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4902A - 제품리뷰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제품리뷰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4902A
KR20110024902A KR1020090083087A KR20090083087A KR20110024902A KR 20110024902 A KR20110024902 A KR 20110024902A KR 1020090083087 A KR1020090083087 A KR 1020090083087A KR 20090083087 A KR20090083087 A KR 20090083087A KR 20110024902 A KR20110024902 A KR 20110024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product
user
tags
categ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3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0359B1 (ko
Inventor
정휘웅
김경선
윤진희
김종현
전기왕
김치영
Original Assignee
(주) 다이퀘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다이퀘스트 filed Critical (주) 다이퀘스트
Priority to KR1020090083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359B1/ko
Publication of KR20110024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 검색에 있어서 제품리뷰정보 구축 및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피평가 제품에 대한 평가항목들인 평가태그를 카테고리별로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1단계와, 사용자로부터 해당 피평가 제품과 관련하여 선택받은 평가태그들을 수신하는 제2단계와, 다수의 사용자들로부터 수신한 평가태그들을 누적하여 해당 피평가 제품에 대한 각 평가태그별 평가점수로서 저장하는 제3단계를 구비한다.
제품, 상품, 서비스, 구매, 리뷰, 검색

Description

제품리뷰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review information}
본 발명은 제품 검색에 있어서 제품리뷰정보 구축 및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현재 세계 각지의 수많은 서버 네트워크가 연결된 거대하고 효율적인 정보축적매체 및 정보제공 매체로서, 전자메일, 뉴스그룹, 파일전송, 정보 전달 및 검색 등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수많은 개인, 기업들이 예술, 문학, 학술, 의학, 오락, 스포츠, 정치, 과학기술, 산업, 경제 등 많은 분야에 걸쳐 자신의 관심사를 홈페이지에 담아내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쏟아지는 매일매일의 뉴스 기사가 각 분야별로 관심있는 사람들이 형성한 뉴스 그룹에서 시시콜콜한 내용부터 전문적인 내용까지 다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인터넷에 올라오는 내용이 다양해지면서 인터넷으로 제공되는 정보는 눈더미처럼 불어가고 있으며, 빠르게 성장해 나가고 있는 인터넷상에서 우리가 원하는 정보만을 선별하여 골라내기 위해서는 나름대로의 노우-하우(know-how)가 필요하며, 이를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 바로 검색 엔진이다.
검색 엔진은 인터넷상에 있는 수 많은 사이트들 중 자신이 찾고자 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사용자들은 이러한 검색을 통해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검색 엔진은 다양한 예에 적용되어 사용 가능한데, 구매 상품 정보, 서비스업 정보, 숙박지 정보, 여행지 정보, 영화 정보, 놀이시설 정보, 방송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제품 정보를 검색하여 획득 후 활용할 수 있다.
예컨대, '인터넷 쇼핑몰'로 불리우는 전자 상거래를 통해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상품을 구매하려는 구매자는 다른 구매자에 의해 작성된 상품 리뷰를 검색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를 얻은 후 상품 구매 결정에 활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상품 리뷰를 작성하는 리뷰창은 형식적으로 간단히 제공되어, 상품평에 대한 상품 리뷰 작성이 추상적으로만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품을 구매하려는 자가 이렇게 추상적으로 작성된 상품 리뷰에 있는 상품정보를 제공받을 시에, 해당 상품에 대한 상세한 상품정보를 얻지 못해 상품 구매 결정에 실효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구매자가 상품을 구매한 후 상품 리뷰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존의 리뷰창 예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리뷰창은 한줄평, 상품평 같이 획일적인 정보입력 필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새로운 정보 입력 필드를 추가할 수 없다. 또한, 평가 시에 점수를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카테고리별로 구별되어 있지않아 구매자가 상품평을 손쉽게 작성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현재 제공되는 리뷰창은 해당 상품의 기능 카테고리별로 상품평이 자세 히 이루어지지 못한 채, '완전좋아요', '잘산것같아요'와 같은 추상적인 전체 평가가 이루어지거나, 또는, 기능별 점수 정도만 평가하는 획일적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획일적 방식에 의해 입력 저장된 상품 정보를 제공받은 다른 사용자는 해당 상품에 대한 좀더 구체적인 정보(장점,단점,용도 등)를 자세히 알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도 2는 검색을 통해 상품평을 제공하는 기존의 검색정보창을 도시한 그림으로서, 검색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추상적인 평가정보만 제공되고 있을 뿐 효과적인 상품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제품 구매 후 카테고리별로 손쉬운 제품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품리뷰정보를 제공하며, 아울러, 이러한 제품리뷰정보를 효과적으로 구축하도록 하는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피평가 제품에 대한 평가항목들인 평가태그를 카테고리별로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1단계와, 사용자로부터 해당 피평가 제품과 관련하여 선택받은 평가태그들을 수신하는 제2단계와, 다수의 사용자들로부터 수신한 평가태그들을 누적하여 해당 피평가 제품에 대한 각 평가태그별 평가점수로서 저장하는 제3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제2단계에서는 사용자가 평가태그를 추가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을 더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추가 평가태그를 입력받아 수신한다. 또한, 수신한 평가태그들 중에서 새롭게 추가된 추가 평가태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추가 평가태그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평가점수 산정시에 누적 적용되는게 제공하는 평가태그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군에 관련된 평가태그들을 카테고리별로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4단계와, 사용자가 선택한 평가태그들에서 가장 높은 평가점수를 얻은 제품들을 검색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5단계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은 누구나 손쉽게 제품 평가를 할 수 있으며, 아울러 각 카테고리별로 세부적으로 제품 평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뷰창을 통해 평가된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평과 내용을 검색창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의 장단점을 일목요연하게 알 수 있다. 또한, 특정 기능에 대하여 평가 내용이 가장 좋은 제품을 추천해 줌으로써, 사용자의 제품 선택에 도움이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그림이다.
검색서버(300)는 단말기(100)로부터 특정 제품이나 판매자에 대한 검색 요청이 있을 때, 평가DB를 조회하여 각 제품별 또는 판매자별 평가정보를 단말기(100)에 제공한다. 상기 평가DB(400)는 각 제품들 또는 판매자에 대한 평가 정보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로서, 각 제품 또는 판매자에 관련된 평가태그별로 평가된 평가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단말기(100)는 검색서버(300)에 유무선 통신망(200)을 통해 접속하여 검색정 보를 제공받는 단말기로서, 개개인의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단말장치들(100a,100b,,,,100n)이 해당된다.
상기 단말기(100)는 중앙처리장치(CPU), 디스플레이 화면, 유무선 통신망을 구비한 장치라면 그 대상에 제한이 없을 것이다. 예를 들어, 데스크탑/노트북 PC, 이동통신단말기 등과 같이 화면을 가진 유무선통신이 가능한 연산장치라면 검색 단말기의 역할로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에는 리뷰창(도 5) 및 검색정보창(도 7)이 표시된다.
리뷰창(500a,500b)은 특정 제품(이하, '제품'이란, 상품, 서비스업, 숙박지, 여행지, 영화, 놀이시설, 방송 등을 포함하는 평가 가능한 모든 유무형의 서비스업 및 상품을 말함)에 대한 평가를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창으로서, 카테고리별로 다양한 평가태그가 구비되어 사용자 선택에 따른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리뷰창의 제공 과정은 도 4의 플로차트와 함께 상술한다.
상기 리뷰창(500a,500b)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평가된 내용은 검색서버(300)로 전송되어 평가DB(400)에 점수화되어 저장되며, 추후 다른 사용자가 해당 제품을 검색할 때, 해당 평가 정보가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의 검색정보창에 제공된다.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검색정보창(700)은 검색서버(300)를 통해 검색되어 제공된 평가정보를 바탕으로, 제품 및 판매자에 대한 평가태그의 정보를 제공하며, 아울러, 사용자로부터 평가태그 항목의 클릭이 있을 때 해당 평가태그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제품을 검색하여 도 9의 상세 정보창(900)으로서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검색정보창의 제공 과정은 도 6의 플로차트와 함께 상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품리뷰정보 구축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사용자가 특정 제품군을 평가하고자 단말기의 리뷰창에서 피평가 제품을 선택한 경우(S401), 단말기(100)는 검색서버(300)로 선택된 피평가 제품의 고유코드나 명칭을 전송한다(S402).
검색서버(300)는 수신한 피평가 제품에 대하여 평가DB를 조회하여 관련된 평가태그들을 추출하여(S403), 추출한 평가태그들의 항목을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404).
상기 평가태그는 피평가 제품이 속한 제품군에 대한 평가항목들로서, 피평가 제품의 기능 특징별로 평가 가능하도록 하는 태그이다. 예컨대, 휴대폰의 경우, '벨소리기능', '화면기능', '배터리' 등의 기능별 평가태그가 해당될 수 있다.
또한, 평가태그는 상기와 같이 각 기능별로 평가태그가 구비될 수 있지만,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카테고리별로 다수의 평가태그로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테고리는 평가하고자 하는 목적별로 카테고리를 구분한 것으로서, 예컨대, 카테고리는 단점 카테고리, 장점 카테고리, 용도 카테고리, 배송 카테고리 등으로 구별될 수 있다.
상기 단점 카테고리는 제품의 단점에 관한 평가태그들로 이루어진 카테고리를 말하며, 장점 카테고리는 제품의 장점에 관한 평가태그들로 이루어진 카테고리를 말하며, 용도 카테고리는 제품의 용도에 관한 평가태그들로 이루어진 카테고리 를 말하며, 배송 카테고리는 제품의 배송과 관련된 평가태그들로 이루어진 카테고리를 말한다.
각 카테고리 내에는 다수의 평가태그가 구비되는데, 예컨대, "장점 카테고리"의 경우에는, 그 내부에 '디자인 기능', '큰 벨소리', '사용하기 쉬움', '좋은 디자인', '다양한 폰트' 등과 같이 다양한 평가태그가 구비된다.
한편, 검색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S404) 평가태그는 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되어 선택받는데(S407), 새로운 평가태그를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는 수단이 제공되어 입력받을 수 있다(S406).
즉, 검색서버에서 수신한 평가태그들 중에서, 사용자가 평가하고자 하는 평가태그가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사용자에 의한 평가태그 추가 과정들(S405,S406)을 갖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검색서버는 평가태그를 추가 입력할 수 있는 평가태그 추가필드와 같은 평가태그 추가 입력 수단을 더 제공하며, 사용자로부터 평가태그 추가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405).
사용자로부터 평가태그를 추가하고자 요청이 있을 경우(S405), 사용자로부터 평가태그 추가필드에 새로운 평가태그의 명칭을 직접 입력받는다(S406)
한편, 상기 평가태그 추가를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은 상기와 같이 평가태그 명칭을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아 추가될 수 있지만, 다른 실시 예로서, 별도의 '찾기' 버튼을 통해 평가태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찾기'버튼을 클 릭하면 표시되지 않은 다른 종류의 평가태그 리스트를 제공하며, 이중에서 사용자가 추가할 평가태그를 선택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평가태그 추가 이외에도 카테고리 역시 사용자 요청에 의해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적으로 "장점 카테고리", "단점 카테고리", "용도 카테고리"가 제공되나 이밖에도 사용자 추가 요청에 의하여 "배송 카테고리"가 추가되어 리뷰창에 표시될 수 있다. 도 5(a)는 검색서버(300)에서 제공된 "장점 카테고리", "단점 카테고리", "카테고리"이외에도 새롭게 사용자에게 추가된 "배송 카테고리" 항목도 함께 디스플레이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한편, 평가태그를 추가하여 직접 입력받지 않는 경우에는, 검색서버로부터 추출한 평가태그들의 항목을 단말기(100)가 전송한(S404) 평가태그 중에서 특정 평가태그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다(S407).
즉, 검색서버(300)가 선택된 제품에 관련된 평가태그를 검색하여 제공(S404)하면, 이를 수신한 단말기(100)는, 카테고리별로 평가태그를 리뷰창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다(S407).
도 5는 평가태그를 디스플레이한 리뷰창의 모습을 도시한 그림으로서, 도 5(a)는 제품을 대상으로 한 리뷰창(500a)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리뷰창(500a)은 다수의 카테고리별로 분류되어 디스플레이되고, 다시, 각 카테고리 내에 관련된 다양한 평가태그가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와 같이 평가하고자 하는 피평가 제품이 휴대폰인 경우, "장점 카테고리"에는 휴대폰의 장점으로 평가할 수 있는 '디자인 기능', '큰 벨소리', '사용하기 쉬움', '좋은 디자인', '다양한 폰트' 등과 같이 다양한 관련 평가태그가 구비되며, "용도 카테고리"에는 용도와 관련하여 평가할 수 있는 '전화', '효도폰', '사진', '인터넷', '게임' 등과 같이 다양한 관련 평가태그가 구비되며, "단점 카테고리"에는 '무거움', '파손이 잘됨', '버그', '배터리', '벨소리종류' 등과 같이 다양한 관련 평가태그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리뷰창에 디스플레이된 평가태그를 보고 해당 제품에 합당하다고 생각하는 평가태그를 선택한다(S407). 평가태그 선택(S407)은 클릭 방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평가태그 중에서 자신이 생각한 내용과 일치하는 평가태그가 있다면 해당 평가태그를 클릭하여 선택함으로써, 평가를 수행한다. 예컨대, 해당 휴대폰의 용도가 인터넷 및 게임 용도로 사용하기 편리하다고 생각된다면, "상품장점 카테고리" 내의 '인터넷' 및 '게임'의 평가태그를 클릭하여 선택한다.의 '인터넷' 및 '게임'의 평가태그를 클릭하여 선택한다.의 '인터넷' 및 '게임'의 평가태그를 클릭하여 선택한다.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S407)되거나 새롭게 추가되어 입력(S406)된 평가태그의 항목들을 검색서버로 전송하며(S408), 검색서버(300)는 이를 수신한다(S409).
평가태그를 수신한 검색서버는 새롭게 추가된 평가태그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410).
만약, 새롭게 추가된 평가태그가 있는 경우에는, 추가된 평가태그를 저장하기 전에 소정의 요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S411).
상기 소정의 요건이란, 사용자가 입력한 동일한 평가태그가 총 사용자 평가횟수의 일정 비율을 넘어서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소정의 요건을 30%라고 가정할 경우, 제품의 "장점 카테고리" 내에서 총 10명의 사용자 중에서 4명의 사용자가 새롭게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의 평가태그 추가를 요청했다면, 요청한 비율인 40%가 소정의 요건인 30%를 충족시켰기 때문에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판단한다.
검색서버(300)는, 상기 소정의 요건이 만족될 시에 추가된 평가태그를 카테고리별 평가태그로서 항목에 추가시킨다(S412).
그 후, 검색서버는 선택되어 수신한 기존의 평가태그들이나 새롭게 추가되어 소정 조건 만족하는 평가태그들을 점수화하여 저장한다(S413).
상기 점수화하여 저장(S413)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각 평가태그들에 대해서 해당 평가태그가 선택된 총 회수를 총 사용자 평가횟수로 나눈 값을 점수로 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리뷰창 내에서 용도의 '큰 벨소리' 평가태그를, 10명 평가자 중에서 4명만이 선택하였다면, '큰 벨소리'의 평가태그에 대해서는 4명/10명으로서 0.4점의 점수를 부여하여 검색서버의 평가DB에 저장한다(S413).
또한, 평가태그의 점수화의 다른 실시 예로서, 수신한 평가태그를 누적하여 점수화할 수 있다. 즉, 수신한 평가태그 항목에 대해서는 기존의 평가DB에 카운팅 누적하여 각 항목별로 점수화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리뷰창 내에서 용도의 '큰 벨소리' 평가태그를, 전체 평가자 중에서 4명만이 선택하였다면, '큰 벨소리'의 평가태그에 대해서는 총 누적 명수인 4점의 점수를 부여하여 검색서버 내 평가DB에 저장한다(S413).
따라서 수많은 사용자들에 의한 평가태그의 선택 여부에 따라 각 평가태그의 점수가 달라져서, 해당 제품의 평가정보가 다양한 방면으로 파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평가태그는 제품에 대한 평가태그로 제공될 수 있지만, 아울러, 판매자에 대한 평가태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제품의 평가태그와 마찬가지로, 판매자의 장점, 단점, 판매자의 판매물품 용도 등의 카테고리별로 평가태그를 제공하여 사용자들로부터 선택을 받아 이를 점수화하여 검색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도 5(b)는 검색서버(300)에서 단말기(100)에 제공한 판매자 대상 평가 리뷰창(500b)을 도시한 그림으로서, 평가하고자 하는 대상이 판매자인 경우, 제품의 평가태그와 마찬가지로, 판매자에 대한 "장점 카테고리", "단점 카테고리", "용도 카테고리"가 제공되며 각 카테고리별로 평가태그가 구비된다.
사용자 선택에 의해 판매자에 대한 평가태그 선택이 완료되면, 이를 수신한 검색서버는, 수신한 평가태그를 누적하여 평가점수로 저장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은 제품 또는 판매자에 대해 다수의 평가태그를 가진 리뷰창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간단히 클릭만으로도 다양한 항목의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리뷰 작성 노력을 최소화하면서도 제품이나 판매자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수치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품리뷰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단말기로부터 특정 제품군에 대한 검색요청이 있을 경우(S601),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군에 관련된 평가태그들을 카테고리별로 구분하여 단말기에 제공한다(S602).
이러한 평가태그들은 단말기(100)에서 카테고리별로 디스플레이되며(S603), 사용자가 특정 평가태그를 선택하면(S604) 해당 평가태그가 검색서버(300)로 전송된다(S605).
검색서버(300)는 사용자가 선택한 평가태그들에서 가장 높은 평가점수를 얻은 제품들을 검색하여 그 결과물인 제품 리스트(702)를 단말기(100)에 제공한다(S606).
단말기는 수신한 제품 리스트를 도 7의 검색정보창(700)에 디스플레이한다(S607).
예를 들어, "장점 카테고리"에서 사용자가 '다양한 기능' 및 '사용하기 쉬움' 평가태그를 선택한 경우(S604), 단말기(100)는 선택된 평가태그를 검색서버(300)로 전송하며(S605), 검색서버(300)는 '다양한 기능' 및 '사용하기 쉬움'의 평가태그를 사용자들로부터 가장 많이 선택받은 제품 리스트를 검색하여 단말기(100)에 전송하며, 이를 수신한 단말기는 검색정보창(700)에 디스플레이한 다(S607).
한편, 상기 설명한 과정들(S602,S603,S604,S605,S606,S607)은 사용자로부터 가장 많이 선택받아 높은 점수를 가진 평가태그를 가진 제품을 검색서버가 검색하여, 단말기에 제공하는 모습을 설명한 것이다.
이러한 평가태그에 기초한 제품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것 이외에도, 검색서버는, 단말기로부터 특정 제품군에 대한 검색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제품군에 있는 제품들을 검색하여 평가차트로서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에 대한 검색 요청이 있을 경우, 검색서버(300)는 휴대폰군의 제품 리스트들을 검색하여 단말기로 제공한다.
이때 각 제품들의 평가차트도 함께 검색정보창에 디스플레이하는데, 검색서버로부터 점수화된 평가정보를 바탕으로 평가차트로서 검색정보창에 디스플레이한다.
평가차트가 검색정보창(700)에 도시된 예를 도 7에 도시하였는데, 각 제품 리스트(701)별로 평가차트(703)가 함께 도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평가차트(703)는, 각 상품별 평가를 점수 차트 화해놓은 것으로서, 사용자가 손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차트로서 표시한다. 따라서 휴대폰을 검색한 경우, 추천 휴대폰 제품 리스트(701)가 순서대로 디스플레이되며 각 휴대폰의 하단에 평가차트(703)가 함께 디스플레이되어 일목 요연하게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평가차트는 방사형 그래프, 막대형 그래프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는데, 참고로, 도 8(a)은 방사형 그래프 형태의 평가차트를 도시한 일 그림이고, 도 8(b)은 막대형 그래프 형태의 평가차트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7에서는 일 예로서 방사형 그래프의 평가차트(703)를 도시한 것으로서, 가격, 전문가추천, 논평평가, 고객 별점, 상품평수 별로 항목을 두어 각각의 점수를 방사형 그래프로서 차트 표시한다.
또한, 이밖에도 장점, 단점, 용도 등의 카테고리별로 항목을 두어 각각의 점수를 방사형 또는 막대형 그래프로서 차트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검색서버(300)로부터 검색되어 제공된 제품 리스트(701,702) 중에서 특정 제품을 사용자가 클릭하게 선택하게 되면(S608), 단말기(100)는 해당 제품의 상세 정보를 전송해줄 것을 검색서버(300)에 요청한다(S609).
검색서버(300)는 해당 제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검색하여 단말기에 제공하고(S610), 단말기(100)는 이러한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S611)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참고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세 정보가 표시되는 상세 정보창(900)을 도시한 그림이다.
상기 상세 정보는, 제품에 대한 가격 및 기능 정보 이외에도, 제품 평가태그 점수, 판매자 평가태그 점수, 배송서비스 평가지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품 평가태그 점수는, 도 4의 과정을 거쳐서 리뷰창을 통해 카테고리별로 평가된 평가태그의 점수를 말하는 것이다.
상기 제품 평가태그 점수는, 리뷰창에서 사용자가 체크한 비율에 따라 이를 누적하여 저장한 점수를 말하는데, 예를 들어, 도 5의 리뷰창 내에서 "용도 카테고리"의 '큰 벨소리' 평가태그의 점수가 15점이라면, 도 9의 검색정보창(900)의 제품 평가태그 점수 표시필드(910)에 "큰 벨소리(15)"로서 점수화하여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장점 카테고리", "단점 카테고리"의 평가태그들의 점수들도 제공된다.
한편, 제품의 "단점 카테고리"의 경우에는, 사용자 요청이 있을 경우, 좀더 상세하게 단점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도 10과 같이 추가 제공되어 사용자가 해당 제품 선택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상품정보 검색에 있어 상품에 대한 장점 위주의 평가만 제공될 뿐 세부적인 단점 상세정보가 제공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단점 카테고리" 내의 평가태그의 정보를 통해, 해당 제품의 단점에 대한 좀 더 상세한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해줌으로써, 사용자의 제품 선택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한편, 검색서버(300)의 상세 정보 제공(S610)에 있어서, 상기 제품 평가태그 점수 이외에도 판매자 평가태그 점수, 배송서비스 평가지도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검색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제품 평가태그 점수, 판매자 평가태그 점수, 배송서비스 평가지도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S611)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세 정보창(900)에서 판매자의 상세 정보를 알고 싶어서 판매자 정보 필드(902)를 클릭하면, 검색서버(300)는 판매자 평가태그 점수를 검색하여 단말기(100)에 제공한다.
단말기는 검색서버(300)로부터 수신한 판매자 평가태그 점수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세 정보창(900)의 판매자 평가태그 점수 필드(920)에 표시한다. 제품과 마찬가지로 리뷰창을 통해 평가받은 판매자의 장점, 단점, 용도가 카테고리별로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세 정보창(900)에서 배송서비스 정보를 알고 싶어 배송서비스 정보 필드(901)를 클릭하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색정보창(900)의 배송서비스 평가지도 필드(930)에 배송 서비스 만족 상태도 함께 표시된다. 상기 배송서비스 만족 상태 표시는 지역별로 배송 상태를 알 수 있도록, 지도 형태로 된 배송서비스 평가지도로서 표시하여 지역별 배송 만족도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배송서비스 만족 상태 표시는 지역별 배송 만족도 이외에도, 지역별 상품 평수, 지역별 구매자수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평가지도로서 표시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 범위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균등 범위에도 미침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구매자가 상품을 구매한 후 상품 리뷰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존의 리뷰창 예시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2는 검색을 통해 상품평을 제공하는 기존의 검색정보창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품리뷰정보 구축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평가태그를 디스플레이한 리뷰창의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품리뷰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평가차트가 검색정보창에 표시된 예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방사형 그래프 및 막대형 그래프 형태의 평가차트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 정보창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점 상세정보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판매자 평가 정보를 함께 표시한 상세 정 보창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배송서비스 정보를 함께 표시한 상세 정보창을 도시한 그림이다.

Claims (21)

  1. 피평가 제품에 대한 평가항목들인 평가태그를 카테고리별로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1단계와,
    사용자로부터 해당 피평가 제품과 관련하여 선택받은 평가태그들을 수신하는 제2단계와,
    다수의 사용자들로부터 수신한 평가태그들을 누적하여 해당 피평가 제품에 대한 각 평가태그별 평가점수로서 저장하는 제3단계
    를 구비하는 제품리뷰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2단계에서는 사용자가 평가태그를 추가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을 더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추가 평가태그를 입력받아 수신하는 제품리뷰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제3단계에서, 수신한 평가태그들 중에서 새롭게 추가된 추가 평가태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추가 평가태그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평가점수 산정시에 누적 적용되는 제품리뷰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사용자가 입력한 동일한 평가태그가 총 사용자 평가횟수의 일정 비율을 넘어서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리뷰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점수는 각 평가태그들에 대해서 해당 평가태그가 선택된 총 회수를 총 사용자 평가횟수로 나눈 값인 제품리뷰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평가 제품을 판매한 판매자에 대한 카테고리별 평가태그를 제공하여 사용자들로부터 수신한 평가태그를 누적하여 평가점수로 저장함을 더 포함하는 제품리뷰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7.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군에 관련된 평가태그들을 카테고리별로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4단계와,
    사용자가 선택한 평가태그들에서 가장 높은 평가점수를 얻은 제품들을 검색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5단계
    를 구비하는 제품리뷰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태그의 카테고리는 제품의 단점에 관한 평가태그들로 이루어진 단점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리뷰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태그의 카테고리는 제품의 장점에 관한 평가태그들로 이루어진 장점 카테고리, 제품의 용도에 관한 평가태그들로 이루어진 용도 카테고리, 제품의 배송과 관련된 평가태그들로 이루어진 배송 카테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리뷰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제4단계는, 상기 제품군에 속하는 제품 리스트를 제공하면서 각 제품별로 평가차트도 함께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리뷰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차트는 각 항목별로 점수화하여 방사형 그래프, 막대형 그래프를 포함하는 그래프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그래프로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리뷰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제품의 상세 정보 검색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6단계를 더 구비한 제품리뷰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제6단계는, 특정 제품 선택이 있는 경우 해당 제품의 평가태그를 선택한 사용자들의 누적 점수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리뷰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제6단계는, 배송관련하여 사용자 평가가 이루어진 배송서비스 평가지도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리뷰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제6단계는, 선택된 제품을 판매한 판매자 관련하여 사용자 평가 선택이 이루어진 해당 판매자에 관련된 평가태그들을 카테고리별로 구분하여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리뷰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16.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군에 관련된 평가태그들을 카테고리별로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1단계와,
    사용자가 선택한 평가태그들에서 가장 높은 평가점수를 얻은 제품들을 검색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2단계와,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제품의 상세 정보 검색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3단계
    를 구비하는 제품리뷰정보 제공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태그의 카테고리는 제품의 단점에 관한 평가태그들로 이루어진 단점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리뷰정보 제공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제1단계는, 상기 제품군에 속하는 제품 리스트를 제공하면 서 각 제품별로 평가차트도 함께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리뷰정보 제공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제3단계는, 특정 제품 선택이 있는 경우 해당 제품의 평가태그를 선택한 사용자들의 누적 점수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리뷰정보 제공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제3단계는, 배송관련하여 사용자 평가가 이루어진 배송서비스 평가지도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리뷰정보 제공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제3단계는, 선택된 제품을 판매한 판매자 관련하여 사용자 평가 선택이 이루어진 해당 판매자에 관련된 평가태그들을 카테고리별로 구분하여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리뷰정보 제공방법.
KR1020090083087A 2009-09-03 2009-09-03 제품리뷰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KR101180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087A KR101180359B1 (ko) 2009-09-03 2009-09-03 제품리뷰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087A KR101180359B1 (ko) 2009-09-03 2009-09-03 제품리뷰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902A true KR20110024902A (ko) 2011-03-09
KR101180359B1 KR101180359B1 (ko) 2012-09-06

Family

ID=43932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3087A KR101180359B1 (ko) 2009-09-03 2009-09-03 제품리뷰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3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174A (ko) * 2015-08-19 2017-03-02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66632A (ko) * 2016-12-09 2018-06-19 울산과학기술원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200013090A (ko) * 2015-08-11 2020-02-05 이베이 인크. 상호적 제품 리뷰 인터페이스
CN113302642A (zh) * 2018-11-22 2021-08-24 Y·尹 基于多语言标签的评价系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090A (ko) * 2015-08-11 2020-02-05 이베이 인크. 상호적 제품 리뷰 인터페이스
US11030677B2 (en) 2015-08-11 2021-06-08 Ebay Inc. Interactive product review interface
KR20170022174A (ko) * 2015-08-19 2017-03-02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66632A (ko) * 2016-12-09 2018-06-19 울산과학기술원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N113302642A (zh) * 2018-11-22 2021-08-24 Y·尹 基于多语言标签的评价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0359B1 (ko) 201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67119B (zh) 电子资料开发、存储、使用以及基于其采取行动的系统
US8682740B2 (en) Systems and methods using a manufacturer line, series, model hierarchy
US10423999B1 (en) Performing personalized category-based product sorting
JP5319829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5124680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09125495A1 (ja) 広告表示方法、広告表示システム及び広告表示プログラム
US20100153212A1 (en) Travel industry marketing platform
US10853424B1 (en) Content delivery using persona segments for multiple users
CN101324948A (zh) 一种信息推荐的方法及装置
CN101194257A (zh) 处理搜索信息的方法和系统
CN106062743A (zh) 用于关键字建议的系统和方法
JP5668010B2 (ja) 情報推薦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TWI823036B (zh) 推薦目標用戶的選擇方法、系統、設備及儲存媒體
US20140100990A1 (en) Review text output system, review text output method,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information storage medium
JP2004070504A (ja) 個人プロファイル情報に基づく情報検索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30012155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6018338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WO201415568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180359B1 (ko) 제품리뷰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Schaeffer et al. A framework for informing consumers on the ecological impact of products at point of sale
US10445793B2 (en) Review text output system and review text output method
JP2013210964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WO2017126707A1 (ja) 商品購入支援システム
KR20140125939A (ko) 인맥정보 기반의 컨텐츠 추천 시스템 및 방법
TW201407515A (zh) 網路購物資訊處理方法、系統與電腦可讀取儲存媒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