 위상 천이량은 제어부(310)의 위상 제어 신호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이렇게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소정 주파수의 증폭 신호를 위상 천이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주파수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상 천이량에 비례하여 주파수가 증가할 수 있다.Next, the phase shifter 540 may feed back the output of the amplifier 530 to shift the phase. The amount of phase shift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has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310. By phase shifting the amplified signal of the predetermined frequency output from the amplifier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generate microwaves of various frequencies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frequency may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phase shift.

한편, 소정 주파수의 증폭 신호 레벨의 대략 1 내지 2%에 해당하는 신호가 샘플링되어 위상 천이기(540)에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피드백 이후, 다시 증폭기(530)에서 증폭되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a signal corresponding to approximately 1 to 2% of an amplified signal leve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is sampled and input to the phase shifter 540. This is considered to be amplified again in the amplifier 530 after the feedback.

다음, 순환기(550)는, 위상 천이기(540)에서 위상 천이된 신호를 다시 증폭기(530)로 공급한다. 한편, 위상 천이기(540)에서 위상 천이된 신호의 레벨이 설정치 미만인 경우, 순환기(550)는, 위상 천이된 신호를 증폭기(530)가 아닌 접지단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Next, the circulator 550 supplies the phase shifted signal from the phase shifter 540 to the amplifier 530 again. On the other hand, when the level of the phase shifted signal in the phase shifter 540 is less than the set value, the circulator 550 may supply the phase shifted signal to the ground terminal instead of the amplifier 530.

순환기(550)에서 공급되는 신호는, 증폭기(530)에서 다시 증폭되게 된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복수의 마이크로웨이브가 순차적으로 출력되게 된다.The signal supplied from the circulator 550 is amplified again by the amplifier 530. Accordingly, a plurality of microwaves having different frequencies are sequentially output.

이와 같이, 증폭기(530)가, 자체 주파수 발진 및 증폭을 수행하므로,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510)를 간략히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상 천이기(540)를 이용하여, 복수의 마이크로 웨이브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게 된다.As such, since the amplifier 530 performs its own frequency oscillation and amplification, the microwave generator 510 may be simply implemented. In addition, by using the phase shifter 540,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d output a plurality of microwaves.

도 6은 도 3의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의 내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n interior of the microwave generation unit of FIG. 3.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6의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610)는, 도 5의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510)와 거의 동일하며, 증폭기(630)의 출력단에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를 더 구비하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microwave generator 610 of FIG. 6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microwave generator 510 of FIG. 5, and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amplifier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630. There is a difference.

도면에서는, 복수개의 증폭기(660-1, ..., 660-n)를 병렬 연결하는 것이 구현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직렬, 또는 직, 병렬 혼합으로 구성하여 다단 증폭이 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증폭기(660-1, ..., 660-n)는, 예를 들어, RF 파워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amplifiers 660-1,..., 660-n are connected in paralle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series, serial, or parallel mixing to implement multistage amplification. The plurality of amplifiers 660-1,..., 660-n may be, for example, RF power transistors.

도 6과 같이 구현함으로써, 다수의 증폭기(630,660-1, ..., 660-n)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고출력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By implementing as shown in Figure 6, by using a plurality of amplifiers (630,660-1, ..., 660-n), it is possible to simply generate a high-power microwave.

한편, 도 5 및 도 6에서 기술한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510,610)는, 고체 전력 증폭기 모듈(Solid State Power Module; SSPM)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microwave generators 510 and 610 described in FIGS. 5 and 6 may be implemented as a solid state power module (SSPM).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7의 조리기기(700)는,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710), RF 스위치(720), 복수의 마이크로웨이브 전송부(712,713), 및 복수의 피더(717,718)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oking apparatus 700 of FIG. 7 includes a microwave generator 710, an RF switch 720, a plurality of microwave transmitters 712 and 713, and a plurality of feeders 717 and 718. do.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710)는, 서로 다른 주파수의 복수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마이크로 웨이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생성되어 출력될 수 있다. The microwave generator 710 may generate and output a plurality of microwaves having different frequencies. The plurality of microwaves may be sequentially generated and output as described above.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7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체 발진 및 증폭이 가능한 증폭기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전원 공급부로부터 dc 전원이 공급되면, 별도의 주파수 발진부 없이, 자체 발진 및 증폭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7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위상 천이기 및 순환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icrowave generator 710 may include an amplifier capable of self oscillation and amplification. That is, when dc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he oscillation and amplification may be performed without a separate frequency oscillator.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microwave generator 710 may further include a phase shifter and a circulator.

RF 스위치(720)는, 마이크로웨이브의 전달 경로를 다수로 하여 분리한다. 도면에서는 제1 및 제2 마이크로웨이브 전송부(712,713)로 각각 접속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개수로 다양한 경로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및 제2 마이크로웨이브 전송부(712,713)는 도파관 또는 동축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마이크로웨이브 전송부(712,713)의 단부에는, 각각 피더(717,718)가 접속된다.The RF switch 720 separates a plurality of microwave transmission paths. In the drawings, the first and second microwave transmitters 712 and 713 are respectively connec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separated into various paths in various numbers. The first and second microwave transmitters 712 and 713 may include waveguides or coaxial cables. Feeders 717 and 718 are connected to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microwave transmitters 712 and 713, respectively.

피더(717,718)는, 캐비티(734) 내로 전송되어 온 마이크로웨이브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피더(717,718)는, 개구부 또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더(717,718)는 증폭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증폭기를 포함함으로써,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710)에서 생성되어 출력된 마이크로웨이브의 출력 레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각 피더(717,718) 내의 증폭기의 증폭율은 다를 수 있다.The feeders 717 and 718 output microwaves that have been transmitted into the cavity 734. To this end, the feeders 717 and 718 may include an opening or an antenna. In addition, the feeders 717 and 718 may further include an amplifier. By including the amplifier,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output level of the microwave generated and output by the microwave generator 710. In this case, the amplification ratios of the amplifiers in the respective feeders 717 and 718 may be different.

한편, RF 스위치(720)는, 스캔 구간과 가열 구간 별로 마이크로웨이브의 전달 경로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RF switch 720,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microwave for each scan section and heating section.

예를 들어, 고출력이 필요없는 스캔 구간에서는, 제1 마이크로웨이브 전송부(712) 및 제1 피더(717)를 통해, 저출력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캐비티(734) 내로 공급하며, 고출력이 필요한 가열 구간에서는, 제2 마이크로웨이브 전송부(713) 및 제2 피더(718)를 통해, 고출력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캐비티(734) 내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캔 구간과 가열 구간의 출력 차이는, 각 피더(717,718)에 구비되는 증폭기의 증폭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제1 피더(717)의 증폭기 증폭율이 제2 피더(718)의 증폭기 증폭율 보다 낮을 수 있다.For example, in a scan section in which high power is not required, a microwave of low power is supplied into the cavity 734 through the first microwave transmitter 712 and the first feeder 717, and in a heating section in which high power is required. Through the second microwave transmitter 713 and the second feeder 718, it is possible to supply a high power microwave into the cavity 734. The output difference between the scan section and the heating sec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amplification ratios of the amplifiers provided in the respective feeders 717 and 718. That is, the amplifier amplification ratio of the first feeder 717 may be lower than the amplifier amplification ratio of the second feeder 718.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8의 조리기기(800)는, 도 7의 조리기기(700)와 거의 유사하나, 다만 피더의 개수 및 그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전송부의 개수에 그 차이가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oking apparatus 800 of FIG. 8 is almost similar to the cooking apparatus 700 of FIG. 7,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feeders and the number of microwave transmitters.

그 차이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810)는, 서로 다른 주파수의 복수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RF 스위치(820)는, 마이크로웨이브의 전달 경로를 다수로 하여 분리한다. 도면에서는 제1 및 제2 마이크로웨이브 전송부(812,813)로 각각 접속되는 것으로 도시한다.Referring to the difference, the microwave generator 810 generates and outputs a plurality of microwaves having different frequencies, and the RF switch 820 separates the microwave transmission paths into a plurality. In the drawing, the first and second microwave transmitters 812 and 813 are respectively connected.

제1 및 제2 마이크로웨이브 전송부(812,813)의 단부에는 하나의 피더(818)가 접속된다. 이 피더(818)는, 개구부 또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더(818)는, 증폭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e feeder 818 is connected to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microwave transmitters 812 and 813. The feeder 818 may include an opening or an antenna. In addition, the feeder 818 may further include an amplifier.

한편, 전체 조리 구간 중 스캔 구간과 가열 구간에서 각각 그 전달 경로가 구분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고출력이 필요없는 스캔 구간에서는, 제1 마이크로웨이브 전송부(812) 및 피더(818)를 통해, 저출력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캐비티(834) 내로 공급하며, 고출력이 필요한 가열 구간에서는, 제2 마이크로웨이브 전송부(813) 및 피더(18)를 통해, 고출력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캐비티(834) 내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the transmission path in the scan section and the heating section of the entire cooking section, respectively. For example, in a scan section in which no high power is required, the microwave of low power is supplied into the cavity 834 through the first microwave transmitter 812 and the feeder 818, and in the heating section in which high power is required, Through the two microwave transmitter 813 and the feeder 18, it is possible to supply high power microwaves into the cavity 834.

이때, 스캔 구간과 가열 구간의 출력 차별화를 위해, 스캔 구간에서는, 내부 에 구비되는 증폭기를 이용하지 않고, 바로 개구부 또는 안테나를 통해 마이크로웨이브가 캐비티(834) 내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가열 구간에서는, 내부에 구비되는 증폭기를 이용하여, 고출력으로 증폭된 마이크로웨이브가 개구부 또는 안테나를 통해 캐비티(834) 내로 출력될 수 있다. In this case, in order to differentiate the output of the scan section and the heating section, in the scan section, the microwave may be output into the cavity 834 directly through the opening or the antenna without using an amplifier provided therein. On the other hand, in the heating section, using the amplifier provided therein, the microwave amplified to a high power may be output into the cavity 834 through the opening or the antenna.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9의 조리기기(900)는 도 7의 조리기기(700)와 거의 유사하며, 다만, 제1 및 제2 마이크로웨이브 전송부(912,913)의 단부에 피더(917,918)로서 별도의 증폭기 없이 개구부 또는 안테나가 접속된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대신, RF 스위치(912)가 증폭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증폭기는 스캔 구간과 가열 구간에서 별도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스캔 구간에서는 증폭기가 사용되지 않고, 가열 구간에서 증폭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스캔 구간과 가열 구간의 출력 레벨 차이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oking apparatus 900 of FIG. 9 is almost similar to the cooking apparatus 700 of FIG. 7, except that feeders 917 and 918 are provided at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microwave transmitters 912 and 913. The difference is that an opening or an antenna is connected without a separate amplifier. Instead, the RF switch 912 may have an amplifier. In this case, the amplifier may be used separately in the scan section and the heating section. That is, the amplifier is not used in the scan section, the amplifier may be used in the heating section. In this way, the output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scan section and the heating section can be realiz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above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usually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의 부분 1 is a part of a cooking appliance using a microwa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시도이다.Perspective view.

도 2는 도 1의 조리기기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oking appliance of FIG.

도 3은 도 1의 조리기기의 내부를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in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of FIG. 1.

도 4는 스캔 구간의 주파수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in frequency of a scan interval.

도 5는 도 3의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의 내부의 일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side of the microwave generation unit of FIG. 3.

도 6은 도 3의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의 내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interior of the microwave generation unit of FIG.

다. All.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8)

주파수 발진 및 증폭을 수행하는 증폭기를 구비하며,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 및A microwave generator having an amplifier for performing frequency oscillation and amplification,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microwaves; And 상기 출력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캐비티 내부로 출력하는 피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And a feeder for outputting the output microwaves into the cavit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는,The microwave generator, 상기 출력되는 마이크로웨이브의 위상을 천이하는 위상 천이기, 및 상기 위상 천이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상기 증폭기로 공급하는 순환기를 더 구비하며,A phase shifter for shifting the phase of the output microwave, and a circulator for supplying the phase shifted microwave to the amplifier, 상기 위상 천이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의 복수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Cooking apparatus using a microwav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microwaves of different frequencies in accordance with the phase shif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에 위상 천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supply a phase shift signal to the microwave generator. 상기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는 상기 위상 천이 신호에 따라 주파수 가변되는 복수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The microwave generation unit is a microwave cooking device using a microwav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plurality of microwaves of the frequency variable according to the phase shift signal.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어부는, The control unit, 상기 캐비티 내로 공급되는 마이크로웨이브와 상기 캐비티로부터 반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주파수 별로 가열효율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가열효율에 따라, 가열 구간에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복수의 마이크로웨이브의 출력 기간 또는 파워 레벨이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 Using the microwaves supplied into the cavity and the microwaves reflected from the cavity, the heating efficiency is calculated for each frequency, and in accordance with the calculated heating efficiency, in the heating section, a plurality of micro-generated in the microwave generation unit Cooking apparatus using a microwav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output period or the power level of the wave to var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는,The microwave generator,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에, 직렬 및 병렬 중 적어도 하나로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And at least one amplifier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a series and a parallel terminal at an output of the amplifi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증폭기는, RF 파워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The amplifier, the microwave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a RF power transist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는, 고체 전력 증폭기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The microwave generator is a cooking device using a microwave, characterized in that the solid-state power amplifier modu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로부터의 마이크로웨이브의 전송 경로를 분리하는 RF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And a RF switch for separating a transmission path of the microwave from the microwave generator.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RF 스위치에 의해 분리된 마이크로웨이브를 복수 피더에 각각 전송하는 복수의 마이크로웨이브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And a plurality of microwave transmitters for transmitting the microwaves separated by the RF switch to a plurality of feeders, respectively.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RF 스위치는,The RF switch, 전체 조리 구간 중, 스캔 구간과 가열 구간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웨이브의 전송 경로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Cooking apparatus using a microwave, characterized in that for separating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microwave in accordance with the scan section and the heating section of the entire cooking section.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피더는, 전체 조리 구간 중 스캔 구간과 가열 구간에 따라 복수개로 구 비되며, The feeder is provided in plurality in accordance with the scan section and the heating section of the entire cooking section, 가열 구간용 피더는,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The heating section feeder, microwave cook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mplifier.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피더는, 증폭기를 포함하며, The feeder includes an amplifier, 전체 조리 구간 중 스캔 구간에서 상기 피더에 입력되는 마이크로웨이브는 상기 캐비티로 방출되며, Microwaves input to the feeder in the scan interval of the entire cooking period is emitted to the cavity, 상기 전체 조리 구간 중 가열 구간에서 상기 피더에 입력되는 마이크로웨이브는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되어 상기 캐비티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Microwaves input to the feeder in the heating section of the entire cooking section is amplified by the amplifier and emitted to the cavity. 복수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 A microwave generato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plurality of microwaves; 상기 마이크로웨이브의 전송 경로를 분리하는 RF 스위치; 및An RF switch separating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microwave; And 상기 RF 스위치로부터 출력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캐비티 내부로 출력하는 피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And a feeder for outputting the microwave output from the RF switch into the cavity.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RF 스위치에 의해 분리된 마이크로웨이브를 복수 피더에 각각 전송하는 복수의 마이크로웨이브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를 이용한 조리기기.And a plurality of microwave transmitters for transmitting the microwaves separated by the RF switch to a plurality of feeders, respectively.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RF 스위치는,The RF switch, 전체 조리 구간 중, 스캔 구간과 가열 구간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웨이브의 전송 경로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Cooking apparatus using a microwave, characterized in that for separating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microwave in accordance with the scan section and the heating section of the entire cooking section.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피더는, 전체 조리 구간 중 스캔 구간과 가열 구간에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며, The feeder is provided in plurality in accordance with the scan section and the heating section of the entire cooking section, 가열 구간용 피더는,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The heating section feeder, microwave cook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mplifier.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피더는, 증폭기를 포함하며, The feeder includes an amplifier, 전체 조리 구간 중 스캔 구간에서 상기 피더에 입력되는 마이크로웨이브는 상기 캐비티로 방출되며, Microwaves input to the feeder in the scan interval of the entire cooking period is emitted to the cavity, 상기 전체 조리 구간 중 가열 구간에서 상기 피더에 입력되는 마이크로웨이브는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되어 상기 캐비티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Microwaves input to the feeder in the heating section of the entire cooking section is amplified by the amplifier and emitted to the cavity.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RF 스위치는, 증폭기를 포함하며, The RF switch includes an amplifier, 전체 조리 구간 중 가열 구간에서 상기 RF 스위치에 입력되는 마이크로웨이브는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되어 상기 피더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Microwaves input to the RF switch in the heating section of the whole cooking section is amplified by the amplifier and transmitted to the fee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icrowave oven.
KR1020090084604A 2009-09-01 2009-09-08 A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KR20110026807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604A KR20110026807A (en) 2009-09-08 2009-09-08 A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US13/393,424 US20120241445A1 (en) 2009-09-01 2010-06-18 Cooking appliance employing microwaves
PCT/KR2010/003981 WO2011027963A2 (en) 2009-09-01 2010-06-18 Cooking appliance employing microwav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604A KR20110026807A (en) 2009-09-08 2009-09-08 A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807A true KR20110026807A (en) 2011-03-16

Family

ID=43933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604A KR20110026807A (en) 2009-09-01 2009-09-08 A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680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7583B2 (en) Cooking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709473B1 (en) A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US20120241445A1 (en) Cooking appliance employing microwaves
KR20100136836A (en) A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KR101762163B1 (en) A cooking apparatus
KR101748608B1 (en) A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KR20110026807A (en) A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KR101762161B1 (en) A cooking apparatus
KR101759160B1 (en) A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620438B1 (en) A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KR101762164B1 (en) A cooking apparatus
KR101625881B1 (en) A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KR101748606B1 (en) A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KR101588839B1 (en) A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KR101620448B1 (en) A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KR101731389B1 (en) A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KR20100136842A (en) A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KR20100136839A (en) A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KR101637880B1 (en) A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KR101620447B1 (en) A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KR20110024124A (en) A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KR101748607B1 (en) A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KR101762162B1 (en) A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727905B1 (en) A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811592B1 (en) A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