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9287A - 텔레비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텔레비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9287A
KR20100089287A KR1020090008474A KR20090008474A KR20100089287A KR 20100089287 A KR20100089287 A KR 20100089287A KR 1020090008474 A KR1020090008474 A KR 1020090008474A KR 20090008474 A KR20090008474 A KR 20090008474A KR 20100089287 A KR20100089287 A KR 20100089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mage
voice
uni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대우
김창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8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9287A/ko
Priority to US12/497,881 priority patent/US20100194845A1/en
Publication of KR20100089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287A/ko
Priority to US13/689,263 priority patent/US2013008856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비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입력장치와 신호처리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는, 사용자 영상을 촬상하여 처리하는 촬상부와;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음성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처리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음성출력부와, 외부로부터 상대방 영상 및 상대방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영상 및 상기 사용자 음성을 송신하는 통신부와, 수신된 상기 상대방 음성을 처리하여 상기 음성출력부로 출력하는 음성처리부와; 수신된 상기 상대방 영상을 처리하는 제1영상처리블럭을 포함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사용자 영상을 소프트웨어 디코더를 이용하여 처리하고, 처리된 상기 사용자 영상 및 상기 상대방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방송을 시청하면서 영상통화를 할 수 있는 텔레비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Figure P1020090008474
영상통화

Description

텔레비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TELEVIS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텔레비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 통화가 가능한 텔레비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인터넷(internet) 전용 회선의 고속화에 따라 많은 화상 통신 솔루션(solution)이 등장하고 있다. 실제로 SkyPe와 같은 프로그램의 보급으로 전 세계 어느 곳과도 저렴한 가격에 화상 통화가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아직은 시도 단계에 있지만, 언젠가는 화상 통신은 현재의 전화만큼 보편화될 것이다. 그리고, 화상 통신시스템은 향후 차량을 비롯한 단말기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다양한 영상장치에 적용될 것이다.
본 발명은 방송을 시청하면서 영상통화를 할 수 있는 텔레비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에코가 제거된 양질의 음성을 전송하는 텔레비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장치와 신호처리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는, 사용자 영상을 촬상하여 처리하는 촬상부와;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음성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처리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음성출력부와, 외부로부터 상대방 영상 및 상대방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영상 및 상기 사용자 음성을 송신하는 통신부와, 수신된 상기 상대방 음성을 처리하여 상기 음성출력부로 출력하는 음성처리부와; 수신된 상기 상대방 영상을 처리하는 제1영상처리블럭을 포함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사용자 영상을 소프트웨어 디코더를 이용하여 처리하고, 처리된 상기 사용자 영상 및 상기 상대방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상대방 영상은 제1 레이어로, 상기 사용자 영상은 상기 제1레이어에 중첩되는 제2 레이어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1레이어는 비디오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레이어는 그래픽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는 상기 촬상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상기 음성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동기화시켜 출력하는 신호합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처리장치는 상기 신호합성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영상신호와 상기 음성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신호분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처리장치는, 에코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음성신호에서 상기 상대 방 음성을 제거하기 위한 에코제거부와; 상기 에코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압축하여 상기 통신부로 출력하는 음성압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는 촬상된 상기 사용자 영상을 압축하는 영상압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방송신호의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제2영상처리블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신호가 상기 상대방 영상 및 상기 사용자 영상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방송신호의 음성신호가 상기 음성출력부로 출력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방송신호는 영상신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방송신호의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제2영상처리블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방송신호의 영상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지 않도록 상기 제2영상처리블럭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와 상기 신호처리장치는 USB 인터페이스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음성을 수신하는 음성수신부, 디스플레이부 및 음성출력부를 갖는 텔레비전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를 통해 촬상된 사용자 영상을 압축하는 단계와; 외부로부터 수신된 상대방 음성을 처리하는 단계와; 압축된 상기 사용자 영상 및 상기 음성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처리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단계와; 외부로부터 수신된 상대방 영상을 하드웨어 디코더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단계와; 촬상된 사용자 영상을 소프트웨어 디코더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단계와; 처리된 상기 사용자 영상 및 상기 상대방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처리된 상대방 음성을 상기 음성출력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을 시청하면서 영상통화를 할 수 있는 텔레비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코가 제거된 양질의 음성을 전송하는 텔레비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텔레비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텔레비전 시스템은 사용자 입력장치(100)와 신호처리장치(200)를 포함한다. 신호처리장치(200)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미도시)를 포함하는 텔레비전으로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 시스템은 사용자가 외부인과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전화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는 통신부(도 2)를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텔레비전의 디스플레이부(250)를 이용하여 화상통화를 구현한다. 사용자 입력장치(100)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상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한 촬상부(110)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음성수신부(도 2)를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 입력장치(100)와 신호처리장치(200)는 유,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USB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신호처리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50)에는 세 종류의 영상이 표시된다. 디스플레이부(250)는 방송신호를 표시하는 방송영역(Ⅰ), 사용자의 영상을 표시하는 사용자 영상영역(Ⅱ) 및 상대방의 영상을 표시하는 상대방 영상영역(Ⅲ)을 포함한다. 이처럼, 사용자는 방송신호를 보면서 동시에 상대방과 나의 영상을 동시에 볼 수 있고, 이로써 텔레비전의 활용도가 증가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 시스템의 제어블럭도이다. 사용자 입력장치(100)는 촬상부(110), 영상압축부(120), 음성수신부(130), 음성샘플링부(140) 및 신호합성부(150)를 포함한다.
촬상부(110)는 사용자 영상을 촬상하는 촬상소자로서 카메라와 촬상소자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영상신호처리기(Image Signal Processor: ISP)를 포함할 수 있다. 촬상된 사용자 영상은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되고, 통신부(220)를 통해 외부로 송신된다.
영상압축부(120)는 촬상부(110)에서 촬상된 사용자 영상을 동영상 압축 알고리즘의 이용하여 압축, 즉 부호화한다. 이렇게 압축된 사용자 영상은 통신부(220)를 통하여 외부의 상대방에게 전송되고 동시에 신호처리장치(200)의 제어부(290)에 의하여 디코딩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 시스템은 사용자 영상을 압축하는 구성을 신호처리장치(200)에 포함시키지 않고 사용자 입력장치(100)에 포함시킴으로써 많은 연산 및 작업을 수행하는 신호처리장치(200)의 작업로드를 감소시킨다.
음성수신부(130)는 사용자가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로 구현될 수 있다. 음성수신부(130)는 사용자 음성만을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음성출력부(251)를 통하여 출력되는 상대방 음성이 음성수신부(130)에 입력될 수 있다. 이하, 음성수신부(130)에서 수신되는 음성을 음성신호로 정의한다. 음성신호는 사용자 음성 이외의 음향, 특히 상대방 음성을 포함하는 용어이다.
음성샘플링부(140)는 수신된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샘플링을 수행한다. 음성신호는 영상과는 달리 사용자 입력장치(100)에서 압축되지 않고, 신호처리장치(200)에서 에코 제거작업이 수행된 후 압축된다.
신호합성부(150)는 영상압축부(120)에서 압축된 사용자 영상과 음성샘플링부(140)에서 샘플링된 음성신호를 합성하여 신호처리장치(200)로 출력한다. 신호합 성부(150)는 스트림 컨테이너로 구현되며, 신호를 합성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영상과 음성신호를 동기화 한다. 사용자 영상이 압축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음성신호가 샘플링되는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상이하다. 따라서, 신호합성부(150)는 사용자 영상과 사용자 음성이 서로 대응하도록 양 신호를 동기화 한다.
사용자 입력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USB 인터페이스(300)를 통하여 신호처리장치(200)와 연결되어 있다. 즉, 신호합성부(150)를 통하여 출력되는 사용자 영상 및 음성신호는 USB 포맷을 갖는다. 만약, 사용자 입력장치(100)와 신호처리장치(200)가 USB 인터페이스(300)가 아닌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면, 신호합성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 및 음성시호는 해당 인터페이스에 맞도록 포맷이 변경될 것이다. 양 장치 사이의 인터페이스가 무선인 경우 사용자 입력장치(100)와 신호처리장치(2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신호를 변조 및 복조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것이다.
신호처리장치(200)는 합성되어 있는 영상 및 음성을 분리하는 신호분리부(210), 외부로부터 상대방 음성 및 상대방 음성을 수신하는 통신부(220),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수신부(230)를 포함한다. 또한, 신호처리장치(200)는 영상신호와 관련된 영상처리부(240)와 디스플레이부(250)를 포함하고, 음성신호와 관련된 음성처리부(260), 에코제거부(270), 음성압축부(280) 및 음성출력부(251)를 포함하고, 이들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290)를 포함한다.
신호분리부(210)도 신호합성부(150)와 같이 스트림 컨테이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수신된 신호 스트림을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로 분리한다. 신호분리부(210)에 서 분리된 영상신호, 즉, 압축된 사용자 영상은 통신부(220) 및 영상처리부(240)로 공급되고, 음성신호는 에코제거부(270)로 출력된다.
통신부(220)는 소정의 통신경로를 통하여 부호화된 영상신호 및 부호화된 음성신호를 수신하거나, 영상압축부(120) 및 음성압축부(280)에서 압축된 사용자 영상 및 사용자 음성을 외부로 송신한다. 이러한 통신부(220)는 인터넷(internet), 이더넷(ethernet) 호스트, 공중전화방(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망일 수도 있으며 네크워크 통신망이 아닌 일대일 통신망일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부(230)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방송신호 중 영상신호는 제2영상처리블럭(243)에서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되고, 음성신호는 음성출력부(251)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된다. 방송수신부(230)는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 및 튜너 등으로 구성된다. 텔레비전 시스템은 방송신호의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음성출력부(251)로 출력하는 도시하지 않은 음성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240)는 두 개의 하드웨어 디코더, 즉 물리적으로 독립된 처리블럭인 제1영상처리블럭(241)과 제2영상처리블럭(243)을 포함한다. 영상처리부(240)는 상기 영상처리블럭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코딩하고, 영상신호를 복수의 레이어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250)로 출력한다.
제1영상처리블럭(241)은 통신부(220)를 통하여 수신된 상대방 영상을 처리, 즉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한다. 제2영상처리블럭(243)은 상술한 바 와 같이 방송수신부(230)를 통하여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한다.
영상신호를 디코딩 하는 방법에는 독립적인 하드웨어 디코더를 이용하는 방법과 제어부의 제어 아래 동작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디코더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처리장치(200)는 상대방 영상과 방송신호는 독립된 하드웨어 디코더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반면, 촬상부(110)에서 촬상된 사용자 영상은 소프트웨어 디코더를 이용하여 디코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90)는 신호처리장치(200)에서 중추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되며, 소프트웨어 디코더는 JPEG 디코더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 영상은 CPU의 제어 하에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는 JPEG 디코더를 통하여 디코딩 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JEPG 디코더를 이용하지 않고 제어부(290)가 사용자 영상을 디코딩할 수도 있다. 제어부(290)의 처리속도 및 처리능력에 따라 사용자 영상을 디코딩하는 주체는 변경될 수 있다. 두 개의 하드웨어 디코더와 하나의 소프트웨어 디코더를 이용하면서도 세 종류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텔레비전 시스템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사용자는 방송신호와 함께 사용자 및 상대방의 영상을 동시에 시인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240)는 상이한 루트를 통하여 디코딩된 세 종류를 영상신호를 합성하여 디스플레이부(250)에 출력한다. 이 때, 영상처리블럭(241, 243)에서 처리된 방송신호와 상대방 영상은 제1레이어로 사용자 영상은 제1레이어와 중첩되는 제2레이어로 처리된다. 영상처리부(240)는 제어부(290)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상이 한 레이어 구조로 합성하여 디스플레이부(250)에 출력한다. 통상적으로 제1레이어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위 레이어, 즉 비디오 레이어를 포함하고, 제2레이어는 비디오 레이어의 상부에 중첩되는 OSD(on screen display), 서브 픽쳐, 자막 등과 같은 그래픽 레이어를 포함한다. 제어부(290)는 그래픽 레이어의 영역, 투명도 등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영상처리부(240)로부터 출력되는 세 종류의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액정을 포함하는 LCD 패널,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 또는PDD(plasma display panel)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패널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한편, 제어부(290)는 통신부(220)의 통신 상태 또는 영상처리부(240)의 처리 능력 등을 고려하여 영상압축부(120)의 영상압축률 또는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는 USB 인터페이스(300)를 통하여 사용자 입력장치(100)로 출력된다. 사용자 입력장치(100)의 영상압축부(120)는 제어부(290)의 제어신호를 직접 수신할 수도 있고, 사용자 입력장치(100)가 포함하고 있는 별도의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통신부(220)를 통하여 수신된 상대방 음성은 음성처리부(260)로 입력되어 디코딩되고, 디코딩된 상대방 음성은 음성출력부(251) 및 에코제거부(270)로 출력된다.
음성출력부(251)는 상대방 음성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음성출력부(251)는 디코딩된 상대방 음성을 증폭하는 증폭회로와, 증폭된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에코제거부(270)는 신호분리부(210)로부터 음성신호를, 음성처리부(260)로부터 상대방 음성을 수신한다. 에코제거부(270)는 음성신호에서 상대방 음성을 제거하여 사용자 음성만을 걸러낸다. 음성출력부(251)를 통하여 출력된 상대방 음성은 음성수신부(130)를 통하여 텔레비전 시스템으로 다시 입력될 수 있다. 상대방 음성이 포함된 음성신호가 그대로 상대방에서 전송되는 경우, 상대방은 자신의 음성을 에코처럼 듣게 되고, 이는 통화의 질을 떨어뜨리는 요소가 된다. 따라서, 에코제거부(270)는 상대방에게 사용자 음성만을 전달하기 위하여 음성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상대방 음성을 제거한다.
상대방 음성이 제거된 사용자 음성은 음성압축부(280)에서 압축된다. 압축된 사용자 음성은 사용자 영상과 함께 상대방에게 전달된다.
정리하면, 통신부(220)를 통하여 수신된 상대방 영상은 제1영상처리블럭(241)에서 처리되어 표시되고, 상대방 음성은 음성처리부(260)에서 처리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사용자 영상은 사용자 입력장치(100)에서 압축되어 상대방에게 제공됨과 동시에 제어부(290)에 의하여 디코딩되어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된다. 사용자 음성을 포함하는 음성신호는 신호처리장치(200)에서 상대방 음성이 제거되고 최종적으로 사용자 음성만이 압축되어 상대방에게 전달된다.
한편,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50) 및 음성출력부(251)를 통하여 방송신호가 출력되는 도중 통화가 이루지는 경우, 즉 통신부(220)를 통하여 상대방 음성이 입력되거나 음성수신부(130)를 통하여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거나, 상대방 영 상 또는 사용자 영상이 입력되는 경우 방송신호의 음성신호가 음성출력부(251)로 출력되는 것을 차단한다. 사용자와 상대방의 통화에 방송신호가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제어부(290)는 방송신호가 포함하는 음성신호의 출력 여부를 단속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도 있고, 상대방 음성과 방송신호의 음성신호 중 어느 하나가 음성출력부(241)로 출력되도록 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방송신호의 음성신호는 처리하는 음성처리부(미도시) 및 상대방 음성을 처리하는 음성처리부(26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90)는 사용자와 상대방의 통화가 시도되는 경우, 방송신호가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되지 않도록 제2영상처리블럭(243)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방송신호의 음성신호에 추가적으로 영상신호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가 영상통화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영상과 상대방 영상의 크기가 디스플레이부(250)에 가득 차도록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텔레비전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되는 영상의 종류를 설정하고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통화 시 사용자의 영상을 표시하지 않거나, 방송신호를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Ⅰ, Ⅱ, Ⅲ)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텔레비전 시스템을 이용한 화상 통화 처리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 입력장치(100)는 촬상부(110)를 통하여 촬상된 사용자 영상을 압축하고, 음성수신부(130)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신호를 샘플링한다(S10). 압축된 사용자 영상 및 샘플링된 음성신호는 신호합성부(150)를 통하여 동기화 된 후 신호처리장치(200)로 입력된다.
한편, 상대방 영상 및 상대방 음성은 통신부(220)를 통하여 수신된다(S20).
수신된 상대방 음성은 음성처리부(260)에서 디코딩되고(S30), 디코딩된 상대방 음성은 에코제거부(270)에 입력된다.
에코제거부(270)는 신호처리장치(200)로 입력된 음성신호에서 상대방 음성을 제거하고, 상대방 음성이 제거된 사용자 음성은 음성압축부(280)에서 압축된다(S40).
압축된 사용자 영상 및 사용자 음성은 통신부(220)를 통하여 상대방에게 송신된다(S50).
방송신호와 상대방 영상은 제1영상처리블럭(241)과 제2영상처리블럭(243)과 같은 개별적인 하드웨어 디코더를 통하여 처리되고(S60), 촬상된 사용자 영상은 소프트웨어 디코더를 이용하여 처리된다(S70).
처리된 사용자 영상, 상대방 영상 및 방송신호를 비디오 레이어 및 그래픽 레이어로 합성되어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되고, 상대방 음성은 음성출력부(251)를 통하여 출력된다(S80).
사용자 영상 및 사용자 음성이 상대방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먼저 기술하고, 상대방 음성 및 상대방 영상이 출력되는 과정을 후술하였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고, 수신된 영상 및 음성은 실시간으로 동시에 처리된다. 즉, 도 3의 각 과정은 도시된 순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 시스템이 제어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 시스템은 영상처리부(240)에 하나의 영상처리블럭(245)을 포함한다. 영상처리블럭(245)은 방송신호와 상대방 영상을 모두 처리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방송수신부(230)를 통하여 입력되는 방송신호와 통신부(2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상대방 영상은 동일한 영상포맷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방송신호와 상대방 영상의 영상포맷이 상이하더라도 영상처리블럭(245)은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포맷을 영상처리블럭(245)이 처리할 수 있는 영상포맷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영상처리블럭(245)은 평상시에는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하다가, 사용자와 상대방의 대화가 시작되면 상대방 영상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한다. 이 때, 사용자 영상은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제어부(290)에 의하여 소프트웨어 디코더에 의하여 처리되고, 상대방 영상에 중첩되어 표시된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 시스템은 하나의 하드웨어 디코더를 포함하여 방송신호와 상대방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처리한다. 상대방 영상이 처리될 때 사용자 영상도 소프트웨어 디코더를 통하여 처리된다. 이를 통해 하나의 하드웨어 디코더를 포함하여 제조 원가를 감소시키면서도 상황에 따라 필요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잇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 시스템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 시스템이 제어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사용자 입력장치 110 : 촬상부
120 : 영상압축부 130 : 음성수신부
140 : 음성샘플링부 150 : 신호합성부
200 : 신호처리장치 210 : 신호분리부
220 : 통신부 230 : 방송수신부
240 : 영상처리부 250 : 디스플레이부
251 : 음성출력부 260 : 음성처리부
270 : 에코제거부 280 : 음성압축부
290 : 제어부

Claims (17)

  1. 사용자 입력장치와 신호처리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는,
    사용자 영상을 촬상하여 처리하는 촬상부와;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음성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처리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음성출력부와,
    외부로부터 상대방 영상 및 상대방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영상 및 상기 사용자 음성을 송신하는 통신부와,
    수신된 상기 상대방 음성을 처리하여 상기 음성출력부로 출력하는 음성처리부와;
    수신된 상기 상대방 영상을 처리하는 제1영상처리블럭을 포함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사용자 영상을 소프트웨어 디코더를 이용하여 처리하고, 처리된 상기 사용자 영상 및 상기 상대방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상대방 영상은 제1 레이어로, 상기 사용자 영상은 상기 제1레이어에 중첩되는 제2 레이어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텔레비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이어는 비디오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레이어는 그래픽 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는 상기 촬상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상기 음성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동기화시켜 출력하는 신호합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처리장치는 상기 신호합성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영상신호와 상기 음성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신호분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장치는,
    상기 음성신호에서 상기 상대방 음성을 제거하기 위한 에코제거부와;
    상기 에코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압축하여 상기 통신부로 출력하는 음성압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는 촬상된 상기 사용자 영상을 압축하는 영상압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방송신호의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제2영상처리블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신호가 상기 상대방 영상 및 상기 사용자 영상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방송신호의 음성신호가 상기 음성출력부로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는 영상신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방송신호의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제2영상처리블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방송신호의 영상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지 않도록 상기 제2영상처리블럭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와 상기 신호처리장치는 USB 인터페이스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시스템.
  11. 영상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음성을 수신하는 음성수신부, 디스플레이부 및 음성출력부를 갖는 텔레비전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를 통해 촬상된 사용자 영상을 압축하는 단계와;
    외부로부터 수신된 상대방 음성을 처리하는 단계와;
    압축된 상기 사용자 영상 및 상기 음성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처리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단계와;
    외부로부터 수신된 상대방 영상을 하드웨어 디코더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단계와;
    촬상된 사용자 영상을 소프트웨어 디코더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단계와;
    처리된 상기 사용자 영상 및 상기 상대방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처리된 상대방 음성을 상기 음성출력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영상은 제1 레이어로, 상기 사용자 영상은 상기 제1레이어에 중첩되는 제2 레이어로 처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텔레비전 시스템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이어는 비디오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레이어는 그래픽 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시스템의 제어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음성을 처리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에서 상기 상대방 음성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시스템의 제어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시스템은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송신호의 영상신호를 상기 상대방 영상을 처리하는 하드웨어 디코더와 상이한 하드웨어 디코더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신호의 영상신호를 상기 상대방 영상 및 상기 사용자 영상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시스템의 제어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시스템은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방송신호의 음성신호가 상기 음성출력부로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시스템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는 영상신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방송신호의 영상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 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90008474A 2009-02-03 2009-02-03 텔레비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8928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474A KR20100089287A (ko) 2009-02-03 2009-02-03 텔레비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2/497,881 US20100194845A1 (en) 2009-02-03 2009-07-06 Televis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3/689,263 US20130088561A1 (en) 2009-02-03 2012-11-29 Televis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474A KR20100089287A (ko) 2009-02-03 2009-02-03 텔레비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0020707A Division KR20150032679A (ko) 2015-02-11 2015-02-11 텔레비전 시스템, 텔레비전 시스템에 포함되는 카메라 모듈, 텔레비전 시스템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들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287A true KR20100089287A (ko) 2010-08-12

Family

ID=42397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474A KR20100089287A (ko) 2009-02-03 2009-02-03 텔레비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20100194845A1 (ko)
KR (1) KR201000892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279B1 (ko) * 2012-07-03 2013-04-02 알서포트 주식회사 동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US11738358B2 (en) 2020-06-25 2023-08-29 Graco Minnesota Inc. Electrostatic handheld spray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6947A (ko) 2011-12-29 2013-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D735155S1 (en) * 2013-05-22 2015-07-28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USD735156S1 (en) * 2013-05-22 2015-07-28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PT107285A (pt) * 2013-11-06 2015-05-06 Portlane Portability Environment Lda Dispositivo de interface de televisã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5716A1 (de) * 1995-11-06 1997-05-07 Ricoh Kk Digitale Einzelbild-Videokamera
US6339842B1 (en) * 1998-06-10 2002-01-15 Dennis Sunga Fernandez Digital television with subscriber conference overlay
WO2001097517A1 (en) * 2000-06-14 2001-12-20 Arjun Nayyar Multimedia compression/decompression and compressed data representation
TW550948B (en) * 2001-07-04 2003-09-01 Leadtek Research Inc Audio/video IP camcorder
GB2370188A (en) * 2000-11-01 2002-06-19 Orange Personal Comm Serv Ltd Mixed-media telecommunication call set-up
JP4564190B2 (ja) * 2001-03-06 2010-10-20 株式会社リコー テレビ会議システムにおける画像入力に適したデジタルカメラ
KR100678204B1 (ko) * 2002-09-17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모드에 따른 영상 및 데이터 표시장치 및 방법
US7864209B2 (en) * 2005-04-28 2011-01-04 Apple Inc. Audio processing in a multi-participant conference
KR101240261B1 (ko) * 2006-02-07 2013-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장치 및 방법
US9030968B2 (en) * 2006-06-16 2015-05-12 Alcatel Lucent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conference session through a communication channel
US8253772B2 (en) * 2008-04-04 2012-08-28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ncorporating voice or video communication into a television or compatible audio capable visual displa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279B1 (ko) * 2012-07-03 2013-04-02 알서포트 주식회사 동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US8830401B2 (en) 2012-07-03 2014-09-09 Rsupport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video
US11738358B2 (en) 2020-06-25 2023-08-29 Graco Minnesota Inc. Electrostatic handheld spr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88561A1 (en) 2013-04-11
US20100194845A1 (en) 201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03767A2 (en) Video display apparatus, noise removing method, and video display system
US20100272251A1 (en) Echo removing apparatus, echo removing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80002343A (ko) 휴대단말을 이용한 방송수신 중 화면분할 방법 및 장치
US9438854B2 (en)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89287A (ko) 텔레비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77621B1 (ko) Moip셋탑박스를 이용한 화상 통화서비스시스템
JP2007028633A (ja) 映像通信機能を備えた移動通信端末機及び映像通信方法
KR100919629B1 (ko) 화상 통화 장치 이용 방법
KR101910659B1 (ko) 디지털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2111059A1 (ja) テレビ電話機能付き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テレビ電話音声処理方法
US8872971B2 (en) Video display apparatus, video processing method, and video display system
JPH06253298A (ja) 映像合成表示装置
KR20150032679A (ko) 텔레비전 시스템, 텔레비전 시스템에 포함되는 카메라 모듈, 텔레비전 시스템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들의 제어방법
JP2005151443A (ja) ビデオ電話機能付情報機器、それを備えた通信システム、ビデオ電話機能付情報機器による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110321106A1 (en) Transmitter, receiver, communication equipment, communication system, transmission method and reception method
JP2006148741A (ja) テレビ電話機能つきテレビジョンセット及びテレビ電話機能つきリモコンセット
JP4988022B2 (ja) 映像表示装置及び音声出力制御方法
KR101276874B1 (ko) 카메라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28437A (ko) 화상전화기의 영상표시 텔레비젼 장치 및 영상표시방법
KR100226511B1 (ko) 화상 전화기 내장형 텔레비전
KR100565041B1 (ko)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 및 시청이 가능한 화상 전화기
KR20090074669A (ko) 부화면의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pip 기능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02970A (ko) Pip 텔레비전의 동시 오디오 출력 제어 방법
KR20090028404A (ko) 화상 통화 장치
JP2001111978A (ja) 画像伝送制御方法及び画像伝送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729

Effective date: 2016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