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543A - Rfid 태그의 동작방법, rfid 리더의 동작방법, rfid 태그 및 rfid리더 - Google Patents

Rfid 태그의 동작방법, rfid 리더의 동작방법, rfid 태그 및 rfid리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543A
KR20110010543A KR1020100034842A KR20100034842A KR20110010543A KR 20110010543 A KR20110010543 A KR 20110010543A KR 1020100034842 A KR1020100034842 A KR 1020100034842A KR 20100034842 A KR20100034842 A KR 20100034842A KR 20110010543 A KR20110010543 A KR 20110010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
index
rfid
tag
memory b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1041B1 (ko
Inventor
모희숙
권성호
황재각
표철식
채종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PCT/KR2010/00485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010894A2/ko
Priority to US13/383,545 priority patent/US20120112889A1/en
Publication of KR20110010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무선 통신 기술의 큰 변경 없이 태그 메모리에 저장 되어 있는 대용량 데이터를 고속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일면에 따른 RFID 태그는 RFID 태그의 사용자 메모리 뱅크(memory bank)에 저장된 태그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지시하는 다운로드 명령을 전송하는 전송부 및 RFID 태그로부터 태그 데이터를 메모리 뱅크의 사이즈보다 작은 복수의 레코드 블록 단위로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RFID 태그의 동작방법, RFID 리더의 동작방법, RFID 태그 및 RFID리더{Operation method of RFID Tag, operation method of RFID Reader, RFID Tag and RFID Reader}
본 발명은 대용량 RFID 태그 메모리 데이타의 고속 다운로드를 위한 에러 감지 및 정정이 가능한 데이터 전송 방식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부분의 RFID 태그의 경우, 저가의 태그를 목표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RFID 태그 내부의 메모리의 용량은 매우 작거나, 메모리가 없었다. 하지만 최근 메모리 반도체 기술이 급격한 발전하고 메모리의 가격이 하락하고, 산업계에서의 대용량 메모리의 RFID 태그의 수요가 발생하면서, 기존 RFID 태그에 비해 약 500배에 해당하는 메모리 용량을 수용할 수 있는 RFID 태그가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RFID 무선 통신 프로토콜은 기존의 메모리 리스 태그나 저용량 메모리를 고려하여 설계 되었기 때문에, 기존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RFID 리더가 RFID 태그로부터 약 32Kbyte의 태그 데이터를 수신(또는 RFID 태그로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RFID 리더는 RFID 태그의 메모리에 최소 65번 혹은 최대 16,384 번 액세스하여야 한다. 이 때 RFID 리더가 RFID 태그의 메모리에 한번 액세스로 수신할 수 있는 태그 데이터의 최대 비트수는 BER에 따라 제한을 받게 된다.
또한 RFID 리더가 RFID 태그로부터 태그 데이터를 수신(또는 RFID 태그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대량의 데이터가 모두 재전송되어야 하므로, 시간지연이 발생하고, 데이터 전송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다른 RFID 리더와의 경쟁이 발생한 경우, 각 RFID 리더들이 저장된 모든 데이터를 액세스하기 위하여 엄청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다음은 국제 표준의 UHF 대역의 수동형 RFID 기술의 태그 메모리 접근을 위한 Read/Write Mandatory 명령과 BlockWrite Optional 명령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다.
O Read - Request
Command MemBank WordPtr WordCount RN CRC-16
# of bits 8 2 EBV 8 16 16
description Starting address pointer Number of Words handle
O Write - Request
Command MemBank WordPtr Data RN CRC-16
# of bits 8 2 EBV 16 16 16
description Address pointer handle
O BlockWrite - Request
Command MemBank WordPtr WordCount Data RN CRC-16
# of bits 8 2 EBV 8 Variable 16 16
description Address pointer Number of Words handle
종래에 RFID 리더는 1회 액세스로 최대 255 Words (1 Word는 2 Bytes(16bits)), 즉 4,080bits(510 Bytes) 만을 읽을 수 있고, 데이터의 양이 4,080bits 이상인 경우에는 연속하여 액세스하기 위해 연속해서 Read 명령을 전송하여야 한다. Write의 경우에도 RFID 태그는 1회에 16bits 즉 2 Byte 단위로 태그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BlockWrite 명령에 의해서 최소 72 bits 에서 최대 4,138 bits(510Bytes)를 1회에 태그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UHF 대역 RFID 무선 송수신 방식에 의하면, RFID 리더의 명령 Request 에 대해, RFID 태그는 수동적으로 명령에 대한 Response 를 발송하고 모든 명령 프레임의 마지막에 부가되는 CRC 코드에 의해 송수신 과정에서 발생하는 명령 메시지의 에러발생을 감지하게 된다. 만약 RFID 리더의 명령에서 에러가 감지되면 RFID 태그는 수신된 명령을 폐기한다.
또한 RFID 리더가 태그 메모리의 데이터를 읽기(Read) 위해서는, 태그는 "Open" 이나 "Secure" 상태(state)를 유지하여야 한다. RFID 리더는 많은 량의 데이터를 읽기 위해서 연속적인 Read 명령을 발송하고, 태그는 Read 명령에 대한 Response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RFID 리더가 복수개인 경우, 어느 한 RFID 리더로부터 수신한 연속적인 Read 와 Read 명령 사이에 다른 RFID 리더로부터 Query가 수신되면, 태그의 상태는"Open" 이나 "Secure" 상태에서 다시 "Reday" 상태로 변경된다. 따라서 RFID 리더는 대량 태그 메모리의 데이터를 읽고자 하는 경우 엄청난 회수의 태그 메모리 액세스와 시간이 소요되어 어려움을 겪게 되는 문제를 갖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대용량 태그 데이터를 고속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RFID 리더, RFID 태그, RFID 리더의 동작 방법 및 RFID 태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많은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RFID 태그의 동작방법은, 태그 데이터를 사용자 메모리 뱅크(user memory bank)내에 상기 메모리 뱅크의 사이즈보다 작은 복수의 레코드 블록 단위로 저장하는 단계와, RFID 리더로부터 상기 복수의 레코드 블록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인덱스를 포함하는 다운로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덱스를 갖는 레코드 블록부터 그 이후의 인덱스를 갖는 상기 메모리 뱅크 내의 모든 레코드 블록들에 저장된 상기 태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RFID 리더의 작방법은, RFID 태그의 사용자 메모리 뱅크(memory bank)내에 포함된 상기 메모리 뱅크의 사이즈보다 작은 복수의 레코드 블록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인덱스를 포함하는 다운로드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상기 지시된 인덱스를 갖는 레코드 블록으로부터 그 이후의 인덱스를 갖는 상기 사용자 메모리 뱅크 내의 모든 레코드 블록에 저장된 태그 데이터를 상기 레코드 블록 단위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RFID 태그는, 메모리 뱅크(memory bank)를 포함하는 메모리부로서, 상기 메모리 뱅크는 상기 메모리 뱅크의 사이즈보다 작고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의 레코드 블록으로 구분되어 있는 것인 메모리부 및 RFID 리더의 다운로드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태크 데이터를 상기 레코드 블록 단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RFID 리더는, RFID 태그의 사용자 메모리 뱅크(memory bank)에 저장된 태그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지시하는 다운로드 명령을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상기 태그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뱅크의 사이즈보다 작은 복수의 레코드 블록 단위로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개시된다.
복수의 RFID 리더가 존재하는 환경에서도 인접한 RFID 리더의 개입에 의한 태그 데이터의 Read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태그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효과가 있어, 대량의 태그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고자 하는 경우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 RFID 태그, RFID 리더의 동작 방법 및 RFID 태그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 및 RFID 태그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사용자 메모리 뱅크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는 RFID 태그가 RFID 리더로 태그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 RFID 태그, RFID 리더의 동작 방법 및 RFID 태그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 RFID 태그, RFID 리더의 동작 방법 및 RFID 태그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RFID 리더(200_1)는 RFID 태그(100)에게 다운로드 명령을 전송하고, RFID 태그(100)는 다운로드 명령에 응답하여 메모리 뱅크(122)에 저장된 태그 데이터를 제1 RFID 리더(200_1)로 전송한다. 여기서 태그 데이터는 RFID 태그(100)가 부착된 물체 및/또는 물체의 주변으로부터 센싱한 여러 종류의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 뱅크(122)는, 메모리 뱅크(122)의 사이즈보다 작고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의 레코드 블록(RB1~RBn)으로 구분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및 제2 RFID 리더(200_1, 200_2)는 UHF(ultrahigh frequency) 대역의 RFID 리더일 수 있고, RFID 태그(100)는 UHF(ultrahigh frequency) 대역의 수동형 RFID 태그(100)일 수 있다. 다만 제1 및 제2 RFID 리더(200_1, 200_2) 및 RFID 태그(100)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1 RFID 리더(200_1)는 RFID 태그(100)로 다운로드 명령을 전송하면, RFID 태그(100)는 메모리 뱅크(122) 내에 저장된 태그 데이터를, 메모리 뱅크(122)의 사이즈 보다 작은 사이즈의 레코드 블록(RB1~RBn) 단위로 태그 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태그 데이터는 RFID 태그(100)는 태그 데이터를 메모리 뱅크(122) 내에 레코드 블록(RB1~RBn) 단위로 저장한 후, 제1 RFID 리더(200_1)의 다운로드 명령에 응답하여 레코드 블록(RB1~RBn) 단위로 태그 데이터를 전송한다.
예컨대, 메모리 뱅크(122) 내에 복수의 레코드 블록(RB1~RBn) 각각은 순차적으로 인덱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1 RFID 리더(200_1)가 전송하는 다운로드 명령은 메모리 뱅크(122) 내에 복수의 레코드 블록(RB1~RBn)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RFID 태그(100)는 다운로드 명령에 응답하여, 전송된 다운로드 명령 내에 포함된 인덱스를 갖는 레코드 블록부터 그 이후의 인덱스를 갖는, 메모리 뱅크(122) 내의 모든 레코드 블록에 저장된 태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인덱스는 레코드 블록(RB1~RBn)의 메모리 주소일 수 있고, 또는 메모리 주소와 별도로 새로 붙여진 식별자일 수 있다.
좀더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메모리 뱅크(122) 내에 태그 데이터가 제1 레코드 블록(RB1) 내지 제n 레코드 블록(RB1~RBn)에 나뉘어 저장되어 있고, 각 레코드 블록(RB1~RBn)은 1부터 n까지 인덱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RFID 리더(200_1)는 인덱스 2를 포함하는 다운로드 명령을 전송하면, RFID 태그(100)는 인덱스 2을 갖는 제2 레코드 블록(RB2)부터 그 이후의 인덱스를 갖는 제n 레코드 블록(RBn)에 저장된 태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RFID 태그(100)는 n개의 레코드 블록(RB1~RBn) 중 다운로드 명령에 포함된 인덱스 2 이후의 (n-1)개의 레코드 블록(RB2~RBn)에 저장된 태그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제1 RFID 리더(200_1)의 1회의 다운로드 명령으로, RFID 태그(100)는 대용량의 태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RFID 리더(200_1)는 1회의 다운로드 명령으로 대용량의 태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대용량의 태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반드시 복수의 연속적인 Read 명령을 전송하지 않지 않아도 된다.
또한 RFID 태그가 제1 RFID 리더(200_1)의 다운로드 명령에 응답하여 전송을 완료하기 전에는 제2 RFID 리더(200_2)의 Query에 대해 반응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RFID 리더(200_1)의 연속적인 Read 와 Read 명령 사이에 제2 RFID 리더(200_2)의 Query의 수신에 의해, RFID 태그(100)의 상태가 "Open" 이나 "Secure" 상태에서 다시 "Ready" 상태로 변경되는 일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RFID 리더(200_1)가 대용량의 태그 데이터를 읽고자 하는 경우 엄청난 회수의 태그 메모리 액세스와 시간이 소요되어 어려움을 겪게 되는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전술한 예와 달리, 다운로드 명령이 몇몇의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RFID 태그(100)는 다운로드 명령 내의 몇몇의 인덱스를 갖는 레코드 블록(RB1~RBn)을 전송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RFID 리더(200_1)가 전송받고자 하는 몇몇 레코드 블록의 인덱스를 다운로드 명령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는 제1 RFID 리더(200_1)가 전송받고자 하는 레코드 블록들 중 첫번째 레코드 블록의 인덱스와 마지막 레코드 블록의 인덱스를 다운로드 명령에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RFID 리더(200_1)는 RFID 태그(100)로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레코드 블록(RB1~RBn) 각각에 대해 오류검출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RFID 리더(200_1)는 전송 오류로 판단된 레코드 블록에 대해 재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RFID 태그(100)는 재전송 요청된 레코드 블록만 재전송할 수 있다. 제1 RFID 리더(200_1)가 몇몇 레코드 블록에 대해 재전송을 요청하고, RFID 태그(100)가 재전송 요청된 몇몇 레코드 블록을 재전송할 때, 제1 RFID 리더(200_1) 및 RFID 태그(100)는 각 레코드 블록(RB1~RBn)에 지정된 인덱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RFID 리더(200_1)는 클리어 명령을 전송하여 메모리 뱅크(122)를 포맷하여 초기화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 및 RFID 태그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사용자 메모리 뱅크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개념도이고, 도 4 및 도 5는 RFID 태그가 RFID 리더로 태그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RFID 리더(201)는 다운로드 명령을 전송하는 제1 전송부(210)와, RFID 태그(101)로부터 태그 데이터를 레코드 블록 단위로 수신하는 수신부(220) 및 수신된 각 레코드 블록(RB1~RBn)에 대한 오류검사를 수행하는 검사부(230)를 포함한다. RFID 태그(101)는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20)와 태그 데이터를 레코드 블록 단위로 전송하는 제2 전송부(110)를 포함한다.
예컨대 메모리부(120)는, RFID 태그(101)가 부착된 물체 및/또는 물체의 주변에 관한 데이터인 태그 데이터가 저장되는 사용자 메모리 뱅크(122)와, RFID 태그(101)가 부착된 물체를 식별하는 EPC 메모리 뱅크(124) 및 RFID 태그(101)를 식별하는 아이디를 저장하는 TID 메모리 뱅크(126) 및 리저브드 메모리 뱅크(128)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메모리 뱅크(122)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사용자 메모리 뱅크(122)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 메모리 뱅크(122)는 헤더와 복수의 레코드 블록(RB1~RBn) 및 트레일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는 사용자 메모리 뱅크(122)가,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 메모리 뱅크(122)의 사이즈보다 작은 제n 개의 레코드 블록(RB1~RBn)으로 구분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태그 데이터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새로 감지되는 태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빈 메모리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레코드 블록(RB1~RBn)은 순차적으로 인덱싱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각 레코드 블록(RB1~RBn)을 식별할 수 있도록 식별자 또는 인덱스가 부여될 수 있다. 이러한 각 레코드 블록(RB1~RBn)은 인덱스를 저장하는 인덱스 영역과,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코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FID 리더(201)가 수신된 레코드 블록(RB1~RBn) 각각에 대해 오류검출을 할 수 있도록, 각 레코드 블록(RB1~RBn)은 전송 오류 체크를 위한 오류검출 코드를 저장하는 오류코드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 내지 도 7을 더 참조하여 RFID 리더(201)와 RFID 태그(101)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RFID 태그(101)는 태그 데이터를 사용자 메모리 뱅크(122) 내에 복수의 레코드 블록 단위로 저장한다(S610). 예컨대 RFID 태그(101)는 태그 데이터를 사용자 메모리 뱅크(122) 내에 4개의 레코드 블록(RB1~RB4)에 나누어 저장할 수 있다(도 3에서 n=4).
RFID 리더(201)의 제1 전송부(210)는 다운로드 명령을 전송한다(S710). 여기서 다운로드 명령은 복수의 레코드 블록(RB1~RBn)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운로드 명령은 다음의 표 4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Command MemBank RecordPtr RecordCount RN CRC-16
# of bits 8 2 EBV 8 16 16
description 11001001 00 : Reserved
01 : EPC
10 : TID
11 : User
Starting Download Record Index Number of records handle
여기서 8bits의 "Command"는 명령의 타입을 정의하는 것으로, 예컨대 다운로드 명령은 11001001일 수 있다. 2bits의 "MemBank"는 도 3의 메모리부(120) 의 4개의 메모리 뱅크(122, 124, 126, 128)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하는 것으로, 예컨대 사용자 메모리 뱅크(122)를 지시하는 것은 11일 수 있다. "RecordPtr"은 다운로드 시작하려는 첫 레코드 블록의 인덱스를 가리킨다. "RecordPtr"의 bits는 레코드 블록(RB1~RBn)의 수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8bits의 "RecordPtrCount"는 다운로드 하려는 레코드 블록의 수 일 수 있다. 16bits의 "RN"은 RFID 리더(201)와 RFID 태그(101) 간에 통신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코드, 예컨대 인등키 같은 것이며, 16bits의 "CRC-16"은 다운로드 명령어의 오류를 체크하기 위한 오류검출 코드일 수 있다. 이러한 다운로드 명령의 구조는 전술했던 국제 표준의 UHF 대역의 수동형 RFID 기술의 태그 메모리 접근을 위한 Read/Write Mandatory 명령의 구조와 큰 차이가 없다. 따라서 종래의 프로토콜의 큰 변경없이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RFID 태그(101)는 예컨대 인덱스 1을 포함하는 다운로드 명령을 수신하고(S620), 제2 전송부(110)는 인덱스 1을 갖는 제1 레코드 블록(RB1)부터 그 이후의 모든 레코드 블록(RB2~RB4), 즉 제1 내지 제4 레코드 블록(RB1~RBn)을 레코드 블록 단위로 전송할 수 있다(S630). 구체적으로 제2 전송부(110)는 인덱스 1을 갖는 레코드 블록(RB1)부터 메모리 뱅크 내의 모든 레코드 블록(RB2~RB4)에 저장된 태그 데이터가 RFID 리더(201)로 전송될 수 있도록 Response 메시지를 구성하여 RFID 리더(201)에 전송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송부(110)는 헤더와, 제1 내지 제4 레코드 블록(RB1~RB4)과, 통신채널 설정블록(RN) 및 제1 내지 제4 레코드 블록(RB1~RB4) 전체에 대한 오류검출을 위한 오류검출 블록(CRC-16)을 전송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4 레코드 블록(RB1~RB4) 각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오류코드 영역(CR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Response 메시지의 구조는 다음의 표 5와 같을 수 있다.
Header Data RN CRC-16
# of bits 1 Variable 16 16
description 0 handle
한편, 수신부(220)는 태그 데이터를 레코드 블록 단위로 수신한다(S720).
그리고 검사부(230)는 수신된 각 레코드 블록(RB1~RB4)에 대해 전송 오류를 체크할 수 있다(S730). 즉, 각 레코드 블록(RB1~RB4)마다, 각 레코드 블록(RB1~RB4)에 포함된 오류코드 영역을 이용하여 오류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740). 그리고 검사부(230)는 전송 오류로 판단된 레코드 블록에 대해 재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S750).
재전송 요청시, 제2 전송부(110)는 재전송 요청된 레코드 블록을 재전송할 수 있다(S640).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수신부(220)가 레코드 블록 단위로 수신하고, 검사부(230)가 수신된 각 레코드 블록(RB1~RB4)에 대해 전송 오류를 체크하던 중 제3 레코드 블록(RB3)에 오류가 존재하면, 검사부(230)는 인덱스 3을 이용하여 제3 레코드 블록(RB3)의 재전송을 요청하고, 제2 전송부(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덱스 3을 갖는 제3 레코드 블록(RB3)을 재전송한다. 그리고 이어서 제2 전송부(110)는 제4 레코드 블록(RB4)을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류가 발생한 레코드 블록만 재전송함으로써 대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수신부(220)는 전체 레코드 블록(RB1~RB4)에 대한 오류검출 블록을 수신하는지 판단하고(S760), 수신된 경우 수신된 오류검출 블록을 이용하여 전체 수신된 제1 내지 제4 레코드 블록(RB1~RB4)에 대한 오류를 체크한다(S770). 한편, 전체 레코드 블록(RB1~RB4)에 대한 오류검출 블록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레코드 블록(RB1~RB4)이 계속 전송될 것이므로, 수신부(220)는 레코드 블록 단위로 태그 데이터를 수신한다(S720).
다음으로, RFID 리더(201)는 모든 태그 데이터를 다운로드 한 뒤, 클리어 명령을 전송하여, 사용자 메모리 뱅크(122)를 포맷하여 초기화할 수 있다. 여기서 클리어 명령에 대한 구조는 다음의 표 6과 같을 수 있다.
Command RN CRC-16
# of bits 8 16 16
description 11001010 handle
그리고 RFID 태그(101)는 클리어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 다음의 표 7과 같은 Response 메시지를 전송하고, 사용자 메모리 뱅크(122)를 포맷하여 초기화할 수 있다.
Header RN CRC-16
# of bits 1 16 16
description 0 handl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동기화 실패 검출회로 10: 동기화 시스템
20: 제1 샘플링부 30: 제2 샘플링부
40: 검출부 100: 센더
200: 리시버

Claims (20)

  1. 태그 데이터를 사용자 메모리 뱅크(user memory bank)내에 상기 메모리 뱅크의 사이즈보다 작은 복수의 레코드 블록 단위로 저장하는 단계;
    RFID 리더로부터 상기 복수의 레코드 블록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인덱스를 포함하는 다운로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덱스를 갖는 레코드 블록부터 그 이후의 인덱스를 갖는 상기 메모리 뱅크 내의 모든 레코드 블록들에 저장된 상기 태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RFID 태그의 동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레코드 블록은
    상기 인덱스를 저장하는 인덱스 영역과, 상기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코드 영역과, 상기 각 레코드 블록의 전송 오류 체크를 위한 오류검출 코드를 저장하는 오류코드 영역을 포함하는 것
    인 RFID 태그의 동작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가 상기 각 레코드 블록 내의 상기 오류검출 코드에 의해 전송 오류로 판단된 레코드 블록의 재전송을 요청한 경우,
    상기 인덱스를 이용하여 재전송 요청된 레코드 블록만을 재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RFID 태그의 동작방법.
  4. RFID 태그의 사용자 메모리 뱅크(user memory bank)내에 포함된 상기 메모리 뱅크의 사이즈보다 작은 복수의 레코드 블록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인덱스를 포함하는 다운로드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상기 지시된 인덱스를 갖는 레코드 블록으로부터 그 이후의 인덱스를 갖는 상기 사용자 메모리 뱅크 내의 모든 레코드 블록에 저장된 태그 데이터를 상기 레코드 블록 단위로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RFID 리더의 동작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레코드 블록은
    상기 인덱스를 저장하는 인덱스 영역과, 상기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코드 영역과, 상기 각 레코드 블록의 전송 오류 체크를 위한 오류검출 코드를 저장하는 오류코드 영역을 포함하는 것
    인 RFID 리더의 동작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수신된 상기 각 레코드 블록 내의 오류검출 코드를 이용하여 각 레코드 블록의 전송 오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RFID 리더의 동작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하는 단계는
    전송 오류로 판단된 레코드 블록의 인덱스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오류로 판단된 레코드 블록의 재전송을 상기 RFID 태크로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RFID 리더의 동작방법.
  8. 메모리 뱅크(memory bank)를 포함하는 메모리부로서, 상기 메모리 뱅크는 상기 메모리 뱅크의 사이즈보다 작고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의 레코드 블록으로 구분되어 있는 것인 메모리부; 및
    RFID 리더의 다운로드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태크 데이터를 상기 레코드 블록 단위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RFID 태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코드 블록은 순차적으로 인덱싱되어 있고,
    상기 RFID 리더의 다운로드 명령은 상기 복수의 레코드 블록 중 어느 를 지시하는 인덱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인덱스를 갖는 레코드 블록부터 그 이후의 인덱스를 갖는 상기 메모리 뱅크 내의 모든 레코드 블록들에 저장된 상기 태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
    인 RFID 태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 레코드 블록은
    상기 인덱스를 저장하는 인덱스 영역과, 상기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코드 영역을 포함하는 것
    인 RFID 태그.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가 전송 오류 판단에 전송 오류로 판단된 레코드 블록의 재전송을 요청한 경우,
    상기 전송부는 재전송 요청된 레코드 블록만을 재전송하는 것
    인 RFID 태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코드 블록 각각은 인덱싱되어 있고,
    상기 각 레코드 블록은 인덱스를 저장하는 인덱스 영역과, 상기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코드 영역과, 상기 각 레코드 블록의 전송 오류 체크를 위한 오류검출 코드를 저장하는 오류코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RFID 리더는 상기 각 레코드 블록 내의 상기 오류검출 코드에 의해 전송 오류로 판단된 레코드 블록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것이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인덱스를 이용하여 재전송 요청된 레코드 블록만을 재전송하는 것
    인 RFID 태그.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명령에 따른 상기 태그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될 때까지 다른 RFID 리더의 명령에 반응하지 않는 것
    인 RFID 태그.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의 클리어 명령에 따라 상기 메모리 뱅크내의 모든 레코드 블록은 포맷되는 것
    인 RFID 태그.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뱅크는 사용자 메모리 뱅크(user memory bank)이고,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RFID 태그가 부착된 물체를 식별하는 코드를 저장하는 EPC 메모리 뱅크와, 상기 RFID 태그를 식별하는 아이디를 저장하는 TID 메모리 뱅크 및 리저브드 메모리 뱅크를 더 포함하는 것
    인 RFID 태그.
  16. RFID 태그의 사용자 메모리 뱅크(user memory bank)에 저장된 태그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지시하는 다운로드 명령을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상기 태그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뱅크의 사이즈보다 작은 복수의 레코드 블록 단위로 수신하는 수신부
    를 포함하는 RFID 리더.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코드 블록은 순차적으로 인덱싱되어 있고,
    상기 다운로드 명령은 상기 복수의 레코드 블록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인덱스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상기 지시된 인덱스를 갖는 레코드 블록으로부터 그 이후의 인덱스를 갖는 상기 사용자 메모리 뱅크 내의 모든 레코드 블록에 저장된 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
    인 RFID 리더.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각 레코드 블록은 상기 인덱스를 저장하는 인덱스 영역과, 상기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코드 영역을 포함하는 것
    인 RFID 리더.
  19. 제16항에 있어서,
    수신한 상기 레코드 블록 각각에 대해 전송 오류 여부를 체크하는 검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인 RFID 리더.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코드 블록 각각은 인덱싱되어 있고,
    상기 각 레코드 블록은 인덱스를 저장하는 인덱스 영역과, 상기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코드 영역과, 상기 각 레코드 블록의 전송 오류 체크를 위한 오류검출 코드를 저장하는 오류코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검사부는 RFID 리더는 상기 각 레코드 블록 내의 상기 오류검출 코드를 이용하여 전송 오류를 체크하고, 상기 인덱스를 이용하여 전송 오류로 판단된 레코드 블록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것
    인 RFID 리더.
KR1020100034842A 2009-07-24 2010-04-15 Rfid 태그의 동작방법, rfid 리더의 동작방법, rfid 태그 및 rfid리더 KR101341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4853 WO2011010894A2 (ko) 2009-07-24 2010-07-23 Rfid 태그의 동작방법, rfid 리더의 동작방법, rfid 태그 및 rfid리더
US13/383,545 US20120112889A1 (en) 2009-07-24 2010-07-23 Operation method of an rfid tag, operation method of an rfid reader, rfid tag, and rfid rea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866 2009-07-24
KR20090067866 2009-07-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543A true KR20110010543A (ko) 2011-02-01
KR101341041B1 KR101341041B1 (ko) 2013-12-11

Family

ID=43771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842A KR101341041B1 (ko) 2009-07-24 2010-04-15 Rfid 태그의 동작방법, rfid 리더의 동작방법, rfid 태그 및 rfid리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112889A1 (ko)
KR (1) KR1013410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2453A (ko) * 2013-09-18 2015-03-2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휴대 가능 전자 장치 및 ic 카드 처리 장치
KR20160024756A (ko) * 2014-08-25 2016-03-0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Ic 카드, 휴대 가능 전자 장치 및 ic 카드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7329B2 (en) * 2013-04-19 2016-08-02 Nxp B.V. Secure near field communication solutions and circuits
US9489322B2 (en) * 2013-09-03 2016-11-08 Intel Corporation Reducing latency of unified memory transactions
CN108595344A (zh) * 2017-11-07 2018-09-28 深圳市雄帝科技股份有限公司 射频卡的电写入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3069A (ja) * 2000-08-21 2002-02-28 Hitachi Ltd メモリ制御装置、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半導体装置
JP3512755B2 (ja) * 2000-10-13 2004-03-31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方式、通信装置、およびこの通信装置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US20060279412A1 (en) * 2005-06-13 2006-12-14 Holland Joshua H System for using RFID tags as data storage devices
JP4910398B2 (ja) * 2006-01-18 2012-04-04 富士通株式会社 タグ情報管理プログラム、タグ情報管理方法およびタグ情報管理装置
US7663486B2 (en) * 2006-06-16 2010-02-16 Motorola, Inc. RFID tag user memory indication
US20080001724A1 (en) * 2006-06-28 2008-01-03 Symbol Technologies, Inc. Using read lock capability for secure RFID authentication
US20080186145A1 (en) * 2007-02-05 2008-08-0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of cooperation between mobile and fixed rfid readers
US20080204234A1 (en) * 2007-02-28 2008-08-28 Vijay Pillai Systems and methods for increased memory capacity in a low-power environment
KR100921694B1 (ko) * 2007-11-20 2009-10-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를 위한 데이터 스트리밍 장치
US8077014B2 (en) * 2008-01-17 2011-12-13 Intermec Ip Corp.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 association and relative positioning
TWI390403B (zh) * 2008-11-06 2013-03-21 Univ Nat Taiwan 串流處理架構中可重組式記憶體方法及裝置
KR101554687B1 (ko) * 2010-08-27 2015-09-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2453A (ko) * 2013-09-18 2015-03-2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휴대 가능 전자 장치 및 ic 카드 처리 장치
US9356736B2 (en) 2013-09-18 2016-05-31 Kabushiki Kaisha Toshib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C card processing device
KR20160024756A (ko) * 2014-08-25 2016-03-0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Ic 카드, 휴대 가능 전자 장치 및 ic 카드 처리 장치
US9667387B2 (en) 2014-08-25 2017-05-30 Kabushiki Kaisha Toshiba IC car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C card processing device
US10296415B2 (en) 2014-08-25 2019-05-21 Kabushiki Kaisha Toshiba IC car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C card proces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1041B1 (ko) 2013-12-11
US20120112889A1 (en) 201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32091A1 (en) Memory system allowing host to easily transmit and receive data
CN102446280B (zh) 一种验证数据的方法、装置及系统
KR101341041B1 (ko) Rfid 태그의 동작방법, rfid 리더의 동작방법, rfid 태그 및 rfid리더
US7003710B2 (en) Communications method,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system using same communications apparatus
US8713412B2 (en) Wireless subscriber managing storage of HARQ packets
AU598917B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and methods of transmitting data
CN102214144B (zh) 一种harq存储器的分层管理方法和系统
WO2011009768A2 (en) A method and reader for reading tag data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US79083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outgoing data using data descriptors
KR20090121229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03051674A (zh) 一种远程升级无线通信模块的方法、装置及手持单元
CN106656425A (zh) 光纤通道中固定帧长度的一种高效差错重传与存取机制
EP1994695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packets
CN103595513A (zh) 一种harq数据存取方法及装置
US20080031254A1 (en) Two-pronged receive fragment processing in a wireless network
GB2514623A (en) Radio data packets
JP3808620B2 (ja) 情報識別システム、この情報識別システム用の制御装置および応答装置
EP2420936B1 (en) Protocol conversion Communication Device
JP2021532636A (ja) 確認パケット伝送方法および通信デバイス
WO2011010894A2 (ko) Rfid 태그의 동작방법, rfid 리더의 동작방법, rfid 태그 및 rfid리더
WO2022111326A9 (zh)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20150349919A1 (en) Radio data packets
US6607138B2 (en) Communication method of IC card reader/writer
CN102045880A (zh) 基于cpri协议的数据传输方法、系统和设备
JP4121123B2 (ja) 移動体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