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5001A - A digital virtual mirror system for wearing clothes and the process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 digital virtual mirror system for wearing clothes and the process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5001A
KR20100135001A KR1020090053406A KR20090053406A KR20100135001A KR 20100135001 A KR20100135001 A KR 20100135001A KR 1020090053406 A KR1020090053406 A KR 1020090053406A KR 20090053406 A KR20090053406 A KR 20090053406A KR 20100135001 A KR20100135001 A KR 20100135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lothing
customer
display
virtual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4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원식
권병헌
서범석
Original Assignee
두원공과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원공과대학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두원공과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53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5001A/en
Publication of KR20100135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00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digital virtual mirror system for wearing clothes and a process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select the best suited cloth by adjusting the size of client image. CONSTITUTION: A camera(30) is attached to a display(20). The camera takes a photograph of the front side of the display. An image processing unit(40) extracts an image of a client from the photographed image. The image processing unit synthesizes the clothing image and the extracted image. The image processing unit distinguishes the synthesized image of the client(10) from the clothing image by reference lines. The image processing unit controls the size of the clothing image.

Description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 A digital virtual mirror system for wearing clothes and the processing method thereof }A digital virtual mirror system for wearing clothes and the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고객을 촬영하여 의류영상을 합성하여 표시하는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촬영된 고객의 영상을 기준선으로 구분하여 의류영상을 겹쳐지게 표시하고 구분된 영역별로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virtual mirror system for clothing wear and processing method for synthesizing and displaying a garment image by photographing a customer.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virtual mirror system for wearing clothing and a method of processing the same, which displays a clothing image by dividing a photographed image of a customer as a reference line and adjusts the size for each divided area.

또한, 본 발명은 고객의 영상에 의류영상을 반투명으로 겹쳐지게 표시하여 의류 영상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virtual mirror system for wearing a clothing that can adjust the size of the clothing image by displaying the clothing image overlaid translucently on the image of the customer and a processing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의류를 제조 및 판매하는 업체에서는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객들이 소정의 의류를 입은 상태를 표시하는 여러 가지의 표시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company that manufactures and sells clothes has developed and used various display systems for displaying a state in which customers wear predetermined clothes by using a computer system.

즉, 컴퓨터 시스템에 복수의 의류 영상을 미리 저장한 상태에서 의류를 구매하고자 하는 고객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한 고객의 영상에 그 고객이 선택한 의류의 영상을 합성한 후 모니터 등에 표시하여 고객들이 구매할 의류를 직접 입어보지 않고서도 의류의 색상 및 디자인 등이 자기 자신에게 맞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other words, when a plurality of clothing images are stored in a computer system in advance, images of a customer who wants to purchase clothes are photographed. You can check whether the clothing's color and design are right for you without having to try it yourself.

상기와 같이 고객을 촬영하여 의류를 합성하여 표시하는 기술의 일례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90791(2004.10.27.공개), "의류 코디 방법 및 장치"](이하 선행기술 1)에 개시되어 있다.An example of a technique of synthesizing and displaying clothing by photographing a customer as described above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04-0090791 (October 27, 2004), "Clothing Coordination Method and Apparatu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It is.

상기 선행기술 1은 고객자신을 모델하여 선택된 의류를 직접 코디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 카탈로그의 영상 중 의류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의류 정보 저장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고객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모델 정보 저장부; 다양한 의류 종류를 출력하고, 상기 다양한 의류 종류 중 하나가 선택되면 의류 정보를 출력하며, 고객의 영상 합성의 요구에 따라 선택된 의류 정보와 상기 모델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모델 정보와 선택된 의류 정보를 합성하여 선택된 의류로 코디된 고객 영상인 합성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합성부; 및 의류 종류 및 의류 정보, 합성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로 이루어지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The prior art 1 relates to a technology for directly coordinating a selected garment by modeling a customer himself, the gar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extracting and storing garment information from an image of an electronic catalog; A model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image information about a customer input through a camera; A control unit which outputs various types of clothes, outputs clothes information when one of the various types of clothes is selected, and outputs the selected clothes information and the model image according to a request of image synthesis of a customer; An image synthesizing unit configured to synthesize the model information and the selected garment information and output a composite image which is a customer image coordinated with the selected garmen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clothing type, clothing information, and a composite image.

또한, 고객을 촬영하여 의류를 합성하여 표시하는 기술의 다른 예가 [대한민 국 공개특허 10-2004-0093576(2004.11.06.공개), "고객 맞춤형 의류영상 표시시스템 및 그 방법"](이하 선행기술 2)에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another example of a technique for photographing a customer by synthesizing clothing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93576 (Nov. 6, 2004), "Customized garment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thereof"] Technology 2).

상기 선행기술 2는 신체 크기 및 자세에 따라 의류 영상의 각 부위의 크기 및 각도를 조절한 후 고객의 영상과 합성하여 표시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카메라로 고객을 촬영하고 복수의 의류 영상을 미리 저장하며, 출력 영상에 저장된 의류영상을 합성한 후 표시 패널에 표시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특히, 상기 선행기술2는 출력 영상에서 배경화면을 제외하고 고객의 영상만을 추출하고, 추출한 고객 영상을 신체의 각 부위에 따라 분할하여 분할한 신체 각 부위의 영상에 따라 고객의 크기 및 자세를 판단하고, 의류 선택명령에 따라 선택되는 의류영상을 독출하여 독출한 의류영상을 판단한 고객의 크기 및 자세에 따라 편집하며, 그 편집한 의류영상에 상기 출력 영상에 합성한 후 출력하여 표시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The prior art 2 relates to a technique for controlling the size and angle of each part of the clothing image according to the body size and posture, and then displaying the composite image with the customer's image, photographing the customer with a camera and storing a plurality of clothing images in advance.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echnique of synthesizing a garment image stored in an output image and displaying the same on a display panel. In particular, the prior art 2 extracts only the image of the customer excluding the background image from the output image, and divides the extracted customer image according to each part of the body to determine the size and posture of the customer according to the image of each part of the divided body. And read out the garment image selected according to the garment selection command and edit the read garment image according to the size and posture of the customer, and synthesize the output garment image on the edited garment image and output the displayed image. Doing.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이미 주어진 의류영상을 촬영된 고객의 영상에 합성하여 표시할 뿐, 의류 자체를 부분적으로 조절할 수 없다. 즉, 상기 선행기술 1은 다양한 의류 정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촬영된 고객의 영상과 맞추어 보는 기술만 제시하고 있다. 또, 상기 선행기술 2는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고객의 크기 및 자세에 따라 의류영상을 편집하나, 자세가 틀려지기 때문에 이에 맞추기 위해 의류영상을 편집할 뿐이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only displays the image of the given clothing by combining the image of the photographed customer and cannot partially adjust the clothing itself. That is, the prior art 1 proposes only a technique of selecting one of various clothing information and viewing the image of the photographed customer. In addition, the prior art 2 edits the garment image from the photographed image according to the size and posture of the customer, but only edits the garment image to match the posture is incorrect.

고객은 이미 옷을 착용한 상태에서 촬영되기 때문에 의류를 고객의 사이즈에 정확하게 맞추기가 어렵다. 또, 고객은 각자 신체 사이즈가 부분적으로 다를 수 있 다. 어느 고객은 어깨가 넓은 반면 팔의 길이는 짧고, 어느 고객은 어깨가 좁은 반면 팔 길이는 길 수 있다.Since the customer is photographed while wearing the clothes, it is difficult to fit the clothes exactly to the size of the customer. In addition, each customer may be partially different in body size. One client may have a wider shoulder while the arm is shorter, while another client may have a narrower shoulder but a longer arm.

또, 고객마다 의류를 입는 스타일이 틀릴 수 있다. 어느 고객은 옷을 타이트 하게 입고 어느 고객은 옷을 약간 헐렁하게 입을 수 있다. 또, 어느 고객은 의류의 어깨 부분을 조금 넓게 하여 입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tyle of clothing for each customer may be different. One customer may wear clothes tightly and one customer may wear clothes slightly loose. In addition, a customer may wear a slightly wider shoulder portion of the garment.

이것은 적절히 맞추어진 의류가 고객의 신체적인 단점을 보완시켜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상체의 길이가 길지만 어깨가 왜소한 남자는 일반 사람보다 어깨 부분만 조금 넓게 하여 입는 것이 왜소한 부분을 줄여줄 수 있다. 그러나 어깨 부분을 맞추기 위해 큰 옷을 선택하면, 품 자체가 커서 헐렁한 차림이 된다.This is because properly tailored clothing can make up for the client's physical shortcomings. For example, a man with a long torso but a dwarf shoulder can wear a slightly wider shoulder than a normal person to reduce the dwarf. But if you choose a large piece of clothing to fit your shoulders, your body will be large and loose.

상기 선행기술들은 이와 같이 부분적인 옷의 스타일을 조절할 수 없다. 특히, 고객이 직접 입은 상태에서 부분적인 크기를 조절하여 자신의 모습을 볼 수가 없다. 이런 경우, 고객이 누구라도 쉽고 편리하게 옷의 부분적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The prior art thus cannot adjust the style of the partial garment. In particular, customers can not see their appearance by adjusting the partial size while wearing directly. In this case, the customer should be able to adjust the partial size of clothes easily and conveniently.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객을 촬영하여 의류영상을 합성하여 표시하되, 촬영된 고객의 영상을 기준선으로 구분하여 의류영상을 겹쳐지게 표시하고 구분된 영역별로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taking a picture of the customer to synthesize and display the clothing image, by dividing the image of the photographed customer by the reference line to display the clothing image to overlap and size by area It is to provide a digital virtual mirror system for clothing wear that can adjust the and a processing method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의 영상에 의류영상을 반투명으로 겹쳐지게 표시하여 의류 영상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gital virtual mirror system for wearing a clothing and a processing method thereof that can adjust the size of the clothing image by displaying the clothing image overlaid on the image of the customer translucent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 전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고객의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에 의류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처리부는, 의류 영상과 합성된 고객의 영상을 다수의 기준선으로 구분하고, 상기 기준선에 따라 겹쳐지게 표시된 의류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virtual mirror system for wearing clothing, the display for displaying an image; A camera attached to the display to capture an image of the front of the display; The image processing unit for extracting the image of the customer from the captured image, and synthesizes the garment image to the extracted image and outputs to the display, The image processing unit, the image of the customer synthesized with the garment image to a plurality of reference lines And classifying the size of the clothing image displayed to be superimposed according to the reference line.

또, 본 발명은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목, 허리, 신발을 중심으로 하는 가로 기준선과 고객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세로 기준선으로 고객의 영상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gital virtual mirror system for clothing wear, wherein the image processing unit is characterized by separating the image of the customer with a horizontal reference line centering around the neck, waist, shoes and vertical reference line based on the center of the customer. do.

또, 본 발명은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기준선에 의해 구분되는 영역별로 좌우 또는 상하의 입력을 받아 의류의 좌우 길이 또는 상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gital virtual mirror system for wearing clothing, wherein the image process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input for each of the areas separated by the reference line to adjust the left and right length or vertical length of the clothing.

또, 본 발명은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좌우 또는 상하의 입력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터치스크린 방식으 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digital virtual mirror system for clothing wear, the image processing unit receives the input of the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by a touch screen method on the display.

또, 본 발명은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의류의 크기를 조절하는 경우, 의류 영상을 반투명하게 상기 고객의 영상과 겹쳐지게 보이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gital virtual mirror system for wearing clothing, the image processing unit, when adjusting the size of the clothing, it characterized in that to display the clothing image so as to overlap the image of the customer translucent.

또한, 본 발명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 전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는 가상 거울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고객의 영상에 의류 영상을 합성하여 출력하는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전면에 위치하는 고객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b)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고객의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추출된 고객의 영상을 기준선에 의해 구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d)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기준선에 의해 구분된 영역에 맞도록 의류 영상을 겹쳐지게 표시하는 단계; (e)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구분된 영역별로 고객의 입력을 받아 표시된 의류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 (f) 완료 입력을 받으면, 상기 의류 영상을 상기 의류 영상과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virtual mirror system including a display for displaying an image, a camera attached to the display to take a front image of the display,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captured image, the image of the customer in the captured image A method of processing a digital virtual mirror for wearing a garment for synthesizing and outputting a garment image, comprising: (a) photographing an image of a customer located in front of the display by the camera; (b) the image processor extracting an image of a customer from the photographed image; (c) displaying the extracted image of the customer on the display by dividing the extracted image of the customer by a reference line; (d) displaying the clothing image to overlap the image of the garment so as to fit in a region separated by the reference line; (e) adjusting the size of the displayed clothing image by receiving a customer input for each of the divided regions; (f) receiving a completion input, and synthesizing the garment image with the garment image.

또, 본 발명은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기준선에 의해 구분되는 영역별로 좌우 또는 상하의 입력을 받아 의류의 좌우 길이 또는 상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gital virtual mirror processing method for wearing clothing, in the step (e), the image processing unit receives the left and right or top and bottom input for each area divided by the reference line to adjust the left and right length or vertical length of the clothing It is characterized by.

또, 본 발명은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의류의 크기를 조절하는 경우, 의류 영상을 반투명하게 상기 사람의 영상과 겹쳐지게 보이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gital virtual mirror processing method for wearing a clothing, in the step (e), w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adjusts the size of the clothing, the clothing image is displayed so as to appear to overlap the image of the person translucently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처리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method for processing a digital virtual mirror for wearing cloth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에 의하면, 고객의 영상을 기준선으로 구분하여 구분된 영역별로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고객이 옷의 사이즈를 간편하고 원하는 대로 조절하여 최적의 의복을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virtual mirror system for clothing wearing and the processing method thereof allow the customer to easily adjust the size of the clothes by dividing the image of the customer by the baseline and adjusting the size for each divided area. By adjusting as desired, the effect of selecting an optimal garment is obtained.

또, 본 발명에 따른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에 의하면, 의류영상을 반투명으로 겹쳐지게 표시함으로써, 의류의 크기를 조절할 때 고객의 신체 사이즈와의 상대적 크기를 알 수 있게 하여 편리하면서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igital virtual mirror system for clothing we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processing thereof, by displaying the clothing image overlapping translucent, it is convenient to know the relative size with the body size of the customer when adjusting the size of the clothing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allows fine adjust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is inven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nd the repeat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virtual mirror system for wearing a gar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시스템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0); 상기 디스플레이(20)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 전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30);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고객의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에 의류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20)로 출력하는 영상처리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 digital virtual mirror system for wearing a gar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20 for displaying an image; A camera 30 attached to the display 20 to capture an image of the front of the display; And an image processor 40 for extracting an image of the customer from the photographed image, synthesizing the garment image to the extracted image, and outputting the image to the display 20. In add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database 50 for storing data.

디스플레이(20)는 영상을 출력하기 장치로서,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nel) 등의 표시패널(21)을 구비한다. 이외에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장치는 모두 디스플레이(20)에 해당한다.The display 20 is a device for outputting an image and includes a display panel 21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a plasma display panel (PDP). In addition, all devices capable of outputting images correspond to the display 20.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20)는 하부에 지지대(22)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22)는 복수의 바퀴(미도시) 등을 구비하여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20)는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20)는 지지대(22)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Preferably, the display 20 is provided with a support 22 at the bottom, the support 2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heels (not shown), etc. to facilitate the movement. As another example, the display 20 may be installed on a wall. In this case, the display 20 may not include the support 22.

한편, 디스플레이(20)는 표시패널(21)의 오른쪽 또는 왼쪽의 프레임에 입력 을 받아들이기 위한 입력 버튼(23)들이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20 may include input buttons 23 for receiving an input in a frame on the right or left side of the display panel 21.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패널(21)은 터치스크린 방식의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20)는 선택명령들을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입력받는다. 예를 들면, 입력버튼(23)들이 표시패널(21)에 표시되고, 고객이 표시패널(21)에 표시된 입력버튼(23)들을 터치함으로써 입력이 받아들여진다.Preferably, the display panel 21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panel. In this case, the display 20 receives selection commands by a touch screen method. For example, the input buttons 23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21, and the input is accepted by the customer touching the input buttons 23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21.

카메라(30)는 상기 디스플레이(20)에 부착되고 카메라(30)의 렌즈 부분이 디스플레이(20)의 전면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카메라(30)는 디스플레이(20)의 전면을 촬상할 수 있다.The camera 30 is attached to the display 20 and is installed so that the lens portion of the camera 30 faces the front of the display 20. Accordingly, the camera 30 may photograph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20.

바람직하게는, 카메라(30)는 디스플레이(20)의 상단 중앙에 부착된다. 정면에 위치한 고객의 영상을 좌우 대칭이 되도록 촬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Preferably, the camera 30 is attached to the top center of the display 20. This is because the image of the customer located in front can be captured to be symmetrical.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20) 전면에서 일정한 거리가 떨어진 곳에 위치선이 바닥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위치선은 고객이 촬상될 때 위치하여야 할 곳을 표시하는 선이다. 고객(10)가 위치하는 곳을 알기 때문에, 촬상된 고객의 영상으로부터 고객(10)의 키, 폭 등 크기를 알 수 있다.Preferably, the location line may be displayed on the floor at a distance away from the front of the display 20. The location line is a line indicating where to be located when the customer is imaged. Since the location of the customer 10 is known, the height, width, etc. of the customer 10 can be known from the image of the captured customer.

영상처리부(40)는 컴퓨터 연산기능을 구비한 장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20)와 카메라(30)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영상처리부(40)는 디스플레이(20)와 카메라(30)와 각각 연결된다.The image processor 40 is a device having a computer computing function, and controls the display 20 and the camera 30. To this end, the image processor 40 is connected to the display 20 and the camera 30, respectively.

바람직하게는, 영상처리부(40)는 개인용 컴퓨터(PC), 노트북 등 컴퓨터 단말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 전용단말로 구현될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영상처리부(40)는 상기 디스플레이(20)에 내장되어 구현 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칩 형태나 PCB보드 형태로 제작되어 디스플레이(20)에 내장될 수 있다.Preferably, the image processor 40 may be implemented by a program running on a computer terminal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a notebook computer, or the like. It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dedicated terminal. More preferably, the image processor 40 may be implemented in the display 20. For example, it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chip or a PCB board and embedded in the display 20.

한편, 데이터베이스(50)는 의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의류정보DB(41), 고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고객정보DB(42)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데이터베이스(40)의 구성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일 뿐이며, 구체적인 장치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접근 및 검색의 용이성 및 효율성 등을 감안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론에 의하여 다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atabase 50 is composed of a clothing information DB (41)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clothing, customer information DB (42)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customer.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database 40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and in the development of a specific device, it may be configured in a different structure by a database construction theory in view of the ease and efficiency of access and search.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부(4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mage processor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촬상영상 입력부(41), 고객영상 추출부(42), 영상기준 표시부(43), 의류영상 표시부(44), 의류영상 조절부(45), 영상합성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captured image input unit 41, the customer image extracting unit 42, the image reference display unit 43, the garment image display unit 44, the garment image adjusting unit 45, and the image synthesizing unit 46.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촬상영상 입력부(41)는 카메라(30)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20) 전면에 위치하는 고객(10)의 영상을 촬상한다.The captured image input unit 41 controls the camera 30 to capture an image of the customer 10 positioned in front of the display 20.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0) 전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고객이 서 있어야 하는 위치선이 바닥에 그려진다. 따라서 카메라(30)의 포커싱(촛점)도 상기 위치선의 거리에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카메라(30)는 자동 포커싱 기능을 구비하여 위치선 지점 근처에 물체가 잡히는 경우, 그 물체를 대상으로 초점을 맞춘다.As described above, the location line on which the customer should stan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ront of the display 20 is drawn on the floor. Therefore, the focusing of the camera 30 is also preferably adjusted to the distance of the position line. In addition, the camera 30 has an automatic focusing function, and when an object is caught near a position line point, the camera 30 focuses on the object.

촬상영상 입력부(41)는 카메라(30)로 하여금 고객(10)의 영상을 촬상하게 하고, 촬상된 영상을 입력받아 처리가능한 형태의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카메라(30)가 자체적으로 디지털 이미지를 전처리하는 경우, 그 이미지 데이터 값을 그대로 저장할 수도 있다.The captured image input unit 41 allows the camera 30 to capture an image of the customer 10, receives the captured image, and converts the captured image into digital image data in a form that can be processed and stored. When the camera 30 preprocesses the digital image by itself, the image data value may be stored as it is.

고객영상 추출부(42)는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고객(10)의 영상을 추출한다. 촬상된 영상은 고객(10)의 이미지와 그 외 배경이미지를 포함한다. 이중에서 고객(10)의 이미지만 추출한다. 추출하는 기술은 컴퓨터 비전 분야에 공개된 기술로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The customer image extractor 42 extracts an image of the customer 10 from the captured image. The captured image includes an image of the customer 10 and other background images. Of these, only the image of the customer 10 is extracted. The extraction technique is a technique disclosed in the field of computer vis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영상기준 표시부(43)는 추출된 고객(10)의 영상을 다수의 기준선(61,62)에 의해 구분하여 디스플레이(20)에 표시한다. 기준선은 가로기준선(61)과 세로기준선(62)으로 구분된다.The image reference display unit 43 divides the extracted image of the customer 10 by the plurality of reference lines 61 and 62 and displays the image on the display 20. The reference line is divided into a horizontal reference line 61 and a vertical reference line 62.

예를 들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영상기준 표시부(43)는 목, 허리, 신발(또는 발목)을 중심으로 하는 가로 기준선(61)과 고객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세로 기준선(62)으로 고객(10)의 영상을 구분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image reference display unit 43 is a horizontal reference line 61 centered on a neck, a waist, a shoe (or ankle), and a vertical reference line 62 based on the center of a customer. The image of the customer 10 is distinguished.

그 외 기준선은 더 세분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체는 겨드랑이를 중심으로 더 세분화하여 구분할 수도 있고, 하체는 바지사이 힙(엉덩이)을 중심으로 더 세분화하여 구분될 수도 있다.Other baselines may be further subdivided. For example, the upper body may be further divided by the armpit and the lower body may be divided further by the hip (hip) between the pants.

기준선으로 구분하는 이유는 의류에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지 않는 고객이 직관적으로 자신의 의류 착용의 특징을 선택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또, 의류영상을 고객영상과 겹칠 때, 기준선(61,62)은 겹치게 하는 기준 이 된다.This is because it is one of the best ways for customers who don't have expertise in clothing to intuitively choos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clothing. In addition, when overlapping the clothing image with the customer image, the reference line (61, 62) is a reference to overlap.

처음에 고객이 이 기준선(61,62)에 맞춰 서게 됩니다. 하지만 기준선(61,62) 에 못 미치는 부분이나 더 큰 부분에 대해서는 입력버튼(71)을 눌러 기준선(61,62)을 늘리거나 줄이거나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0)에 표시되는 기준선(61,62)이 고객의 허리와 비교했을 때. 고객의 허리가 더 위에 있을 경우 입력버튼(71)을 눌러 허리 기준선을 고객의 허리에 맞출 수 있다.Initially, the customer will meet this baseline (61, 62). However, for a portion less than the reference lines 61 and 62 or a larger portion, the input button 71 may be presse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reference lines 61 and 62. For example, when the reference lines 61, 62 shown on the display 20 are compared with the waist of the customer. When the waist of the customer is further above, the waist reference line may be aligned with the waist of the customer by pressing the input button 71.

이 기준선(61,62)을 고객영상에 맞춘 후 고객이 원하는 상의나 하의 등 의류를 불러올 수 있다.After the reference lines 61 and 62 are fitted to the customer image, the garments such as the top or the bottom desired by the customer can be called.

즉, 의류영상 표시부(44)는 상기 기준선(61,62)에 의해 구분된 영역에 맞도록 의류 영상을 겹쳐지게 디스플레이(20)에 표시한다. 이때, 의류영상 표시부(44)는 의류영상을 기준선(61,62)에 의해 겹쳐지게 한다.That is, the garment image display unit 44 displays the garment image on the display 20 so that the garment image overlaps with the areas separated by the reference lines 61 and 62. In this case, the garment image display unit 44 overlaps the garment image by the reference lines 61 and 62.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상의는 목과 허리의 기준선 안에 들어가도록 표시되고, 하의는 허리와 신발 사이의 기준선 안에 들어가도록 표시한다. 또는, 바지의 밸트 부분을 상기 허리 기준선과 일치하도록 의류영상을 표시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3, the top is marked to fall within the baseline of the neck and waist, the bottom is marked to fall within the baseline between the waist and shoes. Alternatively, the garment image is displayed to match the belt portion of the pants with the waist reference line.

한편, 의류영상 표시부(44)는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된 의류정보들 중 고객에 의해 선택되는 의류를 가져와서, 가져온 의류영상을 디스플레이(20)에 표시한다. 의류정보는 분류 또는 검색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되어, 고객이 분류 또는 검색어 등으로 원하는 의류를 쉽게 찾아보도록 한다. 일례로 상의에 대한 의류정보는 성별, 사이즈, 긴팔/짧은 팔, 난방/셔츠(종류), 청바지/면바지(재질) 등으로 구분되어 저장된다.Meanwhile, the garment image display unit 44 imports the garment selected by the customer among the garm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50 and displays the imported garment image on the display 20. Clothing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atabase 50 together with the classification or search words, so that customers can easily find the desired clothing by the classification or search words. For example, the clothing information for the top is divided into gender, size, long sleeve / short arm, heating / shirt (type), jeans / cotton pants (material), and the like.

한편, 의류영상 표시부(44)는 의류의 크기를 조절하는 경우, 의류 영상을 반투명하게 상기 고객(10)의 영상과 겹쳐지게 보이도록 표시한다. 도 5a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의류영상이 반투명으로 표시되므로, 뒤에 표시되는 고객영상이 비추어져 보여진다.Meanwhile, when adjusting the size of the garment, the garment image display unit 44 displays the garment image so as to overlap the image of the customer 10 in a translucent manner. As shown in FIG. 5A, since the garment image is displayed in a translucent manner, the customer image displayed behind is displayed.

이로 인해, 고객(10)은 의류영상 뿐만 아니라 뒤에 위치한 고객영상도 한꺼번에 볼 수 있다.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고객(10)이 의류영상을 줄이거나 늘릴 때 자신의 신체에 비하여 어느 정도 줄이거나 늘리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customer 10 can view not only the clothing image but also the customer image located at the same tim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ustomer 10 reduces or increases the clothing image, the customer 10 may check how much the user 10 decreases or increases the body image.

의류영상 조절부(45)는 상기 구분된 영역별로 고객의 입력을 받아 표시된 의류 영상의 크기를 조절한다. 특히, 의류영상 조절부(45)는 상기 기준선(61,62)에 의해 구분되는 영역별로 좌우 또는 상하의 입력을 받아 의류의 좌우 길이 또는 상하 길이를 조절한다.The garment image controller 45 adjusts the size of the displayed garment image by receiving a customer input for each of the divided regions. In particular, the clothing image adjusting unit 45 receives the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inputs for each area divided by the reference lines 61 and 62 to adjust the left and right lengths or the top and bottom lengths of the clothes.

바람직하게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방식에 의해, 의류영상을 조절하는 입력장치(70)들이 디스플레이(20)의 화면에 표시된다.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입력장치(70)는 상하좌우 늘리거나 줄이는 입력버튼, 의류영상을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입력버튼 등을 포함한다.Preferably, as shown in Figure 4, by the touch screen method, the input device 70 for adjusting the clothing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20. The input device 70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ncludes an input button for increasing or decreasing up, down, left, and right, an input button for moving the garment image up, down, left, and right.

상기 입력장치(70)들은 구분된 영역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입력버튼들이 나누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표시된 고객영상 또는 의류영상의 영역이 선택되면, 선택된 영역의 의류와 관련된 입력버튼들이 표시될 수 있다.The input devices 70 are divided into input buttons so as to be adjusted for each divided area. Preferably, when an area of the displayed customer image or clothing image is selected, input buttons related to clothing of the selected area may be displayed.

도 4에 표시되는 버튼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buttons shown in FIG. 4 are described as follows.

"목선UP", "목선Down" 등은 목선, 허리선, 발목선 업버튼 또는 다운버튼은 각각 기준선을 상하로 조절하는 버튼이다. 또, "셔츠"버튼 아래에 있는 버튼들은 상의 의류영상이 맞지 않는 경우,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하거나 좌우 또는 상하로 늘리는 버튼들이다. "바지"버튼 아래에 있는 버튼들은 하의 의류영상을 조절하기 위한 버튼들이다."Neckline UP" and "Neckline Down" are neckline, waistline, ankle line up button or down button, respectively, to adjust the baseline up and down. In addition, the buttons under the "shirt" button are buttons that move left, right, up and down, or stretch left, right, up and down when the upper garment image does not match. The buttons below the "pants" button are for controlling the lower garment image.

영상합성부(46)는 완료 입력을 받으면, 상기 의류 영상을 상기 의류 영상과 합성한다.The image synthesizing unit 46 synthesizes the garment image with the garment image upon receiving a completion input.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영상합성부(46)는 의류영상을 조절할 때 표시되던 반투명 상태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한다. 또, 상의가 아래 끝단이 하의 안으로 들어가게 입혀지거나, 밖으로 들어나는 등의 경우에는, 안쪽에 들어가는 상의 또는 하의 부분은 보여지지 않게 표시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고객이 실제 입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5B, the image synthesizer 46 converts the translucent state displayed when the garment image is adjusted to the opaque state.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upper end is coated so that the lower end enters into the lower part, or the outer part is lifted out, the part of the upper or lower part that enters inside is displayed invisibly. By doing this, the customer can feel the actual wear.

또한, 영상합성부(46)는 의류영상과 합성된 고객영상을 배경영상에 합쳐 디스플레이(20)에 표시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20)는 마치 거울과 같이 비춰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synthesizing unit 46 displays the customer image synthesized with the garment image on the display 20 in combination with the background image. In this way, the display 20 can be illuminated like a mirror.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의 가상착용을 위한 디지털 가상 거울 처리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 digital virtual mirror processing method for virtual wearing of cloth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상기 디지털 가상 거울 처리 방법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0), 상기 디스플레이(20)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 전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30),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부(40)를 포함하는 가상 거울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고객(10)의 영상에 의류 영상을 합성하여 출력하는 방법이다.The digital virtual mirror processing method includes a display 20 for displaying an image, a camera 30 attached to the display 20 to capture an image of the front of the display, and an image processor 40 for processing the captured image. Using a mirror system, a clothing image is synthesized and output from the captured image to the image of the customer 10.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디지털 가상 거울 처리 방법은 (a) 상기 카메라(30)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전면에 위치하는 고객(10)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S10); (b) 상기 영상처리부(40)는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고객의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S20); (c) 상기 영상처리부(40)는 상기 추출된 고객의 영상을 기준선에 의해 구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20)에 표시하는 단계(S30); (d) 상기 영상처리부(40)는 상기 기준선(61,62)에 의해 구분된 영역에 맞도록 의류 영상을 겹쳐지게 표시하는 단계(S40); (e) 상기 영상처리부(40)는 상기 구분된 영역별로 고객의 입력을 받아 표시된 의류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S50); (f) 완료 입력을 받으면, 상기 의류 영상을 상기 의류 영상과 합성하는 단계(S60)로 구분된다.As shown in FIG. 5, the digital virtual mirror processing method includes: (a) capturing an image of a customer 10 positioned in front of the display by the camera 30 (S10); (b) the image processing unit 40 extracting an image of a customer from the captured image (S20); (c) the image processor 40 dividing the extracted image of the customer by a reference line and displaying the extracted image on the display 20 (S30); (d) displaying, by the image processor 40, the garment image overlapping with each other by the reference lines 61 and 62 so as to overlap the clothing image (S40); (e) the image processing unit 40 adjusting the size of the displayed clothing image by receiving a customer input for each of the divided regions (S50); (f) Upon receiving the completion input, it is divided into the step of synthesizing the garment image with the garment image (S60).

특히, 상기 (e)단계에서, 영상처리부(40)는 상기 기준선에 의해 구분되는 영역별로 좌우 또는 상하의 입력을 받아 의류의 좌우 길이 또는 상하 길이를 조절한다. 또, 영상처리부(40)는 의류의 크기를 조절하는 경우, 의류 영상을 반투명하게 상기 사람의 영상과 겹쳐지게 보이도록 표시한다.In particular, in the step (e), the image processing unit 40 receives the left and right or top and bottom input for each area divided by the reference line to adjust the left and right length or the top and bottom length of the garment. In addition, when the size of the clothes is adjusted, the image processor 40 displays the clothes image so as to overlap with the image of the person in a translucent manner.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is inventor was demonstrated concretely according to the said Examp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xample, Of course, a various change is possible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본 발명은 고객을 촬영하여 의류영상을 합성하여 표시하는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촬영된 고객의 영상을 기준선으로 구분하여 의류영상을 겹쳐지게 표시하고 구분된 영역별로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적용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a digital virtual mirror system for wearing a clothing that displays and synthesizes the clothing image by photographing the customer.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a digital virtual mirror system for clothing wear that can display the image of the overlapping clothing image by dividing the image of the customer photographed by the baseline and can adjust the size for each divided area.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virtual mirror system for wearing cloth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proces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영상의 기준선을 예시한 도면이 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ference line of an image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입력버튼들의 배열을 예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rangement of input buttons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의류영상을 조절하여 합성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adjusting and synthesizing a garment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의 가상착용을 위한 디지털 가상 거울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gital virtual mirror processing method for virtual wearing of cloth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고객 20 : 디스플레이10: customer 20: display

30 : 카메라 40 : 영상처리부30: camera 40: image processor

50 : 데이터베이스 60 : 고객영상 또는 의류영상50: database 60: customer image or clothing image

61, 62 : 기준선 63 : 영역61, 62: reference line 63: area

70 : 입력장치 71 : 입력버튼70: input device 71: input button

Claims (9)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A display for displaying an image; 상기 디스플레이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 전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A camera attached to the display to capture an image of the front of the display;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고객의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에 의류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고,An image processor extracting an image of a customer from the captured image, synthesizing a garment image to the extracted image, and outputting the image to the display; 상기 영상처리부는,The image processor, 의류 영상과 합성된 고객의 영상을 다수의 기준선으로 구분하고, 상기 기준선에 따라 겹쳐지게 표시된 의류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시스템.The clothing virtual image and the image of the customer synthesized by a plurality of reference lines, the digital virtual mirror system for wearing a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size of the displayed clothing image to be superimposed according to the reference lin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상처리부는 목, 허리, 신발을 중심으로 하는 가로 기준선과 고객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세로 기준선으로 고객의 영상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시스템.The image processing unit wears a digital virtual mirror system for clothes, characterized in that for separating the image of the customer to the horizontal reference line centering around the neck, waist, shoes and the customer's cent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기준선에 의해 구분되는 영역별로 좌우 또는 상하의 입력을 받아 의류의 좌우 길이 또는 상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시스템.The image processing unit wears a digital virtual mirror system for clothes,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length or the top and bottom length of the clothing by receiving the input of the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for each area divided by the reference line.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좌우 또는 상하의 입력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시스템.The image processing unit wears a digital virtual mirror system for clothes,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the input of the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on the displa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상처리부는 의류의 크기를 조절하는 경우, 의류 영상을 반투명하게 상기 고객의 영상과 겹쳐지게 보이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시스템.W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adjusts the size of the clothing, a digital virtual mirror system for clothing wearing, characterized in that to display the clothing image so as to overlap the image of the customer translucent.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 전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는 가상 거울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고객의 영상에 의류 영상을 합성하여 출력하는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처리 방법에 있어서,Using the virtual mirror system including a display for displaying an image, a camera attached to the display to photograph an image on the front of the display,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captured image, the clothing image is synthesized from the captured image to the customer's image. In the digital virtual mirror processing method for clothing wearing to output the (a)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전면에 위치하는 고객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a) capturing an image of a customer located in front of the display by the camera; (b)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고객의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b) the image processor extracting an image of a customer from the photographed image; (c)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추출된 고객의 영상을 기준선에 의해 구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c) displaying the extracted image of the customer on the display by dividing the extracted image of the customer by a reference line; (d)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기준선에 의해 구분된 영역에 맞도록 의류 영상을 겹쳐지게 표시하는 단계;(d) displaying the clothing image to overlap the image of the garment so as to fit in a region separated by the reference line; (e)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구분된 영역별로 고객의 입력을 받아 표시된 의류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e) adjusting the size of the displayed clothing image by receiving a customer input for each of the divided regions; (f) 완료 입력을 받으면, 상기 의류 영상을 상기 의류 영상과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의 가상착용을 위한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처리 방법.and (f) receiving a completion input, synthesizing the garment image with the garment image.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e)단계에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기준선에 의해 구분되는 영역별로 좌우 또는 상하의 입력을 받아 의류의 좌우 길이 또는 상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처리 방법.In the step (e), the image processing unit receives a left and right or top and bottom input for each area divided by the reference line to adjust the left and right length of the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digital virtual mirror processing method for wearing clothing.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e)단계에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의류의 크기를 조절하는 경우, 의류 영상을 반투명하게 상기 사람의 영상과 겹쳐지게 보이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처리 방법.In the step (e), w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adjusts the size of the clothing, digital virtual mirror processing method for wearing a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to display the clothing image so as to appear translucent overlapping the image of the person.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의류착용용 디지털 가상 거울 처리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method of processing a digital virtual mirror for wearing clothing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KR1020090053406A 2009-06-16 2009-06-16 A digital virtual mirror system for wearing clothes and the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10013500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406A KR20100135001A (en) 2009-06-16 2009-06-16 A digital virtual mirror system for wearing clothes and the process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406A KR20100135001A (en) 2009-06-16 2009-06-16 A digital virtual mirror system for wearing clothes and the process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001A true KR20100135001A (en) 2010-12-24

Family

ID=43509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406A KR20100135001A (en) 2009-06-16 2009-06-16 A digital virtual mirror system for wearing clothes and the process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5001A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506B1 (en) * 2012-01-18 2013-11-07 주식회사 도브투래빗 Digit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ustomized product and using system there of
WO2014171644A1 (en) * 2013-04-14 2014-10-23 Lee Moon Key Augmented reality system using mirror
WO2015031164A1 (en) * 2013-08-30 2015-03-05 Glasses.Co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3-d model of a user using a rear-facing camera
CN105528799A (en) * 2014-10-21 2016-04-27 三星电子株式会社 Virtual fitting device and virtual fitting method thereof
KR20160088112A (en) * 2015-01-15 2016-07-25 (주)에프엑스기어 Virtual fitting system, method of providing virtual fitting service for promoting sales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KR20220118095A (en) * 2021-02-18 2022-08-25 엔에이치엔클라우드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clothing virtual try-on service based on deep learning
KR102547960B1 (en) * 2022-03-17 2023-06-26 한명수 Customized on-line shopping service method and measuring booth for the method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506B1 (en) * 2012-01-18 2013-11-07 주식회사 도브투래빗 Digit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ustomized product and using system there of
WO2014171644A1 (en) * 2013-04-14 2014-10-23 Lee Moon Key Augmented reality system using mirror
WO2015031164A1 (en) * 2013-08-30 2015-03-05 Glasses.Co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3-d model of a user using a rear-facing camera
CN105528799A (en) * 2014-10-21 2016-04-27 三星电子株式会社 Virtual fitting device and virtual fitting method thereof
WO2016064121A1 (en) * 2014-10-21 2016-04-28 삼성전자 주식회사 Virtual fitting device and virtual fitting method thereof
KR20160046471A (en) * 2014-10-21 2016-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virtual fitting thereof
US20170316617A1 (en) * 2014-10-21 2017-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rtual fitting device and virtual fitting method thereof
US10152829B2 (en) * 2014-10-21 2018-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rtual fitting device and virtual fitting method thereof
KR20160088112A (en) * 2015-01-15 2016-07-25 (주)에프엑스기어 Virtual fitting system, method of providing virtual fitting service for promoting sales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KR20220118095A (en) * 2021-02-18 2022-08-25 엔에이치엔클라우드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clothing virtual try-on service based on deep learning
KR102547960B1 (en) * 2022-03-17 2023-06-26 한명수 Customized on-line shopping service method and measuring booth for the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9063B1 (en) Method for composing image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JP6341646B2 (en) Try-on support device and method
JP649043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EP34793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makeup mirror
KR20100135001A (en) A digital virtual mirror system for wearing clothes and the processing method thereof
JP5791812B2 (en) Clothes image processing device, clothes image display method, and program
CN102473041B (en) Image recognition device, opera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KR2016004647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rtual fitting thereof
US10311508B2 (en) Garment modeling simulation system and process
TWI525569B (en) Clothes image processing system, clothing image processing device, clothing image processing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information memory medium
JP2016054450A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17130158A1 (en) Virtually trying cloths on realistic body model of user
JP6830432B2 (en) Garment design display system, garment manufacturing system, garment design output system and garment design output method
JP5439787B2 (en) Camera device
KR102172988B1 (en) Device and method for eyeliner-wearing guide
KR101682769B1 (en) The user fitting type automatic online fashion coordination matching method
JP2020170394A (en) Clothing-wearing visualization system and clothing-wearing visualization method
US2015026975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1720016B1 (en) A clothing fitting system with a mirror display by using salient points and the method thereof
US20140085330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computer readable medium
JP7228025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Augmented Reality-Based Virtual Garment Try-On with Multiple Detections
WO20180058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makeup mirror
KR101643917B1 (en) The smart fitting apparatus based real image
JP2001134745A (en) Try-on simulation system
TW202121391A (en) Display system, generation method, displa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