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6124A - 컴퓨터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영상통화에서의 원격 신원확인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컴퓨터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영상통화에서의 원격 신원확인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6124A
KR20100116124A KR1020100034776A KR20100034776A KR20100116124A KR 20100116124 A KR20100116124 A KR 20100116124A KR 1020100034776 A KR1020100034776 A KR 1020100034776A KR 20100034776 A KR20100034776 A KR 20100034776A KR 20100116124 A KR20100116124 A KR 20100116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dentity
video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환
Original Assignee
신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환 filed Critical 신성환
Publication of KR20100116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1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05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by remotely controlling device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영상통화에서의 원격 신원확인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격지에서 신원확인요청자가 동영상 촬영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인증서버를 이용하여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인증서버가 실시간 영상통화할 수 있도록 통신채널이 열리고, 통화되는 영상이 실제 영상임이 확인되는 영상통화단계와; 영상통화중 선택버튼이 활성화되면, 제어부가 영상처리부를 제어하여 영상통화중인 영상중에서 특정 부분을 프레임 단위로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을 화상전환부로 하여금 사진정보로 전환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노드생성부를 통해 얻어진 사진정보에 노드를 생성하게 하여 비교지점을 만드는 인증개시단계와; 상기 인증개시단계 후 제어부는 신원관리DB로부터 신원확인요청자의 인증에 필요한 정보(얼굴 혹은 손금) 정보를 불러와 비교판단부로 하여금 노드의 일치여부를 확인케 하는 인증확인단계와; 상기 인증확인단계 후 제어부가 비교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로 '거부' 또는 '승인' 메시지를 문자형태로 전송하는 인증종료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영상통화에서의 원격 신원확인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고 용이하면서 비교적 정확하게 신원을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이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원격지에서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특별한 장비없이도 신원확인이 가능하여 시설물 이용이나 관공서, 은행 등에서 업무처리의 효율성도 확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컴퓨터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영상통화에서의 원격 신원확인방법 및 장치{THE REMOTE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VIDEO PHONE CALL BETWEEN COMPUTER AND MOBILE PHONE}
본 발명은 컴퓨터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영상통화에서의 원격 신원확인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지에서 이동통신단말기로 실시간 영상통화를 통해 특정 인체영상(주로 손금)을 컴퓨터로 전송하고 이를 분석하여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컴퓨터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영상통화에서의 원격 신원확인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신원확인 절차는 텍스트 기반의 인적사항에 의한 개인 신원증명 및 확인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이명/차명에 의한 시도나 위조, 변조 가능성 때문에 신뢰성이 매우 떨어졌다.
이후, 지금까지 대부분의 신원확인 절차는 주로 ID카드에 수록된 개인정보(주민등록번호 등)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ID카드 도용이나 절취에 따른 복제 가능성이 열려 있고, 또한 항상 소지하고 다녀야 하므로 불편할 뿐만 아니라 분실의 위험도 높았다.
이에, 최근의 비약적인 컴퓨터, 통신기술의 발전과 함께 신체의 고유한 특징을 분석하는 생체인식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지문, 홍채, 정맥, 얼굴 등의 인식 기술과 접목된 신원확인 기술들이 다양한 형태로 개시되고 있다.
일 예로, 공개특허 제2009-0018099호에는 생체측정학적 인식방법(biometric recognition), 특히 홍채 인식에 의한 신원확인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건물 또는 기계와 같은 시설물을 보호하거나, 신분증 카드의 발행, 연금 지불 등의 권리 인허가를 득하는 데에 사용됨으로써 도난이나 위조의 위험이 없고, 서로 다른 두 사람이 동일한 생체측정학적 특성을 가질 확률은 거의 '0'에 가깝기 때문에 이 기술을 통해 보안을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되었다.
다른 예로, 등록특허 제0927589호에는 다중생체, 즉 지문, 얼굴, 홍채, 정맥, 등에 대한 단일 생체검색 결과들을 복합적으로 인식하여 신원을 확인함으로써 오류를 줄이고, 더욱 정확하고 정밀한 신원확인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들 수 있다.
또다른 예로, 공개특허 제2004-0073824호에는 화상카메라를 이용하여 출입자의 영상을 얻고, 이를 통해 범죄 발생시 범죄자를 탐색하거나 색출해 낼 수 있도록 활용되는 기술도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신체 특징 중 지문인식의 경우에는 지문이 없거나 지문을 인증하기 곤란할 경우도 발생되며, 통계에 따르면 그런 경우가 전국민의 3%에 이른다고 하니 정확성이나 신뢰성 측면에서 많은 문제가 있다.
또한, 홍채나 정맥, 얼굴 등의 영상정보를 정확하게 취득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장비가 요구되며, 설치 위치도 제약을 받게 되어 있어 사용상 불편함이 가중되고, 정확한 정보 취득이 어려울 경우 신원확인이 불가하며, 신원확인을 위한 정보 취득에 시간을 낭비해야 하는 불편이 따랐다.
뿐만 아니라, 원격지에서 신원확인시 장소적 제약은 사용 기피 현상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화상카메라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주로 CCTV를 활용하는 예가 그것인데, 장비 설치에 따른 비용 증대는 물론 그것의 유지 보수에 따른 불편과 문제, 설치 개소의 제약에 따른 범용성 결여 등 상당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다른 예로, 공개특허 제2002-0039049호에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지문 인식기술을 결합하여 원격지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공간적 제약을 최소화하면서 비용도 절감하려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으나, 이는 지문 인식에 필요한 별도의 모듈을 탑재해야 하므로 호환성과 범용성이 떨어지고 구매 비용이 상승하며, 지문 인식기술 자체가 앞서 설명하였듯이 정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효용성이 낮고, 나아가 개시 기술 차체의 구성이 구체적이지 않아 당해 분야에 존재하고 있는 상술한 문제점들을 여전히 해결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 단점, 한계점 등을 감안하여 이를 효과있게 해결하면서 상당한 정확성을 유지하면서 최대한 사용자 측면에서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거의 생활필수품처럼 여겨지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되 별도의 생체 인식을 위한 모듈의 추가없이 기본으로 탑재되는 촬상용 카메라를 통해 영상통화를 시도하고, 인증서버의 컴퓨로 실시간 영상을 DB정보와 비교분석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원격지에서도 용이하고 정확하며 편리하게 신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컴퓨터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영상통화에서의 원격 신원확인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원격지에서 신원확인요청자가 동영상 촬영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인증서버를 이용하여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인증서버가 실시간 영상통화할 수 있도록 통신채널이 열리고, 통화되는 영상이 실제 영상임이 확인되는 영상통화단계와; 영상통화중 선택버튼이 활성화되면, 제어부가 영상처리부를 제어하여 영상통화중인 영상중에서 특정 부분을 프레임 단위로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을 화상전환부로 하여금 사진정보로 전환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노드생성부를 통해 얻어진 사진정보에 노드를 생성하게 하여 비교지점을 만드는 인증개시단계와; 상기 인증개시단계 후 제어부는 신원관리DB로부터 신원확인요청자의 인증에 필요한 정보(얼굴 혹은 손금) 정보를 불러와 비교판단부로 하여금 노드의 일치여부를 확인케 하는 인증확인단계와; 상기 인증확인단계 후 제어부가 비교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로 '거부' 또는 '승인' 메시지를 문자형태로 전송하는 인증종료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영상통화에서의 원격 신원확인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인증개시단계에서, 추출된 화상은 신원관리DB에 저장되어 있는 등록화상과 크기가 일치되게 조절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 신원확인요청자가 동영상 촬영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인증서버를 이용하여 신원을 확인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증서버는, 메인 처리프로세서인 제어부와; 개인 정보 및 손금 또는 얼굴 형상 정보가 수록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수록된 정보가 갱신, 삭제, 등록 방식으로 관리되는 신원관리DB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실시간 영상통화할 수 있도록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통화중인 영상정보로부터 특정 영상을 특정 프레임으로 추출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추출된 프레임을 사진으로 전환하는 화상전환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진정보중 특정지점을 노드로 설정하여 비교 부위를 확정하는 노드생성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생성된 노드와 상기 신원관리DB에 저장된 비교 화상을 서로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영상통화에서의 원격 신원확인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고 용이하면서 비교적 정확하게 신원을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이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원격지에서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특별한 장비없이도 신원확인이 가능하여 시설물 이용이나 관공서, 은행 등에서 업무처리의 효율성도 확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영상통화에서의 원격 신원확인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영상통화에서의 원격 신원확인방법을 보인 플로우챠트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영상통화에서의 원격 신원확인방법의 구현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 신원확인 절차가 필요할 경우 신원확인을 요구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소유자가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원격지에 있는 컴퓨터, 즉 인증서버와 영상통화를 시도하고, 통신채널이 연결되면 실시간 영상통화하면서 특정 신체영상, 이를테면 손금영상을 실시간 전송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신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주된 인체영상은 얼굴 또는 손금이 바람직한데, 이는 형상이 크고 뚜렷하여 외부 조명 등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며, 또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된 플래쉬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어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고, 지문처럼 복잡하지 않아 신원확인시 절차가 단순하고 빠르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이동통신단말기와 영상통화되는 컴퓨터는 설명의 편의상 "컴퓨터"라고 통칭하여 표현한 것 뿐이고, 사실상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서버로서 보통 공공기관의 신상정보DB를 갖춘 서버 시스템이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영상통화"란 이해를 돕기 위해 쉬운 표현으로 기술한 것 뿐이며, 사실상 영상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것, 다시 말해 영상통신의 개념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영상통화에서의 원격 신원확인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도 1과 같은 구성이 요구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100) 및 이와 영상통화가 가능한 인증서버(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신원확인을 원하는 사람(이하 '신원확인요청자'라 함)이 소지하며,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탑재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 경우, 너무 낮은 해상도를 가질 경우에는 판별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현재 시중에 보편화되어 있는 1.2메가픽셀(120만 화소) 이상이면 모두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와 인증서버(20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며, 실시간 촬영된 영상정보를 데이터로 송수신하는 형태로 처리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기공지되어 있는 화상(사진)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영상(동영상) 정보, 즉 실시간 영상정보를 사용하는 것에 큰 특징이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아직까지 개시된 바 없을 뿐만 아니라 화상은 촬상조건에 따라 선명도가 다르고, 흔들림 등에 의해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한번 송신한 정보가 정확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을 경우 재촬상 후 재송부하고 단계를 다시 거쳐야 하므로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매우 불리하지만 영상정보는 다소 부정확하고 선명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일정시간 동안 촬영된 것이므로 그 영상정보 안에는 선명하고 정확한 정보가 반드시 포함되기 때문에 이 정보를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신원확인시 부정확성을 극소화시키고 신속하면서도 간편 용이하게 신원확인 절차를 밟을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측면에서 편의성을 최대한 고려한 개념이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서는 실시간 영상통화를 핵심 개념으로 삼고 있는데, 이는 저장된 영상이나 저장된 화상 등은 위,변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반드시 실시간 영상이어야 하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 인증서버(200)에서는 실시간 영상임을 확인할 수 있는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TV나 사진인물 등을 동영상 형태로 촬영하여 이를 위,변조하거나 도용할 수 있으므로 이것은 엄격히 배제되어야 한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인증서버(200)에 근무하는 운용자(신원확인자), 즉 인증기관 직원이 영상통화시 특정 행위를 지시하고 신원확인요청자가 그 지시에 따른 행위를 함으로써 간편하게 실시간 영상(실제 인물=본인 확인)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에서는 영상통화가 실시간 영상임이 반드시 전제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인증서버(200)는 제어부(210)를 포함하고, 보통 관공서 등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은행이나 대학 등 용도에 따라 필요한 부분으로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서, 상기 인증서버(200)의 구성 전부를 제어하며, 기본적으로 내부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10)에는 무선통신부(220), 영상처리부(230), 화상전환부(240), 노드생성부(250), 비교판단부(260), 신원조회부(270), 신원관리DB(280) 및 입출력부(290)가 연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통신부(22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와 무선통신할 수 있도록 통신채널을 구성하는 일종의 안테나이며, 이동통신망을 통해 기지국을 경유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와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통화를 비롯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준다.
아울러, 상기 영상처리부(230)는 필요에 따라 신원확인요청자의 실시간 영상통화 영상중 특정 영상을 추출하는 처리부로서, 본 발명에서는 신원확인요청자와 컴퓨터 간의 실시간 영상통화가 저장되지 않고 휘발성 정보로만 활용된다.
한편, 상기 화상전환부(240)는 캡쳐 기능으로서 상기 영상처리부(230)가 처리한 특정 프레임을 캡쳐하여 사진으로 전환하는 처리부로서, 기본적으로는 저장기능을 가질 필요가 없지만 히스토리 및 근거자료 확인을 위해 필요한 경우 캡쳐된 화상(사진)을 저장하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기술의 발전으로 속도에 지장이 없는 한, 신원확인 요청자의 얼굴을 모자이크하여 전체 통화 동영상 기록을 저장 후, 교육용 모니터 자료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인체특징 중 손금 또는 얼굴 형상을 신원확인 수단으로 채택하고 있으므로 이들의 영상정보중 특정 프레임에 포함된 영상정보를 화상정보로 전환하게 된다.
따라서, 영상정보에 포함된 손금 또는 얼굴 형상중 가장 선명하고 깨끗하고 정확도가 높은 영상을 선택하여 화상으로 전환하여 저장할 수 있게 되므로 신원확인불가와 같은 오류가 극소화된다.
여기에서, 수신된 영상정보 중에서 선명한 영상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은 COF(Chip On Film)이나 FPCB(Flexible Printed Circuits Board)를 포함한 반도체 등과 같은 제품 제조분야에서 3차원 영상판독기를 사용하여 외관 품위를 검사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노드생성부(250)는 신원 확인을 위해 비교의 포인트가 되는 특정부위, 즉 분명한 비교우위를 점할 수 있는 특정지점을 노드(Node)로 설정하여 이 노드의 비교를 통해 일치여부를 빠르고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또한, 상기 비교판단부(260)는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앞서 설명된 노드생성부(250)에 의해 생성된 노드들을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아울러, 신원조회부(270)는 불법 사용을 막고, 정보 노출이나 위,변조 등을 막아 이중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ID(예. 주민등록번호)를 통해 미리 신원확인요청자의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신원조회부(270)는 제어부(210)의 제어하에 신원관리DB(280)를 통해 신원을 조회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신원관리DB(280)는 신원요청을 원하는 자들의 신원을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이를 테면 관공서일 경우 대한민국 국민의 개별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고, 은행일 경우에는 가맹 혹은 회원들의 개별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며, 이와 같이 필요로 하는 분야에서 그에 가맹되거나 회원가입된 회원들의 개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신원관리DB(280)에는 개별 특정신체 정보, 본 발명에서는 손금 또는 얼굴 형상 정보가 화상정보로 미리 등록되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입출력부(290)는 인증서버(200)의 관리를 위한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력부와, 필요한 정보를 화면 혹은 종이나 USB 등의 저장매체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신원확인요청자가 신원확인을 요청할 때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신원을 확인하고 인증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인증서버(200)의 신원관리DB(280)에는 이미 신원확인요청자가 신원확인 절차를 밟을 수 있도록 개인 정보가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신원확인요청자가 이동통신단말기(100)를 통해 인증서버(200)와 영상통화(화상통화)를 요청하고, 이것이 수락되어 영상통화 채널이 열려 실시간 영상통화가 시작된 경우 인증서버(200) 운용자(신원확인자)가 컴퓨터로 전송된 실시간 영상정보를 신원관리DB(280)에 수록된 해당 신원확인요청자와 직접 비교함으로써 간단히 인증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는 운용자(신원확인자)에게 부여된 권한내에서 이루어지는 비교적 보안성이 낮은 업무에 활용될 수 있으며, 가장 간단한 방식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사람의 행위를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대상이 되지 못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방식을 통해 인증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영상통화단계(S100)가 수행된다.
상기 영상통화단계(S100)는 신원확인요청자가 소지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카메라를 통해 신원확인요청자의 개인 신상정보(예. 주민등록번호)가 인증서버(200)에서 확인된 상태에서 실시간 영상통화를 통해 통화자가 실제 본인이 맞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첫번째 단계이다.
이 경우, 개인 신상정보는 신원조회부(270)를 통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 단계에서는 통화로가 구축된 상태에서 개인 신상정보 입력을 통해 확인하고, 그 상태에서 영상통화가 시도되어 상호 영상통화 가능하도록 통신채널이 형성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이때 해당 영상이 실제 실시간 영상인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운용자(신원확인자)가 직접 확인할 수도 있고, 알고리즘화된 비교모듈 등을 통해 자동적으로 확인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것 자체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이것을 전제로 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인증절차, 즉 인증방법에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 인증개시단계(S110)가 수행된다.
상기 인증개시단계(S110)는 인증확인이 필요할 때 인증개시단계(S110)로 돌입할 수 있도록 할당된 선택버튼이 활성화되면 이 신호를 기점으로 컴퓨터에 의한 자동 인증절차가 시작되는 단계이다.
예컨대, 운용자(신원확인자)가 인증절차를 시작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될 때 인증을 위한 선택버튼을 누를 수 있고, 이 선택버튼이 눌렸을 경우 인증개시단계(S110)가 시작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인증개시단계(S110)가 진행되면 제어부(210)는 영상처리부(220)를 제어하여 영상통화중인 영상중에서 특정 부분을 프레임 단위로 추출하고, 이렇게 추출된 영상을 화상전환부(230)로 하여금 사진정보, 즉 화상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210)는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상기 화상전환부(230)를 통해 얻어진 화상을 노드생성부(240)로 하여금 스캔한 다음 특징적인 부분에 노드(Node)를 생성하게 하여 비교지점을 만들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영상통화중인 실시간 영상정보로부터 사진정보가 추출되고, 추출된 사진정보에 노드가 생성되면 인증확인단계(S120)가 수행된다.
상기 인증확인단계(S120)는 상기 제어부(210)가 신원관리DB(280)로부터 신원확인요청자의 인증에 필요한 정보, 즉 얼굴 혹은 손금(여기서는 손금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함) 정보를 불러와 비교판단부(260)로 하여금 노드의 일치여부를 확인케하는 단계로서, 이 단계를 통해 인증 여부가 최종 결정된다.
이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된 화상은 비교 대상이 되는 신원관리DB(280)에 저장된 비교용 화상과 크기가 갖게 처리되거나 혹은 추출된 화상 크기에 맞도록 상기 신원관리DB(280)에 저장된 비교용 화상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증확인단계(S120)에서 사용되는 비교 분석툴 혹은 알고리즘은 지문이나 홍채 인식 등에서 사용되는 방식을 그대로 전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비교가 완료되면 인증여부에 따라 허가 혹은 불가를 결정하고 안내하는 인증종료단계(S130)가 수행된다.
상기 인증종료단계(S130)는 비교판단부(260)의 판단결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210)는 인증을 불허하는 '거부' 메시지를 이동통신단말기(100)로 문자형태로 전송하고, 일치할 경우에는 인증을 허락하는 '승인' 메시지를 문자형태로 전송하여 신원확인요청자가 요청한 신원확인에 대한 결과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단계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신원인증 절차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진행흐름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순차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설명된 단계들이 통합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동통신단말기(100)를 통한 실시간 영상통화를 통해 신원확인을 더욱 쉽고 정확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안전하고, 위조나 도용, 변조 등의 우려를 극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100 : 이동통신단말기 200 : 인증서버
210 : 제어부 220 : 무선통신부
230 : 영상처리부 240 : 화상전환부
250 : 노드생성부 260 : 비교판단부
270 : 신원조회부 280 : 신원관리DB
290 : 입출력부

Claims (3)

  1. 원격지에서 신원확인요청자가 동영상 촬영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인증서버를 이용하여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인증서버가 실시간 영상통화할 수 있도록 통신채널이 열리고, 통화되는 영상이 실제 영상임이 확인되는 영상통화단계와;
    영상통화중 선택버튼이 활성화되면, 제어부가 영상처리부를 제어하여 영상통화중인 영상중에서 특정 부분을 프레임 단위로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을 화상전환부로 하여금 사진정보로 전환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노드생성부를 통해 얻어진 사진정보에 노드를 생성하게 하여 비교지점을 만드는 인증개시단계와;
    상기 인증개시단계 후 제어부는 신원관리DB로부터 신원확인요청자의 인증에 필요한 정보(얼굴 혹은 손금) 정보를 불러와 비교판단부로 하여금 노드의 일치여부를 확인케 하는 인증확인단계와;
    상기 인증확인단계 후 제어부가 비교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로 '거부' 또는 '승인' 메시지를 문자형태로 전송하는 인증종료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영상통화에서의 원격 신원확인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증개시단계에서, 추출된 화상은 신원관리DB에 저장되어 있는 등록화상과 크기가 일치되게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영상통화에서의 원격 신원확인방법.
  3. 원격지에서 신원확인요청자가 동영상 촬영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인증서버를 이용하여 신원을 확인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증서버는,
    메인 처리프로세서인 제어부와;
    개인 정보 및 손금 또는 얼굴 형상 정보가 수록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수록된 정보가 갱신, 삭제, 등록 방식으로 관리되는 신원관리DB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실시간 영상통화할 수 있도록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통화중인 영상정보로부터 특정 영상을 특정 프레임으로 추출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추출된 프레임을 사진으로 전환하는 화상전환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진정보중 특정지점을 노드로 설정하여 비교 부위를 확정하는 노드생성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생성된 노드와 상기 신원관리DB에 저장된 비교 화상을 서로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영상통화에서의 원격 신원확인장치.
KR1020100034776A 2009-04-21 2010-04-15 컴퓨터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영상통화에서의 원격 신원확인방법 및 장치 KR201001161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34423 2009-04-21
KR1020090034423 2009-04-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124A true KR20100116124A (ko) 2010-10-29

Family

ID=43134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776A KR20100116124A (ko) 2009-04-21 2010-04-15 컴퓨터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영상통화에서의 원격 신원확인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612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592B1 (ko) * 2019-04-11 2020-02-21 주식회사 아바트립 원격 대리 업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KR20220045753A (ko) * 2020-10-06 2022-04-13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음성을 이용한 안면 검출 방법
CN114640488A (zh) * 2020-12-16 2022-06-17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信息传输方法、装置及网络侧设备
KR102532234B1 (ko) 2022-10-31 2023-05-15 오성시스템 주식회사 선거용 본인 확인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592B1 (ko) * 2019-04-11 2020-02-21 주식회사 아바트립 원격 대리 업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KR20220045753A (ko) * 2020-10-06 2022-04-13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음성을 이용한 안면 검출 방법
WO2022075702A1 (ko) * 2020-10-06 2022-04-14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음성을 이용한 안면 검출 방법
CN114640488A (zh) * 2020-12-16 2022-06-17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信息传输方法、装置及网络侧设备
KR102532234B1 (ko) 2022-10-31 2023-05-15 오성시스템 주식회사 선거용 본인 확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90033B2 (ja) 虹彩イメージを用いたセキュリティの強化された施錠装置
US20030135764A1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apparatus having fingerprint verification capabilities thereof
JP2003317100A (ja) 情報端末装置、認証システム、及び登録・認証方法
US11245707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2243963B1 (ko) 안면 인식을 이용한 근태 관리 시스템
JP2006235718A (ja) 顔認証装置、その顔認証方法、その顔認証装置を組み込んだ電子機器およびその顔認証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7056194B2 (ja) 情報処理装置
KR20180092775A (ko) 본인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KR102153880B1 (ko) 사무실에서의 얼굴 인증을 통한 입실과 퇴실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입실과 퇴실 관리방법
CN111831995A (zh) 一种基于eID和人体生物信息的可信身份认证方法和系统
JP6707702B1 (ja) ユーザ認証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00116124A (ko) 컴퓨터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영상통화에서의 원격 신원확인방법 및 장치
KR100705164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등록 시스템 및 방법
WO2018137309A1 (zh) 一种无线通信处理方法及装置
JP2007233609A (ja) 認証装置、認証システムおよび認証方法
JP2007233787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キーロック解除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7516371B (zh) 验证识别方法及酒店智能卡系统
KR102180719B1 (ko) 비대면 계좌 개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계좌 개설 방법
US200803018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virtual private network using multi-layered permissions-based access control
JP6578080B1 (ja) 証明書認定システム、証明書認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71001B2 (ja) インターホン装置
KR101751175B1 (ko) 온라인 신분증 확인, 안면 인증 및 음성 인증을 활용한 생체정보 등록 방법 및 시스템
US10387634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 person using biometric data
KR102392147B1 (ko) 대면 인증과 비대면 인증의 융합 방법
KR100711863B1 (ko) 본인 확인 기능을 가진 무인 단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