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8375A - Air conditioner and tes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and tes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8375A
KR20100088375A KR1020090007555A KR20090007555A KR20100088375A KR 20100088375 A KR20100088375 A KR 20100088375A KR 1020090007555 A KR1020090007555 A KR 1020090007555A KR 20090007555 A KR20090007555 A KR 20090007555A KR 20100088375 A KR20100088375 A KR 20100088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xternal device
unit
air conditioner
trial r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5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88203B1 (en
Inventor
최재혁
정백영
오세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7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203B1/en
Publication of KR20100088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3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2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9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ensuring correct operation, e.g. by trial operation or configuration che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human errors during the installation, use or maintenance, e.g. goofy pro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26Problems to be solved characterised by the startup of the refrigeration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PURPOSE: An air conditioner and a method of supplying a test result are provided to check the operation state of an air conditioner using result data on test operation. CONSTITUTION: Test operation on an air conditioner is performed(S320) and data which is created or measured during test operation is accumulated and stored at given intervals(S33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ir conditioner has been connected to an external storage device if the operation test is completed(S350). In case the external device has been connected, the accumulated and stor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S360). In case the external device has not been connected, the result report on the operation test is created, stored and output based on the data(S370). In case the external device has been connected to or mounted on the air conditioner, the data is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In case the external device comprises a processor for processing the data,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시운전 결과 출력방법{Air conditioner and testing method thereof}Air conditioner and test results output method {{Air conditioner and testing method}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시운전 결과 출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조화기의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운전 및 그에 따른 결과를 출력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시운전 결과 출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a method for outputting a commissioning result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st operation for confirming whether the air conditioner operates normally and an air conditioner for outputting the result and a method for outputting the commissioning result.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to provide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for humans by discharging cold air into the room to adjust the indoor temperature and purifying the indoor air to create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ncludes an indoor unit which is configured as a heat exchanger and installed indoors, and an outdoor unit which is configured as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and supplies refrigerant to the indoor unit.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압축기 또는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서 동작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에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으며, 요청되는 운전 상태에 따라,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여,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운전된다. The air conditioner is separated and controlled by an indoor unit composed of a heat exchanger and an outdoor unit composed of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and is operated by controlling power supplied to the compressor or the heat exchanger.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indoor unit to the outdoor unit, the refrigerant is supplied to the indoor unit in accordance with the requested operating state, the air conditioner or the heating mode is operated.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의 전기배선, 냉매공급 및 회수를 위한 배관 연결이 필수적일 뿐 아니라, 복잡한 구성을 가지므로, 오연결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어, 설치 시, 실외기 및 실내기 등의 공기조화기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 지정된 실내기가 운전되는지 또는 냉매 공급에 문제가 없는 지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어, 동작 및 연결 테스트를 포함하는 시운전을 수행한다. Such an air conditioner is not only essential for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nd the piping connection for the refrigerant supply and recovery, but also has a complicated configuration, so that problems such as incorrect connection may occur, such as when installing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It is necessary to confirm whether the air conditioner is normally operated, whether the designated indoor unit is operated, or whether there is no problem with the refrigerant supply, so that a trial run including operation and connection tests is performed.

시운전을 시행 한 후, 그에 따른 결과 데이터는 바로 출력되어, 사용자가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시운전 후에는 결과 확인이 가능하지만 추후 공기조화기 이상발생으로 오동작하는 경우, 시운전 결과를 확인하고 싶어도 결과데이터를 확인할 방법이 없어 문제가 된다. After the test run, the result data is immediately output and can be checked by the user. However, it is possible to check the result after the test run, but if the air conditioner malfunctions later, there is no way to check the result data even if you want to check the test run result.

예를들어 냉매봉입량이 정확하게 기록되지 않은 경우 시운전 시 확인한 냉매량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좋으나, 시운전 결과 확인이 어렵거나 불가능 하여 실제적으로 냉매봉입량 확인이 어려워 진다. 이런 경우 다시 소정의 테스트 운전을 수행하여 체크 할 수 있으나 테스트 운전 중 문제가 발생하여 확인이 어렵거나 다른 오동작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해 조절할 수밖에 없어 어려움이 있으며, 이는 또 다른 문제의 원인이 될 소지가 있다. For example, if the refrigerant charge amount is not recorded correctly, it is better to use the refrigerant amount information checked during the test run, but it is difficult or impossible to confirm the test result,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onfirm the refrigerant charge amount. In this case, it may be checked again by performing a predetermined test operation, but there may be a problem that may occur due to a problem during the test operation, which may make it difficult to identify or cause another malfunction.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adjust by the subjective judgment of the user, which may cause another problem.

그에 따라 시운전 결과를 공유하고 시간이 경과한 후라도 누구나 확인 할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As a result, there is a need to share the results of commissioning and to ensure that anyone can see them even after time passes.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기 설치 후,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시운전을 수행 시, 운전 중 발생하거나 측정되는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하거나 외부장치로 전송하여 시운전 이후에도 편의에 따라 시운전 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기조화기의 동작상태를 확인하고 오동작의 원인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시운전 결과 출력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ore the data generated or measured during operation separately or to transmit to the external device during the trial run to determine whether the operation is normally operated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air conditioner to use the test result data for convenience even after the trial ru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conditioner and a method of outputting the result of the trial operation to check the operation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and analyze the cause of the malfunction.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외부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시운전 중 발생되거나 측정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부 및 지정된 작업이 자동으로 실행하여 시운전을 수행하고, 상기 시운전 중, 지정된 파라미터에 대한 데이터가 소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데이터부에 누적하여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by wire or wirelessly, and an interface unit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a data unit storing data generated or measured during test operation, and a designated task are automatically executed to perform a test run. And controlling the data to be accumulated and stored in the data unit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시운전 결과 출력방법은 시운전을 수행하고, 시운전 수행 중 발생되거나 측정되는 데이터를 소정시간 간격으로 누적 저장하는 단계, 시운전 완료 시, 외부저장매체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누적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method of outputting the test operation resul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erforming a trial run, accumulating and storing data generated or measured during a trial ru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determining whether to connect an external storage medium when the trial run is completed. And transmitting the accumulated and stored data to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시운전 결과 출력방법은, 시운전 중 발생 또는 측정되는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전송하거나 외부장치에 저장함으로써, 시운전 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데이터 관리가 용이하며 언제든 시운전에 따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결과데이터를 이용한 리포트 작성도 가능하므로 편의성이 향상되고, 시운전 이후에도 시운전 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기조화기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오동작 시 설치오류 등에 대한 원인 배제 및 재확인이 가능하여 불확실정이 감소되고, 그에 대한 원인 분석이 쉬워 발생된 문제를 해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진단의 정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outputting the result of the commissio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trial run at any time and also to create a report using the result data, thus improving convenience, and after the trial run, the operation condition of the air conditioner can be checked by using the trial run result data. Uncertainty can be eliminated and reconfirmed to reduce uncertainty, and cause analysis can be shortened, there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to solve the problem and improving the accuracy of diagnosi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 설명에 참조되는 도이다. 1 is a view referr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는 실내기(I)(I1 내지 I12), 실내기와 연결되는 실외기(O)(O1, O2)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이러한 실내기 및 실외기 등의 유닛을 복수로 포함할 수 있다. 1,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door unit (I) (I1 to I12) for discharging cold air into the room, the outdoor unit (O) (O1, O2)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units such as an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내기(I)에 연결되어 실내기로 동작명령을 입력하는 로컬제어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로컬제어기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실내기와 통신한다. 경우에 따라 복수의 유닛을 통합하여 원격 제어하고 모니터링 하는 원격제어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유닛은 실내기(I) 및 실외기(O) 뿐 아니라, 공기청정유닛, 환기유닛, 가습유닛, 제습유닛, 히터와 같은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공기조화기 유닛은 실내기 및 실외기 인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상기와 같은 유닛이 연결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local controller (not shown)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I to input an operation command to the indoor unit, and the local controller communicates with the indoor unit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In some cases, it may further include a remote controller (not shown) for integrating a plurality of units for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Here, the unit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not only an indoor unit (I) and an outdoor unit (O) but also a unit such as an air cleaning unit, a ventilation unit, a humidification unit, a dehumidification unit, and a heater. Hereinafter, the air conditioner unit will be described as an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as an example. However, the air conditioner unit may be applied to a case in which the unit is connected.

실외기(O)는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냉매를 압축하거나, 열교환 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에 따라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한다. 실외기(O)는 복수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복수의 실외기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실외기가 복수의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경우, 공기조화기를 분배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실외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분배기를 통해 각 실내기로 전달된다. The outdoor unit O includes a compressor, a heat exchanger, or the like, and compresses or heat exchanges the refrigerant to supply the refrigerant to the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air conditioner. The outdoor unit O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in some cases, a plurality of outdoor unit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s supply the refrigerant to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distributor,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outdoor unit is transferred to each indoor unit through the distributor.

실외기(O)는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미도시), 실외팬(미도시),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 압축기로 공급되는 냉매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고, 냉매배관에 연결되어 냉매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한다. 그 외 다수의 센서, 밸브 및 오일회수기 등을 더 포함하나, 그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The outdoor unit (O) is a compressor (not shown) for receiving and compressing a refrigerant, an outdoor heat exchanger (not shown) for exchanging refrigerant and outdoor air, an outdoor fan (not shown), and extracting a gas refrigerant from the supplied refrigerant to the compressor. It includes an accumulator (not shown) to supply and a four-way valve (not shown) which selects the flow path of the refrigerant according to a heating operatio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sensor measuring a pressur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and a pressure of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compressor, and a temperature sensor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pipe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In addition, a plurality of sensors, valves and oil recovery devices, etc. are further included, but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실내기(I)는 실내 열교환기(미도시)와, 실내팬(미도시), 실외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밸브(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실내기(I)는 각 실내기(I)는 하나의 실내에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으며, 연결된 실외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이용하여 열교환하여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한다. The indoor unit I includes an indoor heat exchanger (not shown), an indoor fan (not shown), an expansion valve (not shown) in which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outdoor unit is expanded, and a plurality of sensors (not shown). Each indoor unit (I)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indoor unit (I) in one room, by using a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connected outdoor unit heat exchange to discharge the cold air to the room.

이러한, 실외기(O)와 실내기(I)는 액관, 기관, 공통관, 냉매배관을 통해 연 결되어, 냉매의 흐름에 따라 냉매의 흐름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 운전을 수행하고, 소정의 통신방식에 따라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The outdoor unit (O) and the indoor unit (I) are connected through a liquid pipe, an engine, a common pipe, and a refrigerant pipe, and perform cooling or heating operations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refrigerant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refrigerant, an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ethod. Send and receive data accordingly.

제 1 실외기(O1)는 제 1 내지 제 8 실내기(I1 내지 I8)와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하고, 제 2 실외기(O2)는 제 9 내지 제 12 실내기(I9 내지 I12)와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한다. 이때, 각 실외기(O1, O2)는 각각 연결된 복수의 실내기 중 어느 하나의 요구에 의해 구동되고, 실내기에 대응하여 냉/난방 용량이 가변됨에 따라 실외기의 작동 개수 및 실외기에 설치된 압축기의 작동 개수가 가변된다. The first outdoor unit O1 is connected to the first to eighth indoor units I1 to I8 to supply a refrigerant, and the second outdoor unit O2 is connected to the ninth to twelfth indoor units I9 to I12 to supply a refrigerant. do. At this time, each outdoor unit (O1, O2) is driven by the request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respectively, and the number of operation of the outdoor unit and the operation number of the compressor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as the cooling / heating capacity is changed corresponding to the indoor unit Variable.

경우에 따라, 제 1 실외기(O1)와 제 2 실외기(O2)가 상호 연결되어 제 1 내지 제 12실내기(I1 내지 I12)로 냉매를 공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1 실외기(O1) 및 제 2 실외기(O2) 중 어느 하나가 마스터실외기, 다른 하나가 슬레이브실외기로 동작된다. 또한, 제 1 실외기(O1)와 제 2 실외기(O2)가 원격제어기 등에 연결되어 원격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동작 될 수 있다. In some cases, the first outdoor unit O1 and the second outdoor unit O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supply the refrigerant to the first to twelfth indoor rooms I1 to I12, in which case the first outdoor unit O1 and the second outdoor unit O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ne of the outdoor units O2 is operated as the master outdoor unit and the other as the slave outdoor unit. In addition, the first outdoor unit O1 and the second outdoor unit O2 may be connected to a remote controller and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remote controller.

이하, 공기조화기의 시운전에 따른 동작제어가 실외기에서 수행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control according to the trial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is performed in the outdoor unit.

도 2 는 도 1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제어하는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록도이다. FIG. 2 is a block diagram referred to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controlling the out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실외기(O)(O1, O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입력부(120), 출력부(180), 데이터부(130), 리포트생성부(140), 인터페이스부(170), 구동제어부(160), 감지부(150) 그리고 실외기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as described above, the outdoor unit O (O1, O2) includes a compressor, an outdoor heat exchanger, and the like, and includes an input unit 120, an output unit 180, a data unit 130, The report generator 140, the interface unit 170, the drive controller 160, the detector 150, and a controller 110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outdoor unit are included.

입력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스위치 등의 입력수단을 포함하여 실외기 동작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어부(110)로 인가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는 실외기 운전에 대한 설정을 위한 딥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시운전을 개시하는 스위치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시운전 스위치 조작 시, 실외기는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시운전 명령에 따라 시운전을 개시한다. The input unit 120 includes input means such as at least one button, a switch, and the like, and receives data about an outdoor unit operation to the controller 110. For example, the input unit 120 may be provided with a dip switch for setting the operation of the outdoor unit, and may include a switch for starting a trial run. At this time, when the trial run switch is operated, the outdoor unit starts trial run according to the trial run command input from the input unit 120.

출력부(180)는 문자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수단, 음향출력수단 및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실외기(O)의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예를들어 실외기가 운전중인 경우 운전중임을 나타내는 동작중 메시지, 운전등이 표시되고, 운전정지 상태인 경우에는 정지등, 정지메시지가 표시된다. 또한, 공기조화기 오동작시 출력부(180)는 경고메시지, 경고음, 경고등 중 적어도 하나의 경고를 출력한다. 또한, 출력부(180)는 공기조화기(O)가 시운전 중인 경우, 시운전 알림메시지, 시운전 알림음, 시운전 알림등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한다. The output unit 180 includes at least one of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 text or an image, a sound output means, and a lamp, and outputs an operation state of the outdoor unit O. For example, when the outdoor unit is in operation, an operation message and an operation lamp indicating that the vehicle is in operation are displayed. In addition, when the air conditioner malfunctions, the output unit 180 outputs at least one warning of a warning message, a warning sound, and a warning lamp. In addition, when the air conditioner O is in trial operation, the output unit 180 outputs at least one of a trial run notification message, a trial run notification sound, a trial run notification, and the like.

데이터부(130)는 실외기 운전에 따른 압축기 제어, 실내팬제어, 밸브제어 등에 필요한 제어데이터, 복수의 실내기 또는 다른 실외기와 통신하기 위한 주소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부(130)는 시운전을 수행에 따른 작업정보, 작업순서, 제어할 유닛의 정보 및 측정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운전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부(130)는 시운전 중, 전실운전 및 실별 개별운전에 따른 발생 데이터 및 측정 데이터가, 각각 누적하여 별도로 저장된다. The data unit 130 stores control data necessary for compressor control, indoor fan control, valve control, and the like, and address data for communicating with a plurality of indoor units or other outdoor units according to outdoor unit operation. In addition, the data unit 130 stores trial operation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job information, a work order, information of a unit to be controlled, and measurement data according to the trial operation. In addition, the data unit 130 accumulates and separately stores occurrence data and measurement data according to the full room operation and the individual operation for each room during the trial operation.

예를 들어, 데이터부(130)는 시운전 중, 실내온도, 실외온도, 냉매의 배관온도, 압축기 흡입온도 및 토출온도, 압력, 전압 및 전류 그리고 각 작업에 대한 수 행완료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For example, the data unit 130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indoor temperature, the outdoor temperature, the piping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the compressor suction temperature and the discharge temperature, the pressure, the voltage and the current, and whether the work is completed during the trial run. do.

리포트생성부(14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시운전 시 데이터부(130)에 누적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운전에 대한 결과리포트를 생성한다. 이때, 리포트생성부(140)는 데이터부(130)에 시운전에 따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로 데이터 부재를 알리고 데이터를 요청하며, 외부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결과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In response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ler 110, the report generator 140 generates a result report for the trial run based on the data accumulated in the data unit 130 during the trial run. At this time, the report generation unit 140 notifies the absence of data to the control unit 110 and requests the data, if there is no data according to the trial run in the data unit 130, based on the data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200 You can create a result report.

이때, 리포트생성부(140)는 데이터부(130)에 저장된 누적 저장된 데이터에 대하여, 각 데이터의 값이 정상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하여 시운전 작업 또는 시운전시 동작되는 각 장치 별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리포트를 생성한다. In this case, the report generation unit 140 determines whether the value of each data is included in the normal range with respect to the accumulated and stored data stored in the data unit 130 to determine whether it is normal operation for each device operated during the trial operation or the trial operation. Generate a report accordingly.

리포트생성부(140)는 누적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파라미터별 또는 장치 별 측정된 데이터에 대한, 최대값, 최소값, 평균값을 산출하고, 기 설정된 연산식에 따라 데이터에 대한 소정의 연산을 수행하여, 냉매량, 실내기 밸브, 압축기 기동, 전장상태, 사이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리포트를 생성한다. 이때, 리포트생성부(140)는 실내기와 실외기의 정보를 각각 구분하고 전실운전 및 개별 실내기 운전에 따른 경과 또한 각각 따로 구분하여, 상기와 같은 데이터에 대한 최대값, 최소값, 평균값 정상동작여부, 오류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결과리포트를 생성한다. The report generation unit 140 calculates the maximum value, the minimum value,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data measured for each parameter or device using the accumulated and stored data, and performs a predetermined operation on the data according to a preset calculation formula. And generating a report including at least one of refrigerant amount, indoor unit valve, compressor start, electric field state, and cycle state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report generating unit 140 separates the information of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and also separates the elapsed tim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oom and the individual indoor units, respectively, whether the maximum value, minimum value, average value normal operation of the above data, error, Create a result report with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it is present.

감지부(150)는 온도 또는 압력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모듈과, 전류 또는 전압을 감지하는 전류, 전압 측정부,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회전속도감 지부를 포함한다. 감지부(150)는 측정되는 온도, 압력, 전류 또는 전압, 회전속도에 대한 데이터를 제어부(110) 및 구동제어부(160)로 인가한다. The sensing unit 150 includes at least one sensor module for sensing a temperature or pressure, a current for detecting a current or voltage, a voltage measuring unit, and a rotation speed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rotation speed of a motor. The sensing unit 150 applies data on the measured temperature, pressure, current or voltage, and rotation speed to the controller 110 and the driving controller 160.

예를 들어, 감지부(150)는 냉매의 배관온도, 실외온도, 과냉각장치의 온도와 같은 실외기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데, 특히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고, 또한,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와,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 고압냉매관과 저압냉매관의 압력을 측정하여 제어부(110)로 인가한다.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50 measures the temperature inside the outdoor unit such as the pip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the outdoor temperature, the temperature of the supercooling device, and particularly,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ompressor and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In addition,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ompressor,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and the pressure of the high pressure refrigerant pipe and the low pressure refrigerant pipe are measured and applied to the controller 110.

구동제어부(16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압축기, 실외기팬 또는 실외기에 구비되는 각종 밸브로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그 동작을 제어한다. 구동제어부(160)는 압축기모터 및 압축기제어부, 팬모터 및 팬모터구동부, 또는 밸브제어부로 구분될 수 있다. The drive controller 160 supplies operation power to various valves provided in the compressor, the outdoor fan, or the outdoor unit in response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ler 110, and controls the operation. The drive controller 160 may be classified into a compressor motor and a compressor controller, a fan motor and a fan motor driver, or a valve controller.

예를 들어, 구동제어부(160)는 압축기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제어하고, 실외팬이 회전동작되도록 실외팬과 연결되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구동제어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가 열림 또는 닫힘상태가 되도록 개폐 여부를 제어하고, 경우에 따라 그 개도량을 제어한다. For example, the driving controller 160 applies a compressor driving signal, controls the driving frequency of the compressor, and controls the driving of the motor connected to the outdoor fan so that the outdoor fan rotates. In addition, the driving controller 160 controls whether the at least one valve is opened or closed so as to be in an open or closed state, and in some cases, controls the opening amount.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장치(200)가 장착 또는 탈착되는 연결부 및 외부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연결모듈(152)을 포함하고, 연결모듈(152)을 통해 외부장치(200)와 연결되어 소정의 데이터를 외부장치(200)로 전송하거나, 외부장치(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The interface unit 170 includes a connection module 152 including at least one connection unit to which the external device 200 is mounted or detached and at least one connection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200, and includes a connection module 152.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200 through the transmission of the predetermined data to the external device 200, or receives data from the external device 200.

이때, 인터페이스부(170)는 연결모듈에 외부장치(200)가 연결모듈(172)에 장 착되거나 연결되면, 외부장치(200)에 대한 연결신호를 제어부(110)로 인가하고,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70)는 연결된 외부장치(200)가 연결해제되거나 탈착되는 경우 외부장치(200)와의 연결이 해제됨을 나타내는 연결해제신호를 제어부(110)로 인가한다.In this case, when the external device 200 is mounted or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odule 172 to the connection module, the interface unit 170 applies a conn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10 to the control unit 110, and the control unit 110. Send / receive data in response to the control command. In addition, when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200 is disconnected or detached, the interface unit 170 applies a disconnec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200 is released to the controller 110.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잭연결부, 이동식메모리 리더기, 이동식메모리 연결부 및 USB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70 may include at least one connection module of a jack connector, a removable memory reader, a removable memory connector, and a USB connec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인터페이스부(170)는 소정 통신방식의 통신모듈(171)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통신모듈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장치 또는 외부장치가 연결된 네트워크에 연결 또는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제어부(110)의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방식을 통해 외부장치(2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수신되는 데이터를 제어부(110)로 인가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적외선모듈, 블루투스모듈, RF모듈, 와이파이(WiFi)무선랜, 와이브로(Wibro), 전력선통신모듈 및 랜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interface unit 170 includes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171 of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ethod, and transmits / receives data by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or a network to which an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interface unit 170 connects to the external device 200 through a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controller 11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 applies the received data to the controller 110.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70 may include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of an infrared module, a Bluetooth module, an RF module, a Wi-Fi wireless LAN, a Wibro,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and a LAN module. It is not limited.

이때, 인터페이스부(170)는 통신모듈을 통해 복수의 실내기(I) 또는 다른 실외기와 통신하며, 시운전 중 실내기(170)로부터 시운전 중 실내기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10)로 인가한다. At this time, the interface unit 170 communicates with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I or other outdoor units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data of the indoor unit during the trial run from the indoor unit 170 during the trial run, and applies the data to the controller 110.

여기서, 외부장치(200)는 인터페이스부(170)에 장착되어, 공기조화기에 연결되는 소정의 저장장치(220), 소정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인터페이스부(170)를 통 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인터페이스부(170)에 케이블 연결되는 처리장치(210) 및 처리장치(210)에 구비되어, 처리장치(200)가 인터페이스부(170)에 연결되는 경우 저장장치(220)와 같이 인식되는 저장부(211)로써, 시운전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도 적용한다. Here, the external device 200 is mounted to the interface unit 170, and transmits or receives data through the interface unit 170 using a predetermined storage device 220,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ethod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er It is provided in the processing unit 210 and the processing unit 210 that is cabled to the unit 170, when the processing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170 is recognized as a storage unit 220 ( 211), the present invention also applies to a case in which no processor for processing trial data is provided.

예를 들어, 저장장치(220)는 플래쉬메모리, 이동식메모리, 휴대용 하드, 외장하드, USB메모리 가 사용될 수 있고, 처리장치(210)는 인터페이스부(170)을 통해 전송되는 시운전에 따른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스가 탑재된 단말로써, 이동 단말기, 노트북, PDA, 컴퓨터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저장부(211)는 처리장치(210)내에 구비되는 저장매체로써, 인터페이스부(170)에 연결 시 공기조화기에서 저장장치처럼 인식된다. For example, the storage device 220 may be a flash memory, a removable memory, a portable hard drive, an external hard drive, a USB memory, and the processing device 210 processes data according to a test oper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170. As a terminal equipped with a process that can be used, it can be used in a mobile terminal, a laptop, a PDA, a computer, etc. The storage unit 211 is a storage medium provided in the processing unit 210, the air conditioner when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170 Is recognized as a storage device.

인터페이스부(170)는 상기와 같은 외부장치(200)가 연결될 수 있고, 연결된 외부장치(200)의 종류를 인식하여 저장장치 또는 처리장치로 구분한다.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200 as described above, and recognizes the type of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200 and classifies it as a storage device or a processing device.

제어부(110)는 입력부(120), 출력부(180), 통신부(170)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외기가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동제어부(160)로 제어명령을 인가하여 소정의 운전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또한 감지부(150)를 제어하여 운전중의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값에 대응하여 구동제어부(16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입력되는 시운전명령에 대응하여, 구동제어부(170)를 제어함으로써, 시운전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작업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하여 시운전을 수행한다.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flow of data input and output through the input unit 120, the output unit 18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70, and analyzes the data and controls the drive controller 160 so that the outdoor unit performs a predetermined operation. A command is controlled to operate in a predetermined driving mode, and the sensing unit 150 is controlled to measure temperature and pressure during operation, and the driving controller 160 is controlled in response to the measured valu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driving controller 170 in response to the input test operation command, thereby controlling at least one operation according to the test operation to perform the test operation.

제어부(110)는 구동제어부(160)를 제어하여, 압력과 온도를 포함하는 기본 사이클 체크하고, 전장상태를 확인하는 작업, 압축기의 상태를 확인하는 작업, 냉매량을 판단하고 봉입하는 작업 및 밸브 상태 확인 작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작업이 순차적으로 자동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driving control unit 160 to check the basic cycle including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to check the electric field state, to check the state of the compressor, to determine the amount of refrigerant and to seal the valve state Control to automatically perform a task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verification tasks sequentially.

제어부(110)는 시운전 중 감지부(160)를 통해 온도, 압력, 전압 및 전류가 측정되도록 제어하고, 측정값을 이용하여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할 뿐 아니라, 측정된 데이터가 데이터부(130)에 누적 저장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감지부(150)를 통해 입력전원의 전압 또는 전류, 압축기로 공급되는 전압 또는 전류 등의 측정값이 입력되면, 데이터부(130)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간전압 또는 상간전류를 연산한다.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temperature, pressure, voltage, and current to be measured by the sensing unit 160 during the test operation, and determines whether the normal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the measured value, and the measured data is stored in the data unit 130. To be stored cumulatively.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o be stored in the data unit 130 when the measured value, such as the voltage or current of the input power, the voltage or current supplied to the compressor through the sensing unit 150 is input, and measured data Calculate phase voltage or phase current based on

제어부(110)는 수행되는 모든 작업에 대하여 작업 성공여부, 에러발생시 에러발생 내역 및 에러가 발생된 장치에 대한 정보 또한 저장되도록 하고, 통신모듈(171)을 통해 수신되는 실내기 데이터가 소정 시간 간격으로 데이터부(130)에 누적하여 저장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실내기 데이터와 실외기 데이터가 별도로 저장되도록 한다. The controller 110 stores information on whether the operation is successful, information on error occurrence when the error occurs, and information on the device in which the error occurs, and the indoor unit data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71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ccumulated and stored in the data unit 130.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10 allows the indoor unit data and the outdoor unit data to be stored separately.

제어부(110)는 시운전이 완료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외부장치(200)의 연결여부를 확인하고, 데이터부(130)에 누적 저장된 데이터가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외부장치(200)로 전송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저장장치(220) 또는 저장부(211)가 연결된 경우, 시운전에 따른 데이터가 외부장치에 저장되도록 하고, 처리장치(210)인 경우에는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외부장치로 전송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110)는 리포트생성부(140)를 통해 작성된 출 력리포트가 외부장치(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When the test run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10 checks whether the external device 200 is connec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170, and data accumulated in the data unit 130 is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2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70. To be sent). In this case, when the storage device 220 or the storage unit 211 is connected, the control unit 110 stores data according to a trial run in an external device, and in the case of the processing device 210,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interface unit 170. To be sent to the device. In some cases,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output report generated through the report generation unit 140 to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200.

이때, 제어부(110)는 실내기의 냉매 입출구의 온도, 실내온도 및 전자팽창밸브의 개도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실내기의 데이터와, 실외기의 고압, 저압, 압축기 동작상태, CT센서값, 메인 전원의 상전압, 상전류, 밸브의 개도량, 배관온도, 실외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실외기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170)로 인가하여 외부장치(200)로 전송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10 is the indoor unit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inlet and outlet of the indoor unit, the room temperature and the opening amount of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the high pressure, low pressure, compressor operation state, CT sensor value, main power supply of the outdoor unit The data of the outdoor unit including at least one of phase voltage, phase current, opening amount of the valve, piping temperature, and outdoor temperature is applied to the interface unit 170 to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200.

또한, 제어부(110)는 외부장치(200)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누적 저장된 시운전에 대한 데이터가 소정 기간 삭제되지 않고 데이터부(120)에 저장되도록 하며, 리포트 생성부(140)를 제어하여, 데이터에 근거하여 결과리포트가 생성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external device 200 is not connected, the controller 110 allows the data about the accumulated trial operation to be stored in the data unit 120 without being dele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controls the report generation unit 140. The result report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data.

단, 데이터부(130)에 시운전에 대한 데이터 이외에도 공기조화기 운전에 대한 데이터도 저장되므로 데이터부(130)의 저장용량이 부족한 경우 제어부(110)는 저장된 시운전에 대한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단, 제어부(110)는 외부장치(200)의 연결을 요청하는 안내를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하거나, 통신모듈을 통해 실내기로, 데이터 저장에 대한 안내를 요청할 수 있다. However, in addition to the data for the trial operation in the data unit 130, the data for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also stored, so if the storage capacity of the data unit 130 is insufficient, the controller 110 may delete the data for the stored trial run. However, the controller 110 may output a guide requesting the connection of the external device 200 through the output unit 140 or request a guide for data storage to the indoor unit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한편, 제어부(110)는 통신모듈(171)을 통해 수신되거나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시운전에 대한 데이터 또는 결과리포트가 요청되는 경우, 데이터부(130)로부터 데이터를 호출하여 데이터를 전송 또는 출력하거나, 결과리포트를 생성하여 전송하거나 출력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10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71 o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20, when the data for the trial run or the result report is requested, call the data from the data unit 130 to transmit the data Or print, or create and send a result report to be output.

이때, 제어부(110)는 시운전에 대한 데이터 또는 결과리포트가 존재하지 않 는 경우, 연결된 외부장치(200)로 부터 시운전에 대한 데이터 또는 결과리포트를 수신하여 데이터가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전송되거나 또는 출력부(18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리포트생성부(140)를 통해 생성되는 결과리포트가 전송 또는 출력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if there is no data or result report for the test run, the controller 110 receives data or a result report for the test run from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200 and the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170. Or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80, and the result report generated through the report generation unit 140 is to be transmitted or output.

이때,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결과리포트는 시운전에 대한 데이터가 외부장치(200)로 저장 또는 전송된 경우, 그 데이터에 근거하여 처리장치에서 생성된 것이다. 예를 들어, 처리장치(210)는 수신되거나 저장부(211)에 저장된, 시운전에 대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결과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처리장치9210)는 외부장치(220)와 연결되어 시운전에 대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결과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sult report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s generated by the processing device based on the data when the data on the trial run is stored or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200.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210 may generate a result report based on the data about the trial run, which is received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1. In addition, the processing device 9210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220 to generate a result report based on the data about the trial run.

제어부(110)는 시운전에 대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거나, 연결된 외부장치(200)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 출력부(180)를 통해 경고를 출력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외부장치로 데이터 또는 결과리포트를 요청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10 may output a warning through the output unit 180 when there is no data for the trial run or when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200 does not exist. In some cases, the controller 110 outputs a data or result report to the external device. You can request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시운전 방법, 결과 저장 및 출력방법에 따른 동작설명에 참조되는 순서도이다. 3 is a flow chart referenced to the operation description according to the test operation method, the result storage and the output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시운전 명령이 입력되면(S310), 제어부(110)가 시운전 명령에 대응하여 시운전을 수행한다(S3200. 이때, 제어부(110)는 감지부(150)를 통해 측정되는 온도값이 운전온도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시운전을 시작한다. 여기서, 운전온도범위는 온도가 지나치게 높거나 낮아서 공기조화기가 운전되기 어려운 상황이인지 여부 또는 각 장치가 정상 동작될 수 있는 온도인지 여부를 판단하 기 위해 설정된 값이다. Referring to FIG. 3, when a test run command is input (S310), the controller 110 performs a test run in response to the test run command (S320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10 measures the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detector 150. Start the test run according to whether or not it is included in this operating temperature range, where the operating temperature range indicates whether the air conditioner is difficult to operate due to the excessively high or low temperature, or whether the temperature of each device can be normally operated. It is a value set for judgment.

시운전 시, 제어부(110)는 연결된 유닛의 정보를 확인하고, 구동제어부(160)로 제어명령을 인가하여, 모든 실내기가 운전되도록 하는 전실운전과, 실내기별 개별운전이 냉방모드와 난방모드로 각각 수행되도록 한다. During the trial run, the control unit 110 checks the information of the connected unit and applies a control command to the drive control unit 160, so that all the indoor units are operated and all the individual units are operated in the cooling mode and the heating mode, respectively. To be performed.

시운전 중, 제어부(110)는 감지부(150)를 통해 측정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이클의 상태를 확인하고, 전압 및 전류 측정을 통해 전장상태를 확인하며, 압축기 교번운전을 통한 상태확인, 냉매량 판단, 밸브의 개도 제어 또는 밸브의 정상 개폐확인 및 배관 연결상태를 확인한다. 여기서, 시운전에 따른 작업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During the trial run, the controller 110 checks the state of the cycle based on the data measured by the detector 150, checks the electric field state by measuring the voltage and current, checks the state through the compressor alternating operation, and determines the amount of refrigerant. Check valve opening or valve opening and closing and pipe connection. Here, the order of the work according to the trial run may be changed.

이때, 제어부(110)는 상기와 같은 작업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면서 각 작업에 대한 정보, 정상수행여부, 각 작업중 발생되거나 측정되는 시운전에 대한 데이터가 데이터부(130)에 누적하여 저장되도록 한다(S330). 데이터부(130)에는 운전의 형태 또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 사이클 상태, 전장상태, 압축기상태, 냉매량, 밸브상태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중 발생되거나 측정된 온도, 압력, 전류 또는 전압, 밸브상태, 압축기 상태 및 싸이클 상태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10 performs the above-described tasks sequentially so that the information on each task, whether or not to perform normally, data about the trial run generated or measured during each task is accumulated and stored in the data unit 130 (S330). ). The data unit 130 includes temperature, pressure, current or voltage, and valve state generated or measured while performing operations such as cycle state, electric field state, compressor state, refrigerant amount, valve state, etc., depending on the type of operation or the type of operation. Data on compressor state and cycle state are stored.

제어부(110)는 시운전이 종료되기 까지 상기와 같은 시운전에 따른 작업을 반복하여 수행하면서 그에 따른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작업 중 오류 발생여부를 확인하여 오류 발생에 대한 데이터 또한 저장되도록 한다(S320 내지 S340). The control unit 110 repeatedly accumulates and stores the data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trial operation until the trial operation is completed and checks whether an error occurs during the operation so that the data on the error occurrence is also stored (S320). To S340).

시운전이 종료되면(S340), 제어부(110)는 인터페이스부(170)로부터 입력되는 연결신호에 대응하여 외부장치(200)가 인터페이스부(170)에 연결 또는 장착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350), 외부장치(200)가 장착되거나 연결된 경우, 시운전 중에 누적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외부장치(200)로 전송되도록 한다(S360).When the trial run is completed (S340),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whether the external device 200 is connected or mounted to the interface unit 170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signal input from the interface unit 170 (S350). When the external device 200 is mounted or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200, the accumulat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2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70 (S360).

또한, 제어부(110)는 시운전이 종료됨에 따라 시운전에 대한 결과를 출력한다(S37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outputs the result of the trial run as the trial run ends (S370).

이때, 제어부(110)는 출력부(180)를 통해 시운전이 완료에 따른 소정의 알림이 출력되도록 하고, 또한, 시운전 중 정상 종료되지 않은 작업이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 경우 오류 발생에 대한 경고도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리포트 생성부(140)를 제어하여 저장된 데이터에 근거한 결과리포트가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결과리포트가 출력되도록 한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10 outputs a predetermined notification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trial run through the output unit 180, and also outputs a warning about an error occurrence when there is at least one job not normally terminated during the trial run. Output through In some cases, the report generator 140 is controlled to generate a result report based on the stored data, thereby outputting the result report.

리포트생성부(14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결과리포트 생성시, 기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대값, 최소값, 평균값을 산출하고, 소정의 연산식에 따라 각 데이터를 처리하며, 산출된 경과가 정상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결과리포트를 생성하는데, 작업 수행 중 오류가 발생된 경우에는 오류 내역 또한 포함되도록 한다. The report generation unit 140 analyzes the pre-stored data when generating a result report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110, calculates a maximum value, a minimum value, and an average value, and processes each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xpression. It determines whether the calculated progress is within the normal range and generates a result report. If an error occurs while performing a task, the error details are also included.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결과 데이터를 외부장치에 저장하거나 전송하는 방법에 따른 동작설명에 참조되는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of an operation description according to a method of storing or transmitting result data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 external device.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시운전 완료시, 인터페이스부(170)로부터 입력되는 연결신호에 대응하여 외부장치(200)의 연결여부를 판단하고(S410), 외부장치(200)가 인터페이스부(170)에 장착 된거나,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연결되 는 경우, 외부장치(200)가 데이터 저장이 가능한 장치, 즉 저장장치(220) 또는 저장부(211)인 지 여부를 확인한다(S420).Referring to FIG. 4, when the test run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whether the external device 200 is connected in response to a connection signal input from the interface unit 170 (S41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interfaces. When mounted to the unit 170 or connected via the interface unit 170, the external device 200 checks whether the device is capable of storing data, that is, the storage device 220 or the storage unit 211. (S420).

연결된 외부장치(200)가 저장장치(220) 또는 저장부(211)인 경우, 저장장치(220) 및 저장부(211) 중 독립된 저장장치(220)인지 처리장치(210) 또는 소정 단말에 구비되는 저장부(211)인지 판단한다(S430). When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200 is the storage device 220 or the storage unit 211, the storage device 220 or the storage unit 211 may be provided as an independent storage device 220 or the processing device 210 or a predetermined terminal.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torage unit 211 (S430).

제어부(110)는 연결된 외부장치가 저장장치(220)인 경우, 데이터부(130)에 누적 저장된 데이터가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저장장치(220)에 저장되도록 한다(S440).When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is the storage device 220, the controller 110 may store data accumulated and stored in the data unit 130 in the storage device 22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70 (S440).

또한, 외부장치(200)가 독립된 저장장치가 아닌, 처리장치 또는 소정 단말에 구비된 저장부(211)인 경우, 데이터부(130)에 누적 저장된 데이터가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저장부(211)에 저장되도록 한다(S440).In addition, when the external device 200 is not an independent storage device, but is a storage unit 211 provided in a processing device or a predetermined terminal, data accumulated and stored in the data unit 130 may be stor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170. 211) to be stored (S440).

이때, 제어부(110)는 외부장치(200)가 독립된 저장장치가 아닌 경우, 저정부만에 소정의 이동식 메모리와 같이 동작되는지, 처리장치가 연결된 것인지 판단하여 저장부에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한다. 연결된 외부장치가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이더라도, 시운전에 따른 데이터를 처리하고 그에 따른 결과리포트를 생성하는 프로세스 수행아 불가능한 경우에는 저장부(211)로 인식하여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한다. In this case, when the external device 200 is not an independent storage device,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whether the storage device operates in the same manner as a predetermined removable memory or is connected to a processing device and stores the data in the storage unit. Even if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is a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a predetermined task, when it is impossible to perform a process of processing data according to a trial run and generating a result report, the connected device recognizes the storage unit 211 and stores the data.

한편, 외부장치(200)가 처리장치인 경우(S450), 데이터부(130)에 누적 저장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170)로 인가하고,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처리장치(210)로 전송되도록 한다(S460). 이때, 인터페이스부91170)는 처리장치가 유선 연결된 경우 케이블을 통해, 소정의 유선통신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고, 무선통신 방식에 따라 연결된 경우에는 연결된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xternal device 200 is a processing device (S450), the data accumulated in the data unit 130 is applied to the interface unit 170, and transmitted to the processing unit 21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70. (S460). In this case, the interface unit 91170 transmits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wired communication method through a cable when the processing apparatus is wired, and transmits data in a connecte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hen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한편, 외부장치(200)가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연결되어 있더라도, 저장장치 또는 처리장치가 아닌 경우 및 저장장치 또는 처리장치로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 외부장치에러인 것으로 판단하여 데이터 전송을 중지하고 에러를 출력한다(S470).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external device 200 is not connected or connected, at least one of the case that is not a storage device or a processing device, and if the data transmission to the storage device or processing device is impossible, at least one of the cases is determined to be an external device error data transmission Stop and output an error (S470).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결과 데이터를 이용한 리포트 생성 및 출력방법에 따른 동작설명에 참조되는 순서도이다. 5 is a flowchart of an operation description according to a method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report using the result data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시운전이 완료된 이후, 또는 시운전 완료 후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시운전 결과 출력에 따른 명령이 입력되면(S510), 제어부(110)는 데이터부(130)에 시운전 데이터 또는 기 생성된 시운전에 대한 결과리포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20).Referring to FIG. 5, after a trial run is completed or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trial run is completed, if a command according to the trial run result output is input (S510), the controller 110 displays the trial run data or data in the data unit 13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result report for the generated trial run (S520).

제어부(110)는 시운전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리포트생성부로 인가하고(S580), 리포트생성에 따른 제어명령을 리포트생성부(140)로 인가한다. 그에 따라 리포트 생성부(140)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시운전에 따른 결과리포트를 생성한다(S590).If the test run data exists, the controller 110 calls the stored data and applies it to the report generation unit (S580), and applies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report generation to the report generation unit 140. Accordingly, the report generation unit 140 generates a result report according to the trial run based on the data (S590).

이때, 제어부(110)는 기 생성된 결과리포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리포트 생성과정을 생략한다.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0 skips the report generation process when the previously generated result report exists.

한편, 시운전에 따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는 외부장치의 연결여부를 인터페이스부(170)의 연결신호에 따라 판단하고(S530), 외부장 치(20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연결된 외부장치가 저장장치(220)인지 그 종류를 판단한다(S540). On the other hand, if the data according to the trial run does not exist,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whether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ignal of the interface unit 170 (S530), when the external device 200 is connec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xternal device is the storage device 220 or its type (S540).

저장장치(220) 또는 저장부(211)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저장장치(220) 또는 저장부(211)에 저장된, 시운전에 대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수신하고(S580), 리포트 생성부(140)는 수신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결과리포트를 생성한다(S590). 이때, 저장장치(220) 또는 저장부(211)에 데이터에 근거하여 기 생성된 결과리포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겨로가리포트를 저장장치(220) 또는 저장부(211)로부터 호출하여 수신한다. When the storage device 220 or the storage unit 211 is connected, data about the trial run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220 or the storage unit 211 is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170 (S580), and the report is received. The generation unit 140 generates a result report based on the received data (S590). In this case, when there is a result report generated based on the data in the storage device 220 or the storage unit 211, the other report is called from the storage device 220 or the storage unit 211 and received.

연결된 외부장치(200)가 저장장치(220) 또는 저장부(211)가 아닌 처리장치(210)인 경우, 처리장치로 시운전에 따른 데이터 또는 결과리포트를 요청하여 데이터 또는 결과리포트는 수신한다(S550, S560). If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200 is not the storage device 220 or the storage unit 211, but the processing device 210, the data or result report is requested by the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the trial run and the data or result report is received (S550). , S560).

이때, 처리장치(210)는 요청에 따라 데이터 또는 기 생성된 결과리포트를 전송하거나, 또는 저장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결과리포트는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S590).In this case, the processing apparatus 210 may transmit data or a previously generated result report according to the request, or may generate and transmit a result report corresponding to the stored data (S590).

제어부(110)는 상기와 같이,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에는 리포트생성부(140)를 제어하여 결과리포트를 생성하고, 외부장치(200)로부터 결과리포트가 수신된 경우에는 별도로 결과리포트를 생성하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data is received,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report generator 140 to generate a result report, and when the result report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200, does not separately generate a result report. .

제어부(110)는 수신된 결과리포트를 호출하여 출력부(180)로 인가하고, 시운전에 따른 결과가 출력되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110 calls the received result report and applies it to the output unit 180 and outputs the result according to the trial run.

한편, 외부장치(200)가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연결된 외부장치(200)로의 데 이터 전송에 오류가 발생되어 데이터 전송에 이상이 있는 경우, 제어부(110)는 그에 따른 에러를 출력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xternal device 200 is not connected or an error occurs in data transmission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200, and there is an error in data transmission, the controller 110 outputs an error accordingly.

경우에 따라 시운전에 따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외부장치 또는 처리장치의 연결으 요청할 수 있다. In some cases, it may be possible to request the connection of an external device or processing device that stores data from a trial ru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및 그 시운전 결과 출력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outputting the result of the trial run thereof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bu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s protected. It can be applied in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 설명에 참조되는 도, 1 is a reference to the configuration descrip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도 1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제어하는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록도, FIG. 2 is a block diagram referred to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controlling the out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f FIG. 1;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시운전 방법, 결과 저장 및 출력방법에 따른 동작설명에 참조되는 순서도, Figure 3 is a flow chart referenced to the operation description according to the test operation method, the result storage and output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결과 데이터를 외부장치에 저장하거나 전송하는 방법에 따른 동작설명에 참조되는 순서도, 4 is a flowchart referred to for describ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 method of storing or transmitting result data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 external device;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결과 데이터를 이용한 리포트 생성 및 출력방법에 따른 동작설명에 참조되는 순서도이다. 5 is a flowchart of an operation description according to a method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report using the result data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제어부 120: 입력부110: control unit 120: input unit

130: 데이터부 140: 리포트 생성부130: data unit 140: report generation unit

150: 감지부 160: 구동제어부150: detection unit 160: drive control unit

170: 인터페이스부 180: 출력부170: interface unit 180: output unit

200: 외부장치 200: external device

210: 처리장치 220: 저장장치210: processing device 220: storage device

I, I1 내지 I12: 실내기 O, O1, O2: 실외기 I, I1 to I12: indoor unit O, O1, O2: outdoor unit

Claims (12)

시운전을 수행하고, 시운전 수행 중 발생되거나 측정되는 데이터를 소정시간 간격으로 누적 저장하는 단계;Performing trial run and accumulating and storing data generated or measured during trial ru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시운전 완료 시, 외부저장매체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Determining whether the external storage medium is connected when the trial run is completed; And 상기 외부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누적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시운전 결과 출력방법.And when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ransmitting the accumulated and stored data to the external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시운전 완료 시, 상기 외부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데이터에 근거하여 시운전 결과 리포트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시운전 결과 출력방법.And generating, storing, and outputting a test operation result report based on the data when the external device is not connected when the test operation is complete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외부장치 전송단계는 상기 외부장치가 공기조화기에 연결되거나 장착된 저장장치인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에 저장하고, In the external device transmission step, when the external device is a storage device connected or mounted to an air conditioner, the data is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스가 탑재된 처리장치인 경우, 상기 외부장치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공기조화기의 시운전 결과 출력방법.And when the external device is a processing device equipped with a process for processing the data, outputting a test operation result of an air conditioner for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external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저장단계는 실내기의 냉매 입출구의 온도, 실내온도 및 전자팽창밸브의 개도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실내기의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공기조화기의 시운전 결과 출력방법. The storing step is a method of outputting a test operation result of the air conditioner for accumulating and storing the data of the indoor unit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inlet and outlet of the indoor unit, the room temperature and the opening amount of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저장단계는 실외기의 고압, 저압, 압축기 동작상태, CT센서값, 메인 전원의 상전압, 상전류, 밸브의 개도량, 배관온도, 실외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실외기의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공기조화기의 시운전 결과 출력방법. The storing step accumulates and stores data of an outdoor uni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high pressure, a low pressure, an operation state of a outdoor unit, a CT sensor value, a phase voltage of a main power supply, a phase current, an opening amount of a valve, a pipe temperature, and an outdoor temperature. How to output test results of air condition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외부장치 전송단계 후, 상기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연결된 상기 외부장치로 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시운전 결과 리포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시운전 결과 출력방법. And after the external device transmission step, if the data does not exist, receiving the data from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and generating a test result repor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외부장치 전송단계 후, 상기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연결된 상기 외부장치로 부터,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생성된 시운전 결과 리포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시운전 결과 출력방법.After the external device transmission step, if the data does not exist, receiving and outputting a test operation result report generated by the external device from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outputting the test operation result of the air conditioner . 외부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부;Interface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connecting to an external device by wire or wireless; 시운전 중 발생되거나 측정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부; 및A data unit for storing data generated or measured during trial run; And 지정된 작업이 자동으로 실행하여 시운전을 수행하고, 상기 시운전 중, 지정된 파라미터에 대한 데이터가 소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데이터부에 누적하여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에 근거하여 생성된 결과리포트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When the designated job is automatically executed to perform a trial run, and during the trial run, the data for the designated parameter is controlled to be accumulated and stored in the data unit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when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the data Or a control unit which transmits a result report generated based on the data to the external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공기조화기에 장착 또는 탈착 가능한 저장장치, The external device may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air conditioner through the interface unit. 소정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스가 탑재된 처리장치 및A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proces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the interface unit and processing the data by using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ethod; 상기 처리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된 저장장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And a storage device provided in the processing device and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는 상기 외부장치가, The controller is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장착 또는 탈착 가능한 저장장치 또는, 상기 처리장치에 귀되는 저장장치인 경우, 상기 데이터가 상기 외부장치에 저장되도록 하고, In the case of a storage device attachable or detachable through the interface unit or a storage device belonging to the processing device, the data is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처리장치인 경우, 상기 외부장치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And when the external device is the processing device, controlling the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부에 상기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If the data does not exist in the data unit, 상기 외부장치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를 호출하여 시운전 결과리포트를 생성하는 공기조화기. And an air conditioner for generating a test result report by calling the data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부에 상기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생성된 시운전 결과 리포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하여 출력하는 공기조화기. And the controller receives and outputs a test operation result report generated by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interface unit when the data does not exist in the data unit.
KR1020090007555A 2009-01-30 2009-01-30 Air conditioner and testing method thereof KR1015882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555A KR101588203B1 (en) 2009-01-30 2009-01-30 Air conditioner and tes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555A KR101588203B1 (en) 2009-01-30 2009-01-30 Air conditioner and tes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375A true KR20100088375A (en) 2010-08-09
KR101588203B1 KR101588203B1 (en) 2016-01-25

Family

ID=42754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555A KR101588203B1 (en) 2009-01-30 2009-01-30 Air conditioner and tes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20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8782A (en) * 2012-07-03 2014-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Diagnosis method of air conditioner
KR20150129570A (en) * 2014-05-12 2015-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conditioner system
KR102123971B1 (en) * 2019-07-19 2020-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pressor, operating system of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pressor and operating method of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pressor
US10837872B2 (en) 2012-07-03 2020-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agnosis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30951B1 (en) * 2022-10-10 2024-05-14 Renson Ventilation Nv METHOD FOR CONTROLLING A CENTRAL VENTILATION SYSTEM AND VENTILATION SYSTEM CONFIGURED FOR EXECUTING THIS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6591A (en) * 2005-12-22 2007-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system for storaging of data and its operating method
KR20090047228A (en) * 2007-11-07 2009-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6591A (en) * 2005-12-22 2007-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system for storaging of data and its operating method
KR20090047228A (en) * 2007-11-07 2009-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ing system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8782A (en) * 2012-07-03 2014-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Diagnosis method of air conditioner
US10837872B2 (en) 2012-07-03 2020-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agnosis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KR20210005985A (en) * 2012-07-03 2021-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Diagnosis method of air conditioner
US11099106B2 (en) 2012-07-03 2021-08-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agnosis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KR20210149657A (en) * 2012-07-03 2021-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Diagnosis method of air conditioner
KR20220144785A (en) * 2012-07-03 2022-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Diagnosis method of air conditioner
US11835428B2 (en) 2012-07-03 2023-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agnosis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KR20150129570A (en) * 2014-05-12 2015-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conditioner system
KR102123971B1 (en) * 2019-07-19 2020-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pressor, operating system of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pressor and operating method of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8203B1 (en) 201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92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actively and remotely diagnosing an HVAC system
JP6253675B2 (en) Air conditioner trial run application and air conditioner trial run system
US10018394B2 (en) System for calibration of a compressor unit in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EP1666805A1 (en) Apparatus for testing an air conditioner
US20100292864A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511720A2 (en) Fault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electrical appliance
JP5627504B2 (en) Air conditioning equipment maintenance system and data analysis device
KR20100088375A (en) Air conditioner and testing method thereof
KR20100123487A (e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air conditioner
EP3070883A1 (en) Diagnostic system for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diagnosting home appliance
JP2017190942A (en) Transfer determination method and transfer determination device for air conditioner
EP3795915A1 (en) Malfunction diagnosis system
KR102206461B1 (en) Air-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JP2016196978A (en) Monitoring system for air conditioner, mobile terminal, and information collection application for air conditioner
JP2011242085A (en) Air conditioner
JP2006162213A (en) Remote control device for air conditioning
KR20110124623A (en) Home appliance and operating method
KR20100089652A (en) Air 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 in an emergency thereof
JP6625196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EP3139543B1 (en) Setting of addresses in an air-conditioning system
KR20210126854A (en) Air conditioner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JP4721952B2 (en) Air conditioner
KR20100032201A (en) Air 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19120422A (en) Air-conditioning management system
KR20120072569A (en) An air conditioner, a control method the same and network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