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7986A - Method for measuring the location similarity of spatial object on digital maps and map matching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measuring the location similarity of spatial object on digital maps and map matching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7986A
KR20100117986A KR1020090036744A KR20090036744A KR20100117986A KR 20100117986 A KR20100117986 A KR 20100117986A KR 1020090036744 A KR1020090036744 A KR 1020090036744A KR 20090036744 A KR20090036744 A KR 20090036744A KR 20100117986 A KR20100117986 A KR 20100117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idate
map
spatial
triangl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7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91061B1 (en
Inventor
김정옥
유기윤
편무욱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36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061B1/en
Publication of KR20100117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9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0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measuring the location similarity of a spatial object on digital maps, and a map matching method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match identical objects on different kinds of digital maps by using the location similarity which specifies the relationship of peripheral objects of the spatial object. CONSTITUTION: A reference object is selected on a reference digital map, and a coordinate value of a spatial object is obtained(100). A buffer distanced from the coordinate value at a certain interval is generated in the reference digital map, and the spatial object included in a certain range is extracted. The buffers identical to each other based on the identical coordinate value are generated on a comparison target digital map, and the spatial object included in a certain range is extracted(200). The landmarks which are the plural spatial objects having the identical information are selected primarily as a corresponding object by comparing the intrinsic information of the spatial object extracted from two digital maps(300).

Description

수치지도 상 공간객체의 위치유사도 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도 매칭방법 {Method for Measuring the Location Similarity of Spatial Object on Digital Maps and Map Matching using the same}{Method for Measuring the Location Similarity of Spatial Object on Digital Maps and Map Match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치지도 상 공간객체의 위치유사도 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도 매칭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치지도 상에서 공간객체의 위치유사도를 측정하는 새로운 기준 및 방법을 확립하고, 서로 다른 수치지도의 매칭에 있어 위치유사도 비교를 이용한 대상 객체 매칭 수행시 절차 및 기준을 확립함으로써, 종래의 기술에서 필요로 했던 동일 좌표계 변환이나 포맷 통일 등과 같은 전처리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작업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수치지도 상 공간객체의 위치유사도 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도 매칭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easuring the position similarity of a spatial object on a digital map and a map matching method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o establish a new standard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position similarity of a spatial object on a digital map, different numerical map By establishing procedures and criteria when performing target object matching using positional similarity comparison in the matching of the two or more, preprocessing operations such as the same coordinate system conversion or the format unification, which are required in the prior art, are not requir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easuring a position similarity of a spatial object on a digital map and a map matching method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수치지도는 지리정보체계(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를 구성하는 핵심자료인데, 여기서 수치지도라 함은 지표면·지하·수중 및 공간의 위치와 지형·지물 및 지명 등의 각종 지형공간정보를 전산시스템을 이용하여 일정한 축척에 의하여 디지털 형태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In general, digital maps are the core data that make up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Location Based Service, where digital maps refer to the locations, topography, geographical features and geographical names of the surface, underground, underwater and space. Various geospatial information such as the digital representation of a certain scale by using a computer system.

이러한 수치지도는 사회 전반에 걸쳐 지리정보 관련 업무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각종 수치자료의 요구가 급증하고 있고, 수치지도에 대한 관심의 폭이 확대됨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가 증대되고 만족할 만한 사용자 위주의 수치지도 제작이 기대되고 있다.Such digital maps are widely used in geographic information-related tasks throughout the society, and the demand for various digital data is increasing rapidly. As the interest of digital maps expands, users' needs are increased and satisfied users are satisfied. The production of digital maps is expected.

아울러, 기구축된 많은 수치지도가 서로 다른 목적 및 시기에 제작되어 사용주체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기관에서 새로운 수치지도의 신규제작이 급증하였다.In addition, since many digital maps that have been constructed do not contain the information required by the user because they are produced for different purposes and periods, new production of new digital maps has increased rapidly in different institutions to satisfy user needs.

사용자 위주의 수치지도 제작을 위해 종래에는 서로 다른 수준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수치지도 간의 매칭을 통해 더 유용한 새로운 정보를 포함한 지도를 창출하였는데, 이는 각각의 지도에서 동일한 공간객체를 인식하여 연계하는 과정으로, 종래기술에는 중첩분석과 같은 기하학적인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 객체를 인식하였다. 즉, 두 지도의 좌표를 동일하게 하여 하나의 컴퓨터 화면에 함께 출력하면 실세계의 동일한 위치에 있는 객체는 완전히 겹치거나 중복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이용하고, 또한, 중첩분석을 통해 매칭 후보를 선택하고 공간객체의 형상유사도를 이용하여 매칭한다.Conventionally, for the creation of user-oriented digital maps, a map containing new information that is more useful is created by matching between digital maps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information, which is the process of recognizing and linking the same spatial object in each map. In the prior art, the same object was recognized using geometric information such as superposition analysis. In other words, if the coordinates of the two maps are the same and output on the same computer screen, the objects in the same position in the real world are completely overlapped or have high overlapping degree. Match using object shape similarity.

그러나, 형식이 서로 다른 두 지도는 대응 객체에 대해 기하학적 정보에 있어서 차이를 갖는다. 예컨대, 수치지도의 제작 기관이 다른 경우 실세계의 공간객체를 어느 정도의 정확도로 표현하느냐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갖게 되는데, 시기가 다른 경우 공간객체의 모양이나 형태 등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갱신될 수 있으므로 다른 정보를 갖게 되고, 아파트 단지와 같이 비슷한 위치에 같은 형상의 공간객체 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 좌표체계를 맞추는 과정에서의 정교한 왜곡보정을 수행하지 않으면 동일한 대상객체를 정확히 매칭하기는 어렵다.However, two different map formats differ in geometric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object. For example, if the organization of the digital map is different, it will have a different shape depending on how accurate the spatial object of the real world is represented.If the timing is different, the shape or form of the spatial object may be updated over time. If you have different information and many spatial objects of the same shape exist in the same location, such as an apartment complex,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match the same object object unless you perform sophisticated distortion correction in adjusting the coordinate system.

따라서, 상기 종래 기술은 공간객체의 좌표, 형태 및 형상 정보가 다른 경우 두 지도에서 동일한 공간객체를 파악하지 못하고, 수동의 작업을 요구함으로써 지도 매칭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었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technology has a problem in that when the coordinates, shapes, and shape information of the spatial objects are different, the same spatial objects are not recognized in the two maps, and a manual work is required, thus requiring a lot of time and cost for map match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수치지도의 매칭을 위한 기준으로 기하학적 정보가 아닌 임의의 공간객체의 주변 객체와의 관계를 특징으로 하는 위치유사도를 그래프로 표현하고 이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sition similarity diagram characterized by a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objects of an arbitrary spatial object, not geometric information, as a criterion for matching different numerical maps. Is to graph and provide a way to measure i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임의의 공간객체의 주변 객체와의 관계를 특징으로 하는 위치유사도를 이용함으로써 형식이 다른 두 수치지도의 동일객체 매칭이 가능하게 하는 위치유사도 측정방법을 이용한 지도 매칭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p matching method using a position similarity measuring method, which enables the same object matching of two different digital map types by using a position similarity characterizing a relation of surrounding objects of an arbitrary spatial object. There i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서로 다른 두 수치지도의 검색 범위 안에 있는 공간객체에 대한 속성정보의 의미론적 유사도를 측정하여 랜드마크를 추출하는 단계와; (b) 상기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기준객체와 후보객체군의 위치 유사도를 측정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본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extracting the landmark by measuring the semantic similarity of the attribute information for the spatial object in the search range of the two different digital map; (b) measuring the position similarity between the reference object and the candidate object group by using the landmark.

또한, 상기 단계(a)는, (c) 매칭 하고자 하는 기준객체를 기준 수치지도에서 선택한 후 해당 공간객체의 좌표값을 취득하기 위한 기준 수치지도에서의 기준객체 선택 단계와; (d) 상기 단계(c)에서 획득한 좌표값을 중심으로 기준 수치지도에서 일정거리의 버퍼를 생성하여 범위 안에 포함되는 공간객체를 추출하고, 이의 과정에 대해 마찬가지로 비교대상 수치지도에서도 동일한 좌표값을 중심으로 같은 버퍼를 생성하여 범위 안에 포함되는 공간객체를 추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두 수치 지도에서 각각 추출된 공간객체의 속성정보 비교를 통해 같은 정보를 가지고 있는 다수 개의 공간객체인 랜드마크를 대응 객체로 일차 선발하는 랜드마크 추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In addition, the step (a), (c) selecting a reference object to be matched in the reference numerical map and then selecting a reference object in the reference numerical map for obtaining coordinate values of the corresponding spatial object; (d) Create a buffer of a certain distance from the reference numerical map based on the coordinate values obtained in step (c) to extract the spatial objects included in the range, and the same coordinate values in the comparison target numerical map as well. Extracting the spatial objects included in the range by creating the same buffer around the same; and (e) lands having a plurality of spatial objects having the same information by compar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spatial objects extracted from the two numerical maps,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andmark extraction step of first selecting the mark as the corresponding object,

상기 단계(b)는, (f) 상기 단계(a)에서 선택된 다수 개의 랜드마크로 각각의 지도에서 각각 유일한 랜드마크를 포함하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생성하는 단계와; (g) 기준 수치지도의 기준객체가 위치한 보로노이 다각형의 랜드마크를 포함하는 보로노이 다각형을 비교대상 수치지도에서 선택하고, 선택된 보로노이 다각형과 비교대상 수치지도와의 중첩분석을 통해 매칭 후보객체가 비교대상 수치지도의 버퍼 구역 내에 포함되었던 모든 공간객체에서 선택된 보로노이 다각형에 포함된 일부 공간객체로 한정되는 단계와; (h) 기준 수치지도에서 기준객체와 이를 둘러싼 인접한 위치에 있는 다수 개의 랜드마크와의 기준 삼각망을 구성하는 단계와; (i) 상기 기준 삼각망 구성 시 선택한 동일한 랜드마크와 상기 단계(g)에서의 후보객체와 연결하여 후보객체 개수만큼의 후보 삼각망을 구성하는 단계, 및 (j) 다수 개의 개별 삼각형으로 구성된 기준 삼각망과 후보 삼각망의 각각 대응되는 개별 삼각형 면적과 둘레길이를 계산한 후 면적비와 둘레비를 이용하여 상기 삼각망의 위치유사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b) comprises the steps of: (f) generating a Voronoi diagram that includes a unique landmark in each map with a plurality of landmarks selected in the step (a); (g) Selecting a Voronoi polygon containing the landmark of the Voronoi polygon on which the reference object of the reference digital map is located is selected from the numerical map to be compared, and matching the candidate candidate by analyzing the overlap between the selected Voronoi polygon and the numerical map to be compared. Is limited to some spatial objects included in the selected Voronoi polygon from all spatial objects included in the buffer region of the comparison numerical map; (h) constructing a reference triangle network between the reference object and a plurality of landmarks in adjacent positions on the reference numerical map; (i) forming a candidate triangle network as many as the number of candidate objects by connecting to the same landmark selected in the reference triangle network and the candidate object in step (g), and (j) a reference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triangles Computing the respective triangular area and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triangular network and the candidate triangular network respectively, and measuring the position similarity of the triangular network using the area ratio and the circumferential ratio.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인 수치지도 상 공간객체의 위치유사도 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도 매칭방법은 수치지도 상에서 공간객체의 위치유사도를 측정하는 새로운 기준 및 방법을 확립하고, 서로 다른 수치지도의 매칭에 있어 위치유사 도 비교를 이용한 대상 객체 매칭 수행시 절차 및 기준을 확립함으로써, 종래의 기술에서 필요로 했던 동일 좌표계 변환이나 포맷 통일 등과 같은 전처리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작업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ors measure the position similarity of the spatial objects on the digital map and map matching method using the same, establish a new standard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position similarity of the spatial objects on the digital map, By establishing procedures and criteria when performing target object matching using the comparison of position similarit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and cost of the work by eliminating the need for preprocessing operations such as transforming the same coordinate system or format unification, which were required in the prior art. There is.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1 은 서로 다른 두 공간객체의 공간관계를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상 공간객체의 위치유사도 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도 매칭방법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상 공간객체의 위치유사도 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도 매칭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a 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랜드마크 선택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 4b 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매칭 후보객체 한정에 대한 예시도이고, 도 4c 는 기준객체와 주변의 랜드마크와의 공간관계를 삼각망으로 표현한 예시도이며, 도 5 는 기준 삼각망과 후보 삼각망에 대한 예시도이고, 도 6 은 두 공간객체의 위치유사도 측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7 은 서로 다른 두 수치지도에서 대응 매칭 객체를 판별하는 순서도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wo different spatial objects in a graph,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method of measuring the position similarity of a spatial object on a digital m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ap matching method using the same, Figure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easuring position similarity of a spatial object on a digital m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ap matching method using the same, FIG. 4A is an exemplary diagram for selecting a landmark using a Voronoi diagram, and FIG. 4B is a Voronoi diagram. 4C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a reference object and surrounding landmarks in a triangular network, and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reference triangular network and a candidate triangular network.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easuring position similarity of two spatial objects, and FIG. 7 is a sequence of determining corresponding matching objects in two different numerical maps. It is also.

도 1은 일반적인 공간객체의 주변객체와의 공간관계, 즉, 공통된 주변객체에 대한 위상관계, 거리, 방향 등의 정보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두 공간객체의 경우 좌표는 비슷하지만 주변객체와의 관계를 그래프로 표현한 공간관계는 다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공간관계를 위치유사도로 측정하고 이를 이용한 지도 매칭 방법 을 제안한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information about a spatial relationship of a general spatial object with a peripheral object, that is, a phase relationship, distance, and direction for a common peripheral object. The spatial relationship expressed by the graph is differen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tial relationship is measured as a position similarity and a map matching method using the same is proposed.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한 방법은 서로 다른 두 수치지도의 검색 범위 안에 있는 공간객체에 대한 속성정보의 의미론적 유사도를 측정하여 랜드마크를 추출하는 단계(100)와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기준객체와 후보객체군의 위치 유사도를 측정하는 단계(200), 그리고 계산한 위치유사도의 비교를 통해 가장 높은 위치유사도를 갖는 공간객체를 매칭하는 단계(3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method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semantic similarity of attribute information for a spatial object within a search range of two different digital maps, and extracts the landmark (100) and the landmark. Measuring the position similarity between the reference object and the candidate object group using the step 200, and matching the spatial object having the highest position similarity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calculated position similarity (300).

상기 도 2의 단계들을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2의 속성정보의 의미론적 유사도를 측정하는 단계(100)는 기준 수치지도에서의 기준객체 선택(S110); 공간객체 추출(S120); 랜드마크 추출(S130) 단계를 포함하고, 도 2의 위치유사도를 측정하는 단계(200)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 생성(S210); 매칭 후보군 파악(S220); 기준 삼각망(S230) 및 후보 삼각망 구성(S240); 삼각망의 유사도 측정(S250) 단계를 포함하며, 도 2의 위치유사도 비교를 통한 객체 매칭 단계(300)는 가장 높은 위치유사도를 갖는 객체 매칭(S310) 단계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step 100 of measuring semantic similarity of attribute information of FIG. 2 includes selecting a reference object in a reference numerical map (S110); Spatial object extraction (S120); Including the landmark extraction (S130) step, and measuring the position similarity of FIG. 2 (200) includes: generating a Voronoi diagram (S210); Identifying a matching candidate group (S220); A reference triangle network S230 and a candidate triangle network configuration S240; A similarity measure (S250) of the triangular network is included, and the object matching step 300 by comparing the position similarity of FIG. 2 includes an object matching (S310) having the highest position similarity.

상기 기준 수치지도에서의 기준객체 선택(S110) 단계에서는 매칭 하고자 하는 기준객체를 기준 수치지도(10)에서 선택한 후 해당 공간객체의 좌표값을 취득한다. 여기서, 기준 수치지도에서의 기준객체는 비교대상 수치지도에서는 대응 객체를 파악하기 힘든 객체로 선택한다.In the step of selecting a reference object in the reference numerical map (S110), the reference object to be matched is selected in the reference numerical map 10, and then coordinate values of the corresponding spatial object are acquired. Here, the reference object in the reference numerical map is selected as an object that is difficult to identify in the comparison target numerical map.

다음으로, 상기 공간객체 추출(S120) 단계에서는 상기 S110 단계에서 획득한 좌표값을 중심으로 기준 수치지도(10)에서 일정거리의 버퍼를 생성하여 범위 안에 포함되는 공간객체를 추출하고, 이의 과정에 대해 마찬가지로 비교대상 수치지도(20)에서도 동일한 좌표값을 중심으로 같은 버퍼를 생성하여 범위 안에 포함되는 공간객체를 추출한다.Next, in the step of extracting the spatial object (S120), a buffer of a predetermined distance is generated from the reference numerical map 10 based on the coordinate values obtained in the step S110 to extract a spatial object included in a range, Similarly, the comparison target digital map 20 generates the same buffer around the same coordinate value and extracts the spatial object included in the range.

그 다음으로, 상기 랜드마크 추출(S130) 단계에서는 두 수치지도에서 각각 추출된 공간객체의 속성정보 비교를 통해 같은 정보를 가지고 있는 다수 개의 공간객체를 대응 객체로 일차 선발하고 이를 랜드마크라 칭한다. 예컨대 건물객체의 경우 두 지도에서 건물명이 동일한 객체를 랜드마크로 선택한다.Next, in the landmark extraction step (S130), a plurality of spatial objects having the same information are first selected as corresponding objects through comparison of attribute information of spatial objects extracted from two digital maps, respectively, and these are called landmarks. For example, in the case of building objects, objects with the same building name on both maps are selected as landmarks.

상기 보로노이 다이어그램 생성(S210) 단계에서는 상기 S130 단계에서 선택된 다수 개의 랜드마크로 각각의 지도에서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생성한다. 여기서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구성하는 다각형은 각각 유일한 랜드마크를 포함하여 생성되며, 지도에서 일정영역을 구분하는 역할을 하고,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의 생성방법은 통상적인 방법이어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 단계에서는 기준 수치지도에서 선택한 매칭의 기준객체를 포함하고 있는 보로노이 다각형을 파악하고, 또한 인접한 다각형을 통해 임의의 공간객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랜드마크를 구할 수 있다.In the generating a Voronoi diagram (S210), a Voronoi diagram is generated from each map with a plurality of landmarks selected in the step S130. Here, the polygons constituting the Voronoi diagram are each generated by including unique landmarks, and serve to distinguish a certain area on the map, and the method of generating the Voronoi diagram is a conventional method,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In this step, the Voronoi polygon containing the reference object of the matching selected from the reference numerical map can be identified, and the landmark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any spatial object can be obtained through the adjacent polygon.

이에 대한 실시예는 도 4a에 도시하였는데, 도 4a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임의 공간객체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랜드마크 선택에 대한 예시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객체가 위치한 보로노이 다각형은 사선으로 도시되었고, 이 다각형과 인접한 다각형이 포함하고 있는 다수 개의 랜드마크를 기준객체와 실선으로 연결하여 도시하였다.An embodiment thereof is illustrated in FIG. 4A. FIG. 4A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landmark selection that most influences an arbitrary spatial object using a Voronoi diagram. As shown, a Voronoi polygon in which a reference object is located is diagonally formed.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landmarks included by the polygon and the adjacent polygon are connected to the reference object by a solid line.

다음으로, 상기 매칭 후보군 파악(S220) 단계에서는 기준객체가 위치한 보로노이 다각형의 랜드마크를 파악하고, 비교대상 수치지도에서 해당 랜드마크를 포함하는 보로노이 다각형을 선택한다. 선택된 보로노이 다각형과 비교대상 수치지도와의 중첩분석을 통해 매칭 후보객체가 비교대상 수치지도의 버퍼 구역 내에 포함되었던 모든 공간객체에서 선택된 보로노이 다각형에 포함된 일부 공간객체로 한정된다.Next, in the step of identifying the matching candidate group (S220), the landmarks of the Voronoi polygons in which the reference object is located are identified, and the Voronoi polygons including the corresponding landmarks are selected from the comparison target numerical map. Through the overlapping analysis between the selected Voronoi polygon and the comparison target digital map, the matching candidate object is limited to some spatial objects included in the selected Voronoi polygon among all the spatial objects included in the buffer region of the comparison target digital map.

이에 대한 실시예는 도 4b에 도시하였는데, 도 4b는 보로노이 다각형을 이용한 비교대상 수치지도에서의 매칭 후보객체 한정에 대한 예시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대상 수치지도에서 해당 랜드마크를 포함하는 보로노이 다각형은 사선으로 도시되었고, 이와의 중첩분석을 통해 매칭 후보객체인 선택된 공간객체는 점으로 도시하였다. 참고로 사선으로 도시된 보로노이 다각형내에서 점으로 도시되지 않은 공간객체가 랜드마크이고, 이 랜드마크는 매칭 후보객체에서 제외된다.An embodiment thereof is illustrated in FIG. 4B, which illustrates an example of defining matching candidate objects in a comparison target numerical map using a Voronoi polygon. As illustrated, a borough including a corresponding landmark in the comparison target numerical map is illustrated. The noise polygon is shown as an oblique line, and the overlapping analysis shows that the selected spatial object is a point as a matching candidate. For reference, the spatial object not shown as a point in the Voronoi polygon shown by the diagonal line is a landmark, and the landmark is excluded from the matching candidate object.

그 다음으로, 상기 기준 삼각망 구성(S230) 단계에서는 기준 수치지도에서 기준객체와 이를 둘러싼 위치에 있는 다수 개의 랜드마크와의 기준 삼각망을 구성한다.Next, in the step of constructing the reference triangle network (S230), the reference triangle network is constructed between the reference object and a plurality of landmarks located at the position surrounding the reference numerical map.

이에 대한 실시예는 도 4c에 도시하였는데, 도 4c는 기준 수치지도에서 기준객체와 주변의 랜드마크와의 공간관계를 삼각망으로 표현한 예시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객체와 다수 개의 랜드마크를 연결하여 삼각망을 구성하였다.An embodiment thereof is illustrated in FIG. 4C. FIG. 4C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a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a reference object and surrounding landmarks is represented by a triangular network on a reference numerical map. As shown in the drawing, the reference object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landmarks. The triangular net was constructed.

그 다음으로, 상기 후보 삼각망 구성(S240) 단계에서 후보 삼각망은 기준 삼각망 구성 시 선택한 동일한 랜드마크와 도 4b에서 점으로 도시된 후보객체와 연결 하여 삼각망을 구성한다. 다수의 후보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후보객체 개수만큼의 후보 삼각망이 생성된다.Subsequently, in the candidate triangular network configuration (S240), the candidate triangular network forms a triangular network by connecting the same landmark selected when the reference triangular network is configured and the candidate object shown as a dot in FIG. 4B. If there are a plurality of candidate objects, as many candidate triangle networks as the number of candidate objects are generated.

그 다음으로, 기준 삼각망은 다수 개의 개별 삼각형으로 구성되며, 후보군 삼각망 역시 다수 개의 개별 삼각형으로 구성되는데, 이 때 상기 삼각망의 유사도 측정(S250) 단계에서 두 삼각망의 각각 대응되는 개별 삼각형 면적과 둘레길이를 계산하여 면적비와 둘레비를 계산한다. 이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위치유사도와 관련이 있다.Subsequently, the reference triangular network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triangles, and the candidate group triangular network is also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triangles. In this case, in the step of measuring similarity of the triangular network (S250), the corresponding individual triangles of the two triangular networks are respectively. Calculate the area ratio and the peripheral ratio by calculating the area and the peripheral length. This is related to the position similarity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대한 실시예는 도 5에 도시하였는데, 도 5는 객체의 공간관계를 그래프로 표현한 기준 수치지도의 객체에 대한 기준 삼각망과 비교대상 수치지도의 후보객체에 대한 후보삼각망에 대한 예시도이다.An embodiment thereof is illustrated in FIG. 5.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reference triangle network for an object of a reference digital map representing a spatial relationship of an object and a candidate triangle network for a candidate object of a comparison target digital map. .

한편, 도 6은 두 공간객체의 위치유사도 측정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는 기준 삼각망과 하나의 후보 삼각망을 비교하는 과정으로, 구성된 다수의 후보 삼각망 전체에 대해 기준 삼각망과의 비교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easuring position similarity of two spatial objects. This is a process of comparing the reference triangular network and one candidate triangular network, and repeats the comparison process with the reference triangular network for all the configured plurality of candidate triangular networks.

우선, 기준 수치지도에서 기준객체를 둘러싼 위치에 있는 랜드마크의 개수를 파악한다(S251). 이는 랜드마크의 수(n)만큼 삼각망의 개별삼각형이 구성되고, 삼각망을 구성하는 모든 개별 삼각형을 비교하기 위함이다.First, the number of landmarks located at positions surrounding the reference object in the reference numerical map is determined (S251). This is because the individual triangles of the triangle network are configured by the number n of landmarks, and all the individual triangles constituting the triangle network are compared.

다음으로, 기준 삼각망과 후보 삼각망의 대응되는 개별삼각형에 대해 면적비(i번째 후보 삼각형의 면적/i번째 기준 삼각형의 면적)를 계산한다(S252).Next, an area ratio (area of the i-th candidate triangle / area of the i-th reference triangle) is calculated for the corresponding individual triangles of the reference triangle network and the candidate triangle network (S252).

그 다음으로, 기준 삼각망과 후보 삼각망의 대응되는 개별삼각형에 대해 둘 레비(i번째 후보 삼각형의 둘레/i번째 기준 삼각형의 둘레)의 제곱을 계산한다(S253).Subsequently, the square of two levis (circumference of the i th candidate triangle / circumference of the i th reference triangle) is calculated for the corresponding individual triangles of the reference triangle network and the candidate triangle network (S253).

그 다음으로, 두 개별삼각형의 유사도가 높으면 면적비와 둘레비의 제곱의 수치는 같은 값이다. 따라서 계산된 수치의 차이(|면적비-둘레비의제곱|)를 계산하여 개별 삼각형의 위치유사도에 저장한다(S254).Next, if the similarities of the two individual triangles are high, the values of the square of the area ratio and the perimeter ratio are the same. Accordingly, the calculated difference (| area ratio-squared ratio | circuit ratio |) is calculated and stored in the position similarity diagram of the individual triangle (S254).

마지막으로, 삼각망을 구성하는 개별 삼각형 전체에 대해 위치유사도를 계산 및 누적저장한다(S255).Finally, the position similarity is calculated and accumulated for all the individual triangles constituting the triangular network (S255).

상기 가장 높은 위치유사도를 갖는 객체 매칭(S310) 단계에서는 계산된 위치유사도를 비교하여 가장 높은 위치유사도를 가지는 후보객체를 기준객체와의 매칭 쌍으로 결정한다.In the object matching step having the highest position similarity (S310), the calculated position similarity is compared to determine a candidate object having the highest position similarity as a matching pair with the reference object.

이는 도 7인 위치유사도를 이용한 서로 다른 두 수치지도에서 대응 매칭 객체를 판별하는 순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유사도가 높으면 계산된 위치유사도 수치는 0이거나 다른 후보객체의 유사도와 비교하여 작은 값을 가진다. 따라서, 후보 삼각망의 위치유사도가 계산된 값 중 최소값을 갖는 후보객체를 파악하여 최종 매칭 쌍으로 결정하게 되는데, 이 과정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As shown in the flowchart of determining corresponding matching objects in two different numerical maps using the position similarity diagram of FIG. 7, when the position similarity is high, the calculated position similarity value is 0 or smaller than the similarity of other candidate objects. Have Therefore, the candidate object having the minimum value among the calculated values of the position similarity of the candidate triangular network is identified and determined as the final matching pair.

우선, 첫 번째 후보객체의 위치유사도를 최소값으로 설정한다(S311).First, the position similarity of the first candidate object is set to a minimum value (S311).

다음으로, 두 번째 후보객체의 위치유사도를 불러온다(S312).Next, the position similarity of the second candidate object is called up (S312).

그 다음으로, 최소값에 저장된 값과 호출된 위치유사도를 비교한다(S313).Next, the value stored in the minimum value is compared with the called position similarity (S313).

그 다음으로, 만약 호출된 위치유사도가 저장된 값보다 작다면 최소값을 호출된 값으로 바꾸고, 최소값으로 저장된 후보객체의 번호를 저장한다(S314).Next, if the called position similarity is smaller than the stored value, the minimum value is changed to the called value and the number of candidate objects stored as the minimum value is stored (S314).

마지막으로, 후보군의 개수만큼 위의 과정을 반복한다(S315).Finally, the above process is repeated as many as the number of candidate groups (S315).

본 발명의 상기 각 단계를 컴퓨터상에서 소프트웨어에 의한 정보처리가 하드웨어를 이용해 구체적으로 실현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인 컴퓨터 기술수단으로 가능하므로,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에 의해 직접적으로 도출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Since each of the step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cally implemented by means of computer technology in order that the information processing by software on a computer can be concretely realized using hardware, this means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lthough it can be derived directly by the above, in the above has shown and described a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Persons having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서로 다른 두 공간객체의 공간관계를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wo different spatial objects.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상 공간객체의 위치유사도 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도 매칭방법을 나타낸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ethod of measuring the position similarity of a spatial object on a digital m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ap matching method using the same.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상 공간객체의 위치유사도 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도 매칭방법을 나타낸 순서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easuring a position similarity of a spatial object on a digital map and a map matching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랜드마크 선택에 대한 예시도.4A is an illustration of landmark selection using a Voronoi diagram.

도 4b 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매칭 후보객체 한정에 대한 예시도.4B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fining matching candidate objects using a Voronoi diagram.

도 4c 는 기준객체와 주변의 랜드마크와의 공간관계를 삼각망으로 표현한 예시도.4C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a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a reference object and a landmark around it is expressed by a triangular net;

도 5 는 기준 삼각망과 후보 삼각망에 대한 예시도.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reference triangle network and a candidate triangle network.

도 6 은 두 공간객체의 위치유사도 측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easuring position similarity of two spatial objects.

도 7 은 서로 다른 두 수치지도에서 대응 매칭 객체를 판별하는 순서도.7 is a flowchart for determining a corresponding matching object in two different numerical maps.

Claims (5)

(a) 서로 다른 두 수치지도의 검색 범위 안에 있는 공간객체에 대한 속성정보의 의미론적 유사도를 측정하여 랜드마크를 추출하는 단계와;(a) extracting a landmark by measuring semantic similarity of attribute information for a spatial object within a search range of two different digital maps; (b) 상기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기준객체와 후보객체군의 위치 유사도를 측정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지도 상 공간객체의 위치유사도 측정방법.and (b) measuring the position similarity between the reference object and the candidate object group using the landmark.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계(a)는,Step (a) is, (c) 매칭 하고자 하는 기준객체를 기준 수치지도에서 선택한 후 해당 공간객체의 좌표값을 취득하기 위한 기준 수치지도에서의 기준객체 선택 단계와;(c) selecting a reference object to be matched from the reference numerical map and selecting the reference object in the reference numerical map to obtain coordinate values of the corresponding spatial object; (d) 상기 단계(c)에서 획득한 좌표값을 중심으로 기준 수치지도에서 일정거리의 버퍼를 생성하여 범위 안에 포함되는 공간객체를 추출하고, 이의 과정에 대해 마찬가지로 비교대상 수치지도에서도 동일한 좌표값을 중심으로 같은 버퍼를 생성하여 범위 안에 포함되는 공간객체를 추출하는 단계, 및(d) Create a buffer of a certain distance from the reference numerical map based on the coordinate values obtained in step (c) to extract the spatial objects included in the range, and the same coordinate values in the comparison target numerical map as well. Extracting the spatial object included in the range by creating the same buffer around (e) 상기 두 수치지도에서 각각 추출된 공간객체의 속성정보 비교를 통해 같은 정보를 가지고 있는 다수 개의 공간객체인 랜드마크를 대응 객체로 일차 선발하는 랜드마크 추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지도 상 공간객체의 위치유사도 측정방법.(e) a landmark extraction step of first selecting a plurality of landmarks that have the same information as corresponding objects by comparing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spatial objects extracted from the two numerical maps as corresponding objects; How to measure the position similarity of spatial objects on the map.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계(b)는,Step (b) is, (f) 상기 단계(a)에서 선택된 다수 개의 랜드마크로 각각의 지도에서 각각 유일한 랜드마크를 포함하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생성하는 단계와;(f) generating a Voronoi diagram each having a unique landmark in each map with a plurality of landmarks selected in step (a); (g) 기준 수치지도의 기준객체가 위치한 보로노이 다각형의 랜드마크를 포함하는 보로노이 다각형을 비교대상 수치지도에서 선택하고, 선택된 보로노이 다각형과 비교대상 수치지도와의 중첩분석을 통해 매칭 후보객체가 비교대상 수치지도의 버퍼 구역 내에 포함되었던 모든 공간객체에서 선택된 보로노이 다각형에 포함된 일부 공간객체로 한정되는 단계와;(g) Selecting a Voronoi polygon containing the landmark of the Voronoi polygon on which the reference object of the reference digital map is located is selected from the numerical map to be compared, and matching the candidate candidate by analyzing the overlap between the selected Voronoi polygon and the numerical map to be compared. Is limited to some spatial objects included in the selected Voronoi polygon from all spatial objects included in the buffer region of the comparison numerical map; (h) 기준 수치지도에서 기준객체와 이를 둘러싼 인접한 위치에 있는 다수 개의 랜드마크와의 기준 삼각망을 구성하는 단계와;(h) constructing a reference triangle network between the reference object and a plurality of landmarks in adjacent positions on the reference numerical map; (i) 상기 기준 삼각망 구성 시 선택한 동일한 랜드마크와 상기 단계(g)에서의 후보객체와 연결하여 후보객체 개수만큼의 후보 삼각망을 구성하는 단계, 및(i) forming a candidate triangle network as many as the number of candidate objects by connecting the same landmark selected in the reference triangle network and the candidate object in step (g); and (j) 다수 개의 개별 삼각형으로 구성된 기준 삼각망과 후보 삼각망의 각각 대응되는 개별 삼각형 면적과 둘레길이를 계산한 후 면적비와 둘레비를 이용하여 상기 삼각망의 위치유사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지도 상 공간객체의 위치유사도 측정방법.(j) after calculating the respective triangular area and the perimeter length of each of the reference triangular network and the candidate triangular network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triangles, and measuring the position similarity of the triangular network using the area ratio and the perimeter ratio; Method for measuring the position similarity of the spatial object on the digital map, characterized in that.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단계(j)는,Step (j) is, (k) 기준 삼각망과 하나의 후보 삼각망을 비교하기 위해 삼각망을 구성하는 개별삼각형 개수와 동수인, 기준 수치지도에서 기준객체를 둘러싼 위치에 있는 랜드마크의 개수를 파악하는 단계와;(k) identifying the number of landmarks in the position surrounding the reference object on the reference numerical map, the number of individual triangles constituting the triangle network to compare the reference triangle with one candidate triangle network; (l) 기준 삼각망과 하나의 후보 삼각망의 대응되는 개별삼각형에 대해 면적비(i번째 후보 삼각형의 면적/i번째 기준 삼각형의 면적)를 계산하는 단계와;(l) calculating an area ratio (the area of the i th candidate triangle / the area of the i th reference triangle) for the corresponding individual triangles of the reference triangle network and one candidate triangle network; (m) 기준 삼각망과 하나의 후보 삼각망의 대응되는 개별삼각형에 대해 둘레비(i번째 후보 삼각형의 둘레/i번째 기준 삼각형의 둘레)의 제곱을 계산하는 단계와;(m) calculating a square of the ratio (the circumference of the i th candidate triangle / the circumference of the i th reference triangle) for the reference triangle and the corresponding individual triangles of one candidate triangle network; (n) 상기 단계(l)과 (m)에서 계산된 수치의 차이(|면적비-둘레비의제곱|)를 계산하여 개별 삼각형의 위치유사도에 저장하는 단계와;(n)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lues calculated in steps (l) and (m) (| square of area-to-circle ratio |) and storing them in the position similarity of individual triangles; (o) 기준 삼각망과 하나의 후보 삼각망을 구성하는 개별 삼각형 전체에 대해 상기 단계(l) 내지 (n)를 반복하여 위치유사도를 계산 및 누적저장하는 단계, 및(o) calculating and accumulating and storing the position similarity by repeating steps (l) to (n) for all the triangles constituting the reference triangle network and one candidate triangle network; and (p) 다수의 후보 삼각망에 대해 상기 단계(l) 내지 (o)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지도 상 공간객체의 위치유사도 측정방법.(p) repeating the steps (l) to (o) for a plurality of candidate triangular network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q) 상기 측정된 위치유사도의 비교를 통해 가장 높은 위치유사도를 갖는 후보객체를 기준객체와 매칭하는 단계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지도 상 공간객체의 위치유사도 측정을 이용한 지도 매칭방법.(q) matching the candidate object having the highest position similarity with the reference object by comparing the measured position similarity further comprising a map matching method using the position similarity measurement of the spatial object on the digital map .
KR1020090036744A 2009-04-27 2009-04-27 Method for Measuring the Location Similarity of Spatial Object on Digital Maps and Map Matching using the same KR1010910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744A KR101091061B1 (en) 2009-04-27 2009-04-27 Method for Measuring the Location Similarity of Spatial Object on Digital Maps and Map Matching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744A KR101091061B1 (en) 2009-04-27 2009-04-27 Method for Measuring the Location Similarity of Spatial Object on Digital Maps and Map Matching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986A true KR20100117986A (en) 2010-11-04
KR101091061B1 KR101091061B1 (en) 2011-12-08

Family

ID=43404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744A KR101091061B1 (en) 2009-04-27 2009-04-27 Method for Measuring the Location Similarity of Spatial Object on Digital Maps and Map Matching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06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25891A (en) * 2013-08-24 2013-12-04 张鲲 Decision algorithm for site selection of tailings dam
KR101527646B1 (en) * 2013-08-14 2015-06-09 한영수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spatial information using data of pubric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KR20180049329A (en) * 2016-10-31 2018-05-11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Apparatus for generating map of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646B1 (en) * 2013-08-14 2015-06-09 한영수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spatial information using data of pubric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CN103425891A (en) * 2013-08-24 2013-12-04 张鲲 Decision algorithm for site selection of tailings dam
KR20180049329A (en) * 2016-10-31 2018-05-11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Apparatus for generating map of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1061B1 (en) 201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56112B (en) Crowd-sourcing perception multi-source information fusion indoor positioning method and system
CN105550199B (en) A kind of point polymerization and device based on multi-source map
CN111199564A (en) Indoor positioning method and device of intelligent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2508098B (en) Dial plate positioning and automatic reading pointer type meter value identification method and system
CN107621263B (en) Geomagnetic positioning method based on road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N111291438B (en) Fil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3628291B (en) Multi-shape target grid data vectorization method based on boundary extraction and combination
CN110136174A (en) A kind of target object tracking and device
CN103712628B (en) Guidance path plotting method and terminal
KR101091061B1 (en) Method for Measuring the Location Similarity of Spatial Object on Digital Maps and Map Matching using the same
CN108287845A (en) A kind of Automatic extraction method for road information and device and hybrid navigation system
CN105426387A (en) K-means algorithm based map aggregation method
CN115861816B (en) Three-dimensional low-vortex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terminal
CN112182125B (en) Business gathering area boundary identification system
CN113483661A (en) Point cloud data acquisi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0609874B (en) Address entity coreference resolution method based on density clustering algorithm
Jaworski et al. Towards automatic configuration of floorplans for Indoor Positioning System
CN114286282A (en) Fingerprint positioning method based on WiFi RSS data of mobile phone and dimension reduction algorithm
CN113204607A (en) Vector polygon rasterization method for balancing area, topology and shape features
Taubenböck et al. The global trend of urbanization: spatiotemporal analysis of megacities using multi-temporal remote sensing, landscape metrics, and gradient analysis
Noskov et al. A segmentation-based approach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polygon data
JP2015200548A (en) Map information display system, method and program
Tarkhan et al. Capturing façade diversity in urban settings using an automated window to wall ratio extraction and detection workflow
KR20210001688A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extracting reference points of images
CN117197730B (en) Repair evaluation method for urban space distortion i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