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6453A - Key input apparatus - Google Patents

Key inpu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6453A
KR20100116453A KR1020090035173A KR20090035173A KR20100116453A KR 20100116453 A KR20100116453 A KR 20100116453A KR 1020090035173 A KR1020090035173 A KR 1020090035173A KR 20090035173 A KR20090035173 A KR 20090035173A KR 20100116453 A KR20100116453 A KR 20100116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contact portion
contact
touch pad
axis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1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50272B1 (en
Inventor
김정환
이태오
황병선
조홍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디스
Priority to KR1020090035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272B1/en
Publication of KR20100116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4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2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PURPOSE: A key input apparatus is provided to prevent the malfunction thereof by recognizing a touch input on a single-side. CONSTITUTION: A first plate member(110) is placed at a lower portion of a substrate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contact units(111,113) o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axes thereof to correspond to text or numbers. A touch pad is plac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late member and comprises a second plate member at which a ground pattern(121) is formed. If the object is touch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ubstrate, a touch pad driv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units and scans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xes to the crossing points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axes as a touch position.

Description

키입력장치{Key input apparatus}Key input apparatus

본 발명은 키입력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를 판부재에 함께 배치하거나, 이축패턴과 그라운드 패턴을 제2판부재에 함께 배치시킴에 의하여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키면서 제조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키입력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inpu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plurality of first contact parts and second contact parts may be disposed together in a plate member, or a biaxial pattern and a ground pattern may be disposed together in a second plate memb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key input device which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 while reducing the cost.

통상적으로 키입력장치에는 터치패드라고 하여 손가락의 터치에 의하여 소정의 구동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액정표시장치(LCD),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발광소자(Electro Luminescence Device; LCD) 및 휴대폰 등과 같은 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표시장치를 보면서 터치패널을 가압하여 미리 정해진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다.In general, a key input device, a touch pad, has a technology of performing a predetermined driving operation by a touch of a finger. Such touch pads include cathode ray tubes (CRTs),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field emission displays (FEDs), plasma display panels (PDPs), and electroluminescent devices (Electro Luminescence). It is installed on the display surface of a display device such as a device (LCD) and a mobile phone, and the user presses the touch panel while looking at the display device to input predetermined information.

각종 전자기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리모콘이나 별도의 입력 장치 없이 표시장치의 표시 면에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 패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전자 수첩, LCD, PDP, EL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CRT 등과 같은 화 상 표시장치의 표시 면에 터치 패드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 패드는 사용자가 화상 표시장치의 화면상에서 펜 또는 손가락으로 표면을 가압하면 그 위치에 대응되는 정보가 입력되도록 한다.In order to efficiently use various electronic devices, a touch pad for inputting a signal on a display surface of a display device without a remote controller or a separate input device is widely used. That is, the touch pad is provided on the display surface of an electronic organizer, a flat panel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a PDP, an EL, and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CRT. Accordingly, when the user presses the surface with a pen or finger on the scree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s input.

이와 같은 터치 패드는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에 따라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 용량형(capacitive type), 전기-자기장형(electro-magnetic type)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The touch pad may be classified into a resistive type, a capacitive type, an electro-magnetic type, and the like according to a method of sensing a touch.

이러한 터치 패드 중 정전 용량형 터치 패드의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다.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기판의 배면측에 투명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투명 전극에 균일한 전기장이 생성되도록 상기 기판의 각 모서리 또는 코너에서 전압을 인가한 후에, 손가락 또는 도전성 펜(conductive stylus)이 접촉되면 전압 강하가 발생하도록 하여 그 손가락이 접촉된 위치 좌표를 찾게 되는 장치이다.The basic structure of the capacitive touch pad among the touch pads is as follows. After forming a transparent electrode on the back side of the substrat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applying a voltage at each corner or corner of the substrate to generate a uniform electric field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when a finger or a conductive stylus contacts It is a device that finds the position coordinate where the finger is in contact by causing the drop to occur.

일반적으로 터치 패드 구동용 반도체 칩(터치 패드 구동칩)은 터치 패드의 터치 여부에 따라 전달되는 전하의 양을 판독하여 터치 패드의 특정 단자가 터치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독하는 역할을 하고 이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In general, the touch pad driving semiconductor chip (touch pad driving chip) reads the amount of charge transferred according to whether the touch pad is touched or not to determine whether a specific terminal of the touch pad is touched, and thus the data is read. It plays a role.

이러한 터치패드에 대한 종래기술에는 한국공개특허 제 10-2009-0019881호(정전용량방식의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키패드 일체형통신단말장치)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310)에 형성된 다수의 투명 전극층(314)과, 그 다수의 투명 전극층(314)을 유연성기판회로기판의 단자(316)와 각각 연결시키는 연결선(315)으로 이루어지는 회로패턴이 포함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투명 전극층은 연결선을 통해서 태치 패드 구동 장치의 IC 칩과 연결되는 데, 이때 IC 칩에는 다수의 리드가 배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리드는 상기 투명 전극층과 대응되는 수가 마련되어야 하기 때문에 칩을 선택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즉, 12개의 문자 또는 숫자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12개의 투명전극층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상기 칩에는 적어도 12개 이상의 리드가 마련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그 이하의 칩을 선택하는 것이 어렵거나, 또는 적은 리드를 가진 칩을 복수개 사용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 technology for such a touch pad is disclosed in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19881 (capacitive touch panel and keypad integrate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including the same). As shown in FIG. 1, the prior art has a plurality of transparent electrode layers 314 formed on the substrate 310 and a connection lin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transparent electrode layers 314 to terminals 316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respectively. A circuit pattern consisting of 315 is included.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 transparent electrode layer is connected to an IC chip of a touch pad driving device through a connection line. In this case, a plurality of leads are disposed on the IC chip.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choose. That is, in order to recognize 12 letters or numbers, 12 transparent electrode layers are required. Therefore, since at least 12 leads are required to be provided on the chip, it is difficult to select a chip having fewer or less leads or fewer leads. There is a problem such as using a plurality of chips.

이러한 문제점은 한국등록특허 제8010501호 (투명 터치 스위치 키패드)에 의해서 해소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기본적인 구동방식은 상기 IC 칩의 리드의 수를 감소시키고자 감소시키고자, 기판의 하측에 가로축 세로축에 각각 복수개의 회로패턴(4,5)가 존재하고 먼저 가로축의 단자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세로축 방향의 단자부가 순차적으로 스캐닝하면서 어느 위치에서 손가락에 터치되었는지를 판별하게 된다. 즉, 최초로 손가락이 접촉된 위치를 가로축과 세로축의 조합으로서 위치판별하게 된다. 예를 들어, 가로축이 4개이며 세로축이 3개인 교점 상에 문자 또는 숫자가 존재하는 등 12개의 문자 또는 숫자를 인식하고자 할 때에는 가로축 4개 및 세로축 3개의 라인을 인식할 수 있는 7개의 리드만이 필요로 하게 되어 바람직하다. This problem is solved by Korea Patent No. 8010501 (transparent touch switch keypad). The conventional driving scheme is to reduce the number of leads of the IC chip.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leads of the IC chip, a plurality of circuit patterns 4 and 5 are present on the vertical axis of the horizontal axis, respectively. When is selected, the terminal unit in the vertical axis direction is sequentially scanned to determine at which position the finger is touched. That is, the position where the finger first touched is determined by the combination of the horizontal axis and the vertical axis. For example, if you want to recognize 12 letters or numbers, such as letters or numbers on the intersection of 4 horizontal axes and 3 vertical axes, only 7 leads that can recognize 4 horizontal axes and 3 vertical axes It is desirable to need this.

그러나, 상기 기술의 경우에는 투명판의 상하면에 가로축회로패턴과 세로축회로패턴을 모두 형성시켜 놓았기 때문에, 그 각각의 가로축회로패턴 및 세로축회로패턴을 보호하기 위하여 코팅층을 상하면 모두에 형성시켜야 하며, 이는 비용 뿐만아니라 전체적인 인건비 및 기타 전체적인 두께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However, in the above technique, since both the horizontal circuit pattern and the vertical circuit pattern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ransparent plate, the coating layers must be form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o protect the respective horizontal circuit pattern and the vertical circuit pattern. This is undesirable in terms of cost as well as overall labor costs and other overall thicknesses.

이러한 기술의 경우에는 상면과 하면 모두에서 손가락 등의 인체의 터치를 감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오동작의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왼손으로는 휴대폰의 배면을 잡은 상태에서 오른손의 손가락으로는 휴대폰의 상면을 터치하는 경우에 오른손의 터치에 의해서만 소정의 입력동작이 수행되어야 하는데, 왼손의 손바닥 등이 휴대폰 터치패드의 동작에 영향을 미쳐 사용자가 원하는 숫자 또는 문자 등이 입력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휴대폰의 두께가 얇은 슬림형 휴대폰의 경우에 발생할 염려가 생긴다.In the case of this technology, the touch of the human body such as a finger is detect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n which case there is a risk of malfunc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the uppe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with the finger of the right hand while the user holds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with the left hand, a predetermined input operation should be performed only by the touch of the right hand. The palm of the left hand touches the mobile phone. This affects the operation of the pad, which causes a problem that a user cannot input a desired number or letter. In particular, such a problem may occur in the case of a slim mobile phone having a thin thickness of the mobile phon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면에서만 터치의 인식을 가능하게 하여 오동작의 염려가 없는 키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을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more particular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ey input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a touch on only one surface, without fear of malfunc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키입력장치는, 소정의 문자 또는 숫자가 복수의 가로축과 세로축으로 이루어진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투명소재의 기판와,Key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ubstrate of a transparent material formed in a matrix form of a predetermined letter or number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horizontal axis and vertical axis,

상기 기판의 하측에 배치되며, 각각의 가로축과 세로축 상에 복수의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가 상기 문자 또는 숫자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판부재와,A first plate member disposed below the substrate, the first plate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formed on the horizontal axis and the vertical axis to correspond to the letter or number;

상기 제1판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며, 그라운드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제2판부재를 포함하는 터치 패드; 및A touch pad disposed under the first plate member and including a second plate member having a ground pattern formed thereon; And

인체와 같은 정전용량을 갖는 물체가 기판 상면의 소정 위치상에 접촉되는 경우에는 가로축과 세로축을 스캐닝하면서 그 교점을 터치위치로 판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치 패드 구동장치로 구성된다. When an object having a capacitance, such as a human body, is in contact with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tou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so as to determine the intersection point as the touch position while scanning the horizontal axis and the vertical axis. It consists of a pad driving device.

상기 키입력장치는, 어느 한 문자 또는 숫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는 서로 간의 겹치지 않도록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key input device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not to overlap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y one letter or number.

상기 키입력장치는, 상기 제1판부재에는 상기 제2접촉부를 상기 터치 패드 구동장치로 연결하며 세로축방향으로 연장되며 가로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2연결선이 형성되며, 각각의 연결선은 세로축방향으로 배열된 접촉부들과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key input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two connecting lines connected to the first plate member to the touch pad driving device and extending in a vertical axis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horizontal axis direction, each connecting line in a vertical axis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be connected with the contacts arranged in the

상기 키입력장치에는, 상기 제1판부재에는 상기 제1접촉부를 상기 터치 패드 구동장치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2연결선이 형성되며, 각각의 연결선은 각각의 제1접촉부와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key input device,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lines are formed on the first plate member to connect the first contact portion to the touch pad driving apparatus, and each connection line is connected to each first contact por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키입력장치는, 소정의 문자 또는 숫자가 복수의 가로축과 세로축으로 이루어진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투명소재의 기판와, 상기 기판의 하측에 배치되며, 각각의 가로축과 세로축 상에 복수의 제1접촉부가 상기 문자 또는 숫자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판부재와,The key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ubstrate of a transparent material formed in a matrix form of a predetermined letter or number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horizontal axis and vertical axis, and disposed below the substrate, each of the horizontal axis and vertical axis A first plate member formed on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letters or numbers;

상기 제1판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며, 각각의 가로축과 세로축 상에 상기 문자 또는 숫자와 대응되는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제2접촉부 및 상기 제2접촉부 이외의 영역에 상기 제1접촉부와 대응되는 영역을 덮도록 배치된 그라운드 패턴이 포함되어 있는는 제2판부재를 포함하는 터치 패드; 및A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arts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first plate member and arrang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letter or number on each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xes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act part in an area other than the second contact part; A touch pad including a second plate member including a ground pattern disposed to cover an area; And

인체와 같은 정전용량을 갖는 물체가 기판 상면의 소정 위치상에 접촉되는 경우에는 가로축과 세로축을 스캐닝하면서 그 교점을 터치위치로 판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치 패드 구동장치로 구성된다. When an object having a capacitance, such as a human body, is in contact with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tou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so as to determine the intersection point as the touch position while scanning the horizontal axis and the vertical axis. It consists of a pad driving device.

상기 키입력장치는, 상기 제1판부재에는 상기 제1접촉부를 상기 터치 패드 구동장치로 연결하며 가로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세로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1연결선이 형성되며, 각각의 제1연결선은 가로축방향으로 배열된 제1접촉부들과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key input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lines formed in the first plate member to connect the first contact unit to the touch pad driving device and extend in a horizontal axis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vertical axis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s arranged in the horizontal axis direction.

상기 키입력장치는, 상기 제1판부재에는 상기 제2접촉부를 상기 터치 패드 구동장치로 연결하며 가로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세로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2연결선이 형성되며, 각각의 제2연결선은 세로축방향으로 배열된 제2접촉부들과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key input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lines connected to the first plate member to the touch pad driving device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axis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vertical axis direction, respectively.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portion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axis direction.

상기 키입력장치에서, 상기 그라운드 패턴은 격자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key input device, the ground pattern is preferably formed in a lattice form.

상기 키입력장치에서, 상기 제1판부재 및 제2판부재는 유연성 필름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판부재의 하측에는 단단한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진 키베이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key input device,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plate member is made of a flexible film material,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plate member is preferably formed of a key base made of a rigid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 키입력장치에서, 상기 제1판부재는 유연성 필름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판부재는 단단한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key input device, the first plate member is made of a flexible film material, and the second plate member is preferably made of a hard synthetic resin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키입력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key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the following advantages.

먼저, 하나의 판부재에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 또는 제2접촉부와 그라운드 패턴을 함께 형성시킴으로서, 전체적으로 판부재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키입력장치의 두께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by form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or the second contact portion and the ground pattern in one plate member, the number of plate members as a whole can be reduc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ffectively reduce the thickness of the key input device.

또한, 터치패드의 타면측에 그라운드 패턴을 배치함으로서 일면에서만 인체 의 터치를 감응할 수 있으며 타면에서의 인체의 접촉 또는 접근에 대해서는 동작하지 않아 오동작 없이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by arranging the ground pattern on the other side of the touch pad, the touch of the human body can be sensed only on one side, and the touch or approach of the human body on the other side does not work,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desired func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a malfunc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키입력장치에서 제1판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키입력장치에서 제2판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4 및 도 5의 제1판부재 및 제2판부재를 서로 겹쳐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key input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first plate member in the key input device of FIG. 3, and FIG. 5 is a key input device of FIG. 2 is a view showing a second plate member,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plate member of Figs.

본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수단(100)은, 기판(101), 제1판부재(110), 제2판부재(120)을 포함하는 터치패드 및 터치 패드 구동장치(미도시)로 구성된다.The key input mean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touch pad including a substrate 101, a first plate member 110, and a second plate member 120, and a touch pad driving device (not shown). .

상기 기판(101)은 소정의 문자 또는 숫자가 복수의 가로축과 세로축으로 이루어진 메트릭스 형태로 인쇄되어 있는 투명소재의 기판이다. 이러한 기판(101)에는 소정의 발광수단이 함께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문자 또는 숫자는 상기 발광수단의 배면에 형성된 형광물질 또는 형광체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수단의 일측으로 부터 빛이 입사되는 경우에는 상기 문자 또는 숫자 등의 형태로 인쇄된 형광물질에 반사되어 사용자의 눈에 소정의 문자 또는 숫자등이 인식될 수 있다.The substrate 101 is a substrate of a transparent material in which a predetermined letter or number is printed in a matrix form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horizontal and vertical axes. Predetermined light emitting means may be disposed together on the substrate 101, and the letters or numbers may be fluorescent materials or phosphor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means. Therefore, when light is incident from one side of the light emitting means, a predetermined letter or number may be recognized by the user's eyes by being reflected by the fluorescent material printed in the form of the letter or number.

상기 제1판부재(110)는 상기 기판(101)의 배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투명한 재료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유연한 합성수지 소재인 폴리 에틸렌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plate member 110 is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bstrate 101, and includes a transparent material, preferably made of a polyethylene resin, such as a flexible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 제1판부재(110)에는 제1접촉부(111), 제2접촉부(113), 제1연결선(112) 및 제2연결선(114)이 소정의 패턴으로 인쇄 또는 에칭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각각은 투명한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인듐틴옥사이드(ITO; Indium Tin Oxide) 또는 안티몬틴옥사이드(ATO;Antimon Tin Oxid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기판(101)의 상면에 손가락과 같은 정전용량을 갖는 물체가 터치되면, 유전체인 기판과 제1접촉부(111), 제2접촉부(113) 사이에 정전용량이 유도된다. 이때, 터치 패드 구동장치(미도시)는 유도된 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해서 기판의 상면에 터치되는 위치의 좌표를 검출하게 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겠다.In the first plate member 110, a first contact portion 111, a second contact portion 113, a first connection line 112, and a second connection line 114 are formed by printing or etching in a predetermined pattern. Each of them includes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nd preferably, may be made of indium tin oxide (ITO), antimony tin oxide (ATO), or the like. Here, when an object having a capacitance such as a finger touches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1, the capacitance is induced between the substrate, which is a dielectric,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111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113. In this case, the touch pad driving device (not shown) detects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touch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rough the induced change in capacitanc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때, 상기 제1접촉부(111)는 문자 또는 숫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의 형태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접촉부(113)는 상기 문자 또는 숫자와 대응되는 위치로서 상기 제1접촉부(111)와 겹치치 않는 형태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접촉부(111)가 일측이 개구된 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2접촉부(113)는 그 제1접촉부(111) 내에 마련되며 대략 삼지창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first contact portion 111 is disposed to have a predetermined shap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letter or a number. The second contact portion 113 is dispos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letter or number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first contact portion 11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ontact portion 11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with one side opened, the second contact portion 113 is provided in the first contact portion 111 and is made in the form of a trident, but such It is not limited to form.

상기 제1연결선(112)은 각각의 제1접촉부(111)는 터치 패드 구동장치와 연결하는 것으로서, 복수개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제1접촉부(111)와 접속될 수 있도록 동수만큼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연결선(112) 중에서 동일한 가로축 상에 배치된 제1접촉부(111)를 연결하는 제1연결선(112)의 경우에는 상기 터치 패드 구동장치 내에서 회로적으로 동일라인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IC 칩에 접속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가로축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 가로축 상에는 3개의 제1접촉부가 놓이게 되는데 이때 동일한 가로축 상에 놓이는 3개의 제1접촉부와 연결되는 제1연결선은 상기 터치 패드 구동장치 내에서 동일한 라인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The first connection line 112 connects each of the first contact portions 111 to the touch pad driving device, and a plurality of the first connection lines 112 are disposed. Specifically, the same number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contact portions 111. In the case of the first connection line 112 connect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111 disposed on the same horizontal axis among the first connection lines 112, a predetermined IC is connected to the same line in the touch pad driving device. Connected to the chip.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four horizontal axes may be formed, and three first contact parts are placed on the same horizontal axis, and the first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the three first contact parts lying on the same horizontal axis is in the touch pad driving device. Can be connected in the same line.

상기 제2연결선(114)은 제2접촉부(113)를 상기 터치 패드 구동장치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세로축방향으로 연장되며 가로축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마련된다. 이러한 각각의 제2연결선(114)은 세로축방향으로 놓여져 있는 제2접촉부(113)를 함께 접속시키게 된다.The second connection line 114 connects the second contact portion 113 to the touch pad driving device,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lines 114 are provided to extend in the vertical axis direction and to b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axis direction. Each of the second connection lines 114 connects the second contact portion 113 placed in the longitudinal axis direction together.

상기 제2판부재(120)는 상기 제1판부재(110)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유연한 합성수지소재인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판부재(120)의 상면에는 그라운드 패턴(121)이 형성된다. 그라운드 패턴(121)은 제2판부재(120)의 하측에서의 인체의 접촉 등에 의하여 상기 제1접촉부(111) 또는 제2접촉부(113)에서 정전용량이 유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그라운드 패턴(121)은 상기 제1접촉부(111) 및 제2접촉부(113)를 덮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되, 미세한 메쉬의 형태로 상기 제2판부재(120) 상에 인쇄 또는 에칭에 의하여 형성되다. 이러한 그라운드 패턴(121)은 투명한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인듐틴옥사이드 또는 안티몬틴옥사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second plate member 120 is disposed below the first plate member 110 and may be made of polyethylene resin, which is a flexible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ground pattern 12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member 120. The ground pattern 121 is for preventing the capacitance from being induced in the first contact portion 111 or the second contact portion 113 due to contact of the human body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plate member 120. The ground pattern 121 has a size that covers the first contact portion 111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113, but is printed or etched on the second plate member 120 in the form of a fine mesh. Formed The ground pattern 121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nd specifically, indium tin oxide, antimony tin oxide, or the like may be used.

상기 제2판부재(120)의 하측에는 단단한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지는 키베이스(13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글라스, PMMA, PC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키베이스(130)는 상기 제1판부재(110) 및 제2판부재(120)의 강성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A key base 130 made of a hard synthetic resin material may be formed below the second plate member 120. Specifically, glass, PMMA, PC or the like can be used. The key base 130 is to serve to protect the rigidity of the first plate member 110 and the second plate member 120.

상기 터치 패드 구동수단은, 소정의 제어용 IC 칩을 포함한 회로기판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구성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기술은 생략한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패드 구동수단에서는 제1연결선 중 일부를 모아서 단일의 라인으로 형성되는 회로패턴을 포함하게 된다.The touch pad driving means includes a circuit board or the like including a predetermined control IC chip, and since such a configuration is a known technique, a specific technique is omitted.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touch pad driving means includes a circuit pattern formed by collecting a part of the first connection lines and forming a single line.

상기 제1연결선(112)과 제2연결선(114)은 소정의 단자를 가지는 유연성기판(170)에 접속된다.The first connection line 112 and the second connection line 114 are connected to the flexible substrate 170 having a predetermined terminal.

또한, 기판(101), 제1판부재(110), 제2판부재(120), 키베이스(130) 간의 결합은 광학용 투명 접촉제(OCA; Optically Clear Adhesive) 또는 자외선 경화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nding between the substrate 101, the first plate member 110, the second plate member 120, and the key base 130 may be an optically clear adhesive (OCA) or an ultraviolet curing agent. have.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The key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사용자가 키탑으로 사용되는 기판(101)의 상면에 손가락을 터치하면, 유전체인 기판(101)과 제1접촉부(111) 및 제2접촉부(113) 사이에 정전용량이 유도된다. 구체적으로는 터치 패드 구동수단은, 4개의 가로축 중에서 어느 가로축 상에 터치가 되었는지를 인식하고, 또한 세로축 중에서 어느 세로축 상에 터치가 되었는지를 인식한다.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축인지가 구분되면, 각각의 교점에 해당되는 위치에 손가락이 터치되었는지를 인식하여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First, when a user touches a finger on an upper surface of a substrate 101 used as a keytop, capacitance is induced between the substrate 101, which is a dielectric,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111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113. Specifically, the touch pad driving means recognizes on which of the four horizontal axes the touch has been made, and also recognizes on which of the vertical axes the touch has been made. If one of the horizontal axis and the vertical axis is distinguished, it recognizes whether a finger touche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intersection and performs a predetermined function.

이러한 키입력장치에서는 하나의 판부재의 한면 상에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를 모두 함께 배치시켜 놓았기 때문에, 그 판부재의 하면에 소정의 그라운드 패턴등이 포함된 판부재를 부착시키는 경우에 별도의 코팅층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어 전체적인 두께 및 제조비용등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In such a key input device, since both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are disposed together on one surface of one plate member, the plate member including a predetermined ground pattern or the like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member. There is no need to form a separate coating layer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overall thickness and manufacturing costs.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그라운드 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휴대폰 등의 배면을 손바닥 또는 손가락 등으로 받치고, 다른 손으로는 터치를 수행하는 경우에 그 배면 측의 손가락 또는 손바닥으로 인하여 정전용량의 감지에 이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ground pattern is formed,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or the like is supported by the palm or the finger, and when the touch is performed by the other hand, the finger or the palm on the back side is abnormal for detecting the capacitance. This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한편, 종래기술에서는 투명판의 상하면에 각각 가로축 회로패턴과 세로축 회로패턴을 형성하여 놓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와 같이 그라운드 패턴을 On the other hand, in the prior art, since the horizontal axis circuit pattern and the vertical axis circuit pattern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ransparent plate, the ground pattern is forme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는 도 7 내지 9에 도시되었으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A key in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in FIGS. 7 to 9, specifically as follows.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판부재에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를 형성시켰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접촉부는 제1판부재에 형성시켰으나, 제2접촉부와 그라운드 패턴은 제2판부재에 형성시켰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are formed on the first plate memb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ontact portion is formed on the first plate member, but the second contact portion and the ground pattern are formed on the second plate member. I was.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판부재(110)는, 상기 기판(101)의 하측에 배치되며, 각각의 가로축과 세로축 상에 복수의 제1접촉부가 상기 문자 또는 숫자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제1판부재(110)에는 상기 제1접촉부(111)를 상기 터치 패드 구동장치로 연결하며 가로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세로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1연결선(112)이 형성되며, 각각의 제1연결선(112)은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제1접촉 부(111)들과 접속된다.In detail, the first plate member 110 is disposed below the substrate 101 and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etters or numbers on each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xes. The first plate member 1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lines 112 connect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111 to the touch pad driving device and extending in the horizontal axis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axis direction. The connection line 112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s 111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2판부재(120)는, 상기 제1판부재(110)의 하측에 배치되며, 각각의 가로축과 세로축 상에 상기 문자 또는 숫자와 대응되는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제2접촉부 (113)및 상기 제2접촉부(113) 이외의 영역에 상기 제1접촉부(111)와 대응되는 영역을 덮도록 배치된 그라운드 패턴(121)이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2판부재(120)에는 상기 제2접촉부(113)를 상기 터치 패드 구동장치로 연결하며 가로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세로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2연결선(114)이 형성되며, 각각의 제2연결선(114)은 세로방향으로 배열된 제2접촉부(113)들과 접속된다. The second plate member 120 is disposed below the first plate member 11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arts 113 disposed on the horizontal axis and the vertical axis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letter or number. The ground pattern 121 is disposed in an area other than the second contact part 113 to cover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act part 111. In addition, the second plate member 12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lines 114 connecting the second contact portion 113 to the touch pad driving device and extending in the horizontal axis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axis direction. The second connection line 114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portion 113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작용 및 효과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겠다.Operations and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similar to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제1판부재(110) 및 제2판부재(120)를 모두 유연성 필름의 소재로 형성한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판부재(120)를 단단한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진 키베이스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first plate member 110 and the second plate member 120 are both formed of a flexible film,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illustrated in FIG.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second plate member 120 with a key base made of a hard synthetic resin material.

위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키입력장치에 대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key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Belong.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키입력장치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 key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은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키입력장치를 도시한 도면.2 is a view showing a key in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key input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의 분리도면.4 to 6 are separated views of a key input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의 분리도면.7 to 9 are separated views of a key in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key in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Drawings>

100...키입력장치 101...기판100 ... Key Input Device 101 ... Substrate

110...제1판부재 111...제1접촉부110 First plate member 111 First contact portion

112...제1연결선 113...제2접촉부112 ... 1st connection line 113 ... 2nd contact part

114...제2연결선 120...제2판부재114.2nd connection line 120 ... 2nd plate member

121... 그라운드 패턴 130...키베이스121 ... ground pattern 130 ... keybase

170...유연성 회로기판170.Flexible Circuit Board

Claims (10)

소정의 문자 또는 숫자가 복수의 가로축과 세로축으로 이루어진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투명소재의 기판과,A transparent material substrate having a predetermined letter or number formed in a matrix having a plurality of horizontal and vertical axes; 상기 기판의 하측에 배치되며, 각각의 가로축과 세로축 상에 복수의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가 상기 문자 또는 숫자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판부재와,A first plate member disposed below the substrate, the first plate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formed on the horizontal axis and the vertical axis to correspond to the letter or number; 상기 제1판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며, 그라운드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제2판부재를 포함하는 터치 패드; 및A touch pad disposed under the first plate member and including a second plate member having a ground pattern formed thereon; And 인체와 같은 정전용량을 갖는 물체가 기판 상면의 소정 위치상에 접촉되는 경우에는 가로축과 세로축을 스캐닝하면서 그 교점을 터치위치로 판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치 패드 구동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When an object having a capacitance, such as a human body, is in contact with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tou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so as to determine the intersection point as the touch position while scanning the horizontal axis and the vertical axis. Key input device comprising a pad driv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어느 한 문자 또는 숫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는 서로 간의 겹치지 않도록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Wherein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letters or numbe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판부재에는 상기 제2접촉부를 상기 터치 패드 구동장치로 연결하며 세로축방향으로 연장되며 가로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2연결선이 형성되며, 각각의 연결선은 세로축방향으로 배열된 접촉부들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The first plate member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wo connecting lines connecting the second contact portion to the touch pad driving device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axis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axis direction, each connecting line being connected to the contact portions arranged in the vertical axis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key input devic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1판부재에는 상기 제1접촉부를 상기 터치 패드 구동장치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2연결선이 형성되며, 각각의 제2연결선은 각각의 제1접촉부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The first plate memb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lines for connect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to the touch pad driving device, each second connection line is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소정의 문자 또는 숫자가 복수의 가로축과 세로축으로 이루어진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투명소재의 기판과,A transparent material substrate having a predetermined letter or number formed in a matrix having a plurality of horizontal and vertical axes; 상기 기판의 하측에 배치되며, 각각의 가로축과 세로축 상에 복수의 제1접촉부가 상기 문자 또는 숫자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판부재와,A first plate member disposed below the substrate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contact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letters or numbers on each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xes; 상기 제1판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며, 각각의 가로축과 세로축 상에 상기 문자 또는 숫자와 대응되는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제2접촉부 및 상기 제2접촉부 이외의 영역에 상기 제1접촉부와 대응되는 영역을 덮도록 배치된 그라운드 패턴이 포함되어 있는는 제2판부재를 포함하는 터치 패드; 및A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arts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first plate member and arrang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letter or number on each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xes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act part in an area other than the second contact part; A touch pad including a second plate member including a ground pattern disposed to cover an area; And 인체와 같은 정전용량을 갖는 물체가 기판 상면의 소정 위치상에 접촉되는 경우에는 가로축과 세로축을 스캐닝하면서 그 교점을 터치위치로 판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치 패드 구동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When an object having a capacitance, such as a human body, is in contact with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tou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so as to determine the intersection point as the touch position while scanning the horizontal axis and the vertical axis. Key input device comprising a pad driving devic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판부재에는 상기 제1접촉부를 상기 터치 패드 구동장치로 연결하며 가로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세로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1연결선이 형성되며, 각각의 제1연결선은 가로축방향으로 배열된 제1접촉부들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The first plate memb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ne connecting lines connecting the first contact unit to the touch pad driving device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axis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vertical axis direction, each of the first connecting lines being arranged in a horizontal axis direction. Key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one contact.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2판부재에는 상기 제2접촉부를 상기 터치 패드 구동장치로 연결하며 가로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세로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2연결선이 형성되며, 각각의 제2연결선은 세로축방향으로 배열된 제2접촉부들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The second plate member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lines connecting the second contact portion to the touch pad driving device and extending in the horizontal axis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axis direction, and each second connection line is arranged in the vertical axis direction. Key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상기 그라운드 패턴은 격자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The ground pattern is a touch pa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lattice form.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상기 제1판부재 및 제2판부재는 유연성 필름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판부재의 하측에는 단단한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진 키베이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plate member is made of a flexible film material,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plate member is a touch pad, characterized in that a key base made of a rigid synthetic resin material is formed.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상기 제1판부재는 유연성 필름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판부재는 단단한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Wherein the first plate member is made of a flexible film material and the second plate member is made of a hard synthetic resin material.
KR1020090035173A 2009-04-22 2009-04-22 Key input device KR1010502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173A KR101050272B1 (en) 2009-04-22 2009-04-22 Key inpu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173A KR101050272B1 (en) 2009-04-22 2009-04-22 Key inpu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453A true KR20100116453A (en) 2010-11-01
KR101050272B1 KR101050272B1 (en) 2011-07-19

Family

ID=43403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173A KR101050272B1 (en) 2009-04-22 2009-04-22 Key inpu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272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730B1 (en) * 2007-03-05 2009-02-26 (주)멜파스 Touch location sensing pannel having a simple layer structure
KR100772676B1 (en) * 2007-07-04 2007-11-02 주식회사 이에스에스디 A plain touch switch
JP2009026151A (en) * 2007-07-20 2009-02-05 Sony Corp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0272B1 (en) 201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7738B1 (en) Electronic device and touch panel arrangement method of the same
KR100628265B1 (en) Touch Panel in Resistive Type
CN102707831B (en) Touch pad and the touch-screen with this touch pad
CN103513842B (en) Touch panel
US7940251B2 (en) Input device
CN203386194U (en) Electrode and window integrated touch screen panel and touch screen display device
US8289296B2 (en) Touch screen panel
CN100403243C (en) Digital resistance type contact panel
US20070242054A1 (en) Light transmission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519381B2 (en) Electrostatic capacity type touch screen panel
US20120146921A1 (en) Touch screen panel
US20110157065A1 (en) Touch pane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090096762A1 (en) Input device, display device with input func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8217784A (en) Touch panel
CN103246414A (en) Touch pane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080110158A (en) Capacitive touch panel and keypad-integrated tele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JP2011048541A (en) Touch panel-equipped display device
US7180505B2 (en) Touch panel for display device
GB2559575A (en) Touch sensor
EP2541381B1 (en) Input device, displa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KR20140057047A (en) Touch screen panel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262553B1 (en) Touch panel
KR101415585B1 (en) Touch window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ed of the touch window
KR20090019881A (en) Capacitive touch panel and keypad-integrated tele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KR20120039884A (en) Touch screen panel and fabricating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