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0647A -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 Google Patents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0647A
KR20110020647A KR1020090078370A KR20090078370A KR20110020647A KR 20110020647 A KR20110020647 A KR 20110020647A KR 1020090078370 A KR1020090078370 A KR 1020090078370A KR 20090078370 A KR20090078370 A KR 20090078370A KR 20110020647 A KR20110020647 A KR 20110020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ction bar
content selection
content
preview information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국
강태영
박민규
김보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8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0647A/ko
Publication of KR20110020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6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가 제공된다. 본 UI 제공방법에 의하면, 컨텐츠 선택 바(bar)의 특정 지점을 선택하고, 선택된 지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각각에 대한 프리뷰 정보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직관적인 방법으로 스크롤바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스크롤바, 프리뷰, 해상도

Description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and multimedia apparatus applying the same}
본 발명은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컨텐츠들 중에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스크롤 바를 이용하여 선택하기 위한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저장 장치의 대용량화와 압축기술의 발달로 멀티미디어 기기에 저장할 수 있는 컨텐츠의 양이 급격히 증가되고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기기에 저장되는 컨텐츠 양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재생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저장된 파일들에 대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화면 크기가 작은 휴대용 MP3 플레이어나 PMP와 같은 멀티미디어 기기의 경우 더욱 심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폰을 이용하여 저장된 사진을 확인하고자 할 때, 휴대폰은 한장의 사진을 화면에 표시하고, 그 외의 사진에 대해서는 화면에 표시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휴대폰에 얼마나 많은 사진이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어렵고, 원하는 사진을 선택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불편함 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크롤바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선택하더라도, 원하는 컨텐츠가 어디에 위치하는지 알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게다가, 터치의 위치변화를 인식하기 위한 터치 해상도는 낮기 때문에, 사용자가 터치를 이용하여 스크롤바를 세밀하게 선택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또한, 컨텐츠의 수가 많아질수록, 사용자는 스크롤바를 터치 조작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기 어려워진다.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기기를 사용함에 있어, 스크롤바를 이용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쉽게 선택할 수 있기를 원한다. 이에 따라, 많은 수의 컨텐츠가 존재할 경우에도 사용자가 쉽게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스크롤바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텐츠 선택 바(bar)의 특정 지점을 선택하고, 선택된 지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각각에 대한 프리뷰 정보를 표시하는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 제공방법은, 컨텐츠 선택 바(bar)의 특정 지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지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각각에 대한 프리뷰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선택 바는 복수의 선택 가능 지점들을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선택 바에 포함된 각 지점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개수는 상기 선택 가능 지점들의 최대 개수와 상기 컨텐츠 선택 바의 검색 대상이 되는 컨텐츠의 총 개수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의 총 개수를 상기 선택 가능 지점들의 최대 개수로 나눈 값의 소수점 이하를 올림한 값을 상기 컨텐츠 선택 바에 포함된 각 지점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개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뷰 정보 표시단계는, 상기 결정된 각 지점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개수만큼 상기 프리뷰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프리뷰 정보 표시 단계는, 상기 선택 가능 지점들의 최대 개수가 상기 컨텐츠 선택 바의 검색 대상이 되는 컨텐츠의 총 개수 미만인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리뷰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선택 바의 복수의 선택 가능 지점의 최대 개수는, 터치 해상도,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및 컨텐츠 선택 바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선택 바의 복수의 선택 가능 지점의 최대 개수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선택 가능한 지점의 최대 개수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리뷰 정보 표시 단계는, 상기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따라 상기 프리뷰 정보가 표시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프리뷰 정보의 표시 크기는, 선택된 지점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된 프리뷰 정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프리뷰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선택 바는 스크롤 바(scroll bar)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는, 컨텐츠 선택 바(bar)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컨텐츠 선택 바의 특정 지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지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각각에 대한 프리뷰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선택 바는 복수의 선택 가능 지점들을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선택 바에 포함된 각 지점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개수는 상기 선택 가능 지점들의 최대 개수와 상기 컨텐츠 선택 바의 검색 대상이 되는 컨텐츠의 총 개수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총 개수를 상기 선택 가능 지점들의 최대 개수로 나눈 값의 소수점 이하를 올림한 값을 상기 컨텐츠 선택 바에 포함된 각 지점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개수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각 지점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개수만큼 상기 프리뷰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가능 지점들의 최대 개수가 상기 컨텐츠 선택 바의 검색 대상이 되는 컨텐츠의 총 개수 미만인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리뷰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선택 바의 복수의 선택 가능 지점의 최대 개수는, 터치 해상도,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및 컨텐츠 선택 바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선택 바의 복수의 선택 가능 지점의 최대 개수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선택 가능한 지점의 최대 개수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따라 상기 프리뷰 정보가 표시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프리뷰 정보의 표시 크기는, 선택된 지점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프리뷰 정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프리뷰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실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선택 바는 스크롤 바(scroll bar)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컨텐츠 선택 바(bar)의 특정 지점을 선택하고, 선택된 지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각각에 대한 프리뷰 정보를 표시하는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는 직관적인 방법으로 스크롤바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컨텐츠 선택 바를 이용하여 선택가능한 개수보다 컨텐츠의 개수가 더 많은 경우에도 프리뷰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의 멀티미디어 기기의 스크롤 바의 크기 한계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선택 바(bar)가 표시된 컨텐츠 선택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터치 스크린 조작을 기반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조작 방식이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컨텐츠 선택 화면은 컨텐츠 선택 바(110), 컨텐츠 선택 바 표시 아이콘(115), 현재 지점 인디케이터(120), 프리뷰 정보(130), 컨텐츠 실행창(140), 및 컨텐츠 개수 표시(150)가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선택 바(110)는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이용되는 바 형태의 GUI 아이템이다. 예를 들어, 컨텐츠 선택 바(110)는 스크롤 바가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컨텐츠 선택 바(110)는 스크롤 바 이외에도 컨텐츠를 선택하는 데 사용되는 어떤 GUI라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컨텐츠 선택 바(110)는 복수의 선택 가능 지점들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선택 가능 지점'은 사용자가 컨텐츠 선택 바(110)를 이용하여 특정 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 기본 단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 선택 바(110)의 선택 가능 지점들이 100개인 경우, 사용자는 컨텐츠 선택 바(110)를 이용하여 100개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나의 선택 가능 지점에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할당된다. 즉,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컨텐츠 선택 바(110)의 선택 가능 지점 하나하나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적어도 하나씩 할당하게 된다.
여기에서, 선택 가능 지점에 대응된 컨텐츠를 '대응 컨텐츠'로 칭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 선택 바(110)의 A지점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A1, A2, A3라면, A지점의 대응 컨텐츠는 A1, A2, A3가 된다.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하나의 선택 가능 지점에 대응된 대응 컨텐츠의 개수를, 선택 가능 지점들의 최대 개수와 검색 대상 컨텐츠의 총 개수를 이용하여 산출한다. 여기에서 '검색 대상 컨텐츠'는 컨텐츠 선택 바(110)에 의해 검색 대상이 되는 컨텐츠들을 의미한다. 그리고, 선택 가능 지점들의 최대 개수는 현재의 컨텐츠 선택 바(110)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지점들의 최대 개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하나의 선택 가능 지점에 대응된 대응 컨텐츠의 개수가 하나의 선택 가능 지점에 대해 표시되는 프리뷰 정보의 개수가 된다. 대응 컨텐츠의 개수의 구체적인 산출 과정에 대해서는 추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선택 바(110)는 화면의 우측 부분에 표시되어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컨텐츠 선택 바(110)에서 원하는 부분을 터치함으로써,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컨텐츠 선택 바 표시 아이콘(115)은 컨텐츠 선택 바(110)의 표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아이콘이다. 컨텐츠 선택 바 표시 아이콘(115)은 토글 방식으로 작동한다. 즉, 컨텐츠 선택 바(110)가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컨텐츠 선택 바 표시 아 이콘(115)이 터치되면, 컨텐츠 선택 바(110)가 화면에 표시된다. 반면, 컨텐츠 선택 바(110)가 표시된 상태에서 컨텐츠 선택 바 표시 아이콘(115)이 터치되면, 컨텐츠 선택 바(110)는 화면에서 사라지게 된다.
현재 지점 인디케이터(120)는 컨텐츠 선택 바(110)에서 사용자에 의해 현재 선택된 지점을 표시한다.
프리뷰 정보(130)는 현재 선택된 선택 가능 지점에 대응되는 대응 컨텐츠들에 대한 프리뷰 정보가 표시된다. 도 1에서, 대상 컨텐츠는 사진이므로, 3개의 썸네일 사진이 프리뷰 정보(130)로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리뷰 정보(130)가 3개가 표시되는 것은, 하나의 선택 가능 지점에 대한 대응 컨텐츠가 3개인 것을 의미한다.
프리뷰 정보(130)가 표시되는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점의 위치(즉, 인디케이터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뷰 정보(130)는 인디케이터(120)에 인접하여 표시된다. 그리고, 프리뷰 정보(130)는 인디케이터(120)와 같은 높이에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프리뷰 정보(130)가 현재 선택된 지점에 대응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는 점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컨텐츠 실행창(140)은 컨텐츠가 실제로 실행되는 창이다. 도 1의 경우, 대상 컨텐츠가 사진 컨텐츠이므로, 컨텐츠 실행창(140)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진이 디스플레이된다.
컨텐츠 개수 표시(150)는 컨텐츠의 총 개수 및 현재 실행 중인 컨텐츠의 번 호를 표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컨텐츠 선택 바(110)의 특정 지점이 선택되면, 선택된 지점에 대응된 컨텐츠들의 프리뷰 정보를 인디케이터(120)의 인접 영역에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컨텐츠 선택 바(110)를 이용하여 더욱 많은 수의 컨텐츠를 정밀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도 2c를 참고하여 컨텐츠 선택 바(110)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선택 바(110)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에 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컨텐츠 선택 화면이 표시된 멀티미디어 기기(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컨텐츠 선택 바 표시 아이콘(115)을 선택하면, 컨텐츠 선택 바(110)가 화면에 표시된다. 그리고, 현재 지점 인디케이터(120)는 컨텐츠 선택 바(110)의 가장 처음 부분에 위치하고, 컨텐츠 개수 표시(150)는 "1/300"으로 표시되어 300개의 사진 중 첫번째 사진이 실행중임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컨텐츠 실행창(140)에는 첫번째 사진이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현재 지점 인디케이터(120)를 드래그하여 컨텐츠 선택 바(110)의 중간 지점으로 옮기면, 현재 지점 인디케이터(120)는 드래그된 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현재 지점 인디케이터(120)가 위치된 지점에 대한 대응 컨텐츠인 3개의 사진이 썸네일 형태의 프리뷰 정보(130)로 표시된다.
그 후에, 도 2c와 같이, 사용자가 프리뷰 정보(130)에 포함된 3개의 사진들 중 가운데 위치한 썸네일을 터치하면, 컨텐츠 실행창(140)에는 선택된 프리뷰 정보(130)에 대응되는 사진이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컨텐츠 선택 바(110) 및 프리뷰 정보(130)를 이용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쉽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텐츠는 사진 컨텐츠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 다른 종류의 컨텐츠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컨텐츠는 동영상, 음악, 텍스트가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프리뷰 정보(130)에 표시되는 내용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프리뷰 정보(130)는 동영상의 특정 시점의 화면에 대한 썸네일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가 음악인 경우, 프리뷰 정보(130)는 음악의 제목, 앨범명, 가수명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가 문서인 경우, 프리뷰 정보(130)는 문서의 제목, 일부 내용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하여 컨텐츠 선택 바(110)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선택 바(110)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컨텐츠 선택 바(110)를 화면에 표시한다(S310).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컨텐츠 선택 바 표시 아이콘(115)을 터치하면, 컨텐츠 선택 바(110)가 화면에 표시된다.
그 후에,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선택 바(110)의 특정 지점을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받는다(S320). 예를 들어, 도 2b와 같이, 사용자가 현재 지점 인디케이터(120)를 드래그하여 컨텐츠 선택 바(110)의 중간 지점으로 옮기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현재 지점 인디케이터(120)가 드래그된 위치의 지점을 선택하게 된다.
그러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선택된 지점에 대한 대응 컨텐츠들의 프리뷰 정보를 표시한다(S330).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따라 프리뷰 정보가 표시되는 위치를 결정한다. 즉,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인접한 영역에 프리뷰 정보를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프리뷰 정보(130)가 현재 선택된 지점에 대응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는 점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선택 가능 지점들의 최대 개수가 컨텐츠 선택 바의 검색 대상이 되는 컨텐츠의 총 개수 미만인 경우에만 프리뷰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선택 가능 지점들의 최대 개수가 컨텐츠 선택 바의 검색 대상이 되는 컨텐츠의 총 개수 이상인 경우는, 각 선택 가능 지점에 컨텐츠를 하나씩 대응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프리뷰 정보의 표시 크기를 선택된 지점에 대한 대응 컨텐츠의 개수에 따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선택된 지점에 대한 대응 컨텐츠의 개수가 많으면, 프리뷰 정보의 표시 크기를 작게 결정한다. 이는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화면에 모든 프리뷰 정보가 표시되게 하기 위함이다.
프리뷰 정보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표시되는 내용이 달라진다. 구체적으로, 컨텐츠가 사진인 경우, 프리뷰 정보는 사진에 대한 썸네일이 된다. 그리고,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프리뷰 정보(130)는 동영상의 특정 시점의 화면에 대한 썸네일이 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가 음악인 경우, 프리뷰 정보(130)는 음악의 제목, 앨범명, 가수명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가 문서인 경우, 프리뷰 정보(130)는 문서의 제목, 일부 내용 등이 될 수 있다.
그 후에,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표시된 프리뷰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S340). 예를 들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표시된 프리뷰 정보들 중 하나를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선택된 프리뷰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실행한다(S350). 예를 들어, 컨텐츠가 사진인 경우,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컨텐츠 실행 창(140)에 선택된 사진을 표시한다. 그리고,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컨텐츠 실행 창(140)에 선택된 동영상을 재생한다. 또한, 컨텐츠가 음악인 경우,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컨텐츠 실행 창(140)에 선택된 음악을 플레이한다. 그리고, 컨텐츠가 문서인 경우,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컨텐츠 실행 창(140)에 선택된 문서의 내용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컨텐츠 선택 바(110) 및 프리뷰 정보(130)를 이용한 컨텐츠 선택 UI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고하여, 하나의 선택 가능 지점에 대한 대응 컨텐츠의 개수(즉, 표시되는 프리뷰 정보의 개수) 및 컨텐츠 선택 바(110)에 최종 할당된 선택 가능 지점의 개수를 산출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선택 가능 지점에 대한 대응 컨텐츠의 개수 및 컨텐츠 선택 바(110)에 최종 할당된 선택 가능 지점의 개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일단,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검색 대상 컨텐츠의 총 개수를 추출한다(S410). 검색 대상 컨텐츠는 컨텐츠 선택 바(110)를 이용한 검색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들을 의미한다. 검색 대상 컨텐츠는 멀티미디어 기기(100) 내의 저장매체 또는 외부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컨텐츠가 될 수 있다. 검색 대상 컨텐츠의 총 개수는 하나의 폴더에 저장된 컨텐츠 파일의 총 개수 또는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컨텐츠 파일의 총 개수가 된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컨텐츠 선택 바(110)의 선택 가능 지점들의 최대 개수를 추출한다(S420). 컨텐츠 선택 바(110)의 선택 가능 지점의 최대 개수는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터치 해상도, 및 컨텐츠 선택 바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선택 가능 지점의 최대 개수를 컨텐츠 선택 바(110)의 터치 해상도와 일치한다. 즉, 선택 가능 지점의 최대 개수는 사용자가 컨텐츠 선택 바(110)를 터치 조작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는 지점의 최대 개수를 나타낸다. 하지만, 선택 가능 지점의 최대 개수는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및 컨텐츠 선택 바(110)의 길이에 의해서도 달라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해상도는 선택 가능 지점의 최소 단위를 결정하게 된다. 즉, 컨텐츠 선택 바(110)의 선택 가능 지점의 최소 단위는 디스플레이의 1개의 화소가 된다. 하지만, 1개의 화소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에, 복수개의 화소가 하나의 선택 가능 지점을 구성하게 된다.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디스플레이의 해상도가 높을 수록 선택 가능 지점을 구성하는 화소 수가 많아지고, 디스플레이의 해상도가 낮을 수록 선택 가능 지점을 구성하는 화소 수가 적어지게 구현된다.
터치 해상도는 한 화면에 대해 터치 조작을 인식할 수 있는 지점들에 대한 해상도를 의미한다. 즉, 터치 해상도는 사용자가 터치 조작을 통해 선택 가능한 지점의 개수를 나타내게 되며, 터치 조작의 위치 변화를 인식할 수 있는 민감도를 의미하기도 한다. 터치 스크린은 복수의 터치 픽셀들로 구성된다. 하지만, 사용자의 손은 터치 픽셀들보다 크기 때문에, 한 영역의 복수개의 터치 픽셀들이 하나의 터치 조작을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터치 센서에서 제공하는 터치 픽셀의 수를 xtouch_base라고 하고, 좌표 변화가 인식될 수 있는 단위 면적의 터치 픽셀 수를 f(area)라고 하면, 터치 해상도(xtouch)는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계산된다.
xtouch = xtouch_base / f(area)
따라서, 컨텐츠 선택 바(110)를 구성할 수 있는 복수의 선택 가능 지점의 최대 개수는 터치 해상도가 높을 수록 많아지고, 터치 해상도가 낮을 수록 적어지게 된다.
또한, 선택 가능 지점의 최대 개수는 컨텐츠 선택 바(110)의 길이에 의해서 도 결정된다. 즉,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선택 바(110)의 길이가 길수록 선택 가능 지점의 최대 개수는 많아지고,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선택 바(110)의 길이가 짧을수록 선택 가능 지점의 최대 개수는 적어지게 된다.
컨텐츠 선택 바(110)의 길이는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되므로, 화면의 표시 상태에 따라 선택 가능 지점의 최대 개수도 유동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이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컨텐츠 선택 바(110)에 포함될 수 있는 선택 가능 지점의 최대 개수는 터치 해상도를 이용하여 추출되고, 부가적으로 디스플레이 해상도 및 컨텐츠 선택 바(110)의 길이에 의해 변화된다.
그 후에,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하나의 선택 가능 지점에 대한 대응 컨텐츠의 개수를 산출한다(S430).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선택 가능 지점들의 최대 개수와 검색 대상 컨텐츠의 총 개수의 비율을 이용하여 하나의 선택 가능 지점에 대한 대응 컨텐츠의 개수를 산출한다. 즉,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검색 대상 컨텐츠의 총 개수를 선택 가능 지점들의 최대 개수로 나눈 값의 소수점 이하를 올림한 값을 컨텐츠 선택 바에 포함된 각 지점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개수로 결정한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xpreview = ceil(xitem / xtouch)
여기에서, xpreview : 하나의 선택 가능 지점에 대한 대응 컨텐츠의 개수
xitem : 검색 대상 컨텐츠의 총 개수
xtouch : 선택 가능 지점들의 최대 개수
ceil() : 소수점 이하 올림 함수
그 후에,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하나의 선택 가능 지점에 대한 대응 컨텐츠의 개수를 표시될 프리뷰의 개수로 결정한다(S440).
그리고,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최종 할당된 선택 가능 지점의 개수를 산출한다(S450).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대응 컨텐츠의 개수(xpreview )를 이용하여, 컨텐츠 선택 바(110)에 최종적으로 할당될 선택 가능 지점의 개수(xtoucharea)를 결정하게 된다. 여기에서, 최종 할당된 선택 가능 지점의 개수는 컨텐츠 선택 바(110)에 최종적으로 할당된 선택 가능 지점들의 개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결정된 선택 가능 지점의 총 개수(xtoucharea)는 선택 가능 지점들의 최대 개수(xtouch)보다 작거나 같은 값이 된다.
최종 할당된 선택 가능 지점의 총 개수(xtoucharea)는 검색 대상 컨텐츠의 총 개수(xitem)를 대응 컨텐츠의 개수(xpreview)로 나눈 후에 소수점 이하를 올림한 값으로 산출된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xtoucharea = ceil(xitem / xpreview)
여기에서, xtoucharea : 최종 할당된 선택 가능 지점의 총 개수.
예를 들어, 현재 표시된 컨텐츠 선택 바(110)의 검색 대상 컨텐츠의 총 개수(xitem)가 240개이고 선택 가능 지점들의 최대 개수(xtouch )가 100개 인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면, 수학식 1에 의해, 하나의 선택 가능 지점에 대한 대응 컨텐츠의 개수(xpreview)는 3개(= ceil(240/100) )가 된다. 그리고, 수학식 2에 의해, 컨텐츠 선택 바(110)의 최종 할당된 선택 가능 지점의 총 개수(xtoucharea)는 80개(= ceil(240/3) )가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하나의 선택 가능 지점에 대한 대응 컨텐츠의 개수(즉, 표시되는 프리뷰 정보의 개수) 및 컨텐츠 선택 바(110)에 최종 할당된 선택 가능 지점의 개수를 산출하게 된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최종적으로 산출된 개수의 선택 가능 지점을 포함하는 컨텐츠 선택 바(110)를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선택 바(110)의 선택 가능 지점들을 표시한 도면이다. 컨텐츠 선택 바(110)는 최종적으로 할당된 개수의 선택 가 능 지점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선택 바(110)는 12개의 선택 가능 지점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검색 대상 컨텐츠의 개수가 총 36개인 경우, 각 선택 가능 지점에는 3개의 컨텐츠가 대응된다.
이와 같이, 컨텐츠 선택 바(110)는 복수의 선택 가능 지점을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도 8b를 참고하여, 프리뷰 정보의 레이아웃 방식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뷰 정보의 표시 방식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프리뷰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뷰 정보는 컨텐츠 선택 바(110)의 왼쪽 전반에 걸친 인접 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b는 컨텐츠 선택 바(110)의 특정 지점에 대응되는 프리뷰 정보(130)가 1개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선택 바(110)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지점은 현재 지점 인디케이터(120)가 표시되고, 현재 지점 인디케이터(120)의 왼쪽 같은 높이에 프리뷰 정보(130)가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c는 컨텐츠 선택 바(110)의 특정 지점에 대응되는 프리뷰 정보(130)가 3개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선택 바(110)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지점은 현재 지점 인디케이터(120)가 표시되고, 현재 지점 인디케이터(120)의 왼쪽에 3개의 프리뷰 정보(130)가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3개의 프리뷰 정보(130)의 중간 지점의 높이가 현재 지점 인디케이터(120)의 높이와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리뷰 정보(130)의 개수가 홀수개인 경우, 프리뷰 정보(130)는 중간 지점의 높이가 현재 지점 인디케이터(120)의 높이와 같게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d는 컨텐츠 선택 바(110)의 특정 지점에 대응되는 프리뷰 정보(130)가 2개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선택 바(110)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지점은 현재 지점 인디케이터(120)가 표시되고, 현재 지점 인디케이터(120)의 왼쪽에 2개의 프리뷰 정보(130)가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프리뷰 정보(130)의 중간 지점의 높이가 현재 지점 인디케이터(120)의 높이와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리뷰 정보(130)의 개수가 짝수개인 경우에도, 프리뷰 정보(130)는 중간 지점의 높이가 현재 지점 인디케이터(120)의 높이와 같게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재 지점 인디케이터(120)와 같은 높이에 프리뷰 정보(130)가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선택된 지점에 대응되는 컨텐츠에 대한 프리뷰 정보가 표시되는 것임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선택 바(110)의 가장자리 부분에서의 프리뷰 정보(130) 표시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 영역은 프리뷰 정보(130)의 가장 윗 지점에서 중간 지점까지의 영역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선택 바(110)에서 A 영역에 해당되는 지점 내에서 선택된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프리뷰 정보(130)는 윗부분이 컨텐츠 선택 바(110)의 윗부분과 일치된 위치에 표시된 상태로 움직이지 않고 표시되는 프리뷰 정보의 내용만 바뀌게 된다. A 영역에서도 프리뷰 정보(130)의 중간지점을 현지 지점 인디케이터(120)와 일치시키면 프리뷰 정보(130)가 화면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컨텐츠 선택 바(110)의 가장자리 영역에서는 프리뷰 정보(130)가 이동되지 않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뷰 정보(130)의 개수가 많은 경우, 각 프리뷰 정보의 표시 크기가 줄어드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프리뷰 정보(130)가 7개의 컨텐츠에 대해 표시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뷰 정보(130)가 7개가 표시되는 경우, 2줄에 걸쳐 표시된다.
도 8b는 프리뷰 정보(130)가 17개의 컨텐츠에 대해 표시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뷰 정보(130)가 17개가 표시되는 경우, 3줄에 걸쳐 표시된다. 그리고, 도 8a에 비하여 도 8b의 경우 프리뷰 정보(130) 하나의 표시 크기가 작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프리뷰 정보(130)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각 프리뷰 정보(130)의 표시 크기를 작게 표시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a 내지 도 9d를 참고하여, 터치 조작에 따른 컨텐츠의 선택과정을 설명한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선택 바(110) 및 프리뷰 정보(130)를 이용하여 터치 조작을 통해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 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컨텐츠 선택 바(110)의 제1 지점(900)을 사용자가 터치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점(900)은 A, B, C의 3개의 컨텐츠가 대응되어 있다. 따라서, 프리뷰 정보(130)는 3개의 컨텐츠에 대한 프리뷰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a와 같이, 사용자가 컨텐츠 선택 바(110)의 제1 지점(900)을 사용자가 터치한 후에 손을 뗀(release) 경우,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대응된 컨텐츠 중에 가장 윗부분에 프리뷰 정보가 표시된 A 컨텐츠를 선택하게 된다. 따라서, 도 9b와 같이, A 컨텐츠가 실행되게 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컨텐츠 선택 바(110)의 제1 지점(900)을 사용자가 터치한 후에 손을 떼는 조작을 입력한 경우,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제1 지점(900)에 대응된 컨텐츠 중에 가장 윗부분에 프리뷰 정보가 표시된 컨텐츠를 선택하게 된다.
반면, 도 9c는 사용자가 컨텐츠 선택 바(110)의 제1 지점(900)을 터치하고 C 컨텐츠의 프리뷰 정보까지 드래그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지점(900)에서 C 컨텐츠의 프리뷰 정보 표시 영역까지 드래그조작을 입력한 경우, 도 9d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C 컨텐츠를 실행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 제1 지점(900)에서 특정 컨텐츠의 프리뷰 정보 표시 영역까지 드래그 조작을 입력이 입력되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드래그된 위치에 표시된 프리뷰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실행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컨텐츠 선택 바(110)와 프리뷰 정보(130)에 터치 조작을 입력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구조에 대해 도 10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기능블럭(1010), 디스플레이부(1020), 저장부(1030), 조작부(1040) 및 제어부(1050)를 포함한다.
기능 블럭(1010)은 멀티미디어 기기(100) 본연의 기능을 수행한다. 만약, 멀티미디어 기기(100)가 MP3 플레이어인 경우 기능 블럭(1010)은 MP3 플레이어의 기능을 수행하고, 멀티미디어 기기(100)가 PMP인 경우 기능 블럭(1010)은 PMP의 기능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1020)는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GUI를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020)는 도 1, 도 2a 내지 도 2c, 도 6a 내지 도 9d에 도시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020)는 컨텐츠 선택 바(110), 현재 지점 인디케이터(120), 프리뷰 정보(130) 및 컨텐츠 실행창(140) 등을 화면에 표시한다.
저장부(1030)는 복수개의 컨텐츠들이 저장된 저장매체이다. 저장부(630)는 하드 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이 될 수도 있다.
조작부(1040)는 특정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조작부(1040)는 버튼, 휠, 터치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조작 부(1040)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선택 바(110)를 통해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조작을 입력받기 위해 터치스크린(1045)을 구비하게 된다.
제어부(105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흐름도의 단계들을 수행하고, 도 1, 도 2a 내지 도 2c, 도 5 내지 도 9d의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멀티미디어 기기(100)가 컨텐츠 선택 바(110)를 통한 컨텐츠 선택 UI를 제공하게 한다.
제어부(1050)는 컨텐츠 선택 바(110)의 특정 지점이 선택되면, 선택된 지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각각에 대한 프리뷰 정보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020)를 제어한다. 제어부(1050)는 컨텐츠 선택 바(110)에 포함된 각 지점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개수를 상기 선택 가능 지점들의 최대 개수와 상기 컨텐츠 선택 바의 검색 대상이 되는 컨텐츠의 총 개수에 따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50)는 선택 가능 지점들의 최대 개수와 검색 대상 컨텐츠의 총 개수의 비율을 이용하여 하나의 선택 가능 지점에 대한 대응 컨텐츠의 개수를 결정한다. 즉, 제어부(1050)는 검색 대상 컨텐츠의 총 개수를 선택 가능 지점들의 최대 개수로 나눈 값의 소수점 이하를 올림한 값을 컨텐츠 선택 바에 포함된 각 지점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개수로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1050)는 대응 컨텐츠의 개수(xpreview )를 이용하여, 컨텐츠 선택 바(110)에 최종적으로 할당될 선택 가능 지점의 개수(xtoucharea)를 결정하게 된다. 여기에서, 최종 선택 가능 지점의 개수는 컨텐츠 선택 바(110)에 최종적으로 할당된 선택 가능 지점들의 개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결정된 선택 가능 지점 의 총 개수(xtoucharea)는 선택 가능 지점들의 최대 개수(xtouch)보다 작거나 같은 값이 된다.
최종적인 선택 가능 지점의 총 개수(xtoucharea)는 검색 대상 컨텐츠의 총 개수(xitem)를 대응 컨텐츠의 개수(xpreview)로 나눈 후에 소수점 이하를 올림한 값으로 산출된다.
한편, 제어부(1050) 선택 가능 지점들의 최대 개수가 컨텐츠 선택 바(1050)의 검색 대상이 되는 컨텐츠의 총 개수 미만인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프리뷰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050)는 컨텐츠 선택 바(1050)의 복수의 선택 가능 지점의 최대 개수를 터치 해상도,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및 컨텐츠 선택 바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50)는 선택 가능 지점의 최대 개수를 컨텐츠 선택 바(110)의 터치 해상도와 동일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 가능 지점의 최대 개수는 사용자가 컨텐츠 선택 바(110)를 터치 조작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는 지점의 최대 개수를 나타내게 된다. 하지만, 선택 가능 지점의 최대 개수는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및 컨텐츠 선택 바(110)의 길이에 의해서도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50)는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따라 프리뷰 정보(130)가 표시되는 위치를 결정한다. 제어부(1050)는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인접한 영역에 프리뷰 정보(130)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프리뷰 정보(130)가 현재 선택된 지점에 대응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는 점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1050)는 프리뷰 정보(130)의 표시 크기를 선택된 지점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개수에 따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50)는 선택된 지점에 대한 대응 컨텐츠의 개수가 많으면, 프리뷰 정보 각각의 표시 크기가 작게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는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화면에 모든 프리뷰 정보가 표시되게 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050)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프리뷰 정보(130)에 표시되는 내용이 달라지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컨텐츠가 사진인 경우, 프리뷰 정보는 사진에 대한 썸네일이 된다. 그리고,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프리뷰 정보(130)는 동영상의 특정 시점의 화면에 대한 썸네일이 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가 음악인 경우, 프리뷰 정보(130)는 음악의 제목, 앨범명, 가수명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가 문서인 경우, 프리뷰 정보(130)는 문서의 제목, 일부 내용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50)는 표시된 프리뷰 정보(130)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프리뷰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컨텐츠 선택 바(100) 및 프리뷰 정보(130)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UI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컨텐츠 선택 바(110)는 화면의 오른쪽에 표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에 불과하며, 컨텐츠 선택 바(110)는 어느 위치에도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컨텐츠 선택 바(110)는 오른쪽 이외에도 화면의 왼쪽, 위쪽, 및 아래쪽 중 어느 한 쪽에 표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컨텐츠 선택 바(110)의 표시 위치에 따라 프리뷰 정보(130)의 표시 위치도 달라진다. 예를 들어, 컨텐츠 선택 바(110)가 화면의 왼쪽에 배치된 경우, 프리뷰 정보(130)는 컨텐츠 선택 바(110)의 오른쪽에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컨텐츠 선택 바(110)가 화면의 위쪽에 배치된 경우, 프리뷰 정보(130)는 컨텐츠 선택 바(110)의 아래쪽에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컨텐츠 선택 바(110)가 화면의 아래쪽에 배치된 경우, 프리뷰 정보(130)는 컨텐츠 선택 바(110)의 위쪽에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멀티미디어 기기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행시키는 기기라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기기는 MP3 플레이어, PMP, 휴대폰, PDA, TV, 노트북 컴퓨터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선택 바(bar)가 표시된 컨텐츠 선택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선택 바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에 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선택 바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선택 가능 지점에 대한 대응 컨텐츠의 개수 및 컨텐츠 선택 바에 최종 할당된 선택 가능 지점의 개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선택 바의 선택 가능 지점들을 표시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뷰 정보의 표시 방식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선택 바의 가장자리 부분에서의 프리뷰 정보 표시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뷰 정보의 개수가 많은 경우, 각 프리뷰 정보의 표시 크기가 줄어드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선택 바 및 프리뷰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조작을 통해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Claims (20)

  1. 컨텐츠 선택 바(bar)의 특정 지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지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각각에 대한 프리뷰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I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선택 바는 복수의 선택 가능 지점들을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선택 바에 포함된 각 지점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개수는 상기 선택 가능 지점들의 최대 개수와 상기 컨텐츠 선택 바의 검색 대상이 되는 컨텐츠의 총 개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총 개수를 상기 선택 가능 지점들의 최대 개수로 나눈 값의 소수점 이하를 올림한 값을 상기 컨텐츠 선택 바에 포함된 각 지점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개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뷰 정보 표시단계는,
    상기 결정된 각 지점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개수만큼 상기 프리뷰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정보 표시 단계는,
    상기 선택 가능 지점들의 최대 개수가 상기 컨텐츠 선택 바의 검색 대상이 되는 컨텐츠의 총 개수 미만인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리뷰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선택 바의 복수의 선택 가능 지점의 최대 개수는,
    터치 해상도,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및 컨텐츠 선택 바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선택 바의 복수의 선택 가능 지점의 최대 개수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선택 가능한 지점의 최대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정보 표시 단계는,
    상기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따라 상기 프리뷰 정보가 표시되는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정보의 표시 크기는,
    선택된 지점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개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프리뷰 정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프리뷰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선택 바는 스크롤 바(scroll b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방법.
  11. 컨텐츠 선택 바(bar)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컨텐츠 선택 바의 특정 지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지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각각에 대한 프리뷰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선택 바는 복수의 선택 가능 지점들을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선택 바에 포함된 각 지점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개수는 상기 선택 가능 지점들의 최대 개수와 상기 컨텐츠 선택 바의 검색 대상이 되는 컨텐츠의 총 개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총 개수를 상기 선택 가능 지점들의 최대 개수로 나눈 값의 소수점 이하를 올림한 값을 상기 컨텐츠 선택 바에 포함된 각 지점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개수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각 지점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개수만큼 상기 프리뷰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가능 지점들의 최대 개수가 상기 컨텐츠 선택 바의 검색 대상이 되는 컨텐츠의 총 개수 미만인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리뷰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선택 바의 복수의 선택 가능 지점의 최대 개수는,
    터치 해상도,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및 컨텐츠 선택 바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선택 바의 복수의 선택 가능 지점의 최대 개수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선택 가능한 지점의 최대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따라 상기 프리뷰 정보가 표시되는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정보의 표시 크기는,
    선택된 지점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개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프리뷰 정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프리뷰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선택 바는 스크롤 바(scroll b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
KR1020090078370A 2009-08-24 2009-08-24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KR201100206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370A KR20110020647A (ko) 2009-08-24 2009-08-24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370A KR20110020647A (ko) 2009-08-24 2009-08-24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647A true KR20110020647A (ko) 2011-03-03

Family

ID=43929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370A KR20110020647A (ko) 2009-08-24 2009-08-24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06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65048A1 (en) * 2017-08-31 2019-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or providing preview ui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65048A1 (en) * 2017-08-31 2019-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or providing preview ui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WO2019045362A1 (en) * 2017-08-31 2019-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OR PROVIDING A PREVIEWING UI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US10871898B2 (en) 2017-08-31 2020-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or providing preview UI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286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for selectively changing a value or a change speed of the value by a user operation
US9942486B2 (en) Identifying dominant and non-dominant images in a burst mode capture
US1037973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changing layout of displayed objects
US9218683B2 (en) Collection rearrangement animation
JP6153868B2 (ja) アイテムをディスプレーする方法及び装置
EP2555103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9176657B2 (en) Gesture-based selection and manipulation method
US9262066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background screen thereof
KR101624157B1 (ko) 컨텐츠 탐색을 위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US20130067392A1 (en) Multi-Input Rearrange
US20110283212A1 (en) User Interface
US20150331594A1 (en) Content display device, content display method and program
US9626096B2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method
US8947464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20100289753A1 (en) Adjusting organization of media content on display
US20130246975A1 (en) Gesture group selection
US10503352B2 (en) Control of representation interaction within an application launcher
JP6758921B2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70083212A1 (en) Application program preview interfa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10020647A (ko)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JP5749245B2 (ja) 電子機器、表示方法、及び表示プログラム
KR101436805B1 (ko)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서의 다중 객체 선택 방법 및 장치
US20180173362A1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used in the sam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20091827A (ko) 어플리케이션의 히스토리 출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617225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