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106A - 메모리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메모리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106A
KR20110005106A KR1020090062636A KR20090062636A KR20110005106A KR 20110005106 A KR20110005106 A KR 20110005106A KR 1020090062636 A KR1020090062636 A KR 1020090062636A KR 20090062636 A KR20090062636 A KR 20090062636A KR 20110005106 A KR20110005106 A KR 20110005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alibration
dqs signal
margin
automatic cal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2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5106A/ko
Priority to US12/779,626 priority patent/US20110007085A1/en
Publication of KR20110005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1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06F11/328Computer systems status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 G11C29/028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with adaption or trimming of parame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93Calibration of display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2Frame memory handling
    • G09G2360/128Frame memory using a Synchronous Dynamic RAM [SDRA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메모리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메모리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메모리의 레지스터 세팅값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자동 캘리브레이션 아이템을 표시하고, 자동 캘리브레이션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감지되면, 메모리의 레지스터 세팅값을 자동으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환경에 적합하게 디스플레이 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캘리브레이션, OSD, 자동

Description

메모리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Method for memory calibration and display apparatus applying the same}
본 발명은 메모리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모리의 레지스터 세팅값을 캘리브레이션하기 위한 메모리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V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시스템의 구동, 비디오 처리 및 오디오 처리를 위해 메인 칩과 메모리 사이에 고속의 디지털 인터페이스가 존재한다. 그리고, 메모리의 동작을 최적화하기 위해 온도 및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과정을 거치게 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은 일반적으로 공장에서 제품 생산시 수행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특정 레지스터 세팅값이 결정된 상태로 생산되게 된다.
하지만,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되는 환경은 공장에서의 환경과 차이가 있으므로, 생산시에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의 사용환경에 적합하게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환 경에 적합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모리의 레지스터 세팅값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자동 캘리브레이션 아이템을 표시하고, 자동 캘리브레이션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감지되면, 메모리의 레지스터 세팅값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메모리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가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상기 메모리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상기 메모리의 레지스터 세팅값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자동 캘리브레이션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자동 캘리브레이션 명령의 입력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 캘리브레이션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메모리의 레지스터 세팅값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레지스터 세팅값은 DQS 신호의 타이밍 쉬프트값을 포함하고,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DQS 신호의 마진(margin)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마진을 이용하여 DQS 신호의 타이밍 쉬프트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진 산출단계는, 상기 DQS 신호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데이터를 읽고 쓰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읽고 써지는 상기 DQS 신호의 이동 범위를 마진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타이밍 쉬프트값 설정단계는, 상기 마진의 중간값을 타이밍 쉬 프트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는, DDR(Double Data Rate) 모드의 데이터 샘플링 방식을 사용하는 메모리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자동 캘리브레이션 아이템을 OSD 메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자동 캘리브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휘발성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메모리;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메모리를 휘발성 저장공간으로 이용하고, 상기 메모리의 레지스터 세팅값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자동 캘리브레이션 아이템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자동 캘리브레이션 명령의 입력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자동 캘리브레이션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메모리의 레지스터 세팅값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레지스터 세팅값은 DQS 신호의 타이밍 쉬프트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DQS 신호의 마진(margin)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마진을 이용하여 DQS 신호의 타이밍 쉬프트값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DQS 신호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읽고 쓴 후에, 상기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읽고 써지는 상기 DQS 신호의 이동 범위를 마진으로 산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진의 중간값을 타이밍 쉬프트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는, DDR(Double Data Rate) 모드의 데이터 샘플링 방식을 사용하는 메모리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캘리브레이션 아이템이 OSD 메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캘리브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 여부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모리의 레지스터 세팅값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자동 캘리브레이션 아이템을 표시하고, 자동 캘리브레이션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감지되면, 메모리의 레지스터 세팅값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메모리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는 사용환경에 적합하게 디스플레이 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사용환경, 프로그램 변동 및 칩의 산포에 의한 시스템 장애 발생시에도 사용자는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안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입력부(110), A/V 처리부(120), 음성 출력부(130), GUI 생성부(140), 디스플레이부(145), 저장부(150), 제어부(160), 사용자 조작부(170), 및 DDR 메모리(180)를 포함한다.
영상 입력부(110)는 다양한 형태의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영상 입력부(110)는 HDMI, 컴포넌트, 컴포지트, S-Video, 및 DVI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영상 입력부(110)는 방송 신호를 통해 영상을 입력받는 튜너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영상 입력부(110)는 CD, DVD, 또는 블루레이 등의 기록매체를 통해 영상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A/V 처리부(120)는 영상 입력부(110)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에 대해 비디오 디코딩, 비디오 스케일링, 오디오 디코딩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A/V 처리부(120)는 영상신호를 GUI 생성부(140)로 출력하고, 음성신호를 음성 출력부(130)로 출력한다. 그리고, 수신된 영상 및 음성신호를 저장부(150)에 저장하는 경우, A/V 처리부(120)는 영상과 음성을 압축된 형태로 저장부(150)에 저장하게 된다.
음성 출력부(130)는 A/V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음성을 스피커로 출력시키거나, 외부 스피커가 연결되는 오디오 출력 단자로 출력시킨다.
GUI 생성부(140)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생성한다. GUI 생성부(140)에서 생성된 GUI는 OSD(On Screen Display) 메뉴 형태로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GUI 생성부(140)는 DDR 메모리(180)의 레지스터 세팅값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자동 캘리브레이션 아이템을 생성한다. 그리고, GUI 생성부(140)는 자동 캘리브레이션 아이템이 포함된 OSD 메뉴를 생성하여 영상에 부가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45)는 A/V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5)는 GUI 생성부(140)에서 생성된 GUI가 OSD 형태로 포함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45)는 자동 캘리브레이션 아이템이 포함된 OSD 메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5)는 자동 캘리브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자동 캘리브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45)는 정상적으로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그 예에 대해서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자동 캘리브레이션이 비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45)는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그 예에 대해서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저장부(150)는 각종 세팅값들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들이 저장되어 있다. 저장부(150)는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의해 구현된다. 예를 들어, 저장부(150)는 플레쉬 메모리, 하드 디스크, CD ROM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조작부(170)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아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조작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자동 캘리브레이션 아이템의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다. 사용자 조작부(170)는 버튼, 터치스크린 및 리모콘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DDR 메모리(180)는 제어부(160)가 사용하기 위한 휘발성 저장공간을 제공한 다. DDR 메모리는 DDR(Double Data Rate) 모드의 데이터 샘플링 방식을 사용하는 메모리에 해당된다. DDR 모드는 외부 클럭신호의 상승 에지(rising edge)와 하강 에지(falling edge) 모두에서 데이터 입출력이 가능한 방식을 의미한다.
제어부(160)는 사용자 조작부(170)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조작 내용을 기초로 사용자 명령을 파악하고, 파악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DDR 메모리(180)를 휘발성 저장공간으로 이용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DDR 메모리(180)의 레지스터 세팅값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자동 캘리브레이션 아이템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45)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자동 캘리브레이션 아이템이 화면에 표시되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자동 캘리브레이션 아이템을 선택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자동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되는 환경 상에서 그에 적합한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160)는 자동 캘리브레이션 명령의 입력 여부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조작부(170)를 통해 자동 캘리브레이션 아이템의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60)는 자동 캘리브레이션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자동 캘리브레이션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감지되면, DDR 메모리(180)의 레지스터 세팅값을 자동으로 설정함으로써, 자동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DDR 메모리(180)의 레지스터 세팅값은 데이터를 읽거나 쓸 때 이 용되는 세팅값을 의미한다. 레지스터 세팅값은 DQS 신호의 타이밍 쉬프트값을 포함한다. DQS 신호의 타이밍 쉬프트값은 DQS 신호를 쉬프트 시키는 정도에 대한 세팅값을 의미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DQS 신호의 마진(margin)을 산출하고, 산출된 마진을 이용하여 DQS 신호의 타이밍 쉬프트값을 설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DQS 신호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데이터를 DDR 메모리(180)에 읽고 쓴 후에,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읽고 써지는 DQS 신호의 이동 범위를 마진으로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마진의 중간값을 타이밍 쉬프트값으로 설정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60)는 자동 캘리브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 여부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45)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자동 캘리브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45)는 정상적으로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그 예에 대해서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자동 캘리브레이션이 비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45)는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그 예에 대해서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동 캘리브레이션 아이템을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자동 캘리브레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게 OSD 메뉴를 제공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캘리브레이션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캘리브레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메모리 캘리브레이션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일단,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동 캘리브레이션 아이템을 OSD 메뉴에 표시한다(S210). 자동 캘리브레이션 아이템은 레지스터 세팅값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아이템이다. 이와 같이, 자동 캘리브레이션 아이템이 화면에 표시되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자동 캘리브레이션 아이템을 선택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자동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되는 환경 상에서 그에 적합한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 후에, 자동 캘리브레이션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220). 구체적으로, 사용자 조작부(170)를 통해 자동 캘리브레이션 아이템의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동 캘리브레이션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한다.
자동 캘리브레이션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감지되면(S220-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DQS 신호의 마진(margin)을 산출한다(S230).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된 마진을 이용하여 DQS 신호의 타이밍 쉬프트값을 설정하게 된다(S240). 즉, 레지스터 세팅값은 DQS 신호의 타이밍 쉬프트값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DDR 메모리(180)의 레지스터 세팅값은 데이터를 읽거나 쓸 때 이용되는 세팅값을 의미한다. DQS 신호의 타이밍 쉬프트값은 DQS 신호를 쉬프트 시키는 정도에 대 한 세팅값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DQS 신호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데이터를 DDR 메모리(180)에 읽고 쓴 후에,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읽고 써지는 DQS 신호의 이동 범위를 마진으로 산출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마진의 중간값을 타이밍 쉬프트값으로 설정하게 된다.
그 후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동 캘리브레이션 수행 결과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S250).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동 캘리브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자동 캘리브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정상적으로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그 예에 대해서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자동 캘리브레이션이 비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그 예에 대해서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동 캘리브레이션 아이템을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자동 캘리브레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게 OSD 메뉴를 제공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캘리브레이션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캘리브레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DDR 메모리(180)와 제어부(170) 사이에 송수신하는 신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DR 메모리(180)와 제어부(170) 사이에 송수신하는 신호의 종류를 도시한 도면이 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클럭신호(CLK)를 DDR 메모리(180)로 전송한다. 그리고, DDR 메모리(180)는 클럭신호에 대응되는 DQS 신호와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DQ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신호들을 이용하여, 제어부(170)는 DDR 메모리(180)로부터 데이터를 읽거나, DDR 메모리(180)에 데이터를 쓰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QS 신호 및 DQ 신호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DDR 메모리(180)는 DQS 신호의 상승 에지 및 하강 에지에서 DQ 신호의 데이터를 읽거나 쓰게 된다.
제1 DQS 신호(410)는 fast DQS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제2 DQS 신호(420)는 산포 등에 의한 slow DQS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제1 DQS 신호(410)에 의할 경우, DDR 메모리(180)는 A 시점의 DQ 신호를 읽거나 쓰게 된다. 그리고, 제2 DQS 신호(420)에 의할 경우, DDR 메모리(180)는 B 시점의 DQ 신호를 읽거나 쓰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DQS 신호(410)는 온도, 칩의 산포 등의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제2 DQS 신호(420)처럼 왜곡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캘리브레이션을 통해 DQS 신호의 왜곡을 보정하게 된다.
제어부(160)는 캘리브레이션 시에 DQS 신호를 좌우로 순차적으로 쉬프트 시키면서, 샘플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읽거나 쓰여지는지 여부를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샘플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읽거나 쓰여지는 영역을 마진(430)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마진(430)의 중간을 DQS 신호의 타이밍 쉬프 트 값으로 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어부(160)는 DQS 신호의 타이밍 쉬프트 값에 대해 자동으로 자동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자동 캘리브레이션에 관련된 OSD 메뉴 및 메시지 화면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캘리브레이션 아이템(500)이 OSD 메뉴에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OSD 메뉴에 자동 캘리브레이션 아이템(500)을 표시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OSD 메뉴를 통해 자동 캘리브레이션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캘리브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설정 완료된 경우 표시되는 메시지(6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자동 캘리브레이션을 정상적으로 수행한 경우, 이를 알리는 메시지(600)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캘리브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경우 표시되는 메시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자동 캘리브레이션을 정상적으로 수행하지 못한 경우, 자동 캘리브레이션의 실패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OSD 메뉴에 자동 캘리브레이션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장치이더라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 모니터, PMP, 휴대폰 등이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DR 메모리와 제어부 사이에 송수신하는 신호의 종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QS 신호 및 DQ 신호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캘리브레이션 아이템이 OSD 메뉴에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캘리브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설정 완료된 경우 표시되는 메시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캘리브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경우 표시되는 메시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4)

  1. 메모리가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상기 메모리 캘리브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의 레지스터 세팅값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자동 캘리브레이션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자동 캘리브레이션 명령의 입력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 캘리브레이션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메모리의 레지스터 세팅값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리 캘리브레이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 세팅값은 DQS 신호의 타이밍 쉬프트값을 포함하고,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DQS 신호의 마진(margin)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마진을 이용하여 DQS 신호의 타이밍 쉬프트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리 캘리브레이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진 산출단계는,
    상기 DQS 신호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데이터를 읽고 쓰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읽고 써지는 상기 DQS 신호의 이동 범위를 마진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캘리브레이션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쉬프트값 설정단계는,
    상기 마진의 중간값을 타이밍 쉬프트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캘리브레이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DDR(Double Data Rate) 모드의 데이터 샘플링 방식을 사용하는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캘리브레이션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자동 캘리브레이션 아이템을 OSD 메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메모리 캘리브레이션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캘리브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캘리브레이션 방법.
  8. 휘발성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메모리;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메모리를 휘발성 저장공간으로 이용하고, 상기 메모리의 레지스터 세팅값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자동 캘리브레이션 아이템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자동 캘리브레이션 명령의 입력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자동 캘리브레이션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메모리의 레지스터 세팅값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 세팅값은 DQS 신호의 타이밍 쉬프트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DQS 신호의 마진(margin)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마진을 이용하여 DQS 신호의 타이밍 쉬프트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DQS 신호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읽고 쓴 후에, 상기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읽고 써지는 상기 DQS 신호의 이동 범위를 마진으 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진의 중간값을 타이밍 쉬프트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DDR(Double Data Rate) 모드의 데이터 샘플링 방식을 사용하는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캘리브레이션 아이템이 OSD 메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캘리브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 여부가 화면에 표시되도 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0062636A 2009-07-09 2009-07-09 메모리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0510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636A KR20110005106A (ko) 2009-07-09 2009-07-09 메모리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2/779,626 US20110007085A1 (en) 2009-07-09 2010-05-13 Memory calibration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apply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636A KR20110005106A (ko) 2009-07-09 2009-07-09 메모리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106A true KR20110005106A (ko) 2011-01-17

Family

ID=43427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636A KR20110005106A (ko) 2009-07-09 2009-07-09 메모리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007085A1 (ko)
KR (1) KR201100051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08383B2 (en) 2022-05-13 2024-02-2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1582B1 (en) * 1999-11-24 2005-05-31 Quest Software, Inc.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the performance of an application
US6889334B1 (en) * 2001-10-02 2005-05-03 Advanced Micro Devices, Inc. Multimode system for calibrating a data strobe delay for a memory read operation
JP2010182149A (ja) * 2009-02-06 2010-08-19 Renesas Electronics Corp メモリ制御装置、及びメモリ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08383B2 (en) 2022-05-13 2024-02-2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07085A1 (en)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8210B2 (en) A/V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laying output of audio signal and A/V signal processing system
US9293075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022297A (ko)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디스플레이 시스템
US8730389B2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US20100232766A1 (en) Reproduction device, reproduc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WI503807B (zh) 運用於影像顯示的時序控制器及其控制方法
CN106803915B (zh) 一种edid分通路控制方法及装置
JP2009071587A (ja) 映像音声送信装置及び映像音声送信方法
US20160301981A1 (en) Smart television 3d setting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JP2007251821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12199643A (ja) 通信制御システム、及びシンク機器
KR20110005106A (ko) 메모리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837448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signal channels of DVR
US9697806B2 (en) Self-refresh control method, sink device thereof and display system thereof
KR2018002041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컨텐츠 디스플레이 방법
WO2014097656A1 (ja) 電子機器及び表示制御方法
US8724028B1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11582514B2 (en) Sour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1164985B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和记录介质
US20090172743A1 (en) Method for utilizing at least one signal-receiving module to record multimedia programs and system thereof
US20100271386A1 (en) Method for setting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6723095B2 (ja) 映像の解像度を変更する映像処理装置及び方法
KR20080015201A (ko) 데이터 로컬리제이션을 이용하여 초기화를 수행하는전자기기 및 그 방법
KR20100027304A (ko) 로고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080093235A (ko) Av 입력신호 판단기능을 구비한 영상재생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