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062A - System and method for face recognition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face recogn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062A
KR20110006062A KR1020090063521A KR20090063521A KR20110006062A KR 20110006062 A KR20110006062 A KR 20110006062A KR 1020090063521 A KR1020090063521 A KR 1020090063521A KR 20090063521 A KR20090063521 A KR 20090063521A KR 20110006062 A KR20110006062 A KR 20110006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user
area
face recognition
eye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5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인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인식
Priority to KR1020090063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6062A/en
Publication of KR20110006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06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5Organisation of the matching processes, e.g. simultaneous or sequential comparisons of image or video features; Coarse-fine approaches, e.g. multi-scale approaches; using context analysis; Selection of dictionaries
    • G06V10/759Region-based ma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Image Analysi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PURPOSE: A face recognition system and a method thereof for accurately identifying a face within a photographing area are provided to minimize the probability of failure of the face recognition system. CONSTITUTION: An image pickup unit(20) takes a photograph of a user to attempt face recognition and generates a user image. A face recognition processing unit(30) determines if there is a match with a registered face stored in a database. The face recognition process unit implements face recognition using a predetermined facial feature. A display unit(40) visually displays a part of the face.

Description

얼굴 인식 시스템 및 얼굴 인식 방법{SYSTEM AND METHOD FOR FACE RECOGNITION}Face Recognition System and Face Recognition Method {SYSTEM AND METHOD FOR FACE RECOGNITION}

본 발명은 얼굴 인식 시스템 및 얼굴 인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얼굴 인식에 있어서 사용자 얼굴이 인식 가능한 크기 및 형태로 촬영될 수 있도록 사용자를 유도할 수 있는 얼굴 인식 시스템 및 얼굴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e recognition system and a face recogni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ce recognition system and a face recognition method capable of inducing a user to photograph a user's face in a recognizable size and shape in face recognition. It is about.

최근, 보안 관리가 필요한 각종 컴퓨팅 시스템에 대한 액세스 또는 보안 관리 중인 지역으로의 접근을 차단 및 허용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인증 처리를 행하는 얼굴 인식 시스템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해당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Recently, in order to block and allow access to various computing systems requiring security management or access to areas under security management, various face recognition systems for recognizing a user's face and performing authentication processing have been variously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fields. It is becoming.

이러한 얼굴 인식 시스템에서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증된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용자 인증의 기준이 되는 영상인 등록 영상을 미리 생성하고, 생성된 등록 영상으로부터 얼굴 형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얼굴 형태에서 각 얼굴 부위를 검출하고, 검출된 각 얼굴 부위에서 특징점을 지정하고, 지정된 특징점을 수치화하여 특징점 정보로서 저장해 둔다. In such a face recognition system, by using a camera to photograph an authenticated user, a registered image, which is an image for user authentication, is generated in advance, a face shape is detected from the generated registered image, and each face part is detected from the detected face shape. Is detected, a feature point is designated at each detected face part, and the specified feature point is digitized and stored as feature point information.

그리고, 얼굴 인식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이 발생하고 사용자 인증의 요청이 발생하면, 얼굴 인식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를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 얼굴을 검출하고, 검출된 사용자 얼굴에서, 각 얼굴 부위를 검출하고, 검출된 얼굴 부위에서 특징점을 지정하고, 지정된 특징점을 수치화하고, 수치화된 특징점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된 등록 얼굴에 대하여 생성된 특징점 정보와 비교하고, 비교의 결과 일치하는 정도를 점수화 또는 퍼센티지화하고, 산출된 수치와 소정의 기준 범위를 비교하여 인증의 성공 및 실패를 판정하게 된다. When the user's access to the face recognition system occurs and a request for user authentication occurs, the face recognition system photographs the user's body, detects the user's face from the captured image, and detects each of the user's faces. Detect a face part, designate a feature point in the detected face part, digitize the specified feature point, compare the information on the digitized feature point with the feature point information generated for the pre-stored registered face, and compare the degree of agreement with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Score or percentage and compare the calculated value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range to determine the success or failure of authentication.

하지만, 이와 같은 얼굴 인식 시스템은, 사용자의 얼굴 촬영 명령의 입력 시점에, 또는, 소정의 촬영 영역 또는 인체 감지 영역 내에 사용자의 신체가 존재함을 감지한 경우에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게 된다. However, such a face recognition system generates a user image by photographing a user at the time of input of a user's face photographing command or when the user's body is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photographing area or a human body detection area. do.

이때, 만약 사용자가 카메라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 있거나, 카메라 촬영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너무 비껴서 위치하게 된다면, 촬영된 사용자 얼굴이 얼굴 인식을 실시할만큼 충분하게 정확히 촬영되기 어렵게 된다. At this time, if the user is located too far from the camera or is positioned too far from the center of the camera photographing area, it is difficult for the captured user's face to be accurately captured sufficiently to perform face recognition.

도 1은, 얼굴 인식 시스템에 의해 촬영되는 사용자 영상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a)는 사용자의 얼굴이 촬영 영역의 중앙에 적당한 크기로 정확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촬영된 바람직한 영상을 보여준다. 도 1(b)는 사용자가 촬영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너무 비껴서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1(c)는 사용자가 카메라로부터 너무 멀리 위치하여 사용자 얼굴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을 정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 image photographed by a face recognition system. Figure 1 (a) shows a preferred image taken with the user's face accurately positioned at the right size in the center of the shooting area. FIG. 1 (b) shows a state where the user is positioned too far away from the center of the shooting area, and FIG. 1 (c) shows a state where the user is located too far from the camera and cannot accurately recognize the user's face. have.

이 중, 도 1(b) 및 1(c)와 같은 영상을 이용하여 얼굴 인식을 시도하게 된다 면, 얼굴 인식 시스템에서 사용자 얼굴을 정확하게 분석하지 못하여 얼굴 인식 실패로 간주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정당한 사용자임에도 불구하고 인증 실패 판정된다면, 사용자는 얼굴 인식 처리에 대한 불편함을 느끼게 될 것이다. Among these, if face recognition is attempted using the images as shown in FIGS. 1B and 1C, the face recognition system may not accurately analyze the user's face and may consider the face recognition failure. Therefore, if authentication failure is determined despite being a legitimate user, the user will feel inconvenience in face recognition processing.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을 얼굴 인식 시스템의 촬영 영역 내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얼굴 인식의 실패 확률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to induce a user to accurately position his or her face in a photographing area of a face recognition system, thereby minimizing the probability of failure of face recognition.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카메라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서 위치함으로써 얼굴 인식이 실패하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inimize the case where face recognition fails by the user being placed too far from the camera.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나 또는 복수의 얼굴을 등록 얼굴로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얼굴 인식을 시도하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생성된 사용자 영상에서 검출한 사용자 얼굴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등록 얼굴과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얼굴 인식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얼굴 인식 처리부는, 상기 검출한 사용자 얼굴 중 소정의 얼굴 부위가 미리 설정된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 영상을 이용하여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database unit for storing one or a plurality of faces as a registered face; A photographing unit which photographs a user who attempts to recognize a face and generates a user image; A face recognition processor configured to perform face recognition by determining whether a user face detected in the generated user image matches the registered face stored in the database unit; The face recognition processing unit may perform face recognition using the user image only when a predetermined face part of the detected user face is located within a preset restriction area.

또한, 상기 사용자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한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visually displaying the user image, wherein the display unit visually displays at least a portion of the restriction area.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면에 인쇄 또는 각인에 의해 상기 제한 영역의 일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art of the restricted area is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unit by printing or stamping.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 영상을 좌우 반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unit may invert and display the user image.

또한, 상기 소정의 얼굴 부위는 양쪽 눈 부위이고, 상기 양쪽 눈 부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미리 설정된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만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face part may be both eye parts, and the face recognition may be performed only when both eye parts are positioned within an eye position limit region preset in the display unit.

또한, 상기 양쪽 눈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제한 거리 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ce recognition may be performed only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eyes is within a predetermined limit distance range.

또한, 상기 눈 위치 제한 영역은 좌우 분할되어 독립적으로 설정되고, 상기 사용자 얼굴 중 왼쪽 눈은 왼쪽의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고, 오른쪽 눈은 오른쪽의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만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ye position limiting area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and set independently, the left eye of the user face is located within the left eye position limiting area, and the right eye is located only within the right eye position limiting area. It is characterized by performing.

또한, 상기 왼쪽의 눈 위치 제한 영역 또는 상기 오른쪽의 눈 위치 제한 영역의 크기는 임의로 설정 및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ze of the left eye position limiting region or the right eye position limiting region may be arbitrarily set and changed.

또한, 상기 왼쪽의 눈 위치 제한 영역과 상기 오른쪽의 눈 위치 제한 영역 사이의 거리는 임의로 설정 및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eye position limiting region and the right eye position limiting region may be arbitrarily set and changed.

또한, 상기 소정의 얼굴 부위는 상기 사용자 얼굴로부터 검출된 얼굴 외곽선이고, 상기 얼굴 외곽선을 구성하는 선 형태 중 적어도 일부가 미리 설정된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만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determined face part may be a face outline detected from the user's face, and face recognition may be performed only when at least a part of the line shapes constituting the face outline are located within a preset face outside restriction area. do.

또한, 상기 얼굴 외곽 제한 영역의 크기 또는 형태는 임의로 설정 및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ize or shape of the face outside restriction area may be arbitrarily set and changed.

또한, 상기 얼굴 외곽 제한 영역은, 얼굴 영역 최소 제한 테두리 및 얼굴 영역 최대 제한 테두리를 경계로 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얼굴 영역 최소 제한 테두리 및 상기 얼굴 영역 최대 제한 테두리의 크기 또는 형태는 임의로 설정 및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ace outer limit area is made of a face area minimum limit border and a face area maximum limit border, and the size or shape of the face area minimum limit border and the face area maximum limit border may be arbitrarily set and changed.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소정의 얼굴 부위는 양쪽 눈 부위 및 상기 사용자 얼굴에 대한 얼굴 외곽선이고, 상기 양쪽 눈 부위가 미리 설정된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고, 동시에 상기 얼굴 외곽선을 구성하는 선 형태 중 적어도 일부가 미리 설정된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만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face part is a face outline for both eyes and the user's face, the both eye parts are located within a preset eye position limit region, and at least a part of the line shapes constituting the face outline are prese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ce recognition is performed only when the position is located within the limited area outside the face.

또한, 상기 눈 위치 제한 영역 또는 상기 얼굴 외곽 제한 영역의 크기 또는 형태는 임의로 설정 및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ize or shape of the eye position limiting region or the face outer limiting region may be arbitrarily set and changed.

또한, 상기 카메라부의 전방에 대한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인체 접근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체 접근 감지부에서 얼굴 인식을 시도하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 경우에는 웨이크업 모드로 유지하여 얼굴 인식을 실시하고,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슬립 모드로 유지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human body approach detecting unit that detects the human body's approach to the front of the camera unit, and when the human body access detecting unit detects a user's approach to face recognition, maintains a wake-up mode to recognize the face. In the case where the user is not detected, power consumption may be minimized by maintaining the sleep mod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는, 얼굴 인식을 시도하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사용자 영상에서 사용자의 양쪽 눈 부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양쪽 눈 부위가 미리 설정된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양쪽 눈 부위가 상기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영상으로부터 검출한 사용자 얼굴과 미리 등록된 등록 얼굴과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얼굴 인식을 실시하고, 상기 양쪽 눈 부위가 상기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얼굴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유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얼굴 인식 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photographing a user attempting a face recognition to generate a user image; Detecting both eye parts of the user from the generated user image; Determining whether the detected both eye parts are located within a preset eye position limit area; When both eye parts are located within the eye position limiting area, face recognition is performed by determining whether a user face detected from the user image matches a registered face registered in advance, and the eye parts are located in the eye position. If not located within the restricted area, instructing the user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face; It provides a face recognition method comprising a.

또한, 상기 양쪽 눈 부위가 상기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더욱, 상기 사용자 얼굴로부터 검출한 얼굴 외곽선을 구성하는 선 형태 중 적어도 일부가 미리 설정된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both eyes are located within the eye position limiting area, the face is further included when at least some of the line shapes constituting the face outline detected from the user face are located within the preset face limiting area.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ogni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는, 얼굴 인식을 시도하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사용자 영상에서 사용자의 얼굴 외곽을 이루는 선 형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선 형태 중 적어도 일부가 미리 설정된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선 형태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영상으로부터 검출한 사용자 얼굴과 미리 등록된 등록 얼굴과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얼굴 인식을 실시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얼굴 인식을 실시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얼굴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유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얼굴 인식 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photographing a user attempting a face recognition to generate a user image; Detecting a shape of a line forming an outline of a user's face in the generated user image; Determining whether at least a part of the detected line shape is located within a preset face outer limit area; If at least a portion of the line shape is located within the face outside restriction area, face recognition is performed by determining whether a user face detected from the user image matches a registered face registered in advance, otherwise face recognition is performed. Inducing the user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face without performing; It provides a face recognition method comprising a.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을 얼굴 인식 시스템의 촬영 영역 내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 얼굴을 정확하게 촬영하여 얼굴 각 부위의 특징점을 명확하게 추출하게 되어 얼굴 인식의 실패 확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inducing the user to accurately position his face in the photographing area of the face recognition system, by accurately photographing the user's face to clearly extract the feature points of each part of the face probable failure of face recognition Can be minimized.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카메라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서 위치하거나 촬영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너무 비껴서 위치하는 등의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얼굴 인식용 사용자 영상이 획득되어, 이미 등록된 사용자임에도 불구하고 얼굴이 오인식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though the user is located too far away from the camera or positioned too far from the center of the shooting area, the user image for face recognition is acquired, and the face is misrecognized even though the user is already registered. This can be prevented.

더욱, 본 발명은, 오인식에 의해 반복적으로 얼굴 인식 절차를 수행하게 됨으로써, 시스템이 장시간 동작함에 따른 전력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정확한 얼굴 인식용 사용자 영상을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어,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오인식 확률이 최소화하고, 이에 의해 얼굴 인식 시스템의 구동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시스템의 구동 시간의 최소화는 시스템의 전력 소비의 최소화를 의미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repeatedly performing the face recognition procedure by the misrecogn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waste of power due to the long-term operation of the system. In other words, the user image for accurate face recognition can be obtained quickly, thereby minimizing the probability of misrecognition of the registered user, thereby minimizing the driving time of the face recognition system. Minimizing the running time of the system means minimiz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얼굴 인식을 시도하는 사용자가 없는 경우에는 시스템을 저전력 소모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전체적인 전력 소모량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overall power consumption by maintaining the system in a low power consumption state when no user attempts to recognize the face.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얼굴 인식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부(10)와, 촬영부(20)와, 얼굴 인식 처리부(30)와, 디스플레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2 is a block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ace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face recognition system includes a database unit 10, a photographing unit 20, a face recognition processing unit 30, and a display unit 40.

데이터베이스부(10)는, 인증된 사용자를 촬영하여 생성한 사용자 영상을 등록 영상으로서 저장하고 필요시 임의로 독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등록 영상뿐만 아니라, 등록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만을 검출하여 생성한 얼굴 영상이나, 이 얼굴 영상으로부터 각 얼굴 부위에 설정한 특징점의 좌표 정보나, 또는 설정된 특징점의 좌표를 벡터와 같은 함수로 수치화하여 표현한 정보(특징점 정보)를 유지할 수도 있다. The database unit 10 is configured to store a user image generated by photographing an authenticated user as a registered image, and to read it arbitrarily if necessary. At this time, the face image generated by detecting only the user's face from the registered image as well as the registered image,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feature points set for each face region from the face image, or the coordinates of the set feature points are digitized by a function such as a vector. The expressed information (feature point information) can also be retained.

데이터베이스부(10)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인증된 사용자가 등록될 수 있으며, 각각의 인증된 사용자에 대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등록 영상 및/또는 각 등록 영상으로부터 산출된 특징점 정보를 유지할 수도 있다. One or more authenticated users may be registered in the database unit 10, and one or more registered images and / or feature point information calculated from each registered image may be maintained for each authenticated user.

촬영부(20)는, 소정의 촬영 영역을 갖는 카메라(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외부 장치(예를 들면, 얼굴 인식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촬영 신호에 따라 촬영 영역을 동영상 또는 정지 화상으로 촬영하여 디지털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때, 촬영부(20)는 연속적인 정지 화상을 촬영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동영상이 촬영되는 것으로 보여지게 된다.The photographing unit 20 includes a camera 22 having a predetermined photographing area, and photographs a photographing area as a moving picture or a still image according to a photographing signal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face recognition processing unit). Digital images are generated and output. In this case, the photographing unit 20 preferably photographs and outputs a continuous still image, whereby the video is shown to be photographed.

또한, 촬영부(20)에는 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조사하여 전방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 수단이 부가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 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unit 20 may be provided with lighting means for illuminating the front by irradiating infrared or visible light (not shown).

얼굴 인식 처리부(30)는, 촬영부(20)의 촬영 영역(도 3의 'P' 참조)으로 진입하여 얼굴 인식의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생성한 디지털 영상(사용자 영상 또는 얼굴 인식용 사용자 영상)에서 특징점 정보를 산출하고, 사용자 영상으로부터 산출된 특징점 정보와 데이터베이스부(10)에 저장된 하나 또는 복수의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특징점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정도(일치도)를 산출함으로써 얼굴 인식 처리를 행한다. The face recognition processing unit 30 enters a photographing area (see 'P' in FIG. 3) of the photographing unit 20 and generates a digital image generated by photographing a user requesting to perform face recognition (for user image or face recognition). Calculating the feature point information from the user image, and comparing the feature point information calculated from the user image with the feature point information of one or a plurality of authenticated users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0 to calculate the degree of coincidence (matching degree). The recognition process is performed.

이때, 얼굴 인식 처리부(30)는, 사용자의 얼굴이 적절한 크기 및 해상도로 촬영된 경우에만 얼굴 인식 처리를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얼굴 부위에 대한 특징점을 명확하게 검출할 수 없는 부적합 영상에 의해 얼굴 인식이 실시됨에 따라 사용자 얼굴이 오인식되어 인증 실패로 판정되는 경우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ace recognition processing unit 30 performs the face recognition processing only when the user's face is photographed with an appropriate size and resolution, so that the face by the unsuitable image can not clearly detect the feature points on the user's face As the recognition is performed, it is desirable to minimize the case where the user's face is misrecognized and determined to be an authentication failure.

더욱, 얼굴 인식 처리부(30)는, 촬영부(20)에 의해 출력되는 사용자 영상을 지속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 얼굴(또는 얼굴 중 특정 부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눈 부위)의 위치를 추적하고, 사용자의 얼굴이 촬영 영역 내에 적합한 위치에 적합한 크기로 촬영되는 시점에 동영상을 캡쳐하여 정지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얼굴 인식에 적용할 얼굴 인식용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눈 위치 추적에 의해 얼굴 인식용 사용자 영상을 자동으로 생성하게 되면, 사용자가 카 메라(22)에 접근하여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더라도, 가장 적합한 순간에 사용자 영상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게 되므로, 얼굴 인식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촬영을 인위적으로 유도하지 않더라도 얼굴 인식에 적합한 영상을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face recognition processing unit 30 continuously analyzes the user image output by the photographing unit 20 to track the position of the user's face (or a specific area of the face, more preferably the eye area), and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a user image for face recognition to be applied to face recognition by generating a still image by capturing a moving image at a time when a face is photographed with a size suitable for a suitable position in the photographing area. As such, when the user image for face recognition is automatically generated by eye position tracking, even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camera 22 and moves constantly, the user image can be automatically generated at the most suitable moment, so that the face recognition is perform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suitable for face recognition can be obtained quickly even without artificially inducing a shooting to a user.

물론, 사용자가 카메라(22)에 접근한 상태에서 가장 적합한 위치에 얼굴이 위치하게 된 경우에는 촬영을 위하여 움직임을 잠시 멈추도록 유도하거나, 사용자에게 촬영을 실시하라는 버튼 등을 누르도록 안내할 수도 있다. Of course, when the face is located at the most suitable position while the user approaches the camera 22, the user may induce the movement to stop for a while, or may guide the user to press a button for taking a picture. .

디스플레이부(40)는, 촬영부(20)의 카메라(22)에서 촬영한 디지털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40)는, 촬영된 디지털 영상의 좌우를 반전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isplay unit 40 visually displays the digital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22 of the photographing unit 20.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40 preferably outputs the inverted left and right of the photographed digital image.

기존의 얼굴 인식 시스템에서는 촬영된 사용자 영상을 촬영되는 그대로 디스플레이하고 있었는데, 이런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속의 사용자는, 실제 사용자의 움직임과는 반대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고 영상의 중심으로 위치를 이동하고자 할 때, 실제 움직임과는 반대로 이동하는 것으로 보여지게 되어, 사용자에게 큰 혼동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In the conventional face recognition system, the photographed user image is displayed as it is being photographed. In this case, the user in the displayed image moves opposite to the motion of the actual user. Therefore, when the user views the displayed image and wants to move the position to the center of the image, the user is shown to move as opposed to the actual movement, which may cause great confusion to the user.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40)에서는,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영상을 좌우 반전시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일반적인 거울과 같이 표시되는 자신의 모습을 보면서 용이하게 얼굴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in the display unit 40 of the face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verting and displaying the displayed user image,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face while watching his / her appearance displayed as a general mirror. do.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얼굴 인식의 처리를 행하는 얼굴 인식 처리부의 동작을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operation of the face recognition processing unit that performs face recognition processing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얼굴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정도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적용되는, 눈 위치 제한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는 직사각형 형태의 촬영 영역(P)과, 촬영 영역의 중심을 표시하기 위한 수직선 및 수평선과, 촬영 영역(P)을 중심으로 하는 타원 형태로서 사용자 얼굴의 바람직한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얼굴 영역 테두리(F)와, 직사각형 형태로서 사용자 얼굴 중 양쪽 눈 부위에 대한 바람직한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눈 위치 제한 영역(E)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FIG. 3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eye position limiting area applied to a face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pplied to allow a user's face to be accurately captured. In FIG. 3, a rectangular region of the photographing area P, a vertical line and a horizontal line for indicating the center of the photographing area, and an oval shape centering on the photographing area P, the face area border for guiding a preferable position of the user's face. (F) and an example of the eye position restriction area E for guiding a preferable position with respect to both eye parts of a user's face as a rectangular shape are shown.

이러한 각 영역들은 디스플레이부(40)에서 사용자에게 보여지지 않도록 가려질 수도 있으나, 적어도 일부(예를 들면, 얼굴 영역 테두리)는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Each of these areas may be hidden from the user in the display unit 40, but at least a portion (eg, a face area border) may be visually displayed for viewing by the user.

도 3에서는 얼굴 영역 테두리(F)를 타원 형태로 도시하고 있지만, 타원 형태 뿐만 아니라 직사각 형태 또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의 얼굴 영역 테두리(F)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FIG. 3, the face region edge F is illustrated in an ellipse shape, but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the face region edge F in a rectangular shape or other various forms as well as an ellipse shape.

일반적으로 얼굴 인식에 있어서는 가장 먼저 사용자 얼굴 중에서 양쪽 눈 부위를 검출하게 된다. 이는 얼굴 부위 중에서 눈 부위를 검출하는 것이 가장 간단하고 또한 정확한 위치를 특정할 수 있어, 사용자 얼굴을 검출하는 기준이 될 수 있 기 때문이다. In general, face recognition first detects both eyes of a user's face. This is because detecting the eye area among the face parts is the simplest and most precise location can be specified, which can be a reference for detecting the user's face.

이와 같이 양쪽 눈 부위가 검출되면, 검출된 눈 부위가 촬영 영역 내에 미리 설정된 눈 위치 제한 영역(E) 내에 위치하는 지를 판정하게 된다. 이때, 눈 위치 제한 영역(E)은 촬영 영역(P)에 설정된 얼굴 영역 테두리(F)의 중심으로부터 약간 위쪽에 설정된다. When both eye parts are detected in this mann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tected eye parts are located within the eye position limiting area E preset in the photographing area. At this time, the eye position restriction area E is set slightly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face area border F set in the photographing area P. FIG.

그리고 사용자 얼굴 중 양쪽 눈 부위가 눈 위치 제한 영역(E)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현재의 사용자 영상이, 사용자의 얼굴이 촬영 영역의 중앙에 근접하게 위치하게 됨으로써 이어지는 처리(예를 들면, 얼굴 인식 처리, 또는 눈 간격 검사 처리, 또는 얼굴 외곽선 검사 처리)에 대하여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는 적합 영상인 것으로 판정한다. When both eye parts of the user's face are located within the eye position limiting area E, the current user image is processed by the user's face being positioned near the center of the shooting area (for example, the face). It is determined that the image is a suitable image that can be suitably used for the recognition process, the eye gap inspection process, or the face outline inspection process).

한편, 사용자 얼굴 중 양쪽 눈 부위가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사용자에게, "화면의 중심으로 이동해주세요", "얼굴을 틀 안으로 넣어주세요" 등의 안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행한 후 다시 사용자 영상을 획득하여 분석한다.On the other hand, if both eyes of the user's face is not located within the eye position restriction area, the display unit 40, such as "Please move to the center of the screen," "Please put your face in the frame", etc. After the guidance is performed visually or acoustically, the user image is acquired and analyzed again.

한편, 디스플레이부(40)에는 촬영되는 영상이 좌우 반전되어 보여지게 되므로, 사용자는 거울과 동일하게 표시되는 자신의 영상을 보면서 얼굴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image to be photographed is shown inverted left and right on the display unit 40, the user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face while looking at his image displayed in the same way as the mirror.

도 4는, 사용자 얼굴 중 양쪽 눈 부위가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는, 도 3의 각종 영역 중에서 눈 위치 제한 영 역(E)만이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얼굴 중 양쪽 눈 부위가 눈 위치 제한 영역(E) 내에 올바르게 위치한 상태(적합 영상)를 보여준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both eye parts of the user's face are located within an eye position limit region. In FIG. 4, in the state where only the eye position restriction region 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0 of the various regions of FIG. 3, both eye portions of the user's face are correctly positioned within the eye position limitation region E. In FIG. Show (fit image).

한편, 도 5는, 사용자 얼굴 중 양쪽 눈 부위가 눈 위치 제한 영역(E) 내에 위치할뿐만 아니라, 눈 위치 제한 영역(E)을 양분한 상태에서, 왼쪽 눈이 왼쪽 눈 위치 제한 영역(EL) 내에 위치하고, 오른쪽 눈이 오른쪽 눈 위치 제한 영역(ER) 내에 위치하는 상태를 보여준다. 이렇게 각각의 눈에 대하여 각각의 눈 위치 제한 영역을 적용하게 되면, 얼굴 인식에 더욱 적합한 사용자 얼굴을 촬영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Fig. 5, not only both eye parts of the user's face are located in the eye position limiting area E, but also the eye position limiting area E is bisected, the left eye is left eye position limiting area EL. Located inside, and the right eye is located within the right eye position restriction area ER. When the respective eye position restriction region is applied to each eye as described above, an image of a user face more suitable for face recognition can be obtained.

더욱, 도 5에서는 사용자 얼굴에서 검출된 양쪽 눈 사이의 거리(D)를 측정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In addition, FIG. 5 illustrates a process of measuring the distance D between both eyes detected from the user's face.

이와 같이 양쪽 눈 사이의 거리(D)가 측정되면, 측정된 거리(D)가 소정의 기준 범위 내에 해당하는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거리(D)가 기준 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얼굴 인식과 같은 이어지는 처리가 실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distance D between both eyes is measured in this wa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easured distance D falls within a predetermined reference range. Subsequently, subsequent processing such as face recognition can be executed only when the distance D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만약, 거리(D)가 기준 범위에 미달하거나 초과하게 되면, 사용자가 카메라(22)에 대하여 너무 가깝게 접근하거나 너무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로 간주하고, "조금 더 가까이 다가오세요", "조금 더 멀리 물러서세요" 등의 안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If the distance D falls below or exceeds the reference range, it is considered that the user is too close to the camera 22 or is too far away, and “get a little closer”, “a little further away” Etc. "can be performed visually or audibly.

이와 같은 거리(D)의 측정 절차는, 도 4와 같이 눈 위치 제한 영역(E)에 양쪽 눈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된 이후에 행해질 수도 있고, 도 5와 같이 각각의 눈 위치 제한 영역(EL, ER)에 각각의 눈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된 이후에 행해질 수 도 있다. Such a measurement procedure of the distance D may be performed after it is determined that both eyes are located in the eye position limitation area E as shown in FIG. 4, and each eye position limitation area EL, as shown in FIG. 5. ER), after each eye is determined to be located.

물론, 각 눈 위치 제한 영역(E, EL, ER)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어느 하나의 눈이 위치하는 경우, 또는 어느 하나의 눈도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행해질 수 있으며, 눈 위치 제한 영역(E, EL, ER)을 이용한 판정과는 독립적으로 단지 거리(D)만을 측정함으로써 적합 영상의 판정을 행할 수도 있다. Of course, it can be done when any one eye is located in any one of each eye position limiting area (E, EL, ER), or even when no one eye is located, the eye position limiting area (E) Independent of the determination using EL, ER, the determination of a suitable image may be performed by measuring only the distance D. FI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양쪽 눈부위가 내부에 위치하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눈 위치 제한 영역(E)과 각각의 눈 부위에 대한 왼쪽 눈 위치 제한 영역(EL) 및 오른쪽 눈 위치 제한 영역(ER)의 가로 및/또는 세로 크기는 임의로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왼쪽 눈 위치 제한 영역(EL) 및 오른쪽 눈 위치 제한 영역(ER)의 크기를 독립적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왼쪽 눈 위치 제한 영역(EL) 및 오른쪽 눈 위치 제한 영역(ER) 사이의 거리를 임의로 설정 및 변경 가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e face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ye position limiting area E for determining whether both eye parts are located inside, the left eye position limiting area EL for each eye part, and Preferably, the horizontal and / or vertical size of the right eye position restriction area ER can be set arbitrarily. Further, it is also possible to independently set the sizes of the left eye position limiting area EL and the right eye position limiting area 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eye position limiting area EL and the right eye position limiting area ER. It is also possible to set and change arbitrarily.

이와 같이 영역을 조절함에 있어서, 각 눈 위치 제한 영역(E, EL, ER)의 크기를 작게 설정하게 된다면 사용자는 자신의 눈부위를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해서 다소 불편함을 느끼게 되지만, 획득되는 얼굴 인식용 사용자 영상은 바람직한 크기 및 해상도를 갖는 적합 영상이 될 가능성이 커지게 되고, 더욱 정확한 얼굴 특징점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보안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In adjusting the area as described above, if the size of each eye position limiting area (E, EL, ER) is set small, the user may feel somewhat uncomfortable to accurately position his / her eyes, but for face recognition acquired The user image is more likely to be a suitable image having a desired size and resolution, and more accurate facial feature point information can be obtained, thereby improving security.

반대로, 각 눈 위치 제한 영역(E, EL, ER)의 크기를 크게 설정한다면, 사용자는 눈 부위를 해당 영역에 위치시키는 것이 용이하여 편의성은 향상되지만, 사용 자 얼굴에서 특징점 정보를 정확하고 명확하게 검출할 수 없을 가능성이 높아져서 보안성이 저하한다는 단점을 갖게 된다. On the contrary, if the size of each eye position limiting area (E, EL, ER) is set large, the user can easily position the eye area in the corresponding area, which improves convenience, but accurately and clearly displays the feature point information on the user's fac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security is lowered due to the high possibility of not being detected.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시스템에서는, 눈 위치 제한 영역(E)(또는, 양쪽 눈 위치 제한 영역(EL, ER))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양쪽 눈 부위 사이의 거리(D)에 대한 기준 범위를 임의로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face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D between both eye parts of the user located in the eye position limiting area E (or both eye position limiting areas EL and ER) is shown.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arbitrarily set and change the reference range for.

즉, 거리(D)에 대한 기준 범위를 크게 설정한다면, 사용자는 얼굴을 카메라(22)에 더욱 가까이 접근시켜야 할 것이기 때문에 얼굴 인식에 대한 불편함은 커지지만, 획득되는 얼굴 인식용 사용자 영상은 각 얼굴 부위의 특징점을 명확하게 검출할 수 있어 얼굴 인식이 더욱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반대로, 기준 범위를 작게 설정하면, 사용자가 카메라(22)에서 멀리 이격된 위치에서도 얼굴 인식용 사용자 영상이 획득될 수 있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은 향상하지만, 사용자 얼굴이 작게 촬영되기 때문에 얼굴의 각 부위에 대한 특징점이 정확하게 검출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져서 얼굴 인식의 실패 확률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That is, if the reference range for the distance D is set to be large, the user will have to bring the face closer to the camera 22, thereby increasing the inconvenience of face recognition. Feature points of the face region can be clearly detected so that face recognition can be made more accurately. On the contrary, if the reference range is set small, the user image for face recognition can be obtained even at a position far away from the camera 22,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but since the user's face is taken small,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probability of face recognition failure increases because the likelihood that the feature points are not detected accurately increases.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눈 위치 제한 영역(E, EL, ER) 및 양쪽 눈 사이의 거리(D)를 이용함으로써, 얼굴 인식에 적용할 수 있는 적당한 크기 및 화면의 중심에 근접한 사용자 얼굴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되며, 이에 의해 정확하지 않게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얼굴 인식을 실시하게 됨으로써 발생하는 오인식에 의한 인 증 실패의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by using various eye position limiting areas (E, EL, ER) and the distance D between both eyes, a user's face image close to the center of the screen and a suitable size applicable to face recognition can be obtain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authentication failure due to misrecognition caused by face recognition using an incorrectly photographed image.

다음은, 도 6을 참조하여, 적합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또다른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얼굴 영역 테두리(F)와 유사한 기능의 얼굴 영역 최소 제한 테두리(F1)과 얼굴 영역 최대 제한 테두리(F2)로 이루어지는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범위를 설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Next, another method for obtaining a suitable imag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FIG. 6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range of the face outline restriction area including a face area minimum restriction border F1 and a face area maximum restriction border F2 having a function similar to that of the face area border F shown in FIG. 3 is set.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범위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얼굴 인식 처리부(30)에서는 사용자 영상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검출하고, 검출된 얼굴로부터 외곽선을 검출하여야 한다. 즉, 사용자 얼굴 부위 중 양쪽 눈을 검출하고, 검출된 양쪽 눈을 기준으로 하여 각 얼굴 부위(예를 들면, 눈썹, 코, 입, 귀, 턱, 볼 등)를 검출하고, 검출된 얼굴 부위를 이용하여 얼굴의 외곽을 이루는 선 형태를 얼굴 외곽선으로서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검출된 얼굴 외곽선이 적어도 얼굴 영역 최소 제한 테두리(F1)와 얼굴 영역 최대 제한 테두리(F2) 사이의 범위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검사한다. In order to apply the range of the face outline restriction area, first, the face recognition processor 30 should detect the user's face in the user image and detect the outline from the detected face. That is, both eyes of the user's face area are detected, and each face area (for example, eyebrow, nose, mouth, ear, chin, cheek, etc.) is detected based on both detected eyes, and the detected face area is detected. The shape of the line forming the outline of the face is detected as the face outline. Then, it is checked whether the detected face outline is located at least in the range between the face area minimum limiting border F1 and the face area maximum limiting border F2.

이때, 얼굴 외곽선이 얼굴 영역 최소 제한 테두리(F1)와 얼굴 영역 최대 제한 테두리(F2)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이어지는 처리(예를 들면, 얼굴 인식)를 실시하도록 하고, 얼굴 외곽선이 얼굴 영역 최소 제한 테두리(F1)의 안쪽 영역에 위치하거나 얼굴 영역 최대 제한 테두리(F2)의 바깥쪽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카메라(22)에 가까이 다가서거나 멀리 물러나도록 하는 안내를 실시하도록 한다. At this time, when the face outline is located between the face area minimum limit border F1 and the face area maximum limit border F2, subsequent processing (for example, face recognition) is performed, and the face outline is limited to the face area minimum limit. When locat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border (F1) or in the outer region of the face area maximum limiting border (F2) to guide the user to get closer to the camera 22 or to move away.

한편, 검출된 얼굴 외곽선이 얼굴 영역 최소 제한 테두리(F1)와 얼굴 영역 최대 제한 테두리(F2) 사이의 범위에 위치하고 있는지에 대한 검사는, 얼굴 인식 처리부()에서 사용자 얼굴의 외곽선을 이루는 선 형태 중 미리 설정된 분량 이상의 선 형태가 상기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a check as to whether the detected face outline is located in the range between the face area minimum limiting border F1 and the face area maximum limiting border F2 is one of the line shapes forming the outline of the user's face in the face recognition processing unit. It is made in such a way a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line shape of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is within the range.

더욱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얼굴 외곽선의 선 형태 중 70% 이상이 얼굴 영역 최소 제한 테두리(F1)의 바깥쪽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선 형태 중 70% 이상이 얼굴 영역 최대 제한 테두리(F2)의 안쪽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를, 상기 얼굴 외곽선이 상기 얼굴 영역 최소 제한 테두리(F1)와 얼굴 영역 최대 제한 테두리(F2) 사이의 범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at least 70% of the line shape of the face outline is located outside the face area minimum limiting border F1 and at least 70% of the line shape is of the face area maximum limiting frame F2. In the case where it is determined to be located in the inner region,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face outline is located in a range between the face region minimum limiting border F1 and the face area maximum limiting border F2.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얼굴 영역 최소 제한 테두리(F1) 또는 얼굴 영역 최대 제한 테두리(F2) 중 어느 하나의 테두리만을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하게 되면, 사용자는 주어진 하나의 테두리에 자신의 얼굴을 대략적으로 일치시킴으로써 적합 영상을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In such a configuration, when only one of the face area minimum limiting border F1 or the face area maximum limiting border F2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0, the user may roughly display his or her face at a given edge. By matching, it is possible to obtain a suitable image.

실제로, 디스플레이부(40)에 얼굴 영역 최소 제한 테두리(F1)와 얼굴 영역 최대 제한 테두리(F2)가 모두 표시되고, 사용자가 그 범위 내에 자신의 얼굴의 외곽선을 위치시키고자 한다면, 이는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얼굴 영역 최대 제한 테두리(F2) 만을 표시하거나, 얼굴 영역 최소 제한 테두리(F1)와 얼굴 영역 최대 제한 테두리(F2) 사이의 중간 영역을 나타내는 테두리(도시하지 않음)만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fact, if both the face area minimum limit border F1 and the face area maximum limit border F2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0, and the user wants to place the outline of his face within the range, this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Will resul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display only the face area maximum limiting border F2 or to display only a border (not shown) indicating an intermediate region between the face area minimum limiting border F1 and the face area maximum limiting border F2.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범위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얼굴이 최적의 크기로 촬영된 적합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such a range of the facial outer limit reg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suitable image in which the user's face is photographed at an optimal size.

더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시스템은, 얼굴 인식을 시도하려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인체 접근 감지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인체 접근 감지부는 예를 들면, 발광 소자/수광 소자의 쌍으로 구성하여 인체에 의해 반사되는 광을 검출하여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거나, 적외선 감지 센서와 같이 인체에서 발산하는 에너지를 감지하여 인체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cial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uman body approach detecting unit (not shown) for detecting a user's approach to face recognition. For example, the human body approach detection unit is configured as a pair of light emitting elements / light receiving elements to detect the light reflected by the human body to detect the approach of the human body, or to detect the energy emitted from the human body such as an infrared detection sensor to approach the human body. Can be detected.

이와 같이 인체 접근 감지부를 적용한 얼굴 인식 시스템은, 평소(얼굴 인식을 시도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접근이 없는 경우)에는 슬립 모드로 유지하여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는 상태로 유지되고, 인체 접근 감지부에서 얼굴 인식을 시도하려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 경우에 웨이크업하여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고 이어지는 얼굴 인식 절차를 수행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face recognition system using the human body approach detecting unit is kept in a sleep mode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in the usual state (when there is no user's approach to face recognition), and the face is detected by the human body approach detecting unit. When the user's approach to the recognition is detected, the user wakes up to generate a user's image and performs a subsequent face recognition procedur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얼굴 인식 시스템에서 전력 소모량이 큰 카메라(22)와 같은 구성 요소의 작동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인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perating time of components such as the camera 22 with a large power consumption in the face recognition system, thereby minimizing the overall power consumption.

다음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시스템에 의한 얼굴 인식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Next, an example of a face recognition method by the face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먼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데이터베이스부(10)에 등록 영상을 저장하는 절차에 대해서 설명한다. 등록 영상은 운영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인증된 사 용자의 얼굴을 카메라(22)의 촬영 영역 내에 정확하게 위치시킨 후, 운영자가 직접 촬영을 지시하는 명령을 발송하게 되고, 촬영 지시에 의해 사용자의 얼굴에 대한 정지 화상을 촬영하여 획득함으로써 등록 영상을 생성한다. 생성된 등록 영상은 인증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나 등록 영상의 생성 일자와 같은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부(10)에 저장된다. 더욱, 등록 영상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구성하는 각 부위의 특징점에 대한 특징점 정보도 동시에 저장될 수 있다. First, although not shown, a procedure of storing a registered image in the database unit 10 will be described. The registered image may be made by an operator. After accurately positioning the authenticated user's face in the photographing area of the camera 22, the operator sends a command to instruct the user to directly photograph the user's face. Generates a registered image by shooting and obtaining a still image for the image. The generated registered image is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0 together with information such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uthenticated user or creation date of the registered image. In addition, the feature point information on the feature points of each part constituting the user's face in the registered image may be stored at the same time.

또한, 이와 같이 저장된 등록 영상(및/또는 특징점 정보)은, 한 사용자에 대하여 하나만 등록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등록 영상이 등록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이미 저장된 등록 영상이, 새로운 등록 영상으로 자동으로 갱신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에 또는 인증된 사용자(또는 운영자)의 요청에 의해 이미 저장되어 있는 등록 영상을 최신의 등록 영상으로 갱신하도록 함으로써, 인증된 사용자의 얼굴 변화(예를 들면, 노화, 질병 또는 성형 등에 의한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only one registered image (and / or feature point information) stored in this manner may be registered for one user, and a plurality of registered images may be registered. In addition, in some cases, it is also possible to automatically update the registered video stored with the new registered video. That is,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or at the request of an authenticated user (or operator), the registered image which has already been stored is updated to the latest registered image, thereby changing the face of the authenticated user (eg, aging, illness or Change due to molding, etc.).

이어서, 도 7의 얼굴 인식 방법을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시스템은 평소에는 슬립 모드를 유지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얼굴 인식을 시도하기 위하여 얼굴 인식 시스템에 접근하게 되면, 인체 접근 감지부(주기적으로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며, 슬립 모드에서도 계속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됨)에서 얼굴 인식 시스템을 웨이크업시키고, 웨이크업된 얼굴 인식 시스템이 촬영부(20)를 통해 접근한 사용자를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생성 한 사용자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하여 준다(S12). Next, referring to the face recognition method of FIG. 7, the face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power consumption by maintaining a sleep mode. In this state,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facial recognition system in order to attempt to recognize the face, the human body access detection unit (which is configured to detect the human body's approach periodically and continue to operate in the sleep mode) wakes up the facial recognition system. In operation S12, the wake-up face recognition system displays a user image generated by continuously photographing a user approach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20 in real time (S12).

사용자 영상이 촬영되어 생성되면, 얼굴 인식 시스템의 얼굴 인식 처리부(30)는 사용자의 얼굴 부분을 검출하고, 검출된 사용자 얼굴에서 특정의 얼굴 부위(예를 들면, 양쪽 눈)를 검출한다(S14). When the user image is captured and generated, the face recognition processing unit 30 of the face recognition system detects a face part of the user, and detects a specific face part (for example, both eyes) from the detected user face (S14). .

이렇게 양쪽 눈 부위가 검출되면, 검출된 눈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눈 위치 제한 영역의 내부인지를 판정한다(S16, S17). 그리고 눈 부위가 눈 위치 제한 영역(E)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이어지는 절차(S18)로 진행하고, 눈 부위가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얼굴 위치를 이동할 것을 안내한다(S26).When both eye parts are detected in this wa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tected eye position is inside the preset eye position limit area (S16, S17).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ye part is located inside the eye position limiting area 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8, and if the eye part is not within the eye position limiting area, the user is guided to move the face position (S26). ).

한편, 눈 부위가 눈 위치 제한 영역(E) 내부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이어서 사용자 얼굴의 외곽선을 검출하게 된다(S18).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ye part is inside the eye position restriction area E, the outline of the user's face is subsequently detected (S18).

사용자 얼굴의 외곽선이 검출되면, 검출된 외곽선이 미리 설정된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정하게 된다(S20, S21). 이때의 판정은, 사용자 얼굴 외곽선의 전체 부분 중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외곽선의 비율을 산출하여 기준 비율과 비교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얼굴 외곽선의 70%가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사용자 얼굴로부터 검출된 얼굴의 외곽선이 '얼굴 외곽 제한 범위 내에 존재하고 있음'으로 판정할 수 있다. When the outline of the user's face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tected outline is located within the preset face outline restriction area (S20, S21). In this case, the determination may be performed by calculating a ratio of the outline existing in the face limitation region among the entire portions of the user's face outline and comparing it with the reference ratio. For example, when 70% of the user's face outline exists within the face outline restriction area,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outline of the face detected from the user's face is within the face outline restriction range.

한편, 이와 같은 판정에 의해, 사용자 얼굴 외곽이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현재의 사용자 영상을 얼굴 인식용 사용자 영상으 로 설정하고 이어서 얼굴 인식용 사용자 영상에 포함된 사용자의 얼굴을 이용하여 얼굴 인식을 실시하게 된다(S22). 반대로, 사용자 얼굴 외곽이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면 단계(S26)로 진행하여 사용자에게 안내를 실시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by this determination that the outside of the user's face is located inside the face outside limitation area, the current user image is set as the face recognition user image and then the user's face included in the face recognition user image. The face recognition is performed by using S22. On the contrar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side of the user's face does not exist in the face outside restriction area,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6 to guide the user.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각각의 눈 위치 제한 영역(E, EL, ER), 얼굴 영역 테두리(F), 얼굴 영역 최소 제한 테두리(F1), 및 얼굴 영역 최대 제한 테두리(F2)는, 사용자 또는 운영자의 설정에 의해 표시 여부, 테두리 선의 모양이나 색깔과 같은 표시 방식 등이 임의로 설정되어 디스플레이부(40)에 촬영되어 생성된 사용자 영상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ach eye position limiting area (E, EL, ER), face area border (F), face area minimum limiting border (F1), and face area maximum limiting border (F2) The display method may be arbitrarily set by a user or an operator, and a display method such as a shape or color of a border lin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40 and displayed together with the generated user image.

하지만, 이와 달리 각종 테두리를 디스플레이부(40)의 표면 상에 직접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디스플레이부(40)의 패널 표면에 형광 물질과 같이 자체적으로 색깔을 띠는 물질을 이용하여 테두리 선을 그려넣는 등의 방식의 적용도 가능하다. However,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various borders directly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unit 40. That is,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method such as drawing a border line using a material having a color of itself such as a fluorescent material on the panel surface of the display unit 40.

이와 같이 테두리 선을 직접 형성하면, 디스플레이부(40)에 각 영역의 테두리 선을 표시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적인 처리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더욱 고속의 얼굴 인식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If the border line is directly formed in this manner, a software processing process for displaying the border line of each area on the display unit 40 can be omitted, thereby enabling a faster face recognition process.

상술한 바와 같은 얼굴 인식 방법에서는 눈 위치 제한 영역 및 얼굴 외곽 제한 영역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눈 위치 제한 영역만을 이용하거 나 얼굴 외곽 제한 영역만을 이용하는 또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Although the above-described face recognition method has been described as simultaneously using the eye position limiting region and the face outer limiting region, another embodiment using only the eye position limiting region or only the face outer limiting region is possibl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 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시스템에 의해 촬영되는 사용자 영상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 image photographed by a face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ace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눈 위치 제한 영역 및 얼굴 영역 테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ye position limiting region and a face region border in a face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사용자 얼굴 중 양쪽 눈 부위가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both eye parts of the user's face are located within an eye position limit region.

도 5는, 사용자 얼굴 중 왼쪽 눈이 왼쪽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고, 오른쪽 눈이 오른쪽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eft eye is located within a left eye position restriction area and a right eye is located in a right eye position restriction area of the user's face.

도 6은,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범위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ange of the face outside restriction area.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ace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8)

하나 또는 복수의 얼굴을 등록 얼굴로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A database unit for storing one or a plurality of faces as registered faces; 얼굴 인식을 시도하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는 촬영부;A photographing unit which photographs a user who attempts to recognize a face and generates a user image; 상기 생성된 사용자 영상에서 검출한 사용자 얼굴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등록 얼굴과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얼굴 인식 처리부; 를 포함하고, A face recognition processor configured to perform face recognition by determining whether a user face detected in the generated user image matches the registered face stored in the database unit; Including, 상기 얼굴 인식 처리부는, 상기 검출한 사용자 얼굴 중 소정의 얼굴 부위가 미리 설정된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 영상을 이용하여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시스템.And wherein the face recognition processing unit performs face recognition using the user image only when a predetermined face part of the detected user face is located within a preset restriction are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visually displaying the user image,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한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시스템.And the display unit visually displays at least a portion of the restricted area.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면에 인쇄 또는 각인에 의해 상기 제한 영역의 일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시스템.And displaying part of the restricted area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by printing or engraving.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 영상을 좌우 반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시스템.And the display unit inverts and displays the user image.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상기 소정의 얼굴 부위는 양쪽 눈 부위이고, The predetermined face part is both eye parts, 상기 양쪽 눈 부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미리 설정된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만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시스템.And face recognition only when the both eye parts are positioned within the eye position limiting region preset in the display unit. 제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양쪽 눈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제한 거리 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시스템.And face recognition only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eyes is within a predetermined limit distance rang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눈 위치 제한 영역은 좌우 분할되어 독립적으로 설정되고, The eye position limiting area is divided left and right and set independently. 상기 사용자 얼굴 중 왼쪽 눈은 왼쪽의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고, 오른쪽 눈은 오른쪽의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만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시스템.The face recognition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left eye of the user's face is located within the left eye position limiting area and the right eye is located within the right eye position limiting area.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왼쪽의 눈 위치 제한 영역 또는 상기 오른쪽의 눈 위치 제한 영역의 크기는 임의로 설정 및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시스템.And a size of the left eye position limiting region or the right eye position limiting region can be arbitrarily set and changed.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왼쪽의 눈 위치 제한 영역과 상기 오른쪽의 눈 위치 제한 영역 사이의 거리는 임의로 설정 및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시스템.And a distance between the left eye position limiting region and the right eye position limiting region can be arbitrarily set and changed.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상기 소정의 얼굴 부위는 상기 사용자 얼굴로부터 검출된 얼굴 외곽선이고, The predetermined face part is a face outline detected from the user face, 상기 얼굴 외곽선을 구성하는 선 형태 중 적어도 일부가 미리 설정된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만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시스템.And face recognition only when at least a part of the line shapes constituting the face outline are located within a preset face outline restriction area.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얼굴 외곽 제한 영역의 크기 또는 형태는 임의로 설정 및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시스템.And a size or shape of the face outer limit region may be arbitrarily set and changed. 제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얼굴 외곽 제한 영역은, 얼굴 영역 최소 제한 테두리 및 얼굴 영역 최 대 제한 테두리를 경계로 하여 이루어지며, The face outer limit region is formed based on a face region minimum limit border and a face area maximum limit border. 상기 얼굴 영역 최소 제한 테두리 및 상기 얼굴 영역 최대 제한 테두리의 크기 또는 형태는 임의로 설정 및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시스템.The size or shape of the face area minimum limit border and the face area maximum limit border may be arbitrarily set and changed.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상기 소정의 얼굴 부위는 양쪽 눈 부위 및 상기 사용자 얼굴에 대한 얼굴 외곽선이고, The predetermined face area is a face outline with respect to both eyes and the user's face, 상기 양쪽 눈 부위가 미리 설정된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고, 동시에 상기 얼굴 외곽선을 구성하는 선 형태 중 적어도 일부가 미리 설정된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만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시스템.Face recognition is performed only when both eye parts are located within a preset eye position limiting area, and at least a part of a line shape constituting the face outline is located within a preset face outer limiting area. system.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눈 위치 제한 영역 또는 상기 얼굴 외곽 제한 영역의 크기 또는 형태는 임의로 설정 및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시스템.And a size or a shape of the eye position limiting region or the face outer limiting region can be arbitrarily set and changed.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카메라부의 전방에 대한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인체 접근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Further comprising a human body approach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approach of the human body to the front of the camera unit, 상기 인체 접근 감지부에서 얼굴 인식을 시도하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 경우에는 웨이크업 모드로 유지하여 얼굴 인식을 실시하고,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슬립 모드로 유지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시스템.When the human body approach detection unit detects the approach of the user attempting to recognize the face to maintain a wake-up mode to perform a face recognition, when the user is not detected by maintaining a sleep mode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Face recognition system. 얼굴 인식을 시도하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Photographing a user attempting to recognize a face to generate a user image; 상기 생성된 사용자 영상에서 사용자의 양쪽 눈 부위를 검출하는 단계;Detecting both eye parts of the user from the generated user image; 상기 검출된 양쪽 눈 부위가 미리 설정된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the detected both eye parts are located within a preset eye position limit area; 상기 양쪽 눈 부위가 상기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영상으로부터 검출한 사용자 얼굴과 미리 등록된 등록 얼굴과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얼굴 인식을 실시하고, 상기 양쪽 눈 부위가 상기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얼굴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유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얼굴 인식 방법.When both eye parts are located within the eye position limiting area, face recognition is performed by determining whether a user face detected from the user image matches a registered face registered in advance, and the eye parts are located in the eye position. If not located within the restricted area, instructing the user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face; Face recognition method comprising a. 제1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양쪽 눈 부위가 상기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더욱,If both eye parts are located within the eye position limiting area, 상기 사용자 얼굴로부터 검출한 얼굴 외곽선을 구성하는 선 형태 중 적어도 일부가 미리 설정된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방법.And face recognition when at least a part of the line shapes constituting the face outline detected from the user's face are located within a preset face outline restriction area. 얼굴 인식을 시도하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Photographing a user attempting to recognize a face to generate a user image; 상기 생성된 사용자 영상에서 사용자의 얼굴 외곽을 이루는 선 형태를 검출하는 단계;Detecting a shape of a line forming an outline of a user's face in the generated user image; 상기 검출된 선 형태 중 적어도 일부가 미리 설정된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at least a part of the detected line shape is located within a preset face outer limit area; 상기 선 형태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영상으로부터 검출한 사용자 얼굴과 미리 등록된 등록 얼굴과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얼굴 인식을 실시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얼굴 인식을 실시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얼굴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유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얼굴 인식 방법.If at least a portion of the line shape is located within the face outside restriction area, face recognition is performed by determining whether a user face detected from the user image matches a registered face registered in advance, otherwise face recognition is performed. Inducing the user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face without performing; Face recognition method comprising a.
KR1020090063521A 2009-07-13 2009-07-13 System and method for face recognition KR2011000606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521A KR20110006062A (en) 2009-07-13 2009-07-13 System and method for face recogn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521A KR20110006062A (en) 2009-07-13 2009-07-13 System and method for face recogn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062A true KR20110006062A (en) 2011-01-20

Family

ID=43612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521A KR20110006062A (en) 2009-07-13 2009-07-13 System and method for face recogn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6062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483B1 (en) * 2011-06-17 2013-06-05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Smart digital signage using customer recognition technologies
KR101336618B1 (en) * 2011-10-19 2013-12-12 김윤혁 Advertisement exposure counting system and the method using face recognition
KR20210058266A (en) * 2019-11-14 2021-05-24 김재영 Worker's access management apparatus for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
KR20210107452A (en) * 2020-02-24 2021-09-01 씨엠아이텍주식회사 Face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for Activating Attendance Menu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483B1 (en) * 2011-06-17 2013-06-05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Smart digital signage using customer recognition technologies
KR101336618B1 (en) * 2011-10-19 2013-12-12 김윤혁 Advertisement exposure counting system and the method using face recognition
KR20210058266A (en) * 2019-11-14 2021-05-24 김재영 Worker's access management apparatus for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
KR20210107452A (en) * 2020-02-24 2021-09-01 씨엠아이텍주식회사 Face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for Activating Attendance Menu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590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focus position in iris recognition system
US9607138B1 (en) User authentication and verification through video analysis
US8831295B2 (en)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apply facial recognition based upon reflected infrared illumination and related methods
JP3562970B2 (en) Biological identification device
US6690814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5172514A1 (en) Image acquisition device and method
EP2680192A2 (en) Facial recognition
EP2680191A2 (en) Facial recognition
KR20120057033A (en) Gaze track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et protocol tv at a distance
CN110114777B (en) Identification, authentication and/or guidance of a user using gaze information
JPH04216402A (en) Detecting apparatus of position of eye
KR2012013910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ty management using face recognition
US20170186170A1 (en) Facial contour recognition for identification
JP2003150942A (en) Eye position tracing method
KR1021601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Fake Face By Using Minutia Data Variation
US11709919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active identity verification based on gaze path analysis
KR20190130448A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ming biometric authentic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07319175A (en) Photographing device and authent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US7522824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photograph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110006062A (en) System and method for face recognition
KR101961266B1 (en) Gaze Track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4046451A (en) Eye image, imaging apparatus and individual authentication device
JP2004038531A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position of object
JP2006318374A (en) Glasses determination device, authentication device, and glasses determination method
JP722330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