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926A - 전자 기기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926A
KR20110006926A KR1020090064559A KR20090064559A KR20110006926A KR 20110006926 A KR20110006926 A KR 20110006926A KR 1020090064559 A KR1020090064559 A KR 1020090064559A KR 20090064559 A KR20090064559 A KR 20090064559A KR 20110006926 A KR20110006926 A KR 20110006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lus
touch screen
button
electronic devic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천용
조승기
이인기
최진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4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6926A/ko
Priority to EP10157637A priority patent/EP2275899A3/en
Priority to US12/764,697 priority patent/US20110012849A1/en
Publication of KR20110006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9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2Pen holder integrated in the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전자기기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스타일러스가 전자기기로부터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스타일러스가 전자기기로부터 제거되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스타일러스, 전자책

Description

전자 기기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CONTROL}
본 발명은,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기기 상의 버튼과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기기들(이하, "기기"로 총칭)이 인기를 얻어왔다. 대부분의 이러한 기기들은,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통해 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스타일러스 또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이러한 기기들은 휴대용 기기이거나 비휴대용 기기일 수 있다. PDA (Personal Data Assitant)와 이동 전화는 휴대용 기기의 예들이다. 한편, 워크스테이션 또는 다른 비휴대용 기기들에 이러한 터치 스크린 및 스타일러스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것과 함께, 일부 기기들은, 기기 작동을 위한 별도의 버튼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책 리더는, 리더가 전자책의 페이지들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북 마커들을 설정하거나 전자책의 페이지들을 넘기는 것과 같은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들을 함께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및 스타일러스)과 별도 버튼들을 사용해, 기기와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기기의 기능성 및 유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편리성도 더욱 증대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상에서 스타일러스를 사용하면서 이와 동시에 사용자의 손이 하나 이상의 버튼들을 터치할 때에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의도치 않게 하나 이상의 버튼을 누르고, 그 결과, 기기가 의도되지 않은 일부 테스크(task)를 수행하도록 지시하게 된다. 게다가, 다른 문제는,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버튼들을 사용할 때 터치 스크린을 동시에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이와 유사하게, 터치 스크린과 스타일러스를 사용할 때,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버튼들을 동시에 사용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버튼들을 사용할 때, 사용자는 스타일러스와 터치 스크린을 사용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버튼들과 터치 스크린 양쪽에 동시에 전원이 공급되어 전원이 불필요하게 소비되거나, 비의도적으로 작동되고 있는 버튼들에서 수신된 입력을 처리하기 위해, 기기의 처리능력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기술된 문제점 및 기술되지 않은 기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필요시되는 것은 아닐 수 있으며, 상기 문제점들 중 일부 문제점을 해결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터치 스크린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거가능한 스타일러스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스타일러스가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스타일러스가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제거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다른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스타일러스가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제거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다른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스타일러스가 상기 전자기기로 삽입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다른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스타일러스가 전자기기로 삽입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상기 터치 스크린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상기 터치 스크린과 별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을 무시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부터의 입력을 무시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터치 스크린을 작동시키기 위해 삽입가능한 스타일러스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스타일러스가 상기 전자기기로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스타일러스가 상기 전자기기로 삽입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제거가능한 스타일러스; 상기 스타일러스로 작동가능한 터치 스크린; 상기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 및 상기 스타일러스가 상기 장치로부터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스타일러스가 상기 장치로부터 제거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타일러스가 상기 장치로부터 제거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타일러스가 상기 장치로 삽입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타일러스가 상기 장치로 삽입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상기 터치 스크린의 일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상기 터치 스크린과 별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기능이 비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을 무시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기능이 비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터치 스크린의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의 입력을 무시함으로써 상기 터치 스크린의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고,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언급하며, 반복되는 설명들은 필요에 따라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100)는 터치 스크린(110), 버튼들(120) 및 스타일러스(130)를 구비한다. 기기(1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기 기(100)를 작동시키기 위한 포인팅 기기로써, 스타일러스(130)를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버튼들(120)을 사용하여 기기(1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버튼들(120)은 사용자가 스타일러스(130) 및 터치 스크린(110)을 사용해 수행할 수 있는 동일한 기능들의 일부 및 전부를 수행할 수 있거나, 다른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버튼들(120)은 터치 스크린(110)에 대하여 외부에 위치해 있다. 그러나, 버튼들(120)은 터치 스크린(110)의 외부에 있을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110) 상에서 영상들로써 표시(Graphic User Interface : GUI)되는 것처럼 터치 스크린(110)의 내부에 존재할 수 있다.
게다가, 스타일러스(130)는, 사용되지 않을 때 스타일러스 홀더(150)내에 보관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 홀더(150)는 내부 영역, 즉 기기(100)의 내부에 위치해 있다. 그러나, 스타일러스 홀더(150)는 외부 영역, 즉 기기(10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기기(100)로 삽입되거나 기기(100)에서 제거되는 스타일러스(130)에 대한 기재는, 스타일러스 홀더(150)로 삽입되거나 스타일러스 홀더(150)로부터 제거되는 스타일러스(130)를 포함한다.
기기(100)는 스타일러스 홀더(150), 버튼들(120) 및 터치 스크린(110)과 연결된 컨트롤러(140)를 더 포함한다. 도 1에서는 기기(100)의 내부에 이들이 존재한다는 점을 나타내기 위해, 점선들을 사용해 컨트롤러(140) 및 스타일러스 홀더(150)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스타일러스 홀더(150)에 관해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구성품들의 일부는 기기(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는 컨트롤러(140)가 터치 스크린(110), 스타일러스 홀더(150) 및 버튼들(120)과 어떠한 방식으로 상호 연결되는지 여부에 대한 상세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는 스타일러스 홀더(15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스타일러스 홀더(150)는 접촉 매커니즘(mechanism)(160)을 포함하여, 이로 인해 스타일러스(130)가 스타일러스 홀더(150)로 삽입되어 접촉 매커니즘(160)과 접촉하게 되면, 컨트롤러(140)로 신호가 전송되어, 컨트롤러(140)는 스타일러스(130)가 스타일러스 홀더(150)로 삽입되었는지 또는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물론, 스타일러스(130)가 스타일러스 홀더(150)로 삽입되거나 제거되면,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원하는 효과를 얻기 위한 많은 다른 접촉 매커니즘/신호 스킴(scheme)들이 적용가능하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를 보여준다. 컨트롤러(140)는, 스타일러스(130)가 스타일러스 홀더(150)로부터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300). 스타일러스(130)가 제거되었다고 판단하면(S300-Y), 컨트롤러(140)는 버튼들(120)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비활성화(disable)되도록 할 수 있다(S310). 그렇지 않은 경우(S300-N), 동작은 다시 시작된다. 컨트롤러(140)가 버튼들(120) 모두의 기능이 비활성화되도록 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사용자가 스타일러스(130) 및 터치 스크린(110)을 사용하는 동안 의도되지 않은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버튼들(120)의 레이아웃(layout)은, 버튼들(120)의 총 개수 미만인 특정 개수의 버튼에 대해, 기능이 비활성화되도록 이루 어진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를 보여준다. 컨트롤러(140)는, 스타일러스(130)가 스타일러스 홀더(150)로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20). 스타일러스(130)가 삽입되었다고 판단되면(S320-Y), 컨트롤러(140)는 버튼들(120)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활성화(enable)시킨다(S330). 그렇지 않은 경우(S320-N), 동작은 다시 시작된다. 도 3a에 대한 예시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140)가 버튼들(120) 모두의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할 필요는 없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컨트롤러(140)는 스타일러스(130)가 스타일러스 홀더(150)로부터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0). 스타일러스(130)가 제거되었다고 판단되면(S400-Y), 컨트롤러는(140) 버튼들(120)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기능이 비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S410). 그렇지 않은 경우(S400-N), 동작은 다시 시작된다. 컨트롤러(140)는 터치 스크린(110)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S420). 도 4a의 흐름도는 버튼들(120)의 비활성화(S410) 이후에 발생하는 터치 스크린(110)의 활성화(S420)에 대해 도시하고 있으나, 컨트롤러(140)는 이러한 동작들을 동시에 수행하거나 이와 역순으로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컨트롤러(140)는 스타일러스(130)가 스타일러스 홀더(150)로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30). 스타일러스(130)가 삽입되었다고 판단되면(S430-Y), 컨트롤러(140)는 버튼들(120)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S440). 그렇지 않은 경우(S430-N), 동작은 다시 시작된다. 컨트롤러(140)는 터치 스크린(110)의 기능이 비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S450). 도 4b의 흐름도는 버튼들(120)의 활성화(S440) 이후에 발생하는 터치 스크린(110)의 비활성화(S450)에 대해 도시하고 있으나, 컨트롤러(140)는 이러한 동작들을 동시에 수행하거나 이와 역순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컨트롤러(140)는 스타일러스(130)가 스타일러스 홀더(150)로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0). 스타일러스(130)가 삽입되었다고 판단되면(S500-Y), 컨트롤러는(140) 터치 스크린(110)의 기능이 비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으며, 버튼들(120)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S510). 반면, 스타일러스(130)가 삽입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S500-N), 컨트롤러(140)는 터치 스크린(110)의 기능이 활성화되로록 할 수 있으며, 버튼들(120)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비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S520). 예를 들어, 기기(100)는 스타일러스 홀더(150)로 삽입되는 스타일러스(130) 없이도 턴-온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140)는 터치 스크린(110)이 활성화되고 버튼들(120)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기능이 비활성화되는 것으로(예를 들어, 단계 S500-N와 같이)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두 서브 동작(터치 스크린(110)의 기능의 비활성화 및 버튼들(120)의 활성화, 그리고, 터치 스크린(110)의 활성화 및 버튼들(120)의 비활성화)들에 대해 별개의 단계(S510, S520)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이러한 서브 동작들은 동시에 수행되거나 순차로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계 S500는 컨트롤러(100)가, 스타일러스(130)가 스타일러스 홀 더(150)로부터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도 5에서 보여지는 결과 동작들(예를 들어, 단계 S510 및 S520)은 반대로 수행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버튼들(120)은 다른 방법들로 비활성화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들(120)의 기능이 공급되는 전원에 의존하는 경우, 버튼들(120)이 기능이 효과적으로 비활성화되도록 하기 위해,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스위치 오프"). 이에 의해, 버튼(120)을 누름으로써 컨트롤러(140)에 의해 수신된 일부 신호들은 단순히 컨트롤러(140)에 의해 무시될 수 있다. 반면, 버튼들(120)이 터치 스크린(110)의 일 영역에 실제로 표시될 수 있는 경우, 즉, 버튼(120)이 화면에 표시된 영상들(GUI)인 경우, 버튼들(120)을 나타내는 영상들의 표시가 중지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터치에 반응하지 않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볼 것은 아니다. 설명한 내용들은 다른 유형의 방법이나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며 청구항의 범주를 한정하지 않으며, 해당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기 110 : 터치 스크린
120 : 버튼들 130 : 스타일러스
140 : 컨트롤러 150 : 스타일러스 홀더
160 : 접촉 메커니즘

Claims (21)

  1. 전자기기의 터치 스크린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거가능한 스타일러스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가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스타일러스가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제거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가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제거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가 상기 전자기기로 삽입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가 전자기기로 삽입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활성화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상기 터치 스크린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상기 터치 스크린과 별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을 무시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부터의 입력을 무시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11. 전자기기의 터치 스크린을 작동시키기 위해 삽입가능한 스타일러스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가 상기 전자기기로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스타일러스가 상기 전자기기로 삽입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12. 제거가능한 스타일러스;
    상기 스타일러스로 작동가능한 터치 스크린;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 및
    상기 스타일러스가 상기 장치로부터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스타일러스가 상기 장치로부터 제거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가 상기 장치로부터 제거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가 상기 장치로 삽입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가 상기 장치로 삽입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상기 터치 스크린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상기 터치 스크린과 별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기능이 비활성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을 무시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기능이 비활성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터치 스크린의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의 입력을 무시함으로써 상기 터치 스크린의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90064559A 2009-07-15 2009-07-15 전자 기기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1000692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559A KR20110006926A (ko) 2009-07-15 2009-07-15 전자 기기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EP10157637A EP2275899A3 (en) 2009-07-15 2010-03-24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control
US12/764,697 US20110012849A1 (en) 2009-07-15 2010-04-21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559A KR20110006926A (ko) 2009-07-15 2009-07-15 전자 기기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926A true KR20110006926A (ko) 2011-01-21

Family

ID=42797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559A KR20110006926A (ko) 2009-07-15 2009-07-15 전자 기기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012849A1 (ko)
EP (1) EP2275899A3 (ko)
KR (1) KR2011000692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1701A (ko) * 2014-03-26 2015-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13307A (ko) * 2016-07-29 2018-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펜을 갖는 전자 장치 및 전자 펜 삽입 인식 방법
KR20180014461A (ko) * 2016-08-01 2018-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펜을 갖는 전자 장치 및 전자 펜 삽입 인식 방법
US11875003B2 (en) 2019-07-26 2024-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gitizer panel of electronic device on basis of state of electronic p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36281B2 (en) * 2011-04-26 2016-09-06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tactile feedback
KR101943435B1 (ko) 2012-04-08 2019-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14129378A1 (ja) * 2013-02-20 2014-08-28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文字列入力システム
US9785259B2 (en) * 2013-03-11 2017-10-10 Barnes & Noble College Booksellers, Llc Stylus-based slider functionality for UI control of computing device
US9946365B2 (en) 2013-03-11 2018-04-17 Barnes & Noble College Booksellers, Llc Stylus-based pressure-sensitive area for UI control of computing device
US9766723B2 (en) 2013-03-11 2017-09-19 Barnes & Noble College Booksellers, Llc Stylus sensitive device with hover over stylus control functionality
US9632594B2 (en) * 2013-03-11 2017-04-25 Barnes & Noble College Booksellers, Llc Stylus sensitive device with stylus idle functionality
JP2014211865A (ja) * 2013-04-01 2014-11-13 キヤノン株式会社 両面タッチスクリーンを搭載した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記憶媒体
KR102241994B1 (ko) * 2013-04-18 2021-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펜을 이용한 기능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102157270B1 (ko) * 2013-04-26 2020-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펜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23163A (ko) * 2014-08-21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펜에 의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WO2016052800A1 (ko) * 2014-09-29 2016-04-07 엘지전자(주)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90295A (ko) * 2016-01-28 2017-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JP6784115B2 (ja) * 2016-09-23 2020-11-1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超音波診断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0794976B (zh) * 2018-08-03 2022-04-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触控装置及方法
KR20200082447A (ko) 2018-12-28 2020-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입력 버튼들이 구비된 펜 입력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7926B1 (en) * 1996-10-22 2001-01-23 Intermec Ip Corp. Hand-held computer having input screen and means for preventing inadvertent actuation of keys
US5845161A (en) * 1997-02-28 1998-12-01 Eastman Kodak Company Stylus based electronic annotation camera
KR20000074397A (ko) * 1999-05-20 2000-12-15 윤종용 스타일러스의 결합 분리로 전원 제어기능을 갖는 휴대용 컴퓨터
GB2353184A (en) * 1999-08-13 2001-02-14 Nokia Mobile Phones Ltd Disabling a touch sensitive display screen when a call is established
US6924791B1 (en) * 2000-03-09 2005-08-02 Palmon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power-up and power-down of a computer system based on the positions of an associated stylus and/or hinge
US7053883B1 (en) * 2000-10-24 2006-05-30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an interactive display screen
US7102626B2 (en) * 2003-04-25 2006-09-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ulti-function pointing device
EP1787281A2 (en) * 2004-07-15 2007-05-23 N-Trig Ltd. Automatic switching for a dual mode digitizer
US20060012577A1 (en) * 2004-07-16 2006-01-19 Nokia Corporation Active keypad lock for devices equipped with touch screen
US20080225018A1 (en) * 2005-09-30 2008-09-18 Seng Hong Louis Pang Handheld Electronic Process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7729664B2 (en) * 2006-04-20 2010-06-01 Palm, Inc. Technique for reducing interference to radio operations on a computing device
US20070281748A1 (en) * 2006-05-31 2007-12-06 Spectralink Corp. Method & apparatus for unlocking a mobile phone keypad
US8988357B2 (en) * 2006-08-10 2015-03-24 Sony Corporation Stylus activated display/key-lock
TWI358737B (en) * 2007-11-02 2012-02-21 Htc Corp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8866640B2 (en) * 2008-12-22 2014-10-21 Lenovo (Singapore) Pte. Ltd. Prioritizing user input devices
US8280461B2 (en) * 2009-03-25 2012-10-02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function button operable by a stylus or similar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1701A (ko) * 2014-03-26 2015-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13307A (ko) * 2016-07-29 2018-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펜을 갖는 전자 장치 및 전자 펜 삽입 인식 방법
KR20180014461A (ko) * 2016-08-01 2018-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펜을 갖는 전자 장치 및 전자 펜 삽입 인식 방법
US11875003B2 (en) 2019-07-26 2024-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gitizer panel of electronic device on basis of state of electronic p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75899A3 (en) 2012-05-02
US20110012849A1 (en) 2011-01-20
EP2275899A2 (en) 201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6926A (ko) 전자 기기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9122316B2 (en) Enabling data entry based on differentiated input objects
JP5457679B2 (ja) アンロック画像上でジェスチャを行うことによる機器のアンロッキング
US20130016046A1 (en) Control method and system of touch panel
JP2007293820A (ja) 端末機及び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た端末機の制御方法
CN101573673A (zh) 用于手持设备的背侧接口
WO2009071123A1 (en) Power reduction for touch screens
KR20140047515A (ko) 데이터 입력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JP2009003628A (ja) 入力端末装置
JP2010079662A (ja) 入力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40107985A (ko) 택타일 피드백 및 비주얼 피드백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167752B1 (ko) 컨버터블 태블릿 pc에서의 터치스크린모드 전환 장치 및방법
JP2018032251A (ja) 情報処理装置、タッチパネル感度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90356B1 (ko) 키패턴의 축소가 가능한 터치패널기기 및 그 키패턴 조절방법
JP6415841B2 (ja) 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方法
KR10234019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321418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060003286A (ko) 펜을 이용한 휴대용 컴퓨터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AU2008100419B4 (en) Unlocking a device by performing gestures on an unlock image
JP5738911B2 (ja) 電子デバイス
JP2020140228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入力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30241836A1 (en) Keyboard and computing device
KR20070070273A (ko) 터치스크린의 제어회로
KR20080075747A (ko) 컴퓨팅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6149810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