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5406A -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ntroll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close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ntroll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close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5406A
KR20100095406A KR1020100072045A KR20100072045A KR20100095406A KR 20100095406 A KR20100095406 A KR 20100095406A KR 1020100072045 A KR1020100072045 A KR 1020100072045A KR 20100072045 A KR20100072045 A KR 20100072045A KR 20100095406 A KR20100095406 A KR 20100095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0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43142B1 (en
Inventor
이승환
김민
김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00072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142B1/en
Publication of KR20100095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4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1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system thereof are provided to remove inconvenience of an interface and manipul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STITU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200) comprises an EIF(External Interface) protocol and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ess devi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an external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rates a CS(Client Server) application for controlling an operating and driving function of a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keypad input of a terminal according to macro data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an operation and function performing result of a terminal to the external terminal.

Description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ntroll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close range wireless communication}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ntroll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close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부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한 연동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interworking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external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mote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최근의 전자 공학 및 통신 공학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도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되었다. 즉, 무선 통신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 화상 통신 및 동영상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급격한 보급으로 인해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상당한 양의 통신이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등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대 생활에서 필수적인 통신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With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various functions. That i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data processing technology, people can use not only voice calls but also Internet access, video communication and video message transmiss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 addition, due to the rapid dissemin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become an essential means of communication in modern life, such as a considerable amount of communication occurring in human relationships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이 탑재되어 사용자는 음성 통화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사용하게 되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보다 빈번하게 이동통신 단말기를 조작하게 되고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성과 디자인이 중요하게 고려되어 제작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단말기 조작시 인터페이스가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성과 디자인을 고려하여 갈수록 경박단소화 경향이 두드러지게 되는데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키패드 버튼 조작이 불편하거나 한정된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단말기 조작이 쉽지만은 않게 되었다. As su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quipped with various functions, and users can use various functions and services in addition to voice calls. Therefore, users opera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re frequently, and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anufactured considering the portability and the design, the user complains that the interface is inconvenient when operating the terminal. In other word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come increasingly light and short in consideration of portability and design, so that users are not comfortable with the keypad button operation or the terminal operation is limited with a limited display screen.

이러한 문제로 인해 종래에는 조작이 편리하고 인터페이스가 향상된 별도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케이블로 연결해서 조작 제어하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단말기 간의 연결을 위한 별도의 케이블이 구비되어야 하고 이로 인해 이동성이 제약받는 문제가 있었다.Due to this problem, conventionally, a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by connec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able by using a separate terminal with convenient operation and improved interface has been used. However, this method has to be provided with a separate cable f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mobility is limi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편한 조작성과 인터페이스의 불편함을 해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the operation and the inconvenience of the inte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조작성과 인터페이스가 우수한 외부 장치를 이용할 때에도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된 케이블로 인한 이동성의 제약을 해결하고 별도의 케이블 없이도 사용 가능하게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using an external device excellent in operability and interface has another purpose to solve the limitation of mobility due to the cabl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o use without a separate cab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and will be appreciated by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Fur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the combination shown in the appended claim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하여 무선 이동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부 단말기를 원격 연동하는 방법으로서, (a) EIF(External Interface) 프로토콜 및 매크로 기능이 구비된 CS(Client Server)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부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EIF 프로토콜을 수행할 수 있는 스크립트 엔진이 포함된 CS(Client Server)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 (c) 상기 외부 단말기는, 상기 구동된 CS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식할 수 있는 키패드 입력 신호를 매크로(macro)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 및 (d) 상기 저장된 매크로 데이터를 상기 통신채널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emote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thod for remotely interwork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external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by access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method comprising: (a)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S (Client Server) application equipped with an external interface (EIF) protocol and a macro function and an external terminal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to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b) driving a CS (Client Server) application including a script engine capable of executing an EIF protocol in the external terminal; (c) the external terminal storing the keypad input signal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macro data through the driven CS application; And (d) transmitting the stored macro dat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channel.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하여 무선 이동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부 단말기를 원격 연동하는 시스템으로서, EIF(External Interface) 프로토콜과 상기 EIF 프로토콜을 수행할 수 있는 스크립트 엔진이 탑재되고,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수단을 구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접속하고 상기 EIF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채널을 형성하며, CS(Client Server)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식할 수 있는 키패드 입력 신호를 매크로(macro) 데이터로 저장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저장된 매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외부 단말기;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하여 무선 이동통신이 가능하고, EIF 프로토콜과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와 접속하고 통신채널을 형성하며, 단말기의 동작 및 구동 기능을 제어하는 CS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전송한 매크로 데이터에 따라 단말기의 키패드 입력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및 기능 수행 결과를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for remotely interwork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external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by connect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ich can perform an external interface (EIF) protocol and the EIF protocol. A script engine is mounted, and equipped wit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ans to connect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according to the EIF protocol, and drive a CS (Client Server) application to recognize a keypad inp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external terminal for storing a signal as macro data and transmitting the stored macro dat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channel; And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and having an EIF protocol and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ans for connecting to the external terminal,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hannel, and driving a CS application controlling the operation and driving functions of the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keypad input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macro data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and transmitting a result of the operation and function of the terminal to the external terminal. A remote control system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하여 무선 이동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는 외부 단말장치로서,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되어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모듈; EIF(External Interface) 프로토콜이 탑재되어 상기 형성된 통신채널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통신모듈;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식할 수 있는 키패드 입력 신호를 매크로(macro) 데이터로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모듈을 통해 접속된 이동통신 단말기로 매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CS(Client Server) 애플리케이션 모듈;을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단말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ternal terminal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by access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communication terminal being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odule to form a; A data communication module equipped with an external interface (EIF) protocol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formed communication channel; And a CS (Client Server) application module for storing the keypad input signal recogniz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macro data and transmitting the macro dat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s a remote control terminal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외부 단말장치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원격 제어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을 통해 상기 외부 단말장치와 연결되어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모듈; EIF(External Interface) 프로토콜이 탑재되어 상기 형성된 통신채널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통신모듈; 및 상기 외부 단말장치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식할 수 있는 키패드 입력 신호가 매크로(macro) 데이터로 저장된 매크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하여, 그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및 기능 수행 결과를 상기 외부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CS(Client Server) 애플리케이션 모듈;을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motely controlled from an external terminal device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mpri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odule connected to the external terminal device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to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A data communication module equipped with an external interface (EIF) protocol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formed communication channel; And receiving,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macro data in which a keypad input signal that can be recognized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external terminal device as macro data is received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operation and func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external terminal. Provided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motely controlled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ing a; CS (Client Server) appl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o the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어 별도의 케이블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케이블을 연결하여 원격 제어할 때보다 이동성이 자유로운 효과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motely contro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o that a separate cable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and thus the mobility is more free than when the cable is connected and controlled remotely.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시에 양측에 EIF 프로토콜을 탑재한 CS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되어 단말기 서로 간의 제어는 물론 애플리케이션의 공유도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CS application equipped with the EIF protocol on both sides when the remote contro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to provide an effect that can share the application as well as control between the terminals.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의 절차를 간략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을 각 단말 간에서 이루어지는 절차로 상세히 도시한 순서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are illustrative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o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tter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remote control syste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mote control terminal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motely controlled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 remote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between procedur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having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remote control syste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조작성과 인터페이스가 우수한 외부 단말기(100)와 이동통신 시스템(300)에 접속하여 무선 이동통신 수행이 가능한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접속되어 원격에서 제어하는 구조이다. Referring to FIG. 1,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 external terminal 100 having excellent operability and an interface, and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capable of performing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b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connected and controlled remotely.

상기 외부 단말기(100)는 개인용 컴퓨터(PC), 노트북, PDA, 휴대폰 등이 채택될 수 있다. 즉, 휴대성과 디자인을 위해 조작성과 인터페이스가 제약되는 이동통신 단말기(200) 보다 우수한 조작성과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단말기이면 가능하다. The external terminal 100 may be a personal computer (PC), a notebook computer, a PDA, a mobile phone, and the like. That is, a terminal having superior operability and an interface tha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n which operability and an interface are restricted for portability and design is possibl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이동통신 망을 통해서 이동통신 시스템(300)에 위치와 장소에 제약 없이 접속하여 무선 이동통신 서비스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접속하여 이동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300)으로는 CDMA, WCDMA, Wibro, WiFi 등이 있을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can use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y acces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0 without restriction on the location and place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0 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connected and capable of mobile communication may include CDMA, WCDMA, Wibro, and WiFi.

또한, 상기 외부 단말기(100)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근거리에서 접속하는 무선 통신 방식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 수단으로는, 블루투스(Bluethooth), 무선 주파수 통신(RF: radio frequency), 적외선 데이터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을 이용한다. The external terminal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r a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such as Bluetooth, radio frequency (RF), and infrared data.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is used.

상기 블루투스는 전 세계적으로 가용 주파수 대역인 2.45 GHz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로칩 트랜시버를 장착한다(일부 국가에서 다소 다른 주파수 대역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외에도 음성채널을 최대 3개까지 사용할 수 있다. 각 장치는 IEEE 802 표준으로부터 나온 고유한 48비트 주소를 가지고 있다. 접속은 점대점이나 멀티포인트가 가능하다. 통신이 가능한 최대 범위는 10m 이다. 데이터는 전송은 1 Mbps의 속도에서 이루어진다(2세대 기술에서는 최고 2 Mbps까지). 특히 주파수 홉 설계는 장치들이 엄청난 량의 전자기 장애가 있는 지역에서도 통신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내장 암호화 및 검증 기능이 제공된다. The Bluetooth is equipped with a microchip transceiver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t 2.45 GHz, which is a globally available frequency band (there may be somewhat different frequency bands in some countries). In addition to data, up to three voice channels can be used. Each device has a unique 48-bit address from the IEEE 802 standard. Connections can be point-to-point or multipoint. The maximum range of communication is 10m. Data is transferred at 1 Mbps (up to 2 Mbps in 2nd generation technology). In particular, the frequency hop design allows devices to communicate even in areas with enormous amounts of electromagnetic disturbances. It also provides built-in encryption and verification.

상기 무선 주파수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 주파수는 안테나에 들어오는 입력이 전류일 때 무선 방송이나 통신에 적합한 전자기장이 생성되는 특성을 갖는 교류를 가리킨다. 이러한 주파수들은 무선 통신에 할당된 가장 낮은 주파수(사람이 들을 수 있는 범위 내에 속함)인 9 KHz로부터 수천 GHz 까지 걸쳐 있음으로써 전자기 방사 스펙트럼의 중요한 부분을 커버한다. 무선 주파수 전류가 안테나에 공급되었을 때, 공간을 통해 전파되는 전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이 자계는 때로 무선주파수 자계라고도 불리며, 기술적인 뉘앙스가 좀 덜 섞인 용어로는 "무선파"라고도 부른다. The radio frequency used for the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refers to an alternating current having a characteristic of generating an electromagnetic field suitable for radio broadcasting or communication when the input to the antenna is a current. These frequencies cover an important part of the electromagnetic emission spectrum by spanning from 9 KHz to thousands of GHz, which is the lowest frequency alloca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in the human hearing range). When radio frequency current is supplied to the antenna, it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ield that propagates through space. This magnetic field is sometimes called a radiofrequency magnetic field, and it is also called a "radio wave" in a less mixed term of technical nuance.

상기 적외선 데이터통신에 이용되는 IrDA는 적외선 통신 링크에 사용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국제표준을 만들기 위해 산업계가 후원하는 조직으로서 1993년에 결성되었다. 무선전송의 특별한 형태인 적외선 통신에서는, 테라 헤르츠 또는 트릴리온 헤르츠에서 측정되는 적외선 주파수 스펙트럼 내의 모아진 광선이, 정보로 변조되어 송신기로부터 비교적 짧은 거리 내에 있는 수신기로 보내어진다. 적외선 방사는 리모콘으로 TV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것과 같은 기술이다. 적외선 데이터 통신은 노트북 컴퓨터와 PDA, 디지털 카메라, 휴대폰, 무선호출기 등의 대중화에 따라, 이제 무선데이터 통신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오고 있다. 적외선 통신에서는 쌍방의 장치에 모두 송수신기가 있어야한다. 특별한 마이크로칩이 이 기능을 위해 제공된다. 그 외에도, 통신을 동기화시켜주는 특별한 소프트웨어가 하나 또는 모든 장치들에 필요하다.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95 운영체계에서 IR에 관한 특별한 지원이 그 예이다. IrDA-1.1 표준에서, 전송될 수 있는 가장 긴 데이터의 길이는 2,048 바이트이며, 최대 전송속도는 4 Mbps이다. IR은 어느 정도 먼 거리의 상호연결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근거리통신망 내의 상호연결 가능성도 있다. 최장 유효거리는 약 1.5 마일 정도이며, 계획되는 최고의 대역폭은 16 Mbps이다. IR은 가시광선을 전송하는 것이므로 안개와 같은 대기조건에 민감하다. IrDA, which is used for infrared data communication, was formed in 1993 as an industry-sponsored organization to create international standards for hardware and software used for infrared communication links. In infrared communication, a special form of radio transmission, the collected rays in the infrared frequency spectrum, measured in terahertz or trillion hertz, are modulated into information and sent to a receiver within a relatively short distance from the transmitter. Infrared radiation is the same technology used to control a TV with a remote control. Infrared data communication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popularity of notebook computers, PDAs, digital cameras, mobile phones, pagers, and the like. In infrared communication, both devices must have a transceiver. A special microchip is provided for this function. In addition, special software is needed for one or all devices to synchronize communications. An example is the special support for IR in the Microsoft Windows 95 operating system. In the IrDA-1.1 standard, the longest data that can be transmitted is 2,048 bytes and the maximum transfer rate is 4 Mbps. IR can also be used for some distance interconnection, and there is also the possibility of interconnection within a local area network. The longest effective distance is about 1.5 miles and the highest bandwidth planned is 16 Mbps. IR is sensitive to atmospheric conditions such as fog because it transmits visible light.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요소인 외부 단말기(100)와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도 2 및 도 3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external terminal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which are components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mote control terminal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격 제어 단말장치(100)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하여 무선 이동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는 외부 단말장치로서,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모듈(110), 데이터 통신모듈(120), CS 애플리케이션 모듈(130)과 이들을 구동하고 장치를 운영하는 구동모듈(14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remote control terminal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ternal terminal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by connect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120, the CS application module 130 and the drive module 140 for driving them and operating the device.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모듈(110)은 상술한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연결되어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에도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모듈(110)과 대응하여 접속처리가 가능한 모듈이 탑재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모듈(110)에는 양 단간의 연결 접속을 인증하기 위한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인증수단은 인증정보를 송신하고 이를 인증처리하여 인증확인된 경우에만 접속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ess module 110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to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lso has to be equipped with a module capable of connection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odule 110, of course. In addition,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ess module 110 may include a means for authenticating a connection connection between both ends. That is, the authentication means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performs the role of performing the connection process only when the authentication is confirmed by authentication processing.

상기 데이터 통신모듈(120)은 EIF(External Interface) 프로토콜이 탑재되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모듈(110)을 통해 형성된 통신채널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EIF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120 is equipped with an external interface (EIF) protocol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on a communication channel formed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ess module 110. At this time, data is transmitted / received by the EIF protocol.

상기 CS 애플리케이션 모듈(130)은 클라이언트-서버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모듈로 매크로 저장부(131), 키패드 조작 입력부(132), 데이터 전송부(133), 스크립트 엔진부(134), 처리 결과 수신부(135)를 포함한다. The CS application module 130 is a module in which a client-server application is installed. The macro storage unit 131, the keypad manipulation input unit 132, the data transmission unit 133, the script engine unit 134, and the processing result receiving unit 135 are provided. ).

상기 키패드 조작 입력부(132)는 사용자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키패드 조작에 대응하는 가상 키패드를 통해 키패드 조작을 입력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가상 키패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키패드 인터페이스와 동일한 가상 키패드 화면이 출력되고 사용자로부터 버튼 입력을 받는다. The keypad manipulation input unit 132 serves to receive a keypad manipulation from a user through a virtual keypad corresponding to the keypad manipul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e virtual keypad is output the same virtual keypad screen as the keypad inte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receives a button input from the user.

상기 매크로 저장부(131)는 상기 키패드 조작 입력부(132)에서 상기 가상 키패드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키패드 입력 신호를 매크로(macro) 데이터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macro storage unit 131 stores a keypad input signal received from a user as macro data so that the keypad manipulation input unit 132 can recogniz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virtual keypad. .

여기서, 매크로(macro)는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여러 개의 명령어 및 명령어 신호를 묶어서 하나의 키 입력 동작으로 만든 것, 또는 일련의 명령어 세트 및 명령 신호 세트를 매크로 데이터로 순차적으로 기록한 것을 의미한다.In this case, the macro generally refers to a group of frequently used commands and command signals that are combined into one key input operation, or a series of command sets and command signal sets sequentially recorded as macro data.

즉, 매크로 데이터로 저장한다는 의미는, 외부 단말기(100)에서 가상 키패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키패드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스크립트화하여 저장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매크로 데이터로 저장되는 신호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누를때 전달되는 일련의 모뎀 명령어가 될 수 있다.That is, storing as macro data means that the external terminal 100 scripts and stores th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keypad input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hrough the virtual keypad. The signal stored as macro data may be a series of modem commands transmitted when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essed.

상기 데이터 전송부(133)는 상기 매크로 저장부(131)에서 저장된 매크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통신모듈(120)을 통해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data transmission unit 133 transmits the macro data stored in the macro storage unit 131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120.

상기 스크립트 엔진부(134)는 상기 데이터 전송부(133)에서 데이터 전송 진행시에 상기 데이터 통신모듈(120)에 탑재된 EIF 프로토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script engine unit 134 serves to perform the EIF protocol mounted on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120 when the data transmission unit 133 performs data transmission.

상기 처리결과 수신부(135)는 상기 데이터 통신모듈(12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원격 제어 처리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신한 처리결과 데이터는 화면에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원격 제어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The processing result receiving unit 135 serves to receive remote control processing result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120. The received processing result data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displayed to the user. By using this, the user can check the result of the remote contro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상기 구동모듈(140)은 CPU(141), 메모리(142), I/O(143)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모듈들의 구동을 제어하고 장치를 운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CPU(141)는 신호 처리 및 제어를 담당하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 처리한다. 상기 메모리(142)는 장치 운영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 제공, 관리하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도 저장된다. 상기 I/O(143)는 상기 CPU(141)의 제어에 따라 장치의 입/출력을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driving module 140 is composed of a CPU 141, a memory 142, an I / O 143, etc., and controls driving of each module and operates a device. The CPU 141 is responsible for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and executes an application program. The memory 142 stores, provides, and manages information required for device operation, and also stores application programs. The I / O 143 performs a role of processing input / output of a device under the control of the CPU 141.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motely controlled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외부 단말장치(100)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원격 제어되는 단말기로서,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모듈(210), 데이터 통신모듈(220), CS 애플리케이션 모듈(230), 이동통신 모뎀(250)과 이들을 구동하고 장치를 운영하는 구동모듈(14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remotely controll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100 throug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include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ess module 210, a data communication module 220, The CS application module 230, the mobile communication modem 250 and a driving module 140 for driving them and operating the device.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모듈(210)은 상술한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을 통해 외부 단말장치(100)와 연결되어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에 상기 외부 단말장치(100)에도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모듈(210)과 대응하여 접속처리가 가능한 모듈이 탑재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모듈(210)에는 양 단간의 연결 접속을 인증하기 위한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인증수단은 인증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인증처리하여 인증확인된 경우에만 접속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ess module 21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terminal device 100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to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At this time, of course, the external terminal device 100 must be equipped with a module capable of connection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odule 210. In addition,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ess module 210 may include a means for authenticating a connection connection between both ends. In other words, the authentication means receiv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terminal device 100 and authenticat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perform the connection process only when the authentication is confirmed.

상기 데이터 통신모듈(220)은 EIF(External Interface) 프로토콜이 탑재되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모듈(210)을 통해 형성된 통신채널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표준인 상기 EIF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220 is equipped with an external interface (EIF) protocol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channel formed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ess module 210. At this time, data is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the standard EIF protocol.

상기 CS 애플리케이션 모듈(130)은 클라이언트-서버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모듈로 매크로 데이터 수신부(231), 매크로 데이터 재생부(232), 키패드 입력 수행부(233), 처리결과 전송부(234)를 포함한다. The CS application module 130 includes a macro data receiver 231, a macro data reproducing unit 232, a keypad input performing unit 233, and a processing result transmitting unit 234 mounted with a client-server application. .

상기 매크로 데이터 수신부(231)는 상기 데이터 통신모듈(220)을 통해 상기 외부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매크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macro data receiving unit 231 serves to receive macro data receiv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device 10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220.

상기 매크로 데이터 재생부(232)는 상기 매크로 데이터 수신부(231)에서 수신된 매크로 데이터를 재생하여 매크로 데이터 저장시에 기록되었던 키패드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에는 상기 외부 단말장치(100)에서 매크로 데이터로 저장한 방식에 따라 재생이 가능해야 한다. The macro data reproducing unit 232 reproduces the macro data received by the macro data receiving unit 231 and generates a keypad input signal that was recorded when the macro data was stored. At this time, playback should be possible according to the method stored as macro data by the external terminal device 100.

상기 키패드 입력 수행부(233)는 상기 매크로 데이터 재생부(232)에서 재생되어 발생하는 키패드 조작 입력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키패드 입력 신호로 입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keypad input execution unit 233 plays a role of inputting a keypad manipulation input signal generated by the macro data reproducing unit 232 as a keypad input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상기 처리결과 전송부(234)는 상기 데이터 통신모듈(220)을 통해 상기 외부 단말장치(100)로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 원격 제어되어 처리된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processing result transmitter 234 transmits the result data that is remotely controlled and process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o the external terminal device 10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220.

물론 이동통신 단말기(200) 측에도 상기 외부 단말장치(100)에서와 같이 스크립트 엔진부가 포함되어 상기 처리결과 전송부(234)에서 데이터 전송 진행시와 같은 데이터 송/수신시에 상기 데이터 통신모듈(220)에 탑재된 EIF 프로토콜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Of cour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lso includes a script engine unit as in the external terminal device 100 so that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220 at the time of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uch as data transmission progress in the processing result transmission unit 234. ) To run the EIF protocol.

상기 이동통신 모뎀(250)은 이동통신 망을 통해 이동통신 시스템(300)에 접속하여 무선 이동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em 250 accesses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0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performs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상기 구동모듈(240)은 CPU(241), 메모리(242), I/O(243)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모듈들과 상기 이동통신 모뎀(25)의 구동을 제어하고 장치를 운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CPU(241)는 신호 처리 및 제어를 담당하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 처리한다. 상기 메모리(242)는 장치 운영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 제공, 관리하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도 저장된다. 상기 I/O(243)는 상기 CPU(241)의 제어에 따라 장치의 입/출력을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driving module 240 includes a CPU 241, a memory 242, an I / O 243, and controls driving of the modules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modem 25 and operates a device. To perform. The CPU 241 is responsible for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and executes an application program. The memory 242 stores, provides, and manages information required for device operation, and also stores application programs. The I / O 243 serves to process input / output of the device under the control of the CPU 241.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의 절차를 간략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 remote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PC, PDA 등의 외부 단말장치와 이동통신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접속하여 상호 연결한다.(S 10) Referring to FIG. 4, first, an external terminal device such as a PC or a PDA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다음으로 외부 단말장치와 이동통신 단말기 각 단말에 탑재된 EIF 프로토콜을 통해 상호 간의 통신 채널이 형성된다.(S 20) Next, a communication channel is formed between the external terminal devic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EIF protocol mounted on each terminal (S20).

외부 단말장치에서 원격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CS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다.(S 30) The CS application that performs the remote control process is driven in the external terminal device (S30).

CS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식할 수 있는 키패드 입력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매크로 데이터로 저장하여 매크로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에는, 가상 키패드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키패드 입력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S 40) When the CS application is driven, a keypad input signal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user and stored as macro data to generate macro data. In this case, the keypad input signal may be input from the user by using an application such as a virtual keypad.

이렇게 생성된 매크로 데이터를 통신채널을 통해 원격 제어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역시 CS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전송된 매크로 데이터는 재생되어 매크로 데이터 저장시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키패드 입력 신호가 단말기의 키패드 조작 입력신호로 처리된다. 이를 통해 외부 단말장치에서의 조작으로 이동통신 단말기가 원격 제어되는 동작이 진행된다.(S 50) The generated macro data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remotely controlled through a communication channe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runs a CS application, and the transmitted macro data is reproduced so that a keypad input signal input from a user at the time of storing the macro data is processed as a keypad manipulation input signal of the terminal. In this way, an operation of remotely controll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erformed by an operation on an external terminal devic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을 각 단말 간에서 이루어지는 절차로 상세히 도시한 순서도이다.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between procedures.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외부 단말장치와 이동통신 단말기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서로 접속하여 연결된다.(1) Referring to FIG. 5, first, an external terminal de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외부 단말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증을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측으로 인증정보를 전송한다.(2) The external terminal device transmits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authentication for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인증정보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인증 처리를 수행한다.(3) Upon receipt of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 mobile terminal performs authentication processing.

인증 처리 결과 원격 제어를 허가한 사용자로 확인되면 외부 단말장치로 인증 확인정보를 전송한다.(4) If it is confirmed that the user has authorized the remote control as a result of the authentication process, the authentic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terminal device.

인증이 확인되면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채널을 형성하는데, 이때에는 EIF 프로토콜이 구동되어 그 역할을 수행한다.(5) If authentication is confirmed, a communication channel for data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in which case the EIF protocol is driven to perform its role.

외부 단말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채널이 형성되면 원격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다.(6) When the communication channel is establish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external terminal device runs an application that performs remote control processing.

외부 단말장치는 사용자에게 가상 키패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가상 키패드를 통한 키패드 입력 신호를 받고, 이를 매크로 데이터로 저장하여 매크로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가상 키패드 인터페이스는 원격 제어할 이동통신 단말의 키패드와 동일한 키패드 화면 및 입력 인터페이스를 가상으로 구현한 프로그램이다.(7) The external terminal provides a user with a virtual keypad interface to receive a keypad input signal from the user through the virtual keypad, and generates the macro data by storing it as macro data. The virtual keypad interface is a program that virtually implements the same keypad screen and input interface as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remotely controlled.

생성된 매크로 데이터는 통신채널을 통해 EIF 프로토콜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 데이터 전송 처리가 된다.(8) The generated macro data is processed for data transmiss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EIF protocol through the communication channel.

이동통신 단말기는 수신한 매크로 데이터를 재생하여 키패드 입력 신호를 발생시킨다.(9)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produces the received macro data to generate a keypad input signal.

발생된 키패드 입력신호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입력신호로 입력된다.(10) The generated keypad input signal is input to the keypad input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러한 키패드 입력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구동이 되고 여러 가지 기능이 작동하고 제어된다. 이러한 기능의 작동으로 SMS, MMS 발송, 통화 호 발신, 무선인터넷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 기능이 작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으로 주소록 조회나 카메라, MP3 동작 제어 등이 있을 수 있다.(11) According to the keypad inpu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riven and various functions are operated and controlled. Operation of such a function may include SMS, MMS sending, call origination, and wireless Internet.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self may operate, and such functions may include address book inquiry, camera, and MP3 operation control.

이렇게 이동통신 단말기가 구동되어 기능이 수행된 뒤에는 그 처리결과를 외부 단말장치로 전송하게 된다.(12) Aft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riven and the function is performed, the processing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terminal device.

외부 단말장치는 수신한 처리결과를 화면에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한다.(13) The external terminal device outputs the received processing result to the screen and displays the result to the user.

이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외부 단말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소록을 조회하여 원하는 전화번호를 검색한 다음 그 전화번호로 SMS를 발송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With this, the user can search the address boo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an external terminal device, search for a desired phone number, and send an SMS to the phone number.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y means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ll be described below by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0 : 외부 단말장치 200 : 이동통신 단말기
300 : 이동통신 시스템
100: external terminal device 2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laims (12)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하여 무선 이동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부 단말기를 원격 연동하는 방법으로서,
(a) EIF(External Interface) 프로토콜 및 매크로 기능이 구비된 CS(Client Server)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부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EIF 프로토콜을 수행할 수 있는 스크립트 엔진이 포함된 CS(Client Server)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
(c) 상기 외부 단말기는, 상기 구동된 CS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식할 수 있는 키패드 입력 신호를 매크로(macro)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 및
(d) 상기 저장된 매크로 데이터를 상기 통신채널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A method of remotely interwork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external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by connect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S (Client Server) application having an external interface (EIF) protocol and a macro function and an external terminal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to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b) driving a CS (Client Server) application including a script engine capable of executing an EIF protocol in the external terminal;
(c) the external terminal storing the keypad input signal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macro data through the driven CS application; And
(d) transmitting the stored macro dat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chan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 이후에,
(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수신한 매크로 데이터에 따라 키패드 입력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단말기의 기능 수행 결과를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fter step (d) above,
(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ing a keypad input according to the received macro data, and transmitting a result of performing the func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mobile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rther comprising: Remote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외부 단말기의 접속시에 상기 외부 단말기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인증확인 후에 접속처리하는 인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Step (a) is,
Authentication step of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of the external terminal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external terminal and the authentication process after the authentication confirmation; Remote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mprising a.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외부 단말기를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은 블루투스(Bluethooth), 무선 주파수 통신(RF: radio frequency), 적외선 데이터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the step (a),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external terminal may be any one of Bluetooth, radio frequency (RF), and infrared data communication (IrDA). Remote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chem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접속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CDMA, WCDMA, Wibro, WiFi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is a remote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CDMA, WCDMA, Wibro, WiFi or a combination thereof.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는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PDA, 휴대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external terminal is a remote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 personal computer, a notebook, a PDA, a mobile phone.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하여 무선 이동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부 단말기를 원격 연동하는 시스템으로서,
EIF(External Interface) 프로토콜과 상기 EIF 프로토콜을 수행할 수 있는 스크립트 엔진이 탑재되고,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수단을 구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접속하고 상기 EIF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채널을 형성하며, CS(Client Server)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식할 수 있는 키패드 입력 신호를 매크로(macro) 데이터로 저장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저장된 매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외부 단말기;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하여 무선 이동통신이 가능하고, EIF 프로토콜과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와 접속하고 통신채널을 형성하며, 단말기의 동작 및 구동 기능을 제어하는 CS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전송한 매크로 데이터에 따라 단말기의 키패드 입력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및 기능 수행 결과를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A system for remotely interwork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external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by connect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IF (External Interface) protocol and a script engine capable of performing the EIF protocol is mounted, ha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ans to connec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according to the EIF protocol, CS (Client Server) An external terminal configured to drive an application to store a keypad input signal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macro data and to transmit the stored macro dat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channel; And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is possible by access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EIF protocol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ans are provided to connect to the external terminal,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and run a CS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and driving functions of the termin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ing keypad input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macro data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and transmitting a result of the operation and function of the terminal to the external terminal; Remote control system.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수단은 블루투스(Bluethooth), 무선 주파수 통신(RF: radio frequency), 적외선 데이터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ess means may be any one of Bluetooth, radio frequency (RF), an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Remote control system.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접속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CDMA, WCDMA, Wibro, WiFi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DMA, WCDMA, Wibro, WiFi or a remote control syste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mbination thereof.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는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PDA, 휴대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The external terminal is a remote control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 personal computer, a laptop, a PDA, a mobile phone.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하여 무선 이동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는 외부 단말장치로서,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되어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모듈;
EIF(External Interface) 프로토콜이 탑재되어 상기 형성된 통신채널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통신모듈;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식할 수 있는 키패드 입력 신호를 매크로(macro) 데이터로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모듈을 통해 접속된 이동통신 단말기로 매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CS(Client Server) 애플리케이션 모듈;을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단말장치.
An external terminal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by connect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ess modul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to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A data communication module equipped with an external interface (EIF) protocol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formed communication channel; And
A CS (Client Server) application module for storing the keypad input signal recogniz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macro data and transmitting the macro dat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Remote control terminal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외부 단말장치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원격 제어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을 통해 상기 외부 단말장치와 연결되어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모듈;
EIF(External Interface) 프로토콜이 탑재되어 상기 형성된 통신채널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통신모듈; 및
상기 외부 단말장치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식할 수 있는 키패드 입력 신호가 매크로(macro) 데이터로 저장된 매크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하여, 그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및 기능 수행 결과를 상기 외부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CS(Client Server) 애플리케이션 모듈;을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motely controlled from an external terminal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odule connected to the external terminal device throug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to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A data communication module equipped with an external interface (EIF) protocol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formed communication channel; And
Receiving the macro data stored in the macro communication via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the keypad input signal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external terminal device, and the result of the operation and func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external terminal devic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motely controlled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ing;
KR1020100072045A 2010-07-26 2010-07-26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ntroll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close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KR1010431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045A KR101043142B1 (en) 2010-07-26 2010-07-26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ntroll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close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045A KR101043142B1 (en) 2010-07-26 2010-07-26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ntroll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close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0162A Division KR20080049510A (en) 2006-11-30 2006-11-30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ntroll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close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406A true KR20100095406A (en) 2010-08-30
KR101043142B1 KR101043142B1 (en) 2011-06-20

Family

ID=42759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045A KR101043142B1 (en) 2010-07-26 2010-07-26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ntroll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close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14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432B1 (en) * 2011-10-26 2013-10-04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 control using SE mounted mobile terminal
KR20190029107A (en) * 2017-09-12 2019-03-20 이동륜 remote controller for complex macro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072B1 (en) * 1998-10-27 2006-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Short message servic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external computer
KR100677376B1 (en) * 2004-11-01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roll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432B1 (en) * 2011-10-26 2013-10-04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 control using SE mounted mobile terminal
KR20190029107A (en) * 2017-09-12 2019-03-20 이동륜 remote controller for complex macro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3142B1 (en) 2011-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48082A1 (en) Device access controll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and system
US91250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with bluetooth device in portable terminal
US8238967B1 (en) Controlling a wireless device with a wireless headset
US20230362028A1 (en) Home device control method and device
JP2001103568A (en) Communicatio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unit used by this communication system, mobil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US8416305B2 (en) Portable Wi-Fi digital video camcorder and system with thereof
KR20060054877A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receiving irda signal using camera module
CN113572731A (en) Voice communication method, personal computer and terminal
KR20110053748A (en) List displaying method based on a short range communication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KR2008007529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luetooth connecting i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KR20120025331A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mmunication of a dual stand-by portable terminal
US20080215689A1 (en) Contact device and a network of contact devices
KR100801648B1 (en) Method for information display using bluetooth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22143031A1 (en) Identity authenticatio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WO2020019824A1 (en) Electronic device
KR20140113253A (en) Method of application connection for devices in a network
US20210014716A1 (en) Method for processing communication range information and terminal
US20080001774A1 (en) Remote control with UPnP support and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KR20120034338A (en) Security operating method for access point and system thereof
JP2007519269A (en) Wireless communicator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and voice
KR101043142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ntroll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close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O2007049933A1 (en) Portable terminal and data output method thereof
US20230283994A1 (en) Automatic Control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6074793A (en) Bluetooth pairing method, device, system and storage medium
KR20080049510A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ntroll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close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