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654A - 냉동절제 냉매 분배 카테터 - Google Patents

냉동절제 냉매 분배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654A
KR20110000654A KR1020107022700A KR20107022700A KR20110000654A KR 20110000654 A KR20110000654 A KR 20110000654A KR 1020107022700 A KR1020107022700 A KR 1020107022700A KR 20107022700 A KR20107022700 A KR 20107022700A KR 20110000654 A KR20110000654 A KR 20110000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dispersing member
chamber
distal end
ab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2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파엘 혼
Original Assignee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00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6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cooling, e.g. cryogenic techniqu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51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n inflatable part, e.g. balloon, for positioning, blocking, or immob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214Expandable means emitting energy, e.g. by elements carried thereon
    • A61B2018/0022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cooling, e.g. cryogenic techniques
    • A61B2018/02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cooling, e.g. cryogenic techniques using an instrument inserted into a body lumen, e.g. cath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cooling, e.g. cryogenic techniques
    • A61B2018/0231Characteristics of handpieces or probes
    • A61B2018/0262Characteristics of handpieces or probes using a circulating cryogenic fl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냉동절제 카테터를 통해 절제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여기에 기재된다. 폐정맥에서 또는 그 주위에서 균일한 절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원위 단부에서 냉동절제 챔버를 가지는 절제 카테터가 사용될 수 있다. 냉동챔버는 냉매 공급부와 유체 연통하는 분산 부재를 수용할 수 있고 냉동챔버의 내벽의 약간의 일부에 걸쳐 수용된 냉매를 균일하게 분산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냉동챔버 내에서 냉매의 균일한 분배의 결과로서, 환자의 목표 조직의 균일한 절제가 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동절제 냉매 분배 카테터{CRYO-ABLATION REFRIGERANT DISTRIBUTION CATHETER}
본 출원은, 여기서 참조로 인용하는 2008 년 3 월 13 일 출원된 가출원 일련번호 제 61/064,577 호 (발명의 명칭 "냉동절제 냉매 분배 카테터 (CRYO-ABLATION REFRIGERANT DISTRIBUTION CATHETER)") 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심방세동 (atrial fibrillation) 은, 미국에서만 250만명의 사람들에게 발병하는,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심장 부정맥증이다. 세동 (fibrillation) 시에, 심방 (atria) 으로 알려진 심장의 상부실은 일정한 리듬으로 박동하는 대신에 빠르게 떨린다. 빠른 떨림은 펌프로서 적절하게 기능하는 심장의 기능을 감소시킨다.
장애는, 혈전 색전증 (thrombo-embolic stroke), 확장성 심근병증 (dilated cardiomyopathy), 및 울혈성 심부전 (congestive heart failure) 을 포함하는 다수의 잠재적으로 죽음에 이르는 합병증을 얻는 위험을 통상적으로 증가시킨다. 심계항진증 (palpitation), 흉통 (chest pain), 호흡장애 (dyspnea), 피로, 및 어지럼증 (dizziness) 등의 심방 세동 (atrial fibrillation) 에 의해 삶의 질도 악화된다. 심방 세동이 있는 사람들은, 평균적으로, 정상 동성 리듬을 갖는 사람들에 비해 발병률이 5 배 증가하고 사망률이 2 배 증가한다.
심방 세동을 위한 치료는 약물 요법, 전기 충격 요법 (electrocardioversion), 및 외과적 또는 혈관내 절제술을 포함한다. 외과적 절제는 침습적 (invasive) 인 시술이며, 이에 의해 외과 의사는 환자의 심방의 내부에 미로 (maze) 형상 패턴의 절개를 형성한다. 그 결과물인 반흔 (scarring) 은 심방 세동을 유발하는 심장에서의 비정상적인 전기 통로를 차단시키는 작용을 한다. 외과적 절제는 약물 치료보다 훨씬 높은 성공율을 가지며, 약물 치료에 의해 나타나는 부작용의 가능성은 없다. 그러나, 매우 침습적인 시술 (예컨대, 개흉술 (open chest)) 이라 상당한 위험이 존재할 수 있다.
혈관 내 절제는 심장 조직에서 잘못된 전기 자극의 이동을 방해하는 반흔 조직을 유사하게 발생시킨다. 고주파 (radio frequency) 및 초고주파 (microwave) 가 이러한 절제를 위한 대표적인 에너지원이다. 또한, 냉동절제술 또한 검토되고 있다.
고주파, 초고주파, 및 냉동절제의 한가지 이점은 카테터를 통해 요법을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들 절제술은 덜 침습적인, 경정맥 (transveneous) 접근법을 이용한다. 이러한 시술, 구체적으로 냉동절제 시술을 실시하기 위해서, 냉동절제 카테터의 팁은 통상적으로 환자의 맥동 구조로 삽입되고 팁이 목표한 조직에 근접할 때까지 환자의 맥동 구조 내에서 진행된다. 다음으로, 통상적인 냉동카테터에서는, 카테터 팁에 또는 그 근처에 위치되는 팽창실 안으로 팽창하기 위해 카테터 안으로 냉매가 펌핑된다. 냉매의 팽창은 카테터 팁 및 목표 조직을 냉각시킨다. 냉동절제 카테터의 팁을 영하 온도로 냉각시킴으로써, 부정맥증을 전달하는 심장의 세포가 변해서 더 이상 전기 임펄스를 전도하지 않는다. 그러나, 몇몇 경우에, 냉매는 팽창실의 원하는 부위 내에서 고르게 분배되지 않는다. 이는 목표한 조직의 불균일하거나 고르지 않은 절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심방 세동을 위한 현재의 치료가 심장 심부전증을 치료하기 위한 심장의 세포를 냉동절제하기 위한 향상된 기술 및 장치로부터 유용할 수 있다.
조직 절제에 사용하기 위한 냉동절제 카테터가 여기에 기재되어 있다. 카테터는 기다란 공급 루멘, 또는 냉매 공급 유닛으로부터 냉동유체 또는 냉매를 이동시키기 위한 카테터 본체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냉매원은 공급 루멘의 근위 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냉동챔버, 또는 팽창 챔버는 상기 루멘의 원위 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절제 카테터는 또한 냉매 분산 부재도 포함한다. 공급 루멘의 원위 단부 근처에 위치된 분산 부재는 팽창 챔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공급 루멘의 원위 단부를 나가는 냉매를 팽창 챔버의 내부의 적어도 약간의 일부를 가로질러 균일하게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냉동유체의 균일한 분배는 절제 카테터 팁과 접촉하는 목표 조직의 일관성없는 냉각의 위험을 감소시킴으로써 적절한 절제 과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여기에 기재된 카테터는 심장의 폐정맥 근처 또는 그 안에서 절제를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목표 조직을 가로지르는 균일한 원주형 절제 밴드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여기에 기재된 장치는 심장의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일반적인 설명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 모두가 예시와 설명을 위한 것이고 청구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본 설명에 통합되어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되는 도면은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몇몇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은 여기에 기재된 냉동절제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2a 는 여기에 기재된 냉동절제 카테터의 일 실시형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2b 는 여기에 기재된 냉동절제 카테터의 일 실시형태의 전방 측단면도이다.
도 2c 는 여기에 기재된 냉동절제 카테터의 일 실시형태의 전방 단면도이다.
도 3a 는 여기에 기재된 냉동절제 카테터의 일 실시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3b 는 여기에 기재된 냉동절제 카터테의 일 실시형태의 측단면도이다.
더 4a 는 여기에 기재된 냉동절제 카테터의 일 실시형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4b 는 여기에 기재된 냉동절제 카테터의 일 실시형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5a 는 여기에 기재된 냉동절제 카테터의 일 실시형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5b 는 여기에 기재된 냉동절제 카테터의 일 실시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6a 는 여기에 기재된 냉동절제 카테터의 일 실시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6b 는 여기에 기재된 냉동절제 카테터의 일 실시형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7 은 여기에 기재된 냉동절제 카테터의 일 실시형태의 측단면도이다.
냉동절제 카테터 장치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여기에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장치는 작업자가 일정하고 및/또는 균일한 형식으로 절제를 위해 목표된 조직을 냉각시키도록 해준다. 폐정맥 (pulmonary veins) 에서 및 그 주위에서 절제가 시행될 다양한 시술의 일부로서, 원주형 밴드에서 조직을 균일하게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냉매가 냉동챔버 안으로 간단하게 방출되는 (released) 종래에 알려진 냉동절제 카테터는, 냉동챔버의 내부 벽의 원하는 부위에서 냉동유체의 불균일한 분배 또는 목표 조직의 불균일한 냉각을 야기할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추가적인 절제를 필요하게 만들고 시술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하에 기재되는 냉동절제 카테터는, 냉동챔버 내에 분산 부재 또는 분산체를 위치시킴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한다. 일 양태에서, 분산 부재는, 팽창 챔버의 원하는 영역에 걸친 냉동 유체의 균일한 분산 및/또는 목표 조직의 균일한 냉각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팽창 챔버의 내부 벽을 향해 냉동 유체를 보내는 역할을 한다. 이는 주변 조직의 신뢰성있고 일정한 절제를 야기할 수 있다.
여기에 기재된 절제 장치가 위들문상부 (epicardia) 절제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당업자들은 이하에 기재된 카테터 장치, 시스템, 및 이용 방법이 다양한 해부 구조체의 절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일 양태에서, 냉동절제 카테터는 심장 조직을 절제하기 위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다. 다른 양태에서, 카테터는 구체적으로 폐정맥 또는 주변 조직의 심문 (ostium) 에서의 절제를 위해 구성된다. 그러나, 여기에 기재된 방법 및 장치는 다른 비 심장 시술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되는 도면에 도시된다. 어디서든,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을 나타내기 위해 동일한 도면 부호가 도면 전체에 걸쳐 사용될 것이다.
도 1 은 절제 장치 (102) 및 냉동유체 또는 냉매 공급 유닛 (104) 을 포함하는 냉동유체로 조직을 절제하기 위한 냉동절제 시스템 (100) 의 대표적인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일 양태에서, 장치 (102) 는 각각의 근위 단부 (108) 와 원위 단부 (110) 사이에서 연장하는 기다란 카테터 본체 (106) 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논의될 바와 같이 냉동유체가 위치될 수 있는 팽창가능한 부재 (200) 가, 팽창가능한 부재 및 카테터 본체가 유체 연동하도록 기다란 카테터 본체 (106) 의 원위 단부 (108) 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카테터 본체 (106) 는 하나 이상의 채널을 가지는 가요성 또는 강성 본체에 의해 규정될 수 있고, 상기 채널을 통해 처리 유체가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터 본체 (106) 는 냉동유체의 전달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루멘 및/또는 소비된 냉매의 배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루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치료 에너지를 전도하고 및/또는 감지된 신호를 송신/수신하기 위한 와이어가 카테터 본체 (106) 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카테터 본체는 목표 조직에 비해 팽창가능한 부재 (200) 의 삽입 및/또는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특징부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장치 (102) 는 카테터 본체 (106) 의 일부에 의해 규정되는 관절연결 (articulating) 구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 (106) 의 원위부는 목표 위치 안으로 팽창가능한 본체를 조종하기 위해서 사용자에 위해 근위 위치로부터 작동될 수 있다. 일 대표적인 양태에서, 카테터 본체 (106) 는 관절 구획에 힘들 전달하기 위한 푸쉬 및/또는 풀 스트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카테터 본체 (106) 의 크기 및 형상은 장치 (102) 의 의도된 용도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장치 (102) 가 심장 절제를 위해 사용되는 곳에서는, 카테터 본체 (106) 는 맥관 루멘 (vascular lumen) 을 통한 삽입을 위한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게다가, 카테터 본체 (106) 의 재료와 구조는 가요성의 기다란 본체를 제공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당업자는, 카테터 본체 (106) 가 맥관 접근을 위해 당분야에서 공통적으로 공지된 다양한 카테터 구조를 대표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 기재된 장치는 경정맥 루트 (transvenous route) 를 통해 전달될 필요는 없으며/없거나, 표적 조직이 심장 조직일 필요도 없다.
임상의가 장치 (102) 를 쥘 수 있도록, 카테터 본체 (106) 의 원위 단부 (108) 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핸들 (112) 이 결합될 수 있다. 핸들 (112) 은 장치 (102) 의 의도된 용도 및/또는 장치 (102) 가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핸들 (112) 은 팽창가능한 부재 (200) 를 팽창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액체원 또는 가스원을 포함할 수 있다. 냉동유체 또는 용적 변위 유체 등의 액체의 전달을 통제하기 위한 제어부가, 일 양태에서는, 핸들 (112) 에 위치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핸들 (112) 은 냉매 공급 유닛 (104) 등의 하나 이상의 액체원과 짝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공급 유닛 (104) 은 냉동유체 및/또는 용적 변위 유체를 포함한다. 또한, 공급 유닛 (104) 은 냉동유체를 고압 하에서 유지할 수 있다. 이들 유체 중에서 액체 산화질소, 액체 이산화탄소, 및/또는 불화탄소가 냉동절제에 공통적으로 이용되지만, 임의의 다른 가스, 유체, 또는 종래에 알려진 냉매도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공급 유닛 (104) 은 유체의 전달을 통해 팽창가능한 부재 (200) 의 팽창을 조정하고 제어하기 위한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를 참조하면, 냉통절제 카테터 (102) 의 대표적인 일 실시형태가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카테터 본체 (106) 및 팽창가능한 부재 (200) 의 원위 단부 (110) 가 묘사된다. 일 양태에서, 카테터 본체 (106) 는 근위 단부 (116, 도시되지 않음) 및 원위 단부 (118) 를 갖는 공급 루멘 (114), 및 근위 단부 (122, 도시되지 않음) 및 원위 단부 (124) 를 갖는 배출 루멘 (120) 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공급 루멘 및 배출 루멘은 동심으로 위치될 수 있고, 공급 루멘은 배출 루멘 내에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배출 루멘은 공급 루멘 내에 있을 수도 있고 또는 두 개의 루멘이 나란히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냉동유체와 별도로, 팽창가능한 부재 (200) 에 용적 변위 유체를 제공하는 등의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추가적인 루멘이 있을 수 있다.
묘사된 실시형태의 다른 양태에서, 팽창가능한 부재 (200) 는 배출 챔버 (128) 내에 수용되는 냉동챔버 (126) 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팽창가능한 챔버 또는 벌룬은 종래에 공통적으로 사용되었던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냉동챔버 (126) 및 배출 챔버 (128) 는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은 다른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챔버는 비팽창성 재료로 구성되는 강성 구조물일 수 있다. 또한, 상이한 실시형태에서, 이들은 배출 챔버 (128) 를 수용하는 추가적인 벌룬 또는 챔버일 수 있다. 이 추가적인 벌룬은 냉동챔버 및/또는 배출 챔버에서 발생하는 파열로부터 환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시 도 2a 를 참조하면, 다른 양태에서,냉동챔버 (126) 는 공급 루멘 (114) 의 원위 단부 (118) 에 결합되어 유체 연통될 수 있다. 유사하게, 배출 챔버 (128) 는 배출 루멘 (120) 의 원위 단부 (124) 에 결합되어 유체 연통될 수 있다. 이들 결합체는 기밀할 수 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서, 냉동챔버 (126) 및/또는 배출 챔버 (128) 는 카테터 루멘의 원위 단부에 접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챔버들은 루멘의 원위 단부와 기계적으로 짝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챔버들은 루멘과 나사결합식으로 또는 마찰결합식으로 짝을 이룰 수 있다. 대안적으로, 챔버와 루멘은 단일편으로 되도록 통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가 루멘의 원위 단부에 챔버를 체결하는 상이한 방법들을 통합시킬 수도 있다.
분산 부재 (130) 는 냉동챔버 (126) 내에 있을 수 있다. 묘사된 실시형태에서, 분산 부재 (130) 는, 단면 B-B 에 평행한 평면에서 원형이고 공급 루멘 (114) 의 원위 단부 (118) 와 마주하는 비교적 평평한 면을 갖는 평면형 부재와 유사하다. 그러나, 이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분산 부재 (130) 의 형상, 특히 공급 루멘 (114) 의 원위 단부와 마주하는 표면의 형상은 냉동챔버 (126) 내의 소망하는 냉매의 유동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분산 부재 (130) 는 원뿔형 또는 피라미드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공급 루멘 (114) 과 마주하는 분산 부재 (130) 의 표면은 오목하거나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는 다른 다양한 형상의 분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분산 부재는 냉동챔버 내에 분산 부재를 고정하도록 카테터 루멘 중 하나와 짝을 이루고/이루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산 부재는 냉매의 통과를 여전히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공급 루멘의 내부 표면과 짝을 이룰 수 있다.
묘사된 실시형태에서, 분산 부재 (130) 는 근위 단부 (134) 및 원위 단부 (136) 를 갖는 스템 (132) 의 사용하여 냉동챔버 (126) 내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근위 단부 (134) 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위 단부 (118) 또는 공급 루멘 (114) 내에 있는 반면, 스템 (132) 의 원위 단부 (136) 는 분산 부재 (130) 에 결합될 수 있다. 공급 루멘 (114) 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는 핀 (138) 이 스템 (132) 의 원위 단부 (136) 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핀 (138) 은 스템 (132) 이 루멘 (114) 의 중앙 위치 내에 위치되도록 해준다. 예를 들어, 스템 (132) 은 루멘 (114) 의 중앙 축선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사용시에, 냉동유체는 스템 (132) 의 전체 주변 주위를 유동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핀 (138) 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루멘 (114) 의 내부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스템 (132) 및 분산 부재 (130) 를 따르는 핀 및 공급 루멘은 일편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단면 A-A 를 묘사하는 도 2b 는 스템 (132), 핀 (138), 및 공급 루멘 (114) 의 정면도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것은 냉동챔버 (126) 내에 분산 부재 (130) 를 고정하기 위한 오직 하나의 방법일 뿐이다. 냉동챔버 내에 분산 부재 (130) 를 부착하는 다양한 다른 방법들이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통합될 수 있다.
실제로, 압축된 냉매 또는 냉동유체는 냉매 공급 유닛 (104) 으로부터 방출되고, 공급 루멘 (114) 의 근위 단부 (116) 로 들어가고, 루멘의 원위 단부 (118) 을 향해 하방으로 유동하고, 핀 (138) 을 지나 냉동 챔버 (126) 로 들어간다. 냉동챔버로 들어갈 때, 유체는 챔버의 내벽을 향해 유체가 우회하도록 구성된 분산 부재 (130) 를 피해갈 수 있다. 챔버 (126) 의 내부 표면과 접촉시에, 유체가 팽창가능한 부재 (200) 의 외부 표면과 접촉하는 조직으로부터 열을 흡수함에 따라 유체는 "끓기" 시작할 수 있거나, 또는 가스상으로 변할 수 있다. 분산 부재 (130) 에 의한 냉동유체의 편향은 냉동챔버 (126) 의 내경 주위의 원주형 밴드를 따라 냉매 스트림을 집중시킬 수 있다.
도 2c 는 이 편향을 정면에서 도시한다. 냉매가 공급 루멘 (114) 의 원위 단부 (118) 를 나가서 분산 부재 (130) 와 부딪힘에 따라, 유체는 반경 방향으로 분산 부재를 피해서 냉동챔버 (126) 의 내벽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 방식의 냉매의 일정한 분배는 냉동챔버 내의 원주형 밴드에서 냉매의 일정한 집중을 용이하게 하여서 목표 조직에서의 일정한 절제 밴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소비된 냉매 또는 가스 냉매는 출구 (127) 를 통해 냉동챔버 (126) 를 나갈 수 있다. 도 2a 에 묘사된 실시형태에서, 출구 (127) 는 냉동챔버의 원위 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냉동유체는 냉동챔버 (126) 와 배출 챔버 (128) 의 내부 표면 사이에서 챔버의 근위 단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그 다음, 소비된 냉동유체는 배출 루멘 (120) 의 원위 단부 (124) 안으로 유동하고 루멘의 근위 단부 (122) 에 있는 시스템을 나갈 수 있다. 그러나, 소비된 냉매의 배출은 다양한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가스를 배출하는 다른 방법이 이하에 기재되지만,다른 방법들은 상이한 실시형태에 통합될 수도 있고 여기에 기재된 방법들은 완전하다고 여겨져서는 안된다.
이제 도 3a 를 참조하면, 냉동챔버 내에 분산 부재 (130) 를 부착하는 다른 방법이 묘사된다. 일 양태에서, 냉동챔버 (126) 는 벽 (140) 에 의해 분할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벽 (140) 은 냉동챔버 (126) 와 같이 동일한 재료로 구성될 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벽 (140) 은 더 강성의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벽 (140) 은 분산 부재 (130) 와 같이 동일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두 개의 본체, 분산 부재와 벽은, 벽 (140) 이 그 자체로 분산 부재로서 기능하고 냉동챔버 (126) 의 내벽을 향해 냉매의 유동을 우회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통합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벽 (140) 은 인접한 챔버가 가압될 때 미리 정해진 형상을 취할 수 있는 절첩형 또는 접이식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동챔버 (126) 에 인접한 챔버 (127) 는 벽 (140) 및/또는 분산 부재 (130) 를 지지하도록 가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벽 (140) 은, 벽 (140) 및/또는 분산 부재 (130) 를 지지하기 위해서 냉동챔버 (126) 및 챔버 (127) 가 동시에 가압될 수 있도록 다공성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분산 부재 (130) 의 축선 방향 위치는 냉동챔버 내의 벽 (140) 의 형상 또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 는 대략 냉동챔버 (126) 의 중간에 있는 벽 (140) 을 묘사한다. 이는 냉매 유동이 동일한 축선 위치에서 우회되고 벽 (140) 에 바로 인접한 냉동 챔버의 내경을 둘러싸는 균일한 냉매 분배 밴드를 형성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벽 (140) 은 냉동챔버의 원위 또는 근위 단부에 위치되어서, 챔버 내에 냉매 분배 밴드를 대응하여 재위치시킬 수 있다.
도 3b 는 벽 (140) 을 위한 대안적인 형상을 묘사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벽은 팽창가능한 챔버의 전체 직경보다 덜 걸치게 된다. 그 결과, 벽 (140) 은 환자의 혈관을 가로지르기에 충분히 작게 유지되면서 비절첩형 강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벽 (140) 은, 냉동챔버 (126) 가 가압될 때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취해질 수 있도록, 절첩형 또는 접이식일 수 있다. 이와 상관없이, 챔버 (127) 는 팽창되거나 벽 (140) 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 는 또한 도 2a 에 묘사된 것으로부터, 소비된 냉매를 위한 대안적인 유동 경로를 묘사한다. 도 3a 및 도 3b 에 묘사된 실시형태에서, 냉동챔버 (126) 는 원위 단부 (124) 에서 배출 루멘 (120) 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결합은 공급 루멘에 냉동챔버를 결합시키기 위한 상기에 기재된 바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달성될 수 있다. 그 다음, 공급 루멘 (114) 은, 공급 루멘의 원위 단부 (118) 와 배출 루멘의 원위 단부 (124) 가 냉동챔버와 유체 연통되도록 배출 루멘 내에서 동심으로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시에, 냉매는 공급 루멘을 통해 냉동챔버로 공급될 수 있고 분산 부재 (130) 는 냉동챔버의 내벽을 향해 냉매를 편향시킬 수 있다. 유체 편향은 냉동챔버의 내경 주위에 원주상 유체 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열의 흡수시에, 냉매는 가스가 될 수 있고 배출 루멘 (120) 의 윈위 단부 안으로 및 시스템 외부로 유동한다. 그러나,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소비된 냉매가 냉동챔버를 나가도록 해주는 다른 방법이 있다.
도 4a 를 참조하면, 냉동절제 카테터의 다른 실시형태가 묘사된다. 일 양태에서, 묘사되는 냉동절제 카테터는 유동 통로를 가지는 분산 부재 (130) 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분산 부재를 통과하는 유체의 이동은 분산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회전하고 냉동유체를 분산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도 4a 는 근위 개구 (142) 및 두 개의 원위 개구 (144 및 146) 를 포함하는 회전 분산 부재 (130) 를 도시한다. 개구 (144 및 146) 는 각각 축선 방향으로 이격된 아암 (148 및 150) 의 최외각 단부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유동 경로 관통 원위 아암 (148 및 150) 은, 원위 개구 (144 및 146) 와 마찬가지로, 공급 루멘을 나가는 유동에 대해 다양한 각도에서 근위 개구 (142) 에 있는 분산 부재로 들어가는 냉매를 재배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묘사된 실시형태에서, 이는 분산 부재 (130) 로부터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U-형상의 원위 아암을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원위 아암 (148 및 150) 및 개구 (142 및 144) 는, 원하는 냉매의 분배에 따라서, 분산 부재로 들어가는 유동에 대해 몇몇의 다른 각도로 냉매 유동을 재배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분산 부재 (130) 는 공급 루멘 (114) 의 원위 단부 (118) 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결합은 슬롯과 홈 연결을 포함하는 다양항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적으로, 원위 개구 (144 및 146) 는 유동을 반대 방향으로 재배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냉매가 공급 루멘 (114) 을 나가서 근위 개구 (142) 를 통해 분산 부재 (130) 로 들어갈 때, 냉동유체는 원위 개구 (144 및 146) 를 통해 재배향될 수 있다. 회전가능한 결합 및 원위 아암 (148 및 150) 의 형상의 결과로서, 분산 부재의 원위 개구를 나가는 냉매로부터 기인하는 힘이 분산 부재를 나아가게 하고 회전하게 하여서 냉동챔버 (126) 의 내벽을 따라 일정한 원주형 밴드에서 상기 나가는 유체를 분배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해서, 분산 부재 (130) 의 회전 및 냉매의 분배가 도 4b 에 묘사된다.
대안적인 실시형태가 냉동챔버 (126) 내의 소망하는 냉동유체의 분배에 따라서, 분산 부재 (130) 에서 더 적거나 추가적인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원위 개구를 통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산 부재 (130) 는 오직 하나의 원위 개구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3 개 이상의 원위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4a 에 묘사된 분산 부재가 원형 원위 개구를 갖는 반면, 다른 실시형태는 상이한 형상의 개구를 통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위 개구 (144 및 146) 는 분배된 냉매의 원하는 패턴을 달성하기 위해서 슬롯 형상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상기 개구는 분산 부재로부터의 더 높은 속도의 유동이 바람직하다면 노즐이 좁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윈위 아암 (148 및 150) 은 나가는 냉매의 반력을 변경하기 위해서 또는 최종 냉매 분배를 변경하기 위해서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a 및 5b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묘사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산 부재 (130) 는 통과하는 유체 유동에 대응하여 이동하지 않는다. 분산 부재 (130) 는 공급 루멘 (114) 의 원위 단부 (118) 에 결합되고 원위 단부에서 대형 디스크 형상에 대해 외부방향으로 좁아지는 근위 개구 (142) 를 갖는다. 분산 부재 (130) 의 원위 단부는 외부 주변 주위에 위치된 일련의 구멍 (144) 을 제외하고는 폐쇄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분산 부재 (130) 는 디스크 형상에 대해 좁아질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분산 부재의 원위 단부는 직사각형 또는 정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냉동챔버 (126) 의 근위 단부는 전술된 방식으로 배출 루멘 (120) 에 결합될 수 있다. 공급 루멘 (114) 은 배출 루멘 (120) 과 동심일 수 있고 그 안에 위치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냉동유체는 공급 루멘을 나가서, 분산 부재 (130) 의 근위 단부로 들어가서 냉동챔버 (126) 의 내벽에 있는 원주형 밴드를 향해 복수의 구멍 외부로 재배향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구멍 (144) 은 원통형이지만, 다른 실시형태는 상이한 향상의 개구를 통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멍 (144) 은 슬롯 형상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구멍은 분산 부재 (130) 의 외부 표면에 접근함에 따라 좁아져서, 그로부터의 냉매 유동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설계가 일련의 구멍 또는 도 5a 및 도 5b 에 묘사된 것보다 더 많거나 적은 구멍을 통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는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인 것 외에 각도를 이루는 분산 부재 (130) 의 외부 표면에 접근하는 구멍을 통합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분산 부재의 축선 방향 위치는 냉매의 소망하는 분배에 따라서 조정될 수 있다.
이제 도 6a 및 도 6b 를 참조하면, 냉동절제 카테터의 다른 실시형태가 묘사된다. 일 양태에서, 분산 부재 (130) 는 냉동챔버 (126) 의 것과 유사한 팽창가능한 벌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벌룬은 폴리우레탄 또는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던 임의의 다른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분산 부재 (130) 는 강성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분산 부재 (130) 가 도 6a 에서 구형 또는 실질적으로 구형으로 묘사되지만, 부재 (130) 는 다양한 다른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분산 부재 (130) 의 챔버는 정육각형, 또는 실질적으로 정육각형의 형상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분산 부재 (130) 는 그 직경 주위의 원주형 밴드에 복수의 구멍 (144) 을 나타낼 수 있다. 묘사된 실시형태에서, 구멍의 이 밴드는 분산 부재의 거의 축선 방향 중간점에 위치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서, 이 밴드는 묘사된 것보다 더 근위에 또는 더 원위에 위치될 수 있다.
실제로, 공급 루멘 (114) 을 나가는 냉매는 분산 부재 (130) 로 들어가서, 분산 부재의 압력의 결과로서, 구멍 (144) 을 통해 배출되어서 냉동챔버 (126) 의 내벽에서 원주형 밴드를 향해 갈 수 있다. 이는 분산 부재에 있는 구멍 (144) 에 대응하여, 냉동챔버의 소망하는 표면에 대해 냉매의 균일한 분배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분산 부재에 있는 구멍 (144) 이 원통형 개구로서 묘사되었지만, 냉동챔버 내의 냉매의 분배의 변화에 영향을 주기 위해서 구멍은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동챔버 (126) 내의 냉매 유동의 더 높은 속도가 소망된다면, 구멍 (144) 은 분산 부재 (130) 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분산 부재의 외부 표면으로 좁아지는 노즐로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냉동챔버의 내부 표면에서 더 넓은 분배가 소망된다면, 구멍 (144) 은 실린더보다 슬롯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구멍은, 모두가 하나의 균일한 형상을 갖는 것과 대조적으로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항 다른 구성도 그려질 수 있다.
이 실시형태의 다른 양태에서, 구멍 (144) 이 둘러싸는 분산 부재 (130) 로서 묘사되는 반면, 구멍은 분산 부재의 360 °미만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인접한 조직의 전체 원주 주위의 연속적인 절제 밴드 이외에, 목표 조직의 원주의 일부만을 절제하기를 소망한다면, 구멍 (144) 은 분산 부재 (130) 의 일부만을 가로질러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멍 (144) 은 오직 180 °, 190 °, 또는 분산 부재의 몇몇 다른 부재를 가로질러 위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도 2a ~ 도 5b 에 묘사된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분산 부재 (130) 는 냉동챔버의 전체 원주의 일부만을 따라 냉동유체를 분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 을 참조하면, 냉동절제 카테터의 다른 실시형태가 묘사된다. 일 양태에서, 분산 부재 (130) 는 냉동챔버 (126) 내에 있을 수 있다. 묘사된 실시형태에서, 분산 부재 (130) 는 피라미드형 또는 원뿔형 본체를 닮고, 냉동챔버 (126) 의 근위 단부에서 좁아지며 챔버의 중간 구역을 향해 외부로 권취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서, 분산 부재 (130) 의 형상, 특히 공급 루멘 (114) 의 원위 단부와 마주하는 표면의 형상은 냉동챔버 (126) 내의 소망하는 냉매의 유동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매가 냉동챔버의 근위 단부를 향해 이동되는 것이 소망된다면 덜 심하게 좁아지는 분산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냉매가 냉동챔버 (126) 의 보다 원위 단부를 향해 이동되거나 벽에서보다 챔버의 내벽을 따라 이동되는 것이 소망된다면 보다 심하게 좁아지는 분산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묘사된 실시형태에서, 분산 부재 (130) 는 근위 단부 (134) 및 원위 단부 (136) 를 갖는 스템 (132) 을 이용하여 냉동챔버 (126) 내부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스템 (132) 의 원위 단부 (136) 는 분산 부재 (130) 에 결합될 수 있고, 근위 단부 (134) 는 원위 단부 (118) 또는 공급 루멘 (114)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있을 수 있다. 공급 루멘 (114) 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는 핀 (138) 이 스템 (132) 의 원위 단부 (136) 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핀 (138) 은 루멘 (114) 의 내부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스템 (132) 및 분산 부재 (130) 를 따르는 핀 및 공급 루멘은 일편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냉동챔버 (126) 내에 분산 부재 (130) 를 고정하는 하나의 방법일 뿐이다. 냉동챔버 내에 분산 부재 (130) 를 고정하는 다른 다양한 방법들이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 및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산 부재는 냉동챔버의 원위 벽에 고정되거나 내장될 수 있거나 또는 챔버 벽에 고정될 수 있다.
실제로, 가압된 냉매 또는 냉동유체는 냉매 공급 유닛 (104) 로부터 해제되어서, 공급 루멘 (114) 의 근위 단부로 들어가서, 루멘의 원위 단부를 향해 하방으로 유동하고, 핀 (138) 을 지나 냉동챔버 (126) 로 갈 수 있다.
냉동챔버로 들어갈 때, 분산 부재 (130) 는 챔버의 내벽을 향해 유체를 편향시킬 수 있다. 분산 부재 (130) 에 의한 냉동유체의 편향은 냉동챔버의 원위 단부 이외에 냉동챔버 측벽을 따라 냉매 스트림을 집중시킬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소비되거나, 기상의 냉매가 출구 (127) 를 통해 냉동챔버 (126) 를 떠날 수 있다. 도 7 에 묘사된 실시형태에서, 출구 (127) 는 냉동챔버의 원위 단부에 위치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서, 출구는 챔버 내의 어느 곳이든 위치될 수 있다. 냉동챔버 (127) 를 떠나는 냉매는 그 후에 냉동챔버를 포함하는 배출 챔버 (128) 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그 다음, 소비된 냉동유체는 배출 루멘 (120) 의 원위 단부 (124) 안으로 유동하여서 루멘의 근위 단부 (122) 에서 시스템을 나가도록 될 수 있다. 그러나, 소비된 냉매의 배출은 다양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가스를 배출하는 추가적인 방법이 전술되지만, 다른 방법이 상이한 실시형태에서 통합될 수도 있고 여기에 기재된 방법이 다른 가능한 대안들을 배제하기 위해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상기에서 논의된 발명의 모든 실시형태는 목표 조직의 냉동절제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사용 방법은 기재되어 있고 장치의 원위 단부로 냉매를 전달하는 냉동카테터 중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냉동챔버 안으로는 챔버의 내벽(들)의 소망하는 부분을 향해 및/또는 따라 분산 부재에 의해 냉매가 이동된다.
그 기능을 증명하기 위해서 냉동절제 카테터 장치 안으로 추가적인 특징부가 통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장치의 부품은 절차 동안에 카테터의 시각화를 허용하도록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 또는 수술 환경에 적합한 의학적 등급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힘, 압력, 스트레인, 및/또는 온도 센서가 장치 안으로 통합되어 외과 의사에게 카테터 및 냉동챔버 내의 냉매 및 둘러싸고 있는 목표 조직에 대한 정도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전도성 물질이 냉동챔버 및/또는 배출 챔버의 내부 표면에 위치되거나 통합되어서 목표 조직의 균일한 냉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냉각을 조정하고 및/또는 파괴, 파손, 및 냉동유체의 유출에 대해 보호하기 위해서 여기에서 논의된 것들을 수용하기 위해 추가적인 외부 챔버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 기재된 냉동절제 카테터는 심장외막 조직 이외의 신체의 다른 부분의 조직을 절제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사실, 장치는 카테터 본체의 원위 단부에 있는 냉동챔버를 이용하는 임의의 절제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여기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 및 실행을 고려하여 당업자들에 있어 명백해질 것이다. 설명 및 실시예는 오직 예시로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 및 의미는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보여질 것이다.

Claims (33)

  1. 근위 및 원위 단부를 가지는 기다란 카테터 본체,
    상기 기다란 카테터 본체의 원위 단부와 유체 연통하고, 냉매 수용 내부 및 냉동챔버 외부의 조직을 전도 처리하기 위한 열적으로 전도성인 벽을 가지는 냉동챔버, 및
    분산 밴드를 가로질러 냉동챔버 내에서 냉매를 분산하기 위해 냉동챔버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되고 조직의 목표 부분의 균일한 냉각을 용이하게 하는 냉매 분산 부재를 포함하는, 조직의 냉동처리를 위한 냉동절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는 아산화 질소, 이산화탄소, 및 불화탄소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조직의 냉동처리를 위한 냉동절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챔버를 포함하는 배출 챔버를 더 포함하는, 조직의 냉동처리를 위한 냉동절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챔버는 혈관 접근을 위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조직의 냉동처리를 위한 냉동절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챔버는 폐정맥에서 또는 그 주위에서의 절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조직의 냉동처리를 위한 냉동절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부재는 냉동챔버의 일부를 따라 냉동유체를 집중시켜서 선형 절제 패턴을 제공하는, 조직의 냉동처리를 위한 냉동절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챔버는 절제 밴드를 허용하도록 형성되는, 조직의 냉동처리를 위한 냉동절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제 밴드는 360 °원주형 밴드를 포함하는, 조직의 냉동처리를 위한 냉동절제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제 밴드는 약 360 °미만으로 연장하는, 조직의 냉동처리를 위한 냉동절제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제 밴드는 약 90 °~ 약 180 °에서 연장하는, 조직의 냉동처리를 위한 냉동절제 장치.
  11.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종방향 축선을 가지는 기다란 카테터 본체,
    기다란 카테터 본체의 원위 단부로부터 냉매를 수용하는 팽창 챔버, 및
    상기 팽창 챔버 내에 있고 냉매의 유동을 재배향하고 상기 팽창 챔버의 내부 표면에서 분산 밴드를 통해 냉매를 분산시키도록 구성된 냉매 분산 부재를 포함하는, 냉동요법 카테터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분산 부재는 냉매를 반경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냉동요법 카테터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밴드는 360 °밴드인, 냉동요법 카테터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밴드는 약 360 °미만으로 연장하는, 냉동요법 카테터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부재는 기다란 카테터의 원위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냉동요법 카테터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부재는 기다란 카테터 본체의 원위 단부로부터 냉매를 수용하기 위한 제 1 구멍 및 냉매가 팽창 챔버 내의 분산 부재를 나가기 위한 적어도 제 2 구멍을 더 포함하는, 냉동요법 카테터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부재는 냉매가 팽창 챔버 내의 분산 부재를 나올 수 있도록 적어도 제 3 구멍을 더 포함하는, 냉동요법 카테터 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부재는 그 원위 단부에서 기다란 카테터의 종방향 축선에 수직인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갖는, 냉동요법 카테터 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부재는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유체 접촉 표면을 포함하는, 냉동요법 카테터 장치.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부재는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유체 접촉 표면을 포함하는, 냉동요법 카테터 장치.
  21.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부재는, 기다란 카테터 본체에 대해서, 기다란 카테터 본체의 원위 단부를 나가는 냉매의 유동이 반경 방향으로 재배향되도록 위치되는 표면을 가지는, 냉동요법 카테터 장치.
  2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부재는 기다란 카테터 본체의 원위 단부에 고정되는, 냉동요법 카테터 장치.
  2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부재는 팽창 챔버의 내벽에 고정되는, 냉동요법 카테터 장치.
  2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챔버의 내부 표면 상의 상기 분산 밴드는 기다란 카테터 본체와 동심인, 냉동요법 카테터 장치.
  2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부재는 기다란 카테터 본체의 원위 단부와 유체 연통하는 개구 및 상기 팽창 챔버와 유체 연통하는 복수의 구멍을 포함하는, 냉동요법 카테터 장치.
  26.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가지는 제 1 루멘,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가지는 제 2 루멘으로서, 상기 제 1 루멘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제 2 루멘,
    상기 제 1 루멘과 유체 연통하는 제 1 벌룬 부재, 및
    상기 제 1 벌룬 부재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루멘과 유체 연통하는 제 2 벌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벌룬 부재는 유체 유동을 반경 방향으로 보내기 위한 일련의 구멍을 포함하는, 조직에 냉동절제를 전달하기 위한 카테터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벌룬 부재는 구멍의 원주형 밴드를 포함하는, 조직에 냉동절제를 전달하기 위한 카테터 장치.
  28. 분산 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팽창 챔버를 향한 냉매의 통로를 위해,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로 연장하는 종방향 축선을 갖는 기다란 카테터 축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팽창 챔버에 냉매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분산 부재를 이용해 냉매를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동절제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분산 부재를 이용하여 냉매를 보내는 단계는 냉매를 반경 방향으로 보내는 것을 포함하는, 냉동절제 방법.
  30. 제 28 항에 있어서, 분산 부재를 이용하여 냉매를 보내는 단계는 상기 팽창 챔버의 내벽을 향해서 냉매를 보내는 것을 포함하는, 냉동절제 방법.
  31. 제 28 항에 있어서, 분산 부재를 이용하여 냉매를 보내는 단계는 상기 팽창 챔버의 내벽을 따라서 냉매를 보내는 것을 포함하는, 냉동절제 방법.
  32. 제 28 항에 있어서, 목표 조직의 일부를 절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동절제 방법.
  33. 제 28 항에 있어서, 폐정맥에서 또는 그에 근접해서 목표 조직의 일부를 절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동절제 방법.
KR1020107022700A 2008-03-13 2009-03-12 냉동절제 냉매 분배 카테터 KR201100006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457708P 2008-03-13 2008-03-13
US61/064,577 2008-03-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654A true KR20110000654A (ko) 2011-01-04

Family

ID=40833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2700A KR20110000654A (ko) 2008-03-13 2009-03-12 냉동절제 냉매 분배 카테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579890B2 (ko)
EP (1) EP2265205B1 (ko)
KR (1) KR20110000654A (ko)
CA (1) CA2719093A1 (ko)
WO (1) WO20091147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19093A1 (en) * 2008-03-13 2009-09-1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Cryo-ablation refrigerant distribution catheter
US10695126B2 (en) 2008-10-06 2020-06-30 Santa Anna Tech Llc Catheter with a double balloon structure to generate and apply a heated ablative zone to tissue
US8382746B2 (en) 2008-11-21 2013-02-26 C2 Therapeutics, Inc. Cryogenic ablation system and method
WO2010111122A1 (en) * 2009-03-23 2010-09-30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ystems apparatus for distributing coolant within a cryo-ablation device
US8986293B2 (en) * 2010-01-27 2015-03-24 Medtronic Cryocath Lp Cryoballoon refrigerant dispersion control
US9089314B2 (en) * 2010-01-27 2015-07-28 Medtronic Cryocath Lp Partially compliant balloon device
WO2012012807A2 (en) * 2010-07-23 2012-01-26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s Surgical cooling device
CA2806892A1 (en) 2010-08-26 2012-03-01 Cryomedix, Llc Cryoablation balloon catheter and related method
AU2011319789A1 (en) 2010-10-27 2013-05-02 Cryomedix, Llc Cryoablation apparatus with enhanced heat exchange area and related method
ES2759611T3 (es) * 2011-02-01 2020-05-11 Channel Medsystems Inc Aparato para el tratamiento criogénico de una cavidad o luz del cuerpo
EP2683315B1 (en) * 2011-03-09 2016-10-12 Icecure Medical Ltd. Cryosurgical instrument with redirected flow
US9439707B2 (en) 2011-03-25 2016-09-13 Medtronic Cryocath Lp Spray nozzle design for a catheter
WO2012148969A2 (en) * 2011-04-25 2012-11-01 Brian Kelly Apparatus and methods related to constrained deployment of cryogenic balloons for limited cryogenic ablation of vessel walls
US20130018366A1 (en) * 2011-07-11 2013-01-17 C2 Therapeutics Focal Ablation Assembly
US9084592B2 (en) * 2011-07-11 2015-07-21 C2 Therapeutics, Inc. Focal ablation assembly
US9283110B2 (en) * 2011-09-20 2016-03-15 Zoll Circulation, Inc. Patient temperature control catheter with outer sleeve cooled by inner sleeve
US9314588B2 (en) 2011-10-28 2016-04-19 Medtronic Cryocath Lp Systems and methods for variable injection flow
US9101343B2 (en) 2012-08-03 2015-08-11 Thach Buu Duong Therapeutic cryoablation system
US20140228875A1 (en) 2013-02-08 2014-08-14 Nidus Medical, Llc Surgical device with integrated visualization and cauterization
US20150031946A1 (en) 2013-07-24 2015-01-29 Nidus Medical, Llc Direct vision cryosurgical probe and methods of use
US9687288B2 (en) 2013-09-30 2017-06-27 Arrinex,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rhinitis
JP6402317B2 (ja) * 2013-11-01 2018-10-10 ペンタックス・オブ・アメリ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Pentax Of America, Inc. 冷凍バルーンアブレーションシステム
US10441338B2 (en) * 2014-01-14 2019-10-15 Medtronic Cryocath Lp Balloon catheter with fluid injection elements
US10610279B2 (en) 2014-04-10 2020-04-07 Channel Med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regulating cryogenic treatment
US20150305892A1 (en) 2014-04-25 2015-10-29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a Bodily Lumen with In Situ Generated Structural Support
US9763743B2 (en) 2014-07-25 2017-09-19 Arrinex,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rhinitis
US10684047B2 (en) * 2015-04-08 2020-06-16 Ajay Khatri System for cryogenic cooling of remote cooling target
AU2016262085B2 (en) 2015-05-12 2020-10-22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Devices for therapeutic nasal neuromodulation and associated methods and systems
US9414878B1 (en) 2015-05-15 2016-08-16 C2 Therapeutics, Inc. Cryogenic balloon ablation system
CN105581838B (zh) * 2015-12-31 2017-11-21 宁波胜杰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肿瘤冷冻消融导管
EP3413822B1 (en) 2016-02-11 2023-08-30 Arrinex, Inc. Device for image guided post-nasal nerve ablation
US11331140B2 (en) 2016-05-19 2022-05-17 Aqua Heart, Inc. Heated vapor abl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cardiac conditions
WO2017200877A1 (en) 2016-05-20 2017-11-23 C2 Therapeutics, Inc. Cryogenic ablation system with rotatable and translatable catheter
JP6948351B2 (ja) 2016-06-15 2021-10-13 アリネ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鼻腔の側面を処置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US10939965B1 (en) 2016-07-20 2021-03-09 Arrinex, Inc.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a nerve of the nasal cavity using image guidance
US11253312B2 (en) 2016-10-17 2022-02-22 Arrinex, Inc. Integrated nasal nerve detector ablation-apparatus, nasal nerve locator, and methods of use
EP3551107B1 (en) 2016-12-09 2023-01-18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Pulmonary vein isolation balloon catheter
JP6946444B2 (ja) * 2017-02-10 2021-10-06 セント・ジュード・メディカル,カーディオロジー・ディヴィジョ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冷凍アブレーション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AU2018256964B2 (en) 2017-04-28 2023-11-30 Arrine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ng blood vessels in the treatment of rhinitis
JP6483768B2 (ja) * 2017-07-28 2019-03-13 ニトロ メディカル リミテッド 極低温システムのための装置、プローブおよび方法
CN107411815B (zh) * 2017-09-12 2020-06-12 康沣生物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冷冻消融导管及系统
WO2019084439A1 (en) * 2017-10-27 2019-05-02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APPARATUS AND SYSTEM FOR CRYO-THERAPY BALLOON
WO2019083765A1 (en) * 2017-10-27 2019-05-02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PULMONARY VEIN ISOLATION BALLOON CATHETER
CN109567928A (zh) * 2018-11-09 2019-04-05 湖南爱芷生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超导深低温冷冻刀头系统
US11701167B2 (en) 2018-12-11 2023-07-18 Neurent Medical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therapeutic nasal neuromodulation
US11883091B2 (en) 2020-04-09 2024-01-30 Neurent Medical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sleep with therapeutic nasal treatment
WO2021205230A1 (en) 2020-04-09 2021-10-14 Neurent Medical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therapeutic nasal treatment
US11747076B2 (en) 2020-08-18 2023-09-05 Ajay Khatri Remote cooling of super-conducting magnet using closed cycle auxiliary flow circuit in a cryogenic cooling system
CN116869640B (zh) * 2023-06-29 2024-04-30 苏州海宇新辰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角度可调节消融冷冻球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0744A (en) * 1987-11-02 1989-08-29 Raj K. Anand Thermoelectrically controlled heat medical catheter
US5147355A (en) 1988-09-23 1992-09-15 Brigham And Womens Hospital Cryoablation catheter and method of performing cryoablation
US5868735A (en) * 1997-03-06 1999-02-09 Scimed Life Systems, Inc. Cryoplasty device and method
US7220257B1 (en) * 2000-07-25 2007-05-22 Scimed Life Systems, Inc. Cryotreatment device and method
US5902299A (en) * 1997-07-29 1999-05-11 Jayaraman; Swaminathan Cryotherapy method for reducing tissue injury after balloon angioplasty or stent implantation
US5971979A (en) 1997-12-02 1999-10-26 Odyssey Technologies, Inc. Method for cryogenic inhibition of hyperplasia
US6905494B2 (en) 1998-03-31 2005-06-14 Innercool Therapies, Inc.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cooling- or cryo-therapies for, e.g., angioplasty with reduced restenosis or pulmonary vein cell necrosis to inhibit atrial fibrillation employing tissue protection
US7001378B2 (en) 1998-03-31 2006-02-21 Innercool Therapies, Inc.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cooling or cryo-therapies, for, e.g., angioplasty with reduced restenosis or pulmonary vein cell necrosis to inhibit atrial fibrillation employing tissue protection
US7291144B2 (en) * 1998-03-31 2007-11-06 Innercool Therapies, Inc.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cooling- or cryo-therapies for, e.g., angioplasty with reduced restenosis or pulmonary vein cell necrosis to inhibit atrial fibrillation
US6716236B1 (en) * 1998-04-21 2004-04-06 Alsius Corporation Intravascular catheter with heat exchange element having inner inflation element and methods of use
US6514245B1 (en) * 1999-03-15 2003-02-04 Cryovascular Systems, Inc. Safety cryotherapy catheter
US6648879B2 (en) 1999-02-24 2003-11-18 Cryovascular Systems, Inc. Safety cryotherapy catheter
US6428534B1 (en) * 1999-02-24 2002-08-06 Cryovascular Systems, Inc. Cryogenic angioplasty catheter
US6270493B1 (en) * 1999-07-19 2001-08-07 Cryocath Technologies, Inc. Cryoablation structure
US7527622B2 (en) * 1999-08-23 2009-05-05 Cryocath Technologies Inc. Endovascular cryotreatment catheter
US6575966B2 (en) * 1999-08-23 2003-06-10 Cryocath Technologies Inc. Endovascular cryotreatment catheter
US6551274B2 (en) 2000-02-29 2003-04-22 Biosense Webster, Inc. Cryoablation catheter with an expandable cooling chamber
US20030014095A1 (en) * 2001-03-02 2003-01-16 Kramer Hans W. Preparation of working fluid for use in cryotherapies
US6585728B2 (en) 2001-05-25 2003-07-01 Biosense Webster, Inc. Cryoablation catheter with an improved gas expansion chamber
JP2005503241A (ja) * 2001-09-27 2005-02-03 ガリル メディカル リミテッド クライオプラスティ装置および方法
US6989009B2 (en) * 2002-04-19 2006-01-24 Scimed Life Systems, Inc. Cryo balloon
US6955673B2 (en) 2002-08-16 2005-10-18 Cryocor, Inc. Heat transfer segment for a cryoablation catheter
US6893433B2 (en) 2002-12-11 2005-05-17 Cryocor, Inc.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 single step cryoablation
US7195625B2 (en) 2002-12-11 2007-03-27 Cryocor, Inc. Catheter system for performing a single step cryoablation
US6796979B2 (en) 2002-12-11 2004-09-28 Cryocor, Inc. Coaxial catheter system for performing a single step cryoablation
US6905493B2 (en) 2003-04-01 2005-06-14 Cryocor, Inc. Mechanically extended spiral cryotip for a cryoablation catheter
US6981382B2 (en) 2003-07-24 2006-01-03 Cryocor, Inc. Distal end for cryoablation catheters
US20050027289A1 (en) 2003-07-31 2005-02-03 Thomas Castellano Cryoablation systems and methods
US7104984B2 (en) 2003-08-22 2006-09-12 Cryocor, Inc. Reshapeable tip for a cryoprobe
WO2005063136A2 (en) 2003-12-22 2005-07-14 Ams Research Corporation Cryosurgical devices and methods for endometrial ablation
US7727228B2 (en) * 2004-03-23 2010-06-01 Medtronic Cryocath Lp Method and apparatus for inflating and deflating balloon catheters
US20050283146A1 (en) 2004-06-17 2005-12-22 Lentz David J Thermally extended spiral cryotip for a cryoablation catheter
US7156840B2 (en) 2004-06-29 2007-01-02 Cryocor, Inc. Pressure monitor for cryoablation catheter
US9814511B2 (en) 2006-06-28 2017-11-14 Medtronic Cryocath Lp Variable geometry cooling chamber
US8617149B2 (en) * 2006-10-02 2013-12-3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Common bond, double-balloon catheter
US20080312644A1 (en) * 2007-06-14 2008-12-18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Cryogenic balloon ablation instruments and systems
JP5562869B2 (ja) * 2008-01-11 2014-07-30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切除デバイスおよび使用方法
CA2719093A1 (en) 2008-03-13 2009-09-1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Cryo-ablation refrigerant distribution catheter
US8382746B2 (en) * 2008-11-21 2013-02-26 C2 Therapeutics, Inc. Cryogenic ablation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79890B2 (en) 2013-11-12
US9655667B2 (en) 2017-05-23
CA2719093A1 (en) 2009-09-17
US20090234345A1 (en) 2009-09-17
EP2265205A1 (en) 2010-12-29
US20140058369A1 (en) 2014-02-27
EP2265205B1 (en) 2016-04-27
WO2009114701A1 (en)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0654A (ko) 냉동절제 냉매 분배 카테터
US10070910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ryogenically ablating tissue and adjusting cryogenic ablation regions
US9861423B2 (en) Balloon design to enhance cooling uniformity
US7625369B2 (en) Method and device for epicardial ablation
EP1379292B1 (en) Cryoplasty apparatus
EP2259739B1 (en) Apparatus for uniformly distributing coolant within a cryo-ablation device
CN107349009B (zh) 用于肾神经调制的低温消融装置、系统及方法
US11806065B2 (en) Spray nozzle design for a catheter
ES2637165T3 (es) Criosonda multitubular flexible
US20060135953A1 (en) Tissue ablation system including guidewire with sensing element
US20080249522A1 (en) Irrigated Catheter with Improved fluid flow
US20150126986A1 (en) Apparatus and Methods Related to Constrained Deployment of Cryogenic Balloons for Limited Cryogenic Abiation of Vessel Walls
JPH09511414A (ja) 凍結マッピングおよび切除カテーテル
JP2005052630A (ja) 凍結融解壊死療法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220000533A1 (en) Spray nozzle design for a cath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