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3329A -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user environment setting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user environment setting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3329A
KR20100123329A KR1020090042496A KR20090042496A KR20100123329A KR 20100123329 A KR20100123329 A KR 20100123329A KR 1020090042496 A KR1020090042496 A KR 1020090042496A KR 20090042496 A KR20090042496 A KR 20090042496A KR 20100123329 A KR20100123329 A KR 20100123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information
country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4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원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090042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3329A/en
Publication of KR20100123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32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hanging user environment sett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provided to convert user environ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user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CONSTITUTION: A communication unit(110) receives first network information. A country determining unit(150) determines the country throug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network information. A control unit(140) check the existence of user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for the determined country, and changes the user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setting information.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의 사용환경 설정 변경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USER ENVIRONMENT SETTING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USER ENVIRONMENT SETTING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의 사용환경 설정 변경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국가별로 미리 설정된 사용환경 설정정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의 사용환경을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의 사용환경 설정 변경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a usage environment sett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age environ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automatically change a usage environ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preset usage environment information for each countr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a method for changing a setting.

이동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각 국가의 이동통신사업자들은 가입자들이 편리하게 이동전화를 사용하기 위한 국제로밍 서비스 제공에 노력하고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mobile operators in each country are trying to provide international roaming service for subscribers to use mobile phones conveniently.

일반적으로 로밍서비스란 가입자가 어느 곳에 있더라도 자신의 이동통신단말로 발착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나 보다 더 정확하게는 자신에게 걸려오는 전화를 가입자의 이동경로나 장소에 상관 없이 연결해줄 수 있는 착신 연결기능을 말한다. In general, roaming service means that the subscriber can call in and out of his / 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ven wherever the subscriber is located, but more precisely, the call connection function can connect the incoming call regardless of the subscriber's mobile route or location. Say

이러한 로밍서비스는 다음과 같이 자동로밍, 반자동로밍 그리고 임대로밍 등 3가지 방법으로 제공되고 있다. These roaming services are provided in three ways: automatic roaming, semi-automatic roaming, and rental roaming.

자동로밍(Automatic Roaming)이란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과 이동번호로 방문지에서도 자유롭게 발착신이 가능한 시스템을 말하며, 이는 동일한 이동통신 기술방식에 동일 주파수대역을 사용하는 국가의 이동통신사업자간에 상호 로밍협약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경우 가입자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자신의 이동통신단말을 자동로밍 협정이 체결된 국가에서 자신의 이동번호로 착발신이 가능해지나 로밍요금이 비싼 것과 국가별로 이동통신 기술방식과 주파수대역이 상이하기 때문에 자동로밍 대상국가나 지역이 크게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Automatic Roaming refers to a system that can be called and received freely at the place of visit using its ow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number.This means that roaming agreements between mobile operators in countries that use the same frequency band for the same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re used. Is made by In this case, subscribers can make incoming and outgoing calls with their mobile numbers in countries where the automatic roaming agreement is concluded by simple operation, but roaming charges are expensive and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methods and frequency bands differ from country to country. The disadvantage is that Ghana is very limited.

반자동로밍(Semiautomatic Roaming)이란 국가간에 사용주파수 대역이 다르거나 기술방식이 다르더라도 상호 연동시스템을 구축하여 방문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이동통신단말에 SIM카드 등을 삽입하여 자신의 번호로 발착신이 가능하도록 한 시스템으로 자동로밍보다는 다소 불편하나 로밍대상 지역이 넓은 점이 특징이다.Semi-automatic roaming means that even if the frequency band or technology method is different among countries, the interlocking system can be established to insert a SIM card in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used in a visiting country so that calls can be made and received by their own numbers. Although it is somewhat inconvenient than automatic roaming as a system, the roaming target area is large.

임대로밍(Rental Roaming)이란 이동통신방식이 상이하여 자신의 이동번호나 이동통신단말을 방문국가에서 사용할 수는 없으므로 해외로 출국하기 전에 방문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현지 이동통신단말을 임차하여 현지이동번호로 통화하는 시스템을 말하며 가입자 입장에서는 이동통신단말 임대 등 절차가 까다로우나 자동로밍 등에 비하여 로밍가능 지역이 전세계로 확대되고 로밍요금이 다소 저렴한 점이 장점이다.Since rental roaming is differen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method, you cannot use your own mobile number or mobile terminal in the visited country, so you can rent a local mobile terminal that can be used in the visited country before you depart abroad. It is a system that makes a call. For subscribers, the procedure is difficult, such as the leas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but the roaming area is expanded worldwide and the roaming fee is rather low compared to automatic roaming.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로밍 서비스 중 자동로밍 또는 반자동로밍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Recently, among the above roaming services, a lot of automatic roaming or semi-automatic roaming is used.

한편, 각 국가마다 언어와 시간이 상이한데, 여행자 또는 일 때문에 출장 중인 사용자는 현지 언어와 시간을 몰라 당황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On the other hand, each country has a different language and time, and a traveler or a user traveling due to work often becomes embarrassed by not knowing the local language and time.

또한, 각 국가마다 지켜야할 예절이나 규칙 또는 규범이 있을 수 있는데, 이를 몰라 현지 생활에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In addition, there may be etiquette, rules or norms to be observed in each country, which may create problems that interfere with local life.

그래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국가별 사용환경 설정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국가 또는 이동통신단말이 위치한 국가에 따라 자동으로 해당되는 사용환경이 변경되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사용환경 설정 변경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store the user preference setting information for each country in advance by the user, and the user environment automatically corresponding to the country selected by the user or the country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a usage environment sett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changed are provided.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사용환경 설정 변경 장치는, 제1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1네트워크 정보가 기 저장된 제2네트워크 정보와 동일한지를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제1네트워크 정보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통해 국가를 판단하는 국가 판단부; 및 상기 판단된 국가에 해당되는 사용환경 설정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존재하면, 상기 사용환경 설정정보에 따라 사용환경을 변경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ly, the apparatus for changing a usage environment sett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first network information; A country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country based 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network information if the first network information is not the same as compared with the previously stored second network information;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us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country exists, and changing the us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상기 식별정보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또는 JCDMA(Japa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PRL(Preferred Roaming List) 및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네트워크 또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a Preferred Roaming List (PRL) and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RL) network or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corresponding to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network or a Japa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JCDMA)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of the 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corresponding to the network.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사용환경 설정 변경 장치는 상기 제2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는 네트워크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네트워크 정보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또는 JCDMA(Japa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PRL(Preferred Roaming List) 및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네트워크 또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for changing a usage environment se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network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econd network information, wherein the second network information includes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network or a Japa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JCDMA). And at least one of a Preferred Roaming List (PRL) and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network or a 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corresponding to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network. do.

또한, 상기 네트워크 정보 저장부는 가입자 식별 모듈이고,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은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또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etwork information storage unit may be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and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may be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or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또한, 상기 사용환경 설정정보는 벨소리 또는 진동 모드 설정정보, 배경화면 설정정보, 사용 언어 설정정보 및 시간 설정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s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ringtone or vibration mode setting information, background setting information, use language setting information, and time setting information.

그리고, 국가별로 사용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가 포함된 사용환경 설정화면을 생성하는 사용환경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환경 설정화면을 통해 입력된 상기 사용환경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usage environment set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usage environment setting screen including a menu for setting a usage environment for each country, and the controller may store the usag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age environment setting screen. It further comprises a wealth.

그리고, 국가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포함된 국가 설정화면을 생성하는 네트워크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국가 설정화면을 통해 국가가 선택되면, 선택된 국가에 해당되는 사용환경 설정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존재할 경우, 상기 사용환경 설정정보에 따라 사용환경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network set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country setting screen including a menu for selecting a country.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usag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untry when a country is selected through the country setting screen. If it is determined and present, it is characterized by changing the usag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usag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환경을 변경시키기 전에, 전원을 제어하여 재시동(booting)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ler may control and reboot the power supply before changing the usage environment.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사용환경 설정 변경 방법은, 제1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네트워크 정보가 기 저장된 제2네트워크 정보와 동일한지를 비교하는 제1단계; 상기 비교결과, 상기 제1네트워크 정보가 상기 제2네트워크 정보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제1네트워크 정보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통해 국가를 판단하는 제2단계; 및 상기 판단된 국가에 해당되는 사용환경 설정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존재하면, 상기 사용환경 설정정보에 따라 사용환경을 변경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for changing the usage environment sett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ep of receiving the first network information and comparing the first network information and the second network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a country based 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network information if the first network information is not the same as the second network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And a thir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us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country exists, and changing the us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사용환경 설정 변경 방법은, 네트워크 설정 명령에 따라 국가 설정화면을 표시하는 제1단계; 및 상기 국가 설정화면을 통해 선택된 국가에 해당되는 사용환경 설정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존재하면, 상기 사용환경 설정정보에 따라 사용환경을 변경시키는 제2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for changing the usage environment sett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ep of displaying a country setting screen according to the network setting command; And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us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untry exists through the country setting screen and changing the us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상기 식별정보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또는 JCDMA(Japa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PRL(Preferred Roaming List) 및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네트워크 또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a Preferred Roaming List (PRL) and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RL) network or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corresponding to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network or a Japa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JCDMA)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of the 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corresponding to the network.

또한, 상기 제2네트워크 정보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또는 JCDMA(Japa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PRL(Preferred Roaming List) 및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네트워크 또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network information may be a Preferred Roaming List (PRL) and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network or a Wideband Code corresponding to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network or a Japa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JCDMA) network. And at least one of a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corresponding to a Division Multiple Access (Network).

또한, 상기 제2네트워크 정보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또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network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or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그리고, 상기 사용환경 설정정보는 벨소리 또는 진동 모드 설정정보, 배경화면 설정정보, 사용 언어 설정정보 및 시간 설정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s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ringtone or vibration mode setting information, background setting information, use language setting information, and time setting information.

또한, 사용환경 설정 명령에 따라 국가별로 사용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사용환경 설정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환경 설정화면을 통해 입력된 사용환경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 use environment setting screen for setting a use environment for each country according to a use environment setting command, and storing us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 environment setting screen. .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사용환경 설정 변경 방법의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사용환경을 변경시키기 전에, 전원을 제어하여 재시동(booting)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before changing the usage environment in the second step of the method for changing the usage environment sett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trolling and rebooting the power (booting).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어느 곳으로 여행 또는 출장을 가더라도 미리 저장된 사용환경 설정정보를 통해 자동으로 이동통신단말의 사용환경이 변경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age environ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utomatically changed through the previously stored usag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even when the user travels or travels to any place.

또한, 그 나라만의 예절이나 규범 또는 규칙을 미리 사용환경 설정정보로 저장해 두어 현지에서 실수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untry's own manners, norms or rules can be stored as preference information so that no mistakes can be made locally.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사용환경 설정 변경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changing a usage environment sett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사용환경 설정 변경 장치는, 통신부(110)와, 아날로그 음성처리부(120)와, 네트워크 정보 저장부(130)와, 제어부(140)와, 국가 판단부(150)와, 사용환경 설정부(160)와, 네트워크 설정부(17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0) 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apparatus for changing a usage environmen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n analog voice processing unit 120, a network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a control unit 140, a country determination unit 150, It includes a usage environment setting unit 160, a network setting unit 170 and a user interface unit 180.

통신부(110)는 안테나(111)를 통해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부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듀플렉서와 송신부 및 수신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듀플렉서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하고, 송신부는 소정의 중간주파수 신호를 무선주파수로 변환하여 상기 듀플렉서로 출력하며, 수신부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상기 듀플렉서를 통해 입력받아 소정의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wirelessly through the antenna 111.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ommunication unit 110 includes a duplexer,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Specifically, the duplexer separates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wirelessly through an antenna, a transmitter converts a predetermined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into a radio frequency and outputs the duplexer, and a receiver outputs a ra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to the duplexer. It receives through the input and converts the signal into a predetermined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일반적으로, 통신부(11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 등록을 위한 신호를 근거리에 위치한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이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제1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한다.In general, the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a signal for network registration to a base station located in a short distan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0 and receives first network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아날로그 음성처리부(120)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여 스피커(SPK)(123)로 출력하거나, 마이크(MIC)(121)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한다.The analog voice processing unit 120 converts and amplifies the digital voice signal into an analog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amplified analog voice signal from the microphone (MIC) 121 to the digital voice signal. To convert.

국가 판단부(150)는 통신부(110)를 통해 제1네트워크 정보가 수신될 경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제1네트워크 정보와 기 저장된 제2네트워크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현재 네트워크와 이전에 연결된 네트워크가 동일한 네트워크인지를 판단한다. When the first network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the country determination unit 150 compares the first network information with previously stored second network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0, and is connected to the current network. Determine if the network is the same network.

판단결과, 현재 네트워크와 이전에 연결된 네트워크가 동일하지 않으면, 국가 판단부(150)는 제1네트워크 정보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네트워크에 해당되는 국가를 판단한다. As a result, if the current network and the previously connected network are not the same, the country determination unit 150 determines the country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network by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network information.

각 국가마다 이동통신을 위한 네트워크(이동통신시스템)를 상이하게 사용하고 있는데, 네트워크는 기술방식과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JCDMA(Japa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의 종류로 구분되며, CDMA 네트워크와 JCDMA 네트워크는 기술방식이 유사하나, 주파수 대역이 상이하다. Each country uses a different network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which depends on the technology and the frequency band used. Th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Japa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JCDMA) and GSM ( It is classified into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an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CDMA networks and JCDMA networks are similar in technology but different in frequency band.

CDMA 네트워크에서, 1GHz미만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있는데, 송신주파수로 약 824MHz~849MHz대역을 사용하고, 수신주파수로는 약 869MHz~894MHz대역을 사용한다. 그리고, JCDMA 네트워크 역시, 800MHz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지만, 송신주파수는 약 898MHz~924MHz대역을 사용하고, 수신주파수는 약 843MHz~869MHz대역을 사용하는 차이점이 있다. In the CDMA network, a frequency band of less than 1 GHz is used. The transmission frequency is about 824 MHz to 849 MHz, and the reception frequency is about 869 MHz to 894 MHz. In addition, the JCDMA network also uses a frequency of 800MHz band, the transmission frequency is about 898MHz ~ 924MHz band, the reception frequency is about 843MHz ~ 869MHz band is different.

즉, CDMA 네트워크와 JCDMA 네트워크는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차이가 있으나, CDMA통신시스템의 송신주파수 대역은 JCDMA통신시스템의 수신주파수 대역에 가깝고, CDMA통신시스템의 수신주파수 대역은 JCDMA통신시스템의 송신주파수 대역과 유사하다. That is, the CDMA network and the JCDMA network are different in the frequency band used, but the transmission frequency band of the CDMA communication system is close to the reception frequency band of the JCDMA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reception frequency band of the CDMA communication system is the transmission frequency band of the JCDMA communication system. Similar to

이와 같이, 1Ghz미만의 대역을 사용하는 CDMA 네트워크와 JCDMA 네트워크를 판별하여 국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CDMA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우선 로밍 목록(Preferred Roaming List:이하, 'PRL'이라 함)을 이용해야한다. As such, in order to determine a country by determining a CDMA network and a JCDMA network using a band less than 1 Ghz, a preferred roaming list corresponding to the CDMA netwo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L') should be used.

PRL은 이동통신단말의 네트워트 정보 저장부(130)에 저장된 네트워크 정보로 이동통신단말에서 사용할 주파수 대역 리스트에 해당하는데, 이동통신사업자망과 이동통신단말을 연동시켜 줄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이 가입되어 있는 네트워크 식별정보(System IDentification:SID)와 이동통신사업자망 정보(Network IDentification:NID) 및 사용 주파수(채널정보)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미리 정의된 PRL에 따라 이동통신단말이 제1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제1네트워크 정보에 포함된 PRL을 통해 네트워크를 판단하고, 국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The PRL is network information stored in the network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L corresponds to a list of frequency bands to be u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network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ncludes network ID information (System IDentification: SID), mobile carrier network information (Network IDentification: NID) and frequency of use (channel information) information.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the first network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defined PRL, and determines the network and the country through the PRL included in the received first network information.

한편, GSM 네트워크와 WCDMA 네트워크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GSM네트워크 또는 WCDMA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공중용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이하, 'PLMN'이라 함)를 이용한다. In order to determine the GSM network and the WCDMA network, a public land mobile netwo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PLMN') corresponding to the GSM network or the WCDMA network is used.

PLMN은 공중용 이동 통신을 목적으로 이동통신사업자가 개설 운영하는 것으로 위성 통신이 지상의 기지국과 차량 또는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이동통신 장비간의 통신망(대표적인 예로, 일반 전화 교환망(PSTN))을 의미하며, 이동 국가 부호(Mobile Country Code:MCC)와 이동 통신망 부호(Mobile Network Code:MNC)를 포함한다. PLMN is established and operated by a mobile carrier for the purpose of public mobile communication. Satellite communication refers to a communication network (typically,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between a base station on the ground and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a vehicle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A mobile country code (MCC) and a mobile network code (MNC).

네트워크 정보 저장부(130)는 국가별 또는 이동통신사업자별 네트워크를 판단하고 최종적으로 국가를 판단하기 위한 식별정보에 해당되는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한다. 식별정보는 이동통신단말 정보(System ID:SID)와 이동통신사업자망 정보(Network ID:NID) 및 사용 주파수(채널정보)정보를 포함하는 PRL과 이동 국가 부 호(Mobile Country Code:MCC)와 이동 통신망 부호(Mobile Network Code)를 포함하는 PLMN이 해당된다. The network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determines network for each country or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and finally stores networ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etermining a country.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PRL, Mobile Country Code (MCC), which includes System ID (SID), Mobile Network (NID) and Frequency (Channel) information. This corresponds to a PLMN including a mobile network code.

또한, 네트워크 정보 저장부(130)는 가입자의 인증, 과금, 보안 기능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개인 정보를 저장한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SIM)에 해당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은 이동통신단말에 삽입되는 카드 형이며, 제3세대 이동통신인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MTS)용의 가입자 식별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USIM) 또한 해당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etwork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may correspond to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that stores personal information to provide various services of a subscriber's authentication, billing, and security functions.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is a card type inserted in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ay also correspond to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for a univers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MTS), which is a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제어부(140)는 국가 판단부(150)에서 판단된 국가에 해당되는 사용환경 설정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존재할 경우, 사용환경 설정정보에 따라 사용환경을 변경시킨다. The controller 140 determines whether there exists the us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untry determined by the country determination unit 150, and if so, changes the us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제어부(140)는 국가별로 설정된 사용환경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41)를 더 포함하고, 사용환경 설정정보는 벨소리 또는 진동 모드 설정정보, 배경화면 설정정보, 사용 언어 설정정보 및 시간 설정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140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141 for storing preference information set for each country, and the preference information includes ringtone or vibration mode setting information, wallpaper setting information, language setting information, and time setting information. It includes at least one of.

또한, 제어부(140)는 이동통신단말의 각 부를 제어하는 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각 부를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each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s each unit according to a command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80.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해 사용환경 설정 명령이 입력될 경우, 사용환경 설정부(160)를 제어하여 사용환경 설정화면을 생성하도록 하고, 네트워크 설정 명령이 입력될 경우, 네트워크 설정부(170)를 제어하여 국가 설정화면을 생성하도록 한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use environment setting unit 160 to generate a use environment setting screen when a use environment setting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80, and a network setting command is inputted. If so, the network setting unit 170 is controlled to generate a country setting screen.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0)는 숫자, 문자를 입력하는 키들 및 각종 기능에 대 응한 메뉴키들을 구비한다. The user interface unit 180 includes keys for inputting numbers, letters, and menu keys corresponding to various functions.

사용환경 설정부(16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국가별로 사용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가 포함된 사용환경 설정화면을 생성한다. 사용환경 설정화면을 통해 입력된 사용환경 설정정보는 제어부(140)에 포함된 저장부(141)에 저장된다. The usage environment setting unit 160 generates a usage environment setting screen including a menu for setting the usage environment for each countr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0. The usag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age environment setting scree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1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40.

한편, 네트워크 설정부(170)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국가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포함된 국가 설정화면을 생성한다. Meanwhile, the network setting unit 170 generates a country setting screen including a menu for selecting a countr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제어부(140)는 네트워트 설정부(170)가 생성한 국가 설정화면을 통해 국가가 선택되면, 선택된 국가에 해당되는 사용환경 설정정보가 저장부(141)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존재할 경우, 저장부(141)에 저장된 사용환경 설정정보에 따라 사용환경을 변경시킨다. If a country is selected through the country setting screen generated by the network setting unit 170, the controller 140 determines whether the usag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untry exists in the storage unit 141, and if it exists, Change the usag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usag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1.

한편, 제어부(140)는 사용환경 설정정보에 따라 사용환경을 변경시키기 전에 이동통신단말의 전원을 제어하여 재시동(booting)시킴으로써 네트워크 설정부(170)를 통해 선택된 국가에 맞게 네트워크 설정이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network settings t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untry selected by the network setting unit 170 by rebooting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fore changing the us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It may be.

제어부(140)는 사용환경 설정정보에 따라 사용환경을 변경시키기 전에 이동통신단말의 전원을 재시동시키거나 또는 사용환경 설정정보에 따라 사용환경을 변경시킨 후에 이동통신단말의 전원을 재시동시킬 수 있다. The controller 140 may restart the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fore changing the us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or restart the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fter changing the us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즉, 본 발명에 따른 사용환경 설정 변경 장치는 이동통신단말의 위치에 따라 국가를 판단하여 판단된 국가에 해당되는 사용환경 설정정보를 이동통신단말에 적 용시키거나,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국가에 해당되는 사용환경 설정정보를 이동통신단말에 적용시킨다. That is, the apparatus for changing the environment se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country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pplies th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country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corresponds to the country selected by the user. Apply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사용환경 설정 변경 방법을 설명하되, 사용자가 미리 사용환경 설정부(도 1의 160)가 생성하는 사용환경 설정화면을 통해 국가별로 벨소리 또는 진동 모드, 배경화면과 같은 사용환경을 설정한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도록 하겠다. Hereinafter, a method of changing a usage environment sett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Or we will assume that you have set the usage environment such as vibration mode and backgroun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사용환경 설정 변경 방법을 일 예를 들어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changing a usage environment sett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동통신단말의 제어부(140)는 통신부(110)를 통해 제1네트워크 정보가 수신되면(S201), 제1네트워크 정보와 기 저장된 제2네트워크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네트워크와 이전에 연결된 네트워크가 동일한지를 판단하도록 국가 판단부(150)를 제어한다(S203). When the first network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S201), the controller 14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ares the first network information with previously stored second network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network and the previously connected network are the same. The state determining unit 150 is controlled to determine (S203).

판단결과, 국가 판단부는(150)는, 현재 네트워크와 이전에 연결된 네트워크가 동일하지 않으면,제1네트워크 정보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통해 네트워크를 판단하고, 국가를 판단한다(S205). As a result of determination, if the current network and the previously connected network are not the same, the country determination unit 150 determines the network throug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network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country (S205).

그리고, 제어부(150)는 국가 판단부(150)에서 판단된 국가에 해당되는 사용환경 설정정보가 저장부(141)에 존재하는지를 판단(S207)하여 존재하면, 저장부(141)에 저장된 사용환경 설정정보에 따라 사용환경을 변경시킨다(S209).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ag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untry determined by the country determination unit 150 exists in the storage unit 141 (S207), and if there exists, the usage environm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1. The use environmen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etting information (S209).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사용환경 설정 변경 방법을 다른 예를들어 보여주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for changing a usage environment sett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해 네트워크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S301), 국가 설정화면을 생성하도록 네트워크 설정부(170)를 제어하고, 생성된 국가 설정화면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S303). When the network setting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180 (S301), the controller 14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s the network setting unit 170 to generate a country setting screen, and the generated country setting screen is displayed. To be displayed on (S303).

그리고, 사용자가 국가 설정화면을 통해 국가를 선택하면(S305), 제어부(140)는 선택된 국가에 해당되는 사용환경 설정정보가 저장부(141)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존재할 경우(S307), 저장부(141)에 저장된 사용환경 설정정보에 따라 사용환경을 변경시킨다(S309).When the user selects a country through the country setting screen (S305), the controller 14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ag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untry exists in the storage unit 141 (S307). The usage environmen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usag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operation 141 (S309).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can be varie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and equivalent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사용환경 설정 변경 방법을 일 예를 들어 보여주는 흐름도, 및 2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changing a usage environment sett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사용환경 설정 변경 방법을 일 예를 들어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changing a usage environment sett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symbols in the drawing

110 : 통신부 130 : 네트워크 정보 저장부110: communication unit 130: network information storage unit

140 : 제어부 141 : 저장부140: control unit 141: storage unit

150 : 국가 판단부 160 : 사용환경 설정부150: national judging unit 160: user environment setting unit

170 : 네트워크 설정부170: network setting unit

Claims (16)

제1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first network information; 상기 제1네트워크 정보가 기 저장된 제2네트워크 정보와 동일한지를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제1네트워크 정보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통해 국가를 판단하는 국가 판단부; 및 A country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country based 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network information if the first network information is not the same as compared with the previously stored second network information; And 상기 판단된 국가에 해당되는 사용환경 설정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존재하면, 상기 사용환경 설정정보에 따라 사용환경을 변경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사용환경 설정 변경 장치.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us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country exists, and changing the us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식별정보는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또는 JCDMA(Japa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PRL(Preferred Roaming List) 및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네트워크 또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사용환경 설정 변경 장치.Preferred Roaming List (PRL) and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networks or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networks corresponding to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networks or Japa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JCDMA) networks Device for changing the usage environ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는 네트워크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Further comprising a network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econd network information, 상기 제2네트워크 정보는 The second network information i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또는 JCDMA(Japa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PRL(Preferred Roaming List) 및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네트워크 또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사용환경 설정 변경 장치.Preferred Roaming List (PRL) and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networks or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networks corresponding to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networks or Japa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JCDMA) networks Device for changing the usage environ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네트워크 정보 저장부는 The network information storage unit 가입자 식별 모듈이고,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은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또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사용환경 설정 변경 장치.Device for chang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or 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환경 설정정보는 Th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is 벨소리 또는 진동 모드 설정정보, 배경화면 설정정보, 사용 언어 설정정보 및 시간 설정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사용환경 설정 변경 장치.Device for changing the usage environ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ringtone or vibration mode setting information, wallpaper setting information, language setting information and time setting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국가별로 사용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가 포함된 사용환경 설정화면을 생성하는 사용환경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It further includes a user preference setting unit for generating a user preference setting screen including a menu for setting preferences for each country. 상기 제어부는 The control unit 상기 사용환경 설정화면을 통해 입력된 상기 사용환경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사용환경 설정 변경 장치.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usag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age environment setting screen.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국가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포함된 국가 설정화면을 생성하는 네트워크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It further includes a network setting unit for creating a country setting screen containing a menu for selecting a country, 상기 제어부는 The control unit 상기 국가 설정화면을 통해 국가가 선택되면, 선택된 국가에 해당되는 사용환경 설정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존재할 경우, 상기 사용환경 설정정보에 따라 사용환경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사용환경 설정 변경 장치.When a country is selected through the country setting scre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us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untry exists, and if present, the use environ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change the us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Settings change device. 제 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어부는 The control unit 상기 사용환경을 변경시키기 전에, 전원을 제어하여 재시동(booting)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사용환경 설정 변경 장치.A device for changing a usage environment sett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rebooting by controlling power before changing the usage environment. 제1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네트워크 정보가 기 저장된 제2네트워크 정보와 동일한지를 비교하는 제1단계; A first step of receiving first network information and comparing whether the first network information is identical to previously stored second network information; 상기 비교결과, 상기 제1네트워크 정보가 상기 제2네트워크 정보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제1네트워크 정보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통해 국가를 판단하는 제2단계; 및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a country based 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network information if the first network information is not the same as the second network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And 상기 판단된 국가에 해당되는 사용환경 설정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존재하면, 상기 사용환경 설정정보에 따라 사용환경을 변경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환경 설정 변경 방법.And determining, if present, usag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country, and changing the usag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usag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네트워크 설정 명령에 따라 국가 설정화면을 표시하는 제1단계; 및 A first step of displaying a country setting screen according to a network setting command; And 상기 국가 설정화면을 통해 선택된 국가에 해당되는 사용환경 설정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존재하면, 상기 사용환경 설정정보에 따라 사용환경을 변경시키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환경 설정 변경 방법.Determining whether the us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untry exists through the country setting screen; and if present, changing the us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changing the use environment sett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ay. 제 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식별정보는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또는 JCDMA(Japa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PRL(Preferred Roaming List) 및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네트워크 또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사용환경 설정 변경 방법.Preferred Roaming List (PRL) and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networks or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networks corresponding to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networks or Japa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JCDMA) networks Method for changing the usage environ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2네트워크 정보는 The second network information i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또는 JCDMA(Japa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PRL(Preferred Roaming List) 및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네트워크 또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사용환경 설정 변경 방법.Preferred Roaming List (PRL) and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networks or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networks corresponding to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networks or Japa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JCDMA) networks Method for changing the usage environ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제 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2네트워크 정보는The second network information is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또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사용환경 설정 변경 방법.How to change the preferen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stored in the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or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상기 사용환경 설정정보는 Th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is 벨소리 또는 진동 모드 설정정보, 배경화면 설정정보, 사용 언어 설정정보 및 시간 설정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사용환경 설정 변경 방법.Method for changing the usage environment setting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of ringtone or vibration mode setting information, wallpaper setting information, language setting information and time setting information.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사용환경 설정 명령에 따라 국가별로 사용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사용환경 설정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Displaying the environment setting screen for setting the environment for each countr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setting command, and 상기 사용환경 설정화면을 통해 입력된 사용환경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사용환경 설정 변경 방법.And storing the usag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inputted through the usage environment setting screen.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사용환경을 변경시키기 전에, 전원을 제어하여 재시동(booting)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환경 설정 변경 방법.Before changing the usage environment in the second step,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and rebooting (booting).
KR1020090042496A 2009-05-15 2009-05-15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user environment setting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0012332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496A KR20100123329A (en) 2009-05-15 2009-05-15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user environment setting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496A KR20100123329A (en) 2009-05-15 2009-05-15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user environment setting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329A true KR20100123329A (en) 2010-11-24

Family

ID=43408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496A KR20100123329A (en) 2009-05-15 2009-05-15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user environment setting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332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0811A (en) * 2012-01-05 2013-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information of a mobile station
KR20160031798A (en) * 2014-09-15 2016-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call convers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0811A (en) * 2012-01-05 2013-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information of a mobile station
KR20160031798A (en) * 2014-09-15 2016-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call conver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4881B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user-related information on user's handsets
TWI539847B (en) Method of automatic sim card selection according to network environment
US8180400B2 (en) Service setting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96024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enhanced international dialing in cellular telecommunications systems
KR1016342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mn selection of portable terminal
EP2092785B1 (en) Method of selecting a network by a mobile apparatus
KR1014566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eed dial by mobile country code/mobile network cod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190198B1 (en) Enabling portability of credentials across dual mode devices
EP2299666B1 (en) Enabling an assisted dialing on a mobile device
EP2334118B1 (en) Determining mobile station operating country to enable system selection or other location based device features without network assistance
WO2010121055A2 (en) Determining and selecting the most preferred available network for devices capable of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EP1175119A2 (en) Network selection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EP3782390B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automatically switching among plurality of profiles in esim
US8315613B1 (en) Assisting a user to store and place a call back to received international number
US9686670B2 (en) Electronic device with frequency band scanning order
KR10081152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multi sim card and network attach requesting method thereof
JP2017192154A (en) Manual public land mobile network search prioritization
EP4145911A1 (e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plurality of sims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JP2008054021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phone
KR2010012332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user environment setting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211044B1 (en) Wireless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KR201100601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sim of portable terminal
EP2190246A1 (en) Method for location dependent downloading
KR10065068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utomatic
KR20090128028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upporting voip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