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9500A -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9500A
KR20100099500A KR1020090018031A KR20090018031A KR20100099500A KR 20100099500 A KR20100099500 A KR 20100099500A KR 1020090018031 A KR1020090018031 A KR 1020090018031A KR 20090018031 A KR20090018031 A KR 20090018031A KR 20100099500 A KR20100099500 A KR 20100099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window
output terminal
terminal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0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호연
박경모
황승오
정보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8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9500A/en
Publication of KR20100099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950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and a communication system performing the same are provided to use portable terminals connected with an output terminal when a character input window is displayed on the output terminal, thereby easily inputting characters. CONSTITUTION: An output terminal(100) transmits input window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input window on a portable terminal(200). The output terminal displays a user interface screen including the input window.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at least input window according to the received input window information.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s input characters on the displayed input window to the output station. The output terminal displays the transmitted characters.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How to provide a user interface and the communication system that performs i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와 같이 출력 기능만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와 같이 입출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공유하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and a communication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interface between a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only an output function such as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and a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input / output function such as a portable terminal. A method of sharing and a communication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IP(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한 컨버전스 시대에 있어 통신과 방송의 융합은 시장성이 높은 차세대 신규 비즈니스 모델로서, 차세대 시장 선도 기술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통신과 방송의 융합 서비스 중에서 가장 큰 축인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는 기존의 TV, 음성, 데이터 기술이 하나로 재조합 또는 결합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IPTV는 사용자와 IPTV 서비스 제공자 간에 데이터 흐름을 양방향으로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IPTV는 더욱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다. In the era of convergence based on Internet Protocol (IP), convergence of telecommunications and broadcasting is emerging as a new market model with high marketability and is attracting attention as one of the next generation market leading technologies.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which is the largest convergence service of 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can provide a recombination or combination of existing TV, voice, and data technologies into one. In addition, IPTV can support data flow in both directions between users and IPTV service providers. As a result, IPTV can provide more diverse business models and create a variety of services.

그리고 과학 기술의 발전에 따라 기존 컴퓨터 환경에서 제공되었던 인터넷 서비스 등이 IPTV 또는 휴대 단말기에서도 제공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인터넷 서비스는 컴퓨터 환경에 맞게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으므로 IPTV와 같이 출력만 할 수 있는 단말기에서는 인터넷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IPTV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할 때, 입력부가 따로 구비되어 있지 않아, 검색어 등을 입력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In addition,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ternet services provided in the existing computer environment can be provided in an IPTV or a portable terminal. However, since the Internet service has a user interface configured for a computer environm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ternet function cannot be efficiently used in a terminal capable of outputting only, such as an IPTV. In addition, when searching data stored in the IPTV, since an input unit is not provided separately, it is difficult to input a search wor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and a communication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입력창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상기 출력 단말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창에 해당하는 입력창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입력창 정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입력창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입력창에 입력되는 문자를 상기 출력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출력 단말기는 상기 전송된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put termi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input window, wherein the output terminal displaying a user interface screen including at least one input window is provided. Transmitting to the mobile terminal; Displaying, by the portable terminal, at least one input window according to the received input window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a character input in the displayed input window to the out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displaying the transmitted text.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입력창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창에 해당하는 입력창 정보를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출력 단말기; 및 상기 수신된 입력창 정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입력창을 표시하고, 상기 입력창에 입력되는 문자를 상기 출력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 구성된다. 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user interface providing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user interface screen including at least one input window, and inputs input window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input window. An output terminal for transmitting to a portable terminal and displaying a character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ing at least one input window according to the received input window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a character input in the input window to the output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IPTV와 같은 출력 단말기에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창이 표시되었을 때, 사용자는 출력 단말기와 연결된 휴대 단말기들을 이용하여 문자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단말기가 휴대 단말기에 입력창 정보를 제공하여, 휴대 단말기는 출력 단말기의 입력창과 동일한 입력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 표시된 입력창에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 출력 단말기에 표시된 입력창에 문자를 입력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text is displayed on an output terminal such as an IPTV, the user can easily input text using portable terminal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In addition, the output terminal provides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can display the same input window as the input window of the output terminal. Accordingly, the user inputting the text into the input window displayed on the portable terminal may have the same effect as inputting the text into the input window displayed on the output terminal.

'출력 단말기'는 IPTV와 같이 외부로부터 수신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다른 단말기들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그리고 '출력 단말기'는 STB(Set To Box)와 연결된 수상기나 모니터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TB는 컨텐츠 제공자와 같은 서버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는 수상기나 모니터 등으로 중계하는 기기를 의미한다. The 'output terminal' refers to a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utside, such as an IPTV, and connected to other terminals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he 'output terminal' may also include a receiver or a monitor connected to a set to box (STB). Here, the STB refers to a device that converts a digital video signal transmitted from a server such as a content provider to an analog signal and relays the signal to a receiver or monitor that does not have a communication function.

'휴대 단말기'는 핸드폰과 같이 휴대성이 용이하고, 입력 기능 및 출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른 단말기들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들을 의미한다. The term 'portable terminal' refers to a terminal that is easily portable as a mobile phone, can perform an input function and an output function, and can be connected to other terminals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입력창'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에서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검색 기능 수행하기 위한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는 검색어 입력창, 사용자 아이디 및 비밀 번호 등을 입력할 수 있는 로그인 입력창, 전화번호, 주소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 입력창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put Box' is an input user interface that allows users to enter text in the user interface. A search box for inputting a search word to perform a search function, and a login input window for entering a user ID and password. , A user information input window for inputting a telephone number, an address,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입력창 정보'는 입력창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의미한다. 여기서 입력창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되는 입력창의 개수, 각 입력창들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입력창의 크기와 색 등과 관련된 입력창 디자인 정보, 입력창에 입력되는 문자를 통해 수행될 수 있는 기능 종류에 대한 입력창 종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문자를 통해 수행될 수 있는 기능의 종류는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 기능, 특정 사이트나 출력 단말기에 로그인할 수 있는 로그인 기능, 사용자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 제공 기능 등이 될 수 있다. 'Input window information' means information required to display the input window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number of input windows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each input window, input window design information related to the size and color of the input window, and characters inputted to the input window. The input window type information about the type may be included. Here, the types of functions that can be performed through text may be a search function for searching data, a login function for logging in to a specific site or an output terminal, and a user information providing function for inputting user information. have.

'문자'는 휴대 단말기 및 출력 단말기에 표시된 입력창에 입력되는 데이터로써, 각 국가 언어의 기본 단위 또는 숫자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문자는 검색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입력되는 검색어, 인터넷 사이트나 출력 단말기에 로그인하기 위해 입력되는 아이디 및 비밀번호 등이 될 수 있다. 'Character' is data input to an input window displayed on a portable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and may be a basic unit or number of each national language. The text may be a search word input to perform a search function, an ID and a password input to log in to an Internet site or an output termina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t this tim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Furth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struc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출력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로 구성된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n output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 단말기(100)와 입력 기능 및 출력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 기(20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출력 단말기(100)는 컨텐츠 제공자와 같은 서버와 연결되어 다양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IPTV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200)는 출력 단말기(10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입력 기능 및 출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핸드폰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communication system may include an output terminal 100 capable of outputting data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a portable terminal 200 capable of performing both an input function and an output function. Here, the output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of an IPTV that is connected to a server such as a content provider and can output various data.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100 by wireless or wi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of a mobile phone capable of performing an input function and an output function.

출력 단말기(100)는 컨텐츠 제공자와 같은 서버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하 UI;User Interface) 화면을 출력 단말 표시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UI 화면은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145)을 포함한다. 여기서 UI 화면은 검색어를 입력하여 특정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 화면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UI 화면은 출력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모든 화면에 될 수 있으며, 출력 단말기(100)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이 표시된 화면, 인터넷 사이트 또는 출력 단말기(100)에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로그인 입력창이 표시된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output terminal 100 may display a user interface (UI) screen received from a server such as a content provider on the output terminal display unit 140. The UI screen includes an input window 145 for inputting a search word. In this case, the UI screen is an example of an Internet site screen for searching for specific data by inputting a search wor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UI screen may be any screen displayed on the output terminal 100, and a screen displaying a function of searching for data stored in the output terminal 100, an ID for logging in to an Internet site or the output terminal 100. And a screen on which a login input window for inputting a password is displayed.

휴대 단말기(200)는 출력 단말기(100)에 표시된 UI 화면 중에서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145)을 휴대 단말 표시부(250)에 표시할 수 있다. 휴대 단말 표시부에 표시된 입력창(145)에 문자가 입력되면, 휴대 단말기(200)는 입력된 문자를 연결된 출력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휴대 단말기가 출력 단말기(100)에 표시된 입력창(145)을 선택한 경우, 다른 휴대 단말기들은 제1 휴대 단말기가 선택한 입력창(145)을 제외한 나머지 입력창들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200 may display an input window 145 on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 unit 250 for inputting a search word among UI screens displayed on the output terminal 100. When a character is input to the input window 145 displayed on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 unit, the portable terminal 200 may transmit the input character to the connected output terminal 100. When the first portable terminal selects the input window 145 displayed on the output terminal 100, other portable terminals may select from the remaining input windows except for the input window 145 selected by the first portable terminal.

이상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휴대 단말기(200) 및 출력 단말기(100)에서 공유하여 표시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했다. 다음으로 통신 시스템 중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출력 단말기(100)를 구성하는 구성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a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sharing and displaying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text on a user interface screen by the portable terminal 200 and the output terminal 100 has been described. Next, a configuration of an output terminal 100 displaying a user interface screen in a communic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outpu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출력 단말기(100)는 출력 단말 제어부(110), 서버 통신부(120), 제1 외부 단말기 통신부(130), 출력 단말 표시부(140), 출력 단말 저장부(150)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output terminal 100 includes an output terminal control unit 110, a server communication unit 120, a first external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30, an output terminal display unit 140, and an output terminal storage unit 150. do.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출력 단말기(100)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들의 상태 및 동작을 제어한다.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창을 포함하는 UI 화면을 출력 단말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휴대 단말기(200)가 UI 화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창 중에서 특정 입력창을 선택하면,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선택된 입력창에 해당하는 입력창 정보를 추출하여 휴대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그러기 위해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입력창 정보 추출부(115)를 포함한다.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controls the states and operations of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output terminal 100.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displays a UI screen including at least one input window on the output terminal display unit 140. When the mobile terminal 200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ly selects a specific input window from at least one input window included in the UI screen,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extracts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nput window and carries the mobile terminal. Transmit to the terminal 200. To this end,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includes an input window information extractor 115.

입력창 정보 추출부(115)는 출력 단말 표시부(140)에 표시된 UI 화면에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에 해당하는 입력창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출력 단말 표시부(140)에 표시된 UI 화면은 출력 단말기(100)가 연결된 컨텐츠 제공자와 같은 서버로부터 전송된 화면이 될 수 있다. 그리고 UI 화면은 출력 단말기(100) 내에서 저장된 화면으로 기능을 수행하거나, 수행될 기능을 선택할 수 있 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화면이 될 수 있다. 여기서 UI 화면은 서버로부터 전송된 화면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15 performs a function of extracting input window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characters from the UI screen displayed on the output terminal display unit 140. The UI screen displayed on the output terminal display unit 140 may be a screen transmitted from a server such as a content provider to which the output terminal 100 is connected. The UI screen may be a screen that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performing a function as a screen stored in the output terminal 100 or selecting a function to be performed. Herein, the UI screen is assumed to be a scree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서버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형식의 UI 화면을 출력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서버로부터 전송된 UI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HTML 형식에서 입력창과 관련된 입력창 정보는 표 1과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창은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가정하여 설명한다.The server transmits a UI screen in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format to the output terminal 100. Input window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put window in HTML format for displaying the UI scree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may be represented in Table 1. Here, the input window will be described assuming an input window for entering a search word.

[표 1]TABLE 1

<HTML><HTML>

..

..

<INPUT UI idx="2">  <INPUT UI idx = "2">

<div class=" search_textbox" style="position:relative;z-index;55;">     <div class = "search_textbox" style = "position: relative; z-index; 55;">

<input type="text" name="query" id="query" title="검색창" tabindex="2" class="tx" accesskey="s"/>        <input type = "text" name = "query" id = "query" title = "Search box" tabindex = "2" class = "tx" accesskey = "s" />

</div>     </ div>

<INPUTUI>  <INPUTUI>

..

..

</HTML></ HTML>

표 1과 같이 표시되는 HTML 형식에서 INPUT UI idx="2"는 UI 화면에 표시되는 입력창 중에서 두번째 입력창임을 나타내는 입력창 식별 정보이다. div는 입력창의 종류와 UI 화면에 입력창이 표시될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input type은 입력창에 입력되는 문자의 종류, titl은 입력창이 검색창이라는 것을, tabindex는 탭 이동 순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In the HTML format displayed as shown in Table 1, INPUT UI idx = "2" is input window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it is a second input window among the input windows displayed on the UI screen. The div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input window and the position where the input window is displayed on the UI screen. The input type is the type of characters entered in the input box, the titl is the input box is the search box, and the tabindex is the information about the tab movement order.

그러면 입력창 정보 추출부(115)는 UI 화면을 표시하기 위해 서버로부터 전송된 HTML 형식에서 표 1과 같이 표현되는 입력창 정보인 <INPUT UI idx="2">부터 <INPUTUI>까지 추출한다. 그리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입력창이 함께 필요한 경우, 입력창 정보 추출부(115)는 두 개 이상의 입력창들과 관련된 입력창 정보를 함께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로그인 입력창의 경우, 입력창 정보 추출부(115)는 각각 사용자 아이디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과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함께 추출할 수 있다.Then,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extractor 115 extracts input window information <INPUT UI idx = "2"> to <INPUTUI>, which is expressed as shown in Table 1, in the HTML format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o display the UI screen. When at least two input windows are required together,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extractor 115 may extract input window information related to two or more input windows.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login input window for inputting a user ID and a password,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extractor 115 may extract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a user ID and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a password, respectively. .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입력창 정보 추출부(115)를 통해 추출된 입력창 정보를 제1 외부 단말기 통신부(130)를 통해 입력창 정보를 요청한 휴대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제1 외부 단말기 통신부(130)을 통해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입력창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입력창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출력 단말 저장부(150)에 저장된 입력창 정보들 중에서 휴대 단말기(200)가 요청한 입력창 정보를 확인한다.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may transmit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extracted through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extractor 115 to the mobile terminal 200 that has requested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external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30. In more detail,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determines whether an input window informa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through the first external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30. When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checks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mobile terminal 200 among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stored in the output terminal storage unit 150.

그리고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확인된 입력창 정보에 휴대 단말기(200)의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입력창 요청 신호에는 휴대 단말기(200)의 정보가 포함된다. 휴대 단말기(200)의 정보는 휴대 단말기(20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로, 휴대 단말기(200)의 고유 아이디나, 휴대 단말기(200)에 할당된 IP 주소 등이 될 수 있다.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maps and stores the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to the confirmed input window information. The input window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includes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The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portable terminal 200, and may be a unique ID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or an IP address assigned to the portable terminal 200.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확인된 입력창 정보를 입력창 정보 추출부(115)를 통해 추출한다. 그리고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추출된 입력창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가공하여, 제1 외부 단말기 통신부(130)를 통해 휴대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extracts the checked input window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extractor 115.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processes the extracted input window information into a message form and transmits the extracted input window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200 through the first external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30.

확인된 입력창 정보에 휴대 단말기(200)의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이유는 다른 휴대 단말기가 휴대 단말기(200)가 선택한 입력창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출력 단말 표시부(140)에 제1 입력창, 제2 입력창이 표시되었고, 제1 휴대 단말기, 제2 휴대 단말기가 출력 단말기(100)와 연결되었다고 가정한다. 먼저 제1 휴대 단말기가 제1 입력창을 사용하고 있는 중에 제2 휴대 단말기가 제1 입력창에 해당하는 제1 입력창 정보를 출력 단말 제어부(110)에 요청한다. 그러면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출력 단말 저장부(150)에 저장된 제1 입력창 정보를 확인한다. 제1 입력창에 대한 제1 입력창 정보에는 제1 휴대 단말기의 정보가 매핑되어 있으므로,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제1 입력창을 제1 휴대 단말기가 사용하고 있음을 제2 휴대 단말기에 알릴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하나의 입력창을 여러 개의 휴대 단말기가 사용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 reason for mapping and storing the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to the confirmed input window information is to prevent other portable terminals from accessing the input window selected by the portable terminal 200.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input window and the second input window are displayed on the output terminal display unit 140, and the first portable terminal and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ar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100. First, while the first portable terminal is using the first input window,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requests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for first input window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put window. Then,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checks the first input window information stored in the output terminal storage 150. Since information o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is mapped to the first input window information on the first input window,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notifies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that the first portable terminal is using the first input window. Can be.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 of a single input window by several portable terminals.

입력창을 다른 휴대 단말기(200)가 먼저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 출력 단말 제 어부(110)는 휴대 단말기(200)로 입력창을 사용하고 있는 사용 단말기가 존재하고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예약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함께 휴대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예약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입력창 사용을 예약한 휴대 단말기(200)의 정보를 출력 단말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그리고 다른 휴대 단말기로부터 입력창 사용 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예약된 휴대 단말기(200)에 입력창 사용이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다른 입력창을 선택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휴대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When another portable terminal 200 is using the input window first, the output terminal control unit 110 may transmit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re is a using terminal using the input window to the portable terminal 200. Herein,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may transmit a message for confirming whether a reservation is set to the mobile terminal 200. When the reserva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200,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stores the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reserved for the use of the input window in the output terminal storage 150. When the input window use completion signal is received from another portable terminal,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may transmit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input window can be used to the reserved portable terminal 200. Alternatively,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may transmit a message to the portable terminal 200 to select another input window.

다음으로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문자가 수신되면,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수신된 문자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수신된 문자가 출력 단말 저장부(150)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어라면,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출력 단말 저장부(150)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한다. 또는 수신된 문자가 출력 단말기(100)와 연결된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어라면,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서버 통신부(120)를 통해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문자를 서버로 전송한다. 그리고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 단말 표시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Next, when a text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performs a func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text. For example, if the received text is a search word for searching for data stored in the output terminal storage unit 150, the output terminal control unit 110 searches for data stored in the output terminal storage unit 150. Alternatively, if the received text is a search word for searching data stored in a server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100,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transmits the text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to the server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20. do. In addition,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may display the data received from the server on the output terminal display unit 140.

그리고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선택되었던 입력창이 해제되면,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출력 단말 저장부(150)에 저장된 입력창 정보에 매핑되었던 휴대 단말기(200)의 정보를 삭제한다. When the input window selec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released,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deletes the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mapped to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stored in the output terminal storage 150.

서버 통신부(120)는 유선 또는 무선 랜으로 연결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와 같은 서버와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서버 통신부(120)를 서버를 통해 수신되는 UI 화면을 출력 단말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그리고 서버 통신부(120)는 출력 단말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문자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20 performs a communication function with a server such as a content provider that provides content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 LAN. Here,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20 transmits the UI screen received through the server to the output terminal control unit 110.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20 may transmit the text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to the server under the control of the output terminal control unit 110.

제1 외부 단말기 통신부(13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휴대 단말기(200)와 같은 외부 단말기와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제1 외부 단말기 통신부(130)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수행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제1 외부 단말기 통신부(130)는 케이블을 통해 휴대 단말기(200)와 연결하여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USB(Universal Serial Bus)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외부 단말기 통신부(130)는 휴대 단말기(200)와 연결되어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입력창 정보 요청 신호를 출력 단말 제어부(110)로 전달한다.The first external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30 performs a communication function with an external terminal such as the mobile terminal 200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ly. The first external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30 may be configured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perform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such as Bluetooth, Wi-Fi, or the like. Alternatively, the first external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30 may be configured as a USB (Universal Serial Bus) module capable of performing a communication function by connecting to the mobile terminal 200 through a cable. Here, the first external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ransmits an input window information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to the output terminal control unit 110.

출력 단말 표시부(140)는 출력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상태 및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출력 단말 표시부(140)는 출력 단말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UI 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출력 단말 표시부(140)는 출력 단말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휴대 단말기(200)가 요청한 입력창 정보에 해당하는 입력창을 다른 입력창들과 구분되게 표시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 출력 단말 표시부(140)는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선택된 입력창을 다른 입력창과 다른 색으로 표시하거나, 블록으로 처리하거나, 하이라이트로 표시할 수 있다. The output terminal display unit 140 displays data related to the overall state and operation of the output terminal 100. Here, the output terminal display unit 140 displays the UI screen under the control of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The output terminal display unit 140 may display an input window corresponding to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mobile terminal 200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input windows under the control of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To this end, the output terminal display unit 140 may display the input window selected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in a different color from that of the other input window, process it as a block, or highlight it.

그리고 출력 단말 표시부(140)는 출력 단말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단말 표시부(140)는 출력 단말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문자에 따른 기능이 수행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put terminal display unit 140 may display the text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200 under the control of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In addition, the output terminal display unit 140 may display a screen on which a function according to a character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출력 단말 저장부(150)는 출력 단말기(100)에서 수행될 수 있는 기능들과 관련된 응용 프로그램 및 기능 수행시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출력 단말 저장부(150)는 출력 단말 표시부(140)에 UI 화면을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한다. 여기서 UI 화면을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에 입력창 정보가 포함된다. 입력창 정보는 UI 화면에서 문자들이 입력될 수 있는 입력창과 관련된 정보이다. 입력창 정보는 입력창들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입력창 디자인 정보, 입력창 종류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The output terminal storage unit 150 stores application programs related to functions that can be performed in the output terminal 100 and various data generated when the functions are executed. The output terminal storage unit 150 stores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displaying a UI screen on the output terminal display unit 140. In this case, input window information is included in information necessary to display a UI screen.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is information related to an input window through which characters can be input on the UI screen.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may b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input windows, input window design information, input window type information, and the like.

휴대 단말기(200)에 의해 UI 화면의 입력창이 선택되면, 출력 단말 저장부(150)는 출력 단말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입력창 정보별로 휴대 단말기(200)의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200)에 의해 선택되었던 UI 화면의 입력창이 해제되면, 출력 단말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입력창 정보에 매핑되었던 휴대 단말기(200)의 정보가 출력 단말 저장부(150)에서 삭제될 수 있다. When the input window of the UI screen is selected by the portable terminal 200, the output terminal storage unit 150 may map and store the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for each input window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When the input window of the UI screen selected by the mobile terminal 200 is released, the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mapped to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is deleted from the output terminal storage unit 150. Can be.

이상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입력창과 관련된 입력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출력 단말기(100)를 구성하는 구성들에 대하여 설명했다. 다음으로 출력 단말기(100)가 제공한 입력창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창을 표시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200)를 구성하는 구성들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In the above,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output terminal 100 capable of providing input window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put window included in the user interface have been described. Next, the components of the mobile terminal 200 capable of displaying the input window using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provided by the output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200)는 휴대 단말 제어부(210), 무선 통신부(220), 제2 외부 단말기 통신부(230), 휴대 단말 저장부(240), 휴대 단말 표시부(250), 휴대 단말 입력부(260)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portable terminal 200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21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a second external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30, a portable terminal storage unit 240, a portable terminal display unit 250, and a portable terminal. The terminal input unit 260 is configured.

휴대 단말 제어부(210)는 휴대 단말기(200)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들의 상태 및 동작을 제어한다. 제2 외부 단말기 통신부(230)를 통해 출력 단말기(100)와 연결되면, 휴대 단말 제어부(210)는 휴대 단말 표시부(250)를 제어하여 제어 UI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제어 UI 화면은 출력 단말기(100)에서 수행될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표시되는 UI 화면이다.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210 controls the states and operations of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ortable terminal 200. When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100 through the second external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30,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210 controls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 unit 250 to display a control UI screen. The control UI screen is a UI screen displayed to control a function to be performed in the output terminal 100.

그리고 사용자가 제어 UI 화면에 표시된 제어 키들을 이용하여 출력 단말기(100)에 표시된 UI 화면의 입력창을 선택하면, 휴대 단말 제어부(210)는 선택된 입력창과 관련된 입력창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출력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출력 단말기(100)로부터 입력창 정보가 수신되면, 휴대 단말 제어부(210)는 수신된 입력창 정보를 이용하여 출력 단말기(100)에 표시된 UI 화면의 입력창과 동일한 입력창을 휴대 단말 표시부(250)에 표시할 수 있다. When the user selects an input window of the UI screen displayed on the output terminal 100 using the control keys displayed on the control UI screen,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210 outputs a signal for requesting input window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ected input window. Send to 100. When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output terminal 100,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210 uses the received input window information to display the same input window as the input window of the UI screen displayed on the output terminal 100. Can be marked on.

휴대 단말 입력부(260)를 통해 휴대 단말 표시부(250)에 표시된 입력창에 문자가 입력되면, 휴대 단말 제어부(210)는 제2 외부 단말기 통신부(230)를 제어하여 입력된 문자를 출력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 제어부(210)는 다시 제어 UI 화면을 휴대 단말 표시부(250)에 표시한다. When a character is input to an input window displayed on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 unit 250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input unit 260,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210 controls the second external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30 to output the input character to the output terminal 100. To send). The mobile terminal controller 210 again displays the control UI screen on the mobile terminal display unit 250.

무선 통신부(220)는 휴대 단말기(200)와 기지국 간의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200)는 음성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핸드폰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므로 무선 통신부(220)가 휴대 단말기(200)의 구성으로 포함되었다. 그러나 핸드폰이 아닌 전자 사전, 노트북과 같은 휴대 단말기(200)의 경우에 휴대 단말기(200)의 구성에서 무선 통신부(220)가 제외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performs a communication func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base station. Since the mobile terminal 200 is described as a mobile phone capable of performing a voice call func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is included as a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Howev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may be exclud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in the case of a mobile terminal 200 such as an electronic dictionary and a notebook, not a mobile phone.

제2 외부 단말기 통신부(23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출력 단말기(100)와 같은 외부 단말기와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제2 외부 단말기 통신부(230)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수행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제2 외부 단말기 통신부(230)는 케이블을 통해 휴대 단말기(200)와 연결하여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USB(Universal Serial Bus)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외부 단말기 통신부(230)는 출력 단말기(100)와 연결되어 출력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입력창 정보 요청 신호를 휴대 단말 제어부(210)로 전달한다.The second external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30 performs a communication function with an external terminal such as an output terminal 100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ly. The second external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30 may be configured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perform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such as Bluetooth, Wi-Fi, or the like. Alternatively, the second external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30 may be configured as a USB (Universal Serial Bus) module capable of performing a communication function by connecting to the mobile terminal 200 through a cable. Here, the second external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30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100 and transmits an input window information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the output terminal 100 to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210.

휴대 단말 저장부(240)는 휴대 단말기(200)에서 수행될 수 있는 기능들과 관련된 응용 프로그램 및 기능이 수행되는 중에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The portable terminal storage unit 240 stores various data generated while an application program and a function related to functions that can be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200 are performed.

휴대 단말 표시부(250)는 휴대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상태 및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 표시부(250)는 휴대 단말 제어부(210)의 제어 하에 출력 단말기(100)와 연결되면, 제어 UI 화면을 표시한다. 제어 UI 화면은 출력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키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키는 방향을 지할 수 있는 방향키, 출력 단말기(100)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키, 볼륨을 제어할 수 있는 볼륨 제어 키, 채널을 변경할 수 있는 채널 제어 키 등이 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display unit 250 displays data related to the overall state and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Herein, when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 unit 250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210,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 unit 250 displays a control UI screen. The control UI screen includes a control key for controlling the output terminal 100. Herein, the control key may be a direction key for supporting a direction, a menu key for selecting a menu of the output terminal 100, a volume control key for controlling a volume, a channel control key for changing a channel, and the like.

휴대 단말 표시부(250)는 휴대 단말 제어부(210)의 제어 하에 출력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창 정보에 따른 입력창을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 표시부(250)는 휴대 단말 제어부(210)의 제어 하에 휴대 단말 입력부(260)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를 입력창에 표시할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 unit 250 displays an input window according to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utput terminal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210. The mobile terminal display unit 250 may display a character inpu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input unit 260 in the input window under the control of the mobile terminal controller 210.

휴대 단말 입력부(26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숫자 및 문자 정보, 각종 기능들의 설정과 같은 휴대 단말기(200)의 기능 제어와 관련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휴대 단말 제어부(210)로 전달한다. 휴대 단말 입력부(260)는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되거나,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휴대 단말 입력부(260)는 숫자 및 문자로 구성되는 문자키,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키, 소프트 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 입력부(260)는 사용자로부터 휴대 단말 표시부(250)에 표시된 입력창에 입력될 문자에 해당하는 신호를 휴대 단말 제어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input unit 260 transmits a signal input in connection with the function control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such as numeric and text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and setting of various functions, to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210. The portable terminal input unit 260 may be formed of a touch screen or a keypad. The portable terminal input unit 260 may include a text key composed of numbers and letters, a function key for selecting a function, a soft key, and the like. Herein, the portable terminal input unit 260 may transmit a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racter to be input into an input window displayed on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 unit 250 from the user to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210.

다음으로 입력창에 해당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간의 신호 흐름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서 출력 단말기(100)는 IPTV, 서버는 컨텐츠 제공자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Next, a signal flow between communication systems that provide a user interface corresponding to an input window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output terminal 100 is assumed to be an IPTV and the server is a content provider.

도 4를 참조하면, 출력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UI 화면을 요청하는 신호를 컨텐츠 제공자(300)로 전송한다. UI 화면은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 UI 화면,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특정 사이트의 메인 UI 화면 등이 될 수 있다. 그러면 컨텐츠 제공자(300)는 410단계에서 요청된 UI 화면을 출력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output terminal 100 transmits a signal for requesting a UI screen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to the content provider 300. The UI screen may be a search UI screen for searching data or a main UI screen of a specific site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Then, the content provider 300 transmits the requested UI screen to the output terminal 100 in step 410.

출력 단말기(100)는 415단계에서 컨텐츠 제공자(300)로부터 수신된 UI 화면에 포함된 입력창 정보를 확인한다. 컨텐츠 제공자(300)가 전송하는 UI 화면은 HTML 형식으로 구성되며, 출력 단말기(100)는 HTML 형식을 분석하여 UI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UI 화면은 문자가 입력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창을 포함하므로, 컨텐츠 제공자(300)가 전송한 UI 화면에 해당하는 HTML 형식에도 입력창 정보가 포함된다. 그래서 출력 단말기(100)는 컨텐츠 제공자(300)가 전송한 UI 화면에 해당하는 HTML 형식에서 UI 화면과 함께 표시될 입력창에 대한 입력창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출력 단말기(100)는 420단계에서 UI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출력 단말기(100)는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창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output terminal 100 checks input window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I screen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er 300 in step 415. The UI screen transmitted by the content provider 300 may be configured in an HTML format, and the output terminal 100 may analyze the HTML format and display the UI screen. Since the UI screen includes at least one input window through which text can be input,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is also included in the HTML format corresponding to the UI screen transmitted by the content provider 300. Thus, the output terminal 100 checks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on the input window to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UI screen in an HTML format corresponding to the UI screen transmitted by the content provider 300. In operation 420, the output terminal 100 displays a UI scree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output terminal 100 may store at least one input window information that is confirmed.

다음으로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휴대 단말기(200)와 출력 단말기(100)는 425단계에서 연결한다. 휴대 단말기(200)와 출력 단말기(100)가 연결되면, 휴대 단말기(200)는 430단계에서 제어 UI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제어 UI 화면은 휴대 단말기(200)에서 출력 단말기(100)에서 수행될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키가 표시되는 UI 화면이다. Next, when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output terminal 100 connect in step 425. When the portable terminal 200 and the output terminal 100 are connected, the portable terminal 200 displays a control UI screen in step 430. Here, the control UI screen is a UI screen in which at least one control key for controlling a function to be performed in the output terminal 100 is displayed on the portable terminal 200.

휴대 단말기(200)는 435단계에서 출력 단말기(100)에 표시된 입력창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입력창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출력 단말기(100)로 전송한 다. 그러면 출력 단말기(100)는 440단계에서 저장된 입력창 정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입력창에 해당하는 입력창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출력 단말기(100)는 445단계에서 추출된 입력창 정보를 휴대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The mobile terminal 200 transmits a signal for requesting input window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input window displayed on the output terminal 100 to the output terminal 100 in step 435. Then, the output terminal 100 extracts input window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window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stored in step 440. The output terminal 100 transmits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extracted in step 445 to the portable terminal 200.

입력창 정보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200)는 450단계에서 수신된 입력창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입력창 정보에 따른 입력창을 표시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출력 단말기(100)의 UI 화면에 표시된 입력창과 동일한 입력창이 휴대 단말기(200)에 표시된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기(200)는 455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문자가 입력되면, 460단계에서 입력된 문자를 출력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The mobile terminal 200 receiving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analyzes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received in step 450 and displays an input window according to the analyzed input window information. Through this process, the same input window as the input window displayed on the UI screen of the output terminal 100 is displayed on the portable terminal 200. Next, when the text is input from the user in step 455, the portable terminal 200 transmits the text input in step 460 to the output terminal 100.

출력 단말기(100)는 465단계에서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문자를 해당 입력창에 표시한다. 그리고 출력 단말기(100)는 470단계는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표시된 문자를 컨텐츠 제공자(300)에게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컨텐츠 제공자(300)는 475단계에서 수신된 문자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수행될 수 있는 기능은 문자가 포함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기능, 입력된 문자에 따라 특정 사이트에 로그인하는 기능 등이 될 수 있다.The output terminal 100 displays the text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in the corresponding input window in step 465. In operation 470, the output terminal 100 transmits the displayed text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to the content provider 300. The content provider 300 receiving the content perform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text in step 475. The functions that may be performed here may be a function of searching for data including text, a function of logging in to a specific site according to the input text, and the like.

컨텐츠 제공자(300)는 480단계에서 기능이 수행되는 화면을 출력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출력 단말기(100)는 485단계에서 컨텐츠 제공자(300)로부터 수신된 기능이 수행되는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출력 단말기(100)는 컨텐츠 제공자(300)로부터 수신된 UI 화면 또는 기능이 수행되는 화면을 표시한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UI 화면은 출력 단말기(100) 내에서 제공되는 화면이 될 수 있고, 기능이 수행되는 화면은 출력 단말기(100)에서 기 능이 수행되는 화면이 될 수 있다. The content provider 300 transmits the screen on which the function is performed in step 480 to the output terminal 100. In step 485, the output terminal 100 displays a screen on which the function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er 300 is performed. Herein, although the output terminal 100 displays a UI screen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er 300 or a screen on which a function is performed, the output terminal 100 is not limited thereto. In other words, the UI screen may be a screen provided in the output terminal 100, and the screen on which the function is performed may be a screen on which the function is performed in the output terminal 100.

다음으로 출력 단말기(10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휴대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Next, a method of providing the user interface to the portable terminal 200 in the output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of an outpu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510단계에서 출력 단말 표시부(140)를 제어하여 UI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UI 화면은 컨텐츠 제공자와 같은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고, 출력 단말 저장부(150)에 저장되는 화면이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controls the output terminal display unit 140 to display a UI screen in step 510. In this case, the UI screen may be received from a server such as a content provider, and may be a screen stored in the output terminal storage unit 150.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515단계에서 제1 외부 단말기 통신부(130)를 통해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입력창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입력창 정보 요청 신호에는 휴대 단말기(200)의 고유 아이디와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만약 입력창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520단계에서 휴대 단말기(200)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인 데이터 재생, 볼륨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determines whether an input window informa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200 through the first external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30 in step 515. In this case,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request signal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a unique ID of the mobile terminal 200. If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request signal is not received,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may perform data reproduction, volume control, etc., which is a function selected by the portable terminal 200 or the user, in step 520.

그러나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입력창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530단계에서 출력 단말 저장부(150)에 저장된 입력창 정보 중에서 휴대 단말기(200)가 요청한 입력창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535단계에서 확인된 입력창 정보에 사용 단말기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사용 단말기 정보는 휴대 단말기(200)가 요청한 입력창 정보에 해당하는 입력창을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200)에 대한 정보이다. However, when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200,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displays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portable terminal 200 among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stored in the output terminal storage 150 in step 530. Check it. In operation 535,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information exists in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The use terminal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the portable terminal 200 using the input window corresponding to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portable terminal 200.

만약 사용 단말기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540단계에서 확인된 입력창 정보와 휴대 단말기(200)의 정보를 매핑하여 출력 단말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200)의 정보는 입력창 정보 요청 신호와 함께 수신되는 정보로, 휴대 단말기의 고유 아이디와 같은 식별 정보를 의미한다. If the use terminal information does not exist,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maps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identified in step 540 and the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and stores the information in the output terminal storage unit 150. The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is information received together with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request signal, and means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a unique ID of the mobile terminal.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545단계에서 출력 단말 저장부(150)에 저장된 입력창 정보 중에서 휴대 단말기(200)가 요청한 입력창 정보를 추출한다. 다음으로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550단계에서 추출된 입력 정보를 제1 외부 단말기 통신부(130)를 통해 휴대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extracts input window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portable terminal 200 from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stored in the output terminal storage unit 150 in step 545. Next,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transmits the input information extracted in step 550 to the mobile terminal 200 through the first external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30.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555단계에서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문자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문자가 수신되면,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560단계에서 수신된 문자를 해당 입력창에 표시한다.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문자를 전송한 휴대 단말기(200)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휴대 단말기(200)의 정보가 매핑된 입력창에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determines whether a text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200 in step 555. If the text is received,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displays the received text in a corresponding input window in step 560.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may check the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that has transmitted the text, and display the text on the input window to which the information of the confirmed mobile terminal 200 is mapped.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565단계에서 표시된 문자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표시된 문자를 컨텐츠 제공자와 같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화면을 출력 단말 표시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표시된 문자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출력 단말 저장부(150)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를 출력 단말 표시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performs a function according to the displayed character in step 565. Although not shown,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may transmit the displayed text to a server such as a content provider.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may display a screen for performing a func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on the output terminal display unit 140. Alternatively,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may search for data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character in the output terminal storage unit 150 and display the retrieved data on the output terminal display unit 140.

다시 535단계로 돌아가서 사용 단말기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570단계에서 제1 외부 단말기 통신부(130)를 통해 사용 단말기 정보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휴대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이때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예약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함께 전송한다. If the user terminal information does not exist again in step 535,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transmit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user terminal information exists through the first external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30 to the mobile terminal 200 in step 570. do. In this case,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transmits a message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reservation is set.

그리고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575단계에서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예약 설정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예약 설정이 선택되면,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580단계에서 휴대 단말기(200)가 요청한 입력창 정보에 예약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입력창 정보에 사용 단말기 정보가 삭제되면, 예약되었던 휴대 단말기(200)에 입력창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문자가 수신되면,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출력 단말 표시부(140)를 제어하여 해당 입력창에 수신된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In operation 575,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determines whether a reservation setting is selec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200. If the reservation setting is selected,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maps the reservation information to input window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mobile terminal 200 in step 580 and stores the reservation information. Although not shown,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may transmit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to the reserved mobile terminal 200 when the use terminal information is deleted from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When the text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200,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may control the output terminal display unit 140 to display the received text in the corresponding input window.

다음으로 휴대 단말기(200)에서 출력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받는 방법에 대해 도 6 내지 도 7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Next, a method of receiving a user interface from the output terminal 100 in the portable terminal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7.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process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휴대 단말 제어부(210)는 610단계에서 제2 외부 단말기 통신부(230)를 통해 출력 단말기(100)와 연결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 제어부(210)는 615단계에서 휴대 단말 표시부(250)를 제어하여 제어 UI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제어 UI 화면은 휴대 단말기(200)에서 출력 단말기(100)에서 수행될 수 있는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해 표시되는 화면이다. Referring to FIG. 6, in operation 610,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210 connects to the output terminal 100 through the second external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30. In operation 615, the mobile terminal controller 210 controls the mobile terminal display 250 to display a control UI screen. The control UI screen is a screen displayed to control functions that may be performed in the output terminal 100 in the mobile terminal 200.

그리고 휴대 단말 제어부(210)는 620단계에서 제어 UI 화면을 통해 출력 단말기(100)의 UI 화면에 표시된 입력창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입력창이 선택되지 않으면, 휴대 단말 제어부(210)는 625단계에서 연결되었던 출력 단말기(100)의 해제가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휴대 단말 제어부(210)는 제어 UI 화면을 통해 출력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In operation 620,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210 determines whether an input window displayed on the UI screen of the output terminal 100 is selected through the control UI screen. If the input window is not selected,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210 determines whether the release of the output terminal 100 connected in step 625 is selecte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210 can transmit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output terminal 100 through the control UI screen.

반면에 입력창이 선택되면, 휴대 단말 제어부(210)는 630단계에서 출력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창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창 및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한다. 여기서 630단계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put window is selected,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210 displays the input window and the input character using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utput terminal 100 in step 630. Here, step 6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 제어부(210)는 710단계에서 제2 외부 단말기 통신부(23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입력창에 해당하는 입력창 정보를 출력 단말기(100)에 요청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 제어부(210)는 715단계에서 출력 단말기(100)로부터 입력창 정보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Referring to FIG. 7, in operation 710,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210 requests input window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input window selected by a user through the second external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30 from the output terminal 100. In operation 715,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210 determines whether input window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output terminal 100.

입력창 정보가 수신되면, 휴대 단말 제어부(210)는 720단계에서 수신된 입력창 정보에 따른 입력창을 휴대 단말 표시부(250)에 표시한다. 휴대 단말 표시부(250)에 표시되는 입력창은 출력 단말기(100) UI 화면에 표시된 입력창과 동일한 입력창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출력 단말기(100)에 표시된 입력창과 동일하게 표시된다.When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is received,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210 displays the input window according to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received in operation 720 on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 unit 250. Since the input window displayed on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 unit 250 has the same input window information as that displayed on the UI screen of the output terminal 100, the input window is displayed in the same manner as the input window displayed on the output terminal 100.

다음으로 휴대 단말 제어부(210)는 725단계에서 휴대 단말 입력부(260)를 통해 문자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문자가 입력되면, 휴대 단말 제어부(210)는 730단계에서 입력된 문자를 출력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휴대 단말 제어부(210)는 문자 전송이 완료되면, 휴대 단말 표시부(250)에 표시되었던 입력창을 삭제하고 제어 UI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 단말기(100)로부터 다시 입력창 정보가 수신되면, 출력 단말 제어부(110)는 수신된 입력창 정보에 해당하는 입력창을 다시 휴대 단말 표시부(250)에 표시할 수 있다. Next,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210 determines whether a character is input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input unit 260 in step 725. When the text is input,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210 transmits the text input in step 730 to the output terminal 10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text transmission is completed,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210 may delete the input window displayed on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 250 and display the control UI screen. When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output terminal 100 again, the output terminal controller 110 may display the input window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nput window information on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 unit 250 again.

715단계로 돌아가, 만약 입력창 정보가 수신되지 않고, 사용 단말기 존재 메시지가 수신되면, 휴대 단말 제어부(210)는 740단계에서 선택된 입력창을 사용하는 사용 단말기가 존재한다는 메시지를 휴대 단말 표시부(250)에 표시한다. 이때 휴대 단말 제어부(210)는 휴대 단말 표시부(250)에 입력창 사용 예약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을 표시할 수 있다. 휴대 단말 제어부(210)는 745단계에서 휴대 단말 입력부(260)를 통해 예약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예약이 선택되면, 휴대 단말 제어부(210)는 750단계에서 제2 외부 단말기 통신부(230)를 통해 예약을 요청하는 신호를 출력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Returning to step 715, if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is not received and the use terminal presence message is received,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210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re is a use terminal using the input window selected in step 740. ). In this case,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210 may display a selection window for selecting an input window use reservation on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 unit 250. In operation 745,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210 determines whether a reservation is selecte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input unit 260. If the reservation is selected,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210 transmits a signal for requesting a reservation to the output terminal 100 through the second external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30 in step 750.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휴대 단말기(200)에 출력 단말기(100)의 UI 화면에 표시된 입력창과 동일한 입력창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200)의 입력창에 입력된 문자가 출력 단말기(100)의 입력창에도 동일하게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출력 단말기(100)에 직접 문자를 입력하지 않고, 출력 단말기(100)와 연결된 다른 휴대 단말기(200)들을 통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 단말기(100)는 연결된 휴대 단말기(200)을 통해 입력된 문자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rough these processes, the same input window as the input window displayed on the UI screen of the output terminal 100 may be displayed on the portable terminal 200. Characters input in the input window of the mobile terminal 200 may be input in the input window of the output terminal 100 in the same manner. Therefore, the user may input text through the other portable terminals 200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100 without directly inputting the text to the output terminal 100. The output terminal 100 may perform various functions using the characters input through the connected portable terminal 200.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pecific examples are provided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출력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로 구성된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1 illustrates a communication system comprised of an output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utpu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of an output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process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으며, 통신 기능을 구비한 출력 단말기와 상기 출력 단말기와 연결된 휴대 단말기로 구성된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of a communication system that can display data received from the outside, comprising an output terminal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portable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적어도 하나의 입력창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상기 출력 단말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창에 해당하는 입력창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The output terminal displaying a user interface screen including at least one input window, transmitting input window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input window to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입력창 정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입력창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입력창에 입력되는 문자를 상기 출력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 및Displaying, by the portable terminal, at least one input window according to the received input window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a character input in the displayed input window to the output terminal; And 상기 출력 단말기는 상기 전송된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The output terminal provides a user interface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the transmitted charac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창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은The process of claim 1, wherein the extracting of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input window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is performed. 상기 출력 단말기는 상기 입력창에 해당하는 입력창 정보에 상기 입력창을 사용하는 사용 단말기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Determining, by the output terminal, whether information on a user terminal using the input window exists in input window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window; 상기 사용 단말기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존재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And if the user terminal information exists, transmitting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user terminal exists to the portable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ransmitting to the portable terminal comprises: 상기 출력 단말기는 상기 입력창 정보에 상기 휴대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사용 단말기 정보로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The output terminal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mapp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and storing as the use terminal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출력 단말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문자를 이용한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 및The output terminal performing a function using a character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상기 기능이 수행되는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And displaying a screen on which the function is perform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출력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 및Displaying, by the portable terminal, a control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output terminal; And 상기 표시된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 단말기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창 중에서 특정 입력창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입력창에 해당하는 입력창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출력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If a specific input window is selected from the at least one input window displayed on the output terminal using the displayed control user interface, transmitting a signal for requesting input window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nput window to the output terminal;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적어도 하나의 입력창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창에 해당하는 입력창 정보를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출력 단말기; 및An output terminal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screen including at least one input window, transmitting input window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input window to a portable terminal, and displaying a character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상기 수신된 입력창 정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입력창을 표시하고, 상기 입력창에 입력되는 문자를 상기 출력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통신 시스템.And a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to display at least one input window according to the received input window information, and to transmit a character input in the input window to the output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말기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output terminal 상기 입력창에 해당하는 입력창 정보에 상기 입력창을 사용하는 사용 단말기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존재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통신 시스템.And when the use terminal information using the input window is present in the input window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window, transmitting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user terminal exists to the portable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The mobile terminal of claim 6,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출력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출력 단말기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창 중에서 특정 입력창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입력창에 해당하는 입력창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출력 단말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통신 시스템.Displaying a control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output terminal, and when a specific input window is selected from the at least one input window displayed on the output terminal, requesting input window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nput window;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a user interfac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o.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말기는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output terminal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문자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기능이 수행되는 화면을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통신 시스템.And performing a function according to a text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displaying a screen on which the function is performed.
KR1020090018031A 2009-03-03 2009-03-03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KR2010009950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031A KR20100099500A (en) 2009-03-03 2009-03-03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031A KR20100099500A (en) 2009-03-03 2009-03-03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500A true KR20100099500A (en) 2010-09-13

Family

ID=43005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031A KR20100099500A (en) 2009-03-03 2009-03-03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950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32778A (en) * 2011-06-16 2012-12-19 磁化电子株式会社 Linear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32778A (en) * 2011-06-16 2012-12-19 磁化电子株式会社 Linear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6578B2 (e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for remote text input
CN103024503B (en) System and method for achieving remote control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terminal
KR102013338B1 (en) Sharing Method of Service Page and Electronic Device operating the same
CN104270662A (en) System of terminal equipment for controlling intelligent television through browser
KR102203757B1 (en) Closed caption-supported content 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system having the same and closed caption-providing method thereof
KR101425491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a call service by web to app interworking
JP5284494B2 (en) Communication system by portable terminal and television apparatus, portable terminal, televis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of portable terminal, operation program of portable terminal
US20140059444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mote browsing
CN103596027A (en) Method and device for retrieving keyboards under different scenes of intelligent television
JP5524246B2 (en)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address transmission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100566975B1 (en) remote function changing system of the cellular-pho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US201201098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sns information
JP2013141180A (en) Communication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and television apparatus, mobile terminal, television apparatus, method for communication of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program of mobile terminal
KR20040063436A (en) Avata service method to make gestures and apparatus therefor
KR20100099500A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WO2017213454A1 (en) Fil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user server
KR100843725B1 (en) The system and method for jointing the webpage
KR20080064480A (en) System and terminal and methods for voice keyword guidence messaje using the multi-modal plug-in
JP5624643B2 (en)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electronic device control program,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on system
KR20130143268A (en) System for input of contents, terminal, method for input of content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CN116320564A (en) Display device, terminal device, and device control method
JP4756940B2 (en) Enclosed web system
KR100395634B1 (en) Display Device
KR100762936B1 (en)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Method
KR100748272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international call service by using plural input window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