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1902A -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에서 무선랜 모뎀의 자동 턴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에서 무선랜 모뎀의 자동 턴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1902A
KR20100101902A KR1020090020338A KR20090020338A KR20100101902A KR 20100101902 A KR20100101902 A KR 20100101902A KR 1020090020338 A KR1020090020338 A KR 1020090020338A KR 20090020338 A KR20090020338 A KR 20090020338A KR 20100101902 A KR20100101902 A KR 20100101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to
terminal
list
modem
wl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0636B1 (ko
Inventor
임한나
조성연
최성호
배범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0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636B1/ko
Priority to US12/661,046 priority patent/US8676160B2/en
Publication of KR20100101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1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6Protocol convers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1Access control lists [AC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5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at the moment of starting communication in a multiple access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4Grouping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이 펨토(Femto) 기지국과 WLAN AP((Wireless Local Area Network Access Point))로 홈 네트워크를 구성한 지역(예컨대, 댁내)에 진입했음을 인지했을 경우, 단말의 무선랜(WLAN) 모뎀을 자동으로 턴온(turn-on)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단말은 이동통신 모뎀과 WLAN 모뎀을 모두 구비한 듀얼 모드 단말이며, 단말은 댁내에서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WLAN 모뎀을 턴오프 상태에서 턴온 상태로 변환한다. 상기 단말이 Femto 서비스 지역으로 진입하면(본 발명의 댁내), 단말은 수신한 Femto 구별자가 자신이 접속 가능한 Femto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만약 포함된 경우, 해당 Femto에 자신을 등록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수신한 Femto 구별자가 WLAN turn on list에 포함되어 있으면, 단말이 자신의 WLAN 모뎀을 턴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네트워크가 단말에게 WLAN 모뎀을 턴온하라는 지시자를 전송한다. 네트워크는 단말의 등록에 대한 응답 메시지에 해당 Femto가 WLAN 기능을 갖고 있다는 지시자를 포함하여 전송하고, 단말은 상기 지시자를 보고 자신의 WLAN 모뎀을 턴온한다. WLAN 모뎀을 턴온한 단말은 설정에 따라 홈 네트워크 서비스에 자신을 등록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Femto, HeNB, LTE(Long Term Evolution), WLAN, 홈 네트워크

Description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에서 무선랜 모뎀의 자동 턴온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TURN ON OF WLAN MODEM IN UE SUPPORTING DUAL MODE}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홈 네트워크에 진입한 단말에서 무선랜 모뎀의 자동 턴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자는 집안에서 홈 네트워크(home network)를 구성하기 위해 대부분 WLAN AP(Wireless Local Area Network Access Point)를 사용하였다. 예를 들어, 컴퓨터(computer), IP(Internet Protocol) TV,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개인의 홈 네트워크로 구성하고, 기기간의 통신을 위해 WLAN 기술을 이용하였다. 근래에는 WLAN 모뎀을 탑재한 이동 단말도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기로 등장하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개인이 집안에서 커버리지(coverage)를 넓히거나 특정 용도를 위해, 펨토(Femto)를 설치하면서 Femto와 이동 단말이 홈 네트워크 서비스에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WLAN 모뎀은 기존 이통통신(예: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 모뎀에 비해 배터리 소모가 커서, 배터리 소모량이 중요한 이동 단말(이하, "단말"이라 칭함)은 대부분 평소에 WLAN 모뎀을 오프(off) 상태로 둔다. 그러므로, 단말이 홈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댁내에 진입해도 단말은 WLAN 모뎀이 오프 상태이므로,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다.
종래에는 단말의 WLAN 모뎀을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환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안이 사용되었다.
첫 번째는 단말이 WLAN 모뎀을 항상 켜놓는 방안이 있다. 두 번째는 단말의 WLAN 모뎀이 주기적으로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환하여 WLAN AP를 검색하는 방안이 있다. 세 번째는 단말이 홈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댁내에 진입하면 상기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직접 단말의 WLAN 모뎀을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환하는 방안이 있다.
상기 언급한 세가지 방안 모두 단말의 배터리가 소모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며, 특히 세 번째 방안은 사용자의 인터랙션(interaction)까지 요구된다. 즉, 사용자가 직접 단말의 WLAN 모뎀 상태를 변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단말이 홈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댁내에 진입하면 단말의 WLAN 모뎀이 자동으로 온 상태가 되면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단말이 Femto와 WLAN AP로 홈 네트워크를 구성한 댁내에 진입했음을 감지했을 때 단말의 WLAN 모뎀이 자동으로 턴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이 Femto와 WLAN AP로 홈 네트워크를 구성한 댁내에 진입했음을 감지했을 때 단말의 WLAN 모뎀이 자동으로 턴온하면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에서 무선랜 모뎀의 자동 턴온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기지국과 무선랜 억세스 포인트로 홈 네트워크를 구성한 지역에 진입했음을 감지했을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펨토 식별자가 상기 단말이 접속 가능한 펨토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펨토 리스트에 상기 펨토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지국에 상기 단말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펨토 식별자가 무선랜 턴온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펨토 식별자가 무선랜 턴온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무선랜 모뎀을 턴온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에서 무선랜 모뎀의 자동 턴온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기지국과 무선랜 억세스 포인트로 홈 네트워크를 구성한 지역에 진입했음을 감지했을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펨토 식별자가 상기 단말이 접속 가능한 펨토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펨토 리스트에 상기 펨토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로 상기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해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등록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응답 메시지에 Femto capability가 포함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응답 메시지에 Femto capability가 포함된 경우, 상기 무선랜 모뎀을 턴온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단말이 Femto와 WLAN AP로 홈 네트워크를 구성한 댁내에 진입했음을 감지했을 때 단말의 WLAN 모뎀이 자동으로 턴온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는 무선으로 단말과 홈 네트워크 기기들의 주소록 또는 일정과 같은 특정 데이터를 동기화 할 수 있다. 만약 일정이 동기화된 경우, 각 홈 네트워크 기기들이 일정 알림을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는 랩탑 등으로 무선으로 연결된 단말의 데이터에 접근하여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에 저장된 영상을 무선으로 IP TV에 전송하여, TV를 통해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이 Femto와 WLAN AP로 홈 네트워크를 구성한 댁내(또는 지역)에 진입했음을 감지한 경우, 단말의 WLAN 모뎀이 자동으로 턴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단말은 이동통신 모뎀과 WLAN 모뎀을 모두 구비하는 듀얼 모드 단말이며, 댁내에 진입하게 되면 댁내에서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WLAN을 사용한다.
도 1a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홈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홈 네트워크는 댁내에서 컴퓨터, IP TV, 세탁기, mp3 플레이어 등을 WLAN을 이용하여 홈 게이트웨이(Home GW)(110)와 연결된 네트워크이다. 즉, 상기 홈 게이트웨이(110)는 WLAN AP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댁내(100)에 Femto 기지국(120)(이하에서는 "Femto" 또는 "eNB(enhanced NodeB)" 라 칭함)이 구비되어 있다. 즉, 댁내(100)에는 WLAN AP와 Femto(120)로 구성된 홈 네트워크가 구비되어 있다.
도 1b는 펨토 기지국을 통해 인터넷 망과 접속되는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선은 데이터 경로를 의미하고, 점선은 시그널링 경로를 의미한다.
UE(130)는 본 발명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것이며, eNB/Femto(120)는 기지국/Femto를 의미하고,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140)는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고, HSS(Home Subscriber Server)는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엔터티이다.
도 1a와 같이 단말(130)이 외부에서 댁내로 진입했음을 감지하면, 즉, Femto 서비스 지역으로 진입했음을 감지하면, Femto(12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Femto 식별자가 자신이 접속 가능한 Femto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포함된 경우, 상기 Femto(120)에 자신을 등록한다. 상기 Femto 식별자는 CSG(Closed Subscriber Group) ID를 포함하고 상기 Femto 리스트는 Allowed CSG list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단말이 어떤 기준을 사용하여 WLAN을 켜는지에 따라 두 가지 실시예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수신한 Femto 구별자가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WLAN turn on list에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단말(130)이 자신의 WLAN 모뎀을 턴온한다. WLAN 모뎀을 턴온한 단말(130)은 설정에 따라 홈 네트워크 서비스에 자신을 등록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네트워크가 단말에게 WLAN 모뎀을 턴온하라는 지시자(Femto capability)를 전송한다. 상기 Femto capability는 네트워크가 단말이 등록하고자 하는 femto가 지원하는 기능을 알려주기 위해 사용하는 지시자이다. Femto capability는 WLAN 이외에 femto가 지원하는 다른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의 등록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에 해당 Femto(120)가 WLAN 기능을 갖고 있다는 지시자를 포함하여 보내고, 단말(130)은 등록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지시자를 보고 자신의 WLAN 모뎀을 턴온한다. WLAN 모뎀을 턴온한 단말(130)은 설정에 따라 홈 네트워크 서비스에 자신을 등록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Femto(120)는 SAE/LTE(System Architecture Evolution/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의 Home eNB(이하 HeNB)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단말(130)은 이동통신 시스템과 WLAN 모두를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이며, 상기 단말(130)은 외부에 있다가 Femto 서비스 지역(댁내)으로 진입하면, 댁내에서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 WLAN에 접속한다고 가정한다.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SAE/LTE 시스템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SAE/LTE 시스템에서 HeNB 단말은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자신이 접속 가능한 Femto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자신이 접속 가능한 Femto 리스트는 "Allowed CSG(Closed Subscriber Group) list"을 포함한다. Allowed CSG list는 사업자가 미리 지정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추가할 수 있으며, UE가 접속가능한 HeNB의 리스트이다. CSG ID는 HeNB에 할당되어 HeNB를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HeNB(CSG cell 개념 포함)는 CSG ID를 브로드캐스트하여, 상기 단말(130)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린다. 즉, 단말(130)은 상기 allowed CSG list에 포함된 CSG에만 접속이 허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말(130)은 201 단계에서 펨토 서비스 지역으로 진입했는가를 판단한다. 즉, 펨토 서비스 지역으로 진입한 경우 단말(130)은 203 단계에서 HeNB가 브로드캐스트한 CSG ID를 수신한다. 이후, 단말(130)은 205 단계에서 수신한 CSG ID가 자신의 허용된 CSG 리스트 즉, Allowed CSG list 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 만약 수신한 CSG ID가 자신의 허용된 CSG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단말(130)은 201 단계로 귀환한다. 그러나 수신한 CSG ID가 자신의 허용된 CSG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 단말(130)은 207 단계에서 해당 HeNB에 자신을 등록한다. 여기서, HeNB에 자신을 등록한다는 개념은 단말이 CSG ID를 수신하고, TAU(Tracking Area Update)등을 통해 네트워크에 자신이 HeNB 서비스 지역에 있다는 위치등록을 의미한다. 등록 완료되면, 단말(130)은 209 단계에서 수신한 CGS ID가 자신의 WLAN turn on list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 만약 수신한 CGS ID가 자신의 WLAN turn on list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단말(130)은 모든 동작을 종료시킨다. 그러나 수신한 CGS ID가 자신의 WLAN turn on list에 포함된 경우 단말(130)은 211 단계에서 WLAN 모뎀을 턴온한다. 213 단계에서 단말(130)은 홈 네트워크에 등록한다.
상기 WLAN turn on list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것으로 단말이 WLAN을 턴온하는 CSG ID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말 내에 저장되어 있다. 예컨대, 단말의 USIM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단말의 저장 매체 어디 곳에서라도 저장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상기 WLAN turn on list는 단말 사용자 또는 사업자 등 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WLAN을 턴온한 단말이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등록하는 방안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범주에 속하지 않으므로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단말이 홈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과정까지 포함함을 밝힌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말(130)은 301 단계에서 펨토 서비스 지역으로 진입했는가를 판단한다. 펨토 서비스 지역으로 진입한 경우 단말(130)은 303 단계에서 HeNB가 브로드캐스트한 CSG ID를 수신한다. 이후, 단말(130)은 305 단계에서 수신한 CSG ID가 자신의 허용된 CSG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 만약 수신한 CSG ID가 자신의 허용된 CSG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단말(130)은 301 단계로 귀환한다. 그러나 수신한 CSG ID가 자신의 허용된 CSG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 단말(130)은 307 단계에서 해당 HeNB에 자신을 등록하기 위해 등록 메시지를 HeNB를 통해서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이때, 단말(130)은 상기 네트워크로 TAU(Tracking Area Updat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경우,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엔터티인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가 TAU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이후 단말(130)은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등록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말(130)은 311 단계에서 상기 응답 메시지에 Femto capability가 포함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응답 메시지에 Femto capability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단말(130)은 모든 동작을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 응답 메시지에 Femto capability가 포함된 경우 단말(130)은 313 단계에서 WLAN 모뎀을 턴온한다. 상기 Femto capability에 femto의 WLAN 지원 여부가 포함된다. 단말(130)은 315 단계에서 홈 네트워크에 등록한다.
WLAN을 턴온한 단말이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홈네트워크 게이트웨이에 등록하는 방안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범주에 속하지 않으므로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단말이 홈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과정까지 포함함을 밝힌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네트워크로부터 femto capability를 수신하는 일 예를 LTE 시스템을 가정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401 단계에서 단말(130)은 401 단계에서 펨토 서비스 지역으로 진입했음을 인지한다. 이후 단말(130)은 403 단계에서 해당 CSG에 자신을 등록하기 위해, Femto(120)에 TAU(Tracking Area Updat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Femto(120)는 405 단계에서 Femto(120)와 MME(140)사이의 인터페이스인 S1 를 통해, 수신한 TAU Request에 자신의 CSG ID를 추가하여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엔터티인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140)에게 전송한다. 403 단계에서의 메시지(NAS 메시지)와 405 단계에서의 메시지(S1 메시지)는 그 메시지의 형태가 다르나,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편의상 같은 도면에 도시하도록 한다.
상기 405 단계에서의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MME(140)는 407 단계에서 Femto capability query 메시지를 HSS(150)로 전송한다. 즉, MME(140)가 HSS(150)에 Femto의 capability를 물어보는 것이다. 이때 MME(140)는 Femto capability를 모르고 있을 경우 상기 Femto capability query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에 Femto capability를 모르고 있음을 표시하여 전송한다. 그러나 상기 MME(140)는 Femto capability를 알고 있을 경우 409 단계에서 상기 HSS(150)에게 상기 Femto capability query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에 Femto capability를 추가하여 전송한다. 상기 MME(140)는 상기 Femto의 capability를 TAU accept 메시지에 포함하여 단말(130)로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네트워크로부터 femto capability를 수신하는 다른 예를 LTE 시스템을 가정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의 501 단계 내지 505 단계는 도 4의 401 단계 내지 405 단계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505 단계에서의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MME(140)는 507 단계에서 미리 저장된 해당 CSG ID의 femto capability를 확인한다. 이는 MME가 femto capability를 미리 알고 있어야 가능하다. S1 메시지를 통해 CSG ID를 수신한 MME(140)가 해당 Femto의 capability를 알 수 있는 방법은 초기에 Femto가 설치될 때, Femto(120)가 MME(140)에게 자신의 capability를 알림으로써 가능하다. 상기 MME(140)는 509 단계에서 미리 저장된 해당 Femto의 capability를 TAU accept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동작하는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단말은 무선랜 모뎀(131), 이동통신 모뎀(135), 및 제어부(133)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 1, 2에 따라 단말의 제어부(133)가 이동통신 모뎀(135)으로부터 무선랜 모뎀(131)을 턴온 할 수 있는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133)는 WLAN 모뎀(131)이 턴온 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무선랜 모뎀(131)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모뎀(135)과 WLAN모뎀(131)을 갖고 있는 듀얼모드 단말의 WLAN 모뎀(131)을 턴온하는 것을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동통신 모뎀과 블루투스(Bluetooth)를 갖고 있는 듀얼 모드 단말 등, WLAN이외의 다른 기술을 갖고 있는 단말에도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동작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동작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네트워크로부터 femto capability를 수신하는 일 예를 LTE 시스템을 가정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네트워크로부터 femto capability를 수신하는 다른 예를 LTE 시스템을 가정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동작하는 단말의 블록 구성도.

Claims (9)

  1.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에서 무선랜 모뎀의 자동 턴온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기지국과 무선랜 억세스 포인트로 홈 네트워크를 구성한 지역에 진입했음을 감지했을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펨토 식별자가 상기 단말이 접속 가능한 펨토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펨토 리스트에 상기 펨토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지국에 상기 단말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펨토 식별자가 무선랜 턴온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펨토 식별자가 무선랜 턴온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무선랜 모뎀을 턴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에서 무선랜 모뎀의 자동 턴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펨토 리스트는, Allowed CSG list를 포함하는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에서 무선랜 모뎀의 자동 턴온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펨토 식별자는 CSG ID를 포함하는 듀얼 모드를 지원하 는 단말에서 무선랜 모뎀의 자동 턴온 방법.
  4.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에서 무선랜 모뎀의 자동 턴온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기지국과 무선랜 억세스 포인트로 홈 네트워크를 구성한 지역에 진입했음을 감지했을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펨토 식별자가 상기 단말이 접속 가능한 펨토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펨토 리스트에 상기 펨토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로 상기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해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등록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응답 메시지에 Femto capability가 포함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응답 메시지에 Femto capability가 포함된 경우, 상기 무선랜 모뎀을 턴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에서 무선랜 모뎀의 자동 턴온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펨토 리스트는, Allowed CSG list를 포함하는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에서 무선랜 모뎀의 자동 턴온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펨토 식별자는 CSG ID를 포함하는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에서 무선랜 모뎀의 자동 턴온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Femto capability에 Femto의 WLAN 지원 여부를 포함하는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에서 무선랜 모뎀의 자동 턴온 방법.
  8.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에서 무선랜 모뎀의 자동 턴온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기지국과 무선랜 억세스 포인트로 홈 네트워크를 구성한 지역에 진입했음을 감지했을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펨토 식별자가 상기 단말이 접속 가능한 펨토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펨토 리스트에 상기 펨토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지국에 상기 단말의 위치 등록을 요청하고, 상기 수신된 펨토 식별자가 무선랜 턴온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수신된 펨토 식별자가 무선랜 턴온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무선랜 모뎀이 턴온하도록 상기 무선랜 모뎀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턴오프 상태에서 턴온 상태로 변환하는 무선랜 모뎀을 포함하는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에서 무선랜 모뎀의 자동 턴온 장치.
  9.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에서 무선랜 모뎀의 자동 턴온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기지국과 무선랜 억세스 포인트로 홈 네트워크를 구성한 지역에 진입했음을 감지했을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펨토 식별자가 상기 단말이 접속 가능한 펨토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펨토 리스트에 상기 펨토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으로 상기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해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등록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에 Femto capability가 포함되어 있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에 Femto capability가 포함된 경우, 상기 무선랜 모뎀이 턴온하도록 상기 무선랜 모뎀으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턴오프 상태에서 턴온 상태로 변환하는 무선랜 모뎀을 포함하는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에서 무선랜 모뎀의 자동 턴온 장치.
KR1020090020338A 2009-03-10 2009-03-10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590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338A KR101590636B1 (ko) 2009-03-10 2009-03-10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US12/661,046 US8676160B2 (en) 2009-03-10 2010-03-10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E supporting dual m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338A KR101590636B1 (ko) 2009-03-10 2009-03-10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902A true KR20100101902A (ko) 2010-09-20
KR101590636B1 KR101590636B1 (ko) 2016-02-02

Family

ID=42731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338A KR101590636B1 (ko) 2009-03-10 2009-03-10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76160B2 (ko)
KR (1) KR1015906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6404A (ko) * 2011-12-13 2014-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오프로딩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934885B2 (en) 2011-12-15 2015-01-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mall cell base station managing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small cell base station
KR20190051614A (ko) * 2017-11-07 2019-05-15 주식회사 케이티 통합 펨토셀에서의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71979A1 (en) * 2009-04-27 2010-10-28 Alcatel-Lucent Usa Inc. Methods To Facilitate Automatic System Configuration
CN102025603B (zh) * 2009-09-17 2015-01-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报文发送控制的方法、系统及注册、更新的方法及系统
EP2605580B1 (en) * 2010-08-13 2020-06-24 ZT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implementation for terminal device
CN102821424B (zh) * 2011-06-09 2015-02-18 中磊电子股份有限公司 辅助移动数据分流的方法及通信装置以及移动装置
JP5890622B2 (ja) * 2011-06-28 2016-03-22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局、csg型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集積回路および基地局
WO2013036580A2 (en) * 2011-09-09 2013-03-1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ccessing localized applications
WO2013048201A2 (ko) 2011-09-30 2013-04-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로컬 네트워크에서 단말 이동성 지원 방법 및 장치
CN102497629A (zh) * 2011-12-13 2012-06-13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触发lte单卡双待多模终端进行联合注册的方法及终端
US20130267224A1 (en) * 2012-04-10 2013-10-10 Jyotsna KRISHNASWAMY Apparatus and method for efficient location-based seamless modem and mobile application activation
US9681349B1 (en) * 2014-09-05 2017-06-13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raffic offloa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closed access mode conditions
US9807806B2 (en) * 2014-12-24 2017-10-31 Mediatek Inc. Method for accessing a network in electronic system and associated portable device
US10039141B2 (en) * 2015-03-18 2018-07-31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Event-triggered mode switching for a mobile terminal
CN105636089A (zh) * 2015-04-23 2016-06-0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无线局域网络的接入控制方法和接入控制装置
US9807552B1 (en) * 2015-06-25 2017-10-31 Amdocs Development Limited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intelligent radio state switching for geographically fixed access points
US10070392B1 (en) * 2015-06-25 2018-09-04 Amdocs Development Limited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intelligent device connection management
US9681366B2 (en) * 2015-10-06 2017-06-13 Ht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2637936B (zh) * 2019-09-24 2023-04-07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注册专网频段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2615B2 (en) * 2004-07-16 2009-03-10 Bridgeport Networks, Inc. Handoff for cellular and internet protocol telephony
TWI248267B (en) * 2004-10-26 2006-01-21 Ind Tech Res Inst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cellular/WLAN dual mode communication service
CN101072231A (zh) * 2006-05-13 2007-11-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网络中协商移动ip能力的方法和装置
US7978667B2 (en) * 2006-11-30 2011-07-12 Kyocera Corporation Management of WLAN and WWAN communication services to a multi-mo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GB2447438A (en) * 2007-01-31 2008-09-17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Automatic configur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based upon location
US20080181178A1 (en) * 2007-01-31 2008-07-3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ttachment procedures
US9445312B2 (en) * 2007-12-31 2016-09-13 United States Cellular Corporation Enhanced configuration and handoff scheme for Femto systems
US8194549B2 (en) * 2008-05-09 2012-06-05 At&T Mobility Ii Llc Femto cell access point passthrough model
US8626162B2 (en) * 2008-06-06 2014-01-07 Qualcomm Incorporated Registration and access control in femto cell deployments
US8451773B2 (en) * 2008-11-12 2013-05-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ynamic lightweight remote management of hybrid femtocell gateway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6404A (ko) * 2011-12-13 2014-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오프로딩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380495B2 (en) 2011-12-13 2016-06-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ata offload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US8934885B2 (en) 2011-12-15 2015-01-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mall cell base station managing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small cell base station
KR20190051614A (ko) * 2017-11-07 2019-05-15 주식회사 케이티 통합 펨토셀에서의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76160B2 (en) 2014-03-18
KR101590636B1 (ko) 2016-02-02
US20100234017A1 (en) 201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0636B1 (ko)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EP2987373B1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RU2521615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и способ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услуг устройствам связи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включающей в себя частную соту
JP6314209B2 (ja) 通信装置および方法
US8243682B2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8509778B2 (en) Handling location information for femto cells
JP5698369B2 (ja) ユーザ機器のハンドインのためにターゲットフェムトセルを識別するための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US9332498B2 (en) Energy efficient base station entering sleep mode
JP517355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収容サーバ
RU262832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передачей сигнала и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206432B1 (ko)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방법
KR101688099B1 (ko) 통합펨토셀 내에서 핸드오버수행방법
KR101335650B1 (ko) 중첩 네트워크 환경에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방법 및 그장치
US8289889B2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ement of femto base station
WO2010069240A1 (zh) 移动终端接入开放模式家庭基站的方法及系统
WO2008113278A1 (fr) Procédé destiné à un terminal mesurant une cellule de reseau à accès restreint et dispositif associé
JP2011049859A (ja) 基地局装置および管理サーバ
JP541778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無線基地局
CN102577456B (zh) 通信系统
KR20100110417A (ko) 펨토 셀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lbo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장치
JP5197131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無線システム選択方法および加入者制御ノード
US9374742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stablishing a circuit-switched fallback scan-list
US9832710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ed broadcasting of system identification
KR20150116552A (ko) 통합 기지국 및 단말
JP2013521733A (ja) アイドルモード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