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4599A - Insertion device with horizontally moving part - Google Patents

Insertion device with horizontally moving p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4599A
KR20100134599A KR1020107020603A KR20107020603A KR20100134599A KR 20100134599 A KR20100134599 A KR 20100134599A KR 1020107020603 A KR1020107020603 A KR 1020107020603A KR 20107020603 A KR20107020603 A KR 20107020603A KR 20100134599 A KR20100134599 A KR 20100134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device
housing
moving part
penetrating member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06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스테펜 긴
리차드 모르간 히크모트
알리스타 데이비드 모르톤
헨릭 젭슨
Original Assignee
우노메디컬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노메디컬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우노메디컬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00134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59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장치 또는 의료장치의 일부를 환자의 피부나 근육에 주입하기 위한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입장치(삽입기 또는 주입기라고 불리는)는 일반적으로 주입기 세트와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의료장치를 더욱 자동화되거나 조금 덜 자동화된 방식으로 환자의 피부를 통과하여 삽입하기 위해 의료분야에 사용된다.
본 발명은 전환수단(52)에 연결된 관통부재(50); 전환수단(52)의 이동을 제한하고, 관통부재(50)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제1 방향인 주입방향, 주입위치쪽으로 인도하는 안내수단(39)을 포함하는 이동부(38); 및 이동부(38)의 이동을 제한하는 안내수단(32)을 포함하는 정지된 하우징(30)을 구비하는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내수단(32)은 이동부(38)를 직선이면서, 제1 방향, 즉 바꿔말하면 삽입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인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jection device for injecting a medical device or part of a medical device into the skin or muscle of a patient. Infusion devices (called injectors or injectors) are generally used in the medical field to insert medical devices, such as injector sets and the like, through the skin of a patient in a more automated or less automated manner.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rough member 50 connected to the switching means 52; A moving part 38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switching means 52 and including a guide means 39 for guiding the penetrating member 50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in the injection direction, the injection position in the first direction. ; And a stationary housing (30) comprising guide means (32) for limiting movement of the moving part (38). The guide means 32 guides the moving part 38 in a straight line in a first direction, that is, in a second direc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insertion direction.

Description

수평 이동부를 구비한 주입장치{Insertion device with horizontally moving part}Injection device with horizontally moving part

본 발명은 의료장치 또는 의료장치의 일부를 환자의 피하(subcutaneous)나 근육에 삽입하기 위한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usion device for inserting a medical device or part of a medical device into a subcutaneous or muscle of a patient.

주입장치(삽입기 또는 주입기라고 불리는)는 일반적으로 주입기 세트와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의료장치를 더욱 자동화되거나 조금 덜 자동화된 방식으로 환자의 피부를 통과하여 삽입하기 위해 의료분야에 사용된다.
Infusion devices (called injectors or injectors) are generally used in the medical field to insert medical devices, such as injector sets and the like, through the skin of a patient in a more automated or less automated manner.

일반적으로, 주입기를 사용할 때, 의료장치(바늘, 캐뉼라, 센서, 및 이와 유사한 것)를 주입하기 위해서, 환자나 치료제공자(예를 들어, 간호사, 환자, 의료분야 관련자, 또는 이와 유사한 사람)는 환자피부의 피부를 향해 힘을 가해야 한다.이는 생리학적이거나 심리적인 어려움 및/또는 불편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의료장치의 부적절한 이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약물 치료에 사용되는 주입바늘과 다른 관통장치와 같은 날카로운 물체를 두려워한다. 이러한 두려움은 종종 이성을 상실하게 하고, 이는 적절한 약물 치료를 방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가치료의 경우에 있어서, 필요한 약물성분의 적절한 1회 복용량을 투약의 결핍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고, 합병증은 심지어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어린아이의 당뇨병을 치료할 때, 장치와 투약의 정확한 적용을 생략한 결과에 관한 지식과 인식의 일반적인 부족과 관련하여 필요한 인슐린 1회 투여량이 삽입바늘에 대한 이성을 잃을 정도의 두려움 때문에 스스로 투여될 수 없는 위험이 있다.
In general, when using an injector, in order to inject a medical device (needle, cannula, sensor, and the like), the patient or provider (eg, a nurse, patient, healthcare practitioner, or similar person) Force should be applied to the skin of the patient's skin, which may result in physiological or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 or discomfort, and inadequate use of the medical device. Most people are afraid of sharp objects such as infusion needles and other penetrating devices that are commonly used for drug treatment. This fear often leads to loss of reason, which can interfere with proper medication. In the case of self-treatment, for example, a lack of proper dosage of the necessary drug substance can lead to complications, and complications can even be life threatening. When treating diabetes in young children, a single dose of insulin required in connection with a general lack of knowledge and awareness of the consequences of omitting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device and the dosage can be administered by itself due to the fear of losing reason for the needle. There is no danger.

의료장비의 삽입에 대해 추가로 알려진 사실은 사용 전이나 사용하는 동안 관통부재의 오염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이는 오염된 삽입바늘을 통해 환자에게 감염을 쉽게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바늘이 길게 나와 있을수록, 예를 들어 바늘을 손가락으로 만지거나, 바늘을 더러운 표면에 접촉시키거나, 공기에 부유중인 오염물질, 에어로졸 오염물질 및 이와 유사한 것에 의해 뜻하지 않은 오염을 발생시킬 위험이 더욱 높아진다. 환자의 일반적인 건강상태에 관련되어 감염원(예를 들어 바이러스, 박테리아, 균류, 이스트(ysast), 및/또는 프라이온(prion))에 따라, 발생한 감염은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을 빠르게 변화시킬 수 있다.
A further known fact about the insertion of medical devices is that there is a risk of contamination of the penetrating member before or during use. This can easily cause infection in the patient through contaminated needles. The longer these needles are, the greater the risk of unintentional contamination, for example, by touching the needle with a finger, touching the needle on a dirty surface, or by causing airborne contaminants, aerosol contaminants, and the like. Even higher. Depending on the source of infection (eg, virus, bacteria, fungus, yeast, and / or prion) related to the patient's general health, the infection that occurs can quickly change a life-threatening situation. .

최종적으로, 특히 병원에서 감염되어 사용되는 바늘에 접촉하는 것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고, 사용된 삽입바늘의 형태로 오염된 물질에 뜻하지 않게 노출되는 위험이 감소하여야 한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Finally, it is well known that contact with needles that are infected and used, especially in hospitals, can be life threatening and the risk of accidental exposure to contaminated material in the form of used needles should be reduced.

국제공개 WO 2002/002165는 바늘을 환자피부로부터 이동하는 장치로 수축시키는 바늘 수축 메커니즘을 구비한 바늘장치를 공개했다. 바늘장치는 전환수단에 연결된 관통부재, 전환수단의 이동을 제한하고 관통부재를 주입기를 향하는 주입방향으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인도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더욱이, 바늘장치는 액츄에이터의 이동을 제한하는 안내수단을 구비한 정지 하우징을 포함한다. 액츄에이터와 부착된 바늘은 삽입방향으로 명명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공개된 발명에 따르면, 관통부는 이동부와의 관계에서 이동하고, 이동부는 삽입된 후에 관통부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이에 따라 관통부재가 삽입방향으로 주입기로 인도되는 동안, 간단한 스프링 메커니즘에 의해 이동부를 한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속도와 가속도에 다다를 때, 분리된 장치와 방향은 각각의 부품의 개별적인 조절가능성을 최적화한다.
International publication WO 2002/002165 discloses a needle device with a needle retraction mechanism for retracting a needle into a device that moves from the patient's skin. The needle device includes a penetrating member connected to the switching means, and an actuator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switching means and leading the penetrating member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in the injection direction towards the injector. Furthermore, the needle device comprises a stop housing with guide means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actuator. The actuator and the attached needle move in the same direction named insertion direction. According to the disclosed invention, the penetrating portion moves in relation to the moving portion, and the moving portion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penetrating portion after being inserted. This makes it possible to push the moving part in one direction by a simple spring mechanism while the penetrating member is guided to the injector in the insertion direction. When approaching speed and acceleration, separate devices and orientations optimize the individual controllability of each part.

그리하여, 이러한 의료분야에서 튼튼하고, 믿을 수 있고, 정확하고, 안전하고, 위생적이며, 사용자에게 친숙한 주입장치가 확실히 필요하고, 상기에서 언급된 공개공보에 나타나 있다.
Thus, a robust, reliable, accurate, safe, hygienic, and user-friendly infusion device in this medical field is certainly needed and is indicated in the above-mentioned publication.

본 발명은 관통부재를 피부 아래에 삽입하기 위한 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여기에서 "관통부재(penetrating member)"는 바늘, 캐뉼라, 센서,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 이해된다. 관통부재는 일반적으로 날카롭고, 삽입되는 동안 환자가 볼 수 없는 위치로 유지되며, 관통부재가 실제로 삽입되기 전에 사용자 또는 환자에게 접촉할 수 없는 위치로 유지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jection device for inserting a penetrating member under the skin, where a "penetrating member" is understood to be a needle, cannula, sensor, or the like. The penetrating member is generally sharp and kept in a position that is invisible to the patient during insertion and in a position where the penetrating member cannot contact the user or patient before the penetrating member is actually inserted.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환수단에 연결된 관통부재; 전환수단의 이동을 제한하고, 관통부재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제1 방향인 주입방향, 주입위치쪽으로 인도하는 안내수단을 포함하는 이동부; 및 이동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안내수단을 포함하는 정지된 하우징을 구비하고, 이러한 안내수단은 이동부를 직선이면서, 제1 방향, 즉 바꿔말하면 삽입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인도하는 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rough member connected to the switching means; A moving part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switching means and including a guide means for guiding the penetrating member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in an injection direction in a first direction and toward an injection position; And a stationary housing including a guide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the moving part, wherein the guide means provides an injection device for guiding the moving part in a straight line and in a second direc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insertion direction, in a straight line. To provi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방향은 제1 방향에 수직이지만, 제2 방향은 제1 방향에 대해 어떠한 각도도 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제1 방향으로부터 40~90°를 벗어난 각도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irection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but the second direction may be any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and is generally an angle that is 40 to 90 ° away from the first direction.

"정지 하우징(stationary housing)"이란 삽입 동안에 하우징이 주입기와의 관계에서 이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환수단의 이동을 제한하는 안내수단과 전환수단 사이에 있는 접촉이 종종 미끄러지고(sliding), 이는 안내수단과 인도되는 장치 사이에 있는 접촉이 연속적인 것을 나타내며, 즉 바꿔말하면 중단되지 않고 모든 위치에서 안내수단에 접촉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Stationary housing" means that the housing does not move in relation to the injector during insertion. The contact between the guiding means and the diverting means, which limits the movement of the diverting means, often slides, indicating that the contact between the guiding means and the device being guided is continuous, i.e. uninterrupted in all positions The contact with the guide mea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입장치는 관통부재의 이동을 제1 방향으로 선형이동되도록 제한하는 안내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안내수단은 삽입 동안 관통부재가 삽입방향에서 선형방향으로 환자의 피부 안으로 지나가는 것을 보장하고, "삽입 동안(during insertion)"이 정의하는 시기는 환자의 피부 안으로 삽입되는 관통부재의 일부가 주입기에서 피부표면에 막 관통될 때 시작하는 시기와 환자의 피부 안으로 삽입되는 관통부재의 일부가 완전히 삽입될 때 끝나는 시기를 의미한다. 만약 안내수단이 없다면, 선형이동은 오로지 간단하고 저렴한 부품을 사용할 때 특히 어려운 관통부재의 속도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만 보장될 것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injection device comprises guide means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penetrating member to be linearly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This guiding means ensures that the penetrating member passes into the patient's skin in the linear direction from the insertion direction during insertion, and when "during insertion" is defined, a portion of the penetrating member inserted into the patient's skin is defined by the injector. It refers to the time when it begins to penetrate the skin surface and ends when a part of the penetrating member inserted into the skin of the patient is completely inserted. If there is no guiding means, linear movement will only be ensured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penetrating member, which is particularly difficult when using simple and inexpensive components.

주입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방향은 관통부재가 삽입되는 표면에 서 각도 β를 형성하고, 각도 β는 30°≤β≤90°가 된다. 각도 β는 관통부재가 관통부재가 위치되어 있는 표면에 접촉하기 전의 시간으로부터 관통부재가 표면 아래에 위치되는 시간까지 관통부재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이동은 선형이다. 관통부재가 기울어진 각도로 삽입될 수 있고, 여기에서 각도 β는 30°≤β≤85°또는 95°≤β≤150°이고, 일반적으로 기울어진 각도는 대략 45°, 즉 바꿔말하면 30°≤β≤60°또는 120°≤β≤150°이거나, 40°≤β≤50°또는 130°≤β≤140°이며, 여기에서 관통각도 β는 관통부재의 관통하는 이동의 방향과 관통부재가 위치되는 환자의 피부 사이 각도로써 형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jection device, the first direction forms an angle β at the surface into which the penetrating member is inserted, and the angle β is 30 ° ≦ β ≦ 90 °. The angle β is 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enetrating member moves from the time before the penetrating member contacts the surface on which the penetrating member is positioned to the time when the penetrating member is positioned below the surface. This movement is linear. The penetrating member can be inserted at an inclined angle, wherein the angle β is 30 ° ≦ β ≦ 85 ° or 95 ° ≦ β ≦ 150 °, and generally the inclined angle is approximately 45 °, ie 30 ° ≦ β≤60 ° or 120 ° ≤β≤150 °, or 40 ° ≤β≤50 ° or 130 ° ≤β≤140 °, where the penetration angle β is the direction of the penetrating movement of the penetrating member and the penetrating member is located Being formed at an angle between the skin of the patient.

주입장치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도 β는 장치가 관통부재가 위치되는 표면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관통부재가 환자의 피부 표면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이라는 것은 관통각도 β가 90°라는 것을 의미하고, 일반적으로 85°≤β≤95°와 같은 경미한 편차범위도 환자 피부 표면에 대해 수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injection device, the angle β can be esse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device is located. The fact that the penetrating member is esse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kin surface of the patient means that the penetrating angle β is 90 °, and in general, even a slight deviation range such as 85 ° ≤β≤95 ° should be considered perpendicular to the patient skin surface. Can be.

주입장치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 동안 이동부의 방향은 직선이고, 본질적으로 관통부재가 위치되는 표면에 대해 평행하다. 방향이 본질적으로 평행하다는 것은 삽입위치에서 이동부의 방향과 설치하는 피부 사이에 각도가 대략 0°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45°≤α≤45°의 각도 기울기일 수 있다. 여기에서 양의 각도 기울기 α는 환자 피부쪽으로 기울어진 이동을 나타내고, 음의 각도 기울기는 환자 피부표면으로부터 떨어져서 기울어진 이동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피부의 표면과 이동부의 방향 사이에 10°보다 작은 편차범위, 즉 바꿔말하면 -10°≤α≤10°의 편차범위일 수 있다. 이동부의 이동방향이 직선이라는 것은 이동부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직선라인을 따라 이동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injection device,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during insertion is straight and essentially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penetrating member is located. The essentially parallel orientation means that the angle is approximately 0 ° between the orientation of the moving part and the installing skin at the insertion position. This may be an angle gradient of −45 ° ≦ α ≦ 45 °. The positive angle gradient α here represents the tilted movement towards the patient's skin and the negative angle slope represents the tilted movement away from the patient's skin surface. In general, there may be a deviation range of less than 10 °, in other words a deviation range of −10 ° ≦ α ≦ 10 ° between the surface of the patient's skin and the direction of the moving part.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moving part being straight means that the moving part moves along the straight lin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주입장치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부의 추가적인 이동은 고정수단 및/또는 삽입바늘의 수축이동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인 이동(fruther movement)"이란 제1 이동, 즉 바꿔말하면 선형이동이 제2 위치에서 끝난 후에, 이동부의 전방이동이 제3 위치를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제3위치에서 이동부의 전방이동이 정지되거나, 선택적으로 이동부의 선형이동은 역전되거나, 제2 방향이 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injection device, the further movement of the moving part may provide for the contractive movement of the fastening means and / or the insertion needle. "Fruther movement" means that the forward movement of the moving part may constitute the third position after the first movement, ie the linear movement ends at the second position, and the front of the moving portion at the third position The movement may be stopped, or optionally the linear movement of the moving part may be reversed or in the second direction.

주입장치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주입부는 베이스부에 부착될 수 있고, 베이스부는 관통부재가 삽입되는 표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관통부재는 삽입중에 베이스부에 접촉된다.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injection device, the injection portion can be attached to the base portion, the base portion can be fixed to the surface into which the penetrating member is inserted, and the penetrating member contacts the base portion during insertion.

주입장치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부재는 캐뉼라, 캐뉼라를 고정하는 몸체, 및 삽입 표면에서 몸체와 캐뉼라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캐뉼라가 매우 작고 스스로 사용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캐뉼라가 몸체에 풀릴 수 없게 고정되어 있다.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injection device, the penetrating member comprises a cannula, a body for holding the cannula, and a fixing means for holding the body and the cannula at the insertion surface. Since the cannula is very small and difficult to use on its own, the cannula is fixed to the body so that it cannot be loosened.

주입장치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수단은 주입기의 위쪽의 베이스부에 있는 상호작용수단과 상호작용할 수 있고, 관통부재의 몸체를 베이스부에 고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injection device, the fastening means can interact with the interaction means in the base part above the injector and can fix the body of the penetrating member to the base part.

주입장치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부의 안내수단은 관통부재의 전환수단이 미끄러질 수 있는 홈을 포함한다. 홈은 본질적으로 관통부재 또는 적어도 관통부재의 일부를 위한 시작지점, 중가지점, 끝지점을 형성하는 V-형태 또는 U-형태일 수 있다. 더욱이,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속도와 함께 시작지점으로부터 중간지점까지 홈의 경사가 삽입속도를 결정한다. 홈의 경사는 좌표시스템으로 설명되고, 여기에서 x-축은 수평, 즉 바꿔말하면 베이스부가 위치되는 표면을 따라서 이동부의 전방이동(이동부가 x-축을 따라 -∞로 이동)에 의해 형성된 선방향으로 위치되며, y-축은 이러한 표면에 수직으로 위치된다. 이러한 좌표시스템에서, 홈은 중간지점과 시작시점 사이에서 음의 경사도를 갖고, 경사도의 명목상의 크기는 삽입 동안 관통부재의 속도에 영향을 미치며, 경사가 더욱 가파를수록 삽입이 더욱 빨라진다. 만약 홈이 곡선 즉 바꿔말하면 직선이 아니라면, 경사나 탄젠트 대 경사의 비는 일반적으로 -1과 -2 사이가 될 것이다. 더욱이,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속도와 함께 시작지점으로부터 중간지점까지 홈의 경사가 수축속도를 결정한다. 홈은 중간지점과 끝지점 사이에서 양의 경사도를 갖고, 경사도의 명목상의 크기는 별개의 삽입바늘 또는 관통부재의 다른 부분의 수축 동안 관통부재의 속도에 영향을 미치며, 경사가 더욱 가파를수록 수축이 더욱 빨라진다. 경사나 탄젠트 대 슬로프의 비는 일반적으로 1과 2 사이가 될 것이다.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injection device, the guide means of the moving part includes a groove in which the switching means of the penetrating member can slide. The groove may be essentially V-shaped or U-shaped, forming a starting point, a middle point, an end point for the penetrating member or at least part of the penetrating member. Moreover, the inclination of the groove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intermediate point together with the speed of moving the moving part determines the insertion speed. The slope of the groove is described by the coordinate system, where the x-axis is horizontal, i.e. located in a linear direction formed by the forward movement of the moving part (the moving part moving to -∞ along the x-axis) along the surface on which the base part is located. And the y-axis is located perpendicular to this surface. In this coordinate system, the groove has a negative slope between the midpoint and the starting point, the nominal magnitude of the slope affects the speed of the penetrating member during insertion, and the steeper the slope, the faster the insertion. If the groove is curved, or in other words not straight, the slope or tangent to slope ratio will generally be between -1 and -2. Moreover, the slope of the groove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middle point together with the speed of moving the moving part determines the contraction speed. The groove has a positive slope between the midpoint and the end point, the nominal magnitude of the slope affects the speed of the penetrating member during the contraction of a separate insertion needle or other part of the penetrating member, and the steeper the slope This is faster. The ratio of slope or tangent to slope will typically be between one and two.

주입장치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부는 직접적으로 사용자가 입력하거나 또는 간접적으로 사용자가 입력하는 것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이동부를 밀거나 당기는 것과 같이 직접적인 힘을 장치에 가하거나, 사용자가 이동부를 밀거나 당기는 스프링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작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injection device, the moving part may be moved by the user directly or indirectly by the user. This means that the user applies a direct force to the device, such as pushing or pulling the moving part, or the user actuates a spring or the like that pushes or pulls the moving part.

주입장치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부의 이동은 작동부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최초로 시작될 수 있고, 작동부는 에너지 저장부재에 접촉되며, 작동부가 작동중에 에너지 저장부재의 상태에 영향을 미친다. 더욱이, 에너지 저장부재는 스프링일 수 있고, 이러한 스프링은 작동전에 느슨하거나 부분적으로 느슨한 상태에 있으며, 스프링은 작동부의 작동 후에 편향되거나 변형된 상태에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injection device,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can be started for the first time by actuating the actuating part, the actuating part is in contact with the energy storage member, and the acting part affects the state of the energy storage member during operation. Moreover, the energy storage member may be a spring, which spring is in a loose or partially loose state before actuation, and the spring is in a deflected or deformed state after actuation of the actuation portion.

주입장치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에너지 저장부재(45)는 시작위치로부터 정지위치까지 이동부(38)를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injection device, the energy storage member 45 provides the energy required to move the moving part 38 from the start position to the stop position.

주입장치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시작위치에서 이동부를 유지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이동부는 시작위치에서 고정수단과 상호작용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며, 작동부는 작동중에 잠금수단과 상호작용하는 상호작용수단을 포함한다. 잠금장치는 작동부의 상호작용수단의 상호작용을 통해 잠금위치로부터 풀릴 수 있다. 더욱이, 잠금수단은 작동부의 전방이동에 반대쪽 방향으로 기울어진 표면을 구비한 후크의 형태를 구비하고, 고정수단은 잠금수단에 의해 형성된 후크로 고정될 수 있는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한 부분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injection device, the housing comprises a locking means for holding the moving part in the starting position, the moving part includes a locking means for interacting with the holding means in the starting position, and the actuating part interacts with the locking means during operation. It includes an interaction means. The locking device can be released from the locking position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interaction means of the actuating part. Moreover, the locking means has the form of a hook having a surface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orward movement of the actuating part, and the locking means may be a portion protruding from the housing which can be fixed by the hook formed by the locking means.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부의 전방이동은 작동부의 상호작용수단과 이동부를 위한 고정수단 사이에 접촉을 통해 정지된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orward movement of the actuation part is stopped by contact between the interaction means of the actuation part and the fixing means for the moving par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홈은 시작지점과 중간지점 사이에 유연부를 구비하고, 유연부는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유연부는 이동하는 동안 캐뉼라부의 전환수단에 접촉하고, 캐뉼라부를 주입위치쪽으로 밀어내는 접촉표면 및 접촉표면의 반대쪽에 다른 부분에 접촉하지 않고 열린 공간안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접촉하지 않는 표면을 구비하는 돌출되어 회전가능한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groove has a flexible portion between the start point and the intermediate point, the flexible portion can mov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The flexible portion protrudes and rotates with a contact surface which contacts the switching means of the cannula part during movement, and has a contact surface for pushing the cannula part toward the injection position and an non-contact surface opposite the contact surface to move into an open space without contacting another part. It can be formed into possible parts.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표면은 D위치(도 18adp 나타난)에 가까운 곳에서 각도 n으로 연결된 2개의 직선 또는 평편한 표면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캐뉼라부가 표면 플레이트의 밀봉재에 접촉하고, 각도 n은 일반적으로 10°<n<45°가 된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contact surface may have the form of two straight or flat surfaces connected at an angle n near the D position (shown in FIG. 18adp), the cannula part contacting the seal of the surface plate, and the angle n Generally becomes 10 ° <n <45 °.

주입장치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부는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injection device, the moving part may be surrounded by the housing.

주입장치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다르면, 베이스부는 설치표면에 고정될 수 있고, 주입기는 삽입 전에 주입기를 베이스부에 고정하고 캐뉼라의 삽입 중에 주입기를 베이스부에 고정하지 않는 것을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injection device, the base portion can be fixed to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the injector can comprise means for securing the injector to the base prior to insertion and not for securing the injector to the base during insertion of the cannula. have.

주입장치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주입기를 베이스부에 고정하거나 풀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 수단은 주입기의 하우징을 상기 베이스부에 풀릴 수 있게 잠그는 고정수단, 및 관통부재의 삽입 후에 하우징을 베이스부로부터 풀수 있는 풀림수단을 포함한다. 풀림수단은 고정수단의 풀림으로 주입장치의 하우징을 베이스부로부터 편향되거나 변형된 상태로 밀어젖히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탄성부재는 베이스부와 주입기 사이에 위치된 판 스프링 형태를 갖고, 판 스프링은 주입기가 상기 베이스부에 잠길 때 변형된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injection device, the means for providing or fixing the injector to the base part comprises: a fixing means for locking the housing of the injector to release the base part, and the housing from the base part after insertion of the penetrating member. A release means. The release means includes an elastic member that pushes the housing of the injection device in a deflected or deformed state from the base portion by the release of the fixing means. The elastic member has the form of a leaf spring positioned between the base portion and the injector, which deforms when the injector is submerged in the base portion.

주입장치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을 베이스부에 풀릴 수 있게 잠그는 고정수단은 베이스부의 상응하는 부분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된 고체재료의 후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후크가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된 부분이라는 것은 하우징의 일부를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즉 바꿔말하면 하우징에 풀릴 수 없게 고정되며, 예를 들어 하우징의 벽의 일부로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injection device, the fastening means for locking the housing to the base part can be in the form of a hook of solid material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using fixed to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base part. That the hook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using means that it forms part of the housing, that is to say it is fixed inseparably to the housing, for example consisting of part of the wall of the housing.

주입장치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수단은 베이스부에 있는 상응하는 구멍에 삽입되는 1개 이상의 돌출부의 형태를 가진다. 1개 이상의 돌출부는 회전운동에 의해 베이스부에 있는 상응하는 구멍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주입장치는 주입장치의 회전이동을 위해 관통부재가 삽입되는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로 베이스부에 설치된다. 관통부재가 삽입되는 표면으로부터 거리는 주입기를 회전이동에 따라 관통부재가 삽입되는 표면에 평행하도록 기울어진 인접표면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injection device, the securing means has the form of one or more protrusions inserted into corresponding holes in the base portion. One or more protrusions can be removed from the corresponding holes in the base by rotational movement, and the injection device is mounted to the base at a distance from the surface into which the penetrating member is inserted for rotational movement of the injection device. The distance from the surface into which the penetrating member is inserted is achieved by configuring the injector with an adjacent surface that is inclined parallel to the surface into which the penetrating member is inser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주입장치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수단은 정지한 하우징에 유연하게 연결된다. 이동부는 이동부의 이동중에 유연하게 연결된 고정수단에 접촉하고, 이러한 접촉을 통해 주입기를 베이스부로부터 풀리게 하는 1개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injection device, the fixing means is flexibly connected to the stationary housing. The moving part may have one or more protrusions which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xing means which are flexibly connected dur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and which cause the injector to be released from the base part.

주입장치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주입장치는 작동부의 작동중에 (a)스프링을 가압하고; (b)시작위치로부터 정지위치까지 이동부를 이동시키며; 및 (c)이동부의 이동을 관통부재의 삽입이동으로 전환하고, 뒤이어 관통부재의 고정수단의 유지이동을 수행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d)관통부재의 삽입 중에 하우징을 베이스부로부터 풀리게 할 수 있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injection device, the injection device presses (a) the spring during operation of the actuating part; (b) moving the moving part from the start position to the stop position; And (c) means for convert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portion into the insertion movement of the penetrating member, followed by the holding movement of the fixing means of the penetrating member. This embodiment further comprises (d) means for releasing the housing from the base portion during insertion of the through member.

주입장치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연결수단을 통해 베이스부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수단은 적어도 1개의 힌지와 적어도 1개의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injection device, the housing can be connected to the base part via connecting means. The connecting means comprise at least one hinge and at least one fastening means.

주입장치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풀림부재와 하우징의 측벽의 일부의 상호작용에 의해 베이스부로부터 풀릴 수 있다. 하우징의 측벽의 일부는 유연하고, 남아있는 하우징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injection device, the housing can be released from the base part by the interaction of the release member and a part of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Some of the side walls of the housing are flexible and can be rotated relative to the remaining housing.

주입장치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부재는 제1 위치 및 정지한 하우징에 대해 제2 위치에 놓인다. 제1 위치에서 관통부재는 완전히 수축되고 주입장치의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으며, 제2 위치에서 캐뉼라 및/또는 삽입바늘과 같은 관통부재의 일부가 하우징으로부터 최대로 돌출된다. 제1 수축된 위치는 삽입 전에 관통부재의 위치이고, 최대로 돌출된 위치인 제2 위치는 관통부재가 완전히 삽입된 직후의 관통부재의 위치이다. 관통부재는 추가적인 제3 위치에 놓인다. 제3 위치에서 캐뉼라가 하우징으로부터 최대로 돌출되고, 고정수단 및/또는 삽입바늘이 하우징 안으로 수축되며, 고정수단 및/또는 삽입바늘이 더 이상 캐뉼라를 고정하는 몸체에 접촉하지 않는다.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injection device, the penetrating member is in a secon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position and the stationary housing. In the first position the penetrating member is fully retracted and does not protrude from the housing of the injection device, and in the second position a portion of the penetrating member, such as cannula and / or insertion needle, protrudes maximally from the housing. The first retracted position is the position of the penetrating member before insertion, and the second position, the maximum protruding position, is the position of the penetrating member immediately after the penetrating member is fully inserted. The penetrating member is placed in an additional third position. In the third position the cannula protrudes maximally from the housing, the fastening means and / or insert needle are retracted into the housing and the fastening means and / or insert needle are no longer in contact with the body securing the cannula.

주입장치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위치와 제3 위치에서 관통부재의 몸체는 몸체의 고정수단과 베이스부에 있는 상호작용수단의 상호작용을 통해 유지된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injection device, the body of the penetrating member in the second and third positions is maintained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fixing means of the body and the interaction means in the base portion.

주입장치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부는 제1 위치, 제2 위치, 및 하우징에 대해 추가적으로 제3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제1 위치 및 추가적인 제3 위치에서 전환수단을 통해 안내수단은 환자의 피부로부터 수축된 상태로 고정수단을 고정하고, 제2 위치에서 안내수단은 환자의 피부에 인접하거나 접촉한 상태로 고정수단을 고정한다.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injection device, the moving part may be placed in an additional thir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position, the second position and the housing. In the first position and in an additional third position, the guiding means secures the securing means in a contracted state from the patient's skin, and in the second position the guiding means secures the securing means in proximity to or in contact with the patient's skin. Fix it.

주입장치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부는 하우징에 풀릴 수 없게 고정된 고정수단, 이동부에 풀릴 수 없게 고정된 잠금수단, 및 작동부에 풀릴 수 없게 고정된 상호작용 수단에 의해 제1 위치에 고정된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injection device, the moving part is placed in the first position by fastening means immovably fixed to the housing, locking means immovably fixed to the moving part, and interaction means immovably fixed to the operating part. It is fixed.

주입장치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키트(kit)는 삽입 전에 적어도 주입장치가 고정되는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에 고정될 수 있고 주입장치에 의해 삽입된 관통부재에 유체통로를 형성하는 이동부를 추가로 구비한다.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injection device, the k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a base part to which the injection device is fixed and a moving part which forms a fluid passage in the penetration member inserted by the injection device before insertion. Equipped.

본 발명은 전환수단에 연결된 관통부재, 전환수단의 이동을 제한하고 관통부재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제1 방향(즉, 바꿔말하면 주입기를 향하는 삽입방향)으로 인도하는 안내수단을 포함한 이동부, 및 이동부의 이동을 제한하고 선형방향과 제1 방향(즉, 바꿔말하면 삽입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부를 인도하는 안내수단을 구비한 정지 하우징을 포함하는 주입장치를 통해 환자에게 약물을 주입할 수 있다.
The invention comprises a through member connected to the switching means, a movement comprising a guide means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switching means and for guiding the through member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in a first direction (ie an insertion direction towards the injector). A patient via an infusion device comprising a section and a stop housing with a guide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the moving part and for guiding the moving part in a second direc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linear direction and the first direction (ie the insertion direction). You can inject the drug.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고, 여기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 일치하는 부품을 설명한다.
도 1a-1c는 3가지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주입장치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a는 작동 전, 도 1b는 삽입 직후, 도 1c는 삽입바늘의 수축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a-2f는 6가지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주입장치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a는 작동 전, 도 2b는 작동 후, 도 2c는 삽입 직후, 도 2d는 삽입바늘의 수축 후, 도 2e는 주입기 하우징의 분리 후, 및 도 2f는 베이스부로부터 주입기의 제거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입장치를 포함하는 조립체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입장치를 포함하는 조립체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a와 5b는 조립체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5a에서 주입장치가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있고, 도 5b에서 주입장치가 베이스부로부터 제거되어 있다.
도 6은 주입장치 없이 베이스부로부터 분리된 이송부를 구비하는 조립체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6a는 아래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며, 도 6b는 위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고, 도 6c는 위에서 바라본 상태 및 베이스부의 연결부를 나타내며, 도 6d는 위에서 바라본 베이스부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3-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조립체를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상태를 나타내고, 절단면은 주입장치를 위해 고정수단 중에 하나의 위치에 놓여있다.
도 8은 베이스부에 부착되지 않은 주입장치를 나타낸다.
도 9는 캐뉼라부의 삽입 전의 상태에서 조립체에 사용되는 주입기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캐뉼라부의 삽입 후에 도 9와 같은 주입기의 동일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1a~11c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베이스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도 9와 도 10에 나타난 주입기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2a와 도 12b는 도 9-11에 나타난 조립체에 사용되는 이동부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3a와 13b는 캐뉼라부의 삽입 후의 상태에서 조립체에 사용되는 주입기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4a와 14b는 주입기의 제4 실시예에서의 주입기 하우징의 내부를 나타낸다.
도 15a와 도 15b는 도 13~14에 나타난 조립체에 사용되는 이동부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6은 조립체에 사용될 수 있는 관통부재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7은 조립체에 사용될 수 있는 관통부재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8a는 증가된 허용범위를 갖는 이동부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8b는 도 18a에서의 이동부를 나타낸다.
도 19는 도시되어 있는 어떠한 실시예의 주입기에서 이동부를 구동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판 스프링을 구비한 구동메커니즘을 나타낸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describe like parts in different drawings.
1A-1C show cross-sectional views of a first embodiment of an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three states. Figure 1a before operation, Figure 1b immediately after insertion, Figure 1c shows the state after the shrinkage of the insertion needle.
2A-2F show cross-sectional views of a second embodiment of an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six states. Figure 2a shows before operation, Figure 2b shows after operation, Figure 2c shows immediately after insertion, Figure 2d shows the contraction of the insert needle, Figure 2e shows the separation of the injector housing and Figure 2f shows the state after removal of the injector from the base part. .
3 shows a first embodiment of an assembly comprising an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4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an assembly comprising an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5A and 5B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assembly, in which the injection device is installed in the base part in FIG. 5A and the injection device is removed from the base part in FIG. 5B.
FIG. 6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an assembly with a conveying part separated from the base without an injection device, FIG. 6A shows a view from below, FIG. 6B shows a view from above, FIG. 6C shows a view from above and The connection part of a base part is shown and FIG. 6D shows the base part seen from the top.
FIG. 7 shows a longitudinally cut assembly of the assembly as shown in FIGS. 3-6, with the cut surface placed in one of the holding means for the injection device.
8 shows an injection device not attached to the base portion.
9 shows a third embodiment of an injector used in the assembly in a state before insertion of the cannula part.
10 shows the same embodiment of the injector as in FIG. 9 after insertion of the cannula part.
11A-11C show an embodiment of the injector shown in FIGS. 9 and 10 away from the base portion of the assembly according to the invention.
12A and 12B show embodiments of the moving parts used in the assembly shown in FIGS. 9-11.
13A and 13B show a fourth embodiment of the injector used for the assembly in the state after insertion of the cannula part.
14A and 14B show the interior of the injector housing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injector.
15A and 15B show an embodiment of a moving part used for the assembly shown in FIGS. 13 to 14.
16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penetrating member that may be used in an assembly.
17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penetrating member that can be used in an assembly.
18A shows an embodiment of a moving part with increased tolerance. FIG. 18B shows the moving part in FIG. 18A.
FIG. 19 shows a drive mechanism with a leaf spring that can be used to drive the mover in the injector of any embodiment shown.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Definitions of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평행한(parallel)" 또는 "본질적으로 평행한(essentially parallel)"은 제1 또는 참조평면이나 방향과의 관계에서 형성된 방향, 평면, 아이템(item)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서의 제2 이동을 나타내고, 이러한 참조평면 또는 방향은 각도 α(α=0°)로써 형성된 방향이며, 제2 평면이나 방향은 최대 ±10°를 벗어나 있으며, 일반적으로 제1방향 또는 참조방향 α로부터 ±5°보다 크지 않다.
"Parallel" or "essentially parallel" refers to a second movement in a direction, plane, item or the like formed in relation to the first or reference plane or direction, This reference plane or direction is a direction formed with an angle α (α = 0 °), and the second plane or direction is deviated by a maximum of ± 10 °, and is generally not larger than ± 5 ° from the first direction or the reference direction α.

"수평의(horizontal)" 또는 "본질적으로 수평인(essentially horizontal)"은 방향, 평면, 아이템,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서 이동이 수평이거나 또는 본질적으로 수평이라는 것은 상기에서 언급된 환자의 피부에 평행하거나 본질적으로 평행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주입장치에 고정된 베이스부는 환자의 피부에 대해 수평 또는 본질적으로 수평이거나, 평행 또는 본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Horizontal" or "essentially horizontal" means that the movement is horizontal or essentially horizontal in a direction, plane, item, or the like, parallel or essentially to the skin of the patient mentioned above. Means parallel. For example, the base portion secured to the infusion device can be horizontal or essentially horizontal, parallel or essentially parallel to the patient's skin.

"수직의(prependicular)" 또는 "본질적으로 수직의(essentially perpendicular)"는 참조평면이나 방향과의 관계에서 형성된 방향, 평면, 아이테(item)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서의 제2 이동을 나타내고, 이러한 참조평면 또는 방향은 각도 β(β=0°)의 위치 또는 방향이며, 제2 평면이나 방향은 80°에서 100° 사이로 벗어나 있으며, 일반적으로 제1 참조 β로부터 85°와 95°사이로 벗어나 있다.
"Prependicular" or "essentially perpendicular" refers to a second movement in a direction, plane, item or the like formed in relation to a reference plane or direction, such reference The plane or direction is the position or direction of the angle β (β = 0 °) and the second plane or direction deviates between 80 ° and 100 ° and generally deviates between 85 ° and 95 ° from the first reference β.

"횡단(transversal)" 또는 "본질적으로 횡단의(essentially transversal)"는 앞서 언급된 수직의 또는 본질적으로 수직이라는 것과 교환하여 사용될 수 있다.
"Transversal" or "essentially transversal"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he aforementioned vertical or essentially vertical.

"수단(means)"이라는 표현은 1개 이상의 수단을 포함한다. 문법과 관련되었을지라도 관계없이, 이러한 "수단"에 관련된 동사는 단수나 복수를 나타낸다.The expression "means" includes one or more means. Regardless of grammar, verbs related to these "means" represent singular or plural.

도 1a-1c는 본 발명에 따른 관통부재(penetrating member, 50)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장치(insertion device, 1)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1A-1C show an embodiment of an insertion device 1 for inserting a penetrating member 50 according to the invention.

주입장치(1)는 하우징(housing, 30), 베이스부(base part, 100), 이동부(moving part, 38) 및 관통부재(50)를 포함한다. 명백하게 하기 위해, 이동부(38)가 반투명하게 나타나 있다. 도 1a, 1b, 및 1c는 이동부(38)에 대해 3개의 다른 위치에 있는 관통부재(50)를 나타낸다.
The injection device 1 comprises a housing 30, a base part 100, a moving part 38 and a penetrating member 50. For clarity, the moving part 38 is shown translucent. 1A, 1B and 1C show the penetrating member 50 in three different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moving part 38.

관통부재(50)는 관통부재를 고정하는 고정수단(holding means, 52), 관통부재(50)의 고정수단(52)에 부착되는 전환수단(transformation means, 51), 몸체(body, 24), 캐뉼라(cannula, 22), 및 삽입바늘(insertion needle 53)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캐뉼라(22)는 부드러운 캐뉼라이고, 부드러운 캐뉼라는 삽입바늘(53)의 도움으로 삽입될 필요가 있으며, 삽입바늘은 관통부재(50)가 아닌 주입장치의 일부에 풀릴 수 없게 부착되어 있다. 캐뉼라(22)가 몸체(24)에 풀어질 수 없게 부착되어 있다. 더욱이, 캐뉼라가 완전히 삽입될 때, 몸체(24)는 캐뉼라(22)를 베이스부(10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retention means, 23)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수단(23)은 기계적인 후크로 형성되고, 후크는 안쪽으로, 즉 바꿔말하면 캐뉼라(22)가 위치된 중심을 향해 힘을 받을 수 있다. 기계적인 후크가 유연한 방법으로 몸체(24)에 고정되기 때문에, 후크가 중심으로 힘을 받은 후에 후크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고, 이러한 유연성은 일반적으로 몸체, 후크, 및 몸체와 후크 사이에 형성된 연결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적절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The penetrating member 50 has a holding means 52 for fixing the penetrating member, a transformation means 51 attached to the holding means 52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a body 24, Cannula 22, and insertion needle 53.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cannula 22 is a soft cannula, the soft cannula needs to be inserted with the aid of the insertion needle 53, and the insertion needle cannot be released to a part of the injection device other than the through member 50. Attached. The cannula 22 is attached to the body 24 so that it cannot be loosened. Moreover, when the cannula is fully inserted, the body 24 includes retention means 23 for securing the cannula 22 to the base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astening means 23 is formed of a mechanical hook, which hook can be forced inward, ie towards the center where the cannula 22 is located. Because the mechanical hook is secured to the body 24 in a flexible manner, the hook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the hook is forced to the center, and this flexibility is generally the body, the hook, and the connection formed between the body and the hook. It is made of a suitable material used to form i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관통부재(50)는 센서 또는 센서와 캐뉼라 모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관통부재(50)는 1개 이상의 캐률라, 예를 들어 다수의 캐뉼라 및/또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penetrating member 50 comprises a sensor or both a sensor and a cannula. In a fur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penetrating member 50 comprises one or more caverns, for example a plurality of cannulas and / or a plurality of sensors.

하우징(30)은 이동부(38)를 위한 안내수단(guiding means, 32) 및 관통부재(50)를 위한 안내수단(33)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부(38)를 위한 안내수단(32)은 이동부(38)가 미끄러질 수 있는 하우징(30)의 내벽의 표면을 포함하고, 관통부재(50)를 위한 안내수단(33)은 똑바른 튜브와 같은 형태를 갖는다. 이동부(38)는 V-형태의 구멍으로 형성되는 전환수단을 구비하고, V-형태의 구멍은 관통부재(50)의 전환수단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은 베이스부(100)에 풀릴 수 있게 연결되고, 관통부재(50)가 삽입된 후에 베이스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연결될 때, 하우징(30)과 베이스부(100)는 관통부재(50), 이동부(38), 및 이동부를 위한 안내수단(32)과 관통부재(50)를 위한 안내수단(33)을 둘러싸고, 이에 따라 각각의 장치를 형성한다.
The housing 30 comprises a guiding means 32 for the moving part 38 and a guiding means 33 for the penetrating member 5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guiding means 32 for the moving part 38 comprises the surface of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30 on which the moving part 38 can slide, and the guiding means 33 for the penetrating member 50. ) Has the same shape as a straight tube. The moving part 38 has a switching means formed by a V-shaped hole, and the V-shaped hole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switching means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The housing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ase part 100 and may be separated from the base part after the penetrating member 50 is inserted. When connected, the housing 30 and the base part 100 surround the penetrating member 50, the moving part 38, and the guiding means 32 for the moving part and the guiding means 33 for the penetrating member 50. Thus, each device is formed.

베이스부(100)는 구멍(opening, 101)을 포함하고, 구멍은 관통부재(50) 또는 예를 들어, 캐뉼라(22), 삽입바늘(53), 및 고정수단(23)과 같은 적어도 관통부재의 일부의 통과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크기를 갖는다.
The base part 100 comprises an opening 101, the hole being a penetrating member 50 or at least a penetrating member such as, for example, a cannula 22, an insertion needle 53, and a fixing means 23. It is sized to allow passage or insertion of a portion of the.

베이스부(100)와 하우징(30)은 일반적으로 개별적인 구성요소이고, 구성요소는 되돌리거나 되돌릴 수 없는 방식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구멍(101)은 관통부재(50)의 몸체의 고정수단(23)과 상호작용하도록 적용되는 상호작용수단(interaction means, 102)을 포함한다. 구멍(101)은 밀봉재(seal, 121)에 의해 둘러싸이고 및/또는 밀봉재에 의해 보호될 수 있고, 밀봉재(121)는 제거될 수 있거나, 관통부재(50)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밀봉재(121)는 베이스부(100)의 넓은 영역을 둘러쌀 수 있고, 만약 베이스부(100)가 부착표면을 갖는 설치패드에 의해 부분적으로 구성된다면 사용 전에 밀봉재(121)는 부착표면을 보호하는 분리층이 된다.
The base portion 100 and the housing 30 are generally separate components, and the components can be separated in a way that can or cannot be reverse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hole 101 comprises interaction means 102 adapted to interact with the fastening means 23 of the body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The aperture 101 may be surrounded by and / or protected by a seal 121, and the seal 121 may be removed or may be penetrated by the penetrating member 50. The sealant 121 may surround a large area of the base portion 100, and if the base portion 100 is partially configured by an installation pad having an attachment surface, the sealant 121 protects the attachment surface before use. It becomes a separation layer.

이동부(38)를 위한 안내수단(32)은 하우징(30) 안에서 본질적으로 이동부(38)의 제어된 이동방향을 제공한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이동부(38)는 안내수단(32)에 의해 인도되어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즉 바꿔말하면 베이스부(100)에 대해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은 미끄러지는 이동으로 특징이 나타난다.
The guide means 32 for the moving part 38 essentially provides a controlled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moving part 38 in the housing 30. In the described embodiment, the moving part 38 can be guided by the guide means 32 and move essentially parallel, ie horizontally relative to the base part 100. This movement is characterized by sliding movement.

이동부(38)에 의해 수행되는 이동은 길이방향 이동, 즉 바꿔말하면 하우징(30)에 대해 선형이동이다. 이동부(38)의 이동을 시작하고 유지하는 데 사용되는 수단은 사용자, 즉 바꿔말하면 사용자가 이동부(38)를 밀거나 끌어당기는 것에 의해 직접적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오직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스프링과 같은 기계적인 수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The movement performed by the moving part 38 is longitudinal movement, ie linear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housing 30. The means used to start and maintain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38 can be formed directly by the user, ie in other words by the user pushing or pulling the moving part 38, or only by a user actuated spring. It can be formed by a mechanical means such as.

이동부(38) 또는 이동부의 일부에 연결된 관통부재(50)를 위한 안내수단(33)은 이동부(38)의 이동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관통부재(50)의 이동을 형성한다. 이러한 특징은 적어도 2개의 이점을 가진다. 즉, 첫째로 이동부(38)를 작동시키거나 밀어붙일 때 사용자의 작업이 관통부재(50)의 실제 삽입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적어지고 , 둘째로 주입장치를 작고 보다 소형으로 만들 수 있다.
The guide means 33 for the moving part 38 or the penetrating member 50 connected to a part of the moving part forms the movement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part 38. This feature has at least two advantages. That is, firstly, when operating or pushing the moving part 38, the user's work is less likely to affect the actual insertion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and secondly, the injection device can be made smaller and more compact.

도 1의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부재(50)의 이동방향은 이동부(38)의 이동방향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이다. 관통부재를 위한 안내수단(33)은 관통부재가 미끄러질 수 있는 트랙이나 튜브를 형성하는 1개 이상의 부품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안내수단(33)은 하우징(30)에 고정된 공동(hollow)이나 원통형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린더에서 피스톤의 이동과 비교하여 관통부재(50)는 원통형 구성요소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원통형 구성요소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원통형 구성요소의 내부표면과 관통부재(50)의 외부표면 사이에 접촉이 안내수단을 형성하기 때문에, 이러한 이동은 미끄러짐 이동으로써 설명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관통부재(50)의 안내수단(33) 관통부재(50)의 이동방향을 통제하는 1개 이상의 바(ba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난 것처럼,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관통부재(50)를 위한 안내수단(33)은 하우징의 내부천장으로부터 베이스부(100)로 뻗어있다. 관통부재(50)의 안내수단(33)은 베이스부(100)에 부착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놓이거나 및/또는 접촉하는 안내수단(33)은 일반적으로 베이스부(100)에 연결된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관통부재(50)의 안내수단(33)은 상부표면(천장)의 안쪽과 하우징(30)의 1개 이상의 측면(벽)에서 하우징(30)에 연결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is esse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part 38. The guiding means 33 for the penetrating member may comprise one or more parts forming a track or tube on which the penetrating member can slide, for example the guiding means 33 is a cavity fixed to the housing 30. hollow or cylindrical components, and the penetrating member 50 can move inside the cylindrical component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cylindrical component as compared to the movement of the piston in the cylinder. Since the contact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componen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forms a guiding means, this movement can be described as a sliding movement. Optionally, the guide means 33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may comprise one or more bars which control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As shown in FIG. 1, the guide means 33 for the penetrating member 5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extends from the inner ceiling of the housing to the base portion 100. The guide means 33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does not need to be attached to the base portion 100. Guide means 33, for example laid and / or in contact, are generally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100. In the embodiment described, the guide means 33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is connected to the housing 30 at the inside of the upper surface (ceiling) and at least one side (wall) of the housing 30.

전환수단(51)을 위한 안내수단(39) 또는 이동부(38)의 전환수단은 트랙을 형성한다. 이러한 트랙은 시작지점(starting point, 22a)으로부터 중간지점(middle point, 22b)으로 뻗어있고, 끝지점(end point, 22c)에서 끝나게 된다. 도 1에 나타난 것처럼, 이러한 트랙은 V-형태 또는 본질적으로 V-형태이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이동부(38)의 안내수단(39)은 연속적인 홈 또는 이동부(38) 안에 통과구멍으로써 형성된다. 중간지점(22b)은 시작지점(22) 보다 베이스부(100)에 가깝게 위치하고, 또한 끝지점(22c) 보다 베이스부(100)에 가깝게 위치하며, 시작지점(22a)은 끝지점(22c) 보다 베이스부(100)에 가깝게 위치한다.
The guiding means 39 for the switching means 51 or the switching means of the moving part 38 form a track. This track extends from the starting point 22a to the middle point 22b and ends at the end point 22c. As shown in FIG. 1, this track is V-shaped or essentially V-shaped. In the embodiment described, the guide means 39 of the moving part 38 is formed as a through hole in the continuous groove or moving part 38. The intermediate point 22b is located closer to the base portion 100 than the start point 22, and is located closer to the base portion 100 than the end point 22c, and the starting point 22a is closer than the end point 22c. It is located close to the base portion 100.

시작지점(22a)과 끝지점(22c)이 서로에 대해 다르게 위치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즉 바꿔말하면 끝지점(22c)이 시작지점(22c) 보다 베이스부(100)에 가깝게 위치되거나 시작지점(22a)과 끝지점(22c)이 베이스부(100)에 대해 동일한 거리로 위치될 수 있다. 시작지점(22a)이 베이스부로부터 일정거리로 위치되는 것은 삽입 전에 캐뉼라(22)의 끝과 별개의 삽입바늘(53)의 끝을 하우징(53) 내부에 위치하도록 충분히 멀리 떨어지게 하는 것을 보장한다.
It is not necessary for the start point 22a and the end point 22c to be position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that is, the end point 22c is located closer to the base portion 100 than the start point 22c or the start point. 22a and the end point 22c may be located at the same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100. Positioning the starting point 22a at a distance from the base ensures that the end of the cannula 22 and the end of the insertion needle 53 separate from the base portion are sufficiently far apart to be located inside the housing 53 before insertion.

도 1a-1c에 나타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위치(도 1a), 제2 위치(도 1b), 제3 위치(도 1c)를 형성하는 데 적용된다. 제1 위치에서, 관통부재(50)는 시작지점(22a)에 위치하고, 관통부재가 완전히 수축되어 있으며, 주입장치(1)의 하우징(30)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이동부(38)가 하우징(30)의 우측에서 시작위치에 있다. 제2 위치에서, 관통부재(50)는 중간지점(22b)에 위치하고, 관통부재(50)의 부품(s)이 삽입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캐뉼라(22) 및/또는 삽입바늘(53)이 베이스부(100)에 있는 구멍(101)을 통과하여 하우징(3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이동부(38)가 하우징(30)에 대해 중간지점으로 이동되어 있다. 관통부재(50)의 정지한 안내수단(33)은 관통부재(50)가 이동부(38)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오직 관통부재(50)의 수직이동만을 허용한다. 여기에서 "수직"은 수평에 대한 수직한 것으로 이해된다. 제3 위치에서, 삽입된 관통부재(50)의 부품(s)은 아직도 하우징(30)에서 돌출되어 있지만, 고정수단(52)과 삽입바늘(53)을 갖는 전환수단(51)은 끝지점(22c)에 위치하고 삽입바늘이 주입기로부터 수축되어 있다. 이동부(38)가 정지한 하우징의 왼쪽에 있는 경로의 끝에 도달하게 된다. 제2 위치와 제3 위치에서, 관통부재(50)의 몸체(24)는 관통부재(50)의 몸체(24)의 고정수단(23)과 베이스부(100)의 상호작용 수단(102) 사이에서 상호작용을 통해 유지된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shown in FIGS. 1A-1C, it is applied to form a first position (FIG. 1A), a second position (FIG. 1B), and a third position (FIG. 1C). In the first position, the penetrating member 50 is located at the starting point 22a, the penetrating member is fully retracted, does not protrude from the housing 30 of the injection device 1, and the moving part 38 is connected to the housing ( It is in the starting position on the right side of 30). In the second position, the penetrating member 50 is located at the intermediate point 22b, and the component s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is inserted, such that the cannula 22 and / or the insertion needle 53 are the base. It protrudes from the housing 30 through the hole 101 in the part 100, and the moving part 38 is moved to the intermediate point with respect to the housing 30. The stationary guide means 33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prevents the penetrating member 50 from mov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ing part 38 and only permits vertical movement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Vertical" is understood here as being perpendicular to horizontal. In the third position, the component s of the inserted penetrating member 50 is still protruding from the housing 30, but the switching means 51 having the fixing means 52 and the insertion needle 53 is an end point ( 22c) and the needle is retracted from the injector. The moving part 38 reaches the end of the path on the left side of the stationary housing. In the second and third positions, the body 24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is between the fastening means 23 of the body 24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and the interaction means 102 of the base 100. Maintained through interaction.

도시된 것처럼, 이동부(38)의 수평 전진이동은 관통부재(50)의 1개 이상의 부품의 수축이동에 의해 뒤따르는 관통부재(50)의 삽입이동으로 전환된다. 이는 이동부(38)의 안내수단(39)과 관통부재(50)의 전환수단(51)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As shown, the horizontal forward movement of the moving part 38 is converted to the insertion movement of the following penetrating member 50 by contracting movement of one or more components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This is achieved by the interaction of the guide means 39 of the moving part 38 and the switching means 51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제1 위치에서, 관통부재(50)의 전환수단(51)은 트랙/안내수단(39)의 시작지점(22a)에 위치한다. 이동부(38)가 이동부의 안내수단(32)으로 인도되어 수평으로 이동할 때, 관통부재(50)가 아래쪽, 즉 바꿔말하면 베이스부(100)를 향해 수직으로 이동된다. 이동부(38)의 이동속도와 안내수단(39)의 경사는 관통부재(50)의 이동속도를 결정하고, 그리하여 삽입속도, 즉 바꿔말하면 안내수단(39)의 경사가 가파를 수록 수축된 시작위치로부터 삽입된 위치로 관통부재(50)를 인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더욱 짧아진다.
In the first position, the switching means 51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are located at the starting point 22a of the track / guiding means 39. When the moving part 38 is guided to the guide means 32 of the moving part and moves horizontally, the penetrating member 50 is moved downwardly, that is, vertically toward the base part 100. The moving speed of the moving part 38 and the inclination of the guiding means 39 determine the moving speed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and thus the insertion speed, ie, the inclination of the guiding means 39, starts to contract as the steepness increases. The time taken to guide the penetrating member 50 from the position to the inserted position becomes shorter.

제2 위치에서, 관통부재(50)의 전환수단(51)이 안내수단(39)의 중간지점(22b)에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안내수단(39)의 경사방향은 아래쪽(베이스부(100)를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위쪽(베이스부(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바뀌게 된다. 안내수단(39)의 경사배치가 관통부재(50)의 이동방향을 결정한다. 더욱이, 이동부(38)의 수평 전방이동은 관통부재(50)와 삽입바늘(53)의 고정수단(52)의 수축이동을 형성한다. 만약 캐뉼라(22)가 스스로 관통하는 단단한 캐뉼라라면, 별도의 삽입바늘(53)이 필요 없게 되고, 이동의 최종수축을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바꿔말하면 트랙에서 V 형태의 최종라인이 생략될 수 있고, 중간지점(22b)이 끝지점(22c)과 동일하게 된다.
In the second position, the switching means 51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reach the intermediate point 22b of the guide means 39. In this position,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guide means 39 is changed from the lower side (the direction toward the base portion 100) to the upper side (the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portion 100). The inclined arrangement of the guide means 39 determine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Moreover, the horizontal forward movement of the moving part 38 forms the contractive movement of the fixing member 52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and the insertion needle 53. If the cannula 22 is a rigid cannula penetrating itself,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insertion needle 53, and there is no need to perform the final contraction of movement. In other words, the V-shaped final line can be omitted from the track, and the intermediate point 22b becomes the same as the end point 22c.

제3 위치에서, 관통부재(50)의 전환수단(51)이 안내수단(39)의 끝지점(22c)에 도달하게 되고, 관통부재(50)와 삽입바늘(53)의 고정수단(52)이 완전히 수축된다.
In the third position, the switching means 51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reaches the end point 22c of the guiding means 39 and the fixing means 52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and the insertion needle 53. This is fully contracted.

도 1에 나타난 것처럼, 이동부(38)가 하우징(30)에서 돌출되지 않는다. 위쪽에 표시된 화살표는 이동부(38)의 이동방향을 가리킨다.
As shown in FIG. 1, the moving part 38 does not protrude from the housing 30. The arrow displayed on the upper side indicat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unit 38.

도 2a-2f는 자동배출기능을 갖는 부착수단을 나타낸다. 주입장치(1)는 하우징(30), 베이스부(100), 이동부(38), 작동부(activation part, 11), 및 관통부재(50)를 구비한다. 관통부재(50)의 실시예가 이러한 도면에 나타나 있지만, 도 16-17에 설명된 관통부재와 유사한 관통부재(50)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해를 쉽게하기 위해 이동부(38)가 반투명으로 나타나 있다.
2A-2F show attachment means having an automatic ejection function. The injection device 1 includes a housing 30, a base part 100, a moving part 38, an activation part 11, and a penetrating member 50. Although an embodiment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is shown in this figure, a penetrating member 50 similar to the penetrating member described in FIGS. 16-17 may also be used. The moving part 38 is shown translucent for ease of understanding.

하우징(30)은 이동부(38)를 위한 안내수단(32)을 포함하고, 안내수단은 이동부(38)를 적어도 2개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며, 관통부재(50)를 위한 안내수단(33)은 관통부재(50)를 적어도 2개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고, 작동부(11)를 위한 안내수단(34)은 작동부를 적어도 2개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착수단은 풀릴 수 있다. 부착수단은 베이스부(100)의 일부와 상호작용하는 힌지(hinge, 35)와 고정수단(fastening means, 14)을 포함하는 하우징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고, 베이스부(100)는 풀릴 수 있게 연결된다. 힌지(35)는 베이스부(10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하우징(30)의 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둥근 표면을 포함한다. 하우징(30)의 고정수단(14)은 베이스부의 잠금수단(locking means, 108)과 상호작용한다.
The housing 30 comprises a guiding means 32 for the moving part 38, the guiding means for moving the moving part 38 between at least two positions, and the guiding means 33 for the penetrating member 50. ) Moves the penetrating member 50 between at least two positions, and the guide means 34 for the actuator 11 moves the actuator between at least two position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attachment means can be released. The attachment means is formed by a portion of the housing comprising a hinge 35 and a fastening means 14 which interact with a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00, the base portion 100 being releasably connected. do. The hinge 35 includes at least partially rounded surface on the wall of the housing 30 that can rotate relative to the base portion 100. The fastening means 14 of the housing 30 interact with the locking means 108 of the base part.

도 2c에서 "b"는 주입장치(1)에서 하우징(30)의 높이를 가리킨다. 높이 "b"는 유리하게는 5~100㎜이고, 바람직하게는 10~50㎜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0~30㎜이다. 도시된 실시예서 높이"b"는 25㎜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삽입된 후에 주입기가 제거되지 않고, 주입기는 가능한 한 낮게 위치되며, 일반적으로 환자의 피부로부터 이송부(delivery part, 8)로 확장하지 않는다.
2b indicates the height of the housing 30 in the injection device 1. The height "b" is advantageously 5 to 100 mm, preferably 10 to 50 mm and most preferably 20 to 30 mm.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height "b" is 25 mm. In this embodiment the injector is not removed after insertion and the injector is positioned as low as possible and generally does not extend from the patient's skin to the delivery part 8.

또한, 하우징(30)은 고정수단(retention means, 31)을 구비한다. 고정수단(31)은 잠금수단(28)을 이동부(38)에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이동부(38)를 시작위치로 붙잡아둔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수단은 작동부(11)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추가로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housing 30 is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31. The fixing means 31 holds the moving part 38 to the starting position by engaging the locking means 28 to the moving part 38.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xing means further provides for stopping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part 11.

이동부(38)를 위한 안내수단(32)은 하우징(30)에 대해 직접적으로 조절되는 이동부(38)의 이동을 제공한다. 이동부(38)가 트랙을 따라 미끄러지도록 하기 위해 안내수단(32)은 하우징(30)의 내부표면에 일체로 된 부분에 부착되거나 연결되고, 일반적으로 이동부(38)의 표면에 상응하는 길이방향 트랙의 형태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부(38)는 평행하게, 즉 바꿔말하면 안내수단(32)에 의해 인도되어 베이스부(100)에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이동은 베이스부(100)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이동, 즉 바꿔 말하면 이동이 길이방향 이동 또는 선형이동이 된다.
The guiding means 32 for the moving part 38 provide for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38 which is directly adjusted relative to the housing 30. The guide means 32 is attached or connected to an integral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30 so that the moving part 38 slides along the track, and generally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of the moving part 38. It takes the form of a directional track.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moving parts 38 can be parallel, ie in other words guided by the guide means 32 to move horizontally to the base part 100, and generally the movement of the base part 100. A sliding movemen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rface, that is to say a movement, is a longitudinal movement or a linear movement.

하우징(30)에 연결되거나 하우징(30)과 일체로 형성된 부분인 관통부재(50)를 위한 안내수단(33)은 관통부재(50)를 이동부(38)의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방향으로만 이동시킨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관통부재(50)의 이동방향은 이동부(38)의 이동방향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이다. 관통부재(50)를 위한 안내수단(33)은 일반적으로 하우징의 내부표면으로 형성되고, 예를 들어 안내수단(33)은 공동(hollow)의 내부표면 또는 원통형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관통부재(50)는 실린더에서 피스톤의 이동과 비교하여 원통형 구성요소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적어도 앞쪽으로 향하는 위치와 수축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만약 관통부재(50)가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다면, 물론 원통형 구성요소가 실제 사용되는 관통부재(50)의 단면에 단단하게 삽입될 수 있다. 원통형 구성요소의 내부표면과 관통부재(50)의 외부표면 사이에서 계속적인 접촉이 안내수단을 형성하기 때문에, 이러한 이동은 미끄러짐 이동이 될 것이다. 선택적으로, 관통부재(50)의 안내수단(33)은 관통부재(50)의 이동방향을 결정하는 1개 이상의 바(bar)를 구비한다. 도면에 나타난 것처럼,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관통부재(50)를 위한 안내수단(33)은 하우징의 내부천장으로부터 베이스부(100)로 확장될 수 있다. 관통부재(50)의 안내수단(33)은 베이스부(100)에 부착되지 않지만, 베이스부 아래에 도달하거나 베이스부를 접촉하거나 베이스부(100)를 위한 지지물을 형성할 수 있다.
The guide means 33 for the penetrating member 50, which is a part connected to the housing 30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30, moves the penetrating member 50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moving part 38. Only moves. In this embodimen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is esse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part 38. The guide means 33 for the penetrating member 50 is generally formed as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for example the guide means 33 can comprise a hollow inner surface or a cylindrical component, here The through member 50 can move between at least an forward facing position and a retracting position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cylindrical component as compared to the movement of the piston in the cylinder. If the penetrating member 50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of course a cylindrical component can be firmly inserted into the cross section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actually used. Since the continuous contact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componen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forms the guiding means, this movement will be a sliding movement. Optionally, the guide means 33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bars that determine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As shown in the figure, the guide means 33 for the penetrating member 5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extend from the inner ceiling of the housing to the base portion 100. The guide means 33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is not attached to the base portion 100, but may reach below the base portion, contact the base portion or form a support for the base portion 100.

작동부(11)의 안내수단(34)은 하우징(30)에 대해 작동부(40)의 직접 조절된 이동을 형성한다. 안내수단(34)은 하우징(30)에 부착되거나 하우징(30)과 일체로 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작동부(11)는 평행하게, 즉 바꿔말하면 안내수단(34)으로 인도되어 베이스부(100)에 수평으로 이동한다.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내수단은 하우징의 내부표면의 일부로써 형성된다. 안내수단(34)은 결정된 방향 또는 하우징(30)의 벽의 내부표면에서 작동부(11)를 이끄는 길이방향 트랙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안내수단(34)과 작동부가 서로에 대해 이동하는 동한 계속 접촉하기 때문에, 이러한 이동은 일반적으로 미끄러짐 이동이 된다. 이동은 일반적으로 선형이동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부(11)의 이동방향은 이동부(38)의 이동방향과 일치하고, 그리하여 작동부(11)의 안내수단(34)은 이동부(38)의 안내수단(32)과 같을 수 있고, 즉 바꿔말하면 안내수단(32, 34)의 세트에서 이동부(38)와 작동부(11)의 이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시에 형성된다.
The guide means 34 of the actuating part 11 form a directly controlled movement of the actuating part 40 with respect to the housing 30. The guide means 34 is attached to or integral with the housing 30. In this embodiment, the actuating portion 11 is parallel, that is to say led to the guiding means 34 and moves horizontally to the base portion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guiding means is adap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Formed as part. The guiding means 34 may be formed as a longitudinal track leading the actuating part 11 in the determined direction o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of the housing 30. Since the guide means 34 and the actuator keep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they move relative to each other, this movement is generally a sliding movement. Movement is generally linear movemen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actuating part 11 coincides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part 38, so that the guiding means 34 of the actuating part 11 is the guiding means 32 of the moving part 38. In other words,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38 and the operating part 11 in the set of guide means 32, 34 is formed at least partially simultaneously.

이동부(38)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수평이동하는 이동부(38)의 이동을 삽입방향에서 관통부재(50)의 이동으로 전환하고 뒤이어 수축방향으로 관통부재(50)의 적어도 삽입바늘의 이동을 전환하는 전환수단(39)을 구비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환수단은 이동부(38)에 있는 열린 V-형태 트랙(39)에 상응하는 관통부재(50) 위에 돌출된 원통부(51) 형태로 되어 있다. V-형태 트랙(39)은 잘 형성된 이동통로를 제공하기 위해 관통부재(50)의 돌출부(51)에 단단하게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The moving part 38 converts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38 which moves horizontally in this embodiment to the movement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in an insertion direction, and then moves the at least insertion needle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in a retraction direction. Switching means 39 for switching is provide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witching means is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portion 51 projecting over the penetrating member 50 corresponding to the open V-shaped track 39 in the moving part 38. The V-shaped track 39 is sized to be firmly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51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to provide a well-formed movement passage.

이동부(38)는 하우징의 고정수단(14)을 베이스부(100)의 잠금수단(locking means, 108)으로부터 푸는 것에 의해 베이스부(100)로부터 하우징의 풀림 또는 적어도 하우징의 일부의 풀림을 형성하는 풀림부재(releasing member, 29)를 구비한다. 이러한 풀림은 풀림부재(29)와 하우징(30)의 일부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러한 실시예 따르면 작동부(11)의 반대편에 하우징(30)의 내벽이 있고, 만약 하우징(30)의 내벽에 다다르게 된다면, 작동부(11)의 선형이동이 종료될 것이다.
The moving part 38 forms a release of the housing from the base part 100 or at least a part of the housing by releasing the locking means 14 of the housing from the locking means 108 of the base part 100. A releasing member 29 is provided. This unwinding is achieved by the interaction of the unwinding member 29 with part of the housing 30, and in this embodiment there is an inner wall of the housing 30 opposite the actuating part 11, If the inner wall is reached, the linear movement of the actuator 11 will be terminated.

하우징은 탄성부재(elastic member, 36)를 구비하고, 하우징의 고정수단(14)의 풀림은 베이스부(100)로부터 하우징의 제거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도 2에 나타난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재(36)는 하우징(30)에 일체로 형성되는 부품이고, 즉 바꿔말하면 하우징(30)에서 분리할 수 없게 고정되어 있다. 탄성부재(36)는 한쪽 단부에서 하우징(30)에 풀릴 수 없게 고정되고, 반대쪽 단부에서 베이스부(100)에 의해 가압되는 판스프링(leaf spring)이다. 탄성부재(36)의 유연성은 탄성부재를 구성하는 재료 및 이러한 재료의 물리적인 값에 의해 결정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르면 탄성부재는 하우징과 동일한 재료, 즉 바꿔말하면 단단한 플라스틱과 하우징(30)을 제조하는 동안 일반적으로 형성된 재료로 구성되지만, 또한 하우징을 제조한 후에 하우징(30)에 풀릴 수 없게 고정되는 금속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housing has an elastic member 36, and the loosening of the fixing means 14 of the housing begins with the removal of the housing from the base part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hown in FIG. 2, the elastic member 36 is a component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30, that is, is fixed inseparably from the housing 30. The elastic member 36 is a leaf spring fixedly fixed to the housing 30 at one end and pressed by the base part 100 at the opposite end. The flexibility of the elastic member 36 is determined by the materials constituting the elastic member and the physical values of these materials,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elastic member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housing, namely the rigid plastic and the housing 30. It is composed of a material that is generally formed during fabrication, but may also consist of a metal that is inseparably fixed to the housing 30 after the housing is fabricated.

본 발명에 따른 주입장치(1)를 사용하는 관통부재(50)의 삽입은 작동부(11)의 작동에 의해 시작된다. 작동부(11)는 하우징(30) 쪽으로 일부를 미는 것에 의해 작동된다. 작동부(11)는 상호작용수단(interaction means, 41)을 구비한다. 상호작용수단(41)은 하우징(30)의 고정수단(31)과 상호작용하고, 이에 따라 작동부(11)의 전방이동을 구속한다. 도 2a에서 나타난 것처럼, 작동부(11)는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하우징(30)을 돌출시킨다. "a"는 하우징(30)과의 관계에서 작동부(11)의 돌출된 길이를 나타낸다. 작동부(11)의 작동 전에 돌출된 길이는 일반적으로 1-100㎜, 5-50㎜, 10-25㎜, 또는 15-20㎜의 범위를 갖는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돌출된 길이는 17㎜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작동부(11)는 하우징(30)에서 돌출되지 않거나, 오직 하우징(30)의 가장자리 일부에서만 약간 돌출된다.
Insertion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using the inje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start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art 11. The operating part 11 is operated by pushing a part toward the housing 30. The actuating section 11 has interaction means 41. The interaction means 41 interact with the fixing means 31 of the housing 30, thereby restraining the forward movement of the actuating portion 11. As shown in FIG. 2A, the operating part 11 protrudes the housing 30 in a non-operating state. "a" represents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actuating part 11 in relation to the housing 30. The protruding length before actuation of the actuating portion 11 generally ranges from 1-100 mm, 5-50 mm, 10-25 mm, or 15-20 mm.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the protruding length is 17 mm.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ctuating portion 11 does not protrude from the housing 30 or only slightly protrudes from a part of the edge of the housing 30.

주입장치(1)는 이동중이거나 보관중인 것과 같은 사용 전에 작동되지 않는 상태이다.
The injection device 1 is in a non-operational state prior to use, such as being moved or stored.

이러한 실시예 따르면, 스프링(spring, 45)은 이동부(38)와 작동부(11) 사이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스프링(45)은 보관되는 동안 일반적으로 느슨한 상태로 설치되고, 이에 따라 제품이 여전히 완전한 기능을 갖은 채 보관될 수 있는 시간을 연장할 수 있으며, 만약 스프링(45)이 보관되는 동안 한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라면, 제품의 성능이 빠르게 감소할 위험이 있다. 도 2a~2f에 나타난 것처럼, 스프링(45)은 2개의 단부를 구비한 나선 스프링(spiral spring)일 수 있고, 제1 단부(first end, 46)는 이동부(38)에 부착되거나, 이동부(38)에 연결되어 위치되고, 제2 단부(second end, 47)는 작동부(11)에 부착되거나, 작동부(11)에 연결되어 위치된다. 스프링(45)은 베이스부(100)의 상부표면에 평행하게 놓여있는 작동부(11)의 이동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spring 45 is installed between the moving part 38 and the operating part 11. In general, the spring 45 is installed in a generally loose state during storage, thus extending the time that the product can still be stored in full function, and if the spring 45 is stored to one side If inclined, there is a risk that the performance of the product will decrease quickly. As shown in FIGS. 2A-2F, the spring 45 may be a spiral spring with two ends, the first end 46 being attached to the moving part 38, or the moving part. The second end 47 is attached to the actuating portion 11 or is connected to the actuating portion 11. The spring 45 is install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perating part 11 lying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100.

스프링(45)은 관통 및/또는 관통부재(50)의 수축이동 및/또는 관통부재(50)의 일부를 위한 에너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만약, 이러한 에너지가 스프링(45)에 의해서 제공되지 않는다면,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제공되어야하고, 사용자가 작동부(11)를 하우징(30)쪽으로 밀어내는 것에 의해 작동부(11)를 수평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이동부(38)가 수평이동된다.
The spring 45 serves to provide the energy for the shrinkage movement of the penetrating and / or penetrating member 50 and / or a portion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If this energy is not provided by the spring 45, it must be provided directly by the user of the device, and the user moves the actuator 11 horizontally by pushing the actuator 11 towards the housing 30. As a result, the moving part 38 is horizontally moved.

스프링(45)은 이러한 제1 이동을 통해 한쪽으로 편향되기 때문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스프링(45)은 작동부(11)의 이동으로부터 에너지를 축척한다. 작동부(11)의 작동 동안에, 이동부(38)가 정지한다. 작동부(11)의 상호작용수단(41)이 잠금수단(28)에 접촉될 때, 이동부(38)가 정지위치로부터 풀리게 되고, 안내수단(32)에 의해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된다. 작동부(11)의 전방이동은 상호작용 수단(41)이 하우징(30)의 고정수단(31)에 접촉하는 시점에 정지된다. 도 2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부(38)의 방향은 작동부(11)의 전방방향과 동일하다. 스프링(45)에 의해 밀리는 이동부(38)가 하우징(30)의 내부표면을 가격 할 때, 스프링(45)은 하우징(30)의 고정수단(14)과 베이스부(100)의 잠금수단(108) 사이에 있는 풀릴 수 있는 결합의 풀림을 위한 에너지를 제공하도록 충분히 편향된다. 이는 벽이 바깥쪽으로 구부러질 수 있고 베이스부(100)의 잠금수단(108)으로부터 고정수단(14)을 풀 수 있도록 하우징(30)의 벽이나 하우징(30)의 벽의 적어도 일부를 부드럽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잠금연결이 풀릴 때, 탄성부재(36)가 하우징(30)을 베이스부(100)로부터 먼 쪽으로 밀어내고, 사용자가 베이스부(100)로부터 먼 쪽으로 주입장치를 당길 필요가 없게 된다.
Since the spring 45 is deflected to one side through this first movement, the spring 45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ccumulates energy from the movement of the actuating portion 11. Dur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art 11, the moving part 38 stops. When the interaction means 41 of the actuating part 1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cking means 28, the moving part 38 is released from the stop position and moved in the direction formed by the guiding means 32. The forward movement of the operating part 11 is stopped at the point when the interaction means 4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xing means 31 of the housing 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the direction of the moving part 38 is the same as the front direction of the operating part 11. When the moving part 38 pushed by the spring 45 strikes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30, the spring 45 is fixed to the fixing means 14 of the housing 30 and the locking means of the base part 100 ( 108) is sufficiently deflected to provide energy for the unwinding of the uncoupling bond in between. This gently forms the wall of the housing 30 or at least part of the wall of the housing 30 so that the wall can be bent outward and the fixing means 14 can be released from the locking means 108 of the base part 100. Is done by. When the lock connection is released, the elastic member 36 pushes the housing 30 away from the base part 100, so that the user does not need to pull the injection device away from the base part 100.

도 3은 투약장치(8)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주입기를 포함하는 조립체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다. 베이스부(100)의 상부표면 전체가 투약장치(8)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오직 베이스부(100)의 측면만 볼 수 있다. 투약장치(8)는 일반적으로 인슐린과 같은 약물을 위한 저장부와 펌프장치(예를 들어, 약물의 소정된 투입을 받는 환자에게서 볼 수 있는 투여수단)의 형태로 된 이송부를 포함한다.
3 shows a first embodiment of an assembly comprising an inject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with a dosage device 8. Since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100 is surrounded by the application device 8, only the side of the base part 100 is visible. The dosing device 8 generally comprises a reservoir for a drug, such as insulin, and a delivery device in the form of a pump device (eg, a means of administration visible to a patient receiving a predetermined dose of drug).

도 4와 도 5a 및 도 5b는 주입기(inserter, 10), 이송부(8), 및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베이스부는 접촉표면에 부착된 표면 플레이트(surface plate, 1)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표면 플레이트(1)는 주조된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고, 접촉표면은 설치패드(mounting pad, 2)의 인접측면이며, 설치패드(2)는 장치가 제조되는 동안 표면 플레이트(1)에 풀리지않게 고정된다. "인접한(proximal)"이라는 단어는 설치패드가 환자에게 부착될 때, 환자에게 가까운 측면 또는 표면을 의미하고, "말단의(distal)"라는 단어는 장치가 사용위치에 있을 때, 환자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말단 또는 표면을 의미한다.
4 and 5a and 5b show a second embodiment of an assembly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ing an inserter 10, a conveying part 8, and a base part. The base portion comprises a surface plate 1 attached to the contact surface. In this embodiment the surface plate 1 is made of a molded plastic material, the contact surface is the adjacent side of the mounting pad 2, and the mounting pad 2 is the surface plate 1 while the device is being manufactured. It is fixed so as not to loosen. The word "proximal" means the side or surface close to the patient when the mounting pad is attached to the patient, and the word "distal" is far from the patient when the device is in use. Mean terminal or surface that is present.

도 4는 측면으로부터 바라본 조립체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5는 위에서 바라본 동일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실시예의 관통부재는 베이스부의 연결부(connector part, 3)의 구멍(12A)안으로 삽입되는 캐뉼라부(cannula part, 7)를 구비하고, 캐뉼라 구멍(12A)은 베이스부를 곧바로 통과하여 일직선으로 뻗어있는 구멍을 형성한다. 캐뉼라부(7)는 캐뉼라(22)의 형태로 된 관통부재를 구비하고, 삽입 동안에 캐뉼라가 환자의 피부 표면을 관통하고, 표피 아래 또는 경피(transcutaneously)에 위치된다.
4 shows an embodiment of the assembly seen from the side, and FIG. 5 shows the same embodiment seen from above. The through member of this embodiment has a cannula part 7 inserted into the hole 12A of the connector part 3 of the base part, and the cannula hole 12A extends straight through the base part. Form a hole. The cannula part 7 has a penet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cannula 22, during which the cannula penetrates the skin surface of the patient and is located beneath the epidermis or transcutaneously.

삽입되기 전에 주입기(10)가 캐뉼라부(7)를 고정하고, 삽입은 핸들(11)을 밀어붙이는 것에 의해 시작된다. 도 5는 캐뉼라부(7)의 삽입을 시작하기 위해서 핸들(11)이 밀어 붙여지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삽입 후에, 삽입바늘이 주입기(10)의 내부로 수축될 수 있고, 그 후에 삽입된 캐뉼라(22)를 표면 플레이트(1)에 고정되도록 남겨둔 채, 주입기(10)가 베이스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만약, 캐뉼라부(7)의 캐뉼라(22)가 스스로 관통할 수 있는 단단한 캐뉼라라면, 별도의 삽입바늘이 필요 없고, 그리하여 삽입바늘을 수축할 필요가 없다.
The injector 10 secures the cannula part 7 before insertion, and insertion begins by pushing the handle 11. 5 shows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11 is pushed in to start the insertion of the cannula part 7.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s, after insertion, the insertion needle may be retracted into the injector 10, after which the injector 10 is held at the base while leaving the inserted cannula 22 fixed to the surface plate 1. Can be removed from the unit. If the cannula 22 of the cannula part 7 is a rigid cannula through which it can penetrate itself, no separate insertion needle is needed, and thus no need to retract the insertion needle.

연결부(3)는 표면 플레이트(1)에 의해 위치가 유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서, 장치가 제조되는 동안에 표면 플레이트(1)와 적어도 연결부(3)의 1개의 외부덮개는 일체로 간단하게 형성된다. 연결부(3)는 예를 들어 약물의 저장부(reservoir, 6) 또는 환자로부터 수집된 액체를 위한 저장부와 캐뉼라부(7) 사이에 유체통로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연결부(3)는 유체통로의 각 단부에서 구멍인 적어도 2개의 구멍을 구비하고, 제1 구멍(first opening, 13)은 저장부(6)에서 유체를 수용거나 전달하는 입구 또는 출구이고, 제2 구멍(second opening, 12)은 캐뉼라부(7)에서 유체를 수용거나 전달하는 입구 또는 출구이다(도 6c와 도 6d에 나타나 있음). 연결부(3)는 예를 들어 제2 약물이나 영양분의 주입, 또는 센서에 연결된 유체통로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여분의 구멍을 구비할 수도 있다. 연결부(3)에 있는 출구(12)와 캐뉼라부(7) 사이에서 단단한 유체연결을 보장하기 위해서, 연결부(3)의 출구(12)는 출구(12) 주변에 탄성 밀봉재(sealing, 18)를 구비한다. 캐뉼라부(7)가 삽입될 때, 밀봉재가 캐뉼라 구멍(12A)에 끼워지도록 가압되고, 탄성 밀봉재(18)는 상응하는 구멍(12, 20) 주변에 완전히 꽉 조이는 유체 가스켓(gasket)을 형성한다. 압축삽입과 캐뉼라부(7)와 유체통로의 출구 사이에 있는 단단한 유체연결을 개선하기 위해서, 유체통로의 출구가 위치되는 표면에 캐뉼라부가 수직으로 삽입될 때, 캐뉼라 구멍(12A)은 캐뉼라(22)에 평행한 면에서 감소하는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캐뉼라부(7)는 상응하는 감소하는 단면에 상응하게 될 것이다.
The connection part 3 is held in position by the surface plate 1.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plate 1 and at least one outer cover of the connecting portion 3 are simply formed integrally while the device is being manufactured. The connection part 3 forms a fluid passage between the reservoir part 6 of the drug or the reservoir part cannula part 7 for liquid collected from a patient, for example. Therefore, the connection part 3 has at least two holes, which are holes at each end of the fluid passage, the first opening 13 is an inlet or outlet for receiving or delivering fluid in the reservoir 6, The second opening 12 is an inlet or outlet for receiving or delivering a fluid in the cannula part 7 (shown in FIGS. 6C and 6D). The connection part 3 may be provided with an extra hole, for example for the injection of a second drug or nutrient, or for delivering fluid to a fluid passage connected to the sensor. In order to ensure a tight fluid connection between the outlet 12 and the cannula part 7 at the connection part 3, the outlet 12 of the connection part 3 is provided with an elastic seal 18 around the outlet 12. Equipped. When the cannula part 7 is inserted, the seal is pressed to fit in the cannula hole 12A, and the resilient seal 18 forms a fluid gasket that is completely tight around the corresponding holes 12, 20. . In order to improve the compression insertion and the rigid fluid connection between the cannula part 7 and the outlet of the fluid passage, when the cannula portion is inserted perpendicularly to the surface where the outlet of the fluid passage is located, the cannula hole 12A is a cannula 22. It may have a cross section that decreases in the plane parallel to). The cannula part 7 will correspond to a corresponding decreasing cross section.

비록 유체통로를 통과하는 유동방향이 본 발명에서 중요하지는 않지만, 앞으로 제1 구멍은(13)는 "입구"로 언급되고, 제2 구멍(12)은 "출구"로 언급될 것이다.
Although the direction of flow through the fluid passage is not importan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ole 13 will be referred to as "inlet" and the second hole 12 will be referred to as "outlet" in the future.

연결부(3)는 캐뉼라부(7)에 정확히 고정되는 캐뉼라 구멍(12A)을 추가로 구비하고, 캐뉼라 구멍(12A)은 캐뉼라부(7)와 동일한 형태나 형상을 가지며, 캐뉼라 구멍은 캐뉼라부(7)가 통과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이고, 캐뉼라부가 구멍에 삽입된다. 캐뉼라부(7)가 베이스부와 환자에게 완전히 삽입될 때, 상부표면, 즉 바꿔 말하면 캐뉼라부(7)의 말단표면(distal surface)은 일반적으로 캐뉼라 구멍(12A)을 둘러싸는 연결부(3)의 외부표면에 대해 같은 높이 또는 낮은 높이로 위치된다.The connection part 3 further comprises a cannula hole 12A which is fixed to the cannula part 7, and the cannula hole 12A has the same shape or shape as the cannula part 7, and the cannula hole is a cannula part ( It is large enough for 7) to pass through and the cannula part is inserted into the hole. When the cannula part 7 is fully inserted into the base part and the patient, the upper surface, ie the distal surface of the cannula part 7, is generally of the connection part 3 which surrounds the cannula hole 12A. It is located at the same height or lower height relative to the outer surface.

도 5b는 주입기가 제거되된 도 5a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b는 주입기가 제거되기 전에 주입기(10)에 의해 둘러싸이는 말단부로부터의 장치를 나타낸다. 이러한 말단부로부터 삽입 전에 주입기(10)를 베이스부에 부착하는 것을 보장하는 고정수단(14)의 일부를 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수단(14)은 연결부(3)에 2개의 구멍(two openings, 14L, 14R)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멍들은 상응하는 구멍을 갖는 베이스부와 연결부(3)쪽으로 회전되는 주입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2개의 돌출부(two protruding parts, 14PL, 14PR)에 상응하게 된다. 베이스부 위에 있는 고정수단(14L, 14R)이 주입기(10) 위에 있는 상응하는 고정수단(14PL, 14PR)에 결합 될 때, 주입기(10)는 베이스부에 대해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적어도 표면 플레이트(1)에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베이스부 안으로 완전히 삽입되는 관통부재의 삽입 후에, 주입기(10)가 베이스부로부터 제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베이스부로부터 주입기(10)를 분리할 때, 주입기(10)는 환자피부의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고, 즉 바꿔말하면 베이스부는 환자피부에 수직방향의 힘, 즉 환자에게 먼쪽으로 베이스부를 끌어당기는 힘을 가하지 않게 된다. 선택적으로, 주입기(10)와 이송부(8) 사이의 인접한 표면을 따라 삽입 전에 주입기(10)를 이송부(8)에 접착제로 붙이는 것이 가능하고, 주입기(10)가 이송부(8)로부터 제거될 때 환자의 피부에 평행한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힘을 형성하기 위해 표면은 본질적으로 환자의 피부에 평행하게 되어야만 한다.
5B shows the embodiment of FIG. 5A with the injector removed. 5B shows the device from the distal end surrounded by the injector 10 before the injector is removed. From this end it becomes possible to see a part of the fastening means 14 which ensures attachment of the injector 10 to the base part prior to inser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astening means 14 have two openings 14L, 14R in the connection part 3. These holes correspond to a base part with corresponding holes and two protruding parts 14PL, 14PR which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injector housing which is turned towards the connection part 3. When the fastening means 14L, 14R on the base part are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14PL, 14PR on the injector 10, the injector 10 is prevented from moving relative to the base part and at least the surface plate.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1) is prevented. After insertion of the penetrating member fully inserted into the base portion, the injector 10 can be removed or separated from the base portion. When separating the injector 10 from the base part, the injector 10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patient's skin, ie the base part exerts a vertical force on the patient skin, i.e. a force that pulls the base part away from the patient. Will not be added. Optionally, it is possible to glue the injector 10 to the conveying part 8 before insertion along the adjacent surface between the injector 10 and the conveying part 8, when the injector 10 is removed from the conveying part 8. The surface must be essentially parallel to the patient's skin in order to create a pulling forc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atient's skin.

도 6a~6d는 다른 각도로 분리된 상태에서의 베이스부와 이송부를 나타낸다.도 6a는 아래에서 바로 본 2개의 부품을 나타낸다. 이러한 도면은 관통부재(7)가 베이스부를 통과하여 삽입될 수 있고 구멍(12B)을 나타내고,이러한 구멍을 통과하여 캐뉼라(22)가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도면으로부터 저장부(6)가 이송부(8)에 어떻게 위치되고, 2개의 반대편에 위치된 풀림핸들(release handle, 9)이 이송부(8)의 끝에 어떻게 위치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더욱이, 베이스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상승된 안내수단(4)에 상응하는 길이방향 트랙(track)이 나타나 있다.
Figures 6a-6d show the base and the transfer section in separate states at different angles. Figure 6a shows the two parts seen directly from below. This figure shows that the penetrating member 7 can be inserted through the base part and shows the hole 12B, through which the cannula 22 can be extended. From this figure it can be seen how the storage part 6 is located in the conveying part 8 and how the release handle 9 located at two opposite sides can be located at the end of the conveying part 8. Moreover, a longitudinal track is shown which corresponds to the guide means 4 which is rai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base portion.

2개의 풀림핸들(9)은 S-형태의 밴드로 형성되고, 밴드의 한쪽 단부가 이송부(8)의 하우징에 힌지방식으로 연결되고, S-형태의 밴드에서 제1 커브는 이송부 하우징의 외부표면으로 약간 확장되고, 반면에 제2 커브는 이송부(8)의 하우징에 부착되지 않은 자유단이 되며, 제2 커브는 베이스부의 말단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5)에 걸릴 수 있도록 후크식 형태를 갖는다. 이송부가 베이스부에 고정될 때 풀림핸들(9) 모두가 돌출부(protruding part, 15)에 걸리게 되고, 이송부(8)가 베이스부로부터 제거될 때, 2개의 마주하는 풀림핸들(9)이 서로 밀어내게 되며, 여기에서 핸들의 후크식 부품이 베이스부의 돌출부(15)로부터 풀리게 되고, 이송부가 뒷쪽, 즉 캐뉼라부(7)로부터 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러한 방향에서 베이스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The two release handles 9 are formed of S-shaped bands, one end of the band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housing of the conveying part 8, in which the first curve is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ying part housing. Slightly expanded, while the second curve is a free end that is not attached to the housing of the conveying part 8, and the second curve has a hooked shape so as to be caught by the protrusion 15 protruding from the distal surface of the base part. . When the conveying part is fixed to the base part, all of the unwinding handles 9 are caught by the protruding part 15, and when the conveying part 8 is removed from the base part, two opposing unreleasing handles 9 push against each other. Wherein the hooked part of the handle is released from the protrusion 15 of the base part, and the conveying part can be moved backwards, ie away from the cannula part 7, and removed from the base part in this direction. .

도 6b는 위에서 바라본 2개의 부품을 나타낸다. 이러한 도면은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이송부(8)가 안내수단(4)의 아래쪽으로 이송부(8)를 밀어내는 것에 의해 베이스부에 어떻게 결합 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안내수단은 예를 들어 정상표면에 고정된 금속 라이닝(metal lining, 5)을 구비한 길이방향으로 상승된 플랫폼이다. 이송부(8)는 예를 들어 상승된 플랫폼에 상응하는 트랙을 포함하는 상응수단을 구비한다. 이송부의 상응수단은 길이방향으로 상승된 플랫폼의 금속 라이닝(5)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다. 이송부(8)가 작동위치에 도달할 때, 2개의 풀림핸들(9)은 표면 플레이트(1)의 상부표면으로부터 돌출된 2개의 돌출부(15)에 각각 연결된다. 이송부(8)가 작동위치에 있을 때, 이송부는 풀림핸들(9)에 의해 모든 수평방향으로도 잠긴다. 잠금수단은 필요한 만큼 자주(즉, 바꿔말하면 1개의 사용 베이스부가 다수의 사용 베이스부에 연결될 수 있도록) 이송장치를 베이스부로부터 고정하고 분리할 수 있다.
6b shows the two parts seen from above. This figure shows how the conveying part 8 in this embodiment can be coupled to the base part by pushing the conveying part 8 downward of the guiding means 4, and in this embodiment the guiding means is an example. It is a longitudinally raised platform with a metal lining 5 fixed to the top surface. The conveying part 8 has corresponding means, for example comprising a track corresponding to the raised platform. Corresponding means of the conveying part can slide along the metal lining 5 of the platform that is rai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transfer part 8 reaches the operating position, the two release handles 9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wo projections 15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rface plate 1. When the feed section 8 is in the operating position, the feed section is also locked in all horizontal directions by the release handle 9. The locking means can fix and detach the conveying device from the base as often as necessary (ie in other words, so that one use base can be connected to multiple use bases).

도 6c는 관통부재의 삽입 전에 주입기가 고정되는 반대편 단부에서 바라본 2개의 부품을 나타낸다. 이러한 도면에 의해 저장부(6)로부터 약물이 연결부(3)에 있는 입구(13)를 통해 들어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입구(13)는 미생물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막으로 보호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3)는 버블 형태의 막 뒤에 위치되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연결바늘과 버블 형태의 자가차단막((self closing membrane, 17)을 구비하고, 저장부(6)는 버블 형태의 자가 차단막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로부터 연결부에 예를 들어 인슐린이나 영양분과 같은 약물의 전달을 제공하는 유체통로가 형성된다. 2개의 부품 모두가 자가차단막을 구비하기 때문에, 2개의 부품을 서로에 대해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후에 연결부(3)와 환자에 대한 오염 없이 이들을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6C shows two parts viewed from opposite ends to which the injector is fixed prior to insertion of the penetrating member. It can be seen from this figure that the drug from the reservoir 6 can enter through the inlet 13 in the connection 3, which is protected by a membrane to prevent contamination by microorganisms.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nnecting part 3 is provided behind the bubble-shaped membrane, and thus has an invisible connecting needle and a bubble-shaped self closing membrane 17, and the reservoir 6 is bubbled. Form a self-closing membrane, thereby forming a fluid passageway from the reservoir to the connection, which provides for the delivery of a drug such as insulin or nutrients, since both parts have a self-blocking membrane,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two parts relative to each other, and then to combine them without contamination to the connection 3 and the patient.

도 7은 도 4~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조립체의 길이방향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도면으로부터 베이스부의 각 연결부(3)의 고정수단(14)과 주입기(10)의 고정수단이 서로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알 수 있다.
FIG. 7 shows a longitudinal cross section of the assembly as shown in FIGS. 4 to 6. From this figure it can be seen how the fixing means 14 of each connecting part 3 of the base part and the fixing means of the injector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도 8은 조립체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제거된 주입기(10)를 나타낸다. 이러한 도면으로부터 주입기의 고정수단(14PR, 14PL)을 알 수 있다.
8 shows the injector 10 removed from the rest of the assembly. From this figure it can be seen that the fixing means 14PR, 14PL of the injector.

도 9-11는 주입기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9 및 도 10에서 주입기가 조립체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주입기(10)는 주입기의 제1 및 제2 실시예와 같은 액츄에이터 핸들(11)을 포함하고, 도 9에서 액츄에이터 핸들(11)이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10에서 액츄에이터 핸들(11)이 삽입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주입기의 제3 실시예는 도 12에 나타난 것처럼 이동부(38)를 구비하고, 이러한 이동부는 이동부(38)의 일체로 형성된 부분인 돌출부재(protruding member, 38A)를 구비한다. 도 12a와 도 12b에서 이동부(38)는 2개의 다른 방향으로 나타나있다. "일체로 형성된 부분(integrated part)"은 이동부와 동시에 이동하고, 이동부에 대해 정지상태로 위치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일체로 형성된 부분은 이동부와 함께 제조되고,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지만, 이동부와 다른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동부(38)를 제조한 후에 이동부(38)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9-11 show a third embodiment of the injector, in which the injector is separated from the rest of the assembly in FIGS. 9 and 10. The injector 10 includes the same actuator handle 11 as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injector, and shows the state before the actuator handle 11 is inserted in FIG. 9, and the actuator handle 11 in FIG. The state after insertion is shown. A third embodiment of the injector has a moving part 38 as shown in FIG. 12, which has a protruding member 38A which is an integrally formed part of the moving part 38. 12A and 12B, the moving part 38 is shown in two different directions. "Integrated part" means moving simultaneously with the moving part and being stationary with respect to the moving part. Generally, the integrally formed part is made with the moving part and made of the same material, but can be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moving part, and after the moving part 38 is manufactured, the method of attaching to the moving part 38. It can also be made.

이동부(38) 위에 있는 돌출부재(38A)는 램프(ramp)를 구비한다. 램프는 돌출부재(38A)의 앞면에 위치된 기울어진 표면이고, 돌출부재(38A)의 앞면 형태가 화살촉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되어있다.
The protruding member 38A on the moving part 38 has a ramp. The ramp is an inclined surface located on the front face of the protruding member 38A, and in such a way that the front face of the protruding member 38A forms an arrowhead.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고정수단은 주입기(10)의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수단힌지부(hinged part)(14)를 포함하고, 힌지부(14)는 예를 들어 돌출부(14PL, 14PR)가 고정되는 것과 동일한 부분인 주입기의 일체로 형성된 부분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힌지부(14)는 하우징의 전체 높이를 2번 절단한 것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힌지부(14)는 실제로 하우징의 일부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하우징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단단하게 성형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힌지부(14)의 상당히 길다란 형태는 힌지부를 매우 유연하게 하며, 즉 바꿔말하면 힌지부(14)가 매우 유연하고, 힌지부를 느슨한 위치로부터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것을 쉽게 하며, 내부이동이 관통부재를 위한 안내수단(33)에 의해 차단되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관통부재는 캐뉼라부(7)가 된다. 또한, 힌지부(14)는 주입기의 하우징의 재료와 다른 재료, 예를 들어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하우징에 부착되는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The fastening means in this embodiment comprises a fastening means hinged part 14 which is fixed to the housing of the injector 10, the hinge part 14 being for example protrusions 14PL and 14PR to which it is fixed. It can optionally be fixed to an integrally formed part of the injector, which is the same part as the one. In this embodiment, the hinge portion 14 is formed by cutting the entire height of the housing twice, so that the hinge portion 14 is actually formed as part of the housing. In general, the housing is made of rigidly molded plastic, such as polypropylene, and the fairly long form of the hinge portion 14 makes the hinge portion very flexible, ie the hinge portion 14 is very flexible, and the hinge portion It is easy to push out from the loose position and the inner movement is blocked by the guide means 33 for the penetrating member and in this embodiment the penetrating member becomes the cannula part 7. In addition, the hinge portion 14 may be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material of the housing of the injector, for example a metal attached to the housing in a rotatable manner.

힌지부(14)는 힌지부(14)의 하단부 또는 인접단부에 2개의 내부후크("내부(inward)"는 후크가 하우징의 안쪽을 향하는 것을 의미한다.)를 구비하고, 2개의 후크는 베이스부의 설치된 돌출부(14B)에 끼워넣는 것에 의해서 하우징을 베이스부에 고정한다. 2개의 후크가 안쪽으로 휘어있기 때문에, 2개의 후크는 외부, 즉 바꿔 말하면 하우징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밀리는 것에 의해 후크의 잠김 위치로부터 풀리게 된다. 또한, 힌지부(14)는 캐뉼라부(7)를 위한 안내수단(33) 주변에서 힌지부(14)로부터 안쪽으로 위치된 고체재료의 둥근 판 형태를 갖는 연결부재(contact member, 14A)를 구비한다. 이동부(38)가 시작위치에서 최종위치로 이동할 때, 이동부(38)의 테일링 엣지(trailing edge)에 위치된 돌출부재(38A)가 램프표면으로 연결부재(14A)를 가격하고, 연결부재(14A)가 풀릴 수 없고 단단하게 힌지부(14)에 부착되기 때문에, 연결부재(14A)는 바깥쪽으로 힘을 받게 되며, 힌지부(14)도 바깥쪽으로 힘을 받게 된다.
Hinges 14 have two inner hooks at the lower or adjacent ends of hinge 14 (" inward " means that the hooks are directed towards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the two hooks have a base The housing is fixed to the base part by fitting into the provided projecting portion 14B. Since the two hooks are bent inward, the two hooks are released from the locked position of the hook by being pushed outward, ie away from the center of the housing. The hinge part 14 also has a contact member 14A in the form of a round plate of solid material positioned inward from the hinge part 14 around the guide means 33 for the cannula part 7. do. When the moving part 38 moves from the starting position to the final position, the protruding member 38A located at the trailing edge of the moving part 38 hits the connecting member 14A against the ramp surface, and the connecting member Since 14A is not loose and firmly attached to the hinge portion 14, the connecting member 14A is forced outward, and the hinge portion 14 is also forced outward.

또한, 주입기의 하우징은 힌지부(14)의 내부후크에 마주하는 벽의 내부표면 위에 둥근 후크(14PL, 14PR)의 형태를 갖는 2개의 돌출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돌출부(14PL, 14PR)는 연결부(3)에 인접한 베이스부의 상응하는 구멍(14L, 14R)안에 삽입된다. 베이스부에 있는 상응하는 구멍이 도 16A에 나타나 있다. 베이스부에서 상응하는 구멍(14L, 14R)의 형태로 된 고정수단이 주입기(10)에서 둥근 후크(14PL, 14PR)의 형태로 된 상응하는 고정수단에 연결될 때, 주입기(10)가 베이스부와의 관계에서 돌출부가 구부러져 있고 구멍 주변에 그립을 형성하기 때문에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주입기(10)가 베이스부와의 관계에서 돌출부를 구멍 안에 삽입하기 때문에 표면 플레이트(1)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관통부재(도 10)가 완전히 삽입된 후에, 주입기(10)가 베이스부로부터 제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The housing of the injector also has two protrusions in the form of round hooks 14PL and 14P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facing the inner hook of the hinge portion 14. These protrusions 14PL and 14PR are inserted into corresponding holes 14L and 14R of the base portion adjacent to the connecting portion 3. The corresponding hole in the base portion is shown in FIG. 16A. When the fastening means in the form of corresponding holes 14L, 14R in the base part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in the form of round hooks 14PL, 14PR in the injector 10, the injector 10 is connected with the base part. Surface plate because the projection is bent and a grip is formed around the hole to prevent parallel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and the injector 10 inserts the protrusion into the hole in relation to the base portion. It is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1). After the penetrating member (FIG. 10) is fully inserted, the injector 10 can be removed from the base portion or removed.

주입기(10)를 베이스부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주입기(10)가 구멍(14L, 14R)의 상부표면을 따라 형성된 축에 대해 회전된다. 구멍(14L, 14R)의 상부(말단)표면은 둥근 후크(14PL, 14PR)를 위한 접촉표면을 형성하고, 주입기 하우징(30)이 회전이동할 때 둥근 후크(14PL, 14PR)의 하부 접촉표면이 접촉표면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다. 표면 플레이트(1)를 포함하는 베이스부를 삽입한 후에, 캐뉼라부(7)가 표면 플레이트에 대해 완전히 설치되고, 캐뉼라 또는 센서가 삽입되며, 회전이동은 오직 주입기(10)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In order to separate the injector 10 from the base portion, the injector 10 is rotated about an axis form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les 14L and 14R.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holes 14L and 14R form a contact surface for the round hooks 14PL and 14PR, and the lower contact surface of the round hooks 14PL and 14PR contacts when the injector housing 30 is rotated. Can slide along the surface. After inserting the base part comprising the surface plate 1, the cannula part 7 is completely installed relative to the surface plate, the cannula or the sensor is inserted, and the rotation is made only by the injector 10.

회전이동은 베이스부의 표면 플레이트(1)에 대해 기울어진 주입기 하우징의 하부표면 또는 인접표면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그리하여 회전이동의 끝에서 주입기(10)의 이동을 위한 공간을 남겨두게 되며, 주입기 하우징의 하부(인접) 경사진 표면이 일반적으로 환자의 피부와 반대방향으로 놓이게 된다.
Rotational movement can be at the lower or adjacent surface of the injector housing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urface plate 1 of the base part, thus leaving room for movement of the injector 10 at the end of the rotational movement, The lower (adjacent) inclined surface will generally lie opposite the patient's skin.

도 11a는 삽입 전 위치에서 주입기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에서 경사진 하부표면은 환자의 피부로부터 올려지게 된다. 힌지부(14)의 내부후크가 베이스부에 있는 돌출부(11B)에 고정된다.11A shows the injector in the pre-insertion position. In this state, the inclined lower surface is raised from the patient's skin. The inner hook of the hinge portion 14 is fixed to the protrusion 11B in the base portion.

도 11b는 캐뉼라부가 삽입된 후에 주입기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에서 경사진 하부표면은 환자의 피부에 대해 평행하고, 힌지부(14)의 내부후크가 잠금위치로부터 풀리게 된다.
11B shows the injector after the cannula part has been inserted. In this state, the inclined lower surface is parallel to the skin of the patient, and the inner hook of the hinge portion 14 is released from the locked position.

도 11c는 베이스부로부터 제거된 후의 주입기를 나타낸다.
11C shows the injector after it has been removed from the base portion.

도 12a와 12b는 도 9-11에 나타나 있는 주입기의 제3 실시예의 이동부(38)를 나타낸다. 도 12a는 "뒷면(bcak side)" , 즉 바꿔말하면 관통부재로부터 떨어져서 회전된 측면을 나타내고, 도 12b는 "앞면(front side)" , 즉 바꿔말하면 관통부재를 향해 회전된 측면을 나타낸다. 이러한 도면은 경사진 측면, 즉 바꿔말하면 이동방향을 쪽으로 마주하는 램프를 구비한 이동부(38)의 테일링 엣지에 위치된 돌출부재(38A)를 나타내고, 즉 이동방향 쪽으로 마주하는 램프를 나타내고, 이러한 도면은 V자로 형성된 길이방향 구멍의 형태로 된 변형수단(39)을 나타내며, V형태에서 시작위치는 V형태의 라인에서 제1 라인의 상단부가 되고, 관통부재의 최종위치는 V형태의 라인에서 제2 라인의 상단부가 된다.
12A and 12B show the moving part 38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injector shown in FIGS. 9-11. FIG. 12A shows the "bcak side", ie the side rotated away from the penetrating member, and FIG. 12B shows the "front side", ie the side rotated towards the penetrating member. This figure shows the protruding member 38A located at the tailing edge of the moving part 38 with the inclined side, ie the ramp fac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ie the ramp fac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The figure shows the deforming means 39 in the form of a longitudinal hole formed in a V shape, the starting position in the V shape being the upper end of the first line in the V shape line, and the final position of the penetrating member in the V shape line. It becomes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ine.

도 13과 도 14는 주입기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고, 이러한 실시예는 주입기를 베이스부에 고정하는 고정수단(14)에서 제3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13과 도 14에서 주입기(10)는 삽입된 후의 상태이고, 여기에서 주입기는 베이스부로부터 제거되어 있다. 제4 실시예는 서로를 지지하는 기능적으로 독립적인 고정수단 세트를 풀수 있는 장치를 구비한다.
13 and 14 show a fourth embodiment of the injector, which differs from the third embodiment in the fixing means 14 for fixing the injector to the base part. 13 and 14, the injector 10 is in a state after being inserted, in which the injector is removed from the base portion.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a device capable of releasing a set of functionally independent fasteners supporting each other.

제3 실시예에와 같이 주입기의 제4 실시에는 이동부(38)와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재(38A)를 갖는 이동부(38)(도 15a와 도 15b에 나타나 있음)를 구비한다. 제4 실시예의 이동부(38)는 포지션닝 수단(positioning means,27)으로 불리는 제2의 일체로 형성된 부품을 추가로 구비한다. 이러한 포지션닝 수단(27)은 이동부(38)의 하부 테일링 엣지에 부착된다.
As in the third embodiment,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injector is provided with a moving part 38 (shown in FIGS. 15A and 15B) having a protruding member 38A integrally formed with the moving part 38. The moving part 38 of the fourth embodiment further comprises a second integrally formed part called positioning means 27. This positioning means 27 is attached to the lower tailing edge of the moving part 38.

주입기의 제3 실시예에와 같이 제4 실시예에서의 고정수단은 주입기(10)의 하우징에 고정되는 힌지부(14)를 구비하고, 힌지부(14)는 도 9와 도 10의 제3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4 실시예의 힌지부(14)는 힌지부(14)의 하단부 또는 인접단부에 2개의 내부후크를 구비한다. 2개의 후크는 하부접촉표면 또는 인접접촉표면을 갖는 베이스부의 고정된 돌출부(14B)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하우징을 베이스부에 고정한다. 2개의 후크가 안쪽으로 휘어져 있기 때문에 2개의 후크가 외부, 즉 바꿔말하면 하우징의 안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리는 것에 의해서 풀리게 된다.
As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injector, the fixing means in the fourth embodiment has a hinge portion 14 fixed to the housing of the injector 10, and the hinge portion 14 is the third of FIGS. 9 and 10. Move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in the embodiment. In addition, the hinge portion 14 of the fourth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wo inner hooks at the lower end portion or the adjacent end portion of the hinge portion 14. The two hooks secure the housing to the base by being inserted into a fixed protrusion 14B of the base having a lower contact surface or an adjacent contact surface. Since the two hooks are bent inward, the two hooks are released by being pushed outward, i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또한, 힌지부(14)는 주입기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 즉 바꿔말하면 캐뉼라부(7)를 위한 안내수단(33) 주변에서 힌지부(14)로부터 안쪽으로 위치된 플레이트 형태를 갖는 연결부재(14A)를 구비한다. 이동부(38)가 시작위치에서 끝나는 위치로 이동할 때, 이동부(38)의 테일링 엣지에 위치된 돌출부재(38A)가 돌출부재(38A)의 램프표면으로 연결부재(14A)를 가격하고, 연결부재(14A)가 힌지부(14)에 풀릴 수 없고 단단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연결부재(14A)는 바깥쪽으로 힘을 받고, 힌지부(14)도 바깥쪽으로 힘을 받는다.
In addition, the hinge portion 14 has a connecting member 14A having a plate shape located inward from the hinge portion 14 in the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injector, that is, around the guide means 33 for the cannula portion 7. ). When the moving part 38 moves from the start position to the end position, the protruding member 38A located at the tailing edge of the moving part 38 strikes the connecting member 14A against the ramp surface of the protruding member 38A, Since the connecting member 14A cannot be loosened to the hinge portion 14 and is firmly connected, the connecting member 14A is forced outward, and the hinge portion 14 is also forced outward.

제4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재(14PL, 14PR)는 유연부재(flexible member, 114) 위에 위치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재(14PL, 14PR)는 직사각형이지만, 원형이나 삼각형일 수도 있다. 돌출부재(14PL, 14PR)는 연결부(3)에 인접한 베이스부의 구멍(14P, 14L) 안에 삽입된다. 이러한 구멍은 직사각형의 돌출부재(14PL, 14PR)에 상응한다. 베이스부 위에 구멍(14L, 14R)의 형태로 된 고정수단이 주입기(10) 위에 돌출부재(14PL, 14PR)의 형태로 된 상응하는 고정수단에 연결될 때, 주입기(10)는 베이스부에 대해 표면 플레이트(1)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 및 표면 플레이트(1)의 평행한 방향으로의 이동이 차단된다.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protruding members 14PL and 14PR are positioned on the flexible member 114. The protruding members 14PL and 14P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re rectangular, but may be circular or triangular. The protruding members 14PL and 14PR are inserted into the holes 14P and 14L of the base portion adjacent to the connecting portion 3. This hole corresponds to the rectangular protruding members 14PL and 14PR. When the fastening means in the form of holes 14L, 14R on the base part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in the form of protruding members 14PL, 14PR on the injector 10, the injector 10 is surfaced relative to the base part.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late 1 and movement in the parallel direction of the surface plate 1 are blocked.

유연부재(114)는 유연부재가 2개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하우징 또는 하우징(30)에 대해 정지된 부분에 부착되고, 여기에서 2개의 위치는 주입기가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제1 위치와 주입기가 베이스부로부터 풀리는 제2 위치이다. 도 13A와 13B는 느슨하게 잠긴 위치에서의 유연부재(114)를 나타내고, 도 17B에서 화살표는 제2의 풀림 위치를 얻기 위해 이동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유연부재(114)는 이동부를 위한 안내수단(32)에 일체로 형성되고, 즉 바꿔말하면 유연부재(114)는 이동부(38)가 미끄러지는 표면 또는 벽의 일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연부재(114)는 삽입 동안 이동방향을 가리키는 날카로운 엣지를 구비한 삼각형 형태를 갖는 접촉부(contact part, 115)를 구비한다. 접촉부(115)는 삽입 동안 이동부(38)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을 가리키는 램프 형태의 표면으로 형성된다.
The flexible member 114 is attached to the housing or the stationary portion relative to the housing 30 in such a way that the flexible member can move between two positions, where the two positions are in a first position where the injector is fixed to the base portion. And the injector is in a second position to be released from the base portion. 13A and 13B show the flexible member 114 in the loosely locked position, and in FIG. 17B the arrow indicates the direction of travel to obtain the second release pos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the flexible member 114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guide means 32 for the moving part, ie the flexible member 114 consists of part of the surface or wall on which the moving part 38 slides. do.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lexible member 114 has a contact part 115 having a triangular shape with a sharp edge pointing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during insertion. The contact portion 115 is formed with a ramp shaped surface that point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moving portion 38 during insertion.

유연부재(114)를 제1 느슨한 위치 및 잠김위치로부터 제2 위치 및 풀림위치로 보내기 위해서, 유연부재는 유연부재(114)를 제2 위치로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힘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In order to send the flexible member 114 from the first loose position and the locked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the unlocked position, the flexible member must be able to receive enough force to move the flexible member 114 to the second position.

도 14a와 도 14b는 이동부를 위한 안내수단을 형성하고 주변하우징이 적소에 위치할 때 보이지 않는 주입기 하우징(30)의 내부를 나타낸다. 도 14a와 14b는 이러한 내부 하우징부를 가로질러 절단된 동일한 상태를 나타내지만, 도 14a에서 내부의 접촉부(115)를 보기 위해 이동부(38)가 제거되어 있다. 이동부(38)가 끝나는 위치 또는 최종위치에 있을 때, 접촉부(115)는 이동부(38)의 포지션닝부(27)와 접촉하는 돌출되어 기울어진 표면으로 이루어진다.
14A and 14B show the interior of the injector housing 30 which forms guide means for the moving part and is not visible when the peripheral housing is in place. 14A and 14B show the same state cut across this inner housing portion, but the moving portion 38 is removed to see the inner contact 115 in FIG. 14A. When the moving part 38 is in the end position or the final position, the contact part 115 consists of a protruding inclined surface which contacts the positioning part 27 of the moving part 38.

도 15a와 15b는 도 13과 도 14에 나타난 주입기의 제4 실시예에서의 이동부(38)를 나타낸다. 도 15a는 "뒷면", 즉 바꿔말하면 관통부재의 먼 쪽으로 회전된 측면을 나타내고, 도 15b는 "앞면", 즉 바꿔말하면 관통부재 쪽으로 회전된 측면을 나타낸다. 이러한 도면은 경사진 측면, 즉 바꿔말하면 이동방향에 마주하는 램프인 경사면을 구비한 이동부(38)의 테일링 엣지에 위치된 돌출부재(38A)를 나타내고, 이러한 도면은 V자로 형성된 길이방향 구멍의 형태로 된 변형수단(39)을 나타내며, V형태에서 시작위치는 V형태의 라인에서 제1 라인의 상단부가 되고, 관통부재의 최종위치는 V형태의 라인에서 제2 라인의 상단부가 된다. 끝나는 위치가 시작위치보다 낮은 곳에 위치한다. 주입기 하우징의 둘러싸인 부분에 의해 형성된 안내수단(32)을 따라 미끄러질 때, 주입기의 하우징에 대해 이동부(38)의 포지션닝을 보장하는 포지션닝 수단(27)이 이동부(38)의 하단 엣지에 나타나있지만, 포지션닝 수단(27)의 주된 기능은 이동부(38)와 일체로 형성된 포지션닝 수단(27)이 뒷면을 통과할 때 하우징 "뒷면"에 있는 유연부재(114)에 힘을 가하는 것이다.
15A and 15B show the moving part 38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injector shown in FIGS. 13 and 14. FIG. 15A shows the "back side", ie the side rotated away from the through member, and FIG. 15B shows the "front side", ie the side rotated towards the through member. This figure shows the protruding member 38A located at the tailing edge of the moving part 38 with the inclined side, that is, the inclined surface which is the ramp fac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which is a V-shaped longitudinal hole. Deformation means 39 in the form of a shape, in which the starting position in the V shape becomes the upper end of the first line in the V-shaped line, and the final position of the through member becomes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ine in the V-shaped line. The ending position is lower than the starting position. When sliding along the guide means 32 formed by the enclosed portion of the injector housing, a positioning means 27 is shown at the bottom edge of the mover 38 which ensures positioning of the mover 38 relative to the housing of the injector. The main function of the positioning means 27 is to apply a force to the flexible member 114 in the housing "back side" when the positioning means 27 integrally formed with the moving part 38 pass through the back side.

이동부(38)의 포니션닝 수단(27)이 유연부재(114)에 접촉할 때, 유연부재(114)는 베이스부의 연결부(3)로부터 밀리게 되고, 돌출부(14PL, 14PR)의 형태로 된 고정수단이 베이스부에 있는 상응하는 구멍(14L, 14R)에서 뽑힌다. 이동부(38)가 끝나는 위치에 있을 때, 돌출부재(38A)와 포지셔닝 수단(27)은 힌지부(14)와 유연부재가 느슨한 위치와 잠김위치로부터 밀어지게 되는 위치에 있게 되고, 이는 이동부(38)가 끝나는 위치에 있을 때 베이스부로부터 주입기를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When the positioning means 27 of the moving part 38 is in contact with the flexible member 114, the flexible member 114 is pushed out of the connecting portion 3 of the base portion, and is in the form of protrusions 14PL and 14PR. The fastening means are pulled out of the corresponding holes 14L and 14R in the base part. When the moving part 38 is in the end position, the protruding member 38A and the positioning means 27 are in a position where the hinge part 14 and the flexible member are pushed out of the loose position and the locked position, which is the moving part. It means that the injector can be removed from the base when in the end position (38).

도 16은 도 1-2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캐뉼라부(7)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실시예는 캐뉼라(22) 및 구멍(20)을 구비한 평평한 표면을 갖는 돌출된 앞면(protruding front, 25)을 구비한 몸체(24)를 포함한다. 캐뉼라부(7)의 돌출된 앞면(25)은 평평할 필요가 없다. 캐뉼라부(7)에 마주하는 연결부(3)에 상응하는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든 상관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돌출된 앞면(25)은 상부, 즉 바꿔말하면 캐뉼라부(7)의 말단부에서의 단면이 돌출된 앞면의 인접단부, 즉 바꿔말하면 삽입 후에 환자에 가장 가까운 단부에서의 단면보다 더욱 크게 되어 있는 방식으로 기울어져 있다. 돌출된 앞면(25)의 구멍(20)은 액체가 캐뉼라부(7)로 유입되거나 배출되게 할 수 있는 입구 또는 출구가 된다. 몸체(24)는 자가차단막으로 둘러싸일 수 있는 정상구멍(top opening, 21)을 추가로 구비한다. 정상구멍(21)은 주변과 접촉하는 외부표면과 마주하고 있기 때문에 입구 보호수단이 요구된다. 만약 캐뉼라(22)가 부드러운 캐뉼라라면, 정상구멍(21)은 캐뉼라부(7)가 삽입될 때 처음으로 사용된다. 캐뉼라(22)가 부드럽다는 것은 스스로 환자의 피부에 관통할 수 없는 상당히 부드러운 재료로 만들어졌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캐뉼라를 삽입할 때, 상당히 단단한 재료의 날카로운 삽입바늘이 필요하게 되고, 이러한 날카로운 삽입바늘은 정상구멍(21)을 통과하여 삽입될 수 있고, 캐뉼라부의 몸체(24)에 있는 내부공동을 통과하여 지나갈 수 있으며, 더욱이 삽입바늘의 날카로운 단부가 공동(hollow)의 캐뉼라(22)의 구멍 단부를 찌르는 방식으로 캐뉼라(22)의 전체 길이를 통과하여 지나갈 수 있다. 삽입 후에, 즉 바꿔말하면 캐뉼라(22)가 환자의 피부 아래나 경피에 위치된 후에, 삽입바늘은 수축되고, 캐뉼라(22)가 환자 안에 남아있다. 또한, 캐뉼라부(7)는 고정수단(23)을 구비하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고정수단은 후크가 캐뉼라부(7)의 중심을 향해 안쪽으로 회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몸체(24)에 유연하게 고정된 외부후크(23)의 시리즈 형태로 되어 있다. 캐뉼라부(7)가 베이스부쪽으로 가압 될 때, 후크가 엣지를 지나가기 때문에 후크가 이들을 중앙쪽으로 밀어내는 엣지(edge)를 지나가고, 후크가 에지를 지나갈 때 후크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며, 1개 이상의 후크의 상부표면이 엣지의 하부표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캐뉼라부(7)가 엣지에 대해 풀릴 수 없도록 잠기게 된다.
FIG. 16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cannula part 7 used in the embodiment of FIGS. 1-2. This embodiment includes a body 24 having a protruding front 25 having a flat surface with a cannula 22 and a hole 20. The protruding front 25 of the cannula part 7 need not be flat. As long as it is possible to form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art 3 facing the cannula part 7, it does not matter in any form.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ding front 25 is the upper end, ie the cross section at the distal end of the cannula part 7 adjacent the proximal end of the protruding front, ie the end closest to the patient after insertion. It is inclined in a way that is much larger. The hole 20 in the protruding front 25 is an inlet or outlet that can allow liquid to enter or exit the cannula part 7. The body 24 further has a top opening 21 which can be surrounded by a self-blocking membrane. Since the top hole 21 faces the out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eriphery, inlet protection means are required. If the cannula 22 is a soft cannula, the top hole 21 is used for the first time when the cannula part 7 is inserted. The softness of the cannula 22 means that it is made of a fairly soft material that cannot penetrate the skin of the patient by itself, and in this case, when inserting the cannula, a sharp insertion needle of a fairly hard material is needed. The sharp insertion needle may be inserted through the top hole 21 and may pass through the internal cavity in the body 24 of the cannula part, and furthermore, the sharp end of the insertion needle may be inserted into the hollow cannula 22. Can pass through the entire length of the cannula 22 in a manner that punctures the end of the hole. After insertion, ie in other words after the cannula 22 has been placed under or under the patient's skin, the insertion needle is retracted and the cannula 22 remains in the patient. In addition, the cannula part 7 has a fastening means 23, in which the fastening means is flexible to the body 24 in such a way that the hook can rotate inwards towards the center of the cannula part 7. It is in the form of a series of fixed outer hooks 23. When the cannula part 7 is pressed towards the base part, the hook passes over the edge so that the hook passes over the edge that pushes them towards the center, and when the hook passes over the edge, the hook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1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at least two hooks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edge, the cannula part 7 is locked so that it cannot be released against the edge.

도 17은 캐뉼라부(7)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확대도를 나타낸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는 캐뉼라(22) 및 구멍(20)을 구비한 평평한 표면을 갖는 돌출된 앞면(25)을 구비한 몸체(body, 24)를 포함하지만,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된 앞면(25)은 캐뉼라부를 주입하는데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고 밀봉재(18)의 비틀림을 감소시키기 위해 기울어져 있다. 돌출된 앞면의 기울기는 캐뉼라(22)의 센터라인(c)과 구멍 주변의 표면에 대한 평행선 사이의 각도(d)에 의해 결정된다. 각도(d)는 0°보다 크고 90°보다 작으며, 일반적으로 밀봉재(18)의 직경에 따라 0°에서 30°, 또는 60°에서 90°가 된다. 돌출된 앞면(25)의 표면의 말단부, 즉 바꿔말하면 삽입 후에 환자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캐뉼라부(7)의 단부와 캐뉼라부(7)의 중심(c) 사이의 거리 d1은 인접단부에서 돌출된 앞면(25)의 표면, 즉 바꿔말하면 삽입 후에 환자의 피부에 가장 가까운 단부와 캐뉼라부(7)의 중심(c) 사이의 거리(d2)보다 더욱 길다. 일반적으로 거리(d2)는 삽입 동안에 돌출된 앞면(25)의 인접단부가 연결부(3)의 밀봉재(18)에 접촉하지 않도록 매우 짧다.
17 shows an enlarged view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annula part 7. This embodiment also includes a body 24 having a protruding front 25 having a flat surface with a cannula 22 and a hole 20, bu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protruding front ( 25 is inclined to reduce the force required to inject the cannula and to reduce the torsion of the seal 18. The inclination of the protruding front is determined by the angle d between the centerline c of the cannula 22 and the parallel to the surface around the hole. The angle d is greater than 0 ° and less than 90 ° and generally ranges from 0 ° to 30 ° or from 60 ° to 90 ° depending on the diameter of the seal 18. The distance d 1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surface of the protruding front 25, ie the end of the cannula part 7 which is furthest from the patient after insertion and the center c of the cannula part 7, protrudes from the adjacent end. Longer than the distance d 2 between the surface of the front face 25, ie the end closest to the patient's skin after insertion and the center c of the cannula part 7. In general, the distance d 2 is very short such that the proximal end of the protruding face 25 during insertion does not contact the seal 18 of the connection 3.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실시예에서, 각도(d)는 90°에 가깝고, 즉 바꿔말하면 90°이고, 도 11에 상응하는 도면에서 이러한 실시예는 연결부(3)의 상부 출구(12)를 캐뉼라부(7)의 하부구멍(20)에 연결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캐뉼라부(7)를 밀봉재(18) 쪽으로 미는 힘이 밀봉재(18)의 접촉표면에 대해 수직에 가깝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밀봉재(18)를 따라 미끄러지는 캐뉼라부(7)에 의해 캐뉼라부(7)의 삽입 동안 밀봉의 비틀림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 16에 나타난)에서, 돌출된 앞면(25)과 중심선(c)이 평행하기 때문에, 각도(d)는 0°이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캐뉼라부(7)가 밀봉재의 비틀림을 발생시킬 수 있는 돌출된 밀봉재(18)에 접촉하여 미끄러진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s, in the embodiment, the angle d is close to 90 °, ie in other words 90 °, and in the figure corresponding to FIG. 11 this embodiment shows the cannula part of the upper outlet 12 of the connection part 3. It connects to the lower hole 20 of (7). This means that the force pushing the cannula part 7 towards the seal 18 is close to the perpendicular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seal 18, which is caused by the cannula part 7 sliding along the seal 18. Prevents twisting of the seal during insertion of 7.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6), the angle d becomes 0 ° because the protruding front face 25 and the centerline c are parallel.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cannula part 7 slides in contact with the protruding seal 18, which can cause twisting of the seal.

도 16의 실시예에 따르면, 캐뉼라부(7)의 돌출된 앞면(25)은 평평할 필요가 없다. 캐뉼라부(7)에 마주하는 연결부(3)에 상응하는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든 상관없다. 또한, 돌출된 앞면(25)의 구멍(20)은 캐뉼라부(7)의 목적에 따라 입구나 출구가 될 수 있다. 단면도인 도 17에서, 몸체(24)의 정상구멍(21)이 자가차단막(self closing membrane, 21A)으로 어떻게 덮여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도 10의 실시예에 따르면, 만약 캐뉼라(22)가 부드러운 캐뉼라라면 캐뉼라부(7)를 삽입할 때, 정상구멍(21)이 최초로 사용되지만, 또한 정상구멍(21)은 환자가 구멍(20)을 통해 수용하는 인슐린과 같은 초기 약물 이외에 약물이나 영양분을 주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6, the protruding front 25 of the cannula part 7 need not be flat. As long as it is possible to form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art 3 facing the cannula part 7, it does not matter in any form. In addition, the hole 20 of the protruding front 25 may be an inlet or an outlet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cannula part 7. In FIG. 17, which is a sectional view, it can be seen how the top hole 21 of the body 24 is covered with a self closing membrane 21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0, if the cannula 22 is a soft cannula, the top hole 21 is first used when inserting the cannula part 7, but the top hole 21 is also used by the patient. It can be used to inject drugs or nutrients in addition to the initial drugs, such as insulin, that are received through the drug.

또한, 캐뉼라부(7)의 이러한 실시예는 고정수단(23)을 구비하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고정수단(23)은 정지한 베이스부상의 유연부(flexible part, 23A)에 상응하는 캐뉼라부(7)에서 돌출부(23)의 형태를 갖는다. 캐뉼라부(7)의 삽입 동안에, 캐뉼라부(7)에 있는 돌출부(23)가 지나갈 때, 유연부(23A)는 도 10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것처럼 바깥쪽으로 밀릴 수 있다. 삽입 후에, 캐뉼라부(7)에 있는 돌출부(23)의 상부표면이 베이스부에 있는 유연부(23A)의 하부표면에 의해 잠겨지고, 베이스부로부터 캐뉼라부(7)를 분리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This embodiment of the cannula part 7 also has a fixing means 23, in which the fixing means 23 corresponds to a cannula part corresponding to a flexible part 23A on a stationary base part. 7) in the form of a protrusion 23. During insertion of the cannula part 7, when the protrusion 23 in the cannula part 7 passes, the flexible part 23A can be pushed outward as indicated by the arrow in FIG. 10. After inser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23 in the cannula part 7 is lock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flexible part 23A in the base part, making it impossible to separate the cannula part 7 from the base part. .

도 18a는 이동부(38)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이동부는 표준 삽입 깊이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증가 된 허용범위를 갖는다. 도 18a는 "뒷면(bcak side)" , 즉 바꿔말하면 관통부재로부터 떨어져서 회전된 측면을 나타내고, 이동부가 주입기에 위치될 때 주입기의 관통부재가 정지한 수평위치로 유지되며, 이러한 위치에서 관통부재가 처음에 하강하고 이후에 상승하는 동안에, 이동부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도면은 이동부(38)의 테일링 엣지에 위치된 돌출부(38A)를 나타내고, 전환수단을 위한 안내수단(39)이 이동부의 경계 안에 위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내수단(39)은 관통부재의 전환수단(51)이 이동할 수 있는 개방된 공간을 둘러싸는 외부경계선을 가지는 컷 아웃(cut-out)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안내수단(39)은 이동부(38)의 몸체에 고정된 스템(stem)을 통해 스템 주변에서 회전할 수 있는 회동부(pivotable part, 39A)를 포함한다. 도 18에 따르면 이동부(38)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회동부(39A)가 유연한 상부경계를 형성하고, 즉 바꿔말하면 전환수단(51)이 통과하기 때문에 회동부(39A)가 위쪽으로 회전한다. 회동부(39A)가 관통부재의 전환수단(51)을 통과할 때, 회전부가 정지위치로 되돌아온다.
18A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mover 38, which has an increased tolerance to deviate from the standard insertion depth. Figure 18a shows the "bcak side", ie the side rotated away from the penetrating member, the penetrating member of the injector being held in a horizontal position where the penetrating member is stationary when the moving part is positioned in the injector, in which While initially descending and subsequently ascending, the moving part moves from right to left. This figure shows the projection 38A located at the tailing edge of the moving part 38, with the guide means 39 for the switching means being located within the boundary of the moving par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guide means 39 is formed by a cut-out having an outer boundary line surrounding an open space in which the switching means 51 of the penetrating member can move. The guide means 39 also comprise a pivot part 39A which can rotate around the stem via a stem fixed to the body of the moving part 38. According to Fig. 18, since the moving part 38 moves from right to left, the rotating part 39A forms a flexible upper boundary, that is, the rotating part 39A moves upward because the switching means 51 passes. Rotate When the rotating part 39A passes through the switching means 51 of the penetrating member, the rotating part returns to the stop position.

전환수단(51)은 A위치에서 이동부(38)에 대한 시작위치가 된다. 이동부(38)가 왼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관통부재의 전환수단(51)이 안내수단(39)의 상부표면을 따라 미끄러지는 것에 의해서 B위치에 도달하고, B위치에서 관통부재의 삽입바늘(53)이 환자의 피부에 접촉된다.
The switching means 51 becomes the star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oving part 38 in the A position. Since the moving part 38 moves to the left side, the switching means 51 of the penetrating member slide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means 39 to reach position B, and at the position B the insertion needle of the penetrating member ( 53) is in contact with the patient's skin.

C위치에서, 삽입바늘(53)에 연결되거나 삽입바늘을 둘러싸는 캐뉼라(22)가 환자의 피부에 접촉된다.
In the C position, the cannula 22 connected to or surrounding the insertion needle 53 is in contact with the patient's skin.

D위치에서, 밀봉 시작, 즉 바꿔말하면 접촉이 캐뉼라부(7)와 표면 플레이트(1) 사이에 형성되고, 캐뉼라(22)가 정확한 위치에 있고, 정지한 베이스부에서 고정수단(23)이 캐뉼라부(7)를 베이스부에 잠그는 것을 소비자에게 알려주는 것과 같은 고정수단이 딸깍(click)하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In the D position, the start of sealing, ie contact is formed between the cannula part 7 and the surface plate 1, the cannula 22 is in the correct position, and at the stationary base the fastening means 23 cannula. A click can be heard by a locking means, such as informing the consumer of locking the part 7 to the base.

관통부재의 고정수단(51)이 A위치로부터 D위치까지 지나가기 때문에, 고정수단이 회동부(39A)의 하부접촉표면을 따라 미끄러진다. 이러한 접촉표면은 작동부재를 아래로 작동시키고, 따라서 접촉표면이 부드럽고 가능한 한 적은 마찰계수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Since the fixing means 51 of the penetrating member passes from the A position to the D position, the fixing means slides along the lower contact surface of the pivoting portion 39A. This contact surface actuates the actuating member downwards, and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the contact surface be smooth and have as little frictional coefficient as possible.

E위치에서, 관통부재가 완전히 삽입된다. 회동부(39A)는 약간 다른 삽입깊이, 즉 바꾸말하면 ±0.5㎜의 범위 내에서 구부러질 수 있다.
In the E position, the penetrating member is fully inserted. The pivoting portion 39A may be bent in a slightly different insertion depth, that is, in a range of ± 0.5 mm.

G위치에서, 삽입바늘(53)이 캐뉼라부(7)의 정상구멍(21)을 둘러싸는 자가차단막(21A)을 벗어나고, H위치에서, 삽입바늘이 안전한 위치, 즉 삽입바늘(53)이 주입기의 하우징에 대해 수축된 위치가 된다. 일반적으로, 삽입바늘은 하우징에 대해 적어도 1㎜에서 수축된다.
In the G position, the insertion needle 53 leaves the self-blocking membrane 21A surrounding the top hole 21 of the cannula part 7, and in the H position, the insertion needle is in a safe position, that is, the insertion needle 53 is injector.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In general, the insertion needle is retracted at least 1 mm relative to the housing.

관통부재의 전환수단(51)이 E위치로부터 H위치까지 지나가기 때문에, 전환수단이 이동부(38)의 안내수단(39)을 형성하는 테일의 상부접촉표면을 따라 미끄러진다. 이러한 접촉표면은 관통부재를 원위치로 작동시키고, 접촉표면은 부드럽고 가능한 한 적은 마찰계수를 가져야 한다.
Since the switching means 51 of the penetrating member passes from the E position to the H position, the switching means slides along the upper contact surface of the tail forming the guide means 39 of the moving part 38. These contact surfaces operate the penetrating member in place, and the contact surfaces should be smooth and have as little frictional coefficient as possible.

도 18b는 측면으로부터 바라본 이동부(38)를 나타낸다. A로 표시된 화살표는 도 18a에 나타난 측면을 가리킨다.18B shows the moving part 38 viewed from the side. The arrow labeled A indicates the side shown in FIG. 18A.

도 19a, 도 19b, 및 도 19c는 주입기의 도시된 어떠한 실시예에서도 이동부를 구동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판스프링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spring, 45)은 이동부(38)와 작동부(11) 사이에 설치된다. 여전히 완전한 기능을 갖는 반면에 제품을 보관할 수 있는 시간을 길게 하기 위해서, 스프링(45)은 보관되는 동안 일반적으로 느슨한 상태로 설치되고, 만약 스프링(45)이 보관되는 동안 기울어진 상태라면, 제품의 성능이 빠르게 감소 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스프링(45)은 2개의 단부를 포함하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판 스프링이다. 제1 단부(46)는 이동부(38)에 부착되거나, 이동부(38)에 연결되어 위치되고, 제2 단부(47)는 작동부(11)에 부착되거나, 작동부(11)에 연결되어 위치된다. 스프링(45)의 제2 단부가 블록(block, 47a)에 놓여있다.
19A, 19B, and 19C show an embodiment of a leaf spring that can be used to drive the moving part in any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s of the inject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spring 45 is installed between the moving part 38 and the operating part 11. While still fully functional, in order to lengthen the time the product can be stored, the spring 45 is generally installed in a loose state during storage, and if the spring 45 is inclined during storage, There is a risk that performance may be reduced quickly. In this embodiment, the spring 45 is a leaf spring, for example made of plastic material, which comprises two ends. The first end 46 is attached to the moving part 38 or positioned in connection with the moving part 38, and the second end 47 is attached to the operating part 11 or connected to the operating part 11. Is located. The second end of the spring 45 lies in a block 47a.

스프링(45)이 이러한 제1 이동을 통해서 기울어지기 때문에, 도시된 실시예의 스프링(45)은 작동부(11)의 작동으로부터 에너지를 저장한다. 판 스프링의 특징은 스프링이 편향될 때, 스프링이 설명된 커브, 블록(47a)의 존재, 및 블록의 형상을 구부리고, 즉 바꿔말하면 스프링이 편향될 때 블록(47a)의 길이는 스프링(45)이 오직 한쪽 방향으로만 구부러질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주입기의 도시되지 않은 하우징은 고정수단(31)을 포함한다. 고정수단(31)은 이동부(38)에서 잠금수단(28)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시작위치에서 이동부(38)에 고정된 회전 암(pivoting arm)의 형태를 갖는다. 도 19a-19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수단(28)은 예를 들어 삼각형 또는 원형의 돌출한 부분의 형태를 갖는다.
Since the spring 45 is tilted through this first movement, the spring 45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 stores energy from the operation of the actuating portion 11. The feature of the leaf spring is that when the spring is deflected, the spring is deflected, the presence of the block 47a, and the shape of the block bend, i.e. the length of the block 47a when the spring is deflected, is the spring 45 This ensures that it can only be bent in one direction. The housing, not shown, of the injector comprises fastening means 31. The fixing means 31 has the form of a pivoting arm fixed to the moving part 38 in its starting position by being connected to the locking means 28 at the moving part 38.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9A-19C, the locking means 28 is in the form of a protruding portion of a triangle or circle, for example.

편향 때문에, 스프링(45)의 변형은 이동부(38)를 잠금 시작위치로부터 풀리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Because of the deflection, a deformation of the spring 45 can be used to release the moving part 38 from the locking start position.

도 19a는 시작위치에서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스프링은 느슨한 상태, 즉 바꿔말하면 편향되지 않은 상태에 있고, 하우징의 고정수단(31)은 잠금위치에 있다. 삽입을 시작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작동부(11)를 누를 필요가 있고, 이렇게 함으로써 스프링이 편향될 것이다. 작동부(11)의 작동 동안에 이동부(38)는 정지한다.
19A shows an embodiment at the start position. The spring is in a loose state, that is to say in an unbiased state, and the fastening means 31 of the housing is in the locked position. The user needs to press the actuator 11 to start the insertion, which will bias the spring. The moving part 38 stop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art 11.

도 19b는 압축된 위치에서 실시예를 나타낸다. 스프링(45)은 완전히 편향되고, 이러한 완전히 편향된 상태에서 스프링(45)은 스프링이 하우징의 고정수단(31)에 접촉하고, 고정수단을 잠금수단(28)으로부터 멀리 밀어내는 각도로 구부러지며, 이에 따라 하우징으로부터 이동부(38)를 풀리게 한다.
19B shows an embodiment in a compressed position. The spring 45 is deflected completely, and in this fully deflected state, the spring 45 is bent at an angle at which the spring contacts the fastening means 31 of the housing and pushes the fastening means away from the locking means 28. Thus releasing the moving part 38 from the housing.

도 19c는 이동부(38)가 이동이 끝나는 상태로 이동된 상태에서 실시예를 나타낸다. 작동부(11)는 도 19b의 완전히 압축된 위치에서와 동일한 위치에 있고, 하우징의 고정수단(31)은 풀림위치에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삽입되는 관통부재가 피부 아래로 삽입되고 다음 단계에서 사용자가 주입장치로부터 주입기 하우징을 제거할 것이다.19C shows an embodiment in a state where the moving unit 38 is moved to the end of the movement. The actuating part 11 is in the same position as in the fully compressed position of Fig. 19b, and the fixing means 31 of the housing is in the unlocked position. The penetrating member inserted in this state is inserted under the skin and in the next step the user will remove the injector housing from the injector.

1 ----- 표면 플레이트, 2 ----- 설치패드,
3 ----- 연결부, 4 ----- 안내수단,
5 ----- 금속 라이닝, 6 ----- 저장부,
7 ----- 캐뉼라부, 8 ----- 이송부,
9 ----- 풀림핸들, 10 ----- 주입기,
11 ----- 작동부, 12 ----- 제2 구멍,
12A ----- 캐뉼라 구멍, 12B ----- 구멍,
13 ----- 제1 구멍, 14 ----- 고정수단,
14A ----- 연결부재, 14B ----- 돌출부,
14R ----- 구멍, 14L ----- 구멍,
14PR ----- 돌출부, 14PL ----- 돌출부,
15 ----- 돌출부, 17 ----- 자가차단막,
18 ----- 밀봉재, 20 ----- 구멍,
21 ----- 정상구멍, 21A ----- 자가차단막,
22 ----- 캐뉼라, 22a ----- 시작지점,
22B ----- 중간지점, 22c ----- 끝지점,
23 ----- 고정수단, 23A ----- 유연부,
24 ----- 몸체, 25 ----- 돌출된 앞면,
26 ----- 안내수단, 27 ----- 포지션닝 수단,
28 ----- 잠금수단, 29 ----- 풀림부재,
30 ----- 하우징, 31 ----- 고정수단,
32 ----- 안내수단, 33 ----- 안내수단,
34 ----- 안내수단, 35 ----- 힌지,
36 ----- 탄성부재, 38 ----- 이동부,
38A ----- 돌출부재, 39 ----- 안내수단,
39A ----- 회동부, 41 ----- 상호작용수단,
45 ----- 스프링, 46 ----- 제1 단부,
47 ----- 제2 단부, 47a ----- 블록,
50 ----- 관통부재, 51 ----- 전환수단,
52 ----- 고정수단, 53 ----- 삽입바늘,
100 ----- 베이스부, 101 ----- 구멍,
102 ----- 상호작용 수단, 108 ----- 잠금수단,
114 ----- 유연부재, 115 ----- 접촉부,
121 ----- 밀봉재.
1 ----- surface plate, 2 ----- mounting pad,
3 ----- connection, 4 ----- guide,
5 ----- metal lining, 6 ----- reservoir,
7 ----- cannula part, 8 ----- feed part,
9 ----- loose handle, 10 ----- injector,
11 ----- working part, 12 ----- second hole,
12A ----- cannula hole, 12B ----- hole,
13 ----- first hole, 14 ----- fastening means,
14A ----- connecting member, 14B ----- protrusion,
14R ----- hole, 14L ----- hole,
14PR ----- protrusion, 14PL ----- protrusion,
15 ----- protrusion, 17 ----- self blocking membrane,
18 ----- sealing material, 20 ----- hole,
21 ----- normal hole, 21A ----- self blocking membrane,
22 ----- cannula, 22a ----- starting point,
22B ----- Midpoint, 22c ----- Endpoint,
23 ----- fixing means, 23A ----- flexible part,
24 ----- body, 25 ----- extruded front,
26 ----- guide means, 27 ----- positioning means,
28 ----- locking means, 29 ----- loosening member,
30 ----- housing, 31 ----- fastening means,
32 ----- guide means, 33 ----- guide means,
34 ----- guide, 35 ----- hinge,
36 ----- elastic member, 38 ----- moving part,
38A ----- protruding member, 39 ----- guiding means,
39A ----- rotating parts, 41 ----- means of interaction,
45 ----- spring, 46 ----- first end,
47 ----- second end, 47a ----- block,
50 ----- through member, 51 ----- switching means,
52 ----- Fixing means, 53 ----- Insertion needle,
100 ----- base part, 101 ----- hole,
102 ----- interaction means, 108 ----- locking means,
114 ----- flexible member, 115 ----- contact,
121 ----- Sealant.

Claims (30)

전환수단(52)에 연결된 관통부재(50);
상기 전환수단(52)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관통부재(50)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제1 방향인 삽입방향, 주입위치쪽으로 인도하는 안내수단(39)을 포함하는 이동부(38); 및
상기 이동부(38)의 이동을 제한하는 안내수단(32)을 포함하는 정지된 하우징(30)을 구비하는 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32)은 상기 이동부(38)를 직선이면서, 상기 제1 방향인 삽입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인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A through member 50 connected to the switching means 52;
A moving part including a guide means 39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switching means 52 and guiding the penetrating member 50 toward the insertion direction and the injection position in a first direction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 38); And
In the injection device comprising a stationary housing (30) comprising guide means (32) for limiting movement of the moving part (38),
The guide means (32) is an inj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leading the moving part 38 in a straight line,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관통부재(50)의 이동을 직선이동으로 제한하는 안내수단(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2. An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comprising guide means (33)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in the first direction to linear movem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관통부재(50)가 삽입되는 표면에 각도 β를 형성하고, 각도 β는 30°≤β≤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Th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st direction forms an angle β on a surface into which the through member 50 is inserted, and the angle β is 30 ° ≤β≤90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삽입 동안 상기 이동부(38)의 방향은 본질적으로 이동부가 설치된 표면에 대해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4. Th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during insertion the direction of the moving part is essentially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moving part is installed.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재(50)의 삽입 전에, 상기 주입장치(1)는 베이스부(100)에 부착되고, 상기 베이스부(100)는 상기 관통부재(50)가 삽입되는 표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부재(50)는 삽입 중에 상기 베이스부에 접촉되거나 상기 베이스부를 통과하여 지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The injection device 1 is attached to the base part 100, and the base part 100 is attached to the base member before the insertion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An inj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50 can be fixed to the surface to be inserted, wherein the penetrating member 50 contacts or passes through the base portion during insertion.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재(50)는 캐뉼라(22)를 고정하는 몸체(24)에 부착되고, 상기 몸체(24)는 삽입표면에서 상기 몸체(24)와 상기 캐뉼라(22)를 고정하는 고정수단(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6. The penetrating member (5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penetrating member (50) is attached to a body (24) for fixing the cannula (22), and the body (24) at the insertion surface of the body (24). And a fixing means (23) for fixing the cannula (2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재(50)는 상기 캐뉼라(22)를 고정하는 상기 몸체(24)에 부착되고, 상기 몸체(24)는 상기 삽입표면에서 상기 몸체(24)와 상기 캐뉼라(22)를 고정하는 상기 고정수단(23)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23)은 삽입 중에 상기 베이스부(100)에 있는 상호작용수단(102)과 상호작용하고, 상기 관통부재(50)의 상기 몸체(24)를 상기 베이스부(100)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6. The penetrating member (50)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penetrating member (50) is attached to the body (24) for holding the cannula (22), and the body (24) is at the insertion surface with the body (24) and the cannula (22). ), The fixing means 23 interacts with the interaction means 102 in the base portion 100 during insertion, and the fixing means 23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Inj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24 is fixed to the base portion (10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38)의 상기 안내수단(39)은 상기 관통부재(50)의 상기 전환수단(52)이 미끄러질 수 있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guide means 39 of the moving part 38 comprises a groove in which the switching means 52 of the through member 50 can slide. Inj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본질적으로 상기 관통부재(50) 또는 상기 관통부재(50)의 적어도 일부를 위한 시작지점(22a), 중간지점(22b), 및 끝지점(22c)을 형성하는 V-형태 또는 U-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9. The groov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groove essentially forms a starting point 22a, an intermediate point 22b, and an end point 22c for the penetrating member 50 or at least part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Inj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shaped or U-shaped.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너지 저장부재(45)는 시작위치로부터 정지위치까지 상기 이동부(38)를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10.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ergy storage member (45) provides the energy required to move the moving part (38) from the start position to the stop position.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은 시작위치에 서 상기 이동부(38)를 고정하는 고정수단(31)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38)는 상기 시작위치에서 상기 고정수단(31)과 상호작용하는 잠금수단(28)을 포함하며, 작동부(11)는 작동중에 상기 잠금수단(28)과 상호작용하는 상호작용수단(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The housing (30)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housing (30) comprises fixing means (31) for fixing the moving part (38) in a starting position, wherein the moving part (38) is A locking means 28 which interacts with the locking means 31 in a starting position, the actuating part 11 comprising an interaction means 41 which interacts with the locking means 28 during operation. Inj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28)는 상기 작동부(11)의 상기 상호작용 수단(41)의 상호작용을 통해 잠금위치로부터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12.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1,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device (28)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position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interaction means (41) of the actuating part (1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28)은 상기 작동부(11)의 전방이동에 반대쪽 방향으로 기울어진 표면을 구비한 후크의 형태를 갖고, 상기 고정수단(31)은 상기 잠금수단(28)에 의해 형성된 후크로 고정될 수 있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The locking means (28)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locking means (28) is in the form of a hook having a surface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orward movement of the actuating portion (11), and the locking means (31) is the locking means (28). Inj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ng portion from the housing that can be fixed by a hook formed by.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11)의 전방이동은 상기 작동부의 상기 상호작용수단(41)과 상기 이동부(38)를 위한 상기 고정수단(31) 사이에 접촉을 통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14. The forward movement of the actuating part 11 is between the interaction means 41 of the actuating part and the fastening means 31 for the moving part 38. Inj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stopped by the contact.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00)는 설치표면에 고정되고, 주입기(10)는 삽입 전에 주입기(10)를 상기 베이스부(100)에 고정하고 상기 캐뉼라(22)의 삽입 중에 상기 주입기(10)를 상기 베이스부(100)에 고정하지 않는 것을 제공하는 수단(14, 29, 35, 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1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wherein the base portion 100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the injector 10 fixes the injector 10 to the base portion 100 and inserts the cannula before inserting. And means (14, 29, 35, 36) for providing not securing the injector (10) to the base portion (100) during insertion of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10)를 상기 베이스부(100)에 고정하거나 풀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주입장치의 상기 하우징(30)을 상기 베이스부(100)에 풀릴 수 있게 잠그는 고정수단(14, 14A, 14PL, 14PR); 및
상기 관통부재(50)의 삽입 후에, 상기 하우징을 상기 베이스부(100)로부터 풀수 있는 풀림수단(29, 36, 27, 38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means for providing or fixing the injector 10 to the base portion 100,
Fixing means (14, 14A, 14PL, 14PR) for locking the housing (30) of the injection device to the base part (100); And
Inj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lease means (29, 36, 27, 38A) for releasing the housing from the base portion 100 after insertion of the through member (5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수단은 상기 고정수단(14)의 풀림으로 상기 주입장치의 상기 하우징(30)을 상기 베이스부(100)로부터 편향되거나 변형된 상태로 밀어젖히는 탄성부재(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release means is an elastic member 36 for pushing the housing 30 of the injection device in a deflected or deformed state from the base portion 100 by the release of the fixing means (14) Injection device comprising a.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6)는 상기 베이스부(100)와 상기 주입기(10) 사이에 설치된 판 스프링 형태를 갖고, 상기 탄성부재(36)는 상기 주입기(10)가 상기 베이스부(100)에 잠길 때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elastic member 36 is in the form of a leaf spring provided between the base portion 100 and the injector 10, the elastic member 36 is the injector 10 is the base portion Inj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eformed when locked to (100).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을 상기 베이스부(100)에 풀릴 수 있게 잠그는 상기 고정수단(14)은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응하는 부분(108, 14B)에 고정되는 하우징(30)과 일체로 형성된 고체재료의 후크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19. The fastening means (14)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6 to 18, wherein the fastening means (14) for locking the housing (30) to the base portion (100) is a corresponding portion (108) of the base portion (100). Inj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the form of a hook of a solid material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using (30) fixed to (14B).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4)은 상기 베이스부(100)에 있는 상응하는 구멍(14R, 14L)에 삽입되는 1개 이상의 돌출부(14PR, 14PL)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20. The fastening means (14)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6 to 19, wherein the fastening means (14) is formed of one or more protrusions (14PR, 14PL) inserted into corresponding holes (14R, 14L) in the base portion (100). Inj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orm.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1개 이상의 돌출부(14PR, 14PL)는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100)에 있는 상기 상응하는 구멍(14R, 14L)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상기 주입기(10)의 회전이동을 위해 상기 주입기(10)는 상기 관통부재(50)가 삽입되는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로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21. The apparatus of claim 20, wherein the one or more protrusions 14PR, 14PL can be removed from the corresponding holes 14R, 14L in the base portion 100 by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injector 10. Injector (10) for rotational move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jection unit is installed in the base por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urface into which the penetration member (50) is inserted.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재(50)가 삽입되는 상기 표면으로부터 거리는 상기 주입기(10)를 회전이동에 따라 상기 관통부재가 삽입되는 표면에 평행하도록 기울어진 인접표면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a distance from the surface into which the penetrating member 50 is inserted is achieved by configuring the injector 10 as an adjacent surface that is inclined parallel to the surface into which the penetrating member is inserted in accordance with rotational movement. Inj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4, 14A, 14PL, 14PR)은 상기 정지한 하우징(30)에 유연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23.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6 to 22,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means (14, 14A, 14PL, 14PR) are flexibly connected to the stationary housing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38)는 상기 이동부(38)의 이동중에 유연하게 연결된 고정수단(14, 14A, 14PL, 14PR)에 접촉하고, 이러한 접촉을 통해 상기 주입기(10)를 상기 베이스부(100)로부터 풀리게 하는 1개 이상의 돌출부(38A, 2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24. The moving part (38) according to claim 23, wherein the moving part (38) is in contact with fastening means (14, 14A, 14PL, 14PR) that are flexibly connected dur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38). Injec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protrusions (38A, 27) to be released from the base portion (100).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부(11)의 작동중에
(a) 스프링(45)을 가압하고;
(b) 시작위치로부터 정지위치까지 상기 이동부(38)를 이동시키며; 및
(c) 상기 이동부(38)의 이동을 상기 관통부재(50)의 삽입이동으로 전환하고, 뒤이어 상기 관통부재(50)의 고정수단(52)의 유지이동을 수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4, wherein during operation of the actuating section 11
(a) pressurizing the spring 45;
(b) moving the moving part 38 from the start position to the stop position; And
(c) means for convert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38 into the insertion movement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followed by the holding movement of the fixing means 52 of the penetrating member 50. Injection device.
제25항에 있어서, (d)상기 관통부재(50)의 삽입 중에 상기 하우징(30)을 상기 베이스부(100)로부터 풀리게 할 수 있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26. An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25, further comprising (d) means for releasing said housing (30) from said base portion (100) during insertion of said through member (50).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은 연결수단(35,14)을 통해 상기 베이스부(10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27. An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25 or 26, wherein said housing (30) is connected to said base portion (100) via connecting means (35, 14).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적어도 1개의 힌지(35)와 적어도 1개의 고정수단(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28. An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27, wherein said connecting means comprises at least one hinge (35) and at least one fastening means (14).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은 풀림부재(29)와 상기 하우징(30)의 측벽의 일부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100)로부터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2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6 to 28, wherein the housing (30) is released from the base portion (100) by the interaction of the release member (29) with a part of the sidewall of the housing (30). Injection device.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부는 유연하고, 남아있는 하우징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The injection device of claim 29, wherein a portion of the housing is flexible and can be rotated relative to the remaining housing.
KR1020107020603A 2008-02-20 2009-02-19 Insertion device with horizontally moving part KR2010013459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002208P 2008-02-20 2008-02-20
US61/030,022 2008-02-20
DKPA200800240 2008-02-21
DKPA200800240 2008-02-21
US9537908P 2008-09-09 2008-09-09
US61/095,379 2008-09-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599A true KR20100134599A (en) 2010-12-23

Family

ID=43509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0603A KR20100134599A (en) 2008-02-20 2009-02-19 Insertion device with horizontally moving part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2011512886A (en)
KR (1) KR20100134599A (en)
CN (1) CN101983078A (en)
BR (1) BRPI0907828A2 (en)
NZ (1) NZ587469A (en)
RU (1) RU2010138626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9886A1 (en) * 2012-09-28 2014-04-03 テルモ株式会社 Puncture device and medical fluid application device
US10603445B2 (en) 2016-06-09 2020-03-3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Needle actuator assembly for drug delivery system
EP3972672A4 (en) * 2019-05-20 2023-06-21 Unomedical A/S Rotatable infusion device and method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7963A (en) * 1992-08-21 1993-12-07 Nicholas Bachynsky Medication injection device
US7530964B2 (en) * 2000-06-30 2009-05-12 Elan Pharma International Limited Needle device and method thereof
JP4450556B2 (en) * 2001-04-06 2010-04-14 ディセトロニック・ライセンシング・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Injection device
CN100509069C (en) * 2003-08-12 2009-07-08 贝克顿·迪金森公司 Patch-like infusion device
RU2443436C2 (en) * 2006-08-02 2012-02-27 Уномедикал А/С Cannula and deliver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Z587469A (en) 2012-04-27
JP2011512886A (en) 2011-04-28
RU2010138626A (en) 2012-03-27
CN101983078A (en) 2011-03-02
BRPI0907828A2 (en) 201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59252B1 (en) Inserter device with horizontal moving part
US10806856B2 (en) Insertion device with horizontally moving part
US6830562B2 (en) Injector device for placing a subcutaneous infusion set
US20030109829A1 (en) Injector device for placing a subcutaneous infusion set
KR20100122916A (en) Assembly comprising inserter, cannula part and base part
US11197689B2 (en) Inserter for simultaneous insertion of multiple transcutaneous parts
EP2397181A1 (en) Insertion device having a permanently locking rotating needle cover
JP2011510776A (en) Inserter assembly
KR20130018783A (en) Medical device
EP1901798A1 (en) Squeeze-actuated catheter connector and method
JP2004154575A (en) Needle assembly for medical supply
EP3616736B1 (en) Method and devices for receiving a cannula
US7955310B2 (en) Medical needle
KR20100134599A (en) Insertion device with horizontally moving part
JP2010051702A (en) Subcutaneous infusion device
JP2011510774A (en) Assembly including an inserter, cannula part, and base part
RU2299745C2 (en) Injection device for mounting set intended for hypodermic inj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