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5547A - 컨텐츠 주밍 방법과 그를 위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컨텐츠 주밍 방법과 그를 위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5547A
KR20100115547A KR1020090034176A KR20090034176A KR20100115547A KR 20100115547 A KR20100115547 A KR 20100115547A KR 1020090034176 A KR1020090034176 A KR 1020090034176A KR 20090034176 A KR20090034176 A KR 20090034176A KR 20100115547 A KR20100115547 A KR 20100115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group
objects
screen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4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5547A/ko
Publication of KR20100115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5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주밍 방법과 그를 위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며,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 스크린; 및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기본 객체 수 만큼 나타낸 상태에서 주밍(Zooming) 명령이 발생한 경우, 상기 주밍 명령에 근거하여 객체 수를 조절하는 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많은 양의 컨텐츠 중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특정 컨텐츠를 손쉽게 검색하고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주밍, 컨텐츠, 썸네일, 실행

Description

컨텐츠 주밍 방법과 그를 위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Method for Zooming Contents, Touch Scree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본 발명은 컨텐츠 주밍 방법과 그를 위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서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나타내며, 사용자가 입력한 주밍 명령에 근거하여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객체 수를 조절함으로써, 수많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빠르게 검색 및 실행할 수 있도록 하며, 컨텐츠 그룹별로 손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주밍 방법과 그를 위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디지털 기기가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 이러한 디지털 기기는 다양한 기능(예컨대, 음성 통화, 동영상 재생, 오디오 재생, 텍스트 출력, 카메라 및 메모 등)들을 포함한 형태로 널리 보급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기기들의 기능적인 변화로 인해, 많은 양의 컨텐츠를 저장하게 되었으며, 사용자들은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수많은 양의 컨텐츠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특정 컨텐츠를 검색하는 데 부담을 안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기기는 수많은 컨텐츠들을 검색 및 실행하기 위해서 복수 개의 페이지로 구현된 리스트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였다.
즉, 사용자는 리스트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특정 컨텐츠를 찾고자 하는 경우 반복적으로 키패드의 방향키(업키 또는 다운키)을 누르거나 복수 개의 페이지들로 이동하기 위한 스크롤바를 스크롤 해야만 했다.
하지만,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를 찾기 위해 스크롤바를 스크롤할 때 잘못된 위치가 클릭되는 실수가 종종 발생할 뿐만 아니라, 키패드를 반복적으로 여러번의 눌러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서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나타내며, 사용자가 입력한 주밍 명령에 근거하여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객체 수를 조절함으로써, 수많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빠르게 검색 및 실행할 수 있도록 하며, 컨텐츠 그룹별로 손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주밍 방법과 그를 위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며,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 스크린; 및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기본 객체 수 만큼 나타낸 상태에서 주밍(Zooming) 명령이 발생한 경우, 상기 주밍 명령에 근거하여 객체 수를 조절하는 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며,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 스크린; 및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기본 객체 수 만큼 나타낸 상태에서 주밍(Zooming) 명령이 발생한 경우, 상기 주밍 명령에 근거하여 복수 개의 그룹 중 상기 기본 객체 수를 나타내는 제 1 그룹과 상기 복수 개의 그룹 중 상기 제 1 그룹을 제외한 제 2 그룹의 객체 수를 조절하는 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터치 스크린에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기본 객체 수 만큼 나타내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표시 단계; 및 주밍(Zooming) 명령이 발생한 경우, 상기 주밍 명령에 근거하여 객체 수를 조절하는 객체 수 조절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주밍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주밍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서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나타내며, 사용자가 입력한 주밍 명령에 근거하여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객체 수를 조절함으로써, 수많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빠르게 검색 및 실행할 수 있도록 하며, 컨텐츠 그룹별로 손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많은 양의 컨텐츠 중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특정 컨텐츠를 손쉽게 검색하고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주밍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화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터치 스크린(220)을 구비한 모든 종류의 단말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서,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이동통신 단말기 및 네비게이션 단말기 등과 같이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모든 종류의 단말기가 될 수 있다.
한편,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가 통신부(230)를 구비한 경우, 통신부(230)를 통해 유무선 통신망과 연동하여 무선 통신으로 통상적인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터치 스크린(220)에 나타내며,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 포커스된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바로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및 음악 등 중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의미하나, 더 넓은 의미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시간에 민감한 데이터(예컨데, 손실 및 딜레이 발생에 민감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즉,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겹치는 형태로 나타내는 인스턴스 플레이어(Instance Player) 뷰 화면(110)을 출력하고,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에 나타난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 포커스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바로 재생되도록 하는 제 1 실행을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겹치는 형태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겹치지 않는 형태로 나열하듯 나타낼 수 있으며, 중앙 포커스된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좌우에 위치한 컨텐츠와 겹치게 않도록 출력하되,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 포커스되지 않은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들만 겹치게 나타나도록 하는 것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 포커스되지 않은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썸네일(Thumbnail) 이미지로 나타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 포커스되지 않은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썸네일 이미지로 나타나는 제 2 실행을 수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썸네일 이미지는 컨텐츠의 실행 화면 중 한 화면을 기 설정된 비율로 축소한 이미지 또는 기 설정된 축소 이미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서, 해당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동영상의 재생 화면 중 한 프레임에 대한 축소 이미지가 될 수 있으며, 해당 컨텐츠가 음악인 경우 기 설정된 축소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에 나타난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 포커스되지 않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썸네일(Thumbnail) 이미지가 나타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기재된 제 1 실행은 해당 컨텐츠를 바로 실행시키는 동 작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서, 포커스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바로 재생시키는 동작, 음악 컨텐츠인 경우 바로 재생시키는 동작, 이미지 컨텐츠인 경우 전체 화면으로 출력 또는 슬라이드 쇼로 재생시키는 동작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기재된 제 2 실행은 해당 컨텐츠에 대한 축소 이미지, 기본 이미지 및 기 설정된 비율로 축소된 실행 화면 이미지 등등을 썸네일 이미지로 나타내는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기재된 실행은 일반적인 실행을 의미한다. 즉, 멀티미디어 컨텐츠 종류에 따른 실행으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동영상, 음악인 경우, 재생을 의미하며, 이미지 및 텍스트인 경우 전체 화면 출력 또는 슬라이드 쇼 등으로 재생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기본 객체 수 만큼 나타낸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에서 주밍(Zooming) 명령이 발생한 경우, 주밍 명령에 근거하여 객체 수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주밍 명령이란 현재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한 모든 종류의 사용자 명령을 의미한다. 즉, 주밍 명령은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으로 인식될 수 있으며, 주밍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별도의 확대 축소 영역(미도시)을 제공하거나, 별도의 영역 없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220)에 입력된 기 설정된 동작으로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220)에 위치를 터치한 상태에서 두 터치 위치를 바깥쪽으로 벌리며 이동시키는 경우, 주밍 명령은 줌 인(Zoom In) 명령으로 인식될 수 있으며, 반대로 사용자가 벌어진 두 터치 위치를 바깥쪽에서 중앙(안쪽)으로 오므리며 이동시키는 경우, 주밍 명령은 줌 아웃(Zoom Out) 명령으로 인식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줌 인 명령과 줌 아웃 명령은 전술한 설명과 같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주밍 명령이 줌 아웃 명령인 경우, 제 1 그룹의 기본 객체 수와 제 2 그룹의 객체 수를 제 1 객체 수 만큼 나타내는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기본 객체 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수를 의미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에서 줌 아웃 명령이 입력되면, 제 1 객체 수를 제 2 객체 수 만큼 추가로 증가시킨 제 2 썸네일 뷰 화면(130)을 나타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 및 제 2 썸네일 뷰 화면(130)에 표시된 각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객체)에 썸네일 이미지가 나타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제 2 객체 수를 나타낸 제 2 썸네일 뷰 화면(130)에서 줌 아웃 명령이 입력되면,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그룹을 리스트 형태로 나타낸 리스트 뷰 화면(140)을 나타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그룹은 관련된 컨텐츠를 하나로 묶은 폴더 또는 디렉토리의 개념으로서, 해당 그룹은 사용자 설정 또는 단말기에 의해 생성 및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컨텐츠 명칭이나 입력 시점 등을 근거로 자동으로 그룹핑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 제 2 썸네일 뷰 화면 및 리스트 뷰 화면(130)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줌 인 명령을 수신하면, 객체 수를 기 설정된 개수 만큼 감소시킨 후 이전 화면이 나타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도 1에서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가 가로에 적합한 화면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가 위치 인식부(미도시)를 구비하여 단말기의 회전 방향, 기울기 또는 움직임을 인식하여 세로로 적합한 화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서, 위치 인식부는 요(Yaw)축과 피치(Pitch)축의 단말기 움직임의 각속도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가 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는 단말기의 상하/좌우로의 회전, 기울기 또는 움직임 등을 인식하기 위해 요축과 피치축 두 방향의 움직임의 각속도를 포착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단말기 제어부(240)는 자이로 센서로부터 포착된 단말기의 움직임 신호에서 높은 주파수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여 원하는 대역만 추출하고, 자이로 신호에서 처리한 신호를 사용하여 단말기의 상하/좌우로의 회전, 기울기 또는 움직임 등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단말기가 세로로 회전한 경우, 단말기 제어부(240)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단말기가 세로로 회전한 것을 인식하여 세 로 모드에 적합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이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단말기가 가로로 회전한 경우, 단말기 제어부(240)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단말기가 가로로 회전한 것을 인식하여 가로 모드에 적합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위치 인식부는 자이로 센서뿐 아니라, 각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기울기 센서(Inclinometer, Tilt Sensor) 및 G 센서(Gravity Sensor) 등의 센서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상하/좌우로의 회전, 기울기 또는 움직임 등을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메모리부(210), 터치 스크린(220), 단말기 제어부(240), 마이크로폰(250), 스피커(252) 및 사용자 명령 입력부(25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가 메모리부(210), 터치 스크린(220) 및 단말기 제어부(240)만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에 키입력부 또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메모리부(210)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를 구동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며, 외부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기본 소 프트웨어 등의 다양한 부가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소프트웨어,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송수신하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프로토콜 소프트웨어 등을 저장하는 저장 수단이다.
메모리부(210)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부(210)는 터치 입력 및 터치 이벤트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터치 스크린(220)은 화면에 나타난 숫자, 문자, 기호 또는 아이콘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전자 펜과 같은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검출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 화면을 말한다.
터치 스크린(220)은 구동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며, 터치 방식으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받아 단말기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의 동작 상태 및 다수의 정보를 아이콘(Icon) 및 문자로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이 적용되는 터치 스크린(220)은 단말기 제어부(240)의 제어하에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 제 1 썸네일 뷰 화면, 제 2 썸네일 뷰 화면, 리스트 뷰 화면(140)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탭핑(Tapping) 이벤트, 드래그(Drag) 이벤트, 플릭킹(Flicking) 이벤트, 프레스(Press) 이벤트 및 해제(Release) 이벤트가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스크린(220)을 통해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들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탭핑 이벤트는 선택된 오브젝트(숫자, 문자, 기호 또는 아이콘 등)을 가볍게 한번 눌렀다 띄는 동작으로서, 일반 PC에서의 마우스의 클릭과 같은 터치 입력을 말한다.
드래그 이벤트는 특정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누른(터치) 상태에서 특정 위치로 이동한 후 띄는 동작으로서, 누른 상태에서 이동된 오브젝트는 이동 방향에 따라 지속적으로 이동한 후 띄는 동작에서 고정된다.
플릭킹 이벤트는 터치 후 특정 방향(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 중 일 방향으로 이동 후 접점이 띄어지는 동작으로서, 플릭킹 이벤트의 동작 방향 및 이동 속도에 따라 특정 동작의 처리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서, 플릭킹 이벤트는 페이지를 넘기는 듯한 동작에 대한 이벤트를 말한다.
프레스 이벤트는 터치 후 접점을 지속적으로 누르고 있는 동작에 대한 이벤트를 말하며, 해제 이벤트는 터치 후 접점이 띄어지는 동작에 대한 이벤트를 말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220)은 단말기의 전원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해 주며, 문자, 숫자, 이미지 등의 형태로 정보가 전달되는 경우에는 이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표시 수단 기능을 겸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220)은 단말기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부(210)에 저장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하는 메시지들을 표시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220)은 전화번호 등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버튼, 문자 입력을 위한 문자 버튼과 메뉴 선택 버튼을 출력하며,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를 사용하는 사용자로부터 키 또는 명령을 입력받는 키 입력 수단을 겸한다.
여기서, 터치 스크린(220)은 일반 모니터의 화면에 터치 판넬(Touch Pannel)이라는 장치를 장착하여 그 기능을 발휘하는 장치로서, 상층부의 필름이 하층부의 글라스와 맞닿은 곳을 터치 입력으로 인식하는 저항막 방식, 터치 표면에 미세한 전류가 흘러 도전체가 스크린을 터치시 전류가 흘러나가는 점을 찾아 터치 입력으로 인식하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스크린 표면에 좌우상하로 눈에 보이지 않는 초음파 및 적외선이 흐르게 하여 화면에 수많은 사각형 격자가 생기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손끝이나 기타 특정 물체로 이 격자에 접촉하면 그 흐름이 방해받는 곳의 포인터를 해석하는 적외선 방식(IR Type) 및 표면 탄성파 방식(SAW Typ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통신부(230)는 유무선 통신망 또는 AP(Access Point) 등을 통해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 처리 수단이다. 한편, 통신부(230)는 무선 랜(LAN), 와이파이(Wi-Fi), 와이맥스(WiMAX) 및 와이브로(WiBro) 등의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처리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신부(230)는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하다.
단말기 제어부(240)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 터치 스크린(220) 또는 통신부(2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부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부(210)에 저장된 각종 소프트웨어를 실행한다.
단말기 제어부(240)는 터치 스크린(220)에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기본 객체 수 만큼 나타낸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에서 주밍 명령이 발생한 경우, 주밍 명령에 근거하여 객체 수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단말기 제어부(240)는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각각의 썸네일 이미지로 나타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단말기 제어부(240)는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 포커스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기준으로 제 1 그룹의 기본 객체 수와 제 2 그룹의 객체 수를 제 1 객체 수 만큼 증가시킨다. 여기서, 단말기 제어부(240)는 포커스를 화면 중앙에 디폴트(Default)로 설정하되, 사용자 설정에 따라 특정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즉, 단말기 제어부(240)는 제 1 그룹의 기본 객체 수를 나타내는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에서 줌 아웃 명령이 발생한 경우, 중앙 포커스를 기준으로 제 1 그룹의 기본 객체 수와 제 2 그룹의 객체 수를 제 1 객체 수 만큼 나타내는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단말기 제어부(240)는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컨텐츠 장르 정보, 컨텐츠 명칭 정보 및 다운로드 시점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근거로 동일 한 정보 별로 그룹핑한 복수 개의 그룹으로 구분하되, 복수 개의 그룹 중 기본 객체 수를 나타내는 제 1 그룹과 복수 개의 그룹 중 제 1 그룹을 제외한 제 2 그룹으로 구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기 제어부(240)는 주밍 명령이 줌 아웃 명령인 경우, 제 1 그룹의 기본 객체 수와 제 2 그룹의 객체 수를 제 1 객체 수 만큼 나타내는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을 나타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서, 단말기 제어부(240)는 하나의 그룹(제 1 그룹)에 속해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으로 나타내고, 이를 탐색하는 중에 줌 아웃 명령이 입력되면,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에 나타낸 컨텐츠의 개수를 증가시켜 표시하되, 증가된 컨텐츠는 하나의 그룹(제 1 그룹)에 속해이 있는 컨텐츠 뿐 아니라 다른 그룹(제 2 그룹)에 속해 있는 컨텐츠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단말기 제어부(240)는 제 1 그룹의 기본 객체 수와 제 2 그룹의 객체 수의 합을 제 1 객체 수 만큼 나타낸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을 표시하는 것이다. 물론,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은 제 1 그룹의 기본 객체 수와 제 2 그룹의 객체 수의 합을 제 1 객체 수 만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제 1 그룹의 기본 객체 수는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에 나타낸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수이므로, 제 1 그룹의 기본 객체 수는 제 2 그룹의 객체 수와 동일하게 증가되어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에 표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에 나타낸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수를 5 개로 가정하고,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에 나타난 제 1 그룹의 기본 객체 수와 제 2 그룹의 객체 수를 각각 6 개로 가정하는 경우,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에서 줌 아웃 명령이 입력되면 제 1 그룹의 기본 객체 수는 1 개가 증가되어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에 나타나는 것이고,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에 나타나지 않았던 제 2 그룹의 객체 수는 6 개씩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에 나타나는 것이다.
단말기 제어부(240)는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에서 줌 아웃 명령이 입력되면, 제 1 객체 수를 제 2 객체 수 만큼 추가로 증가시킨 제 2 썸네일 뷰 화면(130)을 나타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말기 제어부(240)는 제 2 썸네일 뷰 화면(130)에서 줌 아웃 명령이 입력되면,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그룹을 리스트 형태로 나타낸 리스트 뷰 화면(140)을 나타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말기 제어부(240)는 리스트 뷰 화면(140), 제 2 썸네일 뷰 화면(130) 및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에서 줌 인(Zoom In) 명령이 입력되면, 바로 이전 화면이 나타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말기 제어부(240)는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그룹 내에서 정렬 순서상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하는 컨텐츠로 좌우로 이동되어 나타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그룹은 관련된 컨텐츠를 하나로 묶은 폴더 또는 디렉토리의 개념으로서,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에 나타난 복수 개 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그룹은 상하로 그룹 간 이동(폴더 또는 디렉토리 간 이동)되도록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그룹 간 이동이 수행된 경우,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에 나타난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배열 기준은 그룹 간 이동전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240)는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그룹이 정렬 순서상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하는 그룹으로 상하로 이동되어 나타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말기 제어부(240)는 컨텐츠 장르 정보, 컨텐츠 제목 정보, 컨텐츠 생성 일자 정보, 컨텐츠 사이즈 정보 및 최근에 사용한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정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말기 제어부(240)는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 특정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있는 경우, 선택된 컨텐츠를 전체 화면으로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말기 제어부(240)는 통신부(230)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최신 컨텐츠를 수신하여 최신 컨텐츠 그룹에 나타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최신 컨텐츠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스틸컷 이미지 정보 및 시놉시스 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기 제어부(240)는 최신 컨텐츠 그룹 중 특정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선택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 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말기 제어부(240)는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정기 구독 요청 명령이 입력된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새롭게 업데이트된 특정 컨텐츠를 특정 컨텐츠 그룹 상에 주기적으로 다운로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말기 제어부(240)는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겹치는 형태로 나타내며,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 포커스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바로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을 나타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겹치는 형태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겹치지 않는 형태로 나열하듯 나타낼 수 있으며, 중앙 포커스된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좌우에 위치한 컨텐츠와 겹치게 않도록 출력하되,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 포커스되지 않은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들만 겹치게 나타나도록 하는 것으로 변형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250)은 이동통신 가입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음성 입력 수단이다. 스피커(252)는 전달되는 음성 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출력 수단이다.
사용자 명령 입력부(254)는 숫자, 문자, 메뉴 선택 등에 대한 입력을 위한 키패드, 키보드, 터치 패드, 기타 포인팅 장치 등을 구비하여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를 사용하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 수단이다.
한편,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에 마이크로폰(250), 스피커(252) 및 사용자 명령 입력부(254)가 포함되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 구현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터치 스크린(220)에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기본 객체 수 만큼 나타낸다(S310).
즉,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기본 객체 수 만큼 나타낸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을 표시하는 것이다.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각각의 썸네일 이미지로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에서 좌 또는 우 방향으로 플릭킹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정렬 순서상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하는 컨텐츠로 좌우로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그룹은 관련된 컨텐츠를 하나로 묶은 폴더 또는 디렉토리의 개념으로서,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에 나타난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그룹 내에서 좌우로 이동되도록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에서 상 또는 하 방향으로 플릭킹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그룹이 정렬 순서상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하는 그룹 으로 상하로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주밍 명령이 발생한 경우, 주밍 명령에 근거하여 객체 수를 조절한다(S320).
즉,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주밍 명령이 발생한 경우, 주밍 명령에 근거하여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에 대한 객체 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에서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가 단계 S310 내지 단계 S32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가 도 3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310 내지 단계 S32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주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줌 아웃 명령을 입력받으면, 제 1 그룹의 기본 객체 수와 제 2 그룹의 객체 수를 제 1 객체 수 만큼 나타내는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을 표시한다(S410).
이때,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 포커스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기준으로 제 1 그룹의 기본 객체 수와 제 2 그룹의 객체 수를 제 1 객체 수 만큼 나타낸다. 여기서,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포커스를 화면 중앙에 디폴트(Default)로 설정하되, 사용자 설정에 따라 특정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에서 줌 아웃 명령이 발생한 경우, 중앙 포커스를 기준으로 제 1 그룹의 기본 객체 수와 제 2 그룹의 객체 수를 제 1 객체 수 만큼 나타내는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컨텐츠 장르 정보, 컨텐츠 명칭 정보 및 다운로드 시점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근거로 동일한 정보 별로 그룹핑한 복수 개의 그룹으로 구분하되, 복수 개의 그룹 중 기본 객체 수를 나타내는 제 1 그룹과 복수 개의 그룹 중 제 1 그룹을 제외한 제 2 그룹으로 구분하며, 줌 아웃 명령이 발생한 경우 제 1 그룹의 기본 객체 수를 나타내는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의 중앙 포커스를 기준으로 제 1 그룹의 기본 객체 수와 제 2 그룹의 객체 수를 제 1 객체 수 만큼 나타내는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중앙 포커스를 기준으로 제 1 그룹의 기본 객체 수와 제 2 그룹의 객체 수를 제 1 객체 수 만큼 나타내는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에서 좌 또는 우 방향으로 플릭킹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정렬 순서상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하는 컨텐츠로 좌우로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중앙 포커스를 기준으로 제 1 그룹의 기본 객체 수와 제 2 그룹의 객체 수를 제 1 객체 수 만큼 나타내는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에서 상 또는 하 방향으로 플릭킹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그룹이 정렬 순서상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하는 그룹으로 상하로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에서 줌 아웃 명령이 입력되면, 제 1 객체 수를 제 2 객체 수 만큼 추가로 증가시킨 제 2 썸네일 뷰 화면(130)을 나타낸다(S420).
이때,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에서 줌 아웃 명 령이 입력되면, 중앙 포커스를 기준으로 제 1 객체 수를 제 2 객체 수 만큼 추가로 증가시킨 제 2 썸네일 뷰 화면(130)을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중앙 포커스를 기준으로 제 1 객체 수를 제 2 객체 수 만큼 추가로 증가시킨 제 2 썸네일 뷰 화면(130)에서 좌 또는 우 방향으로 플릭킹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정렬 순서상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하는 컨텐츠로 좌우로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중앙 포커스를 기준으로 제 1 객체 수를 제 2 객체 수 만큼 추가로 증가시킨 제 2 썸네일 뷰 화면(130)에서 상 또는 하 방향으로 플릭킹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그룹이 정렬 순서상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하는 그룹으로 상하로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제 2 썸네일 뷰 화면(130)에서 줌 아웃 명령이 입력되면,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그룹을 리스트 형태로 나타낸 리스트 뷰 화면(140)을 나타낸다(S430).
한편,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 제 2 썸네일 뷰 화면 및 리스트 뷰 화면(130)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줌 인 명령을 수신하면, 객체 수를 기 설정된 개수 만큼 감소시킨 후 이전 화면이 나타나도록 제어한다.
도 4에서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가 단계 S410 내지 단계 S43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가 도 4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410 내지 단계 S43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4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주밍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주밍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썸네일 뷰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에서 좌 또는 우 방향으로 플릭킹 이벤트를 입력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해당 그룹에서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정렬 순서상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하는 컨텐츠로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동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여기서, 그룹은 관련된 컨텐츠를 하나로 묶은 폴더 또는 디렉토리의 개념으로서,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에 나타난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그룹 내에서 좌우로 이동되도록 나타내는 것이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에서 상 또는 하 방향으로 플릭킹 이벤트를 입력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그룹이 정렬 순서상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하는 그룹으로 상 또는 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여기서, 그룹은 관련된 컨텐츠를 하나로 묶은 폴더 또는 디렉토리의 개념으로서,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에 나타난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그룹은 상하로 그룹 간 이동(폴더 또는 디렉토리 간 이동)되도록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그룹 간 이동이 수행된 경우,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에 나타난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배열 기준은 그룹 간 이동전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 제 1 썸네일 뷰 화면 및 제 2 썸네일 뷰 화면의 중앙 포커스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 및 제 2 썸네일 뷰 화면(130)은 포커스를 화면 중앙에 디폴트(Default)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은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나타내고,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 포커스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바로 재생(제 1 실행)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에서 줌 아웃 명령이 발생한 경우, 제 1 그룹의 기본 객체 수를 나타낸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의 중앙 포커스를 기준으로 제 1 그룹의 기본 객체 수와 제 2 그룹의 객체 수를 기 설정된 개수 만큼 증가시킨 제 1 객체 수 만큼 나타낸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을 표시하며,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에서 다시 줌 아웃 명령이 입력되면, 제 1 객체 수에서 중앙 포커스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개수 만큼 추가로 증가시킨 제 2 객체 수를 나타낸 제 2 썸네일 뷰 화면(130)을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제 1 그룹의 기본 객체 수와 제 2 그룹의 객체수를 제 2 객체 수 만큼 나타낸 제 2 썸네일 뷰 화면(130)에서 줌 인 명령이 발생한 경우, 중앙 포커스를 기준으로 제 1 그룹의 기본 객체 수와 제 2 그룹의 제 2 객체 수를 기 설정된 개수 만큼 감소시킨 제 1 객체 수를 나타낸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을 나타내며,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에서 줌 인 명령이 입력되면 중앙 포커스를 기준으로 제 1 객체 수에서 기 설정된 개수 만큼 추가로 감소시킨 제 1 그룹의 기본 객체 수를 나타낸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선택된 멀티미디어 컨텐츠(객체)를 전체 화면으로 실행하는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 제 1 썸네일 뷰 화면 및 제 2 썸네일 뷰 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에 나타난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 특정 하나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있는 경우, 선택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체 화면으로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선택 명령은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 특정 하나에 대한 탭핑 이벤트 또는 더블 클릭과 같은 연속적인 탭핑 이벤트일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나타내는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을 출력하고,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에 나타난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 포커스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바로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서, 도 8과 같이 사용자가 '제 3 동영상' 그룹에 '1회' 내지 '20회'의 동영상을 저장한 경우, '제 3 동영상'의 '1회' 내지 '20회' 중 일부 또는 전부의 동영상을 나타내는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이 출력되는 것이다. 중앙 포커스된 '13회'가 자동으로 재생되는 것이다.
또한, '제 3 동영상' 아래쪽으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4 동영상' 그룹이 위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에 나타난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 포커스되지 않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썸네일 이미지가 나타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에 나타난 포커스되지 않은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된 적이 없는 경우, 디폴트 이미지가 썸네일 이미지로 나타나도록 하며,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에 나타난 포커스되지 않은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된 적이 있는 경우, 재생된 컨텐츠의 마지막 화면이 썸네일 이미지로 나타나도록 제어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썸네일 뷰 화면 및 제 2 썸네일 뷰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에서 줌 아웃 명령이 발생한 경우, 중앙 포커스를 기준으로 제 1 그룹의 기본 객체 수와 제 2 그룹의 객체 수를 제 1 객체 수 만큼 나타낸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을 표시하며, 중앙에 위치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포커스가 위치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에서 줌 아웃 명령이 입력되면, 중앙 포커스를 기준으로 제 1 객체 수를 제 2 객체 수 만큼 추가로 증가시킨 제 2 썸네일 뷰 화면(130)을 나타나는 것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리스트 뷰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제 2 썸네일 뷰 화면(130)에서 줌 아웃 명령이 입력되면,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그룹 을 리스트 형태로 나타낸 리스트 뷰 화면(140)을 나타낸다.
여기서, 사용자가 리스트 뷰 화면(140)에 나타난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 특정 컨텐츠를 선택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그룹에 '총 컨텐츠 개수', '재생된 컨텐츠 개수' 및 '재생된 적이 없는 컨텐츠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리스트 뷰 화면에서 검색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스트 뷰 화면(140)에서 특정 컨텐츠를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검색 메뉴를 선택하고, 컨텐츠에 대한 '이름', '날짜' 및 '유형'에 따라 컨텐츠를 분류할 수 있으며, 컨텐츠의 이니셜로 해당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리스트 뷰 화면(140)에서 특정 컨텐츠를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는 사이드바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메인 화면을 통한 접근 방법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의 메인 화면에서 '비디오'를 선택하는 경우,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컨텐츠 생성 일자, 컨텐츠 이름, 컨텐츠 사이즈 및 최근에 사용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에 나타난 복수 개의 비디오 컨텐츠를 배열되어 나타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의 메인 화면에서 '뮤직'을 선택하는 경우,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컨텐츠 생성 일자, 컨텐츠 이름, 컨텐츠 사이즈 및 최근에 사용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에 나타난 복수 개의 뮤직 컨텐츠를 배열되어 나타난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메인 화면을 통한 부가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의 메인 화면에서 '정보 메뉴'를 선택하면, 각 컨텐츠의 종류에 따른 추가 정보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비디오', '뮤직', '사진' 및 '스토어'로 구분된 경우,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비디오', '뮤직', '사진' 및 '스토어'에 대한 각각의 '총 컨텐츠 개수', '업데이트된 컨텐츠 개수' 및 '다운로드 중인 컨텐츠 개수'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객체) 주밍 및 검색에 대한 전체적인 예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에서 줌 아웃 명령이 발생한 경우, 중앙 포커스를 기준으로 제 1 그룹의 기본 객체 수와 제 2 그룹의 객체 수를 제 1 객체 수 만큼 나타내는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을 표시하며,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에서 줌 아웃 명령이 입력되면, 중앙 포커스를 기준으로 제 1 객체 수를 제 2 객체 수 만큼 추가로 증가시킨 제 2 썸네일 뷰 화면(130)을 나타내며, 제 2 썸네일 뷰 화면(130)에서 줌 아웃 명 령이 입력되면,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그룹을 리스트 형태로 나타낸 리스트 뷰 화면(140)을 나타낸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에서 컨텐츠 그룹을 검색하는 요청이 있는 경우, 디폴트로 '시간순'(컨텐츠 생성 시간)으로 나열된 컨텐츠 그룹을 제공하며, '이름순', '장르별'로 구분된 컨텐츠 그룹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특정 컨텐츠 그룹을 선택하여 수정 및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객체) 시간 순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그룹 제공 화면에서 줌 아웃 명령이 발생한 경우 제 1 객체 수를 나타낸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을 나타내며,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에서 줌 아웃 명령이 입력되면, 중앙 포커스를 기준으로 제 1 객체 수를 제 2 객체 수 만큼 추가로 증가시킨 제 2 썸네일 뷰 화면(130)을 나타내며, 제 2 썸네일 뷰 화면(130)에서 줌 아웃 명령이 입력되면,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그룹을 리스트 형태로 나타낸 리스트 뷰 화면(140)을 나타낸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그룹 제공 화면에서 컨텐츠 그룹을 검색하는 요청이 있는 경우, 디폴트로 '시간순'(컨텐츠 생성 시간)으로 나열된 컨텐츠 그룹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순'으로 나열된 컨텐츠 그룹은 리스트 형태가 아닌 아이콘 형태로 나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그룹은 관련된 컨텐츠를 하나로 묶은 폴더 또는 디렉토리의 개념으로서, 그룹의 생성 및 관리는 사용자 조작 또는 단말기에 의해 생한 자동 실행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를 조작하여 특정 그룹(폴더, 디렉토리)을 생성한 후 특정 그룹과 부합하는 특정 컨텐츠를 직접 넣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최신 영화'라를 그룹을 생성한 후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에 저장된 '최신 영화 컨텐츠'를 '최신 영화' 그룹에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별도의 사용자 입력이 없이 컨텐츠를 자동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즉,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통신부(230)를 통해 외부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고, 컨텐츠 장르 정보, 컨텐츠 명칭 정보 및 다운로드 시점 정보 등에 근거하여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자동 그룹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를 조작하여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정기 구독 요청 명령을 입력한 경우,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새롭게 업데이트된 특정 컨텐츠를 특정 컨텐츠 그룹 상에 주기적으로 다운로드하게 되는데, 주기적으로 다운로드된 특정 컨텐츠들은 컨텐츠 장르 정보, 컨텐츠 명칭 정보 및 다운로드 시점 정보 등에 근거하여 자동 그룹핑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사용자가 '최신 음악'에 대해 정기 구독 요청 명령을 입력한 것으로 가정하는 경우,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새롭게 업데이트된 최신 음악 컨텐츠를 최신 음악 그룹으로 주기적으로 다운로드하게 되는 것이며, 사용자가 '최신 드라마'에 대해 정기 구독 요청 명령을 입력한 것으로 가정하는 경우,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새롭게 업데이트된 최신 드라마 컨텐츠를 최신 드라마 그룹으로 주기적으로 다운로드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최신 음악 컨텐츠의 경우 컨텐츠 장르 정보가 음악이 될 수 있으며, 컨텐츠 명칭 정보는 음악에 대한 곡명, 앨범명이 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이에 근거하여 최신 음악 컨텐츠를 최신 음악 그룹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최신 드라마 컨텐츠의 경우 컨텐츠 장르 정보가 동영상 시리즈물이 될 수 있으며, 컨텐츠 명칭 정보는 시리즈명이 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이에 근거하여 최신 드라마 컨텐츠를 최신 드라마 그룹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 제 1 썸네일 뷰 화면, 제 2 썸네일 뷰 화면 및 리스트 뷰 화면의 플릭킹 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에서 좌 또는 우 방향으로 플릭킹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정렬 순서상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하는 컨텐츠로 좌우로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그룹은 관련된 컨텐츠를 하나로 묶은 폴더 또는 디렉토리의 개념으로서,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에 나타난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그룹 내에서 좌우로 이동되도록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에서 상 또는 하 방향으로 플릭킹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그룹이 정렬 순서상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하는 그룹으로 상하로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에서 줌 아웃 명령이 발생한 경우, 중앙 포커스를 기준으로 제 1 그룹의 기본 객체 수와 제 2 그룹의 객체 수를 제 1 객체 수 만큼 나타낸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을 표시한다.
여기서, 그룹은 관련된 컨텐츠를 하나로 묶은 폴더 또는 디렉토리의 개념으로서,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에 나타난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그룹은 상하로 그룹 간 이동(폴더 또는 디렉토리 간 이동)되도록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그룹 간 이동이 수행된 경우,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110)에 나타난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배열 기준은 그룹 간 이동전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에서 좌 또는 우 방향으로 플릭킹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멀티미디 어 컨텐츠가 정렬 순서상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하는 컨텐츠로 좌우로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중앙에 위치한 그룹의 컨텐츠만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중앙 그룹을 기준으로 상 또는 하 방향에 위치한 그룹은 딤드(Dimmed) 처리하여 사용자가 직접 터치하여 제어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에서 상 또는 하 방향으로 플릭킹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그룹이 정렬 순서상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하는 그룹으로 상하로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에서 그룹을 나타내는 영역 부분에 탭핑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그룹이 중앙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에서 줌 아웃 명령이 입력되면, 중앙 포커스를 기준으로 제 1 객체 수를 제 2 객체 수 만큼 추가로 증가시킨 제 2 썸네일 뷰 화면(130)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제 2 썸네일 뷰 화면(130)에서 좌 또는 우 방향으로 플릭킹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정렬 순서상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하는 컨텐츠로 좌우로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중앙에 위치한 그룹의 컨텐츠만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중앙 그룹을 기준으로 상 또는 하 방향에 위치한 그룹은 딤드(Dimmed) 처리하여 사용자가 직접 터치하여 제어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제 2 썸네일 뷰 화면(130)에서 상 또는 하 방향으로 플릭킹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그룹이 정렬 순서상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하는 그룹으로 상하로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제 2 썸네일 뷰 화면(130)에서 그룹을 나타내는 영역 부분에 탭핑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그룹이 중앙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제 2 객체 수를 나타낸 제 2 썸네일 뷰 화면(130)에서 줌 아웃 명령이 입력되면,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그룹을 리스트 형태로 나타낸 리스트 뷰 화면(140)을 나타낸다.
또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리스트 뷰 화면(140)에서 상 또는 하 방향으로 플릭킹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그룹이 정렬 순서상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하는 그룹으로 상하로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그룹 내 컨텐츠 삭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 및 제 2 썸네일 뷰 화면(130)에서 각 그룹에 대한 수정 요청 명령이 있는 경우, 그룹 내에 포함된 컨텐츠를 '삭제', '추가' 및 '이동'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삭제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체크)한 후 '완료' 메뉴를 선택하면 해당 컨텐츠가 해당 그룹 내에서 삭제된다.
도 18은 본 실시예에 따른 그룹 내 컨텐츠 추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 및 제 2 썸네일 뷰 화면(130)에서 각 그룹에 대한 수정 요청 명령이 있는 경우, 그룹 내에 포함된 컨텐츠를 '삭제', '추가' 및 '이동'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추가하고자 하는 컨텐츠가 있는 경우, '추가' 메뉴를 선택하면, 추가할 수 있는 컨텐츠 그룹이 제공되고, 사용자가 추가하고자하는 컨텐츠를 선택(체크)한 후 완료를 하면 선택된 컨텐츠는 해당 그룹에 추가된다.
도 1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 및 제 2 썸네일 뷰 화면(130)에서 각 그룹에 대한 수정 요청 명령이 있는 경우, 그룹 내에 포함된 컨텐츠를 '삭제', '추가' 및 '이동'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이동시키고자 하는 컨텐츠가 있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시키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체크)한 후 이동하고자하는 목적지에 해당하는 그룹을 선택하면 선택된 컨텐츠가 해당 그룹으로 이동된다.
도 20은 본 실시예에 따른 그룹 전체 삭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 및 제 2 썸네일 뷰 화면(130)에서 각 그룹에 대한 수정 요청 명령이 있는 경우, 그룹 내에 대한 컨텐츠를 '삭제', '추가' 및 '이동'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삭제하고자 하는 그룹을 선택(체크)하면 해당 그룹이 삭제된다. 이 때, 그룹에 포함된 컨텐츠는 같이 삭제된다.
도 2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그룹 추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단말기(200)는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 및 제 2 썸네일 뷰 화면(130)에서 각 그룹에 대한 수정 요청 명령이 있는 경우, 그룹 내에 대한 컨텐츠를 '새 그룹 추가' 메뉴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새로운 그룹을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 '새 그룹 추가' 메뉴를 선택하고, 그룹 내에 포함할 컨텐츠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가 포함된 신규 그룹이 생성된다.
도 2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실행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썸네일 뷰 화면(120)에서 나타난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 특정 하나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있는 경우, 선택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체 화면으로 재생하며, 전체 화면으로 재생하는 중에 메뉴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메뉴를 나타내는 화면으로 전환된다.
도 2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 제공 화면에서 나타난 복수 개의 그룹 중 특정 하나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있는 경우, 선택된 그룹에 포함된 컨텐츠를 전체 화면으로 나열하며, 전체 화면으로 나열된 컨텐츠 화면에서 메뉴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메뉴를 나타내는 화면으로 전환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 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 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서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나타내며, 사용자가 입력한 주밍 명령에 근거하여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객체 수를 조절함으로써, 수많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빠르게 검색 및 실행할 수 있도록 하며, 컨텐츠 그룹별로 손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주밍 방법과 그를 위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분야에 적용되어, 수많은 양의 컨텐츠 중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특정 컨텐츠를 손쉽게 검색하고 실행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주밍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화면,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주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썸네일 뷰 화면에 대한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 제 1 썸네일 뷰 화면 및 제 2 썸네일 뷰 화면의 중앙 포커스에 대한 예시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선택된 멀티미디어 컨텐츠(객체)를 전체 화면으로 실행하는 예시도,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에 대한 예시도,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썸네일 뷰 화면 및 제 2 썸네일 뷰 화면에 대한 예시도,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리스트 뷰 화면에 대한 예시도,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리스트 뷰 화면에서 검색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도,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메인 화면을 통한 접근 방법에 대한 예시도,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메인 화면을 통한 부가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한 예시도,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객체) 주밍 및 검색에 대한 전체적인 예시도,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객체) 시간 순으로 나타내는 예시도,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 제 1 썸네일 뷰 화면, 제 2 썸네일 뷰 화면 및 리스트 뷰 화면의 플릭킹 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그룹 내 컨텐츠 삭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8은 본 실시예에 따른 그룹 내 컨텐츠 추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0은 본 실시예에 따른 그룹 전체 삭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그룹 추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실행에 대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
120: 제 1 썸네일 뷰 화면 130: 제 2 썸네일 뷰 화면
140: 리스트 뷰 화면

Claims (22)

  1.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며,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 스크린; 및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기본 객체 수 만큼 나타낸 상태에서 주밍(Zooming) 명령이 발생한 경우, 상기 주밍 명령에 근거하여 객체 수를 조절하는 단말기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각각의 썸네일 이미지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컨텐츠 장르 정보, 컨텐츠 명칭 정보 및 다운로드 시점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근거로 동일한 정보 별로 그룹핑한 복수 개의 그룹으로 구분하되, 상기 복수 개의 그룹 중 상기 기본 객체 수를 나타내는 제 1 그룹과 상기 복수 개의 그룹 중 상기 제 1 그룹을 제외한 제 2 그룹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주밍 명령이 줌 아웃(Zoom Out) 명령인 경우, 상기 제 1 그룹의 상기 기본 객체 수와 상기 제 2 그룹의 객체 수를 제 1 객체 수 만큼 나타내는 제 1 썸네일 뷰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썸네일 뷰 화면에서 상기 줌 아웃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 1 객체 수를 제 2 객체 수 만큼 추가로 증가시킨 제 2 썸네일 뷰 화면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썸네일 뷰 화면에서 상기 줌 아웃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그룹을 리스트 형태로 나타낸 리스트 뷰 화면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
  7. 제 4 항 내지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주밍 명령이 줌 인(Zoom In) 명령인 경우, 이전 화면이 나타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
  8.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그룹 내에서 정렬 순서상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하는 컨텐츠로 좌우로 이동되어 나타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
  9.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그룹이 정렬 순서상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하는 그룹으로 상하로 이동되어 나타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
  10.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컨텐츠 장르 정보, 컨텐츠 제목 정보, 컨텐츠 생성 일자 정보, 컨텐츠 사이 즈 정보 및 최근에 사용한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상기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
  11.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 특정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전체 화면으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버와 연동하는 통신부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최신 컨텐츠를 수신하여 최신 컨텐츠 그룹에 나타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최신 컨텐츠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스틸컷 이미지 정보 및 시놉시스 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최신 컨텐츠 그룹 중 특정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된 컨텐 츠를 다운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정기 구독 요청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새롭게 업데이트된 특정 컨텐츠를 특정 컨텐츠 그룹 상에 주기적으로 다운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겹치는 형태로 나타내며, 상기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 포커스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바로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인스턴스 플레이어 뷰 화면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
  16.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며,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 스크린; 및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기본 객체 수 만큼 나타낸 상태에서 주밍(Zooming) 명령이 발생한 경우, 상기 주밍 명령에 근거하여 복수 개의 그룹 중 상기 기본 객체 수를 나타내는 제 1 그룹과 상기 복수 개의 그룹 중 상기 제 1 그룹을 제외한 제 2 그룹의 객체 수를 조절하는 단말기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
  17. 터치 스크린에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기본 객체 수 만큼 나타내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표시 단계; 및
    주밍(Zooming) 명령이 발생한 경우, 상기 주밍 명령에 근거하여 객체 수를 조절하는 객체 수 조절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주밍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각각의 썸네일 이미지로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 표시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주밍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밍 명령이 줌 아웃(Zoom Out) 명령인 경우, 복수 개의 그룹 중 상기 기본 객체 수를 나타내는 제 1 그룹과 상기 복수 개의 그룹 중 상기 제 1 그룹을 제외한 제 2 그룹의 객체 수를 제 1 객체 수 만큼 증가시킨 제 1 썸네일 뷰 화면을 나타내는 제 1 썸네일 뷰 화면 표시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주밍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썸네일 뷰 화면에서 상기 줌 아웃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 1 객체 수를 제 2 객체 수 만큼 추가로 증가시킨 제 2 썸네일 뷰 화면을 나타내는 제 2 썸네일 뷰 화면 표시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주밍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썸네일 뷰 화면에서 상기 줌 아웃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그룹을 리스트 형태로 나타낸 리스트 뷰 화면을 나타내는 리스트 뷰 화면 표시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주밍 방법.
  22. 제 17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컨텐츠 주밍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90034176A 2009-04-20 2009-04-20 컨텐츠 주밍 방법과 그를 위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001155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176A KR20100115547A (ko) 2009-04-20 2009-04-20 컨텐츠 주밍 방법과 그를 위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176A KR20100115547A (ko) 2009-04-20 2009-04-20 컨텐츠 주밍 방법과 그를 위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547A true KR20100115547A (ko) 2010-10-28

Family

ID=43134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176A KR20100115547A (ko) 2009-04-20 2009-04-20 컨텐츠 주밍 방법과 그를 위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5547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8523A (ko) * 2011-10-10 2013-04-18 주식회사 오 코스모스 마우스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WO2014123303A1 (ko) * 2013-02-06 2014-08-14 (주)티비스톰 썸네일을 활용한 동영상 탐색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9317198B2 (en) 2012-10-10 2016-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335887B2 (en) 2012-10-10 2016-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tool therefor
US9348504B2 (en) 2012-10-10 2016-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6126048A1 (ko) * 2015-02-06 2016-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9417784B2 (en) 2012-10-10 2016-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operation
US9571734B2 (en) 2012-10-10 2017-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hotographing thereof
US9696899B2 (en) 2012-10-10 2017-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 display apparatus and multi display method
CN108334262A (zh) * 2011-08-01 2018-07-27 索尼公司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046272A (zh) * 2013-03-15 2019-07-23 苹果公司 用于组织和呈现媒体项目的集合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US10848558B2 (en) 2013-10-16 2020-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file management
US11360728B2 (en) 2012-10-10 202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content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34262A (zh) * 2011-08-01 2018-07-27 索尼公司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30038523A (ko) * 2011-10-10 2013-04-18 주식회사 오 코스모스 마우스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US9696899B2 (en) 2012-10-10 2017-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 display apparatus and multi display method
US9335887B2 (en) 2012-10-10 2016-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tool therefor
US9348504B2 (en) 2012-10-10 2016-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360728B2 (en) 2012-10-10 202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content
US9417784B2 (en) 2012-10-10 2016-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operation
US9571734B2 (en) 2012-10-10 2017-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hotographing thereof
US9317198B2 (en) 2012-10-10 2016-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4123303A1 (ko) * 2013-02-06 2014-08-14 (주)티비스톰 썸네일을 활용한 동영상 탐색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N110046272A (zh) * 2013-03-15 2019-07-23 苹果公司 用于组织和呈现媒体项目的集合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CN110046272B (zh) * 2013-03-15 2024-01-02 苹果公司 用于组织和呈现媒体项目的集合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US10848558B2 (en) 2013-10-16 2020-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file management
US11368531B2 (en) 2013-10-16 2022-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file management
US10462526B2 (en) 2015-02-06 2019-10-29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WO2016126048A1 (ko) * 2015-02-06 2016-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6303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media content
KR20100115547A (ko) 컨텐츠 주밍 방법과 그를 위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US201302547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loating user interface
US20150007016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WO2015005146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00090876A (ko) 컨텐츠 리스트를 나타내는 방법, 터치 스크린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586253B1 (ko)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터치 스크린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00113922A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표시 방법과 그를 위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624205B1 (ko) 오브젝트 변경 방법, 터치 스크린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
US20240045572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media content
AU2021200248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media content
AU2016101667A4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media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