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8573A - Method for osd offering in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Method for osd offering in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8573A
KR20100138573A KR1020090057164A KR20090057164A KR20100138573A KR 20100138573 A KR20100138573 A KR 20100138573A KR 1020090057164 A KR1020090057164 A KR 1020090057164A KR 20090057164 A KR20090057164 A KR 20090057164A KR 20100138573 A KR20100138573 A KR 20100138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osd
displayed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1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유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7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8573A/en
Publication of KR20100138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857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4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reading from or writing on a non-volatile solid state storage medium, e.g. DVD, CD-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providing OSD(On Screen Display) of a display device is provided to change a display location of an OSD according to a state of an image, thereby efficiently transmitting the image and additional information OSD without covering an important part of the image. CONSTITUTION: The first image is displayed(S200). If a display condition of the second image is sensed, the second image is displayed through a location determined according to a state of the first image(S250). The first image is displayed on the entire display screen. The second image is displayed through one area of a display screen. A display location of the second image is determined by screen color mixing information based on color distribution of the first image.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의 OSD 제공 방법{Method for OSD offering in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providing OSD of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OSD offering in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상태에 따라 고정된 위치에 제공되는 OSD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장치의 OSD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viding an OSD of a display apparatus, which can change a display position of an OSD provided at a fixed position according to a state of an image output through the display apparatus.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에서 영상신호를 수신하거나 기록매체의 재생을 통해 획득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이다.The display apparatus is an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obtained by receiving an image signal from the outside or reproducing the recording medium.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지원하는 다양한 기능 및 재생되는 영상의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해주는 OSD(On Screen Display)를 제공한다. 상기 OSD는 문자, 기호 또는 그래픽적인 요소들의 혼합으로 구성되며, 영상에 중첩되거나 또는 단독으로 표시된다.In addition, the display apparatus provides an OSD (On Screen Display) for displaying various functions and information of a reproduced image on a screen. The OSD consists of a mixture of text, symbols, or graphical elements and is superimposed on an image or displayed alone.

한편, 영상과 중첩되어 표시되는 OSD의 경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지원하는 디양한 기능,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정보 및 시청 채널에서 제공중인 부가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보여줌으로써, 다른 명령 입력 및 영상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편리한 영상 시청을 지원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OSD that is displayed overlapping with the image, it displays information about the various functions supported by the display device, the information of the displayed image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provided by the viewing channel, thereby providing information on other command inputs and images. It will support convenient video viewing with reference.

하지만, 사용자의 빈번한 명령 입력으로 인한 지속적인 OSD 표시는 상기 OSD가 영상의 주요 부분과 겹치기 때문에 사용자의 영상 시청에 방해가 될 수 있다.However, continuous OSD display due to the frequent input of the user may interfere with the user's viewing of the image because the OSD overlaps the main part of the image.

예를 들어, TV 시청시 영상의 메인 제목이나 간단한 정보의 경우 화면의 우측 상단에 주로 표시되며, 비슷한 위치에 채널 변경에 따른 변경 채널 정보가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변경 채널 정보 및 영상의 메인 제목을 모두 확인할 수 없게 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watching TV, the main title or simple information of the video is mainly display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screen, and the changed channe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hannel change is displayed at a similar position, so that the user can change the channel information and the main title of the video. You will not be able to see all of them.

또한, 현재 시청중인 채널에서 데이터 방송을 제공하는 경우, 방송국으로부터 제공되는 OSD를 고정된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데, 이때 상기 고정된 영역에 상기 제공되는 OSD와 유사한 색상의 영상이 제공되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OSD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data broadcasting is provided on a channel that is currently being viewed, an OSD provid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is displayed through a fixed area. In this case, when an image of a color similar to the provided OSD is provided to the fixed area, the us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SD cannot be easily identifi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상태에 따라 OSD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해주어, 상기 영상의 중요 부분을 가리지 않고 사용자에게 상기 영상 및 OSD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해줄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position of the OSD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imag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so that the image and the OSD information can be efficiently delivered to the user without selecting an important part of the image.

또한, 방송국에서 제공되어 고정된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는 OSD의 경우, 새롭게 결정된 디스플레이 위치를 통해 상기 방송국에서 제공된 OSD와 대응되는 자체 제작한 OSD를 디스플레이해줄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OSD provided by a broadcasting station and displayed at a fixed position, the OSD may display a self-produced OSD corresponding to the OSD provided by the broadcasting station through a newly determined display position.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oposed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are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oposed embodiments belong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Can be understoo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OSD 제공 방법은 제 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제 2 영상의 디스플레이 조건이 감지되면, 상기 제 1 영상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 특정 위치를 통해 상기 제 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OSD provid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isplaying a first image; And if the display condition of the second image is detected, displaying the second image through a specific positio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irst imag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OSD 제공 방법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상태에 따라 각종 부가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OSD의 디스플레이위치를 변경해주어, 상기 영상의 중요 부분을 가리지 않고 사용자에게 상기 영상 및 부가정보 OSD를 효율적으로 전달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OSD provid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the display position of the OSD for providing a variety of additi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imag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without covering the important part of the imag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fficiently deliver the image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OSD to the user.

제안되는 실시 예에 대해서 기술하여 본다.The propos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 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other inventions which are further deteriorated by addition, change, deletion, etc. of other components, or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ade. I can suggest.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 두고자 한다.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as selected as a general term widely used as possible, but in some cases, the term i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name of a simple term It should be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nderstood as a meaning of terms.

즉,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In other word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word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f other elements or steps than those lis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 수신부(100), 영상 처리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저장부(130), 화면 배색 판단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receiving unit 100, an image processing unit 110, a display unit 120, a storage unit 130, a screen color determination unit 140,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ler 150.

영상 수신부(100)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한다.The image receiver 100 receives an imag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즉, 상기 영상 수신부(100)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튜너,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아날로그 튜너,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디지털 외부 신호 입력 단자 및 아날로그 외부 신호 입력 단자와, PVR(Personal Video Recorder) 및 DVR(Digital Video Recorder) 같은 디지털 녹화기일 수 있다.That is, the image receiver 100 includes a digital tuner for receiving a digital broadcast signal, an analog tuner for receiving an analog broadcast signal, a digital external signal input terminal and an analog external signal input terminal to which an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and a personal video recorder. ) And a digital recorder such as a digital video recorder (DVR).

여기에서, 상기 디지털 외부 신호 입력 단자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신호용 입력 단자 또는 DVD 같은 디지털 외부 재생기가 연결될 수 있는 단자이며, 상기 아날로그 외부 신호 입력 단자는 VCR 신호 입력 단자 또는 아날로그 케이블 방송 신호용 입력 단자일 수 있다.Here, the digital external signal input terminal may be a terminal to which a digital external player such as a digital cable broadcast signal input terminal or a DVD may be connected, and the analog external signal input terminal may be a VCR signal input terminal or an input terminal for analog cable broadcast signal. .

또한, 상기 디지털 튜너는 디지털 방송용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인 전송 스트림(TS: Tarnsport Stream)들 중 사용자 선택에 의해 원하는 채널의 전송 스트림을 동조한다. 상기 아날로그 튜너는 아날로그 방송용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들인 영상 프로그램들 중 사용자 선택에 의해 원하는 채널의 영상 프로그램을 동조한다. The digital tuner tunes a transport stream of a desired channel by user selection among transport streams (TSs), which are digital broadcast signals input through a digital broadcast antenna. The analog tuner tunes a video program of a desired channel by user selection among video programs, which are analog broadcast signals input through an analog broadcast antenna.

이에 따라, 상기 영상 수신부(100)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는 실시간 방송중인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외부 재생기로부터 입력된 재생 프로그램, 녹화 프로그램 및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송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인 경우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를 포함하며,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포함한다.Accordingly, the data received through the image receiving unit 100 may include analog television broadcasting programs, digital broadcasting programs, playback programs input from an external player, recording programs, and cable broadcasting programs in real time. Here, the broadcast data includes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and data in the case of a digital signal, and includes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in the case of an analog signal.

또한, 상기 영상 수신부(100)는 TV, 퍼스널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또는 휴대폰과 같은 외부 장치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가 소정의 JPEG 압축 모듈을 이용해서 압축된 후 블루투스 또는 무선 랜을 통해서 전송된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영상 수신부(100)는 블루투스 수신 모듈 또는 무선 랜 수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블루투스 또는 무선 랜 전송방식을 예로 들었으나, 디스플레이 장치와 근거리에 있는 컴퓨터, 이동단말기 또는 가전제품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쌍방향으로 실시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규격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image receiving unit 100 is an image displayed throug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TV, personal computer,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or a mobile phone is compressed using a JPEG compression module and then via Bluetooth or WLAN. It may also serve to receive the transmitted digital image data. Therefore, the image receiving unit 100 may include a Bluetooth receiving module or a wireless LAN receiving module.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luetooth or wireless LAN transmission method is taken as an example,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communication standard for wirelessly connecting to a display device and a computer, a mobile terminal, or a home appliance that enables real-time communication in two directions. .

또한, 상기 영상 수신부(100)는 USB 포트 또는 메모리 카드 슬롯을 포함하여,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영상 기록 매체로부터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메모리 카드로는 CF 카드(Compact Flash Card), SM 카드(Smart Media Card),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MMC 카드(Multimedia Card), 마이크로 드라이브(Micro Drive), XD 픽쳐 카드, 또는 SD 카드(Secure Digital Card)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receiving unit 100 may include a USB port or a memory card slot to receive recorded image data from an image recording medium such as a digital camera. Here, the memory card may be a Compact Flash Card (CF) card, an SM Card (Smart Media Card), a Memory Stick, a MMC Card (Multimedia Card), a Micro Drive, an XD Picture Card, or May include an SD card (Secure Digital Card)

상기 영상 수신부(100)를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는 영상 처리부(110)를 통해 신호처리된 후,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The data output through the image receiving unit 100 is signal-processed through the image processing unit 110 and th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이때, 상기 영상 처리부(110)는 비디오 처리부 및 오디오 처리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비디오 처리부는 MPEG-2 디코더와,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출력장치의 출력규격에 맞는 수직주파수, 해상도, 화면비율 등에 맞도록 변환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image processing unit 110 includes a video processing unit and an audio processing unit, and the video processing unit converts the video data into an MPEG-2 decoder and a vertical frequency, resolution, aspect ratio, etc. according to the output standard of the video output device. It includes a scaler.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110)에는 OSD(On Screen Display)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 전달하는 OSD 생성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OSD 데이터는 문자 메시지 또는 그래픽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문자 메시지는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에 대한 부가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OSD 데이터는 현재 선택된 채널에 대한 채널정보나, 상기 채널에 포함된 기타 부가 기능에 대응되는 정보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부가 기능에 대응되는 정보에는 상기 선택된 채널에 따라 데이터 방송 제공 여부, 5.1 CH 지원 여부 및 기타 자막 정보 등이 존재한다.In addition, the image processor 110 may further include an OSD generator (not shown) which generates OSD (On Screen Display) data and transmits the generated OSD to the display unit 120. The OSD data may be a text message or a graphic message. The text message may b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displayed data. In addition, the OSD data may be channel information on a currently selected channel 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other additional functions included in the channel. In this ca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function includes whether data broadcasting is provided, whether 5.1 CH is supported, and other subtitl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lected channel.

이하, 상기 영상 수신부(100)를 통해 수신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제 1 영상이라 하고, 상기 제 1 영상을 제외한 기타 영상을 제 2 영상이라 한다. 즉, 상기 제 2 영상에는 상기 기재된 OSD 데이터가 대표적으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an image received through the image receiving unit 100 and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20 is called a first image, and other images except the first image are referred to as a second image. That is, the OSD data may be representatively included in the second image.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용 가능하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20 may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display modules such as digital light processing (DLP), liquid crystal display (LCD), plasma display panel (PDP), and the like.

저장부(13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구동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저장부(130)에는 여러 가지 상황에 대비하여 자체 제작된 제 2 영상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저장부(140)는 쓰기 및 읽기가 가능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및 대용량 저장매체인 HDD(Hard Disk Drive)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30 stores various driving programs for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a second image that is manufactured in preparation for various situations. In this case, the storage 140 may be implemented by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and a hard disk drive (HDD) which is a mass storage medium.

화면 배색 판단부(14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제 1 영상에 대한 화면 배색 상태를 확인한다.The screen color determination unit 140 checks the screen color status of the first imag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20.

즉,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장치는 ADC Calibration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That is, a general display device provides an ADC calibration function.

상기 ADC Calibration 기능은 제 1 영상의 해상도 크기만큼(예를 들어, 1920*1080)의 비디오 메모리를 구비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영상의 각 좌표 값에 해당하는 RGB값을 판단하여 화이트(white(235)) 색상과 블랙(Black(16)) 색상의 차이(219)를 목표 값으로 하여 입력 영상의 화질을 조정해주는 기능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패턴인식이라고 네이밍되어 사용되고 있다.The ADC calibration function includes a video memory corresponding to the resolution size of the first image (for example, 1920 * 1080), and determines an RGB value corresponding to each coordinate value of the first image by using the video memory. (235)) This function adjusts the image quality of the input video by setting the difference 219 between the color and the black (16) color as a target value. this is Generally, it is named after pattern recognition and used.

즉,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에는 입력 영상의 각 좌표에 대한 RGB 값을 읽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 영상의 각 영역에 대한 색 분포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That is, since the display apparatus can generally read the RGB values of the respective coordinates of the input image, the color distribution of each region of the first image can be determined.

결론적으로, 상기 화면 배색 판단부(140)는 상기 입력되는 제 1 영상의 각 영역에 대한 RGB 값을 읽어 색 분포도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영상의 화면 배색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As a result, the screen color determination unit 140 reads the RGB values of the respective areas of the input first image to check the color distribution, and accordingly the screen color information of the first image.

또한, 상기 화면 배색 판단부(140)는 상기 제 1 영상에 대한 휘도 분포도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을 연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reen color determination unit 140 may calculate a histogram indicating the luminance distribution of the first image.

즉, 상기 화면 배색 판단부(140)는 상기 제 1 영상을 일정 개수의 셀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셀을 기준으로 일정 개수의 셀을 하나의 블록으로 지정하여, 각 지정 블록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면 배색 판단부(140)는 상기 연산된 히스토그램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영상 중 중요도가 가장 낮은 영역, 다시 말해서 여백을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에 대응되는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That is, the screen color determination unit 140 divides the first image into a predetermined number of cells, designates a predetermined number of cells as one block based on the divided cells, and calculates a histogram for each designated block. can do. The screen color determination unit 140 may identify a region having the lowest importance among the first images, that is, a region corresponding to a histogram indicating a margin, based on the calculated histogram.

제어부(15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즉,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수신되는 제 1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의 전체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또한 제 2 영상의 디스플레이 조건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 배색 판단부(140)의 판단 결과에 의거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의 전체 영역 중 가장 밝은 색상의 영상이 표시되는 특정 영역을 통해 상기 제 2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That is,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received first image to be displayed through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unit 120, and when the display condition of the second image is detected, the screen color determination unit 140. Based on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second image is displayed through a specific area in which the brightest color image is displayed among the entire areas of the display screen.

여기에서, 상기 제 2 영상의 디스플레이 조건은 상기 제 1 영상 위에 상기 제 1 영상을 제외한 다른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모든 조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영상의 디스플레이 조건에는 채널 전환, 볼륨 레벨 변경, 메뉴항목 선택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영상 수신부(10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에 부가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부가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알리기 위한 조건이 될 수 있다.Here, the display condition of the second image includes all the conditions under which other images except the first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first image. For example, the display condition of the second image may include a case in which an event such as channel switching, volume level change, menu item selection, etc. occurs, and additional data is included in data received through the image receiving unit 100. If so, it may be a condition for notify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additional data.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OSD 제공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SD providing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OSD 제공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step-by-step method of providing an OSD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에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OSD 제공 방법은 영상 수신부(100)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제 1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1 영상은 영상 처리부(110)를 통해 신호처리되어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200단계).As shown in FIG. 2, in the OSD providing method of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receiving unit 100 receives a first image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nd the received first image is an image processing unit ( The signal is processed through 110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120 (step 200).

제어부(150)는 상기 제 1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제 2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기 위한 조건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10단계). 즉, 상기 제어부(150)는 외부로부터 채널 전환 명령 및 볼륨 레벨 변경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였거나, 상기 제 1 영상이 제공되는 채널에서 기타 부가 정보가 제공되고 있는지를 체크한다.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whether a condition for displaying the second image is detected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image is displayed (step 210). That is, the controller 150 checks whether an event such as a channel change command and volume level change has occurred from the outside or other additional information is provided in the channel in which the first image is provided.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에서 제 2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기 위한 조건이 감지되었다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제 1 영상의 색 분포도에 따른 화면 배색 정보가 확인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화면 배색 판단부(140)는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영상의 색 분포도에 따른 화면 배색 정보를 확인한다(220단계). 즉, 상기 화면 배색 판단부(140)는 상기 제 1 영상의 각 좌표값에 대한 RGB 레벨 값을 확인하여, 해당 좌표에 대한 배색 정보를 확인한다. If the condition for displaying the second image is detected, the controller 150 outputs a control signal so that screen colo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lor distribution of the displayed first image is checked, and the screen color determination unit 140 is provided. In operation 220, the screen color match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lor distribution of the first image is check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50. That is, the screen color determination unit 140 checks the RGB level value of each coordinate value of the first image, and confirms color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oordinates.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화면 배색 판단부(140)를 통해 확인된 화면 배색 정보에 의거하여, 가장 밝은 색상을 가진 영역을 확인한다(230단계). 즉,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확인된 RGB 값에 의거하여 화이트 색상에 가장 가까운 RGB 값이 검출된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영역에 대한 좌표값을 확인한다(240단계). 여기에서, 즉 상기에서 가장 밝은 색상을 가진 영역은 상기 제 1 영상 중에서 가장 중요도가 낮은 부분이라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 1 영상 중 여백을 나타내는 부분이나 실제 등장인물이 아닌 기타 배경 영상이 제공되는 부분이 가장 밝은 색상을 가지게 된다. In operation 230,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an area having the brightest color based on the screen color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screen color determination unit 140. That is, the controller 150 checks the area where the RGB value closest to the white color is detected based on the checked RGB value, and checks the coordinate value of the checked area (step 240). Here, the brightest color region may be the least important portion of the first image, for example, a portion representing a margin of the first image or another background image that is not an actual character. The part where it becomes will have the brightest color.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에서 가장 밝은 색상을 가진 영역이 아닌 디스플레이될 제 2 영상의 배색 정보에 따라 상기 제 2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될 제 2 영상이 밝은 색상을 가진 영상이고, 상기 제 1 영상에서 가장 밝은 색상을 가진 영역에 상기 제 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면, 상기 제 1 영상과 제 2 영상의 배색 유사로 인해 상기 제 1 영상 내에서 상기 제 2 영상의 식별이 힘들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may determine a position where the second image is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color scheme information of the second image to be displayed instead of the area having the brightest color. That is, when the second image to be displayed is an image having a bright color, and the second image is displayed in a region having the brightest color in the first image, the second image to be displayed may have a color scheme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It may be difficult to identify the second image in the first image.

따라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감지된 제 2 영상의 디스플레이 조건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제 2 영상에 대한 화면 배색 정보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상기 확인된 제 2 영상의 배색 정보와 상기 제 1 영상의 영역별 배색 정보의 유사도에 따라 가장 차이가 많이 나는 영역을 상기 제 2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영역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150 confirms screen color scheme information for the second image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detected display condition of the second image, and accordingly, the color scheme information of the checked second image and the first image are determined. The region having the mos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imilarity of color schem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may be determined as the region where the second image is to be displayed.

이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확인된 좌표값, 다시 말해서 상기 결정된 제 2 영상의 디스플레이 위치에 상기 제 2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250단계).Subsequently, the controller 150 displays the second image at the determined coordinate value, that is, the display position of the determined second image (step 25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OSD 제공 방법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상태에 따라 각종 부가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OSD의 디스플레이위치를 변경해주어, 상기 영상의 중요 부분을 가리지 않고 사용자에게 상기 영상 및 부가정보 OSD를 효율적으로 전달해줄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and the OSD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changing the display position of the OSD for providing various additi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imag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The image and additional information OSD can be efficiently delivered to the user without being obscured.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OSD 제공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 2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1 실시 예와 상이한 부분만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상기 제 1 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그대로 인용할 것이다.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step-by-step method of providing an OSD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in the second embodiment, only the part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for the same parts as the first embodiment,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cited as it is.

상기 제 1 실시 예에서는 제 2 영상을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자체 생성하고, 이를 제 1 영상의 화면 배색에 따라 결정된 디스플레이 위치에 디스플레이하였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image is generated by th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positio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creen color scheme of the first image.

그러나, 제 2 실시 예에서는 제 2 영상을 외부로부터 전송받고, 상기 전송받은 제 2 영상에 대해 고정적으로 설정된 위치에 대응되는 제 1 영상의 화면 배색 정보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상기 고정적으로 설정된 위치에 상기 전송된 제 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변경 설정된 디스플레이 위치에 자체적으로 제작한 제 3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에서 제 3 영상은 상기 전송받은 제 2 영상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한 OSD 영상을 의미한다.However,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econd image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the screen coloriz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xedly se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received second image is confirmed, and accordingly, The second image is displayed or the third image produced by itself is displayed at the changed display position. The third image refers to an OSD image produced by the display apparatus in response to the received second imag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OSD 제공 방법은 먼저 상기 영상 수신부(100)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제 2 영상을 수신한다(300단계). 여기에서, 상기 제 2 영상은 제 1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채널에서 데이터 방송이 제공되는 경우, 방송국에서 상기 채널에서 데이터 방송을 제공하고 있음을 알리고 위해 제작한 OSD 정보이다. 여기에서, 종래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상기 방송국에서 제공되는 제 2 영상을 단순히 수신하여 단순히 고정되어 설정된 디스플레이위치에 상기 전송되는 제 2 영상을 디스플레이해주기만 하였다. 즉, 상기 제 2 영상에 대한 디스플레이 위치는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없 었다.As shown in FIG. 3, in the OSD providing method of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receiving unit 100 first receives a second image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step 300). Here, when the data broadcast is provided in the channel where the first image is displayed, the second image is OSD information produced for notifying that the broadcast station is providing data broadcast in the channel. Here, the conventional display apparatus merely receives the second image provided by the broadcasting station and simply displays the transmitted second image at a fixed display position. That is, the display position of the second image cannot be arbitrarily changed by the user.

상기 제 2 영상이 수신되면, 화면 배색 판단부(140)는 상기 수신된 제 2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위치(고정적으로 설정된 위치)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제 1 영상에 대한 화면 배색 정보를 확인한다(310단계). When the second image is received, the screen color determination unit 140 checks screen color scheme information on the first image being displayed at a position (fixed position) where the received second image is to be displayed (step 310). ).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확인된 제 1 영상에 대한 화면 배색 정보와, 상기 수신된 제 2 영상의 화면 배색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두 영상의 화면 배색 정보가 유사한 값을 가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320단계).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150)는 실질적으로 색상 차이에 따라 서로 겹쳐져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대한 인식도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정도의 색상 차이 값을 기준 값으로 지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두 영상의 화면 배색 정보가 상기 지정된 기준 값을 초과하는지, 아니면 상기 기준 값 이내의 차이를 가지는지를 확인한다.The controller 150 compares the screen color scheme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first image and the screen color scheme information of the received second image, and determines whether the screen color scheme information of the two images has a similar value. Check (step 32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50 checks the recognition degree of the displayed image by overlapping each other substantially according to the color difference, and accordingly designates a color difference value of the degree that the user can normally recognize as a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whether screen colorization information of the two images exceeds the specified reference value or has a difference within the reference value.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두 영상의 화면 배색 정보가 지정된 기준 값 이상의 차이를 가지면, 상기 고정 설정된 위치에 상기 수신된 제 2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330단계).If the screen colorization information of the two images has a difference of more than a specified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150 displays the received second image at the fixed location (step 33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영상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image screen form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의 전체 영역(400)을 통해서는 상기 영상 수신부(100)를 통해 수신되는 제 1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영역(410)을 통해서는 상기 제 1 영상이 제공되는 채널에서 전송한 제 2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 2 영상은 해당 영상의 제공 업체에서 지정한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image received through the image receiving unit 100 is displayed through the entire area 400 of the display screen, and the first image is received through the area 410 of the display screen. The second image transmitted from the channel provided with the first image is displayed. Here, the second image is displayed at a location designated by the provider of the corresponding image.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두 영상의 화면 배색 정보가 지정된 기준 값 이하의 차이를 가지면, 상기 고정 설정된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한 화면 배색 정보를 확인한다(350단계).In addition, if the screen color scheme information of the two images has a difference less than or equal to a specified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150 checks screen color scheme information for the remaining areas except for the fixed set position (step 350).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확인된 배색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영상 중 상기 제 2 영상의 화면 배색 정보가 가장 큰 차이 값을 가지는 영역에 대한 좌표값을 확인한다(350단계).In operation 350,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the coordinate value of the region having the largest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screen color scheme information of the second image based on the identified color scheme information.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확인한 좌표값을 시작지점으로 하여, 상기 수신된 제 2 영상에 대응하여 제작한 제 3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360단계).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displays the third image produced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econd image by using the checked coordinate value as a starting point (step 36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형성되는 제 3 영상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hird image screen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의 전체 영역(500)을 통해서는 상기 영상 수신부(100)를 통해 수신되는 제 1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영역(510)을 통해서는 상기 제 1 영상이 제공되는 채널에서 전송한 제 2 영상에 대응되는 제 3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 3 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내부에서 자체 제작한 영상으로, 이는 상기 전송된 제 2 영상을 참조하여 제작된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image received through the image receiving unit 100 is displayed through the entire area 500 of the display screen, and the first image is received through the area 510 of the display screen. A third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transmitted from the channel provided with the first image is displayed. Here, the third image is an image produced by the inside of the display apparatus, which is produced by referring to the transmitted second imag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OSD 제공 방법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상태에 따라 각종 부 가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OSD의 디스플레이위치를 변경해주어, 상기 영상의 중요 부분을 가리지 않고 사용자에게 상기 영상 및 부가정보 OSD를 효율적으로 전달해줄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and the OSD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changing the display position of the OSD for providing a variety of additi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imag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The image and additional information OSD can be efficiently delivered to the user without being obscur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OSD 제공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step-by-step method of providing an OSD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OSD 제공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step-by-step method of providing an OSD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영상화면을 나타낸 도면.4 is a view showing a second video screen form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형성되는 제 3 영상화면을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a third video screen form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제 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Displaying a first image; And 제 2 영상의 디스플레이 조건이 감지되면, 상기 제 1 영상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 특정 위치를 통해 상기 제 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장치의 OSD 제공 방법.If the display condition of the second image is detected, displaying the second image through a specific positio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irst imag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영상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전체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OSD 제공 방법.The method of providing an OSD of the display apparatus, wherein the first image is displayed through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scree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 영상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OSD 제공 방법.The method of providing an OSD of a display apparatus, wherein the second image is displayed through one region of a display scree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 영상의 디스플레이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제 1 영상의 색 분포도에 따른 화면 배색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OSD 제공 방법.And a display position of the second image is determined by screen color schem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lor distribution of the displayed first image.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 2 영상의 디스플레이 위치는 상기 제 2 영상의 화면 배색 정보와 상기 제 1 영상의 화면 배색 정보의 유사도에 의해 결정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OSD 제공 방법.And a display position of the second image is determined by the similarity between screen color scheme information of the second image and screen color scheme information of the first imag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 영상은 외부에서 전송된 OSD(On Screen Display) 영상인 디스플레이장치의 OSD 제공 방법.And the second image is an on-screen display (OSD) image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device.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 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Displaying the second image 상기 결정된 제 2 영상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고정 설정된 위치이면, 상기 위치에 상기 전송된 제 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OSD 제공 방법.And if the determined display position of the second image is a fixed position, displaying the transmitted second image at the position.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제 2 영상은 상기 전송된 OSD 영상에 대응되게 자체 제작한 OSD(On Screen Display) 영상인 디스플레이장치의 OSD 제공 방법.And the second image to be displayed is an on-screen display (OSD) image of a self-produc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OSD image.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 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Displaying the second image 상기 결정된 제 2 영상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고정 설정된 위치와 상이하면,상기 자체 제작한 OSD 영상을 상기 결정된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OSD 제공 방법.And if the display position of the determined second image is different from the fixedly set position, displaying the self-produced OSD image at the determined position.
KR1020090057164A 2009-06-25 2009-06-25 Method for osd offering in display apparatus KR2010013857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164A KR20100138573A (en) 2009-06-25 2009-06-25 Method for osd offering in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164A KR20100138573A (en) 2009-06-25 2009-06-25 Method for osd offering in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573A true KR20100138573A (en) 2010-12-31

Family

ID=43512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164A KR20100138573A (en) 2009-06-25 2009-06-25 Method for osd offering in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857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2842B2 (en) Imag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JP5783245B2 (en) How to display a video stream according to a customized format
US11659228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091246A2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system, transmission method and display method
US8599314B2 (en) Display device,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8730405B2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ler,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ntrol method
EP3099081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613556A1 (en)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xternal apparatus or an appratus connected to the external aparatus
US7372506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display on-screen display user-guide information about status of external device
US20120147025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thereof
JP5802766B2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JP2008122507A (en) Screen display processor, video display device, and osd display method
KR20100138573A (en) Method for osd offering in display apparatus
KR100715847B1 (en) Image displaying apparatus for displaying Personal Computer's picture and Personal Computer's picture display method thereof
CN103034405A (en) Display method for screen display frames
KR20110072542A (en) Display device and osd display method
JP2008160240A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20110052152A1 (en) Recorder and recording method
KR100731357B1 (en) Method of controlling picturequality and display processing apparatus thereof
KR102049861B1 (en) Multimedia and method for displaying a channel list in the same
KR20110018543A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p-synchronization of display apparatus
JP2009213023A (en) Display device, video-recording system, and video-recording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