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4511A - Thin film planar sonar concentrator/ collector and diffusor used with an active display - Google Patents

Thin film planar sonar concentrator/ collector and diffusor used with an active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4511A
KR20100094511A KR1020107013130A KR20107013130A KR20100094511A KR 20100094511 A KR20100094511 A KR 20100094511A KR 1020107013130 A KR1020107013130 A KR 1020107013130A KR 20107013130 A KR20107013130 A KR 20107013130A KR 20100094511 A KR20100094511 A KR 20100094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isplay
collecting film
light collecting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31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카스라 카제니
매니쉬 코타리
Original Assignee
퀄컴 엠이엠스 테크놀로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1/941,851 external-priority patent/US20090126792A1/en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엠이엠스 테크놀로지스, 인크. filed Critical 퀄컴 엠이엠스 테크놀로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100094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51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75Arrangements of multiple light guides
    • G02B6/0076Stacked arrangements of multiple light guides of the same or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1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interference in an adjustable optical cav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4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01L31/0547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comprising light concentrating means of the reflecting type, e.g. parabolic mirrors, concentrators using total internal refl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G02F1/13324Circuits comprising solar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6Front illumina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Light Control Or Optical Switche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각종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시장치(85)는 집광 필름(80, 84) 및 해당 집광 필름(80, 84)의 가장자리부(88) 상에 배치된 광기전력 소자(86, 100, 200)를 포함한다. 상기 집광 필름(80, 84)은 해당 집광 필름(80, 84)의 전방면 혹은 후방면과 상기 광기전력 소자(86, 100, 200) 사이로 광을 방향변화시키는 복수개의 광-방향전환 구성부들(94, 108)을 구비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원(90, 174)이 또한 상기 집광 필름(80, 84)의 가장자리부(88) 상에 배치되어 광을 방출시키고, 해당 광은 상기 광-방향전환 구성부들(94, 108)에 의해 표시장치 쪽으로 방향전환된다.In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the display device 85 includes photoconductive devices 80, 84 and photovoltaic elements 86, 100, disposed on edges 88 of the condensing films 80, 84. 200). The light collecting films 80 and 84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turning elements for redirecting light between the front or rear surfaces of the light collecting films 80 and 84 and the photovoltaic elements 86, 100 and 200. 94, 108). In some embodiments, light sources 90 and 174 are also disposed on the edges 88 of the light collecting films 80 and 84 to emit light, which light is redirected to the light-turning features 94, 108 is turned toward the display device.

Description

능동형 표시장치와 함께 이용되는 박막 평면 소나 집중장치/집광장치 및 확산장치{THIN FILM PLANAR SONAR CONCENTRATOR/ COLLECTOR AND DIFFUSOR USED WITH AN ACTIVE DISPLAY}THIN FILM PLANAR SONAR CONCENTRATOR / COLLECTOR AND DIFFUSOR USED WITH AN ACTIVE DISPLAY}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Cross 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본 출원은 미국 가출원 제61/093,686호(출원일: 2008년 9월 2일) 및 미국 특허출원 제11/941,851호(출원일: 2007년 11월 16일)의 이득을 주장하며, 이 기초 출원은 미국 특허 출원 제12/207,270호(출원일: 2008년 9월 9일)와 관련된다.This application claims the benefit of US Provisional Application No. 61 / 093,686 (filed September 2, 2008) and US Patent Application No. 11 / 941,851 (filed November 16, 2007). Patent application 12 / 207,270 filed September 9, 2008.

발명의 기술 분야Technical field of invention

본 발명은 마이크로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마이크로전자기계 시스템(MEMS)은 마이크로기계 소자, 작동기 및 전자 기기를 포함한다. 마이크로기계 소자는 기판 및/또는 증착(혹은 침착(deposition);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증착"이라 표기함)된 재료층의 일부를 에칭해내거나 층들을 추가하여 전기 및 전자기계 장치를 형성하는 증착, 에칭 및/또는 기타 미세기계가공(micromachining) 공정들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MEMS 장치(혹은 디바이스)의 한 유형은 간섭계 변조기(interferometric modulator: "IMOD")라 불린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간섭계 변조기, 간섭계 광 변조기(interferometric light modulator) 또는 IMOD라는 용어는 광학적 간섭의 원리를 이용하여 광을 선택적으로 흡수 및/또는 반사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간섭계 변조기는 1쌍의 도전판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상기 1쌍의 도전판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가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투과형 및/또는 반사형일 수도 있고 적절한 전기 신호의 인가 시 상대 운동을 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나의 도전판은 기판에 증착된 고정층을 포함할 수도 있고, 다른 하나의 도전판은 공기 간극(air gap)에 의해 고정층과는 분리된 금속막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도전판의 상대적 위치에 의해서 간섭계 변조기에 입사되는 광의 광학적 간섭은 변화될 수 있다.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include micromechanical elements, actuators and electronic devices. A micromechanical element may be a substrate and / or deposition that deposits a portion of a deposited (or deposited; hereafter referred to as "deposition") or adds layers to form an electromechanical device, It may be formed using etching and / or other micromachining processes. One type of MEMS device (or device) is called an interferometric modulator ("IMOD"). As used herein, the term interferometric modulator, interferometric light modulator or IMOD refers to a device that selectively absorbs and / or reflects light using the principles of optical interference. In certain embodiments, the interferometric modulator may comprise a pair of conductive plates, wherein either or both of the pair of conductive plates may be transmissive and / or reflective in whole or in part and may be suitable for If you do, you can do relative exercises. In certain embodiments, one conductive plate may include a pinned layer deposited on a substrate, and the other conductive plate may include a metal film separated from the fixed layer by an air gap. As will be explained in more detail herein, the optical interference of light incident on the interferometric modulator can be varied by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conductive plate.

IMOD는 능동형 디스플레이(즉, 표시장치)를 작성하기 위하여 어드레스가능한 어레이 내에 배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 LED(OLED)를 비롯한 발광 다이오드(LED), 전기영동 및 전계 방출형 디스플레이(FED) 등과 같은 기타 MEMS 및 비-MEMS 기술은 모두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휴대폰 혹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크린 등 용의 능동형 디스플레이로서 이용된다. 이러한 장치는 넓은 범위의 용도를 지니며, 기존의 제품들을 개선시키는 데 있어서, 그리고 아직 개발되지 않은 새로운 제품들을 만들어내는 데 있어서 이러한 유형의 장치 특성들이 사용될 수 있도록 이들 장치의 특징들을 이용 및/또는 변경하는 것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유리할 것이다.The IMOD can be arranged in an addressable array to create an active display (ie, display). Similarly, other MEMS and non-MEMS technologie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organic LEDs (OLEDs), light emitting diodes (LEDs), electrophoretic and field emission displays (FEDs), etc. are all televisions, computer monitors, cell phones or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 It is used as an active display for a screen or the like. Such devices have a wide range of uses and / or utilize the features of these devices so that these types of device characteristics can be used to improve existing products and to create new products that have not yet been developed. Modifications would be advantageous in the art.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시장치는, 관찰자와 대면하는 전방(front) 표시면과, 후방(back) 표시면을 지닌 표시 화소들의 활성 어레이; 전방 집광 필름면, 후방 집광 필름면, 적어도 1개의 가장자리부(edge) 및 복수개의 광-방향전환 구성부들(혹은 광-방향전환 특성부들)(light-turning features)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전방 표시면 혹은 후방 표시면 중 한쪽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집광 필름(collection film); 및 상기 집광 필름의 가장자리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광-방향전환 구성부들로부터 상기 집광 필름면을 통해 횡방향으로 투과되는 광을 입수하도록 배향된 광기전력 소자(photovoltaic device; 혹은 광전변환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광-방향전환 구성부들은 상기 전방 혹은 후방 집광 필름면과 상기 집광 필름의 가장자리부 사이에서 광을 방향변화(redirect)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comprises: an active array of display pixels having a front display surface facing the viewer and a back display surface; A front condensing film surface, a rear condensing film surface, at least one edge and a plurality of light-turning features (or light-turning features), respectively, the front display At least one collection film adjacent to either the face or back display; And a photovoltaic device (or photovoltaic device) disposed on an edge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and oriented to receive light transmitted transversely through the light collecting film surface from the light-turning features. Wherein the light-turning features are configured to redirect light between the front or rear light collecting film surface and an edge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시장치는 표시 화소들의 어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화소들의 어레이 다음에는 적어도 하나의 집광 필름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집광 필름은 복수개의 광-방향전환 구성부들을 구비하고, 해당 광-방향전환 구성부들은 전방 혹은 후방 집광 필름면과 상기 집광 필름의 가장자리부들 사이에서 광을 방향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집광 필름의 제1가장자리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광기전력 소자가 배치되고, 해당 광기전력 소자는 상기 광-방향전환 구성부들로부터 상기 집광 필름면을 통해 횡방향으로 투과되는 광을 입수하도록 배향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가장자리부에 배치되어 있고, 해당 광원은 상기 표시 화소들의 어레이를 향해서 상기 광-방향전환 구성부들에 의해 방향전환되도록 상기 집광 필름을 통해 횡방향으로 광을 방출시킨다.In another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n array of display pixels. At least one light collecting film is disposed after the array of display pixels. The light collecting film has a plurality of light-turning features, the light-turning features being configured to redirect light between the front or back light-collecting film surface and the edges of the light-collecting film. At least one photovoltaic element is disposed at the first edge of the condensing film, the photovoltaic element being oriented to receive light transmitted transversely through the condensing film surface from the light-turning features. . At least one light source is disposed at the edge portion, and the light source emits light laterally through the light collecting film to be redirected by the light-turning features toward the array of display pixels.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시장치는 표시 화소들의 어레이 상에 화상을 표시하는 수단; 광 에너지를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수단; 및 표시면 상에 입사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광 에너지를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수단을 향하여 상기 표시면을 따른 횡방향으로 광을 방향전환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a display device comprises: means for displaying an image on an array of display pixels; Means for converting light energy into other forms of energy; And means for redirecting ligh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display surface from the direction incident on the display surface toward the means for converting the light energy into another form of energy.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을 집광하고 화상을 표시하는 방법은, 화상 영역에서 화상을 능동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화상 영역으로부터 광을 집광하는 단계; 상기 화상 영역으로부터 해당 화상 영역의 적어도 1개의 가장자리부로 광을 방향전환시키는 단계; 및 광을 전류로 변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a method of focusing light and displaying an image comprises the steps of: actively displaying an image in an image area; Focusing light from the image area; Redirecting light from the image area to at least one edge of the image area; And converting light into a current.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은 표시 화소들의 활성 어레이의 전방 혹은 후방 표시면에 집광 필름을 작동적으로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집광 필름은 전방 집광 필름면, 후방 집광 필름면, 적어도 1개의 가장자리부 및 복수개의 광-방향전환 구성부를 구비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주변광이 상기 광-방향전환 구성부들에 의해 상기 전방 집광 필름면으로부터 상기 집광 필름의 가장자리부에 있는 광기전력 소자로 향하게 되어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도록, 상기 광기전력 소자를 상기 집광 필름의 가장자리부와 정렬시키는(aligning) 단계를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includes operatively coupling a light collecting film to a front or rear display surface of an active array of display pixels. The light collecting film has a front light collecting film face, a back light collecting film face, at least one edge portion and a plurality of light-turning features. The method also directs the photovoltaic device to the light collecting film such that ambient light is directed by the light-turning features from the front light collecting film surface to the photovoltaic device at the edge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and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And aligning with an edge of the.

도 1은 제1간섭계 변조기의 이동식 반사층이 이완 위치에 있고, 제2간섭계 변조기의 이동식 반사층이 작동 위치에 있는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의 일 실시형태의 일부를 나타낸 등각 투상도;
도 2는 3×3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를 내장하는 전자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예시한 시스템 블록도;
도 3은 도 1의 간섭계 변조기의 예시적인 일 실시형태에 대해 이동식 미러(movable mirror)의 위치 대 인가된 전압을 나타낸 선도;
도 4는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한 세트의 행방향 전압(row voltage) 및 열방향 전압(column voltage)을 나타낸 도면;
도 5a는 도 2의 3×3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표시 데이터의 하나의 예시적인 프레임을 예시한 도면;
도 5b는 도 5a의 프레임을 기록하는(write) 데 이용될 수 있는 행방향 신호 및 열방향 신호의 하나의 예시적인 타이밍 선도를 나타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복수개의 간섭계 변조기를 포함하는 비쥬얼 디스플레이 장치(visual display device)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시스템 블록도;
도 7a는 도 1의 장치의 단면도;
도 7b는 간섭계 변조기의 대안적인 실시형태의 단면도;
도 7c는 간섭계 변조기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형태의 단면도;
도 7d는 간섭계 변조기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형태의 단면도;
도 7e는 간섭계 변조기의 추가의 대안적인 실시형태의 단면도;
도 8은 표시 화소들의 어레이 위에 놓인 하나의 집광 필름 및 관련된 광기전력 소자와, 상기 표시 화소들의 어레이 아래에 놓인 또 다른 이러한 집광 필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
도 9는 표시 화소들의 어레이 위에 놓인 집광 필름, 관련된 광기전력 소자 및 광원, 그리고 상기 표시 화소들의 어레이 아래에 놓인 또 다른 이러한 집광 필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
도 10a는 광-방향전환 구성부들을 구비한 집광 필름의 평면도로서, 여기서 광기전력 소자와 광원은 상기 집광 필름의 한쪽 모서리부에서 서로 이웃에 배치되어 있음;
도 10b는 광기전력 소자와 광원을 구비한 집광 필름의 일 실시형태의 모서리부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
도 10c는 광기전력 소자 및 광원의 배치형태의 추가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개략적 도면;
도 11a는 광기전력 소자에 광을 집광하여 도광하는 복수개의 프리즘 구성부들을 포함하는 프리즘 집광 필름의 개략적 측면단면도;
도 11b는 광기전력 소자에 광을 집광하여 도광하는 복수개의 프리즘 구성부들을 포함하는 프리즘 집광 필름의 다른 개략적 단면도;
도 11c는 광기전력 소자에 광을 집광하여 도광하는 복수개의 프리즘 슬릿들을 포함하는 프리즘 집광 필름의 다른 개략적 단면도;
도 11d는 광기전력 소자에 보다 큰 효율로 광을 집광하여 도광하는 서로 엇갈린 구성부들이 적층된 프리즘 집광 필름의 두 층을 포함하는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회절형 방향전환 구성부들을 포함하는 집광 필름의 개략도;
도 13a는 집광 필름의 상부면 상에 배치된 투과 홀로그램을 포함하는 광-방향전환 구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3b는 집광 필름의 하부면 상에 배치된 반사 홀로그램을 포함하는 광-방향전환 구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4는 전방 측 상에 집광 필름을 구비한 반사형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의 일 실시형태의 개략 단면도;
도 15는 후방 측 상에 집광 필름을 구비한 반사형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의 일 실시형태의 개략 단면도;
도 16은 행 및 열 방향으로 배열된 활성(혹은 능동) 표시 화소들의 어레이의 개략적 평면도
도 17a는 백라이트를 내장한 반투과반사형 간섭계 변조기(IMOD) 디스플레이의 개략 단면도;
도 17b는 방향전환 구성부를 지닌 집광/조명막에 의해 백라이트가 제공되는 반투과반사형 IMOD 디스플레이의 개략 단면도;
도 18은 전방 측 상에 집광 필름을 구비한 발광형(emissive) 표시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개략 단면도;
도 19는 후방 측 상에 집광 필름을 구비한 발광형 표시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개략 단면도;
도 20은 활성 표시 화소들과 백라이트 사이에 집광 필름을 구비한 발광형 표시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의 개략 단면도;
도 21은 비대칭 방향전환 구성부들을 지닌 집광 필름을 구비한 발광형 표시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의 개략 단면도.
1 is an isometric view of a portion of an embodiment of an interferometric modulator display with a movable reflective layer of a first interferometric modulator in a relaxed position and a movable reflective layer of a second interferometric modulator in an operating position;
2 is a system block diagram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n electronic device incorporating a 3x3 interferometric modulator display.
3 is a diagram showing the position of the movable mirror versus the applied voltage for on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interferometric modulator of FIG. 1;
4 shows a set of row and column voltages that can be used to drive an interferometric modulator display;
5A illustrates one exemplary frame of display data in the 3x3 interferometric modulator display of FIG.
FIG. 5B illustrates one exemplary timing diagram of the row and column signals that may be used to write the frame of FIG. 5A; FIG.
6A and 6B are system block diagrams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 visual display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interferometric modulators.
7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vice of FIG. 1;
7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an interferometric modulator;
7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alternative embodiment of an interferometric modulator;
7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alternative embodiment of an interferometric modulator;
7E is a sectional view of a further alternative embodiment of an interferometric modulator;
8 schematically shows a cross section of one condensing film and associated photovoltaic element overlying an array of display pixels and another such condensing film underlying said array of display pixels;
9 shows schematically a cross section of a light collecting film overlying an array of display pixels, an associated photovoltaic element and a light source, and another such light collecting film underlying said array of display pixels;
10A is a plan view of a light collecting film with light-turning features, wherein the photovoltaic element and light source are disposed next to each other at one corner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10B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dge portion of one embodiment of a light collecting film having a photovoltaic element and a light source;
10C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further embodiment of the arrangement of the photovoltaic element and the light source;
FIG. 11A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rism condensing film including a plurality of prismatic features for condensing and guiding light onto a photovoltaic device; FIG.
FIG. 11B is another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rism condensing film including a plurality of prismatic features for condensing and guiding light onto a photovoltaic device; FIG.
FIG. 11C is another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rism condensing film including a plurality of prism slits that condense and guide light to a photovoltaic device; FIG.
FIG. 11D illustrates an embodiment comprising two layers of prismatic light condensing films stacked with staggered components that condense and guide light at greater efficiency into a photovoltaic device; FIG.
12 is a schematic view of a light collecting film including diffractive redirecting features;
FIG. 13A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 light-turning arrangement comprising a transmissive hologram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FIG.
FIG. 13B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 light-turning feature including a reflective hologram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FIG.
1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of a reflective interferometric modulator display with a light collecting film on the front side;
1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of a reflective interferometric modulator display with a light collecting film on the back side;
16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array of active (or active) display pixels arranged in a row and column direction;
17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transflective interferometric modulator (IMOD) display with backlight;
FIG. 17B is a schematic cross sectional view of a transflective IMOD display provided with a backlight by a condensing / lighting film with a redirecting feature; FIG.
1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of an emissive display with a light collecting film on the front side;
1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light collecting film on a rear side thereof;
2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light collecting film between active display pixels and a backlight;
2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light collecting film with asymmetrical redirecting features.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임의의 특정 실시형태들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다양한 방법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 설명에서는,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기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을 행한다.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각 실시형태는 동화상(예를 들어, 비디오)인지 또는 정지화상(예를 들어, 스틸 이미지(still image))인지, 그리고 문자인지 그림인지의 여부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장치이면 어떠한 장치에서도 구현될 수도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 무선 장치, PDA(personal data assistant), 초소형 또는 휴대용 컴퓨터, GPS 수신기/네비게이션, 카메라, MP3 플레이어, 캠코더, 게임 콘솔(game console), 손목 시계, 시계, 계산기, 텔레비전 모니터,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컴퓨터 모니터, 자동차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주행 기록계 디스플레이 등), 콕핏 제어기(cockpit control) 및/또는 디스플레이, 카메라 뷰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차량의 리어 뷰(rear view) 카메라의 디스플레이), 전자 사진, 전자 광고판 또는 간판, 프로젝터, 건축 구조물, 포장물 및 미술 구조물(예를 들어, 보석류에 대한 화상의 디스플레이)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로 구현되거나 또는 그 다양한 전자 장치들과 관련될 수 있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Alth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relates to any particula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In this description, the same par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will b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below, each embodiment displays an image according to whether it is a moving image (e.g. video) or a still image (e.g. still image), and whether it is a character or a picture. Any device may be implemented as long as the device is configured to do so. More specifically, mobile phones, wireless devices, personal data assistants (PDAs), micro or portable computers, GPS receivers / navigations, cameras, MP3 players, camcorders, game consoles, wrist watches, watches, calculators, television monitors Flat panel displays, computer monitors, automotive displays (e.g., odometer displays, etc.), cockpit controls and / or displays, camera view displays (e.g., rear view cameras of vehicles) Display), electronic photographs, electronic billboards or signs, projectors, architectural structures, packages and art structures (e.g., display of images for jewelry), or implemented in various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It is contemplated that this may be associated with various electronic devices.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형태는 활성 표시 영역을 통해 광을 모아 해당 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광기전력 소자와 결합된 집광 필름에 관한 것이다. 표시 화소들의 어레이의 위쪽이나 아래쪽에 배치된 해당 집광 필름은, 활성 표시 영역 상에 수광된 광의 일부의 방향을 바꿔 적어도 하나의 광기전력 소자가 위치되어 있는 집광 필름의 가장자리부로 광을 분로(shunt: 즉, 다른 방향으로 돌림)시키는 광-방향전환 구성부들을 지닌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LED 등과 같은 광원은 또한 동일 필름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되어 광을 방출하고, 해당 광은 광-방향전환 구성부에 의해 방향변화되어 디스플레이를 조명한다.Certa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condensing film coupled with a photovoltaic device that collects light through an active display region and converts the light into electrical energy. The light collecting film disposed above or below the array of display pixels shunts light to an edge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in which at least one photovoltaic element is located by reorienting a part of the light received on the active display area. That is, light-turning features that rotate in different directions. In some embodiments, a light source, such as an LED, is also disposed at the edge of the same film to emit light, which light is redirected by the light-turning feature to illuminate the display.

도 8 내지 도 20의 실시형태는 각종 디스플레이 기술과 관련하여 광기전력 소자와 함께 집광 필름을 이용할 수 있지만, 도 1 내지 도 7e는 도 8 내지 도 20의 실시형태에 이용가능한 간섭계 변조기(IMOD) 디스플레이 기술을 예시하고 있다.While the embodiments of FIGS. 8-20 may utilize a light collecting film with photovoltaic elements in connection with various display technologies, FIGS. 1-7E illustrate an interferometric modulator (IMOD) display available for the embodiments of FIGS. 8-20. The technique is illustrated.

간섭계 MEMS 표시 소자를 포함하는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의 일 실시형태가 도 1에 예시되어 있다. 이들 장치에 있어서, 화소들은 명 상태(bright state) 또는 암 상태(dark state)이다. 명("온" 또는 "열린") 상태에서, 표시 소자는 입사되는 가시광의 많은 부분을 사용자에게 반사시킨다. 암("오프" 또는 "닫힌") 상태에 있을 경우, 표시 소자는 입사되는 가시 광선을 사용자에게 거의 반사시키지 않는다. "온" 및 "오프" 상태의 광 반사 특성은 실시형태에 따라서 반대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MEMS 화소들은 선택된 색에서 우선적으로 반사시키도록 구성되어 흑색 및 백색에 부가해서 컬러 표시를 가능하게 한다.One embodiment of an interferometric modulator display including an interferometer MEMS display element is illustrated in FIG. 1. In these devices, the pixels are in a bright state or a dark state. In the bright ("on" or "open") state, the display element reflects a large portion of the incident visible light to the user. When in the dark (“off” or “closed”) state, the display element reflects little incident visible light to the user. Light reflection characteristics of the "on" and "off" states may be revers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MEMS pixels are configured to reflect preferentially in the selected color to enable color display in addition to black and white.

도 1은 비쥬얼 디스플레이의 일련의 화소에 있어서 두 개의 인접한 화소들을 나타낸 등각 투상도인 데, 여기서 각 화소는 MEMS 간섭계 변조기를 포함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서,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는 이들 간섭계 변조기의 행/열 어레이를 포함한다. 각각의 간섭계 변조기는 서로 간에 가변적이고 제어 가능한 거리에 위치된 1쌍의 반사층을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변 치수를 가진 공명 광학적 간극(resonant optical gap)을 형성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반사층들 중 하나는 두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도 있다. 여기서 이완 위치라고도 지칭되는 제1위치에서, 이동식 반사층은 고정된 부분 반사층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 위치된다. 여기서 작동 위치라고도 지칭되는 제2위치에서, 이동식 반사층은 상기 부분 반사층에 더 가까이 인접하여 위치된다. 이들 두 층에서 반사된 입사광은 이동식 반사층의 위치에 따라서 보강(constructively) 간섭 또는 소멸(destructively) 간섭하여 각 화소에 대해 전체 반사 상태 또는 비반사 상태를 생성한다.1 is an isometric view showing two adjacent pixels in a series of pixels of a visual display, where each pixel comprises a MEMS interferometric modulator. In certain embodiments, the interferometric modulator display comprises a row / column array of these interferometric modulators. Each interferometric modulator includes a pair of reflective layers located at variable and controllable distances from each other to form a resonant optical gap with at least one variable dimension. In one embodiment, one of the reflective layers may move between two positions. In a first position, also referred to herein as a relaxed position, the movable reflective layer is located relatively far from the fixed partial reflective layer. In a second position, also referred to herein as an operating position, the movable reflective layer is located closer to the partial reflective layer. Incident light reflected from these two layers constructively or destructively interfere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movable reflective layer to produce an overall reflective state or non-reflective state for each pixel.

도 1에 있어서 화소 어레이의 도시된 부분은 두 개의 인접한 간섭계 변조기(12a), (12b)를 포함한다. 왼쪽에 위치한 간섭계 변조기(12a)에는 부분 반사층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부(optical stack)(16a)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이완 위치에 이동식 반사층(14a)이 예시되어 있다. 오른쪽에 위치한 간섭계 변조기(12b)에는 광학 적층부(16b)에 인접한 작동 위치에 이동식 반사층(14b)이 예시되어 있다.The illustrated portion of the pixel array in FIG. 1 includes two adjacent interferometric modulators 12a and 12b. In the interferometric modulator 12a located on the left side, the movable reflective layer 14a is illustrated at a relaxed position away from the optical stack 16a including the partial reflective layer. The interferometric modulator 12b located on the right side illustrates the movable reflective layer 14b in an operating position adjacent to the optical stack 16b.

여기서 참조 기호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광학 적층부(16a), (16b)(일괄해서 광학 적층부(16)라 표기함)는 전형적으로 수 개의 융합층(fused layer)을 포함하는 데, 이들 융합층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과 같은 전극층, 크롬과 같은 부분 반사층, 및 투명 유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적층부(16)는 전기 전도성이고, 부분적으로 투명하며, 부분적으로 반사성이고,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상기 층들을 투명한 기판(20) 위에 증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부분적으로 반사성인 층(즉, 부분 반사층)은 각종 금속, 반도체 및 유전체 등과 같이 부분적으로 반사성인 각종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 부분 반사층은 하나 이상의 재료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각 층은 단일 재료 혹은 재료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Optical stacks 16a, 16b (collectively referred to as optical stacks 16), as indicated herein by reference symbols, typically comprise several fused layers, these fused layers Electrode layers such as silver indium tin oxide (ITO), partially reflective layers such as chromium, and transparent dielectrics. Thus, the optical stack 16 is electrically conductive, partially transparent, partially reflective, and can be manufactured, for example, by depositing one or more of the above layers onto the transparent substrate 20. The partially reflective layer (ie, partially reflective layer) can be formed from various partially reflective materials such as various metals, semiconductors, dielectrics, and the like. This partially reflective layer may be formed of one or more layers of material, and each layer may be formed of a single material or a combination of materials.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하에 더욱 설명되는 바와 같이, 광학적 적층부(16)의 층들은 평행 스트립들(strips)로 패턴화되고, 표시장치 내에서 행방향 전극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동식 반사층(14a), (14b)은 기둥부(혹은 지지부)(18) 사이에 증착되는 중재 희생 재료 및 기둥부(18)의 상부면에 증착된 증착 금속층 또는 증착 금속층들(광학 적층부(16a), (16b)의 행방향 전극에 직교)로 이루어진 일련의 평행 스트립들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희생 재료를 에칭하여 제거하면, 이동식 반사층(14a), (14b)은 광학 적층부(16b), (16b)로부터 소정의 간극(19)만큼 분리되게 된다. 알루미늄과 같은 고 전도성·반사성 재료가 반사층(14a), (14b)에 사용될 수 있고, 이들 스트립들은 표시장치에서 열방향 전극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In some embodiments, as will be described further below, the layers of the optical stack 16 may be patterned into parallel strips and form row electrodes in the display. The movable reflective layers 14a and 14b are the intervening sacrificial material deposited between the pillar (or support) 18 and the deposition metal layer or deposition metal layers deposi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pillar 18 (optical stack 16a). ), Orthogonal to the row electrodes of 16b). When the sacrificial material is etched and removed, the movable reflective layers 14a and 14b are separated from the optical stacks 16b and 16b by a predetermined gap 19. Highly conductive and reflective materials such as aluminum may be used for the reflective layers 14a and 14b, and these strips may form columnar electrodes in the display.

도 1에 있어서 화소(12a)로 예시된 바와 같이,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경우, 이동식 반사층(14a)이 기계적으로 이완된 상태에서, 간극(19)이 이동식 반사층(14a)과 광학 적층부(16a) 사이에서 유지된다. 그러나, 선택된 행 및 열에 전위차가 인가될 경우, 대응하는 화소에서 행방향 전극과 열방향 전극의 교차점에 형성된 커패시터는 충전되고, 정전기력은 전극들을 함께 당긴다. 전압이 충분히 높다면, 이동식 반사층(14)은 변형이 일어나 광학 적층부(16)에 대해서 힘을 가한다. 도 1의 오른쪽에 위치한 화소(12b)로 표시된 바와 같이, 광학 적층부(16) 내의 유전체 층(도 1에서는 도시 생략)은 단락이 방지되어 층(14)과 층(16)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한다. 이러한 거동은 인가된 전위차의 극성에 상관없이 동일하다. 이와 같이 해서, 반사성 화소 상태 대 비반사성 화소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행/열방향 작동은 종래의 LCD 및 기타 표시장치 기술에서 이용되는 것과 많은 방식에 있어서 유사하다.As illustrated by the pixel 12a in FIG. 1, when no voltage is applied, the gap 19 is the movable reflective layer 14a and the optical stack 16a in a state where the movable reflective layer 14a is mechanically relaxed. Is maintained between). However, when a potential difference is applied to the selected rows and columns, the capacitor form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row and column electrodes in the corresponding pixel is charged and the electrostatic force pulls the electrodes together. If the voltage is high enough, the movable reflective layer 14 deforms and exerts a force on the optical stack 16. As indicated by the pixel 12b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FIG. 1, the dielectric layer (not shown in FIG. 1) in the optical stack 16 is prevented from shorting to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layers 14 and 16. do. This behavior is the same regardless of the polarity of the applied potential difference. In this way, the row / column operation that can control the reflective pixel state versus the non-reflective pixel state is similar in many ways to those used in conventional LCD and other display technology.

도 2 내지 도 5b는 디스플레이 적용에 있어서 간섭계 변조기들의 어레이를 사용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적 과정 및 시스템을 예시한다.2-5B illustrate one exemplary process and system for using an array of interferometric modulators in display applications.

도 2는 본 발명의 양상들을 내포할 수도 있는 전자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예시한 시스템 블록도이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21)를 포함하는 데, 이 프로세서는 ARM, 펜티엄(Pentium)(등록상표), 펜티엄 II(등록상표), 펜티엄 III(등록상표), 펜티엄 IV(등록상표), 펜티엄(등록상표) Pro, 8051, MIPS(등록상표), Power PC(등록상표), ALPHA(등록상표)와 같은 범용 단일 칩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멀티 칩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마이크로제어기와 같은 소정의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게이트 어레이일 수도 있다. 당업계에 있어서 통상적인 바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21)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의 실행과 더불어, 상기 프로세서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 전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메일 프로그램 또는 기타 임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비롯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2 is a system block diagram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n electronic device that may incorporate asp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processor 21, which includes ARM, Pentium®, Pentium II®, Pentium III®, and Pentium IV ( General purpose single-chip microprocessor or multi-chip microprocessors such as PRT®, Pentium® Pro, 8051, MIPS®, Power PC®, ALPHA®, or digital signal processor, micro It may be some special purpose microprocessor, such as a controller, or a programmable gate array. As is conventional in the art, the processor 21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In addition to the execution of an operating system, 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including a web browser, a telephone application, an email program, or any other software application.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로세서(21)는 또한 어레이 드라이버(22)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어레이 드라이버(22)는 디스플레이 어레이 혹은 패널(30)에 신호를 제공하는 행방향 드라이버 회로(24) 및 열방향 드라이버 회로(26)를 포함한다. 도 1에 예시된 어레이의 단면은 도 2의 1-1선에 의해 표시된다. MEMS 간섭계 변조기에 대해서, 행/열방향 작동 프로토콜은 도 3에 도시된 이들 장치의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완 상태에서 작동 상태로 이동식 층을 변형시키기 위해 10 볼트의 전위차가 필요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값으로부터 전압이 감소될 경우, 전압이 10 볼트 미만으로 다시 떨어질 때에 이동식 층은 그 상태를 유지한다. 도 3의 예시적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압이 2 볼트 미만으로 떨어질 때까지 이동식 층은 완전히 이완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해서, 도 3에 예시된 예에서 약 3 내지 7V의 인가된 전압의 창이 존재하고, 이 범위 내에서 장치가 이완 또는 작동 상태에서 안정적이다. 이것을 여기서는 "히스테리시스 창" 또는 "안정성 창"이라고 칭한다. 도 3의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어레이에 대해서, 행방향 스트로빙(strobing) 동안 스트로빙된 행에 있는 작동될 화소들이 약 10 볼트의 전압차에 노출되고, 이완될 화소들이 0 볼트에 근접한 전압차에 노출되도록 행/열방향 작동 프로토콜을 설계할 수 있다. 스트로빙 후에, 화소들은 약 5 볼트의 정상 상태 전압차에 노출되므로, 이들은 행방향 스트로빙이 화소들을 어떤 상태에 두었던지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예에서, 각 화소는, 기록된 후에, 3 내지 7 볼트의 "안정성 창" 내에서 전위차를 보인다. 이러한 특성으로 작동 또는 이완의 기존 상태에서 동일한 인가 전압 조건 하에서 도 1에 예시된 화소 설계가 안정화된다. 간섭계 변조기의 각 화소는 작동 상태인지 혹은 이완 상태인지에 따라 본질적으로 고정식 반사층 및 이동식 반사층에 의해 형성된 커패시터이기 때문에, 이러한 안정한 상태는 전력 손실이 거의 없이 히스테리시스 창 내의 전압에서 유지될 수 있다. 인가된 전위가 고정되어 있다면 화소로 들어가는 전류 흐름은 실질적으로 없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21 is also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array driver 22. In one embodiment, the array driver 22 includes a row driver circuit 24 and a column driver circuit 26 that provide signals to the display array or panel 30. The cross section of the array illustrated in FIG. 1 is indicated by line 1-1 of FIG. 2. For MEMS interferometric modulators, the row / column operation protocol may utilize the hysteresis characteristics of these devices shown in FIG. For example, a potential difference of 10 volts may be needed to deform the movable layer from the relaxed state to the operating state. However, if the voltage decreases from this value, the movable layer remains in that state when the voltage drops back below 10 volts.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 3, the movable layer does not fully relax until the voltage drops below 2 volts. Thus, in the example illustrated in FIG. 3, there is a window of applied voltage of about 3 to 7 V, within which the device is stable in a relaxed or operating state. This is referred to herein as a "hysteresis window" or "stability window". For the display array with the hysteresis characteristic of FIG. 3, the pixels to be operated in the strobe row during row strobing are exposed to a voltage difference of about 10 volts, and the pixels to be relaxed are close to zero volts. Row / column operating protocols can be designed to be exposed to After strobing, the pixels are exposed to a steady state voltage difference of about 5 volts, so they remain in the state where the row strobe left the pixels. In this example, each pixel, after being written, exhibits a potential difference within a "stable window" of 3 to 7 volts. This characteristic stabilizes the pixel design illustrated in FIG. 1 under the same applied voltage conditions in the existing state of operation or relaxation. Since each pixel of the interferometric modulator is essentially a capacitor formed by the fixed reflective layer and the movable reflective layer depending on whether it is operating or relaxed, this stable state can be maintained at the voltage in the hysteresis window with little power loss. If the applied potential is fixed, there is substantially no current flow into the pixel.

전형적인 응용에 있어서, 제1행에 있는 원하는 세트의 작동 화소에 따라 열방향 전극 세트를 어서트(assert)함으로써 표시 프레임을 생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 행방향 펄스가 제1행의 전극에 인가되어 어서트된 열방향 라인에 대응하는 화소를 작동시킨다. 그 후, 어서트된 세트의 열방향 전극은 제2행에 있는 원하는 세트의 작동 화소에 대응하도록 변경된다. 이어서, 펄스가 제2행의 전극에 인가되어, 어서트된 열방향 전극들에 따라서 제2행에 있는 적절한 화소들을 작동시킨다. 제1행의 화소들은 제2행의 펄스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제1행의 펄스 동안 그들이 설정되었던 상태로 유지된다. 이것은 프레임을 작성하기 위하여 일련의 전체 행들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반복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과정을 초당 원하는 프레임 수만큼 계속적으로 반복함으로써 프레임들은 새로운 표시 데이터로 리프레시(refresh) 및/또는 갱신된다. 더불어, 표시 프레임을 작성하는 화소 어레이의 행방향 전극 및 열방향 전극을 구동하기 위한 매우 다양한 프로토콜은 잘 알려져 있고, 이것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In a typical application, the display frame may be created by asserting a set of column electrodes in accordance with the desired set of working pixels in the first row. Next, a row pulse is applied to the electrodes of the first row to operate the pixels corresponding to the asserted column direction lines. Thereafter, the asserted set of columnar electrodes is changed to correspond to the desired set of working pixels in the second row. A pulse is then applied to the electrodes in the second row, actuating the appropriate pixels in the second row according to the asserted column electrodes. The pixels in the first row remain unaffected by the pulses in the second row and remain as they were set during the pulses in the first row. This may be repeated sequentially for a whole series of rows to create a frame. In general, by repeating this process by the desired number of frames per second, the frames are refreshed and / or updated with new display data. In addition, a wide variety of protocols for driving the row and column electrodes of the pixel array for creating the display frame are well known, which may b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도 5a 및 도 5b는 도 2의 3×3 어레이 위에 표시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하나의 가능한 작동 프로토콜을 예시한다. 도 4는 도 3의 히스테리시스 곡선을 나타내는 화소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는 가능한 세트의 행방향 전압 레벨들 및 열방향 전압 레벨들을 예시한다. 도 4의 실시형태에서, 화소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열을 -Vbias로 설정하고 적절한 행을 +ΔV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한데, -Vbias 및 +ΔV는 각각 -5 볼트 및 +5 볼트에 대응한다. 화소에 대한 볼트 전위차가 0이 되는 동일한 +ΔV로 적절한 행을 설정하고 +Vbias로 적절한 열을 설정함으로써 화소의 이완을 수행한다. 행방향 전압이 0볼트로 유지되는 이들 행에서, 열이 -Vbias이거나 +Vbias인 것에 상관없이, 화소들은 그들의 원래 상태가 어떠하든 안정하다. 도 4에 또한 예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것과 반대 극성의 전압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화소를 작동시키는 것은 적절한 열을 +Vbias로 설정하고 적절한 행을 -ΔV로 설정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소에 대한 0 볼트 전위차를 생성하는 동일한 -ΔV로 적절한 행을 설정하고 -Vbias로 적절한 열을 설정함으로써 화소의 이완을 수행한다.4, 5A and 5B illustrate one possible operating protocol for generating display frames on the 3x3 array of FIG. FIG. 4 illustrates a possible set of row voltage levels and column voltage levels that may be used for the pixel representing the hysteresis curve of FIG. 3. In the embodiment of Figure 4, to operate the pixel it is necessary to set the appropriate column to -V bias and the appropriate row to + ΔV, where -V bias And + ΔV correspond to −5 volts and +5 volts, respectively. Pixel relaxation is accomplished by setting the appropriate rows with the same + ΔV, where the volt potential difference for the pixels is zero, and setting the appropriate columns with + V bias . In these rows where the row voltage remains at zero volts, the pixels are stable whatever their original state, regardless of whether the column is a -V bias or a + V bias . As also illustrated in FIG. 4,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oltages of opposite polarity to those described above may be used. For example, turning on a pixel sets the appropriate column to + V bias This may involve setting the appropriate row to -ΔV. In this embodiment, pixel relaxation is performed by setting the appropriate row with the same -ΔV and the appropriate column with -V bias , which produce a zero volt potential difference for the pixel.

도 5b는 도 5a에 예시된 디스플레이 구성으로 되는 도 2의 3×3 어레이에 인가되는 일련의 행방향 신호 및 열방향 신호를 나타낸 타이밍도로서, 여기서 작동 화소들은 비반사형이다. 도 5a에 예시된 프레임을 기록하기에 앞서, 화소들은 임의의 상태에 있을 수 있고, 이 예에서, 모든 행들은 0볼트이고 모든 열들은 +5 볼트이다. 이들 인가 전압에 의하면, 화소는 모두 그들의 기존의 작동 또는 이완 상태에서 안정하다.FIG. 5B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a series of row and column signals applied to the 3x3 array of FIG. 2 in the display configuration illustrated in FIG. 5A, wherein the operational pixels are non-reflective. Prior to writing the frame illustrated in FIG. 5A, the pixels may be in any state, in this example, all rows are zero volts and all columns are +5 volts. According to these applied voltages, the pixels are all stable in their existing operating or relaxed state.

도 5a의 프레임에서, (1,1), (1,2), (2,2), (3,2) 및 (3,3) 화소들이 작동된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1행에 대한 "라인 시간"(line time) 동안 제1열과 제2열은 -5볼트로 설정되고, 제3열은 +5볼트로 설정된다. 이것은 임의의 화소들의 상태를 변화시키지 않는 데, 그 이유는 모든 화소들이 3 내지 7볼트 안정성 창에 유지되기 때문이다. 다음에, 제1행은 0볼트에서 5볼트까지 가고 다시 0볼트로 가는 펄스로 스트로빙된다. 이것은 (1,1) 화소 및 (1,2) 화소를 작동시키고 (1,3) 화소를 이완시킨다. 어레이 내의 다른 화소들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원하는 바와 같이 제2행을 설정하기 위하여, 제2열을 -5볼트로 설정하고 제1열 및 제3열을 +5볼트로 설정한다. 다음에, 제2행에 인가된 동일한 스트로브(strobe)는 (2,2) 화소를 작동시키고 (2,1) 및 (2,3) 화소를 이완시킬 것이다. 재차, 어레이의 다른 화소들은 영향받지 않는다. 제3행은 제2열 및 제3열을 -5볼트로 설정하고 제1열을 +5볼트로 설정함으로써 마찬가지로 설정된다. 제3행의 스트로브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행의 화소들을 설정한다. 프레임을 기록한 후에, 행방향 전위들은 0이고 열방향 전위들은 +5볼트 또는 -5볼트로 유지될 수 있게 되어, 디스플레이는 도 5a의 구성에서 안정적이다. 수십 또는 수백 개의 행과 열들을 가진 어레이들에 대해서 동일한 과정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 행 및 열 작동을 수행시키는 데 사용되는 타이밍, 수순 및 전압 레벨들은 상기의 일반적인 원리 범위 안에서 매우 다양할 수 있고, 상기 예는 다만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다른 작동 전압 방법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 및 방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frame of Fig. 5A, (1,1), (1,2), (2,2), (3,2) and (3,3) pixels are operated. To accomplish this,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are set to -5 volts and the third column is set to +5 volts during the "line time" for the first row. This does not change the state of any pixels because all the pixels remain in the 3 to 7 volt stability window. Next, the first row is strobe with pulses going from zero to five volts and back to zero volts. This operates the (1,1) pixel and the (1,2) pixel and relaxes the (1,3) pixel. Other pixels in the array are not affected. To set the second row as desired, set the second column to -5 volts and the first and third columns to +5 volts. Next, the same strobe applied to the second row will activate the (2,2) pixels and relax the (2,1) and (2,3) pixels. Again, other pixels of the array are not affected. The third row is similarly set by setting the second column and the third column to -5 volts and the first column to +5 volts. The strobe of the third row sets the pixels of the third row as shown in FIG. 5A. After writing the frame, the row potentials can be zero and the column potentials can be held at +5 volts or -5 volts, so that the display is stable in the configuration of FIG. 5A.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same process can be used for arrays with tens or hundreds of rows and columns. In addition, the timing, procedure, and voltage levels used to perform the row and column operations can vary widely within the general principles of the foregoing, the examples are merely illustrative, and other operating voltage methods are described herein. It will also be appreciated that it can be used with systems and methods.

도 6a 및 도 6b는 표시장치(40)의 일 실시형태를 예시한 시스템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표시장치(40)는 이동 전화기 또는 휴대 전화기일 수 있다. 그러나, 표시장치(40)의 동일한 구성 요소들 또는 그것의 약간의 변경으로는 또한 텔레비전,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및 컴퓨터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표시장치를 들 수 있다.6A and 6B are system block diagrams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the display device 40.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40 may be a mobile phone or a mobile phone. However, the same components of the display device 40 or some variations thereof may also include various types of displays, such as televisions, portable media players, and computers.

표시장치(40)는 하우징(housing)(41), 디스플레이(30), 안테나(43), 스피커(45), 입력 장치(48) 및 마이크(46)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하우징(41)은 사출 성형 및 진공 성형을 비롯한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제조 과정들 중의 어떤 것으로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41)은 플라스틱, 금속, 유리, 고무 및 세라믹,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재료 중의 어떤 것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우징(41)은 다른 색깔을 가지거나 다른 로고, 그림 또는 기호를 포함하는 분리 가능한 부분들과 호환될 수도 있는 분리 가능한 부분(도시 생략)을 포함한다.The display device 40 includes a housing 41, a display 30, an antenna 43, a speaker 45, an input device 48, and a microphone 46. In general, the housing 41 is formed by any of a variety of manufacturing processe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cluding injection molding and vacuum molding. In addition, the housing 41 may be made of any of a variety of material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plastic, metal, glass, rubber and ceramic, or a combination thereof. In one embodiment, the housing 41 includes detachable portions (not shown) that may be compatible with the detachable portions having different colors or including different logos, pictures or symbols.

예시적인 표시장치(40)의 디스플레이(30)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쌍안정 디스플레이를 비롯한 다양한 디스플레이들 중의 어떤 것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플라즈마, EL, OLED, STN LCD 또는 TFT LCD와 같은 평판형 디스플레이, 또는 CRT나 다른 종류의 관(tube) 장치와 같은 비평판형(non-flat-panel)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를 설명할 목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30)는 여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The display 30 of the exemplary display device 40 may be any of a variety of displays, including bistable displays, as described herein. In another embodiment, the display 30 may be a flat panel display, such as a plasma, EL, OLED, STN LCD or TFT LCD, as described above, or non-flat, such as a CRT or other type of tube device. flat-panel) display. However,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is embodiment, the display 30 includes an interferometric modulator display as described herein.

예시적 표시장치(40)의 일 실시형태의 구성 요소들은 도 6b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예시적 표시장치(40)는 하우징(41)을 포함하고 적어도 그 속에 부분적으로 수용된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시적 표시장치(40)는 트랜스시버(transceiver)(47)에 결합된 안테나(43)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를 포함한다. 트랜스시버(47)는 컨디셔닝 하드웨어(conditioning hardware)(52)에 연결된 프로세서(21)에 접속된다. 컨디셔닝 하드웨어(52)는 신호를 조절(예를 들어, 신호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컨디셔닝 하드웨어(52)는 스피커(45) 및 마이크(46)에 연결된다. 프로세서(21)는 입력 장치(48) 및 드라이버 제어기(29)에도 연결된다. 드라이버 제어기(29)는 프레임 버퍼(frame buffer)(28)에 그리고 어레이 드라이버(22)에 결합되고, 어레이 드라이버(22)는 이어서 디스플레이 어레이(30)에 결합된다. 전력 공급 장치(50)는 특정한 예시적 표시장치(40) 설계에 요구되는 바와 같이 모든 구성 요소들에 전력을 제공한다.Components of one embodiment of exemplary display device 40 are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FIG. 6B. The exemplary display device 40 shown may include a housing 41 and may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at least partially housed therein.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exemplary display device 40 includes a network interface 27 that includes an antenna 43 coupled to a transceiver 47. The transceiver 47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21, which is connected to conditioning hardware 52. Conditioning hardware 52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signal (eg, filter the signal). Conditioning hardware 52 is connected to a speaker 45 and a microphone 46. The processor 21 is also connected to the input device 48 and the driver controller 29. The driver controller 29 is coupled to the frame buffer 28 and to the array driver 22, which is then coupled to the display array 30. Power supply 50 provides power to all components as required for a particular exemplary display 40 design.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는 예시적 표시장치(40)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안테나(43) 및 트랜스시버(47)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는 프로세서(21)의 요건을 완화시킬 수 있는 몇몇 처리 능력도 가질 수 있다. 안테나(43)는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당업자들에게 알려진 소정의 안테나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안테나는 IEEE 802.11(a), (b) 또는 (g)를 비롯한 IEEE 802.11 표준에 따라서 RF 신호를 송수신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안테나는 블루투스(BLUETOOTH) 표준에 따라서 RF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동 전화기의 경우, 안테나는 CDMA, GSM, AMPS 또는 무선 이동 전화 네트워크 내에서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타 공지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트랜스시버(47)는 안테나(43)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미리 처리하여 이 신호가 프로세서(21)에 의해 수신되고 나아가 조작될 수도 있다. 또, 트랜스시버(47)는 프로세서(21)로부터 수신된 신호도 처리하여 이 신호가 안테나(43)를 거쳐서 예시적 표시장치(40)로부터 전송될 수 있게 한다.The network interface 27 includes an antenna 43 and a transceiver 47 so that the exemplary display device 40 can communicate with one or more devices over a network. In one embodiment, network interface 27 may also have some processing power that can mitigate the requirements of processor 21. Antenna 43 is any antenna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one embodiment, the antenna transmits and receives RF signals in accordance with IEEE 802.11 standards, including IEEE 802.11 (a), (b), or (g). In another embodiment, the antenna transmits and receives RF signals in accordance with the BLUETOOTH standard. In the case of a mobile phone, the antenna is designed to receive CDMA, GSM, AMPS or other known signals used for communication within a wireless mobile telephone network. The transceiver 47 may proces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43 in advance so that the signal may be received by the processor 21 and further manipulated. The transceiver 47 also processe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processor 21 so that the signal can be transmitted from the exemplary display device 40 via the antenna 43.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트랜스시버(47)는 수신기로 대체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는 프로세서(21)에 전송될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생성할 수 있는 이미지 소스(즉, 화상 공급원(image source))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공급원은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digital video disc)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다.In alternative embodiments, the transceiver 47 may be replaced with a receiver. In yet another alternative embodiment, network interface 27 may be replaced with an image source (ie, an image source) capable of storing or generating image data to be sent to processor 21. For example, the image source may be a digital video disc (DVD) or hard disk drive containing image data, or a software module for generating image data.

프로세서(21)는 일반적으로 예시적 표시장치(4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 또는 화상 공급원으로부터의 압축된 화상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를 수신하고, 해당 데이터를 원천 화상 데이터(raw image data)로 또는 원천 화상 데이터로 즉시 처리할 수 있는 포맷으로 처리한다. 그 후, 프로세서(21)는 처리된 데이터를 드라이버 제어기(29)로 또는 저장을 위해 프레임 버퍼(28)로 전송한다. 원천 데이터는 전형적으로 화상 내의 각각의 위치에서 화상 특성들을 식별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화상 특성들은 색깔, 채도 혹은 포화도(saturation) 및 계조 레벨(gray-scale level)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21 gener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xemplary display device 40. The processor 21 receives data such as compressed image data from the network interface 27 or the image source, and in a format capable of immediately processing the data as raw image data or as source image data. Process. Processor 21 then sends the processed data to driver controller 29 or to frame buffer 28 for storage. Source data typically refers to information that identifies image characteristics at each location within an image. For example, such image characteristics may include color, saturation or saturation and gray-scale level.

일 실시형태에서, 프로세서(21)는 예시적 표시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제어기, CPU 또는 논리 유닛을 포함한다. 컨디셔닝 하드웨어(52)는 일반적으로 신호를 스피커(45)에 전송하기 위해, 그리고 마이크(46)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증폭기들 및 필터들을 포함한다. 컨디셔닝 하드웨어(52)는 예시적 표시장치(40) 내에 있는 별도의 구성 요소일 수도 있거나 프로세서(21) 혹은 기타 구성 요소들 내에 내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21 includes a microcontroller, CPU, or logic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xemplary display device 40. Conditioning hardware 52 generally includes amplifiers and filters to send a signal to speaker 45 and to receive a signal from microphone 46. The conditioning hardware 52 may be a separate component within the exemplary display device 40 or may be embedded within the processor 21 or other components.

드라이버 제어기(29)는 프로세서(21)에서 생성된 원천 화상 데이터를 프로세서(21)로부터 혹은 프레임 버퍼(28)로부터 직접 취하여 어레이 드라이버(22)로 고속 전송하기 위해 원천 화상 데이터를 적절하게 재포맷한다. 특히, 드라이버 제어기(29)는 원천 화상 데이터를 래스터 유사 포맷(raster like format)을 가진 데이터 흐름으로 재포맷하여 디스플레이 어레이(30)에 걸쳐 스캐닝하기에 적합한 시간 순서를 가진다. 다음에, 드라이버 제어기(29)는 포맷된 정보를 어레이 드라이버(22)에 전송한다. 비록 LCD 제어기와 같은 드라이버 제어기(29)가 자립형 집적 회로(stand-alone Integrated Circuit(IC))로서 시스템 프로세서(21)와 종종 연관되지만, 이러한 제어기들은 다양한 방법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들은 프로세서(21) 내에 하드웨어로서 삽입될 수 있거나, 소프트웨어로서 프로세서(21) 내에 삽입될 수도 있거나, 또는 어레이 드라이버(22)와 함께 하드웨어에 완전히 일체화될 수도 있다.The driver controller 29 appropriately reformats the original image data for high speed transfer to the array driver 22 by taking the original image data generated by the processor 21 directly from the processor 21 or from the frame buffer 28. . In particular, the driver controller 29 has a time sequence suitable for reformatting the source image data into a data flow with a raster like format to scan across the display array 30. The driver controller 29 then sends the formatted information to the array driver 22. Although driver controller 29, such as an LCD controller, is often associated with system processor 21 as a stand-alone integrated circuit (IC), such controller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They may be inserted as hardware into the processor 21, may be inserted into the processor 21 as software, or may be fully integrated into the hardware with the array driver 22.

전형적으로, 어레이 드라이버(22)는 포맷된 정보를 드라이버 제어기(29)로부터 수신하고 디스플레이의 x-y 매트릭스 화소들로부터 나온 수백, 때로는 수천개의 인출선에 초당 여러 번 인가되는 병렬 세트의 파형들로 비디오 데이터를 재포맷한다.Typically, array driver 22 receives formatted information from driver controller 29 and outputs video data in parallel sets of waveforms that are applied multiple times per second to hundreds, sometimes thousands, of lead lines from the xy matrix pixels of the display. Reformat the.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드라이버 제어기(29), 어레이 드라이버(22) 및 디스플레이 어레이(30)는 여기서 설명하는 디스플레이들의 유형 중 어느 것에나 적합하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드라이버 제어기(29)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제어기 또는 쌍안정 디스플레이 제어기(예를 들어, 간섭계 변조기 제어기)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어레이 드라이버(22)는 종래의 드라이버 또는 쌍안정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예를 들어,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드라이버 제어기(29)는 어레이 드라이버(22)와 일체형이다. 이러한 일 실시형태는 이동 전화기, 시계 및 기타 소형 디스플레이와 같은 고집적 시스템에 있어서 일반적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어레이(30)는 전형적인 디스플레이 어레이 또는 쌍안정 디스플레이 어레이(예를 들어, 간섭계 변조기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이다.In one embodiment, driver controller 29, array driver 22, and display array 30 are suitable for any of the types of displays described herein.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the driver controller 29 is a conventional display controller or bistable display controller (eg, interferometric modulator controller). In another embodiment, the array driver 22 is a conventional driver or bistable display driver (eg, interferometric modulator display). In one embodiment, the driver controller 29 is integrated with the array driver 22. One such embodiment is common in highly integrated systems such as mobile phones, watches and other small displays. In yet another embodiment, display array 30 is a typical display array or bistable display array (eg, a display comprising an array of interferometric modulators).

입력 장치(48)는 사용자로 하여금 예시적 표시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입력 장치(48)는 QWERTY 키보드 또는 전화기 키패드와 같은 키패드, 버튼, 스위치, 터치 센스 스크린, 감압막 또는 감열막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이크(46)는 예시적 표시장치(40)에 대한 입력 장치이다. 이 장치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마이크(46)가 사용되는 경우, 음성 명령들이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어 예시적 표시장치(40)의 동작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The input device 48 allows a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xemplary display device 40. In one embodiment, the input device 48 includes a keypad, a button, a switch, a touch sense screen, a pressure sensitive film or a thermal film, such as a QWERTY keyboard or a telephone keypad. In one embodiment, the microphone 46 is an input device for the exemplary display device 40. When the microphone 46 is used to input data to the device, voice commands may be provided by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s of the exemplary display device 40.

전력 공급 장치(50)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는 다양한 에너지 저장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력 공급 장치(50)는 니켈-카드뮴 배터리 또는 리튬 이온 배터리와 같은 충전용 배터리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력 공급 장치(50)는 재생 가능 에너지 공급원, 커패시터, 또는 플라스틱 태양 전지, 태양 전지 도료를 비롯한 태양 전지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력 공급 장치(50)는 벽에 붙은 콘센트에서 전력을 받도록 구성된다.Power supply 50 may include various energy storage devices that are well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the power supply 50 is a rechargeable battery, such as a nickel-cadmium battery or a lithium ion battery. In another embodiment, the power supply 50 is a renewable energy source, a capacitor, or a solar cell, including a plastic solar cell, solar cell paint. In another embodiment, the power supply 50 is configured to receive power from a wall outlet.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 프로그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디스플레이 시스템 안의 몇몇 장소에 위치될 수 있는 드라이버 제어기 내에 존재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 프로그램은 어레이 드라이버(22) 내에 존재한다. 당업자들은 앞서 설명한 최적화 조건들을 다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및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trol program resides in a driver controller that can be located at several places in the electronic display system as described above. In certain embodiments, the control program resides in the array driver 22.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optimization condition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a number of hardware and / or software components and in various forms.

앞서 설명한 원리들에 따라서 작동되는 간섭계 변조기의 상세한 구조는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 내지 도 7e(이하 간단히 일괄적으로 "도 7"이라 칭할 경우도 있음)는 이동식 반사층(14) 및 그의 지지 구조체의 다섯 개의 서로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7a는 도 1의 실시형태의 단면도인데, 여기서 금속 재료(14)의 스트립은 직교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18) 상에 증착된다. 도 7b에 있어서, 이동식 반사층(14)은 줄(tether)(32) 상에 단지 모서리에서 지지부에 부착된다. 도 7c에 있어서, 이동식 반사층(14)은 가요성 금속을 포함할 수도 있는 변형가능한 층(deformable layer)(34)으로부터 매달려 있다. 이 변형가능한 층(34)은 해당 변형가능한 층(34) 주변의 기판(20)에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접속된다. 이들 접속부(혹은 연결부)는 여기서는 지지부(18)라고도 칭해지며, 이 지지부는 기둥부, 지주부, 레일 혹은 벽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7d에 나타낸 실시형태는 변형가능한 층(34)이 안착되는 지지 기둥 플러그(42)를 가진다. 이동식 반사층(14)은 도 7a 내지 도 7c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간극부 위에 매달린 채 유지되지만, 변형가능한 층(34)은 해당 변형가능한 층(34)과 광학 적층부(16) 사이의 구멍들을 채움으로써 지지 기둥부를 형성하지 않는다. 오히려, 지지부(18)는 평탄화 재료로 형성되고, 이것은 지지 기둥 플러그(42)를 형성하는 데 이용된다. 도 7e에 나타낸 실시형태는 도 7d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의거한 것이지만, 도 7a 내지 도 7c에 나타낸 실시형태뿐만 아니라 도시하지 않은 추가적인 실시형태의 어느 것과 함께 작용하도록 적합화될 수도 있다. 도 7e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금속 또는 기타 전도성 재료의 여분의 층은 버스 구조체(44)를 형성하는 데 이용되어왔다. 이것에 의해 신호가 간섭계 변조기의 이면을 따라 송신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기판(20) 상에 형성될 수도 있는 다수의 전극을 제거할 수 있다.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interferometric modulator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described above can vary widely. For example, FIGS. 7A-7E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collectively as "FIG. 7") represent five different embodiments of the movable reflective layer 14 and its supporting structure. FIG. 7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 1, in which a strip of metal material 14 is deposited on a support 18 extending in an orthogonal direction. In FIG. 7B, the movable reflective layer 14 is attached to the support at the corner only on the tether 32. In FIG. 7C, the movable reflective layer 14 is suspended from a deformable layer 34, which may comprise a flexible metal. This deformable layer 34 is connected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substrate 20 around the deformable layer 34. These connections (or connections) are also referred to herein as supports 18, which can take the form of pillars, struts, rails or wall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D has a support pillar plug 42 on which the deformable layer 34 rests. The movable reflective layer 14 remains suspended over the gap as in FIGS. 7A-7C, but the deformable layer 34 fills the holes between the deformable layer 34 and the optical stack 16. Does not form a support column Rather, the support 18 is formed of a flattening material, which is used to form the support pillar plug 42.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E is based o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D, but may be adapted to work with any of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7A-7C as well as additional embodiments not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E, an extra layer of metal or other conductive material has been used to form the bus structure 44. This allows the signal to be transmitted along the backside of the interferometric modulator, eliminating a number of electrodes that may otherwise be formed on the substrate 20.

도 7a 내지 도 7e에 나타낸 것과 같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간섭계 변조기는 직시형(direct-view) 장치로서 기능하는 데, 여기서 화상들은 투명한 기판(20)의 앞면 쪽으로부터 보이고 그 반대편에는 변조기들이 배열되어 있다. 이들 실시형태에 있어서, 반사층(14)은 변형가능한 층(34)을 비롯한, 기판(20)의 반대편의 반사층 쪽에 있는 간섭계 변조기의 일부를 광학적으로 차단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차단된 영역은 화질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일없이 구성되고 작동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차단은 도 7e에서 버스 구조체(44)를 허용하며, 이것은 어드레싱 및 그 어드레싱으로부터 기인하는 이동 등과 같은, 상기 변조기의 전자기계 특성으로부터 해당 변조기의 광학적 특성을 분리시키는 능력을 제공한다. 이 분리가능한 변조기 구조체로 인해 해당 변조기의 광학적 측면들 및 전자기계적 측면들에 대해 사용되는 재질들 및 구조 설계가 선택되어 서로 독립적으로 기능하게 된다. 더욱이, 도 7c 내지 도 7e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변형가능한 층(34)에 의해 수행되는, 기계적 특성들로부터 반사층(14)의 광학적 특성들을 분리함으로써 얻어지는 추가적인 장점들을 가진다. 이로 인해 반사층(14)에 사용되는 구조 설계 및 재질들이 광학적 특성에 대해서 최적화되고, 변형가능한 층(34)에 사용되는 구조 설계 및 재질들이 원하는 기계적 특성에 대해서 최적화된다.In embodiments such as those shown in FIGS. 7A-7E, the interferometric modulator functions as a direct-view device, wherein the images are seen from the front sid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20 and the modulators are arranged opposite. have. In these embodiments, the reflective layer 14 optically blocks a portion of the interferometric modulator on the side of the reflective layer opposite the substrate 20, including the deformable layer 34. This allows the blocked area to be constructed and operated without adversely affecting the image quality. This blocking allows the bus structure 44 in FIG. 7E, which provides the ability to separate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odulator from the electromechanical properties of the modulator, such as addressing and movement resulting from the addressing. This separable modulator structure selects the materials and structural designs used for the optical and electromechanical aspects of the modulator to function independently of each other. Moreover,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7C-7E has additional advantages obtained by separating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reflective layer 14 from the mechanical properties performed by the deformable layer 34. This optimizes the structural design and materials used for the reflective layer 14 for optical properties and the structural designs and materials used for the deformable layer 34 for the desired mechanical properties.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방(혹은 전방 측) 집광 필름(80)은 표시 화소들의 어레이(82)의 전방 측 위에 혹은 해당 전방 측 상에 배치되어 있다. 후방(혹은 후방 측) 집광 필름(84)은 표시 화소들의 어레이(82)의 후방 측 밑에 혹은 해당 후방 측 상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표시 화소들의 어레이(82)는 반사형일 수 있고, 또한 LCD, MEMS 소자(예컨대, 간섭계 변조기 혹은 IMOD 디스플레이), 전기영동 소자 또는 전방 측 혹은 관찰 측으로부터 광을 반사하는 기타 유형의 디스플레이 기술(디스플레이 기술)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표시 화소들의 어레이(82)는 발광형일 수 있고,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전계 방출형 디스플레이(FED), 백릿(backlit)(즉, 후면발광) 마이크로전기기계 시스템(MEMS) 소자(예컨대, 반투과반사형 및 백릿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IMOD)), 또는 광을 내부적으로 발생시켜 방출하는 기타 유형의 디스플레이 기술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발광형" 디스플레이 기술은 백릿 기술을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front (or front side) light collecting film 80 is disposed on or on the front side of the array of display pixels 82. The rear (or rear side) light collecting film 84 is disposed below or on the rear side of the array 82 of display pixels. The array of display pixels 82 may be reflective and may also be an LCD, MEMS device (e.g., interferometric modulator or IMOD display), electrophoretic device, or other type of display technology that reflects light from the front or viewing side (display). Technology). The array of display pixels 82 may be emissive, and may also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 backlit (ie, backlit) )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MEMS) devices (eg, transflective and backlit interferometric modulator displays (IMOD)), or other types of display technologies that generate and emit light internally. As used herein, “light emitting” display technology includes backlit technology.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시장치(85)는 전방 집광 필름(80)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시장치(85)는 후방 집광 필름(84)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전방 및 후방 집광 필름(80, 84)이 각각 해당 집광 필름(80, 84)의 가장자리부(88) 상에 배치된 광기전력(PV) 소자(86)를 구비하는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개략도로서, 디스플레이 혹은 화상 영역에 의해 수광된 광의 부분이 PV 소자로 분로되도록, 집광 필름들, PV 소자들 및 능동 디스플레이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display device 85 may be formed of only the front light collecting film 80. In another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85 may be formed of only the rear light collecting film 84. FIG. 8 shows one embodiment in which the front and rear condensing films 80, 84 have photovoltaic (PV) elements 86 disposed on the edges 88 of the condensing films 80, 84, respectively. Doing.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condensing films, PV elements and active displays such that a portion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display or image area is shunted to the PV element.

도 9는 광기전력 소자(86)와 광원(90)의 양쪽 모두가 집광 필름(80, 84)의 가장자리부(88) 상에 배치되어 있는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기전력 소자(86)와 광원(90)은 서로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기전력(PV) 소자(86)와 광원(90)은 집광 필름(80, 84)의 가장자리부(88) 상의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의하면, 상기 장치는 전방 측 집광 필름(80)과 후방 측 집광 필름(84)의 어느 한쪽,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과 마찬가지로, 능동형 디스플레이의 화상 영역으로부터 혹은 해당 화상 영역으로의 광의 일부는 해당 화상 영역의 가장자리부 상에 있는 PV 소자로 분로되고; 부가적으로 집광 필름은 상기 가장자리부에 있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일부를 디스플레이 어레이(82)의 화상 영역 쪽으로 방향전환시킨다. 단, PV 소자(86)와 광원(90)은 집광 필름(80, 84)의 동일한 가장자리부에 혹은 가장자리부(88)의 동일한 쪽에 있을 필요는 없다.FIG. 9 show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both the photovoltaic element 86 and the light source 90 are disposed on the edge portion 88 of the light collecting films 80 and 84. In some embodiments, photovoltaic element 86 and light source 9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another embodiment, the photovoltaic (PV) device 86 and the light source 90 are disposed at different locations on the edges 88 of the light collecting films 80, 84. According to FIG. 8, the device may comprise either or both of the front side light collecting film 80 and the rear side light collecting film 84, or as shown. As in FIG. 8, part of the light from or to the image region of the active display is split into PV elements on the edge of the image region; In addition, the light collecting film redirects a portion of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at the edge toward the image area of the display array 82. However, the PV element 86 and the light source 90 need not be on the same edge portion of the light collecting films 80 and 84 or on the same side of the edge portion 88.

도 9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집광 필름(80, 84)은 도 8의 것과 마찬가지 구조를 지닐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집광 필름(80, 84)은 광원(90)으로부터의 광이 광기전력 소자(86)에 도달하는 광과는 반대 방향으로 주행할 경우에는 조명 필름으로서도 역할할 수 있다. 집광 필름(80, 84)은 이하에 설명되는 도 11a 내지 도 13b로부터 더욱 잘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광-방향전환 구성부들을 포함한다. 광원은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the light collecting films 80, 84 may have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FIG. 8. However, these light collecting films 80 and 84 can also serve as illumination films when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90 travel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light reaching the photovoltaic element 86. Condensing films 80 and 84 include light-turning features as can be better understood from FIGS. 11A-13B described below. The light source may include, for example, a light emitting diode (LED).

집광 필름(80, 84)은 각각 두 면을 포함한다. 그 중 상부면은 주변광을 수광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하부면은 상기 상부면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집광 필름(80, 84)은 가장자리부(88)들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여 있다. 전형적으로는, 집광 필름(80, 84)의 길이와 폭은 집광 필름(80, 84)의 두께보다 실질적으로 크다. 집광 필름(80, 84)의 두께는 예를 들어 0.5 내지 10㎜에서 변경가능하다. 집광 필름(80, 84)의 주된 면들의 면적은 0.01 내지 10,000 ㎠에서 변경가능하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집광 필름(80, 84)을 포함하는 재료의 굴절률은 전내부 반사(TIR: total internal reflection)에 의해 집광 필름(80, 84) 내에 주변광의 많은 부분을 도광하도록 주변 매질보다 상당히 높을 수 있다.The light collecting films 80 and 84 each comprise two sides. The upper surface is configured to receive ambient light, and the lower surface is disposed below the upper surface. The light collecting films 80 and 84 are completely surrounded by the edges 88. Typically, the length and width of the light collecting films 80 and 84 are substantially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light collecting films 80 and 84. The thickness of the light collecting films 80 and 84 can be varied, for example, from 0.5 to 10 mm. The area of the main faces of the light collecting films 80 and 84 can be varied from 0.01 to 10,000 cm 2. In some embodiment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aterial comprising the light collecting films 80 and 84 is higher than the peripheral medium to guide large portions of ambient light in the light collecting films 80 and 84 by total internal reflection (TIR). Can be quite high.

도 10a 내지 도 10c는 집광 필름(80, 84)의 가장자리부(88) 상에 광기전력 소자(86)와 광원(90)의 양쪽 모두를 배치시키기 위한 각종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원(90)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기전력 소자(86)와 광원(90)은 집광 필름(80, 84)의 모서리부(92)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집광 필름(80, 84)은 해당 집광 필름(80, 84)의 표면 상에 원호로 개략적으로 표시된 광-방향전환 구성부(94)들을 포함한다. 광-방향전환 구성부들은 프리즘, 확산, 홀로그램 메커니즘, 또는 집광 필름(80, 84)의 상부면 혹은 하부면에 입사하는 방향으로부터 집광 필름(80, 84)의 가장자리부(88) 쪽으로 횡방향으로 광을 전환시키는 기타 임의의 메커니즘일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기전력 소자(86) 및/또는 광원(90)은 집광 필름(80, 84)의 모서리부(92)보다는 오히려 가장자리부(88)의 한쪽을 따라 중앙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0a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광기전력 소자(86)와 광원(90)을 설명하고 있지만, 광기전력 소자(86)와 광원(90)은 또한 도 10b 및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심원 형상이거나 중첩되어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집광 필름(80, 84)의 가장자리부(88)들 상의 상이한 위치에, 예를 들어 서로 교차하여 배열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집광 필름(80, 84)은 해당 집광 필름(80, 84)의 가장자리부(88)들 상의 각종 위치에 배치된 복수개의 광기전력 소자(86) 및/또는 광원(90)을 구비한다.10A-10C illustrate various configurations for disposing both the photovoltaic element 86 and the light source 90 on the edges 88 of the light collecting films 80, 84. In some embodiments, the light source 90 can be omitt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0A, the photovoltaic element 86 and the light source 90 are arranged side by side at the corners 92 of the light collecting films 80, 84. Condensing film 80, 84 includes light-turning features 94 schematically indicated by an arc on the surface of condensing film 80, 84. The light-turning features are laterally directed toward the edge 88 of the light collecting films 80 and 84 from the direction of incidence of the prism, diffusion, hologram mechanism, or top or bottom surface of the light collecting films 80 and 84. It may be any other mechanism for diverting light. In some embodiments, the photovoltaic device 86 and / or light source 90 may be disposed centrally along one side of the edge 88 rather than at the edge 92 of the light collecting films 80, 84. . Although FIG. 10A illustrates a photovoltaic element 86 and a light source 90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photovoltaic element 86 and the light source 90 are also concentric in shape, as shown in FIGS. 10B and 10C. Or may overlap, or may be arranged at different locations on the edges 88 of the light collecting films 80, 84, eg, cross each other. In some embodiments, the light collecting films 80, 84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hotovoltaic elements 86 and / or light sources 90 disposed at various locations on the edges 88 of the light collecting films 80, 84. It is provided.

도 11a 내지 도 13b는 광의 집광 및 광기전력 변환, 또는 표시장치(85)의 집광과 조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광-방향전환 구성부들을 지닌 집광 필름의 예들을 도시하고 있다.11A-13B show examples of a condensing film with light-turning features that can be used for condensing and photovoltaic conversion of light, or condensing and illuminating the display 85.

광기전력 소자 내로 주변광을 작동적으로 결합하는 데 이용되는 프리즘 집광 필름의 일 실시형태는 도 11a에 도시되어 있다. 프리즘 도광 컬렉터는 상반성(reciprocity)의 원리에 의거하며, 즉, 광은 프리즘 집광 필름의 표면과 가장자리부 사이의 경로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다. 도 11a는 광기전력 소자(100)에 대해서 배치된 집광 필름(104)을 포함하는 일 실시형태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집광 필름(104)은 기판(105) 및 그 위 혹은 그 안에 형성된 복수개의 프리즘 구성부(108)를 포함한다. 집광 필름(104)은 상부면(103)과 하부면(140)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사이에 복수개의 가장자리부(110)를 지닌다. 집광 필름(104)에 입사하는 광(112)은 복수개의 프리즘 구성부(108)에 의해 집광 필름(104) 속으로 향하고, 상부면과 하부면에서 다수의 전내부 반사에 의해 집광 필름(104) 내에 횡방향으로 도광될 수 있다. 집광 필름(104)은 광기전력 소자가 감응성인 하나 이상의 파장에서 방사선에 대해서 투명한 광학적으로 투과성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집광 필름(104)은 가시 및 근적외 영역의 파장에 대해서 투명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집광 필름(104)은 자외 혹은 적외 영역의 파장에 대해서 투명할 수 있다. 집광 필름(104)은 본 실시형태에 대해서 구조적인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유리 혹은 아크릴 등의 강성 혹은 반강성(semi-rigid)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집광 필름(104)은 가요성 폴리머 등의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a prism condensing film used to operatively couple ambient light into a photovoltaic device is shown in FIG. 11A. The prism light guide collector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that is, the light can travel back and forth along the path between the surface and the edge of the prism light collecting film. 11A shows a side view of one embodiment that includes a light collecting film 104 disposed relative to the photovoltaic device 100. In some embodiments,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includes a substrate 105 and a plurality of prismatic features 108 formed thereon or therein.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103 and a lower surface 140 with a plurality of edges 110 therebetween. Light 112 incident on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is directed into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by a plurality of prismatic features 108 and is collected by the plurality of total internal reflections at the top and bottom surfaces. Can be guided transversely within. Condensing film 104 may comprise an optically transmissive material that is transparent to radiation at one or more wavelengths at which the photovoltaic device is sensitive.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may be transparent to wavelengths in the visible and near infrared regions. In other embodiments,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may be transparent to the wavelength of the ultraviolet or infrared region.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may be formed of a rigid or semi-rigid material, such as glass or acrylic, to provide structural stability for this embodiment. Alternatively,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a flexible polymer.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 구성부(108)들 형태의 광-방향전환 구성부들은 기판(105)의 하부면(104) 상에 혹은 광원으로부터 떨어져서 위치결정되어 있다. 프리즘 구성부(108)들은 일반적으로 기판(105)의 하부면(140) 상에 형성된 세장형 홈들(elongated grooves)이다. 이들 홈은 광학적으로 투과성인 재료로 채워져 있을 수 있다. 프리즘 구성부(108)들은 성형, 엠보싱, 에칭 혹은 기타 대안적인 수법에 의해 기판(105)의 하부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리즘 구성부(108)들은 기판(105)의 하부면 상에 적층될 수 있는 필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프리즘 필름을 포함하는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은 오로지 프리즘 필름 내로 도광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판(105)은 오로지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프리즘 구성부(108)들은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즘 구성부(108)는 선형 v자형 홈 혹은 슬릿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리즘 구성부(108)는 곡선 홈 혹은 비선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11A, the light-turning features in the form of prismatic features 108 are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104 of the substrate 105 or away from the light source. . Prism features 108 are generally elongated grooves formed on bottom surface 140 of substrate 105. These grooves may be filled with an optically transmissive material. Prism features 108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substrate 105 by molding, embossing, etching, or other alternative techniques. Alternatively, prismatic features 108 may be disposed on a film that may be stacked on the bottom surface of substrate 105. In some embodiments including a prism film, light can be guided solely into the prism film. In such embodiments, the substrate 105 may provide only structural stability. Prism features 108 may include various shapes. For example, prismatic features 108 may be linear v-grooves or slits. Alternatively, prismatic features 108 may comprise curved grooves or non-linear shapes.

도 11b는 선형 v자형 홈(116)의 형태의 프리즘 구성부들의 확대도를 나타내고 있다. v자형 홈(116)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사이에 각도 α로 배열된 두 평면 파세트(facet)(F1), (F2)를 포함한다. 파세트들 간의 각도 간격(α)은 집광 필름(104) 혹은 주변 매질의 굴절률에 의존할 수 있고, 이것은 15° 내지 120°에서 변화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파세트(F1), (F2)는 동일한 길이일 수 있다. 예시된 비대칭 실시형태에 있어서, 파세트들 중 하나의 길이는 다른 것보다 크다. 두 연속적인 v자형 홈 'a' 간의 거리는 0.01 내지 0.5㎜에서 변화될 수 있다. 'b'로 표시된 v자형 홈의 폭은 0.001 내지 0.100㎜에서 변화될 수 있는 한편, 'd'로 표시된 v자형 홈의 깊이는 0.001 내지 0.5㎜에서 변화될 수 있다.11B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prismatic features in the form of a linear v-groove 116. The v-shaped groove 116 comprises two planar facets F1, F2 arranged at an angle α between them as shown in FIG. 11B. The angular spacing α between the facets may depend o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or the surrounding medium, which may vary from 15 ° to 120 °. In some embodiments, the facets F1, F2 may be the same length. In the illustrated asymmetrical embodiment, the length of one of the facets is greater than the other. The distance between two consecutive v-shaped grooves 'a' can vary from 0.01 to 0.5 mm. The width of the v-shaped groove marked 'b' may vary from 0.001 to 0.100 mm, while the depth of the v-shaped groove marked 'd' may vary from 0.001 to 0.5 mm.

도 11c는 비대칭 슬릿(108)들의 형태의 프리즘 구성부들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슬릿(108)은 집광 필름면과 각도 β로 배열된 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 파세트(F3), (F4)를 포함한다. 집광 필름면과 슬릿들 사이의 각도 β는 집광 필름(104) 혹은 주변 매질의 굴절률에 의존할 수 있고, 이것은 5° 내지 70°에서 변화될 수 있다. 상기 평면 파세트(F3)는 전방 및 후방 집광 필름면(130), (140)에서 다수의 내부 반사에 의해서 전방 집광 필름면(130)으로부터의 광을 집광 필름(104)의 하나의 가장자리부(110) 쪽으로 횡방향으로 방향변화시킨다. 평면 파세트(F4)는 전방 및 후방 집광 필름면(130), (140) 상의 다수의 내부 반사에 의해 후방 집광 필름면(140)으로부터 집광 필름(104)의 반대쪽 가장자리부(110)로 광(112)을 방향변화시킨다.11C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prismatic features in the form of asymmetric slits 108. These slits 108 comprise two substantially parallel planar facets F3 and F4 arranged at an angle β with the condensing film surface. The angle β between the light collecting film face and the slits may depend o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or the surrounding medium, which may vary from 5 ° to 70 °. The planar facet F3 receives light from the front condensing film surface 130 by a plurality of internal reflections at the front and rear condensing film surfaces 130 and 140 at one edge portion of the condensing film 104. Change direction laterally. The planar facet F4 receives light (from the rear light collecting film face 140 to the opposite edge 110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by a number of internal reflections on the front and rear light collecting film faces 130, 140). Direction 112).

도 11a 및 도 11c를 참조하면, 광기전력 소자(100)는 상기 필름(104)의 가장자리부(110)에 인접한 집광 필름(104)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광기전력 소자(100)는 프리즘 구성부(108)들에 의해 집광 필름(104)을 통해서 방향을 바꾼 광을 입수하도록 구성 및 배향되어 있다. 광기전력 소자(100)는 단일 층 혹은 다수 층 p-n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실리콘, 비정질 실리콘 혹은 카드뮴 텔루르화물 등과 같은 기타 반도체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기전력 소자(100)는 광전자화학 전지, 고분자 혹은 나노기술에 기초할 수 있다. 광기전력 소자(100)는 또한 얇은 멀티스펙트럼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멀티스펙트럼 층들은 고분자 중에 분산된 나노결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수개의 멀티스펙트럼 층은 광기전력 소자(100)의 효율을 증가시키도록 적층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광기전력 소자(100)가 집광 필름(104)의 하나의 가장자리부(110)를 따라 (예를 들어, 집광 필름(104)의 왼쪽에) 배치되어 있는 하나의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광기전력 소자는 집광 필름(104)의 다른 가장자리부에도 (예를 들어, 집광 필름(104)의 오른쪽에)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광기전력 소자는,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광 필름(104)의 반대쪽 가장자리부에 (예를 들어, 집광 필름(104)의 왼쪽 및 오른쪽에) 배치될 수 있다. 집광 필름(014)에 대해서 광기전력 소자(100)를 위치결정시키는 다른 배치형태도 가능하다.11A and 11C, the photovoltaic device 100 is disposed laterally with respect to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adjacent to the edge portion 110 of the film 104. The photovoltaic device 100 is configured and oriented to receive redirected light through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by the prismatic features 108. The photovoltaic device 100 may comprise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 p-n junction and may also be made of other semiconductor materials such as silicon, amorphous silicon or cadmium telluride. In some embodiments, photovoltaic device 100 may be based on optochemical cells, polymers or nanotechnology. The photovoltaic device 100 may also include thin multispectral layers. These multispectral layers may further comprise nanocrystals dispersed in the polymer. Several multispectral layers can be stack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photovoltaic device 100. 11A and 11B illustrate one embodiment in which the photovoltaic device 100 is disposed along one edge 110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eg, to the left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It is shown. However, other photovoltaic elements may also be disposed at other edges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eg, to the right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Multiple photovoltaic devices can be disposed at opposite edges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eg,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as shown in FIG. 11C. Other arrangements for positioning the photovoltaic device 100 relative to the light collecting film 014 are possible.

집광 필름(104)의 상부면 상에 입사되는 광은 광로(11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집광 필름(104)을 통해 투과된다. 광은, 프리즘 구성부(108)의 파세트에 충돌할 때, 집광 필름(104)의 상하부면(130), (140)으로부터의 다수의 반사에 의해 전내부 반사된다. 광선은, 집광 필름(104)의 가장자리부(110)에 충돌한 후에, 집광 필름(104)에서 나가 광기전력 소자(100)에 광학적으로 결합된다. 렌즈 혹은 광 파이프는 집광 필름(104)으로부터 광기전력 소자(100)로 광을 광학적으로 결합시키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집광 필름(104)은 광기전력 소자(100)에 보다 가까운 단부를 향해서 프리즘 구성부(108)들이 없을 수 있다. 어떠한 프리즘 구성부들 없이도 집광 필름(104)의 부분은 광 파이프로서 기능할 수 있다. 집광 필름을 통해 집광되어 도광될 수 있는 광량은 프리즘 구성부들의 기하학적 형태, 종류 및 밀도에 의존할 수 있다. 집광된 광량은 또한 도광 재료의 굴절률에도 의존할 수 있고, 이것은 개구수를 결정한다.Light incident on the top surface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is transmitted through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as indicated by the light path 112. When the light impinges on the facet of the prismatic features 108, it is totally reflected internally by a number of reflections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130, 140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The light rays collide with the edge 110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and then exit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and are optically coupled to the photovoltaic device 100. Lenses or light pipes may be used to optically couple the light from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to the photovoltaic device 100. In one embodiment, for example,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may be free of prismatic features 108 toward an end closer to the photovoltaic device 100. The portion of the collection film 104 can function as a light pipe without any prismatic features. The amount of light that can be collected and guided through the light collecting film can depend on the geometry, type and density of the prismatic features. The amount of light collected may also depend o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 guide material, which determines the numerical aperture.

이와 같이 해서 광은 전내부 반사(TIR)에 의해 집광 필름(104)을 통해 도광된다. 임의의 특정 광선은 상부면 혹은 하부면에 대해서 각도를 가지고 배향될 수 있는 한편, 순수한 방향전환은 필름의 주된(상부 혹은 하부)면으로 입사하는 방향으로부터, 일반적으로 광이 입사되는 면에 대해서 평행한 필름(104)의 가장자리부(110)를 향해서 횡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도광된 광은 집광 필름 내의 흡수 및 다른 파세트로부터의 산란에 기인한 손실을 경험할 수 있다. 도광된 광에서의 이러한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반사 횟수를 저감시키도록 집광 필름(104)의 횡방향 길이를 수십 인치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집광 필름(104)의 길이를 제한하는 것은 광이 수광되는 면적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집광 필름(104)의 길이는 수십 인치보다 크게 증가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학 코팅들이 프레넬 손실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집광 필름(104)의 표면 상에 증착되어 있을 수 있다.In this way, light is guided through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by total internal reflection (TIR). Any particular light ray can be oriented at an angle to the top or bottom surface, while pure redirection is parallel to the plane where light is generally incident from the direction of incidence into the main (top or bottom) plane of the film. It is ma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ward the edge portion 110 of one film 104. Guided light may experience losses due to absorption in the collection film and scattering from other facets. In order to reduce this loss in the guided light, it is desirable to limit the transverse length of the condensing film 104 to tens of inches or less to reduce the number of reflections. However, limiting the length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can reduce the area over which light is received. Thus, in some embodiments, the length of condensing film 104 can be increased to greater than tens of inches. In some other embodiments, optical coatings may be deposited on the surface of light collecting film 104 to reduce Fresnel loss.

광선이 프리즘 구성부(108)가 없는 집광 필름(104)의 부분, 전형적으로는 필름 표면의 대부분에 충돌할 경우, 집광 필름을 통해 투과될 수 있지만 해당 집광 필름 내로 방향전환될 수는 없다. 해당 필름을 통해 입사되는 상당한 부분이 투과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이하에 기술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투과된 광은 능동형 디스플레이를 조명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방향전환된 광량을 조율해서 광기전력 소자(100)의 집광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광기전력 소자(100)를 향해 분로된 광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프리즘 구성부들이 도 11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서 오프셋되어 있는(즉, 어긋나 있는) 프리즘 구성부들을 포함하는 수개의 집광 필름층을 적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도 11d는 프리즘 구성부(208)들을 지닌 제1집광 필름층(204)과 프리즘 구성부(216)들을 지닌 제2집광 필름층(212)을 포함하는 일 실시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광기전력 소자(200)는 두 집광 필름층(204), (212)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프리즘 구성부들(208), (216)은 광-방향전환 구성부들의 높은 부정합 가능성을 지니도록 랜덤화되거나 서로에 대해서 오프셋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광선(2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집광 필름(204)을 통해 방향전환되어 도광된다. 지점(A)에서 제1집광 필름(204)을 통과하는 광선(224)은 제2집광 필름(212)을 통해 방향전환되어 도광된다. 이 방법으로 프리즘 구성부들(208), (216)을 오프셋시키는 것은 해당 구성부들 간의 공간을 저감시켜, 프리즘 구성부들의 밀도를 증가시킨다. 상기 구성부들을 오프셋시키는 것은 광기전력 소자에 광학적으로 결합된 광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투과된 광을 희생하여) 광기전력 소자의 전기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집광 필름층(204), (212)은 얇을 수 있으므로, 다수의 집광 필름층을 적층하여 PV 전지에 결합되는 광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함께 적층될 수 있는 층들의 수는, 목적으로 하는 용도(예를 들어, 층들을 통해서 표시장치를 보는)를 위해서 투과된 광의 허용가능한 손실에 부가해서, 각 층의 크기 및/또는 두께 및 서로의 계면에서의 프레넬 손실에 의존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2 내지 10층의 집광 필름층이 서로 적층될 수 있다.When light rays impinge on a portion of the collection film 104, typically the majority of the film surface, without the prismatic features 108, it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collection film but cannot be turned into that collection film.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where it is desirable to allow a substantial portion of the incident incident through the film to be transmitted, the transmitted light can illuminate the active display. Nevertheless, it may be desirable to tune the redirected amount of light to increase the focusing of the photovoltaic device 100. In order to increase the amount of light shunted toward the photovoltaic device 100, several light collecting film layers comprising prismatic features that are offset (ie misalign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as illustrated in FIG. 11D. It may be advantageous to stack them. FIG. 11D illustrates one embodiment that includes a first light collecting film layer 204 with prismatic features 208 and a second light collecting film layer 212 with prismatic features 216. The photovoltaic device 200 is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wo light collecting film layers 204 and 212. Prism features 208 and 216 are designed to be randomized or offset relative to one another to have a high probability of mismatch of light-turning features. Light ray 220 is turned and guided through first condensing film 204 as described above. Light rays 224 passing through the first light collecting film 204 at point A are redirected and guided through the second light collecting film 212. Offsetting prismatic features 208, 216 in this manner reduces the spacing between the components, increasing the density of the prismatic features. Offsetting the components may increase the electrical output of the photovoltaic device (at the expense of transmitted light) by increasing the amount of light optically coupled to the photovoltaic device. Since the light collecting film layers 204 and 212 can be thi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mount of light coupled to the PV cell by stacking a plurality of light collecting film layers. The number of layers that can be stacked together depends on the size and / or thickness of each layer and on each other, in addition to the allowable loss of transmitted light for the intended use (eg, viewing the display through the layers). Depends on Fresnel loss at the interface. In some embodiments, two to ten light collecting film layers may be stacked on each other.

프리즘 도광판, 시트 혹은 필름(또는 막)을 이용해서 광기전력 소자를 향해 광을 집광, 집중 및 지향시키는 이점은, 보다 적은 수의 광기전력 소자가 목적으로 하는 전기 출력을 얻는 데 필요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기술은 아마도 광기전력 소자에 의해 에너지를 발전시키는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이점은 반사형 디스플레이에 혹은 소정 유형의 디스플레이로부터 광의 투과의 과도한 저감 없이 전력을 발전시키기 위한 광을 집광하는 능력이다.The advantage of using a prism light guide plate, sheet or film (or film) to focus, focus and direct light towards the photovoltaic device is that fewer photovoltaic devices may be needed to achieve the desired electrical output. . Thus, this technique could possibly reduce the cost of generating energy by the photovoltaic device. Another advantage is the ability to focus light for generating power without undue reduction in transmission of light to or from a reflective display.

도 12는, 상기 광-방향전환 구성부들이 프리즘 구성부들보다 오히려 회절성 구성부(308)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다른 집광 필름을 예시하고 있다. 각종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회절성 구성부들(308)은 집광 필름(104)에 소정 각도로 입사되는 광(예컨대, 광선(312))의 방향을 변화시켜, 이를 통해서 광이 집광 필름(104)의 가장자리부(110)로부터 집광 필름(104) 내로 그리고 광기전력 소자(100) 속으로 전파된다. 광은, 예를 들어, 집광 필름(104)의 길이를 따라, 예컨대, 약 40°이상의 스침 각도(grazing angle)로(집광 필름(104)의 표면에 대해서 수직으로부터 측정됨) 전내부 반사를 통해서 전파될 수 있다. 이 각도는 스넬의 법칙에 의해 확립된 임계각이거나 혹은 해당 임계각 이상일 수 있다. 회절된 광선(312)은 집광 필름(104)의 길이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방향변화된다. 회절성 구성부(308)들은 표면 혹은 용적 회절성 구성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절성 구성부(308)들은 집광 필름(104)의 제1측면(103) 상에 회절성 방향전환 막 상에 포함될 수 있다. 회절성 구성부는 홀로그래픽 구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회절성 방향전환 막은 몇몇 실시형태에서 홀로그램 혹은 홀로그래픽 막을 포함할 수 있다. 재료의 상대 굴절률 혹은 반사율에 따라, 회절성 미세구조체는 집광 필름(104)의 상부, 하부 혹은 측면부 상에 있을 수 있다.12 illustrates another light collecting film in which the light-turning features further include diffractive features 308 rather than prismatic features. In various preferred embodiments, the diffractive features 308 change the direction of light (eg, light ray 312) incident on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at an angle, through which light is collected. Propagates from the edge 110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and into the photovoltaic device 100. Light is, for example, through total internal reflection along the length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for example at a grazing angle of greater than about 40 ° (measured from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It can be propagated. This angle may be a critical angle established by Snell's law or above that critical angle. The diffracted light rays 312 are redirected at approximately right angles to the length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Diffractive features 308 may include surface or volume diffractive features. Diffractive features 308 may be included on the diffractive redirecting film on the first side 103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The diffractive features may comprise holographic features. Likewise, the diffractive redirecting film may comprise a holographic or holographic film in some embodiments. Depending on the relative refractive index or reflectance of the material, the diffractive microstructures can be on the top, bottom or side portions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104.

도 13a 및 도 13b는 다른 종류의 광-방향전환 요소(242)를 포함하는 집광 필름(240)의 실시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광-방향전환 요소(242)는 미세구조 박막일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방향전환 요소(242)는 용적 혹은 표면 회절성 구성부들 혹은 홀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광-방향전환 요소(242)는 얇은 판, 시트 혹은 필름일 수 있다. 광-방향전환 요소(242)의 두께는 몇몇 실시형태에서는 대략 1㎛ 내지 대략 100㎛ 범위일 수 있지만, 그보다 크거나 작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방향전환 요소 혹은 층(242)의 두께는 5㎛ 내지 50㎛일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방향전환 요소 혹은 층(242)의 두께는 1㎛ 내지 10㎛일 수 있다. 광-방향전환 요소(242)는 접착제에 의해 집광 필름(240)의 기판(244) 상의 하나의 층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제는 기판(244)을 포함하는 재료와 굴절률-정합(index-matched)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착제는 광-방향전환 요소(242)를 포함하는 재료와 굴절률 정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방향전환 요소(242)는 기판(244) 상에 적층되어 집광 필름(240)을 형성할 수 있다. 소정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적 혹은 표면 회절 구성부들 혹은 홀로그램들은 증착 혹은 기타 공정에 의해 기판(244)의 상부면 혹은 하부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13A and 13B illustrate an embodiment of a light collecting film 240 that includes another kind of light-turning element 242. Light-turning element 242 may be a microstructured thin film. In some embodiments, light-turning element 242 can include volumetric or surface diffractive features or holograms. Light-turning element 242 may be a thin plate, sheet or film. The thickness of the light-turning element 242 may range from about 1 μm to about 100 μm in some embodiments, but may be larger or smaller. In some embodiments, the thickness of the light-turning element or layer 242 can be between 5 μm and 50 μm. In some embodiments, the thickness of the light-turning element or layer 242 may be between 1 μm and 10 μm. The light-turning element 242 can be attached to one layer on the substrate 244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240 by an adhesive. The adhesive may be index-matched with the material comprising the substrate 244. In some embodiments, the adhesive may be index matched with the material comprising the light-turning element 242. In some embodiments, the light-turning element 242 can be stacked on the substrate 244 to form the light collecting film 240. In certain other embodiments, volumetric or surface diffractive features or holograms may be formed on the top or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244 by deposition or other processes.

용적 혹은 표면 회절성 요소 혹은 홀로그램은 투과 모드 혹은 반사 모드에서 작동할 수 있다. 투과형 회절 요소 혹은 홀로그램은 일반적으로 광학적으로 투과성인 재료를 포함하며, 이들을 통해서 통과하는 광을 회절시킨다. 반사형 회절 요소 및 홀로그램은 일반적으로 반사성 재료를 포함하고 그로부터 반사된 광을 회절시킨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적 혹은 표면 회절 요소/홀로그램은 투과 구조와 반사 구조의 혼성체(hybrid)일 수 있다. 회절 요소/홀로그램은 무지개 홀로그램, 컴퓨터-생성 회절 요소 혹은 홀로그램, 또는 다른 종류의 홀로그램 혹은 회절성 광학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예컨대, 디스플레이의 후방측 상에서), 반사형 홀로그램이 투과형 홀로그램 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데, 그 이유는, 높은 비율의 입사광이 광기전력 소자에 (그리고 몇몇 실시형태에서는 광원으로부터) 분로되어야 하는 경우, 반사형 홀로그램이 투과형 홀로그램보다 양호하게 백색광을 집광하여 도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 실시형태에 있어서(예컨대, 디스플레이의 전방 측 상에서), 보다 높은 투명도가 요망되는 경우, 투과형 홀로그램이 이용될 수 있다. 투과형 홀로그램은 다수의 층을 포함하는 실시형태에서 반사형 홀로그램에 비해서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투과층의 적층부는 광학 성능을 증가시키는 데 특히 유용하다. 주지된 바와 같이, 투과층은 집광 필름이 디스플레이의 전방 위에 놓여 있는 실시형태에 대해서 유용할 수 있으므로, 높은 비율의 입사광이 집광 필름을 통해서 해당 집광 필름 아래쪽에 있는 디스플레이로 혹은 해당 디스플레이로부터 통과할 수 있다.Volumetric or surface diffractive elements or holograms can operate in either transmission or reflection mode. Transmissive diffractive elements or holograms generally comprise optically transmissive materials and diffract light passing through them. Reflective diffractive elements and holograms generally comprise a reflective material and diffract light reflected therefrom. In certain embodiments, the volume or surface diffraction element / hologram may be a hybrid of transmission and reflection structures. Diffractive elements / holograms may include rainbow holograms, computer-generated diffractive elements or holograms, or other types of holograms or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In some embodiments (eg, on the back side of the display), it may be desirable for the reflective hologram to be above the transmissive hologram, because a high proportion of incident light is directed to the photovoltaic device (and in some embodiments the light source). This is because the reflective hologram can condense and guide white light better than the transmissive hologram. In these embodiments (eg on the front side of the display), transmissive holograms can be used if higher transparency is desired. Transmissive holograms may be preferred over reflective holograms in embodiments that include multiple layers. In certain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laminate of the transmissive layer is particularly useful for increasing optical performance. As is well known, the transmissive layer can be useful for embodiments where the light collecting film lies on the front of the display, so that a high percentage of incident light can pass through or from the display below the light collecting film. have.

광-방향전환 요소(242)의 하나의 가능한 이점은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된다. 도 13a는 광-방향전환 요소(242)가 투과형 홀로그램을 포함하고 기판(244)의 상부면 상에 배치되어 집광 필름(240)을 형성하는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주변광(246i)의 광선은 입사각 θ1에서 광-방향전환 요소(242)의 상부면 상에 입사된다. 광-방향전환 요소(242)는 입사광선(246)을 방향전환 혹은 회절시킨다. 회절된 광선(246r)은 기판(244)에 입사되므로, 기판(244)에서의 광선(246r)의 전파각이 θTIR보다 큰 θ"1이다. 이와 같이 해서, 광-방향전환 요소(242)의 부재시 기판(244) 내에 횡방향으로 도광되지 않고 집광 필름(240)으로부터 투과되는 광선(246r)은 이제 광-방향전환 요소(242)의 존재 시 집광 필름(240) 내에 집광되어 횡방향으로 도광된다. 광-방향전환 요소(242)는 따라서 집광 필름(240)의 집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역으로, 필름(240)의 가장자리부에서 광원으로부터의 광은 상부면을 향하여 더욱 전환되기 쉽다.One possible advantage of the light-turning element 242 i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3A and 13B. FIG. 13A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light-turning element 242 includes a transmissive hologram and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244 to form a light collecting film 240. Light rays of ambient light 246i are incident on the top surface of light-turning element 242 at incident angle θ 1 . Light redirecting element 242 redirects or diffracts incident light 246. Since diffracted light beam 246r is incident on substrate 244, the propagation angle of light beam 246r on substrate 244 is θ ″ 1 greater than θ TIR . Thus, light-turning element 242 Light 246r transmitted from condensing film 240 without being transversely guided in substrate 244 in the absence of light is now condensed in condensing film 240 in the presence of light-turning element 242 and guided laterally The light-turning element 242 can thus increase the light collecting efficiency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240. Conversely, light from the light source at the edge of the film 240 is more likely to be diverted toward the top surface. .

도 13b는 광-방향전환 요소(242)가 반사형 홀로그램을 포함하고 기판(244)의 하부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실시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광선(248)은 해당 광선(248)의 굴절각도가 θ'1이 되도록 각도 θ1에서 집광 필름(240)의 상부면에 입사된다. 광-방향전환 요소(242)에 충돌할 때 굴절광선(248r)은 기판(244)에 대해서 임계각 θTIR보다 큰 각도 θ"1에서 광선(248b)으로서 광-방향전환 요소(242)에 의해 반사된다. 각도 θ"1은 임계각 θTIR보다 크므로, 광선(248b)은 이어서 다수의 전내부 반사를 통해서 집광 필름(240) 내에 도광된다. 이와 같이 해서, 기판(244)에 의해 도광되지 않은 광선(248i)은 이제 광-방향전환 요소(242)가 존재하기 때문에 집광 필름(240) 내에 도광된다. 역으로, 집광 필름(240)의 가장자리부에서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은 상부면을 향하여 더욱 전환되기 쉽다.13B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light-turning element 242 includes a reflective hologram and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244. The light ray 248 is incid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240 at an angle θ 1 such that the refractive angle of the light ray 248 is θ ′ 1 . When impinging on the light-turning element 242, the refracting ray 248r is reflected by the light-turning element 242 as light beam 248b at an angle θ ″ 1 greater than the critical angle θ TIR relative to the substrate 244. Since angle θ ″ 1 is greater than the critical angle θ TIR , light ray 248b is then guided in condensing film 240 through multiple total internal reflections. In this manner, light rays 248i that are not guided by substrate 244 are guided in condensing film 240 because there is now light-turning element 242. Conversely, light from the light source at the edge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240 is more likely to be diverted toward the upper surface.

도 14는 집광 필름(80)이 반사형 디스플레이(82)용의 능동 화소의 어레이의 전방 표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표시장치(85)의 일 실시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반사형 디스플레이(82)는 능동 MEMS 어레이, 특히, 도 1 내지 도 7e에 대해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어레이 내에 배열된 개별적으로 어드레스가능한 화소를 지닌 능동 간섭계 변조기(IMOD)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반사형 디스플레이(82)는 LCD, DLP 혹은 전기영동 능동 디스플레이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반사형 디스플레이(82)는 집광 필름(80)이 첩부된 전방 표시면을 포함한다. 해당 전방 표시면은 표시 화소들의 어레이(82)를 둘러싸는 스페이서(300) 및/또는 시팅 프릿(seating frit)에 의해 배면판(87)에 접속된다. 상기 어레이(82)는 기판(20), 정지(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부(16), 및 지지부(18)에 의해 기판(20)에 접속된 이동식 전극 혹은 미러(14)를 포함한다. 예시의 목적을 위해, 도 14 및 도 15에 있어서의 IMOD 어레이는 단일 IMOD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다.FIG. 14 illustrates one embodiment of a display device 85 in which a light collecting film 80 is disposed on a front display surface of an array of active pixels for a reflective display 82.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reflective display 82 includes an active MEMS array, in particular an active interferometric modulator (IMOD) with individually addressable pixels arranged in the array,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IGS. 1-7E. Include. In other embodiments, reflective display 82 may include LCD, DLP or electrophoretic active display technology. The reflective display 82 shown in FIG. 14 includes a front display surface to which the light collecting film 80 is attached. The front display surface is connected to the back plate 87 by a spacer 300 and / or a seating frit surrounding the array 82 of display pixels. The array 82 includes a substrate 20, an optical stack 16 including a stationary (transparent) electrode, and a movable electrode or mirror 14 connected to the substrate 20 by a support 18. .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the IMOD array in FIGS. 14 and 15 is schematically represented by a single IMOD.

도 14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방 집광 필름(80)은 전방 집광 필름면(80a)과 후방 집광 필름면(80b) 및 적어도 1개의 가장자리부(88)를 구비한다. 광기전력 소자(86)는 집광 필름(80)의 가장자리부(88) 상에 배치되고, 광원(90)은 광기전력 소자(86) 혹은 다른 가장자리부 위치에 이웃하여 위치되어 있다. 전방 집광 필름면(80a)은 주변광(95)을 수광한다. 집광 필름(80)의 광-방향전환 구성부(94)들은 주변광(95)을 수광하여 광기전력 소자(86)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집광 필름(80)의 가장자리부(88) 쪽으로 향하게 한다. 광원(90)은, 충분한 주변광(95)의 부재 시 디스플레이(82)를 조명하거나 혹은 주변광(95)과 함께 반사형 디스플레이(82)를 밝게 하기 위하여 반사형 디스플레이(82) 쪽으로 광-방향전환 구성부(94)들에 의해 광을 향하게 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원(90)은 생략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14, the front condensing film 80 includes a front condensing film surface 80a, a rear condensing film surface 80b, and at least one edge portion 88. The photovoltaic element 86 is disposed on the edge 88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80, and the light source 90 is located adjacent to the photovoltaic element 86 or other edge position. The front condensing film surface 80a receives ambient light 95. The light-turning features 94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80 are directed towards the edge 88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80 to receive ambient light 95 and convert it into electrical energy by the photovoltaic device 86. To face. The light source 90 is directed toward the reflective display 82 to illuminate the display 82 in the absence of sufficient ambient light 95 or to brighten the reflective display 82 with the ambient light 95. The diverting features 94 can direct light. In some embodiments, the light source 90 can be omitted.

도 15는 마찬가지 요소가 마찬가지 참조 번호로 표시되어 있는 반사형 표시장치(85)의 다른 실시형태를 예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전방 집광 필름면(84a)과 후방 집광 필름면(84b)을 구비한 집광 필름(84)이 디스플레이(82)용의 능동 화소의 어레이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주변광(95)은 후방 집광 필름(84)의 전방 집광 필름면(84a)에 의해 수광되도록 디스플레이(82)의 활성 영역들 사이에 지지부(18) 혹은 다른 투명한 비활성 영역을 통해 통과한다. 집광 필름(84)의 광-방향전환 구성부(94)들은 광기전력 소자(86)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도록 집광 필름(84)의 가장자리부(88) 쪽으로 광(95)을 향하게 한다.FIG. 15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a reflective display device 85 in which like elemen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numerals, wherein the light collecting film has a front light collecting film surface 84a and a back light collecting film surface 84b. An 84 is disposed behind the array of active pixels for the display 82. The ambient light 95 passes through the support 18 or other transparent inactive area between the active areas of the display 82 to be received by the front light collecting film face 84a of the back light collecting film 84. The light-turning features 94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84 direct light 95 towards the edge 88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84 to be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by the photovoltaic device 86.

도 16은 반사형 디스플레이(82)용의 표시 화소(161)들의 어레이의 평면도를 예시하고 있다. 표시 화소(161)는 행(162) 및 열(163)로 배열되어 있다. 행(162)과 열(163) 사이의 영역 혹은 비활성 영역은 지지부(18) 및 간극(164)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지지부(18) 및 간극(164) 등의 비활성 영역은, 이들 영역으로부터의 반사를 최소화하고, 표시 화소(161)들의 콘트라스트 비를 최소화하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블랙 마스크로 마스킹되어 있다. 표시 화소(161)들이 반사형인 본 발명의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은 반사형 디스플레이(82)의 행(162) 및 열(163) 사이의 기둥부(18) 및 간극(164)을 통해서 후방 집광 필름(84)으로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광-방향전환 구성부들은, 디스플레이(82)의 전방 측 혹은 후방 측에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광의 집광 혹은 조명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비활성 영역과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블랙 마스크는, 전형적으로 블랙 마스크에 의해 흡수되는 광이 대신에 집광 필름(80, 84)의 가장자리부 상의 광기전력 소자(86)로 분로됨에 따라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이들 영역으로부터의 반사 및 콘트라스트의 손실은 저감되는 한편, 이들 영역에 수광된 광은 전력을 발전시키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블랙 마스크 재료, 블랙 마스크 증착 및 패터닝 스텝을 제거함으로써, 표시장치(85)를 제조하는 전반적인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집광 필름(84)이 후방 측 상에 있는 경우(도 15), 광의 투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개구부(165)가 행들 혹은 열들 사이의 간극(164)에 전극 스트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행방향 전극(162)이 투명한 IMOD 예를 예시하고 있기 때문에, 단지 반사형 열방향 전극(163)만이 해당 열방향 전극(163)이 행(162)들 사이의 간극(164)을 교차하는 위치에서 개구부(165)를 지닐 필요가 있다. 도 16의 열방향 전극(163)은 도 14 및 도 15의 이동식 전극 혹은 미러(14)에 대응하는 한편, 도 16의 행방향 전극(162)은 도 14 및 도 15의 광학 적층부(16)(정지 투명 전극을 내포함)에 대응한다.16 illustrates a top view of an array of display pixels 161 for reflective display 82. The display pixels 161 are arranged in rows 162 and columns 163. The area or inactive area between row 162 and column 163 includes support 18 and gap 164. Typically, inactive regions such as support 18 and gap 164 are masked with a black mask to minimize reflections from these regions, minimize the contrast ratio of display pixels 161, and improve performance. have. In som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in which the display pixels 161 are reflective, light passes rearward through the pillars 18 and the gaps 164 between the rows 162 and columns 163 of the reflective display 82. Can pass through the light collecting film 84. The light-turning features may be aligned with the inactive area to minimize light collection or illumination, depending on whether it is on the front side or the back side of the display 82. Thus, the black mask can typically be removed as the light absorbed by the black mask is instead diverted to the photovoltaic device 86 on the edges of the light collecting films 80, 84. In this way, loss of reflection and contrast from these areas is reduced, while light received in these areas can be used to generate power. By eliminating the black mask material, black mask deposition and patterning steps, the overall cost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85 can be reduced. When the light collecting film 84 is on the back side (FIG. 15), openings 165 may be formed as electrode strips in the gaps 164 between rows or columns to increase transmission of light. 16 illustrates an IMOD example where the row electrodes 162 are transparent, so only the reflective column electrodes 163 fill the gap 164 between the rows 162 with the column electrodes 163. It is necessary to have the opening 165 at the crossing position. The column electrode 163 of FIG. 16 corresponds to the movable electrode or mirror 14 of FIGS. 14 and 15, while the row electrode 162 of FIG. 16 is the optical stack 16 of FIGS. 14 and 15. (With a stop transparent electrode included).

도 17a는, 일부의 광이 디스플레이(82')를 통과하고 일부의 광이 능동적으로 변화하는 화상으로 디스플레이(82')의 화소로부터 반사되는 반투과반사형 디스플레이(82')를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시 화소들의 활성 어레이를 통과하는 가시광의 비율은 약 5% 내지 약 50%의 범위이다. 도 17에 예시된 디스플레이(82')는 기판(170), 흡수체층(171), 광학 공명 공동부(optical resonant cavity)(172), 부분 반사체층(이하 간단히 "반사체층"이라고 칭함)(173) 및 광원(174)을 포함하는 단일의 IMOD에 의해 도면에 도시된 투명 간섭계 변조기(IMOD)들의 어레이이다. 기판(17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학적으로 투명하다. 흡수체층(171)은 기판(170) 밑에 위치결정되어 있고, 흡수체층(171)은 부분적으로 광학적으로 투과성이다. 부분 반사체층(173)은 기판(170) 밑에 위치결정되고, 흡수체층(171)으로부터 이간되어 있으며, 해당 흡수체층(171)은 기판(170)과 부분 반사체층(173)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부분 반사체층(173)은 상기 IMOD 설명에 따라 광학 공동부(172)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반사체층(173)은 또한 부분적으로 반사성이고 부분적으로 투과성이다. 광원(174)은 흡수체층(171)과 반사체층(173)이 기판(170)과 광원(174) 사이에 위치되도록 해당 기판(170)에 대해서 위치결정되어 있다.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배면판은 부분 반사체층(173)과 백라이트(174) 사이에 위치결정될 수 있다.FIG. 17A schematically illustrates a transflective display 82 ′ in which some light passes through the display 82 ′ and some light is actively reflected from the pixels of the display 82 ′ and have. In certain embodiments, the proportion of visible light passing through the active array of display pixels ranges from about 5% to about 50%. The display 82 ′ illustrated in FIG. 17 includes a substrate 170, an absorber layer 171, an optical resonant cavity 172, a partial reflector layer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reflector layer”) 173. ) And an array of transparent interferometric modulators (IMODs) shown in the figure by a single IMOD comprising a light source 174. Substrate 170 is at least partially optically transparent. The absorber layer 171 is positioned under the substrate 170, and the absorber layer 171 is partially optically transmissive. The partial reflector layer 173 is positioned below the substrate 17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absorber layer 171, and the absorber layer 171 is located between the substrate 170 and the partial reflector layer 173. The partial reflector layer 173 can move in the optical cavity 172 in accordance with the IMOD description above. The reflector layer 173 is also partially reflective and partially transmissive. The light source 174 is positioned relative to the substrate 170 such that the absorber layer 171 and the reflector layer 173 are positioned between the substrate 170 and the light source 174. Although not shown, the backplate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partial reflector layer 173 and the backlight 174.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방향(175)에서 디스플레이(82')로부터 방출된 광은 제1부분의 광, 제2부분의 광 및 제3부분의 광을 포함한다. 제1부분의 광은 기판(170)에 입사되어 해당 기판(170)을 투과하고, 흡수체층(171)을 투과하여 반사체층(173)에 의해 반사되고, 흡수체층(171)을 투과하여 기판(170)을 투과해서 제1방향(175)에서 해당 기판(170)으로부터 방출된다. 제2부분의 광은 기판(170)에 입사되어 해당 기판(170)을 투과하고, 흡수체층(171)에 의해 반사되고, 기판(170)을 투과해서 제1방향(175)에서 해당 기판(170)으로부터 방출된다. 제3부분의 광은 광원(174)으로부터, 반사체층(173)에 입사되어, 반사체층(173)을 투과하고, 흡수체층(171)을 투과하여 기판(170)을 투과해서 제1방향(175)에서 해당 기판(170)으로부터 방출된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82 'in the first direction 175 includes light in the first portion, light in the second portion and light in the third portion. The light of the first portion is incident on the substrate 170 to pass through the substrate 170, passes through the absorber layer 171, is reflected by the reflector layer 173, and passes through the absorber layer 171 to transmit the substrate ( It passes through 170 and is emitted from the substrate 170 in the first direction 175. The light of the second portion is incident on the substrate 170 to transmit the substrate 170, is reflected by the absorber layer 171, and passes through the substrate 170 to transmit the substrate 170 in the first direction 175. ) Is released. The light of the third portion is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174 to the reflector layer 173, passes through the reflector layer 173, passes through the absorber layer 171, passes through the substrate 170, and then passes through the first direction 175. Is emitted from the substrate 170.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판(170)은 유리 혹은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수체층(171)은 크롬을 포함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반사체층(173)은 금속층(예컨대, 300Å 이하의 두께를 지닌 알루미늄층)을 포함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서 반사체층(173)의 투과율은 해당 반사체층(173)의 두께에 의존한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substrate 170 comprises a glass or plastic material. In certain embodiments, the absorber layer 171 comprises chromium. In certain embodiments, the reflector layer 173 comprises a metal layer (eg, an aluminum layer having a thickness of 300 kPa or less). In certain embodiments, the transmittance of the reflector layer 173 depends on the thickness of the reflector layer 173.

예시된 반투과반사형 IMOD를 위해서, 흡수체층(171)과 반사체층(173) 중 적어도 한쪽은, 두 광학 상태가 간섭계측의 원리를 선택적으로 이용해서 생성되도록 흡수체층(171)과 반사체층(173)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시장치(85)는 표시 시스템의 작동가능한 요소(예컨대, 화소 혹은 부화소)를 포함한다.For the illustrated transflective IMOD, at least one of the absorber layer 171 and the reflector layer 173 may include an absorber layer 171 and a reflector layer such that two optical states are generated by selectively using the principle of interferometry. It is selectively movable to change the spacing between 173). In certain embodiments, display device 85 includes an operable element (eg, pixel or subpixel) of a display system.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부분의 광과 제2부분의 광은, 도 1 내지 도 7e에 대해서 설명된 정상의 IMOD 동작에 따라서, 제1색을 지닌 광을 생성하도록 간섭한다. 제1색은 광학 공동부의 크기에 의존하며, 이것은 적어도 두 상태 사이에서 변경될 수 있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light of the first portion and the light of the second portion interfere to produce light having a first color, in accordance with normal IMOD operation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S. 1-7E. The first color depends on the size of the optical cavity, which can be changed between at least two states.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원(174)은 제1부분의 광과 제2부분의 광의 간섭계측적 합계의 색을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광원(174)은 온 상태로 전환되어 상이한 색을 생성하는 제3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이한 색은 주변광이 부재 시 생성될 수 있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light source 174 can selectively change the color of the interferometric sum of the light of the first portion and the light of the second portion. The light source 174 may be turned on to form a third state that produces a different color. However, different colors can be produced in the absence of ambient light.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시장치(85)는 제1방향(175)과 해당 제1방향과 대체로 반대쪽인 제2방향(176)의 양쪽으로부터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소정의 실시형태의 표시장치(85)는 해당 표시장치(85)의 제1측면 상의 제1위치로부터 그리고 표시장치(85)의 제2측면 상의 제2위치로부터 볼 수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방향(176)에서 표시장치(85)로부터 방출된 광은 제4부분의 광, 제5부분의 광 및 제6부분의 광을 포함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서 제4부분의 광은 기판(170)에 입사되어 해당 기판(170)을 투과하고, 흡수체층(171)을 투과하여 반사체층(173)에 의해 반사되어 제2방향(176)에서 표시장치(85)로부터 방출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서 제5부분의 광은 반사체층(173)에 입사되어, 반사체층(173)을 투과해서, 흡수체층(171)으로부터 반사되고, 반사체층(173)을 투과해서 표시장치(85)로부터 방출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서 제6부분의 광은 반사체층(173)에 입사되고, 반사체층(173)으로부터 반사되어 제2방향(176)에서 표시장치(85)로부터 방출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5부분의 광은 광원(174)에 의해 방출된 광을 포함하고, 제6부분의 광은 광원(174)에 의해 방출된 광을 포함한다. 전방 측에서, 추가의 색 상태는, 백라이트(174)가 온상태인지 오프상태인지의 여부 그리고 주변광이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후방 혹은 제2방향(176)으로부터 볼 수 있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display device 85 can be viewed from both the first direction 175 and the second direction 176 generally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85 of this certain embodiment can be seen from a first position on the first side of the display device 85 and from a second position on the second side of the display device 85. In certain embodimen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device 85 in the second direction 176 includes light of the fourth portion, light of the fifth portion, and light of the sixth portion. In certain embodiments, the light of the fourth portion is incident on the substrate 170 to pass through the substrate 170, passes through the absorber layer 171, and is reflected by the reflector layer 173 to be reflected in the second direction 176. Is emitted from the display device 85. In certain embodiments, the light of the fifth portion is incident on the reflector layer 173, passes through the reflector layer 173, is reflected from the absorber layer 171, and passes through the reflector layer 173 to display the display device 85. ) Is released. In certain embodiments, the light of the sixth portion is incident on the reflector layer 173, is reflected from the reflector layer 173, and is emitted from the display device 85 in the second direction 176. In certain embodiments, the light of the fifth portion includes light emitted by the light source 174 and the light of the sixth portion includes light emitted by the light source 174. On the front side, additional color states can be viewed from the rear or second direction 176, depending on whether the backlight 174 is on or off and whether ambient light is present.

도 17b를 참조하면, 도 17a의 백라이트는 광원(90)으로부터 수광되고(예컨대, 집광 필름(84)의 가장자리부(88)를 따라 주입됨), 집광 필름(84)을 따라 광을 도광하며, 반투과반사형 디스플레이(82')의 화소를 향해 광을 향하게 하여 방출시킴으로써 후방 측 조명을 제공하는 후방 집광 필름(84)으로 대체될 수 있다. 집광 필름(84)은 디스플레이(82')의 전방 면을 향하여 후방 집광 필름(84)의 전방 면(84a)을 가로질러 균일하게 방출되도록 집광 필름(84) 내에 광의 전파를 붕괴시키는 집광 필름(84) 내 혹은 해당 집광 필름(84) 상에 위치된 방향전환 구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의 색 상태는 반투과반사형 IMOD 디스플레이(82')의 전방 측 상에 있는 전방 집광/조명 막(80)과 함께 광원(90)으로부터의 전방 조명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광기전력 소자(86)는 전방 측 혹은 후방 측 집광 필름(80, 84) 상에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B, the backlight of FIG. 17A is received from the light source 90 (eg, injected along the edge 88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84), and guides light along the light collecting film 84, It can be replaced by a back collecting film 84 that provides back side illumination by emitting light towards the pixels of the transflective display 82 '. Condensing film 84 disrupts propagation of light within condensing film 84 such that it is uniformly emitted across the front face 84a of rear condensing film 84 towards the front face of display 82 '. ) Or redirecting features located on or on the light collecting film 84. In addition, additional color states may be created by front illumination from light source 90 with front condensing / lighting film 80 on the front side of transflective IMOD display 82 '. The photovoltaic element 86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r rear side light collecting films 80 and 84.

도 18은 발광형 디스플레이(82")의 전방 표시면(82a) 위에 배치된 전방 집광 필름(80)을 구비한 표시장치(85)의 일 실시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디스플레이(82")의 화소는 LCD, LED, OLED, FED 기술 등과 같이 발광형이거나, 디스플레이(82")는 백라이트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시 화소는 일부의 광이 디스플레이(82")의 능동 화소 영역을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도 17a 또는 도 17b의 백릿 IMOD들과 같은 반투과반사형이다.18 illustrates one embodiment of a display device 85 having a front condensing film 80 disposed on a front display surface 82a of a light emitting display 82 ″. Pixels of the display 82 ″ May be emissive, such as LCD, LED, OLED, FED technology, etc., or the display 82 "includes a backlight. In some embodiments, the display pixel is such that some light passes through an active pixel region of the display 82". Semi-reflective, such as the backlit IMODs of FIG. 17A or FIG.

주변광(95)은 전방 집광 필름(80)의 전방 집광 필름면(80a)에 의해 수광되어 광-방향전환 구성부(94)들을 거쳐서 집광 필름(80)의 가장자리부(88)로 향하여 광기전력 소자(86)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된다. 발광형 디스플레이(82")로부터 방출된 광은 전방 집광 필름(80)의 후방 집광 필름면(80b)에 의해 수광된다. 광-방향전환 구성부(94)들은 집광 필름(80)의 가장자리부(88) 쪽으로 광을 향하게 해서 광기전력 소자(86)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킨다. 발광형 디스플레이(82")로부터의 광은 방향전환 구성부(94)들 사이를 통과하는 광을 방출하여 표시장치(85)를 조명할 수 있다.The ambient light 95 is received by the front condensing film surface 80a of the front condensing film 80 and passes through the light-turning features 94 to the edge 88 of the condensing film 80. The element 86 is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Light emitted from the emissive display 82 "is received by the rear condensing film surface 80b of the front condensing film 80. The light-turning features 94 are formed at the edges of the condensing film 80; The light is directed toward 88 and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by photovoltaic element 86. Light from emissive display 82 " 85 may be illuminated.

도 19는 후방 집광 필름(84)이 발광형 디스플레이(82") 밑에 위치된 표시장치(85)의 일 실시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후방 집광 필름(84)은, 광원(90)에 결합되어, 도 17b의 반투과반사형 IMOD(82')와 마찬가지로, 수광 유닛과 백라이트의 양쪽 모두로서 기능한다. 도 19의 백라이트를 내장한 발광형 디스플레이(82")는, 백릿 LCD 등과 같이, 임의의 백릿 능동형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19 illustrates one embodiment of a display device 85 in which a back light collecting film 84 is positioned below a light emitting display 82 ". As illustrated, the back light collecting film 84 is a light source 90. And functions as both a light receiving unit and a backlight, similarly to the transflective IMOD 82 'of Fig. 17B. A light emitting display 82 " Likewise, any backlit active display technology can be used.

도 1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변광(95)은 디스플레이(82")를 통과해서 후방 집광 필름(84)의 전방 집광 필름면(84a)으로부터 광-방향전환 구성부(94)들을 개재해서 후방 집광 필름(84)의 가장자리부(88)로 향하여, 광기전력 소자(86)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된다. 광원(90)은 후방 집광 필름(84)의 가장자리부(88) 상에 배치되어 광을 방출하고, 이 광은 표시장치(85)를 조명하기 위하여 광-방향전환 구성부(94)들을 기재해서 디스플레이(82") 쪽으로 향한다.As can be seen in FIG. 19, the ambient light 95 passes through the display 82 ″ through the light-turning features 94 from the front light collecting film face 84a of the back light collecting film 84. It is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by the photovoltaic element 86 toward the edge 88 of the back light collecting film 84. The light source 90 is disposed on the edge 88 of the back light collecting film 84 The light emits light, which is directed towards the display 82 ″ describing the light-turning features 94 to illuminate the display 85.

도 20은 발광형 디스플레이(82")와 해당 발광형 디스플레이(82")용의 후방광(174) 사이에 배치된 후방 집광 필름(84)을 예시하고 있다. 주변광(95)은 디스플레이(82")를 통과해서 후방 집광 필름(84)의 전방 집광 필름면(84a)에 의해 수광되어, 광-방향전환 구성부(94)들을 개재해서 후방 집광 필름(84)의 가장자리부(88)로 향하여, 광기전력 소자(86)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된다. 후방광(174)은 광을 방출하고, 해당 광은 후방 집광 필름(84)의 후방 집광 필름면(84b)에 의해 수광되어, 광-방향전환 구성부(94)들에 의해 후방 집광 필름(84)의 가장자리부(88)로 또한 향하여 광기전력 소자(86)에 의해(또는 상이한 가장자리부 상의 상이한 PV 소자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된다. 후방광(174)은 또한 디스플레이(82")를 통해 광을 향하게 하여 표시장치(85)를 조명한다. 발광형 디스플레이(82")와 후방광(174) 사이에 집광 필름(84)을 배치하고 광-방향전환 구성부들을 표시장치(85)의 비활성 영역과 정렬시키는 것은, 주변광(95)으로서 표시 화소(161)들 상의 블랙 마스크를 대체할 수 있고, 방출된 광은 집광 필름(84)의 가장자리부에서 광기전력 소자(86)로 분로되어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어서, 비활성 영역으로부터 관찰자에 대해서 반사 혹은 투과되는 광을 저감시킨다. 색 바램을 저감시키는(즉, 능동 화소에 대한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키는) 블랙 마스크의 기능은 전력을 발생하는 한편 집광 필름에 의해 부응될 수 있고, 블랙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블랙 마스크의 제거는 전반적인 처리 비용 및 제조 시간을 저감시킬 수 있다.20 illustrates a back condensing film 84 disposed between a light emitting display 82 "and a back light 174 for the light emitting display 82". Ambient light 95 passes through display 82 "and is received by front condensing film surface 84a of back condensing film 84, through back-converging features 94, back condensing film 84 Toward the edge 88, is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by the photovoltaic element 86. The back light 174 emits light, and the light is back-collecting film surface of the back light collecting film 84 ( 84b), by the photo-turning features 94, also towards the edge 88 of the back light collecting film 84 by the photovoltaic element 86 (or on different PV on different edges). Element) into electrical energy. The back light 174 also illuminates the display 85 by directing light through the display 82 ". Placing the condensing film 84 between the emissive display 82 "and the back light 174 and aligning the light-turning features with the inactive area of the display 85 is indicated as ambient light 95. It can replace the black mask on the pixels 161, and the emitted light is split into photovoltaic elements 86 at the edges of the condensing film 84 and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thereby reflecting or reflecting from the inactive region to the viewer. Reduce the transmitted light The function of the black mask to reduce color fading (i.e. increase the contrast for the active pixel) can be met by the light collecting film while generating power and forming the black mask As described above, removal of the black mask can reduce overall processing cost and manufacturing time.

도 21은 반사형 디스플레이(82) 위쪽에 배치된 전방 집광 필름(80)을 구비한 실시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방 집광 필름(80)은 도 11c의 것들과 같이, 비대칭 광-방향전환 구성부(108)들을 포함한다. 주변광(95)은 전방 집광 필름(80)의 전방 집광 필름면(80a)에 의해 수광되어 광-방향전환 구성부(108)들을 개재해서 집광 필름(80)의 하나의 가장자리부(88) 쪽으로 향하여, 광기전력 소자(86)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된다. 광원(90)은 전방 집광 필름(80)의 반대쪽 다른 가장자리부에 위치결정되어, 광을 방출하고, 해당 광은 표시장치(85)를 조명하기 위하여 광변환 구성부(108)들에 의해서 디스플레이(82) 쪽으로 향한다.FIG. 21 illustrates an embodiment with a front condensing film 80 disposed above reflective display 82. As illustrated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condensing film 80 includes asymmetric light-turning features 108, such as those of FIG. 11C. Ambient light 95 is received by front condensing film surface 80a of front condensing film 80 toward one edge 88 of condensing film 80 via light-turning features 108. Towards the surface, the photovoltaic element 86 is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The light source 90 is positioned at the other opposite edge of the front condensing film 80 to emit light, which light is displayed by the light conversion features 108 to illuminate the display 85. 82).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수개의 실시형태를 개시하고 있지만, 본 개시 내용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개시된 구체적인 형태 및 동작은 전술한 것들과 상이할 수 있고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은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작 이외의 다른 맥락에도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While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discloses sever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disclosure is exemplary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he specific forms and operations disclosed may differ from those described above and that the methods described herein may be used in other contexts than the fabrication of semiconductor devices.

14: 이동식 전극 혹은 미러 16: 광학 적층부
18: 지지부 혹은 기둥부 20: 기판
80: 집광 필름 80a: 전방 집광 필름면
80b: 후방 집광 필름면 87: 배면판
86: 광기전력 소자 88: 가장자리부
300: 스페이서 90: 광원
94: 광-방향전환 구성부 95: 주변광
14: movable electrode or mirror 16: optical stack
18: support or column 20: substrate
80: condensing film 80a: front condensing film surface
80b: rear condensing film surface 87: back plate
86: photovoltaic device 88: edge
300: spacer 90: light source
94: light-turning structure 95: ambient light

Claims (44)

관찰자와 대면하는 전방(front) 표시면과, 후방(back) 표시면을 지닌 표시 화소들의 활성 어레이;
전방 집광 필름면, 후방 집광 필름면, 적어도 1개의 가장자리부(edge) 및 복수개의 광-방향전환 구성부들(light-turning features)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전방 표시면 혹은 후방 표시면 중 한쪽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집광 필름(collection film); 및
상기 집광 필름의 가장자리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광-방향전환 구성부들로부터 상기 집광 필름면을 통해 횡방향으로 투과되는 광을 입수하도록 배향된 광기전력 소자(photovoltaic device)를 포함하되,
상기 광-방향전환 구성부들은 상기 전방 혹은 후방 집광 필름면과 상기 집광 필름의 가장자리부 사이에서 광을 방향변화(redirect)시키도록 구성된 것인 표시장치(display device).
An active array of display pixels having a front display surface facing the viewer and a back display surface;
A front condensing film surface, a rear condensing film surface, at least one edge and a plurality of light-turning features, respectively, each of which is adjacent to either the front display surface or the rear display surface. At least one collection film; And
A photovoltaic device disposed on an edge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and oriented to receive light transversely transmitted through the light collecting film surface from the light-turning features;
And the light-turning features are configured to redirect light between the front or rear light collecting film surface and an edge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 필름의 가장자리부 상에 배치된 광원을 추가로 포함하는 표시장치.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ight source disposed on an edge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것인 표시장치.The display device of claim 2, wherein the light source comprises a light-emitting diode (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광기전력 소자와 동일한 가장자리부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표시장치.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light source is disposed on the same edge as the photovoltaic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광기전력 소자와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표시장치.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light source is disposed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photovoltaic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 필름은 약 0.5㎜ 내지 10㎜의 두께를 지닌 박막을 포함하는 것인 표시장치.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light collecting film comprises a thin film having a thickness of about 0.5 mm to 10 mm. 제1항에 있어서, 적층 구조로 배치된 복수개의 집광 필름을 추가로 포함하되, 각 집광 필름은 전방 집광 필름면, 후방 집광 필름면, 적어도 1개의 가장자리부 및 복수개의 광-방향전환 구성부들을 구비하고, 상기 광-방향전환 구성부들은 상기 전방 혹은 후방 집광 필름면과 상기 집광 필름의 가장자리부 사이에서 광을 방향변화시키도록 구성된 것인 표시장치.10.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light collecting films disposed in a laminated structure, wherein each light collecting film includes a front light collecting film surface, a back light collecting film surface, at least one edge portion, and a plurality of light-turning features. And the light-turning features are configured to redirect light between the front or rear light collecting film surface and an edge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 필름의 상기 광-방향전환 구성부들은 프리즘 구성부들(prismatic features)를 포함하는 것인 표시장치.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light-turning features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comprise prismatic featur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 구성부들은 대칭인 것인 표시장치.The display device of claim 8, wherein the prismatic features are symmetric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 구성부들은 비대칭인 것인 표시장치.The display device of claim 8, wherein the prismatic features are asymmetric.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 구성부는 슬릿(slit)을 포함하는 것인 표시장치.The display device of claim 10, wherein the prism component comprises a sli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기전력 소자와 광원은 상기 집광 필름의 대향하는 가장자리부들 상에 배치되고, 상기 집광 필름의 비대칭 프리즘 구성부들은 주변광을 상기 전방 집광 필름면으로부터 상기 광기전력 소자로 향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상기 후방 집광 필름면으로 향하도록 구성된 것인 표시장치.The photovoltaic device of claim 10, wherein the photovoltaic device and the light source are disposed on opposing edges of the light converging film, wherein the asymmetric prism components of the light converging film direct ambient light from the front light condensing film surface to the photovoltaic device. And direc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oward the back light collecting film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방향전환 구성부는 회절성 구성부(diffractive feature)를 포함하는 것인 표시장치.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light-turning feature comprises a diffractive fea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방향전환 구성부는 홀로그래픽 구성부(holographic feature)를 포함하는 것인 표시장치.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light-turning feature comprises a holographic fea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소의 활성 어레이의 화소들은 반사형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하는 것인 표시장치.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pixels of the active array of display pixels use reflective display technology.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소의 활성 어레이의 화소들은 마이크로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소자들을 내포하는 것인 표시장치.The display device of claim 15, wherein the pixels of the active array of display pixels contain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element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MEMS 소자는 간섭계 변조기(IMOD: interferometric modulator)인 것인 표시장치.The display device of claim 16, wherein the MEMS element is an interferometric modulator (IMO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소들의 활성 어레이의 화소들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소자들을 내포하는 것인 표시장치.16. The display device of claim 15, wherein the pixels of the active array of display pixels contain liquid crystal display (LCD) element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 필름은 상기 표시 화소들의 활성 어레이의 전방 표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표시장치.The display device of claim 15, wherein the light collecting film is disposed on a front display surface of the active array of display pixel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 필름은 상기 표시 화소들의 활성 어레이의 후방 표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표시장치.The display device of claim 15, wherein the light collecting film is disposed on a rear display surface of the active array of display pixels.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소들의 활성 어레이의 전방 표시면 상에는 제2집광 필름이 배치되어 있는 것인 표시장치.The display device of claim 20, wherein a second light collecting film is disposed on a front display surface of the active array of display pixels. 제20항에 있어서, 주변광이 상기 어레이의 활성 표시 영역들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 영역을 통과할 수 있는 것인 표시장치.21. The display device of claim 20, wherein ambient light can pass through at least one inactive area between active display areas of the array.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소들의 활성 어레이의 화소들은 반투과반사형(transflective)이고, 상기 주변광의 일부는 상기 활성 화소 영역들을 통과해서 상기 집광 필름에 도달하는 것인 표시장치.The display device of claim 22, wherein the pixels of the active array of display pixels are transflective and a portion of the ambient light passes through the active pixel regions to reach the light collecting film.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영역은 화소들 사이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표시장치.The display device of claim 22, wherein the inactive area comprises an area between pixels. 제22항에 있어서, 가시광의 약 5% 내지 약 50%의 비율이 상기 표시 화소들의 활성 어레이를 통해 통과될 수 있는 것인 표시장치.The display device of claim 22, wherein a ratio of about 5% to about 50% of visible light can pass through the active array of display pixe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소들의 활성 어레이의 화소들은 발광형(emissive)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하는 것인 표시장치.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pixels of the active array of display pixels use an emissive display technology.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소들의 활성 어레이의 화소들은 LED, OLED, FED 및 백릿 반사형(backlit reflective) 기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하는 것인 표시장치.27. The display device of claim 26, wherein the pixels of the active array of display pixels utilize a display technolog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ED, OLED, FED and backlit reflective technologies.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소들의 활성 어레이의 화소들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소자들을 내포하는 것인 표시장치.28. The display device of claim 27, wherein the pixels of the active array of display pixels contai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elements.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소들의 활성 어레이의 화소들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소자들을 내포하는 것인 표시장치.27. The display device of claim 26, wherein the pixels of the active array of display pixels contain liquid crystal display (LCD) elements.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 필름은 상기 표시 화소들의 활성 어레이의 전방 표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표시장치.27. The display device of claim 26, wherein the light collecting film is disposed on a front display surface of the active array of display pixels.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 필름은 상기 표시 화소들의 활성 어레이의 후방 표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표시장치.27. The display device of claim 26, wherein the light collecting film is disposed on a rear display surface of the active array of display pixels.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소들의 활성 어레이의 전방 표시면 상에 제2집광 필름이 배치되어 있는 것인 표시장치.32. The display device of claim 31, wherein a second light collecting film is disposed on a front display surface of the active array of display pixels. 표시 화소들의 어레이;
상기 표시 화소들의 어레이 다음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집광 필름;
상기 집광 필름의 제1가장자리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광기전력 소자; 및
제2가장자리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되,
상기 집광 필름은 복수개의 광-방향전환 구성부들을 구비하고, 해당 광-방향전환 구성부들은 전방 혹은 후방 집광 필름면과 상기 집광 필름의 가장자리부들 사이에서 광을 방향변화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광기전력 소자는 상기 광-방향전환 구성부들로부터 상기 집광 필름면을 통해 횡방향으로 투과되는 광을 입수하도록 배향되고,
상기 광원은 상기 표시 화소들의 어레이를 향해서 상기 광-방향전환 구성부들에 의해 방향전환되도록 상기 집광 필름을 통해 횡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는 것인 표시장치.
An array of display pixels;
At least one light collecting film disposed after the array of display pixels;
At least one photovoltaic element disposed at a first edge portion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And
At least one light source disposed in the second edge portion,
The light collecting film has a plurality of light-turning features, the light-turning features being configured to redirect light between the front or rear light-collecting film surface and the edges of the light-collecting film,
The photovoltaic device is oriented to receive light transmitted transversely through the light converging film surface from the light-turning features;
And the light source emits light transversely through the light collecting film to be redirected by the light-turning features toward the array of display pixels.
화상을 표시하고 변경하는 화상 표시수단;
광 에너지를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광 에너지 변환수단; 및
상기 화상 표시수단 상에 입사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광 에너지 변환수단을 향하여 표시면을 따른 횡방향으로 광을 방향전환시키는 광-방향전환 수단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Image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nd changing an image;
Optical energy conversion means for converting optical energy into other forms of energy; And
And light-direction switching means for redirecting ligh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display surface from the direction incident on the image display means toward the light energy conversion means.
제34항에 있어서, 광을 방출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표시장치.35. The display device of claim 34, further comprising means for emitting light.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수단은 전방 표시면, 후방 표시면 및 적어도 1개의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표시 화소들의 활성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인 표시장치.35.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34, wherein the image display means includes an active array of display pixels including a front display surface, a rear display surface and at least one edge portion.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광 에너지 변환수단은 광기전력 소자를 포함하는 것인 표시장치.35.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34, wherein the optical energy conversion means includes a photovoltaic element.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광-방향전환 수단은 전방 집광 필름면, 후방 집광 필름면 및 복수개의 광-방향전환 구성부들을 구비한 집광 필름을 포함하되, 상기 광-방향전환 구성부들은 상기 전방 혹은 후방 집광 필름면과 상기 집광 필름의 가장자리부 사이에서 광을 방향변화시키도록 구성된 것인 표시장치.35. The apparatus of claim 34, wherein the light-directing means comprises a light collecting film having a front light collecting film surface, a back light collecting film surface and a plurality of light-turning features, the light-turning features being the front Or redirect the light between the rear light collecting film surface and an edge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화상 영역에서 화상을 능동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화상 영역으로부터 광을 집광하는 단계;
상기 화상 영역으로부터 해당 화상 영역의 적어도 1개의 가장자리부로 광을 방향전환시키는 단계; 및
광을 전류로 변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집광 및 화상 표시 방법.
Actively displaying an image in an image area;
Focusing light from the image area;
Redirecting light from the image area to at least one edge of the image area; And
And converting light into electric current.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영역의 가장자리부로부터 광을 방출하여 해당 광을 상기 화상 영역으로 방향전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집광 및 화상 표시 방법.40. The method of claim 39, further comprising emitting light from an edge of the image area to redirect the light to the image area.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마이크로전자기계 시스템(MEMS) 미러(mirror)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집광 및 화상 표시 방법.40. The method of claim 39, wherein actively displaying comprises moving a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MEMS) mirror.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집광 필름에 작동적으로 결합된 표시 화소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인, 집광 및 화상 표시 방법.40. The method of claim 39, wherein the image region comprises an array of display pixels operatively coupled to at least one light collecting film. 표시 화소들의 활성 어레이의 전방 혹은 후방 표시면에, 전방 집광 필름면, 후방 집광 필름면, 적어도 1개의 가장자리부 및 복수개의 광-방향전환 구성부를 구비하는 집광 필름을 작동적으로 결합시키는 단계; 및
주변광이 상기 광-방향전환 구성부들에 의해 상기 전방 집광 필름면으로부터 상기 집광 필름의 가장자리부에 있는 광기전력 소자로 향하게 되어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도록, 상기 광기전력 소자를 상기 집광 필름의 가장자리부와 정렬시키는(aligning)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Operatively coupling a light collecting film having a front light collecting film surface, a back light collecting film surface, at least one edge portion and a plurality of light-turning features to a front or rear display surface of an active array of display pixels; And
The photovoltaic device is coupled with the edge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such that ambient light is directed by the light-turning features to the photovoltaic device at the edge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from the front light collecting film surface and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aligning.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 필름의 가장자리부 상에, 광을 방출하는 광원을 배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43, further comprising disposing a light source that emits light on an edge of the light collecting film.
KR1020107013130A 2007-11-16 2008-11-14 Thin film planar sonar concentrator/ collector and diffusor used with an active display KR2010009451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941,851 2007-11-16
US11/941,851 US20090126792A1 (en) 2007-11-16 2007-11-16 Thin film solar concentrator/collector
US9368608P 2008-09-02 2008-09-02
US61/093,686 2008-09-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511A true KR20100094511A (en) 2010-08-26

Family

ID=40429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130A KR20100094511A (en) 2007-11-16 2008-11-14 Thin film planar sonar concentrator/ collector and diffusor used with an active display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210282A1 (en)
JP (1) JP5314039B2 (en)
KR (1) KR20100094511A (en)
CN (1) CN101861658B (en)
TW (1) TWI467523B (en)
WO (1) WO200906506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89708B (en) 2002-12-25 2007-11-11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Optical interference type color display
US7342705B2 (en) 2004-02-03 2008-03-11 Idc, Llc Spatial light modulator with integrated optical compensation structure
EP1943551A2 (en) 2006-10-06 2008-07-16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Light guide
JP2010510530A (en) 2006-10-06 2010-04-02 クォルコム・メムズ・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Optical loss structure integrated into lighting equipment
US8068710B2 (en) 2007-12-07 2011-11-29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Decoupled holographic film and diffuser
JP5561582B2 (en) * 2009-11-17 2014-07-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Organic EL display device
KR101101417B1 (en) * 2010-02-11 2012-01-0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lanar solar collection apparatus and photoelectric conversion apparatus
KR101775745B1 (en) 2010-03-11 2017-09-19 스냅트랙, 인코포레이티드 Reflective and transflective operation modes for a display device
US8735791B2 (en) 2010-07-13 2014-05-27 Svv Technology Innovations, Inc. Light harvesting system employing microstructures for efficient light trapping
CN102346329A (en) * 2010-08-04 2012-02-0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Electronic device with charging function and electronic book device
US20120069232A1 (en) * 2010-09-16 2012-03-22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Curvilinear camera lens as monitor cover plate
US20120081406A1 (en) * 2010-09-30 2012-04-05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Integrated backlit frontlight for reflective display elements
US20120120081A1 (en) * 2010-11-16 2012-05-17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Illumination device with passivation layer
CA2826150A1 (en) 2011-01-31 2012-08-09 Wysips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photovoltaic cells and improved brightness
US8970767B2 (en) 2011-06-21 2015-03-03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Imaging method and system with angle-discrimination layer
US9097826B2 (en) 2011-10-08 2015-08-04 Svv Technology Innovations, Inc. Collimating illumination systems employing a waveguide
FR3010831B1 (en) 2013-07-29 2019-06-28 Sunpartner Technologies RETROTECTIVE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PHOTOVOLTAIC CELLS
FR3020473B1 (en) 2014-04-25 2018-01-12 Sunpartner Technologies INTEGRATED PHOTOVOLTAIC CELL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BRIGHTNESS AND REFLECTIVITY
WO2016057561A1 (en) * 2014-10-06 2016-04-14 Nitto Denko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holographic solar concentrator integrated in its display
WO2016183201A1 (en) * 2015-05-12 2016-11-17 Nitto Denko Corporation Solar energy collection systems utilizing holographic optical elements useful for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1733B2 (en) * 1988-08-18 1998-06-04 旭光学工業株式会社 LCD lighting device for camera
JPH0647928U (en) * 1992-11-30 1994-06-28 株式会社コパル Surface emitting device
US5877874A (en) * 1995-08-24 1999-03-02 Terrasun L.L.C. Device for concentrating optical radiation
US6123431A (en) * 1997-03-19 2000-09-26 Sanyo Electric Co., Ltd Backlight apparatus and light guide plate
US7369735B2 (en) * 2002-02-15 2008-05-06 Biosynergetics, Inc. Apparatus for the collection and trans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JP2004103411A (en) * 2002-09-10 2004-04-02 Alps Electric Co Ltd Surface light emitt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7417782B2 (en) * 2005-02-23 2008-08-26 Pixtronix,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patial light modulation
JP4442151B2 (en) * 2003-07-25 2010-03-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LIGHT EMITTING DEVICE,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2005292546A (en) * 2004-04-01 2005-10-20 Mitsubishi Electric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low power consumption
WO2005114311A1 (en) * 2004-05-17 2005-12-01 Thomson Licensing Colour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backlighting unit and method of implementing same
US7911428B2 (en) * 2004-09-27 2011-03-22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thod and device for manipulating color in a display
US7136213B2 (en) * 2004-09-27 2006-11-14 Idc, Llc Interferometric modulators having charge persistence
US7750886B2 (en) * 2004-09-27 2010-07-06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lighting displays
US20060066586A1 (en) * 2004-09-27 2006-03-30 Gally Brian J Touchscreens for displays
US7446926B2 (en) * 2004-09-27 2008-11-04 Idc, Llc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regenerating protective coating in a MEMS device
KR100991044B1 (en) * 2005-02-23 2010-10-29 픽스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Display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ufacture thereof
JP2006309408A (en) * 2005-04-27 2006-11-09 Honda Motor Co Ltd Abnormality monitoring system, abnormality monitoring server, abnormality monitoring method, and abnormality monitoring program
JP4743846B2 (en) * 2005-05-10 2011-08-10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equipment using the same
JP2006065360A (en) * 2005-11-16 2006-03-09 Omron Corp Light guide and display apparatus
US7603001B2 (en) * 2006-02-17 2009-10-13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ack-lighting in an interferometric modulator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67523B (en) 2015-01-01
CN101861658A (en) 2010-10-13
TW200929117A (en) 2009-07-01
WO2009065069A8 (en) 2009-07-09
JP2011505587A (en) 2011-02-24
JP5314039B2 (en) 2013-10-16
EP2210282A1 (en) 2010-07-28
CN101861658B (en) 2014-06-04
WO2009065069A1 (en) 200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1631B2 (en) Simultaneous light collection and illumination on an active display
JP5314039B2 (en) Simultaneous focusing and illumination for active displays
JP5259728B2 (en) Light illumination of display unit having front light guide and coupling element
US8068710B2 (en) Decoupled holographic film and diffuser
US8049951B2 (en) Light with bi-directional propagation
JP5404404B2 (en) Thin light ba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061882B2 (en) Illumination device with built-in light coupler
JP5214970B2 (en) Optical film for controlling the angular characteristics of a display
US8872085B2 (en) Display device having front illuminator with turning features
US8654061B2 (en) Integrated front light solution
TWI595293B (en) Dual film light guide for illuminating displays
US20110032214A1 (en) Front light based optical touch screen
US20090323144A1 (en) Illumination device with holographic light guide
US20090168459A1 (en) Light guide including conjugate film
US20090201571A1 (en) Integrated front light diffuser for reflective displays
KR20090047548A (en) Angle sweeping holographic illuminator
JP2012528361A (en) Lighting device for reflective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