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1628A - 그룹 변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송신 장치 - Google Patents

그룹 변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송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1628A
KR20100111628A KR1020100031660A KR20100031660A KR20100111628A KR 20100111628 A KR20100111628 A KR 20100111628A KR 1020100031660 A KR1020100031660 A KR 1020100031660A KR 20100031660 A KR20100031660 A KR 20100031660A KR 20100111628 A KR20100111628 A KR 20100111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word
candidate
codewords
symbo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5457B1 (ko
Inventor
오미경
이형수
김재환
이철효
오정열
남홍순
김재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2/755,848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00254486A1/en
Publication of KR20100111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38Synchronous or start-stop systems, e.g. for Baudot code
    • H04L25/40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 H04L25/49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 H04L25/4902Pulse width modulation; Pulse position modul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7/00Modulating pulses with a continuously-variable modulating signal
    • H03K7/04Position modulation, i.e. PPM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9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combining two or more codes or code structures, e.g. product codes, generalised product codes, concatenated codes, inner and outer codes
    • H03M13/2906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combining two or more codes or code structures, e.g. product codes, generalised product codes, concatenated codes, inner and outer codes using block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891Spatial equalizers
    • H04L25/03898Spatial equalizers codebook-based design
    • H04L25/03929Spatial equalizers codebook-based design with layer mapping, e.g. codeword-to layer 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블록 코드 기반의 그룹 변조 방법을 이용하는 송신 장치는 그룹화부, 생성부 그리고 매핑부를 포함한다. 그룹화부는 데이터 비트열을 N 비트로 이루어지는 그룹들로 그룹화하여 심볼을 생성하고, 생성부는 특정 개수로 그룹화한 결과를 통해 발생하는 펄스를 배치하는 조합에 각각 대응하는 코드워드들로 이루어진 코드워드 셋을 생성한다. 다음, 매핑부는 코드워드 셋 중에서 선택한 코드워드를 심볼을 구성하는 각각의 그룹에 블록 매핑한다.

Description

그룹 변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송신 장치{Method of block-coded group modulation, and transmitt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그룹 변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송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블록 코드 기반의 그룹 변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송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8-S-042-02, 과제명: WBAN In-body 시스템 및 On-body 시스템 개발].
최근 임펄스 무선 초광대역(Impulse Radio Ultrawideband: IR-UWB) 방식의 무선 기술은 저전력의 소모의 장점과 타 시스템에 간섭을 주지 않는다는 장점으로 인해,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의 국제표준인 IEEE 802.15.6 On-body 통신의 물리계층의 유망한 후보기술로 크게 주목받고 있다.
WBAN On-Body 통신은 신체영역 3m 이내에서 약 10Kbps급에서 10Mbps급의 확장한 데이터 전송률을 가져야 한다. 임펄스를 이용하여 무선환경에서 신뢰성 있는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무선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 및 정정하는 채널 코딩을 해야 한다. 그러나 채널 코딩은 데이터 처리율(throughput)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을 일으키므로, WBAN와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최대 10Mbps급 데이터 전송률을 가지는 송신단을 구축하기 힘들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신 시, 데이터 처리율을 감소시키지 않고 에러를 정정할 수 있는 그룹 변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송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그룹 변조 방법은 데이터를 변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데이터 비트열을 N비트 단위의 그룹들로 그룹화하여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그룹화하여 생성한 심볼들을 특정 시퀀스로 각각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시퀀스들을 임의 개수의 신호 위치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그룹 변조 방법은, 데이터 비트열을 N 비트로 이루어지는 그룹들로 그룹화하여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특정 개수로 그룹화한 결과에 대응하며, 복수의 코드워드들로 이루어진 블록 코드워드 셋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블록 코드워드 셋을 토대로 설정 개수의 후보 코드워드들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후보 코드워드들을 재배열하여 최종 후보 코드워드 셋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심볼을 구성하는 각각의 그룹을 상기 최종 후보 코드워드 셋의 재배열된 후보 코드워드들 중 하나로 블록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블록 코드 기반의 그룹 변조 방법을 이용하는 송신 장치는, 블록 코드 기반의 그룹 변조 방법을 이용하는 송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비트열을 N 비트로 이루어지는 그룹들로 그룹화하여 심볼을 생성하는 그룹화부, 상기 특정 개수로 그룹화한 결과를 통해 발생하는 펄스를 배치하는 조합에 각각 대응하는 코드들로 이루어진 코드워드 셋을 생성하고, 상기 코드워드 셋 중에서 2N개의 후보 코드워드들을 포함하는 최종 후보 코드워드 셋을 생성하는 생성부, 그리고, 상기 심볼을 구성하는 각각의 그룹을 상기 최종 후보 코드워드 셋의 코드워드 중 하나로 블록 매핑하는 매핑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 코드 기반의 그룹 변조 방법을 이용하는 송신 장치는 비트를 그룹화 하기전과 동일한 데이터 처리량을 가지면서 에러를 정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 코드 기반의 그룹 변조 방법은 수신 장치에서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정확하게 복원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펄스 위치 변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변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변조 방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코드워드 셋의 경우의 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펄스 위치 변조 방법에서 비트를 매핑하기 위해 도 3에서 뽑아낸 코드워드 셋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룹 변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룹 변조 방법에서, 코드워드를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서 PPM 방법과 GPPM 방법 그리고 OOK 변조 방법의 성능비교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서 PPM 방법과 GPPM 방법의 성능 비교를 나타낸 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변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송신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UWB(Ultrawideband) 시스템에서 가장 주요한 이슈는 기존의 무선 시스템에 비하여 얼마나 저전력/저복잡도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냐는 것이다. UWB 신호를 코히런트(coherent) 방식으로 수신하게 되면 저전력/저복잡도를 실현할 수 없으므로, 비코히런트(Non-coherent) 변조 방식과 에너지 검출(energy detection) 기반의 비코히런트 수신 장치가 고려되고 있다.
UWB 신호를 사용하여 변조하는 방식 중에서 비코히런트 변조 방식중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이 PPM(Pulse Position Modulation; 이하 "PPM"이라고 함) 변조 방식이다. 도 1은 일반적인 PPM 펄스 위치 변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PPM 방법은 하나의 심볼(Ts)을 두 개의 구간으로 나눈 다음, 앞의 구간에 펄스가 있으면 해당 심볼에 비트 0(Bit 0)을 매핑하고, 뒤의 구간에 펄스가 있으면 비트 1(Bit 1)을 매핑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인 PPM 방법은 하나의 심볼 구간에 한 개의 비트가 매핑(Mapping)된다. 반면에, 하나의 심볼 구간을 복수 개의 구간으로 나누는 경우, 여러 개의 비트를 하나의 심볼 구간에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심볼 구간을 4개의 구간으로 나누는 경우, 2 비트(2Bit)를 전송 할 수 있다.
여기서는 심볼 구간을 2개의 구간으로 나누는 2-어레이 PPM을 사용하고 이것을 임펄스 UWB 신호에 적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을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2-어레이 PPM에서, n번째 PPM 심볼 구간 동안에 전송되는 신호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수학식1]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는 임의의 UWB 신호를 나타내며, Ts=2Tppm은 한 심볼 구간을 의미한다. Tppm은 PPM 구간의 점유 시간이며, 비트가 0 일 경우에는 펄스가 앞 프레임에 위치하며, 비트가 1일 경우에는 펄스가 뒷 프레임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Figure pat00003
는 n번째 정보 비트에 대한 펄스 위치를 위한 매핑 시퀀스(mapping sequence)이며, 이것은 시퀀스 셋(sequence set)인 C={c0, c01}에서 축출된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Bit '0'을 위한 매핑 시퀀스는 c0=[1, 0] 이고, 비트 '1'은 c1=[0, 1] 이다.
이와 같은 PPM 방식에서, 하나의 심볼 단위가 아니라 N개의 심볼을 하나의 단위로 그룹화하여 비트를 매핑하는 방법을 그룹 펄스 위치 변조(Group Pulse Position Modulation, 이하 "GPPM"이라고 함) 방법이라고 한다. GPPM 방법은 N 비트보다 더 많은 비트를 전송할 수 있는 전송률을 가지며, 동일한 시간 동안 전달할 수 있는 정보량을 PPM 방법에 비해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3개의 심볼(3-symbol) 단위로 심볼들을 그룹화하는 경우에, 3개의 심볼 구간 동안 3 비트(3 Bit)를 전송하는 전송률을 가졌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펄스 위치 변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펄스 위치 변조 방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코드워드 셋(Codeword Set)의 경우의 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펄스 위치 변조 방법에서 비트를 매핑하기 위해 도 3에서 뽑아낸 코드워드 셋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GPPM 방법은 PPM 방법에서와 같이 하나의 심볼가 아니라, N 개의 심볼 단위로 복수의 심볼을 그룹화하는 방법이다.
도2는 N=3일때의 GPPM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3개의 심볼 단위로 복수의 심볼들을 그룹화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에는 3개의 심볼 구간 동안 3 비트를 전송하는데 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PM 방법에서 펄스를 배치하는 조합은 종래 방법에 따른 8가지 조합(000~111) 이외의 12가지 조합(Extra 12)이 더 존재한다.
즉, 20가지의 조합은 총 6개의 펄스 구간에 대해서 펄스 3개를 반드시 사용해야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조합이다. 또한, 16가지 조합이 4비트를 나타내므로, 20가지 조합은 4비트 이상의 정보량을 3개의 심볼을 보내는 시간에 보낼 수 있다.
GPPM 방법에서 그룹화하는 개수를 N으로 일반화 하였을 때 발생할 수 있는 펄스를 배치하는 조합의 개수(PN)는 수학식 2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여기서, 2N의 펄스 구간에는 N개의 펄스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PM 방법은 복수의 심볼을 하나의 단위로 하여복수개의 심볼들을 그룹화함으로써, 전송할 수 있는 정보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GPPM 방법은 블록 코딩(Block coding)에 적용하여, 수신단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GPPM 방법은 6개의 펄스 구간에 대해서 3개의 펄스가 반드시 있어야 하는 조건으로, 20개의 조합이 나온 것이다. 이러한 조합을 길이가 6인 코드워드로 표현하면 도3과 같다. 즉,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룹 펄스 위치 변조 방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코드워드들로 이루어지는 코드워드 셋(Codeword Set)을 나타낸다.
코드워드 셋에 포함되는 20개의 조합 즉, 코드워드들 중에서, 3 비트를 매핑할 8개의 코드워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에러 정정(error correction) 기능이 있는 코드워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코드워드간 거리가 가능한 멀리 떨어져 있는 코드워드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코드워드간 해밍 거리(Hamming Distance)의 최소값이 가장 큰 값이 되도록, 코드워드들 중에서 8개의 코드워드를 선택한다. 선택된 코드워드 8개는 도 4와 같다. 여기서, 해밍 거리는 두 개의 코드를 비트와 비트간에 XOR(exclusive or) 연산을 한 후의 1의 개수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GPPM 방법에서 코드워드 셋에 포함되는 코드워드들 중에서 일부를 선택하고, 선택된 코드워드들을 소정 비트에 매핑하는 방법을 블록 코딩 그룹 펄스 위치 변조(Block-coded Group PPM: 일명 BC-GPPM라고도 할 수 있음)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일반화 시켜서 N 심볼을 그룹핑 하였을 때 k번째 그룹 심볼의 신호를 수식으로 표시하면 다음 수학식 3과 같다.
[수학식3]
Figure pat00005
여기서
Figure pat00006
는 길이가 2N이며 k번째 N-비트 그룹에 대한 매핑 시퀀스이며, 이것은 시퀀스 셋인
Figure pat00007
에서 축출된다. 여기서 시퀀스는 앞서 언급한 코드워드와 일맥 상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BC-GPPM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BC-GPPM 방법에 따라, 첨부한 도 5에서와 같이, 먼저, 송신단에서 하나의 그룹심볼 구간을 여러 개로 나주고 N비트를 하나의 그룹심볼 구간에 전송하기 위하여, 이진 데이터를 N-비트 단위로 그룹핑하여 그룹심볼을 생성한다(S10).
그리고 N비트 단위로 그룹핑된 각 심볼을 특정 시퀀스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그룹핑된 각 심볼에 대하여 길이가 2N인 시퀀스 즉, 코드워드를 매핑한다(S20).
다음 시퀀스인 코드워드를 임의 개수의 신호로 위치로 변환한다. 즉, 매핑된 코드워드를 직렬화(Serialization)시키고(S30), 이를 토대로 UWB 신호를 TPPM 간격 기준으로 온-오프(On-off) 시그널링시켜서 변조된 신호를 출력다(S40). 만약 여기서 N=1이라면, 기존의 PPM과 동일하게 변조된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다음에는 N비트 단위로 그룹핑된 각 심볼을 특정 시퀀스로 변환하기 위하여, 그룹이 N개일 경우, N 비트를 매핑할 2N개의 코드워드들로 이루어진 코드워드 셋을 선택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C-GPPM 방법에서, 코드워드 셋을 뽑아내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BC-GPPM 방법을 이용하는 송신 장치는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페이로드 데이터 비트열(Payload Data Bit Stream)을 N 비트씩 그룹화(grouping)하고(S601), 그룹화한 것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펄스를 배치하는 조합에 따른 코드워드들로 이루어진 블록 코드워드 셋(Block Code Set)을 생성한다(S602). 여기서, 블록 코드워드 셋은 길이가 2N인 {0,1}로 이루어진 2N 벡터 공간(2N Bit Vector Space)의 형태를 가지며, 총 22N개의 코드워드들을 포함한다.
송신 장치는 블록 코드워드 셋에서, 1의 개수가 N개인 후보 코드워드만을 뽑아낸다(S603). 여기서, 뽑아낸 후보 코드워드의 개수는 위의 수학식2에 따른 조합의 개수 PN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N 개수의 후보 코드워드들을 포함하여, "후보 코드워드 셋"이라고 명명한다.
송신 장치는 PN 개수의 후보 코드워드들로 이루어진 후보 코드워드 셋에서 임의의 코드워드를 선택한다(S604). 다음, 송신 장치는 후보 코드워드 셋 중에서 임의로 선택한 코드워드를 토대로 2N 개의 코드워드를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후보 코드워드 셋에서, 선택된 코드워드로부터 dmin 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코드워드를 2N개 추출한다(S605). 여기서 dmin은 서로 다른 코드들간 최소 해밍 거리를 일컫는다. 예를 들어, 조합의 개수 PN 만큼의 후보 코드워드들 중에서, 2N 개의 코드워드를 뽑아낼 때 무작위로 뽑는 것이 아니라, 오류 검출 또는 정정 능력을 줄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코드워드간 최소 해밍 거리가 최대가 되도록 2N 개의 코드워드를 추출한다. 송신 장치는 추출한 2N 개의 후보코드워드들을 인접한 코드워드 간의 해밍 거리가 최소가 되도록 재배열한다(S606). 이와 같이 재배열된 2N 개의 후보코드워드들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BC-GPPM 방법에서, N비트를 매핑할 시퀀스 셋 즉, C={c0, c1,…, c2N -1}이다. 재배열된 2N 개의 후보코드워드들을 포함하여 "최종 후보코드 셋" 또는 "시퀀스 셋" 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C-GPPM 방법은 데이터 비트열을 N비트씩 그룹화한 것을 그레이 매핑(Gray Mapping)한 후, 상기 설명한 과정에 의해 재배열된 2N 개의 후보코드워드들 중 하나의 코드워드에 각각 매핑한다. 이때, 그레이 매핑은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행해지는 매핑 방법으로, 그룹간 또는 비트간의 변화를 최소화한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N=3인 경우의 BC-GPPM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본발명의 실시 예 따른 BC-GPPM 방법에 따라 N=4, N=5, N=6의 각각의 경우에 생성되는 후보 코드워드 셋은 다음 표들과 같다.
N=4일 때의 후보 코드워드 셋

심볼
(십진수)

심볼
(이진수)
b0,b1,b2,b3

코드워드
c0,c1,…,c7

심볼
(십진수)

심볼
(이진수)
b0,b1,b2,b3

코드워드
c0,c1,…,c7
0 0000 00001111 8 1000 11110000
1 0001 00010111 9 1001 11001100
2 0010 00011011 10 1010 10101010
3 0011 00110011 11 1011 11000011
4 0100 01100110 12 1100 01101001
5 0101 01010101 13 1101 10011001
6 0110 01011010 14 1110 10100101
7 0111 00111100 15 1111 10010110
N=5일 때의 후보 코드워드 셋

심볼
(십진수)

심볼
(이진수)
b0,b1..,b4

코드워드
c0,c1,…,c9

심볼
(십진수)

심볼
(이진수)
b0,b1..,b4

코드워드
c0,c1,…,c9
0 00000 0000011111 16 10000 0000111110
1 00001 0000101111 17 10001 1100001101
2 00010 0000111101 18 10010 1100110010
3 00011 0010101101 19 10011 1110100001
4 00100 0011100011 20 10100 1000101011
5 00101 0100100111 21 10101 1011101000
6 00110 0001110101 22 10110 1011010010
7 00111 0000110111 23 10111 1001011100
8 01000 1101010001 24 11000 0011011001
9 01001 0101001011 25 11001 0110010011
10 01010 0011001110 26 11010 0110011100
11 01011 1110001010 27 11011 0101010110
12 01100 0001111010 28 11100 1001000111
13 01101 0000111011 29 11101 0111000101
14 01110 0101101100 30 11110 1010110100
15 01111 0100111001 31 11111 0111110000
N=6일 때의 후보 코드워드 셋

심볼
(십진수)

심볼
(이진수)
b0,b1..,b5

코드워드
c0,c1,…,c11

심볼
(십진수)

심볼
(이진수)
b0,b1..,b5

코드워드
c0,c1,…,c11
0 000000 000000111111 32 100000 100110001011
1 000001 000011011011 33 100001 100101011010
2 000010 000011101101 34 100010 100100101110
3 000011 000111000111 35 100011 100011101010
4 000100 001001010111 36 100100 100001001111
5 000101 011001110100 37 100101 100001111100
6 000110 000111111000 38 100110 100100010111
7 000111 000011110110 39 100111 100010011101
8 001000 000110011110 40 101000 011011000101
9 001001 000110110011 41 101001 011011101000
10 001010 001100011011 42 101010 011101000110
11 001011 101010010011 43 101011 011101011000
12 001100 011001001011 44 101100 100001110011
13 001101 000101101011 45 101101 011110110000
14 001110 110100011001 46 101110 011101100001
15 001111 000101011101 47 101111 011110000011
16 010000 010001011110 48 110000 010001100111
17 010001 010101101100 49 110001 110010100110
18 010010 001111010001 50 110010 010010101011
19 010011 001111100100 51 110011 010010010111
20 010100 001011011100 52 110100 010100001111
21 010101 001111001010 53 110101 010100110101
22 010110 001110101001 54 110110 010010111100
23 010111 001011100011 55 110111 010011110001
24 011000 011110001100 56 111000 011000011101
25 011001 001010001111 57 111001 011000110011
26 011010 001001111001 58 111010 010111100010
27 011011 001001101110 59 111011 011011010010
28 011100 001010111010 60 111100 010100111010
29 011101 001100110110 61 111101 010101010011
30 011110 001010110101 62 111110 010111010100
31 011111 101100100101 63 111111 010111001001
다음, 블록 코드 기반의 그룹 변조 방법을 이용하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를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송신 장치(100)는 그룹화부(110), 매핑부(120), 처리부(130) 및 통신부(140)를 포함하며, 수신 장치(200)는 검출부(210), 결정부(220), 디코딩부(230) 및 디매핑부(240)를 포함한다. 또한,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는 코드워드 셋을 생성하는 생성부(150)를 각각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생성부(150)는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 외부에 존재하는 하나의 구성으로 도시하였지만,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에 각각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송신 장치(100)에는 실제 정보가 들어있는 부분인, 페이로드 데이터 비트열(Payload Data Bit Stream)이 입력된다.
그룹화부(110)는 입력되는 페이로드 데이터 비트열을 N 비트씩 그룹화(grouping)하고, N 비트씩 그룹화한 결과를 그레이 매핑(Gray mapping)하여 심볼들을 생성한다.
생성부(150)는 22N개의 코드워드들을 포함하는 블록 코드워드 셋으로부터 N 비트씩 그룹화한 것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펄스를 배치하는 조합 개수 PN 에 대응하는 후보 코드워드들을 포함하는 후보 코드워드 셋을 생성한다. 생성부(150)는 후보 코드워드 셋으로부터 2N 개의 후보 코드워드들을 선택하고 이들을 재배열하여 최종 후보 코드워드 셋을 생성한다. 이 경우 2N 개의 후보 코드워드들을, 인접한 코드워드 간의 해밍 거리가 최소가 되도록 재배열하여 최종 후보 코드워드 셋을 생성한다.
매핑부(120)는 심볼을 구성하는 각각의 그룹을 최종 후보 코드워드 셋에 포함되는 코드워드들 중에서 하나의 코드워드로 블록 매핑하여, 해당 심볼을 특정 시퀀스로 변환한다.
이와 같이, 매핑부(120)는 오류 검출 또는 정정 능력을 포함할 수 있도록, 그룹화한 결과의 개수의 임의 배수로 확장된 길이를 갖는 시퀀스 집합인 최종 후보 코드워드 셋으로부터 코드워드 즉, 특정 시퀀스를 선택하고, 선택한 특정 시퀀스를 임의 개수의 신호 위치로 변환한다. 여기서, 시퀀스 집합은 임의의 정해진 신호 존재 가능 구간의 개수에서 실제 신호가 전송되는 구간의 개수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시퀀스들을 원소로 하는 집합이다.
처리부(130)는 변환된 특정 시퀀스에 대응하는 펄스를 쉐이핑(Shaping)하여 신호를 생성한다. 통신부(140)는 처리부(130)에서 생성된 신호를 무선채널을 통해 수신 장치(200)로 전달한다
한편, 수신 장치(200)는 송신 장치(100) 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된 수신 신호로부터 페이로드 데이터 비트열을 복원한다.
구체적으로, 검출부(210)는 송신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수신 신호가 포함하는 펄스 구간에서 펄스 에너지를 검출한다.
결정부(220)는 각 펄스 구간에서 검출된 펄스 에너지에 대한 비트 결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결정을 내리는 방법은 제1 결정 방법인 경판정(Hard Decision)과 제2 결정방법인 연판정(Soft Decision)이 있다.
제1 결정 방법(Hard Decision)은 각 펄스 구간에서 얻어진 펄스 에너지 값이 임의의 경계치(Threshold)보다 높으면 1로 결정하고, 같거나 낮으면 0으로 결정한다. 또는, 한 그룹에서 얻어지는 2N개의 에너지 값을 구분(Sorting)하여 최대 N+1개까지는 1로, 나머지는 0으로 결정하는 방법이다. 즉, 제1 결정 방법은 하나의 그룹 내에서 펄스가 N개 있어야 한다는 조건을 이용한다.
제2 결정 방법(Soft Decision)은 펄스 에너지 값을 {0, 1}의 값으로 결정을 하지 않고, 유한한 비트로 양자화(quantization)하는 것이다.
펄스 에너지 검출에 따른 출력으로부터 제1결정 방법 또는 제2결정 방법에 따라 결정된 2N개의 결과를 z={z(0), z(1), …, z(2N-1)}라고 할 경우, 디코딩부(230)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에 해당하는 코드워드가 무엇인지를 찾아낼 수 있다.
이미 송신단 즉, 송신 장치에서 시퀀스 셋 C={c0, c1,…, c2N -1}을 알고 있으며,이러한 시퀀스 셋에서 임의의 한 코드워드가 전송되었다는 정보를 알고 있으므로, 디코딩부(230)는 결정부(220)의 결과인 z 와 2N 개의 후보 코드워드들간의 상관(Correlation)을 수행하여 상관값들을 획득한다. 그리고 획득된 상관값들 중에서 최대가 되는 상관값을 가지는 후보 코드워드를 전송된 코드워드로 선택한다. 선택된 코드워드는 다음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4]
Figure pat00008
여기서
Figure pat00009
는 j번째 코드워드의 i번째 이진 값을 의미한다. 따라서 cj(i)=1 이면, 가중치(Weighting factor) 2cj(i)-1= 1이 되고, 만약 cj(i)= 0이면, 가중치 팩터 2cj(i)-1=-1 이 된다. 이에 따라 가중치는 z의 신호 요소와 정렬이 되어, 실제 전송된 코드워드의 상관값이 최대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디코딩부(220)는 2N 개의 펄스 에너지 값을 길이가 2N인 최종 후보 코드워드 셋에 포함하는 모든 코드워드와 곱하고, 이 중에서 최대값이 나온 코드를 선택한다. 여기서, 펄스가 존재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1은 양의 가중치인 가산점을 곱하고, 펄스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을 나타내는 0은 음의 가중치인 감산점을 곱한다.
디매핑부(240)는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찾아진 코드워드를 이용하여 블럭디매핑(block demapping)을 수행하여 수신 신호로부터 전송된 비트열을 복원한다. 즉, 찾아진 코드워드를 이용하여 결정부(220)의 결과를 블록 디매핑하고 블록 디매핑한 결과를 그레이 디매핑(Gray Demapping)하여 페이로드 데이터 비트열을 복원한다.
다음,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서 PPM 방법과 GPPM 방법 그리고 OOK(On/Off Keying) 변조 방법의 성능비교를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서 PPM 방법과 GPPM 방법 그리고 OOK 변조 방법의 성능비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종래의 PPM 방법과 블록 코드 기반의 GPPM 방법을 비교할 때 사용한 그룹화 개수는 6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블록 코드 기반의 GPPM 방법은 종래의 PPM 방법과 동일한 처리율(throughput)을 가지면서 BER 성능은 10^-4에서 2dB 향상된다.
종래의 채널 코딩 효과를 주기 위해서는 처리율이 저하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C-GPPM 방법은 발생한 정보량 증가의 효과를 블록 코딩을 사용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처리율 저하 없이 채널 코딩 이득을 줄 수 있다.
또한, PPM 방법과 GPPM 방법 그리고 OOK(On/Off Keying) 변조 방법을 비교하면, OOK 변조 방법의 성능이 종래의 PPM 방법과 블록 코드 기반의 GPPM 방법의 성능 보다 떨어지는 이유는 채널 코딩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결정 성능이 PPM 방법에 비해 저하되기 때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BC-GPPM과 종래의 PPM의 PER (Packet Error Rate) 성능을 비교한 도이다. 여기서 사용한 N비트 단위의 그룹은 N=4,5,6이며, 시뮬레이션 환경은 패킷의 페이로드가 255 Byte일 때로 가정하였으며,AWGN 채널을 사용하였다.
첨부한 도 9를 토대로 하면, 위의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BC-GPPM 방법은 종래의 PPM과 동일한 처리율을 가지면서, 특히 6비트 단위의 그룹을 토대로 한 BC-GPPM의 PER 성능은 10^-1에서 2dB 이상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C-GPPM 방법은 N개의 심볼 단위로 복수의 심볼을 그룹화하는 경우, N개의 펄스가 반드시 있어야 하는 GPPM 방법이 아닌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3개의 심볼을 그룹화하는 경우, 3개의 펄스가 있어야 한다는 조건 하에서, 전체 코드워드 셋이 20개의 조합이 나왔다. 이때, 3개의 펄스가 있어야 한다는 조건을 없애게 되면, 전체 코드워드 셋은 26(64)개의 조합으로 증가한다. 여기서, 3 비트를 매핑할 8개의 코드워드들인 후보 코드워드 셋을 선택하면 된다. 코드를 선택하는 방법은 도 6의 그룹 변조 방법에서 S503 단계 즉, 조합의 개수(PN)의 후보 코드워드를 뽑아내는 과정을 생략한다. 펄스 개수 즉, 1의 개수를 제한하지 않으면 그룹화된 심볼 구간 동안에 펄스가 한 개도 없을 수 있으며, 또는 2N개의 펄스 구간 전체에 펄스가 위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7)

  1. 데이터를 변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데이터 비트열을 N비트 단위의 그룹들로 그룹화하여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그룹화하여 생성한 심볼들을 특정 시퀀스로 각각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시퀀스들을 임의 개수의 신호 위치로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그룹 변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로 변환하는 각각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을 구성하는 데이터 비트들의 개수의 임의 배수로 확장된 길이를 가지는 시퀀스 집합으로부터 하나의 시퀀스를 상기 그룹화하여 생성한 심볼에 매핑하는, 그룹 변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집합은, 임의의 정해진 신호 존재 가능 구간의 개수에서 실제 신호가 전송되는 구간의 개수를 토대로 생성되는, 그룹 변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위치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시퀀스를 임의 개수의 신호 위치로 변환함에 있어서, 송신 전력이 인가된 신호 구간의 개수가 일정한 시간 구간 안에서 임의 개수로 제한되며, 일정 시간 구간 안에서 송신 전력이 인가된 시간 위치의 조합에는 제약이 없는, 그룹 변조 방법.
  5. 데이터 비트열을 N비트로 이루어지는 그룹들로 그룹화하여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특정 개수로 그룹화한 결과에 대응하며, 복수의 코드워드들로 이루어진 블록 코드워드 셋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블록 코드워드 셋을 토대로 설정 개수의 후보 코드워드들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후보 코드워드들을 재배열하여 최종 후보 코드워드 셋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심볼을 구성하는 각각의 그룹을 상기 최종 후보 코드워드 셋의 재배열된 후보 코드워드들 중 하나로 블록 매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그룹 변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개수는 2N 개인, 그룹 변조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후보 코드워드 셋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후보 코드워드들을, 인접한 후보 코드워드간의 해밍 거리가 최소가 되도록 재배열하는, 그룹 변조 방법.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개수의 후보 코드워드들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 코드워드 셋으로부터 상기 특정 개수로 그룹화한 결과를 통해 발생하는 펄스를 배치하는 조합에 각각 대응하는 후보 코드워드들로 이루어진 후보 코드워드 셋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 코드워드 셋으로부터 설정 개수의 후보 코드워드들을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그룹 변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코드워드들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 코드워드 셋으로부터 임의의 코드워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코드워드로부터 선택한 임의의 코드로부터 해밍 거리가 최소인 값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후보 코드워드들을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그룹 변조 방법.
  10.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각 그룹들의 비트를 그레이 매핑하여 상기 심볼을 생성하는 그룹 변조 방법.
  11.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매핑하는 단계는
    상기 심볼을 상기 최종 코드워드 셋의 후보 코드워드로 블록 매핑하여 특정 시퀀스로 변환하며, 상기 특정 시퀀스는 특정 개수로 그룹화된 데이터 비트열의 개수로 임의 배수로 확장된 길이를 갖는 시퀀스 집합으로부터 구성된 시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변조 방법.
  12. 블록 코드 기반의 그룹 변조 방법을 이용하는 송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비트열을 N비트로 이루어지는 그룹들로 그룹화하여 심볼을 생성하는 그룹화부,
    상기 특정 개수로 그룹화한 결과를 통해 발생하는 펄스를 배치하는 조합에 각각 대응하는 코드들로 이루어진 코드워드 셋을 생성하고, 상기 코드워드 셋 중에서 2N개의 후보 코드워드들을 포함하는 최종 후보 코드워드 셋을 생성하는 생성부, 그리고
    상기 심볼을 구성하는 각각의 그룹을 상기 최종 후보 코드워드 셋의 코드워드 중 하나로 블록 매핑하는 매핑부
    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화부는
    상기 각 그룹들의 비트를 그레이 매핑하여 상기 심볼을 생성하는 송신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코드워드 셋 중에서 2N개의 후보 코드워드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후보 코드워드들을, 인접한 후보 코드워드간의 해밍 거리가 최소가 되도록 재배열하여 상기 최종 후보 코드워드 셋을 생성하는, 송신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코드워드 셋 중에서 임의의 코드워드를 선택하고, 선택한 코드워드로부터 해밍 거리가 최소인 값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코드워드들을 찾아서, 상기 2N개의 후보 코드워드들을 선택하는,
    송신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부는
    상기 심볼을 상기 최종 코드워드 셋의 후보 코드워드로 블록 매핑하여 특정 시퀀스로 변환하며,
    상기 특정 시퀀스는 그룹화한 데이터 비트들의 특정 개수의 배수로 확장된 길이를 갖는 시퀀스 집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송신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시퀀스에 대응하는 펄스를 쉐이핑하여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외부로 전달하는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송신 장치.
KR1020100031660A 2009-04-07 2010-04-07 그룹 변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송신 장치 KR101405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55,848 US20100254486A1 (en) 2009-04-07 2010-04-07 Method of block-coded group modulation and transmitte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929 2009-04-07
KR20090029929 2009-04-07
KR20090049242 2009-06-03
KR1020090049242 2009-06-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628A true KR20100111628A (ko) 2010-10-15
KR101405457B1 KR101405457B1 (ko) 2014-06-11

Family

ID=43131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660A KR101405457B1 (ko) 2009-04-07 2010-04-07 그룹 변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송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4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3393A (ko) * 2017-05-08 2018-11-1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Siso 복호 방법, 디코더 및 반도체 메모리 시스템
KR102091970B1 (ko) * 2018-12-27 2020-03-2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광학 카메라 통신 신호의 변조 및 복조 방법 및 장치
US11637685B2 (en) 2021-08-31 2023-04-25 Samsung Display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transition encoding with flexible word-siz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4410A (en) * 1992-10-30 1995-02-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fferentially coded and guard pulse position modulation for communication networks
US5570089A (en) * 1994-02-16 1996-10-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ata stream for cost effective transmission links
KR100769671B1 (ko) * 2005-02-21 2007-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Mb-ofdm 송수신장치 및 그 신호처리 방법
JP2006295756A (ja) * 2005-04-14 2006-10-26 Masaaki Harada ディジタル変調装置及びその方法、ディジタル復調装置及びその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3393A (ko) * 2017-05-08 2018-11-1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Siso 복호 방법, 디코더 및 반도체 메모리 시스템
KR102091970B1 (ko) * 2018-12-27 2020-03-2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광학 카메라 통신 신호의 변조 및 복조 방법 및 장치
US11637685B2 (en) 2021-08-31 2023-04-25 Samsung Display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transition encoding with flexible word-size
US11888962B2 (en) 2021-08-31 2024-01-30 Samsung Display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transition encoding with flexible word-siz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5457B1 (ko)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39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data using a polar code
US8677224B2 (en) Convolutional code for use in a communication system
Hanzo et al. Near-capacity variable-length coding: regular and EXIT-chart-aided irregular designs
CN107231158B (zh) 一种极化码迭代接收机、系统和极化码迭代译码方法
TWI606743B (zh) 多用戶疊加傳輸方法以及使用所述方法的基地台
WO2018234084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A DATA TRANSMISSION SYSTEM
CN101425871A (zh) 多元纠错码发射接收装置及数据传输系统以及相关方法
JP2022529393A (ja) 短ブロック長分布マッチングアルゴリズム
CN111447160A (zh) 基于神经网络的大规模mimo无源随机接入的信号检测方法
KR20220085049A (ko) 멀티-레벨 인코딩을 위한 장치
US848864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ymbol error correctable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sing frequency selective baseband
Tanc et al. Massive random access with trellis-based codes and random signatures
WO2016043509A1 (ko) 이진 직렬 연결된 부호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복호 방법 및 장치
KR101405457B1 (ko) 그룹 변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송신 장치
KR101176214B1 (ko) 데이터 변조방법 및 복조방법
CN113225114B (zh) 基于预编码联合优化的无线通信信号发送和接收方法
CN107911152B (zh) 适用于任意发送天线数量的空间编码调制系统和方法
Zainuddin et al. Nanonetwork minimum energy coding
Shevchuk Theoretical and algorithmic foundations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packet data transmission in high-speed and secure radio networks
US20100254486A1 (en) Method of block-coded group modulation and transmitter using the same
JP2006522521A (ja) 信号処理装置及び方法
US20110116568A1 (en) Block-coded group modulation method and transmitter/receiver using the same
CN107682122B (zh) 一种无线光通信多级编码调制系统的迭代解调译码方法
CN116388870B (zh) 一种非均匀空间多脉冲位置调制星座生成方法及装置
CN107493154B (zh) 一种信道编码与格雷映射高阶调制联合处理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