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7848A -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fire extinguisher - Google Patents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fire extinguis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7848A
KR20100137848A KR1020090056081A KR20090056081A KR20100137848A KR 20100137848 A KR20100137848 A KR 20100137848A KR 1020090056081 A KR1020090056081 A KR 1020090056081A KR 20090056081 A KR20090056081 A KR 20090056081A KR 20100137848 A KR20100137848 A KR 20100137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er
fir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extinguish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0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희조
오세갑
최재명
이상헌
박동재
윤형오
한인구
Original Assignee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56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7848A/en
Publication of KR20100137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84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remote fire-extinguisher managing system is provid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a fire-extinguisher managing process by installing a location tracking module to each fire-extinguisher. CONSTITUTION: A plurality of fire extinguishers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sensors and transmitters and obtain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 operating and managing server(40) remotely controls each fire extinguisher based on the detected result of the sensors and the life expectancy inform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s. Relays(11, 21, 31) classify the fire extinguishers and forms group network. According to the group network, periodic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ng and managing server.

Description

소화기 원격관리 시스템{REMOTE MANAGEMENT SYSTEM FOR FIRE EXTINGUISHER}Fire extinguisher remote management system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방방재장비의 관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넓은 영역에 걸쳐 분포 배치된 다수 소화기들의 상태 관리 및 유지보수 관리를 원격에서 가능하게 해주는 소화기 원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management of firefighting disaster prevention equipment using a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mote fire extinguisher remote management system that enables the state management and maintenance management of a plurality of fire extinguishers distributed over a wide area.

일반적으로 소화기는 건물, 차량, 선박 등에 비치되어 화재 발생시 초기 진압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용기에 수용된 소화(消火)약제가 내부 압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이다.In general, fire extinguishers are widely used for extinguishing fires in buildings, vehicles, ships, etc., and have a structure in which a fir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d in a contain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internal pressure.

소화기가 화재 발생 시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용기 내에 소화약제가 충분히 구비되어야 하며, 용기의 내부 압력 또한 적정한 수준이어야 한다. 여기서, 용기의 내부 압력이 예를 들면 약 6∼7㎏/㎠ 이내를 유지하는 경우에만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하다.In order for a fire extinguisher to operate normally in case of fire, sufficient extinguishing agent should be provided in the container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should be adequate. Here, normal operation is possible only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vessel is maintained within, for example, about 6 to 7 kg / cm 2.

그러나, 용기에 수용된 소화약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고형화되는 경우가 있으며,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내부 압력이 기준 압력 이하로 감소되는 경우가 발 생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소화기의 정상적인 기능이 수행되지 못하여 화재의 발생시 초기 진압을 할 수 없어 대형의 화재로 연결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d in the container may be solidified with time and the internal pressure decreases below the reference pressure due to various causes. In this case, the fire extinguisher may not be able to perform its normal fun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suppressed in the early stage of the occurrence of a large fire.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건물, 차량, 선박 등에 비치되어 있던 소화기가 분실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는 초기 화재 진압에 있어 가장 큰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In some cases, fire extinguishers stored in buildings, vehicles, ships, and the like are frequently lost. This is the biggest problem in the initial fire suppression.

이상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소화기 상태 관리 및 유지보수 관리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된 화재의 신속한 대처가 불가능하였다.As mentioned above, the fire extinguisher status management and maintenance management are not performed in real time, so it is not possible to quickly cope with the generated fire.

즉, 소화약제의 고형화를 확인하거나 소화기 내부 압력을 확인하는 등 소화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소화기가 비치된 장소에 직접 가서 육안으로 확인해야하는 번거러움이 있는 것이다.That is, in order to check the extinguisher status such as confirming the solidification of the extinguishing agent or check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extinguisher, there is a hassle of having to go directly to the place where the extinguisher is provided and visually check.

또한, 만약 넓은 영역에 걸쳐 배치된 소화기들을 일괄적으로 관리하는 곳의 경우, 소화기의 분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각 소화기 배치 장소를 직접 담당자가 순찰을 해야 했다. 그러나 이러한 순찰이 매일 이루어질 수 없는 상황이라면 소화기의 분실 문제를 결코 해결할 수 없는 실정이다.In addition, if the fire extinguishers were deployed in a large area, a person in charge of each fire extinguisher was required to patrol the fire extinguisher. However, if such a patrol can not be done every day, the situation that can not solve the problem of the fire extinguisher.

결국, 종래에는 대형 건물이나 규모가 큰 대단위 아파트 단지 등에서 소화기 상태 관리 및 유지보수 관리를 위해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As a result, conventionally, a large building or a large apartment complex has a problem in that a large amount of time and manpower are required for fire extinguisher status management and maintenance management.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넓은 영역에 걸 쳐 배치된 소화기들에 대한 상태 관리 및 유지보수 관리를 실시간으로 원격에서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소화기 원격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e extinguisher remote management system that can effectively and remotely perform status management and maintenance management for fire extinguishers disposed over a wide area in real ti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 소화기들에 대한 상태 관리 및 유지보수 관리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에서 일괄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소화기 원격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e extinguisher remote management system that can collectively perform status management and maintenance management for a plurality of fire extinguishers remotely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다수 지점에 배치되는 소화기들을 원격에서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써, 상태 감지를 위한 다수 센서와,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결과와 함께 소화기 수명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기를 각각 구비하면서 고유한 식별정보가 부여되는 다수 소화기들과,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결과와 상기 소화기 수명 정보에 기반하여 소화기에 대한 개별적인 원격제어를 수행하는 운용관리서버와, 상기 소화기들을 그룹단위로 분류하여 다수 그룹망을 구성하고, 서로 인접한 그룹망 간에 신호 중계를 수행하여 상기 다수 소화기들에서 수집된 상태 감지 정보 및 상기 소화기 수명 정보를 상기 운용관리서버에 주기적으로 전달하는 중계기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A system for remotely managing fire extinguishers disposed at a plurality of points, each having a plurality of sensors for detecting a state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fire extinguisher life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results detected by the sensors, and having a plurality of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ire extinguishers, an operation management server for performing individual remote control of the fire extinguishers based on the results detected by the sensor and the life of the fire extinguishers, and the fire extinguishers are classified into group units to form a plurality of group networks and adjacent to each other. It includes a repeater for performing a signal relay between the group network to periodically transmit the state detecti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plurality of fire extinguishers and the fire extinguisher life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바람직하게, 상기 소화기들 각각의 배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위치 추적 모듈이 상기 소화기들 각각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 추적용 모듈은 지그비 태그(ZigBee Tag)와 지피에스(GPS) 수신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Preferably, a location tracking module for tracking the location of each of the fire extinguishers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fire extinguishers, and the location tracking module may be any one of a ZigBee Tag and a GPS receiver. Can be.

또한, 상기 중계기들 중 임의의 하나는 해당 그룹망 내에 배치된 소화기들의 배치 위치에 대한 추적 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운용관리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any one of the repeaters may periodically transmit tracking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s disposed in the group network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이에 따라, 상기 운용관리서버는 상기 전달받은 추적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그룹망 내에 속하는 소화기들에 대한 위치 이탈 여부를 체크하고, 해당 체크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may check whether the loc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s belonging to the group network on the basis of the received tracking information, and maintain the check information.

또한, 상기 운용관리서버는 상기 위치 이탈 여부를 체크하여 특정 그룹망 내에 속하는 특정 소화기가 위치 이탈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 해당 소화기의 위치 이탈 사실을 경보하기 위한 경보출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may be provided with an alarm output unit for checking the location deviation, if the specific fire extinguisher belonging to a specific group network is determined to be out of position, to alert the fact that the loc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바람직하게, 상기 소화기들 각각에 구비되는 상기 송신기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결과와 상기 소화기 수명 정보와 함께 상기 고유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해당 그룹망을 관장하는 중계기에 전송할 수 있다.Preferably, the transmitter provided in each of the fire extinguishers may transmit data includ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result detected by the sensor and the life of the fire extinguisher to a repeater that manages the corresponding group network.

바람직하게, 상기 소화기들 각각에 구비되는 센서들은 소화기 용기에 수용된 소화약제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와, 소화기 내부 압력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ensors provided in each of the fire extinguishers may include a sensor for detecting a state of 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d in the fire extinguisher container, and a sensor for detecting a pressure state inside the fire extinguisher.

바람직하게, 상기 소화기들 각각은 초기화 이후에 자동 카운트를 실시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에 의해 카운트된 시간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소화기 수명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특히 상기 제어부는 소화기 수명에 관련된 기준 시점을 설정한 후에 상기 타이머의 의해 카운트된 시간이 상기 기준 시점으로부터 얼마나 이전인지 또는 얼마나 경과했는지를 나타내는 상기 소화기 수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 시점은 소화기 용기에 수용된 소화약제의 고형화 기간이나 소화기의 일반적 수명 기간일 수 있다.Preferably, each of the fire extinguishers may further include a timer for performing an automatic count after initialization 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the fire extinguisher life information based on the time information counted by the timer. After setting the reference time point related to the lifetime, the fire extinguisher life information indicating how long or how long the time counted by the timer is from the reference time point may be generated. Here, the reference time point may be the solidification period of 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d in the extinguisher container or the general life span of the extinguisher.

바람직하게, 상기 중계기들 중 제2그룹망을 관장하는 제2중계기는, 상기 제2그룹망에 인접한 제1그룹망을 관장하는 제1중계기로부터 수신한 상태 감지 정보 및 상기 소화기 수명 정보에 상기 제2그룹망에 속하는 소화기들로부터 수집한 상태 감지 정보 및 소화기 수명 정보를 부가하여 상기 운용관리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제1중계기는 상기 제1그룹망에 속하는 소화기들로부터 수집한 상태 감지 정보 및 소화기 수명 정보를 상기 제2중계기로 전송한 후에 정해진 시간 내에 ACK 신호를 상기 제2중계기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그룹망에 속하는 소화기들로부터 수집한 상태 감지 정보 및 소화기 수명 정보를 상기 운용관리서버에 직접 전송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econd repeater that manages a second group network of the repeaters, the state detec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repeater that manages the first group network adjacent to the second group network and the fire extinguisher life information in the first Status detection information and fire extinguisher life information collected from fire extinguishers belonging to the two-group network can be added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However, if the first repeater does not receive an ACK signal from the second repeater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ransmitting the state detection information and the fire extinguisher lif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fire extinguishers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network to the second repeater, Status detection information and fire extinguisher life information collected from fire extinguishers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network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바람직하게, 상기 운용관리서버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해당하는 상기 상태 감지 정보와 상기 소화기 수명 정보에 기반하여 각 소화기의 교체 여부와 각 소화기내 소화약제의 교체 여부와 각 소화기 내부 압력 상태와 각 소화기내 소화약제의 상태를 판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판정 결과에 따른 유지보수를 위한 경보를 출력하는 표시부 및 경보출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is based on the state det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sult detected by the sensor and the life of the fire extinguisher, whether to replace each fire extinguisher, whether to replace the extinguishing agent in each fire extinguisher and the pressure state inside each fire extinguisher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 state of the extinguishing agent in each fire extinguisher,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n alarm for maintenan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control unit, and an alarm output unit.

바람직하게, 상기 운용관리서버는 상기 제어부에 의한 판정 결과를 미리 등록된 이동통신 식별번호나 인터넷프로토콜(IP) 주소나 전자메일주소로 통보하는 송신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ssion unit for notifying the determination result by the control unit to a mobil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number, an Internet protocol (IP) address or an e-mail address registered in advance.

바람직하게, 상기 운용관리서버는 상기 다수 소화기들에 대한 배치 지도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배치 지도는 각 소화기들의 실제 배치 위치를 전자지도에 표시한 것이다.Preferably,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arrangement map for the plurality of fire extinguishers, the arrangement map is to display the actual arrangement position of each fire extinguisher on the electronic map.

본 발명은 넓은 영역에 걸쳐 배치된 소화기들에 대해, 소화기 내부 압력 불량, 소화기 교체, 소화약제 교체, 그리고 소화기 위치 이탈 등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원격에서 관리할 수 있어서, 소화기 상태 관리 및 유지보수 관리를 위해 소요되던 시간과 인력을 현저히 절약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aged remotely in real time through the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the fire extinguishers disposed over a wide area, such a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e extinguisher, the replacement of the fire extinguisher, the replacement of the extinguishing agent, and the posi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remotely, thereby managing and maintaining the state of the fire extinguisher. Significantly save time and manpower spent on maintenance.

또한, 다수 소화기들에 대한 상태 관리 및 유지보수 관리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에서 일괄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면서도, 각 소화기에 대한 개별적인 상태 체크가 가능하므로, 소화기 내부 압력 불량, 소화기 교체, 소화약제 교체, 그리고 소화기 위치 이탈 등의 다양한 이벤트에 대해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tus management and maintenance management of a large number of fire extinguishers can be collectively performed remotely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individual status checks are possible for each fire extinguisher. And rapid response to a variety of events, such as firearms out of position.

결국, 다수 소화기들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를 통해 화재 발생 시 초기 화재 진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efficient management of multiple fire extinguishers can provide a foundation for smooth initial fire suppression in the event of a fire.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onfiguration and an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and described by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s at least one embodi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ssential structure and action are not limi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원격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다이어그램으로, 다수 지점에 배치되는 소화기들을 원격에서 관리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e extinguisher remot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a system for remotely managing fire extinguishers disposed at multiple point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원격관리 시스템은 각 그룹망을 구성하는 다수 소화기들(10A∼10K, 20A∼20M, 30A∼30N) 및 중계기들(11,21,31), 그리고 운용관리서버(40)로 구성된다. 여기서, 각 소화기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fire extinguisher remot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fire extinguishers (10A to 10K, 20A to 20M, 30A to 30N) and repeaters (11, 21, 31), and the operation of each group network It consists of a management server (40). Here, the configuration of each fire extinguish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각 소화기(10A∼10K, 20A∼20M, 30A∼30N)는 고유한 식별정보를 가지며, 소화기 용기에 수용된 소화약제의 상태나 소화기 내부 압력 상태 등의 소화기 상태 감지를 위한 센서들과, 그 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결과와 내부 타이머에 의해 카운트된 소화기 수명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기를 구비한다. 이러한 소화기(10A∼10K, 20A∼20M, 30A∼30N)에 대한 상세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Each fire extinguisher 10A to 10K, 20A to 20M, and 30A to 30N hav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ensors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fire extinguisher such as the state of 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d in the fire extinguisher container or the pressure inside the fire extinguisher, and the sensors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ing to the results detected by the fire extinguisher life counted by the internal timer. The details of these fire extinguishers 10A-10K, 20A-20M, 30A-30N are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

한편, 본 발명에서는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해 다수 소화기들(10A∼10K, 20A∼20M, 30A∼30N)이 중계기들(11,21,31)에 의한 그룹망을 형성한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multiple fire extinguishers 10A to 10K, 20A to 20M, and 30A to 30N form a group network by repeaters 11, 21, and 31 for efficient data transmission.

즉, 다수 소화기들(10A∼10K, 20A∼20M, 30A∼30N)은 그룹단위로 분류되어, 하나의 중계기에 의해 하나의 그룹망을 구성한다. That is, a plurality of fire extinguishers 10A to 10K, 20A to 20M, and 30A to 30N are classified into group units, thereby forming one group network by one repeater.

도 1에서는 세 개의 그룹망을 형성하는 예를 도시하며, 제1 중계기(11)가 소화기(10A∼10K)를 포함하는 제1 그룹망을 형성하고, 제2 중계기(21)가 소화기(20A∼20M)를 포함하는 제2 그룹망을 형성하고, 제3 중계기(31)가 소화기(30A∼30N)를 포함하는 제3 그룹망을 형성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1 shows an example of forming three group networks, wherein the first repeater 11 forms a first group network including fire extinguishers 10A to 10K, and the second repeater 21 includes fire extinguishers 20A to The example which forms the 2nd group network containing 20M) and the 3rd repeater 31 forms the 3rd group network containing fire extinguisher 30A-30N is shown.

제1 내지 3 중계기(11,21,31)는 자신의 그룹망에 속하는 소화기들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집하며, 그 수집된 데이터를 운용관리서버(40)에 전달한다. 여기서 그룹망에 속하는 소화기들로부터 수집하는 데이터는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태 감지 결과와 내부 타이머에 의해 카운트된 소화기 수명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The first to third repeaters (11, 21, 31) collect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fire extinguishers belonging to its group network, and transfers the collected data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40). Here, the data collected from the fire extinguishers belonging to the group network includes the state detection result detected by the sensor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e extinguisher life counted by the internal timer.

특히 제1 내지 3 중계기(11,21,31)는 수집된 데이터를 운용관리서버(40)에 직접 무선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서로 인접한 그룹망 간에 신호 중계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도 실시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중계기와 운용관리서버(40) 간에 데이터 전송이 직접 통신에 의한 전송 방식과 중계 통신에 의한 전송 방식을 모두 지원한다. In particular, the first to third repeaters (11, 21, 31) may wirelessly transmit the collected data directly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4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also performs more efficient data transmission through signal relay between adjacent network groups.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repeater and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40 supports both the transmission method by direct communication and the transmission method by relay communication.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중계 통신에 의한 전송 방식을 디폴트(Default)로 적용하되, 중계기 간에 통신이 단절되는 경우에는 최종 중계단에서 직접 운용관리서버(40)에 전송하는 방식을 채택한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method by the relay communication is applied as a default, but when the communication is disconnected between the repeaters, the transmission method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40 at the final relay step.

도 1의 예를 들면, 제1 중계기(11)는 수집된 데이터를 제2 중계기(21)에 중계하며, 제2 중계기(21)는 제1 중계기(1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자신의 제2 그룹망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부가하여 제3 중계기(31)로 중계한다. 그러면, 제3 중계기(31)는 제2 중계기(2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자신의 제3 그룹망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부가하여 운용관리서버(40)로 전달한다. 결국, 운용관리서버(40)가 제3 중계기(3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는 제1 내지 3 중계기(11,21,31)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모두 포함한다. 한편, 각 소화기는 고유한 식별정보가 부여되어 있어서, 각 소화기가 중계기에 전송하는 정보에는 소화기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운용관리서버(40)는 제3 중계기(3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파싱(Parsing)하여 소화기에 대한 개별적인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In the example of FIG. 1, the first repeater 11 relays the collected data to the second repeater 21, and the second repeater 21 transmits its own second data to the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repeater 11. The data collected in the group network is added and relayed to the third repeater 31. Then, the third repeater 31 add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third group network to the data received from the second repeater 21 and transmits the collected data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40. As a result, the data received from the third repeater 31 by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40 includes all of the data collected by the first to third repeaters 11, 21, and 31. On the other hand, each fire extinguisher is given a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ach fire extinguish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repeater. Accordingly,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40 may determine the individual state of the fire extinguisher by pars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third repeater 31.

그런데, 만약 제1 중계기(11)와 제2 중계기(21) 간의 유무선 통신 환경이 불량하여 제2 중계기(21)가 제1 중계기(1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라면, 제1 중계기(11)는 자신의 제1 그룹망에서 수집된 데이터만을 운용관리서버(40)로 전송하며, 제2 중계기(21)는 자신의 제2 그룹망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제3 중계기(31)로 중계한다. 그러면, 제3 중계기(31)는 제2 중계기(2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자신의 제3 그룹망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부가하여 운용관리서버(40)로 전달한다. However, if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between the first repeater 11 and the second repeater 21 is poor and the second repeater 21 does not receive data from the first repeater 11, the first repeater 11 ) Transmits only the data collected from its first group network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40, and the second repeater 21 relays the data collected from its second group network to the third repeater 31. . Then, the third repeater 31 add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third group network to the data received from the second repeater 21 and transmits the collected data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40.

또 다른 예로써, 만약 제2 중계기(21)와 제3 중계기(31) 간의 유무선 통신 환경이 불량하여 제3 중계기(31)가 제2 중계기(2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라면, 제2 중계기(21)는 제1 중계기(1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자신의 제2 그룹망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부가하여 운용관리서버(40)로 전송하며, 제3 중계기(31)는 자신의 제3 그룹망에서 수집된 데이터만을 운용관리서버(40)로 전송한다.As another example, if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between the second repeater 21 and the third repeater 31 is poor and the third repeater 31 does not receive data from the second repeater 21, the second The repeater 21 adds the data collected from its second group network to the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repeater 11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40, and the third repeater 31 has its third Only data collected in the group network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40).

상기에서, 중계기들 간의 통신 가능 여부는 ACK 신호의 수신 여부로부터 판정한다. 즉, 제1 중계기(11)는 제2 중계기(21)로 데이터를 전송한 후 정해진 시간 내에 제2 중계기(21)로부터 ACK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제2 중계기(21)는 제3 중계기(31)로 데이터를 전송한 후 정해진 시간 내에 제3 중계기(31)로부터 ACK 신호를 수신한다. 그 ACK 신호가 정해진 시간 내에 수신되면 정상적인 전송으로 판정하며, 반면에 정해진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비정상적인 전송으로 판정한다. 이와 같이 중계기 간 비정상적인 전송이 발생할 경우, 중계 통신에 의한 전송 방식에 직접 통신에 의한 전송 방식을 부가적으로 채용하여 데이터 전송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In the above, it is determined whether communication between the repeaters is possible from the reception of the ACK signal. That is, the first repeater 11 receives the ACK signal from the second repeater 21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ransmitting data to the second repeater 21. In addition, the second repeater 21 receives the ACK signal from the third repeater 31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ransmitting data to the third repeater 31. If the ACK signal is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t is determined as normal transmission, while if it is not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t is determined as abnormal transmission. As described above, when abnormal transmission occurs between relays, data transmission is smoothly performed by additionally employing a direct communication method as a transmission method by relay communic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여러 그룹망들 간에 중계 통신에 의한 전송 방식을 기본으로 채택하며, 중계기들이 서로 인접한 그룹망 간에 신호 중계를 수행하여 각 소화기들에 대한 상태 감지 정보 및 수명 관련 정보를 운용관리서버(40)에 전달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relay communication between several group networks, and relays perform signal relay between adjacent group networks, thereby providing status detection information and life related information for each fire extinguisher. Pass in 40.

운용관리서버(40)는 중계기(11 또는 21 또는 3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즉, 소화기에 구비된 센서에 의해 감지된 결과와 내부 타이머에 의해 카운트된 소화기 수명 정보에 기반하여 소화기에 대한 개별적인 원격제어를 수행한다.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40 individually controls the fire extinguisher based on the data received from the repeater 11 or 21 or 31, that is, the result detected by the sensor provided in the fire extinguisher and the life extinguisher life information counted by the internal timer. Perform

한편, 상기에서 소화기와 중계기 간에, 또는 중계기들 간에, 또는 중계기와 운용관리서버 간에 통신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무선 통신 방식을 채용하는 것으로 설명되며, 그러한 예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AM(Amplitude Modulation), FM(Frequency Modulation) 변조 방식의 RF(Radio Frequency) 등이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e extinguisher and the repeater, or between the repeaters, or between the repeater and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may be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 communication. However, hereinafter, it is described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is adop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Bluetooth (Bluetooth), and Amplitude Modulation (AM). , RF (Radio Frequency) of FM (Frequency Modulation) modulation scheme may be applied.

바람직하게, 소화기와 중계기 간에 통신은 무선랜(Wireless LAN)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e extinguisher and the repeater is preferably to apply a wireless LAN (Wireless LA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소화기(100)는 통신부(110), 상태감지부(120), 타이머(130), 데이터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the fire extinguisher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 state detection unit 120, a timer 130, a data storage unit 140, and a controller 150.

통신부(110)는 일종의 송신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데이터를 자신의 그룹망을 관장하는 중계기에 전송한다. 여기서, 전송하는 데이터는 상태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된 결과와 내부 타이머(130)에 의해 카운트된 소화기 수명 정보를 포함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corresponds to a type of transmitter and transmits data to a repeater that manages its group network. Here, the data to be transmitted includes the result detected by the state sensing unit 120 and the fire extinguisher life information counted by the internal timer 130.

상태감지부(120)는 소화기 용기에 수용된 소화약제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나 소화기 내부 압력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한편, 제어부(150)는 상태감지부(120)에서 감지된 결과를 데이터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The state detecting unit 120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a state of 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d in the fire extinguisher container or a sensor for detecting a pressure inside the fire extinguisher. Meanwhile, the controller 150 may store the result detected by the state detector 120 in the data storage 140.

타이머(130)는 외부 입력부에 의한 초기화 이후에 자동 카운트를 실시하는 것으로, 제어부(150)는 타이머(130)에 의해 카운트된 시간정보에 기반하여 소화기 수명에 관련된 정보를 생성한다.The timer 130 performs automatic counting after initialization by the external input unit, and the controller 150 generat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life of the fire extinguisher based on the time information counted by the timer 130.

한편, 상기에서 언급된 외부 입력부는 각 소화기에 구비되는 것으로, 버튼이나 스위치와 같은 구조일 수 있다. 특히 외부 입력부는 소화기를 특정 지점에 새로이 배치할 시 또는 특정 지점에 배치된 소화기의 내부 소화약제를 새로이 바꿀 시에 타이머의 초기화를 위해 조작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xternal input unit mentioned above is provided in each fire extinguisher, it may be a structure such as a button or a switch. In particular, the external input unit is operated for the initialization of the timer when the fire extinguisher is newly placed at a specific point or when the internal extinguishing agent of the fire extinguisher newly arranged at a specific point is newly changed.

제어부(150)는 소화기 수명에 관련된 기준 시점을 설정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타이머(130)에 의해 카운트된 시간이 그 설정된 기준 시점으로부터 얼마나 이전인지 아니면 얼마나 경과했는지를 나타내는 소화기 수명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설정되는 기준 시점은 소화기 용기에 수용된 소화약제의 고형화될 수 있는 기간이 나, 소화기의 일반적으로 알려진 수명 기간 등일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sets a reference time point related to the life of the fire extinguisher, and accordingly generates fire extinguisher life information indicating how long or how long the time counted by the timer 130 is from the set reference time point. Here, the reference time point set may be a period in which 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d in the extinguisher container may be solidified or a generally known life span of the extinguisher.

데이터저장부(140)는 설정된 소화기 수명에 관련된 기준 시점, 제어부(150)에서 생성된 소화기 수명 정보, 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상태 감지 결과, 그리고 소화기에 고유하게 부여된 식별정보를 저장한다.The data storage unit 140 stores a reference time point related to the set fire extinguisher life, fire extinguisher lif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ler 150, a state detection result detected by the sensors,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quely assigned to the fire extinguisher.

제어부(150)는 통신부(110), 상태감지부(120), 타이머(130) 및 데이터저장부(14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150)는 데이터 전송 주기에 맞춰서 데이터저장부(140)에 저장된 상태 감지 결과 및 수명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데이터저장부(140)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상태 감지 결과 및 수명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데이터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150)는 외부 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타이머(130)를 초기화하며, 타이머(130)에 의해 카운트된 시간과 미리 설정된 기준 시점을 토대로 소화기의 수명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상태감지부(120)에 해당하는 다수 센서들로부터 감지된 결과를 데이터저장부(140)에 저장시키며, 또한 생성된 수명 정보를 데이터저장부(140)에 저장시킨다.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communicator 110, the state detector 120, the timer 130, and the data storage 140.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o transmit the state detection result and lifespa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 storage 140 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perio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50 preferably inser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 storage 140 into the transmission data including the status detection result and lifespa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initializes the timer 130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external input unit, and generates life inform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based on the time counted by the timer 130 and a preset reference time point.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stores the results detect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corresponding to the state detection unit 120 in the data storage unit 140, and also stores the generated life information in the data storage unit 140.

한편, 소화기(100)는 각각의 배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위치추적모듈(16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소화기(100)에 구비되는 위치추적모듈(160)로는 지그비 태그(ZigBee Tag)나 지피에스(GPS) 수신기 등이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e extinguisher 10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location tracking module 160 for tracking each arrangement position. Here, the location tracking module 160 provided in each fire extinguisher 100 may be a ZigBee Tag or a GPS receiver.

따라서, 제어부(150)는 데이터 전송 주기에 맞춰서 위치추적모듈(160)에 의한 추적 정보를 주기적으로 통신부(110)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결국 중계기(11,21,31)는 해당 그룹망 내에 배치된 소화기들의 배치 위치에 대한 추적 정보 를 주기적으로 운용관리서버(40)에 전달한다.Therefore,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o periodically transmit the tracking information by the position tracking module 16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in accordance with the data transmission period. As a result, the repeaters 11, 21, and 31 periodically transmit tracking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s disposed in the group network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4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용관리서버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운용관리서버(200)는 중계기들로부터 소화기 상태 감지 결과 및 수명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210)와, 수신된 상태 감지 결과 및 수명 정보로부터 각 소화기에 대한 상태를 판정하고 또한 소화기나 소화약제의 교체여부를 판정하는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운용관리서버(200)는 각 소화기에 대한 상태 이력이나, 소화기나 소화약제의 교체 이력을 저장하면서, 수신된 각 소화기별 상태 감지 결과 및 수명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3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3,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200 determines a state of each fire extinguisher from the data receiver 210 receiving the fire extinguisher state detection result and lifespan information from the repeaters, and the received state detection result and lif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20 to determine whether the replacement of the fire extinguisher or extinguishing agent. In addition,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200 has a database 230 for storing the status history for each fire extinguisher, or the history of replacement of the fire extinguisher or extinguishing agent, and stores the status detection result and life information for each fire extinguisher.

특히, 운용관리서버(200)에 구비되는 제어부(220)는 수신된 상태 감지 결과(용기에 수용된 소화약제의 상태나 소화기 내부 압력 상태) 및 수명 정보로부터 각 소화기에 대한 상태를 판정하고 또한 소화기나 소화약제의 교체여부를 판정하는 일종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어부(220)에 의한 판정 결과를 다양한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220 provided in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200 determines the state for each fire extinguisher from the received state detection result (state of 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d in the container or internal pressure of the fire extinguisher) and life information, and further includes a fire extinguisher or It is preferable that the application is a kind of applic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o replace the extinguishing agent, and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240 for displaying the determination result by the controller 220 in various formats.

또한, 운용관리서버(200)는 전달받은 추적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그룹망 내에 속하는 소화기들에 대한 위치 이탈 여부를 체크하고, 해당 체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한다. 또한 운용관리서버(200)는 전달받은 추적 정보에 기반하여 특정 그룹망 내에 속하는 특정 소화기가 위치 이탈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 이를 시각적이나 청각적으로 경보(Alarm)하기 위한 경보출력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건물, 차량, 선박 등에 비치되어 있던 소화기의 분실 여부를 실 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또한 분실 방지의 효과도 발휘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200 checks whether or not the position of the fire extinguishers belonging to the group network based on the received tracking information, and stores the check information in the database (230). In addition,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2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fire extinguisher belonging to a specific group network is out of position based on the received tracking information, the alarm output unit 250 for visually or audio alarm (Alarm) It may further includ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onitor in real time whether or not the fire extinguisher provided in a building, a vehicle, a ship, etc., and also to prevent the loss.

한편, 운용관리서버(200)에 구비되는 경보출력부(250)는 소화약제의 교체가 요구되는 것으로 판정되거나, 소화기 내부 압력 상태가 기준 압력 이하로 판정되거나, 소화기 교체가 요구되는 것으로 판정되면, 각각에 대한 유지보수가 필요하다는 경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보는 표시부(240)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alarm output unit 250 provided in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200 is determined to be required to replace the extinguishing agent, or if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extinguisher is determined to be below the reference pressure, or the extinguisher replacement is determined, An alarm indicating that maintenance is required for each can be output, and the alarm can als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240.

부가적으로, 운용관리서버(200)는 소화기에 대한 상태나 소화기/소화약제의 교체여부의 판정 결과, 그리고 소화기들에 대한 위치 이탈 여부의 체크 결과를 미리 등록되어 있던 이동통신 식별번호나 인터넷프로토콜(IP) 주소나 전자메일주소로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운용관리서버(200)는 소화기에 대한 상태나 소화기/소화약제의 교체여부의 판정 결과, 그리고 소화기들에 대한 위치 이탈 여부의 체크 결과를 미리 등록된 이동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또한 미리 등록된 연동 컴퓨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운용관리서버(200)는 송신부(26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송신부(260)는 소화기에 대한 상태나 소화기/소화약제의 교체여부의 판정 결과, 그리고 소화기들에 대한 위치 이탈 여부의 체크 결과를 미리 등록되어 있던 이동통신 식별번호나 인터넷프로토콜(IP) 주소나 전자메일주소로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200 is a mobil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number or Internet protocol that has been registered in advance for the status of the fire extinguisher or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replacement of the fire extinguisher / extinguishing agent, and the result of checking whether the posi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is out of position It is advisable to notify by IP address or e-mail address. That is,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200 may transmit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status of the fire extinguisher or the replacement of the fire extinguisher / extinguishing agent, and the result of checking whether the posi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is out of position to the pre-registered mobile terminal 300, It can also be transferred to a pre-registered companion computer. For this purpose,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200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transmitter 260. That is, the transmitting unit 260 is a mobil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number or an Internet protocol (IP) address that has been registered in advance for the status of the fire extinguisher,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replacement of the fire extinguisher / extinguishing agent, and the result of checking whether the posi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is out of position. It is advisable to notify the e-mail address.

본 발명에서는 경보 출력의 일 예를 들면, 먼저 소화기 내부 압력 불량을 제1이벤트, 소화기 교체 요구를 제2이벤트, 소화약제 교체 요구를 제3이벤트, 소화기 위치 이탈을 제4이벤트라 정할 수 있다. 표시부(240)는 제1 내지 3 그룹망에 속하는 다수 소화기들에 대한 배치 지도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한다. 도시되 지는 않았지만 다수 소화기들에 대한 배치 지도는 각 소화기들의 실제 배치 위치를 전자지도에 표시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of the alarm output, firs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e extinguisher may be determined as the first event, the extinguisher replacement request as the second event, the extinguishing agent replacement request as the third event, and the extinguisher position deviation as the fourth event. The display unit 240 outputs a layout map of a plurality of fire extinguishers belonging to the first to third group networks as shown in FIG. 4. Although not shown, it is preferable that the arrangement map of the plurality of fire extinguishers is an electronic map showing the actual placement position of each fire extinguisher.

제1 내지 4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즉, 모두 정상인 경우에는 배치 지도의 각 소화기에 초록색을 표시하고, 제1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는 그 해당 소화기에 노랑색으로 표시하고, 제2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는 그 해당 소화기에 붉은색으로 표시하고, 제3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는 그 해당 소화기에 보라색으로 표시하고, 제4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는 그 해당 소화기에 파란색으로 표시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이벤트를 구분하기 위해 서로 다른 컬러로써 해당 소화기에 대한 이벤트 발생 여부를 배치 지도에 표시한다.If the first to fourth events do not occur, that is, all are normal, green is displayed for each fire extinguisher in the batch map, and if a first event occurs, yellow is displayed for the fire extinguisher, and a second event occurs. If the fire extinguisher is displayed in red, if the third event occurs, the fire extinguisher is displayed in purple; if the fourth event occurs, the fire extinguisher is displayed in blue.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the different events as described above, whether or not an event occurs in the fire extinguisher in different colors is displayed on the layout map.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용관리서버에서 표시되는 소화기 배치 지도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컬러가 아닌 흑백으로 표현한 예이다. 도 4는 다수 소화기들 중에서 제1 그룹망에 속하는 제2소화기(10B)와 제3 그룹망에 속하는 제3소화기(30C)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fire extinguisher arrangement map displayed in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expressed in black and white, not color. 4 illustrates a case where a specific event occurs in the second fire extinguisher 10B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network and the third fire extinguisher 30C belonging to the third group network among the plurality of fire extinguishers.

운용관리서버(200)의 표시부(240)와 경보출력부(250)의 출력 정보를 토대로, 관리자는 소화기들에 대한 개별적인 상태 체크가 가능하다. 또한 출력 정보를 토대로 각 이벤트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다.Based on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display unit 240 and the alarm output unit 250 of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200, the administrator can check the individual status for the fire extinguishers. Also, based on the output information, a quick response to each event can be made.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 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herein are to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are equival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원격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다이어그램.1 is a diagram showing a fire extinguisher remot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용관리서버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용관리서버에서 표시되는 소화기 배치 지도 예를 나타낸 도면.Figure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fire extinguisher arrangement map displayed in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6)

다수 지점에 배치되는 소화기들을 원격에서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A system for remotely managing fire extinguishers deployed at multiple points, 상태 감지를 위한 다수 센서와,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결과와 함께 소화기 수명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기를 각각 구비하면서 고유한 식별정보가 부여되는 다수 소화기들;A plurality of fire extinguishers each having a plurality of sensors for detecting a state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fire extinguisher life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results detected by the sensors, and hav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결과와 상기 소화기 수명 정보에 기반하여 소화기에 대한 개별적인 원격제어를 수행하는 운용관리서버; 그리고An operation management server for performing individual remote control of the fire extinguisher based on the result detected by the sensor and the life inform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And 상기 소화기들을 그룹단위로 분류하여 다수 그룹망을 구성하고, 서로 인접한 그룹망 간에 신호 중계를 수행하여 상기 다수 소화기들에서 수집된 상태 감지 정보 및 상기 소화기 수명 정보를 상기 운용관리서버에 주기적으로 전달하는 중계기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원격관리 시스템.The fire extinguishers are classified into group units to form a plurality of group networks, and signal relay is performed between adjacent group networks to periodically transmit the state detecti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plurality of fire extinguishers and the life span of the fire extinguishers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Fire extinguisher remot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repeat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소화기들 각각의 배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위치 추적 모듈이 상기 소화기들 각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원격관리 시스템.Fire extinguisher remot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ation tracking module for tracking the location of each of the fire extinguishers are provided in each of the fire extinguishers.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위치 추적용 모듈은 지그비 태그(ZigBee Tag)와 지피에스(GPS) 수신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원격관리 시스템.The location tracking module is a fire extinguisher remot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ZigBee Tag (ZigBee Tag) and GPS (GPS) receive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중계기들 중 임의의 하나는 해당 그룹망 내에 배치된 소화기들의 배치 위치에 대한 추적 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운용관리서버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원격관리 시스템.Any one of the repeaters is a remote control system for fire extinguishers, characterized in that to periodically transmit tracking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s arranged in the group network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운용관리서버는 상기 전달받은 추적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그룹망 내에 속하는 소화기들에 대한 위치 이탈 여부를 체크하고, 해당 체크 정보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원격관리 시스템.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checks whether or not the position of the fire extinguishers belonging to the group network based on the received tracking information, and retains the check information.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운용관리서버는 상기 위치 이탈 여부를 체크하여 특정 그룹망 내에 속하는 특정 소화기가 위치 이탈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 해당 소화기의 위치 이탈 사실을 경보하기 위한 경보출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원격관리 시스템.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checks whether the position is out of position when a specific fire extinguisher belonging to a specific group network is determined to be out of position, the fire extinguisher remotel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larm output unit for alerting the fact that the posi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Managemen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소화기들 각각에 구비되는 상기 송신기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결과와 상기 소화기 수명 정보와 함께 상기 고유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해 당 그룹망을 관장하는 중계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원격관리 시스템.The transmitter provided in each of the fire extinguishers transmits the data detected by the sensor and the fire extinguisher life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data includ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repeater managing the group network. Remote managemen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소화기들 각각에 구비되는 센서들은 소화기 용기에 수용된 소화약제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와, 소화기 내부 압력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원격관리 시스템.Sensors provided in each of the fire extinguishers, the sensor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d in the fire extinguisher container, and the fire extinguisher remot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nsor for detect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e extinguish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소화기들 각각은 초기화 이후에 자동 카운트를 실시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에 의해 카운트된 시간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소화기 수명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원격관리 시스템.Each of the fire extinguisher further comprises a timer for performing an automatic count after initialization, 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the fire extinguisher life information based on the time information counted by the timer.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어부는 소화기 수명에 관련된 기준 시점을 설정한 후에 상기 타이머의 의해 카운트된 시간이 상기 기준 시점으로부터 얼마나 이전인지 또는 얼마나 경과했는지를 나타내는 상기 소화기 수명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원격관리 시스템.And the control unit generates the fire extinguisher life information indicating how long or how long the time counted by the timer is after the reference time point related to the fire extinguisher life is generated.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기준 시점은 소화기 용기에 수용된 소화약제의 고형화 기간이나 소화기의 일반적 수명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원격관리 시스템.Wherein said reference point is a solidification period of a extinguishing agent contained in a fire extinguisher container or a general life span of a fire extinguish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중계기들 중 제2그룹망을 관장하는 제2중계기는 상기 제2그룹망에 인접한 제1그룹망을 관장하는 제1중계기로부터 수신한 상태 감지 정보 및 상기 소화기 수명 정보에 상기 제2그룹망에 속하는 소화기들로부터 수집한 상태 감지 정보 및 소화기 수명 정보를 부가하여 상기 운용관리서버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원격관리 시스템.The second repeater which manages a second group network among the repeaters may be configured in the second group network in the stat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repeater managing the first group network adjacent to the second group network and the fire extinguisher life information. Fire extinguisher remot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adding the state detection information and extinguisher lif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fire extinguisher belonging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제 12 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1중계기는 상기 제1그룹망에 속하는 소화기들로부터 수집한 상태 감지 정보 및 소화기 수명 정보를 상기 제2중계기로 전송한 후에 정해진 시간 내에 ACK 신호를 상기 제2중계기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그룹망에 속하는 소화기들로부터 수집한 상태 감지 정보 및 소화기 수명 정보를 상기 운용관리서버에 직접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원격관리 시스템.If the first repeater does not receive an ACK signal from the second repeater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ransmitting the stat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fire extinguisher lif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fire extinguishers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network to the second repeater, Fire extinguisher remot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status detection information and fire extinguisher lif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fire extinguisher belonging to the group 1 group directly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운용관리서버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해당하는 상기 상태 감지 정보와 상기 소화기 수명 정보에 기반하여 각 소화기의 교체 여부와 각 소화 기내 소화약제의 교체 여부와 각 소화기 내부 압력 상태와 각 소화기내 소화약제의 상태를 판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판정 결과에 따른 유지보수를 위한 경보를 출력하는 표시부 및 경보출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원격관리 시스템.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is based on the state det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sult detected by the sensor and the life of the fire extinguisher, whether to replace each fire extinguisher, whether or not to replace the extinguishing agent in each fire extinguisher, the pressure state of each fire extinguisher and each fire extinguisher A fire extinguisher remot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 state of the extinguishing agent,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n alarm for maintenan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control unit, and an alarm output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운용관리서버는 상기 제어부에 의한 판정 결과를 미리 등록된 이동통신 식별번호나 인터넷프로토콜(IP) 주소나 전자메일주소로 통보하는 송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원격관리 시스템.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further comprises a transmitting unit for notifying the determination result by the control unit in advance registered mobil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number, Internet Protocol (IP) address or e-mail addres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운용관리서버는 상기 다수 소화기들에 대한 배치 지도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배치 지도는 각 소화기들의 실제 배치 위치를 전자지도에 표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원격관리 시스템.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further comprises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layout map for the plurality of fire extinguishers, wherein the arrangement map is a remote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ctual arrangement position of each fire extinguisher displayed on the electronic map.
KR1020090056081A 2009-06-23 2009-06-23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fire extinguisher KR2010013784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081A KR20100137848A (en) 2009-06-23 2009-06-23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fire extingui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081A KR20100137848A (en) 2009-06-23 2009-06-23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fire extinguish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848A true KR20100137848A (en) 2010-12-31

Family

ID=43511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081A KR20100137848A (en) 2009-06-23 2009-06-23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fire extinguish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7848A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4011A1 (en) * 2015-10-28 2017-05-04 주식회사 디엔아이 Fire extinguisher management system and fire extinguisher management method therefor
CN106924917A (en) * 2017-04-18 2017-07-07 广州市蓝彩实业有限公司 A kind of portable dry powder fire extinguisher intelligent management case
KR20190047982A (en) 2017-10-30 2019-05-09 김주만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safety inspection and management service for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KR102018988B1 (en) * 2018-07-13 2019-09-24 (주)샤픈고트 Smart Fire Extinguisher holder
KR20200064687A (en) * 2018-11-29 2020-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fire extinguisher
KR102197304B1 (en) * 2020-02-04 2020-12-31 강정수 Integrated fire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iot-based fire extinguishing devices
KR102298097B1 (en) * 2020-11-28 2021-09-02 박희돈 fire extinguisher management system
KR20220089424A (en) * 2020-12-21 2022-06-28 소방안전시스템 주식회사 Method of Making Firefighting Safety Map and System there of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4011A1 (en) * 2015-10-28 2017-05-04 주식회사 디엔아이 Fire extinguisher management system and fire extinguisher management method therefor
CN106924917A (en) * 2017-04-18 2017-07-07 广州市蓝彩实业有限公司 A kind of portable dry powder fire extinguisher intelligent management case
KR20190047982A (en) 2017-10-30 2019-05-09 김주만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safety inspection and management service for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KR102018988B1 (en) * 2018-07-13 2019-09-24 (주)샤픈고트 Smart Fire Extinguisher holder
KR20200064687A (en) * 2018-11-29 2020-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fire extinguisher
KR102197304B1 (en) * 2020-02-04 2020-12-31 강정수 Integrated fire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iot-based fire extinguishing devices
WO2021157771A1 (en) * 2020-02-04 2021-08-12 강정수 Integrated fire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iot-based fire extinguishing devices
KR102298097B1 (en) * 2020-11-28 2021-09-02 박희돈 fire extinguisher management system
KR20220089424A (en) * 2020-12-21 2022-06-28 소방안전시스템 주식회사 Method of Making Firefighting Safety Map and System there 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37848A (en)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fire extinguisher
CN102870144B (en) Aspirating environmental sensor with webserver and email notification
JP5443636B2 (en) Alarm system
WO2008105578A1 (en) System for monitoring industrial disaster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JP2008035423A (en) Alarm reporting apparatus
CN107715362A (en) Fire fighting monitor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US20120110373A1 (en)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safety-related communication in tunnel and mining structures
JP5249161B2 (en) Alarm and alarm system
KR101420381B1 (en) Two-way digital radio group broadcast system
JP5221475B2 (en) Repeater
CN105894710A (en) Temperature monitoring and warning device and fire prevention warning system
CN210955401U (en) Electric fire alarm networking centralized monitoring system
CN205788615U (en) A kind of temperature monitoring caution device and fire-fighting caution system
JP2019023799A (en) Alarm system
KR102298097B1 (en) fire extinguisher management system
KR20100123351A (en) The real-time fire perception receiver, the fire perception system which uses this and the method
KR20090024858A (en) Ubiquitous sensor network node module and system therefore
JP7165010B2 (en) fire alarm system
JP5457575B2 (en) Repeater
KR20110108038A (en) Fire monitoring system for p-type control panel capable of on-site setup management
JP2020139841A (en) Position information system and mobile information terminal
US11146938B2 (en) First responder readiness system
JP6995663B2 (en) Alarm system
JP7299963B2 (en) alarm system
JP5443635B2 (en) Alarm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