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8439A -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hysiological signal,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rescue service and system for emergency rescu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hysiological signal,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rescue service and system for emergency rescu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8439A
KR20100128439A KR1020090046826A KR20090046826A KR20100128439A KR 20100128439 A KR20100128439 A KR 20100128439A KR 1020090046826 A KR1020090046826 A KR 1020090046826A KR 20090046826 A KR20090046826 A KR 20090046826A KR 20100128439 A KR20100128439 A KR 20100128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user
terminal
biosig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8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90086B1 (en
Inventor
구혜정
Original Assignee
(주)유카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카이트 filed Critical (주)유카이트
Priority to KR1020090046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086B1/en
Publication of KR20100128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4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0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Abstract

PURPOSE: A biometric signal measurement terminal, an emergency service supply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an emergency system for determining a cautious step and an emergency step are provided to supply an efficient emergency service by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of the user. CONSTITUTION: A biometric signal measurement sensor(130) measures the biometric signal of a user. A controller(110) controls the measurement signal value is transmit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200). A database(150) sets up the cautious step and the emergency step corresponding to a health standard value of the user. If the measurement signal value is less than the lowest limit, an emergency reader determines the cautious step and the emergency step.

Description

생체신호 측정단말기, 이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응급구호 시스템{APPARATUS FOR MEASURING THE PHYSIOLOGICAL SIGNAL,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RESCUE SERVICE AND SYSTEM FOR EMERGENCY RESCUE USING THE SAME} Bio signal measuring terminal, emergency relief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emergency relief system using same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HYSIOLOGICAL SIGNAL,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RESCUE SERVICE AND SYSTEM FOR EMERGENCY RESCU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생체신호 측정단말기, 이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응급구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생체신호 측정값을 통해 사용자의 상황을 주의단계와 응급단계로 판단할 수 있는 생체신호 측정단말기, 이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응급구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a method for providing an emergency relief service using the same, and an emergency relief system. Specifically, a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capable of determining a user's situation as a caution step and an emergency step through a biosignal measurement valu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relief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n emergency relief system using the same.

응급상황, 자연 재해 및 범죄 상황 등 각종 위험 상황에 처한 당사자는 셀룰러폰, PDA 등 다양한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다양한 구호 관리 센터에서 이용하는 구호 관리 시스템에 연락하여 자신의 상황을 알릴 수 있다. Participants in various dangerous situations, such as emergencies, natural disasters and crimes, can inform their situation by contacting the relief management system used in various relief management centers using various communication means such as cellular phones and PDAs.

소방서나 경찰서 등에서 사용하는 상기 구호 관리 시스템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구호 연락이 수신되면, 해당 구호 관리 센터에서 조난자를 구조하기 위해 현장에 출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위험 상황은 해결될 수 있다.When the relief communication of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ceived in the relief management system used at a fire station or a police station, the relief management center is dispatched to the scene to rescue the distress. Thus, the risk situation can be solved.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구호 요청 방법은 위험 상황에 있는 조난자가 자신의 위치를 말로 설명하거나 문자 메시지 등에 기재된 문자로 알리게 되므로 정확 한 정보를 전달하기 어렵고 설명하는 데에도 장시간이 소비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requesting a relief, since the distress in danger situation is described in words or in a text message or the like, it is difficult to deliver accurate information and it may take a long time to explain. have.

또한, 구호 관리 센터에서 위험 상황이 발생한 장소를 잘못 이해하여 올바른 장소를 찾아가지 못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신속하게 위험에 대처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조난자가 위험 상황에 오랫동안 노출되는 경우에 조난자의 생명에도 치명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relief management center may not be able to find the right place by misunderstanding the place where the dangerous situation occurred, and thus may not be able to cope with the risk quickly. In this case, when the distress is exposed to a dangerous situation for a long time, the life of the distress may be fatal.

또한, 불가피하게 당사자가 이동하게 되는 경우에는 수시로 연락을 취해야 하므로 위험 상황에 처한 당사자가 부상을 당하거나, 타인으로부터 위협을 받고 있는 상황에 있는 경우에는 매우 불편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로 매번 통화하여 연락을 하는 경우에는 한정된 전원을 가진 배터리의 전력이 급격히 소모되어 사용자가 단말기를 사용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f the parties are inevitably moved, they must be contacted from time to time, so it can be very inconvenient if the party in danger is injured or threatened by others. In case of contact, the power of a battery with a limited power supply may be rapidly consumed and the user may not be able to use the terminal.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응급상황 관리를 하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이러한 방안의 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응급상황 긴급상황을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긴급시의 심장박동 상태 센서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고, 단말기는 GPS 위치정보와 긴급상황을 주기적으로 기지국에 전송하여 처리하도록 하는 응급상황 긴급처리방법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emergency situation management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sought. An example of such a method is a method of handling an emergency emergency situ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is is an emergency emergency processing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n emergency heartbeat state sensor to a termina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terminal periodically transmits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an emergency situation to a base station for processing.

종래 기술에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중간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는데, 응급 지원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를 단순히 수집한 다음, 상기 수집된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기지국으로 전송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기 때문에, 고객의 정보 공개 동의에 대한 사안이 없어서 프라이버시 보호가 미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The mobile terminal used in the prior art serves as a simple intermediate gateway, which simply collects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emergency assistance services and transmits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a base station that monitors the collected information. Because there is no consideration at all, there was a problem that privacy protection was insufficient because there was no issue of consent of the customer to disclose information.

또한, 이어폰의 마이크로폰 내에 설치된 청진기의 사용은 주위의 소음 등의 오염에 노출이 심하여 심장박동 센서로서의 기능이 기대수준에 미치지 못하였다.In addition, the use of a stethoscope installed in the microphone of the earphone was exposed to contamination such as ambient noise, so the function as a heart rate sensor did not meet the expected level.

또한, 관제센터 측에서는 적극적으로 응급상황을 모니터링 하지 못하는 점, 구조 대상자의 기초적인 정보에 대한 정보가 매우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trol center side was unable to actively monitor the emergency situa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information on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rescue target is very insufficient.

그밖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건강관리 서비스 사례도 있으나 실질적으로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근래의 홈 헬스케어 시스템 서비스의 경우는 대상자가 본인의 거주 공간에서 건강관리와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어 대상자가 외출시 건강관리와 응급상황에서 구호를 기대하기 어렵다.In addition, there are cases of health care services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ractical to cope with emergencies, and in the case of recent home healthcare system services, the subject can cope with health care and emergencies in his / her living space. There is a problem, so it is difficult for the subject to expect relief in health care and emergency situations.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주의단계와 응급단계로 판단하여 응급구호 기관으로 전달할 수 있는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capable of measuring a user's biosignal and determining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user as an attention phase and an emergency phase and delivering the emergency signal to an emergency relief agenc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하여 응급구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ergency relief service using the biological signal measuring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생체신호 측정단말기와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응급구호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ergency relief service system including the biological signal measuring terminal and a control server.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센서와 주기적으로 상기 생체신호를 측정하도록 하고, 상기 생체신호 측정값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생체신호 측정값을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근거리통신부와 상기 사용자별 건강기준값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상기 사용자별 건강기준값에 대응하는 위급단계 정보를 주의단계와 응급단계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생체신호 측정값이 상기 건강기준값의 상한값을 초과하거나 상기 건강기준값의 하한값 미만인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별 건강기준값 및 상기 건강기준값에 대응하는 위급단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급단계를 주의단계와 응급단계로 구분하 여 판단하는 응급상황 판독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periodically measure the biosignal with a biosignal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a biosignal of a user, and to measure the biosignal measured value by mobile communication.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to a terminal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for converting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into short-range communication protocol data and transmitt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protocol dat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health reference value for each user, and the health reference value for each user set by the user. A database for storing emergency level information as an attention level and an emergency level, and when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exceeds an upper limit value of the health reference value or is less than a lower limit value of the health reference value, the health reference value for each user and the health stored in the database Emergency level corresponding to reference value The emergency report includes an emergency situation reading unit which determines the emergency level of the user by using the accounting report.

상기 생체신호 측정센서는 맥박, 심전도, 혈압, 혈당, 호흡신호 및 체온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측정한다.The biosignal measuring sensor measures one or more of pulse, electrocardiogram, blood pressure, blood sugar, respiratory signal, and body temperature.

상기 근거리 통신은 지그비, 적외선통신, UWB 또는 블루투스 중 하나를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ay be one of Zigbee, infrared communication, UWB or Bluetooth.

상기 건강기준값은 맥박수, 혈압, 심전도, 체온 및 혈당량을 포함하되, 소정의 오차범위를 갖는다.The health reference value includes pulse rate, blood pressure, electrocardiogram, body temperature and blood sugar, but has a predetermined error rang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은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생체신호 측정값을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생체신호 측정값이 상기 임계값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생체신호 측정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위급단계를 주의단계와 응급단계로 구분하여 판단하는 단계 및 사용자별 식별코드, 생체신호 측정값 및 상기 위급단계 판단결과를 포함하는 측정결과를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응급구호 서비스를 모니터링하는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Emergency relief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measuring a bio-signal, comparing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is the threshold When the value is out of the range, the step of judging the user's emergency step into the attention phase and the emergency step in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and determine the measurement result including the user identification code,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and the emergency step determination result And transmitting to the control server for monitoring the emergency relief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각 주의단계 및 응급단계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건강기준값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며, 각 주의단계 및 응급단계에 대응되는 건강기준값은 사용자별로 범위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lth reference value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attention stage and the emergency stage is set by the user, and the health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attention stage and the emergency stage is characterized by a different range for each us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은 사용자의 인체에 접촉되어 있는 생체신호 측정센서와 사용자별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통해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단계;Emergency relief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bio-signal through a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comprising a bio-signal measuring sensor and a user-specific identification code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Making;

상기 생체신호 측정값을 상기 생체신호 측정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별 건강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생체신호 측정값이 상기 건강기준값의 상한값을 초과하거나 상기 건강기준값의 하한값 미만인 경우, 상기 생체신호 측정단말기에서 상기 사용자의 위급정도를 주의단계와 응급단계로 구분하여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별 식별코드, 생체신호 측정값 및 상기 위급단계 판단결과를 포함하는 측정결과를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된 상기 측정결과를 상기 사용자가 지정하는 외부특정인의 단말기 및 응급구호 서비스를 모니터링하는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된 상기 측정결과를 고려하여 응급구호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측정결과,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기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응급구호 요청메시지를 응급구호 관계기관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Comparing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with a user-specific health reference value previously stored in a database of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and when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exceeds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health reference value or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health reference value. And determining the emergency level of the user in the measuring terminal into a caution step and an emergency step, and the measurement result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code, the bio signal measurement value,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emergency step to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measurement result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control server for monitoring an external specific terminal designated by the user and an emergency relief service, and taking into account the measurement result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Determine whether emergency relief is needed, the side Result, and transmitting the emergency relief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user's position inform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of other users as an emergency relief organization concern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시스템은 사용자의 인체에 접촉되어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생체신호 측정값을 사용자별 건강기준값과 비교하여 위급정도를 주의단계와 응급단계로 판단하여 경고알람을 생성하는 생체신호 측정단말기와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생체신호 측정값을 고려한 생체신호 주의 경고 메시지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위험상황을 확인하고, 응급구호 여부를 판단하는 관제서비스 시스템서버를 포함한다.Emergency relief system using a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tact with the user's human body to measure the bio-signal, and compare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with the health reference value for each user of the emergency level and emergency Receives a warning signal of the bio-signal in consideration of the measured value of the bio-signal through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for generating a warning alarm by determining the step and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heck the user's dangerous situation, and determines whether the emergency relief It includes a control service system server.

상기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는 사용자 식별코드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상기 건강기준값에 대응하는 위급정도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생체신호 측정값에 따라 정상단계와 위급단계로 구분하되, 상기 위급단계를 주의단계와 응급단계로 나누어 판단하는 응급상황 판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may be classified into a normal step and an emergency step according to a database including an emergency degre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health reference value set by a user and a user identification code, and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mergency situation reading unit to determine divided into steps and emergency steps.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관제센터 등으로 전송하는 방식과는 달리 측정된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생체신호 측정단말기 자체에서 판단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응급구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of measuring and transmitting the biological signal to the control center, etc. by using the measured biological signal to determine the emergency of the user in the biological signal measuring terminal itself, more efficient emergency relief service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 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응급구호 서비스는 사용자의 건강관리 서비스에 적용될 수 있다. 응급구호와 건강관리 서비스는 개인의 생명을 보호한다는 점, 비밀 보장이 요구되는 개인 상세 정보 예컨대, 이름, 나이, 성별, 신장, 체중, 혈액형, 질병, 장애여부, 거주지, 전화번호, 가족관계, 구호자 및 의료진이 필요로 하는 정보 등을 이용한다는 특징으로 서비스 신청자와 서비스 사용자의 신분확인, 진정한 가입의사 확 인, 데이터의 정확성 등이 요구된다.Emergency relief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user's health care services. First Aid and health care services protect an individual's life, personal details that require confidentiality, such as name, age, sex, height, weight, blood type, illness, disability, place of residence, phone number, family relationships, It uses the information needed by the caregiver and medical staff. It requires identification of the applicant and the user of the service, confirmation of the true subscription, and accuracy of the data.

따라서, 서비스 신청자 본인이 확인된 신청자에 한하여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통해 서비스 신청자로부터 직접 서비스 가입신청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desirable to apply for service subscription directly from the service applicant through the certified certificate login only for the applicant who has been identified as the service applicant.

한편, 본 발명에의 응급구호 서비스가 유료 서비스로 실시되면 신용카드사의 선포인트 지급 방법 등으로 서비스 공급자는 서비스 신청자 본인이 부담해야 하는 서비스 요금을 대신 지불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금융사나 통신사와의 제휴를 통한 패키지 상품의 구성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f the emergency relief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 paid service, the service provider may pay a service fee that the service applicant must bear instead of the first point payment method of the credit card company. In addition, the packaged goods can be configured through cooperation with financial companies and telecommunication compani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서비스를 신청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pplying for a service in an emergency relief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 신청자는 신청자의 단말기를 통해 본 발명에서의 응급구호 서비스 공급자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서비스 가입 페이지를 제공받고(S11), 서비스 가입을 수락하면(S13), 공인인증서를 통해 로그인을 한다(S15).1, the service applicant is provided with a service subscription page by accessing the homepage of the emergency relief service provid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terminal of the applicant (S11), and accepting the service subscription (S13), through the official certificate Log in (S15).

응급구호 건강관리 서비스에 가입 신청에 동의하고 전술한 사용자의 개인 상세정보를 등록하고(S17), 사용자에게 서비스 가입 계약서, 생체신호 측정단말기 특송 및 상기 생체신호 측정단말기 수령 후 사용자가 서명하여 회신한다(S19). 또는 관제센터에서 사용자에게 확인 전화를 하여 서비스 확인 단계를 거치게 된다(S21)After agreeing to apply for the emergency relief health care service and registering the personal details of the user described above (S17), the user signs and returns to the user after signing up for the service subscription contract, expressing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and receiving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S19). Alternatively, the control center makes a call to the user to go through the service confirmation step (S21).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신청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방법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service application method illustrated in FIG. 1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and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illustrated in FIG. 1.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측정 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생체측정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ergency relief service system using a biometric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iometric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생체측정 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시스템은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 생체신호 측정값을 고려한 생체신호 주의경고 메시지 또는 응급경고 메시지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위험상황을 확인하고, 응급구호 여부를 판단하는 관제서버(400)를 포함한다.2 to 3, an emergency relief service system using a biometric terminal receives a biosignal measurement terminal 100 for measuring a biosignal, a biosignal caution warning message or an emergency alert message in consideration of a biosignal measurement value. Check the risk of the user, and includes a control server 400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emergency relief.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와 관제서버(400)외에 이동통신 단말기(200), 관제센터(300), 관제서버(400)를 관리하는 관제센터(300), 서비스 신청자가 지정하는 외부 특정인의 다양한 단말기를 포함하는 외부특정인 단말(500_1, 500_2,…,500_n), 본 발명에서의 응급구호 서비스를 신청하는 서비스 신청자 단말(600), 응급구조 관계기관 단말(700), 의료 관계기관 단말(8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and the control server 400, a variety of external specific persons specifi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control center 300, control center 300 for managing the control server 400, the service applicant External specific terminal including the terminal (500_1, 500_2, ..., 500_n), the service applicant terminal 600 applying for the emergency relief ser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mergency rescue agency terminal 700, medical care organization terminal 80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인체에 접촉되어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생체신호 측정값을 사용자별 건강기준값과 비교하여 사용자가 위급상황에 있는 경우, 그 위급정도를 주의단계와 응급단계로 판단하여 경고알람을 생성한다.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measures the biosignal by contacting the user's human body and compares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with the health reference value for each user to determine the emergency level as the caution level and the emergency phase. To generate a warning alarm.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는 제어부(110), 응급상황 판독부(120), 생체신호 측정센서(130), 근거리 통신모듈(140),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한다.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includes a controller 110, an emergency situation reading unit 120, a biosignal measuring sensor 130,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40, and a database 150.

제어부(110)는 소정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도록 생체신호 측정센서(13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생체신호 측정값을 설정된 주기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The controller 110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biosignal measurement sensor 130 to measure a predetermined biosignal, and transmits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ccording to a set period.

제어부(110)는 생체신호 측정센서(130)로부터의 측정값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에러신호를 검사하여 측정값의 유효성을 판단한다. 이는 정확하게 측정된 생 체신호 측정값이 센싱과정 또는 통신 경로상에서 발생하는 오류로 인하여 측정값이 변경되어 사용자 상황이 주의 또는 응급 상황이 아닌 경우에도 주의 또는 응급상황으로 판단될 수 있는 부분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When an error occurs in the measured value from the biosignal measuring sensor 130,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the validity of the measured value by inspecting the error signal. This means that even if the measured bio signal value is changed due to an error occurring in the sensing process or communication path, the measured value may be changed to be a caution or emergency even if the user situation is not a caution or emergency. This is to preven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응급구호 서비스 신청자 혹은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응급구호나 건강관리를 위하여 생체신호 측정을 요청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어부(110)는 생체신호 측정센서(13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emergency relief service applicant or the user of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tentionally request the measurement of the biosignal for emergency relief or health care. Even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10 may output the control signal to the biosignal measuring sensor 130 to measure the biosignal.

응급상황 판독부(120)는 생체신호 측정값과 데이터베이스(15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별 건강기준값과 비교하여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 사용자의 현재 위급상황 등을 판단한다. 종래에 다양한 생체신호 측정 단말들이 단순히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관제센터 등으로 전송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에서의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는 생체신호 측정센서(130)를 통해 측정된 생체신호를 소정의 임계값 범위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위급여부 상황을 구체적으로 직접 판단할 수 있다.The emergency situation reading unit 120 determines the current emergency situation of the user of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by comparing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and the health reference value for each user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150. Unlike conventional biosignal measuring terminals simply measuring the biosignal and transmitting the biosignal to a control center,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 biosignal measured through the biosignal measuring sensor 130. In comparison with the threshold range, the user's emergency situation can be determined directly.

응급신호 판독부(120)는 상기 생체신호 측정값이 사용자별 건강기준값의 상한값을 초과하거나 하한값 미만인 경우, 사용자의 위급정도를 주의단계와 응급단계로 구분하여 판단한다.The emergency signal reading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emergency is classified into a caution step and an emergency step when the biological signal measurement value exceeds the upper limit value or less than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health reference value for each user.

특히, 본 발명에서의 생체신호 측정기(100)에 포함되는 데이터베이스(150)에는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별 건강기준값은 사용자 단순한 생체신호 정보가 아니라, 사용자 자신의 생체정보에 맞게 주의단계와 응급단계를 설정한 상태에서 입력된 데이터들이다.In particular, the health reference value for each user stored in the database 150 included in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simple biosignal information of the user, but sets a caution step and an emergency step according to the user's own biometric information. Data entered in one state.

예컨대, 건강상태가 양호한 성인의 정상적인 맥박수의 범위는 60회~80회/분이다. 그러나, 맥박수가 1분당 40회 이하인 경우, 맥박의 세기와 간격이 모두 불규칙적이거나, 맥박이 두번째 또는 세번째 마다 빠지는 경우, 맥박이 수초이상 전혀 측정되지 않는 경우, 건강상태가 양호한 성인이 아니라, 노인이거나 어린이인 경우에는 상기 60회~80회/분을 정상적인 맥박수치로 고정시키면, 사용자별로 응급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For example, the normal pulse rate of a healthy adult ranges from 60 times to 80 times / minute. However, if the pulse rate is less than 40 times per minute, if the pulse intensity and interval are both irregular, or if the pulse falls out every second or third, if the pulse is not measured at least for a few seconds, then the elderly is not a healthy adult, In the case of a child, when the 60 to 80 times / minute is fixed to a normal pulse rate, an emergency situation may not be accurately determined for each user.

따라서, 맥박수의 범위가 평균 50회/분인 사람의 측정된 맥박수 값이 1분다 45회 내지 55회인 경우에는 주의단계 또는 응급단계로 판단할 것이 아니라 정상으로 판단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고려하여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서의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의 데이터베이스(150)를 통해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상태를 고려하여 정상단계, 주의단계, 응급단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n the case where the measured pulse rate value of the person whose average range of the pulse rate is 50 times / minute is 45 minutes to 55 times per minute, it is preferable to judge the normal state, not the caution stage or the emergency stage. As such, in order to provide a user-customized service in consideration of the bio-signal measurement result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health state, the user of the bio-signal measurement terminal 100 through the database 150 of the bio-signal measurement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dering the state of health, it is desirable to set the normal phase, attention phase, emergency phase.

예컨대, 평균 맥박수가 1분당 50회인 사람은 1분당 45회~55회의 맥박수를 정상단계로 설정하고, 1분당 40회~44회를 주의단계로 설정하고, 1분당 40회 이하를 응급단계로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a person with an average pulse rate of 50 beats per minute sets the pulse rate 45 to 55 beats per minute as the normal level, sets 40 to 44 beats per minute as the caution level, and sets 40 or less times per minute as an emergency. Can be.

즉, 의학적으로 알려진 일반적인 정상 맥박수보다 적은 맥박수를 가진 사람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시키면, 자신의 건강상태를 고려한 맞춤형 응급구호 서비스를 본 발명의 생체측정 단말기(100)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That is, those who have a pulse rate less than the normal medically known pulse rate is set as described above and stored in the database 150, the personalized emergency relief service considering the health status of the biometric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provided through.

전술한 예시는 맥박수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일반적인 생체신호 즉, 혈압, 심전도, 체온, 혈당량 등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example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pulse rate, general bio-signals, ie, blood pressure, electrocardiogram, body temperature, blood sugar, etc. may be applied.

물론, 일반적인 생체신호의 정상적인 범위에 관한 데이터들이 테이블 형태로 저장되어 사용자가 상기 자신의 생체정보 입력 시 주의단계와 응급단계를 별도로 설정하지 않고서 입력하는 경우, 상기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통상적인 생체신호의 정상수치와 생체신호 측정값을 비교하여 정상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주의 또는 응급단계로 판단하는 과정을 배제하지 않는다.Of course, the data on the normal range of the general bio-signals are stored in a table form, so that when the user inputs his or her biometric information without setting an attention step and an emergency step separately, the normal bio-signals stored in the table Comparing the normal value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biological signal of the deviation from the normal range does not exclude the process of judging as caution or emergency.

따라서, 응급상황 판독부(120)는 생체신호 측정값을 전술한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별 건강기준값과 비교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준에 의해 정상단계, 주의단계, 응급단계로 구분하여 판단하게 된다.Therefore, the emergency situation reading unit 120 compares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with the health reference value for each user stored in the above-mentioned database 150, and divides it into a normal stage, a caution stage, and an emergency stage by the criteria set by the user. You will be judged.

여기서,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정상, 주의, 응급의 세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는 응급구호기관에서 응급차를 출동시켜 구조할 단계까지는 아닌 경우 즉,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고려할 때 현재 상태가 주의단계임을 사용자에게 각인 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스스로 건강상태가 더 악화되어 응급단계로 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정상, 주의, 응급의 세가지 단계는 예시적인 것이며 사용자의 건상상태, 생체신호의 종류별로 다양한 위급단계를 설정하여 입력할 수 있다.Here, the user's current situat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phases: normal, caution, and emergency. This is not the case when emergency rescue agencies dispatch emergency vehicles to rescue, that is, the current state is a caution phase when considering the user's health condition. By imprinting on the user, he or she can avoid getting worse and getting into an emergency. The three stages of the normal, attention, and emergency are exemplary, and various emergency stages may be set and input according to the user's dry state and the type of the biosignal.

생체신호 측정센서(130)는 전술한 맥박, 심전도, 혈압, 혈당, 호흡신호, 체온 등의 다양한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생체신호의 복합적인 신호 또한 측정 가능하다.The biosignal measuring sensor 130 may measure various biosignals such as pulse, electrocardiogram, blood pressure, blood sugar, respiratory signal, and body temperature, and may also measure a complex signal of the biosignal.

생체신호 측정센서(130)는 일반적으로 사용자 신체에 접촉되어 구성되며, 제 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응급상황 판독기(120)로 전달한다.The biosignal measuring sensor 130 is generally configured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and measures the biosignal of the user by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10 and transmits the biosignal to the emergency reader 120.

한편, 본 발명에서의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는 근거리 통신모듈(140)을 포함하고 있어, 생체신호 측정센서(130)에서 측정한 생체신호 측정값을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하기 위해 근거리 통신용 프로토콜 데이터로 변환한다.On the other hand, the biological 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40, and transmits the biological signal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biological signal measuring sensor 130 to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e protocol data is converted into protocol data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상기 근거리 통신은 지그비, 적외선 통신, UWB 또는 블루투스 중 하나이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is one of Zigbee, infrared communication, UWB or Bluetooth.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구조가 일반적이므로 그 형태는 생체신호 측정과 무선전파의 송수신에 큰 영향이 없도록 소형으로 구성하되, 목걸이, 반지, 손목시계형을 사용할 수 있다.Since the biological 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has a structure in contact with a user's body, its shape is compactly configured so that the biological signal measurement and radio wav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ut a necklace, a ring, and a wristwatch type Can be used.

특히, 손목시계형은 고무밴드와 같은 신축형, 벌크형 등으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거부감 없이 자연스럽게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근거리 통신모듈(140)에 의해 통신 가능할 정도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였으나,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wristwatch type is configured to be elastic, such as a rubber band, bulk type, and can be worn naturally without the user's rejection.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biological 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to maintain the distance that can be communicated by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4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t may be manufactured in one piece with.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단말기 제조사에서 응급구호와 건강관리를 위한 전용 이동통신 단말기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나 범용적인 사용을 고려하여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 통신이 가능한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preferably configured as a dedic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mergency relief and health care by the terminal manufacturer. However,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Bluetooth or Zigbee communication may be used in consideration of general use.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에서 측정된 생체신호 측정값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관제센터(300)의 관제서버(400)와 생체신호 측 정단말기(100) 사용자가 지정하는 외부 특정인의 단말(500_1,500_2,…,500_n)로 전송하여 응급구호를 관장하는 관제센터(300)뿐 아니라 사용자의 가족, 친구, 지인 등에게 알려 보다 신속히 사용자를 응급상황으로부터 벗어 날 수 있도록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a user of the control server 400 and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of the control center 300 by using the wireless signal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Send to the terminal (500_1,500_2,…, 500_n) of the specified external person to notify the control center 300 that manages emergency relief, as well as the user's family, friends, acquaintances, etc. can quickly get the user out of the emergency Make sure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의 생체신호 측정값, 식별코드, 위급정도 판단결과를 전달받은 관제센터(300)에서는 응급구조 관계기관 단말(700), 의료 관계기관 단말(800)에 응급상황을 알려 응급구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In the control center 300 that receives the user's biological signal measurement value, identification code, and emergency determination resul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 emergency situation is sent to the emergency rescue related terminal 700 and the medical related terminal 800. Inform emergency relief services.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제공방법에 있어서, 생체신호 측정결과 정상인 경우의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제공방법에 있어서, 생체신호 측정결과 주의단계와 응급단계에서의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제공방법에 있어서, 관제센터에서의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rvice providing method in a case where the biosignal measurement result is normal in the emergency relief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ergency relief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for providing an emergency relief service in a caution step and an emergency phase of a biosignal measurement result, and FIG. 6 is a biosignal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ergency relief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terminal, it is a flowchart showing the emergency relief service providing method in the control center.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과정의 개략적인 개념을 설명한 후,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 이동통신 단말기(200), 관제센터(300) 및 관제서버(400)를 이용한 구체적인 응급구호 서비스제공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4 to 6, after explaining a schematic concept of the emergency relief service providing process using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e control center A detailed emergency relief service providing process using the 300 and the control server 400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한 후, 상기 생체신호 측정값을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생체신호 측정값이 상기 소정의 임계값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에서 사용자의 위급정도를 주의단계와 응급단계로 구분하여 판단한다. 그리고, 사용자별 식별코드, 생체신호 측정값 및 상기 위급정도 판단결과를 포함하는 측정결과를 사용자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응급구호 서비스를 모니터링 하는 관제서버로 전송하게 된다.First, after measuring the bio-signal of the user, if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is out of the range of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by comparing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user in the bio-signal measurement terminal 100 Judgment of emergency is divided into caution stage and emergency stage. Then, the measurement result including the user identification code, the biological signal measurement value and the emergency degree determination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monitoring the emergency relief service using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이하,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 도 3참조)를 이용하여 전술한 응급구호 서비스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bove-mentioned emergency relief service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using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refer to FIG. 3).

본 발명에 따른 응급구호 서비스 신청자가 건강관리를 포함하는 응급구호 서비스에 가입하고 서비스 사용자 건강기준값을 포함하는 개인 상세정보를 관제센터(300)의 관제서버(400)에 등록한다.The emergency relief service applic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bscribes to the emergency relief service including health care and registers personal details including the service user health reference value in the control server 400 of the control center 300.

상기 등록과정을 거친 후, 사용자별 건강기준값과 상기 건강기준값에 해당하는 위급단계를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에 저장한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건강기준값별로 정상단계에 해당하는지, 정상단계가 아니라면 주의단계인지 응급단계인지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상태에 맞게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의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의 생체신호 기준값을 설정한다(S905).After the registration process, the user's health reference value and the emergency step corresponding to the health reference value are stored in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Specifically, whether the user corresponds to a normal level for each predetermined health reference value, and if it is not a normal level or a caution level or an emergency level, the user stores the data in the database 150 of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according to his / her health condition. A biosignal reference value is set (S905).

사용자의 인체에 접촉되어 있는 생체신호 측정센서(130)와 사용자별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를 통해 생체신호를 측정하고(S907), 생체신호 단말기(100)의 응급상황 판독부(120)에서 상기 생체신호 측정값을 데이터베이스(15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별 건강기준값과 비교한다(S909).The biosignal is measured by the biosignal measuring sensor 13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and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code for each user (S907), and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biosignal terminal 100 is read. In step 120,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is compared with a health reference value for each user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150 (S909).

상기 생체신호 측정값이 상기 건강기준값의 상한값을 초과하거나 상기 건강 기준값의 하한값 미만인 경우, 응급상황 판독부(120)에서 사용자의 위급정도를 주의단계와 응급단계를 구분하여 판단한다(S921).When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exceeds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health reference value or is lower than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health reference value, the emergency situation reading unit 120 determines the emergency level of the user by dividing the caution step and the emergency step (S921).

도 4를 참조하면, 응급상황 판독부(120)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정상단계로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식별코드, 생체신호 측정값 및 정상단계임을 알리는 판단결과를 포함하는 측정결과를 생체신호 단말기(100)의 근거리 통신모듈(140)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하고(S917),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측정결과를 관제서버(400)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제공받은 서비스내역을 관제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한다(S917).Referring to FIG. 4, when the user determines that the user is in the normal step, the emergency situation reading unit 120 determines the biosignal terminal as a measurement result including a user identification code, a biosignal measurement value, and a determination result indicating that the normal step is normal.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40 of 100 to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S917),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ransmits the measurement result to the control server 400 received by the user The service history is stored in a database (not shown) of the control server 400 (S917).

만약, 사용자의 상황이 정상으로 판단되더라도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측정결과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관제서버(400)로 송출하는 시간이 설정되어 있다면(S913), 상기 설정된 송출시간마다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게 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situation is normal, if the time for transmitting the measurement result to the control server 4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measured (S913), the user's bio signal for each set transmission time. Will be sent periodically.

응급상환 판독부(120)의 판단결과, 사용자 상황이 정상단계가 아니라면 주의단계인지 응급단계인지 판단한다(S919).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emergency repayment reading unit 120, if the user situation is not the normal stag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ttention stage or the emergency stage (S919).

계속하여,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상황이 주의단계로 판단되면 생체신호 측정 단말기(100) 자체에서 주의경고 알람을 생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현재 생체신호가 어떠한지를 알려주게 되고(S923), 주변 사람들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5, if the user situation is determined to be a caution step, the biosignal measurement terminal 100 generates a caution warning alarm to inform the user of his / her current biosignal (S923). Get help from people around you.

한편, 사용자별 식별코드, 생체신호 측정값 및 위급정도 즉, 주의단계로 판단된 결과를 포함하는 측정결과를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하고(S925),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결과를 사용자가 지정한 외부특정인 단말기(500_1,500_2,…,500_n) 및 응급구호 서비스를 모니터링하는 관제서버(400)로 전송한다.Meanwhile, the measurement result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code of each user, the bio signal measurement value and the degree of emergency, that is, the result determined as the caution step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S925),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ransmits the result. It transmits to the control server 400 for monitoring the external terminal designated by the user (500_1, 500_2, ..., 500_n) and emergency relief services.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는(200)는 상기 외부특정인 단말기(500_1,500_2,…,500_n)와 관제서버(400)에 주의경고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주의경고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또는 UMS(United Message Service) 중 어느 하나로 전송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ransmits a warning message to the external terminal 500_1, 500_2, ..., 500_n and the control server 400. The attention warning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any one of a short message service (SMS),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a long message service (LMS), or a UMS (United Message Service).

관제서버(400)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통화를 요청하여 사용자의 위급정도 정보를 수집하되, 미리 설정된 일정한 시간 동안 통화 요청 후, 통화연결이 되지 않으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스피커폰을 통해 강제통화를 개시한다(S927).The control server 400 requests the call to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o collect the emergency information of the user, but after a call request for a predetermined time, if the call is not connected,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nitiate a forced call through the speakerphone of the (S927).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통화가 개시되면, 관제센터(300)의 음성녹취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을 녹취하는데, 이는 주의단계에 있는 사용자의 주변상황을 관제센터에서 파악하여 응급구호의 결정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When a call with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initiated, the voice output from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recorded through the voice recording module of the control center 300, which is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user in the attention stage. This can be identified at the control center and used as a guide for emergency relief decisions.

관제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 사용자가 제공받은 서비스 내역을 저장한다.In the database of the control server 400 stores the service history provided by the user of the biological 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 사용자 상황이 응급단계로 판단되면(S931),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 자체에서 응급경고 알람을 생성하고(S933), 사용자 식별코드, 생체신호 측정결과, 위급정도 판단결과를 포함하는 측정결과를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하고(S934),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측정결과를 관제서버(400)로 보내어 관제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If the user's situation is determined to be an emergency step (S931),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generates an emergency warning alarm (S933), and determines the user identification code, the biosignal measurement result, and the emergency degree. The measurement result including the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S934),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sends the measurement result to the control server 400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of the control server 400.

이때 관제센터(300)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이동 통신사로 요청할 수 있으며,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로 부터 사용자의 상황이 응급상황이라는 정보를 전달받으면, 자동적으로 GPS 위칭정보를 생성하여 관제센터(300)로 전송하여 관제센터(300)에서 신속하게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응급구호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control center 300 may request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When the user's situ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biosignal measurement terminal 100 to the emergency situation, the control center automatically generates the GPS positioning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300 to control the user's location in the control center 300 to perform emergency relief services.

한편, GPS 수신부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내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에 내장되어 응급상황 시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에서 자동으로 사용자의 위치정보 또는 이동경로 등을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통해 관제센터(300)에 전송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GPS receiver is preferably embedded in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but is embedded in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or movement automatically in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in case of emergency The transmission of the route and the like to the control center 3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not excluded.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의 응급상황 판독부(120)에서 사용자의 상황을 응급단계로 판단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관제센터(300) 및 관제서버(400)로 자동으로 전송되는 상기 측정결과를 관제센터(300)에서는 응급구호 요청데이터로 인식하게 된다.When the emergency situation reading unit 120 of the biological 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determines the user's situation as an emergency stag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e control center 300, and the control server 400. The measurement result is recognized by the control center 300 as emergency rescue request data.

한편, 사용자의 상황이 응급상황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자동적으로 관제센터(300)와 강제통화개시 요청을 한다(S935).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s situation is determined to be an emergency,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utomatically requests to start the forced call with the control center 300 (S935).

상기 응급상황에의 강제통화 또한 전술한 주의단계에서와 같이 스피커폰에 의해 통화가 개시되고, 관제센터(300)의 녹취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 주변의 상황을 녹취한다.The forced call to the emergency situation is also initiated by the speakerphone as in the aforementioned caution step, and records the situation around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rough the recording module of the control center 300.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외부특정인 단말기(500_1,500_2,…,500_n)와 관제서버(300)로 주의경고 메시지를 전송한다(S939). 이와 같은 과정은 전술한 주 의단계에서와 동일하되, 주의경고 알람과 응급경고 알람을 다르게 하여 생체신호 측청단말기(100)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상황이 주의단계인지 응급단계인지 인식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ransmits a warning message to the external terminal 500_1, 500_2, ..., 500_n and the control server 300 (S939). This process is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caution step, so that the user of the bio-signal measurement terminal 100 by recognizing the caution warning alarm and the emergency warning alarm to recognize whether their situation is the attention phase or the emergency phase. desirable.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를 통해 측정된 생체신호 측정값, 위급정도 판단결과는 사용자 식별코드와 함께 관제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위급정도를 알리는 경고메시지 또한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 사용자가 제공받는 서비스 내역에 포함되어 저장되어, 차후 사용자는 관제서버(400)에 접속하여 자신이 제공받은 서비스 내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and the emergency degree determination result are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control server 400 together with the user identification code, and a warning message indicating the emergency degree is also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The user is included in the service history provided and stored, so that the user can access the control server 400 to check the service history provided by the user.

주의단계 내지 응급단계에서 관제서버(400)로 전송되는 경고메시지를 전송 받은 관제센터(300)에서의 사용자 응급구호 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 user emergency rescue process in the control center 300 that receives the warning message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400 in the caution step to the emergency step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상기 경고메시지를 전송받는 경우, 관제센터(300)에서 응급구호을 수행할 지 여부를 판단하여(S945), 응급구호의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면(S945: 예), 전술한 사용자의 위치정보,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받은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 사용자의 식별코드, 생체신호 측정값 및 위급정도 판단결과 및 사용자 개인정보 등 응급구조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를 응급구조 관계기관 단말(700)로 전송한다. When receiving the warning message, the control center 300 determines whether to perform emergency relief (S945),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need for emergency relief (S945: Yes),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received through the user's identification code,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and the emergency result determination result and user information necessary for emergency rescue such as user person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emergency rescue authorities terminal 700.

필요에 따라 상기 응급구조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를 의료관계기관 단말(800)에 전송하여 신속한 응급구호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As necessary, the user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emergency rescue is transmitted to the medical related institution terminal 800 so that a quick emergency relief service can be performed.

상기 응급구조 관계기관 또는 의료관계기관에 전송되는 응급구조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 중 사용자의 위치에 관한 정보는 특정 지명이나 거리, 위도, 경도 뿐만 아니라 고도 등의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하여 예컨대, 사용자가 고층빌딩에 있는 경우 몇 층에 있는지까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user among the user information required for emergency rescue transmitted to the emergency rescue organization or medical related organization includes specific information such as a specific place name, distance, latitude, longitude, altitude, etc. If you are in,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see how many floors you have.

한편, 응급구조 관계기관 예컨대, 소방재청이 운영하는 119 종합상황실, 지역마다 존재하는 응급출동 서비스센터 등을 포함한다. 응급구조 관계기관은 관제센터로부터 상기 응급구조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를 전달받지 못하는 경우에도, 관제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 고유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mergency rescue agencies include, for example, the 119 general emergency room operated by the fire department, and emergency dispatch service centers that exist in each region. The emergency rescue agency may use the user's biometric 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stored in a database of the control server 400 even when the user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emergency rescue is not received from the control center. Information can be inquired.

응급구조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 중 사용자의 신체정보, 과거의 병력, 누적된 사용자의 생체신호 정보를 분석한 자료 등을 이용하여 의료관계기관으로 이송함에 있어서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The user's body information, past medical history, and accumulated biosignal information of the user, among the user information necessary for emergency rescue, are used for transfer to medical related organizations.

한편, 관제센터(300)는 상기 응급구조 관계기관 또는 의료관계기관과 연계하여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 사용자의 응급구호 서비스 현황을 실시간을 파악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외부특정인 단말기(500_1,500_2,…,500_n)로 응급구호 처리결과를 전송하고(S949), 상기 응급구호 서비스 내역을 관제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951)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center 300 is connected to the emergency rescue organization or medical related organizations to determine the real-time emergency relief service status of the user of the biological 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in real time terminal specified by the user (500_1,500_2, ... , 500_n) transmits the emergency relief processing result (S949), and stores the emergency relief service details in a database of the control server 400 (S951).

관제센터(300)에서 판단결과 응급구호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하면(S943: 아니오) 사용자가 지정한 외부특정인 단말기(500_1,500_2,…,500_n)로 응급구호가 필요하지 않은 상황 처리결과 메시지를 전송하고(S949), 관제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에 이와 같은 내용을 저장한다(S951).If the control center 300 determines that the emergency relief is not necessary (S943: No) transmits a situation processing result message that does not require emergency relief to the terminal (500_1, 500_2, ..., 500_n) specified by the user and (S949), such contents are stored in a database of the control server 400 (S951).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는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판단하여 응급구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 외에 응급 버튼(미도시)을 조작하여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며, 범죄 기타 위급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a biosignal, determines an emergency of the user, and provides a health care service by operating an emergency button (not shown) in addition to a function to receive an emergency relief service. It includes the ability to respond quickly to crimes and other emergencies.

사용자 본인의 생체신호가 정상적으로 측정되더라도 재난, 사고, 범죄 등의 응급상황 시, 구호요청을 위하여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의 응급버튼을 선택하여 관제센터(300)에 응급호출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Even if the user's biometric signal is normally measured,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disaster, accident, crime, etc., an emergency button of the biosignal measurement terminal 100 can be selected to make an emergency call to the control center 300 for a relief request. will be.

일반적인 응급호출은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의 응급버튼을 사용자의 의지로 소정의 시간 동안 누르거나, 반복적으로 누르는 과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범죄 등의 상황에서는 관제센터(300)로의 응급호출이 노출되지 않도록 비밀호출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The general emergency call may be performed by pressing the emergency button of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for a predetermined time or repeatedly pressing the user's will. 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secret call so that the emergency call to the control center 300 is not exposed in the above-described crime and the lik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비밀호출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cret calling process using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의 응급버튼을 선택하고(S1001), 관제서버(40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소정의 응급버튼 조작을 수행하여,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 주변의 제3자에게 응급구호 요청신호가 노출되지 않도록 비밀호출을 수행한다.By selecting the emergency button of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S1001) and performing a predetermined emergency button operation through the control server 400, a third around the user using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Secret calls should be made so that the emergency rescue request signal is not exposed.

관제센터(300)로 비밀호출이 전달되면, 관제센터(300)로부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강제통화가 개시되고 외부 특정인 단말에 응급상황 메시지를 전송한다(S1005).When the secret cal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center 300, the forced call is initiated from the control center 30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of the user and transmits an emergency message to the external specific terminal (S1005).

상기 강제통화는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스피커폰을 이용하여 수행되므로, 스피커 기능은 활성화되지 않고 마이크 기능만 활성화되며, 관제센터(300) 에서 사용자 주변의 음성을 청취 및 녹취가 가능하다. Since the forced call is performed using the speakerphone of the us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e speaker function is not activated, only the microphone function is activated, and the control center 300 can listen to and record the voice around the user.

또한, 범죄상황에서 범죄자가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전원을 의도적으로 오프 시킬 경우를 대비하여 관제센터는 비밀호출단계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전원이 꺼질 경우, 강제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전원을 턴온 시켜 강제 일방 통화 개시가 가능하다.In addition, in case of offenders intentionally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n a crime situation, the control center forcibly mov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after the secret call step. The forced one-way call can be started by turning on the pow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

그리고, 도 6에서 설명한 관제센터(300)에서의 응급구호 서비스는 도 7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바, 도 6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사용자로부터 일반호출 내지 비밀호출이 요청되면 관제센터(30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S1009), 사용자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면서 구호 관계기관에 구호를 요청한다(S1011). 이와 함께 필요에 따라 의료 관계기관에 구호를 요청할 수 있다(S1013)In addition, the emergency relief service in the control center 3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may be equally applicable to FIG. 7. When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a general call or a secret call is requested from a control center ( 300 check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S1009), and provides relief information to the relief agency while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of the user (S1011). Along with this, relief can be requested from medical institutions (S1013).

한편, 이와 같은 응급구호 처리결과를 사용자가 지정한 외부특정인에게 전송하고, 관제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On the other hand, the emergency relief processing result is transmitted to a specific person specified by the user, and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control server 400.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응급구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 범죄, 사고와 같은 응급상황에서 응급구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해외 응급구호 관계기관과 연계하여 국제적인 응급구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may be used in the process of providing an emergency relief service by measuring the biosignal and providing an emergency relief service in an emergency such as a crime or an accident. It may also be used to provide international emergency relief services in conjunction with international emergency relief agencies.

예컨대, 제1국가와 제2국가가 전략적 제휴를 맺고 자국민이 타국에서 소정의 응급구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대한민국은 공항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응급구호 서비스에 가입하도록 하고 체류국가를 선택하게 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 로밍 서비스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응급구호 서비스를 다른 나라에서 제공받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a first country and a second country may form a strategic alliance so that their citizens can receive certain emergency services in other countries. The Republic of Korea allows the user having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airport to subscribe to the emergency relief servic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select a country of residence, and then use the mobile terminal roaming service. Emergency relief ser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in another country.

즉, 서비스 사용자가 언어가 통하지 않는 외국에서 응급 상황 시에도, 상기 서비스의 모든 혜택을 받을 수 있고, 국내에 있는 사용자가 지정한 외부특정인에게 응급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In other words, even in an emergency situation where a service user does not speak a language, the user may receive all the benefits of the service, and may transmit an emergency alert message to a specific external person designated by a user in the country.

또한, 서비스 사용자는 국내에 있고, 상기 서비스 사용자가 지정한 외부특정인이 되어 외국에 거주하는 경우에도 상기 사용자의 가족이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응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응급경고메시지를 전송받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if the service user is in the country, and the foreign user specified by the service user to reside in a foreign country when an emergency occurs in the process of using the biological 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mergency alert messages can be sent.

또한, 홍수와 같은 수해를 대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 및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방수기능을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preparation for floods such as flood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have a waterproof function.

또한,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의 충전을 위해 서비스 사용자가 신체에 접촉을 할 수 없을 경우를 대비하여 주거시설의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근거리 통신 방법을 통해 화재, 가스누출 위험감지 센서 및 그 밖의 사용자의 체온감지, 호흡감지, 신음과 비명 등을 인식하는 음성감지센서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 측정센서 및 위험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응급구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charge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100, a fire, gas leakage risk sensor and other users through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ethod with a home network system of a residential facility in case a service user cannot contact the body.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mergency relief service using at least one bio-signal measurement sensor and a danger detection sensor among the voice sensor to recognize body temperature, breathing, moaning and screaming.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하여 응급구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의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program for realizing a method of providing an emergency relief service using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 concept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서비스를 신청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1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pplying for a service in an emergency relief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측정 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시스템 구성도.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emergency relief service system using a biometric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측정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iometric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제공방법에 있어서, 생체신호 측정결과 정상인 경우의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n emergency relief service when the biosignal measurement result is normal in the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relief service using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제공방법에 있어서, 생체신호 측정결과 주의단계와 응급단계에서의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n emergency relief service at an attention stage and an emergency phase in a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relief service using a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제공방법에 있어서, 관제센터에서의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n emergency relief service in a control center in the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relief service using a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하여 비밀호출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cret call process using a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100: 생체측정 단말기 110: 제어부100: biometric terminal 110: control unit

120: 응급상황 판독부 130: 생체신호 측정센서120: emergency situation reading unit 130: bio-signal measuring sensor

140: 근거리 통신모듈 150: 데이터베이스140: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50: database

200: 이동통신 단말기 300: 관제센터2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control center

400: 관제서버 500_1,500_2,…,500_n: 외부특정인 단말400: control server 500_1,500_2,... , 500_n: external specific terminal

Claims (24)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센서;A biosignal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a biosignal of a user; 상기 생체신호를 측정하도록 하고, 상기 생체신호 측정값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A controller configured to measure the biosignal and to transmit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생체신호 측정값을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근거리통신부;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converting the biological signal measurement value into short range communication protocol data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biosignal measurement valu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사용자별 건강기준값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상기 사용자별 건강기준값에 대응하는 위급단계 정보를 주의단계와 응급단계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A database for storing emergency leve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ealth reference value for each user and the health reference value for each user set by the user as an attention step and an emergency step; And 상기 생체신호 측정값이 상기 건강기준값의 상한값을 초과하거나 상기 건강기준값의 하한값 미만인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별 건강기준값 및 상기 건강기준값에 대응하는 위급단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급단계를 주의단계와 응급단계로 구분하여 판단하는 응급상황 판독부When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exceeds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health reference value or is lower than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health reference value, the user's emergency step is noted using the user's health reference value and emergency step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ealth reference value stored in the database. Emergency situation reading unit to be divided into stages and emergency stages 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측정단말기.Biological signal measuring terminal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생체신호는 맥박, 심전도, 혈압, 혈당, 호흡신호 및 체온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The biological signal is one or more of the pulse, electrocardiogram, blood pressure, blood sugar, respiratory signal and body temperature of the biological signal measuring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근거리 통신은 지그비, 적외선통신, UWB 또는 블루투스 중 하나인 것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The short-range communication is a ZigBee, infrared communication, UWB or Bluetooth one of the biological signal measuring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건강기준값은 맥박수, 혈압, 심전도, 체온 및 혈당량을 포함하되, 상기 건강기준값은 소정의 오차범위를 갖는 것인 생체신호를 측정단말기.The health reference value includes a pulse rate, blood pressure, electrocardiogram, body temperature and blood sugar, wherein the health reference value is a biological signal measuring terminal having a predetermined error range.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단계;Measuring a biological signal; 상기 생체신호 측정값을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Comparing the biosignal measurement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상기 생체신호 측정값이 상기 임계값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생체신호 측정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위급단계를 주의단계와 응급단계로 구분하여 판단하는 단계; 및When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is out of the threshold value, determining the emergency level of the user by dividing the user's emergency step into a warning step and an emergency step; And 사용자별 식별코드, 생체신호 측정값 및 상기 위급단계 판단결과를 포함하는 측정결과를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응급구호 서비스를 모니터링하는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a measurement result including an identification code for each user, a bio signal measurement value and the emergency step determination result to a control server for monitoring an emergency relief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Emergency relief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biological signal measuring terminal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각 주의단계 및 응급단계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건강기준값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며, 각 주의단계 및 응급단계에 대응되는 건강기준값은 사용자별로 범위를 달리하는 것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The health reference value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attention stage and the emergency stage is set by the user, and the health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attention stage and the emergency stage varies in the range for each user. How to Provide. 사용자의 인체에 접촉되어 있는 생체신호 측정센서와 사용자별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통해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단계;Measuring a biosignal through a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including a biosignal measuring sensor in contact with a user's body and a user-specific identification code; 상기 생체신호 측정값을 상기 생체신호 측정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별 건강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Comparing the measured value of the biosignal with a health reference value for each user previously stored in a database of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상기 생체신호 측정값이 상기 건강기준값의 상한값을 초과하거나 상기 건강기준값의 하한값 미만인 경우, 상기 생체신호 측정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위급단계를 주의단계와 응급단계로 구분하여 판단하는 단계;When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exceeds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health reference value or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health reference value, determining the emergency step of the user by dividing the user's emergency step into a warning step and an emergency step; 상기 사용자별 식별코드, 생체신호 측정값 및 상기 위급단계 판단결과를 포함하는 측정결과를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a measurement result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code for each user, the bio signal measurement value, and the emergency step determination result to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된 상기 측정결과를 상기 사용자가 지정하는 외부특정인의 단말기 및 응급구호 서비스를 모니터링하는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Transmitting the measurement result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control server for monitoring an external specific terminal designated by the user and an emergency relief service; And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된 상기 측정결과를 고려하여 응급구호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측정결과,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기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응급구호 요청메시지를 응급구호 관계기관으로 전송하는 단계It is determined whether emergency relief is necessary in consideration of the measurement result sent to the control server, and transmits an emergency relief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measurement result,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and other user's personal information to the emergency relief organization. step 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Emergency relief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biological signal measuring terminal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사용자별 건강기준값을 상기 생체신호 측정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상기 사용자별 건강기준값에 대응하는 응급단계를 주의단계와 응급단계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단계; 및Storing the health reference value for each user in a database of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and setting an emergency step corresponding to the health reference value for each user set by a user by dividing it into a caution step and an emergency step; And 상기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가입을 받는 단계Receiving an emergency relief service subscription using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Emergency relief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biological signal measuring terminal that further compris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s 상기 사용자의 혈액형, 과거의 병력정보, 누적된 생체신호 분석정보, 보호자정보 및 건강보험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Method of providing an emergency relief service using a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that includes the user's blood type, past medical history information, accumulated biosignal analysis information, guardian information and health insurance inform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급단계가 주의단계인 경우,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emergency step is a caution step, 상기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통해 주의경고알람을 생성하는 단계;Generating a caution warning alarm through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근거리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결과를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the measurement result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by using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된 측정결과를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Transmitting the measurement result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ntrol server; And 상기 관제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측정결과 및 서비스 제공 내역을 저장하는 단계Storing the measurement result and service provision history in a database of the control server; 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 Emergency relief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biological signal measuring terminal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transmitting to the user's mobile terminal is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관제서버와 상기 외부특정인의 단말기로 주의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a caution warning message to the control server and the terminal of the external specific person through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Emergency relief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biological signal measuring terminal that further comprises.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전송된 주의경고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를 요청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급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The control server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collecting the emergency information of the user by requesting a cal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in response to the transmitted warning message, 소정의 시간 동안 통화요청 후, 상기 사용자와 통화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폰에 의해 강제통화를 개시하는 것인 After the call request for a predetermined time, if the call is not connected to the user, to initiate a forced call by the speakerphone of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 Emergency relief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제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가 개시되면, 상기 관제센터의 음성녹취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을 녹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When the call with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itiated, the emergency relief service using a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ording the voice output from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voice recording module of the control center. How to Provid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급단계가 응급단계인 경우,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emergency stage is an emergency stage, 상기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통해 응급경고 알람을 생성하는 단계;Generating an emergency alert alarm through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근거리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결과를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the measurement result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by using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관제서버를 관리하는 관제센터로 강제통화 를 개시하는 단계; 및Initiating a forced cal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control center managing the control server; And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내역을 상기 관제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toring the service history provided to the user in a database of the control server; 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Emergency relief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biological signal measuring terminal comprising a.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결과를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ransmitting the measurement result to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관제서버 및 지정된 외부특정인에게 응급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Transmitting an emergency alert message to the control server and a designated external specific pers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Emergency relief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biological signal measuring terminal that further comprises.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생체신호 측정단말기의 응급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관제센터로의 응급호출을 타인에게 노출하지 않는 비밀호출단계Secret call step not to expose the emergency call to the control center by operating the emergency button of the biological signal measuring terminal 를 포함하는 것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Emergency relief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biological signal measuring terminal comprising a. 제11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의경고 메시지는 The method of claim 11 or 15, wherein the warning message is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또는 UMS(United Message Service) 중 어느 하나로 전송되는 것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Emergency message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biological signal measuring terminal that is transmitted to any one of SMS (Short Message Service), 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LMS (Long Message Service) or UMS (United Message Service). 제12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4, wherein 상기 사용자의 위급정도 정보를 이용하여 응급구호 여부를 결정하되, Determination of emergency relief using the emergency information of the user, 상기 관제서버에서 응급구호의 필요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If the control server determines that the need for emergency relief exists,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movement path of the user by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user;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함께 구조 관계기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to a rescue related organization terminal; And 응급구호 처리결과를 상기 관제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외부특정인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the emergency relief processing result to the control service system server and a terminal of an external specific person designated by the user; 를 포함하는 것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Emergency relief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biological signal measuring terminal comprising a. 제1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생체신호 측정값을 사용자별 건강기준값과 비교결과, 상기 생체신호 측 정값이 사용자가 설정하는 정상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재난, 사고 및 범죄에 대비하여 상기 관제센터로 응급호출이 가능한 것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As a result of comparing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with the health reference value for each user, if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is within the normal range set by the user, emergency call is possible to the control center in preparation for disaster, accident and crime Emergency relief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signal measuring terminal.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생체신호 측정단말기의 응급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관제센터로의 응급호출을 타인에게 노출하지 않는 비밀호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And a secret call step of exposing an emergency call to the control center to another person by manipulating the emergency button of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호출단계는,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secret call step,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기능은 정지되고, 마이크기능만이 활성화되는 것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 The speaker function of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topped, and only the microphone function is activated emergency relief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biological signal measuring terminal. 제20항에 있어서,21. 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비밀호출 후,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꺼질 경우, 상기 관제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강제통화를 개시하는 단계After the secret call, if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owered off, initiating a forced call with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control server;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 법.Emergency relief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biological signal measuring terminal that further comprises. 사용자의 인체에 접촉되어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생체신호 측정값을 사용자별 건강기준값과 비교하여 위급단계를 주의단계와 응급단계로 판단하여 경고알람을 생성하는 생체신호 측정단말기; 및A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configured to measure a biosignal by being in contact with a user's body, and to generate a warning alarm by judging an emergency step as a caution step and an emergency step by comparing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with a health reference value for each user; And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생체신호 측정값을 고려한 생체신호 주의 경고 메시지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위험상황을 확인하고, 응급구호 여부를 판단하는 관제서비스 시스템 서버Control service system server for receiving a bio-signal warning message considering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through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heck the user's dangerous situation and determine whether or not an emergency relief 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시스템.Emergency relief system using a biological signal measuring terminal comprising a.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는The terminal of claim 23, wherein the biosignal measuring terminal 사용자 식별코드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상기 건강기준값에 대응하는 위급정도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및A database including a user identification code and emergency degre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ealth reference value set by the user; And 상기 생체신호 측정값에 따라 정상단계와 위급단계로 구분하되, 상기 위급단계를 주의단계와 응급단계로 나누어 판단하는 응급상황 판독부An emergency situation reading unit which is divided into a normal stage and an emergency stage according to the bio-signal measurement value, and divides the emergency stage into a caution stage and an emergency stage. 를 포함하는 것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호 시스템.Emergency relief system using a biological signal measuring terminal comprising a.
KR1020090046826A 2009-05-28 2009-05-28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hysiological signal,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rescue service and system for emergency rescue using the same KR1010900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826A KR101090086B1 (en) 2009-05-28 2009-05-28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hysiological signal,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rescue service and system for emergency rescu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826A KR101090086B1 (en) 2009-05-28 2009-05-28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hysiological signal,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rescue service and system for emergency rescu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439A true KR20100128439A (en) 2010-12-08
KR101090086B1 KR101090086B1 (en) 2011-12-07

Family

ID=43505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826A KR101090086B1 (en) 2009-05-28 2009-05-28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hysiological signal,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rescue service and system for emergency rescu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086B1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443B1 (en) * 2012-05-11 2013-11-2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Communication module for electrocardiogram data and ecg measur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150084282A (en) * 2014-01-13 2015-07-2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monitoring patients with epileps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20160015431A (en) * 2014-07-30 2016-02-15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of emergency management based on user safety and location and system for it
KR20160030736A (en) * 2014-09-11 2016-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server for emergency situation notifying
KR101633588B1 (en) * 2015-07-24 2016-06-29 전성훈 Wearable healthcare safety belt
KR20160107839A (en) 2015-03-05 2016-09-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A low power biological signal measuring instrument and a amplification rate control method of measured signal
KR20160117914A (en) * 2015-04-01 2016-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70692A (en) * 2015-12-14 2017-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continuous biomedical signal
WO2017175997A1 (en) * 2016-04-04 2017-10-12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80003112A (en) * 2016-06-30 2018-01-09 (주)유디넷 Management system for user wearing smart band apparatus
KR20180024867A (en) * 2016-08-31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wearable measur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8351B1 (en) * 2012-07-26 2018-01-18 이용인 Method for detecting and transmitting emergency situations using smart device that control danger signal transmission using the physiological signal and plural password
KR101485449B1 (en) * 2012-09-04 2015-01-23 이용인 Method for responding to emergency situations by cooperation between users using smart device
US9270877B2 (en) 2013-02-20 2016-02-23 Kristin Elizabeth Slater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on of images based on biorhythms
KR101801556B1 (en) * 2016-05-31 2017-11-27 유에이치에스(주)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 and personal guard system using thereof
KR101796619B1 (en) * 2016-08-23 2017-11-10 주식회사 테라일렉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WO2018118977A1 (en) * 2016-12-20 2018-06-28 Plain Loui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images based on biorhythms
KR102319498B1 (en) * 2018-11-14 2021-11-01 (주)인더스웰 Healthcare service system of based ambient assisted living
KR102319495B1 (en) * 2019-11-12 2021-11-01 디노플러스 (주) Healthcar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f based ambient assisted living
KR102617292B1 (en) 2022-01-07 2023-12-27 유재창 Monitoring method and monitoring system for epilepsy patients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443B1 (en) * 2012-05-11 2013-11-2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Communication module for electrocardiogram data and ecg measur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150084282A (en) * 2014-01-13 2015-07-2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monitoring patients with epileps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20160015431A (en) * 2014-07-30 2016-02-15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of emergency management based on user safety and location and system for it
KR20160030736A (en) * 2014-09-11 2016-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server for emergency situation notifying
KR20160107839A (en) 2015-03-05 2016-09-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A low power biological signal measuring instrument and a amplification rate control method of measured signal
KR20160117914A (en) * 2015-04-01 2016-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33588B1 (en) * 2015-07-24 2016-06-29 전성훈 Wearable healthcare safety belt
KR20170070692A (en) * 2015-12-14 2017-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continuous biomedical signal
CN106886675A (en) * 2015-12-14 2017-06-23 三星电子株式会社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continuous biomedicine signals
CN106886675B (en) * 2015-12-14 2022-06-21 三星电子株式会社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continuous biomedical signals
WO2017175997A1 (en) * 2016-04-04 2017-10-12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350823B2 (en) 2016-04-04 2022-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80003112A (en) * 2016-06-30 2018-01-09 (주)유디넷 Management system for user wearing smart band apparatus
KR20180024867A (en) * 2016-08-31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wearable measur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0086B1 (en)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086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hysiological signal,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rescue service and system for emergency rescue using the same
US202303607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ctivities through portable devices
US10433788B2 (en) Earpiece life monitor with capability of automatic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11382511B2 (en) Method and system to reduce infrastructure costs with simplified indoor location and reliable communications
US9047648B1 (en) Measurement, collection, reporting and processing of health condition data
RU2642044C2 (en) Method of facilitating provision of assistance in adversities and relevant system
US20190051144A1 (en) Social Network for Responding to Event-Driven Notifications
KR101840644B1 (en) System of body gard emotion cognitive-based, emotion cognitive device, image and sensor controlling appararus, self protection management apparar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83378B1 (en) Individual protec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KR100813166B1 (en) Healthcar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care service
US20040199056A1 (en) Body monitoring using local area wireless interfaces
US201200500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physical, bi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 person, animal, object and/or surrounding environment
US20050151642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e in emergency notification and determining location
US20090322513A1 (en) Medical emergency alert system and method
KR20170018401A (en)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with predictive emergency dispatch risk assessment
JP2006334369A (en) Life-threatening crisis-informing system and clinical condition-monitoring system
CN104113618A (en) Flexible screen based wearable monitoring device
SI24268A (en) Procedure of notification, alarms and rendering of assistance trough a mobile phone and/or web interface
Hessels et al. Advances in personal emergency response and detection systems
KR20080109371A (en) Emergency rescue system
KR101485449B1 (en) Method for responding to emergency situations by cooperation between users using smart device
US10049420B1 (en) Digital assistant response tailored based on pan devices present
CN109872514A (en) Safe emergency response system
KR101808351B1 (en) Method for detecting and transmitting emergency situations using smart device that control danger signal transmission using the physiological signal and plural password
KR101894906B1 (en)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for Silver Generation with Help Trig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