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5249A - Button type ignition switching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utton type ignition switching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5249A
KR20110025249A KR1020090083230A KR20090083230A KR20110025249A KR 20110025249 A KR20110025249 A KR 20110025249A KR 1020090083230 A KR1020090083230 A KR 1020090083230A KR 20090083230 A KR20090083230 A KR 20090083230A KR 20110025249 A KR20110025249 A KR 20110025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vehicle
unit
preset
engine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32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83161B1 (en
Inventor
이원
양현일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3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3161B1/en
Publication of KR20110025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52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1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10Safety devices
    • F02N11/101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engine starter actuation or eng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bstract

PURPOSE: A button-type ignition switch unit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re provided to enable an operating mode selected by a driver to be displayed rapidly and accurately since a vehicle sensing unit, a control unit and a storage unit operate organically. CONSTITUTION: A button-type ignition switch unit comprises a PCB, a button operating unit, a button display unit and a button switch. The PCB is arranged in a button housing. The button operating unit is operatively arranged on the button housing. The button display unit is arranged on the button operating unit. The button display unit comprises a button display capable of showing images. The button switch makes the change of an electric signal with the driving of the button operating unit.

Description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BUTTON TYPE IGNITION SWITCHING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and its control method {BUTTON TYPE IGNITION SWITCHING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시동 동작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한 버튼 타입 스위치 구조를 제공하되 원활하고 정확한 작동을 구축할 수 있는 구조의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button type switch structure for more smoothly starting operation of a vehicle, but a vehicle button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building a smooth and accurate operation. A start switch uni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되는데, 운전자의 조작성을 고려하여 각종 스위치들은 스티어링 부에 집약되거나 인근에 배치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Vehicles such as automobiles are required to function beyond various functions as a moving means as various convenient means for allowing a user to provide a more stable and comfortable driving state. Accordingly,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various convenience facilities and various switche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same, and in consideration of the driver's operability, the various switches tend to be concentrated or disposed in the steering unit.

또한, 차량의 시동 장치의 경우 종래 단순한 열쇠 타입의 시동키 구조 이외에 도난 방지를 위한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을 부가적으로 구비하는 기술 등 다양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성 측면에서도 시동키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는데, 일예로 버튼 타입의 시동키가 생산되 고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starter of a vehicle, various research and developments have been made, such as a technique of additionally providing an immobilizer system for preventing theft in addition to a simple key type starter key structure. In addition, various research and development related to the start key is made in terms of user convenience, for example, a button type start key is produced.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버튼 타입의 시동키는 단순한 버튼 구조를 취할 뿐, 현재 작동 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지하기 어려웠다. However, the button type start key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simple button structure, and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current operating state quickly and accurately.

본 발명은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인 가동을 이루되 현재 작동 상태를 명확하게 사용자로 하여금 인지하도록 하는 구조의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having a structure that enables a user to recognize a current operation state clearly while achieving more accurate and stable operatio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버튼 하우징; 상기 버튼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버튼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버튼 가동부; 상기 버튼 가동부에 배치되고 화상 구현 가능한 버튼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버튼 디스플레이부; 상기 버튼 가동부의 가동에 의하여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생성하는 버튼 스위치;를 구비하는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utton housing;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in the button housing; A button movable part movably disposed in the button housing; A button display unit disposed on the button movable unit and having a button display capable of implementing an image; It provides a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having a; button switch for generating a change in the electrical signal by the operation of the button movable portion.

상기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버튼 가동부는: 상기 버튼 디스플레이에서 생성된 화면을 외부로 출력 가능하게 하는 버튼 가동부 노브와, 상기 버튼 가동부 노브와 연결되어 일단이 상기 버튼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 배치되는 버튼 가동부 바디와, 상기 버튼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버튼 가동부 바디를 탄성 지지하는 버튼 가동부 탄성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the button mover comprises: a button mover knob for outputting a screen generated on the button display to the outside, and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button mover knob to be movable in the button housing; It may be provided with a button movable part body disposed, and a button movable part elastic part elastically supporting the button movable part body with respect to the button housing.

상기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버튼 가동부 탄성부는: 상기 버튼 가동부 노브의 상기 버튼 하우징을 향한 일면에 배치되는 버튼 가동부 탄성 수용부와, 상기 버튼 가동부 탄성 수용부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버튼 하우징에 배치되는 버튼 가동부 탄성 고정부와, 일단은 상기 가동부 탄성 수용부에 그리고 타단은 상기 버튼 가동부 탄성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버튼 가동부의 가동에 따라 탄성 변형되는 버튼 가동부 탄성체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the button movable portion elastic portion includes: a button movable portion elastic receiving portion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utton movable portion knob facing the button housing, and the button movable portion elastic receiv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movable portion elastic receiving portion. The button movable portion elastic fixing portion disposed, one end may be provided with the movable portion elastic receiv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utton movable portion elastic fixing portion and the button movable portion elastic body elastically deform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utton movable portion.

상기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버튼 가동부의 외측에는 상기 버튼 하우징에 안정적인 수용을 위한 버튼 가동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버튼 가동 가이드의 대응되는 위치로 버튼 하우징의 내측에는 버튼 가동 가이드 대응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a button movable guide for stably receiving the button housing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button movable portion, and a button movable guide correspond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button housing to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button movable guide. May be

상기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버튼 가동부에는 버튼 가동 스톱퍼가 구비되고, 상기 버튼 가동 스톱퍼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버튼 하우징에는 상기 버튼 가동 스톱퍼와 맞물리어 상기 버튼 가동부의 가동을 허용하되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버튼 가동 스톱퍼 대응부가 구비 수도 있다. In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the button movable portion is provided with a button actuated stopper, and the button housing is engaged with the button actuated stopper in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button actuated stopper to allow the button actuated portion to be actuated but not separated. It may also be provided with a button movable stopper counterpart to prevent it.

상기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버튼 스위치는 비접촉식 마그네트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버튼 스위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버튼 스위치 센서와, 상기 버튼 스위치 센서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버튼 가동부에 배치되는 버튼 스위치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the button switch includes a non-contact magnet switch, and the button switch includes a button switch sensor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button movabl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button switch sensor. It may also include a button switch magnet disposed.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소통을 이루며 사전 설정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차량 감지부를 구비하는 차량의 시동 신호를 입력하 기 위한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로서, 버튼 하우징; 상기 버튼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버튼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버튼 가동부; 상기 버튼 가동부에 배치되는 버튼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버튼 디스플레이부; 상기 버튼 가동부의 가동에 의하여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생성하는 버튼 스위치;를 구비하는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버튼 스위치를 통하여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 단계와, 상기 감지 단계에서 얻어지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의 작동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판단 단계와, 상기 모드 판단 단계에서 선택된 모드를 수행하는 모드 수행 단계를 구비하는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having a control unit, a storage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unit and storing a predetermined data, and a vehicl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vehicle and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unit A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for inputting a start signal of a vehicle, comprising: a button housing;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in the button housing; A button movable part movably disposed in the button housing; A button display unit having a button display disposed on the button moving unit;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comprising a button switch for generating a change in an electrical signal by the operation of the button moving unit, comprising: a sensing step of sensing an input signal through the button switch, the signal obtained in the sensing step And a mode determination step of selecting an operation mode of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on the basis of a mode, and a mode execution step of performing a mode selected in the mode determination step.

상기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 감지부는 차량의 엔진 회전수, 기어 레인지 및 브레이크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저장부의 사전 설정 데이터는 사전 설정 엔진 회전수 및 사전 설정 차량 속도 및 상기 버튼 스위치의 온 상태 유지 시간에 대한 사전 설정 입력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모드 판단 단계에서, 상기 버튼 가동부에 의한 상기 버튼 스위치의 입력 시간을 사전 설정 입력 시간과 비교하는 입력 시간 비교 단계와, 상기 입력 시간 비교 단계에서 상기 버튼 스위치의 입력 시간이 사전 설정 입력 시간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엔진 회전수를 사전 설정 엔진 회전수와 비교하는 엔진 회전수 비교 단계와, 상기 엔진 회전수가 상기 사전 설정 엔진 회전수 이하인 경우, 상기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의 전회 모드가 스톱(STOP)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회 모드 비교 단계와, 상기 전회 모드 비교 단계에서의 비교 결과에 따라 현재 모 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단계를 구비할 수도 있다.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the vehicle detection unit detects an engine speed, a gear range and a brake signal of the vehicle, and the preset data of the storage unit includes a preset engine speed and a preset vehicle speed and the button. An input time comparison step including a preset input time for an on state holding time of a switch, and in the mode determining step, an input time comparison step of comparing the input time of the button switch by the button moving unit with a preset input time; An engine speed comparison step of comparing the engine speed of the vehicle with a preset engine speed when the input time of the button switch exists within a range of a preset input time in the comparing step, and the engine speed is preset When the engine speed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It may be provided with a mode setting and the previous comparis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previous mode is the stop (STOP) mode, the mode setting step of setting the current mod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n the comparison step the previous mode.

상기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 감지부는 차량의 엔진 회전수, 기어 레인지 및 브레이크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저장부의 사전 설정 데이터는 사전 설정 엔진 회전수 및 사전 설정 차량 속도 및 상기 버튼 스위치의 온 상태 유지 시간에 대한 사전 설정 입력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모드 판단 단계에서, 상기 버튼 가동부에 의한 상기 버튼 스위치의 입력 시간을 사전 설정 입력 시간과 비교하는 입력 시간 비교 단계와, 상기 입력 시간 비교 단계에서 상기 버튼 스위치의 입력 시간이 사전 설정 입력 시간의 범위보다 큰 값을 갖는 경우, 차량의 시동 단속 여부를 결정하는 시동 단속 판단 단계를 구비할 수도 있다.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the vehicle detection unit detects an engine speed, a gear range and a brake signal of the vehicle, and the preset data of the storage unit includes a preset engine speed and a preset vehicle speed and the button. An input time comparison step including a preset input time for an on state holding time of a switch, and in the mode determining step, an input time comparison step of comparing an input time of the button switch by the button moving unit with a preset input time; In the comparing step, when the input time of the button switch has a value larger than a range of a preset input time, it may be provided with a starting interruption determination step for determining whether to start the control of the vehicle.

상기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동 단속 판단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엔진 회전수와 상기 사전 설정 엔진 회전수를 비교하는 엔진 회전수 비교 단계와, 상기 엔진 회전수가 상기 사전 설정 엔진 회전수 이하인 경우, 상기 기어 레인지가 주차 레인지 또는 중립 레인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어 레인지 비교 단계와, 상기 기어 레인지가 주차 레인지 또는 중립 레인지인 경우, 상기 브레이크 신호가 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브레이크 온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the starting control regulation step may include: an engine speed comparing step of the controller comparing the engine speed and the preset engine speed, and the engine speed being the preset engine A gear range comparis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gear range is the parking range or the neutral range when the speed is less than the rotational speed; and brake on determining whether the brake signal is on when the gear range is the parking range or the neutral range It may also include a determining step.

상기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 감지부는 차량의 차량 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저장부는 사전 설정 차량 속도를 포함하는 사전 설정 비교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시동 단속 판단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엔진 회전수와 상기 사전 설정 엔진 회전수를 비교하는 엔진 회전수 비교 단 계와, 상기 엔진 회전수가 상기 사전 설정 엔진 회전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량 속도와 상기 사전 설정 차량 속도를 비교하는 차량 속도 비교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the vehicle detecting unit detects a vehicle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storage unit stores preset comparison data including a preset vehicle speed. Comparing the engine speed with the preset engine speed; and comparing the vehicle speed with the preset vehicle speed when the engine speed exceeds the preset engine speed. It may also include a vehicle speed comparison step.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작동 모드에 대한 화상을 표현하는 버튼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버튼 가동부 노브의 운전자에 의한 조작으로 선택된 작동 모드를 운전자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First, a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butt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of an operation mode, so that a driver can quickly and easily select an operation mode selected by an operator of a button moving unit knob. Make it possible to recognize.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은, 비접촉식의 버튼 스위치부를 구비하여 반복적 조작에도 스위치 기능의 마모로 인한 손상 내지 오작동 발생 가능성을 방지 내지는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도 있다.Secondly,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non-contact button switch unit to prevent or significantly reduce the possibility of damage or malfunction due to wear of the switch function even in repeated operation.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은, 버튼 가동부 탄성부 및/또는 버튼 가동 스톱퍼/버튼 가동 스톱퍼 대응부를 구비하여 운전자의 조작 후 신속한 원위치 복귀 및 원치 않는 분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Third,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tton movable part elastic part and / or a button movable stopper / button movable stopper counterpart to prevent a quick home return and undesired separation after the driver's operation. Can be.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차량 감지부, 제어부, 저장부 등와의 연계를 통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운전자가 선택한 작동 모드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Fourth,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ble to display the operation mode selected by the driver more quickly and accurately through linkage with the vehicle detection unit, the control unit, the storage unit, and the lik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이하에서는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에 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1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10)의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1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4 및 도 5에는 도 2의 선 A-A를 따라 취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1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1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10)의 버튼 스위치 센서(41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선도가 도시되고,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10)의 버튼 가동부 바디의 단부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9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가 도시되고, 도 10 및 도 11에는 본 밤령의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의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흐름도가 도시된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nd 5 show one of the present inventions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shown, and FIG. 6 schematically shows an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is shown, and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button switch sensor 410 of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hematic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n end portion of a button mover body of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shows a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components for performing the control method is shown, and in Figs. 10 and 11 there is shown a schematic flowchart showing the control procedure of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of the present nigh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10)는 버튼 하우징(100)과, 인쇄회로기판(200)과, 버튼 가동부(300)와, 버튼 디스플레이부(400) 및 버튼 스위치(500)를 포함하는데, 버튼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버튼 가동부(300)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다른 구성요소들도 버튼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 배치된다.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tton housing 100, a printed circuit board 200, a button moving unit 300, a button display unit 400 and a button switch 500 The button movable part 300 is movably dispos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button housing 100, and other components are also receiv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button housing 100.

버튼 하우징(100)은 상부 버튼 하우징(110)과 하부 버튼 하우징(120)을 포함하고, 상부 버튼 하우징(110)은 하부 버튼 하우징(120)과 맞물리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상부 버튼 하우징(110)의 외측에는 상부 버튼 하우징 장착부(111)가 구비되고 하부 버튼 하우징(120)의 외측으로 상부 버튼 하우징 장착부(111)의 대응되는 위치로 하부 버튼 하우징(120)의 외측에는 하부 버튼 하우징 장착부(121)가 배치되는데, 상부 버튼 하우징 장착부(111)와 하부 버튼 하우징 장착부(121)는 서로 맞물리어 서로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버튼 하우징 장착부(111)는 요홈 구조로 그리고 하부 버튼 하우징 장착부(121)는 돌기 구조로 형성되는데 이들은 서로 반대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The button housing 100 includes an upper button housing 110 and a lower button housing 120, and the upper button housing 110 is engaged with the lower button housing 120 to form an inner space. The upper button housing mounting portion 111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upper button housing 11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button housing 120 is locat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upper button housing mounting portion 111 to the outside of the lower button housing 120. The button housing mounting portion 121 is disposed, and the upper button housing mounting portion 111 and the lower button housing mounting portion 121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fastened to each o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button housing mounting portion 111 is formed in the groove structure and the lower button housing mounting portion 121 is formed in the protrusion structure, which can be variously modified, such as may take a structure opposite to each other.

상부 버튼 하우징(110)과 하부 버튼 하우징(120)의 각각의 외주에는 버튼 하우징 고정부(115,125)가 배치되는데, 버튼 하우징 고정부(115,125)를 통하여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으로 차량에 장착하여 안정적인 위치 확보를 이룰 수 있다. 버 튼 하우징(100)의 배치 위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인접하도록 대시보드 내지는 센터페시아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버튼 하우징(110)과 하부 버튼 하우징(120)의 측면에는 각각 버튼 하우징 커넥터 장착부(113,123)가 배치되는데, 버튼 하우징 커넥터 장착부(113,123)에는 하기되는 커넥터(210)가 배치된다. Button housing fixing parts 115 and 125 are disposed at the outer circumferences of the upper button housing 110 and the lower button housing 120. The button housing fixing parts 115 and 125 are mounted to the vehicle by means of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Can be secured. The position of the button housing 100 may be disposed on the dashboard or the center fascia so as to be adjacent to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The button housing connector mounting parts 113 and 123 are dispos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upper button housing 110 and the lower button housing 120, respectively, and the connector 210 described below is disposed in the button housing connector mounting parts 113 and 123.

상부 버튼 하우징(110)과 하부 버튼 하우징(120)이 결합하여 형성된 내부 공간에 인쇄회로기판(200)이 배치된다. 인쇄회로기판(200)에는 각종 전기 소자와 회로배선(미도시)이 배치되는데, 인쇄회로기판(200)은 외부 전기 장치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고 하기되는 버튼 가동부(300)에 의하여 가동되는 버튼 스위치(500)의 신호를 외부 전기 장치로 전달하고, 외부 전기 장치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하기되는 화상 구현 가능한 버튼 디스플레이부(400)를 작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인쇄회로기판 상에는 제어부(미도시)가 배치되어 하기되는 버튼 스위치부의 조작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데, 제어부(미도시)는 외부의 ECU와 같은 별도의 제어부와 전기적 소통을 이룰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외부의 제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is dispos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combining the upper button housing 110 and the lower button housing 120.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is provided with various electrical elements and circuit wiring (not shown),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is a button switch that is operated by the button movable unit 300 which is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electrical device ( The signal of 500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electric device, and the image displayable button 400 is operated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from the external electric device. Although not clearly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ontrol unit (not shown) may be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output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button switch unit, which is a control unit (not shown) such as an external ECU.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a separate control unit and a structure formed integrally with an external control unit in some cases.

인쇄회로기판(200)은 버튼 하우징(100)에 배치되는데, 인쇄회로기판(200)에는 커넥터(210)가 장착된다. 커넥터(210)는 일단이 인쇄회로기판(200)에 장착되고 타단이 버튼 하우징(100)의 버튼 하우징 커넥터 장착부(113,123)에 배치됨으로써 외부 전기 장치와 인쇄회로기판(200)과의 전기적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인쇄회로기판(200)의 일측에는 기판 홈부(201)가 배치되어 하기되는 다른 구성요소, 예를 들어 버튼 가동부 탄성부(330)의 가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도 인쇄회로기판(200) 이외에 별도의 버튼 디스플레이 기판(220)이 더 배치되는데, 버튼 디스플레이 기판(220)은 기판 연결부(230)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200)과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기판 연결부(230)는 FPCB와 같은 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버튼 디스플레이 기판(220)과 인쇄회로기판(200) 간의 배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is disposed in the button housing 100, and the connector 210 i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One end of the connector 210 i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or 210 is disposed on the button housing connector mounting portions 113 and 123 of the button housing 100 to enable electrical communication between the external electric device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Let's do it. The substrate groove 201 may b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to enable operation of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the button movable part elastic part 330. In some cases, a plurality of printed circuit boards may be provided. That is, in this embodiment, a separate button display substrate 220 is further disposed in addition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and the button display substrate 220 communicates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through the board connection unit 230. Achieve. The substrate connection unit 230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an FPCB to increase the degree of freedom of arrangement between the button display substrate 22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버튼 가동부(300)는 버튼 하우징(100)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버튼 가동부(300)는 사용자에 의하여 가압됨으로 버튼 하우징(100)을 향하여 가동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버튼 가동부(300)는 버튼 가동부 노브(320)와 버튼 가동부 바디(310)를 포함하는데, 버튼 가동부 노브(320)와 버튼 가동부 바디(310)는 서로 맞물리어 이들 사이에 하기되는 버튼 디스플레이부(40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버튼 가동부 노브(320)의 외주에는 버튼 가동부 노브 장착부(321)가 배치되고 버튼 가동부 바디(310)의 외주로 버튼 가동부 노브 장착부(321)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버튼 가동부 바디 장착부(311)가 배치되는데, 버튼 가동부 노브 장착부(321)와 버튼 가동부 바디 장착부(311)는 서로 맞물리어 체결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버튼 가동부 노브 장착부(321)가 돌기 구조를 취하고 버튼 가동부 바디 장착부(311)가 요홈 구조를 취하는데, 서로 반대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버튼 가동부 바디(310)의 중앙에는 버튼 가동부 바디 중앙 관통구(313)가 배치되는데, 버튼 가동부 바디 중앙 관통구(313)는 하기되는 버튼 디스플레이부(400)의 안정적인 장착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The button movable part 300 is arranged to be movable in the button housing 100, and the button movable part 300 is movable toward the button housing 100 by being pressed by the user. The button mov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utton mover knob 320 and a button mover body 310, and the button mover knob 320 and the button mover body 31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be described below.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button display unit 400 is formed. The button mover knob mounting portion 321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utton mover knob 320, and the button mover body mount 311 is dispos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button mover knob mount 321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utton mover body 310. The button moving part knob mounting part 321 and the button moving part body mounting part 311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y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utton moving part knob mounting part 321 takes a protrusion structure, and the button moving part body mounting part 311 takes a concave structure,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The button mover body center through hole 313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button mover body 310, and the button mover body center through hole 313 may enable stable mounting of the button display unit 400 to be described below.

버튼 가동부 노브(320)는 버튼 가동부 바디(310)와 맞물리어 서로 체결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버튼 가동부 노브(320)의 일면에는 노브 표시부(323)가 배치된다. 노브 표시부(323)의 대응되는 위치로 버튼 가동부 노브(320)와 버튼 가동부 바디(310)의 사이에 버튼 디스플레이부(400)가 배치되는데, 버튼 디스플레이부(400)에서 출력되는 빛이 버튼 가동부 노브(320)의 노브 표시부(323)를 통하여 외부로 출사된다. 따라서, 버튼 가동부 노브(320)는 투명 내지는 적어도 버튼 디스플레이부(400)로부터 출력되는 빛이 외부로 출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재료로 형성된다. 또한, 노브 표시부(323)는 적어도 소정의 굴절율을 가지도록 외면이 곡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버튼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출력되는 빛 또는 이에 의한 화면 표시는 노브 표시부(323)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보다 명확하게 인식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button mover knob 320 is engaged with the button mover body 310 to be fastened to each other. A knob display 323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utton mover knob 320. The button display unit 400 is disposed between the button mover knob 320 and the button mover body 310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knob display unit 323, and the light output from the button display unit 400 is applied to the button mover knob. It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knob display unit 323 of 320. Accordingly, the button mover knob 320 is formed of a transparent or at least a material for enabling the light output from the button display 400 to be emitt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knob display unit 323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outer surface is curved to have at least a predetermined refractive index.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the light output from the button display unit or the screen display thereof may be more clearly recognized by the driver through the knob display unit 323.

한편, 버튼 가동부 노브(320)와 연결되는 버튼 가동부 바디(310)는 버튼 하우징(100)에 대하여 안정적인 가동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버튼 가동부 바디(310)의 일측에는 버튼 가동 가이드(315,317)가 구비되고, 버튼 하우징(100)의 내측에는 버튼 가동 가이드 대응부(117)가 배치된다. 버튼 가동 가이드(315,317)는 버튼 하우징(100),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버튼 하우징(110) 측으로 보다 안정적인 수용을 위하여 형성되는데, 버튼 가동 바디(310)는 버튼 가동 가이드 연장부(315)와 버튼 가동 가이드 돌기(317)를 구비한다. 버튼 가동 가이드 연장부(315)는 상부 버튼 하우징(110)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버튼 가동 가이드 연장부(315)는 소정의 너비를 구비하여 상부 버튼 하우징(110)의 내측면과 접촉 상태를 형성하여 버튼 가동부 바디(310)의 안정적인 가동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버튼 가동 가이드 연장부(315)의 일면에는 버튼 가동 가이드 돌기(317)가 배치되는데, 버튼 가동 가이드 돌기(317)는 버튼 가동부 바디(310)의 가동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버튼 가동 가이드 돌기(317)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부 버튼 하우징(110)의 내측면에는 버튼 가동 가이드 대응부(117)가 형성되는데, 버튼 가동 가이드 대응부(317)는 요홈 타입으로 구성되어 버튼 가동 가이드 돌기(317)의 가동을 허용한다. 이와 같은 버튼 가동 가이드(315,317)와 버튼 가동 가이드 대응부(117)의 구조는 복수 개가 형성되어 버튼 가동부 바디(310)가 버튼 가동부 바디(310)의 가동 방향에 대하여 수직 상태를 형성하지 못하고 뒤틀어져 원활하지 못한 가동 상태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버튼 가동 가이드가 돌기 구조를 구비하는 것으로 그리고 버튼 가동 가이드 대응부가 요홈 구조를 구비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서로 반대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Meanwhile, the button mover body 310 connected to the button mover knob 320 may form a stable operation state with respect to the button housing 100. One side of the button movable part body 310 is provided with button movable guides 315 and 317, and a button movable guide counterpart 117 is disposed inside the button housing 100. The button actuating guides 315 and 317 are formed for more stable accommodation to the button housing 100, more specifically to the upper button housing 110, wherein the button actuating body 310 is the button actuating guide extension 315 and the button actuating guide. The protrusion 317 is provided. The button movable guide extension 315 is formed to extend toward the upper button housing 110. The button movable guide extension 315 has a predetermined width to form a contact state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upper button housing 110. It is also possible to achieve a stable operation of the button moving part body (310). In addition, a button movable guide protrusion 317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utton movable guide extension part 315, and the button movable guide protrusion 317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movable direction of the button movable part body 310. A button movable guide counterpart 117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button housing 110 to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button movable guide protrusion 317. The button movable guide counterpart 317 is formed in a recessed type to enable button operation. Allow the guide protrusion 317 to move. A plurality of structures of the button movable guides 315 and 317 and the button movable guide counterpart 117 are formed such that the button movable body 310 is distorted without forming a vertical state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utton movable body 3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rmation of an unstable operating state. Although the button actuating guide has a protrusion structure and the button actuating guide counterpart has a recess structure in the present embodimen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taking an opposite configuration.

또한, 버튼 가동부(300)에는 버튼 가동부(300)가 버튼 하우징(100)으로부터 원치 않게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가동부(300)에는 버튼 가동 스톱퍼(318)가 배치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버튼 가동 스톱퍼(318)는 버튼 가동부 바디(310)의 일측에 형성된다. 버튼 가동 스톱퍼(318)는 버튼 가동 바디부(310)의 일측에서 버튼 하우징(100) 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버튼 가동 스톱퍼(318)의 단부에는 돌기 구조가 형성된다. 버튼 가동 스톱퍼(318)의 대응되는 위치로 버튼 하우징(100),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버튼 하우 징(110)에는 버튼 가동 스톱퍼 대응부(128)가 배치된다. 버튼 가동 스톱퍼 대응부(128)는 요홈 내지 관통구 구조로 형성되는데, 버튼 가동 스톱퍼 대응부(128)는 소정의 너비를 구비하여 버튼 가동부 바디의 소정 범위의 가동을 허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버튼 가동부 바디는 소정의 범위 가동이 허용되되 원치 않게 버튼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utton movable part 300 may prevent the button movable part 300 from being undesirably separated from the button housing 100.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button movable stopper 318 is disposed in the button movable part 300, and more specifically, the button movable stopper 318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utton movable part body 310. The button movable stopper 318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button movable body 310 to the button housing 100, and a protrusion structure is formed at an end of the button movable stopper 318. The button movable stopper counterpart 128 is disposed in the button housing 100, and more specifically, the upper button housing 110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button movable stopper 318. The button movable stopper counterpart 128 is formed with a recess or through hole structure, and the button movable stopper counterpart 128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to allow a predetermined range of movement of the button movable part body. Through this structure, the button moving part body is allowed to move in a predetermined range, bu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utton housing 100 undesirably.

버튼 가동부(300)는 운전자에 의하여 가동되는데, 운전자에 의한 가압력이 제거되는 경우 가동되어 눌러진 버튼 가동부의 원위치 복귀를 위한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버튼 가동부(300)는 버튼 가동부 탄성부(330)를 구비하는데, 버튼 가동부 탄성부(330)는 버튼 하우징(100)에 대하여 버튼 가동부 바디(310)를 탄성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버튼 가동부 탄성부(330)는 버튼 가동부 탄성 수용부(331, 도 8 참조)와 버튼 가동부 탄성 고정부(335)와 버튼 가동부 탄성 가동부(333)를 구비하는데, 버튼 가동부 탄성 수용부(331)는 버튼 가동부 노브(320)의 버튼 하우징(100)을 향한 일면에 배치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가동부 탄성 수용부(331)는 버튼 가동부 바디(310)에 요홈 타입으로 구성되는데, 버튼 가동부 탄성 수용부(331)에는 버튼 가동부 탄성 가동부(333)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버튼 가동부 탄성 가동부(333)는 코일 스프링 타입으로 구성되는데, 버튼 가동부 바디(310)의 가동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The button mover 300 is operated by the driver, and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omponent for returning to the home position of the button mover that is pushed and pressed when the pressing force by the driver is removed. The button movable part 300 includes a button movable part elastic part 330, and the button movable part elastic part 330 elastically supports the button movable part body 310 with respect to the button housing 100. The button movable part elastic part 33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button movable part elastic receiving part 331 (see FIG. 8), a button movable part elastic fixing part 335, and a button movable part elastic moving part 333. The part 331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utton moving part knob 320 facing the button housing 100. That is, as shown in Figure 4, the button movable portion elastic receiving portion 331 is configured as a groove type in the button movable portion body 310, the button movable portion elastic receiving portion 333 is disposed on the button movable portion elastic receiving portion 331 do.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utton movable portion elastic movable portion 333 is configured of a coil spring type,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in the range of providing an elastic force in the movable direction of the button movable portion body 310.

버튼 가동부 탄성 가동부(333)는 버튼 가동부 탄성 수용부(331)에 수용되어 일단이 버튼 가동부 탄성 수용부(331)의 내측 단부에 접촉하여 탄성 지지된다. 버 튼 가동부 탄성 가동부(333)의 타단은 버튼 가동부 탄성 고정부(335)와 접하는데, 버튼 가동부 탄성 고정부(335)는 버튼 가동부 탄성 수용부(331)의 대응되는 위치로 버튼 하우징(100), 보다 구체적으로 하부 버튼 하우징(120)에 배치된다. 버튼 가동부 탄성 고정부(335)는 하부 버튼 하우징(120)의 내측면으로부터 버튼 가동부 바디(31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돌기 타입으로 구성되어 코일 타입의 버튼 가동부 탄성 가동부(333)의 타단이 고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버튼 가동부(300)에 운전자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버튼 가동부 바디(310)는 버튼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으로 가압 이동한다. 이때 버튼 가동부 탄성부(330)의 버튼 가동부 탄성 가동부(333)는 가압된다. 그런 후, 운전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버튼 가동부 탄성 가동부(333)는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원위치 복귀되고, 이 과정에서 버튼 가동부 바디(310)는 버튼 가동부 탄성 가동부(33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원위치 복귀된다. The button movable portion elastic movable portion 333 is accommodated in the button movable portion elastic receiving portion 331, and one end thereof is elastically supported by contacting the inner end of the button movable portion elastic receiving portion 331. The other end of the button movable part elastic movable part 333 is in contact with the button movable part elastic fixing part 335, and the button movable part elastic fixing part 335 is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button movable part elastic receiving part 331. In more detail, the lower button housing 120 is disposed. The button moving part elastic fixing part 335 is formed of a protrusion type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button housing 120 toward the button moving part body 310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coil type button moving part elastic moving part 333 is fixed. Makes it possible. Therefore, when an external force by the driver is applied to the button mover 300, the button mover body 310 is pressed and moved to the inner space of the button housing 100. At this time, the button movable portion elastic movable portion 333 of the button movable portion elastic portion 330 is pressed. Then, when the external force by the driver is removed, the button movable portion elastic movable portion 333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nd in this process, the button movable portion body 31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button movable portion elastic movable portion 333. Is returned.

경우에 따라, 버튼 가동부 탄성 가동부(333)의 압축시 발생 가능한 버튼 가동부 탄성 가동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하부 버튼 하우징(120)에는 버튼 가동부 탄성 가동부 지지부(337)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버튼 가동부 탄성 가동부 지지부(337)는 버튼 가동부 탄성 가동부(333)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버튼 가동부 탄성 가동부(333)가 압축되는 경우 원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경우에 따라 버튼 가동부 탄성 가동부 지지부는 상부 버튼 하우징에도 대응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In some cases, a configuration may be further provided to prevent the button movable portion elastic movable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when the button movable portion elastic movable portion 333 is compressed. The lower button housing 120 may further include a button mover elastic mover supporter 337. The button movable part elastic movable part supporter 337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tton movable part elastic movable part 333 to prevent the button movable part elastic movable part 333 from being released from its original position when compressed. Although not clearly shown here, the button movable part elastic movable part support part may have a structure correspondingly disposed in the upper button housing in some cases.

본 발명의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10)는 버튼 스위치(500)를 구비한다. 버튼 스위치(500)는 운전자에 의하여 가압되는 버튼 가동부의 가동 상태에 따라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생성하는데, 변화된 전기적 신호는 인쇄회로기판(200) 및 커넥터(210)를 통하여 외부 전기 장치, 예를 들어 제어부와 같은 외부 전기 장치와 전기적 소통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10)는 비접촉식 스위치 구조를 형성한다. 버튼 스위치(500)는 비접촉식 마그네트 스위치로 구현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버튼 스위치(500)는 버튼 스위치 센서(510)와 버튼 스위치 마그네트(520)를 포함하는데, 버튼 스위치 센서(510)는 인쇄회로기판(200)에 배치된다. 버튼 스위치 마그네트(520)는 버튼 스위치 센서(510)의 대응되는 위치로 버튼 가동부 바디(310)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된다. 즉,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정상 상태에서 버튼 가동부 바디(310)는 버튼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도 버튼 가동부 탄성부(330)에 의한 초기 탄성력에 의하여 버튼 가동부 바디(310)의 단부와 버튼 하우징(100)의 내측면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다. 이때, 버튼 가동부 바디(310)의 외측에 형성된 버튼 가동 스톱퍼(318)과 버튼 하우징(100)에 형성된 버튼 가동 스톱퍼 대응부(128)의 상호 맞물림에 의하여 버튼 가동부 바디(310)의 버튼 하우징(100)으로부터의 원치 않는 분리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tton switch 500. The button switch 500 generates a change in the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button movable portion pressed by the driver, the changed electrical signal through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and the connector 210, such as an external electrical device, for example Establish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electrical device such as a control unit.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non-contact switch structure. The button switch 500 is implemented as a non-contact magnet switch, the button switch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utton switch sensor 510 and a button switch magnet 520, the button switch sensor 510 is a printed circuit It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200. The button switch magnet 520 is positioned and fixed to the button moving part body 310 to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button switch sensor 510. That is, even when the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he button movable part body 310 is disposed inside the button housing 100, but the end of the button movable part body 310 and the button by the initial elastic force by the button movable part elastic part 330.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maintains a predetermined gap. At this time, the button housing 100 of the button movable part body 310 by the interlocking of the button movable stopper 318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button movable part body 310 and the button movable stopper counterpart 128 formed on the button housing 100. Undesired separation from) can be prevented.

이때, 버튼 스위치(500)의 버튼 스위치 센서(510)와 버튼 스위치 마그네트(520)는 도면 부호 δ1을 구비한다. 이때,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버튼 스위치 센서(510)의 가동 상태는 버튼 스위치 마그네트(520)와의 간격이 도면 부호 δth 보다 큰 경우 오프 상태를 형성하며 오프 신호를 출력한다. 버튼 스위치 센 서(510)와 버튼 스위치 마그네트(520) 사이의 거리가 도면 부호 δth 이하인 경우, 버튼 스위치 센서(510)는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전환되고 온 신호를 출력한다. 운전자에 의하여 버튼 가동부 노브(320)가 가압되는 경우, 버튼 가동부 바디(310)는 버튼 하우징(100)으로 유입되고 버튼 스위치 마그네트(520)와 버튼 스위치 센서(510) 간의 거리가 δ2를 형성한다. δ1>δth>δ2의 관계이므로, 버튼 스위치 센서(510)와 버튼 스위치 마그네트(520)와 소정의 간격이 δ2를 이루는 경우 버튼 스위치 센서(510)에서 온 신호가 출력되고 이러한 신호 변화는 인쇄회로기판(200) 및 커넥터(210)를 통하여 제어부와 같은 외부 전기 장치로 전달된다. At this time, the button switch sensor 510 and the button switch magnet 520 of the button switch 500 has a reference numeral δ1.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7, the operation state of the button switch sensor 510 forms an off state when the distance from the button switch magnet 520 is greater than δth and outputs an off signal.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button switch sensor 510 and the button switch magnet 520 is equal to or less than δth, the button switch sensor 510 is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and outputs an on signal. When the button mover knob 320 is pressed by the driver, the button mover body 310 flows into the button housing 10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button switch magnet 520 and the button switch sensor 510 forms δ2. Since the relationship between δ1> δth> δ2, when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button switch sensor 510 and the button switch magnet 520 forms δ2, a signal from the button switch sensor 510 is output and the change of the signal is printed circuit board. It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electric device such as a control unit through the 200 and the connector 210.

버튼 디스플레이부(400)는 버튼 가동부(300)에 배치되는데, 버튼 디스플레이부(400)는 화상 구현 가능한 버튼 디스플레이(410)를 포함한다. 여기서, 화상이란 단순한 특정 색상의 빛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여 특정 문자 내지는 특정 도형 내지는 다양한 색상으로의 동시 출력 내지 순차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화소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화면을 의미한다. The button display unit 400 is disposed in the button movable unit 300, and the button display unit 400 includes a button display 410 that can implement an image. Here, the image refers to a screen that is output to a display having a plurality of display pixels capable of simultaneously outputting to a specific character, a specific figure, or a variety of colors, including outputting light of a specific specific color.

버튼 디스플레이 홀더(420)는 버튼 디스플레이(410)를 버튼 가동부(300)에 안정적인 위치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버튼 디스플레이 홀더(420)는 버튼 디스플레이 홀더 장착부(425)를 포함하는데, 버튼 디스플레이 홀더 장착부(425)의 대응되는 위치로 버튼 가동부 노브(320)에는 버튼 디스플레이 홀더 장착부 대응부(325)가 배치된다. 버튼 디스플레이 홀더 장착부(425)는 버튼 디스플레이 홀더 장착부 대응부(325)에 삽입 배치된다. 버튼 디스플레이 홀더 장착부(425)에는 버튼 디스플레이 홀더 장착부 홈(426)이 배치되고 버튼 디스플레이 홀더 장착부 대응 부(325)에는 버튼 디스플레이 홀더 장착부 대응부 돌기(326)가 배치된다. 따라서, 버튼 디스플레이 홀더(420)의 일면 상에 버튼 디스플레이(410)가 안정적으로 위치 확보하도록 배치되고, 버튼 디스플레이 홀더 장착부(425)가 버튼 디스플레이 홀더 장착부 대응부(325)에 삽입 배치되는 경우, 버튼 디스플레이 홀더 장착부 대응부 돌기(326)는 버튼 디스플레이 홀더 장착부 홈(426)와 맞물린다. 이와 같은 결합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버튼 디스플레이 홀더(420)와 버튼 가동부 노브(320) 사이에 버튼 디스플레이(410)가 배치되는 경우, 버튼 디스플레이(410)는 버튼 디스플레이 홀더 가이드(427)에 의하여 안정적인 위치 확보를 이루며 배치된다. 버튼 디스플레이(410)는 LCD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버튼 디스플레이(410)는 버튼 디스플레이 기판(220)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고, 버튼 디스플레이 기판(220)은 기판 연결부(230)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200)과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따라서, 버튼 스위치 센서(510)에 의하여 입력되는 신호는 외부 전기 장치 또는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는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되고 제어부(미도시)는 소정의 제어 신호를 커넥터(210) 및 인쇄회로기판(200) 및 버튼 디스플레이 기판(220)을 통하여 버튼 디스플레이(410)로 전달하여 START(도 6 참조)와 같은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10)의 작동 상태를 형성하는데, 버튼 디스플레이(410)의 표시 화면은 ACC, IGN, STOP 등과 같은 화면 내지는 복수 개의 색상의 빛의 출력 내지 순차적 내지는 깜박임 내지 복수 개의 색상의로의 전환과 같은 특정 화상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utton display holder 420 supports the button display 410 to secure a stable position on the button movable part 300. The button display holder 420 includes a button display holder mounting part 425. The button display holder mounting part corresponding part 325 is disposed at the button moving part knob 320 to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button display holder mounting part 425. The button display holder mounting part 425 is inserted into the button display holder mounting part corresponding part 325. The button display holder mounting portion groove 426 is disposed in the button display holder mounting portion 425, and the button display holder mounting portion corresponding portion protrusion 326 is disposed in the button display holder mounting portion corresponding portion 325. Therefore, when the button display 410 is disposed to stably position on one surface of the button display holder 420, and the button display holder mounting portion 425 is inserted into the button display holder mounting portion corresponding portion 325, the button The display holder mount counterpart 326 is engaged with the button display holder mount groove 426. In the case of forming such a coupling structure, when the button display 410 is disposed between the button display holder 420 and the button moving part knob 320, the button display 410 is stable by the button display holder guide 427. Are secured and placed. The button display 410 may be implemented as a flat panel display such as an LCD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he button display 410 is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button display substrate 220, and the button display substrate 220 is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through the board connection unit 230. Accordingly, a signal input by the button switch sensor 510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electric device or a control unit (not shown) which may be disposed therein, and the control unit (not shown) transmits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to the connector 210 and the printed circuit. The substrate 200 and the button display board 220 are transferred to the button display 410 to form an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10 such as START (see FIG. 6). The display screen may include a screen such as ACC, IGN, STOP, etc., or a specific image screen such as output of a plurality of colors of light, sequential or flickering, and switching to a plurality of colors.

한편, 본 발명은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10)의 제어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10)을 포함하는 차량(1)의 개략적인 블록 선도가 도시된다. 차량(1)에는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10)와 제어부(20)와 저장부(30) 및 차량 감지부(70) 이외 연산부(40), TCU(50) 및 엔진(60)이 더 구비된다. 제어부(20)는 다른 구성요소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며 소정의 제어 신호를 인가하고, 저장부(30)는 제어부(20)와 소통을 이루며 사전 설정된 사전 설정 데이터가 저장되어 제어부(20)가 소정의 판단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 비교 기준으로서 사전 설정 데이터가 활용될 수 있다.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10)는 제어부(20)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데,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10)의 제어 방법은 감지 단계(S10)와 모드 판단 단계(S20)와 모드 수행 단계(S30)를 포함한다. 감지 단계(S10)에서 버튼 스위치(410)를 통하여 입력 신호가 감지되는데, 버튼 스위치(410)에서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20)로 전달된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 process of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10. 9 show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vehicle 1 comprising a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vehicle 1 further includes an operation unit 40, a TCU 50, and an engine 60 in addition to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10, the control unit 20, the storage unit 30, and the vehicle detection unit 70. . The control unit 20 makes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other components and applies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and the storage unit 30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unit 20, and preset preset data is stored so that the control unit 20 receives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When performing the determination process, preset data may be used as a comparison criterion.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10 makes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unit 20. The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10 includes a sensing step S10, a mode determining step S20, and a mode performing step S30. ). In the sensing step S10, an input signal is detected through the button switch 410, and the signal detected by the button switch 41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0.

그런 후, 제어부(20)는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10)의 작동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판단 단계(S20)를 수행한다. 모드 판단 단계(S20)에서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의 소정의 작동 모드가 선택되는데, 본 발명의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의 제어 방법의 모드 판단 단계는 입력 시간 비교 단계(S215,S217)와 엔진 회전수 비교 단계(S218)와 전회 모드 비교 단계(S219)과 모드 설정 단계(S221,S223,S225,S229,S231,S241)을 포함한다. Thereafter, the controller 20 performs a mode determination step S20 of selecting an operation mode of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10 based on the detected signal. In the mode determination step S20, a predetermined operation mode of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is selected. The mode determination step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input time comparison step S215 and S217 and the engine speed. A comparison step S218, a previous mode comparison step S219, and mode setting steps S221, S223, S225, S229, S231, and S241 are included.

차량 감지부(70)는 차량의 엔진 회전수(N), 기어 레인지(RN) 및 브레이크 신 호(BR) 및 차량 속도(V)를 감지하고, 저장부(30)의 사전 설정 데이터는 사전 설정 엔진 회전수(Ns) 및 사전 설정 차량 속도(Vs) 및 상기 버튼 스위치의 온 상태 유지 시간에 대한 사전 설정 입력 시간(Ts;Tsmin,Tsmax)을 포함한다.The vehicle detecting unit 70 detects the engine speed N, the gear range RN and the brake signal BR, and the vehicle speed V of the vehicle, and preset data of the storage unit 30 is preset. Engine input speed (Ns) and preset vehicle speed (Vs) and preset input times (Ts; Tsmin, Tsmax) for the on-time holding time of the button switch.

먼저, 입력 시간 비교 단계(S215,S217)에 앞서 제어부(20)는 차량 감지 확인 및 버튼 스위치 센서의 작동 여부 즉 버튼 스위치 센서의 온 신호 여부를 판단한다(S211,S213).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차량의 현재 상태에 대한 차량 감지 신호가 확인되고, 버튼 스위치 센서의 신호가 존재하는지에 따라 후속 진행이 결정된다. 버튼 스위치 센서의 온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20)는 작동 모드를 전회의 작동 모드로 설정하고(S223), 제어 흐름을 단계 S30으로 전환한다. First, prior to the input time comparison step (S215, S217), the control unit 20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detection check and the button switch sensor is activated, that is, whether the button switch sensor is on (S211, S213).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vehicle detection signal for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is confirmed, and a subsequent process is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a signal of the button switch sensor exists. If the ON signal of the button switch sensor does not exist, the control unit 20 sets the operation mode to the previous operation mode (S223), and switches the control flow to step S30.

버튼 스위치 센서의 온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입력 시간 비교 단계(S215, S217)를 수행한다. 입력 시간 비교 단계(S215,S217)에서 버튼 가동부(300)에 의한 버튼 스위치(410)의 입력 시간(T)을 사전 설정 입력 시간(Ts;Tsmin,Tsmax)과 비교한다. 사전 설정 입력 시간(Ts)은 운전자에 의하여 버튼 가동부 노브가 가압되어 운전자가 조작을 원하는지와 시동을 위한 START 모드를 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시간으로 사용된다. 즉, 제어부는 단계 S215에서 입력 시간(T)이 사전 설정 최소 입력 시간(Tsmin)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20)는 운전자에 의한 실수로 조작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어 흐름을 단계 S223으로 전달한다. 반면, 단계 S215에서 입력 시간(T)이 사전 설정 최소 입력 시간(Tsmin) 이상 경우 제어부(20)는 단계 S217로 전환하여 입력 시간(T)이 사전 설정 최대 입력 시간(Tsmax)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20)는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시동을 위한 START 내지 STOP 모드가 아닌 다른 작동 모드 선택을 위한 것으로 판단한다. When there is an on signal of the button switch sensor, the controller 20 performs input time comparison steps S215 and S217. In the input time comparison step (S215, S217), the input time T of the button switch 410 by the button movable unit 300 is compared with the preset input time Ts (Tsmin, Tsmax). The preset input time Ts is used as a reference tim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button moving knob is pressed by the driver and whether the driver wants to operate and the START mode for starting. That is, if the input time T is smaller than the preset minimum input time Tsmin in step S215,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that the driver 20 has made a mistake by the driver and transfers the control flow to step S223.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put time 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minimum input time Tsmin in step S215, the control unit 20 switches to step S217, and when the input time T is smaller than the preset maximum input time Tsmax, the control unit ( 20) determines that the operation by the driver is for selecting an operation mode other than the START to STOP mode for starting.

그런 후, 제어부는 엔진 회전수 비교 단계(S218)를 수행하는데, 제어부(20)는 엔진 회전수 비교 단계(S218)에서 차량의 엔진 가동 여부를 판단한다. 즉, 엔진 회전수(N)가 사전 설정 엔진 회전수(Ns) 이하인 경우 제어부는 차량이 정지 상태라고 판단하고 단계 S219로 진행한다. 단계 S219에서 제어부는 전회 모드가 STOP 모드(정지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회 모드 비교 단계를 수행하고, 전회 모드가 STOP 모드인 경우 제어부(20)는 작동 모드를 ACC 모드로 판단하고 설정하고(S221), 전회 모드가 STOP 모드가 아닌 경우 제어부(20)는 작동 모드를 IGN 모드로 판단 설정한다(S225). 여기서, ACC 모드, IGN 모드, STOP 모드, START 모드 및 경고 모드는 각각 차량의 전장, 예를 들어 라디오 등을 조작할 수 있는 전원 대기 상태를, 차량의 엔진을 가동시키기 위한 준비가 완료된 준비 상태를, 차량에 공급되는 전원이 모두 차단된 정지 상태를, 차량의 엔진이 가동되는 시동 상태, 그리고 차량의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의 조작 상태의 확인을 운전자에게 주의 요하는 경고음 내지 경고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경고 상태를 나타낸다. Thereafter, the control unit performs an engine speed comparison step S218, and the control unit 20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operating in the engine speed comparison step S218. That is, when the engine speed N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set engine speed Ns,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in a stopped state and proceeds to step S219. In step S219, the controller performs a previous mode comparis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evious mode is the STOP mode (stop mode), and when the previous mode is the STOP mode,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and sets the operation mode as the ACC mode ( If the previous mode is not the STOP mode, the control unit 20 determines and sets the operation mode to the IGN mode (S225). Here, the ACC mode, IGN mode, STOP mode, START mode and warning mode are each a power standby state capable of operating the vehicle's total length, for example, a radio, and the like, and a ready state ready to start the engine of the vehicle. To output a warning sound or a warning screen that requires the driver to check the stopped state in which all power supplied to the vehicle is cut off, the start state in which the engine of the vehicle is started,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of the vehicle. Indicates a warning condition.

반면, 단계 S218에서 차량의 엔진 회전수(N)가 사전 설정 엔진 회전수(Ns)보다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는 차량의 속도(V)가 사전 설정 차량 속도(Vs)를 비교하는 차량 속도 비교 단계(S227)를 수행한다. 제어부(20)가 차량 속도(V)가 사전 설정 차량 속도(Vs) 이하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20)는 작동 모드를 유지하는데, 이때의 작동 모드는 START 모드(시동 모드)이다(S229). 여기서, 단계 S227에서 차량 속도(V)가 사전 설정 차량 속도(Vs)보다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 차량은 주행 상태로 판단하여 제어부(20)는 운전자에게 경고하여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의 조작이 적절하지 않음을 경고하는 경고 모드(S231)를 수행하는데, 이 경우에도 차량이 주행하지는 않으나 엔진 상태는 시동 상태를 형성한 것으로 판단되므로 엔진의 작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경고 모드에서 제어부는 버튼 디스플레이를 통한 경고 화상 표시 이외에 음향부(미도시)를 통하여 경고음을 출력할 수도 있고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218 that the engine speed N of the vehicle is greater than the preset engine speed Ns,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vehicle speed at which the speed V of the vehicle compares the preset vehicle speed Vs. Step S227 is performed. When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speed V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set vehicle speed Vs, the controller 20 maintains an operation mode, in which case the operation mode is a START mode (starting mode) (S229). . In this case,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227 that the vehicle speed V is greater than the preset vehicle speed Vs, the vehicle is determined to be in a driving state, and the control unit 20 warns the driver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is not appropriate. Warning mode (S231) to warn that the vehicle is not running, even in this case, but the engine state is determined to form a starting state can maintain the operating state of the engine. Here, although not clearly shown, in the warning mode, the controller may output a warning sound through an acoustic unit (not shown) in addition to the warning image display through the button display.

이와 같이 작동 모드가 선택된 경우, 모드 수행 단계(S30)에서 각각의 작동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데, 각각의 작동 모드에 대하여 제어부(20)는 버튼 디스플레이(410)에 이에 대응하는 화면 출력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TCU(50) 등의 다른 구성요소에 현재 운전자에 의하여 선택된 작동 모드에 대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When the operation mode is selected in this way, each operation mode may be performed in the mode execution step (S30). For each operation mode, the controller 20 sends a screen output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button display 410. And a signal for the operating mode currently selected by the driver to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TCU 50.

한편, 단계 S217, 즉 입력 시간 비교 단계에서 운전자에 의한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의 조작의 입력 시간이 사전 설정 최대 입력 시간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S217), 제어부(20)는 차량의 시동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한 시동 단속 판단 단계(S233,S235,S237,S239,S241)를 수행한다. 시동 단속 판단 단계는 엔진 회전수 비교 단계(S233)와 기어 레인지 비교 단계(S235)와 브레이크 온 판단 단계(S237)를 포함한다. 엔진 회전수 비교 단계(S233)에서 제어부(20)는 엔진 회전수가 사전 설정 엔진 회전수(Ns) 이상인지 여부를 비교하고, 엔진 회전수(N)가 사전 설정 엔진 회전수(Ns) 이하라고 판단되는 경우 단계 S235에서 변속기의 기어 레인지(RN)가 주차 레인지(P) 또는 중립 레인지(N)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기어 레 인지가 주차 또는 중립 레인지라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20)는 브레이크 온 판단 단계(S237)를 수행한다. 제어부(20)는 브레이크 온 판단 단계(S237)에서 차량 감지부로부터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미도시)가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237에서 제어부(20)가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이 온 상태를 형성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20)는 현재 운전자에 의하여 선택되는 작동 모드는 START 모드(시동 모드)라고 판단한다(S237,S229). 이와 같은 엔진 회전수 비교 단계, 기어 레인지 비교 단계 및 브레이크 온 판단 단계을 통하여 차량의 엔진의 정지 상태 확인 및 엔진(60)을 작동시키기 위한 안정적인 환경이 조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217, that is, the input time of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by the driver in the input time comparison step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maximum input time (S217), the control unit 20 changes the starting state of the vehicle. Starting step determination steps (S233, S235, S237, S239, and S241) are performed. The starting intermittent determination step includes an engine speed comparison step S233, a gear range comparison step S235, and a brake on determination step S237. In the engine speed comparison step (S233), the control unit 20 compares whether the engine spe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engine speed Ns, and determines that the engine speed 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set engine speed Ns. In step S235,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gear range RN of the transmission is the parking range P or the neutral range N.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ear range is the parking range or the neutral range, the controller 20 performs the brake on determination step (S237).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whether the brake device (not shown) of the vehicle is operated from the vehicle detector in the brake on determination step S237. When the control unit 20 determines that the brake device is in an on state in step S237, the control unit 20 determines that the operation mode currently selected by the driver is a START mode (starting mode) (S237 and S229). . Through such an engine speed comparison step, a gear range comparison step, and a brake on determination step,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stable environment for operating the engine 60 and checking the stopped state of the engine of the vehicle is established.

반면, 단계 S233에서 제어부(20)가 엔진 회전수(N)가 사전 설정 엔진 회전수(Ns)보다 큰 값을 갖는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20)는 차량 속도 비교 단계(S239)를 포함한다. 차량 속도 비교 단계(S239)에서 제어부(20)는 차량 감지부에서 감지된 차량 속도(V)와 저장부에 저장된 사전 설정 차량 속도(Vs)를 비교하여 차량의 이동 여부를 확인한다. 단계 S239에서 차량 속도가 사전 설정 차량 속도 이하의 값을 갖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10)의 작동 모드를 STOP 모드(정지 모드)인 것으로 판단한다. In contrast, when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that the engine speed N has a value greater than the preset engine speed Ns in step S233, the controller 20 includes a vehicle speed comparison step S239. In the vehicle speed comparison step S239, the controller 20 compares the vehicle speed V detected by the vehicle detection unit with a preset vehicle speed Vs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moving.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239 that the vehicle speed has a value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set vehicle speed, the control unit 20 determines that the operation mode of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10 is the STOP mode (stop mode).

단계 S235에서 기어 레인지(RN)가 주차 상태(P) 및 중립 상태(N)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및 단계 S239에서 차량 속도(V)가 사전 설정 차량 속도(Vs)보다 큰 값을 갖는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20)는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10)에 의하여 선택되는 모드를 경고 모드로 설정한다(S231). 이는, 운전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버튼 가동부 노브의 가압 시간은 상당한 시간을 갖지만 운전자에 의하여 시동을 하거나 또는 시동을 중지시키고자 하기 위한 적절한 차량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하기 위함이다.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235 that the gear range RN is not the parking state P and the neutral state N, and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239 that the vehicle speed V has a value larger than the preset vehicle speed Vs, The control unit 20 sets the mode selected by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10 to the warning mode (S231). This is to determine that the pressurization time of the button mover knob operated by the driver has a considerable time, but it is not an appropriate vehicle state for starting or stopping the start by the driver, and to warn the driver.

이와 같은 모드 판단 단계(S20)에서 판단 설정된 소정의 작동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 신호를 제어부(20)가 버튼 디스플레이(410) 및 엔진(60)에 전달한다. 버튼 디스플레이(410) 및 엔진(60)은 제어부(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소정의 작동 모드에 대한 화상을 표시하거나 또는 엔진의 작동 상태를 변화시킨다. The control unit 20 transmits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for performing the predetermined operation mode determined in the mode determination step S20 to the button display 410 and the engine 60. The button display 410 and the engine 60 display an image for a predetermined operation mode or change the operation state of the engin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20.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의 버튼 스위치부가 마그네트 타입 이외에 적외선 센서 내지 광센서 등을 통한 구현 동작을 이룰 수도 있는 등,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에 버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버튼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조 및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The above embodiments are examples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button switch unit of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tton display in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accordance with design specifications for various structures and control methods in the range including the button display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2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선 A-A를 따라 취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4 and 5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의 버튼 스위치 센서(41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선도이다.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button switch sensor 410 of a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의 버튼 가동부 바디의 단부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8 is a schematic partial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n end portion of a button mover body of a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다. 9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components for performing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은 본 밤령의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의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10 and 11 are schematic flowcharts showing the control process of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of this nigh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 100...버튼 하우징10 ...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100 ... button housing

200...인쇄회로기판 300...버튼 가동부200 ... printed circuit board 300 ... button moving part

310...버튼 가동부 바디 320...버튼 가동부 노브310 ... button moving body 320 ... button moving knob

330...버튼 가동부 탄성부 400...버튼 디스플레이부330 ... button moving part Elastic part 400 ... button display part

410...버튼 디스플레이 ` 420...버튼 디스플레이 홀더410 ... button display `420 ... button display holder

Claims (11)

버튼 하우징;Button housings; 상기 버튼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in the button housing; 상기 버튼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버튼 가동부;A button movable part movably disposed in the button housing; 상기 버튼 가동부에 배치되고 화상 구현 가능한 버튼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버튼 디스플레이부;A button display unit disposed on the button movable unit and having a button display capable of implementing an image; 상기 버튼 가동부의 가동에 의하여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생성하는 버튼 스위치;를 구비하는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And a button switch for generating a change in an electrical signal by the operation of the button moving part.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버튼 가동부는:The button moving portion: 상기 버튼 디스플레이에서 생성된 화면을 외부로 출력 가능하게 하는 버튼 가동부 노브와, A button moving part knob for outputting the screen generated by the button display to the outside; 상기 버튼 가동부 노브와 연결되어 일단이 상기 버튼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 배치되는 버튼 가동부 바디와, A button mover body connected to the button mover knob and one end of which is movably disposed in the button housing; 상기 버튼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버튼 가동부 바디를 탄성 지지하는 버튼 가동부 탄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And a button movable part elastic part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utton movable part body with respect to the button housing. 제 2항에 있어서, 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버튼 가동부 탄성부는:The button movable portion elastic portion: 상기 버튼 가동부 노브의 상기 버튼 하우징을 향한 일면에 배치되는 버튼 가동부 탄성 수용부와, A button movable portion elastic receiving portion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utton movable portion knob facing the button housing; 상기 버튼 가동부 탄성 수용부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버튼 하우징에 배치되는 버튼 가동부 탄성 고정부와,A button movable part elastic fixing part disposed in the button housing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button movable part elastic receiving part; 일단은 상기 가동부 탄성 수용부에 그리고 타단은 상기 버튼 가동부 탄성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버튼 가동부의 가동에 따라 탄성 변형되는 버튼 가동부 탄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And a button movable part elastic body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movable part elastic receiving par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utton movable part elastic fixing part and elastically deform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utton movable part.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버튼 가동부의 외측에는 상기 버튼 하우징에 안정적인 수용을 위한 버튼 가동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버튼 가동 가이드의 대응되는 위치로 버튼 하우징의 내측에는 버튼 가동 가이드 대응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Vehicle button start switch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button movable portion is provided with a button movable guide for stable accommodation in the button housing, the button movable guide correspond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button housing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button movable guide. Unit.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버튼 가동부에는 버튼 가동 스톱퍼가 구비되고, 상기 버튼 가동 스톱퍼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버튼 하우징에는 상기 버튼 가동 스톱퍼와 맞물리어 상기 버튼 가동부의 가동을 허용하되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버튼 가동 스톱퍼 대응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The button movable stopper is provided with a button movable stopper, and the button housing stopper counterpart for allowing the button movable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button movable stopper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button movable stopper but preventing separation from being separated.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버튼 스위치는 비접촉식 마그네트 스위치를 구비하고, The button switch has a non-contact magnet switch, 상기 버튼 스위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버튼 스위치 센서와, The button switch may include a button switch sensor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버튼 스위치 센서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버튼 가동부에 배치되는 버튼 스위치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And a button switch magnet disposed in the button mov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button switch sensor.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소통을 이루며 사전 설정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차량 감지부를 구비하는 차량의 시동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로서, 버튼 하우징; 상기 버튼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버튼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버튼 가동부; 상기 버튼 가동부에 배치되는 버튼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버튼 디스플레이부; 상기 버튼 가동부의 가동에 의하여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생성하는 버튼 스위치;를 구비하는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의 제어 방법으로서, A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for inputting a start signal of a vehicle having a control unit, a storage unit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unit and storing preset data, and a vehicle detection unit sensing a state of the vehicle and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unit. A button housing;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in the button housing; A button movable part movably disposed in the button housing; A button display unit having a button display disposed on the button moving unit;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having a; button switch for generating a change in the electrical signal by the operation of the button moving unit, 상기 버튼 스위치를 통하여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 단계와, A sensing step of sensing an input signal through the button switch; 상기 감지 단계에서 얻어지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의 작동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판단 단계와, A mode determination step of selecting an operation mode of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based on a signal obtained in the sensing step; 상기 모드 판단 단계에서 선택된 모드를 수행하는 모드 수행 단계를 구비하 는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 제어 방법.And a mode performing step of performing a mode selected in the mode determining step. 제 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차량 감지부는 차량의 엔진 회전수, 기어 레인지 및 브레이크 신호를 감지하고,The vehicle detection unit detects the engine speed, gear range and brake signal of the vehicle, 상기 저장부의 사전 설정 데이터는 사전 설정 엔진 회전수 및 사전 설정 차량 속도 및 상기 버튼 스위치의 온 상태 유지 시간에 대한 사전 설정 입력 시간을 포함하고,Preset data of the storage unit includes a preset engine speed and a preset vehicle speed and a preset input time for the on-state holding time of the button switch, 상기 모드 판단 단계에서, In the mode determination step, 상기 버튼 가동부에 의한 상기 버튼 스위치의 입력 시간을 사전 설정 입력 시간과 비교하는 입력 시간 비교 단계와, An input time comparison step of comparing an input time of the button switch by the button moving unit with a preset input time; 상기 입력 시간 비교 단계에서 상기 버튼 스위치의 입력 시간이 사전 설정 입력 시간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엔진 회전수를 사전 설정 엔진 회전수와 비교하는 엔진 회전수 비교 단계와, An engine speed comparing step of comparing the engine speed of the vehicle with a preset engine speed when the input time of the button switch is within a range of a preset input time in the input time comparing step; 상기 엔진 회전수가 상기 사전 설정 엔진 회전수 이하인 경우, 상기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의 전회 모드가 스톱(STOP)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회 모드 비교 단계와, A previous mode comparis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evious mode of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is a stop mode when the engine speed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set engine speed; 상기 전회 모드 비교 단계에서의 비교 결과에 따라 현재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 제어 방법.And a mode setting step of setting a current mod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n the previous mode comparison step. 제 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차량 감지부는 차량의 엔진 회전수, 기어 레인지 및 브레이크 신호를 감지하고,The vehicle detection unit detects the engine speed, gear range and brake signal of the vehicle, 상기 저장부의 사전 설정 데이터는 사전 설정 엔진 회전수 및 사전 설정 차량 속도 및 상기 버튼 스위치의 온 상태 유지 시간에 대한 사전 설정 입력 시간을 포함하고,Preset data of the storage unit includes a preset engine speed and a preset vehicle speed and a preset input time for the on-state holding time of the button switch, 상기 모드 판단 단계에서, In the mode determination step, 상기 버튼 가동부에 의한 상기 버튼 스위치의 입력 시간을 사전 설정 입력 시간과 비교하는 입력 시간 비교 단계와, An input time comparison step of comparing an input time of the button switch by the button moving unit with a preset input time; 상기 입력 시간 비교 단계에서 상기 버튼 스위치의 입력 시간이 사전 설정 입력 시간의 범위보다 큰 값을 갖는 경우, 차량의 시동 단속 여부를 결정하는 시동 단속 판단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 제어 방법.In the input time comparison step, if the input time of the button switch has a value larger than the range of a predetermined input time, the vehicle button start switch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start the control of the start of the vehicle Control method. 제 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시동 단속 판단 단계는:The start regulation step may include: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엔진 회전수와 상기 사전 설정 엔진 회전수를 비교하는 엔진 회전수 비교 단계와, An engine speed comparison step of the controller comparing the engine speed and the preset engine speed; 상기 엔진 회전수가 상기 사전 설정 엔진 회전수 이하인 경우, 상기 기어 레 인지가 주차 레인지 또는 중립 레인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어 레인지 비교 단계와, A gear range comparis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gear range is a parking range or a neutral range when the engine speed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set engine speed; 상기 기어 레인지가 주차 레인지 또는 중립 레인지인 경우, 상기 브레이크 신호가 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브레이크 온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 제어 방법.And a brake on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brake signal is on when the gear range is a parking range or a neutral range. 제 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차량 감지부는 차량의 차량 속도를 감지하고, The vehicle detecting unit detects the vehicle speed of the vehicle, 상기 저장부는 사전 설정 차량 속도를 포함하는 사전 설정 비교 데이터가 저장되고, The storage unit stores preset comparison data including a preset vehicle speed, 상기 시동 단속 판단 단계는:The start regulation step may include: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엔진 회전수와 상기 사전 설정 엔진 회전수를 비교하는 엔진 회전수 비교 단계와, An engine speed comparison step of the controller comparing the engine speed and the preset engine speed; 상기 엔진 회전수가 상기 사전 설정 엔진 회전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량 속도와 상기 사전 설정 차량 속도를 비교하는 차량 속도 비교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 제어 방법.And a vehicle speed comparing step of comparing the vehicle speed with the preset vehicle speed when the engine speed exceeds the preset engine speed.
KR1020090083230A 2009-09-04 2009-09-04 Button type ignition switching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0831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230A KR101083161B1 (en) 2009-09-04 2009-09-04 Button type ignition switching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230A KR101083161B1 (en) 2009-09-04 2009-09-04 Button type ignition switching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249A true KR20110025249A (en) 2011-03-10
KR101083161B1 KR101083161B1 (en) 2011-11-11

Family

ID=43932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3230A KR101083161B1 (en) 2009-09-04 2009-09-04 Button type ignition switching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316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8691A (en) * 2015-06-25 2018-02-21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Start / stop switch system mainly used in vehicles
US10510097B2 (en) 2011-10-19 2019-12-17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892B1 (en) 2012-12-20 2014-01-13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Terminal transition control method of vehicle and control apparatu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4125B2 (en) * 2002-04-24 2008-04-0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Vehicle start switch display control device
JP4417182B2 (en) * 2004-06-16 2010-02-17 朝日電装株式会社 Switch device for vehic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10097B2 (en) 2011-10-19 2019-12-17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US10896442B2 (en) 2011-10-19 2021-01-19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US11551263B2 (en) 2011-10-19 2023-01-10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KR20180018691A (en) * 2015-06-25 2018-02-21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Start / stop switch system mainly used in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3161B1 (en) 2011-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1908B1 (en) Device for holding a portable phon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method for holding and detaching a portable phone thereof
US9772031B2 (en) Shifter assembly including display and actuation for driver control
KR101363189B1 (en) Vehicular controlling unit for changing shift ran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080586B1 (en) Vehicular lever switching unit
KR101083161B1 (en) Button type ignition switching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30223042A1 (en) Illuminated switch assembly
JP2010111304A (en) On-vehicle remote control device
KR101116934B1 (en) Vehicular transmission range switching device
JP6092654B2 (en) Operating device
KR20100083981A (en) Vehicular transmission range switching device
KR20160034671A (en) Intergrated control system for vehicles and method thereof
JP2007184174A (en) Switch structure
JP6501199B2 (en) Vehicle portable device
KR101171454B1 (en) Integrated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tarting of a vehicular engine
JP3073881B2 (en) Automotive remote control device
KR20100011002U (en) Switch Assembly for Vehicle
KR101745189B1 (en) Alarming apparatus for vehicle
JP2008230441A (en) Shift lever device
KR101083139B1 (en) Switching unit module and switching unit device
JP2002254952A (en) Shift device
KR101206218B1 (en) Switch for Vehicle
KR200456700Y1 (en) Switch Assembly for Vehicle
KR102024650B1 (en) Steering wheel for autonomous driving vehicle
JP2015123958A (en) Shifter device for vehicle
JP4934295B2 (en) Automotive electron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